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953A - 책갈피 - Google Patents

책갈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953A
KR20150029953A KR20130109039A KR20130109039A KR20150029953A KR 20150029953 A KR20150029953 A KR 20150029953A KR 20130109039 A KR20130109039 A KR 20130109039A KR 20130109039 A KR20130109039 A KR 20130109039A KR 20150029953 A KR20150029953 A KR 20150029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mark
contact
rail groove
display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수
Original Assignee
손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수 filed Critical 손정수
Priority to KR20130109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9953A/ko
Publication of KR20150029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1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 B42D9/004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removably attached to the boo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8Devices for indicating a spot on a sheet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표를 포함하는 책갈피에 있어서, 상기 서표가 이동하는 레일홈을 포함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표는 표시부, 접촉부 및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 접촉부 및 지지부는 서로 부착결합되어 레일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접촉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서표의 이동에 상응하여 책의 위치를 가리키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표시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레일홈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표시부 및 지지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서표가 이동하도록 상기 표시부 및 접촉부를 상기 레일홈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표의 간단한 조립이 가능하고 레일에 상응하여 상하 이동만으로 글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표시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책갈피{Bookmark}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책갈피로서, 중단 지점의 위치를 정확히 표시하는 서표를 포함하는 책갈피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지식을 습득하기 위하여 주로 책을 읽는다. 책을 읽을 때에는, 대부분 일정부분만 읽고 나머지는 다음에 읽곤 한다. 이 경우, 사람들은 책을 어디까지 읽었는지 표시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표시를 하기도 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책갈피를 사용하는 것이다. 책갈피를 사용하면, 어느 페이지까지 읽었는지 알 수 있고, 다음에 읽을 때 혼동하지 않는다. 특히나, 틈틈이 시간을 내어 책을 읽는 바쁜 현대 사회인들에게 있어서, 책갈피는 유용한 도구이다.
책갈피는 일정한 틀이 없고, 독자가 다음에 읽었을 때, 책의 어느 페이지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해주는 형태이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책갈피를 사용하더라도 페이지의 어느 문단 어느 문장까지 읽었는지는 알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된 책갈피가 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10379는 길이를 조절하여 어느 문단의 줄 위치 및 단어의 위치까지 표시해준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공보는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이 다단으로 되어 있어 책갈피가 두꺼워지고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줄의 위치를 바꾸어 표시하려면 책갈피를 탈착하고, 원하는 위치에 다시 결합시켜야하기 때문에, 사용에 번거로움이 따른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길이가 조절되며, 책과 결합되어 분실의 우려가 없어 보관이 용이한 책갈피가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서표 구조를 포함하는 책갈피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책과 결합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분실의 염려가 없어 보관이 용이한 책갈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및 사용이 간편한 책갈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서표를 포함하는 책갈피에 있어서, 상기 서표가 이동하는 레일홈을 포함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표는 표시부, 접촉부 및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 접촉부 및 지지부는 서로 부착결합되어 레일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접촉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서표의 이동에 상응하여 책의 위치를 가리키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표시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레일홈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표시부 및 지지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서표가 이동하도록 상기 표시부 및 접촉부를 상기 레일홈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부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조절홈을 포함하는 책갈피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서표가 표시부, 접촉부 및 지지부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서로 부착결합하여 형성되거나, 하나의 구성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광고를 포함하는 책갈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책과 결합하는 책갈피에 있어서, 서표; 및 상기 서표가 이동하는 레일홈을 포함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책과 결합하는 책갈피판을 포함하고, 상기 서표는 표시부, 접촉부 및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 접촉부 및 지지부는 서로 부착결합되어 레일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접촉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서표의 이동에 상응하여 책의 위치를 가리키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표시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레일홈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표시부 및 지지부를 이동시키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서표가 이동하도록 상기 표시부 및 접촉부를 상기 레일홈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책의 겉표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책갈피에 있어서, 서표; 및 상기 서표가 이동하는 레일홈을 포함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책의 겉표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책갈피판을 포함하고,상기 서표는 표시부, 접촉부 및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 접촉부 및 지지부는 서로 부착결합되어 레일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접촉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서표의 이동에 상응하여 책의 위치를 가리키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표시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레일홈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표시부 및 지지부를 이동시키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서표가 이동하도록 상기 표시부 및 접촉부를 상기 레일홈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책갈피의 분실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책갈피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표의 간단한 조립이 가능하고 레일에 상응하여 상하 이동만으로 글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표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배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서표의 전면 확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서표의 배면 확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서표를 가진 책갈피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서표를 가진 책갈피의 배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의 속지에 결합되는 책갈피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의 겉표지에 결합되는 책갈피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의 겉표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책갈피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책갈피(100)는 레일부(110), 서표(120) 및 책갈피판(130)을 포함한다.
책갈피(100)는 레일부(110) 및 책갈피판(130)으로 구분되어진다. 책갈피(100)는 책의 위치를 가리키는 서표(120), 서표(120)가 책의 위아래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레일홈(111)을 포함하는 레일부(110) 및 책 사이에 끼워져 책갈피(100)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책갈피판(130)을 포함한다. 책갈피(100)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포함하는 각이 진 모양 및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둥근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일홈(111)이 형성되어 서표(120)가 이동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진 일체의 모양을 포함한다. 책갈피(100)는 책의 겉표지 또는 사이에 꽂혀질 정도로 두께가 얇은 납작한 형상을 가진다. 책갈피(100)의 재질은 책의 페이지(page)가 넘겨짐에 상응해야 하므로, 휘어질 수 있는(flexible) 것이 바람직하며, 대표적으로 합성수지 또는 고무성질을 가진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레일부(110)는 책갈피판(130)과 함께 책갈피(100)의 한 부분을 구성한다. 레일부(110)는 책갈피(100) 중에서 서표(120)가 이동하는 레일홈(111)을 포함한다.
레일홈(111)은 레일부(110)에 파여진 홈이다. 레일홈(111)은 서표(120)가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 및 폭을 가지되, 길이가 폭보다는 길어야한다. 레일홈(111)의 모양은 일반적으로 길쭉한 직사각형 모양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약간의 곡선이 포함되더라도 책의 위아래를 훑으면서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모양을 형성하면 족하다. 레일홈(111)은 서표(120)의 접촉부(123)를 인입하여 맞닿고, 서표(120)의 표시부(121) 및 지지부(125)에 밀착되어 둘러싸여져 있다. 레일홈(111)에 인입된 접촉부(123)를 중심으로 표시부(121) 및 지지부(125)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123)가 레일홈(111)을 이동함에 따라 서표(120)가 이동하게 된다.
서표(120)는 책에 있는 글의 문단 또는 줄의 위치를 가리킨다. 서표(120)는 책갈피(100)의 재질과 같이, 휘어질 수 있는(flexible) 것이 바람직하고, 대표적으로 합성수지 또는 고무성질을 가진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서표(120)는 표시부(121), 접촉부(123) 및 지지부(125)를 포함한다. 표시부(121), 접촉부(123) 및 지지부(125)는 서로 부착결합되어 레일홈에 끼워진다.
표시부(121)는 서표(120)가 글의 위치를 가리키도록 직접적으로 표시하는 구성이다. 표시부(121)는 접촉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서표의 이동에 상응하여 책의 위치를 가리킨다. 표시부(121)는 책에 씌여진 글의 위치를 명확하게 가리키기 위하여, 화살표와 같이 끝이 뾰족한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21)는 상기와 같이 뾰족한 모양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책의 위치(줄 또는 단어)를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모양을 모두 포함한다. 표시부(121)는 책갈피(100)를 벗어나서 직접적으로 글의 위치를 가리키므로 레일홈(111) 및 레일부(110)의 일부분을 덮고 책갈피(100) 밖으로 삐져 나온 형상을 가진다.
표시부(121)는 표면에 눈금을 포함한다. 표시부(121)는 상기 눈금들을 사용하여 길이를 측정하는 자로서 사용된다.
책갈피판(130)은 책갈피(10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공간 또는 여백의 형태로 존재한다. 책갈피판(130)은 책갈피(100)가 책의 겉표지 또는 책 사이에 결합되어지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이다. 책갈피판(130)은 레일부(110)로부터 연장되어 레일부(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책갈피판(130)의 재질은 책갈피(100)의 재질과 같이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책갈피판(130)은 책갈피(100)가 책에 끼워지도록 책갈피(100) 부분 중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여야 하고, 그 폭을 최소 5cm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책갈피판(130)은 빈 공간으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메모를 할 수 있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시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책갈피판(130)은 정보 제시 또는 광고를 위한 문구, 삽화, 도안 및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독자로 하여금 간접적으로 정보 또는 광고를 인식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책갈피(100)의 서표(120)의 일부분인 접촉부(123)가 도시되어 있다.
접촉부(123)는 서표(120)의 표시부(121)와 지지부(125)를 연결하고, 레일홈(111)을 따라 이동하여 서표(120)를 책의 위치에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접촉부(123)는 표시부(121) 및 지지부(125)와 상하로 부착결합되고, 레일홈(111)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표시부(121) 및 지지부(125)를 이동시킨다. 접촉부(123)는 레일홈(111)을 따라 이동하여야 하므로 레일홈(111)의 모양과 상응하는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레일홈(111)의 모양이 직사각형이라면 접촉부(123)도 레일홈(111)의 양 사이드(side)에 맞닿도록 사각형 모양을 가지는 것을 가진다. 접촉부(123)는 사각형에 한정하지 않고 레일홈(111)에 맞닿아 레일홈(111)을 이동할 수 있는 모양을 가지면 족하다. 그러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레일홈(111)의 이동을 위해서는, 레일홈(111)의 양 사이드(side)에 많이 맞닿는 사각형 모양이 적절할 것이다.
접촉부(123)는 상하로 부착결합되어 있는 표시부(121) 및 지지부(125)에 의해서 레일홈(111)에 인입된다. 표시부(121) 및 지지부(125)는 레일홈(111)을 밀착하여 레일홈(111)의 양 사이드(side)를 덮기 때문에, 서표(120)는 접촉부(123)가 한 번 끼워지면 빠지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책갈피(100)는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되기 때문에, 접촉부(123)를 떼어내기 위해서는, 책갈피(100)를 구부려 레일홈(111)을 벌린 후에 서표(120) 전체를 들어내면 서표(120)가 떼어진다. 이로써, 책갈피(100) 사용자는 서표(120)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의 배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책갈피(100)의 지지부(125)가 접촉부(123)와 레일홈(111)에 결합된 양태를 알 수 있다.
지지부(125)는 서표(120)가 레일홈(111)에 끼워져 안정하게 이동하도록 서표(12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지지부(125)는 접촉부(123)에 부착결합되고, 서표(120)가 이동하도록 표시부(121) 및 접촉부(123)를 레일홈(111)에 결합하여 지지한다. 지지부(125)는 레일홈(111)에 인입된 접촉부(123)가 떼어지지 않도록 레일홈(111)의 양 사이드(side)를 덮는다. 접촉부(123)와 부착결합된 지지부(125)는 레일홈(111)의 반대편의 양 사이드(side)를 덮는 표시부(121)와 더불어 서표(120)가 레일홈(111)에서 떼어지지 않도록 한다. 지지부(125)의 모양은 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일홈(111)을 덮을 정도의 모양을 가지면 어느 모양이라도 무방하다.
서표(120)의 표시부(121), 접촉부(123) 및 지지부(125)는 서로 부착결합되어 있는데, 이들 구성을 부착하기 위하여 접착제가 사용된다. 또한 부착결합이외에도, 표시부(121), 접촉부(123) 및 지지부(125)는 일체로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질 수 있고, 이것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레일홈(111)에 끼워져 레일홈(111)을 따라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서표의 전면 확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 서표의 배면 확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표(120)를 이루는 표시부(121), 접촉부(123) 및 지지부(125)가 결합된 형태를 알 수 있다. 표시부(121), 접촉부(123) 및 지지부(125)는 차례대로, 위에서 아래로 부착되어 결합한다. 표시부(121)의 한 단면은 접촉부(123)의 단면과, 지지부(125)의 한 단면은 접촉부(123)의 다른 단면과 결합한다. 물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부(121), 접촉부(123) 및 지지부(125)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구성인 서표(120)가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서표를 가진 책갈피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표(120)의 길이가 조절이 가능한 책갈피(100)를 알 수 있다.
서표(120)의 길이가 조절이 가능한 책갈피(100)는 도 1 내지 도 5의 레일부(110) 및 책갈피판(130)과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나, 서표(120)는 다소 상이한 구성을 포함한다.
책갈피(100)는 서표(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길이가 조절이 가능한 책갈피(100)의 서표(1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표시부(121)를 포함한다. 표시부(121)는 조절홈(122)을 형성하고, 조절홈(122)은 접촉부(123)와 함께 레일홈(111)에 같이 끼워져 표시부(121)의 길이를 신축시킨다. 이 경우, 지지부(125)는 접촉부(123)의 상면과 하면에 결합되어 접촉부(123) 및 표시부(121)를 지지한다. 도 1 내지 도 5의 책갈피(100)는 지지부(125)가 접촉부(123) 어느 한 면에 결합하고 반대편에 표시부(121)가 결합하며, 지지부(125)와 표시부(121)가 접촉부(123)에 서로 부착결합하여 서표(120)를 지지하였다. 그러나, 도 6의 조절홈(122)을 포함하는 서표(120)에 있어서는, 접촉부(123) 양면에 지지부(125)가 결합되어 서표(120)를 지지한다. 서표(120)의 길이를 좌우로 조절함에 따라, 표시부(121)는 책의 문단의 문장 중 원하는 문장 위치의 단어까지 가리킬 수 있다.
서표(120)의 접촉부(123) 양면에 지지부(125)가 결합되는 방식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방식과 접촉부(123) 및 지지부(125)가 형태로 일체로 결합되는 방식이 있다. 본 도면에서는 2개의 지지부(125)와 1의 접촉부(123)가 부착결합하는 것을 예시로 하고 있으나,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결합하는 방식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서표를 가진 책갈피의 배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서표(120)의 뒷면에 위치하는 지지부(125)를 알 수 있다.
배면에 형성된 지지부(125)는 정면에 형성된 지지부(125)보다는 면적이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넓은 면적은 레일홈(111)의 양 사이드(side)를 덮고 서표(120)가 레일홈(111)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의 속지에 결합되는 책갈피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책에 결합되되, 속지에 결합되는 책갈피를 알 수 있다.
책갈피(100)는 서표(120), 서표(120)가 이동하는 레일홈(111)을 포함하는 레일부(110) 및 레일부(1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책의 속지와 결합하는 책갈피판(130)을 포함한다. 서표(120)는 표시부(121), 접촉부(123) 및 지지부(125)를 포함하되, 표시부(121), 접촉부(123) 및 지지부(125)는 서로 부착결합되어 레일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표시부(121)는 접촉부(123)에 부착결합되고 서표(120)의 이동에 상응하여 책의 위치를 가리키며, 접촉부(123)는 표시부(121)에 부착결합되고 레일홈(111)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표시부(121) 및 지지부(125)를 이동시키며, 지지부(125)는 접촉부(123)에 부착결합되고 서표(120)가 이동하도록 표시부(121) 및 접촉부(123)를 레일홈(111)에 결합하여 지지한다.
책갈피판(130)은 책의 속지에 결합하여 책갈피(100)를 고정한다. 책갈피판(130)은 레일부(110)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끝부분의 면적이 뒤로 휘어져서 책갈피판(130)의 반대면과 맞닿는 결합부(131)를 포함한다.
결합부(131)는 책갈피판(130)의 반대면과 맞닿도록 휘어지는 구조를 유지하도록 단단한 성질을 가지되, 외부힘에 의하여 어느 정도는 휘어질 수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결합부(131)가 책갈피(100)의 반대면에 맞닿는 틈을 벌리어 책의 속지를 삽입하여 결합하거나 탈착한다.
책갈피(100)는 별도의 결합부(131)를 포함하지 않아도, 책갈피판(130)에 책의 속지가 삽입되어질 정도의 두께의 틈을 가질 수 있다. 책갈피판(130)의 책과 결합하는 끝부분은 틈을 가지므로 이중(2겹)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상기 틈을 벌리어 책의 속지에 삽입 결합하거나 탈착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의 겉표지에 결합되는 책갈피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책에 결합되되, 책 겉표지에 결합되는 책갈피를 알 수 있다.
책갈피(100)는 책의 겉표지에 결합할 수 있다. 책갈피판(130)은 어느 일면에 책의 겉표지와 결합하는 결합부(131)를 포함한다.
결합부(131)는 책갈피판(130)과 밀착되어 결합되되, 한 쪽 끝부분만이 결합되고 다른 쪽 끝부분은 책의 겉표지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약간의 틈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131)는 책갈피판(130)과 맞닿아 밀착하는 구조를 유지하도록 단단한 성질을 가지되, 외부힘에 의하여 어느 정도는 휘어질 수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의 겉표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책갈피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책의 겉표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책갈피(100)를 알 수 있다.
책갈피(100)는 서표(120) 및 서표(120)가 이동하는 레일홈(111)을 포함하는 레일부(110) 및 레일부(110)로부터 연장되어 책의 겉표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책갈피판(130)을 포함하고, 서표(120)는 표시부(121), 접촉부(123) 및 지지부(125)를 포함하되, 표시부(121), 접촉부(123) 및 지지부(125)는 서로 부착결합되어 레일홈(111)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표시부(121)는 접촉부(123)에 부착결합되고 서표(120)의 이동에 상응하여 책의 위치를 가리키며, 접촉부(123)는 표시부(121)에 부착결합되고 레일홈(111)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표시부(121) 및 지지부(125)를 이동시키며, 지지부(125)는 접촉부(123)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서표가 이동하도록 표시부(121) 및 접촉부(123)를 상기 레일홈에 결합하여 지지한다.
책갈피판(130)은 책의 겉표지와 일체로 이루어져서, 책이 출판되어질 때부터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책갈피판(130)을 포함하는 책갈피(100)은 책의 겉표지와 같은 재질인 종이로 이루어지되, 단단한 성질을 가진 경화성 종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책갈피(10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적용되고 상호 응용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책갈피(100)는 책갈피판(130) 여백에 광고를 포함한다. 책갈피판(130)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메모를 할 수 있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시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책갈피판(130)은 정보 제시 또는 광고를 위한 문구, 삽화, 도안 및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독자로 하여금 간접적으로 정보 또는 광고를 인식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책갈피
110 : 레일부
120 : 서표
130 : 책갈피판

Claims (11)

  1. 서표를 포함하는 책갈피에 있어서,
    상기 서표가 이동하는 레일홈을 포함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표는 표시부, 접촉부 및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 접촉부 및 지지부는 서로 부착결합되어 레일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접촉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서표의 이동에 상응하여 책의 위치를 가리키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표시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레일홈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표시부 및 지지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서표가 이동하도록 상기 표시부 및 접촉부를 상기 레일홈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조절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홈은 상기 접촉부와 함께 레일홈에 끼워져서 상기 표시부의 길이를 신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레일홈에 끼워지고,
    상기 표시부는 조절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홈은 상기 접촉부와 함께 레일홈에 끼워져서 상기 표시부의 길이를 신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책갈피판을 포함하고,
    상기 책갈피판은 여백에 광고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6. 책과 결합하는 책갈피에 있어서,
    서표; 및 상기 서표가 이동하는 레일홈을 포함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책과 결합하는 책갈피판을 포함하고,
    상기 서표는 표시부, 접촉부 및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 접촉부 및 지지부는 서로 부착결합되어 레일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접촉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서표의 이동에 상응하여 책의 위치를 가리키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표시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레일홈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표시부 및 지지부를 이동시키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서표가 이동하도록 상기 표시부 및 접촉부를 상기 레일홈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7. 책의 겉표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책갈피에 있어서,
    서표; 및 상기 서표가 이동하는 레일홈을 포함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책의 겉표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책갈피판을 포함하고,
    상기 서표는 표시부, 접촉부 및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 접촉부 및 지지부는 서로 부착결합되어 레일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접촉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서표의 이동에 상응하여 책의 위치를 가리키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표시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레일홈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표시부 및 지지부를 이동시키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서표가 이동하도록 상기 표시부 및 접촉부를 상기 레일홈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조절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홈은 상기 접촉부와 함께 레일홈에 끼워져서 상기 표시부의 길이를 신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레일홈에 끼워지고,
    상기 표시부는 조절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홈은 상기 접촉부와 함께 레일홈에 끼워져서 상기 표시부의 길이를 신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책갈피판은 여백에 광고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
KR20130109039A 2013-09-11 2013-09-11 책갈피 KR20150029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039A KR20150029953A (ko) 2013-09-11 2013-09-11 책갈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039A KR20150029953A (ko) 2013-09-11 2013-09-11 책갈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953A true KR20150029953A (ko) 2015-03-19

Family

ID=5302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039A KR20150029953A (ko) 2013-09-11 2013-09-11 책갈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99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2902B1 (en) * 2015-05-12 2018-08-21 Berris-Dale Joseph Bookmark with line indicator and page turner
US20220301453A1 (en) * 2021-03-22 2022-09-22 Kara Van Slyke Reading Pan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2902B1 (en) * 2015-05-12 2018-08-21 Berris-Dale Joseph Bookmark with line indicator and page turner
US20220301453A1 (en) * 2021-03-22 2022-09-22 Kara Van Slyke Reading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41020A1 (en) Bookmark
KR20150029953A (ko) 책갈피
CN205674716U (zh) 一种阅读书签
CN204032690U (zh) 一种便携式书架
KR200476994Y1 (ko) 복수의 속지가 구비된 노트
KR200475848Y1 (ko) 포스트잇 유형의 메모 견출지
KR200472083Y1 (ko) 책줄갈피
KR20120109106A (ko) 자석형 자동 서표
KR100963034B1 (ko) 해당 페이지 자동 고정기능이 구비된 책갈피
CN201511638U (zh) 一种书签
KR101073755B1 (ko) 자석을 이용한 책갈피
KR200479361Y1 (ko) 책 고정 기구
JP2020090079A (ja) 読書補助器具
CN2847951Y (zh) 一种新型文具盒
KR101623250B1 (ko) 페이지 이동이 가능한 시트구조
KR20090019889A (ko) 자동 책갈피 끼우개
KR101126794B1 (ko) 스티커형 자동 서표
JP2007210314A (ja) 読書集中用のシオリ
KR101428987B1 (ko) 도서용 책갈피
KR101633511B1 (ko) 자석형 자동 서표
CN205439652U (zh) 一种法律教学专用的书夹
JP5831962B1 (ja) 開本保持機能付ブックカバー
JP2003145960A (ja) 書籍名表示具
KR101626792B1 (ko) 조립형 자동 서표
KR101772379B1 (ko) 책갈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