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678A -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678A
KR20100031678A KR20097026294A KR20097026294A KR20100031678A KR 20100031678 A KR20100031678 A KR 20100031678A KR 20097026294 A KR20097026294 A KR 20097026294A KR 20097026294 A KR20097026294 A KR 20097026294A KR 20100031678 A KR20100031678 A KR 20100031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sequence
orthogonal code
base station
code seque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2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사 기시야마
켄이치 히구치
마모루 사와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0003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4Orthogo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6Cod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16Time-frequency-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는, 레퍼런스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레퍼런스신호를 포함하는 송신심볼을 생성하는 수단과, 송신심볼을 섹터마다 송신하는 수단과, 무선 전파상황을 감시하는 수단을 갖는다.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에 제2 계열을 승산함으로써,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된다. 제2 계열을,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로 또는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할지는, 무선 전파상황에 따라서 결정된다.
Figure P1020097026294
레퍼런스신호, 무선 전파상황, 부호계열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USER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기술분야에 관련하며, 특히 하향 레퍼런스신호를 송신할 때의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에 관련한다.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 동기 포착(synchronization acquisition), 셀 서치(cell search), 수신품질 측정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레퍼런스신호가 사용된다. 레퍼런스신호는, 통신전에 송신측 및 수신측에서 비트의 값이 기지(known)인 신호이며, 기지신호, 파일럿신호, 참조신호, 트레이닝신호 등으로 언급되어도 좋다. 레퍼런스신호는 셀을 식별하는 셀 ID와 1대 1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레퍼런스신호는 다수 마련될 필요가 있다. 와이드밴드 부호분할 다중액세스(W-CDMA) 방식의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 512종류의 레퍼런스신호(부호계열(code sequences))가 마련되어 있다.
W-CDMA 방식의 시스템에서는, 레퍼런스신호는 모두 랜덤 시퀀스(random sequence)로 구성되어 있다. 시퀀스끼리의 상관(correlation)은 비교적 커질지도 모르나, CDMA 베이스의 시스템에서는 신호품질은 주로 전력에서 확보되므로 큰 문제가 되기는 어렵다.
그러나, W-CDMA 방식의 현행 시스템보다도 넓은 대역에서 OFDM(직교주파수 분할다중) 방식의 하향 통신을 예정하고 있는 장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타 셀 간섭을 상당히 억압하는 것이 요망된다. W-CDMA 방식의 현행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모두 랜덤 부호계열로 레퍼런스신호를 마련하는 것은, 타 셀 간섭이 비교적 많아져 버린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셀 또는 섹터간 간섭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랜덤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과 어느 직교부호계열군(orthogonal code sequence group)에 속하는 제2 계열로 레퍼런스신호를 구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제안에서는, 동일 셀에 속하는 복수의 섹터 각각에서는 서로 다른 직교부호계열이 사용되고, 셀 간에서는 다른 랜덤한 부호계열이 사용된다.
도 2는 레퍼런스신호, 셀 및 섹터(sectors)의 관계를 나타낸다. 설명의 간명화를 위해 '섹터'는 동일 셀에 속하는 복수의 구역을 의미하도록 설명되나, 보다 일반적으로는 '셀' 및 '섹터'의 구별은 엄밀하지 않아도 좋으며, 혼란의 우려가 없다면, 그것들은 동의어적으로 사용되어도 좋다. 도시의 간명화를 위해, 3개의 셀 및 그 안의 9개의 섹터가 대표적으로 설명되나, 다른 셀 및 섹터에서도 동일하다. 이 예에서는, 레퍼런스신호는 어느 기준계열에 랜덤한 부호계열(제1 계열)과 직교부호계열(제2 계열)이 승산됨으로써 마련된다. 셀을 식별하는 셀 식별자(셀 ID)는 레퍼런스신호에 1대 1로 대응하고, 랜덤한 부호계열 및 직교부호계열의 조합수만큼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랜덤한 부호계열을 170개 및 직교부호계열을 3개 마련하면, 전부 510개의 레퍼런스신호 및 셀 ID를 마련할 수 있다. 도면 중, 셀의 모양 이 다른 것은, 셀마다 다른 랜덤한 부호계열이 사용되는 것에 대응한다. a,b,c는 어느 직교부호계열군으로부터 선택된 3개의 직교부호계열이다. 어느 셀도 직교부호계열 a,b,c를 공통으로 섹터에 사용하나, 셀마다 다른 랜덤한 부호계열이 사용되므로, 레퍼런스신호는 전체로서는 각 섹터에서 다른 것이 된다. 동일 셀에 포함되는 섹터간은 서로 동기하고 있으므로, 직교부호 a,b,c를 이용함으로써 섹터간의 간섭을 실질적으로 제로로 할 수 있다. 각 셀은 일반적으로는 비동기이며, 간섭이 어느 정도는 남아버릴지도 모르나, 동일 셀 내의 섹터간 간섭은 실질적으로 제로가 되므로, 간섭량 전체로서는 적어지게 된다.
도 3은 직교부호계열의 구체 예 및 맵핑 예를 나타낸다. 도시의 예에서는,
(1,1,1),
(1,exp(j2π/3),exp(j4π/3)) 및
(1,exp(j4π/3),exp(j2π/3))
의 3개의 직교부호계열로 이루어지는 계열군이 사용되고, 3섹터의 직교화가 수행된다. 도 3에 도시되는 맵핑 예에서는, 직교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맵핑 방법이 고안되어 있다. 레퍼런스신호는 도시와 같은 시간 및 주파수에 맵핑되고, 랜덤한 부호계열과 직교부호계열이 승산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7개의 심볼 기간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은 송신시간간격(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으로 언급되어도 좋으며, 일 예로서 1.0ms이어도 좋다. 어느 심볼 기간(symbol duration)에서 동시에 송신되는 레퍼런스신호의 복수의 주파수성분은, 서로 nθ(θ의 정수배)만큼 다른 위상각(phase angles)의 성분을 갖는다. 동일 서브프레임 내 에서 다른 심볼 기간에 송신되는 성분은 서로 (φ+nθ)만큼 다른 위상각의 성분을 갖는다. 제1 섹터에 대해서는 θ=0 그리고 φ=0이며, 제2 섹터에 대해서는 θ=exp(j2π/3) 그리고 φ=exp(j4π/3)이며, 제3 섹터에 대해서는 θ=exp(j4π/3) 그리고 φ=exp(j2π/3)이다. 도시와 같이 맵핑하면, 케이스1, 케이스2 및 케이스3으로 둘러싸인 어느 3성분의 조도 하나의 직교부호계열을 구성하게 된다.
도 4는 도 3과 동일한 맵핑 예를 나타내나, 레퍼런스신호에 적용되는 랜덤한 부호계열의 각 성분 C1j(j=1,2,3)과, 직교부호계열의 각 성분(1,exp(j2π/3),exp(j4π/3))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1 셀(예를 들면, 도 2의 41)의 랜덤한 부호계열이, (c11,c12,c13)이며, 제2 셀(예를 들면, 도 2의 42)의 랜덤한 부호계열이, (c21,c22,c23)이며, 제3 셀(예를 들면, 도 2의 43)의 랜덤한 부호계열이, (c31,c32,c33)인 것이 상정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제1 셀 내의 섹터 #1,#2,#3이 송신하는 레퍼런스신호를 나타낸다. 어느 2개의 섹터의 조합에 대해서도, 케이스 1,2,3의 테두리 내의 3성분끼리의 내적(inner product)(상관)은 제로가 된다. 따라서, 섹터간에 직교하는 계열을 레퍼런스신호에 사용하는 것은, 레퍼런스신호의 추정 정밀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멀티패스 전파환경하에서는 복수의 도래파(패스)가 어느 기간에 걸쳐 수신기에 도달하며, 그 기간은 지연분산(delay spread)이라고도 불린다. 셀 반경이 작은 지역이나 도시부 등에서는 지연분산은 비교적 작다. 그러나 반대로 셀 반경이 큰 지역, 도시부 교외, 분지 등에서는 지연분산은 커지게 된다. 지연분산이 커지게 되면,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에 기인하여 패스간에 진폭이나 위상이 크게 변화할지도 모른다. 페이딩으로 위상회전각이 부정확해지면, 직교성은 크게 무너지고, 레퍼런스신호에 기초한 채널 추정 정밀도는 크게 열화해버릴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위상회전계열로 직교계열이 표현되는 경우에, 위상회전각이 부정확해지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 복수의 섹터 각각으로부터 송신되는 레퍼런스신호가, 패스의 지연분산이 큰 지역에서도 고품질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제1 형태에서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가 사용된다. 기지국장치는, 레퍼런스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포함하는 송신심볼을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송신심볼을 섹터마다 송신하는 수단과, 무선 전파상황을 감시하는 수단을 갖는다.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에 제2 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제2 계열을,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로 또는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할지는, 상기 무선 전파상황에 따라서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서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가 사용된다. 기지국장치는, 레퍼런스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포함하는 송신심볼을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송신심볼을 섹터마다 송신하는 수단과, 무선 전파상황을 감시하는 수단을 갖는다.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제1 구성방법으로 또는 제2 구성방법의 어느 것으로 구성할지는, 무선 전파상황에 따라서 결정된다. 제1 구성방법은,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과,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생성한다. 제2 구성방법은, 섹터간에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과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을 승산함으로써, 레퍼런스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서는, 복수의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이 사용된다. 각 기지국장치는, 레퍼런스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포함하는 송신심볼을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송신심볼을 섹터마다 송신하는 수단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서는,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에,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2 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된다. 다른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서는,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에, 섹터간에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2 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서는, 복수의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이 사용된다. 각 기지국장치는, 레퍼런스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포함하는 송신심볼을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송신심볼을 섹터마다 송신하는 수단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서는,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에,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2 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된다. 다른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서는,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에, 제2 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제2 계열을,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로 또는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할지는, 상기 무선 전파상황에 따라서 결정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 복수의 섹터 각각으로부터 송신되는 레퍼런스신호가, 패스의 지연분산이 큰 지역에서도 고품질로 수신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이동통신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셀, 섹터 및 레퍼런스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레퍼런스신호의 맵핑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각 섹터로부터 송신되는 레퍼런스신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예에서 레퍼런스신호에 사용되는 부호계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의 부분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제1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를 나타낸다.
도 8은 제2 실시 예에서 레퍼런스신호에 사용되는 부호계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의 레퍼런스신호 생성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의 레퍼런스신호 복원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 예에서 레퍼런스신호에 사용되는 부호계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의 레퍼런스신호 생성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의 레퍼런스신호 복원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 예에서 레퍼런스신호에 사용되는 부호계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5는 제4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의 레퍼런스신호 생성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제4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의 레퍼런스신호 복원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부호의 설명
12 유니캐스트 데이터 처리부
121 터보 부호기
122 데이터 변조기
123 인터리버
13 MCS 설정부
15 직병렬 변환부(S/P)
16 다중부(MUX)
17 고속 역 푸리에 변환부(IFFT)
18 가드 인터벌 삽입부
19 디지털 아나로그 변환부(D/A)
20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
23 레퍼런스신호 생성부
24, 25 승산부
26 전파상황 감시부
20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D/A)
203 선택부
204 가드인터벌 제거부
205, 207 승산부
206 고속 푸리에 변환부(FFT)
208 분리부(DeMUX)
209 레퍼런스신호 복원부
210, 212, 213 승산부
211 선택부
214 채널 추정부
216 복조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이 몇 개의 실시 예로 나뉘어 설명되나, 각 실시 예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않으며, 2 이상의 실시 예가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어도 좋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지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실시 예 1
도 5는 제1 실시 예에서 레퍼런스신호에 사용되는 부호계열을 나타낸다. 상단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셀마다 다른 랜덤한 170개의 부호계열(랜덤 1∼170)과, 셀 내의 3섹터에서 사용되는 직교부호계열(직교 1∼3)을 나타낸다. 랜덤한 부호계열은 예를 들면 PN 부호계열이어도 좋다. 직교부호계열은 예를 들면 카작 부호계열(CAZAC code sequence)이어도 좋다. 직교부호계열은 일련의 위상회전인자(phase rotation factors)로 표현되어도 좋으나,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 간이하게 직교계열을 산출하는 관점에서는, 위상회전계열(phase rotation sequence)이 바람 직하다.
도면 중 하단은, 각 셀에서 사용가능한 부호계열의 선택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면 중 가장 좌측의 셀은, (랜덤 1, 직교 1), (랜덤 1, 직교 2) 및 (랜덤 1, 직교 3)의 제1 조합(상단)에 더하여, (랜덤 1, 랜덤 1), (랜덤 1, 랜덤 2) 및 (랜덤 1, 랜덤 3)의 제2 조합(하단)으로 레퍼런스신호를 구성해도 좋다. 상단에서는 각 섹터는 직교부호계열(직교 1∼3)로 구별되나, 하단에서는 각 섹터는 랜덤한 부호계열(랜덤 1∼3)로 구별된다. 셀을 구별하기 위한 랜덤한 부호계열(랜덤 1∼170)은, 다수의 셀간을 구별하기 위한 부호이므로, 부호길이는 비교적 길다. 일 예로서 10ms의 프레임 기간에 걸쳐 지속해도 좋다. 셀을 구별하기 위한 이 부호계열은, 롱 코드(long code)라고 불러도 좋다. 이에 대해서, 섹터간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직교하는 또는 랜덤한 부호계열(직교 1∼3, 랜덤 1∼3)의 부호길이는, 3개의 섹터를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비교적 짧아도 좋다. 섹터를 구별하기 위한 이 부호계열은, 쇼트 코드(short code)라고 불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셀 반경이 작은 지역이나 도시부 등에서는 지연분산은 비교적 작고, 패스간의 위상변화도 작으며, 따라서 부호간의 직교성은 유지되기 쉽다. 따라서 상단과 같은 부호로 레퍼런스신호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셀 반경이 큰 지역, 도시부 교외, 분지 등에서는 지연분산은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에 기인하여 패스간에 진폭이나 위상이 비교적 크게 변화하고, 직교부호를 이용했다고 해도 직교성이 무너지기 쉬워진다. 그러나, 랜덤 부호계열의 경우, 페이딩을 받았다고 해도 랜덤성은 유지되기 쉽고, 페이딩의 영향도 분산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하단과 같이 랜덤한 부호계열로 섹터간을 구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와 같은 원리에 기초하여, 셀의 무선 전파상황에 따라서, 각 기지국은, 레퍼런스신호를 구성하는 부호계열을, 상단 또는 하단과 같이 전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을 나타낸다. 도 6에는, 유니캐스트 데이터 처리부(12), MCS 설정부(13), 직병렬 변환부(S/P)(15), 다중부(MUX)(16), 고속 역 푸리에 변환부(IFFT)(17), 가드 인터벌 삽입부(18),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A)(19),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20), 레퍼런스신호 생성부(23), 전파상황 감시부(26)가 도시되어 있다. 유니캐스트 데이터 처리부(12)는, 터보 부호기(121)와, 데이터 변조기(122)와, 인터리버(123)를 갖는다. 레퍼런스신호 생성부(23)는 선택부(24) 및 승산부(25)를 갖는다.
유니캐스트 데이터 처리부(12)는 특정의 개개의 유저로의 채널에 관한 처리를 수행한다.
부호기(121)는, 유니캐스트 채널의 오류 내성을 높이기 위한 부호화를 수행한다. 부호화는 컨볼루션 부호화나 터보 부호화 등의 해당 기술분야에서 주지인 다양한 수법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본 실시 예에서는 유니캐스트 채널에 대해서 적응변조 부호화(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제어가 수행되고, 채널 부호화율은 MCS 설정부(1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변경된다.
데이터 변조기(122)는, QPSK, 16QAM, 64QAM 등과 같은 어떠한 적절한 변조방식으로 유니캐스트 채널의 데이터 변조를 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유니캐스트 채널에 대해서 AMC 제어가 수행되고, 변조방식은 MCS 설정부(1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변경된다.
인터리버(123)는 유니캐스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정렬하는 순서를 소정의 패턴에 따라서 재정렬한다.
또한, 도 6에는 다른 채널(예를 들면, 제어채널, MBMS 채널 등)에 대한 처리요소가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그것들에 대해서도 처리부(12)와 동일한 처리가 수행된다. 제어채널 등에 대해서 AMC 제어는 수행되지 않아도 좋으며, 수행되어도 좋다.
MCS 설정부(13)는 유니캐스트 채널에 사용되는 변조방식 및 부호화율의 조합을 필요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각 처리요소에 지시를 준다. 변조방식 및 부호화율의 조합은, 조합 내용을 나타내는 번호(MCS 번호)로 특정된다.
직병렬 변환부(S/P)(15)는 직렬적인 신호계열(스트림)을 병렬적인 신호계열로 변환한다. 병렬적인 신호계열 수는, 서브캐리어 수에 따라서 결정되어도 좋다.
다중부(MUX)(16)는 복수의 데이터계열, 유니캐스트용의 레퍼런스신호, 및 알림채널 등을 다중화한다. 다중화는, 시간다중, 주파수다중 또는 시간 및 주파수다중의 어느 방식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고속 역 푸리에 변환부(IFFT)(17)는, 거기에 입력된 신호를 고속 역 푸리에 변환하고, OFDM 방식의 변조를 수행한다.
가드 인터벌 삽입부(18)는, OFDM 방식의 변조 후의 심볼에 가드인터벌(GI:Guard Interval) 또는 사이클릭 프리픽스(CP:Cyclic Prefix)를 부가함으로 써, 송신심볼을 작성한다. 주지와 같이, 가드인터벌은, 전송하고자 하는 심볼의 선두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일련의 데이터를 복제함으로써 작성되고, 그것을 말미에 부가함으로써 송신심볼이 작성된다. 혹은 가드인터벌은, 전송하고자 하는 심볼의 말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일련의 데이터를 복제함으로써 작성되고, 그것을 선두에 부가함으로써 송신심볼이 작성되어도 좋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A)(19)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20)는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무선 파라미터(군)는, OFDM 방식의 심볼의 포맷을 규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가드인터벌부의 기간 TGI, 유효심볼부의 기간, 1심볼 중의 가드인터벌부가 차지하는 비율, 서브캐리어 간격 Δf 등의 값을 특정하는 일군(group)의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유효심볼부(effective symbol part)의 기간은 서브캐리어 간격의 역수 1/Δf와 같다.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20)는, 통신상황에 따라서 혹은 다른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적절한 무선 파라미터군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20)는, 송신대상이 유니캐스트 채널인지 MBMS 채널인지 여부에 따라서, 사용하는 무선 파라미터군을 나누어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유니캐스트 채널에는, 보다 단기간의 가드인터벌부를 규정하는 무선 파라미터군이 사용되고, MBMS 채널에는, 보다 장기간의 가드인터벌부를 규정하는 무선 파라미터군이 사용되어도 좋다. 혹은, 무선 전파상황에 따라서 무선 파라미터군이 바뀌어도 좋다. 예를 들면, 지연분산이 작은 환경에서는 짧은 가드인터벌부가 사용되고, 지연분산이 큰 환경에서는 긴 가드인터벌부가 사용되어도 좋다.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20)는, 적절한 무선 파라미터군을, 그때마다 계산하여 도출해도 좋으며, 혹은 무선파라미터군의 복수의 조를 미리 메모리에 기억시켜 두고, 필요에 따라서 그들 중의 한조가 선택되어도 좋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드인터벌부의 장단(長短)이, 레퍼런스신호의 구성법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레퍼런스신호 생성부(23)는, 제1 계열인 어느 랜덤 부호계열(랜덤 1∼170)과 제2 계열을 승산부(25)에서 승산하고, 레퍼런스신호를 출력한다. 제2 계열은, 직교부호계열(직교 1∼3) 또는 랜덤한 부호계열(랜덤 1∼3)이며, 선택부(24)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전파상황 감시부(26)는, 무선 전파상황을 감시하고, 감시결과에 기초하여 자 셀의 레퍼런스신호가, 도 5의 상단과 같이 또는 하단과 같이 설정되어야 하는 것을 판정한다. 판정결과는 지시신호로서 레퍼런스신호 생성부(23)의 선택부(24)에 주어진다. 또, 판정결과는, 유저장치에도 통지된다. 이 통지는 적절한 어떠한 방법으로 유저장치에 통지되어도 좋다. 일 예로서 이 통지는 동기채널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컨더리 동기채널(S-SCH)- 로 이루어져도 좋다. 혹은, 판정결과의 통지는 알림채널(BCH)로 이루어져도 좋다. 또한, 가드인터벌의 장단이, 판정결과에 관련지어져 있어도 좋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를 나타낸다. 유저장치는 전형적으 로는 이동단말이나, 고정단말이어도 좋다. 도 7에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D/A)(202), 가드인터벌 제거부(204), 고속 푸리에 변환부(FFT)(206), 분리부(DeMUX)(208), 레퍼런스신호 복원부(RS 복원부)(209), 승산부(210, 212, 213), 채널 추정부(214) 및 복조부(216)가 도시되어 있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D/A)(202)는, 수신한 베이스밴드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가드인터벌 제거부(204)는 수신심볼로부터 가드인터벌을 제거하고, 유효심볼부분을 남긴다.
고속 푸리에 변환부(FFT)(206)는, 입력된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고, OFDM 방식의 복조를 수행한다.
분리부(DeMUX)(208)는, 수신신호로부터 레퍼런스신호와 데이터신호(유저데이터 또는 제어데이터)를 분리한다.
RS 복원부(209)는, 수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레퍼런스신호를 복원한다. 승산부(210)는, 레퍼런스신호에, 셀간을 구별하기 위한 랜덤한 부호계열(랜덤 1∼170)을 승산한다. 선택부(211)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거기에 입력된 신호의 출력처(output destination)를 전환한다. 승산부(212)는, 섹터간을 구별하기 위한 직교부호계열(직교 1∼3)을 레퍼런스신호에 승산하고, 승산부(213)는, 섹터간을 구별하기 위한 랜덤한 부호계열(랜덤 1∼3)을 레퍼런스신호에 승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퍼런스신호의 구성법은 기지국에서 결정되고, 결정내용은 유저장치에 통지된다. 이 통지는 적절한 어떠한 방법으로 유저장치에 통지되어 도 좋다. 도시된 예에서는, 세컨더리 동기채널(S-SCH) 및 알림채널(BCH)로 통지가 이루어지도록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 대신에 또는 그것에 더하여, 가드인터벌의 장단이, 판정결과에 관련지어져 있어도 좋다. S-SCH 또는 BCH로 통지가 이루어지는 경우, 그것들에 포함되는 특정의 비트에서 레퍼런스신호의 구성법이 명시적으로 나타나므로, 이들의 채널로 통지하는 것은, 간이하고 확실하게 통지를 수행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가드인터벌부의 장단을 레퍼런스신호의 구성에 관련짓는 방법은, S-SCH나 BCH 등에서 여분의 비트를 확보하지 않아도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것은, 레퍼런스신호의 구성법을 통지하는 것에 관해,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채널 추정부(214)는, 레퍼런스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수신한 데이터신호에 어떠한 채널 보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복조부(216)는, 채널 추정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신호를 보상하고, 송신되어 수신된 데이터신호를 복원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무선 전파상황에 따라서 레퍼런스신호의 구성법이 적절히 변경되므로, 본 실시 예는 지연분산(delay spread)의 대소에 관계없이 레퍼런스신호의 고품질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실시 예 2
제1 실시 예에서는, 도 5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같은 수의 계열 또는 코드가 마련되어 있었으나, 이것은 본 발명에 필수는 아니다. 하단의 코드 수는 상단의 코드 수보다 적어도 좋다. 하단의 코드가 사용되는 상황은, 멀티패스 전파환경에 있 어서의 지연분산이 상당히 큰 경우이며, 170×3개의 코드가 마련되어 있는 서비스 에어리어 전체가, 지연분산이 상당히 큰 상황이 되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 그와 같이 지연분산이 커질 비율은, 많은 경우, 서비스 에어리어 전체의 1% 정도로 어림잡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지연분산이 큰 상황에 대비하여, 제1 실시 예의 경우보다 소수의 코드의 조합이 마련된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서 레퍼런스신호에 사용되는 부호계열을 나타낸다. 상단은 도 5의 상단과 같다. 도 8의 하단에서는, 하나의 롱 코드(랜덤 부호계열)에 하나의 쇼트 코드(직교계열)밖에 관련지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170종류의 레퍼런스신호밖에 마련할 수 없다. 상단에 도시되는 셀 하나는, 무선 전파상황에 따라서, 하단의 어느 하나 3개의 조합에 따라서 레퍼런스 신호를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단 최좌측의 (랜덤1, 직교 1∼3)으로 도시되는 셀은, 하단의 (랜덤 1, 직교 1), (랜덤 2, 직교 2) 및 (랜덤 3, 직교 3)의 조합을 이용하여 레퍼런스신호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단과 하단에서 마련되는 레퍼런스신호 수를 맞추는 관점에서는, 하단의 레퍼런스신호에 대해서, 지리적으로 떨어진 장소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혹은 반대로, 하단의 롱 코드 수는 상단의 것보다 적어도 좋다.
도 9는 제2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의 레퍼런스신호 생성부(23)를 나타낸다. 도 10은 제2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의 레퍼런스신호 복원부(209)를 나타낸다. 지연분산의 대소에 따라서 레퍼런스신호의 구성법이 바뀌었다고 해도, 사용되는 부호계열 자체는 바뀌지 않으며, 랜덤한 부호계열(랜덤 1∼170)과 직교부 호계열(직교 1∼3)이 승산되고, 출력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단에서 새로이 등장하는 부호는 없고, 상단에서도 하단에서도 같은 종류의 부호계열밖에 사용되지 않는다. 하단에서는 상단의 경우와는 달리, 하나의 랜덤한 롱 코드는, 하나의 직교계열(쇼트 코드)에밖에 조합되지 않는다. 제2 실시 예는 새로운 부호계열을 신설하지 않아도 되는 점에서, 제1 실시 예보다도 유리하다.
실시 예 3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레퍼런스신호에 사용되는 부호계열을 나타낸다.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서는, 170개의 어떤 셀도, 지연분산의 대소에 따라서 레퍼런스신호의 구성법을 변경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연분산의 대소는 빈번하게는 변화하지 않고, 지리적으로 불변이 될지도 모른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그와 같은 경우에 대처하고자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내지 제160번의 셀(랜덤 1∼160)에 대해서는, 롱 코드의 랜덤 부호계열과 쇼트 코드의 직교계열로 레퍼런스신호가 구성된다. 이들의 지역에서는, 지연분산이 비교적 작은 것이 가정되어 있다. 제161 내지 제170번의 셀(랜덤 161∼170)에 대해서는 롱 코드의 랜덤 부호계열과 쇼트 코드의 랜덤한 부호계열로 레퍼런스신호가 구성된다. 이들의 지역에서는, 지연분산이 비교적 큰 것이 가정되어 있다.
도 12는 제3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의 레퍼런스신호 생성부(23)를 나타낸다. 선택부(24)는 어느 하나의 입력을 선택하나, 일단 선택되면, 이후는 고정 된다. 상기 제1 내지 제160번의 셀이면, 랜덤한 부호계열(랜덤 1∼160) 및 직교부호계열(직교 1∼3)의 승산이 고정적으로 선택된다. 제161 내지 제170번의 셀이면, 랜덤한 롱 코드(랜덤 161∼170) 및 랜덤한 쇼트 코드(랜덤 1∼3)의 승산이 고정적으로 선택된다.
도 13은 제 3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의 레퍼런스신호 복원부(209)를 나타낸다. 이 선택부(211)도 입력을 어느 하나로 출력하나, 일단 선택되면, 그 셀에 재권하는 한 고정된다. 상기 제1 내지 제160번의 셀이면, 랜덤한 부호계열(랜덤 1∼160) 및 직교부호계열(직교 1∼3)의 승산이 고정적으로 선택된다. 제161 내지 제170번의 셀이면, 랜덤한 롱 코드(랜덤 161∼170) 및 랜덤한 쇼트 코드(랜덤 1∼3)의 승산이 고정적으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레퍼런스신호의 구성법을 셀마다 고정하므로, 기지국 및 유저장치의 동작 및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실시 예 4
제3 실시 예에서는 각 셀에서 레퍼런스신호의 구성법이 고정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는 일부의 셀을 제외하고 레퍼런스신호의 구성법이 고정되고, 그 일부의 셀에서는 레퍼런스신호의 구성법이 가변으로 선택된다. 레퍼런스신호의 구성법이, 일부의 셀에서 가변인 점에서 제1, 제2 실시 예와 공통되고, 그것이 일부의 셀에서 불변인 점에서 제3 실시 예와 공통된다. 따라서 제4 실시 예는 제1 내지 제3 실시 예의 조합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14는 제4 실시 예에서 레퍼런스신호에 사용되는 부호계열을 나타낸다. 도 시된 예에서는, 제1 내지 제160번의 셀(랜덤 1∼160)에 대해서는, 롱 코드의 랜덤한 부호계열과 쇼트 코드의 직교계열로 레퍼런스신호가 구성된다. 제161 내지 제170번의 셀(랜덤 161∼170)에 대해서는 롱 코드의 랜덤한 부호계열과 쇼트 코드의 랜덤한 부호계열로 레퍼런스신호가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들 10개의 셀에 사용되는 랜덤한 롱 코드는 랜덤 171∼180이며, 랜덤 1∼170과 달라도 좋은 것이 나타나 있다. 당연히, 랜덤한 롱 코드 171∼180 대신에, 롱 코드 161∼170이 사용되어도 좋다.
도 15는 제4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의 레퍼런스신호 생성부(23)를 나타낸다. 랜덤한 롱 코드와 직교부호계열이 승산되고, 선택부(27)의 일방의 입력에 주어진다. 도 6의 선택부(24)와 마찬가지로, 직교부호계열 또는 랜덤부호계열의 쇼트 코드가 선택되고, 랜덤한 롱 코드와 승산되어, 승산결과가 선택부(27)의 타방의 입력에 주어진다. 선택부(27)는 자 셀(own cell)이 지연분산이 큰 셀인지 여부에 따라서, 선택을 수행한다.
도 16은 제4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의 레퍼런스신호 복원부(209)를 나타낸다. 도 13과 마찬가지로, 선택부(203)는 거기에 입력된 신호를 어느 하나의 출력으로 도출한다. 유저장치의 재권 셀이, 레퍼런스신호가 가변으로 구성되는 셀이 아니었다면, 랜덤한 롱 코드(랜덤 1∼160) 및 직교부호계열(직교 1∼3)이 수신신호에 승산되고, 레퍼런스신호가 복원된다. 유저장치의 재권 셀이, 레퍼런스신호가 가변으로 구성되는 셀이었다면, 랜덤한 롱 코드(랜덤 161∼170 또는 171∼180)와 쇼트 코드가 수신신호에 승산되고, 레퍼런스신호가 복원된다. 쇼트 코드는, 지 연분산의 대소에 의존하여, 직교부호계열 또는 랜덤한 부호계열로 설정된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각 실시 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각 실시 예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않으며, 2 이상의 실시 예가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5월 25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7-139719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28)

  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레퍼런스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포함하는 송신심볼을 생성하는 수단;
    상기 송신심볼을 섹터마다 송신하는 수단;
    무선 전파상황을 감시하는 수단;을 가지며,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에 제2 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제2 계열을,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로 또는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할지는, 상기 무선 전파상황에 따라서 결정되는 기지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열의 구성법(configuration method)이, 동기채널 또는 알림채널로 유저장치에 통지되는 기지국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열의 구성법이, 상기 송신심볼에 사용되는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장단(長短)으로 구별되는 기지국장치.
  4.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수신신호로부터 레퍼런스신호를 추출하는 수단;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을 상기 레퍼런스신호에 승산하는 수단;
    상기 레퍼런스신호에 제2 계열을 승산하는 수단;
    상기 레퍼런스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수단;을 가지며,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 또는 비직교한 부호계열의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계열로서 설정되는 유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지시는, 동기채널 또는 알림채널로 통지되는 유저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지시는, 상기 수신신호에 사용되고 있던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장단으로 표현되는 유저장치.
  7.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포함하는 송신심볼이 생성되는 단계;
    상기 송신심볼이 섹터마다 송신되는 단계;를 가지며,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에 제2 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제2 계열을,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로 구성할지 또는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할지는, 무선 전파상황에 따라서 결정되는 방법.
  8.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레퍼런스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포함하는 송신심볼을 생성하는 수단;
    상기 송신심볼을 섹터마다 송신하는 수단;
    무선 전파상황을 감시하는 수단;을 가지며,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과,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생성할지, 또는
    섹터간에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과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구성할지는, 상기 무선 전파상황에 따라서 결정되는 기지국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신호의 구성법이, 동기채널 또는 알림채널로 유저장치에 통지되는 기지국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신호의 구성법이, 상기 송신심볼에 사용되는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장단으로 구별되는 기지국장치.
  1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수신신호로부터 레퍼런스신호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레퍼런스신호에 제1 계열 및 제2 계열을 승산하는 수단;
    상기 레퍼런스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수단;을 가지며,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을 상기 제1 계열로 하고,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을 상기 제2 계열로 할지, 또는
    섹터간에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을 상기 제1 계열로 하고,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을 상기 제2 계열로 할지는,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결정되는 유저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지시는, 동기채널 또는 알림채널로 통지되는 유저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지시는, 상기 수신신호에 사용되고 있던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장단으로 표현되는 유저장치.
  14.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포함하는 송신심볼이 생성되는 단계;
    상기 송신심볼이 섹터마다 송신되는 단계;를 가지며,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과,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생성할지, 또는
    섹터간에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과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구성할지는, 상기 무선 전파상황에 따라서 결정되는 방법.
  15. 복수의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각 기지국장치는,
    레퍼런스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포함하는 송신심볼을 생성하는 수단;
    상기 송신심볼을 섹터마다 송신하는 수단;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서는,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에,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2 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되고,
    다른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서는,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에, 섹터간에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2 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되는 이동통신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열의 구성법이, 동기채널 또는 알림채널로 유저장치에 통지되는 이동통신시스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열의 구성법이, 상기 송신심볼에 사용되는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장단으로 구별되는 이동통신시스템.
  18.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수신신호로부터 레퍼런스신호를 분리하는 분리수단;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을, 상기 분리수단에서 분리된 신호에 승산하는 수단;
    상기 분리수단에서 분리된 신호에 제2 계열을 승산하는 수단;
    레퍼런스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수단;을 가지며,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소정의 계열 그룹에 속하는 제1 계열과,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2 계열로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역확 산(despread)하거나, 또는 소정의 다른 계열 그룹에 속하는 제1 계열과, 섹터간에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2 계열로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역확산하는 유저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지시는, 동기채널 또는 알림채널(broadcast channel)로 통지되는 유저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지시는, 상기 수신신호에 사용되고 있던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의 장단으로 표현되는 유저장치.
  2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포함하는 송신심볼이 생성되는 단계;
    상기 송신심볼이 섹터마다 송신되는 단계;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셀에서는,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에,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2 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되고,
    다른 하나 이상의 셀에서는,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 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에, 섹터간에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2 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되는 방법.
  22. 복수의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각 기지국장치는,
    레퍼런스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포함하는 송신심볼을 생성하는 수단;
    상기 송신심볼을 섹터마다 송신하는 수단;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서는,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에,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2 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되고,
    다른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서는,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에, 제2 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제2 계열을,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로 또는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할지는, 상기 무선 전파상황에 따라서 결정되는 이동통신시스템.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열의 구성법이, 동기채널 또는 알림채널로 유저장치에 통지되는 이동통신시스템.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열의 구성법이, 상기 송신심볼에 사용되는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장단으로 구별되는 이동통신시스템.
  25.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수신신호로부터 레퍼런스신호를 추출하는 수단;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을 상기 레퍼런스신호에 승산하는 수단;
    상기 레퍼런스신호에 제2 계열을 승산하는 수단;
    상기 레퍼런스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수단;을 가지며,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소정의 계열 그룹에 속하는 제1 계열과,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로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역확산하거나, 또는 소정의 다른 계열 그룹에 속하는 제1 계열과 제2 계열로 상기 레퍼런스신호가 역확산되고, 상기 제2 계열은,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섹터마다 다른 직교부호계열 또는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설정되는 유저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지시는, 동기채널 또는 알림채널로 통지되는 유저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지시는, 상기 수신신호에 사용되고 있던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장단으로 표현되는 유저장치.
  28.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레퍼런스신호를 포함하는 송신심볼이 생성되는 단계;
    상기 송신심볼이 섹터마다 송신되는 단계;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셀에서는,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에,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2 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되고,
    다른 하나 이상의 셀에서는, 적어도 인접 셀과 자 셀의 사이에서 다른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되는 제1 계열에, 제2 계열을 승산함으로써 상기 레퍼런스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제2 계열을, 섹터간에 다른 직교부호계열로 또는 비직교한 부호계열로 구성할지는, 상기 무선 전파상황에 따라서 결정되는 방법.
KR20097026294A 2007-05-25 2008-05-21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KR201000316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39719A JP5006106B2 (ja) 2007-05-25 2007-05-25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方法
JPJP-P-2007-139719 2007-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678A true KR20100031678A (ko) 2010-03-24

Family

ID=4007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26294A KR20100031678A (ko) 2007-05-25 2008-05-21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22355B2 (ko)
EP (1) EP2152018A4 (ko)
JP (1) JP5006106B2 (ko)
KR (1) KR20100031678A (ko)
CN (1) CN101779429B (ko)
WO (1) WO2008146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03818A1 (en) * 2005-07-29 2008-03-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pilot signal sequence allocating method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
JP4447575B2 (ja) * 2006-05-01 2010-04-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EP2448343A4 (en) * 2009-06-22 2015-07-22 Sharp Kk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8693420B2 (en) * 2011-08-10 2014-04-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and transmitting uplink reference signals
JP6002243B2 (ja) * 2012-01-19 2016-10-0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参照信号をスクランブルする方法、ならびにその方法を用いた装置およびユーザ機器
US10038534B2 (en) 2012-01-19 2018-07-31 Sun Patent Trust Method of scrambling reference signals, device and user equipment using the method
KR101966186B1 (ko) * 2013-05-10 2019-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서브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서브 셀 결정 방법 및 장치
JPWO2016136491A1 (ja) * 2015-02-23 2017-12-28 京セラ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TWI609577B (zh) * 2016-01-29 2017-12-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執行上行鏈路通道估測的方法及使用所述方法的基地台
CN110855586B (zh) * 2016-07-08 2022-08-26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导频信号传输方法
CN115190460A (zh) * 2016-09-28 2022-10-14 Idac控股公司 用于新无线电的控制信道
WO2022067826A1 (zh) * 2020-09-30 2022-04-0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6337B1 (en) * 1993-09-10 2001-05-0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reference signals in an OFDM system
US5867478A (en) * 1997-06-20 1999-02-02 Motorola, Inc. Synchronous coherent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method, software and device
CN100355219C (zh) * 2002-06-14 2007-12-12 华为技术有限公司 阵列收发系统中的参考信号发射接收方法及其应用
CN1806406A (zh) * 2003-06-18 2006-07-19 三星电子株式会社 在正交频分复用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用于基站识别的导频模式的设备和方法
EP1542488A1 (en) * 2003-12-12 2005-06-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 pilot signal adapted to the channel characteristics
ES2438532T3 (es) * 2004-07-06 2014-01-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ódigos ortogonales de longitud variable no contiguos
JP4869724B2 (ja) * 2005-06-14 2012-02-0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US9088384B2 (en) * 2005-10-27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ymbo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4932432B2 (ja) * 2006-11-01 2012-05-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基地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22355B2 (en) 2013-04-16
JP2008294862A (ja) 2008-12-04
CN101779429A (zh) 2010-07-14
CN101779429B (zh) 2013-11-06
EP2152018A1 (en) 2010-02-10
US20100177688A1 (en) 2010-07-15
WO2008146673A1 (ja) 2008-12-04
JP5006106B2 (ja) 2012-08-22
EP2152018A4 (en)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1678A (ko)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JP493243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基地局
US9048914B2 (en) Radio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1239752B1 (ko)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US7782749B2 (en) Method for mapping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to resource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mapp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510077B2 (ja) 直交周波数分割多重接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適応的アンテナシステムのためのプリアンブルシーケンス生成装置及び方法
KR101658718B1 (ko) 멀티-스트림 전송에서 파일럿 신호를 매핑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5731544B2 (ja) 復調参照信号のためのアンテナポートマッピング方法および装置
CA2563944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ilot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cheme
EP2566090B1 (en) Adaptive pilot structure to assist channel estimation in spread spectrum systems
EP2660993A2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RU2006131684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приема пилот-сигнала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использующей схему ofdm
KR20090119987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KR20050041803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기지국 구분을 위한 파일럿 신호 장치 및 방법
JP2011503974A (ja) チャネリゼーション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A2681053A1 (en) User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9041879A1 (en) Interference randomisation of control channel elements
EP2637322A2 (en) Transmit diversity scheme
CN103780528A (zh) 通信系统及其信号发送方法与装置、信号接收方法与装置
JP5015211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WO2010079787A1 (ja) 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2006054745A (ja) 無線通信装置
JP6027637B2 (ja) 復調参照信号のためのアンテナポートマッピング方法および装置
CN103780529A (zh) 通信系统及其信号发送方法与装置、信号接收方法与装置
JP5107406B2 (ja) ユー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