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3217A - 키 삽입체 및 이를 이용한 토크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키 삽입체 및 이를 이용한 토크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3217A
KR20100033217A KR1020080092283A KR20080092283A KR20100033217A KR 20100033217 A KR20100033217 A KR 20100033217A KR 1020080092283 A KR1020080092283 A KR 1020080092283A KR 20080092283 A KR20080092283 A KR 20080092283A KR 20100033217 A KR20100033217 A KR 20100033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groove
boss
insert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5598B1 (ko
Inventor
최창희
김길성
Original Assignee
대구텍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텍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대구텍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2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5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 F16D1/087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axial keys and no other radial cl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00Key-type connections; Keys

Abstract

본 발명은 키 홈에 장착되는 한편 동력 전달용 키가 삽입되는 키 삽입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볼록 형상의 볼록부를 가지는 키 삽입체와, 보스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록부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오목부를 갖는 그루브를 포함하여 상기 키 삽입체와 보스가 곡면 형상의 면접촉을 함에 의해 상기 보스에 발생하는 응력 집중을 완화하는 키 삽입체 및 이를 이용한 토크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볼록부, 그루브, 키 삽입체, 응력 집중

Description

키 삽입체 및 이를 이용한 토크 전달 장치.{Insert body and torque transfer apparatu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키 홈에 장착되는 한편 동력 전달용 키가 삽입되는 키 삽입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볼록 형상의 볼록부를 가지는 키 삽입체와, 보스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록부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오목부를 갖는 그루브를 포함하여 상기 키 삽입체와 보스가 곡면 형상의 면접촉을 함에 의해 상기 보스에 발생하는 응력 집중을 완화하는 곡면 접촉형 삽입체 및 이를 이용한 토크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라고 하는 것은 벨트풀리나, 기어 또는 커플링 등과 그것들에 끼이는 축과의 상대적 회전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계요소를 말한다.
이러한 키는 키홈에 끼워서 사용하는데, 주로 경강(硬鋼)으로 만들며, 일반적으로 키의 윗면에 1/100 정도의 기울기를 두어 쐐기와 같은 작용을 하게 한다. 키의 종류에는 묻힘 키(sunk key), 안장 키(saddle key) 플랫 키(flat key)등이 있다.
상기 묻힘 키(3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스(20)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보스(20)와 축(10)에 모두 키 홈(11,21)을 파서 때려 박는 키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당히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키는 키 홈을 파내야 하는 관계로 동력 즉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축 또는 보스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축의 경우 전달 토크(T)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1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66115719-PAT00001
여기서 T는 전달 토크
τ는 허용 전단 응력
d는 축의 직경
상기 수학식1에서 알 수 있듯이 전달 토크는 축의 직경 d에 비례하는데 키 홈의 존재로 인해 상기 직경 d가 감소되어 전달가능한 토크가 감소되거나 혹은 키(10)의 직경이 충분히 크다하더라도 상기 보스(20)의 키 홈(21)에 큰 집중 응력이 작용하여 보스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응력 집중이나 파손을 피하기 위해 안장 키(saddle key)나 플랫 키(flat key)를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안장 키(4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축에는 가공하지 않고 축의 모양에 맞추어 키의 아랫면을 깎아서 때려 박는 키이다.
상기 플랫 키(50)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축의 윗면(21)을 편평하게 깎고, 그 면에 때려 박는 키이다.
이러한 안장 키(40)와 플랫 키(50)는 축의 직경 감소가 상기 묻힘 키(30)보다 적다는 장점은 있으나,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는, 상기 안장 키(40)와 플랫 키(50)는 키와 축사이의 접촉 면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대부분의 토크를 전달하는데, 이러한 경우 큰 토크가 작용되면, 슬립(slip) 즉 미끄럼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스에 키가 삽입되는 키 삽입체를 장착하여 상기 보스에 집중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완화하는 한편 묻힘 키를 사용하여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키 삽입체 및 이를 이용한 토크 전달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볼록부 및 상기 볼록부가 상호 맞닿아서 형성된 오목부로 이루어진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에 대향되는 면에 키 홈이 종방향으로 음각되거나 또는 일체형 키가 돌출되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키 삽입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키 삽입체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키 삽입체의 볼록부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그루브가 내주면에 형성된 보스와, 외주면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키 홈이 종방향으로 음각되거나 또는 돌출 키가 형성되는 축을 포함하여, 상기 보스의 그루브에 상기 키 삽입체의 볼록부가 결합되고, 상기 축 및 상기 키 삽입체의 키 홈에 키가 각각 결합되어, 토크를 전달하는 토크 전달 장치에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경우 묻힘 키를 사용하면서도 보스 또는 축에 발생하는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는 한편 축과 보스 상호간에 미끄럼 없이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스에 삽입되는 키 삽입체와 상기 키 삽입체를 이용한 토크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본 발명의 키 삽입체(100)는 상부면(110)과 바닥면(120)을 구비하는데, 상기 상부면(110)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볼록부(111) 및 상기 볼록부(111)가 상호 맞닿아서 형성된 오목부(11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닥면(120)은 상기 상부면(110)에 대향되는 면으로서 키 홈(121)이 종방향으로 음각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1을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도 4a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1의 키 삽입체(100)와 다수개의 오목부(211)를 갖는 그루브(210)가 형성된 보스(20) 및 그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4a 내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볼록부(111)는 반원통형상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반원통형상은 본 발명의 볼록부(111)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볼록부(111)는 타원형상과 같은 다른 곡률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특히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면(110)이 상기 바닥면(123)과 만나는 위치에서 상기 바닥면(123)과 이루는 각도(α)를 필요에 따라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 각도를 작게 형성하면 응력 분산 효과가 유리하다.
반면에 상기 각도(α)를 90도보다 큰 둔각으로 형성하고, 후술하는 보스(20)의 그루브(210)를 대응되게 형성하면 가 결합이 용이하여, 본 발명의 키 삽입체(100)가 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보스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볼록부(111)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때, 종방향이란 축방향을 말하는 것이며, 종방향으로 연장된다는 표현은 상기 볼록 형상의 단면이 축방향의 두께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볼록부(111)의 형상이 종방향으로 일정한 단면을 유지하며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후술하는 키 삽입체(200)의 그루브(210)에 삽입될 수 있는 한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며, 이러한 의미에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키 삽입체(100)의 바닥면(120)은 상기 상부면(110)에 대향되는 면을 일컫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면(120)에 키 홈(121)이 종방향으로 음각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키 홈(121)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음각되는 것 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다른 형상의 단면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키 홈(121)의 깊이가 일정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만일 키가 테이퍼진 형상이거나 혹은 계단형상과 같이 단차가 있는 형상인 경우 상기 키 홈(121)의 깊이도 이에 상응하여 변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키 삽입체(100)가 결합되는 보스(20)의 키 삽입체 홈(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키 삽입체 홈(200)은 상기 보스(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오목부(211)를 구비하는 그루브(210)를 포함한다.
상기 오목부(211)는 상기 키 삽입체(100)의 볼록부(111)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볼록부(111)가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그루브(210)의 오목부(211)와 볼록부(111)가 곡면상 접촉에 의한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보스(20)에 작용되는 집중응력이 완화된다.
종래의 경우 사각형 단면의 키와 키 홈(도 1참조)이 결합되는 구성이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사각형 단면의 불연속점(모서리 부분)에서 응력 집중이 심화되어 보스 또는 축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 의해 상호 곡면 형상을 가지는 면이 접촉되도록 하여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불연속점을 제거하여 상술한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보스나 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묻힘 키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미끄럼(slip) 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상기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개의 오목부(211)가 만나는 지점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 돌출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20)에 의해서도 슬립이 억제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볼록부(111)가 2개 형성되는바, 예를 들어 축이 반시계방향 회전하는 경우 좌측의 볼록부는 좌측 그루브의 좌측면에 걸림되고 우측 볼록부는 상기 돌출부(220)의 우측면에 걸림되어 상기 보스(20)에 작용하는 하중이 2분할되므로 이에 의해 응력집중이 완화되는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립이 억제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키 삽입체(100)의 볼록부(111)와 키 삽입체 홈(200)의 오목부(211)를 3개 이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키 삽입체(1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6은 본 실시예2의 키 삽입체(100)와 그루브(210)가 형성된 보스(20) 및 그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키 삽입체(100)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볼록부(111) 및 상기 볼록부(111)가 상호 맞닿아서 형성되는 오목부(112)로 이루어진 상부면(110)을 구비하는 점은 실시예1의 경우와 동일하나, 상기 상부면(110)에 대향되는 면에 일체형 키(122)가 종방향으로 양각된 바닥면(120)을 구비하는 것이 상이하다.
즉, 상기 실시예1에서의 경우 키 삽입체(100)에 키를 결합시킨 후 상기 키 삽입체(100)를 보스(20)에 결합하는 구성이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일체형 키(122)가 형성되어 있어 키를 결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일체형 키(122)가 종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 때 상기 종방향이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축방향을 뜻한다.
또한 상기 일체형 키(122)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바(bar)형상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다른 형상의 단면도 가능하다.
즉, 상기 일체형 키(122)의 형상이 테이퍼진 형상이거나 혹은 계단형상과 같이 단차가 있는 형상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키 삽입체(100)가 결합되는 키 삽입체 홈(200)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3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키 삽입체(100)를 이용한 토크 전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 7은 본 실시예를 구성하는 키 삽입체(100)와 보스(20)와 축(1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키 삽입체(100)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키 삽입체(100)와 동일한 것으로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볼록부(111)와 상기 볼록부(111)가 상호 맞닿아서 형성된 오목부(112)로 이루어진 상부면(110)과, 상기 상부면(110)에 대향되는 면에 키 홈(121)이 종방향으로 음각된 바닥면(120)을 구비한다.(도 4참조)
상기 보스(20)의 경우 상기 키 삽입체(100)의 볼록부(111)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오목부(211)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점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축(10)은 외주면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키 홈(11)이 종방향으로 음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10)의 키 홈(11) 및 키(30)를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바(bar)형상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키 삽입체(100)의 볼록부(111) 및 보스(20)의 그루브(210)의 경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각 형상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토크 전달 장치에 의해 토크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며,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그루브(210)의 오목부(211)에 상기 키 삽입체(100)의 볼록부(111)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면 즉, 접촉면이 곡면형상을 가지고 있어 응력 집중이 완화되는 점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축(30) 및 상기 키 삽입체(100)의 키 홈(121)에 키(30)를 각각 결합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이 이루어지면 축(10)으로 전달된 토크가 상기 키(30)와 키 삽입체(100)를 통해 보스(20)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4
본 실시예의 경우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토크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라는 점은 동일하나 축의 종류가 상이하다.
상기 도 8은 본 실시예의 키 삽입체(100)와 그루브(210)가 형성되는 보스(20) 그리고 돌출 키(61)가 형성되는 축(60)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실시예의 경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볼록부(111) 및 상기 볼록부(111)가 상호 맞닿아서 형성된 오목부(112)로 이루어진 상부면(110)과, 상기 상부면(110)에 대향되는 면에 키 홈(121)이 종방향으로 음각된 바닥면(120)을 구비하는 키 삽입체(100)를 포함하는 점과, 상기 키 삽입체(100)의 볼록부(111)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오목부(211)를 갖는 그루브(210)가 내주면에 형성된 보스(20)를 포함하는 점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3의 경우와 동일하다.(도 4a 참조)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상에 돌출 키(61)가 형성된 일종의 스플라인 타입의 축(60)을 사용하는 점이 상이하다.
상기 스플라인 타입의 축(60)을 사용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전달가능한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즉, 통상적으로 축에 키 홈을 가공한 후 키를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키 홈의 존재로 인해 직경이 감소되고 그 결과 전달가능한 토크가 감소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축에 키 홈을 가공하지 않고 돌출형상을 가지는 키를 형성하여 직경이 감소되는 것을 막게 된다.
본 발명의 경우도 상기 돌출 키(61)를 형성하여 축(60)의 직경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달 가능한 토크를 증가시켰다.
이때, 상기 토크는 상기 보스(20)의 그루브(210)에 상기 키 삽입체(100)의 볼록부(111)가 결합되고, 상기 축(60)의 돌출 키(61)가 상기 키 삽입체(100)의 키 홈(121)에 결합되어, 토크를 전달하게 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 키(61)가 4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키 삽입체(100)와 그루브(210) 역시 4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그 갯수에는 제한이 없다.
실시예5
본 실시예의 경우도 토크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9는 일체형 키(122)가 형성되는 키 삽입체(100)와 그루브(210)가 형성되는 보스(20) 그리고 축(10)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키 삽입체(100)의 경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볼록부(111) 및 상기 볼록부(111)가 상호 맞닿아서 형성되는 오목부(112)로 이루어진 상부면(110)과, 상기 상부면(110)에 대향되는 면에 일체형 키(122)가 종방향으로 양각된 바닥면(120)을 구비하는 키 삽입체(100)를 포함한다.(도 6참조)
보스(20)의 경우 상기 키 삽입체(100)의 볼록부(111)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오목부(211)를 갖는 그루브(210)가 내주면에 형성된 점은 상술한 바와 같다.
축(10)의 경우 외주면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키 홈(11)이 종방향으로 음각된 축을 포함하는 점도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상기 키 삽입체(10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2의 경우와 동일하고 상기 그루브(210)와 축(10)도 실시예3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구성을 포함하여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우선, 상기 키 삽입체(100)의 일체형 키(122)가 상기 축(10)의 키 홈(11)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스(20)의 그루브(210)에 상기 키 삽입체(100)의 볼록부(111)가 결합되어 토크를 전달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삽입체(100)가 축 또는 보스와 곡면 형상의 면 접촉을 하도록 하여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 상기 응력 집중이 완화되는 현상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종래의 키(10) 및 키 홈(21)의 구조에 의한 경우 응력 집중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키 홈(21) 주위의 영역 I에 응력이 집중되어있음을 나타내는 음영부분이 나타나 있다.
이는 상기 키가 상기 키 홈(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키 홈(21)의 양측벽(21a)과 상대운동을 하며 토크를 전달하는데, 이때 상기 키 홈(21)의 양측벽(21a)과 바닥면(21b)의 형상이 불연속적인 관계로 상기 양측벽(21a)과 바닥면(21b)이 만나는 부분 즉 영역I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이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키 삽입체(100)와 그루브(210)에 의한 경우 이러한 응력집중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 삽입체(100)와 그루브(210)가 상대운동할 때 곡면형상의 면접촉을 하는 관계로 접촉되는 부분이 연속적인 형상이어서 종래와 달리 응력집중이 완화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묻힘 키를 사용하면서도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축이나 보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묻힘 키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큰 토크의 전달도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6
이하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키 어셈블리를 사용한 적용예를 도 11을 참조하 여 설명한다.
상기 도 11은 보스를 초경질링(R)으로 사용하여 가공물(B)을 압연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초경질링(R)에는 본 발명의 키 삽입체(100)와 그루브(210)을 사용하여 축(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상기 초경질링(R)으로 토크를 전달하며, 상기 초경질링(R)은 회전을 하면서 그 외측에 형성되는 엠보싱(E)이 공작물(B)의 표면에 소정의 문양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 삽입체(100)와 그루브(210)에 의해 상기 초경질링(R)에 작용되는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상기 초경질링(R)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일반적인 키와 키 홈에 대한 개념도,
도 4a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0은 종래의 키와 키 홈에 의한 응력집중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토크 전달 장치의 일 사용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 11 : 키 홈
20 : 보스 21 : 키 홈
30 : 묻힘 키 40 : 안장 키
50 : 플랫 키 60 :스플라인 축
61 돌출 키 100 : 키 삽입체
110 : 상부면 111 : 볼록부
112 : 오목부 120 : 바닥면
121 : 키 홈 122 : 일체형 키
200 : 키 홈 210 : 그루브
220 : 돌출부
R : 초경질링 B : 가공물
E : 엠보싱

Claims (7)

  1.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볼록부 및 상기 볼록부가 상호 맞닿아서 형성된 오목부로 이루어진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에 대향되는 면에 키 홈이 종방향으로 음각된 바닥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삽입체.
  2.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볼록부 및 상기 볼록부가 상호 맞닿아서 형성되는 오목부로 이루어진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에 대향되는 면에 일체형 키가 종방향으로 양각된 바닥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삽입체.
  3.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 삽입체의 상부면이 바닥면과 만나는 위치에서 상기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α)가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삽입체.
  4.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볼록부 및 상기 볼록부가 상호 맞닿아서 형성된 오목부로 이루어진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에 대향되는 면에 키 홈이 종방향으로 음각된 바닥면을 구비하는 키 삽입체와,
    상기 키 삽입체의 볼록부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오목부를 갖는 그루브가 내주 면에 형성된 보스와,
    외주면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키 홈이 종방향으로 음각된 축을 포함하여,
    상기 보스의 그루브에 상기 키 삽입체의 상부면이 결합되고, 상기 축 및 상기 키 삽입체의 키 홈에 키가 각각 결합되어, 토크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전달 장치
  5.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볼록부 및 상기 볼록부가 상호 맞닿아서 형성된 오목부로 이루어진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에 대향되는 면에 키 홈이 종방향으로 음각된 바닥면을 구비하는 키 삽입체와,
    상기 키 삽입체의 볼록부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오목부를 갖는 그루브가 내주면에 형성된 보스와,
    외주면상에 돌출 키가 형성된 축을 포함하여,
    상기 보스의 그루브에 상기 키 삽입체의 상부면이 결합되고, 상기 축의 돌출 키가 상기 키 삽입체의 키 홈에 결합되어, 토크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전달 장치
  6.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볼록부 및 상기 볼록부가 상호 맞닿아서 형성되는 오목부로 이루어진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에 대향되는 면에 일체형 키가 종방향으로 양각된 바닥면을 구비하는 키 삽입체와,
    상기 키 삽입체의 볼록부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오목부를 갖는 그루브가 내주 면에 형성된 보스와,
    외주면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키 홈이 종방향으로 음각된 축을 포함하여,
    상기 키 삽입체의 일체형 키가 상기 축의 키 홈에 결합되고, 상기 보스의 그루브에 상기 키 삽입체의 상부면이 결합되어 토크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전달 장치.
  7. 청구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삽입체의 상부면이 바닥면과 만나는 위치에서 상기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α)가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전달 장치.
KR1020080092283A 2008-09-19 2008-09-19 키 삽입체 및 이를 이용한 토크 전달 장치. KR100985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283A KR100985598B1 (ko) 2008-09-19 2008-09-19 키 삽입체 및 이를 이용한 토크 전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283A KR100985598B1 (ko) 2008-09-19 2008-09-19 키 삽입체 및 이를 이용한 토크 전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217A true KR20100033217A (ko) 2010-03-29
KR100985598B1 KR100985598B1 (ko) 2010-10-05

Family

ID=4218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283A KR100985598B1 (ko) 2008-09-19 2008-09-19 키 삽입체 및 이를 이용한 토크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5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7276A (zh) * 2021-06-30 2021-09-07 厦门众力达机械有限公司 一种键连接传动轴结构
KR102312312B1 (ko) * 2020-05-06 2021-10-14 주식회사 엔에스티메탈 의료기기용 스프로킷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4307U (ko) 1980-02-22 1981-09-22
JPS57193445U (ko) 1981-06-01 1982-12-08
JPH06193614A (ja) * 1992-12-22 1994-07-15 Toshiba Corp キー溝を有する部品
JPH0719210A (ja) * 1993-07-05 1995-01-20 Nippondenso Co Ltd 半月キ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312B1 (ko) * 2020-05-06 2021-10-14 주식회사 엔에스티메탈 의료기기용 스프로킷 구조
CN113357276A (zh) * 2021-06-30 2021-09-07 厦门众力达机械有限公司 一种键连接传动轴结构
CN113357276B (zh) * 2021-06-30 2022-07-22 厦门众力达机械有限公司 一种键连接传动轴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598B1 (ko) 201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1760B1 (en) Threaded connection of two metal tubes with groove in the threading
EP1015802B1 (en) Ultra high torque double shoulder tool joint
EP1836427B1 (en) Floating wedge thread for tubular connection
US6342011B1 (en) Flexible shaft coupling with improved elastomeric element
EP3271114B1 (en) Drive system with full surface drive contact
AU2011201850B2 (en) Cam style anti-rotation key for tubular connections
KR100985598B1 (ko) 키 삽입체 및 이를 이용한 토크 전달 장치.
JP4568479B2 (ja) 工具保持アームを構成する各モジュールを接続する接続装置
KR20080098395A (ko) 비틀림 강성의 가요성 샤프트 커플링, 특히 완전 강 커플링
JPH08300269A (ja) トルク伝達装置
US5409324A (en) High strength, quick connect/disconnect coupling
JP6143305B2 (ja) リジッドカップリングおよびリジッドカップリングを用いた軸連結方法
CN101249601A (zh) 带有被填充的键槽的轧机油膜轴承套筒
WO2003100272A1 (fr) Configuration pour serrage de vis, vis et outil de serrage de vis
CN214146323U (zh) 一种提升连接键使用寿命的连接结构
JP2007303657A (ja) クロスローラベアリング
KR100988521B1 (ko) 키 고정 방식의 잠금 링을 구비하는 복합 롤.
JP2009228813A (ja) 等速自在継手
EP2365228A2 (en) Shaft connector and torque limiter
JPH04312213A (ja) スプライン
JP2694683B2 (ja) 回転軸連結用フランジハブ
CN213693359U (zh) 一种防打滑效果好的动力轴
US3263452A (en) Coupling
RU2817269C1 (ru) Шпоночное соединение
RU2815589C1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шлицевое соедин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