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921A - 조류 발생 억제 장치 - Google Patents

조류 발생 억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921A
KR20100030921A KR20080089897A KR20080089897A KR20100030921A KR 20100030921 A KR20100030921 A KR 20100030921A KR 20080089897 A KR20080089897 A KR 20080089897A KR 20080089897 A KR20080089897 A KR 20080089897A KR 20100030921 A KR20100030921 A KR 20100030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treated water
electrode plate
copper electrode
alg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89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2817B1 (ko
Inventor
최중철
Original Assignee
최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중철 filed Critical 최중철
Priority to KR20080089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8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0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시설의 방류수로 인해 조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조류발생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시설의 처리수에 조류 방지용 구리이온을 해리하는 구리전극판의 설치 및 교체가 간단히 이루어짐은 물론 양극 및 음극이 인가되는 구리전극판에 설정시간 간격으로 반대로 음극 및 양극을 인가하여 구리전극판을 교체하지 않고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조류 발생 억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류 발생 억제 장치는 전해조를 유입부, 반응부 및 혼합부로 구성하되;
처리수가 유입되고,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레벨센서가 설치된 유입부;
절연부재로 구성되되, 반응부의 바닥면에 다수의 끼움홈을 간격지게 형성하며, 이 끼움홈에는 상부에 결합편이 형성된 구리전극판을 각각 수직으로 결합하되, 구리전극판의 결합편이 양측으로 교대로 위치되게 하고, 결합편은 구리전극판에 양극과 음극을 인가하도록 전극봉을 결합하며, 반응부 바닥면에는 구리전극판에서 해리된 구리이온이 처리수와 잘 혼합되고 구리전극판의 마모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공기 교반 장치가 설치되어 처리수에 구리이온이 함유되게 하는 반응부; 및
구리이온이 함유된 처리수를 더 교반하여 구리이온이 처리수에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혼합부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전해조에 절연부재로 형성된 반응부의 끼움홈에 양극과 음 극이 인가되는 구리전극판을 교대로 설치함으로써 구리전극판의 설치 및 교체가 간단 용이하고, 결합 된 구리전극판에 설정시간 간격으로 교대로 양극과 음극을 공급하여 구리 이온이 해리되게 함으로써 구리전극판을 교체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류, 억제, 구리, 용출, 이온, 처리수, 방류

Description

조류 발생 억제 장치{INHIBITION DEVICE FOR PREVENTING FROM ALGAE GENERATION}
본 발명은 조류발생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폐수처리시설의 처리수를 하천이나 강 등으로 방류하기 전에 전해조의 구리이온이 해리되는 반응부를 통과시킴으로써 방류수에 조류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함은 물론 반응부에 구리전극판의 설치 및 교체가 간단히 이루어지고, 구리전극판에 설정시간 간격으로 교대로 음극 및 양극을 인가하여 구리전극판을 교체하지 않고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조류발생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하·폐수처리시설의 처리수를 하천이나 강 등으로 방류하였는데 방류수에 의해 발생되는 조류에 의해 하천이나 강 등의 자연생태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초래하였다.
조류(algae)는 원생생물계에 속하는 원시적인 진핵생물로서 대략 25,000 여종이 있다. 조류의 크기는 매우 다양한데, 예컨대 3㎛ 정도의 작은 단세포 편모충류로부터 62m에 이르는 큰 잎 모양의 켈프(kelp) 등이 있다.
조류는 광합성을 할 수 있지만 진정한 잎줄기, 잎, 줄기, 뿌리, 관다발계가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봄에서 가을 사이에 하·폐수처리시설의 처리수를 방류하는 방류하천에 대량으로 서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조류의 발생으로 인해 처리수를 재이용할 때 미관상 거부감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음용수의 처리비용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조류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황토를 살포하는 황토살포법, 약품(응집제)을 투입하는 응집제 투입법, 공기를 강제주입시키는 용존 공기 부상법, 오존을 이용하는 오존 처리법 등은 이미 발생된 조류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류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산화제(Cl2 CIO2) 및 황산동(CuSO4)을 사용하고 있다. 이 산화제 및 황산동은 PH저하, 염소 냄새 등이 발생되고, 과다한 비용이 발생되므로 대량의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조류의 발생을 억제하는 "조류 발생 억제 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7399호(공고일: 2007년 11월 29일)로 공개되어 있다. 여기에서 "조류 발생 억제 장치"는 반응조 내에 음극이 인가되게 설치된 서스관(SUS PIPE)과, 서스관 내에 양극이 인가되게 배치된 구리봉과, 구리봉이 구리이온을 해리시키도록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 컨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구리봉에 양극전원이 공급되어 구리 이온이 해리되면 결국에는 구리봉이 없어지므로 새로운 봉으로 교체를 하여야 하나 서스관과 같은 관내에 설치하므로 보수 또는 교체 작업이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 방식으로 하·폐수처리시설의 처리수의 방류시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하·폐수처리시설의 처리수에 조류 방지용 구리이온을 해리하는 구리전극판의 설치 및 교체가 간단히 이루어짐은 물론 양극 및 음극이 인가되는 구리전극판에 설정시간 간격으로 반대로 음극 및 양극을 인가하여 구리전극판을 교체하지 않고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조류 발생 억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시설의 처리수조에 저장한 처리수를 전해 처리하여 방류하는 조류 발생 억제 장치에 있어서,
전해조를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구리이온이 해리되어 처리수에 함유되게 하는 반응부, 및 구리이온이 함유된 처리수를 교반하여 구리이온이 균일하게 혼합되게 하는 혼합부로 구성되되;
반응부는 절연부재로 구성하고, 반응부의 바닥면에 다수의 끼움홈을 간격지게 형성하며, 이 끼움홈에는 상부에 결합편이 형성된 구리전극판을 각각 수직으로 결합하되, 구리전극판의 결합편이 양측으로 교대로 위치되게 하고, 결합편은 구리전극판에 양극과 음극을 인가하도록 전극봉을 결합하며, 반응부 바닥면에는 구리전극판에서 해리된 구리이온이 처리수와 잘 혼합되고 구리전극판의 마모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공기 교반 장치가 설치되고;
혼합부는 구리이온이 함유된 처리수를 교반하도록 하부에 공기 교반 장치가 설치되고 구리이온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감지 센서가 설치되며,
유입부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레벨센서가 설치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조류 발생 억제 장치는 전해조에 절연부재로 형성된 반응부의 끼움홈에 양극과 음극이 인가되는 구리전극판을 교대로 설치함으로써 구리전극판의 설치 및 교체가 간단 용이하고, 결합 된 구리전극판에 교대로 양극과 음극을 설정시간 간격으로 공급하여 구리 이온이 해리되게 함으로써 구리전극판을 교체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류 발생 억제 장치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류 발생 억제 장치는 하·폐수처리시설의 처리수를 저장하는 처리수조(35)로부터 하천, 강 등의 자연 생태계로 처리수를 방류하기 전에 처리수를 다시 전해조(1)에서 구리 이온(Cu2 +)을 함유하게 처리한 다음 방류함으로써 방류수에 의한 조류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류 발생 억제 장치는 하·폐수처리시설의 처리수를 저장하는 처리수조(25)와 전해조(1)가 제1파이프 라인(38)으로 연결되어 처리수조(25)에 저장된 처리수가 제1파이프라인(38)을 통해 전해조(1)로 공급된다.
예컨대 제1파이프라인(38)은 전해조(1)로 공급되는 처리수량을 정확히 조절하기 위한 메인라인(38a)과, 처리수의 량을 조절하지 않고 단순히 이동을 개폐하는 서브라인(38b)으로 구성된다. 즉, 제1파이프라인(38)의 메인라인(38a)에는 전해조(1)의 처리수 유입구(3)로 공급되는 처리수의 량을 정확히 조절하기 위해 유량계(40)와 밸브(38-1, 38-2)가 설치된다. 그리고 유량계(40)가 고장나서 처리수의 량을 정확히 조절할 수 없는 경우 서브라인(38b)의 밸브(38-3)를 통해서 처리수 유입구(3)로 공급된다.
한편 제1파이프라인(38)은 전해조(1)로 연결되지 않고 자연계로 처리수가 방출되도록 제2라인(39)이 분기되고, 밸브(39-1)가 설치된다. 이는 조류가 발생되지 않는 야간에 전해조(1)에서 처리수를 전해처리하지 않고 바로 자연계로 처리수를 방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류 발생 억제 장치는 처리수를 방류하기 전에 조류를 방지하는 구리이온을 처리수에 함유시키기 위해 4각 탱크 또는 원형 탱크 등의 형태를 갖는 전해조(1)를 포함한다.
전해조(1)는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부(7), 전해조(1)의 유입부(7) 다음에 배치되어 처리수를 전해 처리하는 반응부(8), 및 반응부(8)에서 해리된 구리 이온(Cu2 +)을 함유한 후 방류 전에 더욱 구리이온을 균일하게 혼합시키도록 반응부(8) 다음에 배치된 혼합부(9)로 구성된다.
전해조(1)는 구리 이온(Cu2 +)을 해리하는 반응부(8)가 중앙에 형성되고, 반 응부(8)는 전해조(1)의 본체(2)와 전기 절연되도록 폴리에틸렌(PE)과 같은 절연부재(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조(1)의 유입부(7)에는 처리수조(35)에 저장된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3)가 구비되고, 혼합부(9)에는 전해처리에 의해 해리된 구리 이온이 처리수와 더욱 균일하게 혼합된 후 배출 또는 방류되도록 배출구(4)가 구비된다.
또한, 전해조(1)의 반응부(8)와 혼합부(9)에는 처리수에 구리 이온이 잘 혼합되도록 공기 교반 장치(6, 6a)가 더 구비된다. 반응부(8)의 바닥면에도 공기 교반 장치(6)가 구비된다. 공기 교반 장치(6, 6a)는 송풍기(33)와 같은 공기공급수단에 의해 공기 공급 라인(33-1)을 통해 소정 압력을 갖는 공기가 공급되어 반응부(8)와 혼합부(9) 내로 공기를 분출하여 폭기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처리수와 구리 이온의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전해조(1)의 반응부(8) 바닥면에는 구리전극판(10)이 끼움 결합되도록 다수 개의 끼움홈(5a)이 형성된다. 끼움홈(5a)은 구리전극판(10)이 유입되는 처리수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게 결합되도록 처리수의 유동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부(8)는 유입부(7)측으로부터 반응부(8) 내로 처리수가 잘 유입되도록 그리고 반응부(8)에서 구리이온이 해리된 다음 혼합부(9) 측으로 잘 유동하도록 유입부(7)측 상부 및 혼합부(9)측 상부가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다.
반응부(8) 바닥에 형성된 다수의 끼움홈(5a)에 각각 지지되는 구리전극판(10)들은 대체로 사각형태의 판(panel)으로 구성되되 + 전압 또는 - 전 압(양극 또는 음극_이 전극봉(20)을 통해 각각 인가되도록 상부 일 측에 결합편(11)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이 결합편(11)에는 전극봉(20)을 끼움결합하기 위한 결합구멍(12)이 형성된다.
구리전극판(10)은 결합편(11)이 일 측 및 타 측으로 교대로 배치되게 반응부(8)의 끼움홈(5a)에 지지 된다. 예컨대 구리전극판(10)의 결합편(11)이 일측 또는 오른쪽(도2 참조)에 위치되게 한 다음 다음에 배치되는 구리전극판(10)은 타측 또는 왼쪽(도 2참조)에 위치되게 하기 위해 구리전극판(10)을 Y축으로 뒤집어 배치한다. 그러면 구리전극판(10)의 오른쪽에 결합편(11)이 위치되고 그 다음에 결합되는 구리전극판(10)은 왼쪽에 결합편(11)이 위치되므로 이들 결합편(11)에 결합되는 전극봉(20)의 결합시에 상호 간섭이 배제되고, 전극봉(20)에 양극 또는 음극을 각각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전극봉(20)에 인가되는 양극 또는 음극은 제어부에 입력된 제어시간에 따라, 즉 설정시간에 따라 양극 대신에 음극, 음극 대신에 양극이 번갈아 인가된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반응부(8)에 설치된 다수의 구리전극판(10) 중 홀수 위치(도 3에서 맨 아래측 위치)에 해당하는 구리전극판(10)에는 + 전압을 일 측 전극봉(20)을 통해 인가하고, 짝수 위치(도 3에서 맨 아래측 위쪽 위치)에 해당하는 구리전극판(10)에는 - 전압을 타 측 전극봉(20)을 통해 인가하면 홀수 위치의 구리전극판(10)은 + 구리전극판(양극판)이 되고 짝수 위치의 구리전극판(10)은 - 구리전극판(음극판)이 된다.
Cu → Cu2 + + 2e- : 양극판(구리전극판)
2H+ + 2e- → H2 : 음극판(구리전극판)
구리전극판(10)에서 해리되는 구리 이온은 조류의 발생 및 성장에 치명적인 독성을 갖고 있고, 토양에도 적정량이 존재한다. 폐수처리수의 수질기준에서 구리이온은 3ppm으로 규제하고 있다.
물에 함유된 구리이온의 농도가 0.2ppm인 경우 조류가 발생하지 않았고, 0.4ppm 이상에서는 기존에 발생 된 조류 사멸하고 더 이상 증식되지 않는다.
양극 구리전극판으로부터 해리되는 구리이온의 양(구리 이온 농도)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간격, 또는 전압 및 전류 조절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전압 또는 전류를 증가시키면 양극 구리전극판의 산화속도가 빨라져서 양극 측에 해당하는 구리전극판이 얇아지게 되므로 양극 구리전극판을 교체하여야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 구리전극판(양극판)에 + 전압 대신에 - 전압을 인가하여 - 구리전극판(음극판)으로 바꾸고, - 구리전극판(음극판)에 -전압 대신에 + 전압을 인가하여 + 구리전극판(양극판)으로 바꾸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양극측의 구리전극판을 교체하지 않고 간단히 양극과 음극을 바꾸어 줌으로써 사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구리전극판(10)의 결합편(11)에 각각 결합 된 전극봉(20)에 인가되는 + 전압 또는 - 전압의 제어(양극 또는 음극의 인가 제어)는 제어부(30)가 설정시간 간격으로 전원공급기(31)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전원 공급기(31)는 구리전극판(10)에 결합 된 일 측 전극봉(20)에 + 전압을 그리고 타측 전극봉(20)에 - 전압을 공급한다. 그리고 사용 설정 시간이 경과 되어 양극 구리전극판(10)의 두께가 얇아지면 + 구리전극판(양극판)에 - 전압을 인가하여 - 구리전극판(음극판)으로 바꾸는 한편 - 구리전극판(음극판)에 + 전압을 인가하여 + 구리전극판(양극판)으로 바꾸어 사용함으로써 반응부(8)에 설치된 구리전극판(10)을 교체하지 않고 연속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류 발생 억제 장치는 전해조(1)가 하·폐수처리시설의 처리수를 저장하는 처리수조(35)와 연결된다. 처리수조(35)에는 처리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7)가 설치되고, 처리수조(35)의 처리수를 전해조(1)로 펌핑하도록 펌프(36)가 설치된다.
또한 반응부(8)에 설치된 구리전극판(10)에 인가되는 +, - 전압 또는 전류는 제어부(30)의 전원 공급기(31)에 의해 설정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전원 공급기(31)는 양극판에 해당하는 구리전극판(10)이 얇아지는 경우 +, -를 바꾸어서 공급하여 음극판에 해당하는 구리전극판(10)을 양극판으로 바꿈으로써 구리전극판(10)을 교체하지 않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는 구리 농도 측정기(32)는 혼합부(9)에 설치된 구리 농도 센서(32a)와 연결되어 혼합부(9)에 있는 처리수에 함유된 구리 농도값을 측정한다. 구리 농도 측정기(32)에 의해 측정된 구리 농도값은 제어부(30)로 전송되고, 제어부(30)는 구리 농도 측정기(32)의 구리 농도값에 따라서 반응부(8)에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양극판에 해당하는 구리전극판(10)으로 부 터 구리이온이 해리되는 양을 조절한다.
전해조(1)의 유입구(3)에 인접하여 처리수의 수위레벨을 감지하는 레벨센서(34)가 설치되어 하·폐수처리시설의 처리수조(35)로부터 전해조(1)로 펌프(36)의 펌핑작동에 의해 공급되는 처리수의 양을 제어한다.
또한, 처리수조(35)에도 수위(처리수조에 담긴 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위 레벨 센서(37)가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전해조(1)의 유입부(7)에도 수위(처리수조에 담긴 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위 레벨 센서(34)가 설치되어 펌프(36)의 펌핑작용에 의해 처리수조(35)로부터 전해조(1)로 공급되는 처리수의 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전해조(1)의 반응부(8)에서 처리수에 구리 이온이 함유되고 다음의 혼합부(9)로 유동되면 혼합부(9)에서 처리수에 함유된 구리이온농도를 측정하도록 구리농도측정기(Copper Analyzer)(32)가 혼합부(9)에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32a는 구리농도를 감지하는 농도감지센서이다. 구리농도측정기(32)에 따라서 반응부(8)의 구리전극판(10)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전해조(1) 외부로 방류되는 방류수에 적정한 량의 구리 이온이 함유되게 한다.
한편,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공급기(31)는 구리전극판(10)의 결합편(11),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편(11)의 결합구멍(12)에 각각 결합된 전극봉(20)을 통해서 구리전극판(10)에 양극 또는 음극이 설정시간 간격으로 교대로 인가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류발생억제장치는 폐수처리시설의 처리수를 저장된 처리수조(35)의 처리수를 자연 생태계로 직접 방류하지 않고 조류의 발생을 억제하는 소정 량의 구리이온을 처리수에 미리 함유되게 한 다음 자연 생태계로 방류하는 장치이다.
조류는 낮에 광합성 작용에 의해 발생하므로 낮에 방류하고자 하는 물은 펌프(36)의 펌핑작동에 의해 제1파이프라인(38)을 통해 본 발명의 전해조(1)의 유입구(3)로 유동한다. 처리수조(35)의 수위 레벨 센서(37)에 의해 감지된 처리수조(35)의 수위 레벨 감지값과 전해조(1)의 유입부(7)에 설치된 수위 레벨 센서(34)에 의해 감지된 유입부(7)의 수위 레벨 감지값은 제어부(30)로 전달되고, 제어부(30)는 미리 설정된 기준값에 따라서 펌프(36)의 작동을 제어한다.
펌프(36)의 펌핑 작동에 의해 전해조(1)로 공급되는 처리수는 제1파이프라인(38)을 통해 그리고 유량계(F/Q)(40)와 밸브(38-1, 38-2)가 설치된 메인 라인(38a)을 통해 공급된다(이때 서브 라인(38b의 밸브(38-3)는 차단된 상태임). 이 유량계(4)를 통해 전해조(1)로 공급되는 유량값은 제어부(30)로 전달되고, 제어부(30)는 유량 설정값에 따라 밸브(38-1, 38-2)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유량계(40)가 고장 나는 등의 비상시에 메인 라인(38a)의 밸브(38-1, 38-2)는 차단하고 서브 라인(38b)의 밸브(38-3)을 개폐하여 처리수조(35)로부터 전해조(1)로 처리수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전해조(1)의 유입부(7)로 유입되는 처리수 레벨센서(34)에 의해 물의 높이가 감지되고 감지된 물의 높이는 제어부(30)로 전달된다. 이후 절연부재(5)로 이루어진 전해조(1)의 반응부(8)에 설치된 구리전극판(10)들이 제어부(30)의 전원공급기(31)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값으로 설정시간 간격으로 전압( + 전압 및 - 전압)을 전극봉(20)을 통해서 각각 구리전극판(10)에 인가한다. 이에 의해 전해조(1)에 처리수 유동방향으로 설치된 구리전극판(10) 중 + 전압이 인가되어 양극판이 된 구리전극판(10)으로부터 구리이온이 해리되어 전해조(1)내의 처리수에 함유된다. 이때 전해조(1)의 반응부(8) 하부에는 송풍기(33)에 의해 송풍라인(33-1)을 통해서 소정 압력의 공기가 공기 교반 장치(6)들로 공급되어 반응부(8) 내로 분출되므로 전해조(1) 내의 반응부(8) 내로 해리되는 구리 이온이 반응부(8) 내의 처리수와 잘 혼합될 수 있다.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공급기(31)는 직류전원 공급기(DC Power Supply)로서 구리전극판(10)에 일정한 전압 또는 전류를 설정시간 간격으로 정확하게 제어하여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공급기(31)는 구리전극판(10)의 결합편(11),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편(11)의 결합구멍(12)에 각각 결합된 전극봉(20)과 연결되어 있어서 전극봉(30)을 통해 구리전극판(10)에 양극 또는 음극이 설정시간 간격으로 교대로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류 억제 장치는 전해조(1)에 설치된 구리전극판(10)이 전기분해작용에 의해 + 전압이 공급되어 양극판에 해당하는 구리전극판(10)으로부터 구리이온이 해리됨에 따라서 양극판에 해당하는 구리전극판(10)의 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양극판에 해당하는 일 측의 구리전극판(10)만 부식되고 음극판에 해당하는 타측의 구리전극판(10)은 두께가 얇아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일 측의 양극판에 해당하는 구리전극판(10)과 타측의 음극판에 해당 하는 구리전극판(10)에 공급되는 +, - 전압을 설정시간 간격으로 바꾸어 공급함으로써 양극에 해당하는 구리전극판(10)을 교체하지 않고도 장기간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구리전극판의 교체시간을 늦출 수 있다.
즉, +, - 전압을 교대로 바꾸어 사용함으로써 구리전극판(10)의 마모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구리전극판(10)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리 이온이 혼합 교반 된 처리수는 다음의 혼합부(9)로 유동되고, 또한 혼합부(9)의 하부에 설치된 공기 교반 장치(6a)들에 의해 공기가 혼합부(9) 내로 분출되어 처리수와 구리 이온이 더 균일하게 혼합되며, 구리 이온이 함유된 처리수는 배출구(4)를 통해서 자연 생태계로 방류된다.
본 발명의 조류 발생 억제 장치는 상기와 같이 하·폐수처리시설의 처리수조(35)로부터 전해조(1)로 처리수를 공급하여 전해 처리함으로써 처리수에 소정량의 구리 이온이 함유되게 한 다음 전해조(1) 외부로 이온함유 처리수를 방류함으로써 조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조류는 광합성작용에 의해 발생되므로 햇빛이 없는 야간에는 본 발명의 전해조(1)에서 처리수를 이온 처리하지 않고 제2파이프라인(39)을 통해 방류한다.
예컨대, 제어부(3)는 제1파이프라인(38)을 차단한다. 즉 메인 라인(38a)의 밸브(38-1, 38-2)와 서브 라인(38b)의 밸브(38-3)를 차단하고, 제2파이프라인의 밸브(39-1)를 개방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 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경·변형하여 실시 가능하며, 이와 같은 변경·변형 등에 의한 것은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류발생억제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전체 횡단면도.
도 2는 도 1의 구리전극판과 전극봉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류발생억제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해조 2: 본체
3: 유입구 4: 배출구
5: 절 연부재 5a: 결합홈
6, 6a: 공기 교반 장치 7: 유입부
8: 반응부 9: 혼합부
10: 구리전극판 11: 결합편
12: 결합구멍 20: 전극봉
30: 제어부 31: 전원공급기
32: 구리농도측정기 33: 송풍기
34: 수위레벨센서 35: 처리수조
36: 펌프 37: 수위레벨센서
38: 제1파이프라인 38a: 메인 라인
38b: 서브 라인 38-1, 38-2, 38-3: 밸브
39: 제2파이프라인 39-1:밸브
40: 유량계

Claims (5)

  1. 하·폐수처리시설의 처리수조(35)에 저장한 처리수를 전해 처리하여 방류하는 조류 발생 억제 장치에 있어서,
    처리수조(35)의 처리수가 공급되도록 처리수조(35) 다음에 전해조(1)가 설치되고,
    전해조(1)에 공급된 처리수를 전해 처리하도록 절연부재(5)로 구성된 반응부(8)의 바닥면에 다수의 끼움홈(5a)을 간격지게 형성하고, 이 끼움홈(5a)에는 상부에 결합편(11)이 형성된 구리전극판(10)을 각각 결합하되, 구리전극판(10)의 결합편(11)을 양측으로 교대로 정렬되게 하고, 구리전극판(10)에 양극과 음극을 인가하도록 결합편(11)에 전극봉(20)을 결합하며,
    반응부(8) 바닥면에는 구리전극판(10)에서 해리된 구리이온이 처리수와 잘 혼합되도록 공기 교반 장치(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발생 억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극봉(20)은 결합편(11)의 결합구멍(12)에 각각 결합되고, 전극봉(20)을 통해 구리전극판(10)에 설정시간 간격으로 양극 또는 음극이 교대로 인가되도록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공급기(31)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발생 억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해조(1)는 반응부(8) 다음에 혼합부(9)를 더 설치하되, 반응부(8)에서 전해처리 된 처리수를 혼합하여 구리 이온이 처리수에 균일하게 함유되도록 혼합부(9) 바닥면에 공기 교반 장치(6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발생 억제 장치.
  4. 하·폐수처리시설의 처리수조(35)에 처리수가 저장되고, 처리수를 다음의 전해조(1)로 공급하여 처리수를 전해 처리하도록 처리수조(35)와 전해조(1)를 연결하는 제1파이프라인(38)과, 수위레벨센서(37)와 펌프(36)가 처리수조(35)에 설치되며, 수위레벨센서(37)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펌프(36)를 제어하도록 제어부(30)를 포함하는 조류 발생 억제 장치에 있어서,
    전해조(1)는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부(7), 구리이온이 해리되어 처리수에 함유되게 하는 반응부(8), 및 구리이온이 함유된 처리수를 교반하여 구리이온이 균일하게 혼합되게 하는 혼합부(9)로 구성되되;
    반응부(8)는 절연부재(5)로 구성하고, 반응부(8)의 바닥면에 다수의 끼움홈(5a)을 간격지게 형성하며, 이 끼움홈(5a)에는 상부에 결합편(11)이 형성된 구리전극판(10)을 각각 수직으로 결합하되, 구리전극판(10)의 결합편(11)이 양측으로 교대로 위치되게 하고, 결합편(11)은 구리전극판(10)에 양극과 음극을 인가하도록 전극봉(20)을 결합하며, 반응부(8) 바닥면에는 구리전극판(10)에서 해리된 구리이온이 처리수와 잘 혼합되고 구리전극판(10)의 마모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공 기 교반 장치(6)가 설치되고;
    혼합부(9)는 구리이온이 함유된 처리수를 교반하도록 하부에 공기 교반 장치(6a)가 설치되고 구리이온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감지 센서(32a)가 설치되며,
    유입부(7)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레벨센서(3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발생 억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전극봉(20)은 결합편(11)의 결합구멍(12)에 각각 결합되고, 전극봉(20)을 통해 구리전극판(10)에 설정시간 간격으로 양극 또는 음극이 교대로 인가되도록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공급기(31)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발생 억제 장치.
KR20080089897A 2008-09-11 2008-09-11 조류 발생 억제 장치 KR101022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9897A KR101022817B1 (ko) 2008-09-11 2008-09-11 조류 발생 억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9897A KR101022817B1 (ko) 2008-09-11 2008-09-11 조류 발생 억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921A true KR20100030921A (ko) 2010-03-19
KR101022817B1 KR101022817B1 (ko) 2011-03-17

Family

ID=4218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89897A KR101022817B1 (ko) 2008-09-11 2008-09-11 조류 발생 억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647B1 (ko) * 2011-12-09 2014-03-04 (주)엔바이로솔루션 연속식 전해 하폐수 처리 및 산화 장치
KR200462553Y1 (ko) * 2012-02-10 2012-09-14 주식회사 케이워터텍 조류 발생 억제 장치
CN104822631A (zh) * 2012-10-16 2015-08-05 有进环境研究有限公司 连续式电解下水、废水处理及高级氧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3969U (ko) * 1989-08-11 1991-04-03
JP3495680B2 (ja) * 2000-04-03 2004-02-09 三洋電機株式会社 水処理装置
KR100492471B1 (ko) * 2002-12-27 2005-05-30 코오롱건설주식회사 고농도 질소함유 폐수처리를 위한 연속식 전기분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817B1 (ko)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2895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한 전해식 밸러스트수 처리방법및 처리장치
Ghernaout et al. On the dependence of chlorine by-products generated species formation of the electrode material and applied charge during electrochemical water treatment
US6358398B1 (en)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US80482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coagulation of liquids
US6508929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20150166383A1 (en) Process and device for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and drinking water
KR100802361B1 (ko) 전해살균 소독수 공급장치
US20140116942A1 (en) Air flotation and electrocoagulation system
EP0755362A4 (en) ELECTROLYTIC WATER TREATMENT
KR101022817B1 (ko) 조류 발생 억제 장치
KR20100034088A (ko)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한 스케일 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US20110089049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treatment of water
WO2008032946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KR200462553Y1 (ko) 조류 발생 억제 장치
KR100841102B1 (ko) 전해수 생성장치
KR20200009708A (ko) 비전극 방식의 현장 페레이트 발생장치를 이용한 수중의 이취미물질 및 황화수소 제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668832B2 (en) Wastewater treatment onboard small marine vessels
KR100460022B1 (ko) 순환여과식 양식장의 암모니아성 질소제거 및 살균장치
JP4447352B2 (ja) 汚泥の減量化処理装置
JP3973508B2 (ja) 水処理装置
KR101980342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JP4171440B2 (ja) 廃水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廃水処理方法
La Motta et al. Electro-disinfection of municipal wastewater: laboratory scale comparison between direct current and alternating current
KR101580668B1 (ko)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KR20070075624A (ko) 산화전위수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