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385A -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385A
KR20100035385A KR1020080094746A KR20080094746A KR20100035385A KR 20100035385 A KR20100035385 A KR 20100035385A KR 1020080094746 A KR1020080094746 A KR 1020080094746A KR 20080094746 A KR20080094746 A KR 20080094746A KR 20100035385 A KR20100035385 A KR 20100035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warning
digital photographing
are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5385A/ko
Publication of KR20100035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4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comprising emergency warn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뷰 화면에서 감시영역을 설정하고, 프리뷰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감시 대상이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지 감시하고,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설정된 방식으로 경고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감시 대상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있을 필요가 없이 안정적으로 감시 대상을 감시할 수 있다.
영상 감시, 영역, 아기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및 장치{Surveillance Method and apparatus us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 감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감시하는 영상 감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살인, 강도, 도둑 및 방화 등의 범죄가 늘어남에 따라 보안은 더욱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공공 장소들에서 이용되는 많은 해결책들이 제시되고 또한 이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건물들, 도로 등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로 구성된 영상 감시 시스템이 있다.
일반적인 형태의 감시 시스템은 컴퓨터, 카메라, 데이터 전송 케이블 및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지털 영상 저장 장치(DVR)이다. 이러한 카메라들은 특정 한 곳을 촬영하도록 고정 장착되고, 이 촬영한 이미지 시퀀스들을 캡쳐하고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영상 저장 장치는 감시 솔루션을 설계하고, 장치를 설치하고, 감시 장소를 설정하는 특정의 보안요원들에 의해 운용된다. 보안 요원들은 이러한 시스템들을 관리하고, 촬영한 영상들은 필요할 때 언제라도 다시 볼 수 있도록 저장 장치에 기록한다.
하지만, 전술한 방식의 영상 감시 방법, 예를 들면 CCTV는 누군가가 모니터 앞에서 감시를 하거나, 나중에 확인을 위한 용도로 사용이 되었다. 즉 실시간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알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이 아기인 경우, 아기가 장롱과 침대 사이에 놓여진 놀이매트 위에서 놀고 있다고 가정을 하여 보면, 아기가 놀이 매트 위에서만 놀고 있다면, 문제가 될 일이 없겠지만, 아기의 특성상 자신이 관심이 있는 곳으로 갈려는 습성이 있다. 그런데 만약 침대의 모서리가 관심이 생겨서 아기가 그쪽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 보호자가 있다면 이것을 제지하고, 아기는 문제가 없겠지만, 보호자가 잠시 다른 볼일이 있어서, 잠깐 자리를 비운 사이에 이런 아기가 침대 모서리를 간다면, 아기가 다칠 수도 있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아기가 위험한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카메라로 달려드는 경우를 파악하여,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아기가 위험한 상황에 빠지는 것을 CCTV와 같은 복잡한 영상 감시 시스템은 해결해 줄 수 없다.
따라서, 전술한 상황에서, 가정에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 실시간으로 위험 여부를 보호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CCTV를 통해 영상 감시가 불가능하거나 부적합한 경우,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감시 대상, 예를 들면 아기가 위험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경고 방식으로 위험을 통보해 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뷰 화면상에서 감시 대상을 감시하기 위한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뷰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감시 대상이 상기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소정의 방식으로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고 단계는, 사용자가 경고 방식을 미리 설정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의 설정 여부에 따라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고 방식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리모컨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리모컨에서 상기 경고 메시지에 상응하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고 방식은, DLNA(Digital Living Alliance Network)를 통해 연결된 가전 기기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가전 기기에서 상기 경고 메시지에 상응하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시 단계는, 상기 프리뷰 영상의 전후 프레임의 차 영상을 계산하여 상기 감시 대상의 움직임을 추적함으로써, 상기 감시 대상이 상기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지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 단계 이전에,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영상 감시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시 대상은, 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장치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뷰 화면상에서 감시 대상을 감시하기 위한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감시 대상이 상기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지 감시하는 영역 감시부; 및 상기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소정의 방식으로 경고하도록 제어하는 경고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는 상기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사용자가 경고 방식을 미리 설정하였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 여부에 따라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역 감시부는, 상기 프리뷰 영상의 전후 프레임의 차 영상을 계산하여 상기 감시 대상의 움직임을 추적함으로써, 상기 감시 대상이 상기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지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뷰 화면에서 감시영역을 설정하고, 프리뷰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감시 대상이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지 감시하고,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설정된 방식으로 경고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감시 대상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있을 필요가 없이 안정적으로 감시 대상을 감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또한, 도 1과 함께 설명할 도 2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100)는 광학부(10), 광학 구동부(11), 촬상소자(15), 촬상소자 제어부(16), 통신부(17), 음성 출력부(18), 조작부(20), 프로그램 저장부(30), 버퍼 저장부(40), 데이터 저장부(50), 표시 제어부(60), 데이터 구동부(61), 주사 구동부(63), 표시부(65)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70)를 포함한다.
광학부(10)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가 입력되어 촬상 소자(13)로 제공한다. 광학부(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부(10)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구동부(11)는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등을 조절한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조리개의 개폐를 조절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광학 구동부(11)가 광학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5)는 촬상소자 제어 부(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6)도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소자(15)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7)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와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원격 제어하는 리모컨(미도시)을 연결해주는 접속 인터페이스이다. 리모콘을 통해 사용자가 조작 신호를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방식은 적외선,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통신부(17)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DSP(70)의 제어 신호, 즉 감시 대상이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을 이탈한 경우에 경고 신호를 리모컨(미도시)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경고 신호를 전송받은 리모컨은 자체 경고음을 내어 사용자에게 감시 대상, 예를 들면 아기가 위험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는 홈 네트워크, 예를 들면 DLNA(Digital Living Alliance Network)를 통해 댁내에 연결되어 있는 가전 기기들, 예를 들면 디지털 TV, 냉장고 등과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통신부(17)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DSP(70)의 제어 신호, 즉 감시 대상이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을 이탈한 경우에 경고 신호를 가전 기기들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경고 신호를 전송받은 가전 기기들은 자체 경고음을 내거나 또는 경고 메시지를 가전기기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감시 대상, 예를 들면 아기가 위험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18)는 DSP(70)의 제어하에 음성 또는 소리를 외부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음성 출력부(18)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DSP(70)의 제어 신호, 즉 감시 대상, 예를 들면 아기가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을 이탈한 경우에 경고음을 출력하여 아기의 부모 또는 보호자에게 아기가 위험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조작부(2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2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조작부(2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조작부(20)는 아기 보호 기능이라는 기능 버튼을 구비하거나 메뉴 버튼을 통해 아기 보호 기능을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20)를 통해 아기 보호 기능 메뉴를 선택하고, 감시 대상, 예를 들면 아기를 감시할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역 지정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뷰 화면을 보면서 네 점을 지정하고, 지정된 네 점을 통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아기 보호 기능 메뉴에 진입하면, 디폴트로 제공되는 윈도우를 기준으로 크기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영역 지정 방법 또는 윈도우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60), 표시 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어 표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65)를 포함한다. 표시부(65)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D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DSP(70)를 포함한다.
DSP(70)에 관하여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DSP(70)는 제어부(71), 영상 신호 처리부(72), 영역 설정 부(73), 영역 감시부(74) 및 경고 제어부(75)를 포함한다.
제어부(71)는 DSP(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촬상 소자(15)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신호를 변환하도록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그 기능이 설정된 경우 오토화이트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러를 이용하여 그 크기를 조절하며, 압축하여 소정 형식의 이미지 파일을 형성한다. 반대로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기도 한다.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사진 촬영 전 라이브-뷰 모드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셔터-릴리즈 신호에 의해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해 상기와 같은 영상 신호 처리들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신호들 각각에 대해 다른 영상 신호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영역 설정부(73)은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프리뷰 화면상에서 감시 대상을 감시하기 위한 소정의 영역을 설정한다. 여기서, 영역 설정은 사용자가 조작부(20)를 통해 입력한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한다.
영역 감시부(74)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감시 영역 설정부(73)에서 설정된 영역을 이탈하는지 감시한다. 여기서, 설정 된 영역을 벗어난 경우뿐만 아니라, 설정된 영역에 어느 정도 접근하고 있는 경우에도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분석 방법은 프리뷰 영상의 전후 프레임의 차 영상을 계산하여 감시 대상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도 있으며, 감시 대상의 움직임 벡터를 추적함으로써 설정된 영역에 접근하고 있는지를 분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차 영상 계산 또는 움직임 벡터 분석을 통해 감시 대상의 영역 이탈 여부를 판단하지만, 다른 영상 분석 방법을 통해 영역 이탈 여부를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고 제어부(75)는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소정의 방식으로 경고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소정의 방식은 사용자가 설정한 방식 또는 디폴트로 제공되는 방식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설정한 방식은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리모컨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리모컨에서 경고 메시지에 상응하는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DLNA(Digital Living Alliance Network)를 통해 연결된 가전 기기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가전 기기에서 경고 메시지에 상응하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71)는 영역 감시부(74)가 감시 대상이 설정된 영역을 이탈했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경고 방식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경고 방식을 선택하여 경고 제어부(75)에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정된 경고 방식이 없는 경우에는 경고 제어부(75)는 음성 출력부(18)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한다. 설정된 경고 방식이 리모콘인 경우에는, 경고 제어부(75)는 통신부(17)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리모컨에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0에서, 아기 보호 모드로 설정된다. 단계 302에서,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뷰 화면상에서 감시 영역을 설정한다. 단계 304에서, 아기가 감시 영역을 이탈하였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감시 영역을 이탈하였는지에 대한 판단은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감시 대상이 설정 영역을 이탈하였는지는 판단할 수 있다. 단계 304의 판단 결과, 아기가 감시 영역을 이탈한 경우, 단계 306에서, 사용자 설정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31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경고 방식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통보한다. 사용자 설정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 308에서 경고음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감시 대상으로서 아기를 설명하였지만, 다른 감시 대상, 예를 들면 애완동물, 감시하고 싶은 움직이는 물체, 또는 도난방지 필요성이 있는 귀중품도 동일한 방식으로 감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촬영장치의 일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 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촬영 장치 17: 통신부
18: 음성 출력부 70: 디지털 신호 처리부
71: 제어부 72: 영상 신호 처리부
73: 영역 설정부 74: 영역 감시부
75: 경고 제어부

Claims (11)

  1.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뷰 화면상에서 감시 대상을 감시하기 위한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뷰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감시 대상이 상기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소정의 방식으로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단계는,
    사용자가 경고 방식을 미리 설정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의 설정 여부에 따라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방식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리모컨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리모컨에서 상기 경고 메시지에 상응하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 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방식은,
    DLNA(Digital Living Alliance Network)를 통해 연결된 가전 기기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가전 기기에서 상기 경고 메시지에 상응하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계는,
    상기 프리뷰 영상의 전후 프레임의 차 영상을 계산하여 상기 감시 대상의 움직임을 추적함으로써, 상기 감시 대상이 상기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지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 이전에,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영상 감시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은,
    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9.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프리뷰 화면상에서 감시 대상을 감시하기 위한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감시 대상이 상기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지 감시하는 영역 감시부; 및
    상기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소정의 방식으로 경고하도록 제어하는 경고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사용자가 경고 방식을 미리 설정하였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 여부에 따라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를 이용한 영상 감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감시부는,
    상기 프리뷰 영상의 전후 프레임의 차 영상을 계산하여 상기 감시 대상의 움직임을 추적함으로써, 상기 감시 대상이 상기 설정 영역을 이탈하는지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장치.
KR1020080094746A 2008-09-26 2008-09-26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및 장치 KR20100035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746A KR20100035385A (ko) 2008-09-26 2008-09-26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746A KR20100035385A (ko) 2008-09-26 2008-09-26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385A true KR20100035385A (ko) 2010-04-05

Family

ID=4221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746A KR20100035385A (ko) 2008-09-26 2008-09-26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538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810B1 (ko) * 2011-10-24 2014-03-13 (주)컴버스테크 모의 면접 시스템 및 방법
WO2015186964A1 (ko) * 2014-06-03 2015-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비디오 생성방법
KR20220001612A (ko) * 2020-06-30 2022-01-06 카페24 주식회사 무인 배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01613A (ko) * 2020-06-30 2022-01-06 카페24 주식회사 물품의 안전 수령을 위한 무인 배송 운영 방법 및 장치, 무인 배송 시스템 및 방법
CN114554161A (zh) * 2022-03-08 2022-05-27 佛山市顺富元亨电子有限公司 一种危险区域报警的婴儿监视器及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810B1 (ko) * 2011-10-24 2014-03-13 (주)컴버스테크 모의 면접 시스템 및 방법
WO2015186964A1 (ko) * 2014-06-03 2015-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비디오 생성방법
US10375312B2 (en) 2014-06-03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ing device and video generation method by imaging device
KR20220001612A (ko) * 2020-06-30 2022-01-06 카페24 주식회사 무인 배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01613A (ko) * 2020-06-30 2022-01-06 카페24 주식회사 물품의 안전 수령을 위한 무인 배송 운영 방법 및 장치, 무인 배송 시스템 및 방법
CN114554161A (zh) * 2022-03-08 2022-05-27 佛山市顺富元亨电子有限公司 一种危险区域报警的婴儿监视器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7473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5061444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5954588B2 (ja) セキュリティー機能が強化されたドアロック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158860A (ja) 撮影システム、撮影装置、画像切替装置、およびデータ保持装置
JP4431547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それらの制御プログラム
JP5991514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201301306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US20170347068A1 (en) Image outputting apparatus, image output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1130271A (ja) 撮像装置および映像処理装置
KR20100035385A (ko)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한 영상 감시 방법 및 장치
JP2015023512A (ja)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撮影装置の撮影プログラム
JP2011004151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10142559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요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JP4730341B2 (ja) 撮像装置
JP2009027626A (ja) マイクロフォン装置、撮影装置、及びリモート撮影システム
JP2009239707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2015106860A (ja) 監視撮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3711119B2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JP2012065027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KR20070031079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카메라 충격 판별장치 및 방법
JP2005086360A (ja) 動体監視装置
JP2013090063A (ja) 監視装置、監視方法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JP2007257261A (ja) 監視装置
JP5313956B2 (ja) 監視カメラ
JP5488207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