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040A - 실감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감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040A
KR20140051040A KR1020130050938A KR20130050938A KR20140051040A KR 20140051040 A KR20140051040 A KR 20140051040A KR 1020130050938 A KR1020130050938 A KR 1020130050938A KR 20130050938 A KR20130050938 A KR 20130050938A KR 20140051040 A KR20140051040 A KR 20140051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content
information
realistic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희
이현우
배성준
류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057,97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40115649A1/en
Publication of KR20140051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는 가용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검색하여 실감 재생 장치 정보를 생성하고, 수신된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고,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실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 및 수신된 콘텐츠를 하나 이상의 모달리티(Modality)로 분류하고, 분류된 각각의 모달리티에 적합하게 상기 콘텐츠를 큐레이션(Curation)하여 체감형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체감형 콘텐츠 및 실감 재생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실감방송 플랫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감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ISTIC BROADCASTING}
본 발명은 실감 방송 서비스 제공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감미디어(Immersive Media)의 오감 상황과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고품질의 영상 및 실감 음향에 바람, 진동, 촉감 및 후각 등을 재현하는 디바이스를 연계하여 4차원의 방송 공간을 구성하여 실감 방송을 서비스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감 방송은 다차원 실감미디어(Immersive Media)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몰입감을 줄 수 있는 차세대 방송 서비스이다. 실감미디어는 현실세계를 가장 근접하게 재현하고자 하는 차세대 미디어로 현재 사용하는 미디어보다 월등히 나은 표현력과 선명함, 현실감을 제공하여 방송, 영화 및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 분야뿐만 아니라 컴퓨터 그래픽스, 디스플레이 및 산업 응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실감미디어 기술은 2000년대 중반부터 고해상도와 입체음향 기술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데, 종래에 일반적인 TV 시청에 만족하던 사용자들은 점차 HD TV 및 3D TV와 5.1채널 오디오와 같은 고품질 콘텐츠 서비스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또한 단순히 보는 것과 듣는 것에 대한 실감뿐만 아니라 사람의 오감을 만족시키는 체감형 미디어로 진화 중에 있다. 이러한 실감미디어는 현재 4D 영화관이나 전시관에 도입되고 있으며, 이러한 영화관 또는 전시관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도 도입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반 가정에서 실감미디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 주는 기술은 3D 및 UHD(Ultra HD) TV를 통해 2D 방송이나 콘텐츠 또는 3D로 제작된 방송이나 콘텐츠를 시청하게 해주는 스크린 및 영상처리 기술, 3D 시청에 부가하여 진동이나 바람, 습기를 콘텐츠의 흐름에 따라 적정 시점에 제공하는 이른바 4D 서비스 기술,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여 실감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오감 정보처리 기술, 및 SMMD(Single Media Multi Devices) 기술이 있다.
3D 방송기술은 다시점 2D 및 3D TV 방송, 자유 시점 방송, UHD 3DTV 방송, 홀로그래픽 TV로 진화하는 과정을 밟고 있으며, 최근에는 2D 방송이나 콘텐츠를 3D로 변환하여 3D TV와 같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3D 방송 기술은 2D 영상을 3D로 변환하는 기술에 집중되어 있을 뿐,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주변 디바이스를 연동하는 기술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오감 정보처리 기술은 시각·촉각·음성 중심에서 후각과 미각 정보처리를 포함하는 오감 융합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생체정보와 행동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인터랙티브 3D UI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실감미디어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은 영상 및 음성 위주에서 이러한 오감정보처리를 탑재하거나 연계할 수 있는 실감형 단말로 진화 중인데, 이를 위해 시각, 청각, 촉각의 기능을 융합한 게임이나 스마트폰 앱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고 전시관 콘텐츠로서 진동 느낌을 제공해주는 4D 미디어도 개발되고 있으며, 여기에 후각 기능을 융합하여 냄새를 풍기는 디바이스와 앱, 향기나는 라디오 방송 등이 선보이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오감 체험을 돕도록 제공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의 오감 정보처리 기술은 사용자 정보 단말의 위치, 사용자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의 디바이스 환경 정보, 사용자의 선호도 등을 종합하여 콘텐츠의 멀티모달에 따라 관련되는 디바이스를 연동하는 기술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SMMD 기술은 오디오/비디오 재생 전용 디바이스만이 미디어를 재현하는 것 아니라 하나의 홈 서버에 의해 홈 내 제어가 가능한 모든 디바이스를 통해 미디어를 재현하는 기술로서 하나의 미디어에 하나의 장치를 통해 즐기던 방식에서 벗어나 하나의 미디어로 여러 개의 디바이스를 연동시킬 수 있다. SMMD 기술은 하나의 미디어를 대상으로 하는 반면에, 여러 개의 미디어, 즉 멀티모달을 여러 개의 디바이스에 연동시키는 기술은 포함하지 않고 있다.
IPTV는 적용 가능한 대역폭이 넓어 대용량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미디어 서비스에 적합하고 양방향 참여형 플랫폼으로 유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IPTV 서비스를 통한 실감미디어 기반기술 및 서비스 실현은 사용자의 특정 선호도, 시청 패턴, 성향, 연령 등 개인 정보와 오감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특화된 TV 프로그램과 콘텐츠를 실감나게 느끼게 해 줄 수 있는 시공간 상황인지 기반 실감형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실감형 IPTV 서비스는 품질과 보안이 보장되는 인터넷 기반 실감미디어 서비스로 확대될 전망인데, 사용자 주위의 시공간 환경 정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실시간 상황인지 기술과 콘텐츠 오감상황 정보처리를 접목한 복합형 실감미디어 서비스 발굴로 진화 중에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IPTV 생태계뿐만 아니라 스마트TV, OTT(Over-The-Top)을 지원하는 품질이 보장되는 인터넷상의 미디어 플랫폼과 단말을 활용하도록 확장되어 실감미디어 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인터넷 기반 실감미디어 서비스 수요를 위해서는 웹 기반으로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구현하여 실감 방송 셋톱박스로 활용하고 멀티 소스, 멀티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실시간 실감서비스 시공간 구성과, 미디어 간 자연스런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스마트 인터랙션과, 서비스 큐레이션(curation)을 수행하는 협업 기반 방송 플랫폼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실감미디어산업 R&D에서는 콘텐츠 내 멀티모달을 분석하여 객체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 제작 방법과 이를 다매체 간 협업에 의해 자동으로 실감형 서비스로 접목시킬 수 있는 프레임워크 개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실감미디어는 영화관이나 전시관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도 도입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 이를 가능케 해 주는 기술이 SMMD(Single Media Multi Devices) 기술이며, 이 기술은 오디오/비디오 재생 전용 디바이스만이 미디어를 재현하는 것 아니라 하나의 홈 서버에 의해 홈 내 제어가 가능한 모든 디바이스를 통해 미디어를 재현하는 기술로서 하나의 미디어에 하나의 장치를 통해 즐기던 방식에서 벗어나 하나의 미디어로 여러 개의 디바이스를 연동시키는 기술이다. 또한, 영상 및 음성 위주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오감정보처리를 탑재하거나 연계할 수 있는 실감형 디바이스로 진화하고 있으며, 정보 단말의 위치,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상황, 오감 및 생체정보 등 다양한 센서정보를 통합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실감 방송 서비스 공간을 사용자 관점에서 볼 때 지금까지는 평면적인 서비스 공간에서 단순히 3D 콘텐츠를 시청하는 개념에 지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보다 사실적이고 입체적인 실감 방송을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어디에 위치하든지 실내 공간에 있는 가용할 수 있는 오감 디바이스들을 사용자의 욕구와 선호도 등에 따라 구성하여 방송이나 콘텐츠를 실감나게 즐길 수 있는 환경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영상화면뿐만 아니라 주변의 오감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실제 체험하는 효과를 낼 수 있는 환경을 4D 실감 방송 공간이라 한다. 4D 실감 방송 공간에서는 메인 3D 스크린뿐만 아니라 보조 스크린을 통해서 시간적으로 다른 축의 장면을 보고들을 수 있으며, 이는 AV 위주의 3D 콘텐츠를 타임라인(timeline)에 따라 시청할 수 있게 보조 스크린 디바이스들을 콘텐츠 흐름에 맞추어 구성해 줄 때 가능하다. 또한, 4D 실감 방송 공간에서는 콘텐츠의 멀티모달에 따라 여러 개의 디바이스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사실감을 더해 줄 수 있게 되므로 시청자에게 보다 정서적이고 감수성을 느낄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것도 관련된 디바이스들을 콘텐츠 흐름에 맞추어 구성해 줄 때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실감형 콘텐츠로 영상은 오디오와 비디오, 3D, 다시점을 대상으로 할 수 있고, 디지털 라디오는 오디오와 촉각 또는 오디오와 향기 등을 대상으로 고려할 때, 사용자의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비디오와 3D는 3D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다시점은 보조 스크린으로 출력해주고, 진동과 향기는 스마트폰으로 느끼도록 해주면서 이에 대한 동기를 맞추어 전체적으로는 통일된 하나의 실감서비스로 재현하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중 디바이스를 상호 연동하기 위한 N-스크린 기술 및 동기화 기술, 3D 고해상도/고품질 영상 처리 및 전송 기술, 감성 체험을 위한 오감정보처리 기술 및 오감 디바이스 기술, 사용자 상황인지 처리기술, 지식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등 다양한 기술들의 융합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기술들의 융합과 통합된 서비스 제공은 해당 서비스 플랫폼, 예를 들어, IPTV 서비스 플랫폼, 클라우드 서버, 콘텐츠/미디어 서버,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 등에 의해 가능한데, 여기에는 본 발명에서 초점을 맞추고 있는 다중 미디어(multiple media)와 다중 디바이스들(multiple devices) 간 상호 연동과 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기능은 실현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실감미디어 서비스는 일반 방송 서비스뿐만 아니라, IPTV, 스마트TV, 커넥티드TV 및 스마트 기기에서도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의 실감미디어 서비스는 3D 방송 및 콘텐츠를 시청하는 수준에 와 있다. 특히 방송과 통신 융합의 대표적인 서비스로서 IPTV는 모바일 서비스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합형 IPTV, 웹2.0을 도입한 개방형 IPTV, 실감미디어 서비스 IPTV, 상황인지형 IPTV를 구현하는 방향으로 진화될 전망인데 이에 따라 IPTV에 실감미디어 서비스를 장착하도록 개발할 필요성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것처럼 시청 위주의 서비스 방식은 가능하지만 체감형 서비스를 위한 기술과 환경, 방식이 아직 구비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청자가 언제 어디서든 실감형 방송을 즐길 수 있도록 실감미디어의 오감 상황과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고품질의 영상 및 실감 음향에 바람, 진동, 촉감, 후각 등을 재현하는 디바이스들을 인지, 연계하여 4차원의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여 주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멀티모달 미디어를 해당 디바이스와 연동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이 프로세스는 SMMD(Single Media Multi Device)에서 더 나아가 MMMD(Multi Media Multi Devices)를 실현하게 해주며, 사용자가 처해 있는 상황이나 장소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미디어가 재현될 수 있도록 접속 가능한 디바이스들을 실시간으로 인지하여 사용자마다 차별화된 실감서비스 공간을 구성하여 주고, 이를 통해 미디어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다양한 실감형 콘텐츠에 접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술한 과제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실현하여 별도의 셋톱박스 없이도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실감형 방송 공간을 구성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것은 IPTV나 스마트TV에 해당 셋톱박스 기능이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스마트폰이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게 하여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여 주고 상호 연동하여 실감미디어를 제공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활용하면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서 AV 영상을 저장하거나 라우팅, 및 사용자의 주변 스크린의 특성에 적합하게 콘텐츠를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해 줄 수 있도록 해주며, N-스크린 환경에서 활용하는 UI/UX를 손쉽게,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할 수 효과도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는 가용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검색하여 실감 재생 장치 정보를 생성하고, 수신된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고,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실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 및 수신된 콘텐츠를 하나 이상의 모달리티(Modality)로 분류하고, 분류된 각각의 모달리티에 적합하게 상기 콘텐츠를 큐레이션(Curation)하여 체감형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체감형 콘텐츠 및 실감 재생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실감방송 플랫폼을 포함한다.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 및 상기 실감방송 플랫폼은 각각 별개의 장치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장치로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응용프로그램의 형태로 구성되어 모바일 단말에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서 접근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탐색하여 풀링(Polling)한다.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는 IP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검색할 수 있으며, 홈 네트워크의 주소체계를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수신된 시나리오에 포함된 큐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모달리티 각각을 재생하기 위한 실감 재생 장치를 매핑(Mapping)한다.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는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와 동기화되어 동작하게 된다.
실감방송 플랫폼은 수신된 콘텐츠의 큐레이션 정보를 모달리티에 적합하게 변환이 되도록 큐레이션하며, 수신된 콘텐츠가 체감형 콘텐츠인 경우에는 해당 모달리티에 대응되는 정보를 부가하여 수신된 콘텐츠를 큐레이션한다. 실감방송 플랫폼에서 생성된 시나리오는 사전에 규정된 실감서비스 정책 또는 사용자 요구에 따른 선호 서비스 요구사항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영하여 생성될 수 있다. 실감 재생 장치는 2D 영상 재생 장치, 3D 영상 재생 장치, 음성 재생 장치, 향기 발생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방법은 먼저, 가용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검색하여 실감 재생 장치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수신된 콘텐츠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모달리티에 적합하게 큐레이션하여 체감형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체감형 콘텐츠 및 실감 재생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생성된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실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고,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실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생성된 체감형 콘텐츠 및 상기 실감 재생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방법은 수신된 콘텐츠에 포함된 큐레이션 정보를 모달리티에 적합하게 큐레이션 하여 체감형 콘텐츠로 변환하고, 변환된 체감형 콘텐츠에 사전에 규정된 실감서비스 정책 또는 사용자 요구에 따른 선호 서비스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상기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가용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검색하여 실감 재생 장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먼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서 접근 가능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탐색하여 풀링(Polling)한다. 그리고 탐색 된 실감 재생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실감 재생 장치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실시간 프레젠테이션 형태의 방송을 현장에서 듣지 못하고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보다 사실적으로 느끼기를 원하는 시청자에게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방송이 아닌 다양한 중계방송과 예술 공연, 홍보방송, 문화재 콘텐츠 등을 콘텐츠에 포함된 멀티모달에 따라 생동감 있게 느낌을 전달받기를 원하는 미디어 사용자들에게 즉각적인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해 줌으로써 현장에서 체험하는 느낌을 전달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는 것과 듣는 것에 대한 실감뿐만 아니라 사람의 오감을 만족시키는 미디어 환경 구축에 효과적이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도 4D 영화관 또는 체험관과 같은 실감효과를 재현할 수 있도록 도와 주며, 실감형 영화, 뉴스 및 다큐멘터리 등 미디어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형태의 미디어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복합 디바이스 연동형 사이버 교육, 문화재 관람, 모델하우스, 게임, 홈 엔터테인먼트, 자동차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미디어가 사용되는 디바이스 및 환경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개방형 IPTV, 스마트 TV, 인터넷 방송, 스마트폰 등의 생태계에서 이용될 것이므로 셋톱박스 기능과 모바일 디바이스, 및 N-스크린 서비스의 확장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며, 실감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기술로서 실감미디어 및 관련 메타데이터를 제작하는 기술과 고화질/고품질로 멀티모달 영상을 처리 및 전송하는 표준 기술 개발이 동시에 일어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 별도의 셋톱박스를 설치하지 않아도 될 수도 있으며 이는 별도의 디바이스 설치 공간을 요구하지 않게 되는 효과도 가져온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욕구가 발생할 때마다 다중 미디어와 다중 디바이스를 매핑하여 서비스를 동작하게 되므로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도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100)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100)의 실감 방송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실감 방송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의 서비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가 방송 제공 장치의 서비스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에서의 기능 및 효과를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업계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명시된 경우에는 명시된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경우,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100)는 실감방송 플랫폼(110) 및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를 포함한다.
실감방송 플랫폼(110)은 콘텐츠 서버(10)로부터 실감 방송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전달받는다. 콘텐츠 서버(10)로부터 전달되는 콘텐츠는 3D/4D 콘텐츠, 2D 영상, 2D 응용프로그램 및 5.1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감방송 플랫폼(110)은 콘텐츠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및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수신된 실감 재생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다수의 실감 재생 장치(200)를 연동하여 실감 방송 공간(30)을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실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실감방송 플랫폼(110)은 수신된 콘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실감 방송을 서비스하기 위한 시나리오(Scenario), 콘텐츠 모달리티(Contents Modality) 및 서비스 큐레이션(Service Curation)를 포함하는 체감형 콘텐츠를 생성한다. 실감방송 플랫폼(110)은 수신된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된 체감형 콘텐츠를 미디어 게이트웨이부(130)로 전달한다.
실감방송 플랫폼(110)은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실감 재생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상황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사용자 상황정보 및 수신된 콘텐츠로부터 추출된 큐레이션 상황정보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재현할 콘텐츠를 큐레이션하여 체감형 콘텐츠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체감형 콘텐츠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재현할 콘텐츠인 체감형 콘텐츠를 어떻게 재생할 것인가 정책을 정하게 되며, 이를 통해 서비스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실감방송 플랫폼(110)은 생성된 시나리오, 콘텐츠로부터 추출된 콘텐츠 모달리티 및 서비스 큐레이션을 포함하는 체감형 콘텐츠를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로 전달한다.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는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서 실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실감 재생 장치(201,202,203,204)를 인지하여 검색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부(130)는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일정한 반경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미디어 장치 중에서 실감미디어 서비스를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201,202,203,204)를 선택한다.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가 다수의 미디어 장치 중에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201,202,203,204)를 검색하는 방법은 블루투스(Bluetooth) 및 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나 IP통신과 같은 유선랜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디바이스 중에서 실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201,202,203,204)를 선택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를 통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수의 미디어 장치 중에서 실감 재생 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201,202,203,204)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재생 장치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는 사용자에 대한 프로필 정보 및 사용자가 보유중인 미디어 장치 전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생성한다.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는 생성된 실감 재생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상황정보를 실감방송 플랫폼(11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는 실감방송 플랫폼(110)으로부터 수신된 체감형 콘텐츠에 기초하여 검색된 실감 재생 장치(200)를 그룹으로 묶어 실감 방송 공간을 형성한다. 실감 방송 공간은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가 자율적으로 인지하여 등록한 현재 가용할 수 있는 실감 재생 장치(201,202,203,204)를 사용자의 이용 욕구에 따라 콘텐츠의 모달리티(Modality)를 실감나게 재생할 수 있게끔 재배치하여 구성한 서비스 공간을 나타낸다. 콘텐츠의 모달리티는 콘텐츠에 표현되고 있는 오감 데이터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실감 재생 장치(201,202,203,204)는 수신된 콘텐츠 및 체감형 콘텐츠에 기초하여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는 실감 재생 장치(201,202,203,204)를 제어하고, 실감 재생 장치(201,202,203,204)를 통해 사용자에게 오감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서비스한다. 콘텐츠의 모달리티에 포함된 오감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실감 재생 장치(201,202,203,204)를 통해 사용자에게 실감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오감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시각은 3D TV, UHD TV 또는 홀로그래픽과 같은 영상 재생 장치(201)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청각은 5.1 CH 오디오 등의 음성 재생 장치(202)로 재생되며, 촉각은 진동 체감 장치(203) 등을 통해 제공되며, 후각은 향기를 표현할 수 있는 후각 체감 장치(204)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실감 재생 장치(201,202,203,204)의 종류는 상술한 네 가지 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는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는 실감 재생 장치(200)를 체감형 콘텐츠에 기초하여 제어함으로써, 체감형 콘텐츠를 스트리밍 하여 사용자에게 실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가 영화 콘텐츠라면, 영상 화면은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재생하고, 영화 콘텐츠의 진행에 따라 충돌 장면에서 진동 센서(202)를 동작시키며, 화재 장면에서 후각 센서(204)를 통해 화재 현장의 화재냄새를 제공한다. 사용자를 이를 통해 보다 실감나는 실감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는 셋톱박스 형태로 구성되거나, 영상 재생 장치와 같은 다른 실감 재생 장치(200)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 내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100)의 상세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100)는 실감방송 플랫폼(110) 및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를 포함한다.
실감방송 플랫폼(110)은 콘텐츠 모달리티 분석부(111), 장치-콘텐츠 모달리티 매핑부(112), 서비스 큐레이션부(113), 시나리오 구성부(114) 및 미디어 스트리밍부(115)를 포함한다.
콘텐츠 모달리티 분석부(111)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 멀티모달 정보를 분석하여 요구 장치 정보를 추출한다. 실감 방송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는 사용자에게 오감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멀티모달 정보를 포함한다. 콘텐츠 멀티모달 정보는 사용자의 시각 체험을 위한 영상 정보, 사용자의 청각 체험을 위한 음성 정보, 사용자의 촉각 체험을 위한 촉각 정보 및 사용자의 후각 체험을 위한 후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 체험을 위한 영상 정보는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2차원 영상 화면뿐만 아니라, 3차원 영상 화면 및 홀로그래픽 영상 화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청각 체험을 위한 음성 정보는 스테레오(Stereo) 음성에서 5.1 채널 음성까지 다양한 데이터 형식과 품질로 구성된 음성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촉각 체험을 위한 촉각 정보는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와 동기화되어 설정된 시점에서 진동과 같은 촉각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이다. 후각 체험을 위한 후각 정보는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와 동기화되어 설정된 시점에서 진동과 같은 후각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이다.
콘텐츠 모달리티 분석부(111)는 콘텐츠 모달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된 디바이스를 선별하기 위해 요구 장치 정보를 추출한다. 콘텐츠 모달리티 분석부(111)는 콘텐츠 모달리티 정보에 포함된 영상 정보를 통해 영상 재생 장치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음성 정보를 통해 음성 재생 장치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촉각 정보 및 후각 정보 등을 통해 촉각 작동 장치 및 후각 제공 장치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콘텐츠 모달리티 분석부(111)는 콘텐츠 모달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실감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오감 제공 장치의 종류를 확인한다.
장치-콘텐츠 모달리티 매핑부(112)는 콘텐츠 모달리티 분석부(111)에서 콘텐츠 모달리티 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한 요구 장치 정보와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에서 생성된 실감 재생 장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 연결 관계를 규정한다. 콘텐츠 모달리티 분석부(111)에서 추출된 요구 장치 정보는 수신된 콘텐츠에 대한 실감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오감 제공 장치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에서 생성된 실감 재생 장치 정보는 소정의 반경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미디어 장치 중에서 사용자에게 현재 오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200)를 선택한 실감 재생 장치 목록을 포함한다. 장치-콘텐츠 모달리티 매핑부(112)는 요구 장치 정보와 실감 재생 장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각의 오감 정보와 대응하는 실감 재생 장치(200)를 매핑한다. 즉, 요구 장치 정보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에 대한 실감 방송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오감 서비스의 종류를 파악하고, 실감 재생 장치 정보에 포함된 가용 실감 재생 장치 중에서 파악된 오감 서비스 각각을 제공하기 위한 실감 재생 장치와 매핑한다. 그리고 장치-콘텐츠 모달리티 매핑부(112)는 콘텐츠 모달리티와 실감 재생 장치를 매핑하여 상호 연결 관계를 규정하는 실감미디어 매핑 정보를 생성한다.
서비스 큐레이션부(113)는 장치-콘텐츠 모달리티 매핑부(112)에서 생성된 실감미디어 매핑 정보 및 콘텐츠 모달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재현을 재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실감 방송을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그리고 시나리오 구성부(114)는 서비스 큐레이션부(113)에서 생성된 서비스 시나리오를 재생할 조건을 구성하여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200) 각각에 대해 동작할 시점과 작동할 내용을 포함하는 시나리오 구성 정보를 생성한다.
미디어 스트리밍부(114)는 시나리오 구성부(114)에서 생성된 시나리오 구성 정보, 큐레이션 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체감형 콘텐츠를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로 전달한다. 체감형 콘텐츠는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20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실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체감형 콘텐츠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200)는 각각 소정의 지점에서 서로 다른 오감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는 실감 재생 장치 관리부(131), 연동 인터페이스(132), 서비스 동기화부(133), 실감미디어 스트리밍부(134) 및 콘텐츠 모달리티 확장부(135)를 포함한다.
실감 재생 장치 관리부(131)는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서 실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200)를 인지하여 검색한다. 실감 재생 장치 관리부(131)는 소정의 반경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미디어 장치 중에서 실감미디어 서비스를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200)를 선택한다. 실감 재생 장치 관리부(131)는 소정의 반경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미디어 장치를 검색하고, 다수의 미디어 장치 중에서 실감 재생 장치 관리부(131)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 동일한 연동 인터페이스(132)를 구비한 미디어 장치를 실감 재생 장치(200)로 선택한다.
그리고 실감 재생 장치 관리부(131)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200)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실감 방송 공간(150)을 형성한다. 실감 방송 공간(150)은 실감 재생 장치 관리부(131)가 자율적으로 인지하여 등록한 현재 가용할 수 있는 실감 재생 장치(200)를 사용자의 이용 욕구에 따라 콘텐츠의 모달리티(Modality)를 실감나게 재생할 수 있게끔 재배치하여 구성한 서비스 공간을 나타낸다. 실감 재생 장치 관리부(134)는 실감 방송 공간(150)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200)에 대한 실감 재생 장치 정보를 생성하여 실감방송 플랫폼(110)으로 전달한다.
연동 인터페이스(132)는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와 실감 방송 공간(150)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200) 간의 통신 및 콘텐츠 모달리티 연동을 위한 통일된 규격의 표준 인터페이스이다.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는 연동 인터페이스(132)를 통해 실감 재생 장치(200)를 하나의 실감 방송 공간(150)으로 묶어 실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게이트웨이부(130)는 실감방송 플랫폼(110)으로부터 수신된 시나리오 구성 정보 및 콘텐츠를 포함하는 체감형 콘텐츠를 연동 인터페이스(132)를 통해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200)로 전달한다.
서비스 동기화부(133)는 실감방송 플랫폼(110)으로부터 수신된 체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시나리오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는 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200) 사이에 동기화가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서비스 동기화부(133)를 통해 동기화된 실감 재생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는 적절한 타이밍에 오감 서비스를 체험하는 실감 방송을 서비스받을 수 있다.
실감미디어 스트리밍부(134)는 실감방송 플랫폼(110)과 시나리오 구성 정보 및 콘텐츠를 포함하는 체감형 콘텐츠를 송수신한다.
콘텐츠 모달리티 확장부(135)는 수신된 콘텐츠의 모달리티를 확장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2D 콘텐츠를 분석하여 실감 요소를 추출하고, 2D 콘텐츠로부터 추출된 실감 요소에 기초하여 2D 콘텐츠를 3D 콘텐츠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실감 재생 장치(200)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부(130)로부터 수신된 시나리오 구성 정보 및 콘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실감 체험을 위한 오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실감 재생 장치(200)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부(130)와 동일한 연동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미디어 게이트웨이부(130) 및 서로 다른 실감 재생 장치(200) 사이에 연동 동기화 유지를 위한 서비스 동기화부를 구비할 수 있다.
실감방송 플랫폼(110)에서 생성된 시나리오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를 통해 실감 재생 장치(200)를 제어하여 실감방송을 서비스하는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100)의 실감 방송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100)의 실감 방송 제공 과정에서, 콘텐츠 서버(10)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실감서비스를 위해 제작된 실감미디어 콘텐츠를 실감방송 플랫폼(110)으로 제공한다. 실감방송 플랫폼(110)은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실감미디어 콘텐츠를 분석하여 서비스 큐레이션 및 시나리오를 포함하는 체감형 콘텐츠를 생성하여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로 콘텐츠와 함께 전달한다.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130)는 수신된 체감형 콘텐츠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200)를 등록하여 실감 방송 공간(30)을 구성하고, 실감 재상 장치(200)의 관리 및 해체, 실감미디어 스트리밍 및 서비스 재생을 수행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부(130)는 별도의 셋톱박스(Set Top Box) 형태로 구성되거나,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 재생 장치 내부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게이트웨이부(130)는 스마트 TV나 커넥티드 TV(Connected TV)와 같은 스마트 기기에 웹 앱(Web Application)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와 같은 모바일 단말에 응용프로그램 방식으로 미디어 게이트웨이부(130)의 구성요소 전체를 구현하거나, 미디어 게이트웨이부(130)의 구성요소 일부를 구현할 수 있다.
실감방송 플랫폼(110)과 미디어 게이트웨이부(130)는 서로 다른 별도의 장치로 구현할 수 있으며, 실감방송 플랫폼(110)과 미디어 게이트웨이부(130)를 하나로 통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감방송 플랫폼(110)과 미디어 게이트웨이부(130)를 하나의 셋톱박스 형태로 구현하거나, 스마트 TV 내부에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의 실감 방송을 제공하는 시나리오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의 실감 방송 적용의 실시예
실시간 프레젠테이션
(조회,강연,세미나,교육,설교,홍보)
서비스 수요층: 현장 미참석자/원격 시청자

- 2D 방송을 3D로 확장하여 실감 체험
- IPTV/스마트TV에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 설치
- 스마트폰을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로 활용
UI/UX 강조 콘텐츠
(게임,내비게이션)
서비스 수요층: 스마트단말 콘텐츠 보유자

- 2D 게임이나 내비게이션을 3D로 확장하여 실감 체험
- 스마트폰을 촉각/느낌 입출력 패드로 활용
비실시간 실감 콘텐츠
(위성방송, 홍보방송, 예술공연, 드라마, 스포츠중계, 박물관, 관광안내)
서비스 수요층: 엔터테인먼트

- 콘텐츠 멀티모달에 따라 오감 환경 구성하여 실감 체험
- 외부 A/V 디바이스, 3D 스크린, 4D 의자, 멀티비전, 스마트폰 UI/UX를 연계하여 다채널 오디오, 3D확장, 진동, 다각도/다시점 장면, 느낌, 모션 등 실감 체험.
표 1을 참조하면, 실시간 프레젠테이션은 원거리에서 제공되는 프레젠테이션을 참석할 수 없는 경우, 이를 원격에서 실감나게 프레젠테이션을 제공받고 느끼도록 해주기 위해서, 원격지에 있는 실감 재생 장치 들을 활용하여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여 2D 방송 형태로 전달되는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3D 영상 및 4D 체험 서비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체험 서비스는 IPTV, 스마트 TV 및 셋톱박스에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설치하고, 설치된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2D 프레젠테이션을 3D로 확장하여 실감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게임이나 내비게이션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강조하는 콘텐츠는 시청각 체험뿐만 아니라, 진동, 모션, 촉각 및 후각 체험을 활용하여 더욱 실감나게 게임 콘텐츠 체험 서비스(421)를 소비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 미디어 게이트웨이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스마트폰을 촉각 및 모션의 게임 콘텐츠의 입출력 장치로 활용하여 체험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 외에 어느 곳에서든 즉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위성방송, 홍보방송, 예술공연, 드라마, 스포츠중계, 박물관 및 관광안내 등과 같은 비실시간 실감 콘텐츠는 다양한 모달리티를 콘텐츠에 포함할 수 있다. 비실시간 실감 콘텐츠는 다양한 모달리티를 콘텐츠에 포함하고 있어서, 이를 분석하여 모달리티를 추출해내고 그에 맞추어 오감을 제공할 수 있는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실감나는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감 방송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감 재생 장치는 외부 AV 디바이스, 3D 스크린, 4D 의자, 멀티비전 및 향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등이 콘텐츠 장면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감 방송 제공 장치에서 안무가 서비스는 실감 방송 제공 장치를 통해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고 체감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안무가 서비스라고 한다. 먼저,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401). 사용자의 상황 정보는 사용자가 보유중인 실감 재생 장치 및 현재 가용할 수 있는 실감 재생 장치에 대한 실감 재생 장치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프로필을 수집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다. 실감 재생 장치 정보는 사용자에게 실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장치인 실감 재생 장치에 대한 정보이다. 사용자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이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미디어 장치 중에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선정한다. 그리고 선정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는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한다(402). 획득한 사용자 정보 및 실감 재생 장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상황정보 및 콘텐츠로부터 추출한 큐레이션 상황정보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재현할 콘텐츠를 큐레이션한다(403). 수신된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 멀티모달 정보를 분석한다. 콘텐츠 멀티모달 정보는 사용자의 시각 체험을 위한 영상 정보, 사용자의 청각 체험을 위한 음성 정보, 사용자의 촉각 체험을 위한 촉각 정보 및 사용자의 후각 체험을 위한 후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모달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재현을 재구성하여 재현할 콘텐츠를 큐레이션 한다.
다음으로, 재생할 시나리오에 대한 정책을 설정한다(404). 재현할 콘텐츠인 체감형 콘텐츠를 어떻게 재생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정책을 설정한다. 그리고 설정된 정책에 기초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한다(405). 시나리오는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통해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즉, 시나리오는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는 각각의 실감 재생 장치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이다.
생성된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제어한다(406). 생성된 시나리오의 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각각 제어하여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영상 재생 장치에서는 지속적으로 수신된 콘텐츠의 영상을 재생하면서, 동시에 진동 디바이스와 같은 촉감 체험 장치를 통해 영상 재생 장치에서 폭발 장면이나 충돌 장면과 같은 장면이 재생되는 시점에 동시에 진동 체험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실감 방송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은 이용한 실감 방송 제공 방법에 있어서,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 실감방송 플랫폼 및 모바일 단말은 서로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 및 실감방송 플랫폼이 모바일 단말 내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안무가 응용프로그램은 실감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으로, 서비스 안무가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 및 실감방송 플랫폼이 서로 연동하여 체감형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가 모바일 단말 내에 포함되어 있다면,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만약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가 모바일 단말과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면, 해당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가 작동을 시작하고 모바일 단말과 연결이 된다.
먼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를 산정한다(501).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는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모바일 단말이 위치한 네트워크에서 접근 가능한 실감 재생 장치를 탐색하여 풀링(Polling)한다(502). 이때, 네트워크는 IP주소를 기반으로 할 수 있으며, 홈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홈 네트워크의 주소체계를 따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실감 재생 장치를 탐색한다.
스마트폰 위치를 기준으로 탐색 된 가용 실감 재생 장치를 등록한다(503). 인지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가용한 실감 재생 장치로 등록하고, 기존에 등록된 실감 재생 장치 중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실감 재생 장치는 등록을 해제한다. 그리고 등록된 실감 재생 장치 정보를 서비스 큐레이션을 위한 정보로 이용한다. 등록된 실감 재생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상황정보를 실감방송 플랫폼으로 전달한다.
실감방송 플랫폼은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사용자 상황정보를 수신한다(504). 실감방송 플랫폼은 수신된 사용자 상황정보를 콘텐츠 큐레이션에 필요한 정보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된 사용자 상황정보를 각각의 실감 재생 장치에 대한 프로파일과 비교하여 모달리티에 적합한 대응 관계를 구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505). 그리고 수신된 콘텐츠를 큐레이션한다(506). 원본 콘텐츠의 큐레이션 정보를 모달리티에 적합하게 콘텐츠를 실감형으로 변환이 되도록 큐레이션하며, 체감형 콘텐츠인 경우에는 해당 모달리티에 대응되는 정보를 부가하여 콘텐츠를 큐레이션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콘텐츠를 3D 디스플레이, 진동, 향기 및 촉각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모달리티로 분류하여 각각의 모달리티에 적합하게 콘텐츠를 실감형으로 변환이 되도록 큐레이션한다. 큐레이션 된 원본 콘텐츠는 체감형 콘텐츠로 분류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콘텐츠가 큐레이션 되면, 재생 시나리오를 계획(Planning)한다(507). 사전에 규정된 실감서비스 정책을 반영하거나, 사용자 요구에 따른 선호 서비스 요구사항을 반영한다. 그리고 재생 시나리오 계획에 기초한 시나리오를 생성한다(508). 반영된 실감 서비스 정책 또는 선호 서비스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체감형 콘텐츠를 통한 실감 방송을 서비스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생성된 시나리오는 큐레이션 된 콘텐츠, 모달리티 정보, 관련 실감 재생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서비스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시나리오가 생성되면, 체감형 콘텐츠를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전달한다(509). 체감형 콘텐츠는 큐레이션 된 콘텐츠 및 생성된 시나리오를 포함한다. 콘텐츠를 큐레이션하고, 재생 시나리오 계획에 기초하여 시나리오가 생성되면, 실감방송 플랫폼은 큐레이션 된 콘텐츠 및 생성된 시나리오를 포함하는 체감형 콘텐츠를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스트리밍 한다.
실감방송 플랫폼으로부터 체감형 콘텐츠를 수신한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수신된 체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큐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모달리티를 재생할 실감 재생 장치를 결정한다(510). 수신된 체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큐레이션 정보는 하나 이상의 모달리티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모달리티 각각을 재생하기 위한 실감 재생 장치를 매핑한다. 예를 들어, 3D 영상에 관련된 모달리티는 3D 영상 재생 장치와 매핑하고, 촉각 및 진동과 관련된 모달리티는 진동 장치를, 그리고 후각과 관련된 모달리티는 향기 발생 장치와 매핑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실감 재생 장치로 체감형 콘텐츠를 전달한다(511). 매핑이 완료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로 체감형 콘텐츠를 전달한다. 한번에 하나의 실감 재생 장치를 연동하여 체감형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동시에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로부터 체감형 콘텐츠를 수신한 실감 재생 장치는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와 동기화한다(512). 실감 방송 서비스는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오감 체험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만약 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가 서로 동기화되지 않는다면, 오감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파장면에서 진동 체험을 제공해야 하지만, 동기화가 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 연결 상태나 각 기기의 성능 등에 영향을 받아 폭파장면과 진동 체험이 동시에 제공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 모두가 체감형 콘텐츠를 스트리밍 하는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와 동기화 되어야 한다.
동기화된 실감 재생 장치는 실감형 콘텐츠를 재생한다(513).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에서 수신된 체감형 콘텐츠를 재생하여, 서로 다른 오감 체험을 제공한다. 선택된 실감 재생 장치의 종류에 따라 2D/3D 영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진동과 같은 촉각 체험과 향기와 같은 후각 체험 등 다양한 오감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실감 방송 제공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 및 실감방송 플랫폼 사이의 스트리밍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체감형 콘텐츠를 스트리밍 하기 위한 세션을 설정하는 것으로, 스트리밍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실감방송 플랫폼으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 및 시나리오를 포함하는 체감형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작업 전반에 걸쳐 연결이 필요한 시점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는 실감방송 공간 내에 있는 실감 재생 장치에 모달리티에 따라 해당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의 서비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가 방송 제공 장치의 서비스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 6a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의 서비스의 일 실시예는 실감 방송 제공 장치(610), 3D 영상 재생 장치(620) 및 진동 제공 장치(630)로 구성된다.
먼저, 실감 방송 제공 장치(610)는 IP 주소나 홈 네트워크의 연결을 통해 가용한 실감 재생 장치를 검색한다. 이를 통해 3D 영상 재생 장치(620) 및 진동 제공 장치(750)를 검색하여 등록한다. 다음으로, 콘텐츠 서버로부터 2D 영상 콘텐츠(601)가 수신되면, 실감 방송 제공 장치(610)는 수신된 2D 영상 콘텐츠(601)를 분석하여 콘텐츠 모달리티를 추출하고, 큐레이션을 통해 콘텐츠를 큐레이션하여 체감형 콘텐츠로 변환하고, 체감형 콘텐츠에 기초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그리고 체감형 콘텐츠를 3D 영상 재생 장치(620) 및 진동 제공 장치(630)로 전달하고, 생성된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3D 영상 재생 장치(720) 및 진동 제공 장치(650)를 제어한다. 3D 영상 재생 장치(620)를 통해 사용자는 2D 영상 콘텐츠(601)를 3D 영상 콘텐츠(602)로 변환하여 3차원 입체 영상으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시나리오에 따라 소정의 시점에서 진동 제공 장치(630)를 통해 진동 경험(603)을 체험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도 6b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의 모바일 단말을 통한 서비스는 실감 방송 제공 모바일 단말(650) 및 3D 디스플레이(660)를 포함한다.
실감 방송 제공 모바일 단말(650)은 실감방송 플랫폼 및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를 단말 내부에 구비한 형태를 나타낸다. 실감방송 플랫폼 및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는 모바일 단말에 응용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2D 화면기반의 3D 게임(670)이 실감 방송 제공 모바일 단말로 수신되면, 실감 방송 제공 모바일 단말(650)은 수신된 2D 화면기반 3D 게임(670)의 모달리티 분석을 통해 2D 화면기반 3D 게임을 3D 입체 영상으로 변환하고, 구비된 3D 디스플레이(660)를 통해 3D 화면기반의 실제 3D 게임(680)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감 방송 제공 장치를 통해 실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감 방송 제공 방법은 안무가 서비스(Choreographer Service)로 명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성된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실감 재생 장치를 통해 오감 체감을 제공한다. 정해진 안무에 따라 정해진 타이밍에 적합한 동작을 위하도록 하는 안무가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생성된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가 정해진 타이밍에 적합한 체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실감 방송 제공 장치
110: 실감방송 플랫폼
111: 콘텐츠 모달리티 분석부
112: 장치-콘텐츠 모달리티 매핑부
113: 서비스 큐레이션부
114: 시나리오 구성부
115: 미디어 스트리밍부
130: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
131: 실감 재생 장치 관리부
132: 연동 인터페이스부
133: 서비스 동기화부
134: 실감미디어 스트리밍부
135: 콘텐츠 모달리티 확장부
200: 실감 재생 장치
201: 영상 재생 장치
202: 음성 재생 장치
203: 진동 체감 장치
204: 후각 체감 장치

Claims (19)

  1. 수신된 콘텐츠를 하나 이상의 모달리티(Modality)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각각의 모달리티에 대해 상기 콘텐츠를 큐레이션(Curation)하고, 상기 큐레이션 된 콘텐츠 및 가용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에 관한 실감 재생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실감방송 플랫폼; 및
    상기 가용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에 관한 실감 재생 장치 정보를 생성하고, 수신된 상기 큐레이션 된 콘텐츠 및 상기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실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 및 상기 실감방송 플랫폼은 응용프로그램의 형태로 구성되어 모바일 단말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물리적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서 접근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탐색하여 풀링(Poll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는 IP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는 홈 네트워크의 주소체계를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방송 플랫폼은,
    상기 수신된 콘텐츠의 큐레이션 정보를 모달리티 별로 변환이 되도록 큐레이션하며, 상기 수신된 콘텐츠가 체감형 콘텐츠인 경우에는 해당 모달리티에 대응되는 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큐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시나리오는 사전에 규정된 실감서비스 정책 또는 사용자 요구에 따른 선호 서비스 요구사항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영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 재생 장치는 2D 영상 재생 장치, 3D 영상 재생 장치, 음성 재생 장치, 향기 발생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상기 수신된 시나리오에 포함된 큐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모달리티 각각을 재생하기 위한 상기 실감 재생 장치를 매핑(Mapp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와 동기화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장치.
  11. 가용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검색하여 실감 재생 장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수신된 콘텐츠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모달리티 별로 큐레이션하여 체감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체감형 콘텐츠 및 상기 실감 재생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실감 방송 공간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실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체감형 콘텐츠 및 상기 실감 재생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콘텐츠에 포함된 큐레이션 정보를 모달리티 별로 큐레이션 하여 체감형 콘텐츠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체감형 콘텐츠에 사전에 규정된 실감서비스 정책 또는 사용자 요구에 따른 선호 서비스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상기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가용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검색하여 실감 재생 장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물리적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서 접근 가능한 상기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탐색하여 풀링(Polling)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 된 실감 재생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실감 재생 장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는 IP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한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는 홈 네트워크의 주소체계를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체감형 콘텐츠 및 상기 실감 재생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콘텐츠의 큐레이션 정보를 모달리티에 적합하게 변환이 되도록 큐레이션하며, 상기 수신된 콘텐츠가 체감형 콘텐츠인 경우에는 해당 모달리티에 대응되는 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큐레이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 재생 장치는 2D 영상 재생 장치, 3D 영상 재생 장치, 음성 재생 장치, 향기 발생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시나리오에 포함된 큐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모달리티 각각을 재생하기 위한 상기 실감 재생 장치를 매핑(Mapping)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장치.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실감 재생 장치와 동기화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방송 제공 방법.
KR1020130050938A 2012-10-19 2013-05-06 실감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051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57,976 US20140115649A1 (en) 2012-10-19 2013-10-18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istic broadc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921 2012-10-19
KR20120116921 2012-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40A true KR20140051040A (ko) 2014-04-30

Family

ID=5065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938A KR20140051040A (ko) 2012-10-19 2013-05-06 실감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10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745A (ko) * 2016-01-12 2017-07-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모달리티 특징 융합을 통한 퍼스널 미디어 자동 재창작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0861221B2 (en) 2017-07-14 2020-12-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nsory effect adaptation method, and adaptation engine and sensory device to perform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745A (ko) * 2016-01-12 2017-07-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모달리티 특징 융합을 통한 퍼스널 미디어 자동 재창작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0861221B2 (en) 2017-07-14 2020-12-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nsory effect adaptation method, and adaptation engine and sensory device to perform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156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istic broadcasting
CN105430455B (zh) 信息呈现方法及系统
US20080046944A1 (en)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smmd, and home media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11917221B2 (en) Encoding device and method, 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CN103649904A (zh) 自适应内容呈现
US2014017289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location specific content
CN102231851B (zh) 可扩展视频插入控制
KR20130010424A (ko)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130118824A (ko) 증강현실 지원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2340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4053062A (zh) 具有配对画布的电子显示器
US9930094B2 (en) Content complex providing server for a group of terminals
Tsukada et al. Software defined media: Virtualization of audio-visual services
Jalal et al. IoT architecture for multisensorial media
KR20130050464A (ko) 증강 콘텐츠 생성 장치 및 방법, 증강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및 증강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40051040A (ko) 실감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Núñez et al. ImmersiaTV: an end-to-end toolset to enable customizable and immersive multi-screen TV experiences
JP4326406B2 (ja) コンテンツ視聴装置、テレビジョン装置、コンテンツ視聴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4026849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再现处理装置以及再现处理方法
KR101349227B1 (ko)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객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alal et al. Experimental setup for IoT—Based multi sensorial media
KR20140088052A (ko) 복합 컨텐츠 제공 서버
Jang et al. Object-based 3d audio scene representation
KR101429171B1 (ko) 복합 컨텐츠 제공 서버
US20100138881A1 (en) Smmd home server and method for realistic media re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