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976B1 -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 Google Patents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976B1
KR101976976B1 KR1020180001946A KR20180001946A KR101976976B1 KR 101976976 B1 KR101976976 B1 KR 101976976B1 KR 1020180001946 A KR1020180001946 A KR 1020180001946A KR 20180001946 A KR20180001946 A KR 20180001946A KR 101976976 B1 KR101976976 B1 KR 101976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movable side
fluid
hous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헌술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1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4/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04C14/18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 F04C14/2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by changing the form of the inner or outer contour of the working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3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2/3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형 유체펌프는, 유체가 들어오는 유입구와,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 측으로 들어오는 유체를 상기 유출구 측으로 이송하는 회전이송부;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유체이송영역을 형성하며, 전체 면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가동측판; 및 상기 유출구 측의 유체를 분기하여 상기 가동측판을 가압하는 압력조절관;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관 내의 유체 압력에 따라 상기 가동측판이 이동하여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PRESSURE ADJUSTABLE TYPE FLUID PUMP}
이하의 설명은 압력조절형 유체펌프에 관한 것이다.
유체펌프는 압력작용에 의하여 액체나 기체와 같은 유체를 배관을 통해서 수송하거나, 저압의 용기 속에 있는 유체를 배관을 통하여 고압의 용기 속으로 압송하는 장치로서, 하수처리시설 등의 환경오염 방지시설, 원유나 천연가스 등의 유정(油井)시설, 화학산업용 유체이송 설비, 양수(揚水)시설, 자동제어용 유압펌프 등에 이르기까지 유체 이송을 위한 수단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체펌프는 구동부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기어, 날개(Blade), 또는 베인(Vane)과 같은 회전자(Rotor)를 통해 유입구 측의 유체를 유출구 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유체는 회전자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유속이 증가하여 압력이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펌프는 구동부와 회전자를 통해 상대적으로 저압인 영역에 위치한 유체를 고압인 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유체펌프는 회전자의 회전 속도에 의해 유출구 측의 유량을 조절하므로, 회전자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유출구 측의 유량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유출구 측의 압력이 상승하였다. 이 경우 유출구 측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압력조절용 릴리프 밸브를 구비하여 회전자에 의해 이송된 유체를 다시 유입구 측으로 되돌려 보내야 했다. 이렇게 되돌려 보내지는 유체에 대해 유체펌프의 회전자는 필요 이상의 동력을 소모한 것이 되므로, 종래의 유체펌프는 유출구 측의 압력을 유지함에 따라 큰 동력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선행기술에 해당하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03072호의 유체펌프는 유체 유도관(20)과 유량조절밸브(21)로 구성된 유량조절장치를 통해 케이싱(10) 내부의 유체를 유체 흡입구(10a) 측으로 역류시킴으로써, 토출구 측 유량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이 역시 로우터(1A, 1B)의 회전에 따라 이송된 유체를 유체 흡입구(10a) 측으로 되돌려 보낸다는 점에서, 특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동력을 소모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0307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 이상의 동력소모 없이 유출구 측의 압력을 조절 또는 유지할 수 있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형 유체펌프는, 유체가 들어오는 유입구와,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 측으로 들어오는 유체를 상기 유출구 측으로 이송하는 회전이송부;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유체이송영역을 형성하며, 전체 면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 사이에서 이동하는 가동측판; 상기 유출구 측의 유체를 분기하여 상기 가동측판을 가압하는 압력조절관; 및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측판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조절관 내의 유체 압력에 따라 상기 가동측판의 이동을 조절하는 가동측판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측판 조작부는,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입구 측 부분과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동측판의 유출구 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가동측판은 고정된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가동측판이 경사지게 이동됨으로써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형 유체펌프는, 유체가 들어오는 유입구와,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 측으로 들어오는 유체를 상기 유출구 측으로 이송하는 회전이송부;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유체이송영역을 형성하며, 전체 면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 사이에서 이동하는 가동측판; 상기 유출구 측의 유체를 분기하여 상기 가동측판을 가압하는 압력조절관; 및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측판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조절관 내의 유체 압력에 따라 상기 가동측판의 이동을 조절하는 가동측판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측판 조작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입구 측 부분과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출구 측 부분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입구 측 부분과 상기 유출구 측 부분을 독립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동측판이 경사지게 이동되거나 상기 가동측판의 전체 면적을 동일한 속도로 이동시켜 상기 가동측판이 평행 이동됨으로써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관의 일단은 상기 가동측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이송부 측의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압력조절관의 일단에 상기 가동측판 조작부가 결합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가동측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측판에 가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동측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이송부 측과 대향되는 방향의 하우징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입구 측 부분을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출구 측 부분을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는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지며,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계수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가동측판에 대한 가압력을 변경할 수 있는 조절나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Leaf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이송부는 회전자(Rotor), 베인(Vane), 기어, 및 회전나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형 유체펌프는 로터리 펌프, 내접 기어펌프, 외접 기어펌프, 트로코이드(Trochoid) 펌프, 제로터(Gerotor) 펌프, 베인 펌프, 및 나사 펌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형 유체펌프는, 추가적인 릴리프 밸브를 구성하지 않고도 유출구 측의 압력을 조절 또는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형 유체펌프는 가동측판이 이동함에 따라 압력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필요 이상의 유체가 회전이송부를 통해 유출구 측으로 이동하여 발생하는 동력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형 유체펌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형 유체펌프의 유체이송영역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압력조절형 유체펌프의 Y-Y'선을 따라 잘린 단면을 위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유체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측판 조작부가 이동한 경우의 압력조절형 유체펌프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공지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상기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특정 부분이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상기 특정 부분은 상기 특정 구성 외의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유체이송영역(A)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의 Y-Y’선을 따라 잘린 단면을 위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유체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측판 조작부(150)가 이동한 경우의 압력조절형 유체펌프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유체가 들어오는 유입구(111)와,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구(112)를 포함하는 하우징(110); 회전이송부(120); 가동측판(130); 및 압력조절관(140)을 포함한다.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로터리 펌프, 내접 기어펌프, 외접 기어펌프, 트로코이드(Trochoid) 펌프, 제로터(Gerotor) 펌프, 베인(Vane) 펌프, 및 나사 펌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펌프의 원리는 공지기술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외접 기어펌프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그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1)와 유출구(112)가 형성되고, 그 일측면은 나사 등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유입구(111)에서 들어온 유체가 유출구(112) 측으로 이동하는 통로인 유체이송영역(A)이 형성된다. 한편,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는 동일한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이송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유입구(111) 측으로 들어오는 유체를 유출구(112) 측으로 이송한다. 회전이송부(120)는 회전자(Rotor), 베인(Vane), 기어, 및 회전나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회전함에 따라 유체를 이송한다. 외접 기어펌프 방식을 사용하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에서 회전이송부(120)는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121)는 하우징(110) 내부의 유체이송영역(A)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구동기어(121)는 구동기어(121)의 회전축을 따라 연장 형성된 구동축(122)과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구동축(122)은 구동기어(121)와 관통 연결되어 모터 등의 외부 동력원에서 제공된 회전 동력을 구동기어(121)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축(122)은 일단부가 하우징 일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11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축(122)이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축(122)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와 하우징(110)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종동기어(123)는 유체이송영역(A)에서 구동기어(121)와 외접하여 구동기어(121)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구동기어(121)와 종동기어(123)는 접하는 부분이 유입구(111) 및 유출구(112)의 연장선과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종동기어(123)는 종동기어(123)의 회전축을 따라 연장 형성된 종동축(124)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종동축(124)은 종동기어(123)와 관통 연결되어 하우징(110)의 내벽에 일정 깊이만큼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종동기어(123)와 종동축(124) 사이에 베어링이 설치되면, 종동축(124)은 종동기어(123)가 회전하더라도 하우징(110)의 내벽에 고정된다. 이와 달리, 종동축(124)은 그 양단부가 하우징(110)의 내벽에 베어링과 함께 설치되어 종동기어(123)와 함께 하우징(110)에 대해 회전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이송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가 회전하면 그 톱니의 이동을 통해 유입구(111) 측의 유체를 유출구(112) 측으로 이송한다. 유출구(112) 측으로 이송된 유체는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압력(P)이 증가한다. 이때,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의 유체 이송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유체이송영역(A)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내벽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의 적어도 일부분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이송영역(A)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내벽과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의 측면 사이의 간격, 즉 하우징(110)의 내벽과 회전이송부(120)의 일측 사이의 간격은 10~50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간극을 갖출 수 있다.
한편, 가동측판(130)은 회전이송부(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하우징(110)과 함께 유체이송영역(A)을 형성하며, 전체 면적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10)의 일면과 회전이송부(120)의 일측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측판(130)은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의 일측면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이송영역(A)은 하우징(110)의 내벽과 가동측판(130)이 회전이송부(120)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된다.
이하에서 가동측판(130)을 기준으로 회전이송부(120) 측의 하우징 일면을 제1하우징면(113)이라고 정의하고, 가동측판(130)을 기준으로 회전이송부(120) 측과 대향되는 방향의 하우징 일면을 제2하우징면(114)이라고 정의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하우징면(113)은 가동측판(130)을 기준으로 하우징(110)의 우측(도면 기준) 부분을, 제2하우징면(114)은 가동측판(130)을 기준으로 하우징(110)의 좌측(도면 기준) 부분을 의미한다.
가동측판(130)은 다양한 모양을 가진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측판(130)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위치에서 가동측판(130)과 접촉하는 하우징(110)의 내벽이 형성하는 모양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동측판(130)은 구동축(122) 및 종동축(124)과 관통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유체이송영역(A)의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동측판(130)은 그 테두리와 구동축(122) 및 종동축(124)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에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가동측판(130)의 형상 및 설치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동측판(1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면(114)과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가동측판(130)은 그 일부만이 이동할 수도 있고, 전체부분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때 가동측판(130)의 이동된 부분은 구동기어(121) 및/또는 종동기어(123)와 1mm 이내로 이격될 수 있다.
가동측판(130)의 일부 면적만이 이동하는 경우, 가동측판(130)의 유출구(112) 측 단부는 하우징(110)에 고정되고, 가동측판(130)은 고정된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은 가동측판(130)의 유출구(112) 측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가동측판(130)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동측판(130)의 회전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110)은 가동측판(130)의 유입구(111) 측 단부와 인접한 부분이 경사지거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가동측판(130)의 이동에 따른 상기 유체이송영역(A)의 부피 변화를 이용하여 유출구(112) 측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가동측판(130)이 이동하면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와 가동측판(130)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C)가 형성되어 유체이송영역(A)의 부피는 증가한다. 이 틈새(C)를 통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유입구(111) 측으로 바이패스 유량이 발생한다. 즉, 유체이송영역(A)의 유체는 유입구(111) 측에서 유출구(112) 측까지 연속적으로 바이패스 되어 유출구(112) 측에 도달하는 유체의 양이 감소한다. 그 결과, 유출구(112) 측 압력은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동측판(130)을 포함하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유출구(112) 측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동측판(130)이 이동함에 따라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더라도 일부 유체를 유입구(111) 측으로 바이패스 시켜 유출구(112) 측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가동측판(130)은 유출구(112) 측에서 압력조절관(140)으로 유도된 유체의 가압력에 의해 이동한다.
압력조절관(140)은 유출구(112) 측의 유체를 분기하여 상기 가동측판(130)을 가압한다. 여기서 압력조절관(140)이 유체를 분기한다는 것은, 유체가 압력조절관(140)으로부터 분출되는 경우는 물론, 유체가 압력조절관(140) 내에서 특정 대상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압력조절관(14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하우징(110)의 유입구(111) 측 내벽과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110)의 유출구(112) 측 내벽과 연결되는 관형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압력조절관(140)의 일단은 가동측판(130)을 기준으로 회전이송부(120) 측의 하우징(11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조절관(140)에서 분기된 유체는 틈새(C)가 형성되도록 가동측판(130)을 제2하우징면(114)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압력조절관(140)은 외부에서 하우징(110) 내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 및 설치형태를 가지고 유체이송영역(A)과 연결되어 가동측판(130)을 가압할 수 있다.
유출구(112) 측의 유체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가동측판(130)을 가압할 수 있다. 먼저,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유출구(112) 측의 유체는 그 압력에 의해 일부가 압력조절관(14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압력조절관(140)으로 유입된 유체는 유출구(112) 측 압력에 의해 압력조절관(140)을 따라 이동하여 유체이송영역(A)으로 분기될 수 있다. 분기된 유체는 가동측판(130)을 가압하여 가동측판(1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가동측판(130)을 가압하는 유체의 압력은 유출구(112) 측의 압력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다.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압력조절관(140)에 유입된 유체를 유체이송영역(A)으로 분기하여 가동측판(130)을 가압함으로써, 릴리프 밸브와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유출구(112) 측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출구(112)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증가하면 압력조절관(140)에 유입된 유체의 압력도 증가하고, 그에 따라 압력조절관(140)에서 유체이송영역(A)으로 분기된 유체가 가동측판(130)을 가압하여 가동측판(130)은 틈새(C)가 더욱 커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출구(112) 측으로 이송되는 유체의 양이 줄어들어 유출구(112) 측의 압력은 감소한다. 그러면 압력조절관(140)에 유입된 유체의 압력이 감소하여 가동측판(130)에 대한 가압력이 감소하고, 가동측판(130)은 틈새(C)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자율적으로 유출구(112) 측의 압력을 조절하거나 설정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10)에 설치되며, 가동측판(130)과 접촉된 상태에서 압력조절관(140) 내의 유체 압력에 따라 가동측판(130)의 이동을 조절하는 가동측판 조작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압력조절관(140) 내의 유체 압력에 의해 이동하여 가동측판(130)에 압력을 전달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핀, 나사, 막대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압력조절관(140) 내의 유체 압력을 효율적으로 가동측판(13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압력조절관(14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일단이 가동측판(130)과 접촉하고, 타단은 압력조절관(140)의 일단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압력조절관(140)의 일단은 압력조절관(140)에서 유체이송영역(A)과 연결된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압력조절관(140) 내의 유체 압력에 의해 압력조절관(140) 일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동측판 조작부(150)가 가동측판(130)을 향해 이동하면, 가동측판 조작부(150)와 접촉된 가동측판(130)은 가동측판 조작부(150)의 이동 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가동측판(130)이 이동함에 따라, 유체이송영역(A)의 부피는 변화할 수 있다. 가동측판 조작부(150)가 가동측판(130)과 연결되는 경우, 가동측판(130)은 가동측판 조작부(15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왕복 이동과 연동하여 제2하우징면(114)과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동측판 조작부(150)에서 압력조절관(140)에 결합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그 단면적이 압력조절관(140)의 단면적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압력조절관(140)에서 유체이송영역(A)을 향해 흐르는 유체의 압력 대부분을 가동측판(130)에 전달할 수 있다. 압력조절관(140)의 내부에서 흐르는 유체 대부분이 가동측판 조작부(150)를 가압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압력조절관(140)에 유입된 유체가 가동측판(130)을 가압하지 않고 단순히 유입구(111) 측으로 분기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체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가동측판(130)의 유입구(111) 측 부분과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압력조절관(140)의 일단은 하우징(110)의 유입구(111) 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입구(111) 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의 중심을 가로질러 통과하는 경계선(X)을 중심으로 유입구(111) 측에 가까운 부분을 의미한다. 반대로 유출구(112) 측은 경계선(X)을 중심으로 유출구(112) 측에 가까운 부분을 의미한다.
유입구(111) 측에서 가동측판(130)과 접촉하는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가동측판(130)의 유입구(111) 측 부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틈새(C)는 유입구(111) 측에 주로 형성된다. 그 결과, 유체이송영역(A)에 위치하는 유체 중에서, 유입구(111) 측의 유체는 유출구(112) 측의 유체에 비해 더 많이 유입구(111) 측으로 바이패스 된다. 틈새(C)가 형성되기 전에, 유입구(111) 측의 유체는 유출구(112) 측의 유체보다 구동기어(121) 및 종동기어(123)의 회전에 의한 가압력을 적게 받?f다. 따라서,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유출구(112) 측의 압력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유입구(111) 측에서 가동측판(130)과 접촉하는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의 동력에 의해 이미 압력이 상승한 유체가 유입구(111) 측으로 바이패스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가동측판(130)이 이동함에 따라 압력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동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효과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가 가동측판 조작부(150)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일단이 하우징(110)의 유입구(111) 측 부분에 형성된 압력조절관(140)에서 분기된 유체의 압력만으로 발휘될 수 있다.
또한,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2개 이상이 구비되어, 일부는 유입구(111) 측에서 가동측판(130)과 접촉하고, 나머지는 유출구(112) 측에서 가동측판(130)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가동측판 조작부(150)는 가동측판(130)의 유입구(111) 측 부분과 유출구(112) 측 부분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가동측판(130)의 전체면적을 동일한 속도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하우징(110)의 일면과 가동측판(130)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측판(130)에 가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가동측판(130)을 기준으로 회전이송부(120) 측과 대향되는 방향의 하우징(110) 일면, 즉 제2하우징면(114)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 경우, 탄성부재(160)는 유체이송영역(A)과 분리되어 있어 유체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탄성부재(160)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압력조절관(140) 내의 유체 압력에 의해 제2하우징면(114) 측으로 이동한 가동측판(130)을 원래 위치로 돌아가도록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60)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에서 배출되는 유량의 조절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가동측판(130)이 틈새(C)를 형성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가동측판(130)이 회전이송부(120)의 회전반경 안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탄성부재(160)의 가압력에 불구하고 가동측판(130)의 이동을 방지하는 돌기 내지 단차부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가동측판(130)의 유입구(111) 측 부분을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161)와, 가동측판(130)의 유출구(112) 측 부분을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61)는 가동측판(130)의 유입구(111) 측 부분을 가압하고, 제2탄성부재(162)는 가동측판(130)의 유출구(112) 측 부분을 가압한다. 또한, 제1탄성부재(161) 및 제2탄성부재(162)는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탄성부재(161)의 탄성계수는 제2탄성부재(162)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탄성부재(162)는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유출구(112) 측의 유체에 의해 가동측판(130)의 유출구(112) 측 부분이 이동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유출구(112) 측에 틈새(C)가 형성되어 동력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탄성부재(161) 및 제2탄성부재(16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가동측판(130)에 대한 가압력을 변경할 수 있는 조절나사가 결합될 수 있다. 조절나사는 제2하우징면(114)을 관통하여 탄성부재(160)의 일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나사는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탄성부재(160)의 압축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가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조절나사는 회전함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외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에서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절나사의 일단부에 손잡이 기능을 하는 조절노브가 형성될 수 있다.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조절나사를 통해 탄성부재(160)를 압축시키거나 이완시킴으로써, 제1탄성부재(161) 및/또는 제2탄성부재(162)의 가동측판(130)에 대한 가압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유출구(112) 측에서 유지되는 압력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탄성부재(161)의 가동측판(130)에 대한 가압력이 증가하면, 가동측판(130)의 유입구(111) 측 부분은 압력조절관(140) 내의 유체 압력이 이전보다 큰 경우여야 제2하우징면(114)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유출구(112) 측에서 유지되는 압력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가동측판(130)의 이동에 따라 유출구(112) 측의 압력이 유지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또한, 상기한 조절나사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탄성부재(160)의 탄성계수를 변경함으로써, 유출구(112) 측에서 유지되는 압력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탄성부재(16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판 스프링(Leaf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판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에 비해 탄성 변형 길이가 짧다. 따라서, 탄성부재(160)로 판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코일 스프링만을 구성하는 것보다 제2하우징면(114)과 가동측판(130) 사이의 공간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불필요한 공간낭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엔진과 연동하여 사용되는 경우 특정 값의 압력(라인 압력)을 생성하는 데에 필요한 양보다 많은 유체가 유출구(112) 측으로 이송되어 동력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자동변속기 유압 기어펌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회전이송부(120)가 자동차의 엔진과 연결되어 연동하며, 엔진의 공회전 상태를 기준으로 공칭 용량이 설계된다. 자동차가 주행하는 경우 엔진은 공회전하는 경우보다 빠른 회전속도로 가동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 회전이송부(120)의 회전속도도 증가하여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항상 공칭 용량 이상의 유체를 유출구(112) 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 결과 유출구(112) 측의 압력은 라인 압력보다 높아진다.
유출구(112) 측의 압력이 증가하면 더 많은 양의 유체가 압력조절관(140)으로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압력조절관(140) 내의 유체가 가동측판(130)을 가압하는 힘이 증가한다. 따라서, 가동측판(130)은 틈새(C)가 커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바이패스 되는 유량에 의해 유출구(112) 측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유출구(112) 측의 압력이 라인 압력과 동일하게 되도록 조절나사로 탄성부재(160)의 압축 길이를 조절하거나 탄성부재(160)의 탄성계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후 가동측판(130)은 유출구(112) 측의 압력이 라인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이동하게 되므로 유출구(112) 측의 압력을 라인 압력의 크기로 유지할 수 있다. 유출구(112) 측의 압력을 라인 압력의 크기로 유지시키면,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필요 이상의 압력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동력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압력조절을 위해 가동측판(130)의 유입구(111) 측 부분이 이동한다면, 유입구(111) 측의 유체가 유출구(112) 측의 유체에 비해 더 많이 유입구(111) 측으로 바이패스 된다. 이러한 압력조절형 유체펌프(100)는 회전이송부(120)의 회전에 의한 가압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은 유체를 주로 유입구(111) 측에 되돌려 보냄으로써 동력손실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함께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분산되어 실시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실시예 각각에서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도 서로 분산되어 실시되거나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110: 하우징
111: 유입구 112: 유출구
120: 회전이송부 121: 구동기어
122: 구동축 123: 종동기어
124: 종동축 130: 가동측판
140: 압력조절관 150: 가동측판 조작부
160: 탄성부재 C: 틈새
X: 경계선

Claims (13)

  1. 유체가 들어오는 유입구와,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 측으로 들어오는 유체를 상기 유출구 측으로 이송하는 회전이송부;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유체이송영역을 형성하며, 전체 면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 사이에서 이동하는 가동측판;
    상기 유출구 측의 유체를 분기하여 상기 가동측판을 가압하는 압력조절관; 및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측판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조절관 내의 유체 압력에 따라 상기 가동측판의 이동을 조절하는 가동측판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측판 조작부는,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입구 측 부분과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동측판의 유출구 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가동측판은 고정된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가동측판이 경사지게 이동됨으로써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2. 유체가 들어오는 유입구와,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 측으로 들어오는 유체를 상기 유출구 측으로 이송하는 회전이송부;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유체이송영역을 형성하며, 전체 면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 사이에서 이동하는 가동측판;
    상기 유출구 측의 유체를 분기하여 상기 가동측판을 가압하는 압력조절관; 및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측판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조절관 내의 유체 압력에 따라 상기 가동측판의 이동을 조절하는 가동측판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측판 조작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입구 측 부분과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출구 측 부분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입구 측 부분과 상기 유출구 측 부분을 독립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동측판이 경사지게 이동되거나 상기 가동측판의 전체 면적을 동일한 속도로 이동시켜 상기 가동측판이 평행 이동됨으로써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관의 일단은 상기 가동측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이송부 측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관의 일단에 상기 가동측판 조작부가 결합되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가동측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측판에 가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동측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이송부 측과 대향되는 방향의 하우징 일면에 설치되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입구 측 부분을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가동측판의 상기 유출구 측 부분을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는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지며,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계수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가동측판에 대한 가압력을 변경할 수 있는 조절나사가 결합된,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Leaf Spring)을 포함하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송부는 회전자(Rotor), 베인(Vane), 기어, 및 회전나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형 유체펌프는 로터리 펌프, 내접 기어펌프, 외접 기어펌프, 트로코이드(Trochoid) 펌프, 제로터(Gerotor) 펌프, 베인 펌프, 및 나사 펌프 중 어느 하나인,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KR1020180001946A 2018-01-05 2018-01-05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KR101976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946A KR101976976B1 (ko) 2018-01-05 2018-01-05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946A KR101976976B1 (ko) 2018-01-05 2018-01-05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976B1 true KR101976976B1 (ko) 2019-05-09

Family

ID=66545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946A KR101976976B1 (ko) 2018-01-05 2018-01-05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9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842Y2 (ja) * 1989-06-15 1994-12-1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出力調整式エンジン用オイルポンプ装置
KR100303072B1 (ko) 1998-11-02 2001-11-22 김천경 용적형유체펌프의유량조절장치
JP2002106479A (ja) * 2000-09-29 2002-04-10 Tokico Ltd 可変容量ギヤポンプ
JP2005069138A (ja) * 2003-08-26 2005-03-17 Toyota Motor Corp ギヤポンプ
KR101004867B1 (ko) * 2008-10-09 2010-12-28 현경열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842Y2 (ja) * 1989-06-15 1994-12-1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出力調整式エンジン用オイルポンプ装置
KR100303072B1 (ko) 1998-11-02 2001-11-22 김천경 용적형유체펌프의유량조절장치
JP2002106479A (ja) * 2000-09-29 2002-04-10 Tokico Ltd 可変容量ギヤポンプ
JP2005069138A (ja) * 2003-08-26 2005-03-17 Toyota Motor Corp ギヤポンプ
KR101004867B1 (ko) * 2008-10-09 2010-12-28 현경열 가변 토출량 베인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7486B2 (en) Variable capacity vane pump with dual control chambers
EP0578390A1 (en) An integrated electric motor-driven inline hydraulic apparatus
US8297943B2 (en) Pump control using overpressure source
US7950910B2 (en) Piston cartridge
CN101341339B (zh) 双调整可变偏心率叶轮泵
AU2014240308A1 (en) Eccentric screw pump and use of an eccentric screw pump
CN100460672C (zh) 输送润滑油的泵系统
EP1061426B1 (en) Pumping system for the injection of measured qualities of fluid into a fluid stream
KR101976976B1 (ko) 압력조절형 유체펌프
CA2602964C (en) Fluid recovery system and method
KR102115588B1 (ko) 유량제어형 유체펌프
CN107002672A (zh) 可变容量式叶片泵
KR101976975B1 (ko) 가변용량형 유체펌프
EP0111619A1 (en) Spherical gear pump
US9063545B2 (en) Pressure-regulating arrangement with a pressure-regulating valve and hydraulic circuit therefor
US20200095997A1 (en) Brushless motor integrated pump
US20110225962A1 (en) Variable Speed Hydraulic Pump Apparatus and Method
US4334832A (en) Constant output fluid pump
GB2126657A (en) Hydrostatic drive
WO2019102486A1 (en) Variable delivery oil pump
RU2073797C1 (ru) Электроприводной насосный агрегат
RU2208165C1 (ru) 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ротора проходческого щита
US20150204320A1 (en) Diaphragm pump
US3551077A (en) Constant delivery pump
EP1156207A1 (en) Pump for feeding fuel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