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702A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702A
KR20100038702A KR1020080097769A KR20080097769A KR20100038702A KR 20100038702 A KR20100038702 A KR 20100038702A KR 1020080097769 A KR1020080097769 A KR 1020080097769A KR 20080097769 A KR20080097769 A KR 20080097769A KR 20100038702 A KR20100038702 A KR 20100038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peed
vibration
fl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4683B1 (ko
Inventor
배순철
김경훈
정한수
최재혁
구자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6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6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more than one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과,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드럼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와, 드럼의 회전 동안에, 감지된 드럼의 진동에 기초하여 바닥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세탁물 처리기기의 바닥 상태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게된다.
세탁물, 처리기기, 진동, 감지, 바닥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 상태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 중 드럼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여,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는 그 설치시에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물 처리기기는 마루 바닥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타일 바닥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가 설치되는 바닥에 따라 드럼의 회전에 의한 진동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조 조건 등 다양한 동작 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 결국, 안정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세탁물 처리기기의 바닥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 상태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공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과,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드럼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와, 드럼의 회전 동안에, 감지된 드럼의 진동에 기초하여 바닥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된 드럼의 진동에 기초하여 바닥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세탁물 처리기기의 바닥 상태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게된다. 또한, 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가 설치된 바닥 상태를 표시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하게 된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바닥상태에 따라 세탁물 처리기기의 드럼의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동작 안정성이 증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 내부에 배치되며 캐비닛(110)에 의해 지지되는 터브(120)와, 터브(120) 내부에 배치되며 포가 세탁되는 드럼(122) 과, 드럼(122)을 구동시키는 모터(130)와, 캐비닛 본체(111) 외측에 배치되며 캐비닛(110)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미도시)와, 터브(120) 하측에 형성되어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드럼(122)에는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통공(122A)이 형성되며, 드럼(122)의 회전시 세탁물이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진 후, 중력에 의해 낙하되도록 드럼(112)의 내 측면에 리프터(124)가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10)은, 캐비닛 본체(111)와, 캐비닛 본체(111)의 전면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캐비닛 커버(112)와, 캐비닛 커버(112)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1)와 결합하는 컨트롤패널(115)과, 컨트롤패널(115)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1)와 결합하는 탑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2)는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포 출입홀(114)과, 포 출입홀(114)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113)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115)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를 조작하는 입력부들(117)과, 입력부들(117)의 일측에 배치되며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18)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115) 내의 입력부들(117) 및 표시부(118)는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미도시)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각 구성요소등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입력부(117), 표시부(118), 드럼(122), 모터(130), 제어부(210), 및 진동 감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210)는, 입력부(117)로부터 동작 신호(Si)를 입력받아 동작을 한다. 이에 따라, 본세탁, 헹굼, 탈수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7)는, 바닥 상태의 판단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Si)를 제어부(210)에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설치된 바닥 상태를 스캔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본세탁, 헹굼, 탈수 행정을 위해 모터(130)를 제어한다. 모터 제어를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버터(미도시)로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에서 PWM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인버터(미도시)로 출력하면,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인버터(미도시)는 고속 스위칭 동작을 하여, 소정 주파수 및 소정 크기의 교류 전원을 모터(13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의 소정 주파수 및 소정 크기의 교류 전원은, 본세탁, 헹굼, 탈수 행정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입력부(117)를 통해 바닥 상태를 스캔하기 위한 동작 신호(Si)가 입력되는 경우, 드럼(122)을 회전시키도록 모터(130)를 동작시킨다. 드럼(122)이 회전하는 동안에, 제어부(210)는 진동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진동(So)에 기초하여 바닥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로 상승시키도록 제 어하고, 제1 속도 상승 동안에, 감지된 드럼의 진동에 기초하여 바닥 상태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1 속도 상승 동안에 진동 감지부(220)에서 감지되는 드럼의 진동(So)이 최고가 되는 속도를 공진 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드럼(122) 내에 포가 삽입되지 않는 경우, 및 드럼(122) 내에 포가 삽입된 경우를 고려하여, 감지된 드럼의 진동에 기초하여 바닥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210)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표시 신호(Sd)를 표시부(118)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18)는 본세탁, 헹굼, 탈수 행정 등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어부(210)에서 판단된 바닥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표시 신호(Sd)를 표시부(118)에 출력할 수 있다.
모터(130)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구비하며, 각상의 고정자의 코일에 소정 주파수의 각상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된다. 모터(130)의 종류로는 BLDC 모터, synRM 모터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모터(130)는 드럼(122)을 동작시킨다. 드럼(122)은, 도 1과 같이 터브(120)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을 위한 포가 삽입되며, 모터(130)의 회전에 의해 동작된다.
진동 감지부(220)는, 드럼(122)의 진동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진동 감지부는 진동 센서 형태일 수 있다. 진동 감지부(220)는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설치된 바닥 상태에 따른 드럼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해, 상하 방향의 진동량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진동량(So)은 제어부(210)에 입력되게 된다.
한편, 진동 감지부(220)는 드럼(122) 내에 포가 삽입된 경우 및 삽입되지 않은 경우 모두에 대해, 드럼(122)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진동 감지부(220)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이상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하나씩 장착되거나 다수의 이상 진동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는 가속도 센서일 수도 있다. 또한, 진동 감지부(220)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에서 발생된 진동량을 3개의 축(axis) 방향에 대하여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터(1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감지부(미도시)는, 모터(130)의 위치를 감지한다. 즉, 모터(130)의 회전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 위치 감지부(미도시)는 홀 센서(hall sensor), 인코더(encoder)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위치 감지부(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위치 신호는 모터(130)의 제어 동작을 위해, 제어부(210)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버터(미도시)는, 삼상 모터(130)의 각 상에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미도시)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 및 하암 스위칭 소자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 자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 내부의 간략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3의 바닥판단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저장부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3의 제어부(210)는 저장부(310), 및 바닥 판단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10)는, 드럼(122)의 진동 범위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10)는, 도 5와 같이 드럼(122)의 진동 범위를 복수개의 영역(A~B,C~D,E~F,G~H,...,K~L)로 나누고, 각 범위에 대응하는 바닥 상태(a,b,c,d,...,f)가 미리 저장된 테이블(510) 형태일 수 있다.
바닥 판단부(320)는, 진동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드럼의 진동(So)과 저장부(310)에 저장된 드럼의 진동 범위를 비교하여, 감지된 드럼의 진동(So)에 대응하는 바닥 상태를 파악한다.
바닥 판단부(320)의 동작은, 먼저 입력부(117)로부터 바닥 상태의 판단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Si)가 입력되는 경우에 개시된다. 이에 의해, 제어부(210)는, 도 4와 같이,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v1)로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며, 진동 감지부(220)는, 제1 속도(v1) 상승 동안에, 드럼의 진동량(So)을 감지한다. 감지된 드럼의 진동량(So)은 바닥 판단부(320)에 입력되며, 바닥 판단부(32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드럼의 진동 범위와 비교하여, 감지된 드럼의 진동(So)에 대응하는 바닥 상태를 파악한다.
한편, 바닥 판단부(320)는, 드럼(122) 내에 포가 삽입된 경우 및 삽입되지 않은 경우의 감지된 드럼의 진동(So)에 기초하여, 바닥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한편, 바닥 상태는,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설치된 바닥(410)이 재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 상태는, 바닥(410) 재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닥(410) 재료가 대리석(marble), 마루(floor), 타일(tile), 카펫(carpet), 비닐(vynyl),코르크(cork) 등인 경우,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v1)로 상승시킴에 따라, 진동 감지부(220)에서 감지되는 드럼의 진동량(So)은 서로 다르게 된다. 바닥 재료의 강도 또는 탄성에 따라 드럼의 진동량(So)이 달라지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바닥 상태를 판단한다. 바닥 재료의 강도가 높을수록, 탄성이 낮을수록, 드럼의 진동량(So)이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테이블(510)은, 바닥 재료의 강도 또는 탄성에 따른 진동 범위가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제1 속도(v1) 상승 동안에, 감지된 드럼의 진동량(So)이 최고가 되는 속도를 공진 대역으로 설정수 있다. 이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시에 탈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1 속도(v1)는 드럼(122)이 회전 가능한 최대속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설정된 공진대역 또는 판단된 바닥 상태에 대응하여, 본세탁, 헹굼, 탈수 행정 등의 상승 속도 기울기 등 다양한 설정 조건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바닥 판단부(320)는, 파악된 바닥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표시 신 호(Sd)를 표시부(118)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3의 제어부(210)는,상술한 바와 같이 인버터(미도시)를 제어하기 위하여, 감지된 모터(130)의 위치에 기초하여 속도를 추정하는 추정부(미도시), 추정속도 및 속도 지령치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류 지령 생성부(미도시), 전류 지령치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압 지령 생성부(미도시), 및 전압 지령치에 기초하여 PWM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정부(미도시)는, 속도 추정외에 삼상 모터(130)에 흐르는 출력전류를 추정할 수도 있다. 추정된 출력전류는 전류 지령치와 더불어 전압 지령 생성부(미도시)에 입력되어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바닥 상태에 따라 드럼의 회전 속도 설정치를 가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파악된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바닥 상태에 따라, 본세탁, 헹굼, 탈수 행정 등의 상승 속도 기울기를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서는, 특히,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 행정 방법을 도시한다. 일단, 제어부(210)는, 드럼(122)을 제1 기간(T1) 동안에 제2 속도(v2)로 상승시킨다. 여기서 제2 속도(v2)는, 포의 일부가 드럼 내에서 유동하며 포의 다른 일부는 드럼 내에 부착되는 속도이다. 예를 들어, 포의 20~30%가 드럼 내에서 유동하며, 포의 70~80%가 드럼 내에 부착되는 속도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간(T1) 동안의 제2 속도 상승 기울기(S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공진대역 또는 판단된 바닥 상태에 대응하여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공진대역이 낮을수록, 또는 바닥 재료의 강도가 낮을수록, 또는 바닥 재료의 탄성이 높을수록, 제2 속도 상승 기울기(S2)는 완만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제2 기간(T2) 동안에 제2 속도(v2)로 드럼(122)을 운전한다. 제2 속도(v2) 운전시, 감지되는 편심량이 제1 소정치 이하인 경우, 즉, 안정화된 경우, 드럼(122)을 제3 속도(v3)로 상승시킨다. 여기서 제3 속도(v3)는, 포의 전부가 드럼(122) 내에 부착되는 속도이다.
여기서, 제3 기간(T3)시의 제3 속도 상승 기울기(S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공진대역 또는 판단된 바닥 상태에 대응하여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공진대역이 낮을수록, 또는 바닥 재료의 강도가 낮을수록, 또는 바닥 재료의 탄성이 높을수록, 제3 속도 상승 기울기(S3)는 완만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제4 기간(T4) 동안에, 제3 속도(v3)로 드럼(122)을 운전한다. 제3 속도(v3) 운전시에 편심량이 감지되며, 편심량이 제2 소정치 이하인 경우, 드럼(122)의 운전 속도는 제4 속도(V4) 또는 최대 속도(vmax)로 상승될 수 있다.
제5 기간(T5)시의 제4 속도 상승 기울기(S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공진대역 또는 판단된 바닥 상태에 대응하여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공진대역이 낮을수록, 또는 바닥 재료의 강도가 낮을수록, 또는 바닥 재료의 탄성이 높을수록, 제4 속도 상승 기울기(S4)는 완만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제6 기간(T6) 동안에, 제4 속도(v4)로 드럼(122)을 운전한다. 제4 속 도(v4)는 물빼기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속도로서, 바람직하게는 공진 속도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제7 기간(T7)에 제3 속도(v3)로 하강하고, 제8 기간(T8) 동안 제3 속도(v3)로 운전한다. 이와 같이 물빼기 과정 후 다시 제3 속도(v3)로 하강시켜 포가 드럼(122) 내에 부착되도록 한다. 제5 기간 내지 제8 기간(T5~T8), 즉 물빼기 과정은 적어도 1회 수행될 수 있다.
다음, 제3 속도(v3) 운전시의 편심량이 제2 소정치 이하인 경우, 제9 기간(T9) 동안에, 최대 속도(vmax)로 상승한다. 이 때, 제9 기간(T9)시의 최대 속도 상승 기울기(Smax)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공진대역 또는 판단된 바닥 상태에 대응하여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공진대역이 낮을수록, 또는 바닥 재료의 강도가 낮을수록, 또는 바닥 재료의 탄성이 높을수록, 최대 속도 상승 기울기(Smax)는 완만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제10 기간(T10) 동안에, 드럼(122)을 최대 속도(vmax)로 운전한다. 본 탈수를 위한 과정으로, 드럼(122) 내의 포 밸런싱이 완료된 후 본격적으로 탈수 과정이 시작된다.
이때, 최대 속도(vmax)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공진대역 또는 판단된 바닥 상태에 대응하여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공진대역이 낮을수록, 또는 바닥 재료의 강도가 낮을수록, 또는 바닥 재료의 탄성이 높을수록, 최대 속도(vmax)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2 속도(v2)는 대략 60rpm 정도, 제3 속도(v3)는 대략 108rpm 정도, 제4 속도(v4)는 300rpm 이상, 최대 속도(vmax)는 500rpm 이상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 내부의 간략 블록도이다.
도 4 는 도 3의 바닥판단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저장부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바닥 상태에 따라 드럼의 회전 속도 설정치를 가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세탁물 처리기기 117:입력부
118:표시부 122:드럼
130:모터 210:제어부
220:진동 감지부 310:저장부
320:바닥 판단부 410:바닥

Claims (9)

  1.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드럼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및
    상기 드럼의 회전 동안에, 상기 감지된 드럼의 진동에 기초하여 바닥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로 상승시키며,
    상기 제1 속도 상승 동안에, 상기 감지된 드럼의 진동에 기초하여 바닥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1 속도로 상승시키며,
    상기 제1 속도 상승 동안에, 상기 감지된 드럼의 진동이 최고가 되는 속도를 공진 대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바닥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포의 일부가 상기 드럼 내에서 유동하며, 상기 포의 다른 일부는 상기 드럼 내에 부착되는 속도인 제2 속도의 상승 기울기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바닥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포가 상기 드럼 내에 부착되는 속도인 제3 속도의 상승 기울기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바닥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드럼의 최대 회전 속도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의 진동 범위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감지된 드럼의 진동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드럼의 진동 범위를 비교 하여, 바닥 상태를 파악하는 바닥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상태의 판단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바닥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 내에 포가 삽입되지 않는 경우의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감지된 드럼의 진동, 및 상기 드럼 내에 포가 삽입된 경우의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감지된 드럼의 진동에 기초하여, 상기 바닥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080097769A 2008-10-06 2008-10-06 세탁물 처리기기 KR101504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69A KR101504683B1 (ko) 2008-10-06 2008-10-06 세탁물 처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69A KR101504683B1 (ko) 2008-10-06 2008-10-06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702A true KR20100038702A (ko) 2010-04-15
KR101504683B1 KR101504683B1 (ko) 2015-03-20

Family

ID=4221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769A KR101504683B1 (ko) 2008-10-06 2008-10-06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6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4481A (ja) * 2018-03-07 2019-09-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を制御する制御方法、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0163490A (ja) * 2019-03-28 2020-10-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工作機械、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169A (ko) * 2005-09-16 2007-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제어형 드럼세탁기 및 그를 이용한 선택 탈수 방법
KR101241891B1 (ko) * 2006-06-21 2013-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숙모드를 갖는 세탁장치 및 그 운전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4481A (ja) * 2018-03-07 2019-09-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を制御する制御方法、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131050B2 (en) 2018-03-07 2021-09-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trol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control device,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is recorded
JP2020163490A (ja) * 2019-03-28 2020-10-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工作機械、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683B1 (ko) 201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1159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98862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EP2728049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7757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JPWO2013073140A1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9077748A (ja) 洗濯機
KR20090122067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110031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110023061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4293093B2 (ja) 洗濯機
KR10192405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00038702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2808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JP5326842B2 (ja) 洗濯機
KR102627102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1128660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4877339B2 (ja) 洗濯機
JP4935764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9189537A (ja) 洗濯機
JP4877340B2 (ja) 洗濯機
JP201317650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96903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085277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34053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232596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