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486A -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 검색 장치, 검색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 검색 장치, 검색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486A
KR20100036486A KR1020080095731A KR20080095731A KR20100036486A KR 20100036486 A KR20100036486 A KR 20100036486A KR 1020080095731 A KR1020080095731 A KR 1020080095731A KR 20080095731 A KR20080095731 A KR 20080095731A KR 20100036486 A KR20100036486 A KR 20100036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keyword
topic
intention
search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0714B1 (ko
Inventor
한경수
맹성현
오흥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95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7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5Correlation function computation including computation of convolu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 검색 장치, 검색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발화에서 탐지된 주제, 이용 의도 등에 따라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정렬하여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채팅 창을 통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버; 검색 질의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송신하는 검색 서버; 및 상기 채팅 창에 입력된 내용을 기반으로, 키워드, 주제 및 이용 의도에 따라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검색 결과를 상기 채팅 창에 입력시키는 검색 장치;를 포함한다.
검색, 발화, 대화, 채팅, 키워드, 주제, 의도, 컨텐츠

Description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 검색 장치, 검색 방법 및 저장 매체{A system, an apparatus, a method and a storage means for searching based on topic and intention}
본 발명은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 검색 장치, 검색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발화에서 탐지된 주제, 이용 의도 등에 따라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정렬하여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 검색은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서비스이다. 더불어, 인터넷을 통해 이용되는 다른 서비스로는 상대방이나 지능형 로봇과의 대화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 검색 및 대화는 서로 별개로 또는 병행되며 이용되게 된다. 즉, 사용자는 특정 주제나 키워드에 대한 대화를 수행하면서, 이에 대한 검색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대화를 잠시 중단한 상태에서 검색 사이트에 필요한 검색 질의를 생성하여 검색 결과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대화가 중지되고 검색을 위한 검색 질의의 생성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들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가 도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검색 질의를 수정하고 결과를 다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불어,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된 검색 결과는 키워드에 대한 일치성을 기준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호도나 이용 의도가 고려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대화 내용에 포함된 대화 주제와 키워드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정렬하여 제공하는 기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채팅 창을 통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버; 검색 질의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송신하는 검색 서버; 및 상기 채팅 창에 입력된 내용을 기반으로, 키워드, 주제 및 이용 의도에 따라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검색 결과를 상기 채팅 창에 입력시키는 검색 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키워드가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키워드가 포함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쇼핑몰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쇼핑몰 서버의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키워드가 포함된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 지리 정보 제공 서 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지리 정보 제공 서버의 지리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검색 장치는 개방형 API를 사용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장치는, 통신망과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분석 대상 문장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 중요도를 계산하는 키워드 관리부; 상기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계산하는 선호도 관리부; 상기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를 검색 서버로 전달하고,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검색부; 및 키워드 중요도와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분석 대상 문장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키워드 관리부는 키워드 k의 빈도수를 freq(k), 전체 키워드의 수를 Nkeywords라 할 때, 키워드 k의 중요도 importance(k)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01
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선호도 관리부는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interest(k),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의 호감도를 sentiment(k), 가중치를 α라 할 때,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의 가중치 weightpreference(k)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02
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분석 대상 문장의 주제와 검색 결과의 주제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하는 주제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가중치에 따라 검색 결과를 추가로 필터링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주제 관리부는, 대화주제 i에 대한 분석 대상 문장의 관련도를 Tutter(i), 주제 i에 대한 검색 결과의 관련도를 Tweb(i), 전체 대화 주제 종류의 총 수를 N이라 할 때, 대화 주제에 대한 가중치 weighttopic은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03
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분석 대상 문장의 이용 의도와 검색 결과에서 동일 이용 의도의 발생 빈도를 계산하는 이용 의도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발생 빈도에 따라 검색 결과를 추가로 필터링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용 의도 관리부는,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행위의 표현 발생 빈도를 nd,activity,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욕구의 표현 발생 빈도를 nd,desire, 검색 결과의 총 수를 Ncontent라 할 때, 검색 결과 d에서 사용자의 행위와 욕구에 대한 가중치 weightintention(d,activity,desire)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04
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필터부는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키워드 ki의 빈도수를 freqd(ki), 검색 결과 d의 키워드 중요도를 importance(ki), 검색 결과 d의 사용자 선호도 가중치를 weightpreference(ki), 검색 결과 d의 주제 t에 대한 가중치를 weighttopic(t), 검색 결과 d의 이용 의도 가중치를 weightintention(d,activity,desire), 검색 결과 d에 존재하는 키워드의 수를 Nd,keywords, 검색 결과의 총 수를 Ncontent라 할 때, 검색 결과 d에 대한 우선 순위 ContentScore(d)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05
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검색부는 개방형 API를 사용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방법은, 채팅 서버에서 제공하는 채팅 창에 입력된 내용을 분석 대상 문장으로서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를 검색 서버로 전달하고,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검색 단계; 및 키워드 중요도와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는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공 단계는: 상기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 중요도를 계산하는 제공1단계; 상기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계산하는 제공2단계; 및 상기 키워드 중요도와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는 제공5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공1단계는 키워드 k의 빈도수를 freq(k), 전체 키워드의 수를 Nkeywords라 할 때, 키워드 k의 중요도 importance(k)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06
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공2단계는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interest(k),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의 호감도를 sentiment(k), 가중치를 α라 할 때,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의 가중치 weightpreference(k)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07
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분석 대상 문장의 주제와 검색 결과의 주제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하는 제공3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공3단계는, 대화주제 i에 대한 분석 대상 문장의 관련도를 Tutter(i), 주제 i에 대한 검색 결과의 관련도를 Tweb(i), 전체 대화 주제 종류의 총 수를 N이라 할 때, 대화 주제에 대한 가중치 weighttopic은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08
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분석 대상 문장의 이용 의도와 검색 결과에서 동일 이용 의도의 발생 빈도를 계산하는 제공4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공4단계는,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행위의 표현 발생 빈도를 nd,activity,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욕구의 표현 발생 빈도를 nd,desire, 검색 결과의 총 수를 Ncontent라 할 때, 검색 결과 d에서 사용자의 행위와 욕구에 대한 가중치 weightintention(d,activity,desire)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09
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공5단계는,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키워드 ki의 빈도수를 freqd(ki), 검색 결과 d의 키워드 중요도를 importance(ki), 검색 결과 d의 사용자 선호도 가중치를 weightpreference(ki), 검색 결과 d의 주제 t에 대한 가중치를 weighttopic(t), 검색 결과 d의 이용 의도 가중치를 weightintention(d,activity,desire), 검색 결과 d에 존재하는 키워드의 수를 Nd,keywords, 검색 결과의 총 수를 Ncontent라 할 때, 검색 결과 d에 대한 우선 순위 ContentScore(d)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10
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저장 매체는 전술된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방법을 프로그램으로서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대화 내용에 포함된 키워드 중요도, 사용자 선호도, 주제 가중치 및 이용 의도를 고려하여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정렬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가 높은 검색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검색 시스템)
먼저, 첨부된 도면 도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100: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은 간략히 '검색 시스템'이라 한다)은 통신망(150)을 통해 상호 연결된, 채팅 서버(110), 검색 장치(120), 사용자 단말기(140), 검색 서버(160), 컨텐츠 제공 서버(170), 쇼핑몰 서버(180) 및 지리 정보 제공 서버(190)를 포함한다.
채팅 서버(110)는 채팅 창을 통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140)는 채팅 창을 통해 채팅 서비스를 이용한다.
검색 서버(160)는 검색 질의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송신한다. 검색 서버(160)는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17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쇼핑몰 서버(180)에서 제공하는 상품 정보 및 지리 정보 제공 서버(190)에서 제공하는 지리 정보를 검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검색 서버(160)는 개방형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형 API는 외부 프로그램이 검색 서버(160)의 검색 엔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검색 장치(120)는 별도의 검색 엔진을 구비하지 않고도 검색 서버(160)를 통해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검색 장치(120)는 채팅 창에 입력된 내용을 기반으로, 키워드, 주제 및 이용 의도에 따라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검색 결과를 채팅 창에 입력시킨다. 이때 검색 장치(120)는 개방형 API를 사용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170)는 키워드가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한다. 제공되는 컨텐츠는 뉴스와 같은 문자 정보, 사진과 같은 이미지 정보 및 UCC(User Created Contens)와 같은 동영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쇼핑몰 서버(180)는 키워드가 포함된 상품 정보를 제공한다. 상품 정보에 포함되는 키워드는 제조사, 제품명, 상품 분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지리 정보 제공 서버(190)는 키워드가 포함된 지리 정보를 제공한다. 지리 정보에 포함되는 키워드는 주소, 상호, 연락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검색 장치)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장치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장치(120: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장치'는 간략히 '검색 장치'라 한다)는 입력부(121), 통신부(122), 필터부(123), 검색부(124), 키워드 관리부(125), 선호도 관리부(126), 주제 관리부(127) 및 이용 의도 관리부(128)를 포함한다.
입력부(121)는 사용자로부터 분석 대상 문장을 입력받는다.
통신부(122)는 통신망과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분석 대상 문장을 수신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장치(120)는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되거나 통신부(122)를 통해 수신된 분석 대상 문장을 기반으로 검색을 수행하게 된다.
검색부(124)는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를 검색 서버로 전달하고,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한다. 이때 키워드를 검색 서버로 전달하는 과정은, 개방형 API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키워드 관리부(125)는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 중요도를 계산한다. 검색 결과에 존재하는 키워드 중요도는 다수의 사용자가 검색에 사용한 검색 키워드가 검색 결과에 존재할 경우, 빈도수가 높은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검색 결과에 가중치를 주는 것이다. 키워드 중요도는 일정 기간 동안 전체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 히스토리에서 나타난 검색 키워드의 발생 빈도수를 같은 기간 동안 나타난 모 든 키워드의 빈도수로 나눈 값이다. 키워드 관리부(125)는 키워드 k의 빈도수를 freq(k), 전체 키워드의 수를 Nkeywords라 할 때, 키워드 k의 중요도 importance(k)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11
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선호도 관리부(126)는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계산한다. 선호도는 키워드에 대한 관심도와 호감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관심도는 사용자가 대상 키워드에 대해 어느 정도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며, 호감도는 대상 키워드에 대한 호/불호를 나타낸다. 호감도의 값이 0.5면 중립, 그 이하면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그 이상이면 좋아하는 것을 나타낸다. 선호도 관리부(126)는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interest(k),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의 호감도를 sentiment(k), 가중치를 α라 할 때,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의 가중치 weightpreference(k)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12
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주제 관리부(127)는 분석 대상 문장의 주제와 검색 결과의 주제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한다. 주제에 대한 가중치는 검색 결과 타이틀의 주제와 분석 대상 문장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주제 관리부(127)는 대화주제 i에 대한 분석 대상 문장의 관련도를 Tutter(i), 주제 i에 대한 검색 결과의 관련도를 Tweb(i), 전체 대화 주제 종류의 총 수를 N이라 할 때, 대화 주제에 대한 가중치 weighttopic은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13
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이용 의도 관리부(128)는 분석 대상 문장의 이용 의도와 검색 결과에서 동일 이용 의도의 발생 빈도를 계산한다. 이용 의도는 사용자가 원하는 행위와 행위의 원인인 욕구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행위는 '수집하기', '관계맺기', '창조하기' 및 '기여하기'로 구성될 수 있고, 욕구는 '생리적/본능적 욕구', '안전/편리함의 욕구', '사랑/애정/소속의 욕구', '존중/평가의 욕구' 및 '자아실현의 욕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용 의도를 특정 단어와 맵핑하는 것은, 예를 들면, 이용 의도의 행위가 '관계맺기'이고 욕구가 '생리적 욕구'일 경우, 이용 의도에는 '소개팅', '~을 만나', '~을 먹' 및 '식사를 하~' 등의 단어가 맵핑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표1은 이용 의도와 '단어'의 맵핑 패턴이 나타난다.
Figure 112008068528078-PAT00014
표1에서, 행위에서 '수집하기'의 경우, 지식과 정보 수집 행위를 의미한다. 한편, 검색은 지식 및 정보 습득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수집하기'에 대해서는 별도의 표현 패턴이 정의될 필요가 없어서 생략되어 있음에 유의한다. 이용 의도 관리부(128)는,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행위의 표현 발생 빈도를 nd,activity,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욕구의 표현 발생 빈도를 nd,desire, 검색 결과의 총 수를 Ncontent라 할 때, 검색 결과 d에서 사용자의 행위와 욕구에 대한 가중치 weightintention(d,activity,desire)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15
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필터부(123)는 키워드 중요도, 사용자 선호도, 주제 가중치 및 이용 의도 가중치에 따라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한다. 필터부(123)는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키워드 ki의 빈도수를 freqd(ki), 검색 결과 d의 키워드 중요도를 importance(ki), 검색 결과 d의 사용자 선호도 가중치를 weightpreference(ki), 검색 결과 d의 주제 t에 대한 가중치를 weighttopic(t), 검색 결과 d의 이용 의도 가중치를 weightintention(d,activity,desire), 검색 결과 d에 존재하는 키워드의 수를 Nd,keywords, 검색 결과의 총 수를 Ncontent라 할 때, 검색 결과 d에 대한 우선 순위 ContentScore(d)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16
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검색 방법)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3 및 도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방법을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4는 도3에서 제공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방법(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방법'은 간략히 '검색 방법'이라 한다)은 수신 단계(S100), 검색 단계(S200) 및 제공 단계(S300)를포함한다.
수신 단계(S100)는 채팅 서버에서 제공하는 채팅 창에 입력된 내용을 분석 대상 문장으로서 수신하는 단계이다. 기본적으로 채팅창의 대화 내용은 사생활 보호를 위해 외부에서 열람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검색 장치는 채팅 서버와의 계약 및 사용자와의 계약을 통해 채팅창의 내용을 가져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색 단계(S200)는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를 검색 서버로 전달하고,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제공 단계(S300)는 키워드 중요도, 사용자 선호도, 주제 가중치 및 이용 의도 가중치에 따라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는 단계이다.
첨부된 도면 도4를 참조로 제공 단계(S300)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공1단계,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 중요도를 계산한다(S310). 제공1단계는 키워드 k의 빈도수를 freq(k), 전체 키워드의 수를 Nkeywords라 할 때, 키워드 k의 중요도 importance(k)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17
을 사용하여 계산하게 된다.
제공2단계,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계산한다(S320). 제공2단계는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interest(k),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의 호감도를 sentiment(k), 가중치를 α라 할 때,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의 가중치 weightpreference(k)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18
을 사용하여 계산하게 된다.
제공3단계, 분석 대상 문장의 주제와 검색 결과의 주제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한다(S330). 제공3단계는, 대화주제 i에 대한 분석 대상 문장의 관련도를 Tutter(i), 주제 i에 대한 검색 결과의 관련도를 Tweb(i), 전체 대화 주제 종류의 총 수를 N이라 할 때, 대화 주제에 대한 가중치 weighttopic은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19
을 사용하여 계산하게 된다.
제공4단계, 분석 대상 문장의 이용 의도와 검색 결과에서 동일 이용 의도의 발생 빈도를 계산한다(S340). 제공4단계는,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행위의 표현 발생 빈도를 nd,activity,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욕구의 표현 발생 빈도를 nd,desire, 검색 결과의 총 수를 Ncontent라 할 때, 검색 결과 d에서 사용자의 행위와 욕구에 대한 가중치 weightintention(d,activity,desire)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20
을 사용하여 계산하게된다.
제공5단계, 키워드 중요도, 사용자 선호도, 주제 가중치 및 이용 의도 가중치에 따라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한다(S350). 제공5단계는,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키워드 ki의 빈도수를 freqd(ki), 검색 결과 d의 키워드 중요도를 importance(ki), 검색 결과 d의 사용자 선호도 가중치를 weightpreference(ki), 검색 결과 d의 주제 t에 대한 가중치를 weighttopic(t), 검색 결과 d의 이용 의도 가중치를 weightintention(d,activity,desire), 검색 결과 d에 존재하는 키워드의 수를 Nd,keywords, 검색 결과의 총 수를 Ncontent라 할 때, 검색 결과 d에 대한 우선 순위 ContentScore(d)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21
을 사용하여 계산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검색 방법은 저장 매체에 프로그램으로서 저장된다.
(적용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적용예를 설명한다.
제1단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채팅 서버에서 제공하는 채팅 창에 '가수 A가 연기자 선언을 하고 드라마에 출연한다던데...'라는 문장을 입력한다.
제2단계, 검색 장치가 전술된 문장을 분석 대상 문장으로 수신하고, 키워드로 '가수 A', '연기자', '선언', '드라마' 및 '출연'을 탐지한다.
제3단계, 검색 장치가 키워드를 검색 서버로 전달하여 검색 결과를 수신한다. 본 적용예에서는 100개의 검색 결과가 수신된 것으로 가정한다.
제4단계, 검색 장치가 키워드 중요도, 사용자 선호도, 주제 가중치 및 이용 의도 가중치를 계산하고, 이 결과에 따라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한다. 본 적용예에서는 30개의 검색 결과가 필터링 이후 남은 것으로 가정한다.
제5단계,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순서로 검색 결과를 소정 개수 채팅 창에 입력시킨다. 경우에 따라, 필터링 이후 남은 모든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의 단계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과 관련도가 높은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는 도3에서 제공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검색 시스템 110: 채팅 서버
120: 검색 장치 140: 사용자 단말기
150: 통신망 170: 컨텐츠 제공 서버
180: 쇼핑몰 서버 190: 지리 정보 제공 서버

Claims (25)

  1.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채팅 창을 통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버;
    검색 질의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송신하는 검색 서버; 및
    상기 채팅 창에 입력된 내용을 기반으로, 키워드, 주제 및 이용 의도에 따라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검색 결과를 상기 채팅 창에 입력시키는 검색 장치;
    를 포함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키워드가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키워드가 포함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쇼핑몰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쇼핑몰 서버의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키워드가 포함된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 지리 정보 제공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검색 서버는 상기 지리 정보 제공 서버의 지리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장치는 개방형 API를 사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
  6. 통신망과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분석 대상 문장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 중요도를 계산하는 키워드 관리부;
    상기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계산하는 선호도 관리부;
    상기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를 검색 서버로 전달하고, 검색 서버로 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검색부; 및
    키워드 중요도와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는 필터부;
    를 포함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분석 대상 문장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관리부는 키워드 k의 빈도수를 freq(k), 전체 키워드의 수를 Nkeywords라 할 때, 키워드 k의 중요도 importance(k)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22
    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 관리부는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interest(k),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의 호감도를 sentiment(k), 가중치를 α라 할 때,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의 가중치 weightpreference(k)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23
    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대상 문장의 주제와 검색 결과의 주제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하는 주제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가중치에 따라 검색 결과를 추가로 필터링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관리부는, 대화주제 i에 대한 분석 대상 문장의 관련도를 Tutter(i), 주제 i에 대한 검색 결과의 관련도를 Tweb(i), 전체 대화 주제 종류의 총 수를 N이라 할 때, 대화 주제에 대한 가중치 weighttopic은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24
    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대상 문장의 이용 의도와 검색 결과에서 동일 이용 의도의 발생 빈도를 계산하는 이용 의도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발생 빈도에 따라 검색 결과를 추가로 필터링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의도 관리부는,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행위의 표현 발생 빈도를 nd,activity,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욕구의 표현 발생 빈도를 nd,desire, 검색 결과의 총 수를 Ncontent라 할 때, 검색 결과 d에서 사용자의 행위와 욕구에 대한 가중치 weightintention(d,activity,desire)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25
    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키워드 ki의 빈도수를 freqd(ki), 검색 결과 d의 키워드 중요도를 importance(ki), 검색 결과 d의 사용자 선호도 가중치를 weightpreference(ki), 검색 결과 d의 주제 t에 대한 가중치를 weighttopic(t), 검색 결과 d의 이용 의도 가중치를 weightintention(d,activity,desire), 검색 결과 d에 존재하는 키워드의 수를 Nd,keywords, 검색 결과의 총 수를 Ncontent라 할 때, 검색 결과 d에 대한 우선 순위 ContentScore(d)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26
    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장치.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개방형 API를 사용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장치.
  16. 채팅 서버에서 제공하는 채팅 창에 입력된 내용을 분석 대상 문장으로서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를 검색 서버로 전달하고,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검색 단계; 및
    키워드 중요도와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는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는:
    상기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 중요도를 계산하는 제공1단계;
    상기 분석 대상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계산하는 제공2단계; 및
    상기 키워드 중요도와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는 제공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1단계는 키워드 k의 빈도수를 freq(k), 전체 키워드의 수를 Nkeywords라 할 때, 키워드 k의 중요도 importance(k)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27
    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2단계는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interest(k),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의 호감도를 sentiment(k), 가중치를 α라 할 때, 키워드 k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의 가중치 weightpreference(k)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28
    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대상 문장의 주제와 검색 결과의 주제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하는 제공3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3단계는, 대화주제 i에 대한 분석 대상 문장의 관련도를 Tutter(i), 주제 i에 대한 검색 결과의 관련도를 Tweb(i), 전체 대화 주제 종류의 총 수를 N이라 할 때, 대화 주제에 대한 가중치 weighttopic은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29
    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대상 문장의 이용 의도와 검색 결과에서 동일 이용 의도의 발생 빈도를 계산하는 제공4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4단계는,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행위의 표현 발생 빈도를 nd,activity,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욕구의 표현 발생 빈도를 nd,desire, 검색 결과의 총 수를 Ncontent라 할 때, 검색 결과 d에서 사용자의 행위와 욕구에 대한 가중치 weightintention(d,activity,desire)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30
    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방법.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5단계는, 검색 결과 d에서 발생한 키워드 ki의 빈도수를 freqd(ki), 검색 결과 d의 키워드 중요도를 importance(ki), 검색 결과 d의 사용자 선호도 가중치를 weightpreference(ki), 검색 결과 d의 이용 의도 가중치를 weightintention(d,activity,desire), 검색 결과 d의 주제 t에 대한 가중치를 weighttopic(t), 검색 결과 d에 존재하는 키워드의 수를 Nd,keywords, 검색 결과의 총 수를 Ncontent라 할 때, 검색 결과 d에 대한 우선 순위 ContentScore(d)는 수학식
    Figure 112008068528078-PAT00031
    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방법.
  25. 제 16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방법을 프로그램으로서 저장한 저장 매체.
KR20080095731A 2008-09-30 2008-09-30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 검색 장치, 검색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1480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5731A KR101480714B1 (ko) 2008-09-30 2008-09-30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 검색 장치, 검색 방법 및 저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5731A KR101480714B1 (ko) 2008-09-30 2008-09-30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 검색 장치, 검색 방법 및 저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486A true KR20100036486A (ko) 2010-04-08
KR101480714B1 KR101480714B1 (ko) 2015-01-09

Family

ID=4221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5731A KR101480714B1 (ko) 2008-09-30 2008-09-30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 검색 장치, 검색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7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576A (ko) * 2014-11-28 2016-06-0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160109897A (ko) * 2015-03-13 2016-09-21 네이버 주식회사 정보를 공유하는 공통 관심 네트워크
CN110472027A (zh) * 2019-07-18 2019-11-19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意图识别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98732A (zh) * 2018-11-19 2020-05-26 顺丰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主题变换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22A (ko) * 2000-07-08 2000-11-06 유인오 인터넷 정보 검색 시 개인의 북마크 파일 데이터를기반으로 필터링하여 개인 맞춤 검색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
JP4552291B2 (ja) * 2000-08-23 2010-09-2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20070018385A (ko) * 2005-08-09 2007-02-14 (주)다음소프트 대화 분석을 이용하는 대화 에이전트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20060115683A (ko) * 2006-09-25 2006-11-09 엔에이치엔(주) 메신저를 이용한 검색 결과 공유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576A (ko) * 2014-11-28 2016-06-0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160109897A (ko) * 2015-03-13 2016-09-21 네이버 주식회사 정보를 공유하는 공통 관심 네트워크
US11044284B2 (en) 2015-03-13 2021-06-22 Naver Corporation Common interest network for sharing information
CN111198732A (zh) * 2018-11-19 2020-05-26 顺丰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主题变换的方法和装置
CN110472027A (zh) * 2019-07-18 2019-11-19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意图识别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472027B (zh) * 2019-07-18 2024-05-14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意图识别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714B1 (ko)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012B1 (ko) 정보 신규성 및 다이내믹스의 분석을 통해 뉴스피드를 개인화하는 원리 및 방법
JP5851507B2 (ja) インターネット検索に関する方法及び装置
US9251271B2 (en) Search query disambiguation confirmation
EP22081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a user preference profile
CN100492362C (zh) 一种基于即时通信的知识搜索方法及系统
US20080103907A1 (en) Apparatus and computer code for providing social-network dependent information retrieval services
US20090164929A1 (en) Customizing Search Results
US20120290637A1 (en) Personalized news feed based on peer and personal activity
US20150186368A1 (en) Comment-based media classification
CN112840335A (zh) 用于浏览器的以用户为中心的上下文信息
JP2005190476A (ja) ユーザの共同体のプリファランスエンコーディングの考慮を介したアプリケーションおよびサービスの個人化をサポートする統計的モデルおよび方法
KR101519401B1 (ko) 개인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규칙들을 파라미터화하는 방법
US20080120277A1 (en) Initial impression analysis tool for an online dating service
CN101743538A (zh) 生成用户配置文件的方法和设备
CN104899315A (zh) 推送用户信息的方法和装置
US201001532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Content Selection and Distribution
Costa et al. Emotion-based recommender system for overcoming the problem of information overload
WO2015130720A1 (en) Utilizing interactivity signals to generate relationships and promote content
JP6593873B2 (ja) 情報分析装置及び情報分析方法
KR101450453B1 (ko) 컨텐츠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0781399B1 (ko)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추천 엔진별 가중치를 부여하는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 매체
WO2012017786A1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装置、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00036486A (ko) 주제 및 이용 의도 기반 검색 시스템, 검색 장치, 검색 방법 및 저장 매체
US11232171B2 (en) Configuring applications using multilevel configuration
WO2012017787A1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装置、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