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974A -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 Google Patents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974A
KR20100039974A KR1020080098984A KR20080098984A KR20100039974A KR 20100039974 A KR20100039974 A KR 20100039974A KR 1020080098984 A KR1020080098984 A KR 1020080098984A KR 20080098984 A KR20080098984 A KR 20080098984A KR 20100039974 A KR20100039974 A KR 20100039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ing
discharge
spring
piston
com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867B1 (ko
Inventor
현경열
Original Assignee
현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경열 filed Critical 현경열
Priority to KR1020080098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867B1/ko
Priority to CN2009801403863A priority patent/CN102187098A/zh
Priority to US13/123,528 priority patent/US20110194962A1/en
Priority to PCT/KR2009/005758 priority patent/WO2010041883A2/ko
Publication of KR2010003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4/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04C14/18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 F04C14/22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4/223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between cooperating members using a movable c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63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with coaxially-mounted members having continuously-changing circumferential spacing between them
    • F04C18/06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with coaxially-mounted members having continuously-changing circumferential spacing between them having cam-and-follower type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3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2/3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2/34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04C2/34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the vanes positively engaging, with circumferential play, an outer rotat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05Speed
    • F04C2270/052Speed ang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펌프하우징과; 내주면과 외주면이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피압축매체가 압축되는 압축실을 형성하며, 상기 펌프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캠링과;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베인이 출몰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캠링의 압축실에서 회전하며 상기 피압축매체를 압축하는 로터와; 상기 캠링의 외주면에 접촉하며, 상기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이면 상기 캠링을 회전시키고 상기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 압력 미만이면 상기 캠링이 회전정지하도록 상기 캠링의 회전을 제어하는 캠링 회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토출 압력의 변화에 따라서 캠링을 회전 및 회전정지시켜서 토출량을 가변할 수 있고, 토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VARIABLE DISCHARGE VANE PUMP}
본 발명은,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와 캠링의 회전수 차이에 의하여 토출량이 가변되는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베인 펌프는 펌프하우징의 내부에 캠링이 고정 설치되고, 캠링의 전후 양측에는 흡입측 측판과 토출측 측판이 각각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캠링의 내부에는 피압축매체가 압축되는 대략 타원형 공간의 압축실이 형성되어 있다.
캠링 내부의 압축실에는 구동축에 지지된 로터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로터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베인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이 베인홈에는 베인이 출몰가능하게 수용되어 반경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베인 펌프는 로터의 회전에 따라 베인의 선단면이 원심력에 의해 캠링의 대략 타원형 내주면과 접하면서 오일과 같은 피압축매체가 흡입측 측판을 통해 흡입되어 캠링의 압축실로 흡입되고, 흡입된 피압축매체는 캠링 내부의 용적 감소에 의해 압축된 후, 토출측 측판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베인 펌프는 펌프하우징에 캠링이 위치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캠링의 내부에 위치되는 로터와 캠링의 타원형 내부공간 사이, 즉 압축실에 형성되는 흡입영역 및 토출영역이 항시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에, 압력의 변화에 따라 흡입영역 및 토출영역을 가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배제용적이 최대가 되는 고압시에는 과도한 유량을 토출하게 되고 또한 저압시에는 필요 이상으로 유체가 토출되므로, 펌프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토출 압력의 변화에 따라서 캠링을 회전 및 회전정지시켜서 토출량을 가변할 수 있고, 토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펌프하우징과; 내주면과 외주면이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피압축매체가 압축되는 압축실을 형성하며, 상기 펌프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캠링과;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베인이 출몰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캠링의 압축실에서 회전하며 상기 피압축매체를 압축하는 로터와; 상기 캠링의 외주면에 접촉하며, 상기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이면 상기 캠링을 회전시키고 상기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 압력 미만이면 상기 캠링이 회전정지하도록 상기 캠링의 회전을 제어하는 캠링 회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캠링 회전 제어부는, 상기 캠링의 외주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접촉하며, 상기 캠링의 회전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된 압력 미만이면 상기 캠링이 회전정지하도록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상기 캠링은 회전하 여 상기 피스톤이 상기 스프링을 향해 이동하며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킬 수 있다.
상기 실린더 회전 제어부는 상기 스프링의 변위를 조절하는 스프링 조절볼트를 더 포함함으로써, 피스톤에 가해지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가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스톤과 상기 스프링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상기 피스톤에 전달하는 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과 상기 로드가 상호 접촉하는 상기 피스톤과 상기 로드의 각 단부에는 각각 상반되는 경사를 갖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실로 피압축매체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캠링의 일측에 마련되는 흡입측 측판과;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피압축매체의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캠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측 측판과 대향 배치되는 토출측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토출 압력의 변화에 따라서 캠링을 회전 및 회전정지시켜, 로터와 캠링의 회전수 차이에 의해 토출량을 가변할 수 있고, 토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 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는 펌프하우징(11)과, 펌프하우징(11)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캠링(21)과, 피압축매체를 압축하는 로터(25)와, 캠링(21)의 회전을 제어하여 피압축매체의 토출량을 가변시키는 캠링 회전 제어부(31)를 가진다.
펌프하우징(11)은 압축실(23)로 피압축매체가 흡입되는 흡입포트(13)가 형성되어 있다.
펌프하우징(11)의 내부에는 캠링(21)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캠링(21)의 내부는 피압축매체가 압축되는 압축실(23)을 형성하며, 캠링(21)의 내주면은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캠링(21)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로터(25)의 베인(29)이 접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의 캠링(21)의 외주면은 하나 이상의 최대곡률반경을 갖는 돌기부(2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캠링(21)의 외주면은 후술할 피스톤(33)이 슬라이딩 접촉한다. 이에, 캠링(21)은 내주면과 외주면이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캠링(21)의 내부에는, 즉 캠링(21)의 압축실(23)에는 도시 않은 모터의 구동축(5)에 지지되어 피압축매체를 압축하는 로터(2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로터(25)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베인홈(27)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베인홈(27)에는 캠링(21)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베인(29)이 출몰가능하게 수용되어 있 다. 이에, 베인(29)은 캠링(21)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로터(25)의 반경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캠링 회전 제어부(31)는 캠링(21)의 외주면에 접촉하며, 캠링(21)의 회전을 제어한다. 캠링 회전 제어부(31)는 캠링(21)의 외주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접촉하며 캠링(21)의 회전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33)과,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된 압력 미만이면 캠링(21)이 회전정지하도록 피스톤(3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5)을 가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3)의 일단부는 캠링(21)의 외주면에 밀착하고, 피스톤(33)의 타단부는 스프링(35)에 지지되어 있다. 피스톤(33)은 캠링(21)의 회전에 따라 스프링(35)을 압축 및 압축해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스프링(35)은 코일형상을 가지며, 스프링(35)은 펌프하우징(11)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15)에 수용되어 있다. 스프링(35)의 일단부는 피스톤(33)을 지지하고, 스프링(35)의 타단부는 스프링 지지플레이트(37)에 의해 스프링 수용부(15)에 수용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에,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캠링(21)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33)이 스프링(35)을 향해 이동하여 스프링(35)은 압축되고,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된 압력 미만이면,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33)이 캠링(21)의 외주를 가압하여 캠링(21)이 회전정지한다.
한편, 스프링(35)의 탄성력은 스프링 조절 볼트(39)에 의해 조절된다. 스프링 조절 볼트(39)는 스프링 지지플레이트(37)에 결합되어, 스프링(35)의 타단부를 가압 및 가압해제함으로써 스프링 수용부(15)에 수용된 스프링(35)의 변위를 조절함으로써, 피스톤(33)에 가해지는 스프링(35)의 탄성력을 가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는, 캠링(21)을 사이에 두고 흡입측 측판(51)과 토출측 측판(55)이 대향 배치되어 있다.
흡입측 측판(51)은 캠링(21)의 일측에 마련되며, 압축실(23)로 피압축매체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통로(53)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측 측판(55)은 캠링(21)의 타측에 마련되며, 압축실(23)에서 압축된 피압축매체의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통로(5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61은 압축실(23)로부터 토출측 측판(55)을 거친 피압축매체의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 가이드이며, 토출구 가이드(61)는 이등분될 수 있다. 토출 가이드(61)에는 니플(6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미설명된 참조 부호 63은 펌프하우징(11)의 일측을 커버하는 메인 커버이고, 참조 부호 65는 펌프하우징(11)의 타측을 커버하는 보조 커버이다. 그리고, 미설명된 참조부호 67은 흡입측 측판(51) 및 토출측 측판(55)에 각각 작용하는 스러스트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이고, 참조부호 69는 구동축(5)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축 베어링이다. 또한, 미설명된 참조 부호 71은 펌프하우징(11)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이고, 참조부호 73은 메인커버(63)와 보조커버(65)의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는 구동축(5)의 구동에 따라 로터(25)가 회전하면, 로터(25)에 설치된 베인(29)의 선단부가 원심력에 의해 캠링(21)의 압축실(23)의 내주면과 접하면서 회전한다.
이에, 피압축매체는 흡입포트(13)를 거쳐 흡입측 측판(51)의 흡입통로(53)를 통해 캠링(21)의 압축실(23)로 흡입된 후, 로터(25)의 회전에 따라 용적 감소에 의해 압축되고 나서, 토출측 측판(55)의 토출통로(57)를 통해 토출된다.
한편, 로터(25)가 회전하여 피압축매체가 압축되어 토출됨에 따라, 로터(25)의 회전방향으로 캠링(21)이 회전하게 되고, 특히 토출 압력이 높을수록 캠링(21)의 회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즉,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캠링(21)의 회전력이 피스톤(33)과 캠링(21)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게 되어 캠링(21)이 회전하게 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링(21)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있던 피스톤(33)은 캠링(21)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스프링(35)을 향해 이동하여 스프링(35)을 압축시킨다. 이 때, 로터(25)와 캠링(21) 간의 회전수 차이에 의해 압축실(23)에서 압축되어 토출되는 토출량은 가변된다. 한편, 로터(25)와 캠링(21)이 같은 회전수로 회전하게 되면, 캠링(21)의 압축실(23)에서 피압축매체의 압축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토출이 정지된다.
반대로,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된 압력 미만이면, 캠링(21)의 회전력이 피스톤(33)과 캠링(21)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게 되어, 피스톤(33)이 스프링(35)을 향해 이동하지 않게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3)이 캠링(21) 외주면의 최대곡률반경을 갖는 돌기부(21a)를 넘지 못하여 캠링(21)은 회전 정지한다. 이 때, 로터(25)가 회전하게 되면, 피압축매체는 캠링(21)의 압축실(23)에서 압축되어 토출량은 최대로 된다.
이로써, 일 예로 로터(25)가 10번 회전할 때 캠링(21)이 10번 회전하면 토출이 정지되고 토출량이 0이 된다. 로터(25)가 10번 회전할 때 캠링(21)이 5번 회전하면 토출량은 50%가 된다. 로터(25)가 10번 회전할 때 캠링(21)이 회전 정지하면 토출량은 100%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는 피압축매체의 설정된 토출 압력 변화에 따라 캠링(21)이 회전 또는 회전정지하여, 즉 로터(25)와 캠링(21) 사이에 회전수 차이가 발생하여 압축실(23)에서 압축되어 토출되는 토출량을 가변할 수 있고 토출 효율을 향상시킬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피스톤(33)과 스프링(35) 사이에 마련되어, 스프링(35)의 탄성력을 피스톤(33)에 전달하는 로드(41)를 더 가진다.
피스톤(33)은 스프링(35)의 압축방향에 대해 가로로 펌프하우징(11)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로드(41)는 피스톤(33)과 스프링(35) 사이에 마련되며, 펌프하우징(11)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15)에 스프링(35)과 함께 왕복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로드(41)의 외주면에는 스프링 수용부(15)의 내주면과 구름운동하며 승강하도록 복수의 롤러(43)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수용부(15)에는 압축실(23)로부터 토출되는 피압축매체가 유입되는 유입유로(17)가 연통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33)과 로드(41)가 상호 접촉하는 피스톤(33)과 로드(41)의 각 단부에는 로드(41)의 왕복이동에 따라 피스톤(33)이 왕복이동하도록 각각 상반된 경사를 갖는 경사부(33a,41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로드(41)는 압축실(23)로부터 토출되는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에 의해 스프링 수용부(15) 내에서 승강하며 로드(41)의 경사부(41a)가 피스톤(33)의 경사부(33a)를 따라 승강함에 따라 피스톤(33)을 압축실(23)을 향해 접근 및 이격시켜, 토출 압력 변화에 따라 캠링(21)을 회전 및 회전정지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는 로터(25)가 회전하면, 로터(25)에 설치된 베인(29)의 선단부가 원심력에 의해 캠링(21)의 압축실(23)의 내주면과 접하면서 회전하고, 압축실(23)로 흡입된 피압축매체는 로터(25)의 회전에 따라 용적 감소에 의해 압축되고 나서, 토출측 측판(55)의 토출통로(57)를 통해 토출된다.
한편, 로터(25)가 회전하여 피압축매체가 압축되어 토출됨에 따라, 로터(25)의 회전방향으로 캠링(21)이 회전하게 되고, 특히 토출 압력이 높을수록 캠링(21)의 회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 때, 토출된 피압축매체의 일부는 펌프하우징(11)에 형성된 유입유로(17)로 유입되어, 로드(41)가 승강하도록 작용한다.
한편,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캠링(21)의 회전력 이 피스톤(33)과 캠링(21)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게 되어 캠링(21)이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유입유로(17)로 유입된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에 의해 로드(41)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지고, 피스톤(33)의 경사부(33a)는 로드(41)의 경사부(41a)에 밀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링(21)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있던 피스톤(33)은 캠링(21)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펌프하우징(11)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로터(25)와 캠링(21) 간의 회전수 차이에 의해 압축실(23)에서 압축되어 토출되는 토출량은 가변된다. 한편, 로터(25)와 캠링(21)이 같은 회전수로 회전하게 되면, 캠링(21)의 압축실(23)에서 피압축매체의 압축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토출이 정지된다.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된 압력 미만이면, 캠링(21)의 회전력이 피스톤(33)과 캠링(21)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게 되고, 동시에 유입유로(17)로 유입된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에 의해 로드(41)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지지 않게 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3)은 캠링(21)의 외주면을 가압하며, 피스톤(33)이 캠링(21) 외주면의 최대곡률반경을 갖는 돌기부(21a)를 넘지 못하여 캠링(21)은 회전정지한다. 이 때, 로터(25)가 회전하게 되면, 피압축매체는 캠링(21)의 압축실(23)에서 압축되어 토출량은 최대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는 피압축매체의 설정된 토출 압력 변화에 따라 캠링(21)이 회전 또는 회전정지하여, 즉 로터(25)와 캠링(21) 사이에 회전수 차이가 발생하여 압축실(23)에서 압축되어 토출되는 토출량을 가변할 수 있고 토출 효율을 향상시킬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주면과 외주면이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피압축매체가 압축되는 압축실을 형성하며 펌프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캠링과, 압축실에서 회전하며 피압축매체를 압축하는 로터와,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캠링을 회전시키고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된 압력 미만이면 캠링이 회전정지하도록 캠링의 회전을 제어하는 캠링 회전 제어부(31)를 마련함으로써, 토출 압력의 변화에 따라서 캠링을 회전 및 회전정지시켜서 토출량을 가변할 수 있고, 토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의 캠링과 캠링 회전 제어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의 캠링과 캠링 회전 제어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구동축 11 : 펌프하우징
21 : 캠링 23 : 압축실
25 : 로터 29 : 베인
31 : 캠링 회전 제어부 33 : 피스톤
35 : 스프링 37 : 스프링 지지플레이트
39 : 스프링 조절 볼트 41 : 로드
33a,41a : 경사부 51 : 흡입측 측판
55 : 토출측 측판 61 : 토출구 니플

Claims (6)

  1. 펌프하우징과;
    내주면과 외주면이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피압축매체가 압축되는 압축실을 형성하며, 상기 펌프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캠링과;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베인이 출몰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캠링의 압축실에서 회전하며 상기 피압축매체를 압축하는 로터와;
    상기 캠링의 외주면에 접촉하며, 상기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상기 캠링을 회전시키고 상기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된 압력 미만이면 상기 캠링이 회전정지하도록 상기 캠링의 회전을 제어하는 캠링 회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링 회전 제어부는,
    상기 캠링의 외주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접촉하며, 상기 캠링의 회전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된 압력 미만이면 상기 캠링이 회전정지하도록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상기 캠링은 회전하여 상기 피스톤이 상기 스프링을 향해 이동하며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회전 제어부는 상기 스프링의 변위를 조절하는 스프링 조절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상기 스프링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압축매체의 토출 압력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상기 피스톤에 전달하는 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과 상기 로드가 상호 접촉하는 상기 피스톤과 상기 로드의 각 단부에는 각각 상반되는 경사를 갖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실로 피압축매체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캠링의 일측에 마련되는 흡입측 측판과;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피압축매체의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캠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측 측판과 대향 배치되는 토출측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KR1020080098984A 2008-10-09 2008-10-09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KR101004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984A KR101004867B1 (ko) 2008-10-09 2008-10-09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CN2009801403863A CN102187098A (zh) 2008-10-09 2009-10-08 可变排放量叶片泵
US13/123,528 US20110194962A1 (en) 2008-10-09 2009-10-08 Vane pump with variable discharge volume
PCT/KR2009/005758 WO2010041883A2 (ko) 2008-10-09 2009-10-08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984A KR101004867B1 (ko) 2008-10-09 2008-10-09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974A true KR20100039974A (ko) 2010-04-19
KR101004867B1 KR101004867B1 (ko) 2010-12-28

Family

ID=4210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984A KR101004867B1 (ko) 2008-10-09 2008-10-09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94962A1 (ko)
KR (1) KR101004867B1 (ko)
CN (1) CN102187098A (ko)
WO (1) WO201004188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9346A1 (en) * 2016-12-23 2018-06-28 Borgwarner Inc. Variable output pump
CN107143379A (zh) * 2017-07-10 2017-09-08 游涛 发动机
KR101976976B1 (ko) * 2018-01-05 2019-05-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2114A (en) * 1948-04-06 1952-09-30 Thompson Grinder Co Vane pump or motor
US3761206A (en) * 1971-02-02 1973-09-25 Shively Bros Inc Fluid device
JPH07293455A (ja) * 1994-04-28 1995-11-07 Toyooki Kogyo Co Ltd ベーンポンプ
JP3866410B2 (ja) * 1998-04-23 2007-01-10 ユニシア ジェーケーシー 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株式会社 可変容量形ポンプ
KR100432897B1 (ko) * 2000-10-11 2004-05-22 주식회사 만도 베인펌프
EP1540174B1 (en) * 2002-07-19 2011-06-15 Eaton Industrial Corporation Cam ring bearing for fuel delivery system
JP2008002304A (ja) * 2006-06-21 2008-01-10 Nachi Fujikoshi Corp 可変容量形ベーンポンプ
JP4499694B2 (ja) 2006-09-05 2010-07-07 ユニシア ジェーケーシー 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株式会社 可変容量形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867B1 (ko) 2010-12-28
WO2010041883A2 (ko) 2010-04-15
US20110194962A1 (en) 2011-08-11
WO2010041883A3 (ko) 2010-07-29
CN102187098A (zh)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42381A1 (en) Compressor pump structure and compressor
KR101995886B1 (ko) 사판식 압축기의 흡입맥동 저감장치
KR101004867B1 (ko)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KR20120090312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JP5920645B2 (ja) エネルギー回収アキシャルプランジャポンプ
KR20120065143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CA2106201A1 (en) Radial pump
KR101915968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176638B1 (ko) 내접형 볼 피스톤 펌프
KR101936099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886727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939217B1 (ko) 사판식 압축기
JP2008537056A (ja) ポンプ
KR101979027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20210117569A (ko) 사판식 압축기
KR20120040582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166291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866731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JP6210826B2 (ja) 斜板式ピストンポンプ・モータ
KR102058793B1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
CN108302001B (zh) 一种柱塞泵
KR101378020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2006341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210146716A (ko) 사판식 압축기
KR20200080550A (ko) 사판식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