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128A - 자석형 자동 서표 - Google Patents

자석형 자동 서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128A
KR20100038128A KR1020080097437A KR20080097437A KR20100038128A KR 20100038128 A KR20100038128 A KR 20100038128A KR 1020080097437 A KR1020080097437 A KR 1020080097437A KR 20080097437 A KR20080097437 A KR 20080097437A KR 20100038128 A KR20100038128 A KR 20100038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mark
book
automatic
present
book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현
Original Assignee
김남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현 filed Critical 김남현
Priority to KR1020080097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8128A/ko
Publication of KR2010003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1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 B42D9/004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removably attached to the book
    • B42D9/005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removably attached to the book clamped on th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2Automatic bookmar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1/00Filing appliances with separate intermediate holding means
    • B42F11/04Filing appliances with separate intermediate holding means magneti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1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paper articles, e.g. booklets, news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02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06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information carrying means, e.g. advertis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서표에 관한 것으로 자석 부를 이용하여 책장이나 표지에 부착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탈착이 가능한 자동 서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의 서표 부와 안착 부를 활용한 효과적인 광고 장치와 메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석, 서표, 책갈피, 광고, 메모

Description

자석형 자동 서표 {Magnet type Autobookmarker}
본 발명은 자동 서표에 관한 것으로 자석 부를 이용하여 책장이나 표지에 부착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탈착이 가능한 자동 서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의 서표 부와 안착 부를 활용한 효과적인 광고 장치와 메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자동 서표 : 우선권 주장 JP-P-2002-00163874 200. 06. 05 || 국제 공개 번호 WO 2003/103982 || 국내 등록 번호 10-0648976
[문헌 2] 착탈식 서표 : 국내 공개 번호 10-2002-0058201
[문헌 3] 자석을 이용한 접철식 책갈피 꽂이 : 국내 공고 번호 실 1991 - 000416
배경 기술에 기재한 [문헌 1]의 자동 서표의 경우, 자동 서표의 베이스 시트를 서적의 상단에 끼우는 형태로 서적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문헌 1]의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가 서적의 상단에 장착될 경우에는 자동 서표가 서적의 측단에 장착됐을 때 보다 ‘책장을 넘기는 힘’이 커야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 독자가 서적을 구부려서 읽을 경우 서적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자동 서표도 함께 구부러짐으로써 이 작용에 의해 탄성이 있는 서표 부가 단단해져 자동 서표 장치로서 적합하지 않은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문헌 1]의 자동 서표를 서적의 측단에 끼울 경우 서적에 제대로 안착을 하지 못하여 수시로 서적과 분리되어 떨어지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또한, 서적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베이스 시트의 크기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서표 장치로서의 크기도 커질 수밖에 없어 현재 읽고 있는 서적의 여러 페이지를 표시하는 장치로써는 부적절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다수 개를 구비하여 활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존재하여 한명의 독자가 다수의 서적을 동시에 읽고 있는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베이스 시트가 끼워져 있는 페이지와 가까워질수록 베이스시트가 서적에서 쉽게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문헌 2]의 착탈식 서표의 경우, 머리핀 모양의 클립이나 젬클립의 머리부 에 1개 이상의 서표 끈을 연결하여 두고, 해당 클립을 서적의 앞표지나 뒤표지에 장착하여 다수개의 서표 끈을 통하여 현재 읽고 있는 서적에서 표시해 놓고 싶은 여러 군데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현재 읽고 있는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서 책을 덮을 때마다 매번 서표 끈을 옮겨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서표 끈이 있는 해당 페이지에 어떤 내용이 있는지 알기 위해서는 반드시 책장을 펼쳐봐야 하는 불편함도 존재한다.
[문헌 3]의 자석을 이용한 접철식 책갈피 꽂이의 경우, 자석을 이용하여 서표로 활용한다는 취지를 배제하고서는 기존의 서표장치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실용적인 면이 부각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 시트를 사용하여 자동 서표를 서적에 안착시키는 종래의 자동 서표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서적의 상단뿐만 아니라 서적의 측단에도 손쉽게 장착이 가능한 서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에 언급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서표 부(200)와 자석과 자석, 자석과 철 등의 자성 물질의 쌍이 부착되는 자성 물질 면(208), 자성 물질 면에 부착되는 자석 물질을 일컫는 자석 부(202)를 본 발명 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의 주요 구성 부로 활용한다. 여기서 자성 물질 면(208)에 부착되는 자성 물질은 자석만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자석과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 등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들은 자성 물질 면(208)에 위치한 자석 부(202)를 통해 서적의 표지(300)뿐만 아니라 책장(302-내지) 어느 곳이든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를 손쉽게 부착시킬 수 있으며, 서적을 다 읽은 후에는 손쉽게 서적에서 제거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는 그 크기가 충분히 작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여러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 다수개의 자동 서표를 활용하여도 서적을 읽는데 무리가 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서표 부(200)와 안착 부(201a, 201b)를 광고 부(214a, 214b, 216a, 216b)로 활용하여 효과적인 광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서표 부(200)와 안착 부(201a, 201b)를 메모 부(230)로 활용하여 효과적인 메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는 [문헌 1]의 발명과 비교하여, 도서에 부착 시 자석을 활용함으로써 도서의 상단의 끝면 혹은 측면에 자유로이 부착할 수 있어, 자동 서표를 활용함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높으며, 자동 서표의 기능은 유지 하되, 서적을 읽고 있는 중에 서표가 서적에서 분리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한 권의 서적에 다수개의 자동 서표를 활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학습서와 같은 서적을 볼 때보다 편리해진다. 또한 서적의 상단뿐만 아니라 측단에도 부착이 가능한 자유도로 인해, 서적을 볼 때 책장을 넘기는 힘이 가장 작게 드는 부분에 자동 서표를 설치할 수 있어 [문헌 1]의 자동 서표보다 책장을 넘기기가 훨씬 수월하다.
또한, [문헌 2]와 [문헌 3]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를 활용할 경우 서적에 한번 부착해 놓음으로써 서적을 읽고 난후 또는 읽고 있는 중에 지속적으로 서표의 위치를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결되어져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매우 실용적인 아이템으로 활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표 부(200)와 안착 부(201a, 201b)를 광고 부(214a, 214b, 216a, 216b)로 활용하여 효과적인 광고 장치가 제공되어 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서표 부(200)와 안착 부(201a, 201b)를 메모 부(230)로 활용하여 효과적인 메모 장치를 제공되어 진다.
이하에서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기 종래의 기술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를 서적에 활용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서적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적의 표지(300)와 문자나 그림이 인쇄된 복수의 책장(302)이 묶여져 한권의 서적을 형성하며 책장과 책장 사이에 책갈피(304)가 존재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의 구성도이다.
도 2a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는 서표 부(200)와 자성 물질 면(208), 그리고 자석 부(202)로 형성되어 있다. 자성 물질 면(208)은 자석과 자석, 자석과 철 등의 자성 물질의 쌍이 부착되는 면을 일컫는다. 그리고 자석 부(202)는 자석과 자석, 자석과 철 등의 자성 물질의 쌍을 이루는 부분.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책갈피를 도 2a에 도시된 순서에 따라 사용자가 절곡하고 접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질 수 있고, 이 단계가 완료된 상태에서 제공되어 질 수 있다. 그러나 도 2a에 도시된 도면(1)처럼 제공되어 지는 것이 유통과정에서 더욱 유리하리라 사료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에 적용되는 재료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에서부터 탄성력이 있는 코팅된 종이에 이르기까지 탄성이 있으며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그 재료의 범위를 한정짓는 것은 무의미하며 본 발명이 그 일정한 재료 내에서 한정되지 않는 것 또한 자명하기에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의 재료에 대한 특별한 언급은 하지 않도록 한다.
도 2b는 도 2a의 뒷면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자석형 자동 서표의 뒷면은 서로 접착되어지는 접착 면(210)와 접착 면(210)이 접착이 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접착 부(212)와 서표 부의 뒷면(206)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표 부(200)의 뒷면(206)은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구분해 놓은 것일 뿐 서표 부(200)와 동일하게 인지하여도 상관없다. 접착 면(210)과 접착 부(212)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가 도서에 안착되어질 때, 서표부가 올바르게(도서 책장의 끝단에)위치하기 위해 구성되어진 것이다. 만약 도 2b에 도시된 접착 면(210)과 접착 부(212)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서표 부(200)가 도서 책장의 끝단보다 안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자석형 자동 서표의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는 도 3a의 도면과 설명을 통해 보다 명쾌하게 해석되어질 수 있다. 접착 부(212)에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성을 가진 접착제가 활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서표 부(200)의 모양을 이등변 삼각형과 직사각형이 합쳐진 모양으로 예시하였지만, 서표 부(200)의 모양은 원형, 평행사변형 또는 서표의 광고부에 인쇄될 광고의 성격과 모양에 따라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3a와 도 3b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를 사용자가 실제 사용할 때 거치게 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를 현재 읽고 있는 책장보다 뒤에 있는 책장의 뒷면에 부착하여 적용한 실시 예이다. 이는 좌개방식의 서적(일반적인 서적)에 적용된다.
도 2a에 도시된 자석형 자동 서표의 자석 부(202)를 ‘현재 읽고 있는 책장보다 적당히 뒤에 있는 책장’의 뒷면에 알맞게 부착한다. 상기에 언급한 ‘현재 읽고 있는 책장보다 적당히 뒤에 있는 책장‘이란 서표 부(200)에 구성되어 있는 절곡 부(204)를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접었을 때 절곡 부(204)와 자석 부(202)의 사이가 이루는 너비만큼 뒤에 있는 책장을 말한다. 이는 도 3a-(3)과 도3a-(4)에 도시된 그림을 통해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도 2b의 설명에서 언급한 접착 면(210)과 접착 부(212)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대한 실례를 도 3a-(5)에 부가적으로 도시해 놓았다. 이를 도 3a-(3)과 비교하여 보면 접착 면(210)과 접착 부(212)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서표 부(200)가 책장이 끝단이 아닌 보다 안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자동 서표를 활용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초래된다.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를 우개방식의 서적(일본 서적이 대표적인 우개방식을 취한다.)에 적용한 실시 예이다.
도 3a와 도 3b의 실시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자석형 자동 서표의 서표 부(200)는 사용자가 서적을 읽고 있는 책장을 일부 덮고 있지만 책장의 내용을 가리지는 않으므로 독서에 지장이 없으며, 사용자가 서적에 자석형 자동 서표를 부착한 후 제거하지 않는 이상 서표의 기능을 자동적으로 수행해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서적을 다 읽은 후 자석형 자동 서표를 탈착하고 이를 다시 다른 서적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반 영구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를 보다 쉽게 활용하기 위한 절곡 부와 절곡부의 확대도(A)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절곡 부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절곡 안내 홈을 구성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절곡 안내 홈은 한 개에서 복수개가 생성될 수 있다. 자석형 자동 서표가 쓰이는 서적 또는 광고 등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절곡 안내 홈은 서표부의 앞쪽 면에만 주어질 수 있으며 뒤쪽 면 혹은 양쪽 면에 모두 주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도 5b, 도 6a, 도 6b를 통해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를 서적에 한번 부착해 놓음으로써 서적을 읽고 난후 또는 읽고 있는 중에 지속적으로 서표의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서도 자동적으로 서표의 기능을 수행해 내는 과정을 소개한다.
그리고 그전에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를 사용하지 않은 서적의 책장을 넘길 때 작용하는 힘과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를 사용한 서적의 책장을 넘길 때 작용하는 힘을 비교하여 본 발명이 [문헌 1]의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보다 책장을 넘기는 힘 또한 아주 적게, 또는 거의 들어가지 않는 비교 우위의 점을 역학적으로 설명한 후,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가 자동적으로 서표의 기능을 수행해 내는 과정을 설명하여 보다 쉽게 위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a와 도5b는 일반적인 서적의 책장을 넘길 때 들어가는 힘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힘은 독자가 책장을 옆으로 밀어 넘기는 힘을 의미할 수도 있고, 검지와 엄지를 사용하여 책장을 구부려 종이의 탄성에 의해 넘어가는 힘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에 설명한 “책장을 옆으로 넘기는 방법”은 일반적인 서적에서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를 사용하는 서적에서도 동일하므로 이들을 따로 구분 지어 설명하지 않고 "책장을 넘기는 힘"으로 동일하게 칭하도록 한다. 또한 종이의 배면(302a의 하방면과 302b의 상방면)끼리 맞닿아 발생하는 마찰력은 자동 서표가 있을 때와 없을 때에 상관없이 동일하다 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마찰력도 고려하지 아니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자가 현재 펼쳐진 책장(302a)의 내용을 다 읽어 책장을 넘기려 할 때 처음 들어가는 힘(F1)은 책장을 완전히 넘기기 위해, 책장이 책갈피 부근에서 점점 접혀짐에 따라 발생하는 탄성력 및 종이의 무게가 내리누르는 힘에 의한 반력(F4)보다 커야 한다. 따라서 책장을 넘기는 힘은 반력(F4)을 이겨내기 위해 힘(F1)에 힘 (F2)를 더 주어 이들의 합력(F3)이 반력(F4)를 이기게 될 때 책장은 넘어가게 된다.
여기에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를 사용하는 서적의 경우, 책장을 넘기는 힘은 서표 부(200) 재질에 따른 무게와 절곡 된 부분의 탄성력이 내리누르는 힘(F5)에 의한 마찰력(μF5, 여기서 μ는 책장과 자동 서표 사이의 마찰계수)을 추가로 이겨내야 한다.
하지만, [문헌1]과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는 서표 부(200)가 책장의 상단에 위치하지 않고 도 3a와 도 3b처럼 책장의 측단에 위치할 수 있다.(자석형 자동 서표는 도서의 어느 위치에든지 자유로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a와 도6b에 도시된 것처럼 책장의 우측면에 위치함으로써, 책장을 넘기는 초기 힘(F1')에만 추가적인 극소의 힘을 필요로 하며 책장이 서표 부(200)의 영역을 벗어나면 도 5b와 도 6b에서 요구되는 책장을 넘기는 힘은 같게 된다.
또한 상기한 서표 부(200)의 종이무게와 절곡 된 부분의 탄성력이 내리누르 는 힘(F5)에 의한 마찰력(μF5)은 매우 극소해서 "일반적인 서적의 책장을 넘길 때 들어가는 힘"과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를 적용한 후 서적의 책장을 넘길 때 들어가는 힘"은 거의 같다(F1≒F1')고 할 수 있으므로 책장을 넘기는 데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는 전혀 부담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책장(302a)을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 넘기고 나면, 상기의 서표 부(200)는 자연스레 다음 책장(302b)의 상단면에 자동으로 위치하게 되어 자동 서표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행하게 된다.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의 서표 부(200)와 자석 부(202)에 상업적 광고를 적용한 실시 예이다.
도 7a-(1)에 도시된 자석형 자동 서표의 서표 부(200)에 인쇄된 광고물(214a)은 국내의 대부분의 서적들이 취하는 방식인 좌개방식 서적에 알맞게 인쇄된 것이고, 도 7a-(2)에 도시된 자석형 자동 서표의 서표 부(200)에 인쇄된 광고물(214b)는 일본 등의 해외의 서적들이 취하는 방식인 우개방식에 따라 알맞게 인쇄된 광고물의 실시 예이다. 또한 안착 부(201a,201b)에도 광고물(216a, 216b)을 인쇄할 수 있어, 광고 장치로서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는 도서의 책장(302)을 감싸고 있 는 서표 부(200)와 자동 서표가 도서에 부착되는 안착 부(201a,201b)에 광고물을 인쇄하여 독자가 서적을 읽고 있을 때뿐만 아니라 읽고 있지 않을 때에도 지속적으로 외부에 광고물이 노출되는 효과적인 광고 장치로써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광고 내용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업체 광고와 공익광고 등이 인쇄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는 서표 부(200)와 안착 부(201a,201b)에 도 7b에 도시 된 것처럼 메모 부(230)를 두어 사용자가 사용하고 읽고 있는 서적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 스스로 상황에 알맞는 내용을 메모(232)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a, 도 8b, 도 8c, 도 8d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1이고, 도 8b는 도 9a에 도시한 실시 예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그림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 2개가 서로 부착된 복합 자석형 자동 서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물론 이와 같은 형태로 제작되어 있을 경우에도 자성 물질 면(208)에는 도 2b에 도시된 자석 부(202)가 존재하여, 사용자가 서적의 알맞은 곳에 적절히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c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2이다.
도 8d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3이다.
여기서 사용자들은 도 8a와 도 8c, 도 8d에 도시된 두 개의 서표 부(200)를 모두 자동 서표장치로 활용할 수도 있고 하나의 서표 부(200)는 자동 서표장치로 활용하고, 또 다른 서표 부(200)는 메모 부(230)로 활용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의 서표 부(200)에는 광고물이 인쇄되어 광고 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낼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형 자동 서표는 필요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상기의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짓는 것이 아님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는, 서적을 읽는 독자가 서적의 어떤 곳이든 자동 서표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해주고, 서적을 읽고 있는 중에 서표 가 서적에서 분리되는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독서를 하다가 책을 덮을 경우에도 독자가 읽고 있었던 페이지를 자동으로 표시해 주는 장치로서 적합하다.
또한, 학습지나 교재 같은 서적을 보는 독자들이 고객이 되는 기업들의 경우엔 광고가 필요한 내용들을 해당 고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광고 장치로써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학습지나 교재 같은 서적을 보는 독자들이 현재 읽고 있는 페이지의 주요 내용들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메모 장치로써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서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를 서적에 활용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의 구성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자석형 자동 서표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를 현재 읽고 있는 책장보다 뒤에 있는 책장의 뒷면에 부착하여 적용한 실시 예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를 우개방식의 서적(일본 서적이 대표적인 우개방식을 취한다.)에 적용한 실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를 보다 쉽게 활용하기 위한 절곡 부와 절곡부의 확대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를 사용하지 않은 서적의 책장을 넘길 때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도면 1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를 사용하지 않은 서적의 책장을 넘길 때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도면 2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를 사용한 서적의 책장을 넘길 때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도면 1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를 사용한 서적의 책장을 넘길 때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도면 2이다.
도 7a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의 서표 부와 자석 부에 상업적 광고를 적용한 실시 예이다.
도 7b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의 서표 부와 자석 부를 메모 부로 활용한 실시 예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1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한 실시 예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c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2이다.
도 8d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형 자동 서표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3이다.

Claims (6)

  1. 서적의 표지나 내지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자동 서표로서,
    탄성체로 이루어진 서표 부(200)와 상기 서표 부(200)의 일 측에 자성 물질 면(208)과 자석 부(20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서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자동 서표가 도서에 부착될 때, 서표 부(200)가 책장의 끝단에 위치할 수 있도록,언급한 접착 면(210)과 접착 부(2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서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자동 서표가 2개 혹은 복수 개가 한 쌍을 이루어 2개 혹은 복수 개의 서표 부(2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서표.
  4. 제 1항과 3항에 있어서,
    상기 서표 부(200)와 접착 부(202)의 표면에 광고 부(210, 212, 220, 2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서표.
  5. 제 1항과 3항에 있어서,
    상기 서표 부(200)와 접착 부(202)의 표면에 메모 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서표.
  6. 제 1항과 3항에 있어서,
    상기 서표 부(200)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절곡 부(20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서표.
KR1020080097437A 2008-10-03 2008-10-03 자석형 자동 서표 KR20100038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437A KR20100038128A (ko) 2008-10-03 2008-10-03 자석형 자동 서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437A KR20100038128A (ko) 2008-10-03 2008-10-03 자석형 자동 서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069A Division KR101633511B1 (ko) 2015-04-16 2015-04-16 자석형 자동 서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128A true KR20100038128A (ko) 2010-04-13

Family

ID=4221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437A KR20100038128A (ko) 2008-10-03 2008-10-03 자석형 자동 서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81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440U (ko) * 2019-12-18 2021-06-28 주식회사 가인지캠퍼스 책갈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440U (ko) * 2019-12-18 2021-06-28 주식회사 가인지캠퍼스 책갈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67249U1 (ru) Книга
US7823927B2 (en) Media binder systems with datum stops for registering physical media sheets
US4981386A (en) Notebook with internal easel stand
US20030217687A1 (en) Re-stickable bookmark incorporating advertisements with place holders
KR20120109106A (ko) 자석형 자동 서표
KR20100038128A (ko) 자석형 자동 서표
KR101031698B1 (ko) 커버구조체
KR101126794B1 (ko) 스티커형 자동 서표
KR101633511B1 (ko) 자석형 자동 서표
KR20110065578A (ko) 자석형 자동 서표
KR20160002554U (ko) 북커버
KR101626792B1 (ko) 조립형 자동 서표
US6082769A (en) Clip for binding cut sheets used with a multi-functional picture book learning system
KR100944549B1 (ko) 라벨지
JP3142165U (ja) 新聞ホルダー
KR20150029953A (ko) 책갈피
JP3216130U (ja) 筆記帳
KR200164092Y1 (ko) 독서대를구비한노트
JP2004025827A (ja)
JP7226769B2 (ja) 留め具付本体及びその留め具
KR101051282B1 (ko) 책갈피
AU720318B2 (en) Backing board
KR200406396Y1 (ko) 다기능 병풍식 다단접지책 및 반복학습용 다단접지책
KR200274964Y1 (ko) 스탠드 노트
JP2007175905A (ja) しおり型書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