KR20100041328A - 다리부재의 조립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리부재의 조립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328A
KR20100041328A KR1020080100460A KR20080100460A KR20100041328A KR 20100041328 A KR20100041328 A KR 20100041328A KR 1020080100460 A KR1020080100460 A KR 1020080100460A KR 20080100460 A KR20080100460 A KR 20080100460A KR 20100041328 A KR20100041328 A KR 20100041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bracket
bolt member
frame
fasten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창
Original Assignee
민병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창 filed Critical 민병창
Priority to KR102008010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1328A/ko
Publication of KR20100041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세탁기, 에어콘 실외기 등 가전제품이나 가구 등의 하부에 설치하여 활용되는 다리부재의 조립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부재에 너트 및 브라켓을 조립하여 구성되는 다리부재에 있어서 볼트부재를 정렬 공급하여 지그에 고정하는 제1단계와, 너트를 정렬 공급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 고정된 볼트부재에 너트를 조립하는 제2단계와, 브라켓을 정렬 공급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 너트가 조립된 볼트부재에 브라켓을 조립하는 제3단계, 그리고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3단계를 거쳐 조립된 다리부재를 배출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리부재의 조립방법을 제공하고, 이러한 조립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체화한 다리부재의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가전제품, 가구, 다리부재, 조립방법, 조립장치, 볼트부재, 너트, 브라켓

Description

다리부재의 조립방법 및 장치{Fabr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eg Member}
본 발명은 냉장고, 세탁기, 에어콘 실외기 등 가전제품이나 가구 등의 하부에 설치하여 활용되는 다리부재의 조립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이나 가구 등에 사용하고 있는 다리부재의 경우, 예를 들면 본 발명자의 선출원 등록한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54167호의 "다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도 1에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다리부재(10)는 쿠션부재(11)와 일체로 구성된 볼트부재(12)와 상기 볼트부재(12)의 볼트부(13)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14)와 브라켓(15)의 조립체 형태로 이루어져, 가전제품이나 가구 등을 포함하는 피고정물(16)의 저부에 상기 브라켓(15)을 별도의 체결구에 의하여 고정 설치하여 활용될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다리부재(10)는 볼트부재(12)의 볼트부(13)에 너트(14)와 브라켓(15)의 조립시에 수작업에 의존하여 조립이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인건비의 상승으로 원가상승문제가 발생하고 생산성에도 한계가 있어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연구 개발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다리부재의 조립작업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화된 조립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의 향상과 함께 원가 절감에 의한 경쟁력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 부품의 구조가 일부 달라지거나 필요한 부품의 수효가 달라지더라도 그 변경된 상황에 맞게 쉽게 대처할 수 있고 다양한 상황에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범용의 기술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볼트부재에 너트 및 브라켓을 조립하여 구성되는 다리부재에 있어서, 볼트부재를 정렬 공급하여 지그에 고정하는 제1단계와, 너트를 정렬 공급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 고정된 볼트부재에 너트를 조립하는 제2단계와, 브라켓을 정렬 공급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 너트가 조립된 볼트부재에 브라켓을 조립하는 제3단계, 그리고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3단계를 거쳐 조립된 다리부재를 배출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리부재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위와 같은 조립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체화한 다리부재의 조립장치로서,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볼트부재를 정렬 공급하는 볼트부재정렬공급기와, 프레임의 중심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정렬공급기로부터 공급된 볼트부재를 수용하는 지그를 방사상으로 다수 설치하고 일정 각도의 스텝회전이 이루어지는 인덱스기구와,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너트를 정렬 공급하는 너트정렬공급기와,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에 상기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체결기구와,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브라켓을 정렬 공급하는 브라켓정렬공급기와,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에 상기 브라켓을 체결하기 위한 브라켓체결기구와, 그리고 상기 인덱스기구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에 상기 너트 및 상기 브라켓이 조립 설치된 다리부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리부재의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너트체결기구는 제1너트체결기구와 제2너트체결기구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너트의 체결 조립시에 체결 정도를 구분하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다리부재의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다리부재의 조립작업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조립 방법 및 장치에 의하여 자동화된 조립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다리부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생산성의 향상과 함께 원가 절감에 의한 경쟁력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 부품을 이루게 되는 볼트부재, 너트 또는 브라켓의 구조가 일부 달라지거나, 상기 너트, 또는 상기 브라켓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하고 선 택적인 조립작업이 이루어지거나 아니면 모두 순차적인 조립이 이루어지는 경우에서와 같이 필요한 부품의 수효가 달라지더라도 그 변경된 상황에 맞게 쉽게 대처할 수 있고, 그 이외의 다양한 상황에도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활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인 다리부재의 조립장치를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볼트부재정렬기(20)로부터 볼트부재(12)를 받아 지그(30)에 정렬 공급하는 볼트부재정렬공급기(2)와, 프레임(1)의 중심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정렬공급기(2)로부터 공급된 볼트부재(12)를 수용하는 지그(30)를 방사상으로 다수 설치하고 일정 각도의 스텝회전이 이루어지는 인덱스기구(3)와,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너트정렬기(40)로부터 너트(14)를 받아 너트체결기구(5)로 정렬 공급하는 너트정렬공급기(4)와,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12)에 상기 너트(14)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체결기구(5)와,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브라켓정렬기(60)로부터 브라켓(15)을 받아 브라켓체결기구(7)로 정렬 공급하는 브라켓정렬공급기(6)와,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12)에 상기 브라켓(15)을 체결하기 위한 브라켓체결기구(7)와, 그리고 상기 인덱스기구(3)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12)에 상기 너트(14) 및 상기 브라 켓(15)이 조립 설치된 다리부재(10)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기구(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볼트부재정렬공급기(2)는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볼트부재정렬기(20)로부터 볼트부재(12)를 받아 지그(30)에 정렬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되, 볼트부재정렬기(20)와 연결 설치된 가이더(22)와 상기 가이더(22)의 끝에 연결 설치되고 공압에 의하여 왕복작동하는 푸셔(24)를 결합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즉, 볼트부재정렬기(20)에 의하여 볼트부재(12)를 세워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이들 볼트부재(12)는 상기 가이더(22)를 타고 전진하여 푸셔(24)에 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푸셔(24)에 도달한 볼트부재(12)는 푸셔(24)의 가압 전진동작에 의하여 대기하고 있던 지그(30)의 내측으로 급송 위치시키고 다시 푸셔(24)가 원위치하게 되면 다음의 볼트부재(12)를 공급하기 위한 준비상태를 유지하고, 인덱스기구(3)가 각도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다음의 지그(30)가 정위치하게 되면 다시 볼트부재(12)를 급송 위치시키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다음, 상기 인덱스기구(3)는 원판 형태로서 프레임(1)의 중심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정렬공급기(2)로부터 공급된 볼트부재(12)를 수용하는 지그(30)를 방사상으로 다수 설치하고 일정 각도의 스텝회전이 이루어지게 구성이 이루어지는데, 저부엔 스텝모터(32)와 감속기(34)가 설치되어 인덱스기구(3)가 방사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지그(30) 상호간의 피치만큼 각도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다음, 상기 너트정렬공급기(4)는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너트정렬기(40)로부터 너트(14)를 받아 너트체결기구(5)로 정렬 공급하도록 이루어 지되, 상기 너트정렬기(40)와 연결 설치된 가이더(42)에 의하여 너트(14)가 상기 너트정렬기(40)로부터 너트체결기구(5)의 초기위치까지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상기 너트체결기구(5)는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12)에 상기 너트(14)를 체결하기 위하여 제1너트체결기구(50)와 제2너트체결기구(52)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각각 푸시고정구(54)(56)를 설치하여 너트의 체결 조립시에 체결 정도를 구분하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너트체결기구(50)는 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컬럼(50a)에 상하방향실린더(50b)와 전후방향실린더(50c)를 각각 갖는 X-Y가이더(50d)를 설치하고, 상기 X-Y가이더(50d)의 전방 위치엔 하부에 그리퍼(50e)를 갖는 체결헤드(50f)를 설치하되 상기 그리퍼(50e)는 구동모터(50g) 및 벨트풀리(50h)에 의하여 회전작동하고 내부에 설치된 왕복실린더(50i)에 의하여 너트(14)를 잡거나 놓을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너트체결기구(52)는 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컬럼(52a)에 상하방향실린더(52b)와 전후방향실린더(52c)를 각각 갖는 X-Y가이더(52d)를 설치하고, 상기 X-Y가이더(52d)의 전방 위치엔 하부에 홀더(52e)를 갖춘 체결구(52f)를 갖는 체결헤드(52g)를 설치하되 상기 체결구(52f)는 구동모터(52h) 및 벨트풀리(52i)에 의하여 회전작동하도록 이루어져, 대부분 상기 제1너트체결기구(50)와 대부분 동일하게 구성이 이루어지나 단지 상기 그리퍼(50e) 대신에 탄성재질의 홀더(52e)를 갖춘 체결구(52f)를 설치하는 점만 상이하다.
또한, 상기 푸시고정구(54)(56)는 너트(14)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볼트부재(12)를 일시적으로 고정하여 볼트부재(12)가 지그(30)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갖게 되는데, 인덱스기구(3)의 지그(30)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 공압실린더(54a)(56a)에 의하여 내부의 푸셔(54b)(56b)가 각각 전, 후진 작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다음, 상기 브라켓정렬공급기구(6)는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브라켓정렬기(60)로부터 브라켓(15)을 받아 브라켓체결기구(7)로 정렬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되, 브라켓정렬기(60)와 연결 설치된 가이더(62)와 상기 가이더(62)의 끝에 연결 설치되고 공압에 의하여 왕복작동하는 푸셔(64)를 결합 설치하여 그 구성이 이루어진다.
다음, 상기 브라켓체결기구(7)는 프레임(1)의 일측에 별도의 푸시고정구(70)와 함께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볼트부재(12)에 상기 브라켓(15)을 체결하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브라켓체결기구(7)는 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컬럼(71)에 상하방향실린더(72)와 전후방향실린더(73)를 각각 갖는 X-Y가이더(74)를 설치하고, 상기 X-Y가이더(74)의 전방 위치엔 하부에 그리퍼(75)를 갖는 체결헤드(76)를 설치하되 상기 그리퍼(75)는 구동모터(77) 및 벨트풀리(78)에 의하여 회전작동하고 내부에 설치된 왕복실린더(79)에 의하여 브라켓(15)을 잡거나 놓을 수 있게 구성된다.
물론, 상기 푸시고정구(70)는 브라켓(15)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볼트부재(12)를 일시적으로 고정하여 볼트부재(12)가 지그(30)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역할을 갖게 되는데, 인덱스기구(3)의 지그(3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공압실린더(70a)에 의하여 내부의 푸셔(70b)가 전, 후진 방향으로 작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출기구(8)는 상기 인덱스기구(3)의 중심고정축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12)에 상기 너트(14) 및 상기 브라켓(15)이 조립 설치된 다리부재(10)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그 구성이 이루어지되, 공압실린더(80)에 의하여 내부의 푸셔(82)가 전, 후진 방향으로 작동하여 지그(30)의 내부에 위치한 조립된 다리부재(10)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볼트부재정렬기(20), 상기 너트정렬기(40) 및 상기 브라켓정렬기(60)는 각각 볼트부재(12), 너트(14), 브라켓(15)의 사이즈에 맞도록 설계된 파츠피더(Parts Feeder)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볼트부재정렬기(20), 상기 너트정렬기(40) 및 상기 브라켓정렬기(60)와 인접한 위치에는 별도의 부품공급기(9)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부품공급기(9)는 호퍼(90)와 바스켓컨베어(92)를 갖추어 각각의 상기 볼트부재정렬기(20), 상기 너트정렬기(40) 및 상기 브라켓정렬기(60) 내부에 각각 볼트부재(12), 너트(14), 브라켓(15)가 소진하게 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호퍼(90) 내부에 이들 부품을 미리 채워 놓아 상기 바스켓컨베어(92)가 작동하여 부품을 자동으로 보충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술한 본 발명은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볼트부재(12)에 너트(14) 및 브라켓(15)을 모두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장치의 형태로 구성하거나, 도 13에 예 시한 바와 같이 볼트부재(12)또는 볼트부재(12)와 너트(14)가 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15)만을 조립하는 장치의 형태로서 너트정렬공급기(4)와 너트체결기구(5)를 분리하여 구성하거나, 아니면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볼트부재(12)에 너트(14)만을 조립하는 장치의 형태로서 브라켓정렬공급기(6)와 브라켓체결기구(7)를 분리하여 구성하여 조립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은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볼트부재(12)에 너트(14) 및 브라켓(15)을 모두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장치의 형태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전체 구성을 작동시켜 볼트부재(12)에 너트(14) 및 브라켓(15)을 순차적으로 조립하도록 작동시켜 활용하여도 되고, 브라켓정렬공급기(6)와 브라켓체결기구(7)를 작동시키지 않고 너트정렬공급기(4)와 너트체결기구(5)를 작동시켜 볼트부재(12)에 너트(14)만을 조립하도록 작동시켜 활용하여도 되고, 아니면 너트정렬공급기(4)와 너트체결기구(5)를 작동시키지 않고 브라켓정렬공급기(6)와 브라켓체결기구(7)를 작동시켜 볼트부재(12)에 브라켓(15)을 조립하도록 작동시켜 활용하여도 된다.
다음은 전술한 기술구성에 대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본 발명인 다리부재의 조립방법을 기초로 하여 단계별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인 다리부재의 조립방법으로서, 볼트부재(12)에 너트(14) 및 브라켓(15)을 조립하여 구성되는 다리부재(10)에 있어서, 볼트부재(12)를 정렬 공급하여 지그(30)에 고정하는 제1단계와, 너트(14)를 정렬 공급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 고정된 볼트부재(12)에 너트(14)를 조립하는 제2단계와, 브라켓(15)을 정렬 공급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 너트(14)가 조립된 볼트부재(12)에 브라켓(15)을 조립하는 제3단계, 그리고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3단계를 거쳐 조립된 다리부재(10)를 배출시키는 제4단계를 거쳐 다리부재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며 단계별로 나누어 각각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제1단계는 볼트부재(12)를 정렬 공급하여 지그(30)에 고정하는 단계로서, 이 단계는 볼트부재정렬기(20)에 의하여 볼트부재(12)를 세워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이들 볼트부재(12)는 상기 가이더(22)를 타고 전진하여 푸셔(24)에 도달하게 되며, 이와 같이 푸셔(24)에 도달한 볼트부재(12)는 푸셔(24)의 가압 전진동작에 의하여 대기하고 있던 지그(30)의 내측으로 급송 위치시키고 다시 푸셔(24)가 후진하여 원위치하게 되면 다음의 볼트부재(12)를 공급하기 위한 준비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인덱스기구(3)가 각도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다음의 지그(30)가 정위치하게 되면 다시 볼트부재(12)를 급송 위치시키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단계이다.
제2단계
다음, 제2단계는 너트(14)를 정렬 공급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 고정된 볼트부재(12)에 너트(14)를 조립하는 단계로서, 푸시고정구(54)에 의하여 지그(3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던 볼트부재(12)를 공압실린더(54a)에 의하여 푸셔(54b)를 전진 가압시켜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너트정렬기(40)로부터 너트(14)를 하나씩 공급받아 정위치시키게 되면 너트체결기구(5) 중 제1너트체결기구(50)가 작동하게 되는데 상하방향실린더(50b)에 의하여 체결헤드(50f)가 하강하고 그리퍼(50e)가 왕복 실린더(50i)에 의하여 너트(14)를 집은 상태에서 체결헤드(50f)가 다시 상승하면서 전후방향실린더(50c)에 의하여 전진하여 지그(30)에 고정된 볼트부재(12)의 상부에 위치하고, 다시 체결헤드(50f)가 하강하고 구동모터(50g) 및 벨트풀리(50h)에 의하여 너트(14)를 파지한 그리퍼(50e)가 회전하면서 볼트부재(12)와 너트(14)가 서로 나사결합이 일부 이루어지고 다시 제1너트체결기구(50)의 체결헤드(50f)가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전술한 너트(14)의 초기결합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너트(14)의 초기결합이 이루어진 볼트부재(12)는 인덱스기구(3)에 의하여 각도회전하여 다음의 작업스테이지인 제2너트체결기구(52)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 경우에도 푸시고정구(56)의 공압실린더(56a)가 푸셔(56b)를 전진 가압시켜 너트(14)의 초기결합이 이루어진 볼트부재(12)를 일시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X-Y가이더(52d)와 상하방향실린더(52b)에 의하여 체결구(52f)는 하강하고 구동모터(52h)와 벨트풀리(52i)에 의하여 체결헤드(52g)에 위치한 체결구(52f)가 회전하면서 홀더(52e)는 너트(14)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고 볼트부재(12)에 너트(14)가 충분하게 체결되게 되는 단계가 이루어져 제2단계의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너트의 체결작업이 완료되면 홀더(52e)를 갖춘 체결구(52f)의 회전작동은 정지하고 X-Y가이더(52d)와 상하방향실린더(52b)에 의하여 체결구(52f)는 다시 상승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다음의 체결작업을 다시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제3단계
다음, 제3단계는 브라켓(15)을 정렬 공급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 너트(14)가 조립된 볼트부재(12)에 브라켓을 조립하는 단계인데, 본 단계에서는 브라켓정렬공급기(6)의 브라켓정렬기(60) 및 가이더(62)에 의하여 브라켓(15)을 정위치로 위치시키고, 푸시고정구(70)에 의하여 지그(3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던 볼트부재(12)를 공압실린더(70a)에 의하여 푸셔(70b)를 전진 가압시켜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브라켓체결기구(7)가 작동하게 되는데 상하방향실린더(72)에 의하여 체결헤드(76)가 하강하고 그리퍼(75)가 왕복실린더(79)에 의하여 브라켓(15)를 집어 파지한 상태에서 체결헤드(76)가 다시 상승하면서 전후방향실린더(73)에 의하여 전진하여 지그(30)에 고정된 볼트부재(12)의 상부에 위치하고, 다시 체결헤드(76)가 하강하고 구동모터(77) 및 벨트풀리(78)에 의하여 브라켓(15)를 파지한 그리퍼(75)가 회전하면서 볼트부재(12)와 브라켓(15)가 서로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단계를 갖게 되며, 이와 같이 브라켓(15)의 체결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브라켓체결기구(7)의 체결헤드(76)가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다시 전술한 브라켓(15)의 체결 결합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제4단계
그리고 제4단계는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3단계를 거쳐 조립된 다리부재(10)를 배출시키는 단계로서, 인덱스기구(3)의 상부에 위치한 배출기구(8)의 전방 위치로서 지그(30)에 상기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거치면서 볼트부재(12)에 너트(14) 및 브라켓(15)이 결합된 다리부재(10)가 위치하게 되면, 공압실린더(80)가 작동하여 푸셔(82)가 가압 전진하여 조립된 상기 다리부재(10)를 밀어내어 배출시키게 되는 단계이다.
즉, 전술한 제1단계 내지 제4단계에 걸쳐 볼트부재(12)에 너트(14)와 브라켓(15), 너트(14) 또는 브라켓(15)을 각각 조립하여 조립이 완료된 다리부재(10)를 얻을 수 있게 되므로, 다리부재(10)의 조립작업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조립 방법 및 장치에 의하여 자동화된 조립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성의 향상과 함께 원가 절감에 의한 경쟁력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부재(12), 너트(14) 또는 브라켓(15)의 구조가 일부 달라지거나, 상기 너트(14), 또는 상기 브라켓(15)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하고 선택적인 조립작업이 이루어지거나 아니면 모두 순차적인 조립이 이루어지는 경우에서와 같이 필요한 부품의 수효가 달라지더라도 그 변경된 상황에 맞게 쉽게 대처할 수 있있어 범용으로도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다리부재의 일례로서 조립 상태를 예시한 일부 생략 절결 단면도,
도 2는 다리부재의 일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조립방법 중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인 조립장치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전체적인 개략 평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 볼트부재 정렬공급기 중심의 일부 생략 정면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 너트정렬공급기 중심의 일부 생략 정면도,
도 7은 도 4에 있어서 너트체결기구 중 제1너트체결기 중심의 일부 생략 정면도,
도 8은 도 4에 있어서 너트체결기구 중 제2너트체결기 중심의 일부 생략 정면도,
도 9는 도 4에 있어서 브라켓정렬공급기 중심의 일부 생략 정면도,
도 10은 도 4에 있어서 브라켓체결기구 중심의 일부 생략 정면도,
도 11은 도 4에 있어서 인덱스기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배출기구 중심의 일부 생략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채택하는 볼트부재정렬공급기, 너트정렬공급기, 브라켓정렬공급기에 채택하는 부품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일부 생략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일부 생략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레임, 2: 볼트부재정렬공급기,
3: 인덱스기구, 4: 너트정렬공급기,
5: 너트체결기구, 6: 브라켓정렬공급기,
7: 브라켓체결기구, 8: 배출기구,
9: 부품공급기, 10: 다리부재,
12: 볼트부재, 14: 너트,
15: 브라켓, 20: 볼트부재정렬기,
22,42,62: 가이더, 24,64: 푸셔,
30:지그, 32: 스텝모터,
34: 감속기, 40: 너트정렬기,
50: 제1너트체결기구, 50a,52a,71: 컬럼,
50b,52b,72: 상하방향실린더, 50c,52c,73: 전후방향실린더,
50d,52d,74: X-Y가이더, 50e,75: 그리퍼,
50f,52g,76: 체결헤드, 50g,52h,77: 구동모터,
50h,52i,78: 벨트풀리, 50i,79: 왕복실린더,
52: 제2너트체결기구, 52e: 홀더,
52f: 체결구, 54,56,70: 푸시고정구,
54a,56a,70a,80: 공압실린더, 54b,56b,70b,82: 푸셔,
60: 브라켓정렬기, 90:호퍼,
92: 바스켓컨베어

Claims (6)

  1. 볼트부재에 너트 및 브라켓을 조립하여 구성되는 다리부재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를 정렬 공급하여 지그에 고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너트를 정렬 공급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 고정된 볼트부재에 너트를 조립하는 제2단계와,
    상기 브라켓을 정렬 공급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 너트가 조립된 볼트부재에 브라켓을 조립하는 제3단계, 그리고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3단계를 거쳐 조립된 다리부재를 배출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부재의 조립방법.
  2.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볼트부재정렬기(20)로부터 볼트부재(12)를 받아 지그(30)에 정렬 공급하는 볼트부재정렬공급기(2)와,
    상기 프레임(1)의 중심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정렬공급기(2)로부터 공급된 볼트부재(12)를 수용하는 지그(30)를 방사상으로 다수 설치하고 일정 각도의 스텝회전이 이루어지는 인덱스기구(3)와,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너트정렬기(40)로부터 너트(14)를 받아 너트체결기구(5)로 정렬 공급하는 너트정렬공급기(4)와,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12)에 상기 너트(14)를 체 결하기 위한 너트체결기구(5)와,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브라켓정렬기(60)로부터 브라켓(15)을 받아 브라켓체결기구(7)로 정렬 공급하는 브라켓정렬공급기(6)와,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12)에 상기 브라켓(15)을 체결하기 위한 브라켓체결기구(7)와, 그리고
    상기 인덱스기구(3)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12)에 상기 너트(14) 및 상기 브라켓(15)이 조립 설치된 다리부재(10)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기구(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부재의 조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정렬공급기(2)는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볼트부재정렬기(20)로부터 볼트부재(12)를 받아 지그(30)에 정렬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되, 볼트부재정렬기(20)와 연결 설치된 가이더(22)와 상기 가이더(22)의 끝에 연결 설치되고 공압에 의하여 왕복작동하는 푸셔(24)를 결합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인덱스기구(3)는 원판 형태로서 프레임(1)의 중심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정렬공급기(2)로부터 공급된 볼트부재(12)를 수용하는 지그(30)를 방사상으로 다수 설치하고, 저부엔 스텝모터(32)와 감속기(34)가 설치되어 방사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지그(30) 상호간의 피치만큼 각도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너트정렬공급기(4)는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너트정렬기(40)로부터 너트(14)를 받아 너트체결기구(5)로 정렬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너트정렬기(40)와 연결 설치된 가이더(42)에 의하여 너트(14)가 상기 너트정렬기(40)로부터 너트체결기구(5)의 초기위치까지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너트체결기구(5)는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12)에 상기 너트(14)를 체결하기 위하여 제1너트체결기구(50)와 제2너트체결기구(52)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각각 푸시고정구(54)(56)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제1너트체결기구(50)는 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컬럼(50a)에 상하방향실린더(50b)와 전후방향실린더(50c)를 각각 갖는 X-Y가이더(50d)를 설치하고, 상기 X-Y가이더(50d)의 전방 위치엔 하부에 그리퍼(50e)를 갖는 체결헤드(50f)를 설치하되 상기 그리퍼(50e)는 구동모터(50g) 및 벨트풀리(50h)에 의하여 회전작동하고 내부에 설치된 왕복실린더(50i)에 의하여 너트(14)를 잡거나 놓을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제2너트체결기구(52)는 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컬럼(52a)에 상하방향실린더(52b)와 전후방향실린더(52c)를 각각 갖는 X-Y가이더(52d)를 설치하고, 상기 X-Y가이더(52d)의 전방 위치엔 하부에 홀더(52e)를 갖춘 체결구(52f)를 갖는 체결헤드(52g)를 설치하되 상기 체결구(52f)는 구동모터(52h) 및 벨트풀리(52i)에 의하여 회전작동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푸시고정구(54)(56)는 상기 인덱스기구(3)의 지그(30)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 공압실린더(54a)(56a)에 의하여 내부의 푸셔(54b)(56b)가 각각 전, 후진 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정렬공급기구(6)는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브라켓정렬기(60)로부터 브라켓(15)을 받아 브라켓체결기구(7)로 정렬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되, 브라켓정렬기(60)와 연결 설치된 가이더(62)와 상기 가이더(62)의 끝에 연결 설치되고 공압에 의하여 왕복작동하는 푸셔(64)를 결합 설치하여 그 구성이 이루어지며,
    상기 브라켓체결기구(7)는 프레임(1)의 일측에 별도의 푸시고정구(70)와 함께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볼트부재(12)에 상기 브라켓(15)을 체결하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브라켓체결기구(7)는 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컬럼(71)에 상하방향실린더(72)와 전후방향실린더(73)를 각각 갖는 X-Y가이더(74)를 설치하고, 상기 X-Y가이더(74)의 전방 위치엔 하부에 그리퍼(75)를 갖는 체결헤드(76)를 설치하되 상기 그리퍼(75)는 구동모터(77) 및 벨트풀리(78)에 의하여 회전작동하고 내부에 설치된 왕복실린더(79)에 의하여 브라켓(15)을 잡거나 놓을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푸시고정구(70)는 인덱스기구(3)의 지그(3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공압실린더(70a)에 의하여 내부의 푸셔(70b)가 전, 후진 방향으로 작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기구(8)는 상기 인덱스기구(3)의 중심고정축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12)에 상기 너트(14) 및 상기 브라켓(15)이 조립 설치된 다리부재(10)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그 구성이 이루어지되, 공압실린더(80)에 의하여 내부의 푸셔(82) 가 전, 후진 방향으로 작동하여 지그(30)의 내부에 위치한 조립된 다리부재(10)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부재의 조립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정렬기(20), 상기 너트정렬기(40) 및 상기 브라켓정렬기(60)와 인접한 위치에는 별도의 부품공급기(9)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부품공급기(9)는 호퍼(90)와 바스켓컨베어(92)를 갖추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부재의 조립장치.
  5.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볼트부재정렬기(20)로부터 볼트부재(12)를 받아 지그(30)에 정렬 공급하는 볼트부재정렬공급기(2)와,
    상기 프레임(1)의 중심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정렬공급기(2)로부터 공급된 볼트부재(12)를 수용하는 지그(30)를 방사상으로 다수 설치하고 일정 각도의 스텝회전이 이루어지는 인덱스기구(3)와,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너트정렬기(40)로부터 너트(14)를 받아 너트체결기구(5)로 정렬 공급하는 너트정렬공급기(4)와,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12)에 상기 너트(14)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체결기구(5)와, 그리고
    상기 인덱스기구(3)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12)에 상기 너트(14) 및 상기 브라켓(15)이 조립 설치된 다리부재(10)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기구(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부재의 조립장치.
  6.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볼트부재정렬기(20)로부터 볼트부재(12)를 받아 지그(30)에 정렬 공급하는 볼트부재정렬공급기(2)와,
    상기 프레임(1)의 중심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정렬공급기(2)로부터 공급된 볼트부재(12)를 수용하는 지그(30)를 방사상으로 다수 설치하고 일정 각도의 스텝회전이 이루어지는 인덱스기구(3)와,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브라켓정렬기(60)로부터 브라켓(15)을 받아 브라켓체결기구(7)로 정렬 공급하는 브라켓정렬공급기(6)와,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12)에 상기 브라켓(15)을 체결하기 위한 브라켓체결기구(7)와, 그리고
    상기 인덱스기구(3)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재(12)에 상기 너트(14) 및 상기 브라켓(15)이 조립 설치된 다리부재(10)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기구(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부재의 조립장치.
KR1020080100460A 2008-10-14 2008-10-14 다리부재의 조립방법 및 장치 KR20100041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460A KR20100041328A (ko) 2008-10-14 2008-10-14 다리부재의 조립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460A KR20100041328A (ko) 2008-10-14 2008-10-14 다리부재의 조립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328A true KR20100041328A (ko) 2010-04-22

Family

ID=4221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460A KR20100041328A (ko) 2008-10-14 2008-10-14 다리부재의 조립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13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119B1 (ko) * 2014-11-14 2015-03-19 서달수 세탁기의 높이조절용 다리를 구성하는 볼트와 캡의 자동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합방법
CN108244845A (zh) * 2018-01-20 2018-07-06 厦门顾信家居有限公司 一种平衡衣柜及其制作工艺
CN110374355A (zh) * 2019-06-14 2019-10-25 上海天演建筑物移位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物旋转的限位装置及其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119B1 (ko) * 2014-11-14 2015-03-19 서달수 세탁기의 높이조절용 다리를 구성하는 볼트와 캡의 자동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합방법
CN108244845A (zh) * 2018-01-20 2018-07-06 厦门顾信家居有限公司 一种平衡衣柜及其制作工艺
CN110374355A (zh) * 2019-06-14 2019-10-25 上海天演建筑物移位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物旋转的限位装置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877B1 (ko) 차량용 자동 클립 장착기
CN209681600U (zh) 铰链梅花弹簧组件自动组装机
CN110640457B (zh) 锁芯自动组装机
JP2007118128A (ja) 自動ねじ締め装置
KR20100041328A (ko) 다리부재의 조립방법 및 장치
CN112139808A (zh) 外壳定子自动组装设备
US6681659B2 (en) Automatic fastener apparatus and method
JP2018079554A (ja) 多軸ねじ締め装置
KR200417726Y1 (ko) 자동 이송장치를 갖는 리벳팅 머시인
CN112605654A (zh) 水龙头组装线
CN106624739A (zh) 马达转子轴多级部件自动装配机
CN215999411U (zh) 一种线圈锁附和密封圈组装机
CN108723513A (zh) 一种三通接头攻丝设备
TW201317062A (zh) 鉚合機構
KR20090037999A (ko) 클램프 장입부가 구비된 클램프 너트 자동체결장치
CN111267360A (zh) 一种自动套环机
KR101924758B1 (ko) 도어록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CN215658881U (zh) 全自动锁螺丝及旋铆一体机
CN113681289A (zh) 一种手紧钻夹头组装装置
CN107598554A (zh) 一种用于键盘的自动螺钉安装设备
KR101877356B1 (ko)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스냅링 조립장치
CN102377092A (zh) 微型马达换向器装配机
KR20170065866A (ko)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
CN205571841U (zh) 一种多功能机械手
KR102603810B1 (ko) 피도장체의 스프레이 자동 코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