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806A -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with high moisturizing and skin purifying effects - Google Patents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with high moisturizing and skin purifying effe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806A
KR20100036806A KR1020080096194A KR20080096194A KR20100036806A KR 20100036806 A KR20100036806 A KR 20100036806A KR 1020080096194 A KR1020080096194 A KR 1020080096194A KR 20080096194 A KR20080096194 A KR 20080096194A KR 20100036806 A KR20100036806 A KR 20100036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weight
skin care
fo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68320B1 (en
Inventor
진재승
류민경
김종천
신명진
Original Assignee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6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320B1/en
Publication of KR20100036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8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3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PURPOSE: A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having high moisturization and skin purification is provided to obtain high moisture and nutrition and to ensure freshness and vitality. CONSTITUTION: A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having high moisturization and skin purification contains 3-15 weight% of apricot extract, 3-15 weight% of murmur butter, 10-20 weight% of moringa extract, and 10-20 weight% of Nelumbo nucifera Gaertner extract, 10-50 weight% of bamboo sap, and 10-50 weight% of Chamaecyparis obtusa extract. A skin care product having effects of high moisturization and skin purification contains 0.1-10 weight% of the composition.

Description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WITH HIGH MOISTURIZING AND SKIN PURIFYING EFFECTS}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WITH HIGH MOISTURIZING AND SKIN PURIFYING EFFECTS}

본 발명은 피부에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하고, 외부 오염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정화시키며, 사용자의 피부와 감정에 상쾌감을 부여하는 삼림욕 효과가 우수한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having an excellent forest bath effect to supply moisture and nourishment to the skin, protect and cleanse the skin from external contamination, and impart freshness to the skin and emotions of the user.

피부는 다양한 외부 자극으로부터 몸을 보호함과 동시에 내측의 수분을 막는 장벽 기능을 가지고 있다. 수분 장벽 기능을 위하여 피부의 표피층에서는 분화되는 과정을 통해 수분을 함유하면서 얇은 각질층(stratum corneum)으로 발달하게 된다. 구조적으로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의 세포간 지질들은 몰타르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하게 된다.The skin protects the body from various external stimuli and at the same time has a barrier function to prevent moisture inside. In order to function as a moisture barrier, the epidermal layer of the skin is differentiated to develop a thin stratum corneum containing moisture. Structurally, the cells of the stratum corneum act like bricks, and the intercellular lipids of the keratinocytes act as a mortar, forming the skin barrier.

그러나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 지속적인 스트레스의 누적 또는 오염된 환경에 의해, 건조한 피부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피부 건조화의 원인으로서 특히 황사, 먼지, 공해 등의 양이온성 물질들은 피부에 부착되면서 각종 피부 자극, 알러지 등을 유발하거나 정상적인 피부 장벽의 회복기능을 저해하여 피부의 건조화를 가속화시키고 있어 이를 예방하고 완화시키기 위한 피부 보습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Generally, however, dry skin tends to increase due to skin aging, cumulative sustained stress, or contaminated environments. As a cause of such skin drying, cationic substances such as yellow dust, dust, and pollution are attached to the skin, causing various skin irritation and allergies, or inhibiting the function of normal skin barrier to accelerate the drying of the skin. The need for skin moisturizers to alleviate is increasing.

이를 위해 다가 알코올, 당류가 일반적인 피부 보습제로서 화장료에 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피부에 끈적임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고, 피부에 충분하고 지속적인 보습효과를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습도가 매우 높은 여름철에는 오히려 외부로부터 수분을 끌어와 피부가 끈적이고, 겨울에는 외부 대기의 습도가 낮아 오히려 피부로부터 수분을 끌어당겨 피부가 건조해지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기존의 보습제는 피부 보습만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거나 외부 오염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정화시키거나 사용자에게 활력을 불어 넣어주는 등의 복합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To this end, polyhydric alcohols and sugars are commonly used in cosmetics as skin moisturizers. However, there are drawbacks in that stickiness occurs on the skin, 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 problem does not provide sufficient and lasting moisturizing effect on the skin. In addition, in the summer when the humidity is very high, rather than draw moisture from the outside, the skin is sticky, in the winter, the humidity of the external air is low, rather draw the moisture from the skin, the problem is that the skin is dried. Moreover, existing moisturizers are intended only for moisturizing the skin, making it impossible to expect complex effects such as nourishing the skin, protecting and purifying the skin from external contamination, and invigorating the user.

한편, 수목이 울창한 산 속을 걸으면 누구나 상쾌한 기분이 되는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수목에서 피톤치드(phytoncide)라고 하는 방향성 물질이 발산되어 인체에 건강한 작용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톤치드 성분은 유해 미생물에는 유독하지만 인체에는 유익하여 사소한 피로나 감기 등은 숲 속에 머물러 있으면 치료된다고 하여 유럽에서는 이를 이용한 삼림요법이 성행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lk in the wooded mountains, everyone feels refreshed, one of the causes is that the aromatic substance called phytoncide (tree) is released from the tree is known to have a healthy effect on the human body. These phytoncide components are toxic to harmful microorganisms, but are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so that minor fatigue or cold can be treated if they stay in the forest.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특히 유아나 아동의 피부에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스킨케어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살구, 무르무르 버터(muru muru butter), 모링가(moringa), 연꽃, 대나무 수액 및 편백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피부에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하고, 외부 오염으 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정화시키며, 사용자의 피부와 감정에 상쾌함과 활력을 부여하는 삼림욕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intensive studies to develop a skin care composition that can impart a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to the skin, particularly infants and children, and as a result, apricots, mumur butter, and moringa ), Which contains lotus, bamboo sap and cypress extracts, provides moisture and nutrition to the skin, protects and cleanses the skin from external contamination, and has a forest bath effect that refreshes and revitalizes the user's skin and emotions.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e superiorit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하고, 외부 오염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정화시키며, 사용자의 피부와 감정에 상쾌함과 활력을 부여하는 삼림욕 효과가 우수한 스킨케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kin care composition having an excellent forest bath effect that supplies moisture and nutrition to the skin, protects and cleanses the skin from external contamination, and provides freshness and vitality to the skin and emotions of the us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5 중량%의 살구 추출물, 3 내지 15 중량%의 무르무르 버터, 10 내지 20 중량%의 모링가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의 연꽃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의 대나무 수액 및 10 내지 50 중량%의 편백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3 to 15% by weight of apricot extract, 3 to 15% by weight of Murmur butter, 10 to 20% by weight of Moringa extract, 10 to 20% by weight A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having a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containing% lotus extract, 10-50 wt% bamboo sap and 10-50 wt% cypress extract.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가 우수한 스킨케어 제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kin care product excellent in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prepared using the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본 발명의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은 피부에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하고, 외부 오염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정화시키며, 사용자의 피부와 감정에 상쾌함과 활력을 부여하는 삼림욕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스킨케어 제품은 사용자, 특히 유아나 아동의 피부에 탁월한 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뿐만 아니라 마치 숲속에서 삼림욕을 한 것과 같은 삼림욕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having a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isture and nourishment to the skin, protects and cleanses the skin from external contamination, and a forest bath effect to impart freshness and vitality to the user's skin and emotions. Since it is excellent, the skin care product comprising the same can give the user, especially infants and children's skin, as well as excellent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as well as a forest bathing effect such as a forest bathing in the forest.

본 발명에 따른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5 중량%의 살구 추출물, 3 내지 15 중량%의 무르무르 버터, 10 내지 20 중량%의 모링가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의 연꽃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의 대나무 수액 및 10 내지 50 중량%의 편백나무 추출물을 함유한다.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having a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3 to 15% by weight of apricot extract, 3 to 15% by weight of Murmur butter, 10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Moringa extract, 10-20 wt% lotus extract, 10-50 wt% bamboo sap and 10-50 wt% cypress ex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은 숲속의 나무, 열매, 꽃 등의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숲속에서 얻어지는 천연 추출 성분들의 조합으로부터 자연의 보습, 영양 공급, 피부 정화 및 보호, 활력 충전, 삼림욕 등의 복합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aining extracts such as trees, berries, flowers in the forest, such as natural moisturizing, nutrition, skin cleansing and protection from the combination of natural extracts obtained in the forest, such as vitality filling, forest bath, etc. It can be expected to have a complex effect.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은 피부에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하고, 외부 오염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정화시키며, 사용자의 피부와 감정에 상쾌함과 활력을 부여하는 삼림욕 효과가 우수한 원료로 구성되며, 각 원료의 구성비는 다양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excellent forest bath effect that supplies moisture and nutrition to the skin, protects and cleanses the skin from external contamination, and imparts freshness and vitality to the skin and emotions of the user. The composition ratio of each raw material may var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을 구성 성분별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component.

살구(apricot)는 살구나무의 열매(행실, 杏實)로 둥근 모양이고 지름은 약 3 ㎝이며 털이 나있다. 원산지는 아시아 동부로 7월에 노란빛 또는 노란빛을 띤 붉은색으로 익으며 신맛과 단맛이 난다. Apricot (apricot) is the fruit of apricot tree (haeng, 둥근) is round, about 3 cm in diameter, hairy. It is native to eastern Asia and ripens yellow or yellowish red in July, and has a sour and sweet taste.

열매의 약 90%가 과육이며 주요 성분은 당분이다. 유기산은 시트르산, 사과 산 등이 1∼2% 정도 함유되어 있고, 무기질은 칼륨이 59%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비타민 A의 효과를 내는 베타카로틴이 말린 열매에 5∼8 ㎎이 함유되어 있다. 살구의 종자는 행인(杏仁)이라고 하는데, 인, 단백질, 지방 함유량이 많고 아미그다린(amygdalin)도 함유되어 있다. 쓴맛이 있는 것은 고인(苦仁)이라 하여 약으로 쓰고, 단맛이 있는 것은 감인(甘仁)이라 하여 식용으로 사용된다. 진해, 거담 효능이 있어 민간에서는 해소, 천식, 기관지염, 급성간염 등에 약으로 쓴다. 피부 미용에도 좋아 주근깨, 기미 등을 없애는 데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항암물질이 발견되어 항암식품으로도 인정받고 있다.About 90% of the fruit is pulp and its main ingredient is sugar. Organic acids contain about 1-2% citric acid and malic acid, and minerals contain 59% of potassium. In addition, beta-carotene, which has the effect of vitamin A, contains 5-8 mg of dried fruit. Apricot seeds are known as almonds (인 仁), which are rich in phosphorus, protein, and fat, and also contain amygdalin. The bitter taste is called 약 仁 (고 仁) is used as medicine, the sweet taste is called persimmon (甘 仁) is used for food. Jinhae, expectorant efficacy in the private, relieve, asthma, bronchitis, acute hepatitis is used as a medicine. It is also good for skin beauty and is effective in eliminating freckles and blemishes. Recently, anticancer substances have been found and recognized as anticancer foods.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분말 형태로 클렌징 폼, 스크럽 등의 피부 세정용 제품이나 팩 등의 제품에 사용되어 온 살구씨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살구의 과육 추출물을 보습원료로 사용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ricot pulp extract is used as a moisturizing ingredient instead of using apricot seeds, which have been used in products such as skin cleansing foams and scrubs or packs, in powder form.

살구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C1-4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추출용매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살구 추출물은 당업계에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Apricot extract can be obtained using various extraction methods known in the art, preferably, water, C1-4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etc.), the lower alcohol and water It can be obtained using any one selected from an extraction solvent consisting of a mixed solvent of, acetone, ethyl acetate, chloroform and 1,3-butylene glycol. Alternatively, apricot extract may be purchased and used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art.

본 발명의 추출물이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살구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 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살구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n apricot extract that exhibits substantially the same effect using not only the aforemention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other extraction solvents. In addition,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the extract by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an extract that has undergone a conventional purification process. Obtained by various additional purification methods, such as separation using ultrafiltration membranes having a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manufactured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Fraction is also included in the aprico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살구 과육을 건조 또는 그대로 분쇄하여 얻어진 분쇄물에 분쇄물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5 부피비의 양으로 용매를 첨가한 후 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의 온도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온침 방법을 사용하거나, 4 내지 25℃의 낮은 온도에서 1 내지 20일간 침적시키는 냉침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수득된 추출 여액은 탈수 또는 탈용매화 한 후 감압 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액상 또는 분말 형태로 스킨케어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olvent is added to the pulveriz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or grinding the apricot flesh as it is in an amount of 1 to 15% by volume based on the dry weight of the pulverized product, and then, at a temperature of 5 to 95 ° C, preferably 10 to 90 ° C. It is possible to use a hot dip method for heating and extracting for 24 hours, or a cold dip method for immersion for 1 to 20 days at a low temperature of 4 to 25 ℃. At this time, the obtained filtrate may be dehydrated or desolvated,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or lyophilized to be blended into the skin care composition in liquid or powder form.

상기 살구 추출물은 스킨케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만약 상기 함량이 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그 특유의 효능인 보습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사용감에 약간의 끈적거림을 부여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The apricot extract is included in an amount of 3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kincare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3%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moisturizing ability that is peculiar in efficacy, and when it exceeds 15% by weight, there may be a problem of giving a slight stickiness to the use of the product.

무르무르 버터(murmur butter)는 브라질 열대우림에서 자라는 무르무르 열매의 씨앗으로부터 정제한 천연 버터로, 올레산(oleic acid)이 풍부하여 피부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고 피부를 부드럽게 만드는 연화제로서 피부 보습막 복원을 돕는 작용을 한다.Murmur butter is a natural butter refined from seeds of the Murmur fruit, which grows in the Brazilian rainforest.It is rich in oleic acid, which softens and moisturizes the skin and restores the skin's moisturizing membrane. To help.

무르무르 버터는 스킨케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만약 상기 함량이 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영양 공급이라는 무르무르 버터의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점도를 상승시키고 이의 산화 시에 발생하는 특유의 취로 인해 제품에서 독특한 냄새가 발생할 수 있다.The murmur butter is included in an amount of 3 to 15 weight perc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kincare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3%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efficacy of the murmur butter of nutrition supply, and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5% by weight, the product has a unique odor due to the increase in the viscosity of the product and the peculiar odor generated during its oxidation. Odor may occur.

모링가(moringa)는 인도와 히말라야가 원산지인 여러해살이 나무로 아프리카와 마다가스카르, 그리고 아시아와 남미대륙에서도 자란다. 마다가스카르에서는 씨에서 추출한 오일(벤 또는 베헨 오일이라 불림)이 아기들의 피부를 진정시키고 유연화시키는데 사용된다. 나일 계곡에서는 "정화 나무(purifying tree)"라고 불리는데, 이 이름은 땅위로 올라온 씨로 만든 가루의 뛰어난 정화성분 때문에 붙여졌다. 수단의 여성들은 이 가루를 천에 싸서 강물에 깊이 담그는데, 이는 물을 정화하여 안전하게 마시기 위한 것으로, 이 씨에 함유된 수용성 단백질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더욱 깨끗한 물을 얻게 한다.Moringa is a perennial tree native to India and the Himalayas, and grows in Africa, Madagascar, and Asia and South America. In Madagascar, oil extracted from seeds (called Ben or Behen oil) is used to soothe and soften babies' skin. In the Nile Valley, it is called the "purifying tree," which is given because of its excellent purifying constituents made from seeds made on the ground. The Sudanese women wrap the powder in a cloth and immerse it deep in the river, which purifies the water for safe drinking. The water-soluble protein contained in the seeds removes impurities and provides cleaner water.

본 발명에서는 공해 방지 케어로서 모링가의 이러한 정화와 해독작용을 스킨케어 조성물에 적용한다. 본 발명의 스킨케어 조성물에는 모링가 씨앗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모링가 씨앗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C1-4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추출용매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링가 추출물은 당업계에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purification and detoxification of Moringa is applied to the skin care composition as anti-pollution care. In the skincar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Moringa seed extract, which may be obtained by using various extraction methods known in the art, and preferably, water, C1-4 anhydrous or Obtained by using any one selected from a hydrous lower alcohol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etc.), a mixed solvent of the lower alcohol with water, an extraction solvent consisting of acetone, ethyl acetate, chloroform and 1,3-butylene glycol can do. Alternatively, Moringa extract may be purchased and used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art.

본 발명의 추출물이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모링가 씨앗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모링가 씨앗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 Moringa seed extract that exhibits substantially the same effect using not only the aforemention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other extraction solvents. In addition,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the extract by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the extract that has undergone a conventional purification process. Obtained by various additional purification methods, such as separation using ultrafiltration membranes having a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manufactured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The fraction is also included in the Moringa se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모링가 씨앗을 건조 또는 그대로 분쇄하여 얻어진 분쇄물에 분쇄물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5 부피비의 양으로 용매를 첨가한 후 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의 온도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온침 방법을 사용하거나, 4 내지 25℃의 낮은 온도에서 1 내지 20일간 침적시키는 냉침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수득된 추출 여액은 탈수 또는 탈용매화 한 후 감압 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액상 또는 분말 형태로 스킨케어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olvent is added to the ground powder obtained by drying or grinding the moringa seeds in an amount of 1 to 15% by volume based on the dry weight of the ground material, and then at a temperature of 5 to 95 ° C, preferably 10 to 90 ° C. It is possible to use a hot dip method for heating to extract for 24 hours, or a cold dip method to deposit for 1 to 20 days at a low temperature of 4 to 25 ℃. At this time, the obtained filtrate may be dehydrated or desolvated,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or lyophilized to be blended into the skin care composition in liquid or powder form.

모링가 씨앗 추출물은 스킨케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만약 상기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보습력과 피부 보호기능을 제형 상에서 발휘하지 못할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Moringa seed extract is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kincare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10% by weight may not be able to exert the moisturizing and skin protection function on the formulation, if it exceeds 20% by weight may affect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연꽃(Nelumbo nucifera Gaertner)은 연못, 저수지 등에 심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둥근 방패처럼 생겼으며 여름철에 분홍색 또는 흰색의 큰 꽃이 핀다. 아시아 남부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가 원산지이다. 진흙 속에서 자라면서도 청결하고 고귀한 식물로,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주어 온 식물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어가며 마디가 많고 가을에는 특히 끝부분이 굵어진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나와서 높이 1~2 m로 자란 잎자루 끝에 달리고 둥글다. 또한 지름 40 ㎝ 내외로서 물에 젖지 않으며 잎맥이 방사상으로 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특히 잎의 표면은 코팅된 구조로 인해 물방울이나 오염물질이 잘 묻지 않는데, 이를 "로터스 효과", 즉 연꽃 효과라고 한다.The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is a perennial plant that is planted in ponds, reservoirs, and leaves like a round shield, and large pink or white flowers bloom in summer. It is native to southern Asia and northern Australia. It is a plant that grows in the mud and is clean and noble, and has been friendly to people in many countries. Root stock is thick and stretches to the side, with many nodes, especially at the end in autumn. The leaves come from the rhizome and run round at the ends of petioles grown to 1 ~ 2 m in height. In addition, it is about 40 ㎝ in diameter, does not get wet, leaf vein is radially spread and the edge is flat. In particular, the surface of the leaf due to the coated structure is less likely to be contaminated with water droplets or contaminants, which is called the "Lotus effect", or lotus effect.

연꽃의 주요 성분으로, 꽃받침에는 d-(-)-N-노르아르메파빈, 리리오데닌, N-노르누시페린, 누시페린이, 꽃잎에는 플라보노이드인 루테올린-7-글루코사이드, 퀘르세틴-7-글루코사이드, 캄페롤-3-글루코실글루코사이드(넬루보시드)가 있다. 잎에는 아르메파빈, N-메틸코클라우린, N-메틸아이소코클라우린, 프로누시페린, 로에메린, 누시페린, 아노나인-N-노르누시페린, 데하이드로누시페린, 데하이드로로에메린, 데하이드로아노나인, 넬룸빈, 누파린, dl-아르메파빈이 있고,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쿠에르세틴-3-글루코사이드, 퀘르세틴글루코실글루큐로니드, 넬룸보시드가 함유되어 있다. The main component of the lotus flower is d-(-)-N-nor-armefabine, lyriodenin, N-northuciferin, nuciferin in the calyx, and flavolinoid luteolin-7-glucoside, quercetin-7- in the petal Glucoside, camphorol-3-glucosylglucoside (nerubosid). The leaves contain Armefabin, N-Methylcocurulin, N-Methylisocochlorine, Pronusperin, Loemerin, Nuciferin, Anonine-N-Nornursiferrin, Dehydronuciferin, Dehydroro Emerine, dehydroanonine, nerlumbin, nufarin, dl-armefabin and flavonoids include quercetin-3-glucoside, quercetinglucosilglucuronide, and nerlumboside.

연꽃의 효능으로는 수렴, 지혈, 강장약으로 유정, 혈붕, 치루, 토혈, 신경쇠약 등에 쓰인다고 알려져 있다(약초의 성분과 이용 p256, 1999, 일월서각).With a lotus effect is known sseuindago convergence, hemostatic, a tonic about the well, hyeolbung, fistula, hematemesis, fatigue or the like (of the herbal ingredients and the use of p256, 1999, January seogak).

연꽃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 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C1-4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추출용매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꽃 추출물은 당업계에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Lotus extract may be obtained using various extraction methods known in the art, preferably, water, C1-4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etc.), the lower alcohol and water It can be obtained using any one selected from a mixed solvent with, an extraction solvent consisting of acetone, ethyl acetate, chloroform and 1,3-butylene glycol. Alternatively, lotus extracts may be purchased and used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art.

본 발명의 추출물이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연꽃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연꽃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 lotus extract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effect using not only the aforemention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other extraction solvents. In addition,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the extract by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the extract that has undergone a conventional purification process. Obtained by various additional purification methods, such as separation using ultrafiltration membranes having a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manufactured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The fraction is also included in the lot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연꽃의 뿌리줄기, 잎이나 꽃을 건조 또는 그대로 분쇄하여 얻어진 분쇄물에 분쇄물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5 부피비의 양으로 용매를 첨가한 후 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의 온도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온침 방법을 사용하거나, 4 내지 25℃의 낮은 온도에서 1 내지 20일간 침적시키는 냉침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수득된 추출 여액은 탈수 또는 탈용매화 한 후 감압 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액상 또는 분말 형태로 스킨케어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5 to 95 ° C., preferably 10 to 90, is added to the pulveriz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or grinding the root stem, leaves or flowers of the lotus in an amount of 1 to 15% by volume based on the dry weight of the pulverized product. It is possible to use a warming method of extracting by heating for 1 to 24 hours at a temperature of ℃, or a cold soaking method to be deposited for 1 to 20 days at a low temperature of 4 to 25 ℃. At this time, the obtained filtrate may be dehydrated or desolvated,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or lyophilized to be blended into the skin care composition in liquid or powder form.

연꽃 추출물은 스킨케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Lotus extract is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kincare composition.

대나무(Phyllostachys)는 화본과(Gramnineae) 식물로서, 전 세계에 1,250여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래전부터 대나무가 많이 재배되어 왔는데, 자생하고 있는 대나무의 종류는 13종이며 대부분 전라남북도와 경남북도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예로부터 대나무는 고혈압, 발한, 중풍 등의 치료를 위한 민간약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방부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기존에는 대나무의 줄기, 표피, 죽순 및 죽실 등이 질병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고로쇠나무와 같이 수액을 채취하여 음용하고 있다.Bamboo (Phyllostachys) is a Gramineae plant known to have over 1,250 species around the world. In Korea, bamboo has been cultivated for a long time, and there are 13 kinds of native bamboo, mostly distributed in Jeollanam-do and Gyeongsangbuk-do areas. Bamboo has been used as a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sweating and stroke, and is known to have an antiseptic effect. Previously, stems, epidermis, bamboo shoots, and bamboo shoots of bamboo were used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but recently, sap is collected and drinking like buckthorn.

수액이란 도관이나 사부를 통해 유동하는 액체로서 무기염, 질소화합물, 탄수화물, 효소, 식물호르몬 등이 용해되어 있는 비교적 묽은 용액이다. 식물의 수액을 건강 음료로 마시는 풍습은 소련, 중국, 일본에서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민간약으로 이뇨, 변비, 위장병, 고혈압, 혈당조절, 신경통 등에 효험이 있다고 하여 이들 수액의 성분에 관심이 높다. A sap is a liquid that flows through conduits or dead ends and is a relatively dilute solution in which inorganic salts, nitrogen compounds, carbohydrates, enzymes, and plant hormones are dissolved. The custom of drinking plant sap as a healthy drink has a long history in the Soviet Union, China, and Japan, and is a folk medicine that is effective in diuresis, constipation, gastrointestinal diseases, high blood pressure, blood sugar control, neuralgia, etc.

대나무 수액은 고로쇠나무나 자작나무에 비해 더 많은 양의 수액을 채취할 수 있으며 당분과 무기성분의 함량이 특히 많아 전위, 이뇨, 신경 안정 및 심장질환의 발생 억제, 노폐물 제거, 스트래스 해소, 유해산소의 공격으로부터 피부 보호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타종에서 채취되는 수액과 비교하여 대나무 수액에는 당과 무기성분의 함량이 높아 음용수로서의 가치가 높으면서 항균 활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 천연항균 물질로서의 이용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Bamboo sap can collect more sap than gingko or birch, and its high content of sugars and inorganic components can prevent dislocation, diuresis, nerve stabilization and the occurrence of heart disease, elimination of waste, elimination of stress and harmful oxygen. It is known to be effective in protecting skin from attack. In addition, compared to the sap collected from other species, the sap of bamboo sap has a high content of sugars and inorganic components and has a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s a value for drinking water.

대나무 수액은 5~6월에 채취하며, 채취한 대나무 수액은 동결 건조를 통해 분말화한 후 -20℃의 온도에서 사용 전까지 보관한다. Bamboo sap is collected in May-June, and the collected bamboo sap is lyophilized and stored at -20 ℃ until use.

대나무 수액은 스킨케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Bamboo sap is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kincare composition.

히노끼 또는 노송이라고도 불리는 편백나무는 상록침엽수 교목으로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이며 일본이 원산지였으나, 우리나라에도 수입되어 전남 및 경남의 남해안 지방에서 조림되고 있다. 편백나무는 일본에서 최고로 신성시되는 수종으로 귀하게 취급하여 예로부터 국가에서 관리, 보호, 육종되어 왔다. 나무껍질은 적갈색이고 세로로 길게 찢어지는 듯이 갈라져서 벗겨지며 어린 가지는 편평하고 처진다. 특이한 것은 우리나라의 땅과 기후에서 생장한 편백나무가 일본의 편백나무와 다르게 피톤치드의 방출에 있어서 소나무와 잣나무를 월등히 능가하며 효능도 뛰어나다는 것이다. Cypress, also called hinoki or cypress, is an evergreen conifer tree and belongs to the cypressaceae family. It is native to Japan, but it is also imported to Korea and planted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of Jeonnam and Gyeongnam. Cypress is the most sacred species in Japan and has been managed, protected and bred in the country since ancient times. The bark is reddish brown, split and peeled off like a long longitudinal tear, and the young branches are flat and sagging. What is unusual is that the Japanese cypress, which grows in Korea's land and climate, outperforms pines and pines in the release of phytoncide, unlike Japanese cypresses.

피톤치드는 인체의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요소로 주목받고 있으며, 삼림욕의 일반적인 효과로서 피톤치드는 몸과 마음을 회복시켜 자연 치유력을 높여주고, 강력한 항균작용 및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나타내어 면역기구 강화에 상당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피톤치드의 성분인 테르펜류는 심신을 상쾌하게 만들기 때문에 숲이 주는 진정작용과 쾌적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피톤치드가 뇌의 알파파를 증가시킨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로, 알파파란 의식이 가장 높은 상태에서 몸과 마음이 조화를 이룰 때 발생되는 뇌파로서, 명상파라고도 한다. 이 상태에서는 심신이 안정되어 집중력이 향상되고 기억력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hytoncid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element to strengthen the body's immunity, and as a general effect of the forest bath, phytoncide restores the body and mind, enhances natural healing power, plays a significant role in strengthening the immune system by showing strong antibacterial action and stress relief effect. do. In particular, terpenes, phytoncide's ingredients, refresh the mind and body, providing forest sedation and comfort functions. It is also widely known that phytoncide increases the alpha waves of the brain. Alpha blue is the brain wave generated when the body and the mind are in harmony at the highest consciousness. In this state, the mind and body are stabilized and concentration is improved, and memory is also known to increase.

일반적으로 편백나무의 강한 향은 살균, 탈취, 피부미용, 혈액순환, 감기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삼림욕과 같은 효능을 내며, 피로회복과 건강 장수에 신비한 효과가 있다. 또한 편백나무는 훌륭한 목재로 사용되는데, 예컨대 편백나무를 욕조로 만들어 사용할 경우 이의 강한 향이 피부를 통해 인체에 흡수되어 건강에 뛰어난 효능을 나타낼 수 있고, 벽지로 만들어 실내 천장과 벽에 바를 경우 새집증후군 예방 및 개선은 물론 피톤치드의 기능성으로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아토피질환 개선에 큰 효과가 있다. In general, the strong scent of cypress is known to be effective in sterilization, deodorization, skin beauty, blood circulation, cold, etc., and promotes blood circulation and metabolism, produces the same effect as forest bath, and is mysterious for fatigue recovery and longevity. It works. Cypress wood is also used as a good timber, for example, when it is used as a bathtub, its strong fragrance is absorbed by the human body through the skin, and it can show excellent health effects. In addition to prevention and improvement, phytoncide has a great effect on improving atopy disease, which is a big problem in society.

편백나무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C1-4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추출용매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편백나무 추출물은 당업계에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Cypress extracts can be obtained using various extraction methods known in the art, preferably, water, C1-4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s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etc.), the lower alcohols and water It can be obtained using any one selected from a mixed solvent with, an extraction solvent consisting of acetone, ethyl acetate, chloroform and 1,3-butylene glycol. Alternatively, the cypress extract may be purchased and used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art.

본 발명의 추출물이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편백나무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편백나무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not only the above-mention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the extract of Cypress, which has substantially the same effect using other extraction solvents. In addition,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the extract by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the extract that has undergone a conventional purification process. Obtained by various additional purification methods, such as separation using ultrafiltration membranes having a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manufactured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Fraction is also included in the cypres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편백나무의 껍질 또는 어린 가지를 건조 또는 그대로 분쇄하여 얻어진 분쇄물에 분쇄물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5 부피비의 양으로 용매를 첨가한 후 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의 온도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온침 방법을 사용하거나, 4 내지 25℃의 낮은 온도에서 1 내지 20일간 침적시키는 냉침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수득된 추출 여액은 탈수 또는 탈용매화 한 후 감압 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액상 또는 분말 형태로 스킨케어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5 to 95 ° C., preferably 10 to 90 ° C., after adding the solvent to the pulveriz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or grinding the bark of young cypress as it is in an amount of 1 to 15% by volume based on the dry weight of the pulverized product. It is possible to use a warming method of extracting by heating for 1 to 24 hours at a temperature of, or to cold for 1 to 20 days to be deposited at a low temperature of 4 to 25 ℃. At this time, the obtained filtrate may be dehydrated or desolvated,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or lyophilized to be blended into the skin care composition in liquid or powder form.

편백나무 추출물은 스킨케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만약 상기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삼림욕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편백나무 특유의 향취로 인해 제품에서 독특한 향이 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Cypress extract is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kincare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10%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forest bathing effect, if the content exceeds 50% by weight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unique flavor in the product due to the unique flavor of cypress wood.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숲의 나무, 과일, 꽃 등에서 추출한 천연 성분을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은 피부에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하고, 외부 오염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정화시키며, 사용자의 피부와 감정에 상쾌함과 활력을 부여하는 삼림욕 효과가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natural ingredient extracted from a tree, fruit, flowers, etc. of the forest provides moisture and nutrition to the skin, protects and cleanses the skin from external contamination. In addition, the forest bathing effect that gives freshness and vitality to the user's skin and emotions is excellent.

따라서 상기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가 우수한 스킨케어 제품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refore, the skin care products excellent in the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prepared using the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스킨케어 제품은 스킨케어 제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중량%로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kincare product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rest relaxing skincare composition having a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of 0.1 to 10% by weight, preferably 1 to 6%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kincare product It is done.

본 발명에 따른 스킨케어 제품은 화장품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형태의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샴푸, 린스, 바디 워시, 비누 등의 세정료 제형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kincare product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any form of formulations conventionally made in the cosmetic industry, for example, lotion, gel, water soluble liquid, cream, essence, oil-in-water (O / W) type and Basic cosmetic formulations consisting of water-in-oil (W / O) type; Color cosmetic formulation consisting of oil-in-water or water-in-oil makeup base, foundation, skin cover, lipstick, lip gloss, face powder, two-way cake, eye shadow, cheek color and eyebrow pencils; Shampoo, rinse, body wash, may be formulated in a detergent formulation such as soap,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kant,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etc.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Can be.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마이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 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다이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a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especially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ly chlorofluoro hydrocarbon, propane Propellant, such as butane or dimethylether.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or emulsion, a solvent, solubiliz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Fatty acid esters of 1,3-butyl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s, polyethyleneglycol or sorbitan.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아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한천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liquid carrier diluents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suspending agents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s Castl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석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마이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다이에탄올아마이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the carrier component is an aliphatic alcohol sulfate, an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a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an isethionate, an imidazolinium derivative, a methyltaurate, a sarcosinate, a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fatty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한 각 제형의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가 우수한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제품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 살구, 무르무르 버터, 모링가, 연꽃, 대나무 수액 및 편백나무 추출물 이외의 기타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절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In the Forest Relaxing Skin Care product, which has a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of each of the above formulations, other ingredients other than apricot, murmur butter, moringa, lotus, bamboo sap, and cypres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are used for formulation or use purpose.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ropriately select and blend without difficulty.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se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in accordance with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바디 로션의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Body Lotion Having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s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조성을 이용하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바디 로션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바디 로션 조성물 중에 포함된 고보습 및 피부정화 성분으로는 살구 추출물, 무르무르 버터, 모링가 추출물, 연꽃 추출물, 대나무 수액 및 편백나무 추출물의 혼합물을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가 되도록 사용하였다. 이때, 고보습 및 피부정화 성분으로 사용되는 살구 추출물, 무르무르 버터, 모링가 추출물, 연꽃 추출물, 대나무 수액 및 편백나무 추출물은 모두 동일한 비율로 혼합되었다. A body lotion having a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prepared using the ingredients and compositions shown in Table 1 below and using methods known in the art. Here, the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ingredients included in the body lotion composition include a mixture of apricot extract, murmur butter, moringa extract, lotus extract, bamboo sap and cypress extrac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2% by weight. It was used to be. At this time, apricot extract, murmur butter, moringa extract, lotus extract, bamboo sap and cypress extract used as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ingredients were all mixed in the same ratio.

조성Furtherance 함량(중량%)Content (% by weight) 글리세린glycerin 10.0010.00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5.005.00 연화제Softener 3.003.00 오일oil 5.005.00 에멀젼화제Emulsifier 1.001.00 스쿠알렌Squalene 2.002.00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3.003.0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2.002.00 히알루론산 나트륨Sodium hyaluronate 1.001.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 PEG-100 Stearate 2.002.00 아미노산amino acid 0.200.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Glyceryl Stearate SE 1.001.00 스테아르산Stearic acid 2.002.00 실리콘silicon 1.001.00 알란토인Allantoin 1.001.00 토코페릴 스테아레이트Tocopheryl stearate 0.300.30 보존제Preservative 적당량A reasonable amount 증점제Thickener 적당량A reasonable amount 방향제air freshener 적당량A reasonable amount 킬레이트화제Chelating agent 적당량A reasonable amount 고보습 및 피부정화 성분(살구 추출물, 무르무르 버터, 모링가 추출물, 연꽃 추출물, 대나무 수액 및 편백나무 추출물의 혼합물)Highly moisturizing and purifying ingredients (a mixture of apricot extract, murmur butter, moringa extract, lotus extract, bamboo sap and cypress extract) 22 water to 100to 100

실시예 2: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페이셜 로션의 제조Example 2 Preparation of Facial Lotion with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s

하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조성을 이용하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페이셜 로션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페이셜 로션 조성물 중에 포함된 고보습 및 피부정화 성분으로는 살구 추출물, 무르무르 버터, 모링가 추출물, 연꽃 추출물, 대나무 수액 및 편백나무 추출물의 혼합물을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가 되도록 사용하였다. 이때, 고보습 및 피부정화 성분으로 사용되는 살구 추출물, 무르무르 버터, 모링가 추출물, 연꽃 추출물, 대나무 수액 및 편백나무 추출물은 모두 동일한 비율로 혼합되었다. Using the ingredients and compositions shown in Table 2 below, using a method known in the art to prepare a facial lotion having a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ingredients included in the facial lotion composition include a mixture of apricot extract, murmur butter, moringa extract, lotus extract, bamboo sap and cypress extract based on 2%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It was used to be. At this time, apricot extract, murmur butter, moringa extract, lotus extract, bamboo sap and cypress extract used as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ingredients were all mixed in the same ratio.

조성Furtherance 함량(중량%)Content (% by weight) 글리세린glycerin 8.008.00 연화제Softener 5.005.00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3.503.50 고분자Polymer 1.001.00 실리콘silicon 2.002.00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2.002.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 PEG-100 Stearate 2.002.00 폴리올Polyol 1.001.00 베타인Betaine 1.001.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1.001.0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1.001.00 실리콘silicon 1.001.00 레시틴lecithin 1.001.00 아미노산amino acid 0.200.2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300.30 카보머Carbomer 적당량A reasonable amount 에멀젼화제Emulsifier 1.001.00 증점제Thickener 적당량A reasonable amount 보존제Preservative 적당량A reasonable amount 방향제air freshener 적당량A reasonable amount 킬레이트화제Chelating agent 적당량A reasonable amount 고보습 및 피부정화 성분(살구 추출물, 무르무르 버터, 모링가 추출물, 연꽃 추출물, 대나무 수액 및 편백나무 추출물의 혼합물)Highly moisturizing and purifying ingredients (a mixture of apricot extract, murmur butter, moringa extract, lotus extract, bamboo sap and cypress extract) 22 water to 100to 100

시험예 1: 보습 효과Test Example 1: Moisturizing Effect

본 발명에 따른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바디 로션 및 페이셜 로션의 피부 보습 개선효과를 수분측정기(corneometer)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In order to find out the moisturizing effect of the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having a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and skin moisturizing effect of the body lotion and facial lotion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was measured using a moisture meter. It evaluated using.

구체적으로는, 성인 남녀 22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양쪽 전완부의 손목부터 팔꿈치까지를 흐르는 물로 세정하였다. 시험부위(전완부)는 피험자의 왼쪽 또는 오른쪽 팔에서 손목으로부터 5 ㎝ 거리의 전박 굴측부 부위로 하고, 시험부위마다 지름 1 ㎝의 원을 표시하였다. 피험자들을 23±1℃ 및 45±5% RH가 유지되는 항온-항습실에서 30분간 대기시킨 후 수분측정기(CM825, Courage & Khazaka, Germany)로 시험부위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시험부위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고보습 및 피부정화 바디 로션과 페이셜 로션 시료를 각각 도포하고 잘 흡수시킨 후 항온-항습실에서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및 24시간 경과 후 다시 시험부위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최초 상태의 수분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분 함량 증가율(%)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4와, 도 1에 나타내었다.Specifically, 22 adult men and women were washed with running water from the wrists to the elbows of both forearms. The test site (forearm) was a forearm flexor site 5 cm from the wrist in the left or right arm of the subject, and a circle having a diameter of 1 cm was marked for each test site. Subjects were waited for 30 minutes in a constant temperature-humidity room maintained at 23 ± 1 ° C. and 45 ± 5% RH, an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test site was measured by a moisture meter (CM825, Courage & Khazaka, Germany). Subsequently, the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body lotion and facial lotion s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were applied to the test site, respectively, and absorbed well, followed by 30 minutes, 1 hour, 2 hours, 4 hours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After the time, 6 hours and 24 hour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test site was measured again.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 rate (%) was calculated based o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initial stat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3 and 4 and FIG. 1.

도포 전Before application 30분30 minutes 1시간1 hours 2시간2 hours 4시간4 hours 6시간6 hours 24시간24 hours 무도포No coating 25.625.6 25.5525.55 25.5325.53 25.6325.63 25.5425.54 25.6225.62 25.6325.63 실시예 1Example 1 24.4924.49 53.9653.96 48.2848.28 45.6145.61 42.3842.38 39.639.6 36.7136.71 실시예 2Example 2 25.0825.08 51.4551.45 47.1947.19 45.5145.51 43.1743.17 41.9341.93 34.9934.99

수분 개선율(%)Moisture improvement rate (%) 도포 전Before application 30분30 minutes 1시간1 hours 2시간2 hours 4시간4 hours 6시간6 hours 24시간24 hours 실시예 1Example 1 00 5555 4949 4646 4242 3838 3333 실시예 2Example 2 00 5151 4747 4545 4242 4040 2828

상기 표 4 및 도 1은 표 3의 피부 수분 함량 측정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로션의 적용 전과 후의 피부 보습 개선율(%)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3 및 4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션을 도포하고 30분 후에는 도포 전 원래 피부의 수분 함량보다 2배 이상 상승된 보습력을 나타내어 50% 이상의 피부 보습 개선율을 보였고, 24시간 경과 후에도 상승된 보습력을 유지하여 20% 이상의 피부 보습 개선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Table 4 and Figure 1 shows the skin moisturizing improvement rate (%)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forest relaxing skin care lotion having a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skin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results of Table 3. As shown in Tables 3 and 4, and Figure 1, after applying the lo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0 minutes after the application showed a moisturizing power more than twic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original skin showed a 50% or more skin moisturizing improvement rate After 24 hours, the increased moisturizing power was maintained, indicating a skin moisturizing improvement rate of 20% or more.

시험예 2: 피부보호 효과Test Example 2: Skin Protection Effect

본 발명에 따른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이 외부 오염으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having a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otect the skin from external contamination,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구체적으로는, 성인 남녀 22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양쪽 전완부의 손목부터 팔꿈치까지를 흐르는 물로 세정하였다. 시험부위(전완부)는 피험자의 왼쪽 또는 오른쪽 팔에서 손목으로부터 5 ㎝ 거리의 전박 굴측부 부위로 하고, 시험부위마다 2 ㎝×2 ㎝의 정사각형 3개를 1 ㎝ 간격으로 표시하였다. 피험자들을 23±1℃ 및 45±5% RH가 유지되는 항온-항습실에서 15분간 대기시킨 후 캠스코프(Camscope, Sometech Inc, Korea)로 피부 표면을 관찰한 후 피부색 측정용 크로마미터(Chromameter CR-300, Minolta, Japan)로 L* 값을 측정하여 피부 밝기를 평가하였다. Specifically, 22 adult men and women were washed with running water from the wrists to the elbows of both forearms. The test site (forearm) was a forearm flexor site 5 cm from the wrist in the left or right arm of the subject, and three squares of 2 cm × 2 cm were marked at 1 cm intervals for each test site. Subjects were allowed to stand for 15 minutes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room maintained at 23 ± 1 ° C and 45 ± 5% RH, followed by observation of the skin surface with a Camscope (Sometech Inc, Korea). 300, Minolta, Japan) to evaluate the skin brightness by measuring the L * value.

이어서, 시험부위 세 곳 중 두 곳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바디 로션 및 페이셜 로션을 도포한 후 완전히 흡수가 되도록 10분간 대기한 후 세 개의 시험부위에 석탄(coal)을 도포하였다. 5분 후 도포한 석탄이 건조되면 캠스코프로 피부 표면을 관찰하고 크로마미터를 이용하여 L* 값을 측정하였다.Subsequently, the body lotion and facial lotion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were applied to two of the three test sites, and then waited for 10 minutes to be completely absorbed, and then coal was applied to the three test sites. After 5 minutes, the coated coal was dried, the skin surface was observed with a Camscope, and the L * value was measured using a chromameter.

기기 측정이 완료된 후, 샤워기를 이용하여 시험부위에 물을 30회 흘려보내고 10분 경과 후 시험부위에 물이 완전히 건조되면 다시 캠스코프로 피부 표면을 관찰하고 크로마미터를 이용하여 L* 값을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들의 기기측정 유의성은 가설평균차 5%(p<0.05)에 맞추어 쌍대 t-검정(paired t-test)으로 확인하였고, 통계 분석 프로그램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버전 2003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다.After the measurement of the device is completed, 30 minutes of water is flowed into the test area using a shower. After 10 minutes, when the water is completely dried on the test area, observe the skin surface with a camscope and measure the L * value using a chromameter. It was. The instrumental significance of the results was confirmed by a paired t-test according to the hypothesis difference 5% (p <0.05), and Microsoft Excel version 2003 software was used as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크로마미터는 사람에 의해 인지되는 색들을 3가지 인자로 구성된 디지털 코드로 전환하는 장비로, 화장품 연구에서 피부색 측정을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Muizzuddin N, 등,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Chemists 41:369-378, 1990; Weathrall IL, 등,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99:468-472, 1992). L* 값은 밝기(luminosity)를 나타내는 채도 인자(luminance parameter)이다. 상기에서 크로마미터를 이용한 시험부위의 피부 밝기는 5회를 측정한 후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개 측정값의 평균을 구하여 나타내었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6에 나타내었다. Chromameters are devices that convert colors perceived by humans into digital codes consisting of three factors, which are widely used for skin color measurement in cosmetic research (Muizzuddin N, et al.,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Chemists 41: 369). -378, 1990; Weathrall IL, et al.,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99: 468-472, 1992). The L * value is a saturation parameter representing the brightness. The skin brightness of the test site using the chromameter was express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ree measured values except for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after measuring five time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5 and 6 below.

평균Average 변화값Change 평균Average 도포전Before application 도포후After application 세척후After cleaning 도포전-도포후Before application-after application 도포전-세척후Before application-after cleaning 세척후-도포후After cleaning-after application AA 61.3661.36 43.6043.60 46.7846.78 17.7617.76 14.5714.57 3.183.18 BB 61.6761.67 44.9244.92 48.8148.81 16.7516.75 12.8612.86 3.893.89 CC 61.8461.84 43.5243.52 44.5444.54 18.3218.32 17.3017.30 1.021.02 A: 실시예 1의 바디 로션 B: 실시예 2의 페이셜 로션 C: 무도포 A: Body lotion of Example 1 B: Facial lotion of Example 2 C: Uncoated

통계statistics 세척후-도포후After cleaning-after application *;p<0.05*; p <0.05 A-BA-B 0.39240.3924 -- A-CA-C 0.01370.0137 ** B-CB-C 0.00000.0000 ** A-B: 실시예 1의 바디 로션과 실시예 2의 페이셜 로션 사이의 더러움 방지 정도 차이 A-C: 실시예 1의 바디 로션과 무도포 사이의 더러움 방지 정도 차이 B-C: 실시예 2의 페이셜 로션과 무도포 사이의 더러움 방지 정도 차이 AB: Difference in antifouling degree between the body lotion of Example 1 and Facial lotion of Example 2 AC: Difference in antifouling degree between the body lotion of Example 1 and no coating BC: Between facial lotion and no coating of Example 2 Dirt prevention degree difference

상기 실험은 본 발명에 따른 고보습 및 피부정화 스킨케어 조성물을 실제로 피부에 도포했을 때 일상생활 중의 먼지가 피부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지, 또한 피부에 달라붙은 먼지가 세척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것이다. 상기 표 5 및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보습 및 피부정화 바디 로션 및 페이셜 로션을 적용한 시험부위는 도포전-도포후 변화값으로부터 무도포 시험부위에 비해 더러움이 덜 타는 것을 알 수 있고, 세척후-도포후의 변화값으로부터 무도포 시험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러움이 잘 씻겨나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스킨케어 조성물의 피부보호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The experiment can be made to prevent the dust from sticking to the skin in everyday life when the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skin car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applied to the skin, and the dust stuck to the skin is easily removed by washing. Check if it is. As shown in Tables 5 and 6, the test site to which the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body lotion and facial lo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is less dirty from the non-coating test site from the pre-coating change value. In addition, it can be seen from the change value after post-application that the dirt is washed well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non-coated test site.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kin care composition having a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The specific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and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ese specific description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ill be obvious. Thus,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바디 로션과 페이셜 로션의 적용 시 피부 보습 개선율(%)을 조사한 그래프이다.Figure 1 is a graph of the skin moisturizing improvement rate (%) when applying the body lotion and facial lotion having a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5 중량%의 살구 추출물, 3 내지 15 중량%의 무르무르 버터, 10 내지 20 중량%의 모링가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의 연꽃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의 대나무 수액 및 10 내지 50 중량%의 편백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3 to 15 weight percent apricot extract, 3 to 15 weight percent Murmur butter, 10 to 20 weight percent moringa extract, 10 to 20 weight percent lotus extract, 10 to 50 weight perc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Contains a sap of bamboo and 10 to 50% by weight of cypress extract,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having a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제1항에 따른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킨케어 제품.A skin care product comprising a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having a high moisturizing and purifying effect according to claim 1.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이 스킨케어 제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케어 제품.For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having a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contained in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kin care product, skin care products.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 조성물이 스킨케어 제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6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케어 제품.For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having a high moisturizing and skin cleansing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contained in 1 to 6%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kin care product, skin care products.
KR1020080096194A 2008-09-30 2008-09-30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with high moisturizing and skin purifying effects KR1010683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194A KR101068320B1 (en) 2008-09-30 2008-09-30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with high moisturizing and skin purifying effe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194A KR101068320B1 (en) 2008-09-30 2008-09-30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with high moisturizing and skin purifying effe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806A true KR20100036806A (en) 2010-04-08
KR101068320B1 KR101068320B1 (en) 2011-09-28

Family

ID=42214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194A KR101068320B1 (en) 2008-09-30 2008-09-30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with high moisturizing and skin purifying effec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3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481A (en) * 2016-08-30 2018-03-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eparing apricot extract, the apricot extract prepared therefrom, and skin care 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apricot extra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841B1 (en) * 2011-10-07 2013-09-10 (주)동명엔터프라이즈 Composition of detergent containing peatmoss and moringa
WO2016195142A1 (en) * 2015-06-05 2016-12-08 주식회사 아이마더 Method for producing natural nano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moringa extrac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300A (en) * 2002-01-31 2003-03-03 주식회사 나우코스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s of Prunus armeniaca L, Vitis vinifera L. and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481A (en) * 2016-08-30 2018-03-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eparing apricot extract, the apricot extract prepared therefrom, and skin care 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apricot extr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320B1 (en)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892B1 (en)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raxinus rhynchophylla extract and calystegia soldanella extract
KR20180137101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assaging
KR20170103172A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centella asiatica extract, ceramide and betula alba juice for relieving skin irritation and reinforcing skin barrier
KR20130030032A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s of hubs
CN110339098A (en) A kind of scalp care compositions of the product of water by fermentation containing rice
KR101787406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bromelain, butcherbroom, grape seeds, arnica and lemon balm
KR101825704B1 (en)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ffee silver skin extract
KR101221183B1 (en) Skin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Korean medicinal flower extracts
CN108721193A (en) A kind of edible health care lipstick
KR102236236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calp containing natural extracts
KR102611063B1 (en) Massage cream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065926A (en) Composition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and brassica olecea var. botrytis extract having anti-biotic, deodorante and the use thereof
KR102350749B1 (en)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with excellent skin anti-aging activity, skin moisturizing and skin soothing effect including fruit extract
KR101068320B1 (en) Forest relaxing skin care composition with high moisturizing and skin purifying effects
KR101926080B1 (en) Soap composition and soap comprising the same
KR20210085788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lonicera japonica and extracts of aster glehnii for moisturizing the skin
KR100979143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erb extract for skin moisturizing effect and for enhancing skin elasticity
CN107184492B (en) Health-care toothpas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934976B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barrier comprising mixture of Diospyros lotus leaf extract and Curcuma longa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KR101236348B1 (en) Pack Composition
KR102439111B1 (en) Cosmetic composition
KR20190061277A (en) shampoo composition for prevent alopecia and growing of hair
JP4757157B2 (en) Topical skin preparation
KR20230081341A (en) Shampoo for fine hair improvement with herbal extracts
KR20100003955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effect on the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