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535A - 혈전색전성 장애를 위한 활성 제약 성분으로서의 아미노아실 전구약물 - Google Patents

혈전색전성 장애를 위한 활성 제약 성분으로서의 아미노아실 전구약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535A
KR20100031535A KR1020107000465A KR20107000465A KR20100031535A KR 20100031535 A KR20100031535 A KR 20100031535A KR 1020107000465 A KR1020107000465 A KR 1020107000465A KR 20107000465 A KR20107000465 A KR 20107000465A KR 20100031535 A KR20100031535 A KR 20100031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group
hydrogen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게오르크 레르헨
울슐라 크렌쯔
미하엘 헤르테르
마르크 예안 그노트
게오르게스 폰 데겐펠트
엘케 디트리히-벵엔로트
안야 부크뮐레르
주잔네 뢰리히
스벤 알레르하일리겐
엘리자베트 페르쯔보른
크리스토프 게르데스
카를-하인쯔 쉬레메르
메틴 아크바바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쉐링 파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쉐링 파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엘 쉐링 파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00031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53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클로로-N-({(5S)-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2-옥소-1,3-옥사졸리딘-5-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의 전구약물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그의 용도, 및 장애, 특히 혈전색전성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혈전색전성 장애를 위한 활성 제약 성분으로서의 아미노아실 전구약물 {AMINOACYL PRODRUGS AS AN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 FOR THROMBOEMBOLIC DISORDERS}
본 발명은 5-클로로-N-({(5S)-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2-옥소-1,3-옥사졸리딘-5-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의 전구약물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그의 용도, 및 질환, 특히 혈전색전성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전구약물은 생체내에서 실제 활성 성분이 유리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단계로 효소적 및/또는 화학적 생체변화가 일어나는 활성 성분의 유도체이다. 전구약물 잔기는 기초가 되는 활성 성분 특성의 프로필을 개선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문헌 [P. Ettmayer et al., J. Med. Chem. 47, 2393 (2004)] 참조). 최적 효과의 프로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하여 전구약물 잔기의 디자인 뿐만 아니라 목적하는 유리 메카니즘을 개별 활성 성분, 적응증, 작용 부위 및 투여 경로와 매우 정확하게 합치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다수의 의약은 기초가 되는 활성 성분에 비해 개선된 생체이용률 (예를 들어, 물리화학적 프로필, 구체적으로 용해도, 능동적 또는 수동적 흡수 특성, 또는 조직 특이적 분포를 개선시킴으로써 달성됨)을 나타내는 전구약물로서 투여된다. 전구약물에 관한 폭넓은 범위의 문헌으로부터 언급가능한 예로는 문헌 [H. Bundgaard (Ed.), Design of Prodrugs: Bioreversible derivatives for various functional groups and chemical entitie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B.V., 1985]이 있다.
5-클로로-N-({(5S)-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2-옥소-1,3-옥사졸리딘-5-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하기 화학식 A의 화합물]는 혈액 응고 조절에 있어서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세린 프로테아제 인자 Xa의 경구적으로 유효한 직접적 억제제이다. 옥사졸리디논 화합물은 현재 혈전색전성 장애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능한 신규 활성 제약 성분으로서 면밀한 임상적 검사가 진행되고 있다 (문헌 [S. Roehrig et al., J. Med. Chem. 48, 5900 (2005)]).
<화학식 A>
Figure pct00001
그러나, 화학식 A의 화합물은 물 및 생리학적 매질 중에서 단지 제한된 용해도를 가져,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의 정맥내 투여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언급한 매질 중에서 향상된 용해도를 갖고, 동시에 투여 후 환자의 체내에서 활성 성분 A의 조절된 유리를 가능하게 하는 화합물 A의 유도체 또는 전구약물을 찾아내는 것이다.
WO 2005/028473에는 경구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옥사졸리디논의 아실옥시메틸카르바메이트 전구약물이 기재되어 있다. WO 01/00622에는 이노신-5'-모노포스페이트 탈수소효소의 카르바메이트 억제제의 아실 전구약물이 개시되어 있다. 다단계 활성화 메카니즘에 의해 기초가 되는 활성 성분을 유리시키는 옥사졸리디논에 대한 추가 유형의 아미드 전구약물이 WO 03/006440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염, 용매화물 및 염의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이거나 히드록시 또는 (C1-C4)-알콕시로 치환될 수 있는 (C1-C4)-알킬이고,
R2는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L은 하나의 CH2기가 O 원자로 대체될 수 있는 (C1-C4)-알칸디일기이거나 하기 화학식의 기이며,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는 N 원자에 대한 연결점을 의미하고,
R3은 천연 α-아미노산 또는 그의 동족체 또는 이성질체의 측기이거나 또는
R3은 R1에 연결되어 둘이 함께 (CH2)3 또는 (CH2)4 기를 형성하고,
R4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R5는 (C1-C4)-알킬이고,
R6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염, 용매화물 및 염의 용매화물, 화학식 I에 포함되며 하기 언급되는 화학식의 화합물 및 그의 염, 용매화물 및 염의 용매화물, 및 화학식 I에 포함되며 하기에 예시적 실시양태로서 언급되는 화합물 및 그의 염, 용매화물 및 염의 용매화물이다 (단, 화학식 I에 포함되며 하기 언급되는 화합물은 아직 염, 용매화물 및 염의 용매화물이 아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그의 구조에 따라, 입체이성질체 형태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이들 각각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입체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구성성분은 상기 거울상이성질체 및/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단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호변이성질체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 경우, 본 발명은 모든 호변이성질체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바람직한 염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그러나, 그 자체로는 제약 응용에 적합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단리 또는 정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염이 또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무기산, 카르복실산 및 술폰산의 산 부가염, 예를 들어 염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벤젠술폰산, 나프탈렌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말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및 벤조산의 염이 포함된다.
용매화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매 분자와의 배위를 통해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용매화물 형태를 지칭한다. 수화물은 물과 배위가 일어나는 특정 형태의 용매화물이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바람직한 용매화물은 수화물이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치환기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하기 의미를 갖는다:
(C1-C4)-알킬 및 (C1-C3)-알킬은 본 발명의 문맥에서 각각 1 내지 4개 및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라디칼이다.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알킬 라디칼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언급가능한 예에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이 있다.
(C1-C4)-알콕시는 본 발명의 문맥에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라디칼이다. 바람직하게 언급가능한 예에는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tert-부톡시가 있다.
(C1-C4)-알칸디일은 본 발명의 문맥에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2가 알킬 라디칼이다.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알칸디일 라디칼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언급가능한 예에는 메틸렌, 1,2-에틸렌, 에탄-1,1-디일, 1,3-프로필렌, 프로판-1,1-디일, 프로판-1,2-디일, 프로판-2,2-디일, 1,4-부틸렌, 부탄-1,2-디일, 부탄-1,3-디일, 부탄-2,3-디일이 있다.
R3의 의미에서 α-아미노산의 측기는 천연적으로 발생한 α-아미노산의 측기 및 이들 α-아미노산의 동족체 및 이성질체의 측기 모두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α-아미노산은 L 및 D 배열 모두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L형과 D형의 혼합물일 수 있다. 언급가능한 측기의 예에는 수소 (글리신), 메틸 (알라닌), 프로판-2-일 (발린), 프로판-1-일 (노르발린), 2-메틸프로판-1-일 (류신), 1-메틸프로판-1-일 (이소류신), 부탄-1-일 (노르류신), 페닐 (2-페닐글리신), 벤질 (페닐알라닌), p-히드록시벤질 (티로신), 인돌-3-일메틸 (트립토판), 이미다졸-4-일메틸 (히스티딘), 히드록시메틸 (세린), 2-히드록시에틸 (호모세린), 1-히드록시에틸 (트레오닌), 메르캅토메틸 (시스테인), 메틸티오메틸 (S-메틸시스테인), 2-메르캅토에틸 (호모시스테인), 2-메틸티오에틸 (메티오닌), 카르바모일메틸 (아스파라긴), 2-카르바모일에틸 (글루타민), 카르복시메틸 (아스파르트산), 2-카르복시에틸 (글루탐산), 4-아미노부탄-1-일 (리신), 4-아미노-3-히드록시부탄-1-일 (히드록시리신), 3-아미노프로판-1-일 (오르니틴), 3-구아니디노프로판-1-일 (아르기닌), 3-우레이도프로판-1-일 (시트룰린)이 있다. R3의 의미에서 바람직한 α-아미노산 측기는 수소 (글리신), 메틸 (알라닌), 프로판-2-일 (발린), 프로판-1-일 (노르발린), 이미다졸-4-일메틸 (히스티딘), 히드록시메틸 (세린), 1-히드록시에틸 (트레오닌), 카르바모일메틸 (아스파라긴), 2-카르바모일에틸 (글루타민), 4-아미노부탄-1-일 (리신), 3-아미노프로판-1-일 (오르니틴), 3-구아니디노프로판-1-일 (아르기닌)이다. 각 경우에 L 배열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서 라디칼이 치환되는 경우, 라디칼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1회 이상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1회 초과로 나타나는 모든 라디칼은 서로 독립적인 의미를 갖는다. 1개 또는 2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기로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R1이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2가 수소이고,
L이 (C2-C4)-알칸디일기이거나 하기 화학식의 기이며,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는 N 원자에 대한 연결점을 의미하고,
R3은 수소, 메틸, 프로판-2-일, 프로판-1-일, 이미다졸-4-일메틸,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카르바모일메틸, 2-카르바모일에틸, 4-아미노부탄-1-일, 3-아미노프로판-1-일 또는 3-구아니디노프로판-1-일이거나 또는
R3은 R1에 연결되어 둘이 함께 (CH2)3 또는 (CH2)4 기를 형성하고,
R4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R5는 메틸이고,
R6은 수소 또는 메틸
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염, 용매화물 및 염의 용매화물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R1이 수소 또는 (C1-C3)-알킬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특히 중요하다.
또한, L이 직쇄 (C2-C4)-알칸디일기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특히 중요하다.
R1이 수소, 메틸 또는 n-부틸이고,
R2가 수소이고,
L이 CH2CH2기이거나 또는 하기 화학식의 기이며,
Figure pct00005
상기 식에서,
*는 N 원자에 대한 연결점을 의미하고,
R3은 수소, 메틸, 프로판-2-일, 프로판-1-일, 이미다졸-4-일메틸,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카르바모일메틸, 2-카르바모일에틸, 4-아미노부탄-1-일, 3-아미노프로판-1-일 또는 3-구아니디노프로판-1-일이거나 또는
R3은 R1에 연결되어 둘이 함께 (CH2)3 또는 (CH2)4 기를 형성하고,
R4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R6은 수소 또는 메틸
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염, 용매화물 및 염의 용매화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R1이 수소 또는 메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특히 중요하다.
또한, L이 CH2CH2기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은 또한,
[A] 하기 화학식 A의 화합물을 먼저 비활성 용매 중에서 염기의 존재 하에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로 전환시킨 다음, 이를 비활성 용매 중에서 하기 화학식 IV의 α-아미노 카르복실산 또는 α-아미노 티오카르복실산의 세슘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이후 보호기 PG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거하여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을 생성하거나, 또는
<화학식 A>
Figure pct00006
<화학식 II>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R2는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갖고,
Q는 예를 들어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와 같은 이탈기임)
<화학식 III>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Q 및 R2는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화학식 IV>
Figure pct00009
(상기 식에서,
R1, R3 및 R4는 각각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갖고,
PG는 예를 들어 tert-부톡시카르보닐 (Boc) 또는 벤질옥시카르보닐 (Z)과 같은 아미노 보호기이고,
X는 O 또는 S임)
<화학식 V>
Figure pct00010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PG 및 X는 각각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화학식 I-A>
Figure pct00011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및 X는 각각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B] 화학식 A의 화합물을 비활성 용매 중에서 염기의 존재 하에 하기 화학식 V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VII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이후 보호기 PG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거하여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을 생성하거나, 또는
<화학식 VI>
Figure pct00012
(상기 식에서,
PG는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갖고,
R1A는 히드록시 또는 (C1-C4)-알콕시로 치환될 수 있는 (C1-C4)-알킬이고,
L1은 하나의 CH2기가 O 원자로 대체될 수 있는 (C1-C4)-알칸디일기임)
<화학식 VII>
Figure pct00013
(상기 식에서, R1A, L1 및 PG는 각각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화학식 I-B>
Figure pct00014
(상기 식에서, R1A 및 L1은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C] 하기 화학식 B의 화합물을 먼저 펩티드 화학의 표준 방법에 의해 하기 화학식 VIII의 화합물로 전환시킨 다음, 이를 비활성 용매 중에서 염기의 존재 하에 하기 화학식 IX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X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이후 보호기 PG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거하여 하기 화학식 I-C의 화합물을 생성하거나, 또는
<화학식 B>
Figure pct00015
<화학식 VIII>
Figure pct00016
(상기 식에서,
PG, R1, R2 및 R5는 각각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갖고,
L2는 (CH2)2 또는 CR3R4 기이며, 여기서 R3 및 R4는 각각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화학식 IX>
Figure pct00017
<화학식 X>
Figure pct00018
(상기 식에서, PG, L2, R1, R2 및 R5는 각각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화학식 I-C>
Figure pct00019
(상기 식에서, L2, R1, R2 및 R5는 각각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D] 화학식 A의 화합물을 비활성 용매 중에서 염기의 존재 하에 하기 화학식 X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XII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이후 보호기 PG1 및 PG2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하기 화학식 I-D의 화합물을 생성하며,
<화학식 XI>
Figure pct00020
(상기 식에서,
L1은 하나의 CH2기가 O 원자로 대체될 수 있는 (C1-C4)-알칸디일기이고,
PG1 및 PG2는 서로 독립적으로 예를 들어 tert-부톡시카르보닐 (Boc), 벤질옥시카르보닐 (Z) 또는 p-메톡시벤질 (PMB)과 같은 아미노 보호기이며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음)
<화학식 XII>
Figure pct00021
(상기 식에서, L1, PG1 및 PG2는 각각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화학식 I-D>
Figure pct00022
(상기 식에서, L1은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각 경우 생성된 화학식 I-A, I-B, I-C 및 I-D의 화합물을 적절한 경우 적절한 (i) 용매 및/또는 (ii) 산을 이용하여 그의 용매화물, 염 및/또는 염의 용매화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화학식 I-A, I-B, I-C 및 I-D의 화합물은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시 직접 그의 염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이들 염은 적절한 경우 비활성 용매에서의 염기에 의한 처리, 크로마토그래피 방법 또는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해 각각의 유리 염기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경우 R1, R1A 및/또는 R3 라디칼에 존재하는 관능기는 편의상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 기재된 반응 순서에서 일시적으로 보호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보호기 및 보호기 PG, PG1 및 PG2의 도입 및 제거가 펩티드 화학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일어난다 (예를 들어 문헌 [T.W. Greene and P.G.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Wiley, New York, 1999; M. Bodanszky and A. Bodanszky, The Practice of Peptide Synthesis, Springer-Verlag, Berlin, 1984] 참조).
이와 관련하여, 적절한 경우 R1, R1A 및/또는 R3에 존재하는 상기 보호기는 PG의 제거와 동시에 제거될 수 있거나 또는 PG의 제거 전 또는 후에 별도의 반응 단계에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 아미노 보호기 PG, PG1 또는 PG2는 tert-부톡시카르보닐 (Boc), 벤질옥시카르보닐 (Z) 또는 p-메톡시벤질 (PMB)이다. 이들 보호기의 제거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비활성 용매, 예컨대 디옥산, 디클로로메탄 또는 아세트산에서 강산, 예컨대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반응시켜 수행하고, 또한 적절한 경우 추가의 비활성 용매 없이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환 B → VIII은 펩티드 화학의 표준 방법에 의해, 화합물 B를 적합하게 보호된 디펩티드 유도체로 아실화시키거나, 또는 적절한 경우 적합하게 보호된 개별 아미노산 성분의 순차적 커플링에 의해 일어난다 (예를 들어 문헌 [M. Bodanszky, Principles of Peptide Synthesis, Springer-Verlag, Berlin, 1993; H.-D. Jakubke and H. Jeschkeit, Aminosaeuren, Peptide, Proteine, Verlag Chemie, Weinheim, 1982] 참조).
공정 단계 A + II → III, A + VI → VII, VIII + IX → X 및 A + XI → XII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 비활성 용매는 테트라히드로푸란, N,N-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 술폭시드이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반응에서 특히 적합한 염기는 수소화나트륨이다. 언급된 반응은 일반적으로 대기압 하에 0℃ 내지 +4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공정 단계 III + IV → V는 바람직하게는 용매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서 일어난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대기압 하에 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한다. 또한, 반응은 유리하게는 초음파 처리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화학식 II, IV, VI, IX 및 XI의 화합물은 시판되거나, 문헌에 공지되어 있거나, 문헌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A의 제조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는 하기 반응식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00023
<반응식 2>
Figure pct00024
<반응식 3>
Figure pct00025
<반응식 4>
Figure pct00026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 그의 염은 활성 성분인 화합물 A의 유용한 전구약물을 나타낸다. 한편, 이들은 pH 4에서 양호한 안정성을 나타내고, 또다른 한편, 생리학적 pH 및 생체내에서 활성 성분인 화합물 A로 효율적으로 전환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물 및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다른 매질에서 양호한 용해도를 가져, 특히 정맥내 투여에 대한 치료 용도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또한 장애, 바람직하게는 혈전색전성 장애 및/또는 혈전색전성 합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혈전색전성 장애"는 본 발명의 문맥에서 특히 ST 분절 상승이 있는 심근경색증 (STEMI) 및 ST 분절 상승이 없는 심근경색증 (non-STEMI), 안정 협심증, 불안정 협심증, 관상동맥 중재술 (예컨대, 혈관성형술 또는 대동맥관상동맥 우회술)에 따른 재폐색 및 재협착, 말초동맥 폐색성 질환, 폐색전증, 심부정맥 혈전증 및 신정맥 혈전증, 일과성 허혈발작, 및 혈전 및 혈전색전성 뇌졸중과 같은 장애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물질은 또한 급성, 간헐성 또는 지속성 심장 부정맥, 예를 들어 심방세동을 앓는 환자, 및 심장율동전환을 겪고 있는 환자, 또한 심장판막 질환을 앓거나 인공 심장판막을 갖는 환자에서의 심장 혈전색전증, 예를 들어 대뇌 허혈, 뇌졸중 및 전신성 혈전색전증 및 허혈의 예방 및 치료에 적합하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파종성 혈관내응고 (DIC)의 치료에 적합하다.
또한, 혈전색전성 합병증은 미세혈관병성 용혈성 빈혈, 체외 순환, 예컨대 혈액투석, 및 심장판막 보철물과 관련되어 발생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죽상경화성 혈관 장애 및 염증성 장애 (예컨대, 근골격계의 류마티스성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 또한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도 적합하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종양 성장 및 전이 형성의 억제, 미세혈관병, 노화-관련 황반변성, 당뇨병성 망막병증, 당뇨병성 신병증 및 기타 미세혈관 장애, 및 혈전색전성 합병증, 예컨대 종양 환자, 특히 주요 수술 절차 또는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요법을 받는 환자의 정맥 혈전색전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장애, 특히 상기 언급한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장애, 특히 상기 언급한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사용하여, 장애, 특히 상기 언급한 장애를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상기 언급한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추가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의약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언급가능한 적합한 조합 활성 성분의 예에는,
● 지질-강하제, 특히 HMG-CoA (3-히드록시-3-메틸글루타릴조효소 A) 환원효소 억제제;
● 관상동맥 치료제/혈관확장제, 특히 ACE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AII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 β-아드레날린수용체 길항제; 알파-1 아드레날린수용체 길항제; 이뇨제; 칼슘 채널 차단제; 시클릭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cGMP)의 증가를 일으키는 물질, 예를 들어 가용성 구아닐레이트 시클라제의 자극 물질;
●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 (혈전용해제/섬유소용해제) 및 혈전용해/섬유소용해를 증가시키는 화합물, 예컨대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 억제제의 억제제 (PAI 억제제) 또는 트롬빈-활성화된 섬유소용해 억제제의 억제제 (TAFI 억제제);
● 항응고 활성을 갖는 물질 (항응고제);
● 혈소판 응집-억제 물질 (혈소판 응집 억제제);
● 피브리노겐 수용체 길항제 (당단백질 IIb/IIIa 길항제); 및
● 항부정맥제
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비활성, 비독성의 제약상 적합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의약, 및 상기 언급한 목적을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전신 및/또는 국소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적합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경구, 비경구, 폐 또는 비강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이들 투여 경로에 적합한 투여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 따라 기능하고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신속하게 및/또는 변형된 방식으로 전달하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결정성 형태 및/또는 무정형 형태 및/또는 용해된 형태로 함유하는 투여 형태, 예를 들어 정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방출을 지연 및 조절하면서 용해되거나 불용성인 코팅 또는 장용 코팅을 갖는 코팅된 정제 또는 코팅되지 않은 정제), 구강내에서 신속하게 붕해되는 정제, 또는 필름/웨이퍼, 필름/동결건조물, 캡슐 (예를 들어 경질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 당-코팅된 정제, 과립, 펠렛, 분말, 에멀젼, 현탁액, 에어로졸 또는 용액이 경구 투여에 적합하다.
비경구 투여는 흡수 단계를 피하여 (예를 들어 정맥내, 동맥내, 심장내, 척수강내 또는 요추내로), 또는 흡수를 포함하여 (예를 들어 근육내, 피하, 피내, 경피 또는 복막내로) 수행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투여 형태는 특히 용액, 현탁액, 에멀젼, 동결건조물 또는 멸균 분말 형태의 주사 및 주입용 제제이다.
다른 투여 경로로는 예를 들어 흡입용 제형, 예컨대 분말 흡입제 또는 연무제, 또는 비강내 투여될 수 있는 제형, 예컨대 점적제, 용액제 또는 분무제가 적합하다.
비경구 투여, 특히 정맥내 투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언급된 투여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는 비활성, 비독성의 제약상 적합한 부형제와 혼합함으로써 자체 공지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들 부형제에는 특히 담체 (예를 들어 미세결정 셀룰로스, 락토스, 만니톨), 용매 (예를 들어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화제 및 분산제 또는 습윤제 (예를 들어 나트륨 도데실 술페이트, 폴리옥시소르비탄 올레에이트), 결합제 (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 합성 및 천연 중합체 (예를 들어 알부민), 안정화제 (예를 들어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착색제 (예를 들어 무기 안료, 예컨대 산화철) 및 향 및/또는 냄새 차단제가 포함된다.
유효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비경구 투여에 대해서는 체중 1 kg 당 약 0.001 내지 1 m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5 mg의 양으로 투여하고, 경구 투여에 대해서는 체중 1 kg 당 약 0.01 내지 100 m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20 mg,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m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리하다고 입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경우, 특히 체중, 투여 경로, 활성 성분에 대한 개별 반응, 제제의 특성, 및 투여가 수행되는 시간 또는 간격에 대한 함수로서 상기 언급한 양에서 벗어나는 것이 필수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최소량 미만으로 투여하는 것이 충분할 수 있으며, 다른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상한을 초과하여야 한다. 다량 투여되는 경우, 이를 하루에 걸친 다수의 개별 투여량으로 분할하는 것이 타당할 수 있다.
하기 예시적 실시양태는 본 발명을 예시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시험 및 실시예에서 백분율 데이타는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중량%이고, 부는 중량부이다. 각 경우에 액체/액상 용액에 대한 용매 비율, 희석 비율 및 농도 데이타는 부피 기준이다.
A. 실시예
약어 및 두문자어 :
abs. 무수
Boc tert-부톡시카르보닐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 술폭시드
h 시간
HPLC 고압,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LC-MS 커플링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법
min 분
MS 질량 분광법
NMR 핵 자기 공명 분광법
p 파라
Pd/C 활성탄 상의 팔라듐
PMB p-메톡시벤질
quant. 정량 (수율에서)
Rf 체류 지수 (TLC에서)
RT 실온
Rt 체류 시간 (HPLC에서)
TLC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UV 자외선 분광법
v/v (용액의) 부피 대 부피 비율
Z 벤질옥시카르보닐
LC - MS HPLC 방법:
방법 1: 기기: DAD 검출을 갖는 HP 1100; 컬럼: 크로마실(Kromasil) 100 RP-18, 60 mm x 2.1 mm, 3.5 μm; 이동상 A: 과염소산 (70% 농도) 5 ml / 물 l,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구배: 0분 2% B → 0.5분 2% B → 4.5분 90% B → 6.5분 90% B → 6.7분 2% B → 7.5분 2% B; 유속: 0.75 ml/분; 컬럼 온도: 30℃; UV 검출: 210 nm.
방법 2: 기기: DAD 검출을 갖는 HP 1100; 컬럼: 크로마실 100 RP-18, 60 mm x 2.1 mm, 3.5 μm; 이동상 A: 과염소산 (70% 농도) 5 ml / 물 l,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구배: 0분 2% B → 0.5분 2% B → 4.5분 90% B → 9분 0% B → 9.2분 2% B → 10분 2% B; 유속: 0.75 ml/분; 컬럼 온도: 30℃; UV 검출: 210 nm.
방법 3 ( LC - MS ): MS 기기 유형: 마이크로매스(Micromass) ZQ; HPLC 기기 유형: HP 1100 시리즈; UV DAD; 컬럼: 페노메넥스 게미니(Phenomenex Gemini) 3μ 30 mm x 3.00 mm; 이동상 A: 물 1 l + 50% 농도 포름산 0.5 ml,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1 l + 50% 농도 포름산 0.5 ml; 구배: 0.0분 90% A → 2.5분 30% A → 3.0분 5% A → 4.5분 5% A; 유속: 0.0분 1 ml/분, 2.5분/3.0분/4.5분 2 ml/분; 오븐: 50℃; UV 검출: 210 nm.
방법 4 ( LC - MS ): 기기: 마이크로매스 GCT, GC6890; 컬럼: 레스테크(Restek) RTX-35MS, 30 m x 250 μm x 0.25 μm; 일정한 헬륨 유속: 0.88 ml/분; 오븐: 60℃; 입구: 250℃; 구배: 60℃ (0.30분 동안 유지), 50℃/분 → 120℃, 16℃/분 → 250℃, 30℃/분 → 300℃ (1.7분 동안 유지).
방법 5 ( 분취용 HPLC ): 컬럼: 그롬-실(GROM-SIL) 120 ODS-4 HE, 10 μM, 250 mm x 30 mm; 유속: 50 ml/분; 이동상 및 구배 프로그램: 아세토니트릴/0.1% 수성 포름산 10:90 (0-3분), 아세토니트릴/0.1% 수성 포름산 10:90 → 95:5 (3-27분), 아세토니트릴/0.1% 수성 포름산 95:5 (27-34분), 아세토니트릴/0.1% 수성 포름산 10:90 (34-38분); 온도: 22℃; UV 검출: 254 nm.
방법 6 ( LC - MS ): 기기: HPLC 애질런트(Agilent) 시리즈 1100을 갖는 마이크로매스 LCT; 컬럼: 워터스 시메트리(Waters Symmetry) C18, 3.5 μm, 50 mm x 2.1 mm; 이동상 A: 물 1 l + 98-100% 농도 포름산 1 ml,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1 l + 98-100% 농도 포름산 1 ml; 구배: 0분 100% A → 1분 100% A → 6분 10% A → 8분 0% A → 10분 0% A → 10.1분 100% A → 12분 100% A; 유속: 0-10분 0.5 ml/분 → 10.1분 1 ml/분 → 12분 0.5 ml/분; 온도: 40℃; UV 검출 DAD: 208-500 nm.
방법 7 (분석용 HPLC ): 기기: DAD996을 갖는 워터스 2695; 컬럼: 엑스테라(XTerra) 3.9 x 150 WAT 186000478; 이동상 A: 물 2.5 l 중 70% 농도 과염소산 10 ml,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구배: 0.0분 20% B → 1분 20% B → 4분 90% B → 9분 90% B; 온도: RT; 유속: 1 ml/분.
방법 8 ( LC - MS ): 기기: HPLC 애질런트 시리즈 1100을 갖는 마이크로매스 쿼트로(Micromass Quattro) LCZ; 컬럼: 페노메넥스 오닉스 모노리틱(Phenomenex Onyx Monolithic) C18, 100 mm x 3 mm; 이동상 A: 물 1 l + 50% 농도 포름산 0.5 ml,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1 l + 50% 농도 포름산 0.5 ml; 구배: 0.0분 90% A → 2분 65% A → 4.5분 5% A → 6분 5% A; 유속: 2 ml/분; 오븐: 40℃; UV 검출: 208-400 nm.
방법 9 ( LC - MS ): MS 기기 유형: 워터스 (마이크로매스) 쿼트로 마이크로; HPLC 기기 유형: 애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써모 하이퍼실 골드(Thermo Hypersil GOLD) 3μ 20 mm x 4 mm; 이동상 A: 물 1 l + 50% 농도 포름산 0.5 ml,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1 l + 50% 농도 포름산 0.5 ml; 구배: 0.0분 100%A → 3.0분 10%A → 4.0분 10%A → 4.01분 100%A (유속 2.5 ml) → 5.00분 100%A; 오븐: 50℃; 유속: 2 ml/분; UV 검출: 210 nm.
방법 10 ( LC - MS ): MS 기기 유형: 마이크로매스 ZQ; HPLC 기기 유형: 워터스 알리안스(Waters Alliance) 2795; 컬럼: 페노메넥스 시너지(Phenomenex Synergi) 2.5 μ MAX-RP 100A 머큐리(Mercury) 20 mm x 4 mm; 이동상 A: 물 1 l + 50% 농도 포름산 0.5 ml,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1 l + 50% 농도 포름산 0.5 ml; 구배: 0.0분 90% A → 0.1분 90% A → 3.0분 5% A → 4.0분 5% A → 4.01분 90% A; 유속: 2 ml/분; 오븐: 50℃; UV 검출: 210 nm.
방법 11 (분석용 HPLC ): 기기: HP1090 시리즈 II; 컬럼: 워터스 엑스테라 C18-5, 3.9 mm x 150 mm WAT 186000478; 이동상 A: 물 2.5 l 중 70% 농도 과염소산 10 ml,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구배: 0.0분 20% B → 1분 20% B → 4분 90% B → 6분 90% B → 8분 20% B; 온도: 40℃; 유속: 1 ml/분.
방법 12 (분석용 HPLC ): 기기: HP 1090 시리즈 II; 컬럼: 머크 크로모리쓰 스피드(Merck Chromolith Speed) ROD RP-18e, 50 mm x 4.6 mm; 예비컬럼 크로모시쓰 가드 카트리지 키트(Chromolith Guard Cartridge Kit), RP-18e, 5-4.6 mm; 이동상 A: 과염소산 (70% 농도) 5 ml / 물 l,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구배: 0분 20% B → 0.5분 20% B → 3분 90% B → 3.5분 90% B → 3.51분 20% B → 4분 20% B; 유속: 5 ml/분; 컬럼 온도: 40℃; UV 검출: 210 nm.
방법 13 ( 분취용 HPLC ): 기기: UV 검출기를 갖는 길슨(Gilson), 컬럼: 크로마실 C18, 5 μm/ 250 mm x 20 mm (유속: 25 ml/분); 이동상 A: 물 (0.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0.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 0분 5-20% B, 10분-15분 5-20% B, 45분 90% B, 50분 90% B; 유속: 25 ml/분; UV 검출: 210 nm.
방법 14 ( 분취용 HPLC ): 기기: UV 검출기를 갖는 길슨, 컬럼: YMC ODS AQ C18, 10 μm/ 250 mm x 30 mm (유속: 50 ml/분); 이동상 A: 물 (0.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0.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배: 0분 5-20% B, 10분-15분 5-20% B, 45분 90% B, 50분 90% B; 유속: 50 ml/분; 파장: 210 nm.
NMR 분광법:
NMR 측정을 400.13 MHz의 양성자 주파수에서 수행하였다. 샘플을 통상적으로 DMSO-d6 중에 용해시켰다; 온도: 302 K.
출발 화합물 및 중간체:
사용한 출발 물질은 5-클로로-N-({(5S)-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2-옥소-1,3-옥사졸리딘-5-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하기 화학식 A의 화합물]이었다.
<화학식 A>
Figure pct00027
실시예 1A
5-클로로티오펜-2-카르보닐 클로라이드
Figure pct00028
옥살릴 클로라이드 137 ml (1.57 mol)를 디클로로메탄 307 ml 중 5-클로로티오펜-2-카르복실산 51.2 g (0.315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DMF 2적 첨가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 및 과량의 옥살릴 클로라이드를 회전식 증발기 상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감압 하에서 증류하였다. 생성물을 74 내지 78℃ 및 4 내지 5 mbar의 압력에서 비등시켰다. 이로써 냉동고에 저장시 응고되는 오일 50.5 g (이론치의 87%)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9
실시예 2A
((S)-2,3-디히드록시프로필)-5-클로로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문헌 [C.R. Thomas, Bayer HealthCare AG, DE-10300111-A1 (2004)])
Figure pct00030
13 내지 15℃에서, 먼저 중탄산나트륨 461 g (4.35 mol) 및 (2S)-3-아미노프로판-1,2-디올 히드로클로라이드 350 g (3.85 mol)을 물 2.1 l에 충전시키고,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950 ml를 첨가하였다. 15 내지 18℃에서 냉각시키면서, 톨루엔 180 ml 중 5-클로로티오펜-2-카르보닐 클로라이드 (실시예 1A로부터의 화합물) 535 g (2.95 mol)을 2시간에 걸쳐 상기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후처리 동안, 상을 분리하고, 톨루엔 총 1.5 l를 다수의 단계로 유기상에 첨가하였다. 침전된 생성물을 흡입 여과 제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이로써 생성물 593.8 g (이론치의 92%)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A
((S)-3-브로모-2-히드록시프로필)-5-클로로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문헌 [C.R. Thomas, Bayer HealthCare AG, DE-10300111-A1 (2004)])
Figure pct00031
30분에 걸쳐, 아세트산 중 33% 농도 브롬화수소 용액 301.7 ml를 21 내지 26℃에서 빙초산 250 ml 중 실시예 2A로부터의 화합물 100 g (0.423 mol)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아세트산 무수물 40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 내지 6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20 내지 25℃에서, 메탄올 960 ml를 3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 하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0 내지 2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후처리 동안, 용매를 약 95 mbar의 감압 하에서 증류 제거하였다. n-부탄올 50 ml 및 물 350 ml를 남아있는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침전된 생성물을 흡입 여과 제거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이로써 생성물 89.8 g (이론치의 71%)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A
5-클로로-N-[(2S)-옥시란-2-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2
분말 탄산칼륨 155 g (1.12 mol)을 무수 THF 500 ml 중 실시예 3A로부터의 화합물 50 g (0.167 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무기염을 키젤구르(kieselguhr) 층 상에서 흡입 여과 제거하고, 각 경우 THF 100 ml로 2회 세척하고, 여액을 실온에서 회전식 증발기 상에서 농축시켰다. 이로써 생성물 36 g (이론치의 81%)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3
실시예 5A
N,N-디벤질-2-플루오로-4-요오도아닐린
Figure pct00034
물 100 ml와 디클로로메탄 200 ml의 혼합물 중, 2-플루오로-4-요오도아닐린 24.37 g (0.103 mol), 벤질 브로마이드 31.8 ml (0.267 mol), 탄산나트륨 23.98 g (0.226 mol) 및 테트라-n-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1.9 g (5.14 mmol)을 환류에서 6일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상을 서로 분리하였다. 유기상을 물 및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 후, 용매를 회전식 증발기 상에서 제거하였다. 수득한 잔류물을 이동상 시클로헥산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을 통해 흡입 여과함으로써 정제하였다. 이로써 표제 화합물 35 g (이론치의 82%)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5
실시예 6A
4-[4-(디벤질아미노)-3-플루오로페닐]모르폴린-3-온
Figure pct00036
실시예 5A로부터의 화합물 1.5 g (3.59 mmol)을 무수 디옥산 20 ml에 용해시키고, 모르폴리논 0.45 g (4.49 mmol), 요오드화구리(I) 137 mg (0.719 mmol), 인산칼륨 1.53 g (7.19 mmol) 및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153 μl (1.44 mmol)를 연속 첨가하였다. 환류 장치를, 약한 감압을 반복 적용하고 아르곤으로 배기시켜 비활성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 시간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물 및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연속 세척하였다. 추출물을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서 용매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이동상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1)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을 통해 흡입 여과함으로써 정제하였다. 이로써 표제 화합물 1.38 g (이론치의 98%)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7
실시예 7A
4-(4-아미노-3-플루오로페닐)모르폴린-3-온
Figure pct00038
방법 1:
실시예 6A로부터의 화합물 700 mg (1.79 mmol)을 에탄올 70 ml에 용해시키고, 활성탄 상의 팔라듐 (10%) 95 m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 및 1 bar의 수소압에서 1시간 동안 수소화하였다. 이어서, 촉매를 소량의 키젤구르를 통해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회전식 증발기 상에서 농축시켰다. 이로써 표제 화합물 378 mg (이론치의 95%)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39
방법 2:
아르곤 하에서, 디옥산 300 ml 중 2-플루오로-4-요오도아닐린 29.6 g (125 mmol), 모르폴린-3-온 (문헌 [J.-M. Lehn, F. Montavon, Helv. Chim. Acta 1976, 59, 1566-1583] 참조) 15.8 g (156 mmol, 1.25 당량), 요오드화구리(I) 9.5 g (50 mmol, 0.4 당량), 인산칼륨 53.1 g (250 mmol, 2 당량) 및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8.0 ml (75 mmol, 0.6 당량)의 현탁액을 환류 하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키젤구르 층을 통해 여과하고, 잔류물을 디옥산으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60, 디클로로메탄/메탄올 100:1 → 100:3)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로써 표제 화합물 24 g (이론치의 74%)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40
실시예 8A
5-클로로-N-[(2R)-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아미노}-2-히드록시프로필]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1
마그네슘 퍼클로레이트 600 mg (2.69 mmol)을 아세토니트릴 10 ml 중 실시예 7A로부터의 생성물 376 mg (1.79 mmol) 및 실시예 4A로부터의 화합물 429 mg (1.97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물 및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연속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 후, 용매를 회전식 증발기 상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분취용 HPLC (방법 5)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로써 표제 화합물 503 mg (이론치의 64%)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42
실시예 9A (화합물 A)
5-클로로-N-({(5S)-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2-옥소-1,3-옥사졸리딘-5-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3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2.7 mg (0.022 mmol)을 부티로니트릴 10 ml 중 실시예 8A로부터의 생성물 478 mg (1.12 mmol) 및 카르보닐디이미다졸 363 mg (2.24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70℃에서 가열하였다. 3일 후, 용매를 회전식 증발기 상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잔류물로부터 분취용 HPLC (방법 5)에 의해 단리하였다. 이로써 표제 화합물 344 mg (이론치의 68%)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44
실시예 10A
5-클로로-N-(클로로아세틸)-N-({(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45
실시예 13, 19 또는 22에서의 단계 a)와 유사하게 화합물 A를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A
벤질 (4-클로로-4-옥소부틸)메틸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046
먼저, 문헌 [P. Quitt et al., Helv. Chim. Acta 46, 327 (1963)]에 따라 수득할 수 있는 상응하는 ω-N-메틸아미노알킬카르복실산에 벤질옥시카르보닐 보호기를 도입하여 4-[[(벤질옥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부티르산을 제조하였다. 별법으로, 시판되는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으로부터 문헌 절차 [Y. Aramaki et al., Chem. Pharm. Bull. 52, 258 (2004)]에 따라 4-[[(벤질옥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부티르산을 제조할 수도 있다.
4-[[(벤질옥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부티르산 1.74 g (6.92 mmol)을 디클로로메탄 35 ml에 용해시키고, 티오닐 클로라이드 3.5 ml (4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추가의 디클로로메탄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농축시켰다. 남아있는 것은 점성 오일이었으며, 이를 고진공 하에서 건조시켰다. 이로써 목적 화합물 1.8 g (이론치의 96%)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및 특성화 없이 더 반응시켰다.
실시예 12A
벤질 (5-클로로-5-옥소펜틸)메틸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047
먼저, 5-[[(벤질옥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발레르산을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여기서, 미리 ω-브로모발레르산을 메틸아민과 반응시켜 제조한 ω-N-메틸아미노발레르산에 벤질옥시카르보닐 보호기를 도입하였다.
5-[[(벤질옥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발레르산 1.97 g (7.43 mmol)을 디클로로메탄 30 ml에 용해시키고, 티오닐 클로라이드 4.9 ml (67.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추가의 디클로로메탄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농축시켰다. 남아있는 것은 점성 오일이었으며, 이를 고진공 하에서 건조시켰다. 이로써 목적 화합물 2 g (이론치의 95%)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및 특성화 없이 더 반응시켰다.
실시예 13A
벤질 (3-클로로-3-옥소프로필)메틸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048
먼저, 문헌 [P. Quitt et al., Helv. Chim. Acta 46, 327 (1963)]에 따라 수득할 수 있는 상응하는 ω-N-메틸아미노알킬카르복실산에 벤질옥시카르보닐 보호기를 도입하여 3-[[(벤질옥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을 제조하였다. 별법으로, 시판되는 3-{[(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피온산으로부터 문헌 절차 [Y. Aramaki et al., Chem. Pharm. Bull. 52, 258 (2004)]에 따라 3-[[(벤질옥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을 제조할 수 있다.
3-[[(벤질옥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850 mg (3.58 mmol)을 디클로로메탄 15 ml에 용해시키고, 옥살릴 클로라이드 1.5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추가의 디클로로메탄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농축시켰다. 남아있는 것은 점성 오일이었으며, 이를 고진공 하에서 건조시켰다. 이로써 목적 화합물 915 mg (정량)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및 특성화 없이 더 반응시켰다.
실시예 14A
벤질 (6-클로로-6-옥소헥실)메틸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049
먼저, 문헌 [P. Quitt et al., Helv. Chim. Acta 46, 327 (1963)]에 따라 수득할 수 있는 상응하는 ω-N-메틸아미노알킬카르복실산에 벤질옥시카르보닐 보호기를 도입하여 6-[[(벤질옥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카프로산을 제조하였다. 별법으로, 시판되는 6-{[(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카프로산으로부터 문헌 절차 [Y. Aramaki et al., Chem. Pharm. Bull. 52, 258 (2004)]에 따라 6-[[(벤질옥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카프로산을 제조할 수 있다.
6-[[(벤질옥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카프로산 3850 mg (13.8 mmol)을 디클로로메탄 60 ml에 용해시키고, 옥살릴 클로라이드 4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추가의 디클로로메탄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농축시켰다. 남아있는 것은 점성 오일이었으며, 이를 고진공 하에서 건조시켰다. 이로써 목적 화합물 4.1 g (정량)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및 특성화 없이 더 반응시켰다.
실시예 15A
벤질 (5-클로로-5-옥소펜틸)(4-메톡시벤질)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050
단계 a):
5-아미노발레르산 10 g (85.4 mmol), p-아니스알데히드 17.4 g (128 mmol) 및 황산마그네슘 10.3 g (85.4 mmol)을 에탄올 330 ml 중에 취하고, 환류 하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과 잔류물을 에탄올로 세척한 다음, 수소화붕소나트륨 총 1.94 g (51.2 mmol)을 15분에 걸쳐 여액에 소량 첨가하였다. 먼저, 물 10 ml를 첨가한 다음, 2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28 ml를 첨가하였다. 5분 후, 혼합물을 물 300 ml로 희석한 다음, 각 경우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4 M 염산을 사용하여 pH 2로 조정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아세트산 (5:1:0.1)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및 디에틸 에테르로 분쇄하였다. 이어서, 잔류물을 흡입 여과 제거하고, 고진공 하에서 건조시켰다. 이로써 p-메톡시벤질-보호된 5-아미노발레르산 9.1 g (이론치의 45%)을 수득하였다.
단계 b):
상기 방식으로 수득한 5-아미노발레르산 유도체를 디옥산/물 (1:1) 중에 취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pH 10으로 조정한 다음, 벤질 클로로카르보네이트 12.97 g (76 mmol)을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5분 교반한 후, 디옥산을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남아있는 용액을 2 M 염산을 사용하여 pH 2로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유기상을 물로 2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상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고진공 하에서 건조시켰다. 이후, 이동상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고진공 하에서 건조시켰다. 이로써 Z-보호된 아미노산 5.6 g (이론치의 38%)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51
단계 c):
상기 방식으로 수득한 5-{[(벤질옥시)카르보닐](4-메톡시벤질)아미노}발레르산 5.6 g (15 mmol)을 디클로로메탄 60 ml에 용해시키고, 티오닐 클로라이드 2.2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 하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추가의 디클로로메탄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농축시켰다. 남아있는 것은 점성 오일이었으며, 이를 고진공 하에서 건조시켰다. 이로써 목적 화합물 5.7 g (이론치의 98%)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및 특성화 없이 더 반응시켰다.
실시예 16A
벤질 (6-클로로-6-옥소헥실)(4-메톡시벤질)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052
표제 화합물을 6-아미노카프로산으로부터 실시예 15A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7A
벤질 (4-클로로-4-옥소부틸)(4-메톡시벤질)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053
표제 화합물을 4-아미노부티르산으로부터 실시예 15A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8A
벤질 부틸(4-클로로-4-옥소부틸)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054
먼저, 4-{[(벤질옥시)카르보닐](부틸)아미노}부티르산을 문헌 절차 [Org. Prep. Proc. Int. 9 (2), 49 (1977)]에 따라 N-부틸피롤리돈으로부터 락탐 개방한 후 Z 보호기를 도입하여 제조하였다. 별법으로, 문헌 [J. Org.Chem. 1985, 50, 1303]에 따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응하는 산 클로라이드를 실시예 1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예시적 실시양태:
카르복실산의 세슘염 또는 적합하게 보호된 아미노산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일반 절차 1
적절한 카르복실산 또는 티오카르복실산 1 mmol을 디옥산 10 ml와 물 10 ml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탄산세슘 0.5 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동결건조시켰다.
하기 실시예 1 내지 11은 반응식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0A로부터의 화합물을 일반 절차 1에 따라 수득한 적절한 카르복실산 또는 티오카르복실산의 세슘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
2-[[(5-클로로-2-티에닐)카르보닐]({(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아미노]-2-옥소에틸 글리시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55
실시예 2
2-[[(5-클로로-2-티에닐)카르보닐]({(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아미노]-2-옥소에틸 2-메틸알라니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56
실시예 3
2-[[(5-클로로-2-티에닐)카르보닐]({(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아미노]-2-옥소에틸 L-발리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57
실시예 4
2-[[(5-클로로-2-티에닐)카르보닐]({(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아미노]-2-옥소에틸 L-프롤리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58
실시예 5
2-[[(5-클로로-2-티에닐)카르보닐]({(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아미노]-2-옥소에틸 N-메틸글리시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59
실시예 6
2-[[(5-클로로-2-티에닐)카르보닐]({(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아미노]-2-옥소에틸 D-발리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60
실시예 7
2-[[(5-클로로-2-티에닐)카르보닐]({(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아미노]-2-옥소에틸 L-리시네이트 디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61
실시예 8
2-[[(5-클로로-2-티에닐)카르보닐]({(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아미노]-2-옥소에틸 L-히스티디네이트 디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62
실시예 9
2-[[(5-클로로-2-티에닐)카르보닐]({(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아미노]-2-옥소에틸 D-히스티디네이트 디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63
실시예 10
S-{2-[[(5-클로로-2-티에닐)카르보닐]({(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아미노]-2-옥소에틸} (2S)-2-아미노-3-메틸부탄티오에이트 히드로브로마이드
Figure pct00064
실시예 11
S-{2-[[(5-클로로-2-티에닐)카르보닐]({(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아미노]-2-옥소에틸} (2S)-2-아미노-3-메틸부탄티오에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65
실시예 12
5-클로로-N-[4-(메틸아미노)부타노일]-N-({(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히드로브로마이드
Figure pct00066
하기 화합물을 적절한 출발 화합물로부터 실시예 13과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다. 빙초산 중 브롬화수소를 직접 사용하여 벤질옥시카르보닐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목적 화합물을 생성하거나, 또는 먼저 화합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반응시키고, 이후 빙초산 중 브롬화수소와 반응시킨 후 목적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실시예 13
5-클로로-N-[4-(메틸아미노)부타노일]-N-({(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67
단계 a):
화합물 A 300 mg (0.661 mmol)을 DMF 20 ml에 용해시키고, 수소화나트륨 48 mg (1.98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DMF 2 ml에 용해된 실시예 11A로부터의 화합물 892 mg (3.3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 1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소적의 물을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100 ml 중에 취하였다. 염화수소를 상기 용액에 도입하여 포화시킨 다음, 혼합물을 밤새 방치하였다. 용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중에 취하였다. 혼합물을 먼저 각 경우 5% 농도 중탄산나트륨 용액 50 ml로 3회 추출한 다음, 물 50 ml로 1회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이동상 톨루엔/에탄올 (10:1)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합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초음파 조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2회 처리하고, 용매를 경사 제거한 다음, 잔류물을 고진공 하에서 건조시켰다. 이로써 보호된 화합물 130 mg (29%)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8
단계 b):
상기 수득한 Z-보호된 중간체 127 mg (0.185 mmol)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5 ml 중에 취하고, 용액을 실온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 50 ml 중에 취하였다. 혼합물을 각 경우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3회 추출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수성 염산에 용해시키고, 이를 pH 3으로 조정하고 동결건조시켰다. 동결건조물을 수성 염산 중에 1회 초과로 취하고, 이를 pH 3으로 조정하고, 다시 동결건조시켰다. 남아있는 것은 표제 화합물 67 mg (62%)이었다.
Figure pct00069
하기 화합물은 적절한 출발 화합물로부터 실시예 13과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다. 초기에 수득한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각 경우에서 사용하여 적절한 산과 반응시킴으로써 다른 염 형태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4
5-클로로-N-[5-(메틸아미노)펜타노일]-N-({(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히드로브로마이드
Figure pct00070
실시예 15
N-메틸글리실-N-[(5-클로로-2-티에닐)카르보닐]-N2-메틸-N-({(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글리신아미드 히드로브로마이드
Figure pct00071
실시예 16
N-메틸-β-알라닐-N-[(5-클로로-2-티에닐)카르보닐]-N2-메틸-N-({(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글리신아미드 히드로브로마이드
Figure pct00072
실시예 17
5-클로로-N-[5-(메틸아미노)펜타노일]-N-({(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73
실시예 18
5-클로로-N-[6-(메틸아미노)헥사노일]-N-({(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74
실시예 19
N-(4-아미노부타노일)-5-클로로-N-({(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75
단계 a):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화합물 A 0.5 g (1.1 mmol)을 DMF 27 ml에 용해시키고, 수소화나트륨 79 mg (3.31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DMF 3 ml에 용해된, 실시예 17A로부터의 새로 제조된 화합물 4.14 g (11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추가 15분 동안 계속 교반한 다음, 메탄올 1 m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 농도 중탄산나트륨 용액과 에틸 아세테이트의 1:1 혼합물에 부었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10% 농도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2회 초과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상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중 염화수소의 포화 용액 5 ml와 함께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여 에놀 에스테르를 생성하고, 먼저 형성된 에놀 에스테르를 분리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남아있는 잔류물을 이동상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비는 1:1에서 1:2를 거쳐 1:3으로 증가함)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농축시켜 발포체로서 이중 보호된 화합물 A 124 mg (이론치의 8%)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6
단계 b):
상기 수득한 중간체 118 mg (0.149 mmol)을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6 ml에서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고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이 시간 동안 온도는 약 20℃에서 유지하였다. 잔류물을 수성 염산 50 ml 중에 취하고, pH 3으로 조정하고, 디클로로메탄 75 ml를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진탕한 다음, 수성상을 분리하고, 고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분취용 HPLC (방법 13)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합하고, 농축시킨 다음, 1 N 염산으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59 mg (이론치의 69%)
Figure pct00077
하기 화합물은 적절한 출발 화합물로부터 실시예 19와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20
N-(5-아미노펜타노일)-5-클로로-N-({(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78
실시예 21
N-(6-아미노헥사노일)-5-클로로-N-({(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79
실시예 22
N-[4-(부틸아미노)부타노일]-5-클로로-N-({(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80
단계 a):
화합물 A 790 mg (1.74 mmol)을 DMF 60 ml에 용해시키고, 수소화나트륨 125 mg (5.22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DMF 10 ml에 용해된 실시예 18A 5.43 g (17.4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추가 20분 동안 계속 교반한 다음, 물 10 m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 중에 취하고, 각 경우 10% 농도 탄산나트륨 용액 50 ml로 2회 및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1회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상을 분리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이동상 디클로로메탄/아세토니트릴 (혼합비는 5:1에서 2:1로 증가함)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농축시켰다. 남아있는 생성물을 분취용 HPLC (방법 1)에 의해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의 Z-보호된 중간체를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이후 고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생성물 140 mg (이론치의 11%)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1
단계 b):
보호된 중간체 4.7 mg (0.006 mmol)을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 ml 중에 취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이때 온도는 약 20℃에서 유지하였다. 잔류물을 pH 3으로 조정한 묽은 염산 30 ml 중에 취하고, 디클로로메탄 10 ml를 첨가하였다. 상을 분리한 다음, 수성상을 디클로로메탄 및 이후 에틸 아세테이트 5 ml로 1회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감압 하에서 약 20 ml의 부피로 농축시킨 다음, 동결건조시켰다. 이어서, 동결건조물을 염산 (pH 3) 중에 1회 초과로 취하고, 여과하고, 다시 동결건조시켰다. 이로써 생성물 2.7 mg (이론치의 66%)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2
하기 화합물은 적절한 출발 화합물로부터 실시예 19와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23
N-[(2-아미노에톡시)아세틸]-5-클로로-N-({(5S)-2-옥소-3-[2-플루오로-4-(3-옥소모르폴린-4-일)페닐]-1,3-옥사졸리딘-5-일}메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83
B. 용해도, 안정성 및 유리 거동의 측정
a) 용해도의 측정:
시험 물질을 물 또는 묽은 염산 (pH 4)에 현탁시켰다. 이 현탁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224,000 g에서 30분 동안 초원심분리 후, 상청액을 DMSO로 희석하고, HPLC로 분석하였다. DMSO 중의 시험 화합물의 2-포인트 보정 플롯 (two-point calibration plot)을 정량에 이용하였다.
HPLC 방법:
DAD (G1315A), 4원 펌프 (G1311A), 오토샘플러 CTC HTS PAL, 탈기 장치 (G1322A) 및 컬럼 온도 조절 장치 (G1316A)를 갖는 애질런트 1100; 컬럼: 조르박스 엑스텐드(Zorbax Extend)-C18 3.5 μ; 온도: 40℃; 이동상 A: 물 + 과염소산 5 ml/l,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유속: 0.7 ml/분; 구배: 0-0.5분 98% A, 2% B; 경사 0.5-4.5분 10% A, 90% B; 4.5-6분 10% A, 90% B; 경사 6.5-6.7분 98% A, 2% B; 6.7-7.5분 98% A, 2% B.
b) 다양한 pH 값의 완충액에서의 안정성:
시험 물질 0.25 mg을 칭량하여 2 ml HPLC 바이알에 넣고, 아세토니트릴 0.5 ml를 첨가하였다. 샘플 용기를 초음파 조 내에 약 10초 동안 둠으로써 물질을 용해시켰다. 이어서, 각각의 완충 용액 0.5 ml를 첨가하고, 샘플을 다시 초음파 조 내에서 처리하였다.
사용된 완충 용액:
pH 4.0: 밀리포어(Millipore) 물 1 l를 1 N 염산을 이용하여 pH 4로 조정함;
pH 7.4: 염화나트륨 90 g, 인산이수소칼륨 13.61 g 및 1 M 수산화나트륨 용액 83.35 g을 밀리포어 물과 함께 1 l로 만들고, 이어서 1:10으로 희석함.
시험 용액 10 μl 부분을 37℃에서 24시간에 걸쳐 매 시간 변화되지 않는 시험 물질의 함량에 대해 HPLC로 분석하였다. 적절한 피크의 면적(%)을 정량에 이용하였다.
HPLC 방법:
DAD (G1314A), 2원 펌프 (G1312A), 오토샘플러 (G1329A), 컬럼 오븐 (G1316A), 온도 조절 장치 (G1330A)를 갖는 애질런트 1100; 컬럼: 크로마실 100 C18, 125 mm x 4 mm, 5 μm; 컬럼 온도: 30℃; 이동상 A: 물 + 과염소산 5 ml/l,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구배 :
0-1.0분 98% A, 2% B → 1.0-13.0분 50% A, 50% B → 13.0-17.0분 10% A, 90% B → 17.0-18.0분 10% A, 90% B → 18.0-19.5 98% A, 2% B → 19.5-23.0분 98% A, 2% B; 유속: 2.0 ml/분; UV 검출: 210 nm.
pH 4의 용액에서, 실시예 22로부터의 화합물은 16시간 초과 동안 안정하였다.
c) 래트 혈장 및 인간 혈장에서의 시험관내 안정성 ( HPLC 검출):
물질 0.5 mg을 디메틸 술폭시드/물 (1:1) 1 ml에 용해시켰다. 이 샘플 용액 500 μl를 래트 혈장 500 μl와 37℃에서 혼합하고, 진탕하였다. HPLC 분석을 위해 최초 샘플 (10 μl)을 즉시 취하였다. 인큐베이션 개시 후 2시간까지의 시간에서, 2, 5, 10, 30, 60 및 90분 후 추가의 분취액을 취하고, 각각의 시험 물질 및 이로부터 유리된 활성 성분인 화합물 A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HPLC -방법:
DAD (G1314A), 2원 펌프 (G1312A), 오토샘플러 (G1329A), 컬럼 오븐 (G1316A), 온도 조절 장치 (G1330A)를 갖는 애질런트 1100; 컬럼: 크로마실 100 C18, 250 mm x 4.6 mm, 5 μm; 컬럼 온도: 30℃; 이동상 A: 물 + 과염소산 5 ml/l,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구배:
0-3.0분 69% A, 31% B → 3.0-18.0분 69% A, 31% B → 18.0-20.0분 10% A, 90% B → 20.0-21.0 90% A, 10% B → 21.0-22.5.0분 98% A, 2% B → 22.5-25.0분 98% A, 2% B; 유속: 2.0 ml/분; UV 검출: 248 nm.
결과:
이 시험에서, 실시예 22로부터의 화합물을 래트 혈장 및 인간 혈장 모두에서 2분 미만의 반감기로 활성 성분인 화합물 A를 방출하도록 분해하였다. 래트 혈장에서, 실시예 13 및 19로부터의 화합물은 5분 이내에 활성 성분인 화합물 A로 완전히 전환되었다.
d) 래트 및 인간 혈장에서의 시험관내 안정성 ( LC / MS - MS 검출):
소정 부피의 혈장 (예를 들어 2.0 ml)을 수조 내 폐쇄된 시험관에서 37℃로 가온하였다. 의도한 온도에 도달한 후, 한정된 양의 시험 물질을 용액으로서 첨가하였다 (용매 부피는 혈장 부피의 2% 이하임). 혈장을 진탕하고, 최초 샘플 (50-100 μl)을 즉시 취하였다. 이어서, 인큐베이션 개시 후 2시간까지의 시간에서 4 내지 6개의 추가 분취액을 취하였다.
아세토니트릴을 혈장 샘플에 첨가하여 단백질을 침전시켰다. 원심분리 후, 상청액 중 시험 물질 및 적절한 경우 시험 물질의 알려진 절단 생성물을 적합한 LC/MS-MS 방법으로 정량 측정하였다.
헤파린 처리된 래트 또는 인간 혈액의 안정성 측정을 혈장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e) 위스타 ( Wistar ) 래트에서의 정맥내 (i.v.) 약역학 :
물질 투여 전날에, 혈액 채취용 카테터를 이소플루란(Isofluran)® 마취 하의 실험용 동물 (수컷 위스타 래트, 체중 200 내지 250 g)의 경정맥 내에 이식하였다.
실험 당일에, 소정 용량의 시험 물질을 용액으로서 해밀톤(Hamilton)® 유리 주사기를 사용하여 꼬리 정맥에 투여하였다 (볼루스 투여, 투여 지속기간 10초 미만). 물질 투여 후 24시간에 걸쳐 순차적으로 카테터를 통해 혈액 샘플 (8 내지 12 시점)을 취하였다. 헤파린 처리된 관에서 샘플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수득하였다. 각 시점마다 소정 부피의 혈장에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여 단백질을 침전시켰다. 원심분리 후, 상청액 중 시험 물질 및 적절한 경우 시험 물질의 알려진 절단 생성물을 적합한 LC/MS-MS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 측정하였다.
측정된 혈장 농도를 사용하여 시험 물질 및 이로부터 유리된 활성 성분인 화합물 A의 약역학 파라미터, 예컨대 AUC, Cmax, T1 /2 (반감기) 및 CL (제거율)을 계산하였다.
f) 대사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간세포 분석:
실험에서 가능한 한 선형 역학 상태를 보장하기 위해, 화합물을 낮은 농도 (바람직하게는 1 μM 미만)에서 낮은 세포수 (바람직하게는 1 × 106 세포/ml)로 인큐베이션함으로써, 간세포 존재 하의 시험 화합물의 대사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LC-MS 분석을 위해 7개의 인큐베이션 용액 샘플을 정해진 시간 패턴으로 취하여 화합물의 반감기 (즉 분해)를 측정하였다. 다양한 제거율 파라미터 (CL) 및 Fmax 값을 이 반감기로부터 계산하였다 (하기 참조).
CL 및 Fmax 값은 간세포에서의 화합물의 1 기 및 2 기 대사작용의 척도를 나타낸다. 인큐베이션 혼합물 중의 효소에 대한 유기 용매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농도를 일반적으로 1% (아세토니트릴) 또는 0.1% (DMSO)로 제한하였다.
간 1 g 당 세포 1.1 × 108개의 간 내 간세포에 대한 세포수를 모든 종 및 품종에 대한 계산에 이용하였다. 인큐베이션 시간 (통상적으로 90분)을 넘어 연장되는 반감기에 기초하여 계산된 CL 파라미터는 단지 대강의 지침으로만 간주할 수 있다.
계산된 파라미터 및 그 의미는 하기와 같다:
교반된 F max [%] 경구 투여 후 가능한 최대 생체이용률
계산: (1 - 잘 교반된 CL혈액/QH) * 100
교반된 CL 혈액 [L/(h* kg )] 계산된 혈액 제거율 (잘 교반된 모델)
계산: (QH * CL'고유) / (QH + CL'고유)
CL' 고유 [ ml /(분* kg )] 화합물을 대사시키는 간의 (간세포의) 최대 능력 (간혈류가 속도-제한적이지 않다는 가정 하에)
계산: CL'고유, 겉보기 * 종-특이적 간세포 수 [간 1 g 당 1.1 * 108개] * 종-특이적 간 중량 [g/kg]
CL' 고유, 겉보기 [ ml /(분* mg )] 이를 사용된 간세포의 세포수 x (x * 106/ml)로 나눔으로써 제거 상수를 정규화함
계산: kel [l/분] / (세포수 [x * 106] / 인큐베이션 부피 [ml])
(QH = 종-특이적 간 혈류).
g) 래트의 동정맥 단락 모델에서 항혈전 효과의 측정:
롬푼/케타베트(Rompun/Ketavet) 용액 (12 mg/kg/50 mg/kg)을 복막내 투여하여, 금식시킨 수컷 래트 (계통: HSD CPB:WU)를 마취하였다. 문헌 [P.C. Wong et al., Thrombosis Research 83 (2), 117-126 (1996)]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동정맥 단락에서 혈전 형성을 유도하였다. 이를 위해, 좌측 경정맥 및 우측 경동맥을 노출시켰다. 8 cm 길이의 폴리에틸렌 카테터 (PE60, 벡톤-딕킨슨(Becton-Dickinson) 제품)를 동맥에 고정시키고, 이어서 거친 나일론사 (60 x 0.26 mm, 버클리 트릴렌(Berkley Trilene) 제품)를 함유하는 6 cm 길이의 타이곤(Tygon) 튜브 (R-3606, ID 3.2 mm, 크론랩(Kronlab) 제품)를 이중 루프로 만들어 혈전 형성 표면을 생성하였다. 2 cm 길이의 폴리에틸렌 카테터 (PE60, 벡톤-딕킨슨 제품)를 경정맥에 고정시키고, 6 cm 길이의 폴리에틸렌 카테터 (PE160, 벡톤-딕킨슨 제품)로 타이곤 튜브에 연결시켰다. 튜브를 생리적 식염수로 채운 후, 단락을 개방하였다. 체외 순환을 15분 동안 유지시켰다. 이어서, 단락을 제거하고, 혈전을 갖는 나일론사를 즉시 칭량하였다. 실험 개시 전에 나일론사의 영점 중량을 측정하였다. 시험 물질 (0.1 N 염산을 이용하여 pH 4로 조정된 생리적 식염수 중의 용액으로서)을 볼루스 주사로서 투여한 후, 체외 순환되도록 하였다.
C. 제약 조성물의 예시적 실시양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제약 제제로 전환될 수 있다:
정맥내 용액: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 (예를 들어 등장성 식염수, 5% 글루코스 용액 및/또는 30% PEG 400 용액, 이들은 각각 pH 3 내지 5로 조정됨)에 포화 용해도 미만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적절한 경우,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시키고/거나, 멸균 및 발연원-무함유 주사 용기 내에 분주하였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염의 용매화물.
    <화학식 I>
    Figure pct00084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이거나 히드록시 또는 (C1-C4)-알콕시로 치환될 수 있는 (C1-C4)-알킬이고,
    R2는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L은 하나의 CH2기가 O 원자로 대체될 수 있는 (C1-C4)-알칸디일기이거나 하기 화학식의 기이며,
    Figure pct00085

    상기 식에서,
    *는 N 원자에 대한 연결점을 의미하고,
    R3은 천연 α-아미노산 또는 그의 동족체 또는 이성질체의 측기이거나 또는
    R3은 R1에 연결되어 둘이 함께 (CH2)3 또는 (CH2)4 기를 형성하고,
    R4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R5는 (C1-C4)-알킬이고,
    R6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2가 수소이고,
    L이 (C2-C4)-알칸디일기이거나 하기 화학식의 기이며,
    Figure pct00086

    상기 식에서,
    *는 N 원자에 대한 연결점을 의미하고,
    R3은 수소, 메틸, 프로판-2-일, 프로판-1-일, 이미다졸-4-일메틸,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카르바모일메틸, 2-카르바모일에틸, 4-아미노부탄-1-일, 3-아미노프로판-1-일 또는 3-구아니디노프로판-1-일이거나 또는
    R3은 R1에 연결되어 둘이 함께 (CH2)3 또는 (CH2)4 기를 형성하고,
    R4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R5는 메틸이고,
    R6은 수소 또는 메틸
    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염의 용매화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메틸 또는 n-부틸이고,
    R2가 수소이고,
    L이 CH2CH2기이거나 또는 하기 화학식의 기이며,
    Figure pct00087

    상기 식에서,
    *는 N 원자에 대한 연결점을 의미하고,
    R3은 수소, 메틸, 프로판-2-일, 프로판-1-일, 이미다졸-4-일메틸, 히드록시메틸, 1-히드록시에틸, 카르바모일메틸, 2-카르바모일에틸, 4-아미노부탄-1-일, 3-아미노프로판-1-일 또는 3-구아니디노프로판-1-일이거나 또는
    R3은 R1에 연결되어 둘이 함께 (CH2)3 또는 (CH2)4 기를 형성하고,
    R4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R6은 수소 또는 메틸
    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용매화물 또는 염의 용매화물.
  4. [A] 하기 화학식 A의 화합물을 먼저 비활성 용매 중에서 염기의 존재 하에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로 전환시킨 다음, 이를 비활성 용매 중에서 하기 화학식 IV의 α-아미노 카르복실산 또는 α-아미노 티오카르복실산의 세슘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이후 보호기 PG를 제거하여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을 생성하거나, 또는
    <화학식 A>
    Figure pct00088

    <화학식 II>
    Figure pct00089

    (상기 식에서,
    R2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나타낸 의미를 갖고,
    Q는 예를 들어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와 같은 이탈기임)
    <화학식 III>
    Figure pct00090

    (상기 식에서, Q 및 R2는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화학식 IV>
    Figure pct00091

    (상기 식에서,
    R1, R3 및 R4는 각각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나타낸 의미를 갖고,
    PG는 예를 들어 tert-부톡시카르보닐 (Boc) 또는 벤질옥시카르보닐 (Z)과 같은 아미노 보호기이고,
    X는 O 또는 S임)
    <화학식 V>
    Figure pct00092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PG 및 X는 각각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화학식 I-A>
    Figure pct00093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및 X는 각각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B] 화학식 A의 화합물을 비활성 용매 중에서 염기의 존재 하에 하기 화학식 V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VII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이후 보호기 PG를 제거하여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을 생성하거나, 또는
    <화학식 VI>
    Figure pct00094

    (상기 식에서,
    PG는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갖고,
    R1A는 히드록시 또는 (C1-C4)-알콕시로 치환될 수 있는 (C1-C4)-알킬이고,
    L1은 하나의 CH2기가 O 원자로 대체될 수 있는 (C1-C4)-알칸디일기임)
    <화학식 VII>
    Figure pct00095

    (상기 식에서, R1A, L1 및 PG는 각각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화학식 I-B>
    Figure pct00096

    (상기 식에서, R1A 및 L1은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C] 하기 화학식 B의 화합물을 먼저 하기 화학식 VIII의 화합물로 전환시킨 다음, 이를 비활성 용매 중에서 염기의 존재 하에 하기 화학식 IX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X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이후 보호기 PG를 제거하여 하기 화학식 I-C의 화합물을 생성하거나, 또는
    <화학식 B>
    Figure pct00097

    <화학식 VIII>
    Figure pct00098

    (상기 식에서,
    PG, R1, R2 및 R5는 각각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나타낸 의미를 갖고,
    L2는 (CH2)2 또는 CR3R4 기이며, 여기서 R3 및 R4는 각각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나타낸 의미를 가짐)
    <화학식 IX>
    Figure pct00099

    <화학식 X>
    Figure pct00100

    (상기 식에서, PG, L2, R1, R2 및 R5는 각각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화학식 I-C>
    Figure pct00101

    (상기 식에서, L2, R1, R2 및 R5는 각각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D] 화학식 A의 화합물을 비활성 용매 중에서 염기의 존재 하에 하기 화학식 X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XII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이후 보호기 PG1 및 PG2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하기 화학식 I-D의 화합물을 생성하며,
    <화학식 XI>
    Figure pct00102

    (상기 식에서,
    L1은 하나의 CH2기가 O 원자로 대체될 수 있는 (C1-C4)-알칸디일기이고,
    PG1 및 PG2는 서로 독립적으로 예를 들어 tert-부톡시카르보닐 (Boc), 벤질옥시카르보닐 (Z) 또는 p-메톡시벤질 (PMB)과 같은 아미노 보호기이며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음)
    <화학식 XII>
    Figure pct00103

    (상기 식에서, L1, PG1 및 PG2는 각각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화학식 I-D>
    Figure pct00104

    (상기 식에서, L1은 상기 나타낸 의미를 가짐)
    각 경우 생성된 화학식 I-A, I-B, I-C 및 I-D의 화합물을 적절한 경우 적절한 (i) 용매 및/또는 (ii) 산을 이용하여 그의 용매화물, 염 및/또는 염의 용매화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6. 혈전색전성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적절한 경우 비활성, 비독성의 제약상 적합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의약.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추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포함하는 의약.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혈전색전성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맥내 사용하기 위한 의약.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하나 이상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의약을 사용하여 인간 및 동물의 혈전색전성 장애를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
KR1020107000465A 2007-07-11 2008-06-28 혈전색전성 장애를 위한 활성 제약 성분으로서의 아미노아실 전구약물 KR201000315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32345A DE102007032345A1 (de) 2007-07-11 2007-07-11 Aminoacyl-Prodrugs
DE102007032345.1 2007-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535A true KR20100031535A (ko) 2010-03-22

Family

ID=3978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465A KR20100031535A (ko) 2007-07-11 2008-06-28 혈전색전성 장애를 위한 활성 제약 성분으로서의 아미노아실 전구약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10172232A1 (ko)
EP (1) EP2167500A1 (ko)
JP (1) JP2010532771A (ko)
KR (1) KR20100031535A (ko)
CN (1) CN101730695A (ko)
AU (1) AU2008274578A1 (ko)
BR (1) BRPI0814210A2 (ko)
CA (1) CA2693507A1 (ko)
DE (1) DE102007032345A1 (ko)
IL (1) IL202488A0 (ko)
RU (1) RU2010104475A (ko)
WO (1) WO2009007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8320A1 (de) * 2007-06-20 2008-12-24 Bayer Healthcare Ag Substituierte Oxazolidinone und ihre Verwendung
US7816355B1 (en) * 2009-04-28 2010-10-19 Apotex Pharmachem Inc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rivaroxaban and intermediates thereof
CN102796092B (zh) * 2011-05-24 2015-04-08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噁唑烷酮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IN2014DN09450A (ko) * 2012-04-16 2015-07-17 Ranbaxy Lab Ltd
CN104193739A (zh) * 2014-09-11 2014-12-10 北京诺泓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利伐沙班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80973B2 (en) 1999-06-25 2005-04-28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Prodrugs of carbamate inhibitors of IMPDH
CA2452513A1 (en) 2001-07-12 2003-01-23 Pharmacia & Upjohn Company Amide-containing compound having improved solubility and method of improving the solubility of an amide-containing compound
DE10300111A1 (de) 2003-01-07 2004-07-15 Bayer Healthcar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5-Chlor-N-({(5S)-2-oxo-3-[4-(3-oxo-4-morpholinyl)-phenyl]-1,3-oxazolidin-5-yl}-methyl)-2-thiophencarboxamid
US7265140B2 (en) 2003-09-23 2007-09-04 Pfizer Inc Acyloxymethylcarbamate prodrugs of oxazolidinones
DE102006007146A1 (de) * 2006-02-16 2007-08-23 Bayer Healthcare Ag Aminoacyl-Prodr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93507A1 (en) 2009-01-15
JP2010532771A (ja) 2010-10-14
CN101730695A (zh) 2010-06-09
EP2167500A1 (de) 2010-03-31
DE102007032345A1 (de) 2009-01-15
RU2010104475A (ru) 2011-08-20
WO2009007027A1 (de) 2009-01-15
IL202488A0 (en) 2010-06-30
AU2008274578A1 (en) 2009-01-15
BRPI0814210A2 (pt) 2015-01-27
US20110172232A1 (en)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14766B2 (en) Aminoacyl prodrug derivatives and medicaments for the treatment of thromboembolitic disorders
US7932278B2 (en) 2-aminoethoxyacetic acid derivatives and their use
AU2007287749B2 (en) Aminoacyl prodrug derivatives and medicaments for treatment of thromboembolic disorders
KR20100031535A (ko) 혈전색전성 장애를 위한 활성 제약 성분으로서의 아미노아실 전구약물
KR20100031534A (ko) 아미노아실 전구약물
JP2008521844A (ja) 環状イミノカルバメート類およびそれらの使用
JP2008522992A (ja) ピラジンジカルボキサミド類およびそれらの使用
JP2009514822A (ja) フェニレン−ビス−オキサゾリジン誘導体およびそれら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