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721A - 로터리 노브부재 - Google Patents

로터리 노브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721A
KR20100038721A KR1020080097797A KR20080097797A KR20100038721A KR 20100038721 A KR20100038721 A KR 20100038721A KR 1020080097797 A KR1020080097797 A KR 1020080097797A KR 20080097797 A KR20080097797 A KR 20080097797A KR 20100038721 A KR20100038721 A KR 20100038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rotary
rotary body
control knob
reference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4288B1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2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로터리 노브부재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기준면으로 부터 노출되어 회전되는 조절노브와, 조절노브 내부에 구비되고, 중공되어 발광소자를 보호하는 로터리바디와, 조절노브의 후측에 결합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고, 로터리바디에는 외부 충격시 응력집중으로 인해 쉽게 파단되는 파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브의 일부 부품인 내부의 로터리바디에 파단부를 형성하여 자동차 안전법규로서 돌출물 규제에 대한 법규사항(기준면에 대하여 9.5mm이하)을 만족하고,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설계 시 공간의 제약이 없는 장점을 지닌다.
공조장치, 노브, 로터리바디, 파단부

Description

로터리 노브부재{Rotary knob member}
본 발명은 로터리 노브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공조장치의 스위치에 구비되는 로터리 노브부재에 외부 충격시 파손되어 파단부를 형성하여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로터리 노브부재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쾌적한 탑승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차량 실내 공기의 온도 및 습도 등을 조절하는 공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계기판 중앙부에 설치된 센터페시어 패널(기준면)에는 공조모드, 라디오 및 공조장치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모드 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있고, 모드 스위치들에는 이것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돌출물, 즉 노브들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노브는 자동차 안전법규로서 돌출물 규제에 대한 법규사항(기준면에 대하여 9.5mm이하)을 만족해야 한다.
그러나, 탑승자의 조장 편의성 때문에 부득이 돌출도는 높이가 커야 하는 돌 출물은, 상기의 돌출물 규제를 만족하기 위하여, 예컨대 자동차 충돌사고시 조수석 탑승자에 의하여 일정 크기 이상(38.5kgf)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돌출물이 기준면(센터페시어 패널)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상기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노브 충격흡수 구조가 적용된 모드스위치가 도시 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 따른 노브 충격흡수 구조는 인쇄회로기판(1)과 인쇄회로기판(1)의 전면에 형성되는 연결부(2)와, 상기 연결부(2)에 연결되어 각종 기능을 조작하는 노브(5)로 이루어진다.
인쇄회로기판(1)에는 상기 연결부(2)를 기준으로 둘레가 절개된 파단부(7)가 형성되고, 파단부(7)와 연결편(9)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노브(5)의 전측에서 일정 크기 이상(38.5kgf)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연결편(9)이 파손되면서 파단부(7)가 인쇄회로기판(1)에서 절개되고, 기준면에서 돌출되어 있던 노브(5)는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는 구조를 지닌다.
종래 기술에 따른 노브 충격흡수 구조에 의하면, 외부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의 일부가 절개되어 파손되는 구조를 지니게 됨으로 회로패턴의 설계시 공간의 제약을 받게 되어 설계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쇄회포기판이 갖는 구조상 폭이 협소한 연결편이 형성될 수 밖에 없어 작업시 연결편의 파손에 의해 경제적이지 못하고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노브의 일부 부품인 내부의 로터리에 파단부를 형성하여 자동차 안전법규로서 돌출물 규제에 대한 법규사항(기준면에 대하여 9.5mm이하)을 만족하고, 인쇄회로기판에 노브 충격흡수구조를 지니지 않아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설계 시 공간의 제약이 없이 설계가 가능한 로터리 노브부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타리 노브부재는: 기준면으로 부터 노출되어 회전되는 조절노브와, 조절노브 내부에 구비되고, 중공되어 발광소자를 보호하는 로터리바디와, 조절노브의 후측에 결합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고, 로터리바디에는 외부 충격시 응력집중으로 인해 쉽게 파단되는 파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파단부는 로터리바디의 상단부 둘레면에 함몰되어 얇은 두께를 갖는 파단리브 및 파단리브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파단리브의 파단 시 상호 접하여 조절노브가 기준면 내부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로터리 노브부재에 따르면, 노브의 일부 부품인 내부의 로터리바디에 파단부를 형성하여 자동차 안전법규로서 돌출물 규제에 대한 법규사항(기준면에 대하여 9.5mm이하)을 만족하고, 인쇄회로기판에 노브 충격흡수구조를 지니지 않아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설계 시 공간의 제약이 없이 설계가 가능하여 양산이 용이한 장점을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노브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노브부재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로터리 노브부재가 장착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노브부재의 파단부의 파단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브부재(100)는 기준면(센터페시어 패널)으로부터 노출되어 회전되는 조절노브(110)와, 조절노브(110) 내부에 구비되고, 중공되어 발광소자(미도시)를 보호하는 로터리바디(120)와, 조절노브(110)의 후측에 결합되는 지지몸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조절노브(110)의 전측에는 내부에 구비되는 발광소자의 빛을 투과하는 투시창(112) 및 의장표시캡(114)이 고정캡(116)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노브(110)는 인쇄회로기판(10)의 후측에 구비되는 커넥터(미도시)에 결합된 회전체에 연결된다.
회전체는 커넥터의 중앙부에 형성된 회전축(미도시)과 회전축에 결합되어 편심되도록 형성된 회전부재(12)로 이루어진다.
즉, 인쇄회로기판(10)에는 회전부재(12)가 노출되도록 가이드홀(14)이 형성되고, 가이드홀(14)을 통해 노출된 회전부재(12)가 조절노브(11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홀(110a)에 끼워져 연결되는 것이다.
이는 중공된 조절노브(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발광소자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때, 조절노브(110)는 인쇄회로기판(10)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조절노브(110)의 내부에는 로터리바디(120)가 삽입되도록 중공부(118)가 형성되고, 중공부(118)의 선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로터리바디(120)의 상단면에 접하게 된다.
상기 로터리바디(120)에는 외부 충격시 응력집중으로 인해 쉽게 파단되는 파단부(140)가 형성된다.
파단부(140)는 로터리바디(120)의 상단부 둘레면에 함몰되어 얇은 두께를 갖는 파단리브(142)와, 파단리브(142)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파단리브(142)의 파 단 시 접하여 조절리브(110)가 기준면의 내부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턱(144)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브부재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커넥터의 중앙에 형성된 회전축에 회전부재(12)가 끼워져 삽입되고, 회전부재(12)는 일측 끝단은 인쇄회로기판(10)의 가이드홀(1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조절노브(110)의 전측에 의장표시캡(114)과 투시창(112)가 고정캡(116)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로터리바디(120)는 조절노브(110)의 중공부(118)선단에 선단이 접하도록 삽입되고, 조절노브(110)의 후측에 지지몸체(130)가 조립된다.
이처럼 조립된 로터리노브부재(100)의 결합홀(110a)에 회전부재(12)에 연결하여 조립을 완성한다.
이후, 로터리 노브부재(100)의 전측에서 일정크기(38.5kgf) 이상의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조절노브(110)가 기준면 내측으로 밀려 들어오게 되고, 중공부(118)의 선단과 로터리바디(120)가 접해 있어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바디(120)의 파단리브(142)가 파손된다.
이때, 파단리브(142)의 파손에 의해 조절노브(110)가 기준면에서 함몰되는 공간을 확보하여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파단리브(142)의 파손 이후 파단리브(142)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멈춤턱(144)이 서로 접하게 되어 조절노브(110)가 더 이상 기준면의 내측으로 밀리 는 것을 방지하여 인쇄회로기판(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로터리 노브부재(100)는 파단리브(142)의 파손에 의해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멈춤턱(144)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0)을 보호하는 구조를 지닌다.
또한, 노브충격구조가 종래의 인쇄회로기판(10)에 있는 것이 아니라 로터리 노브부재(100)에 있어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설계 시 공간의 제약이 없이 설계가 가능하여 양산이 용이한 장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노브 충격흡수 구조가 적용된 모드스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노브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노브부재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로터리 노브부재가 장착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노브부재의 파단부의 파단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로터리 노브부재 110 : 조절노브
112 : 투시창 114 : 의장표시캡
116 : 고정캡 118 : 중공부
120 : 로터리 바디 130 : 지지몸체
140 : 파단부 142 : 파단리브
144 : 멈춤턱

Claims (2)

  1. 기준면으로 부터 노출되어 회전되는 조절노브;
    상기 조절노브 내부에 구비되고, 중공되어 발광소자를 보호하는 로터리바디;
    상기 조절노브의 후측에 결합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바디에는 외부 충격시 응력집중으로 인해 쉽게 파단되는 파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노브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부는 상기 로터리바디의 상단부 둘레면에 함몰되어 얇은 두께를 갖는 파단리브; 및
    상기 파단리브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파단리브의 파단 시 상호 접하여 상기 조절노브가 상기 기준면 내부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노브부재.
KR1020080097797A 2008-10-06 2008-10-06 로터리 노브부재 KR101014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97A KR101014288B1 (ko) 2008-10-06 2008-10-06 로터리 노브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97A KR101014288B1 (ko) 2008-10-06 2008-10-06 로터리 노브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721A true KR20100038721A (ko) 2010-04-15
KR101014288B1 KR101014288B1 (ko) 2011-02-16

Family

ID=4221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797A KR101014288B1 (ko) 2008-10-06 2008-10-06 로터리 노브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2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804B1 (ko) * 2010-12-15 2012-06-1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용 로터리푸쉬스위치 모듈
US11409319B2 (en) * 2020-08-13 2022-08-09 Hyundai Mobis Co., Ltd. Multi-functional knob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329B1 (ko) * 2003-05-23 2010-09-20 한라공조주식회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의 모드 스위치용 노브
JP2006066288A (ja) 2004-08-27 2006-03-09 Mitsubishi Electric Corp 操作機構
JP2008041654A (ja) * 2006-07-12 2008-02-21 Sumitomo Wiring Syst Ltd 車両用スイッチ
KR100897329B1 (ko) 2007-11-27 2009-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컨트롤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804B1 (ko) * 2010-12-15 2012-06-1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용 로터리푸쉬스위치 모듈
US11409319B2 (en) * 2020-08-13 2022-08-09 Hyundai Mobis Co., Ltd. Multi-functional kno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4288B1 (ko) 201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11744A (ja) 衝撃吸収装置を有する車両のモードスイッチ組立体
KR20190041774A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JP2008041654A (ja) 車両用スイッチ
KR101014288B1 (ko) 로터리 노브부재
KR20020079356A (ko) 차량의 모드스위치용 노브 충격흡수구조
KR101021949B1 (ko) 로터리 스위치
JP2012208821A (ja) つまみ装置
KR101040327B1 (ko) 듀얼 로터리 푸쉬 스위치
KR101005205B1 (ko)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
KR101144904B1 (ko) 로터리 스위치 조립체
US7038921B2 (en) Electronic apparatus
US10894518B2 (en) Door trim
CN111746276B (zh) 仪表板结构
KR20030031219A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조절용 노브 어셈블리
KR100457676B1 (ko) 완충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공조패널
KR1020586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KR101327408B1 (ko) 로터리 스위치 조립체
KR101152804B1 (ko) 차량용 로터리푸쉬스위치 모듈
JP2010153058A (ja) つまみ装置及び車載用電子装置
KR102142657B1 (ko) 차량용 화면표시장치
KR101619415B1 (ko) 계기판용 마스크 조립체
KR20060074029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충격완화 컨트롤러
KR100930884B1 (ko) 차량의 히터 컨트롤 패널용 인쇄회로기판
KR20090090643A (ko) 차량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KR20230090924A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