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3954A -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3954A
KR20100033954A KR1020090089816A KR20090089816A KR20100033954A KR 20100033954 A KR20100033954 A KR 20100033954A KR 1020090089816 A KR1020090089816 A KR 1020090089816A KR 20090089816 A KR20090089816 A KR 20090089816A KR 20100033954 A KR20100033954 A KR 20100033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y
effect
information
metadata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범석
주상현
이해룡
박승순
박광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033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3Content authoring using a description language, 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감 미디어 생성 방법은, 실감 미디어 생성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에 대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핵심 효과 타입 이외의 실감 효과 타입을 정의하는 실감 효과 선언 정보 및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한 실감 효과 표현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디어를 제공할 때 실감 효과를 함께 구현함으로써 미디어의 재생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MMD(Single Media Multiple Devices), 실감 효과(sensory effect), 메타데이터

Description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PRESENTATION OF SENSORY EFFECTS}
본 발명은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10-02, 과제명: SMMD기반 유비쿼터스홈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개발].
일반적으로 미디어라 함은 오디오(음성, 음향 포함) 또는 비디오(정지화상, 동영상을 포함)를 포함한다. 사용자(user)가 미디어를 소비 또는 재생하는 경우, 미디어에 대한 데이터인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디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미디어를 재생하기 위한 기기(device)들 역시 기존에 아날로그 형태로 기록된 미디어를 재생하는 기기들로부터 디지털로 기록된 미디어를 재생하는 기기로 변화되었다.
종래의 미디어 기술은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기기와 같은 비디오 출력 장치만을 이용하여 왔다.
도 1은 종래의 미디어 기술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미디어(102)는 미디어 재생 장치(104)에 의해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이처럼 종래의 미디어 재생 장치(104)는 오디오와 비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만을 포함하고 있다. 이처럼 하나의 미디어가 하나의 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종래의 서비스를 SMSD(Single Media Single Device)기반 서비스라고 한다.
한편, 사용자에게 미디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오디오와 비디오에 대한 기술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를 다채널 신호 또는 다객체 신호로 처리하거나, 비디오를 고화질 영상,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으로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미디어 기술과 관련하여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은 MPEG-1부터 MPEG-2, MPEG-4, MPEG-7, 그리고 MPEG-21까지 진행되면서 미디어 개념의 발전과 멀티미디어 처리기술의 발전을 보여주고 있다. MPEG-1에서는 오디오와 비디오를 저장하기 위한 포맷을 정의하고 있고, MPEG-2에서는 미디어 전송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MPEG-4는 객체기반 미디어 구조를 정의하고 있고, MPEG-7은 미디어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다루고 있으며, MPEG-21은 미디어의 유통 프레임워크 기술을 다루고 있다.
이와 같이 미디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3차원 시청각 기기(3-D audio/visual devices)등을 통해 현실 체험(realistic experiences)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종래의 시청각 기기 및 미디어 만으로는 실감 효과(sensory effects)를 구현(realize)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디어를 제공할 때, 실감 효과를 함께 구현함으로써 미디어의 재생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감 미디어 생성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에 대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핵심 효과 타입 이외의 실감 효과 타입을 정의하는 실감 효과 선언 정보 및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한 실감 효과 표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에 있어서, 미디어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에 대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 생성부 및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핵심 효과 타입 이외의 실감 효과 타입을 정의하는 실감 효과 선언 정보 및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한 실감 효과 표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감 효과 표현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에 대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실감 효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하여 실감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핵심 효과 타입 이외의 실감 효과 타입을 정의하는 실감 효과 선언 정보 및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한 실감 효과 표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감 효과 표현 장치에 있어서, 미디어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에 대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실감 효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하여 실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핵심 효과 타입 이외의 실감 효과 타입을 정의하는 실감 효과 선언 정보 및 상기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한 실감 효과 표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미디어를 제공할 때 실감 효과를 함께 구현함으로써 미디어의 재생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종래의 미디어의 생성 또는 소비(재생)는 오디오와 비디오만을 그 대상으로 하여 왔다. 그러나, 인간은 시각과 청각 외에 후각 또는 촉각 등의 감각을 인지할 수 있다. 최근에는 촉각과 후각 등 인간의 오감을 자극할 수 있는 기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던 아날로그 신호에 의해 제어되던 가전 기기들은 디지털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후각 또는 촉각 등의 감각을 자극하는 기기를 미디어와 연동하여 제어하면, 과거의 오디오 또는 비디오만으로 한정되었던 미디어의 개념을 확장할 수 있다. 즉, 현재의 미디어 서비스는 하나의 미디어가 하나의 기기에서 재현되는 SMSD(Single Media Single Device)기반의 서비스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유비쿼터스 홈에서의 미디어 재현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미디어가 복수 개 의 기기와 연동하여 재현되는 SMMD(Single Media Multi Devices)기반의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기술은 단순히 보는 것과 듣는 것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인간의 오감을 만족시키는 실감(Sensory Effect)형 미디어로 진화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실감형 미디어로 인해, 미디어 산업과 실감기기(Sensory Effect Device)의 시장을 확대시킬 수 있으며, 미디어의 재생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풍부한 경험(experiences)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미디어의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감형 미디어 구현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미디어(202)와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실감 미디어 표현 장치(Representation of Sensory Effect Engine: RoSE Engine)(204)에 입력된다. 여기서, 미디어(202)와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별개의 제공자에 의해 실감 미디어 표현 장치(204)에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202)는 미디어 제공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공되고,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실감 효과 제공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미디어(202)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를 포함하고,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미디어(202)의 실감 효과 표현(represent) 또는 구현(realize)을 위한 실감 효과 정보(sensory effect information)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미디어(202)의 재생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실감 효과로서, 시각, 후각, 촉각의 3가지 감각에 대한 실감 효과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2에서 실감 효과 정보는 시각효과 정보, 후각효과 정보 및 촉각효과 정보를 포함한다.
실감 미디어 표현 장치(204)는 미디어(202)를 입력받아 미디어 출력장치(206)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실감 미디어 표현 장치(204)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시각효과 정보, 후각효과 정보 및 촉각효과 정보를 이용하여 실감기기(208, 210, 212, 214)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시각효과 정보를 이용하여 전등 기기(210)를 제어하고, 후각효과 정보를 이용하여 냄새 발생 기기(214)를 제어하며, 촉각효과 정보를 이용하여 진동 의자(208), 팬(212)을 제어한다.
따라서, 미디어에서 천둥 또는 번개와 같은 장면이 포함된 영상이 재생될 때에는 전등 기기(210)를 점멸시키고, 음식 또는 들판과 같은 장면이 포함된 영상이 재생될 때에는 냄새 발생 기기(214)를 제어하며, 래프팅 또는 자동차 추격과 같은 동적인 장면이 포함된 영상이 재생될 때에는 진동 의자(208)와 팬(212)을 제어함으로써, 시청하는 영상과 대응되는 실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바람의 세기, 조명의 색깔, 진동의 세기 등 실감 효과 정보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표현하기 위한 스키마(schema)가 정의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Sensory Effect Metadata: SEM)라고 한다.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가 미디어(202)와 함께 실감 미디어 표현 장치(204)에 입력되면, 실감 미디어 표현 장치(204)는 미디어(202)를 재생하는 동시에, 미리 특정 시간에 실감 효과가 구현되도록 기술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분석하고, 미디어(202)와 동기를 맞추어 실감 기기들을 동작시키게 된다.
이 때, 실감 미디어 표현 장치(204)는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실감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실감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가 정의되어야 하는데, 이를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Sensory Devide Capability metadata: SDCap)이라고 한다.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에는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각 기기의 세부 성능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미디어(202)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특정 실감 효과에 대하여 다양한 선호도(preference)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선호도는 실감 효과 표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는 빨간 색의 조명을 싫어할 수 있으며, 어떤 사용자는 야간에 미디어(202)를 시청하므로 어두운 조명과 낮은 소리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특정 실감 효과에 대한 선호도를 메타데이터로 표현함으로써 각 사용자별로 다른 실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메타데이터를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User Sensory Preference metadata: USP)라고 한다.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은 실감 미디어 표현 장치(204)는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전에, 각 실감 기기들로부터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실감 기기 또는 별도의 입력 단말을 통해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실감 미디어 표현 장치(204)는 입력받은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 및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실감 기기들에 대한 제어 명령을 내리게 된다. 이러한 제어 명령은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각 실감 기기들에 전달되는데, 이를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Sensory Device Command metadata: SDCmd)라고 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장치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용어 정의>
1. 제공자(provider)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개체를 의미하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미디어를 제공할 수도 있음.
예) 방송 사업자
2. 실감 효과 표현 장치(Representation of Sensory Effect(RoSE) engine)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Sensory Effect Metadata),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Sensory Device Capabilities metadata) 및/또는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User Sensory Preference metadata)를 입력받고, 이에 기반하여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Sensory Device Commands metadata)를 생성하는 개체.
3. 소비자 기기(consumer devices)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개체. 또한,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개체 또한 소비자 기기로 언급될 수 있음. 실감 기기(sensory devices)는 소비자 기기의 부분 집 합(sub-set)임.
예) 팬(fans), 조명(lights), 냄새 발생 기기(scent devices), 리모트 컨트롤러가 구비된 TV와 같은 인간 입력 장치(human input devices)
4. 실감 효과(sensory effects)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장면(scene)에서, 인간의 감각을 자극함으로써 지각(perception)을 증대(augment)시키기 위한 효과.
예) 냄새, 바람, 빛 등
5.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Sensory Effect Metadata: SEM)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한 기술 개요(description schemes) 및 기술자(descriptors)를 정의.
6. 실감 효과 전송 포맷(Sensory Effect Delievery Format)
SEM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정의.
예) MPEG2-TS 페이로드 포맷, 파일 포맷, RTP 페이로드 포맷 등
7. 실감 기기(sensory devices)
대응하는 실감 효과가 만들어질 수 있는 소비자 기기.
예) 조명(light), 팬(fans), 히터(heater) 등
8. 실감 기기 성능(Sensory Device Capability)
실감 기기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기술 개요 및 기술자를 정의.
예) XML 스키마(schema)
9. 실감 기기 성능 전송 포맷(Sensory Device Capability Delivery Format)
실감 기기 성능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정의.
예) HTTP, UPnP 등
10. 실감 기기 제어 명령(Sensory Device Command)
실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 개요 및 기술자를 정의.
예) XML 스키마
11. 실감 기기 제어 명령 전송 포맷(Sensory Device Command Delivery Format)
실감 기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정의.
예) HTTP, UPnP 등
12. 사용자 환경 정보(User Sensory Preference)
실감 효과의 렌더링과 관련된 사용자 환경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기술 개요 및 기술자를 정의.
예) XML 스키마
13. 사용자 환경 정보 전송 포맷(User Sensory Preference Delievery Format)
사용자 환경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정의.
예) HTTP, UPnP 등
<실감 효과 표현을 위한 전체 시스템>
이하에서는 실감 효과 표현을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표현을 위한 SMMD(Single Media Multiple Devices)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SMMD 시스템은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302), 실감 효과 표현 장치(RoSE Engine)(304), 실감 기기(306), 미디어 재생 장치(308)를 포함한다.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302)는 미디어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에 대한 실감 효과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SEM)를 생성한다. 그 후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302)는 생성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표현 장치(304)에 전송한다. 이 때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302)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와 함께 미디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302)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만을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미디어는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302)와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 실감 효과 표현 장치(304) 또는 미디어 재생 장치(308)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302)는 생성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와 미디어를 패키징하여 실감 미디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실감 미디어를 실감 효과 표현 장치(304)에 전송할 수도 있다.
실감 효과 표현 장치(304)는 미디어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에 대한 실감 효과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실감 효과 정보를 획득한다. 실감 효과 표현 장치(304)는 획득한 실감 효과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재생시 실감 효과의 표현을 위해 사용자의 실감 기기(306)를 제어한다. 실감 기기(306)의 제어를 위해, 실감 효과 표현 장치(304)는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SDCmd)를 생성하고, 생성된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실감 기기(306)에 전송한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실감 기기(306)만을 나타내었으나, 사용자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실감 기기가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효과 표현 장치(304)가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각 실감 기기(306)에 대한 성능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기 전에, 실감 효과 표현 장치(304)는 실감 기기(306)로부터 실감 기기(306)에 대한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기기 성능 메타 데이터(SDCap)를 전송받는다. 실감 효과 표현 장치(304)는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 통해 각 실감 기기(306)의 상태, 성능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실감 기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실감 효과의 구현을 위해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실감 기기에 대한 제어는 미디어 재생 장치(308)에 의해 재생되는 장면과 실감 기기들을 동기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감 기기(306)에 대한 제어를 위해 실감 효과 표현 장치(304)와 실감 기기(306)는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기술로서 LonWorks, UPnP(Universal Plug and Play)등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미디어의 효과적인 제공을 위해 MPEG(MPEG-7, MPEG-21 등을 포함함)과 같은 미디어 기술을 함께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실감 기기(306) 및 미디어 재생 장치(308)를 소유한 사용자는 특정 실감 효과에 대하여 다양한 선호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한 색을 싫어할 수도 있고, 좀 더 강한 진동을 원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는 실감 기기(306) 또는 별도의 입력 단말(미도시)을 통해 입력되고,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데이터를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USP)라고 한다. 생성된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는 실감 기기(306) 또는 입력 단말(미도시)을 통해 실감 효과 표현 장치(304)에 전송된다. 실감 효과 표현 장치(304)는 전송받은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를 고려하여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감 기기(306)는 미디어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기기이다. 실감 기기(306)의 예시는 다음과 같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시각 기기(visual device): 모니터, TV, 월 스크린(wall screen) 등
- 음향 기기(sound device): 스피커, 악기(music instrument), 벨 등
- 바람 기기(wind device): 팬(fan), 윈드 인젝터(wind injector) 등
- 온도 기기(temperature device): 히터, 쿨러 등
- 조명 기기(lighting device): 전구, 조광기(dimmer), 컬러 LED, 플래쉬(flash) 등
- 음영 기기(shading device): 커튼, 롤 스크린, 문(door) 등
- 진동 기기(vibration device): 진동 의자(trembling chair), 조이스틱, 티클러(tickler) 등
- 냄새 기기(scent device): 향수 발생기(perfumer) 등
- 확산 기기(diffusion device): 스프레이 등
- 기타(other device): 미정의된(undefined) 효과에 대한 기기 또는 위 기기들에 의한 효과의 조합
실감 기기(306)는 사용자에 따라 하나 이상이 존재할 수 있다. 실감 효과 표현 장치(304)로부터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전송받은 실감 기기(306)는 미디어 재생 장치(308)에서 재생되는 미디어와 동기를 맞추어 각 장면(scene)에 정의된 실감 효과를 구현한다.
미디어 재생 장치(308)는 기존의 미디어를 재생하기 위한 TV와 같은 재생 장치를 의미한다. 미디어 재생 장치(308) 또한 시각과 청각을 표현하기 위한 기기의 일종이므로, 넓은 의미에서는 실감 기기(306)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하지만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미디어 재생 장치(308)를 실감 기기(306)와는 별도의 개체로 표시하였다. 미디어 재생 장치(308)는 실감 효과 표현 장치(304)에 의해, 또는 별도의 경로에 의해 미디어를 전달받아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실감 미디어 생성 방법 및 장치>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실감 미디어의 생성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감 미디어 생성 방법은 미디어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에 대한 실감 효과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Sensory Effect Metadata)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실감 효과를 기술하는 실감 효과 기술 정보를 포함하며, 실감 효과 기술 정보는 미디어 내에서 실감 효과가 적용될 위치를 나타내는 미디어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감 미디어 생성 방법은 생성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표현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미디어와 분리된 별도의 데이터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화 보 기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면,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미디어(영화) 데이터와 해당 미디어에 적용될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이미 특정 미디어(영화)를 보유한 경우, 제공자는 해당 미디어에 적용될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만을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감 미디어 생성 방법은 생성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와 미디어를 패키징하여 실감 미디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실감 미디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공자는 미디어에 대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미디어와 결합 또는 패키징하여 실감 미디어를 생성하여 실감 효과 표현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실감 미디어는 실감 효과 표현을 위한 실감 미디어 포맷의 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감 미디어 포맷은 실감 효과 표현을 위한 미디어의 표준화될 파일 포맷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감 미디어 생성 방법에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실감 효과를 기술하는 실감 효과 기술 정보를 포함하며, 메타데이터의 생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일반 정보(general informat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감 효과 기술 정보는 미디어 내에서 실감 효과가 적용될 위치를 나타내는 미디어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미디어의 세그먼트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 세그먼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세그먼트 정보는 미디어의 세그먼트에서 적용될 효과 목록 정보, 효과 변수 정보 및 세그먼트에서 실감 효과가 적용될 위치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효과 변수 정보는 같은 시간에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실감 효과 변수를 포함하는 실감 효과 프래그먼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402)는 미디어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에 대한 실감 효과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404) 및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 생성부(406)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실감 효과를 기술하는 실감 효과 기술 정보를 포함하며, 실감 효과 기술 정보는 미디어 내에서 실감 효과가 적용될 위치를 나타내는 미디어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402)는 생성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표현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는 입력부(404)를 통해 입력된 후 전송부(410)를 통해 실감 효과 표현 장치 또는 미디어 재생 장치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미디어는 입력부(404)를 통해 입력되지 않고 별도의 경로를 통해 실감 효과 표현 장치 또는 미디어 재생 장치 등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402)는 생성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와 미디어를 패키징하여 실감 미디어를 생성하는 실감 미디어 생성부(4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부(410)는 실감 미디어를 실감 효과 표현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실감 미디어를 생성하는 경우, 입력부(404)는 미디어를 더 입력받을 수 있고, 실감 미디어 생성부(408)는 입력된 미디어와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 생성부(408)에 의해 생성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결합 또는 패키징하여 실감 미디어를 생성한다.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실감 효과를 기술하는 실감 효과 기술 정보를 포함하며, 메타데이터의 생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일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감 효과 기술 정보는 미디어 내에서 실감 효과가 적용될 위치를 나타내는 미디어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미디어의 세그먼트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 세그먼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세그먼트 정보는 미디어의 세그먼트에서 적용될 효과 목록 정보, 효과 변수 정보 및 세그먼트에서 실감 효과가 적용될 위치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효과 변수 정보는 같은 시간에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실감 효과 변수를 포함하는 실감 효과 프래그먼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장치>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표현 방법은 미디어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에 대한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실감 효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실감 효과 정보에 대응하는 실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Sensory Device Command metadata)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실감 효과 표현 방법은 생성된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실감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는 실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실감 기기 제어 기술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표현 방법은 실감 기기에 대한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Sensory Device Capabilites metadata)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성능 정보를 참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표현 방법은 소정의 실감 효과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User Sensory Preference metadata)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선호도 정보를 참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표현 방법에서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실감 기기 제어 기술 정보는 실감 기기의 스위치 온/오프 여부, 세팅될 위치, 세팅될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제어 일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감 기기 제어 기술 정보는 실감 기기에 대한 세부 동작 명령을 포함하는 기기 제어 세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표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표현 장치(502)는 미디어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에 대한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504) 및 입력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실감 효과 정보를 획득하고, 실감 효과 정보에 대응하는 실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506)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는 실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실감 기기 제어 기술 정보를 포함한다. 실감 효과 표현 장치(502)는 생성된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실감 기기에 전송하는 전송부(5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504)는 실감 기기에 대한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06)는 입력된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성능 정보를 참조하여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504)는 소정의 실감 효과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06)는 입력된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선호도 정보를 참조하여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실감 기기 제어 기술 정보는 실감 기기의 스위치 온/오프 여부, 세팅될 위치, 세팅될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제어 일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감 기기 제어 기술 정보는 실감 기기에 대한 세부 동작 명령을 포함하는 기기 제어 세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감 기기 성능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실감 기기 성능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감 기기 성능 정보 제공 방법은 실감 기기에 대한 성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Sensory Device Capabilities metadata)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는 성능 정보를 기술하는 기기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감 기기 성능 정보 제공 방법은 생성된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표현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실감 기기 성능 정보 제공 방법은 실감 효과 표현 장치로부터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실감 효과를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감 효과 표현 장치는 전송받은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감 기기 성능 정보 제공 방법에서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기기 성능 정보는 실감 기기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성능 공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성능 정보는 실감 기기의 세부 성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성능 세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감 기기 성능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의 실감 기기 성능 정보 제공 장치(602)는 실감 기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기기이거나 실감 기기 그 자체일 수 있다. 또한 실감 기기 성능 정보 제공 장 치(602)는 실감 기기와는 별도의 장치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감 기기 성능 정보 제공 장치(602)는 실감 기기에 대한 성능 정보를 획득하고,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606)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는 성능 정보를 기술하는 기기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실감 기기 성능 정보 제공 장치(602)는 생성된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표현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6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감 기기 성능 정보 제공 장치(602)는 실감 효과 표현 장치로부터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6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감 효과 표현 장치는 전송받은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때 제어부(606)는 입력된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실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기기 성능 정보는 실감 기기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성능 공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성능 정보는 실감 기기의 세부 성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성능 세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환경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환경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환경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선호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User Sensory Preference metadata)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는 선호도 정보를 기술하는 개인 환경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환경 정보 제공 방법은 생성된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표현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환경 정보 제공 방법은 실감 효과 표현 장치로부터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Sensory Device Command metadata)를 입력받는 단계 및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실감 효과를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감 효과 표현 장치는 전송받은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환경 정보 제공 방법에서 개인 환경 정보는 여러 명의 사용자를 구별하기 위한 개인 정보, 각 사용자의 실감 효과 선호도 정보를 기술하는 환경 기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경 기술 정보는 하나 이상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세부 파라메터를 포함하는 효과 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환경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의 사용자 환경 정보 제공 장치(702)는 실감 기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기기이거나 실감 기기 그 자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환경 정보 제공 장치(702)는 실감 기기와는 별도의 장치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환경 정보 제공 장치(702)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선호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704) 및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706)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는 선호도 정보를 기술하는 개인 환경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환경 정보 제공 장치(702) 생성된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표현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7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704)는 실감 효과 표현 장치로부터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실감 효과 표현 장치는 전송받은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때 제어부(706)는 입력받은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실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개인 환경 정보는 여러 명의 사용자를 구별하기 위한 개인 정보, 각 사용자의 실감 효과 선호도 정보를 기술하는 환경 기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경 기술 정보는 하나 이상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세부 파라메터를 포함하는 효과 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
이하에서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감 효과 표현(Representation of Sensoty Effects: RoSE)에 대한 핵심 실험(core experiments)의 M.2 단계에 따른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에 대 한 XML 스키마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안된 스키마에 기반한 예시들에 대해서도 다룬다. 이하에서 다루는 내용의 주요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실감 효과에 대한 선언( declaration ) 및 참조( reference )
상위(High) 레벨(또는 하위(Low) 레벨) 효과는 가장 먼저 선언되며, 그리고 나서 그 효과들은 이후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기능성(functionality)은 기술(description)의 반복을 감소시킨다.
○ 'Declaration'은 실감 효과(상위 레벨 및 하위 레벨 효과)의 선언 부분이다.
○ 'RefEffect'는 선언된 효과를 참조하기 위한 것이다.
○ 'Reference'는 외부 SEM 또는 내부 SEM의 'Declaration'을 통해 정의된 실감 효과를 참조하기 위한 것으로, 이전에 정의된 상위 레벨 또는 하위 레벨 효과의 집합(set)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 효과 베이스 타입( EffectBaseType )의 정의
본 발명에서는 'intensity(세기)', 'position(위치)' 또는 'direction(방향)'과 같이, 모든 실감 효과 타입에서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11개의 속성(attributes)을 포함하는 효과 베이스 타입(EffectBaseType)을 정의한다.
- 핵심 효과( core sensory effect )의 정의
본 발명에서는 핵심 효과 용어(vocabulary)를 위한 8개의 실감 효과 타입 및 그에 수반하는 참조 효과 타입들에 대해 상술한다. 그 타입들은 'singleEfectType' 및 'RefEffectType'에서 유래한다.
이하에서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의 XML 스키마 및 의미(semantics)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SEM)(801)는 속성 정보(attributes)(802), 일반 정보(GeneralInformation)(803), 실감 효과 선언 정보(Declaration)(804), 실감 효과 표현 정보(Effect)(808), 참조 정보(Reference)(8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감 효과 선언 정보(Declaration)(804)는 속성 정보(attributes)(805), 그룹 효과 선언 정보(GroupOfEffects)(806), 단일 효과 선언 정보(SingleEffect)(80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감 효과 표현 정보(Effect)(808)는 속성 정보(attributes)(809), 그룹 효과 표현 정보(GroupOfEffects)(810), 단일 효과 표현 정보(SingleEffect)(811), 참조 효과 표현 정보(RefEffect)(8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Figure 112009058293381-PAT00001
일반 정보(GeneralInformation)(803)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기술한다. 실감 효과 선언 정보(Declaration)(804)는 실감 효과 타입, 구체적으로는 핵심 효과 타입 이외의 실감 효과 타입(그룹 효과 또는 단일 효과)를 정의한다. 실감 효과 표현 정보(Effect)(808)는 핵심 효과, 또는 실감 효과 선언 정보(Declaration)(804)에 의해 정의된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실감 효과를 시간 정보와 함께 기술한다. 참조 정보(Reference)(813)는 외부 또는 내부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에 정의된 실감 효과를 참조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에 대한 스키마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그룹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에서, 그룹 효과 타입(Group effect type)의 스키마에는 정의되는 그룹 효과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id)가 포함되고, 하나 이상의 단일 효과가 포함된다. 도 10에 나타난 용어들의 의미를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Figure 112009058293381-PAT00002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효과 베이스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에서, 효과 베이스 타입(Effect Base Type)에는 위치(position) 정보, 방향(direction) 정보, 활성화(activate) 정보, 세기(intensity) 정보, 레벨(level) 정보, 우선순위(priority) 정보, 지속시간(duration) 정보, 페이드 시간(fadeTime) 정보, 대체효과(altEffectID) 정보, 적응성(adaptable) 정보, 필수성(mandatory) 정보, 기타 속성(anyAttribute) 정보가 정의된다. 도 11에 나타난 용어들의 의미를 정리하면 [표 3]과 같다.
Figure 112009058293381-PAT00003
Figure 112009058293381-PAT00004
Figure 112009058293381-PAT00005
Figure 112009058293381-PAT00006
Figure 112009058293381-PAT00007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일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에서, 단일 효과 타입(Single effect type)의 스키마에는 정의되는 단일 효과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id)가 포함된다. 도 12에 나타난 용어들의 의미를 정리하면 [표 8]과 같다.
Figure 112009058293381-PAT00008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참조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참조 효과 타입(Ref effect type)의 스키마에는 선언(declaration) 부분을 통해 이미 정의된 참조되는 실감 효과를 기술하는 식별 정보(refID)가 포함된다. 도 13에 나타난 용어들의 의미를 정리하면 [표 9]와 같다.
Figure 112009058293381-PAT00009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선언 정보 요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감 효과 선언 정보는 그룹 효과 타입 또는 단일 효과 타입에 대한 정의를 기술한다. 도 14에서, 그룹 효과 타입인 폭발(explosion) 효과가 정의되는데, 폭발 효과는 2개의 핵심 효과 타입, 즉 조명 효과 타입(LightType) 및 진동 효과 타입(VibrationType)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푸른 조명(blueLight) 효과, 산들바람(breeze) 효과, 번개(lightning) 효과 등 3개의 단일 효과 타입이 정의된다. 각각의 단일 효과 타입은 조명 효과 타입(LightType), 바람 효과 타입(WindType) 등의 핵심 효과 타입으로 기술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표현 정보 요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즉석의 효과 정의(instant effect declaration)에 대한 단일 효과 및 그룹 효과를 수반하는 실감 효과 표현 정보 요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5에서, 먼저 참조 효과 표현 정보(RefEffect)는 실감 효과 선언 정보에서 이미 정의된 바람 효과(wind)를 참조함으로써 해당 실감 효과를 표현한다. 즉, 참조 효과 표현 정보(RefEffect)는 실감 효과 선언 정보를 통해 이미 정의된 효과를 참조하기 위한 것이다. 그 아래에서는 단일 효과인 조명 효과 타입(LightType)이 표현되며, 계속해서 그룹 효과인 폭발 효과(explosion3), 단일 효과인 2 개의 조명 효과 타입 및 진동 효과 타입(VibrationType)이 표현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핵심 효과 용어(Core sensory effect vocabularies)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조명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조명 효과(Light effect)는 조명 효과 타입(LightType)과 조명 효과 참조 타입(LightRefType)으로 정의된다. 도 16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정리하면 [표 10]과 같다.
Figure 112009058293381-PAT00010
Figure 112009058293381-PAT00011
Figure 112009058293381-PAT00012
도 17은 온도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온도 효과(Temperature effect)는 온도 효과 타입(TemperatureType)과 온도 효과 참조 타입(TemperatureRefType)으로 정의된다. 도 17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정리하면 [표 13]과 같다.
Figure 112009058293381-PAT00013
Figure 112009058293381-PAT00014
도 18은 바람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8을 참조하면, 바람 효과(Wind effect)는 바람 효과 타입(WindType)과 바람 효과 참조 타입(WindRefType)으로 정의된다. 도 18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정리하면 [표 15]와 같다.
Figure 112009058293381-PAT00015
Figure 112009058293381-PAT00016
도 19는 진동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9를 참조하면, 진동 효과(Vibration effect)는 진동 효과 타입(VibrationType)과 진동 효과 참조 타입(VibrationRefType)으로 정의된다. 도 19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정리하면 [표 17]과 같다.
Figure 112009058293381-PAT00017
Figure 112009058293381-PAT00018
도 20은 경사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0을 참조하면, 경사 효과(Tilt effect)는 경사 효과 타입(TiltType)과 경사 효과 참조 타입(TiltRefType)으로 정의된다. 도 20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정리하면 [표 19]과 같다.
Figure 112009058293381-PAT00019
Figure 112009058293381-PAT00020
도 21은 확산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1을 참조하면, 확산 효과(Diffusion effect)는 확산 효과 타입(DiffusionType)과 확산 효과 참조 타입(DiffusionRefType)으로 정의된다. 도 21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정리하면 [표 21]과 같다.
Figure 112009058293381-PAT00021
Figure 112009058293381-PAT00022
Figure 112009058293381-PAT00023
도 22는 음영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2를 참조하면, 음영 효과(Shading effect)는 음영 효과 타입(ShadingType)과 음영 효과 참조 타입(ShadingRefType)으로 정의된다. 도 22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정리하면 [표 24]와 같다.
Figure 112009058293381-PAT00024
Figure 112009058293381-PAT00025
Figure 112009058293381-PAT00026
도 23은 외부기기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3을 참조하면, 외부기기 효과(External Device effect)는 외부기기 효과 타입(ExtDeviceType)과 외부기기 효과 참조 타입(ExtDeviceRefType)으로 정의된다. 도 23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정리하면 [표 27]과 같다.
Figure 112009058293381-PAT00027
도 24는 상위레벨 참조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위레벨 참조 효과(High level reference effect)는 상위레벨 참조 효과 타입(HighLevelRefType)으로 정의된다. 도 24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정리하면 [표 28]과 같다.
Figure 112009058293381-PAT00028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 조명 효과를 위한 조명 효과 타입 사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의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스키마 및 정의를 이용하여 플래시 조명 효과(flash effect)를 기술하고 있다. 플래시 조명 효과는 단일 효과 타입(SingleEffect)이고, 조명 효과 타입(LightType)을 사용한다. 또한 플래시 조명 효과는 활성화되고, 모드는 "3"이며, 컬러 컴포넌트값은 "255:0:0"이고, 진동수는 "2", 세기는 "60", 지속시간은 "PT5S15N30F"로 각각 정의된다.
도 26은 운동 효과(예: 흔들 의자)를 나타내기 위한 경사 효과 타입 사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운동 효과는 미리 정의된 경사(tilt) 효과 타입을 참조하며, 이를 위해 경사 효과 참조 타입(TiltRefType)을 이용한다. 또한 운동 효과는 활성화되고, 지속시간은 "PT0S15N30F"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미디어 기술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감형 미디어 구현에 대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표현을 위한 SMMD(Single Media Multiple Devices)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표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감 기기 성능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환경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에 대한 스키마의 일 예.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그룹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예.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효과 베이스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예.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일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예.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참조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예.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선언 정보 요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실감 효과 표현 정보 요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조명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
도 17은 온도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
도 18은 바람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
도 19는 진동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
도 20은 경사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
도 21은 확산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
도 22는 음영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
도 23은 외부기기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
도 24는 상위레벨 참조 효과 타입에 대한 스키마의 일 실시예.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 조명 효과를 위한 조명 효과 타입 사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운동 효과(예: 흔들 의자)를 나타내기 위한 경사 효과 타입 사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15)

  1. 미디어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에 대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핵심 효과 타입 이외의 실감 효과 타입을 정의하는 실감 효과 선언 정보 및 상기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한 실감 효과 표현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미디어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외부 또는 내부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에 정의된 실감 효과 타입을 참조하기 위한 참조 정보를 더 포함하는, 실감 미디어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 효과 선언 정보는
    그룹 효과 타입을 정의하는 그룹 효과 선언 정보 또는 단일 효과 타입을 정의하는 단일 효과 선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효과 타입은 하나 이상의 단일 효과 타입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실감 미디어 생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 효과 표현 정보는
    상기 핵심 효과 타입, 상기 그룹 효과 타입 또는 상기 단일 효과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감 미디어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 효과 타입은
    조명 효과 타입, 온도 효과 타입, 바람 효과 타입, 진동 효과 타입, 경사 효과 타입, 확산 효과 타입, 음영 효과 타입, 외부기기 효과 타입, 상위레벨 참조 효과 타입을 포함하는, 실감 미디어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 효과에 적용되는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 방향 정보, 활성화 정보, 세기 정보, 레벨 정보, 우선순위 정보, 지속시간 정보, 페이드 시간 정보, 대체효과 정보, 적응성 정보, 필수성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미디어 생성 방법.
  7. 미디어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에 대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핵심 효과 타입 이외의 실감 효과 타입을 정의하는 실감 효과 선언 정보 및 상기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한 실감 효과 표현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외부 또는 내부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에 정의된 실감 효과 타입을 참조하기 위한 참조 정보를 더 포함하는,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 효과 선언 정보는
    그룹 효과 타입을 정의하는 그룹 효과 선언 정보 또는 단일 효과 타입을 정의하는 단일 효과 선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효과 타입은 하나 이상의 단일 효과 타입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 효과 표현 정보는
    상기 핵심 효과 타입, 상기 그룹 효과 타입 또는 상기 단일 효과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감 미디어 생성 장치.
  11. 미디어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에 대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실감 효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하여 실감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핵심 효과 타입 이외의 실감 효과 타입을 정의하는 실감 효과 선언 정보 및 상기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한 실감 효과 표현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미디어 표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외부 또는 내부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에 정의된 실감 효과 타입을 참조하기 위한 참조 정보를 더 포함하는, 실감 미디어 표현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 효과 선언 정보는
    그룹 효과 타입을 정의하는 그룹 효과 선언 정보 또는 단일 효과 타입을 정의하는 단일 효과 선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효과 타입은 하나 이상의 단일 효과 타입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실감 미디어 표현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 효과 표현 정보는
    상기 핵심 효과 타입, 상기 그룹 효과 타입 또는 상기 단일 효과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감 미디어 표현 방법.
  15. 미디어에 적용되는 실감 효과에 대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실감 효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하여 실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핵심 효과 타입 이외의 실감 효과 타입을 정의하는 실감 효과 선언 정보 및 상기 실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한 실감 효과 표현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미디어 표현 장치.
KR1020090089816A 2008-09-22 2009-09-22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장치 KR201000339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884408P 2008-09-22 2008-09-22
US61/098,844 2008-09-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954A true KR20100033954A (ko) 2010-03-31

Family

ID=4204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816A KR20100033954A (ko) 2008-09-22 2009-09-22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88832A1 (ko)
EP (1) EP2330827A4 (ko)
KR (1) KR20100033954A (ko)
WO (1) WO201003300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830B1 (ko) * 2009-12-11 2013-03-06 광주과학기술원 데이터 포멧의 정의를 통한 촉각 정보 표현 방법 및 촉각 정보 전송 시스템
KR20150028720A (ko) * 2013-09-06 2015-03-16 임머숀 코퍼레이션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상호보완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9261974B2 (en) 2011-02-08 2016-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ensory effect of image dat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835A (ko) * 2007-10-16 2009-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미디어 생성 및 소비 방법 및 그 장치 및 실감 미디어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00138700A (ko) * 2009-06-25 2010-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세계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10241908A1 (en) * 2010-04-02 2011-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ensory effect
US20110282967A1 (en) * 2010-04-05 2011-11-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ser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746453B1 (ko) * 2010-04-12 201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10013857B2 (en) * 2011-12-21 2018-07-03 Qualcomm Incorporated Using haptic technologies to provide enhanced media experiences
KR20140104537A (ko) * 2013-02-18 2014-08-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기반의 감성 인터랙션 장치 및 방법
KR101580237B1 (ko) * 2013-05-15 2015-12-28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4d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컨텐츠 제작 장치
KR101727592B1 (ko) * 2013-06-26 2017-04-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감성추론 기반 사용자 맞춤형 실감미디어 재현 장치 및 방법
US9619980B2 (en) 2013-09-06 2017-04-11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haptic effects associated with audio signals
US9711014B2 (en) 2013-09-06 2017-07-18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haptic effects associated with transitions in audio signals
US9576445B2 (en) 2013-09-06 2017-02-21 Immersion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haptic effects associated with an envelope in audio signals
WO2016007426A1 (en) * 2014-07-07 2016-01-14 Immersion Corporation Second screen haptics
KR102231676B1 (ko) * 2014-12-23 2021-03-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및 방법
US10269392B2 (en) * 2015-02-11 2019-04-23 Immersion Corporation Automated haptic effect accompaniment
US10541005B2 (en) * 2017-05-17 2020-01-2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istributed and synchronized control system for environmental signals in multimedia playback
CA3104549A1 (en) * 2018-06-22 2019-12-26 Virtual Album Technologies Llc Multi-modal virtual experiences of distributed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5188B2 (ja) * 1996-06-20 2002-03-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
US20030093790A1 (en) * 2000-03-28 2003-05-15 Logan James D.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JP2001238193A (ja) * 2000-02-18 2001-08-31 Sony Corp 映像供給装置及び映像供給方法
US20060117259A1 (en) * 2002-12-03 2006-06-01 Nam Je-Ho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ng graphics contents and system therefor
US20050226601A1 (en) * 2004-04-08 2005-10-13 Alon Coh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n effect to a media presentation
KR100620560B1 (ko) * 2004-09-22 2006-09-12 오규태 범죄 예방 및 감시 방법과 그 시스템
KR100737804B1 (ko) * 2005-03-30 2007-07-10 전자부품연구원 센서 네트워크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서비스 제공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830B1 (ko) * 2009-12-11 2013-03-06 광주과학기술원 데이터 포멧의 정의를 통한 촉각 정보 표현 방법 및 촉각 정보 전송 시스템
US9261974B2 (en) 2011-02-08 2016-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ensory effect of image data
KR20150028720A (ko) * 2013-09-06 2015-03-16 임머숀 코퍼레이션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상호보완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0827A4 (en) 2013-07-10
EP2330827A2 (en) 2011-06-08
WO2010033006A2 (ko) 2010-03-25
WO2010033006A3 (ko) 2010-06-24
US20110188832A1 (en)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3954A (ko)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장치
US201002687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esenting sensory effects using sensory device capability metadata
KR101667416B1 (ko)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그 장치 및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201002748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esenting sensory effects using user&#39;s sensory effect preference metadata
KR20100008774A (ko)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그 장치 및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00008777A (ko)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그 장치 및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00008775A (ko)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그 장치 및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492635B1 (ko) 실감 미디어 생성 및 소비 방법 및 그 장치
JP5268895B2 (ja) 周囲環境及びコンテンツの配信
US8577203B2 (en) Sensory effect media generating and consum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2009521170A (ja) 透かしによるスクリプト同期化方法
Yoon et al. 4-d broadcasting with mpeg-v
KR20080048308A (ko) 기본 장치와 확장 장치의 연동 장치 및 방법
Choi et al. Streaming media with sensory effect
JP2007504697A (ja) ユーザプロフィールによるコンテンツ情報のレンダリングの制御
Timmerer et al. Assessing the quality of sensory experience for multimedia presentations
JP2010109965A (ja) オーケストラメディア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Luque et al. Integration of multisensorial stimuli and multimodal interaction in a hybrid 3DTV system
WO2018083852A1 (ja) 制御装置および記録媒体
Suk et al. Sensory effect metadata for SMMD media service
Kim et al. Novel hybrid content synchronization scheme for augmented broadcasting services
Hu et al. An adaptive architecture for presenting interactive media onto distributed interfaces
CN115176223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程序
KR20050116916A (ko)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생성하고 재생하는 방법과그 재생 장치
KR20140051040A (ko) 실감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