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183A - 표시장치, 영상표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영상표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183A
KR20100031183A KR1020080090145A KR20080090145A KR20100031183A KR 20100031183 A KR20100031183 A KR 20100031183A KR 1020080090145 A KR1020080090145 A KR 1020080090145A KR 20080090145 A KR20080090145 A KR 20080090145A KR 20100031183 A KR20100031183 A KR 20100031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put
image
display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아
고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1183A/ko
Publication of KR20100031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put/output type connection, e.g. channel, I/O 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 영상표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인터페이스를 갖는 표시장치 및 상기 제1인터페이스와 통신 가능한 제2인터페이스를 갖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시스템은 상기 입력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입력표시부와; 상기 입력표시부에 표시된 데이터 영상을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입력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장치는, 출력표시부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영상을 상기 출력표시부 상에서 편집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표시장치, 영상표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Figure P1020080090145
PDA, PMP, 휴대용 단말기

Description

표시장치, 영상표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표시장치, 영상표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패드를 포함하지 않는 표시장치,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및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들이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다. 특히, PDA는 개인 정보 관리 및 통신 기능을 갖춘 휴대하기 쉬운 소형 개인용 단말기로써,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소형화를 위하여 물리적인 키패드를 구비하지 않을 채, 터치스크린 패널을 마련하고 포인터 또는 그 밖의 도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의 경우, 데이터 입력을 위하여 표시부에 키패드 영상을 표시해야 하기 때문에 표시부의 크기가 실질적으로 감소하고, 터치만으로 데이터를 입력 받기 때문에 입력 속도가 느리고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인터페이스를 갖는 표시장치 및 상기 제1인터페이스와 통신 가능한 제2인터페이스를 갖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입력표시부와; 상기 입력표시부에 표시된 데이터 영상을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입력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장치는, 출력표시부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영상을 상기 출력표시부 상에서 편집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입력장치는 사용자에게 친숙한 키패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데이터 영상을 메시지 데이터 포맷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표시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포맷의 상기 데이터 영상을 텍스트 포맷 및 이미지 포맷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데이터 영상은 삭제, 변경 또는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는 전송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전송키의 선택에 의하여 발생한다.
상기 입력제어부는 상기 전송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표시장치로 출력된 상기 데이터 영상을 상기 입력표시부에서 삭제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USB 통신 및 무선 USB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PDA 및 PM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입력표시부를 갖는 입력장치와, 출력표시부를 갖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입력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표시부에 표시된 데이터 영상을 상기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영상을 상기 출력표시부 상에서 편집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데이터 포맷을 갖는 상기 데이터 영상을 상기 출력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입력장치로부터 메시지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영상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표시부와; 상기 데이터 영상을 상기 표시부 상에서 편집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를 갖는 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입력장치로부터 메시지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영상을 상기 표시부 상에서 편집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데이터 포맷이 변환된 상기 데이터 영상을 상기 표시부 에 표시되었던 영상과 합성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시스템은 표시장치(100)와 입력장치(200)를 포함한다. 표시장치(100)와 입력장치(200)는 유선 케이블(3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장치(2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영상은 표시장치(100)에 표시된다.
표시장치(100)는 영상이 표시되는 출력표시부(120) 및 케이블(300)을 통하여 입력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는 제1인터페이스(1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데이터 입력을 위한 물리적인 키패드를 포함하지 않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PDA 및 PM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표시장치(10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어떠한 전자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출력표시부(120)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패널 또는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OLE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표시부(120)는 포인팅 디바이스 또는 광 디바이스 등의 접촉에 의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패널 또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상부 또는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200)는 키패드(220)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이며, 케이블(300)과 연결되어 있는 제2인터페이스(210), 키패드(220)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입력표시부(230)를 포함한다. 키패드(220)는 숫자, 문자, 여러 가지 기호, 특수 문자 등을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키와, 방향키,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전송키(221) 및 종료키 등을 포함한다. 입력표시부(230)는 출력표시부(120)와 같이 액정패널 또는 OLE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영상표시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는 출력표시부(120)와 제1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하는 표시제어부(130)를 더 포함하고, 입력장치(200)는 제2인터페이스(210), 키패드(220) 및 입력표시부(230)를 제어하는 입력제어부(240)를 더 포함한다.
제1인터페이스(110) 및 제2인터페이스(210)는 표시장치(100)와 입력장치(200) 사이를 연결하여 양 장치(100, 200) 간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에 해당한다. 제1인터페이스(110) 및 제2인터페이스(210)는 케이블(300)이 연결되는 물리적인 커넥터와 커넥터를 통하여 데이터가 입출력 될 수 있도록 지원하 는 통신규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300)은 USB 케이블이며, 제1인터페이스(110) 및 제2인터페이스(210)는 USB 인터페이스 이다. USB 인터페이스는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하므로 제1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입력장치(200)가 연결될 경우, 표시장치(100)를 재 부팅할 필요가 없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인터페이스(110) 및 제2인터페이스(210)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및 무선 USB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메시지 전송서비스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장치(100) 및 입력장치(200)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입력장치(200)에서 표시장치(10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데이터 영상의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출력표시부(120) 및 입력표시부(230)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키패드(220)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표시부(230)에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화기에서 구현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가 표시된다(도 3a). “봄 여름 가을 겨울 *”이 입력표시부(230)에 표시된 후, 사용자에 의하여 전송키(221)가 선택되면 입력제어부(240)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을 표시장치(100)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키(221)의 의하여 데이터가 전송되기 전에 입력표시부(230)에 표시되는 영상 및 이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데이터 영상(Ⅰ)이라고 정의한다. 데이터 영상(Ⅰ)은 전송키(221)의 선택에 의하여 한 번에 표시장 치(100)로 출력되는 데이터 유닛에 해당한다. 입력제어부(240)는 전송키(221)의 선택에 의하여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 영상(Ⅰ)을 표시장치(100)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입력장치(200)로부터 표시장치(100)로 출력되는 데이터 영상은 메시지 데이터 포맷을 갖는다. 휴대용 전화기가 외부로 출력하는 메시지 데이터 포맷은 통상적으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태를 가지므로 입력장치(200)는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데이터 변환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제어부(130)는 제1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 영상의 데이터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표시부(120)에 출력한다. 즉, 표시제어부(130)는 데이터 영상이 출력표시부(120)에 표시될 수 있도록 메시지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영상을 다른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고 데이터 영상의 해상도 등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제어부(130)는 데이터 영상의 데이터 포맷을 텍스트 포맷 또는 이미지 포맷으로 변환한다. 또한, 표시제어부(130)는 입력된 데이터 영상이 출력표시부(120) 상에서 편집될 수 있도록 데이터 영상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한다. 즉, 출력표시부(120) 상에 표시된 데이터 영상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삭제되거나 수정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또는, 표시장치(100)에서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키패드(220)를 갖는 입력장치(200)를 이용하여 키패드 를 포함하지 않는 표시장치(100)에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익숙한 키패드(220)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오타 발생률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데이터 입력을 위하여 할애해야 했던 표시 공간을 영상 표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넓은 표시부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b와 같이, 출력표시부(120)에 데이터 영상이 표시되면 즉 제어신호에 의하여 데이터 영상이 입력장치(200)에서 표시장치(100)로 전송되면 입력제어부(240)는 입력표시부(230)에서 데이터 영상(Ⅰ)을 삭제한다. 그리고, 다시 새로운 데이터 영상이 표시장치(100)로 출력된다면, 새로운 데이터 영상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의 다음 줄에 표시된다. 물론, 전송키(221)에 의하여 한 번에 전송되는 데이터 영상의 표시 방식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전송될 때 마다 새로운 페이지에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영상(Ⅰ)은 삭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전송의 단위가 되는 데이터 영상마다 상이한 색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데이터 영상을 수정하여 재전송할 필요가 있을 때 활용될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영상표시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영상표시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표시장치(100)와 입력장치(200)를 소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연결한다(S10). 양 장치(100, 200)는 케이블(300)과 같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표시장치(100)는 인 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장치를 인식하고 입력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자신의 입력부(예컨대, 터치패널)를 디스에이블 시킨다.
사용자는 키패드(220)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며(S20), 입력된 데이터는 입력장치(200)의 입력표시부(230)에 표시된다(S30).
표시된 데이터 영상(Ⅰ)은 전송키(221)에 의한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장치(100)로 출력된다(S40).
표시제어부(130)는 수신된 데이터 영상의 데이터 포맷을 표시장치(100)에서 지원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S50). 데이터 영상이 단문 메시지 데이터 포맷이라면 이를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하고, 멀티 미디어 메시지 데이터 포맷이라면 이미지 또는 사운드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 포맷이 변경된 데이터 영상은 표시장치(100)에서 삭제, 변경 또는 저장되는 등의 다양한 편집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변환된 데이터 영상은 표시장치(100)의 출력표시부(120)에 표시되고(S60), 입력장치(200)에서는 데이터 영상(Ⅰ)이 삭제된다(S70).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영상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출력표시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2의 표시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제어부(130)는 입력되는 데이터 영상의 데이터 포맷을 텍스트 포맷 등으로 변환한 후, 이를 출력표시부(120)에 표시되어 있는 기존의 영상과 합성한다. 도 5a의 출력표시부(120)에는 “The sky is dark”가 첫 번째 줄에 표시되어 있고, 그 다음 줄에 “It rains”가 표시되어 있다. 이런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데이터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 표시제어부(130)는 도 5b와 같이 “It rains”에 이어 “Wind blows”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다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표시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되었기 때문에 표시장치에서 삭제, 수정 및 저장 등의 편집이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영상만을 또는 기존의 영상과 합성된 데이터를 한꺼번에 저장할 수도 있다. 만약, 표시장치에서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면, 출력표시부(120)에 표시된 데이터 영상을 다른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영상은 이미 출력표시부(120)에 표시되었던 영상과 겹쳐지게 표시될 수도 있다. 메시지 창과 같이 출력표시부(120)의 별도의 영역에 데이터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시지 창을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으로 이동시키거나 메시지 창의 크기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 영상과 겹쳐지게 표시되는 경우, 데이터 영상의 투명도 조절도 가능할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블럭도이다. 도 6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정리한다.
우선, 표시장치는 메시지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영상을 수신한다(S110).
표시제어부(130)는 입력되는 데이터 영상의 데이터 포맷을 표시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고(S120), 변환된 데이터 영상을 표시되고 있는 기존의 영상과 합성하여 출력표시부(120)에 표시한다(S130). 입력된 데이터는 별도 의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고, 기존의 영상에 이어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외부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장치에 표시된 데이터 영상 또는 합성된 영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편집되거나(S140), 다른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영상은 표시장치에서 지원되는 데이터 포맷 예를 들어 텍스트 포맷으로 저장되거나 전송될 것이다. 데이터 영상은 표시장치가 지원하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하여 삭제되거나 폰트가 변경되는 등 수정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영상표시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데이터 영상의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출력표시부 및 입력표시부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영상표시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영상처리를 설 명하기 표시부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장치 110 : 제1인터페이스
120 : 출력표시부 130 : 표시제어부
200 : 입력장치 210 : 제2인터페이스
220 : 키패드 230 : 입력표시부
240 : 입력제어부 300 : 케이블

Claims (20)

  1. 제1인터페이스를 갖는 표시장치 및 상기 제1인터페이스와 통신 가능한 제2인터페이스를 갖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입력표시부와;
    상기 입력표시부에 표시된 데이터 영상을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입력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장치는,
    출력표시부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영상을 상기 출력표시부 상에서 편집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휴대용 전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데이터 영상을 메시지 데이터 포맷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포맷의 상기 데이터 영상을 텍스트 포맷 및 이미지 포맷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데이터 영상은 삭제, 변경 및 저장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전송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전송키의 선택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제어부는 상기 전송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표시장치로 출력된 상기 데이터 영상을 상기 입력표시부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USB 통신 및 무선 USB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영상표시시스템.
  9.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입력표시부를 갖는 입력장치와, 출력표시부를 갖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입력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표시부에 표시된 데이터 영상을 상기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영상을 상기 출력표시부 상에서 편집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데이터 포맷을 갖는 상기 데이터 영상을 상기 출력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로 출력되는 데이터 영상은 메시지 데이터 포맷이며,
    상기 데이터 영상을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포맷의 상기 데이 터 영상을 텍스트 포맷 및 이미지 포맷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상을 삭제, 변경 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상을 상기 표시장치로 출력한 후, 출력된 상기 데이터 영상을 상기 입력표시부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상은 메시지 전송 서비스,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USB 통신 및 무선 USB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상기 표시장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영상표시시스템의 제어방법.
  14. 표시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입력장치로부터 메시지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영상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표시부와;
    상기 데이터 영상을 상기 표시부 상에서 편집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포맷의 상기 데이터 영상을 텍스트 포맷 및 이미지 포맷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포맷이 변환된 상기 데이터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었던 영상과 합성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데이터 영상을 삭제, 변경 또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표시부를 갖는 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입력장치로부터 메시지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영상을 상기 표시부 상에서 편집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 환하는 단계와;
    데이터 포맷이 변환된 상기 데이터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었던 영상과 합성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상을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포맷의 상기 데이터 영상을 텍스트 포맷 및 이미지 포맷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데이터 영상을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삭제, 변경 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80090145A 2008-09-12 2008-09-12 표시장치, 영상표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31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145A KR20100031183A (ko) 2008-09-12 2008-09-12 표시장치, 영상표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145A KR20100031183A (ko) 2008-09-12 2008-09-12 표시장치, 영상표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183A true KR20100031183A (ko) 2010-03-22

Family

ID=42180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145A KR20100031183A (ko) 2008-09-12 2008-09-12 표시장치, 영상표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11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555B1 (ko) * 2012-02-28 2018-07-0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555B1 (ko) * 2012-02-28 2018-07-0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4731B2 (ja) タッチパネル手段を備える携帯情報処理装置及び該携帯情報処理装置用プログラム
US9179093B2 (en) Remote resource access interface apparatus
US8316308B2 (en) Adaptive user interface for multi-source systems
RU2602791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набора
JP4948274B2 (ja) 携帯端末及び情報端末装置
JP7338057B2 (ja) メッセージ処理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7286978A (ja) 電子機器、そのデータ転送制御方法、そのデータ転送制御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転送システム
US20080238877A1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KR20070023414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미지코드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및 이미지코드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방법
US7155544B2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input data from external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800458B1 (ko) 필기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필기 메시지 전송 방법
CN105242865A (zh) 输入处理方法、输入处理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移动终端
JP5228651B2 (ja) 携帯端末
KR100581057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외부디스플레이장치간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KR20100031183A (ko) 표시장치, 영상표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84263B1 (ko) 클립보드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3120472A (ja) タブレット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US8214544B2 (en) Register access protocol
JP3989467B2 (ja) 移動体通信端末及び外部装置
JP2008263324A (ja) シークレットモード機能を有する端末装置およびシークレットモード切替制御方法
CN109753204B (zh) 一种文本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10070334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방법
JP6356601B2 (ja) 携帯端末装置、端末通信システム、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44567B2 (ja) 装置内の操作機能を外部設備に移転する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2005122499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