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672A - 집어등 장치 - Google Patents

집어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672A
KR20100038672A KR1020080097724A KR20080097724A KR20100038672A KR 20100038672 A KR20100038672 A KR 20100038672A KR 1020080097724 A KR1020080097724 A KR 1020080097724A KR 20080097724 A KR20080097724 A KR 20080097724A KR 20100038672 A KR20100038672 A KR 20100038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s
case
frames
lighting modules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근
정봉만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알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알씨 filed Critical (주)에스알씨
Priority to KR1020080097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8672A/ko
Publication of KR20100038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10Arrangement of heat-generating components to reduce thermal damage, e.g. by distancing heat-generating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to be protec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어등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이격되고, 후면에 거치 봉이 가로질러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들; 프레임들에 양단이 지지가 되는 것으로, 전면에 수납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어 일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케이스들; 케이스들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수납 홈 내에 수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탑재되는 다수의 LED들을 각각 구비한 조명 모듈들; 수납 홈들에 조명 모듈들이 각각 수납된 상태에서 수납 홈들을 폐쇄하는 덮개들; 및 케이스들의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방열 부재들;을 구비한다.
집어등, LED, 방열

Description

집어등 장치{Fish gathering lamp device}
본 발명은 주광성 어류를 유인해서 포획하기 위해 사용되는 집어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류 중에는 빛에 대한 반응에 따라 빛을 잘 따르는 주광성 어류가 있다. 주광성 어류의 대표적인 예로는, 오징어, 멸치, 고등어, 전갱이, 꽁치, 갈치, 장어, 및 정어리 등을 들 수 있다.
주광성 어류를 잡기 위한 조업 방법으로는, 어선에 집어등(集魚燈)을 탑재하여 어획 대상을 유인해서 모으는 방법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집어등이란 빛으로 어획 대상을 모으기 위한 장치로서, 해상에서 사용하는 수상 집어등과, 수중에 잠수시켜 사용하는 수중 집어등으로 대별된다.
수상 집어등은 선체 상방에 설치되어 해면으로 빛을 조사하게 되는데, 그 광원으로는 백열 램프, 메탈 할라이드(metal halide) 램프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광원은 소비 전력이 큰 편이어서, 선내의 발전 설비에 사용되는 연료 소비량이 많다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 때문에, 발광효율이 높고 전력 소비가 작은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를 집어등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있다.
그런데, LED는 발광효율, 저전력소모, 경량, 박형화, 고수명 등의 장점을 갖는 반면, 열이 많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LED의 소모 전력에서 대략 70% 이상이 열로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LED가 다량으로 장착된 패널 형태의 LED 램프가 집어등에 채용되는 경우, LED들로부터 다량의 열이 발생하게 되어 집어등의 내부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집어등의 각종 부품들에 영향이 미쳐 집어등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으며, 집어등에 열 응력 또는 이에 따른 변형 등이 초래될 수도 있다.
한편, 종래의 집어등 중에는 광원의 조사 방향이 일정 각도로 항시 고정되게 설치되거나, 조사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더라도 집어등 전체를 회전시켜 각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 경우, 선체의 롤링(rolling) 또는 해상 변화에 따라 조사 면적이 달라지더라도 적절히 대응할 수 없어 효율적인 집어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명 모듈의 방열 효과를 높이고, 효율적인 집어 작업을 가능케 하는 집어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장치는, 상호 이격되고, 후면에 거치 봉이 가로질러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들; 상기 프레임들에 양단이 지지가 되는 것으로, 전면에 수납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어 일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케이스들; 상기 케이스들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 홈 내에 수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탑재되는 다수의 LED들을 각각 구비한 조명 모듈들; 상기 수납 홈들에 상기 조명 모듈들이 각각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 홈들을 폐쇄하는 덮개들; 및 상기 케이스들의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방열 부재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모듈의 LED들의 동작시 다량의 열이 발생하더라도, 열을 신속하게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 모듈에 열이 집적되는 것을 막아서, 열 응력 등으로 인한 조명 모듈의 손상 또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모듈들의 조사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명 모듈로부터의 조사 방향이 일정 각도로 항시 고정되는 것과 비교하여, 선체의 롤링 또는 해상 변화에 따라 조사 면적이 달라지더라도 적절 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집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조명 모듈들의 조사 각도를 일률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변경하도록 된 것보다, 집어 작업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어등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한 조립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있어서, Ⅲ-Ⅲ 선을 절취한 단면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집어등 장치(100)는 프레임(110)들과, 케이스(120)들과, 조명 모듈(130)들과, 덮개(140)들, 및 방열 부재(150)들을 구비한다.
프레임(110)들은 케이스(120)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프레임(110)들 사이는 연결 부재(111)들에 의해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들의 후면에 거치 봉(101)이 설치되는데, 상기 거치 봉(101)은 프레임(110)들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거치 봉(101)은 집어등 장치(100)를 선체의 상방에 매달아두기 위한 부재로서, 집어등 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한 선체 구조물에 설치된다. 여기서, 거치 봉(101)은 프레임(110)들에 고정되는 브래킷(112)들을 매개로 하여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20)들은 조명 모듈(130)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10)들에 양단이 지지가 되고, 상호 이격되게 일렬로 배열된다. 케이스(120)들은 전면에 수납 홈(121)이 각각 형성된다. 수납 홈(121)은 하나의 케이스(120)에 조명 모듈(130)이 2개 수납되는 경우, 이에 상응하여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0)는 조명 모듈(13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발산하거나 방열 부재(150)로 전달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게,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스(120)의 개수는 복수 개로 구비되기만 하면 되므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조명 모듈(130)은 빛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120)들에 각각 설치될 수 있게 복수 개로 구비된다. 각각의 조명 모듈(130)은 인쇄회로기판(131)과, 다수의 LED(136)들을 구비한다. 인쇄회로기판(131)은 수납 홈(121) 내에 수납되고, 수납 홈(121)의 저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131)은 열 발생시 케이스(120)로 열 전달되는 효과를 높일 수 있게 열전도성 접착물질에 의해 수납 홈(121)의 저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136)들은 인쇄회로기판(131)의 전면에 위치되어 수납 홈(121)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빛을 발산하게 된다. LED(136)가 조명 모듈(130)에 채용되면, 조명 모듈(130)의 발광효율, 저전력소모, 경량, 박형화, 고수명 등에 유리할 수 있다. LED(136)들은 일렬 또는 다수 열로 배열될 수 있는데, 배열 형태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조명 모듈(130)은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제공받기 위해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되는데, 케이스(120)에는 케이블 설치를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140)들은 수납 홈(121)들에 조명 모듈(130)들이 각각 수납된 상태에서, 수납 홈(121)들을 폐쇄하여 이물질의 유입 등을 방지함으로써, 조명 모듈(130)들을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덮개(140)는 LED(136)들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밖으로 투과할 수 있게, 적어도 LED(136)들이 배치된 부위에 투명 창(14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방열 부재(150)들은 LED(136)들의 동작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아서 신속하게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LED(136)들의 동작시 다량의 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열이 원활히 방출되지 않고 조명 모듈(130)에 집적되면, 열 응력 등으로 인해 조명 모듈(130)이 손상되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케이스(120)들의 각 후면에 방열 부재(150)가 설치된다. 상기 방열 부재(150)는 LED(136)들의 동작시 발생하는 열이 케이스(120)로 전달되면, 이를 다시 받아서 발산하여 조명 모듈(130)의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게 한다.
상기 방열 부재(150)는 방열 면적이 넓어질수록 방열 효과가 커지게 된다. 이를 위한 방열 부재(150)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일 예로 다수의 블레이드(blade, 151)들을 구비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151)들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케이스(120)의 후면에 수직하게 각각 고정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방열 부재(150)는 케이스(120)와 마찬가지로,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덮개(140)와 케이스(120) 사이에는 방수를 위한 시일(seal) 부재(180)가 개재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집어등 장치(100)는 해상에 떠 있는 선체에 설치되므로, 정박되어 있을 때나 조업 중일 때, 케이스(120)의 수납 홈(121) 내로 해수 또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140)와 케이스(120) 사이에 시일 부재(180)가 설치되면, 케이스(120)의 수납 홈(121)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조명 모듈(130)이 손상되는 것을 막들 수 있게 된다. 상기 시일 부재(180)로는 수납 홈(121)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될 수 있는 오-링(O-ring)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오-링 부재의 안착을 위해, 케이스(120)에 안착 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집어등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모듈(130)들의 조사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 모듈(130)로부터의 조사 방향이 일정 각도로 항시 고정되면, 선체의 롤링(rolling) 또는 해상 변화에 따라 조사 면적이 달라지더라도 적절히 대응할 수 없어, 효율적인 집어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조명 모듈(130)들의 조사 각도를 각각 다르게 변경할 수 있게 되면, 조명 모듈(130)들의 조사 각도를 일률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변경하도록 된 것보다, 집어 작업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명 모듈(130)들의 조사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회전축 부재(161)들과, 축지지 부재(166)들을 구비한다. 회전축 부재(161)들은 한 쌍씩 케이스(120)의 양단을 고정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회전축 부재(161)들은 케이스(120)의 양단에 부착될 수도 있으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케이스(120)의 양단에 밀착되어 케이스(120)의 양단을 고정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축지지 부재(166)들은 회전축 부재(161)들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10)들의 전면에 각각 고정된다. 각각의 축지지 부재(166)는 회전축 부재(161)에 회전 돌기(162)가 형성된 경우, 회전 돌기(162)가 끼워져 회전할 수 있게 축 홀(167)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축지지 부재(166)와 회전축 부재(161)를 매개로 케이스(120)가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케이스(120) 내에 수납된 조명 모듈(130)이 회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조명 모듈(130)의 조사 각도가 조정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명 모듈(130)들이 설정 각도로 조정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게, 고정 노브(knob)(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 노브(170)는 축지지 부재(166)를 관통하고, 관통된 단부가 회전축 부재(161)에 끼워짐으로써, 회전축 부재(161)가 축지지 부재(166)에 대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 모듈(130)이 설정 각도로 조정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 노브(170)가 축지지 부재(166)를 관통할 수 있게, 축지지 부재(166)에는 케이스(120)를 향해 관통 홀(168)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명 모듈(130)이 일정 각도씩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게, 회전축 부재(161)에는 축지지 부재(166)와 마주하는 면에 회전 반경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홈(163)들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 홈(163)들은 축지지 부재(166)를 회전시킴에 따라 관통 홀(168)과 순차적으로 일치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명 모듈(130)이 일정 각도씩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 홈(163)들 중 관통 홀(168)과 일치하는 고정 홈(163)에 고정 노브(170)의 단부가 끼워짐으로써, 조명 모듈(130)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 Ⅴ-Ⅴ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31)은 메탈 시트(132)와, 메탈 시트(132) 위에 적층되는 절연층(133)과, 절연층(133) 위에 형성된 전극 패턴층(13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턴층(134)에 LED(136)들이 접속되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의 최하층이 메탈 시트(132)로 이루어지게 되면, 절연 재질의 시트보다 LED(136)들의 동작에 따른 열 발생시 케이스(120)를 거쳐 방열 부재(150)로 열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인쇄회로기판(131)의 강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메탈 시트(132) 대신, 면 방향으로 열 전달에 효율적인 이방성 특성을 갖는 그래파이트(graphite) 시트가 이용될 수도 있으므로, 전술한 예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 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어등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조립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Ⅲ-Ⅲ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집어등 장치에서 조명 모듈이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 Ⅴ-Ⅴ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프레임 120..케이스
121..수납 홈 130..조명 모듈
131..인쇄회로기판 136..LED
140..덮개 150..방열 부재
161..회전축 부재 166..축지지 부재
170..고정 노브 180..시일 부재

Claims (5)

  1. 상호 이격되고, 후면에 거치 봉이 가로질러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들;
    상기 프레임들에 양단이 지지가 되는 것으로, 전면에 수납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어 일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케이스들;
    상기 케이스들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 홈 내에 수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탑재되는 다수의 LED들을 각각 구비한 조명 모듈들;
    상기 수납 홈들에 상기 조명 모듈들이 각각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 홈들을 폐쇄하는 덮개들; 및
    상기 케이스들의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방열 부재들;
    을 구비하는 집어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들의 각 양단을 고정하는 회전축 부재들과, 상기 프레임들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 부재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축지지 부재들을 더 구비하여서, 상기 조명 모듈들의 조사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 부재의 회전 반경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 홈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고정 노브(knob)를 구비하여서, 상기 조명 모듈들이 설정 각도로 조정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수직하게 각각 고정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는 다수의 블레이드(blade)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덮개 사이에는 방수를 위한 시일(seal) 부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장치.
KR1020080097724A 2008-10-06 2008-10-06 집어등 장치 KR20100038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24A KR20100038672A (ko) 2008-10-06 2008-10-06 집어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24A KR20100038672A (ko) 2008-10-06 2008-10-06 집어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672A true KR20100038672A (ko) 2010-04-15

Family

ID=4221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724A KR20100038672A (ko) 2008-10-06 2008-10-06 집어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867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442B1 (ko) * 2010-12-02 2011-03-15 주식회사 파루스 식물재배용 엘이디전등장치
KR101297069B1 (ko) * 2012-07-27 2013-08-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압력보상기를 이용한 심해용 led 수중조명장치
KR101442492B1 (ko) * 2014-06-16 2014-09-26 (주) 씨엘테크 각도조절이 가능한 led 등기구
KR101464176B1 (ko) * 2014-01-13 2014-11-20 정지상 Led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1513401B1 (ko) * 2014-09-29 2015-04-17 치토 이유 엘이디 어선 집어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442B1 (ko) * 2010-12-02 2011-03-15 주식회사 파루스 식물재배용 엘이디전등장치
KR101297069B1 (ko) * 2012-07-27 2013-08-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압력보상기를 이용한 심해용 led 수중조명장치
KR101464176B1 (ko) * 2014-01-13 2014-11-20 정지상 Led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1442492B1 (ko) * 2014-06-16 2014-09-26 (주) 씨엘테크 각도조절이 가능한 led 등기구
KR101513401B1 (ko) * 2014-09-29 2015-04-17 치토 이유 엘이디 어선 집어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058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가로등의 냉각구조
US8757842B2 (en) Heat sink system
US8215799B2 (en) Lighting apparatus with heat dissipation system
JP4575890B2 (ja) 集魚灯
JPWO2007096938A1 (ja) 集魚灯、集魚灯装置およびその冷却方法
KR20100038672A (ko) 집어등 장치
KR200446557Y1 (ko) 집어등 장치
KR101030133B1 (ko) 고휘도 led용 섬광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등명기
JP5778217B2 (ja) 集魚灯
KR101345690B1 (ko) Led집어등장치
KR20110040324A (ko) 냉각장치가 구비된 고효율 파워 엘이디 조명등
JP4735848B2 (ja) 集魚灯
KR20100055309A (ko) 강제냉각방식을 이용한 엘이디 집어등장치
KR20110035469A (ko) 선체의 좌·우현에 설치되는 고집적 엘이디 집어등
KR101073996B1 (ko) 방열장치를 구비한 엘이디 집어등
CN113749063B (zh) 集鱼灯
JP2013004510A (ja) 集魚灯
KR20090053767A (ko) 담수설비를 이용한 수냉식 엘이디집어등 장치.
RU105401U1 (ru) Светодиодное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930538B1 (ko) 어류 집어용 led 집어등
JP2011034804A (ja) 照明用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6849943B2 (ja) 照明装置
KR20170037382A (ko) 습기제거기가 구비된 안정기 내장형 집어등
KR100981662B1 (ko) 열방출부를 구비한 엘이디 집어등
RU133901U1 (ru) Светодиодное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