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633A - 조습장치 - Google Patents

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633A
KR20100031633A KR1020107002740A KR20107002740A KR20100031633A KR 20100031633 A KR20100031633 A KR 20100031633A KR 1020107002740 A KR1020107002740 A KR 1020107002740A KR 20107002740 A KR20107002740 A KR 20107002740A KR 20100031633 A KR20100031633 A KR 20100031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dampers
air
ca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4486B1 (ko
Inventor
요시노리 나리까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1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10T403/591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having operating mechanism
    • Y10T403/592Ball de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케이싱 내에는 복수의 조습실이 구획된다. 각 조습실로 연통되는 복수의 공기 유통구에는 각각 개폐 자유로운 댐퍼가 설치된다. 복수의 댐퍼는 서로 인접하는 댐퍼가 연결부재에 의해 분리 자유롭게 연결된다.

Description

조습장치{HUMIDITY CONTROLLER}
본 발명은 공기를 조습하는 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를 조습하는 복수의 조습 처리실과 연통되는 공기 유통구를 개폐하는 복수의 댐퍼를 구비한 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외공기나 실내공기를 조습하고, 조습 후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조습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05-291532호 공보)에는, 표면에 흡착제가 부착되어 유지되는 흡착열교환기를 구비한 조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조습장치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가 제 1 조습 처리실에 배치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가 제 2 조습 처리실에 배치된다. 각 흡착열교환기는 냉매회로에 접속된다. 냉매회로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가 응축기가 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가 증발기가 되는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가 응축기가 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가 증발기가 되는 동작을 교대로 수행한다.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흡착열교환기에서는 흡착제에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흡착열교환기에서는 수분이 흡착제로부터 탈리되어 공기에 부여된다.
또 특허문헌1에 개시된 조습장치는, 각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 중 한쪽을 실내로 공급하며 다른 쪽을 실외로 배출한다. 예를 들어 제습운전 중의 조습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 중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쪽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며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쪽을 통과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케이싱 내에서의 공기 유통경로가 설정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조습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공기의 유통경로를 복수 댐퍼의 개폐동작에 의해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 조습장치에서는 8개의 댐퍼를 개폐 제어함으로써, 각 흡착열교환기를 유통하는 공기의 경로를 변경하여 제습운전이나 가습운전 등을 전환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복수의 댐퍼를 설치한 경우, 각 댐퍼의 유지 보수작업이 번거로워진다. 즉 각 댐퍼를 별개로 독립시켜 설치하도록 하면, 이들 댐퍼의 분리나 설치작업이 번잡해지며, 유지보수의 작업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의 조습장치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댐퍼를 일체형 유닛(댐퍼유닛)으로 하여 케이싱으로부터 인출 가능한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의해, 2개의 댐퍼를 함께 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케이싱 내부에 설치하거나 할 수 있어, 유지보수의 작업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그런데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댐퍼를 일체형 댐퍼유닛으로 하면, 댐퍼유닛의 유지보수용 공간(분리/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즉 전술한 댐퍼유닛에서는 2개의 댐퍼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예를 들어 이를 끌어낼 경우, 양쪽 댐퍼를 외부로 끌어내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2개의 댐퍼를 그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이 배열방향으로 댐퍼유닛을 끌어낼 경우, 적어도 양 댐퍼의 길이방향 치수 합계보다 긴 인출공간 길이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댐퍼를 하나의 댐퍼유닛으로서 일체화하면, 댐퍼의 유지보수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조습장치 주위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조습장치의 설치위치가 제한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필요최소한의 유지보수용 공간에서 복수의 댐퍼를 용이하게 분리/설치 가능하게 하는 조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 1 발명은, 공기가 도입되는 케이싱(11)과, 이 케이싱(11) 내에 구획되며 공기를 조습하기 위한 조습수단(51, 52)이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조습실(37, 38)과, 각 조습실(37, 38)과 연통되며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복수의 공기유통구(41a∼48a)를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댐퍼(41∼48)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댐퍼(41∼48) 중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가 일체적인 하나의 댐퍼유닛(100)으로서 상기 케이싱(11)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습장치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이 조습장치는 상기 댐퍼유닛(100)에,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를 분리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기구(152, 16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의 조습장치에서는, 케이싱(11) 내에 복수의 조습실(37, 38)이 구획 형성된다. 각 조습실(37, 38)에는 각각 공기를 조습하기 위한 조습수단(51, 52)이 설치된다. 케이싱(11) 내로 도입된 공기는 조습실(37, 38)과 연통되는 공기유통구(41a∼48a)를 통해 조습수단(51, 52)에 의해 조습된 후 실내 등으로 공급된다. 또 각 공기유통구(41a∼48a)에는 각각 댐퍼(41∼48)가 설치된다. 각 댐퍼(41∼48)의 개폐상태를 전환함으로써 공기의 유통경로가 전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복수의 댐퍼(41∼48)는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가 연결기구(152, 162)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유닛(댐퍼유닛)이 된다. 이 댐퍼유닛(100)을 케이싱(11) 외부로 끌어냄으로써, 복수의 댐퍼(41∼48)를 함께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연결기구(152, 162)는 복수의 댐퍼(41∼48)를 분리 자유롭게 한다. 따라서 댐퍼유닛(100)을 끌어내는 과정에서 각 댐퍼(41∼48)를 분리, 분할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댐퍼(41∼48)의 인출공간만으로 각 댐퍼(41∼48)를 케이싱(11) 외부로 차례로 끌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각 댐퍼(41∼48)를 케이싱(11) 내에 설치할 때에는, 분할 후의 각 댐퍼(41∼48)를 연결기구(152, 162)를 개재하여 차례로 연결시키면서 댐퍼유닛(100)으로서 원위치로 되돌리게 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의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내에는, 상기 댐퍼유닛(100)의 인출방향으로 이어지며 이 댐퍼유닛(100)을 안내하는 레일부재(141∼14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에서는 케이싱(11) 내에 레일부재(141∼144)가 설치된다. 레일부재(141∼144)는 댐퍼유닛(100)을 인출방향으로 안내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댐퍼유닛(100)을 레일부재(141∼144)를 따르도록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댐퍼유닛(100)의 분리작업 또는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의 조습장치에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의 연결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각 댐퍼(41∼48)를 연결하도록 서로 걸어 맞출 수 있는 한 쌍의 연결부(152, 162)로 구성되며, 이 한 쌍의 연결부(152, 162)는 댐퍼유닛(100)의 인출방향에서의 연결 해제가 금지되는 한편, 이 인출방향과 다른 방향에서의 연결 해제가 허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의 연결측 단부에 연결기구로서 한 쌍의 연결부(152, 162)가 배치된다. 이 연결부(152, 162)는 댐퍼유닛(100)의 인출방향에서는 연결 해제가 금지된다. 따라서 댐퍼유닛(100)을 케이싱(11) 외부로 끌어낼 때, 각 댐퍼(41∼48)가 연결부(152, 162)를 개재하여 연결된 채이므로, 각 댐퍼(41∼48)를 함께 끌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연결부(152, 162)는 이 인출방향과 다른 방향에서의 연결 해제가 허용된다. 따라서 댐퍼유닛(100)을 끌어내는 과정에서 한쪽 댐퍼(41∼48)를 다른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한 쌍의 연결부(152, 162)의 연결이 해제된다. 그 결과, 한쪽 댐퍼(41∼48)가 댐퍼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된다.
제 4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의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 중 한쪽 댐퍼(41∼48)의 연결측 단부에 설치되며 인출방향과 직교하도록 돌출되는 판상 돌기부(152)와, 다른 쪽 댐퍼(41∼48)의 연결측 단부에 설치되며 이 판상 돌기부(152)의 선단부를 내포하도록 굴곡되는 판상 걸림부(16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 중 한쪽 연결측 단부에 판상 돌기부(152)가 배치되며 다른 쪽 연결측 단부에 판상 걸림부(162)가 배치된다. 판상 돌기부(152)는 댐퍼유닛(100)의 인출방향과 직교하도록 돌출된다. 한편, 판상 걸림부(162)는 판상 돌기부(152)의 선단부를 내포하도록 굴곡된다. 이 구성에 의해, 댐퍼유닛(100)을 끌어낼 때, 판상 돌기부(152)에 대해 판상 걸림부(162)가 걸리게 되어 각 댐퍼(41∼48)가 연결상태가 된다. 따라서 각 댐퍼(41∼48)를 함께 끌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댐퍼유닛(100)의 인출과정에서, 판상 돌기부(152)에 대해 판상 걸림부(162)를 인출방향과 직교하도록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판상 돌기부(152)로부터 판상 걸림부(162)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각 댐퍼(41∼48)의 연결이 용이하게 해제되어 각 댐퍼(41∼48)가 분리된다.
제 5 발명은, 제 1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내에는, 각 조습실(37, 38)과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공기 유통구(41a∼48a)가 형성되는 구획판(71, 72)이 설치되며, 상기 댐퍼유닛(100)은,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의 연결부 틈새가 상기 구획판(71, 72)에 임한 위치가 되도록 케이싱(11)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에서는 케이싱(11) 내에 구획판(71, 72)이 설치된다. 구획판(71, 72)에는 각 조습실(37, 38)에 개별로 대응하는 복수의 공기유통구(41a∼48a)가 형성된다. 한편, 케이싱(11)에 설치된 상태인 댐퍼유닛(100)에서는 각 댐퍼(41∼48)의 연결부 틈새가 구획판(71, 72)에 임한 위치가 된다. 이로써, 각 조습실(37, 38)의 내부와 외부가 각 댐퍼(41∼48) 사이의 틈새를 통해 연통되어 버리는 것이 회피되므로, 이 틈새에서의 공기 누설이 방지된다.
제 6 발명은, 제 1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유닛(100)은,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의 배열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의 댐퍼유닛(100)은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의 배열방향으로 인출된다. 여기서, 종래의 댐퍼유닛을 댐퍼 배열방향으로 끌어내도록 하면, 각 댐퍼의 배열방향 길이(예를 들어 길이방향 치수)의 합계 이상의 인출공간 길이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댐퍼유닛은 케이싱 주위에 비교적 커다란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댐퍼유닛(100)으로부터 각 댐퍼(41∼48)를 적절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인출공간 길이(또는 설치공간 길이)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제 7 발명은, 제 6 발명의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내에는, 각각의 댐퍼(41∼48) 배열방향이 서로 동일방향이 되도록 복수의 댐퍼유닛(100)이 병설(竝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에서는 케이싱(11) 내에 복수의 댐퍼유닛(100)이 설치된다. 각 댐퍼유닛(100)에서는 댐퍼(41∼48)의 배열방향, 즉 댐퍼유닛(100)의 인출방향이 동일방향이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케이싱(11) 외부의 동일측으로부터 모든 댐퍼유닛(100)을 끌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8 발명은, 제 1 내지 제 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유닛(100)에는, 상기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의 연결부 틈새를 메우기 위한 실 부재(17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의 연결부 틈새에 실 부재(170)가 배치된다. 이로써, 각 조습실(37, 38)의 내부와 외부가 각 댐퍼(41∼48) 사이의 틈새를 통해 연통되어 버리는 것이 실 부재(170)에 의해 금지되므로, 이 틈새에서의 공기 누설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를 분리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부재(152, 162)를 댐퍼유닛(100)에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댐퍼(41∼48)를 연결부재(152, 162)에 의해 연결하면서 함께 인출 또는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각 댐퍼의 분리/설치를 개별로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각 댐퍼(41∼48)의 유지보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유닛(100)의 인출작업을 하면서 각 댐퍼(41∼48)를 분리함으로써, 각 댐퍼(41∼48)의 인출에 필요한 공간이 작아진다. 또한 각 댐퍼(41∼48)를 연결시키면서 댐퍼유닛(100)을 설치함으로써, 각 댐퍼(41∼48)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도 작아진다. 따라서 복수의 각 댐퍼(41∼48)의 유지보수용 공간이 작아지므로, 조습장치의 설치위치가 제한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제 2 발명에 따르면, 각 댐퍼(41∼48)를 안내하는 레일부재(141∼144)를 설치하도록 하므로, 각 댐퍼(41∼48)의 분리/설치 작업이 더욱 용이해지며,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발명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의 연결측 단부에 각각 연결부(152, 162)를 설치하도록 하여, 인출방향에서의 각 연결부(152, 162)의 연결해제를 금지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유닛(100)의 인출작업 개시 시에, 각 댐퍼(41∼48)의 연결이 해제되어 버린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어, 각 댐퍼(41∼48)를 확실하게 함께 끌어낼 수 있다.
또 제 4 발명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의 각 연결측 단부 중 한쪽에 판상 돌기부(152)를 배치하며, 다른 쪽에 판상 걸림부(162)를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유닛(100)의 인출작업 시에 판상 걸림부(162)를 판상 돌기부(152)에 걸리게 함으로써, 각 댐퍼(41∼48)를 확실하게 함께 끌어낼 수 있다. 또한 판상 돌기부(152)에 대해 판상 걸림부(162)를 인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판상 돌기부(152)를 판상 걸림부(16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댐퍼(41∼48)의 분리작업이 용이해져, 작업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6 발명에서는, 댐퍼(41∼48)의 배열방향으로 댐퍼유닛(100)을 끌어내도록 하나, 각 댐퍼(41∼48)를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 댐퍼(41∼48)의 인출공간 길이나 설치공간 길이를 효과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특히 제 7 발명에서는, 복수의 댐퍼유닛(100)을 동일방향에서 인출 가능하게 하므로, 케이싱(11) 외부의 동일측에 각 댐퍼(41∼48)의 유지보수용 공간을 집약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댐퍼(41∼48)에 필요한 유지보수용 공간을 한층 작게 할 수 있다.
또 제 5 발명이나 제 8 발명에 따르면, 댐퍼유닛(100)의 각 댐퍼(41∼48) 연결부에서의 틈새의 공기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공기 누설에 기인하여 조습 후의 공기 습도가 변화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전면(前面)측에서 본 조습장치를 케이싱의 천장판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전면측에서 본 조습장치를 케이싱의 일부 및 전장품 상자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조습장치를 케이싱의 천장판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배면측에서 본 조습장치를 케이싱의 천장판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조습장치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냉매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관계통도이며, (A)는 제 1 동작 중의 동작을 나타내고, (B)는 제 2 동작 중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7은, 흡착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상류측 구획판에서의 댐퍼유닛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상류측 구획판에서의 댐퍼유닛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서로 인접하는 댐퍼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서로 인접하는 댐퍼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조습장치의 개략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제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조습장치의 개략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가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조습장치의 개략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15는, 가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조습장치의 개략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16은, 단순환기운전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조습장치의 개략 평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분리작업 시의 댐퍼유닛 사시도이며, 앞쪽 프레임부를 케이싱 외부로 인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분리작업 시의 댐퍼유닛 사시도이며, 서로 인접하는 댐퍼를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분리작업 시의 댐퍼유닛 사시도이며, 모든 댐퍼를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실내의 습도조절과 함께 실내의 환기를 수행하며, 도입한 실외공기(OA)의 습도를 조절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도입한 실내공기(RA)를 실외로 배출한다.
<조습장치의 전체구성>
조습장치(10)에 대해, 도 1∼도 5를 적절하게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여기서 설명에서 사용하는 "상", "하", "좌", "우", "전", "후", "앞쪽", "안쪽"은,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조습장치(10)를 전면(前面)측에서 본 경우의 방향을 의미한다.
조습장치(10)는 케이싱(11)을 구비한다. 또 케이싱(11) 내에는 냉매회로가 수납된다. 이 냉매회로(50)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 제 2 흡착열교환기(52), 압축기(53), 사방밸브(54) 및 전동팽창밸브(55)가 접속된다. 냉매회로(5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케이싱(11)은 약간 편평하고 높이가 비교적 낮은 직방체형으로 형성된다. 이 케이싱(11)은, 그 좌우방향 폭이 길이방향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된다(도 3 참조). 케이싱(11)에서는, 도 1에서 좌측 앞쪽 측면(즉, 전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전면 패널부(12)이며, 도 1에서 우측 안쪽 측면(즉, 배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배면 패널부(13)이다. 또 이 케이싱(11)에서는 도 1에서 우측 앞쪽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제 1 측면패널부(14)이며, 도 1에서 좌측 안쪽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제 2 측면패널부(15)이다.
케이싱(11)에서는 전면 패널부(12)와 배면 패널부(13)가 서로 대향하며, 제 1 측면패널부(14)와 제 2 측면패널부(15)가 서로 대향한다. 또 케이싱(11)에서는 제 1 측면패널부(14) 및 제 2 측면패널부(15)가 측판부를 구성한다.
케이싱(11)에는 외기흡입구(24), 내기흡입구(23), 급기구(22) 및 배기구(21)가 형성된다.
외기흡입구(24) 및 내기흡입구(23)는 배면 패널부(13)로 개구된다(도 3, 도 4 참조). 외기흡입구(24)는 배면 패널부(13) 하측부분에 배치된다. 또 외기흡입구(24)는 배면 패널부(13)의 좌우 폭방향 중앙에서 제 2 측면 패널부(15) 쪽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형성된다. 내기흡입구(23)는 배면 패널부(13) 상측부분에 배치된다. 또 내기흡입구(23)는 배면 패널부(13)의 좌우 폭방향 중앙에서 제 1 측면 패널부(14) 쪽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형성된다.
급기구(22)는 제 1 측면패널부(14)의 전면 패널부(12)측 단부 부근에 배치된다. 배기구(21)는 제 2 측면패널부(15)의 전면 패널부(12)측 단부 부근에 배치된다.
케이싱(11) 내부공간에는 상류측 구획판(71), 하류측 구획판(72), 중앙 구획판(73), 제 1 구획판(74) 및 제 2 구획판(75)이 설치된다. 이들 구획판(71∼75)은 모두 케이싱(11) 바닥판에 세워 설치되며, 케이싱(11) 내부공간을 케이싱(11) 바닥판에서 천장판에 걸쳐 구획한다.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은 전면 패널부(12) 및 배면 패널부(13)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케이싱(11) 내부공간에서 상류측 구획판(71)은 배면 패널부(13) 쪽에 배치되며, 하류측 구획판(72)은 전면 패널부(12) 쪽에 배치된다.
상류측 구획판(71)의 좌우방향 폭은 케이싱(11)의 좌우방향 폭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류측 구획판(71)의 우측 단부는 제 1 측면 패널부(14)에 접합된다. 한편, 상류측 구획판(71)의 좌측 단부와 제 2 측면 패널부(15)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된다.
하류측 구획판(72)의 좌우방향 폭은 상류측 구획판(71)의 좌우방향 폭보다 짧게 형성된다. 하류측 구획판(72)의 우측 단부와 제 1 측면 패널부(14)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된다. 또 하류측 구획판(72)의 좌측 단부와 제 2 측면 패널부(15) 사이에도 틈새가 형성된다.
제 1 구획판(74)은, 상류측 구획판(71)과 하류측 구획판(72) 사이의 공간을 오른쪽에서 막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1 구획판(74)은 제 1 측면 패널부(14)와 평행하게, 또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과 직교하는 자세로 배치된다. 제 1 구획판(71)의 전방측 단부는 하류측 구획판(72)의 우측 단부에 접합된다. 제 1 구획판(74)의 후방측 단부는 상류측 구획판(71)에 접합된다.
제 2 구획판(75)은, 상류측 구획판(71)과 하류측 구획판(72) 사이의 공간을 왼쪽에서 막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2 구획판(75)은 제 2 측면 패널부(15)와 평행하게, 또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과 직교하는 자세로 배치된다. 제 2 구획판(75)의 전방측 단부는 하류측 구획판(72)의 좌측 단부에 접합된다. 제 2 구획판(75)의 후방측 단부는 배면 패널부(13)에 접합된다. 또 이 제 2 구획판(75)에는 상류측 구획판(71)의 좌측 단부가 접합된다.
중앙 구획판(73)은,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과 직교하는 자세로 상류측 구획판(71)과 하류측 구획판(72) 사이에 배치된다. 중앙 구획판(73)은 상류측 구획판(71)에서 하류측 구획판(72)에 걸쳐 설치되며, 상류측 구획판(71)과 하류측 구획판(72) 사이의 공간을 좌우로 구획한다. 또 중앙 구획판(73)은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의 좌우 폭방향 중앙보다 제 2 측면패널부(15) 쪽에 약간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케이싱(11) 내에서 상류측 구획판(71)과 배면패널부(13) 사이의 공간은 제 1 수평구획판(68)에 의해 상하 2개 공간으로 구획된다(도 2, 도 4, 도 5 참조). 상하로 구획된 이 공간은 상측 공간이 내기측 통로(32)를 구성하며, 하측 공간이 외기측 통로(34)를 구성한다.
내기측 통로(32)는, 내기흡입구(23)에 접속되는 덕트를 개재하여 실내와 연통된다. 내기측 통로(32)에는 공기로부터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내기측 필터(27)가 설치된다. 내기측 필터(27)는, 긴 변이 좌우 폭방향으로 이어지는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내기측 통로(32)를 횡단하는 자세로 세워 설치된다. 내기측 통로(32)는 이 내기측 필터(27)에 의해 전후로 구획된다. 내기측 통로(32)에서 내기측 필터(27)의 앞쪽(하류측) 부분에는 내기 습도센서(96)가 수납된다. 이 내기 습도센서(96)는 케이싱(11) 천장판에 설치되며, 공기의 상대습도를 계측한다.
외기측 통로(34)는, 외기흡입구(24)에 접속되는 덕트를 개재하여 실외공간과 연통된다. 외기측 통로(34)에는 공기로부터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외기측 필터(28)가 설치된다. 외기측 필터(28)는, 긴 변이 좌우 폭방향으로 이어지는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외기측 통로(34)를 횡단하는 자세로 세워 설치된다. 외기측 통로(34)는, 이 외기측 필터(28)에 의해 전후로 구획된다. 외기측 통로(34)에서 외기측 필터(28)의 앞쪽(하류측) 부분에는 외기 습도센서(97)가 수납된다. 이 외기 습도센서(97)는 케이싱(11) 바닥판에 설치되며, 공기의 상대습도를 계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11) 내의 상류측 구획판(71)과 하류측 구획판(72) 사이의 공간은 중앙 구획판(73)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다. 좌우로 구획된 이 공간은, 중앙 구획판(73)의 우측 공간이 제 1 열교환기실(37)을 구성하며, 중앙 구획판(73)의 좌측 공간이 제 2 열교환기실(38)을 구성한다(도 1, 도 3 참조). 제 1 열교환기실(37) 및 제 2 열교환기실(38)은 본 발명의 조습실을 각각 구성한다.
제 1 열교환기실(37)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가 수납된다. 제 2 열교환기실(38)에는 제 2 흡착열교환기(52)가 수납된다. 각 흡착열교환기(51, 52)는 전체적으로 장방형인 두꺼운 판상 혹은 편평한 직방체형으로 형성된다. 각 흡착열교환기(51, 52)는 공기를 조습하기 위한 조습수단을 구성한다. 흡착열교환기(51, 52)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흡착열교환기(51, 52)는, 그 전면(前面) 및 배면이 상류측 구획판(71) 및 하류측 구획판(72)과 평행인 자세로 열교환기실(37, 38) 내에 세워 설치된다. 즉, 흡착열교환기(51, 52)는 열교환기실(37, 38)을 횡단하는 자세로 설치된다. 각 열교환기실(37, 38)은 흡착열교환기(51, 52)에 의해 전후로 구획된다. 각 열교환기실(37, 38)에서 흡착열교환기(51, 52)는 열교환기실(37, 38)의 전후방향 중앙보다 상류측 구획판(7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또 각 흡착열교환기(51, 52)는 좌우 폭방향으로 대략 일직선으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각 흡착열교환기(51, 52)에는, 액측 분류기(61)와 가스측 헤더(62)가 설치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는, 액측 분류기(61) 및 가스측 헤더(62)를 포함한 전체가 제 1 열교환기실(37)에 수납된다. 한편, 제 2 흡착열교환기(52)는, 모든 핀(57)을 포함한 대부분이 제 2 열교환기실(38)에 수납되기는 하되, 그 일부분이 중앙 구획판(73)을 관통하여 제 1 열교환기실(37)로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는, 이에 부속되는 액측 분류기(61) 및 가스측 헤더(62)가 제 1 열교환기실(37) 내에 위치한다. 또 제 2 흡착열교환기(52)는, 액측 분류기(61) 및 가스측 헤더(62)가 접속되는 단부 쪽에 위치하는 U자형 관부(59)도 제 1 열교환기실(37) 내로 노출된다. 또 제 1 열교환기실(37)에는 냉매회로(50)의 전동팽창밸브(55)가 수납된다.
케이싱(11) 내부공간에서는, 하류측 구획판(72) 전면을 따른 부분이 제 2 수평 구획판(69)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다(도 2, 도 5 참조). 상하로 구획된 이 공간은 상측 공간이 급기측 통로(31)를 구성하며, 하측 공간이 배기측 통로(33)를 구성한다.
상류측 구획판(71)에는 제 1에서 제 4까지의 공기 유통구(41a, 42a, 43a, 44a)가 형성된다(도 5 참조). 각 공기 유통구(41a∼44a)는 대략 가로형인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류측 구획판(71) 중 내기측 통로(32)에 면한 부분(상측부분)에는 중앙구획판(73)보다 오른쪽에 제 1 공기 유통구(41a)가 형성되며, 중앙구획판(73)보다 왼쪽에 제 2 공기 유통구(42a)가 형성된다. 또 상류측 구획판(71) 중 외기측 통로(34)에 면한 부분(하측부분)에는 중앙구획판(73)보다 오른쪽에 제 3 공기 유통구(43a)가 형성되며, 중앙구획판(73)보다 왼쪽에 제 4 공기 유통구(44a)가 형성된다.
제 1 공기 유통구(41a)는 내기측 통로(32)와 제 1 열교환기실(37)을 연통시키며, 제 2 공기 유통구(42a)는 내기측 통로(32)와 제 2 열교환기실(38)을 연통시킨다. 제 3 공기 유통구(43a)는 외기측 통로(34)와 제 1 열교환기실(37)을 연통시키며, 제 4 공기 유통구(44a)는 외기측 통로(34)와 제 2 열교환기실(38)을 연통시킨다.
케이싱(11) 내부공간에는 상류측 구획판(71) 뒷면 쪽에 4개의 개폐식 댐퍼(41, 42, 43, 44)가 설치된다. 각 댐퍼(41∼44)는 제 1에서 제 4까지의 공기 유통구(41a∼44a)를 각각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류측 구획판(41) 뒷면 쪽에는, 제 1 공기 유통구(41a)에 대응하는 제 1 댐퍼(41), 제 2 공기 유통구(42a)에 대응하는 제 2 댐퍼(42), 제 3 공기 유통구(43a)에 대응하는 제 3 댐퍼(43) 및 제 4 공기 유통구(44a)에 대응하는 제 4 댐퍼(44)가 설치된다.
하류측 구획판(72)에는 제 5에서 제 8까지의 공기 유통구(45a, 46a, 47a, 48a)가 형성된다(도 5 참조). 각 공기 유통구(45a∼48a)는 대략 가로형인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류측 구획판(72) 중, 급기측 통로(31)에 면한 부분(상측부분)에는 중앙구획판(73)보다 오른쪽에 제 5 공기 유통구(45a)가 형성되며, 중앙구획판(73)보다 왼쪽에 제 6 공기 유통구(46a)가 형성된다. 또 하류측 구획판(72) 중, 배기측 통로(33)에 면한 부분(하측부분)에는 중앙구획판(73)보다 오른쪽에 제 7 공기 유통구(47a)가 형성되며, 중앙구획판(73)보다 왼쪽에 제 8 공기 유통구(48a)가 형성된다.
제 5 공기 유통구(45a)는 급기측 통로(31)와 제 1 열교환기실(37)을 연통시키며, 제 6 공기 유통구(46a)는 급기측 통로(31)와 제 2 열교환기실(38)을 연통시킨다. 제 7 공기 유통구(47a)는 배기측 통로(33)와 제 1 열교환기실(37)을 연통시키며, 제 8 공기 유통구(48a)는 배기측 통로(33)와 제 2 열교환기실(38)을 연통시킨다.
상기 제 1에서 제 8까지의 댐퍼(41∼48)는 서로 인접하는 댐퍼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댐퍼유닛(100)에 설치되며, 이 댐퍼유닛(100)이 케이싱(11)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댐퍼유닛(10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케이싱(11) 내에서는, 급기측 통로(31) 및 배기측 통로(33)와 전면 패널부(12) 사이의 공간이 구획판(77)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다. 이 좌우로 구획된 공간은 구획판(77)의 우측 공간이 급기팬실(36)을 구성하며, 구획판(77)의 좌측 공간이 배기팬실(35)을 구성한다. 이 구획판(77)은 중앙 구획판(73)보다 더 제 2 측면 패널부(15) 쪽 위치에 세워 설치된다. 급기팬실(36) 및 배기팬실(35)은 모두 케이싱(11)의 바닥판에서 천장판에 걸친 공간이다.
급기팬실(36)에는 급기팬(26)이 수납된다. 또 배기팬실(35)에는 배기팬(25)이 수납된다. 급기팬(26) 및 배기팬(25)은 모두 원심형의 다익 팬(multiblade fan)(이른바, 시로코팬))이다.
구체적으로, 이들 팬(25, 26)은 팬 로터, 팬 케이싱(86) 및 팬 모터(89)를 구비한다. 도시하지 않으나, 팬 로터는 그 축방향 길이가 지름에 비해 짧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주연부에 다수의 날개가 형성된다. 팬 로터는 팬 케이싱(86)에 수납된다. 팬 케이싱(86)에서는 그 측면(팬 로터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측면)의 한쪽에 흡입구(87)가 개구된다. 또 팬 케이싱(86)에는 그 주연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형성되며, 그 부분의 돌출단에 토출구(88)가 개구된다. 팬 모터(89)는 팬 케이싱(86)의 흡입구(87)와 반대쪽 측면에 설치된다. 팬 모터(89)는 팬 로터에 연결되어 팬 로터를 회전 구동시킨다.
급기팬(26) 및 배기팬(25)에서, 팬 로터가 팬 모터(89)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흡입구(87)를 통해 팬 케이싱(86) 내로 공기가 흡입되며, 팬 케이싱(86) 내 공기가 토출구(88)로부터 토출된다.
급기팬실(36)에서 급기팬(26)은, 팬케이싱(86)의 흡입구(87)가 하류측 구획판(72)과 대면하는 자세로 설치된다. 또 이 급기팬(26)의 팬케이싱(86) 토출구(88)는, 급기구(22)로 연통하는 상태로 제 1 측면패널부(14)에 설치된다.
배기팬실(35)에서, 배기팬(25)은 팬케이싱(86) 흡입구(87)가 하류측 구획판(72)과 대면하는 자세로 설치된다. 또 이 배기팬(25)의 팬케이싱(86) 토출구(88)는, 배기구(21)로 연통하는 상태로 제 2 측면패널부(15)에 설치된다.
급기팬실(36)에는 냉매회로(50)의 압축기와 사방밸브(54)가 수납된다. 압축기(53) 및 사방밸브(54)는, 급기팬실(36)에서 급기팬(26)과 구획판(77) 사이에 배치된다.
사방밸브(54)에는 각 흡착열교환기(51, 52)의 가스측 헤더(62)로부터 이어지는 연결배관(65)이 접속된다. 이 연결배관(65)은 하류측 구획판(72)을 관통한다. 구체적으로, 하류측 구획판(72)에서는 급기측 통로(31)에 임한 부분(상측부분) 중, 중앙 구획판(73)의 우측 부분(즉, 제 1 열교환기실(37)에 임한 부분)을 연결배관(65)이 관통한다. 여기서 각 흡착열교환기(51, 52)의 액측 분류기(61)는, 한쪽이 전동팽창밸브(55) 일단에 접속되며 다른 쪽이 전동팽창밸브(55) 타단에 접속된다.
케이싱(11) 내에서, 제 1 구획판(74)과 제 1 측면패널부(14) 사이의 공간은 제 1 바이패스통로(81)를 구성한다(도 2, 도 3 참조). 또 케이싱(11) 내에서, 제 2 구획판(75)과 제 2 측면패널부(15) 사이의 공간은 제 2 바이패스통로(82)를 구성한다(도 3, 도 4 참조). 제 1 바이패스통로(81) 및 제 2 바이패스통로(82)는 케이싱(11)의 바닥판에서 천장판에 걸친 공간이다.
제 1 바이패스통로(81)의 시작단(배면패널부(13)측 단부)은 외기측 통로(34)로만 연통되며, 내기측 통로(32)로부터 차단된다. 이 제 1 바이패스통로(81)는, 외기측 통로(34)의 외기측 필터(28) 하류측 부분과 연통된다. 제 1 바이패스통로(81)의 종료단(전면패널부(12)측 단부)에는 바이패스측 제 1 구획판(78a) 및 바이패스측 제 2 구획판(78b)이 형성된다.
바이패스측 제 1 구획판(78a)은 제 1 바이패스통로(81)를 급기측 통로(31) 및 배기측 통로(33)로부터 차단한다. 바이패스측 제 1 구획판(78a)은 케이싱(11)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구성된다. 바이패스측 제 2 구획판(78b)은 제 1 바이패스통로(81)를 급기팬실(36)로부터 차단한다. 바이패스측 제 2 구획판(78b)에는 제 1 바이패스용 댐퍼(83)가 설치된다. 제 1 바이패스용 댐퍼(38)를 개폐하면, 제 1 바이패스통로(81)와 급기팬실(36) 사이가 개폐된다.
제 2 바이패스통로(82)의 시작단(배면패널부(13)측 단부)은 내기측 통로(32)로만 연통되며, 외기측 통로(34)로부터 차단된다. 이 제 2 바이패스통로(82)는, 제 2 구획판(75)에 형성된 연통구(76)를 개재하여 내기측 통로(32)의 내기측 필터(27) 하류측 부분과 연통된다. 제 2 바이패스통로(82)의 종료단(전면패널부(12)측 단부)은, 구획판(79)에 의해 급기측 통로(31), 배기측 통로(33) 및 배기팬실(35)로부터 구획된다. 구획판(79) 중, 배기팬실(35)에 임한 부분에는 제 2 바이패스용 댐퍼(84)가 설치된다. 제 2 바이패스용 댐퍼(84)는 대략 세로형인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제 2 바이패스용 댐퍼(84)를 개폐하면, 제 2 바이패스통로(82)와 배기팬실(35) 사이가 개폐된다.
여기서, 도 5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에서는 제 1 바이패스통로(81), 제 2 바이패스통로(82), 제 1 바이패스용 댐퍼(83) 및 제 2 바이패스용 댐퍼(84)의 도시를 생략한다.
케이싱(11)의 제 1 측면패널부(14)에서는, 내기측 통로(32) 및 외기측 통로(34)에 면한 부분이 제 1 개폐패널(17)로 구성된다. 또 이 제 1 측면패널부(14)에서는, 제 1 바이패스통로(81)에 임한 부분이 제 2 개폐패널(16)로 구성된다. 제 1 개폐패널(17) 및 제 2 개폐패널(16)은 케이싱(11)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구성된다.
케이싱(11)의 전면패널부(12)에는 그 우측 부분에 전장품 상자(90)가 설치된다. 여기서, 도 2 및 도 5에서 전장품 상자(90)는 생략된다. 전장품 상자(90)는 직방체 형상의 상자이며, 그 내부에 제어용 기판(91)과 전원용 기판(92)이 수납된다. 제어용 기판(91) 및 전원용 기판(92)은 전장품 상자(90)의 측판 중 전면패널부(12)에 인접하는 부분(즉, 배면판)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전원용기판(92)의 인버터부에는 방열 핀(93)이 설치된다. 이 방열 핀(93)은 전원용 기판(92) 배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전장품 상자(90) 배면판과 케이싱(11) 전면패널부(12)를 관통하여 급기팬실(36)로 노출된다(도 3 및 도 4 참조).
케이싱(11) 내에서, 압축기(53), 팬(25, 26), 댐퍼(41∼48), 습도센서(96, 97) 등에 접속되는 리드선은, 전장품 상자(90) 내부로 이어진다. 그 중, 상류측 구획판(71)에 설치된 댐퍼(41∼44)의 구동모터에 접속되는 리드선이나, 습도센서(96, 97)에 접속되는 리드선은 제 1 바이패스통로(81)를 통과하여 전장품 상자(90)로 이어진다.
<냉매회로의 구성>
상기 냉매회로(50)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냉매회로(50)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 제 2 흡착열교환기(52), 압축기(53), 사방밸브(54) 및 전동팽창밸브(55)가 배치된 폐회로이다. 이 냉매회로(50)는 충전된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증기압축 냉동사이클을 수행한다.
상기 냉매회로(50)에서 압축기(53)는, 그 토출측이 사방밸브(54)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사방밸브(54)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 일단은 사방밸브(54)의 제 3 포트에 접속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 타단은 전동팽창밸브(55)를 개재하여 제 2 흡착열교환기(52) 일단에 접속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 타단은 사방밸브(54) 제 4 포트에 접속된다.
상기 사방밸브(54)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하는 제 1 상태(도 6(A)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하는 제 2 상태(도 6(B)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흡착열교환기(5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2)는 모두 크로스핀식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이들 흡착열교환기(51, 52)는 동제 전열관(58)과 알루미늄제 핀(57)을 구비한다. 흡착열교환기(51, 52)에 설치된 복수의 핀(57)은, 각각이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나열된다. 또 전열관(58)은, 핀(57) 배열방향으로 사행(蛇行)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이 전열관(58)에서는, 각 핀(57)을 관통하는 직관부와, 서로 인접한 직관부들을 접속하는 U자형 관부(59)가 교대로 형성된다.
상기 각 흡착열교환기(51, 52)는, 각 핀(57) 표면에 흡착제가 부착되어 유지되며, 핀(57)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핀(57)에 부착 유지되어 있는 흡착제와 접촉한다. 이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유기고분자 재료 등, 공기 중의 수증기를 흡착할 수 있는 것이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는, 냉매회로(50)가 열매체 회로를 구성한다. 이 냉매회로(50)에서는, 2개의 흡착열교환기(51, 52) 중,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쪽에 고압의 가스냉매가 가열용 열매체 유체로서 공급되며,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쪽에 저압의 기액2상 냉매가 냉각용 열매체 유체로서 공급된다.
<댐퍼유닛의 상세 구조>
조습장치(10)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1조의 댐퍼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댐퍼유닛(10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류측 구획판(71) 쪽에서는, 좌우로 서로 인접한 제 1 댐퍼(41)와 제 2 댐퍼(42)가 하나의 댐퍼유닛(100)을 구성하며, 좌우로 서로 인접한 제 3 댐퍼(43)와 제 4 댐퍼(44)가 하나의 댐퍼유닛(100)을 구성한다. 또 하류측 구획판(72) 쪽에서는, 좌우로 서로 인접한 제 5 댐퍼(45)와 제 6 댐퍼(46)가 하나의 댐퍼유닛(100)을 구성하며, 좌우로 서로 인접한 제 7 댐퍼(47)와 제 8 댐퍼(48)가 하나의 댐퍼유닛(100)을 구성한다. 각 댐퍼유닛(100)은 제 1 측면패널부(14) 쪽(제 2 개폐패널(16) 쪽)으로부터 케이싱(11)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들 댐퍼유닛(10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도 8∼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상류측 구획판(71) 쪽 각 댐퍼유닛(100, 100)과 하류측 구획판(72) 쪽 각 댐퍼유닛(100, 100)은 기본적인 구성이 같다. 그래서 이하에는 상류측 구획판(71) 쪽 댐퍼유닛(100)의 상세함을 주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유닛(100)에서 서로 인접하는 1조의 댐퍼(41, 42, 43, 44)는, 각각 프레임부(111, 112)와 댐퍼 본체부(120)를 구비한다. 각 프레임부(111, 112)는 가로형의 장방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프레임부(111, 112)에는 가로형의 장방형상인 댐퍼측 개구(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프레임부(111, 112)에는 댐퍼측 개구(113)를 피복하도록 댐퍼 본체부(120)가 설치된다.
각 댐퍼유닛(100)에서는, 제 1 측면패널부(14)에서 가까운 쪽 프레임부가 앞쪽 프레임부(111)를 구성하며, 제 1 측면패널부(14)에서 먼 쪽 프레임부가 안쪽 프레임부(112)를 구성한다. 앞쪽 프레임부(111)의 길이방향 치수는, 안쪽 프레임부(112)의 길이방향 치수보다 크다. 또 앞쪽 프레임부(111)에서는, 그 길이방향 중간위치보다 약간 왼쪽(제 2 측면패널부(14) 쪽 부근)에 개구(113) 및 댐퍼 본체부(120)가 위치한다. 각 댐퍼유닛(100)에서는, 댐퍼 본체부(120) 및 개구(113)가, 대응하는 각 공기 유통구(41a∼48a)와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댐퍼 본체부(120)는 한 쌍의 지지판(121, 121)과, 2장의 셔터(122, 122)와 모터(123)를 갖는다. 지지판(12, 121)은 댐퍼측 개구(113)의 좌우 양끝을 따르도록 프레임부(111, 112)에 세워 설치된다. 지지판(121, 121)은, 프레임부(111, 112)에 지지되는 단부측 폭이 선단측 폭보다 긴 거의 사다리꼴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2장의 셔터(122, 122)는 한 쌍의 지지판(121, 121) 사이에 설치된다. 각 셔터(122, 122)는 가로형의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 셔터(122, 122)는 서로 평행인 자세를 취하면서 그 길이방향 양끝이 각 지지판(121, 121)에 선회(旋回)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댐퍼 본체부(120)는, 상기 한 쌍의 지지판(121, 121)의 상단부끼리 및 하단부끼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이어지는 한 쌍의 보강부재를 갖는다.
모터(123)는 2개의 지지판(121) 중 한쪽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앞쪽 프레임부(111)에서는 제 1 측면패널부(14)에서 가까운 쪽 지지판(121)에 모터(123)가 설치되며, 안쪽 프레임부(112)에서는 제 1 측면패널부(14)에서 먼 쪽 지지판(121)에 모터(123)가 설치된다. 모터(123)는 통전상태에 따라 2장의 셔터(122, 122)의 선회위치를 변화시킨다. 이와 같은 셔터(122, 122)의 선회동작에 의해 개구(113), 즉 공기 유통구(41a∼48a)가 개폐된다.
상류측 구획판(71)에는 4개의 레일부재(141, 142, 143, 144)가 설치된다. 각 레일부재(141∼144)는 댐퍼유닛(100)을 케이싱(11) 외부로의 인출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를 구성한다. 각 레일부재(141∼144)는 서로 평행한 자세로 상류측 구획판(71)을 따르도록 이어진다. 즉 각 레일부재(141∼144)는 댐퍼유닛(100) 인출방향으로 이어진다. 각 레일부재(141∼144)는 길이가 긴 판금을 여러 번 절곡하듯이 형성되며, 그 종단면 형상이 길이방향에 걸쳐 동일형상이 된다.
상류측 구획판(71)에는, 내기측 통로(32)에 면한 부위의 제 1, 제 2 댐퍼(41, 42) 위쪽에 제 1 레일부재(141)가 설치되며, 제 1, 제 2 댐퍼(41, 42) 아래쪽에 제 2 레일부재(142)가 설치된다. 또 상류측 구획판(71)에는, 외기측 통로(34)에 면한 부위의 제 3, 제 4 댐퍼(43, 44) 위쪽에 제 3 레일부재(143)가 설치되며, 제 3, 제 4 댐퍼(43, 44) 아래쪽에 제 4 레일부재(144)가 설치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레일부재(141)는 측판부(141a)와 가이드판부(141c)가 일체적으로 연속되어 구성된다. 제 1 레일부재(141)에서는 측판부(141a)가 상류측 구획판(71)에 맞닿은 상태로 고정된다. 제 1 레일부재(141)의 가이드판부(141c)는 종단면이 하방으로 굴곡된 "L"자형으로 형성된다. 제 2 레일부재(142)는 측판부(142a)와 가이드판부(142c)가 일체적으로 연속되어 구성된다. 제 2 레일부재(142)에서는 측판부(142a)가 상류측 구획판(71)에 맞닿은 상태로 고정된다. 제 2 레일부재(142)의 가이드판부(142c)는 종단면이 상방으로 굴곡되는 "L"자형으로 형성된다.
제 3 레일부재(143)는 종단면이 하방으로 굴곡된 가이드판부(143c)를 구성한다. 제 3 레일부재(143) 상면은 제 1 수평구획판(68) 하면에 맞닿은 상태로 고정된다.
제 4 레일부재(144)는 측판부(44a)와 가이드판부(144c)가 일체적으로 연속되어 구성된다. 제 4 레일부재(144)에서는 측판부(144a)가 상류측 구획판(71)에 맞닿은 상태로 고정된다. 제 4 레일부재(144)의 가이드판부(144c)는 종단면이 상방으로 굴곡된 "L"자형으로 형성된다.
각 레일부재(141∼144)에는 각 가이드판부(141c∼144c)와 상류측 구획판(71) 사이에 길이방향 양끝에 걸쳐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제 1, 제 2 댐퍼(41, 42)의 프레임부(111, 112)는 상단부가 제 1 레일부재(141)의 가이드 홈에 끼워지며, 하단부가 제 2 레일부재(142)의 가이드 홈에 끼워진다. 또 제 3, 제 4 댐퍼(43, 44)의 프레임부(111, 112)는 상단부가 제 3 레일부재(143)의 가이드 홈에 끼워지며, 하단부가 제 4 레일부재(142)의 가이드 홈에 끼워진다.
각 댐퍼유닛(100)에는 서로 인접하는 댐퍼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구(150, 160)가 설치된다. 이 연결기구는 L자판(150)과 걸림판(160)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댐퍼유닛(100)에서는 앞쪽 프레임부(111)의 연결측 단부에 L자판(150)이 배치되며, 안쪽 프레임부(112)의 연결측 단부에 걸림판(160)이 배치된다.
L자판(150) 및 걸림판(160)은 각 프레임부(111, 122)의 연결측 단부를 따르도록 상하로 이어진다. 즉, L자판(150) 및 걸림판(160)은 상기 레일부재(141∼144)와 직교하며 또 제 1 측면패널부(14)와 평행하게 구성된다. L자판(150) 및 걸림판(160)은 판금을 여러 번 절곡하듯이 형성되며, 그 횡단면 형상이 길이방향에 걸쳐 동일형상으로 형성된다.
L자판(150)은, 앞쪽 프레임부(111) 뒷면에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는 기판부(151)와, 이 기판부(151)에 세워 형성되는 판상 돌기부(152)를 갖는다. 판상 돌기부(152)는 기판부(151)와 직교하도록 배면패널부(13) 쪽으로 돌출된다.
걸림판(160)은 안쪽 프레임부(112) 뒷면에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는 기판부(161)와, 이 기판부(161)에 세워 형성되는 판상 걸림부(162)를 갖는다. 판상 걸림부(162)는 기판부(161)와 직교하도록 배면패널부(13) 쪽으로 돌출하는 돌출판부(162a)와, 돌출판부(162a) 선단부와 연속되며 상류측 구획판(71) 쪽으로 절곡된 곡판부(162b)로 구성된다. 즉, 판상 걸림부(162)는 그 돌출판부(162a)와 곡판부(162b) 사이에 판상 돌기부(15)를 내포하도록 굴곡된다.
이 연결기구(150, 160)는 서로 인접하는 댐퍼를 분리 자유롭게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 1 댐퍼유닛(100)에서는 앞쪽 프레임부(111)의 판상 돌기부(150)와, 안쪽 프레임부(112)의 판상 걸림부(162)가 한 쌍의 연결부를 이루며, 양자가 연결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댐퍼(41, 42)가 연결된다. 이 연결상태에서 판상 돌기부(152)와 판상 걸림부(162)는 인출방향으로의 연결해제가 금지된다. 한편, 이 연결상태에서 판상 돌기부(152)와 판상 걸림부(162)는 각 댐퍼(41, 42)의 인출방향과 다른 방향으로의 연결해제가 허용된다. 각 댐퍼유닛(100)에서는, 이 인출작업 시에 판상 돌기부(152)와 판상 걸림부(162)의 연결을 해제시킴으로써,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댐퍼유닛(100) 인출작업(유지보수 작업)의 상세함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 각 댐퍼유닛(100)에서는, 연결상태의 앞쪽 프레임부(111)와 안쪽 프레임부(112) 사이에 매우 작은 틈새가 형성된다. 각 댐퍼유닛(100)에서는 이 연결부의 틈새가 상류측 구획판(71)에 임하도록 위치한다(도 11 참조). 이로써 열교환기실(37, 38)과, 내기측 통로(32)나 외기측 통로(34) 사이에서의 공기 누설이 억제된다. 또 앞쪽 프레임부(111)와 안쪽 프레임부(112) 사이에는 틈새를 메우기 위한 실 부재(170)가 배치된다. 이 실 부재(170)는 앞쪽 프레임부(111)와 안쪽 프레임부(112)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끝면에 고정된다. 이 실 부재(170)에 의해, 열교환기실(37, 38)과 내기측 통로(32)나 외기측 통로(34) 사이에서의 공기 누설이 방지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제습환기운전, 가습환기운전 및 단순환기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한다. 제습환기운전 중이나 가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는, 도입한 실외공기(OA)의 습도를 조절한 후 공급공기(SA)로서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도입한 실내공기(RA)를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한다. 한편, 단순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는, 도입한 실외공기(OA)를 그대로 공급공기(SA)로서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도입한 실내공기(RA)를 그대로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한다.
<제습환기운전>
제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소정의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된다. 이 제습환기운전 중에 있어서 제 1 바이패스용 댐퍼(83) 및 제 2 바이패스용 댐퍼(84)는 항상 폐쇄상태가 된다.
제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 급기팬(26)을 운전하면 실외공기가 외기흡입구(24)로부터 케이싱(11) 내로 제 1 공기로서 도입된다. 또 배기팬(25)을 운전하면 실내공기가 내기흡입구(23)로부터 케이싱(11) 내로 제 2 공기로서 도입된다.
먼저 제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동작 중에는, 제 1 댐퍼(41), 제 4 댐퍼(44), 제 6 댐퍼(46) 및 제 7 댐퍼(47)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2 댐퍼(42), 제 3 댐퍼(43), 제 5 댐퍼(45) 및 제 8 댐퍼(48)가 폐쇄상태가 된다.
이 제 1 동작 중의 냉매회로(50)에서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방밸브(54)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의 냉매회로(50)에서는 냉매가 순환하여 냉동사이클이 이루어진다. 이때, 냉매회로(50)에서는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제 1 흡착열교환기(51), 전동팽창밸브(55), 제 2 흡착열교환기(52)의 순으로 통과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1)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52)가 증발기가 된다.
외기측 통로(34)로 유입하여 외기측 필터(28)를 통과한 제 1 공기는 제 4 공기유통구(44a)를 지나 제 2 열교환기실(38)로 유입하며, 그 후 제 2 흡착열교환기(52)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6 공기 유통구(46a)를 지나 급기측 통로(31)로 유입하며, 급기팬실(36)을 통과한 후에 급기구(22)를 지나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내기측 통로(32)로 유입하여 내기측 필터(27)를 통과한 제 2 공기는 제 1 공기유통구(41a)를 지나 제 1 열교환기실(37)로 유입하며, 그 후 제 1 흡착열교환기(51)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며, 이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수분이 부여된 제 2 공기는 제 7 공기유통구(47a)를 지나 배기측 통로(33)로 유입하며, 배기팬실(35)을 통과한 후에 배기구(21)를 지나 실외로 배출된다.
다음에, 제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동작 중에는, 제 2 댐퍼(42), 제 3 댐퍼(43), 제 5 댐퍼(45) 및 제 8 댐퍼(48)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1 댐퍼(41), 제 4 댐퍼(44), 제 6 댐퍼(46) 및 제 7 댐퍼(47)가 폐쇄상태가 된다.
이 제 2 동작 중의 냉매회로(50)에서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방밸브(54)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의 냉매회로(50)에서는 냉매가 순환하여 냉동사이클이 이루어진다. 이때, 냉매회로(50)에서는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제 2 흡착열교환기(52), 전동팽창밸브(55), 제 1 흡착열교환기(51)의 순으로 통과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1)가 증발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52)가 응축기가 된다.
외기측 통로(34)로 유입하여 외기측 필터(28)를 통과한 제 1 공기는 제 3 공기유통구(43a)를 지나 제 1 열교환기실(37)로 유입하며, 그 후 제 1 흡착열교환기(51)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5 공기유통구(45a)를 지나 급기측 통로(31)로 유입하며, 급기팬실(36)을 통과한 후에 급기구(22)를 지나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내기측 통로(32)로 유입하여 내기측 필터(27)를 통과한 제 2 공기는 제 2 공기유통구(42a)를 지나 제 2 열교환기실(38)로 유입하며, 그 후 제 2 흡착열교환기(52)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며, 이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수분이 부여된 제 2 공기는 제 8 공기유통구(48a)를 지나 배기측 통로(33)로 유입하며, 배기팬실(35)을 통과한 후에 배기구(21)를 지나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환기운전>
가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소정의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된다. 이 가습환기운전 중에 제 1 바이패스용 댐퍼(83) 및 제 2 바이패스용 댐퍼(84)는 항상 폐쇄상태가 된다.
가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 급기팬(26)을 운전하면 실외공기가 외기흡입구(24)로부터 케이싱(11) 내로 제 2 공기로서 도입된다. 또 배기팬(25)을 운전하면 실내공기가 내기흡입구(23)로부터 케이싱(11) 내로 제 1 공기로서 도입된다.
먼저 가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동작 중에는, 제 2 댐퍼(42), 제 3 댐퍼(43), 제 5 댐퍼(45) 및 제 8 댐퍼(48)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1 댐퍼(41), 제 4 댐퍼(44), 제 6 댐퍼(46) 및 제 7 댐퍼(47)가 폐쇄상태가 된다.
이 제 1 동작 중의 냉매회로(50)에서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방밸브(54)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이 냉매회로(50)에서는, 제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 중과 마찬가지로, 제 1 흡착열교환기(51)가 응축기가 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52)가 증발기가 된다.
내기측 통로(32)로 유입하여 내기측 필터(27)를 통과한 제 1 공기는 제 2 공기유통구(42a)를 지나 제 2 열교환기실(38)로 유입하며, 그 후 제 2 흡착열교환기(52)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수분을 빼앗긴 제 1 공기는 제 8 공기유통구(48a)를 지나 배기측 통로(33)로 유입하며, 배기팬실(35)을 통과한 후에 배기구(21)를 지나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외기측 통로(34)로 유입하여 외기측 필터(28)를 통과한 제 2 공기는 제 3 공기유통구(43a)를 지나 제 1 열교환기실(37)로 유입하며, 그 후 제 1 흡착열교환기(51)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며, 이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가습된 제 2 공기는 제 5 공기유통구(45a)를 지나 급기측 통로(31)로 유입하며, 급기팬실(36)을 통과한 후에 급기구(21)를 지나 실내로 공급된다.
다음에, 가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동작 중에는, 제 1 댐퍼(41), 제 4 댐퍼(44), 제 6 댐퍼(46) 및 제 7 댐퍼(47)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2 댐퍼(42), 제 3 댐퍼(43), 제 5 댐퍼(45) 및 제 8 댐퍼(48)가 폐쇄상태가 된다.
이 제 2 동작 중의 냉매회로(50)에서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방밸브(54)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이 냉매회로(50)에서는, 제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 중과 마찬가지로, 제 1 흡착열교환기(51)가 증발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52)가 응축기가 된다.
내기측 통로(32)로 유입하여 내기측 필터(27)를 통과한 제 1 공기는 제 1 공기유통구(41a)를 지나 제 1 열교환기실(37)로 유입하며, 그 후 제 1 흡착열교환기(51)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이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수분을 빼앗긴 제 1 공기는 제 7 공기유통구(47a)를 지나 배기측 통로(33)로 유입하며, 배기팬실(35)을 통과한 후에 배기구(21)를 지나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외기측 통로(34)로 유입하여 외기측 필터(28)를 통과한 제 2 공기는 제 4 공기유통구(44a)를 지나 제 2 열교환기실(38)로 유입하며, 그 후 제 2 흡착열교환기(52)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며, 이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가습된 제 2 공기는 제 6 공기유통구(46a)를 지나 급기측 유로(31)로 유입하며, 급기팬실(36)을 통과한 후에 급기구(22)를 지나 실내로 공급된다.
<단순환기운전>
단순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 동작에 대하여,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단순환기운전은, 실외공기를 그대로 실내로 공급해도 실내 쾌적성이 손상되지 않는 시기(예를 들어, 봄이나 가을 등 중간기)에 실행된다. 즉, 이 단순환기운전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필요는 없지만 실내를 환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실행된다.
이 단순환기운전에서는, 제 1 바이패스용 댐퍼(83) 및 제 2 바이패스용 댐퍼(84)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1∼제 8까지의 댐퍼(41∼48)가 모두 폐쇄상태가 된다. 또 단순환기운전 중에 있어서, 냉매회로(50)의 압축기(53)는 정지상태가 된다. 즉, 단순환기운전 중에는 냉매회로(50)에서 냉동사이클이 수행되지 않는다.
단순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 급기팬(26)을 운전하면 실외공기가 외기흡입구(24)로부터 케이싱(11) 내로 도입된다. 외기흡입구(24)를 지나 외기측 통로(34)로 유입한 실외공기는 외기측 필터(28)를 통과한 후에 제 1 바이패스통로(81)로 유입하고, 제 1 바이패스용 댐퍼(83)를 지나 급기팬실(36)로 유입한다. 급기팬실(36)로 유입한 실외공기는 급기팬(26)으로 흡입되며, 급기구(22)를 지나 실내로 공급된다.
또 단순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 배기팬(25)을 운전하면 실내공기가 내기흡입구(23)로부터 케이싱(11) 내로 도입된다. 내기흡입구(23)를 지나 내기측 통로(32)로 유입한 실내공기는 내기측 필터(27)를 통과한 후에 제 2 바이패스통로(82)로 유입하고, 제 2 바이패스용 댐퍼(84)를 지나 배기팬실(35)로 유입한다. 배기팬실(35)로 유입한 실내공기는 배기팬(25)으로 흡입되며, 배기구(21)를 지나 실외로 배출된다.
<댐퍼의 분리/설치 작업>
다음에, 전술한 제 1에서 제 8까지의 댐퍼(41∼48)의 분리/설치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조습장치(10)에서는 케이싱(10) 외부로의 분리작업과, 케이싱(1) 내로의 설치작업이 4개의 댐퍼유닛(100)별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류측 구획판(71) 쪽 댐퍼유닛(100)을 케이싱(11) 외부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먼저 도 1에 나타낸 제 1 개폐패널(17)을 케이싱(11)으로부터 분리시켜 도 2에 나타낸 상태로 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내기측 통로(32) 댐퍼유닛(100)의 인출작업을 할 경우, 작업자는 제 1 댐퍼(41)의 앞쪽 프레임부(111)를 제 1 측면패널부(14) 쪽으로 끌어낸다.
여기서, 앞쪽 프레임부(111)와 안쪽 프레임부(112)는 L자판(150) 및 걸림판(160)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도 11 참조). 즉 판상 돌기부(152)에 판상 걸림부(162)가 걸림으로써, 제 1 댐퍼(41)와 제 2 댐퍼(42)는 일체적인 댐퍼유닛(100)을 구성한다. 이로써, 제 1 댐퍼(41)를 끌어내면, 이에 따라 제 2 댐퍼(42)도 동시에 끌어내어진다. 이때, 판상 돌기부(152)와 판상 걸림부(162)는 인출방향에서의 결합 해제가 금지되어 있으므로, 판상 돌기부(152)가 판상 걸림부(162)로부터 빠져 버리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댐퍼유닛(100)을 인출시킴으로써, 제 1 댐퍼(41) 및 제 2 댐퍼(42)는 제 1 레일부재(141) 및 제 2 레일부재(142)의 가이드 홈에 안내되면서 제 1 측면패널부(14) 쪽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먼저 제 1 댐퍼(41)가 케이싱(11) 외부로 인출된다(도 17 참조).
도 17의 제 1 댐퍼(41)는 제 1, 제 2 레일부재(141, 142)의 안내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때문에 케이싱(11) 외부에서, 제 1 댐퍼(41)를 제 2 댐퍼(42)에 대해 전면패널부(12) 쪽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판상 돌기부(152)와 판상 걸림부(162)의 연결이 해제된다. 그 결과, 댐퍼유닛(100)에서는 제 1 댐퍼(41)와 제 2 댐퍼(42)가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된다(도 18 참조).
제 1 댐퍼(41)를 분리시킨 후, 제 2 댐퍼(42)를 더욱 끌어낸다. 그 결과, 제 2 댐퍼(42)는 제 1, 제 2 레일부재(141, 142)에 안내되면서 케이싱(11) 외부로 인출된다(도 19 참조).
한편, 댐퍼유닛(100)을 케이싱(11) 내에 설치하는 작업을 할 경우, 상기의 분리동작과 반대 순서의 동작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제 2 댐퍼(42)를 제 1, 제 2 레일부재(141, 142)에 끼우고(도 18 참조), 케이싱(11) 안쪽으로 밀어 넣는다. 다음에, 제 2 댐퍼(42)의 걸림판(160)에 제 1 댐퍼(41)의 L자판(150)을 걸어 연결시키고(도 17 참조), 제 1 댐퍼(41)를 제 1, 제 2 레일부재(141, 142)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제 1 댐퍼(41)를 제 2 댐퍼(42)와 함께 케이싱(11) 안쪽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댐퍼유닛(100)이 케이싱(11) 내 원래 위치에 설치된다(도 8 참조).
이와 같이 조습장치(10)에서는 각 댐퍼유닛(100)의 설치/분리 작업 시에 각 댐퍼(41∼48)가 적절하게 분할된다. 이로써 각 댐퍼(41∼48)의 분리/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작아진다. 여기서, 상기 작업 예에서는 상류측 구획판(71) 쪽 제 1 댐퍼(41) 및 제 2 댐퍼(42)에 대해서만 예를 들었으나, 다른 댐퍼(43∼48)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분리/설치 작업이 수행된다.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각 댐퍼(41∼48)를 분리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부재(152, 162)를 댐퍼유닛(100)에 설치했다. 이로써,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를 연결부재(152, 162)로 연결하면서 함께 인출 혹은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각 댐퍼의 분리/설치를 개별로 하는 경우에 비해, 각 댐퍼(41∼48)의 유지보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댐퍼유닛(100)의 인출작업을 하면서 앞쪽 댐퍼(41, 43, 45, 47)를 분리함으로써, 각 댐퍼(41∼48)의 분리/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작아진다. 따라서 조습장치(10)의 설치위치가 제한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조습장치(10)를 천장 뒤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각 댐퍼(41∼48)의 유지보수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댐퍼(41∼48)를 안내하는 레일부재(141∼44)를 설치하도록 하므로, 각 댐퍼(41∼48)의 분리/설치 작업이 더욱 용이해지며,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의 한쪽에 판상 돌기부(152)를 배치하며, 다른 쪽에 판상 걸림부(162)를 배치하도록 하므로, 댐퍼유닛(100)의 인출작업 시에, 판상 걸림부(162)를 판상 돌기부(152)에 걸리게 함으로써 각 댐퍼(41∼48)를 확실하게 함께 인출시킬 수 있다. 또 판상 돌기부(152)에 대해 판상 걸림부(162)를 인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판상 돌기부(152)를 판상 걸림부(16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댐퍼(41∼48)의 분리작업이 용이해져며, 작업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댐퍼(41∼48)의 배열방향으로 댐퍼유닛(100)을 인출하도록 했으나, 각 댐퍼(41∼48)를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 댐퍼(41∼48)의 인출공간 길이나 설치공간 길이를 효과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또 각 댐퍼유닛(100)을 동일측(제 1 측면패널부(14) 쪽)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하므로, 케이싱(11) 외부의 동일측에 각 댐퍼(41∼48)의 유지보수용 공간을 집약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댐퍼(41∼48)의 유지보수용 공간을 한층 작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흡착열교환기(51, 52)로 구성된 조습수단에 의해 공기를 조습했다. 그러나 조습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판에 흡착제가 부착되어 유지되는 흡착 로터나,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현열 및 잠열을 교환하는 전열(全熱) 교환기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냉매회로(50)에서는, 냉동사이클의 고압이 냉매 임계압력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되는 초임계사이클을 실행해도 된다. 그 경우, 제 1 흡착열교환기(5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2)는 그 한쪽이 가스쿨러로서 동작하며, 다른 쪽이 증발기로서 동작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 대해 냉수나 온수를 공급함으로써, 흡착제의 가열이나 냉각을 실행해도 된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댐퍼를 갖는 조습장치에 대해 유용하다.
10 : 조습장치 11 : 케이싱
41∼48 : 댐퍼 41a∼48a : 공기 유통구
100 : 댐퍼유닛 141∼144 : 레일부재
152 : 판상 돌기부(연결기구, 연결부)
162 : 판상 걸림부(연결기구, 연결부)
170 : 실 부재

Claims (8)

  1. 공기가 도입되는 케이싱(11)과, 이 케이싱(11) 내에 구획되며 공기를 조습하기 위한 조습수단(51, 52)이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조습실(37, 38)과, 각 조습실(37, 38)과 연통되며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복수의 공기유통구(41a∼48a)를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댐퍼(41∼48)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댐퍼(41∼48) 중 서로 인접하는 댐퍼가, 일체적인 하나의 댐퍼유닛(100)으로서 상기 케이싱(11)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유닛(100)에는,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를 분리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기구(152, 16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내에는, 상기 댐퍼유닛(100)의 인출방향으로 이어지며 이 댐퍼유닛(100)을 안내하는 레일부재(141∼14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의 연결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각 댐퍼(41∼48)를 연결하도록 서로 걸어 맞출 수 있는 한 쌍의 연결부(152, 162)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부(152, 162)는, 댐퍼유닛(100)의 인출방향에서의 연결 해제가 금지되는 한편, 이 인출방향과 다른 방향에서의 연결 해제가 허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 중, 한쪽 댐퍼(41∼48)의 연결측 단부에 설치되며 인출방향과 직교하도록 돌출되는 판상 돌기부(152)와, 다른 쪽 댐퍼(41∼48)의 연결측 단부에 설치되며 이 판상 돌기부(152)의 선단부를 내포하도록 굴곡되는 판상 걸림부(16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5.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내에는, 각 조습실(37, 38)과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공기 유통구(41a∼48a)가 형성되는 구획판(71, 72)이 설치되며,
    상기 댐퍼유닛(100)은,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의 연결부 틈새가 상기 구획판(71, 72)에 임한 위치가 되도록 케이싱(11)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6. 청구항 1 내지 5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유닛(100)은,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의 배열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7. 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내에는, 각각의 댐퍼(41∼48) 배열방향이 서로 동일방향이 되도록 복수의 댐퍼유닛(100)이 병설(竝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8. 청구항 1 내지 7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유닛(100)에는, 상기 서로 인접하는 댐퍼(41∼48)의 연결부 틈새를 메우기 위한 실 부재(17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KR1020107002740A 2007-08-28 2008-08-18 조습장치 KR101084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21091 2007-08-28
JP2007221091A JP4301330B2 (ja) 2007-08-28 2007-08-28 調湿装置
PCT/JP2008/002227 WO2009028148A1 (ja) 2007-08-28 2008-08-18 調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633A true KR20100031633A (ko) 2010-03-23
KR101084486B1 KR101084486B1 (ko) 2011-11-21

Family

ID=4038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740A KR101084486B1 (ko) 2007-08-28 2008-08-18 조습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27169B2 (ko)
EP (1) EP2192355A4 (ko)
JP (1) JP4301330B2 (ko)
KR (1) KR101084486B1 (ko)
CN (1) CN101790666B (ko)
AU (1) AU2008293037B2 (ko)
WO (1) WO2009028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2565B2 (ja) * 2011-10-27 2014-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装置
JP5724914B2 (ja) * 2012-03-16 2015-05-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CN105003984B (zh) * 2014-04-25 2017-07-18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无水加湿设备和空调系统
CH711362B1 (de) * 2015-07-29 2019-11-15 Tecan Schweiz Ag Steuergerät für relative Feuchtigkei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2222A (en) * 1968-02-27 1970-05-19 George A Tinnerman Panel clip
JPS6399440A (ja) * 1986-10-16 1988-04-30 Matsushita Seiko Co Ltd ダクト用空調換気扇
SE507315C2 (sv) * 1992-12-09 1998-05-11 Ulf Lundagaards Låsanordning för att låsa ett föremål i förhållande till ett underlag
US5970723A (en) * 1996-03-05 1999-10-26 Kinkel; Stephen W. Heating and cooling unit
DE19831996A1 (de) * 1998-07-16 2000-01-20 Asea Brown Boveri Blechgehäuse mit Dichtung
US6301758B1 (en) * 1999-07-19 2001-10-16 Batesville Services, Inc. Ready to assemble metal casket
AU7726100A (en) * 1999-09-28 2001-04-30 Henny Penny Corporation Holding cabinet with closed-loop humid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umidity in a holding cabinet
US6575228B1 (en) * 2000-03-06 2003-06-10 Mississippi State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Ventilating dehumidifying system
JP2002243259A (ja) * 2001-02-14 2002-08-28 Kajima Corp 単位ユニット複合ダンパ
CN100366986C (zh) * 2001-11-30 2008-02-06 新加坡国立大学 用于独立的新鲜和返回空气流的节能调节的单盘管双风扇变风量(vav)系统
JP2005291532A (ja) * 2004-03-31 2005-10-20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3712000B2 (ja) * 2004-03-31 2005-11-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010229A (ja) * 2005-06-30 2007-01-18 Daikin Ind Ltd 換気装置
EP1775519B1 (en) * 2005-10-11 2009-04-08 Fujitsu General Limited Air conditioner
US8962200B2 (en) * 2006-02-15 2015-02-24 Ford Motor Company Humidity measuring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01330B2 (ja) 2009-07-22
AU2008293037A1 (en) 2009-03-05
US8827169B2 (en) 2014-09-09
WO2009028148A1 (ja) 2009-03-05
CN101790666B (zh) 2014-11-05
KR101084486B1 (ko) 2011-11-21
JP2009052832A (ja) 2009-03-12
EP2192355A1 (en) 2010-06-02
US20110057045A1 (en) 2011-03-10
EP2192355A4 (en) 2018-04-11
AU2008293037B2 (en) 2011-02-17
CN101790666A (zh)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556B1 (ko) 조습장치
KR101127377B1 (ko) 조습장치
KR101143099B1 (ko) 조습장치
KR101143158B1 (ko) 조습장치
KR101143068B1 (ko) 조습장치
KR101084486B1 (ko) 조습장치
KR101980549B1 (ko) 공기조화 장치
US9200812B2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JP5109591B2 (ja) 調湿装置
JP4325716B2 (ja) 調湿装置
JP3815485B2 (ja) 調湿装置
JP2013064585A (ja) 調湿装置
JP2017129317A (ja) 調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