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366A - 난연성의 연성 폴리우레탄 폼 및 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형 - Google Patents

난연성의 연성 폴리우레탄 폼 및 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366A
KR20100039366A KR1020107002011A KR20107002011A KR20100039366A KR 20100039366 A KR20100039366 A KR 20100039366A KR 1020107002011 A KR1020107002011 A KR 1020107002011A KR 20107002011 A KR20107002011 A KR 20107002011A KR 20100039366 A KR20100039366 A KR 20100039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ercent
range
flame retardant
weight
tot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버 비 츄
라빈드라 알 조시
아서 지 맥
Original Assignee
알베마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베마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베마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39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36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4Additives containing two or more different additives of the same subgroup in C08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의 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형, 이 제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난연 첨가제, 및 그 제형으로부터 만들어진 난연성 폼에 관한 것이다.
[색인어]
연성 폴리우레탄 폼, 난연 첨가제, 난연제

Description

난연성의 연성 폴리우레탄 폼 및 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형 {FLAME RETARDED FLEXIBLE POLYURETHANE FOAMS AND FLEXIBLE POLYURETHANE FOAM FORMULATIONS}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형, 이 제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난연 첨가제, 및 그 제형으로부터 만들어진 난연성 폼에 관한 것이다.
연성(軟性) 폴리우레탄 폼은 최근 많은 용도로 사용된다. 연성 폴리우레탄 폼의 다용한 용도 때문에, 그와 같은 폼에 난연성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이 때문에, 수많은 난연제가 사용되었고, 연성 폴리우레탄 폼에 난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용가능한 난연제에도 불구하고, 산업은 현재의 이용가능한 것을 능가하거나 더 좋은 특성을 난연제를 더욱 필요로 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a) 적어도 하나의, 어떤 구현예에서는 단 하나의 인(燐) 함유 난연제; 및 b) 적어도 하나의, 어떤 구현예에서는 단 하나의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페닐 디페닐 포스페이트; c) 적어도 하나의, 어떤 구현예에서는 단 하나의 i) 이소시아네이트; ⅱ) 폴리올, 또는 i)과 ⅱ) 의 조합물; 및 d) 적어도 하나의, 어떤 구현예에서는 단 하나의 발포제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a) 는 a)와 b) 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b) 는 a)와 b) 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70 중량% 초과의 양으로 존재하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어떤 구현예에서는 단 하나의 촉매의 존재에서, a) 적어도 하나의, 어떤 구현예에서는 단 하나의 인 함유 난연제; 및 b) 적어도 하나의, 어떤 구현예에서는 단 하나의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페닐 디페닐 포스페이트; c) 적어도 하나의, 어떤 구현예에서는 단 하나의 i) 이소시아네이트; ⅱ) 폴리올, 또는 i)과 ⅱ) 의 조합물; 및 d) 적어도 하나의, 어떤 구현예에서는 단 하나의 발포제를 화합 또는 조합시킴을 포함하고, 상기 a) 는 a)와 b) 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b) 는 a)와 b) 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70 중량% 초과의 양으로 존재하고, 형성된 난연성의 연성 폴리우레탄 폼은 켈리포니아 테크니칼 불리틴(California Technical Bulletin) 117 파트 A 및 D 의 요건에 부합하거나 초과하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형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자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난연 첨가제를 사용하면, 켈리포니아 테크니칼 불리틴(California Technical Bulletin) 117 파트 A 및 D 의 요건에 부합하거나 초과하는 경성의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난연 첨가제
본 발명의 난연 첨가제는 a) 적어도 하나의, 어떤 구현예에서는 단 하나의 인 함유 난연제; 및 b) 적어도 하나의, 어떤 구현예에서는 단 하나의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난연 첨가제는 a) 의 약 30 중량% 미만, 전형적으로 약 1 내지 약 30 중량% 의 범위, 및 b) 의 약 70 중량% 초과, 전형적으로 약 70 내지 약 99 중량% 의 범위로 함유되고, 모두는 난연 첨가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어떤 구현예에서는, 본 발명의 난연 첨가제는 약 5 내지 약 30 중량% 범위의 a) 및 약 70 내지 약 95 중량% 범위의 b) 성분을 함유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난연 첨가제는 약 5 내지 약 15 중량% 범위의 a) 성분 및 약 85 내지 약 95 중량% 범위의 b) 성분을 함유된다.
본 발명의 난연 첨가제는 난연 첨가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15 중량% 의 범위의 인(燐)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어떤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난연 첨가제는 모두 동일한 기준으로 약 8 내지 약 15 중량%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12 중량% 의 범위의 인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 첨가제는 또한 25℃에서 약 100 내지 약 2000 cP 의 범위로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어떤 구현예에서는, 본 발명의 난연 첨가제는 약 100 내지 약 1000 cP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400 내지 약 600 cP 의 범위로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저점도의 본 난연 첨가제가 연성 폼 제형에서 특별히 효과적으로 되는 것은, 저점도가 연성 폼 제형에서 잘 분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 효과적인 폼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불충분하게 분산된 난연제는 선행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폼의 기계적 특성에 역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a) 의 수준을 낮게 이용하여 켈리포니아 테크니칼 불리틴(California Technical Bulletin) 117 파트 A 및 D 의 요건에 부합하거나 초과하는 난연성의 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예기치 못하게 발견했다. 이것이 바람직한 품질인 것은, 다른 것 중에서,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에 현재 사용된 인 함유 난연제가 화학무기 선구체로서 고려되기 때문이고, 이에 따라 선적, 사용 등 및 배급이 문제가 되고 비쌀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상기 범위, 어떤 구현예에서는 약 5 내지 약 15 중량% 의 범위의 인 함유 난연제 수준이 화학무기 선구체로 고려된 난연 첨가제의 성분을 갖는 것과 관련된 문제의 일부를 완화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지금까지는 상기 범위 내의 수준이 생각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자들은, 이들 범위 내의 인 함유 난연제 수준이 켈리포니아 테크니칼 불리틴(California Technical Bulletin) 117 파트 A 및 D 의 요건에 부합하거나 초과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예기치 못하게 발견했다.
성분 a)
본 발명에 사용된 인 함유 난연제는 어떤 인 난연제, 바람직하게는 P-NMR 또는 ICP 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모두 인 난연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30 중량%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25 중량% 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8 내지 약 21 중량% 의 범위로 인 함량을 갖는 인 난연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어떤 구현예에서는, 인 함유 난연제는 포스페이트, 다른 구현예에서는 포스파이트, 더욱 다른 구현예에서는, 포스포네이트이다. 인 함유 난연제는 고리형 또는 선형, 바람직하게는 고리형일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사용된 인 함유 난연제는 고리형 포스포네이트이다. 어떤 구현예에서는, 고리형 포스포네이트는 적어도 다이머 및 모노머, 전형적으로 약 50 내지 약 70 중량% 범위의 모노머 및 약 15 내지 약 25 중량% 범위의 다이머를 함유하는데, 모두는 고리형 포스포네이트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이들 구현예에서, 고리형 포스포네이트의 나머지는 전형적으로 다이머보다 큰 분자량을 갖는 트라이머 등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모노머는 CAS 등록번호 41203-81-0, 및 다이머는 CAS 등록번호 42595-45-9 이다.
성분 b)
본 발명에 사용된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는 어떤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사용된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는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이다.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는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이소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를 약 20 내지 약 50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40 중량%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40 중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혼합물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는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디(이소프로필페닐페닐)페닐포스페이트를 약 20 내지 약 40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5 중량%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0 중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는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트리(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를 약 1 내지 약 15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5 중량% 의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는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트리페닐 포스페이트를 약 0 내지 약 50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50 중량%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40 중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는 i) 이소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ⅱ) 디(이소프로필페닐페닐)페닐포스페이트; ⅲ) 트리(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및 ⅳ)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중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두를 포함하는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이다. 이러한 특정 구현예에서,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 중 i) 이소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ⅱ) 디(이소프로필페닐페닐)페닐포스페이트; ⅲ) 트리(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및 ⅳ) 트리페닐 포스페이트의 양은 본 문단에서 기재된 바와 같고, 바람직한 구현예로서는, i) 이소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에 대해서,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약 20 내지 약 50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40 중량% 범위이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모든 중량%는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난연제로서 용도
본 발명의 난연 첨가제는 난연성을 연성 폴리우레탄 폼에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전형적으로, 난연 첨가제는 폴리우레탄 폼 형성 공정에 쓰이는 다양한 첨가제들 중의 하나로서 포함될 것이고, 전형적인 폴리우레탄 폼 형성 조건을 사용하여 쓰일 것이다. 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하는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어떤 사람은 예를 들어 하기를 참조할 수 있다: Herrington and Hock, Flexible Polyurethane Foams, The Dow Chemical Company, 1991, 9.25 9.27 or Woods, G. Flexible Polyurethane Foams, Chemistry and Technology; Applied SciencePublishers, London, 1982, 257 260.
따라서, 어떤 구현예에서는,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첨가제,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첨가제의 난연량; 적어도 하나의, 어떤 구현예에서는 단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또는 그의 조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어떤 구현예에서는 단 하나의 발포제를 포함하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형, 및 이 제형으로부터 형성된 연성 폴리우레탄 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발포제는 물, 휘발성 탄화수소, 할로겐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탄화수소, 또는 이들 2 이상의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난연 첨가제의 난연량이란, 켈리포니아 테크니칼 불리틴(California Technical Bulletin) 117 파트 A 및 D 에서 설명된 시험 기준에 부합하거나 초과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약 5 내지 약 25 phr 범위의 난연 첨가제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난연량은 약 5 내지 약 20 phr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5 phr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15 phr 범위 의 난연 첨가제로 고려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생산하는데 효과적인 기술에 공지된 것들 중 어떤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는 적어도 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2개의 유리 시아네이트 반응성 기를 가지는 어떤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지만, 더 많은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어떤 구현예에서는,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유용한 것은, 이들이 폴리우레탄 폼의 공지된 성분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는 또한 사실상 지방족 또는 방향족일 수 있다. 적합한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의 비제한적인 예는 본 발명에 유용한 하기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2,4) 및 (2,4,4)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4,4'-메틸렌 비스(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가장 현저하게 이용된 이소시아네이트, 따라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유형은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TDI"),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MDI")인데, 이는 때때로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로 부른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올은 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생산하는데 효과적인 선행기술에 공지된 어떤 폴리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약 150 KOH/g 이하 범위,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 mg KOH/g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100 KOH/g 범위의 히드록실가(hydroxyl value)를 갖는 폴리올 단독 또는 혼합물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구현예에서는, 폴리올(들)은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다.
이들 성분에 추가하여, 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형은 선행기술에 공지되고 경성 폴리우레탄 폼의 형성에 사용된 어떤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른 성분은 당업자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형은 i) 계면활성제, ⅱ) 산화방지제, ⅲ) 희석제, ⅳ) 사슬 연장제 또는 가교제, v) 상승제, 바람직하게는 멜라민; 및 vi) 가소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임의 성분은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이들 임의 성분의 양은 종래에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 임계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할로겐 함량이 1 내지 4개의 브롬 및/또는 염소인 저점도 액체 C1-4 할로겐화탄소 및/또는 할로겐화탄화수소 희석제와 같은 희석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그와 같은 희석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브로모클로로메탄,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에틸렌 디브로마이드, 이소프로필 클로라이드, n-부틸 브로마이드, sec-부틸 브로마이드, n-부틸 클로라이드, sec-부틸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퍼클로로에틸렌, 메틸 클로로포름, 및 사염화탄소.
본 발명의 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형에 사용될 수 있는 이들 및 다른 성분, 및 사용된 비용 및 방법은 문헌에 보고되어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형은 켈리포니아 테크니칼 불리틴(California Technical Bulletin) 117 파트 A 및 D 에서 설명된 시험 기준에 부합하거나 초과하는 난연성의 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하기 위해 촉매와 조합될 수 있거나, 촉매의 존재에서 조합된 개별 성분과 조합될 수 있다. 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 촉매의 비제한적인 예는 아민계, 촉매, 주석계 촉매, 비스무트계 촉매 또는 다른 유기금속 촉매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성 폼은 선행기술에 공지된 어떤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어떤 구현예에서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은 원샷(one-shot), 유사(quasi) 또는 세미(semi) 프리폴리머 또는 프리폴리머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또, 연성 폴리우레탄 폼은 성형된 폼, 슬라브스톡(slabstock) 폼과 같은 물품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가구 및 자동차 좌석의 쿠션재, 매트리스, 카펫 이판(backing), 기저귀에서 친수성 폼 및 패키징 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본 발명의 몇 개의 구현예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는 동등하게 효과적인 다른 수단이 본 발명의 정신을 수행하기 위해 고안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본 발명에서 검토된 모든 범위가 어떤 낮은 양으로부터 어떤 높은 양까지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고려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제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제 유무에 따라 폼을 제조했다. 이들 실시예에 사용된 난연제는 약 10 중량% 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고리형 포스포네이트 난연제 (상표명 Amgard CU 로 시판), 및 약 90 중량% 의 이소프로필 디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이었다.
폼 제조: 폴리올, 계면활성제, 난연제, 물 및 아민 촉매의 무게를 재고 표1에 나타나 있는 양으로 반 갤런 들이 용기에 넣었고, "php"는 파츠 퍼 헌드레드 폴리올(parts per hundred polyol) 이다. 그 다음, 이 "B"측을, 60초 동안 2000rpm 에서 보타이 애지테이터(bow tie agitator)로 예비배합하거나, 눈에 보이는 상 분리가 없을 때까지 균일하게 혼합했다. 일단 혼합하면, rpm 을 500 으로 감소시키고, 타이머를 시작하고, 배합물을 40초 동안 혼합하고, 그때, TDI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했다. 50초에서, 옥탄산제1주석 (Kosmos 29)을 혼합하고, 크림 타임(cream time) (반응시간)을 적을 때까지 혼합을 계속했다. 그 다음, 혼합물을 14×14×14 카드보드 박스에 붓고, 상승 시간을 기록했다. 밀도와 인덱스(index)에 의존하는, 본 연구에서 관찰된 전형적인 크림 및 상승 시간은 크림에 대해서는 56 내지 59초였고, 상승에 대해서는 155 내지 170초였다. 시간들은 혼합 개시부터 관찰점까지이다.
전형적인 PU 폼 제형*
성분 Php
폴리에테르 폴리올 - 3,000 m (BASF 1388) 100
아민 촉매* (Niax A1 - Momentive) 0.07
주석 촉매 (Kosmos 29 -Degussa) 0.21-0.27
계면활성제 (B-8229 -Degussa) 1
3.2-6.75
난연제 8-20
TDI 80/20 (인텍스 105-115) 42-76
*: 주어진 제형에 사용된 각 성분의 정확한 양은 하기의 표2에 나타나 있다.
난연 시험: 본 발명에 따른 난연제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서, 상기 공정으로 만들어진 폼의 난연제 함량을 달리했다. 인화성 시험을 3회 수행하고, 그 결과는 켈리포니아 테크니칼 불리틴(California Technical Bulletin) 117 파트 A (수직 연소) 및 D (그을려서 검게 함)을 근거로 하여 % 로서 표현되었다. Cal 117 는 연소를 위해 10개(24시간 동안 104℃의 에이징 전(前) 5개 및 후(後) 5개)의 샘플이 필요하다. 어느 하나의 세트로부터 하나가 실패하면, 그 다음에는 다른 5개를, 실패된 세트로부터 연소한다. 통과 및 실패 기준은 하기를 근거로 한다:
● 평균 문자(char) 길이는 6인치를 넘지 않아야한다.
● 어떤 개별 시료의 최대 문자 길이는 8인치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용융된 재료의 화염 후를 포함하는, 화염 후의 평균은 5초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어떤 개별 시료의 화염 후 최대는 10인치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백분율을 기준으로, 시험은 20개의 샘플에 대해 2개의 실패를 허용하고, 즉 상기 기준에 의해 약술된 바와 같이 90% 의 전체 비율을 허용한다.
Figure pct00001

Claims (29)

  1. a) 적어도 하나의 고리형 포스포네이트 난연제; 및
    b) 적어도 하나의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를 포함하되,
    상기 a) 는 난연 첨가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b) 는 난연 첨가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70 중량% 초과의 양으로 존재하는, 폴리우레탄 폼(foam)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난연 첨가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가 P-NMR 또는 ICP 에 의해 측정시 인 함량을 난연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i) 약 10 내지 약 30 중량% 의 범위; (ⅱ) 약 15 내지 약 25 중량% 의 범위; 또는 (ⅲ) 약 18 내지 약 21 중량% 의 범위로 갖는 난연 첨가제.
  3. 제1항에 있어서, 고리형 포스포네이트는 고리형 포스포네이트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70 중량% 범위의 모노머 및 약 15 내지 약 25 중량% 범위의 다이머를 함유하는 난연 첨가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는 i) 이소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ⅱ) 디(이소프로필페닐페닐)페닐포스페이트; ⅲ) 트리(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및 ⅳ)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인 난연 첨가제.
  5. 제4항에 있어서,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는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트리페닐 포스페이트를 (a) 약 0 내지 약 50 중량% 의 범위; (b) 약 10 내지 약 50 중량% 의 범위; 또는 (c) 약 20 내지 약 40 중량% 의 범위로 함유하는 난연 첨가제.
  6. 제3항에 있어서, 모노머는 CAS 등록번호 41203-81-0 이고, 다이머는 CAS 등록번호 42595-45-9 인 난연 첨가제.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첨가제는 a)와 b) 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i) 약 5 내지 약 30 중량% 범위의 a) 성분 및 약 70 내지 약 95 중량% 범위의 b) 성분; 또는 ⅱ) 약 5 내지 약 15 중량% 범위의 a) 성분 및 약 85 내지 약 95 중량% 범위의 b) 성분을 함유하는 난연 첨가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 중 상기 i) 내지 iv) 의 적어도 하나의 양은,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i) 이소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약 20 내지 약 50 중량% 범위; ⅱ)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디(이소프로필페닐페닐)페닐포스페이트 약 20 내지 약 40 중량% 범위; ⅲ) 트리(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약 1 내지 약 15 중량% 범위; 및 ⅳ)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약 0 내지 약 50 중량% 범위인 난연 첨가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는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i) 약 20 내지 약 50 중량% 범위의 이소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ⅱ)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20 내지 약 40 중량% 범위의 디(이소프로필페닐페닐)페닐포스페이트; ⅲ) 약 1 내지 약 15 중량% 범위의 트리(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및 ⅳ) 약 0 내지 약 50 중량% 범위의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난연 첨가제.
  10. 적어도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적어도 하나의 발포제; 및 난연 첨가제로부터 유도된 연성 폴리우레탄 폼(foam)에 있어서,
    상기 난연 첨가제는,
    a) 적어도 하나의 고리형 포스포네이트 난연제;
    b) 적어도 하나의,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및
    c) 임의로, 하나 이상의 i) 계면활성제, ⅱ) 산화방지제, ⅲ) 희석제, ⅳ) 사슬 연장제 또는 가교제, v) 상승제, 및 vi) 가소제를 함유하고,
    상기 a) 는 a)와 b) 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b) 는 a)와 b) 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70 중량% 초과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연성 폴리우레탄 폼은 켈리포니아 테크니칼 불리틴(California Technical Bulletin) 117 파트 A 및 D 의 요건에 부합하거나 초과하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가 P-NMR 또는 ICP 에 의해 측정시 인 함량을 난연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i) 약 10 내지 약 30 중량% 의 범위; (ⅱ) 약 15 내지 약 25 중량% 의 범위; 또는 (ⅲ) 약 18 내지 약 21 중량% 의 범위로 갖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
  12. 제10항에 있어서, 고리형 포스포네이트는 고리형 포스포네이트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70 중량% 범위의 모노머 및 약 15 내지 약 25 중량% 범위의 다이머를 함유하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는 i) 이소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ⅱ) 디(이소프로필페닐페닐)페닐포스페이트; ⅲ) 트리(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및 ⅳ)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인 연성 폴리우레탄 폼.
  14. 제13항에 있어서,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는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트리페닐 포스페이트를 (a) 약 0 내지 약 50 중량% 의 범위; (b) 약 10 내지 약 50 중량% 의 범위; 또는 (c) 약 20 내지 약 40 중량% 의 범위로 함유하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
  15. 제12항에 있어서, 모노머는 CAS 등록번호 41203-81-0 이고, 다이머는 CAS 등록번호 42595-45-9 인 연성 폴리우레탄 폼.
  16. 제10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첨가제는 a)와 b) 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i) a) 가 약 5 내지 약 30 중량% 범위로 존재하고 b) 가 약 70 내지 약 95 중량% 범위를 존재하거나, 또는 ⅱ) a) 가 약 5 내지 약 15 중량% 범위로 존재하고 b) 가 약 85 내지 약 95 중량% 범위로 존재하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 중 상기 i) 내지 iv) 의 적어도 하나의 양은,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i) 이소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약 20 내지 약 50 중량% 범위; ⅱ)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디(이소프로필페닐페닐)페닐포스페이트 약 20 내지 약 40 중량% 범위; ⅲ) 트리(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약 1 내지 약 15 중량% 범위; 및 ⅳ)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약 0 내지 약 50 중량% 범위인 난연 첨가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는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i) 약 20 내지 약 50 중량% 범위의 이소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ⅱ)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20 내지 약 40 중량% 범위의 디(이소프로필페닐페닐)페닐포스페이트; ⅲ) 약 1 내지 약 15 중량% 범위의 트리(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및 ⅳ) 약 0 내지 약 50 중량% 범위의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난연 첨가제.
  19. a) 적어도 하나의 고리형 포스포네이트 난연제;
    b) 적어도 하나의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c) 적어도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d) 적어도 하나의 발포제; 및
    e) 임의로, 하나 이상의 i) 계면활성제, ⅱ) 산화방지제, ⅲ) 희석제, ⅳ) 사슬 연장제 또는 가교제, v) 상승제, 및 vi) 가소제를 화합하거나 조합함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foam)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는 a)와 b) 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b) 는 a)와 b) 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70 중량% 초과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a) 내지 d), 임의의 상기 e) 는 적어도 하나의 촉매의 존재에서 화합되며; 형성된 난연성의 연성 폴리우레탄 폼은 켈리포니아 테크니칼 불리틴(California Technical Bulletin) 117 파트 A 및 D 의 요건에 부합하거나 초과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의 형성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a) 가 P-NMR 또는 ICP 에 의해 측정시 인 함량을 난연제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i) 약 10 내지 약 30 중량% 의 범위; (ⅱ) 약 15 내지 약 25 중량% 의 범위; 또는 (ⅲ) 약 18 내지 약 21 중량% 의 범위로 갖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의 형성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고리형 포스포네이트는 고리형 포스포네이트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70 중량% 범위의 모노머 및 약 15 내지 약 25 중량% 범위의 다이머를 함유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의 형성 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는 i) 이소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ⅱ) 디(이소프로필페닐페닐)페닐포스페이트; ⅲ) 트리(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및 ⅳ)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인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의 형성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는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트리페닐 포스페이트를 (a) 약 0 내지 약 50 중량% 의 범위; (b) 약 10 내지 약 50 중량% 의 범위; 또는 (c) 약 20 내지 약 40 중량% 의 범위로 함유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의 형성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모노머는 CAS 등록번호 41203-81-0 이고, 다이머는 CAS 등록번호 42595-45-9 인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의 형성 방법.
  25. 제15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a)와 b) 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i) a) 는 약 5 내지 약 30 중량% 범위로 존재하고 b) 는 약 70 내지 약 95 중량% 범위로 존재하거나; ⅱ) a) 가 약 5 내지 약 15 중량% 범위로 존재하고 b) 가 약 85 내지 약 95 중량% 범위로 존재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의 형성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 중 상기 i) 내지 iv) 의 적어도 하나의 양은,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i) 이소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약 20 내지 약 50 중량% 범위; ⅱ)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디(이소프로필페닐페닐)페닐포스페이트 약 20 내지 약 40 중량% 범위; ⅲ) 트리(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약 1 내지 약 15 중량% 범위; 및 ⅳ)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약 0 내지 약 50 중량% 범위인 난연 첨가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는 이소프로필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혼합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i) 약 20 내지 약 50 중량% 범위의 이소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ⅱ) 알킬화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20 내지 약 40 중량% 범위의 디(이소프로필페닐페닐)페닐포스페이트; ⅲ) 약 1 내지 약 15 중량% 범위의 트리(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및 ⅳ) 약 0 내지 약 50 중량% 범위의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난연 첨가제.
  28. 제19항에 있어서, a) 는 약 5 내지 약 25 phr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의 형성 방법.
  29. 제19항에 따른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으로부터 만들어진 성형품 또는 압출품.
KR1020107002011A 2007-08-07 2008-08-06 난연성의 연성 폴리우레탄 폼 및 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형 KR201000393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450507P 2007-08-07 2007-08-07
US60/954,505 2007-08-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366A true KR20100039366A (ko) 2010-04-15

Family

ID=40254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011A KR20100039366A (ko) 2007-08-07 2008-08-06 난연성의 연성 폴리우레탄 폼 및 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00298454A1 (ko)
EP (1) EP2178962A2 (ko)
JP (1) JP2010535902A (ko)
KR (1) KR20100039366A (ko)
CN (1) CN101772539A (ko)
BR (1) BRPI0814885A2 (ko)
CA (1) CA2695788A1 (ko)
MX (1) MX2010001412A (ko)
TW (1) TW200918589A (ko)
WO (1) WO200902103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026763A (en) * 2008-12-08 2010-07-16 Albemarle Corp Phosphorus flame retardants and applications therefor
US9920474B2 (en) * 2013-03-13 2018-03-20 Milliken & Company Flame-resistant fiber blend, yarn, and fabric,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103467703B (zh) * 2013-09-26 2015-09-02 南京年吉冷冻食品有限公司 一种抗菌阻燃双功能型软质聚氨酯泡沫塑料制备方法
EP3134490B1 (en) 2013-12-17 2019-11-13 ICL-IP America Inc. Flame retardant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cyclic phosphonate blend and bis-phosphate ester, and polyurethane foam containing the same
US11761124B1 (en) 2021-09-09 2023-09-19 Milliken & Company Elastic flame-resistant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4068A (en) * 1978-03-21 1980-03-18 The Dow Chemical Company Flame retardant composition for polyurethane comprising bromohydrin of pentaerythritol and an organophosphorus compound
GB9004633D0 (en) * 1990-03-01 1990-04-25 Albright & Wilso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US5837760A (en) * 1994-03-16 1998-11-17 Elastogran Gmbh Self-extinguish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s and their preparation
US6593404B1 (en) * 1997-10-23 2003-07-15 Cheil Industries, In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DE19941827A1 (de) * 1999-09-02 2001-03-08 Bayer Ag Flammwidrige Polycarbonat-Blends
JP3985932B2 (ja) * 2000-08-25 2007-10-03 キョーワ株式会社 建築工事メッシュシート用難燃剤とこの難燃剤を用いて処理した防炎性建築工事メッシュシート
US6667355B2 (en) * 2001-08-30 2003-12-23 Pabu Services, Inc. Higher alkylated triaryl phosphate ester flame retardants
WO2003099919A1 (en) * 2002-05-20 2003-12-04 Pabu Services, Inc. Blends of (alkyl substituted) triaryl phosphate esters with phosphorus-containing flame retardants for polyurethane foams
KR100505317B1 (ko) * 2003-08-04 2005-08-02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1654321B1 (en) * 2003-08-14 2012-10-10 Cheil Industries Inc. Flameproof rubber-reinforced styrenic resin composition
KR100506067B1 (ko) * 2003-08-14 2005-08-03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FR2864098B1 (fr) * 2003-12-19 2007-08-31 Rhodia Chimie Sa Systeme ignifugeant a base de composes du phosphore et composition polymerique ignifugee
FR2883865B1 (fr) * 2005-04-01 2007-05-18 Saint Gobain Isover Sa Laine minerale, produit isolant et procede de fabrication
CN101248130B (zh) * 2005-05-27 2011-11-09 苏普雷斯塔有限责任公司 阻燃软质聚氨酯泡沫
DE102005053889A1 (de) * 2005-11-11 2007-05-16 Lanxess Deutschland Gmbh Halogenfreie, flammgeschützte Polyurethanschaumstoffe
KR100817399B1 (ko) * 2005-12-29 2008-03-27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07118089A1 (en) * 2006-04-06 2007-10-18 Albemarle Corporation Flame retardant additive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KR20080112323A (ko) * 2006-04-24 2008-12-24 알베마를 코포레이션 높은 오르토 알킬화를 이용한, 낮은 트리페닐포스페이트 및높은 인 함량의 이소프로필 페닐 포스페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72539A (zh) 2010-07-07
WO2009021036A3 (en) 2009-04-02
EP2178962A2 (en) 2010-04-28
JP2010535902A (ja) 2010-11-25
MX2010001412A (es) 2010-03-10
TW200918589A (en) 2009-05-01
CA2695788A1 (en) 2009-02-12
WO2009021036A2 (en) 2009-02-12
US20100298454A1 (en) 2010-11-25
BRPI0814885A2 (pt) 201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789B1 (ko) 폴리우레탄 폼을 위한 (알킬 치환된) 트리아릴 인산에스테르와 인-함유 난연제의 블렌드
US9908984B2 (en) Flame retardant polyurethane foa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110237144A1 (en) Phosphorus flame retardants and applications therefor
US20090143494A1 (en) Flame Retardant Additive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JP2010535896A (ja) 粘弾性ポリウレタン発泡体中での使用に適切な火炎遅延剤
BR102014022668A2 (pt) preparação de éster de ácido fosfórico,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uma preparação de éster de ácido fosfórico, uso de preparações de éster de ácido fosfórico, preparações de agentes ignífugos, poliuretanos, espumas de poliuretano,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poliuretanos, uso dos poliuretanos, e processo para reduzir a higroscopia de poli (alquilenofosfatos)
DE60317320T2 (de) Mischungen von tetrahalogenphthalaten und phosphorverbindungen als flammschutzmittel für polyurethane
KR20100039366A (ko) 난연성의 연성 폴리우레탄 폼 및 연성 폴리우레탄 폼 제형
US5164417A (en) Phosphate ester flame retardant mixture and foamed resins containing same
KR20050104374A (ko) 난연성 폴리우레탄 및 이의 제조용 첨가제 조성물
WO2006069095A1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and polyurethane foam containing same
JP6776279B2 (ja) 硬質ウレタン樹脂組成物
US20070155845A1 (en) Non-halogenated flame retardent composition and polyurethane foam containing same
WO2006119369A1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and polyurethane foams containing same
US10144872B2 (en) Flame retardant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cyclic phosphonate blend and bis-phosphate ester, and polyurethane foam containing the same
JPH09310016A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難燃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