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403A -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403A
KR20100030403A KR1020080089339A KR20080089339A KR20100030403A KR 20100030403 A KR20100030403 A KR 20100030403A KR 1020080089339 A KR1020080089339 A KR 1020080089339A KR 20080089339 A KR20080089339 A KR 20080089339A KR 20100030403 A KR20100030403 A KR 20100030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rown rice
ginseng
germinated brow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1044B1 (ko
Inventor
은재순
오기완
오석흥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89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0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0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7Sapindaceae (Soapberry family), e.g. lychee or soap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수면 유도시간을 단축하고, 수면시간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불면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아현미, 인삼, 용안육, 수면, 불면

Description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A composition for reducing sleep induction time and prolonging sleeping tim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혼합하여 수면 유도시간을 단축하고, 수면시간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게 한 불면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이 세포 내로 클로라이드 이온(Cl-)의 유입을 촉진함을 확인하고, 이를 적용할 경우 개체의 수면 유도시간을 단축하며, 수면시간을 연장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불면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와 불안, 초조 때문에 수면장애를 겪고 있지만, 그 기간이 짧고 약할 때에는 약물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업무를 수행 하는데 지장을 초래하게 되면 약물치료가 필요하다. 통계에 의하면 성인의 약 15%가 불안증상에 의한 불면증 때문에 약물치료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나이가 많아질수록 불면증 환자는 더욱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불면의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지나친 걱정, 긴장, 공포 등 다양하며, 치료약물로는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약물과 세로토닌 효능약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약물들은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 내성 및 의존성이 형성되는 부작용이 심하여, 초기 또는 일시적 불안과 불면을 호소하는 수험생이나 운동선수 및 근로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부작용이 적으면서 불안과 불면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이 불면증상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어떠한 문헌에도 기재되거나 암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였을 때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수면 유도시간 단축 및 수면시간 연장 효과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은 식품으로 적 용되는 성분들로서 독성이 거의 없는 특성을 함께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면 유도시간을 단축하고, 수면시간을 연장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독성이 거의 없는 불면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로서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龍眼肉)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일반현미를 증류수에 넣어 발아시킨 후 발아현미를 마쇄하고 증류수로 가열추출, 멸균,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발아현미 추출물을 얻는 과정, 인삼을 증류수로 가열추출, 멸균,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인삼 추출물을 얻는 과정, 용안육을 70 % 에탄올로 가열추출,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용안육 추출물을 얻는 과정, 및, 상기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혼합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로서, 상기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제제와 기능성 식품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을 각 성분과 제조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불면”또는 “불면증”은 상쾌하게 깨어나기에 충분하지 않는 감각을 의미하고, 우리나라 연간 전체 성인 가운데 약 15 % 정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용어는 임의의 및 모든 수면 상실의 유형 및 등급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널리 사용된다. 또한, “개선(시킨다)”은 수면 장애 및 정상적인 수면을 방해하는 기타 상태와 관련된 불면 및 기타 징후를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거나(예를 들어, 예방), 역전시키거나(예를 들어, 경감시킴), 호전시키거나, 제어하거나 또는 잘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발아현미 추출물을 포함한다.
현미는 발아할 때 각종 비타민, 칼슘, 무기질, 아미노산, 효소, 아라비노키실란, 감마아미노부티르산(GABA) 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GABA는 비단백 아미노산으로서 고온으로 가열하더라도 변성의 우려가 없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발아현미의 추출물을 사용하므로, 발아현미 추출물에 다량으로 함유된 GABA의 효과를 도입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현미 추출물의 경우 GABA 함량이 약 0.04 중량% 내외이며, 현미는 발아시키는 방법의 선택에 따라 수득되는 GABA의 함량이 상이하므로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다량의 GABA가 함유된 발아 현미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발아 현미 추출물 중 GABA 함량이 0.1 내지 0.3 중량% 범위인 GABA 고함유 발아현미 추출물을 사용하 는 것이 더욱 좋다.
발아현미 추출물은, 현미를 적당한 용량의 증류수(1 : 2 내지 5 중량비)에 혼합하여 일정시간 발아시킨 후 실온에서 건조하고, 마쇄한 다음 증류수로 가열추출한 후 고압멸균한 다음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농축 및 건조하여 얻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현미에 증류수를 넣고 22 내지 27 ℃에서 60 내지 75 시간, 바람직하기로는 25 ℃에서 72 시간 침지하여 얻어진 발아현미를 사용하는 것이 GABA 함량의 극대화 측면에서 좋다. 얻어진 발아현미를 실온에서 건조하고, 마쇄하여 증류수로 가열추출(50 내지 80 ℃)하는데, 이때, 추출 단계는 3 내지 5 회 반복 수행하는 것이 GABA의 수득율 측면에서 좋다.
상기 발아현미에 함유된 GABA양은 일반현미에 비해 3 내지 6배 정도 함유하는데, 본 발명에는 발아현미 추출물 중 GABA 함량이 0.1 내지 0.3 중량% 범위로 다량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일반현미 추출물의 GABA 함량은 약 0.04 중량% 내외이다. 증류수로 추출하여 얻어진 결과물은 멸균한 후 여과한다. 영양성분의 유지와 멸균 등을 고려하여 고압멸균할 경우 기타 영양성분의 변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멸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감압여과할 경우 수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여과한 여액은 다양한 방법으로 농축 및 건조한 후 사용할 수 있으며, 감압농축이나 동결건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인삼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인삼은 산삼, 홍삼, 백삼, 및 수삼 등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일부 조직을 배양하여 얻은 배양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인삼 추출물은, 상기 인삼 등을 증류수로 가열추출, 멸균,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인삼을 증류수 (1 : 5 내지 20 중량비)로 가열추출(50 내지 80 ℃)하는데, 이때, 추출 단계는 2 내지 5 회 반복 수행하는 것이 인삼의 유효성분의 수득율 측면에서 좋다. 증류수로 추출하여 얻어진 결과물은 멸균한 후 여과한다. 영양성분의 유지와 멸균 등을 고려하여 고압멸균할 경우 기타 영양성분의 변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멸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감압여과할 경우 수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여과한 여액은 다양한 방법으로 농축 및 건조한 후 사용할 수 있으며, 감압농축이나 동결건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용안육(龍眼肉) 추출물을 포함한다.
용안육(Euphoria longana Lamark)은 무환자나무과에 속하며, 말 그대로 용의 눈이란 뜻으로 열매가 동물의 눈처럼 생겼고 열매의 껍질에 해당하는 가종피가 두터워서 붙여진 이름이다. 질감이 연하면서 점착성이 있고 맛이 달고 독특한 향이 있어 술안주로도 사용한다. 중국, 일본, 대만, 인도 등 아열대지역에서 자생하거나 재배되는 식물이다. 이러한 용안육은 지나치게 생각을 많이 하여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거나 건망증, 불면증, 소화불량 그리고 묽은 변을 볼 때 사용하는 약재로서, 병후 기운 없고 빈혈, 권태, 땀을 제어할 수 없을 때, 산후 기혈이 허약하고 부종 이 생길 때 사용한다.
용안육 추출물은, 용안육을 70 % 에탄올로 가열추출,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용안육과 에탄올은 용안육을 70 % 에탄올 (1 : 5 내지 20 중량비)로 가열추출(40 내지 80 ℃)하는데, 이때, 추출 단계는 2 내지 5 회 반복 수행하는 것이 용안육 유효성분 추출의 수득율 측면에서 좋다. 에탄올에 추출된 결과물은 멸균한 후 여과한다. 영양성분의 유지와 멸균 등을 고려하여 고압멸균할 경우 기타 영양성분의 변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멸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감압여과할 경우 수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여과한 여액은 다양한 방법으로 농축 및 건조한 후 사용할 수 있으며, 감압농축이나 동결건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추출물의 제조시 여과, 멸균, 농축 및 건조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방법을 적의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선택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면 증상의 개선은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성적인 경우, 불면 증상의 개선은 취침 시간에 더 빨리 잠드는 것, 밤중에 깨어있는 빈도의 감소, 적당한 시간에서의 기상, 및 개체가 다음날 상쾌한 기분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양질의 수면을 취하는 것을 포함하나, 이것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 임의의 개수의 인자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불면 증상의 정량적인 개선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인자는 수면 효율 증가를 나타내는 수면 다원 검사, 단계 1과 상반되는 단계 2 내지 4 에서와 같은 수면의 보다 깊은 단계에서 수면 상태로 있는 더 많은 시간, 주기적인 인지 운동 회수의 감소를 포함하지만, 이것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는 발아현미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이 단독으로는 수면 유도시간을 단축하거나 수면시간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없으나, 발아현미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혼합할 경우 수면 유도시간을 단축하거나 수면시간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용안육 추출물은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수면 유도시간을 단축하지 못하고, 수면시간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약하게 나타냈으나, 발아현미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수면 유도시간이 단축되고, 수면시간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월등히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의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신경세포 내 클로라이드 이온(Cl-) 양을 측정한 결과 클로라이드 이온(Cl-) 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중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은 1 내지 100 : 1 내지 100 : 1 중량비 범위,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50 : 5 내지 50 : 1 중량비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용안육 추출물의 함량에 대비하여 발아현미 추출물이나 인삼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비율보다 많은 경우에는 수면 유도시간의 단축효과나 수면시간 연장의 효과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전체 중량 중 10 내지 80 중량% 범위, 바람직하기로는 20 내지 50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담체로는 부형제, 결합제, 활택제, 붕괴제, 피복제, 유화제, 현탁제, 용제, 안정화제, 흡수조제, 주사용수, 및 등장화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담체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경구 또는 주사제 제제로 제형화 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제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러한 경구 제제로서 구체적으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액제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의 투여횟수 및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성인 남자(체중 70 kg)를 기준으로 하고,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 중량의 측면에서 2 ~ 5,000 mg/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00 mg/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이루는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은 그 원료가 오래전부터 식재료 또는 약재료로 음용되어오던 것으로 그 독성 및 안정성이 입증되어 있고, 기존의 불면 증상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어 오던 조성물과 달리 독성에 의한 중독이나 의존증을 야 기시키지 않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불면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경구용 제제로 제조하여 섭취할 수 있으며, 식품 고유의 식미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하여 섭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식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비스켓, 사탕, 차, 건강보조 식품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인간 뿐 아니라 쥐, 개, 토끼, 고양이, 닭, 소, 돼지 등의 온혈 동물에 적용되어 불면 증상의 개선을 위하여 응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의하면, 인체에 안전하고 독성이 적으며, 신경세포 내 클로라이드 이온(Cl-)의 유입을 뚜렷하게 촉진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분명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수면유도시간을 단축하고 수면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어 불면증상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 음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제조
발아 현미추출물은 일반현미에 증류수를 1 : 5의 비율로 혼합하여 25 ℃에서 72 시간 침지한 후 실온에서 건조하고, 마쇄한 다음 무게 대비 4 배수의 증류수로 추출한 후 고압멸균한 다음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일반현미에는 약 0.04 중량%의 가바(GABA)가 함유되어 있으나, 본 실험에 사용한 발아현미는 0.1 내지 0.3 중량%의 가바가 함유되어 있다.
인삼 추출물로서 배양산삼을 구입하여 증류수(50 내지 80 ℃)로 2회 가열 추출한 다음 고압멸균하여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하여 수득하였다.
용안육 추출물은 용안육을 구입하여 70% 에탄올(40 내지 80 ℃)로 2회 가열 추출한 다음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하여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펜토바르비탈로 유도한 생쥐의 수면유도시간 및 수면시간 측정
생쥐(대한실험동물에서 구입한 ICR계 생쥐로서 평균 체중 20 g의 수컷)는 펜토바르비탈 투여 전 24 시간 동안 사료를 주지 않고 굶겼으며, 그 후 펜토바르비탈 42 mg/kg을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수면은 정향반사가 소실되는 시점으로 했으며, 15분 이내에 수면을 취하지 않는 동물은 시험에서 배제하였고, 깨는 시간은 동물이 정향으로 돌아오는 시간으 로 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 의하여 수득된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면서 그 사용량에 따라 생쥐에서 펜토바르비탈로 유도한 수면 유도시간과 수면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의하여 수득된 용안육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하여 투여하였을 경우 그 사용량에 따라 생쥐에서 펜토바르비탈로 유도한 수면 유도시간과 수면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 혼합물을 투여하였을 경우 생쥐에서 펜토바르비탈로 유도한 수면 유도시간 및 수면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1] 생쥐에서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이의 혼합물이 펜토바르비탈로 유도한 수면 유도시간 및 수면시간에 미치는 효과
용량 (mg/kg) 수면 유도시간 (분) 수면시간 (분)
대조군 - 3.7± 0.2 71.3± 8.4
발아현미 추출물 50 4.4± 0.5 74.8± 10.9
100 3.4± 0.3 84.3± 9.9
인삼 추출물 50 3.5± 0.4 76.0± 9.4
100 3.8± 0.3 90.6± 11.6
발아현미 추출물 + 인삼 추출물 50 (25:25) 3.8± 0.2 84.1± 13.1
100 (50:50) 3.4± 0.2 98.1± 9.2*
200 (100:100) 2.8± 0.2** 125.4± 9.8**
통계처리는 ANOVA를 통하여 Dunnett test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평균치± 평균오차 (*; p<0.05, **; p<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아현미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을 각각 50 및 100mg/kg을 단독 경구투여 하였을 때 수면유도시간 및 수면시간이 대조군에 비해 별 차이가 없었으나, 발아현미 추출물 50mg/kg과 인삼 추출물 50mg/kg을 혼합하여 투여하였을 때는 수면유도시간은 단축되지 않았으나, 수면시간은 대조군에 비해 26.8분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발아현미 추출물 100mg/kg과 인삼 추출물 100mg/kg을 혼합하여 투여하였을 때는 수면유도시간이 유의적으로 단축되고 수면시간이 대조군에 비해 54.1분 유의적으로 연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표 2] 생쥐에서 용안육 추출물이 펜토바르비탈로 유도한 수면 유도시간 및 수면시간에 미치는 효과
용량 (mg/kg) 수면 유도시간 (분) 수면시간 (분)
대조군 - 4.0± 0.3 116.8± 9.5
용안육 추출물  1 3.4± 0.2 138.1± 17.6
2 4.3± 0.4 137.6± 9.9
4 3.3± 0.2 146.8± 9.6**
평균치± 평균오차 (**; p<0.01)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안육 추출물 4mg/kg을 경구투여 하였을 때 수면유도시간은 대조군과 별 차이가 없었으나 수면시간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40분 유의적으로 연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용안육 추출물의 경우 수면유도시간을 단축시키지는 않으나, 수면시간을 연장시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3] 생쥐에서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이 펜토바르비탈로 유도한 수면 유도시간 및 수면시간에 미치는 효과
용량 (mg/kg) 수면 유도시간 (분) 수면시간 (분)
대조군 - 4.3± 0.5 80.0± 8.5
발아현미추출물 + 배양 산삼 추출물 + 용안육 추출물 33(25:6:2) 3.5± 0.4 79.9± 8.6
39(25:12:2) 3.3± 0.4 91.5± 8.8
52(25:25:2) 3.5± 0.3 102.4± 10.8
54(25:25:4) 3.0± 0.4 138.4± 8.9**
104(50:50:4) 2.4± 0.4** 152.1± 11.5***
평균치± 평균오차 (**; p<0.01, ***; p<0.001)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아현미 추출물 25mg/kg, 인삼 추출물 25mg/kg 및 용안육 추출물 4mg/kg을 혼합하여 투여하였을 때 수면유도시간은 대조군에 비해 별 차이가 없었으나, 수면시간은 대조군에 비해 58.4분 유의성 있게 증가되어, 용안육 추출물 4mg/kg만 투여하였을 때의 수면시간 40분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다. 발아현미 추출물 50mg/kg, 인삼 추출물 50mg/kg 및 용안육 추출물 4mg/kg을 혼합하여 투여하였을 때 수면유도시간이 유의적으로 단축되고 수면시간도 72.1분으로 용안육 추출물 4mg/kg만 투여하였을 때에 비해 현저하게 연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신경세포 분리 배양 및 세포내 클로라이드 이온( Cl - )의 측정
임신 8일째의 흰쥐(대한실험동물에서 구입한 SD계 흰쥐로서 평균 체중 200g의 암컷)에서 꺼낸 태아의 뇌로부터 소뇌를 제거하고, 뇌척수막을 떼어내 신경세포를 분리한 후, 분리된 신경세포를 5% 탄산가스 배양기에서 18 내지 24시간 배양한 다음 사이토신 아라비노푸라노사이드(cytosine arabinofuranoside)를 첨가해 비신경 세포의 성장을 막고, 6 내지 12 일 동안 배양하여 클로라이드 이온(Cl-) 측정에 사용하였다.
클로라이드 이온(Cl-)의 측정은 신경세포에 엠큐에이이(MQAE) 용액을 처리하여 하룻밤 방치한 후 클로라이드 이온 완충액을 섞어 5분 동안 배양한 다음, 형광측정기로 클로라이드 이온(Cl-)을 측정하였다.
[표 4]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의 혼합물이 클로라이드 이온 (Cl-)의 신경세포내 유입에 미치는 효과
구분 용량 (μg/ml) 세포내 클로라이드 (Cl-)양 (mM)
대조군 - 21.4± 1.7
발아현미 추출물 0.1 22.6± 2.8
인삼 추출물 0.1 24.2± 2.5
용안육 추출물 0.01 29.2± 2.5*
0.02 34.5± 3.3**
발아현미 추출물 + 인삼 추출물 + 용안육 추출물 0.1:0.1:0.01 35.7± 2.3**
0.1:0.1:0.02 42.8± 3.6***
평균치± 평균오차 (*; p<0.05, **; p<0.01, ***; p<0.001)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아현미 추출물 0.1μg/ml, 인삼 추출물 0.1μg/ml 처리하였을 때는 대조군에 비해 세포내 클로라이드 이온(Cl-)양의 변화가 없었으나, 용안육 추출물 0.01μg/ml와 0.02μg/ml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7.8mM와 13.1mM 세포내 클로라이드 이온(Cl-)양이 증가하였다.
발아현미 추출물 0.1μg/ml과 인삼 추출물 0.1μg/ml과 용안육 추출물 0.01μg/ml을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용안육 추출물 0.01μg/ml에 비해 6.5mM, 발아현미 추출물 0.1μg/ml과 인삼 추출물 0.1μg/ml과 용안육 추출물 0.02μg/ml을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용안육 추출물 0.02μg/ml에 비해 8.3mM 세포내 클로라이드 이 온(Cl-)양이 증가하였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혼합하여 투여하였을 때, 신경세포내 클로라이드 이온(Cl-)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수면유도시간 단축 및 수면시간 연장작용이 나타남을 유추할 수 있다.
실시예 4.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하기 조성에 따라서 각각 정제, 캡슐제 및 산제를 제조하였다.
1) 정제
발아 현미추출물 250.0mg
인삼 추출물 250.0mg
용안육 추출물 80.0mg
유당 500.0mg
탈크 5.0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0mg
2) 캡슐제
가바 함유 현미추출물, 배양산삼 추출물과 용안육 추출물을 체질하여 부형제와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 중에 하기 조성에 따라 충전함으로써 캡슐제를 제조하 였다.
발아 현미추출물 250.0mg
인삼 추출물 250.0mg
용안육 추출물 80.0mg
전분 1500 10.0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0mg
3) 산제
하기 성분을 통상의 산제 제조 방법으로 혼합하고, 본지에 넣어 밀봉한 후 산제를 제조하였다.
발아 현미추출물 250.0mg
인삼 추출물 250.0mg
용안육 추출물 80.0mg
유당 100.0mg
탈크 5.0mg
실시예 5. 건강보조 식품의 제조
하기 성분을 물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음료를 제조하되, 총 100ml로 맞춘 후 95 ℃에서 15초간 살균 및 냉각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하였다.
발아 현미추출물 500.0mg
인삼 추출물 500.0mg
용안육 추출물 160.0mg
구연산 1000.0mg
아라비아검 1000.0mg
설탕 5000.0mg

Claims (5)

  1.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龍眼肉)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은 1 내지 100 : 1 내지 100 : 1 중량비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중 10 내지 80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산삼, 홍삼, 백삼, 수삼 및 이들의 배양물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5. 현미를 증류수에 넣고 발아시켜 발아현미를 얻은 후 마쇄하고 증류수로 가열추출, 멸균,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발아현미 추출물을 얻는 과정,
    인삼을 증류수로 가열추출, 멸균,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인삼 추출물을 얻는 과정,
    용안육을 70 % 에탄올로 가열추출,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용안육 추출물을 얻는 과정, 및,
    상기 발아현미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용안육 추출물을 혼합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80089339A 2008-09-10 2008-09-10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1041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339A KR101041044B1 (ko) 2008-09-10 2008-09-10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339A KR101041044B1 (ko) 2008-09-10 2008-09-10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403A true KR20100030403A (ko) 2010-03-18
KR101041044B1 KR101041044B1 (ko) 2011-06-13

Family

ID=4218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339A KR101041044B1 (ko) 2008-09-10 2008-09-10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16296B1 (en) * 2011-05-27 2017-04-26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Novel usage of rice bran, or rice hull extract as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307B1 (ko) * 2016-01-28 2018-07-05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증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188857B (ko) * 2000-07-14 2002-11-16 Govind Kane Dr Shanta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16296B1 (en) * 2011-05-27 2017-04-26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Novel usage of rice bran, or rice hull extract as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1044B1 (ko) 2011-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780B1 (ko)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7982B1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91995A (ko)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789424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642258A (zh) 一种用于青年人缓解压力、放松心情、改善睡眠的饮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6190566A9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TWI830696B (zh) 抑制肌纖維變性用組成物
KR102171518B1 (ko)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 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41044B1 (ko)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20180115916A (ko) Hesperet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신경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US11439603B2 (en) Compositions for ameliorating, preventing or treating somnipathy including phloroglucinol as active ingredient and compositions for suppressing intolerance to or alleviating side effects of agonist at benzodiazepine binding site of GABA-A receptor including phloroglucinol as active ingredient
KR100426925B1 (ko)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2287877B1 (ko) 차전자피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증진용 조성물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957561A (zh) 一种具有改善睡眠帮助缓解压力的组合物及其制剂
KR20110138595A (ko) 야관문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137971A (ko) 신경 세포사 억제 활성을 갖는 황칠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55159A (ko) 감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20180001032A (ko) 저함량의 카테킨 및 카페인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 개선용 조성물
KR101769972B1 (ko) 한약재 추출물(yj05)을 함유하는 불면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4302B1 (ko) 붓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41455B1 (ko) 혈당 강하용 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6927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조성물
KR102646051B1 (ko)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1557B1 (ko) 갯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gabaa 수용체 효능제의 내성 억제 또는 부작용 경감을 위한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