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889A -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889A
KR20100039889A KR1020107003715A KR20107003715A KR20100039889A KR 20100039889 A KR20100039889 A KR 20100039889A KR 1020107003715 A KR1020107003715 A KR 1020107003715A KR 20107003715 A KR20107003715 A KR 20107003715A KR 20100039889 A KR20100039889 A KR 20100039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biometric
similar
information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4051B1 (ko
Inventor
준 이케가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9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50Maintenance of biometric data or enrol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미리 이용자로서 등록되어 있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생체 정보이며, 본인 인증 시에, 접수한 생체 정보의 비교 대상으로서 참조되는 등록 생체 정보와 본인 인증 방식을 기억하고, 접수된 생체 정보와 등록 생체 정보를 대조하며, 대조에 기초하여 접수된 생체 정보가, 등록 생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유사 생체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그 접수된 생체 정보를 유사 판정용으로 대조되는 생체 정보인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기억하고, 소정의 시기에 있어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등록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중에,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중에,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가 있었던 경우에는,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에 관한 정보인 유사 정보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PROGRAM}
본 발명은,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생체 인증에 있어서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바이오메트릭 데이터 중에서, 입력된 ID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바이오메트릭 데이터를 특정하고, 그 ID와 함께 대조용으로 입력된 바이오메트릭 데이터와, 특정된 바이오메트릭 데이터를 대조하여 개인을 특정하는 「1:1 인증 방식」과, ID를 입력하지 않고서, 대조용으로 입력된 바이오메트릭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바이오메트릭 데이터를 대조하여 개인을 특정하는 「1:N 대조 방식」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타인과의 대조 에러를 배제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1:1 인증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한 경우, ID를 입력하는 수고가 없는 「1:N 대조 방식」이 요망되는 경향이 있다. 통상은, 시스템으로서는 「1:1 인증 방식」과 「1:N 대조 방식」의 2가지 방식을 제공하여, 「1:1 인증 방식」을 행하는 사용자와, 「1:N 대조 방식」을 행하는 사용자를 한정하여 각각의 모집단을 작성하고, 사용자마다 어느 방식으로 인증할지를 결정하여 생체 인증 시스템을 운용하게 된다.
그러나, 「1:N 대조 방식」에서는, 복수의 등록자와 대조를 행함으로써, 타인을 잘못 인증해 버릴 가능성이 증가한다. 즉, 생체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등록이 완료된 참조용 바이오메트릭 정보(템플릿 데이터) 중에, 본인과 유사한 템플릿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본인의 바이오메트릭 정보에 가까운 일치도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통상은, 가장 일치도가 높은 바이오메트릭 정보를 본인으로서 특정하지만, 예컨대, 지문에서는, 등록 시에 입력한 지문의 상태(입력 시에 센서에 놓은 손가락의 각도나 손가락 거칠기 상태 등)와, 대조 시에 입력되는 지문의 상태가 상이함으로써, 본인의 등록 정보보다 유사한 타인의 등록 정보 쪽이 높은 일치도가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 타인을 잘못 인증해 버릴 가능성이 증가한다.
또한, 지문 이외의 바이오메트릭 정보(예컨대, 손바닥의 정맥 패턴이나, 안구의 홍채 등)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지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등록 시에 입력한 바이오메트릭 데이터 정보의 상태와, 대조 시에 입력하는 바이오메트릭 데이터 정보의 상태가 변함으로써, 유사한 데이터와의 대조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타인을 잘못 인증해 버릴 가능성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유사한 데이터와의 대조 에러가 발생하여, 타인을 잘못 인증해 버릴 가능성을 경감하기 위해서, 예컨대,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서는, 얼굴 화상이나 지문 화상 등의 바이오메트릭스를 이용한 바이오메트릭 인증 장치에 있어서, 바이오메트릭 데이터 등록 시에, 이미 데이터베이스 상에 존재하는 바이오메트릭 데이터와 비교 대조를 행하여, 유사 요인을 추출하여 가시 표시하며, 유사 상태로부터 대조 임계값을 학습하여 조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서는, 지문 특징 데이터 등록 시에, 이미 데이터베이스 상에 존재하는 지문 특징 데이터와 비교 대조를 행하여, 데이터베이스 상에, 등록을 위해서 입력된 지문 특징 데이터와 근사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입력된 지문 특징 데이터를 근사 데이터베이스에 별도로 저장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유사한 바이오메트릭 정보가 데이터베이스 상에 혼재하는 일은 없어지고, 또한, 유사한 바이오메트릭 정보가 있으면 대조 임계값을 올리기 때문에, 타인과의 대조 에러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허문헌1:일본특허공개제2005-63173호공보 특허문헌2:일본특허공개제2000-215313호공보 특허문헌3:일본특허공개제2000-123178호공보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바이오메트릭 정보의 등록 시에 유사 데이터가 없는 것을 확인한 후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면,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 타인과의 대조 에러는 회피할 수 있으나, 등록 바이오메트릭 데이터가 방대하면, 등록 시의 비교 대조 처리에 시간이 걸려 버리기 때문에,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바이오메트릭 정보로서 지문 데이터를 이용하는 지문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1만명이 10손가락의 지문 데이터를 등록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신규 사용자가 10손가락의 지문 데이터를 등록하려고 한 경우, 유사 지문의 유무를 모두와 비교 대조하면 100만회의 비교 처리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가령, 1회의 대조를 0.1 ms(밀리초)로 고속으로 처리하는 대조 엔진을 탑재하고 있었다고 해도, 100만회의 비교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100초(1분 40초)가 필요하여, 등록 완료까지의 응답 지연에 의한 사용자의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등록인수 및 대조 엔진의 처리 속도에 따라 필요 처리 시간은 상이하지만, 어떻든간에, 응답 지연은 피할 수 없다. 또한, 응답 지연을 회피하기 위해서, 보다 고성능의 대조 엔진을 탑재하면, 시스템 전체의 설치 비용이 높아져 버린다.
또한, 등록 시에 전체 등록 데이터와 유사 비교를 행하여, 유사가 있으면 등록을 거부해 버리면, 본래, 유사 데이터의 유무에 관계없이 안전하게 본인 인증을 행할 수 있는 「1:1 인증 방식」의 모집단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도, 등록이 거부되어 버리게 된다.
또한, 등록 시에 바이오메트릭 정보의 유사 상태를 체크했다고 해도, 등록 시의 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계절에 의한 상태의 변화, 성장에 의한 변화에 의해, 자신의 등록 바이오메트릭 정보보다 타인의 등록 바이오메트릭 정보 쪽이, 유사도가 올라가 버림으로써, 등록 후의 시스템 운용 시에 있어서, 바이오메트릭 정보의 등록이 허가된 사용자가, 타인으로서 잘못 대조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바이오메트릭 정보의 등록 시에 있어서도, 바이오메트릭 정보의 등록 후의 시스템 운용 시에 있어서도,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생체 정보를 접수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접수하여 본인 인증을 행하는 인증 서버와,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한 상기 본인 인증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로 구성되는 생체 인증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증 서버는, 미리 이용자로서 등록되어 있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생체 정보이며, 상기 본인 인증 시에, 접수한 상기 생체 정보의 비교 대상으로서 참조되는 등록 생체 정보와 본인 인증 방식을 기억하는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과, 접수한 상기 생체 정보와, 상기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를 대조하는 생체 정보 대조 수단과, 상기 대조에 기초하여, 접수한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유사 생체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그 접수한 생체 정보를 유사 판정용으로 대조되는 생체 정보인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기억하는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과, 소정의 시기(時機)에 있어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상기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중에, 상기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수단과,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중에, 상기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가 있었던 경우에는, 상기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에 관한 정보인 유사 정보를 출력하는 유사 정보 출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상기 인증 서버가, 이용자로서 등록되는 것을 희망하는 등록 희망자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접수할 때에,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은, 상기 등록 희망자로부터 접수한 생체 정보를, 상기 본인 인증 방식과 함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기억하고, 상기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수단은, 소정의 시기에 있어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희망자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상기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새롭게 본인 인증을 위한 상기 생체 정보를 접수할 때에,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은,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새롭게 접수한 생체 정보를, 상기 본인 인증 방식과 함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기억하고, 상기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수단은, 소정의 시기에 있어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상기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에 있어서, 상기 본인 인증에 이용되는 방식이 1:1 인증 방식인 등록 완료된 이용자와, 상기 본인 인증에 이용되는 방식이 1:N 대조 방식인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 분리될 때에, 상기 인증 서버는, 1:N 대조 방식에 의해 본인 인증을 행하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정보를 기억하는 1:N 이용자 정보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수단은, 상기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 중에서, 상기 1:N 이용자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1:N 대조 방식에 의해 본인 인증을 행하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와,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희망자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를, 즉시 비교하여, 상기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소정의 시기에 있어서, 그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상기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모든 상기 등록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상기 인증 서버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로부터 상기 등록 생체 정보로서 추출되는 데이터인 등록 데이터의 형식과, 상기 생체 정보로부터 상기 등록 생체 정보와 대조하기 위해서 추출되는 데이터인 대조 데이터의 형식이 상이할 때에,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상기 인증 서버는, 접수한 상기 등록 희망자의 상기 생체 정보로부터, 상기 등록 데이터와 상기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데이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등록 데이터를 상기 등록 생체 정보로서 상기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대조 데이터를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추출 데이터 저장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수단은,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의 상기 대조 데이터를, 유사 판정 처리가 종료된 시점에서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수단은, 상기 소정의 시기로서, 상기 관리 장치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시각에 상기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수단은, 상기 소정의 시기로서, 상기 관리 장치의 관리자에 의해 현재 지시되는 시점에 상기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새롭게 본인 인증을 위해서 접수한 생체 정보를,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기억하는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기억하는 시간 설정 기억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상기 인증 서버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로서 입력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화상 처리에 의해 상기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로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등록 시에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및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본인 인증 시에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화상 처리에 의해 상기 대조 데이터를 추출한 과정에 있어서 취득된 화상 처리 파라미터의 이력을 기억하는 이력 기억 수단과, 본인 인증을 위해서,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대조 데이터로서의 신규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취득되는 화상 처리 파라미터인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가,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화상 처리 파라미터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상기 신규 대조 데이터를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변화 확인 저장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은,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등록 시에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및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본인 인증 시에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화상 처리에 의해 상기 대조 데이터를 추출한 과정에 있어서 취득되는 화상 특징 정보수의 이력을 기억하고, 상기 변화 확인 저장 수단은, 본인 인증을 위해서,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대조 데이터로서의 신규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취득되는 화상 특징 정보수인 신규 화상 특징 정보수가,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화상 특징 정보수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상기 신규 대조 데이터를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은,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본인 인증되었을 때에, 대조 판정의 지표로서 산출된 판정값의 이력을 기억하고, 상기 변화 확인 저장 수단은, 본인 인증을 위해서,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판정값인 신규 판정값이,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판정값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상기 신규 대조 데이터를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로서 혈관의 화상 정보인 혈관 화상 정보를 취득하고, 그 혈관 화상 정보로부터 화상 처리에 의해 상기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로서,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은,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등록 시에 입력한 혈관 화상 정보로부터, 및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본인 인증 시에 입력한 혈관 화상 정보로부터, 그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혈관의 굵기의 이력을 기억하고, 상기 변화 확인 저장 수단은, 본인 인증을 위해서,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혈관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대조 데이터로서의 신규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현재 취득되는 그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혈관의 굵기가,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그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상기 혈관의 굵기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상기 신규 대조 데이터를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상기 인증 서버는, 기온을 취득하는 기온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은, 상기 기온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등록 시에 있어서의 기온, 및 상기 기온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본인 인증 시에 있어서의 기온의 이력을 기억하며, 상기 변화 확인 저장 수단은, 본인 인증을 위해서,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상기 생체 정보로부터 상기 대조 데이터로서의 신규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기온 취득 수단에 의해 현재 취득되는 기온이,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기온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상기 신규 대조 데이터를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사 정보 출력 수단은, 상기 유사 정보로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정된 등록 생체 정보에 관한 정보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의 변경 의뢰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정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가 행한 처리의 내용을, 그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의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이 소유하는 단말, 또는, 상기 관리 장치의 관리자가 소유하는 단말에 메일로 비동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사 정보 출력 수단은, 상기 유사 정보로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유사한 등록 생체 정보가 존재한다고 하는 판정 결과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의 변경 의뢰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정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가 행한 처리의 내용을, 그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의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사 정보 출력 수단은, 상기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이, 상기 1:N 이용자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1:N 대조 방식에 의해 본인 인증을 행한다고 되어 있는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인 경우에는, 그 인물로부터 새롭게 본인 인증을 위한 상기 생체 정보를 취득했다고 해도, 본인 인증하지 않는다고 하는 판정 결과를 그 인물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생체 정보에 관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암호화하여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시스템 내에서 통신되는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암호화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 정보를 접수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접수하여 본인 인증을 행하는 인증 서버와,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한 상기 본인 인증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로 구성되는 생체 인증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생체 인증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인증 서버는, 미리 이용자로서 등록되어 있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생체 정보이며, 상기 본인 인증 시에, 접수한 상기 생체 정보의 비교 대상으로서 참조되는 등록 생체 정보와 본인 인증 방식을 제1 기억부에 기억하는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절차와, 접수한 상기 생체 정보와, 상기 제1 기억부가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를 대조하는 생체 정보 대조 절차와, 상기 대조에 기초하여, 접수한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제1 기억부가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유사 생체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그 접수한 생체 정보를 유사 판정용으로 대조되는 생체 정보인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제2 기억부에 기억하는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절차와, 소정의 시기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가 기억하는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상기 제1 기억부가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중에, 상기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절차와, 상기 제2 기억부가 기억하는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중에, 상기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절차에 의해, 상기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가 있었던 경우에는, 상기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에 관한 정보인 유사 정보를 출력하는 유사 정보 출력 절차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수한 생체 정보와 등록 생체 정보의 비교 대조를, 즉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인증 서버의 처리 부하가 적어지는 시간대에 통합하여 실행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 대조 에러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것을 시스템 관리자에게 통지하거나,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인물에게 생체 정보의 재등록 등을 촉구하는 통지를 함으로써,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배제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등록 희망자로부터 접수한 생체 정보와 등록 생체 정보의 비교 대조를, 즉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그 등록 희망자를 가등록 이용자로서 「1:1 인증 방식」에 의한 본인 인증만을 실행하도록 설정해 두어, 소정의 시기에 있어서 유사 판정 처리가 통합하여 행해지기까지의 기간은,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배제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새롭게 접수한 생체 정보가, 등록 시의 상태로부터 변동했기 때문에 타인의 등록 생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정되는지의 여부를, 예컨대, 인증 서버의 처리 부하가 적어지는 시간대에 통합하여 실행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등록 희망자로부터 접수한 생체 정보가, 적어도 「1:N 대조 방식」으로 본인 인증되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등록 생체 정보와 유사한지의 여부를 즉시 판정하여,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배제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등록 데이터와 대조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상이한 것으로 함으로써, 등록 데이터의 도난에 의한 피해를 경감시키는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도 유사 판정 처리를 행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조 데이터의 도난에 의한 피해를 회피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관리 장치의 관리자가, 인증 서버에 있어서의 부하 상태의 경향을 파악한 후에, 인증 서버의 부하가 경감할 가능성이 높은 시기를 소정의 시기로서 확인하여 설정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관리 장치의 관리자가, 인증 서버에 있어서의 부하 상태를 감시한 후에, 인증 서버의 부하가 경감한 시점을 소정의 시기로서 확인하여 지정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생체 정보가 변화하기 쉬운 계절(시기)을,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새롭게 본인 인증을 위해서 접수한 생체 정보의 유사 판정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으로서 설정함으로써,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효율적으로 배제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 정보가 변동한 것을, 구체적인 화상 처리 파라미터의 변동에 의해 판정하여,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효율적으로 배제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 정보가 변동한 것을, 구체적인 화상 특징 정보수의 변동에 의해 판정하여,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효율적으로 배제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 정보가 변동한 것을, 예컨대, 대조 판정을 행하기 위해서 산출되는 일치 스코어나, 최종적인 대조 판정 결과로서 산출되는 일치율 등, 구체적인 판정값의 변동에 의해 판정하여,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효율적으로 배제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손바닥의 정맥 인증을 행하는 경우에, 생체 정보가 변동한 것을, 구체적인 혈관의 굵기의 변동에 의해 판정하여,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효율적으로 배제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손바닥의 정맥 인증을 행하는 경우에, 혈관의 굵기의 변동이 발생하는 주된 요인인 기온의 변화를 유사 판정 처리의 타이밍의 시기로서 설정하여,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효율적으로 배제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이나, 관리 장치의 관리자에게,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에게,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통지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인물에 의해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 정보 및 생체 정보에 관한 정보가 방수(傍受)되어도 악용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 내에서 통신되는 정보가 방수되어도 악용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의 개요 및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인증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의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의 가등록 정보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의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서의 인증 서버의 가등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서의 인증 서버의 정식 등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의 개요 및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2에서의 인증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에서의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2에서의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2에서의 가등록 정보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 2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은 실시예 2에서의 인증 서버의 가등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b는 실시예 2에서의 인증 서버의 가등록 처리 및 정식 등록 처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예 3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예 4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 5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예 6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예 7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예 8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예 9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용어의 설명]
먼저 최초로,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주요한 용어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1:1 인증 방식」이란, 복수의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생체 정보 중에서, 입력된 ID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특정하고, 그 ID와 함께 대조용으로 입력된 생체 정보와, 특정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개인을 특정하는 생체 인증의 방식이고, 또한, 「1:N 대조 방식」이란, ID를 입력하지 않고서, 대조용으로 입력된 생체 정보와, 복수의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개인을 특정하는 생체 인증의 방식이다.
또한, 「등록 완료된 이용자」란, 미리 이용자로서 등록되어 있는 인물을 말하고, 「등록 생체 정보」란,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생체 정보이며, 본인 인증 시에, 접수한 생체 정보의 비교 대상으로서 참조되는 생체 정보를 말하며, 「등록 희망자」란, 생체 인증 시스템에 이용자로서 등록되는 것을 희망하는 인물을 말한다. 또한, 「등록 데이터」란, 생체 정보로부터 「등록 생체 정보」로서 추출되는 데이터를 말하고, 「대조 데이터」란, 생체 정보로부터 「등록 생체 정보」와 대조하기 위해서 추출되는 데이터를 말한다. 또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란, 접수한 생체 정보로부터 추출된 「대조 데이터」를, 「등록 생체 정보」로서의 「등록 데이터」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유사 생체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데이터를 말한다.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의 개요 및 특징]
계속해서, 도 1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의 주된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의 개요 및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은, 생체 정보를 접수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생체 정보를 접수하여 본인 인증을 행하는 인증 서버와, 인증 서버에 의한 본인 인증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개요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인증 서버는, 회사 내에 설치되는 업무용 서버에 포함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장치는, 사원이 소유하는 단말이며, 사원 각각이, 자신이 소유하는 단말로부터 업무용 서버에 액세스하고, 관리 장치는, 업무용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조작하는 장치인 것이 상정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3가지 포인트를 전제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첫번째 포인트는, 「생체 정보」로서 「지문 정보」를 이용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인 것이고, 두번째 포인트는, 인증 서버에 있어서, 본인 인증에 이용되는 방식이 「1:1 인증 방식」인 등록 완료된 이용자와, 본인 인증에 이용되는 방식이 「1:N 대조 방식」인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 분리되는 생체 인증 시스템인 것이며, 세번째 포인트는, 클라이언트 장치에 있어서, 생체 정보로부터 등록 생체 정보로서 추출되는 「등록 데이터」의 형식과, 생체 정보로부터 「등록 데이터」와 대조하기 위해서 추출되는 「대조 데이터」의 형식이 상이한 생체 인증 시스템인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이 주된 특징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는, 등록 희망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접수한 경우에, 접수한 등록 희망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등록 데이터와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여, 인증 서버에 송신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록 희망자 ID: Suzuki」로부터 생체 정보로서 지문 화상을 접수한 경우에, 실시예 1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는, 그 지문 화상으로부터 「등록 데이터 S」와 「대조 데이터 S」를 추출하여, 이들을 인증 서버에 송신한다.
또, 등록 데이터와 대조 데이터의 양쪽에 있어서, 지문 화상으로부터, 중심점이나 끝점이나 분기점 등의 화상 특징량을 추출하고, 화상 특징량 정보로서, 중심점에 대한 끝점이나 분기점의 위치 관계를 바이너리 데이터로서 추출하지만, 등록 데이터는, 복수 회, 손가락을 지문 센서에 두어 얻어진 복수 개의 지문 화상으로부터 공통적으로 추출된 화상 특징량으로 이루어지는 정밀도가 높은 데이터이고, 대조 데이터는, 1회만 손가락을 지문 센서에 두어 얻어진 지문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화상 특징량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이다.
한편,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는, 등록 생체 정보를 기억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록 완료된 이용자」를 고유하게 특정할 수 있는 「ID: Tanaka」에 대응시켜, 「등록 데이터 T」를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에서 기억한다. 또한, 「ID: Tanaka」의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메일 어드레스인 「어드레스 T」도 기억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는, 「1:N 대조 방식」에 의해 본인 인증을 행하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정보와, 「1:1 인증 방식」에 의해 본인 인증을 행하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정보를 기억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D: Tanaka」의 「등록 완료된 이용자」는, 「1:1 인증 방식」만의 허가자이고, 「ID: Yamada」의 「등록 완료된 이용자」는, 「1:N 대조 방식」의 허가자인 것을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에서 기억한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등록 데이터와 대조 데이터를 수신하면, 등록 데이터를 등록 생체 정보로서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에 저장하고, 대조 데이터를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의 「항목: 대조 데이터」에 저장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한 「등록 데이터 S」와 「대조 데이터 S」를 각각 「ID: Suzuki」에 대응하는 「항목: 등록 데이터」와 「항목: 대조 데이터」에 저장한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는,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가 기억하는 등록 생체 정보(등록 데이터) 중에서, 「1:N 대조 방식」에 의해 본인 인증을 행하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에 대응하는 등록 생체 정보와, 등록 희망자의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저장된 「대조 데이터」를, 즉시 비교하여,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컨대, 즉시, 「대조 데이터 S」와, 「1:N 대조 방식」인 등록 데이터와의 유사 대조 처리를 실행하여, 유사 생체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록 희망자 ID: Suzuki」를 가등록 이용자로서 가등록 정보 기억부에 저장한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대조 데이터 S」가 「1:N 대조 방식」인 등록 데이터에 대하여, 유사 생체 정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1:N 대조 방식」은 허가하지 않고, 「1:1 인증 방식」만의 허가자라고 판단하고, 유사 생체 정보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1:N 대조 방식」을 허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는, 관리 장치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시각에 있어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대조 데이터)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가 기억하는 모든 등록 생체 정보(등록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리 장치의 관리자에 의한 판단으로부터 설정된, 시스템의 부하가 적은 심야대에 있어서, 모든 등록 데이터와, 가등록 이용자 각각의 대조 데이터와의 유사 대조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는,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가 기억하는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의 대조 데이터를, 유사 판정 처리가 종료된 시점에서 폐기한다(도 1 참조).
그리고,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는, 유사 대조의 판정 결과로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대조 데이터)와 유사하다고 판정된 등록 생체 정보(등록 데이터)에 관한 정보나, 생체 정보의 재등록 의뢰나, 유사 판정 생체 정보라고 판정됨으로써 인증 서버가 행한 처리의 내용을,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대조 데이터)가 추출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이 소유하는 단말, 및 관리 장치의 관리자가 소유하는 단말에 메일로 통지한다. 여기서, 인증 서버가 행한 처리의 내용이란, 대조 데이터가 유사 생체 정보이기 때문에, 그 대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등록 희망자가 새롭게 생체 정보를 입력할 때까지는, 「1:1 인증 방식」으로밖에 인증하지 않는다고 하는 처리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 장치의 관리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대에 있어서 모든 등록 데이터와의 유사 판정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리 장치의 관리자가 인증 서버의 부하 상태를 감시하여, 부하 상태가 경감한 시점을 살피고, 그 시점에서 유사 판정 처리의 실행을 개시하도록, 인증 서버에 대하여 지시하는 경우여도 좋다.
이러한 점에서,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은, 접수한 생체 정보와 등록 생체 정보의 비교 대조를, 즉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인증 서버의 처리 부하가 적어지는 시간대에 통합하여 실행할 수 있어, 상기한 주된 특징과 같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 대조 에러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것을 시스템 관리자에게 통지하거나,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인물에게 생체 정보의 재등록 등을 촉구하는 통지를 함으로써,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배제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기 위해서, 등록 희망자로부터 접수한 생체 정보의 유사 대조 처리를 행하지만, 통상은, 접수한 생체 정보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가 기억하는 등록 생체 정보를 대조함으로써 본인 인증을 행하고 있다.
[실시예 1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10)는, 생체 정보 입력부(10a)와, 등록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b)와, 대조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c)와, 추출 데이터 송신부(10d)와, 등록 결과 수신부(10e)로 구성되고, 또한 인증 서버(20)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다.
생체 정보 입력부(10a)는, 등록 희망자로부터 입력된 생체 정보(예컨대, 지문 화상)를 취득한다.
등록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b)는, 생체 정보 입력부(10a)에 의해 취득된 생체 정보(예컨대, 지문 화상)로부터, 화상 처리에 의해, 등록 데이터를 추출한다.
대조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c)는, 생체 정보 입력부(10a)에 의해 취득된 생체 정보(예컨대, 지문 화상)로부터, 화상 처리에 의해, 대조 데이터를 추출한다.
추출 데이터 송신부(10d)는, 등록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b)에 의해 추출된 등록 데이터와, 대조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c)에 의해 추출된 대조 데이터를, 인증 서버(20)에 송신한다.
등록 결과 수신부(10e)는, 인증 서버(20)에 의해 실행된 유사 판정 처리의 결과로서의 등록 결과를, 인증 서버(20)로부터 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등록 결과를 메일로 수신하여, 등록 희망자에게 통지한다. 예컨대, 그 등록 희망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추출한 대조 데이터가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것을, 「1:N 대조 방식의 허가자로서는 등록할 수 없다」나, 「새롭게 생체 정보를 입력해 주십시오」 등의 통지와 함께 송신한다.
[실시예 1에서의 인증 서버의 구성]
계속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의 인증 서버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인증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4는 실시예 1에서의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실시예 1에서의 가등록 정보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의 인증 서버(20)는, 추출 데이터 수신부(20a)와, 유사 대조 처리부(20b)와, 등록 결과 송신부(20c)와, 유사 정보 관리자 송신부(20d)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와, 가등록 정보 기억부(21b)와, 유사 대조 처리 타이밍 기억부(21c)로 구성되고,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10) 및 관리 장치(30)와 각각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다.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는, 등록 생체 정보를 기억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록 완료된 이용자」를 고유하게 특정할 수 있는 「ID: Tanaka」에 대응시켜, 「등록 데이터 T」를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에 있어서 기억하고, 또한, 「ID: Tanaka」의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메일 어드레스인 「어드레스 T」도 기억한다.
또한,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는, 「1:N 대조 방식」에 의해 본인 인증을 행하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정보와, 「1:1 인증 방식」에 의해 본인 인증을 행하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정보를 기억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D: Tanaka」의 「등록 완료된 이용자」는, 「1:1 인증 방식」만의 허가자이고, 「ID: Yamada」나 「ID: Kato」의 「등록 완료된 이용자」는, 「1:N 대조 방식」의 허가자인 것을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에 있어서 기억한다.
추출 데이터 수신부(20a)는, 클라이언트 장치(10)로부터 등록 희망자의 등록 데이터와 대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등록 데이터를 등록 생체 정보로서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에 저장하며, 수신한 대조 데이터를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에 저장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등록 데이터 S」와 「대조 데이터 S」를 각각 「ID: Suzuki」에 대응하는 「항목: 등록 데이터」와 「항목: 대조 데이터」에 저장한다.
유사 대조 처리부(20b)는,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등록 생체 정보(등록 데이터) 중에서, 「1:N 대조 방식」에 의해 본인 인증을 행하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에 대응하는 등록 생체 정보(등록 데이터)와, 등록 희망자의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저장된 「대조 데이터」를, 즉시 비교하여,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컨대, 즉시, 「대조 데이터 S」와, 「1:N 대조 방식」인 등록 데이터와의 유사 대조 처리를 실행하여, 유사 생체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록 희망자 ID: Suzuki」를 가등록 이용자로서 가등록 정보 기억부(21b)에 저장한다.
여기서, 유사 대조 처리 타이밍 기억부(21c)는, 관리 장치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유사 대조 처리를 실행하는 시각을 기억한다. 예컨대, 관리 장치(30)의 관리자에 의한 판단으로부터 설정된, 시스템의 부하가 적은 심야대를, 모든 등록 데이터와의 유사 대조 처리를 행하는 시각으로서 기억한다.
그리고, 유사 대조 처리부(20b)는, 관리 장치(30)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시각에 있어서, 가등록 정보 기억부(21b)가 기억하는 가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대조 데이터[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에서 기억되어 있음]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모든 등록 생체 정보(등록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유사 대조 처리부(20b)는,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의 대조 데이터를, 유사 판정 처리가 종료된 시점에서 폐기한다.
등록 결과 송신부(20c) 및 유사 정보 관리자 송신부(20d)는, 유사 대조 처리부(20b)에 의한 유사 대조의 판정 결과로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대조 데이터)와 유사하다고 판정된 등록 생체 정보(등록 데이터)에 관한 정보나, 생체 정보의 재등록 의뢰나, 유사 판정 생체 정보라고 판정됨으로써 인증 서버가 행한 처리의 내용을, 예컨대,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대조 데이터)가 추출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이 소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10), 또는, 관리 장치(30)에 메일로 통지한다.
[실시예 1에서의 관리 장치의 구성]
계속해서, 도 6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의 관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의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의 관리 장치(30)는, 유사 정보 수신부(30a)와, 유사 대조 처리 타이밍 설정부(30b)로 구성되고, 또한 인증 서버(20)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다.
유사 대조 처리 타이밍 설정부(30b)는, 관리 장치(30)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유사 대조 처리를 실행하는 시각을 접수하여, 인증 서버(20)의 유사 대조 처리 타이밍 기억부(21c)에 송신한다.
유사 정보 수신부(30a)는, 인증 서버(20)로부터 송신된 유사 정보를 수신한다.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에 의한 처리의 절차]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에 의한 처리를 설명한다. 도 7은 실시예 1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실시예 1에서의 인증 서버의 가등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실시예 1에서의 인증 서버의 정식 등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1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한 처리의 절차]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10)는, 생체 정보 입력부(10a)를 통해, 등록 희망자로부터의 생체 정보를 접수하면(단계 S701 긍정), 접수한 생체 정보로부터, 등록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b)에 의해 등록 데이터를 추출하고, 대조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c)에 의해 대조 데이터를 추출한다(단계 S702).
그리고, 추출 데이터 송신부(10d)는, 등록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b)에 의해 추출된 등록 데이터와, 대조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c)에 의해 추출된 대조 데이터를 인증 서버(20)에 송신한다(단계 S703).
그 후, 등록 결과 수신부(10e)는, 추출 데이터 송신부(10d)에 의해 인증 서버(20)에 송신된 대조 데이터와, 1:N 대조 허가자의 등록 데이터의 유사 판정 결과를 인증 서버(20)로부터 수신한다(단계 S704). 예컨대, 인증 서버(20)에 송신된 대조 데이터가 「1:N 대조 허가자의 등록 데이터」에 대하여, 유사 생체 정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1:N 대조 방식」은 허가하지 않는다고 하는 유사 판정 결과나, 유사 생체 정보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1:N 대조 방식」을 허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유사 판정 결과를 수신한다.
계속해서, 등록 결과 수신부(10e)는, 인증 서버(20)로부터 등록 데이터 전부와의 유사 판정 결과를 수신하고(단계 S705), 처리를 종료한다. 예컨대, 「1:N 대조 방식」의 허가자로서 정식으로 등록되었다고 하는 유사 판정 결과나, 「1:1 인증 방식」만의 허가자로서 정식으로 등록되었다고 하는 유사 판정 결과를 수신한다.
[실시예 1에서의 인증 서버에 의한 가등록 처리의 절차]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의 인증 서버(20)가 구비하는 추출 데이터 수신부(20a)는, 클라이언트 장치(10)로부터 등록 희망자의 등록 데이터 및 대조 데이터를 수신하면(단계 S801 긍정), 등록 데이터 및 대조 데이터를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에 저장한다(단계 S802).
계속해서, 유사 대조 처리부(20b)는,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등록 생체 정보(등록 데이터) 중에서, 「1:N 대조 방식」에 의해 본인 인증을 행하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에 대응하는 등록 데이터와, 등록 희망자의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저장된 대조 데이터를, 즉시 비교하여,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803).
그 후, 유사 대조 처리부(20b)에 의해, 유사 생체 정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단계 S804 긍정), 등록 결과 송신부(20c)는, 「1:1 인증만의 허가자」인 것을 클라이언트 장치(10)에 통지한다(단계 S805).
이에 반하여, 유사 대조 처리부(20b)에 의해, 유사 생체 정보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단계 S804 부정), 등록 결과 송신부(20c)는, 「1:N 대조를 허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인증의 허가자」인 것을 클라이언트 장치(10)에 통지한다(단계 S806).
그리고, 단계 S805 및 단계 S806의 처리 후, 유사 대조 처리부(20b)는, 가등록 정보를 가등록 정보 기억부(21b)에 저장하고(단계 S807), 처리를 종료한다.
[실시예 1에서의 인증 서버에 의한 정식 등록 처리의 절차]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의 인증 서버(20)는, 유사 대조 처리 타이밍 기억부(21c)가 기억하는, 유사 대조 처리 타이밍으로서 설정된 시각이 되면(단계 S901 긍정), 유사 대조 처리부(20b)는, 가등록 정보 기억부(21b)를 참조하여, 가등록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단계 S902 긍정), 가등록 정보 기억부(21b)가 기억하는 가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대조 데이터마다,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모든 등록 데이터와의 유사 대조 처리를 행한다(단계 S903).
그리고, 유사 대조 처리부(20b)에 의해 대조 데이터가 유사 생체 정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단계 S904 긍정), 등록 결과 송신부(20c)는, 유사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10)에 통지하고, 유사 정보 관리자 송신부(20d)는, 유사 정보를 관리 장치(30)의 관리자에게 통지한다(단계 S905).
그리고, 유사 대조 처리부(20b)에 의해 대조 데이터가 유사 생체 정보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단계 S904 부정) 및 단계 S905의 처리 후에는, 유사 대조 처리부(20b)는, 유사 판정 처리가 종료된 대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등록 정보를 가등록 정보 기억부(21b)로부터 삭제하고, 그 대조 데이터를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로부터 삭제한다(단계 S906).
그리고, 유사 대조 처리부(20b)는, 가등록 정보 기억부(21b)를 참조하여, 가등록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단계 S907 부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반하여, 유사 대조 처리부(20b)는, 가등록 정보 기억부(21b)를 참조하여, 가등록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단계 S907 긍정), 단계 S903으로 되돌아가, 새롭게 유사 대조 처리를 행한다.
[실시예 1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르면, 접수한 생체 정보와 등록 생체 정보의 비교 대조를, 즉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인증 서버의 처리 부하가 적어지는 시간대에 통합하여 실행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종래와 같이, 등록 희망자로부터의 생체 정보를 접수할 때마다, 즉시 비교 대조를 실행하면, 다대한 처리 시간으로 인해 생체 인증 시스템의 운영이 정체되게 되지만, 본 발명과 같이, 비교 대조를 소정의 시간대에 통합하여 행함으로써, 생체 인증 시스템의 운영이 정체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 대조 에러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것을 시스템 관리자에게 통지하거나,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인물에게 생체 정보의 재등록 등을 촉구하는 통지를 함으로써,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배제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등록 희망자로부터 접수한 생체 정보와 등록 생체 정보의 비교 대조를, 즉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그 등록 희망자를 가등록 이용자로서 「1:1 인증 방식」에 의한 본인 인증만을 실행하도록 설정해 두고, 소정의 시기에 있어서 유사 판정 처리가 통합하여 행해지기까지의 기간은,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배제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등록 희망자로부터 접수한 생체 정보가, 적어도 「1:N 대조 방식」으로 본인 인증되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등록 생체 정보와 유사한지의 여부를 즉시 판정하여,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배제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등록 데이터와 대조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상이한 것으로 함으로써, 등록 데이터의 도난에 의한 피해를 경감시키는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도 유사 판정 처리를 행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대조 데이터의 도난에 의한 피해를 회피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관리 장치(30)의 관리자가, 인증 서버(20)에 있어서의 부하 상태의 경향을 파악한 후에, 인증 서버(20)의 부하가 경감할 가능성이 높은 시기를 소정의 시기로서 확인하여 설정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이나, 관리 장치의 관리자에게,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확실하게 메일에 의해 통지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에게,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통지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상술한 실시예 1에서는, 등록 희망자로부터 접수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 판정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 2에서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본인 인증을 위해서 새롭게 접수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 판정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2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의 개요 및 특징]
먼저 최초로, 도 10을 이용하여, 실시예 2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의 주요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예 2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의 개요 및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2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 장치와 인증 서버와, 관리 장치로 구성되고, 또한, 「생체 정보」로서 「지문 정보」를 이용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이며, 인증 서버에 있어서, 본인 인증에 이용되는 방식이 「1:1 인증 방식」인 등록 완료된 이용자와, 본인 인증에 이용되는 방식이 「1:N 대조 방식」인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 분리되는 생체 인증 시스템이고, 클라이언트 장치에 있어서, 생체 정보로부터 등록 생체 정보로서 추출되는 「등록 데이터」의 형식과, 생체 정보로부터 「등록 데이터」와 대조하기 위해서 추출되는 「대조 데이터」의 형식이 상이한 생체 인증 시스템이다.
실시예 2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새롭게 본인 인증을 위한 생체 정보(지문 화상)를 접수한 경우에, 접수한 새로운 생체 정보로부터 신규 대조용 데이터를 추출한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록 완료된 이용자(ID: Yamada)로부터 지문 화상을 접수하고, 화상 처리에 의해 「신규 대조 데이터 Y」를 추출한다. 또한, 신규 대조 데이터 B를 추출하는 화상 처리의 과정에 있어서 취득되는 화상 처리 파라미터인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 「PY(k)」도 동시에 취득한다. 또, 화상 처리 파라미터란, 예컨대, 다치 화상의 생체 화상 정보를, 백과 흑의 이치 화상으로 변환할 때의 임계값이나 히스토그램의 변화, 또는 이치 화상으로부터 세선화를 행할 때에, 근방을 삭제하는 픽셀수 등을 말한다.
그리고, 실시예 2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는, 추출한 신규 대조 데이터와, 취득한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를, 실시예 2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에 송신한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규 대조 데이터 Y」와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 「PY(k)」를 송신한다.
실시예 2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등록 생체 정보를 기억한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록 완료된 이용자」를 고유하게 특정할 수 있는 「ID: Yamada」에 대응시켜, 「등록 데이터 Y」와, 메일 어드레스인 「어드레스 Y」와, 「1:N 대조 방식」의 허가자라고 하는 정보를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에서 기억한다. 또한, 등록 완료된 이용자(ID: Yamada)가 등록 시에 입력한 생체 정보로부터 등록 데이터 Y를 추출할 때에 취득된 화상 파라미터나, 등록 후에 본인 인증을 위해서 입력한 생체 정보로부터 대조 데이터를 추출할 때에 취득된 화상 파라미터의 이력인 화상 파라미터 이력을, 예컨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Y(1), PY(2)‥‥」으로서 기억한다.
그리고, 실시예 2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추출한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신규 대조용 데이터와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를 접수한 시점에서, 본인 인증을 위해서, 접수한 신규 대조용 데이터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가 기억하는 등록 데이터와의 대조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실시예 2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는, 대조 처리에 의해 신규 대조용 데이터에 기초하는 본인 인증이 성공한 경우,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가 기억하는 화상 파라미터 이력을 비교한다. 여기서,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가 기억하는 화상 파라미터 이력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그 신규 대조 데이터를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의 「대조 데이터」에 저장한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Y(1), PY(2)‥‥」과 「PY(k)」를 비교하여, 「PY(k)」의 값이 크게 변화하고 있는 경우에는, 「신규 대조 데이터 Y」를 「ID: Yamada」에 대응시켜 「항목: 대조 데이터」에 저장한다.
또한, 실시예 2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는, 「신규 대조 데이터 Y」를, 「1:N 대조 방식」에 의한 본인 인증 시에 대조 에러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D: Yamada」를 가등록 정보로서, 가등록 정보 기억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실시예 2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설정된 시각(예컨대, 심야대)에 있어서, 모든 등록 데이터와, 가등록 이용자의 대조 데이터와의 유사 대조 처리를 실행하고, 실행 후에는, 가등록 이용자의 대조 데이터(예컨대, 신규 대조 데이터 B)를 폐기한다.
이러한 점에서, 실시예 2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은,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새롭게 접수한 생체 정보가, 등록 시의 상태로부터 변동했기 때문에 타인의 등록 생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정되는지의 여부를, 예컨대, 인증 서버의 처리 부하가 적어지는 시간대에 통합하여 실행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실시예 2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10)는, 실시예 1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각각이 행하는 처리 내용이 상이하다. 이하, 이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생체 정보 입력부(10a)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새롭게 본인 인증을 위해서 입력된 생체 정보(예컨대, 지문 화상)를 취득한다.
대조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c)는, 생체 정보 입력부(10a)에 의해 취득된 생체 정보(예컨대, 지문 화상)로부터, 화상 처리에 의해, 신규 대조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동시에, 화상 처리의 과정에서,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추출 데이터 송신부(10d)는, 대조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c)에 의해 추출된 신규 대조 데이터와, 대조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c)에 의해 취득된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를, 인증 서버(20)에 송신한다.
등록 결과 수신부(10e)는, 인증 서버(20)에 의해 실행된 유사 판정 처리의 결과로서의 등록 결과를, 인증 서버(20)로부터 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등록 결과를 메일로 수신하고, 새롭게 본인 인증을 위해서 생체 정보를 입력한 등록 완료된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예컨대, 「그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추출한 신규 대조 데이터가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으므로, 유사 대조 판정을 행한 결과,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되었다」는 것을 통지한다.
또한, 등록 결과 수신부(10e)는, 인증 서버(20)에 의해 실행된 본인 인증 처리의 결과를, 인증 서버(20)로부터 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신규 대조용 데이터와 등록 데이터의 대조 처리에 의한 인증 결과(본인 인증 성공 또는 본인 인증 실패)를 메일로 수신하고, 새롭게 본인 인증을 위해서 생체 정보를 입력한 등록 완료된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실시예 2에서의 인증 서버의 구성]
계속해서, 도 11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실시예 2에서의 인증 서버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예 2에서의 인증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12는 실시예 2에서의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실시예 2에서의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실시예 2에서의 가등록 정보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의 인증 서버(20)는, 실시예 1에서의 인증 서버(20)와 비교하여,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를 새롭게 구비하는 것이 상이하다. 또한, 실시예 1에서의 인증 서버(20)에도 구비되어 있으나, 도 3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생체 정보 대조부(22)를, 도 11에 있어서 도시하고 있다. 이하, 이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실시예 2에서의 관리 장치(30)의 구성 및 처리의 내용은, 실시예 1에서의 관리 장치(30)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는, 예컨대,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록 완료된 이용자」를 고유하게 특정할 수 있는 「ID: Yamada」에 대응시켜, 「등록 데이터 Y」와, 「메일 어드레스」인 「어드레스 Y」와, 「1:N 대조 방식」의 허가자라고 하는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ID: Yamada)가 등록 시에 입력한 생체 정보로부터 등록 데이터 Y를 추출할 때에 취득된 화상 파라미터나, 등록 후에 본인 인증을 위해서 입력한 생체 정보로부터 대조 데이터를 추출할 때에 취득된 화상 파라미터의 이력인 화상 파라미터 이력을, 예컨대,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Y(1), PY(2)‥‥」으로서 기억한다.
추출 데이터 수신부(20a)는, 클라이언트 장치(10)로부터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신규 대조 데이터와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를 수신한다. 예컨대, 「신규 대조 데이터 Y」와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 「PY(k)」를, 클라이언트 장치(10)로부터 수신한다(도 10 참조).
생체 정보 대조부(22)는, 추출 데이터 수신부(20a)가 수신한 신규 대조용 데이터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등록 데이터를 대조하여, 신규 대조용 데이터와 일치하는 등록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통상의 본인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일치하는 등록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생체 정보 대조부(22)는, 「본인 인증 실패」라고 하는 결과를, 등록 결과 송신부(20c)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10)에 통지한다. 한편, 일치하는 등록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생체 정보 대조부(22)는, 「본인 인증 성공」이라고 판정하고,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에, 신규 대조용 데이터와 함께 수신한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화상 파라미터 이력을 비교하도록 지시를 행한다.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는, 생체 정보 대조부(22)에 있어서, 신규 대조용 데이터에 의한 「본인 인증」이 성공한 경우, 수신한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화상 파라미터 이력을 비교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는,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화상 파라미터 이력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그 신규 대조 데이터를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의 「대조 데이터」에 저장한다. 예컨대, 「PY(1), PY(2)‥‥」과 「PY(k)」를 비교하여, 「PY(k)」의 값이 크게 변화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규 대조 데이터 Y」를 「ID: Yamada」에 대응시켜 「항목: 대조 데이터」에 저장한다.
여기서,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가, 현저하게 화상 처리 파라미터가 변화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A)는, 256색의 그레이 스케일의 동일 인물의 동일 지문이지만, 도 12의 (A)의 좌측 도면은, 건조 상태일 때에 입력된 지문 화상이고, 도 12의 (A)의 우측 도면은, 습윤 상태일 때에 입력된 지문 화상이다. 여기서, 도 12의 (B)의 좌측 도면은, 도 12의 (A)의 좌측 도면에 도시하는 지문 화상의 히스토그램이고, 도 12의 (B)의 우측 도면은, 도 12의 (A)의 우측 도면에 도시하는 지문 화상의 히스토그램이다. 도 12의 (B)의 좌측 도면에 도시하는 히스토그램은, 건조 상태이기 때문에 전체가 흰 경향이고, 히스토그램 평균값은 「211」이다. 도 12의 (B)의 우측 도면에 도시하는 히스토그램은, 습윤 상태이기 때문에 전체가 검은 경향이고, 히스토그램 평균값은 「176」이다. 이와 같이, 전체적으로 건조 경향인지 습윤 경향인지로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인식할 수 있는 수치만으로도 크게 상이하다. 이와 같이, 예컨대, 신규 대조 데이터의 유사 판정 처리를 행하는 시간으로서, 히스토그램에 의한 평균값 200을 임계값으로 함으로써, 입력된 지문 화상이, 습윤 상태인지 건조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생체 정보의 변화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는, 수신한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화상 파라미터 이력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예컨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D: Yamada」를 가등록 정보로서, 가등록 정보 기억부(21b)에 저장한다.
여기서, 등록 결과 송신부(20c)는, 생체 정보 대조부(22)에 있어서, 신규 대조용 데이터에 의한 「본인 인증」이 실패한 경우, 「본인 인증 실패」라고 하는 결과를, 그 신규 대조용 데이터가 추출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이 소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10)에 통지한다.
또한, 등록 결과 송신부(20c)는, 생체 정보 대조부(22)에 있어서, 신규 대조용 데이터에 의한 「본인 인증」이 성공하고, 또한,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에 있어서,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의 변화가 임계값 내라고 확인된 경우에는, 「본인 인증 성공」이라고 하는 결과 및 「가등록 처리 없음」이라고 하는 결과를 그 신규 대조용 데이터가 추출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이 소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10)에 통지한다.
또한, 등록 결과 송신부(20c)는, 생체 정보 대조부(22)에 있어서, 신규 대조용 데이터에 의한 「본인 인증」이 성공하고, 또한,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에 있어서,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의 변화가 현저하다고 확인되어, 그 정보가, 가등록 정보로서 가등록 정보 기억부(21b)에 저장된 경우에는, 「본인 인증 성공」이라고 하는 결과 및 「가등록 처리 실행」이라고 하는 결과를, 그 신규 대조용 데이터가 추출된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이 소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10)에 통지한다.
유사 대조 처리부(20b)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관리 장치(30)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유사 대조 처리 타이밍 기억부(21c)가 기억하는 시각에 있어서, 가등록 정보 기억부(21b)가 기억하는 가등록 정보를 참조하여, 그 가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신규 대조 데이터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모든 등록 생체 정보(등록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유사 대조 처리부(20b)는,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의 신규 대조 데이터를, 유사 판정 처리가 종료된 시점에서 폐기한다.
여기서, 등록 결과 송신부(20c) 및 유사 정보 관리자 송신부(20d)는, 유사 대조 처리부(20b)에 의한 유사 대조의 판정 결과를, 클라이언트 장치(10), 또는 관리 장치(30)에 메일로 통지한다.
[실시예 2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에 의한 처리의 절차]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a를 이용하여, 실시예 2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에 의한 처리를 설명한다. 도 15는 실시예 2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a는 실시예 2에서의 인증 서버의 가등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실시예 2에서의 인증 서버의 정식 등록 처리의 절차는,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 실시예 1에서의 인증 서버의 정식 등록 처리의 절차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한 처리의 절차]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10)는, 생체 정보 입력부(10a)를 통해,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본인 인증을 위한 새로운 생체 정보를 접수하면(단계 S1501 긍정), 접수한 생체 정보로부터, 대조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c)에 의해 대조 데이터로서의 신규 대조 데이터를 추출한다(단계 S1502).
그리고, 추출 데이터 송신부(10d)는, 본인 인증의 의뢰를 위해서, 대조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c)에 의해 추출된 대조 데이터로서의 신규 대조 데이터를, 동시에 대조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c)에 의해 취득된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와 함께, 인증 서버(20)에 송신한다(단계 S1503).
계속해서, 등록 결과 수신부(10e)는, 인증 서버(20)로부터 본인 인증 결과나 유사 판정 결과 등의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S1504). 여기서, 실시예 2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10)가, 실시예 2에서의 인증 서버(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로서는, 도 16a를 이용하여 이후에 설명하는 인증 서버(20)에 의한 가등록 처리에 있어서의 결과로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경우와, 도 9에 도시하는 절차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행해지는 실시예 2에서의 인증 서버의 정식 등록 처리에 있어서의 결과로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경우가 있다. 도 15에서는, 제1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등록 결과 수신부(10e)는, 인증 서버(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본인 인증 결과와 함께, 유사 판정 결과가 있는 경우에는(단계 S1505 긍정), 본인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 장치(10)를 소유하는 사용자(등록 완료된 이용자)에게 메일로 통지하고, 유사 판정 결과도 아울러 메일로 통지하고(단계 S1506),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통지되는 내용으로서는, 「본인 인증 성공」이라고 하는 본인 인증 결과와 「가등록 처리 실행」이라고 하는 유사 판정 결과로 이루어지는 내용과, 「본인 인증 성공」이라고 하는 본인 인증 결과와 「가등록 처리 없음」이라고 하는 유사 판정 결과로 이루어지는 내용이 있다.
한편, 등록 결과 수신부(10e)는, 인증 서버(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본인 인증 결과뿐인 경우에는(단계 S1505 부정), 본인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 장치(10)를 소유하는 사용자(등록 완료된 이용자)에게 메일로 통지하고(단계 S1507),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통지되는 내용으로서는, 「본인 인증 실패」라고 하는 본인 인증 결과로 이루어지는 내용이다.
또, 제2 경우에는, 단계 S1504에서 인증 서버(20)로부터 유사 판정 결과의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클라이언트 장치(10)를 소유하는 사용자(등록 완료된 이용자)에게 메일로 통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예컨대, 『유사 대조의 결과, 유사 생체 정보가 없었으므로, 계속해서 「1:N 대조 방식」의 정식 허가자로서 등록됩니다』라고 하는 유사 판정 결과나, 『유사 대조의 결과, 유사 생체 정보가 있었으므로, 「1:N 대조 방식」의 정식 허가자로부터 「1:1 인증 방식」만의 허가자로서 등록이 변경되었습니다』라고 하는 유사 판정 결과 등을 통지한다.
[실시예 2에서의 인증 서버에 의한 가등록 처리의 절차]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의 인증 서버(20)가 구비하는 추출 데이터 수신부(20a)는, 클라이언트 장치(10)로부터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의 신규 대조 데이터 및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를 수신하면(단계 S1601 긍정), 최초로, 생체 정보 대조부(22)는, 신규 대조용 데이터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등록 데이터와의 대조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602).
여기서, 신규 대조용 데이터의 대조가 실패한 경우(단계 S1603 부정), 등록 결과 송신부(20c)는, 개인의 특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본인 인증 실패」라고 하는 본인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 장치(10)에 통지하고(단계 S1607), 처리를 종료한다. 또, 「가등록 처리 없음」이라고 하는 유사 판정 결과(가등록 정보)를 함께 통지해도 좋다.
한편, 신규 대조용 데이터의 대조가 성공하여, 본인 인증 결과가 「본인 인증 성공」인 경우(단계 S1603 긍정),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는, 수신한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화상 파라미터 이력을 비교한다(단계 S1604).
그리고,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는,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화상 파라미터 이력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1605 부정), 등록 결과 송신부(20c)는, 「본인 인증 성공」이라고 하는 본인 인증 결과와 「가등록 처리 없음」이라고 하는 유사 판정 결과(가등록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10)에 통지하고(단계 S1607),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반하여,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는,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화상 파라미터 이력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단계 S1605 긍정), 그 신규 대조 데이터를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의 「대조 데이터」에 저장하고, 또한, 그 신규 대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ID를, 가등록 정보로서, 가등록 정보 기억부(21b)에 저장한다(단계 S1606).
그리고, 등록 결과 송신부(20c)는, 「본인 인증 성공」이라고 하는 본인 인증 결과와 「가등록 처리 실행」이라고 하는 유사 판정 결과(가등록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10)에 통지하고(단계 S1607), 처리를 종료한다.
[실시예 2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르면,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새롭게 접수한 생체 정보가, 등록 시의 상태로부터 변동했기 때문에 타인의 등록 생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정되는지의 여부를, 예컨대, 인증 서버(20)의 처리 부하가 적어지는 시간대에 통합하여 실행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새롭게 생체 정보를 접수할 때마다, 즉시 비교 대조를 실행하면, 다대한 처리 시간으로 인해 생체 인증 시스템의 운영이 정체되게 되지만, 본 발명과 같이, 비교 대조를 소정의 시간대에 통합하여 행함으로써, 생체 인증 시스템의 운영이 정체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2에 따르면, 생체 정보가 변동한 것을, 구체적인 화상 처리 파라미터의 변동에 의해 판정하여,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효율적으로 배제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등록 시에 있어서의 생체 정보의 유사 상태 뿐만 아니라, 등록 후의 생체 정보의 변화(예컨대, 계절에 의한 생체 정보의 상태 변화나 성장에 의한 생체 정보의 상태 변화)에 따른 유사 상태의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이, 「1:N 대조 방식」에 의해 본인 인증을 행한다고 되어 있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인 경우에는, 그 인물로부터 새롭게 본인 인증을 위한 생체 정보를 취득했다고 해도, 본인 인증하지 않는다고 하는 판정 결과를 그 인물에게 통지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인물에 의해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에 의해,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화상 파라미터 이력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가등록 처리를 하고, 이후에 일괄해서 유사 대조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가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즉시, 그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신규 대조 데이터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등록 데이터 중 「1:N 대조 방식」인 등록 데이터와의 유사 대조 처리를 행하고, 본인 인증 결과와 함께, 유사 판정 결과를 클라이언트 장치(10)에 통지하는 경우여도 좋다. 이하, 이 변형예에서의 인증 서버(20)의 처리의 절차에 대해서, 도 16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b는 실시예 2에서의 인증 서버의 가등록 처리 및 정식 등록 처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의 인증 서버(20)가 구비하는 추출 데이터 수신부(20a)는, 클라이언트 장치(10)로부터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의 신규 대조 데이터 및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를 수신하면(단계 S1 긍정), 최초로, 생체 정보 대조부(22)는, 신규 대조용 데이터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등록 데이터와의 대조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2).
여기서, 신규 대조용 데이터의 대조가 실패한 경우(단계 S3 부정), 등록 결과 송신부(20c)는, 개인의 특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본인 인증 실패」라고 하는 본인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 장치(10)에 통지하고(단계 S9),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신규 대조용 데이터의 대조가 성공하여, 본인 인증 결과가 「본인 인증 성공」인 경우(단계 S3 긍정),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는, 수신한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화상 파라미터 이력을 비교한다(단계 S4).
그리고,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는,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화상 파라미터 이력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5 부정), 등록 결과 송신부(20c)는, 「본인 인증 성공」이라고 하는 본인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 장치(10)에 통지하고(단계 S9),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반하여,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는,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화상 파라미터 이력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단계 S5 긍정), 유사 대조 처리부(20b)는, 그 신규 대조 데이터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등록 데이터 중 「1:N 대조 방식」인 등록 데이터와의 유사 대조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6).
여기서, 「1:N 대조 방식」인 등록 데이터에 신규 대조용 데이터와 유사한 데이터가 없는 경우(단계 S7 부정), 등록 결과 송신부(20c)는, 「본인 인증 성공」이라고 하는 본인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 장치(10)에 통지하고(단계 S9),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1:N 대조 방식」인 등록 데이터에 신규 대조용 데이터와 유사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단계 S7 긍정), 등록 결과 송신부(20c)는, 「본인 인증 성공」이라고 하는 본인 인증 결과 및 「유사 생체 정보 있음」이라고 하는 유사 판정 결과를 클라이언트 장치(10) 및 관리 장치(30)에 통지하고(단계 S8), 처리를 종료한다. 또, 유사 판정 결과로서 통지되는 내용은, 『유사 대조의 결과, 유사 생체 정보가 있었으므로, 「1:N 대조 방식」의 정식 허가자로부터 「1:1 인증 방식」만의 허가자로서 등록이 변경되었습니다』라고 하는 내용이다.
이와 같이, 유사 대조 처리의 대상자를, 일반적으로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자의 인수가 적은 「1:N 대조 방식」의 허가자로서 등록되어 있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 한정함으로써, 유사 대조 처리를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어,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3
상술한 실시예 2에서는, 화상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신규 대조 데이터를 유사 대조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 3에서는, 신규 대조 데이터를 전부 유사 대조하는 기간을 미리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17은 실시예 3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3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20)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새롭게 본인 인증을 위해서 접수한 생체 정보로부터 추출된 신규 대조 데이터를,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기억하는 기간으로서의 일시를 미리 설정하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록 완료된 이용자 유사 대조 타이밍 기억부(21d)에 기억한다. 예컨대, 생체 정보가 변화하기 쉬운 계절(기간)을,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새롭게 본인 인증을 위해서 접수한 생체 정보의 유사 판정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으로서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끝이 건조 상태가 되기 쉬운 겨울(예컨대, 1월 1일)이나, 손끝이 습윤 상태가 되기 쉬운 여름(예컨대, 8월 1일)을, 유사 판정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으로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생체 정보가 변화하기 쉬운 계절에 들어가는 일시를,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새롭게 본인 인증을 위해서 접수한 생체 정보의 유사 판정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으로서 설정함으로써,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효율적으로 배제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4
상술한 실시예 2에서는, 화상 처리의 과정에서 취득되는 화상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신규 대조 데이터를 유사 대조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 4에서는, 화상 처리의 과정에서 취득되는 화상 특징 정보수를 이용하여, 신규 대조 데이터를 유사 대조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18은 실시예 4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4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20)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등록 시에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및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본인 인증 시에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화상 처리에 의해 대조 데이터를 추출한 과정에 있어서 취득되는 화상 특징 정보수의 이력을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에서 기억한다.
또한, 화상 특징 정보수 변화 판정부(20f)는, 본인 인증을 위해서,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대조 데이터로서의 신규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취득되는 화상 특징 정보수인 신규 화상 특징 정보수를, 클라이언트 장치(10)로부터 추출 데이터 수신부(20a)를 통해 취득하고, 그 신규 화상 특징 정보수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화상 특징 정보수 이력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신규 대조 데이터를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에 저장하다.
또, 화상 특징 정보란, 예컨대, 지문 인증의 경우라면, 지문 화상으로부터 추출되는, 지문의 끝점이나 분기점과 같은, 생체 인증에 있어서 비교 대조에 이용하는 정보이고, 화상 특징 정보수는, 화상 특징 정보로서 추출된 지문의 끝점이나 분기점 등의 수를 말한다.
이러한 점에서, 생체 정보가 변동한 것을, 구체적인 화상 특징 정보수의 변동에 의해 판정하여,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효율적으로 배제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는 별도로,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본인 인증되었을 때에, 대조 판정의 지표로서 산출된 판정값의 이력을 기억하고, 본인 인증을 위해서,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판정값인 신규 판정값이, 기억되어 있는 판정값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신규 대조 데이터를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저장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생체 정보가 변동한 것을, 예컨대, 대조 판정을 행하기 위해서 산출되는 일치 스코어나, 최종적인 대조 판정 결과로서 산출되는 일치율 등, 구체적인 판정값의 변동에 의해 판정하여,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효율적으로 배제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5
상술한 실시예 1∼4에서는, 생체 인증으로서 지문 인증을 행할 때에, 유사 대조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 5에서는, 생체 인증으로서 정맥 인증을 행할 때에, 유사 대조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19는 실시예 5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5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증 서버(20)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등록 시에 입력한 정맥의 혈관 화상 정보로부터, 및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본인 인증 시에 입력한 혈관 화상 정보로부터, 그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혈관의 굵기의 이력을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에서 기억한다.
또한, 혈관 사이즈 변화 판정부(20h)는, 본인 인증을 위해서,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혈관 화상 정보로부터 대조 데이터로서의 신규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취득되는 그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혈관의 굵기를, 클라이언트 장치(10)로부터 추출 데이터 수신부(20a)를 통해 취득하고, 그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혈관의 굵기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혈관의 굵기의 이력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신규 대조 데이터를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에 저장하다.
이러한 점에서, 손바닥의 정맥 인증을 행하는 경우에, 생체 정보가 변동한 것을, 구체적인 혈관의 굵기의 변동에 의해 판정하여,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효율적으로 배제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6
상술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4∼5에서는, 생체 정보가 변동한 것을 구체적인 수치의 변동으로 판정하여, 유사 대조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 6에서는, 생체 정보가 변동할 가능성이 높은 요인으로서 기온의 변화를 이용하여, 유사 대조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20은 실시예 6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6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장치(10), 또는 인증 서버(20)에 있어서, 기온을 취득하는 기온계를 구비해 두고, 인증 서버(20)는, 기온계에 의해 취득한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등록 시에 있어서의 기온, 및 기온계에 의해 취득한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본인 인증 시에 있어서의 기온의 이력을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에서 기억한다.
또한, 기온 변화 판정부(20i)는, 본인 인증을 위해서,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생체 정보로부터 신규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기온계에 의해 현재 취득되는 기온이,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가 기억하는 기온 이력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신규 대조 데이터를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에 저장한다.
예컨대, 현재 취득한 기온 데이터가, 등록 시로부터 크게 변동한 경우(예컨대, 플러스 마이너스 10도 이상),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생체 정보로부터 추출한 신규 대조 데이터의 유사 대조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점에서, 손바닥의 정맥 인증을 행하는 경우에, 혈관의 굵기의 변동이 발생하는 주된 요인인 기온의 변화를 유사 판정 처리의 타이밍의 기간으로서 설정하여, 「1:N 대조 방식」에 있어서의 대조 에러의 요인을 효율적으로 배제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7
실시예 7에서는, 암호화 처리에 의해, 생체 인증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2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21은 실시예 7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7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은, 생체 정보 및 생체 정보에 관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암호화하여 기억한다. 예컨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증 서버(20) 내에, 새롭게, 암호화부(21j)를, 추출 데이터 수신부(20a)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 사이에 설치하고, 복합화부(21k)를,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 및 유사 대조 처리부(20b)와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 사이에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에 저장되는 생체 정보 및 생체 정보에 관한 정보의 전부가, 암호화된 상태가 되고,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21a)에 저장되는 생체 정보 및 생체 정보가, 화상 처리 파라미터 변화 판정부(20e) 및 유사 대조 처리부(20b)에서 처리될 때에, 복합화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생체 정보 및 생체 정보에 관한 정보가 방수(傍受)되어도 악용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8
실시예 8에서는, 통신되는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함으로써, 생체 인증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22는, 실시예 8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8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은, 시스템 내에서 통신되는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암호화하여 통신한다. 예컨대,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10), 인증 서버(20) 및 관리 장치(30)에 있어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암호화 송신부와, 수신한 암호화 데이터를 복합화하는 수신 복합화부를 각각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내에서 통신되는 정보가 방수되어도 악용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9
상술한 실시예 1∼8에서는, 3개의 장치로 구성되는 생체 인증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 9에서는, 2개의 장치로 구성되는 생체 인증 시스템에 대해서,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23은 실시예 9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9에서의 생체 인증 시스템은,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10)와 인증 서버(20)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스탠드 얼론의 생체 인증 시스템이고, 인증 서버(20)는, 예컨대, 방의 출입구 등에 설치됨으로써, 입퇴실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실시예 1∼8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 1∼9에서는, 하드웨어 로직에 의해 각종의 처리를 실현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리 준비된 프로그램을 퍼스널 컴퓨터나 워크 스테이션 등의 컴퓨터로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할 수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FD), CD-ROM, MO, DV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됨으로써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각 처리 중, 자동으로 행해지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동으로 행할 수도 있고, 또는, 수동으로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지의 방법으로 자동으로 행할 수도 있다. 이 외에, 상기 문장 중이나 도면 중에서 도시한 처리 절차, 구체적 명칭, 각종의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예컨대, 성공 정보의 등록 시간 등)에 대해서는, 특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임의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각 장치의 각 구성 요소는 기능 개념적인 것이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각 처리부 및 각 기억부의 분산·통합의 구체적 형태(예컨대, 도 2의 형태 등)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등록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b)와 대조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10c)를 통합하는 등,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의 부하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장치에서 행해지는 각 처리 기능은, 그 전부 또는 임의의 일부가, CPU 및 그 CPU에서 해석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실현되거나, 또는, 와이어드 로직에 의한 하드웨어로서 실현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은, 생체 정보를 접수하여 본인 인증을 행하는 인증 서버, 또는, 생체 정보를 접수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생체 정보를 접수하여 본인 인증을 행하는 인증 서버와,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한 상기 본인 인증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에 유용하며, 특히, 원활한 「1:N 대조 방식」의 생체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데 적합하다.
10: 클라이언트 장치 10a: 생체 정보 입력부
10b: 등록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
10c: 대조 데이터 추출용 화상 처리부
10d: 추출 데이터 송신부 10e: 등록 결과 수신부
20: 인증 서버 20a: 추출 데이터 수신부
20b: 유사 대조 처리부 20c: 등록 결과 송신부
20d: 유사 정보 관리자 송신부 21a: 등록 생체 정보 기억부
21b: 가등록 정보 기억부 21c: 유사 대조 처리 타이밍 기억부
30: 관리 장치 30a: 유사 정보 수신부
30b: 유사 대조 처리 타이밍 설정부

Claims (20)

  1. 생체 정보를 접수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접수하여 본인 인증을 행하는 인증 서버와,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한 상기 본인 인증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로 구성되는 생체 인증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증 서버는,
    미리 이용자로서 등록되어 있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생체 정보이며, 상기 본인 인증 시에, 접수된 상기 생체 정보의 비교 대상으로서 참조되는 등록 생체 정보와 본인 인증 방식을 기억하는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과,
    접수된 상기 생체 정보와, 상기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를 대조하는 생체 정보 대조 수단과,
    상기 대조에 기초하여, 접수된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유사 생체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접수된 상기 생체 정보를 유사 판정용으로 대조되는 생체 정보인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기억하는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과,
    미리 정해진 시기(時機)에 있어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상기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중에, 상기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수단과,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중에, 상기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가 있었던 경우에는, 상기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에 관한 정보인 유사 정보를 출력하는 유사 정보 출력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상기 인증 서버가, 이용자로서 등록되는 것을 희망하는 등록 희망자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접수할 때에,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은, 상기 등록 희망자로부터 접수한 생체 정보를, 상기 본인 인증 방식과 함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기억하고,
    상기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수단은, 미리 정해진 시기에 있어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희망자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상기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새롭게 본인 인증을 위한 상기 생체 정보를 접수할 때에,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은,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새롭게 접수한 생체 정보를, 상기 본인 인증 방식과 함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기억하고,
    상기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수단은, 미리 정해진 시기에 있어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상기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에 있어서, 상기 본인 인증에 이용되는 방식이 1:1 인증 방식인 등록 완료된 이용자와, 상기 본인 인증에 이용되는 방식이 1:N 대조 방식인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 분리될 때에,
    상기 인증 서버는, 1:N 대조 방식에 의해 본인 인증을 행하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정보를 기억하는 1:N 이용자 정보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수단은, 상기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 중에서, 상기 1:N 이용자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1:N 대조 방식에 의해 본인 인증을 행하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와,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희망자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를, 즉시 비교하여, 상기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미리 정해진 시기에 있어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상기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모든 상기 등록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상기 인증 서버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로부터 상기 등록 생체 정보로서 추출되는 데이터인 등록 데이터의 형식과, 상기 생체 정보로부터 상기 등록 생체 정보와 대조하기 위해서 추출되는 데이터인 대조 데이터의 형식이 상이할 때에,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상기 인증 서버는, 접수한 상기 등록 희망자의 상기 생체 정보로부터, 상기 등록 데이터와 상기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데이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등록 데이터를 상기 등록 생체 정보로서 상기 등록 생체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대조 데이터를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추출 데이터 저장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수단은,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의 상기 대조 데이터를, 유사 판정 처리가 종료된 시점에서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수단은, 상기 미리 정해진 시기로서, 상기 관리 장치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시각에 상기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생체 정보 판정 수단은, 상기 미리 정해진 시기로서, 상기 관리 장치의 관리자에 의해 현재 지시되는 시점에 상기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로부터 새롭게 본인 인증을 위해서 접수한 생체 정보를,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이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기억하는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기억하는 시간 설정 기억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상기 인증 서버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로서 입력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화상 처리에 의해 상기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로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등록 시에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그리고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본인 인증 시에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화상 처리에 의해 상기 대조 데이터를 추출한 과정에서 취득된 화상 처리 파라미터의 이력을 기억하는 이력 기억 수단과,
    본인 인증을 위해서,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대조 데이터로서의 신규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취득되는 화상 처리 파라미터인 신규 화상 처리 파라미터가,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화상 처리 파라미터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상기 신규 대조 데이터를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변화 확인 저장 수단
    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은,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등록 시에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그리고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본인 인증 시에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화상 처리에 의해 상기 대조 데이터를 추출한 과정에서 취득되는 화상 특징 정보수의 이력을 기억하고,
    상기 변화 확인 저장 수단은, 본인 인증을 위해서,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대조 데이터로서의 신규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취득되는 화상 특징 정보수인 신규 화상 특징 정보수가,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화상 특징 정보수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상기 신규 대조 데이터를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은,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본인 인증되었을 때에, 대조 판정의 지표로서 산출된 판정값의 이력을 기억하고,
    상기 변화 확인 저장 수단은, 본인 인증을 위해서,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생체 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판정값인 신규 판정값이,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판정값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상기 신규 대조 데이터를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로서 혈관의 화상 정보인 혈관 화상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혈관 화상 정보로부터 화상 처리에 의해 상기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로서,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은,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등록 시에 입력한 혈관 화상 정보로부터, 그리고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본인 인증 시에 입력한 혈관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혈관의 굵기의 이력을 기억하고,
    상기 변화 확인 저장 수단은, 본인 인증을 위해서,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혈관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대조 데이터로서의 신규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현재 취득되는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혈관의 굵기가,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상기 혈관의 굵기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상기 신규 대조 데이터를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상기 인증 서버는, 기온을 취득하는 기온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은, 상기 기온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등록 시에 있어서의 기온, 및 상기 기온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본인 인증 시에 있어서의 기온의 이력을 기억하며,
    상기 변화 확인 저장 수단은, 본인 인증을 위해서,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상기 생체 정보로부터 상기 대조 데이터로서의 신규 대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기온 취득 수단에 의해 현재 취득되는 기온이,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기온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 상기 신규 대조 데이터를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정보 출력 수단은, 상기 유사 정보로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정된 등록 생체 정보에 관한 정보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의 변경 의뢰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정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가 행한 처리의 내용을,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의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이 소유하는 단말, 또는, 상기 관리 장치의 관리자가 소유하는 단말에 메일로 비동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정보 출력 수단은, 상기 유사 정보로서,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유사한 등록 생체 정보가 존재한다고 하는 판정 결과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의 변경 의뢰나,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정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가 행한 처리의 내용을,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의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정보 출력 수단은, 상기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를 입력한 인물이, 상기 1:N 이용자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1:N 대조 방식에 의해 본인 인증을 행한다고 되어 있는 상기 등록 완료된 이용자인 경우에는, 상기 인물로부터 새롭게 본인 인증을 위한 상기 생체 정보를 취득했다고 해도, 본인 인증하지 않는다고 하는 판정 결과를 상기 인물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생체 정보에 관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암호화하여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19. 제5항에 있어서,
    시스템 내에서 통신되는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암호화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시스템.
  20. 생체 정보를 접수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접수하여 본인 인증을 행하는 인증 서버와,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한 상기 본인 인증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로 구성되는 생체 인증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생체 인증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인증 서버는,
    미리 이용자로서 등록되어 있는 등록 완료된 이용자의 생체 정보이며, 상기 본인 인증 시에, 접수된 상기 생체 정보의 비교 대상으로서 참조되는 등록 생체 정보와 본인 인증 방식을 제1 기억부에 기억하는 등록 생체 정보 기억 단계와,
    접수된 상기 생체 정보와, 상기 제1 기억부가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를 대조하는 생체 정보 대조 단계와,
    상기 대조에 기초하여, 접수된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제1 기억부가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한 유사 생체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상기 접수된 생체 정보를 유사 판정용으로 대조되는 생체 정보인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로서 제2 기억부에 기억하는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기억 단계와,
    미리 정해진 시기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부가 기억하는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와, 상기 제1 기억부가 기억하는 상기 등록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중에, 상기 유사 생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유사 생체 정보 판정 단계와,
    상기 제2 기억부가 기억하는 상기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 중에, 상기 유사 생체 정보 판정 단계에 의해, 상기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가 있었던 경우에는, 상기 유사 생체 정보로서 판정된 유사 판정용 대조 생체 정보에 관한 정보인 유사 정보를 출력하는 유사 정보 출력 단계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프로그램.
KR1020107003715A 2007-08-23 2007-08-23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094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6378 WO2009025054A1 (ja) 2007-08-23 2007-08-23 生体認証システムおよび生体認証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889A true KR20100039889A (ko) 2010-04-16
KR101094051B1 KR101094051B1 (ko) 2011-12-19

Family

ID=4037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715A KR101094051B1 (ko) 2007-08-23 2007-08-23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142764A1 (ko)
EP (1) EP2192547A4 (ko)
JP (1) JP5018886B2 (ko)
KR (1) KR101094051B1 (ko)
WO (1) WO20090250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9400B2 (en) 2008-07-21 2021-02-02 Facefirst, Inc. Managed notification system
US9405968B2 (en) * 2008-07-21 2016-08-02 Facefirst, Inc Managed notification system
US10043060B2 (en) 2008-07-21 2018-08-07 Facefirst, Inc. Biometric notification system
US9721167B2 (en) 2008-07-21 2017-08-01 Facefirst, Inc. Biometric notification system
US10929651B2 (en) 2008-07-21 2021-02-23 Facefirst, Inc. Biometric notification system
US9141863B2 (en) 2008-07-21 2015-09-22 Facefirst, Llc Managed biometric-based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8825578B2 (en) * 2009-11-17 2014-09-02 Infozen,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entity's identity and assessing risks related thereto
US8345939B2 (en) * 2010-06-08 2013-01-01 Theodosios Kountotsis System and method for fingerprint recognition and collection at points-of-sale and points-of-entry
JP5584578B2 (ja) * 2010-10-08 2014-09-03 富士通株式会社 生体情報登録・認証装置及びその登録・認証方法
WO2014011127A2 (en) * 2012-06-15 2014-01-16 Sagiroglu Seref An intelligent system for estimating gender from only fingerprints
JP6089610B2 (ja) 2012-11-13 2017-03-08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165130B2 (en) 2012-11-21 2015-10-20 Ca, Inc. Mapping biometrics to a unique key
JP5975293B2 (ja) * 2013-02-22 2016-08-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認証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128500B2 (ja) * 2013-07-26 2017-05-1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情報管理方法
WO2015047442A1 (en) * 2013-09-27 2015-04-02 Mcafee, Inc. Trusted execution of an executable object on a local device
JP6394323B2 (ja) * 2014-11-25 2018-09-26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方法、生体認証プログラム、生体認証装置
FR3037692B1 (fr) * 2015-06-16 2017-06-02 Morpho Procede d'identification biometrique
KR102238688B1 (ko) * 2015-10-21 2021-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인증 방법 및 생체 인증 장치
FR3045885A1 (fr) * 2015-12-22 2017-06-23 Morpho Procede d'identification biometrique
KR101871902B1 (ko) * 2016-05-11 2018-06-27 오라클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멀티-테넌트 아이덴티티 및 데이터 보안 관리 클라우드 서비스
JP6292421B2 (ja) * 2016-07-22 2018-03-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認証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136320B1 (en) 2017-11-22 2018-1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hentication of users at multiple terminals
US11196731B2 (en) * 2019-06-28 2021-12-07 T-Mobile Usa, Inc. Network-authentication control
CN113569595B (zh) * 2020-04-28 2024-03-22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身份辨识装置以及身份辨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4789A (en) * 1994-11-28 1998-06-09 Smarttouch, Llc Tokenless biometric ATM access system
JPH0991434A (ja) * 1995-09-28 1997-04-04 Hamamatsu Photonics Kk 人物照合装置
US6783459B2 (en) * 1997-08-22 2004-08-31 Blake Cumbers Passive biometric customer identification and tracking system
JPH11312250A (ja) * 1998-04-28 1999-11-09 Oki Electric Ind Co Ltd 個体認識装置
JP4255999B2 (ja) 1998-10-20 2009-04-22 三菱電機株式会社 指紋照合装置
JP2000215313A (ja) 1999-01-22 2000-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タ識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2229955A (ja) * 2001-02-02 2002-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端末装置及び認証システム
JP4153691B2 (ja) * 2001-11-06 2008-09-24 株式会社東芝 顔画像照合装置及び顔画像照合方法
TWI278782B (en) * 2001-08-24 2007-04-11 Toshiba Corp Personal recognition apparatus
JP2004145608A (ja) * 2002-10-24 2004-05-20 Oki Electric Ind Co Ltd 個人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制御用プログラム
JP2005063173A (ja) 2003-08-13 2005-03-10 Toshiba Corp 生体認証装置および通行制御装置
JP2005182184A (ja) * 2003-12-16 2005-07-07 Toshiba Corp 人物認識装置、人物認識方法および通行制御装置
US8370639B2 (en) * 2005-06-16 2013-02-05 Sensible Vis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access to an electronic device using continuous facial biometrics
JP2007052720A (ja) * 2005-08-19 2007-03-01 Fujitsu Ltd 生体認証による情報アクセス方法及び生体認証による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8108035A (ja) * 2006-10-25 2008-05-08 Fujitsu Ltd 生体認証のための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サーバ、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012092B2 (ja) * 2007-03-02 2012-08-29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プログラムおよび複合型生体認証方法
JP4992974B2 (ja) * 2007-07-11 2012-08-08 富士通株式会社 利用者認証装置、利用者認証方法および利用者認証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92547A4 (en) 2014-06-04
KR101094051B1 (ko) 2011-12-19
WO2009025054A1 (ja) 2009-02-26
JPWO2009025054A1 (ja) 2010-11-18
US20100142764A1 (en) 2010-06-10
JP5018886B2 (ja) 2012-09-05
EP2192547A1 (en) 201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051B1 (ko)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6810480B1 (en) Verification of identity and continued presence of computer users
CN105468950B (zh) 身份认证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JP5975293B2 (ja) 認証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356144B2 (ja) バイオメトリクスを用いるユーザ認証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ユーザ認証方法
KR101613233B1 (ko) 개선된 생체 인증 및 신원확인
US9122913B2 (en) Method for logging a user in to a mobile device
US8433922B2 (en) System and method of biometric authentication using multiple kinds of templates
US20150278495A1 (en) Fingerprint password
WO2014172494A1 (en) Conditional and situational biometric authentication and enrollment
US11496471B2 (en) Mobile enrollment using a known biometric
US20140007210A1 (en) High security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CN105471867A (zh) 并入随机动作的增强身份识别的系统和方法
Conti et al. Biometric authentication overview: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description
JP3589579B2 (ja) 生体認証装置及びそ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6040684A (ja) 複合認証システム
EP3392790A1 (en) Method for authentication via a combination of biometric parameters
KR100701583B1 (ko) 타인수락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생체정보 인증방법
Meghanathan Biometric systems for user authentication
CN109344593A (zh) 生物信息验证方法以及验证服务器、录入和验证客户端
CN115565268B (zh) 基于无线车钥匙的汽车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783626B2 (en) Biometric gallery management using wireless identifiers
JP7240983B2 (ja)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登録装置
JP6292421B2 (ja) 認証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1024097A1 (en) Biometric identity management across modalities or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