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7234A -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7234A
KR20100027234A KR1020107001633A KR20107001633A KR20100027234A KR 20100027234 A KR20100027234 A KR 20100027234A KR 1020107001633 A KR1020107001633 A KR 1020107001633A KR 20107001633 A KR20107001633 A KR 20107001633A KR 20100027234 A KR20100027234 A KR 20100027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video data
picture
reproducing apparatu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2767B1 (ko
Inventor
슈이찌 와따나베
지로 기야마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7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81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temporal resolution, e.g. by frame sk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영상 데이터로부터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지시하는 플래그를 판독하는 플래그 판독부(101)와, 2개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부(102, 103)와, 복호 영상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합성부(106)와, 상기 플래그의 값에 의해 복호부(102, 103), 및 합성부(106)의 동작을 제어하는 관리부(109)를 구비하고, 상기 플래그의 값에 의해 픽쳐 인 픽쳐 재생 시의 특수 재생의 재생 형태를 관리함으로써, 픽쳐 인 픽쳐 영상의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에 대해, 제공자의 의도를 반영한 재생 형태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 및 기록 매체{VIDEO DATA REPRODUCING APPARATUS, VIDEO DATA GENERAT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고, 그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여 얻어지는 복수의 복호 영상을 합성한 재생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복수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복수의 복호 영상을 합성하여 재생 영상을 출력하는 데에 이용되는 그 영상 데이터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인프라의 고속화나 기록 미디어의 대용량화에 의해, 유저나 유저가 취급하는 영상 기기가 한번에 취급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의 절대량은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에 수반하여,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실현되는 다양한 기능이나, 그들에 기초하는 고도 어플리케이션도 등장하고 있다. 그와 같은 기능의 하나로 픽쳐 인 픽쳐라고 불리는 기능이 있다. 「픽쳐 인 픽쳐」는, 화면(메인화면) 내에 작은 서브화면을 겹쳐서 2개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면, 메인화면의 영상과 별도의 앵글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서브화면 내에 표시하는 「멀티 앵글 표시」나, 메인화면의 영상에 관한 부가 정보를 코멘터리 형식으로 표시하는 「코멘터리 표시」(예를 들면, 영화에 관한 촬영 비화 등을 수록한 감독의 코멘터리 영상 등을 표시함)에 이용된다.
이 픽쳐 인 픽쳐 기능은,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영상 데이터를 2개의 서로 다른 레이어 상에 각각 복호하고, 그들 복호 영상을 서로 겹치게 한다고 하는 처리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도 18은 픽쳐 인 픽쳐 기능에서의 서브화면의 영상의 표시 형태의 차이를 도시하는 것으로, 서브화면에는 사각형 영상(1801) 외에, 임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영상(1802)이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픽쳐 인 픽쳐의 기능 및 실현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등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23775호 공보
픽쳐 인 픽쳐에서는,2개의 영상이 동시에 재생되어 표시된다. 이 때문에, 픽쳐 인 픽쳐 표시 시에, 예를 들면 메인화면의 영상에 대해 고속 재생 등의 특수 재생이 지시된 경우에, 서브화면의 영상이 메인화면의 영상에 추종하여 특수 재생되는 것인지, 혹은 특수 재생되지 않는 것인지라고 하는 것에는 종래 제한이 없으며, 재생 기기의 실장 의존이었다. 따라서, 영상을 제공하는 측에서 특수 재생 시의 동작을 제한할 수는 없었다. 여기서, 특수 재생이란, 2배속, 4배속 등의 영상의 고속 재생 외에, 슬로우 재생, 코마 전송 재생, 역재생 등, 통상 재생과 상이한 영상의 재생 형태를 말한다.
도 19에, 영상 콘텐츠를 제공자로부터 소비자에게 배포(distribution)하는 경우의 대표적인 3개의 루트(방송, 통신(네트워크), 패키지 유통)를 도시한다. 또한, 복합적인 배포 수단으로서, 기본 부분을 방송 또는 패키지 유통으로 보내고, 추가분을 통신(네트워크)으로 보낸다고 하는 것도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픽쳐 인 픽쳐를 포함한 영상을 제공자로부터 소비자에게 배포할 때, 용도(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는, 영상의 제공자측에서 픽쳐 인 픽쳐의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제공자가 의도한 대로 지정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예를 들면, 서브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은 특전 영상이며, 고속 재생하지 않고 최후까지 시청하는 것을 시청 조건으로서 설정한다라고 하는 요구이다. 그에 대해, 종래의 픽쳐 인 픽쳐에서는,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가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 기기측에 맡겨져, 제공자측의 그와 같은 요구를 실현하는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픽쳐 인 픽쳐 영상의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에 대해, 제공자의 의도를 반영한 재생 형태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및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발명은,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고, 그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여 얻어지는 복수의 복호 영상을 합성한 재생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여 상기 복수의 복호 영상을 얻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수의 복호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재생 영상을 얻는 합성 수단과,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재생 영상의 재생 형태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판독하는 지시 정보 판독 수단과, 상기 지시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지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복호 수단 혹은 상기 합성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재생 형태를 관리하는 관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은, 복수의 영상 데이터와, 그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관리 데이터가 입력되고, 그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여 얻어지는 복수의 복호 영상을 합성한 재생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여 상기 복수의 복호 영상을 얻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수의 복호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재생 영상을 얻는 합성 수단과, 상기 관리 데이터로부터 상기 재생 영상의 재생 형태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판독하는 지시 정보 판독 수단과, 상기 지시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지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복호 수단 혹은 상기 합성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재생 형태를 관리하는 관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발명은, 제1 또는 제2 발명에서, 상기 재생 영상은 픽쳐 인 픽쳐 형식의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발명은, 제3 발명에서, 상기 재생 형태는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가리키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픽쳐 인 픽쳐 형식의 영상에서 메인화면의 영상의 특수 재생 시에, 서브화면의 영상이 특수 재생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 발명은, 제3 발명에서, 상기 재생 형태는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가리키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픽쳐 인 픽쳐 형식의 영상에서 메인화면의 영상의 특수 재생 시에, 서브화면의 영상이 표시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6 발명은, 제3 발명에서, 상기 재생 형태는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가리키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픽쳐 인 픽쳐 형식의 영상에서 서브화면의 영상의 특수 재생 시에, 메인화면의 영상이 특수 재생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7 발명은, 제1 또는 제2 발명에서, 상기 재생 영상은 2화면 표시 형식의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8 발명은, 제7 발명에서, 상기 재생 형태는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가리키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2화면 표시 형식의 영상에서 한쪽의 영상의 특수 재생 시에, 다른 쪽의 영상이 특수 재생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9 발명은, 제7 발명에서, 상기 재생 형태는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가리키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2화면 표시 형식의 영상에서 한쪽의 영상의 특수 재생 시에, 다른 쪽의 영상이 표시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발명은, 복수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복수의 복호 영상을 합성하여 재생 영상을 출력하는 데에 이용되는, 그 영상 데이터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로서, 입력된 영상을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얻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기 재생 영상의 재생 형태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기입하는 지시 정보 기입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발명은, 복수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복수의 복호 영상을 합성하여 재생 영상을 출력하는 데에 이용되는, 그 영상 데이터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로서, 입력된 영상을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얻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영상 데이터에 관한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관리 데이터에, 상기 재생 영상의 재생 형태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기입하는 지시 정보 기입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2 발명은, 제11 발명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지시 정보가 기입된 상기 관리 데이터를 다중화한 다중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다중화 데이터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3 발명은, 제10 내지 제12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서, 상기 재생 영상은 픽쳐 인 픽쳐 형식의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4 발명은, 제13 발명에서, 상기 재생 형태는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가리키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픽쳐 인 픽쳐 형식의 영상에서 메인화면의 영상의 특수 재생 시에, 서브화면의 영상이 특수 재생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5 발명은, 제13 발명에서, 상기 재생 형태는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가리키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픽쳐 인 픽쳐 형식의 영상에서 메인화면의 영상의 특수 재생 시에, 서브화면의 영상이 표시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6 발명은, 제13 발명에서, 상기 재생 형태는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가리키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픽쳐 인 픽쳐 형식의 영상에서 서브화면의 영상의 특수 재생 시에, 메인화면의 영상이 특수 재생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7 발명은, 제10 내지 제12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서, 상기 재생 영상은 2화면 표시 형식의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8 발명은, 제17 발명에서, 상기 재생 형태는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가리키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2화면 표시 형식의 영상에서 한쪽의 영상의 특수 재생 시에, 다른 쪽의 영상이 특수 재생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9 발명은, 제17 발명에서, 상기 재생 형태는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가리키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2화면 표시 형식의 영상에서 한쪽의 영상의 특수 재생 시에, 다른 쪽의 영상이 표시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화면의 영상의 특수 재생 시에서의, 서브화면의 영상의 재생 형태(메인화면의 특수 재생에 추종시키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지시 플래그를, 서브화면의 영상의 영상 데이터 내에 포함시킨다. 혹은, 메인화면, 서브화면의 영상 데이터와 독립된 관리 데이터 내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영상 데이터의 배포 시 등에, 지시 플래그에 의한 지시 정보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취급한다. 영상 재생 장치에서는, 상기 저장된 지시 플래그를 판독하여 이용함으로써, 제공자가 의도한 대로 픽쳐 인 픽쳐 시의 특수 재생을 행하는(서브화면 영상을 메인화면 영상과 추종하여 특수 재생하거나, 혹은 독립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픽쳐 인 픽쳐 시의 재생 형태가 재생 기기의 실장에 의존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에서,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에서, 특수 재생 시의 다른 재생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에서, 특수 재생 시의 또 다른 재생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에서, 특수 재생 시의 또 다른 재생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에서 취급되는 지시 플래그의 값과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와의 대응 관계를 도시한 표.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 취급되는 영상 데이터의 개략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 취급되는 영상 데이터의 다른 개략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 재생되는 영상의 화면 표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 취급되는 영상 데이터의 개략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
도 17은 종래의 픽쳐 인 픽쳐 기능의 실현 방식을 도시한 설명도.
도 18은 종래의 픽쳐 인 픽쳐 기능을 도시한 예.
도 19는 종래의 영상 콘텐츠의 배신을 설명한 설명도.
<부호의 설명>
1 : 영상 재생 장치
101 : 플래그 판독부
102, 103 : 복호부
104, 105 : 버퍼(BF)
106 : 합성부
107 : 표시부
108 : 입력부
109 : 복호 관리부
110 : 조정부
<제1 실시 형태>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를, 도 1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영상 재생 장치(1)는, 2개의 영상 데이터(부호화 영상 스트림)를 입력으로 하고, 그들을 복호, 복호 영상을 합성한 영상을 출력 표시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하, 픽쳐 인 픽쳐 표시에서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메인 영상」, 서브화면으로서 표시되는 영상을 「서브 영상」이라고 불러 구별한다.
영상 재생 장치(1)는, 서브 영상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후술하는 지시 플래그를 판독하기 위한 플래그 판독부(101), 영상 데이터 각각에 대해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부(102, 103), 동일하게 각각의 복호 영상을 유지하여 합성 타이밍에 따라서 출력하기 위한 버퍼(BF)(104, 105), 그들 복호 영상을 합성하기 위한 합성부(106), 출력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07),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108), 및 복호부(102, 103)의 복호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복호 관리부(10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합성부(106)에는 서브 영상의 복호 영상에 대해, 합성용으로 표시 사이즈나 표시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110)가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1)에서는, 플래그 판독부(101)에서, 후술하는 지시 플래그가 영상 데이터로부터 판독되어 출력된다. 실제의 영상 데이터의 복호에서는, 부수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분리나, 영상에 부수하는 관리 정보(영상의 부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 등 데이터의 복호에 필요한 정보나, 영상의 시간적인 잘라내기나 연결을 지정하는 플레이 리스트 정보 등 영상의 재생에 필요한 정보 등)의 판독이 필요한 경우가 있지만, 도 1에서는 설명의 간편을 위해, 그들의 분리, 판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우선 처음에, 플래그 판독부(101)에서, 서브 영상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지시하는 지시 플래그가 판독된다. 이 판독된 지시 플래그는, 복호 관리부(109)에 입력되어, 픽쳐 인 픽쳐 영상의 특수 재생 시에 이용된다. 지시 플래그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통상 재생 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재생의 경우, 메인 영상의 영상 데이터 및 (지시 플래그 판독 후의) 서브 영상의 영상 데이터는, 각각 복호부(102, 103)에 입력되어 순차적으로 복호된다. 그리고, 복호된 각 영상은, 버퍼(BF)(104, 105)에 일시 축적된 후, 출력 타이밍을 조정받은 후에 합성부(106)에 보내어진다.
합성부(106)는, 내부에 조정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합성부(106)에 입력되는 2개의 복호 영상 중, 서브 영상에 해당하는 복호 영상이 BF(105)로부터 조정부(110)에 입력된다. 조정부(110)에서는, 서브 영상을 메인 영상에 서로 겹치게 하는 전처리로서, 서브 영상의 화상 사이즈의 변경이나 표시 위치의 설정을 행한다. 이들 서브 영상(서브화면)의 화상 사이즈나 표시 위치의 값은, 합성 파라미터로서 영상 재생 장치(1)가 미리 갖고 있거나, 또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다. 혹은,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통하여 결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정된 서브 영상은, BF(104)로부터 입력되는 메인 영상에 해당하는 복호 영상 상에 겹쳐서 합성된다.
또한, 합성할 때, 서브 영상의 투과도를 설정하여, 메인 영상이 비쳐 보이도록 하여도 된다. 이 투과도도 합성 파라미터로서 영상 재생 장치(1)가 미리 갖고 있거나, 혹은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통하여 결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합성부(106)에서 합성되어 출력된 픽쳐 인 픽쳐 영상은, 표시부(107)를 통하여 모니터 등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특수 재생이 지시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영상 재생 장치(1)는 입력부(108)를 구비하고 있어, 유저로부터의 특수 재생 지시를 접수한다. 입력부(108)는 특수 재생의 지시 입력을 수취하면, 그 지시 내용을 나타내는 특수 재생 지시 정보로 변환하고, 그 특수 재생 지시 정보를 복호 관리부(109)에 보낸다.
복호 관리부(109)에는, 입력부(108)로부터의 특수 재생 지시 정보와 함께, 플래그 판독부(101)에서 서브 영상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판독된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나타내는 지시 플래그가 입력되어 있다. 복호 관리부(109)는, 상기 특수 재생 지시 정보를 수취하면, 2개의 복호부(102, 103), 및 합성부(106)의 처리를 제어하여,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재생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픽쳐 인 픽쳐 시의 특수 재생을 실행한다. 이 때, 플래그 판독부(101)로부터 입력된 지시 플래그는, 어떤 재생 형태로 특수 재생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2에 도시한 재생 형태(A)는,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이 지시된 경우에, 메인 영상에 추종하여 서브 영상도 특수 재생되는 재생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영상 재생 장치(1)의 복호 관리부(109)는, 복호부(102, 103) 쌍방에 대해, 동기하여 특수 재생(을 위한 복호 처리의 실행)을 지시한다. 지시를 받은 복호부(102, 103)는, 예를 들면 고속 재생의 경우, 복호하는 프레임 데이터를 데이터 솎아냄 처리(thinning)하여, 예를 들면 I 프레임만을 복호하여 출력함으로써, 메인 영상, 서브 영상 쌍방의 고속 재생을 실현한다. 출력된 복호 영상은, 통상 재생 시와 마찬가지로 합성부(106)에 입력되어, 합성되어 출력, 표시된다.
또한, 이와 같이 동기하여 특수 재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호화 시에 I 프레임의 삽입 위치를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에서 맞춰 둔다고 하는 처리를 가하여도 된다. 또한,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규격에서 규정된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 방식의 데이터 구조인 GoP(Group of Picture) 구조까지 포함시켜,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의 데이터 구조를 맞추도록 하여도 된다. GoP 구조까지 포함시켜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의 데이터 구조를 맞춤으로써, P 프레임 등도 포함시킨 원활한 특수 재생에서의 동기가 가능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재생 형태(B)는,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이 지시된 경우에,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되는 동안의 서브 영상의 출력을 멈추고, 통상 재생으로 복귀한 후에, 통상 재생으로 복귀한 메인 영상과 동일한 시각 위치로부터의 서브 영상을 다시 합성하여 표시하는 재생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영상 재생 장치(1)의 복호 관리부(109)는, 복호부(102)에만 특수 재생(을 위한 복호 처리의 실행)을 지시한다. 또한, 복호 관리부(109)는 합성부(106)에, 특수 재생 동안, 서브 영상의 합성을 멈추도록 지시한다. 통상 재생으로의 복귀가 지시되었다면, 복호 관리부(109)는 복호부(102)에 통용 재생(을 위한 복호 처리의 실행)을 지시함과 함께, 복호부(103)에, 통상 재생으로 복귀한 메인 영상과 동일한 시각 위치로부터 서브 영상의 영상 데이터의 복호를 지시한다. 그리고, 통상 재생 복귀 후에는, 메인, 서브의 복호 화상이 합성부(106)에 입력되어, 합성되어 출력, 표시된다.
도 2, 도 3의 재생 형태는,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이 동기하여 재생되는 경우를 도시한 예이다. 즉, 도 2, 도 3의 재생 형태에서는,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이 동일한 시각 기준에 의해 재생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재생 형태(C)는,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이 지시된 경우에, 메인 영상만을 특수 재생하고, 서브 영상은 통상 재생인 채로 재생하여 표시하는 재생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영상 재생 장치(1)의 복호 관리부(109)는, 복호부(102)에만 특수 재생(을 위한 복호 처리의 실행)을 지시한다. 복호부(103)는 통상 재생인 채로 복호가 행해진다. 그리고, 복호부(102)로부터 출력된 특수 재생된 메인 영상과, 복호부(103)로부터 출력된 통상 재생된 서브 영상은, 통상 재생 시와 마찬가지로 합성부(106)에 입력되어, 합성되어 출력, 표시된다.
도 5에 도시한 재생 형태(D)는,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이 지시된 경우에,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되는 동안의 서브 영상의 출력을 멈추고, 통상 재생으로 복귀한 후에, 정지한 시간 위치로부터의 서브 영상을 다시 합성하여 표시하는 재생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영상 재생 장치(1)의 복호 관리부(109)는, 복호부(102)에만 특수 재생(을 위한 복호 처리의 실행)을 지시한다. 또한, 복호 관리부(109)는 합성부(106)에, 특수 재생 동안, 서브 영상의 합성을 멈추도록 지시한다. 통상 재생으로의 복귀가 지시되었다면, 복호 관리부(109)는 복호부(102)에 통상 재생(을 위한 복호 처리의 실행)을 지시함과 함께, 복호부(103)에, 특수 재생이 개시되어 서브 영상의 복호가 정지된 위치로부터의 서브 영상의 복호를 지시한다. 그리고, 통상 재생 복귀 후에는,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이 합성부(106)에 입력되어, 합성되어 출력, 표시된다.
도 4, 도 5의 재생 형태는,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의 재생이 특수 재생을 행하였을 때에 비동기로 되는 경우를 도시한 예이다. 즉, 도 4, 도 5의 재생 형태에서는,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이 서로 다른 시각 기준에 의해 재생된다.
여기서, 지시 플래그에 대해 설명한다. 플래그 판독부(101)에서 판독되어 복호 관리부(109)에 입력되는 지시 플래그는, 상기한 어떤 재생 형태로 특수 재생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즉, 서브 영상의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지시 플래그의 값에 의해, 서브 영상을 메인 영상과 동기시킬지(도 2, 도 3), 비동기로 할지(도 4, 도 5)를 제어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정되는 지시 플래그의 예로서, 다음의 3 종류를 정의한다.
「재생 형태 지시 플래그」: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 시, 서브 영상을 추종하여 특수 재생시킬지, 추종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재생(예를 들면 통상 재생)시킬지를 나타내는 2치의 플래그.
「추종 재생 금지 플래그」: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 시, 서브 영상이 추종하여 특수 재생되는 것을 금지하는 2치의 플래그. 본 플래그가 「진짜」일 때, 서브 영상은 항상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과 독립적으로 재생(예를 들면 통상 재생)된다.
「독립 재생 금지 플래그」: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 시, 서브 영상이 메인 영상에 추종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재생(예를 들면 통상 재생)되는 것을 금지하는 2치의 플래그. 본 플래그가 「진짜」일 때, 서브 영상은 항상 메인 영상에 추종하여 특수 재생된다.
영상 데이터는 이들 지시 플래그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고, 그것 혹은 그들의 값에 의해 영상 재생 장치(1)에서의 픽쳐 인 픽쳐에서의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가 결정된다. 도 6의 표에, 그들 지시 플래그의 값과, 취할 수 있는 재생 형태(A)(도 2), 재생 형태(C)(도 4)와의 구체적인 대응 관계를 도시하였다.
도 6의 표 601은, 재생 형태 지시 플래그의 값 「독립」「추종」과, 재생 형태 지시 플래그가 「독립」 혹은 「추종」일 때에 영상 재생 장치(1)가 취할 수 있는 재생 형태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재생 형태 지시 플래그가 「독립」인 경우, 서브 영상은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에 추종하지 않고, 독립된 시간 기준에 의해 통상 재생된다. 재생 형태 지시 플래그가 「추종」인 경우, 서브 영상은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에 추종하여, 동일한 시간 기준에 의해 특수 재생된다.
또한, 동기하여 특수 재생을 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호화 시에 I 프레임의 삽입 위치를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에서 맞춘다고 하는 처리를 가하고 있는 경우, 이 플래그의 값은 직접, I 프레임 위치를 맞추고 있는지(플래그의 값은 「추종」), 맞추고 있지 않은지(플래그의 값은 「독립」)를 나타내고 있다고 파악할 수도 있다.
도 6의 표 602는, 추종 재생 금지 플래그의 값 「진짜」「가짜」와, 추종 재생 금지 플래그가 「진짜」 혹은 「가짜」일 때에 영상 재생 장치(1)가 취할 수 있는 재생 형태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추종 재생 금지 플래그가 「진짜」인 경우, 서브 영상은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에 추종하지 않고, 독립된 시간 기준에 의해 통상 재생된다. 한편, 추종 재생 금지 플래그가 「가짜」일 때에는, 어떠한 재생을 영상 재생 장치(1)가 행하여도 된다.
또한, 도 6의 표 603은, 독립 재생 금지 플래그의 값 「진짜」「가짜」와, 독립 재생 금지 플래그가 「진짜」 혹은 「가짜」일 때에 영상 재생 장치(1)를 취할 수 있는 재생 형태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독립 재생 금지 플래그가 「진짜」인 경우, 서브 영상은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에 추종하여, 동일한 시간 기준으로 특수 재생된다. 한편, 독립 재생 금지 플래그가 「가짜」일 때에는, 어떠한 재생을 영상 재생 장치(1)가 행하여도 된다.
또한, 여기에 나타낸 지시 플래그는 일례이며, 모두 「0」, 「1」의 2치 플래그이지만, 다치로 이루어지는 더 복잡한 지시 플래그를 정의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추종 재생을 금지하고 독립 재생을 허가하는 플래그이며, 또한 도 5와 같이 서브 영상의 재생을 멈추는 형식에서의 독립 재생은 금지하고, 도 4와 같이 서브 영상을 계속하여 통상 재생하는 형식의 독립 재생만을 허가한다고 하는 지시 플래그를 설치할 수도 있다.
바꿔 말하면, 상기한 재생이 「추종」인지 「독립」인지를 나타내는 「0」, 「1」의 2치 플래그 이외에,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 시에 서브 영상의 표시를 계속할지(도 2, 도 4), 혹은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 시에는 서브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지(도 3, 도 5)를 나타낸 「표시」인지 「비표시」인지를 나타내는 「0」, 「1」의 2치 플래그를 준비하고, 그들 플래그의 값의 조합에 의해 도 2 내지 도 5의 재생 형태(A)∼(D) 중 어느 하나를 일의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재생이 「추종」인지 「독립」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재생 지시 플래그」, 후자(서브 영상이 「표시」인지 「비표시」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표시 지시 플래그」라고 불러 구별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재생 지시 플래그를 「추종」으로 하고, 표시 지시 플래그를 「표시」로 하면, 도 2의 재생 형태(A)가 선택된다. 이와 같은 재생에서는, 메인 영상에 합성된 서브 영상이 완전하게 메인 영상의 일부인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어, 외관상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이 구별되지 않도록 보이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 때문에, 영상 제공자가 그와 같은 효과를 바라는 경우에는, 각 지시 플래그를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한다. 반대로, 서브 영상을 메인 영상과 상이한 부가 영상인 것을 명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재생 지시 플래그를 「추종」으로 하고, 표시 지시 플래그를 「비표시」로 하여, 도 3의 재생 형태(B)를 선택한다.
또한, 재생 지시 플래그를 「독립」으로 하고, 표시 지시 플래그를 「표시」로 하면, 도 4의 재생 형태(C)가 선택된다. 이는, 예를 들면 서브 영상 1회의 재생에 걸리는 실제 재생 시간이 엄밀하게 정해져 있는, 우선도가 매우 높은 서브 영상에 대해 적용되는 재생 형태로서, 서브 영상 1회의 재생 동안, 서브 영상의 재생을 정지하지 않는다. 한편, 재생 지시 플래그를 「독립」으로 하고, 표시 지시 플래그를 「비표시」로 한 도 5의 재생 형태(D)에서는,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 동안, 서브 영상의 재생 및 표시를 정지하고, 메인 영상이 통상 재생으로 복귀한 후에, 정지 위치부터 후속의 서브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한다. 이 때문에, 기기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 깜박 서브 영상을 놓치게 되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어, 서브 영상을 차분히 볼 수 있는 데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에 부수하여 공급되는 지시 플래그에 의해, 영상 재생 장치(1)에서의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지정할 수 있다. 이 지시 플래그는, 영상 데이터의 제공자측에서 서브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부가된다.
도 7에,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1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를 도시하였다.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11)는, 부호화부(701)와 플래그 설정부(702), 및 플래그 기입부(703)를 포함한다. 영상 제공자의 지시 입력은, 플래그 설정부(702)에서 지시 플래그로 변환된다. 입력된 영상은, 부호화부(701)에서 부호화되어 영상 데이터(부호화 영상 스트림)로 변환된다. 그 후, 플래그 기입부(703)를 통하여 영상 데이터(부호화 영상 스트림)에 지시 플래그가 저장된다.
영상 제공자는, 지시 플래그를 영상 데이터(부호화 영상 스트림)에 매립함으로써, 제공자가 의도한 재생 형태로 영상 재생 장치에서의 픽쳐 인 픽쳐의 특수 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8에, 도 7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11)에서 생성되는 영상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고, 특히 지시 플래그의 매립 위치의 예를 도시하였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시 플래그는 영상 데이터(부호화 영상 스트림) 내의 시퀀스 헤더에 매립하거나(801), 각 패킷 헤더에 매립하거나(802), 또는 부호화 영상 스트림에 대한 관리 정보(플레이 리스트 정보 등)가 영상 데이터 내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관리 정보 내에 지시 플래그를 저장한다(803). 단, 지시 플래그의 영상 데이터 내의 매립 위치는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1)에서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부호화 영상 스트림) 내에 지시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과 함께,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영상의 부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 등 데이터의 복호에 필요한 정보나, 영상의 시간적인 잘라내기나 연결을 지정하는 플레이 리스트 정보 등 영상의 재생에 필요한 정보)를 기록한 데이터 스트림(관리 데이터 스트림)이 주어지고, 그들이 다중화된 다중화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이 아니라 관리 데이터 스트림 내에 지시 플래그가 저장되어 입력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상기한 영상 재생 장치(1)에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서는, 지시 플래그가 서브 영상의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메인 영상의 영상 데이터측에 지시 플래그가 저장되어 입력되는 것도 상정된다. 그 경우의 지시 플래그는, 그 메인 영상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임의의 서브 영상의 영상 데이터가 조합되었을 때, 그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에 대해 임의의 서브 영상이 추종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로 된다.
도 9에, 그들 입력 패턴의 차이를 정리하여 도시하였다. 부호 91, 92는, 지시 플래그를 포함하는 2개의 영상 데이터(부호화 영상 스트림)를 입력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91은 도 1의 α와 동일한 것이다. 부호 93, 94는, 지시 플래그를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스트림)를 영상 데이터(스트림)와 다중화한 다중화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분리부(903, 904)는, 다중화된 데이터로부터 관리 데이터를 분리하기 위한 기능부이다. 또한, 분리된 관리 데이터의 취급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부호 91, 93은 지시 플래그가 서브 영상측의 영상 데이터(혹은 대응하는 관리 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92, 94는 지시 플래그가 메인 영상측의 영상 데이터(혹은 대응하는 관리 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모두의 출력은 2개의 영상 데이터와 지시 플래그이며, 도 1의 α 부분으로 치환하여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도 9의 부호 93이나 94에서는, 다중화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와 관리 데이터의 2개의 데이터 스트림만으로 구성되어 있도록 그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오디오의 데이터 스트림 등 다른 데이터 스트림이 다중화되어 있어도 된다. 도 9에서는 간편을 위해, 그들에 대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도 10은 다중화 데이터를 구성하는 영상 데이터(부호화 영상 스트림) 및 관리 데이터 스트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시 플래그는 영상 데이터(부호화 영상 스트림)에 관한 재생 관리 정보(플레이 리스트 정보 등) 내에 매립하거나(1001), 혹은 영상 데이터(부호화 영상 스트림)에 관한 복호 관리 정보(부호화 방식 정보 등)에 저장한다(1002). 단, 지시 플래그의 관리 데이터 내의 매립 위치는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2개의 복호부(102, 103)는, 동일한 복호 능력을 가진 것이어도 되고, 각각 별개의 복호 능력을 가진 것이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1)에서는, 입력된 시점에서 각각의 영상 데이터가, 메인 영상용의 영상 데이터인지, 서브 영상용의 영상 데이터인지가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 영상보다도 해상도가 낮은(화상 사이즈가 작은) 서브 영상 전용의 영상 데이터를 정의할 수 있고, 그와 같은 경우, 서브 영상의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복호부(103)에는, 서브 영상 전용의 영상 데이터 복호용으로 저해상도 영상을 복호하는 전용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영상 재생 장치(1)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영상 데이터인 케이스도 상정될 수 있다. 그 경우에서는, 영상 데이터의 복호는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복호부(102, 103)는 복호를 행하는 기능 블록이 아니라,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적절하게 나누어 출력하는 기능 블록(분리부(102', 103'))으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복호 관리부(109)는, 상기한 기능 블록(분리부(102', 103'))이 영상 데이터를 나누어 출력하는 것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 블록(분리 관리부(109'))으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영상 재생 장치(1)의 합성부(106)는, 서브 영상의 조정만을 행하고, 메인 영상의 조정은 행하지 않는(즉 메인 영상은 전체 화면 표시) 것이었지만(도 11의 (a)), 합성부(106)는 이에 한하지 않고,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영상측에도 조정부(1110)를 설치하여, 조정하여 출력하는 합성부(1106)로 치환할 수도 있다. 도 12에, 합성부(1106)로 치환한 경우의 출력 영상의 예를 도시하였다. 이 경우, 도 12의 12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영상을 임의의 크기로 변경하거나, 혹은 12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서브의 2개의 영상을 서로 겹치지 않고, 나란히 2화면 표시한다고 하는 화면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영상 재생 장치에서는, 픽쳐 인 픽쳐 표시 용도 이외에, 도 12의 1203에 나타낸 바와 같은 2화면 표시시키는 영상 재생 장치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즉, 지시 플래그를 영상 데이터에 매립함으로써, 한쪽의 영상의 특수 재생에 대해 다른 쪽의 영상을 추종하여 특수 재생시킬지의 여부 등의 제어를 가할 수 있어, 영상 제공자측이 의도한 2화면 표시 영상의 특수 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1)에서는, 영상 데이터와 함께, 픽쳐 인 픽쳐에서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도시한 정보인 지시 플래그가 입력되고, 지시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가 결정된다. 따라서, 영상의 제공자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지시 플래그를 영상 데이터에 부수시켜 보냄으로써, 제공자가 의도한 재생 형태로 픽쳐 인 픽쳐 재생 시의 특수 재생을 영상 재생 장치에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1), 도 9의 부호 91의 경우에는, 입력된 시점에서 각 영상 데이터가 메인 영상용인지, 서브 영상용인지가 결정되어 있지만, 서브 영상용으로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메인 영상의 영상 데이터로서 입력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영상 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는 지시 플래그는 무시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9의 부호 92의 경우에는, 메인 영상용으로서 생성된 지시 플래그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서브 영상의 영상 데이터로서 입력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도, 영상 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는 지시 플래그는 무시된다. 또한, 영상 재생 장치(1)에 디폴트의 재생 형태를 설정하여, 지시 플래그가 메인 영상, 서브 영상 중 어느 쪽으로부터도 판독되지 않았던 경우에, 디폴트의 재생 형태로 특수 재생하도록 설정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지시 플래그는, 메인 영상의 특수 재생되었을 때의 서브 영상의 거동을 나타낸 플래그이지만, 반대로 서브 영상의 특수 재생이 지시된 경우의 메인 영상의 거동을 나타내는 지시 플래그를 정의할 수도 있다. 이 점에 대해 이하의 실시 형태 내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한, 서브 영상의 거동을 나타내어 영상 제공자의 의도를 전하는 플래그로서는, 상기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도시한 지시 플래그 이외에, 서브 영상의 이동ㆍ확대를 금지하는 플래그 등도 아울러 저장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서브 영상의 이동ㆍ확대를 금지하는 플래그는, 서브 영상의 표시 사이즈, 표시 위치가 유저에 의해 변경 가능한 재생 장치에서 적용된다. 서브 영상의 확대ㆍ이동을 금지하는 플래그의 값이 「진짜」일 때, 메인 영상에 대해 서브 영상의 표시 사이즈, 표시 위치를 고정으로 하고, 유저의 지시를 접수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영상 재생 장치(1)에서는, 특수 재생의 실현 방법으로서 복호부의 처리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냈지만, 특수 재생의 실현 방법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속 재생의 예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복호부에서 데이터 솎아냄 처리하는 이외에도, 모든 프레임을 복호한 후에, 버퍼(104, 105)로부터 출력되는 복호 화상을 타이밍의 조정과 아울러 데이터 솎아냄 처리하는 등의 방법으로도 고속 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영상 재생 장치(1)는 특수 재생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의 일 구성 형태이며, 이 이외에도 특수 재생을 실현하는 장치 구성을 취할 수 있고, 그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지시 플래그에 의한 특수 재생의 제어를 적용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도 이하의 실시 형태 내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2)를,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2)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영상 재생 장치(2)는, 각 영상 데이터로부터 지시 플래그를 판독하기 위한 플래그 판독부(1301, 1302), 복호부(1303, 1304), 버퍼(BF)(1305, 1306), 합성부(1307), 표시부(1308)(조정부(1312, 1313)를 포함함), 입력부(1309), 복호 관리부(1310), 및 합성부(1307)에서 실행되는 합성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합성 관리부(131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중, 플래그 판독부(1301, 1302)는 모두 도 1에 도시한 플래그 판독부(101)와 동등한 기능을 갖고, 또한 복호부(1303, 1304), 버퍼(1305, 1306), 표시부(1308)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복호부(102, 103), 버퍼(104, 105), 표시부(107)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한, 조정부(1312, 1313)는 도 1에 도시한 조정부(110)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1)와의 상위를 중심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2)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1)에서는,2개의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해, 입력되는 단계에서, 어느 것이 메인 영상용이고 어느 것이 서브 영상용인지가 미리 결정된 후에 입력되어 있었다. 이것은, 서브 영상 전용의 영상 데이터, 예를 들면 메인 영상에 대한 번외 영상이나 촬영 비화와 같은 중요하지 않은 코멘터리 영상 등, 메인 영상 재생을 하지 않는 영상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가장 유효하다.
이에 대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2)는, 2개의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해, 입력 단계에서 메인용인지 서브용인지로 나누지 않고, 입력 후, 영상의 합성 단계에서 2개의 영상의 합성을 조정함으로써 메인 영상, 서브 영상을 결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빈번하게 메인 영상 재생과 서브 영상 재생을 절환하는 용도, 예를 들면 멀티 앵글 표시에서 표시 영상을 빈번하게 절환하는 경우에 가장 유효하게 된다.
이 때문에, 영상 재생 장치(2)는, 영상 재생 장치(1)에 없는 새로운 기능 블록, 합성 관리부(1311)를 갖고 있다.
입력부(1309)는, 특수 재생 지시 이외에, 유저로부터, 메인 영상, 서브 영상을 절환하는(어느 것이 메인 영상이고 어느 것이 서브 영상인지를 선택하는) 영상 선택의 지시를 접수한다. 입력부(1309)는, 영상 선택의 지시를 수취하면, 영상 선택 지시 정보를 발행하고, 합성 관리부(1311)에 전한다.
합성 관리부(1311)는, 상기 영상 선택 지시 정보에 의해 어느 것이 메인 표시이고 어느 것이 서브 표시로 되는지를 알 수 있어, 각각의 조정부(1312, 1313)에 대해, 상기 영상 선택 지시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메인 영상 표시, 서브 영상 표시에 대응하는 합성 파라미터를 각각에 보낸다. 또한, 겹칠 때의 상하 관계(메인 영상 상에 서브 영상을 겹침)를 합성부(1307)에 통지한다. 또한 투과도의 설정 등을 아울러 보내도 된다. 또한, 어느 것이 서브 영상으로서 선택되어 있는지를 나타낸 선택 정보를 복호 관리부(1310)에 보낸다.
플래그 판독부(1301, 1302)에서는, 입력된 각각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지시 플래그를 판독하고, 판독된 지시 플래그 모두 복호 관리부(1310)에 입력된다.
복호 관리부(1310)는, 유저로부터의 특수 재생 지시를 받아 입력부(1309)가 발행한 특수 재생 지시 정보를 수취하면, 합성 관리부(1311)로부터 수취하고 있는 상기 선택 정보(어느 것이 서브 영상으로서 선택되어 있는지를 나타낸 정보)를 참조하여, 입력되어 있는 2개의 지시 플래그 중 서브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의 지시 플래그를 알 수 있고, 그 지시 플래그에 기초하여,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픽쳐 인 픽쳐 재생 시의 특수 재생의 재생 형태를 결정한다.
영상 재생 장치(2)에서는, 입력되는 2개의 영상 데이터는 모두 메인 영상, 서브 영상으로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이다. 따라서, 영상 재생 장치(2)에서는, 복호부(1303, 1304)는 완전히 등가의 기능을 갖는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3)를, 도 14 내지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3)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영상 재생 장치(3)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다중화된 다중화 데이터를 복수의 영상 데이터와 관리 데이터 그 밖에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1401), 관리 데이터로부터 지시 플래그를 판독하는 플래그 판독부(1402), 2개의 복호부(1403, 1404), 2개의 버퍼(BF)(1405, 1406), 합성부(1407)(조정부(1411)를 포함함), 표시부(1408), 입력부(1409), 및 복호 관리부(141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중, 복호부(1403, 1404), 버퍼(1405, 1406), 합성부(1407), 조정부(1411), 표시부(1408) 및 복호 관리부(1410)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영상 재생 장치(1)의 복호부(102, 103), 버퍼(104, 105), 합성부(106), 조정부(110), 표시부(107) 및 복호 관리부(109)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것이다. 즉,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3)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1)와 비교하여, 분리부(1401), 플래그 판독부(1402)(영상 재생 장치(1)에서는 플래그 판독부(101)), 및 입력부(1409)(영상 재생 장치(1)에서는 입력부(108))만이 상이하다. 이하, 제1,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1, 2)와의 상위를 중심으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3)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한 영상 재생 장치(1, 2)에서는, 영상 데이터(부호화 영상 스트림) 내, 혹은 영상 데이터와 1 : 1로 대응하는 관리 데이터 스트림 내에 지시 플래그가 저장되어 있고, 그 지시 플래그는,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그 영상 데이터가 픽쳐 인 픽쳐 재생에서 서브 영상 표시될 때의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제어하는 것이었다. 그에 대해, 본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3)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부호화 영상 스트림)에 대해, 그들을 관리하는 관리 데이터 스트림이 독립하여 주어지는 상황에서, 그 관리 데이터 스트림에 저장된 지시 플래그에 의해 픽쳐 인 픽쳐 재생에서의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제어한다.
즉, 영상 재생 장치(3)에서 취급되는 지시 플래그는, 입력된 어느 하나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한쪽이 메인 영상 데이터로서, 다른 쪽이 서브 영상 데이터로서 결정된 후에, 결정된 서브 영상의 재생 형태를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이 때문에, 영상 재생 장치(1)에서는 미리 메인 영상, 서브 영상의 영상 데이터가 결정된 후에 입력되고, 또한 영상 재생 장치(2)에서는 합성 단계에서 메인 영상인지 서브 영상인지가 결정되는 것에 대해, 영상 재생 장치(3)에서는 분리부(1401)에서 다중화 데이터의 분리 시에 어느 것이 메인 영상이고 어느 것이 서브 영상인지가 결정되어, 복호부(1403, 1404) 이후의 처리에 이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3)는, 2개의 영상 데이터(부호화 영상 스트림) 및 지시 플래그를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 스트림이 다중화된 다중화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2개의 영상 데이터의 복호 화상을 합성한 영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이다. 도 15에, 이 입력되는 다중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3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5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31)는, 2개의 부호화부(1501, 1502), 관리 정보 생성부(1503), 플래그 설정부(1504), 플래그 기입부(1505), 및 다중화부(150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입력된 2개의 영상은 부호화부(1501, 1502)에서 각각 영상 데이터(부호화 영상 스트림)로 변환된다. 플래그 설정부(1504)는 영상 제공자로부터 지시되는 재생 형태에 대응한 지시 플래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지시 플래그는 플래그 기입부(1505)에서, 관리 정보 생성부(1503)에서 생성된 관리 정보(관리 데이터 스트림)에 기입된다.
관리 데이터 스트림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 정보는, 영상 데이터(부호화 영상 스트림)의 부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 등 각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기록되는 정보(복호 관리 정보)나, 영상의 시간적인 잘라내기와 연결 정보에 의해 복수의 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지정하는 플레이 리스트 정보 등 공통의 정보(재생 관리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도 16에, 도 15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31)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다중화 전의 데이터의 예(지시 플래그의 매립 위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시 플래그는, 관리 데이터 스트림의 공통의 재생 관리 정보 내에 저장된다(1601). 이들 영상 데이터, 관리 데이터는 다중화부(1506)에서 다중화되어 다중화 데이터가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31)에서 생성되는 다중화 데이터를 입력한 후, 도 14의 영상 재생 장치(3)의 분리부(1401)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2 실시 형태의 영상 재생 장치(2)와 마찬가지로, 입력부(1409)는 유저로부터, 메인 영상, 서브 영상을 절환하는(어느 것이 메인 영상이고 어느 것이 서브 영상인지를 선택하는) 영상 선택의 지시를 접수한다. 입력부(1409)는, 영상 선택의 지시를 수취하면, 대응하는 영상 선택 지시 정보를 발행하고, 분리부(1401)에 전한다.
분리부(1401)는, 입력된 다중화 데이터를 2개의 영상 데이터 및 관리 데이터 로 분리한 후, 상기 수취한 영상 선택 지시 정보에 따라서, 메인 영상으로 지정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부(1403)에, 서브 영상으로 지정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부(1404)에 입력한다. 또한, 분리부(1401)로부터 출력된 관리 데이터는, 플래그 판독부(1402)에 입력되어, 지시 플래그가 판독된다. 판독된 지시 플래그는, 복호 관리부(1410)에 입력되어, 픽쳐 인 픽쳐 재생에서의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제어한다. 이후는, 제1 실시 형태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동작으로 된다.
또한, 본 제3 실시 형태의 도 14 내지 도 16에서는, 다중화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부호화 영상 스트림) 및 관리 데이터(관리 데이터 스트림)만으로 이루어지도록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오디오 데이터 등의 다른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간편을 위해, 그와 같은 영상 데이터 및 관리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영상 재생 장치(3)에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부호화 데이터 스트림) 및 관리 데이터(관리 데이터 스트림)는 다중화되어 입력되도록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다중화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2개의 영상 데이터 및 하나의 관리 데이터가 별개의 채널을 통하여 입력되어, 그들을 처리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즉, 본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3)는, 어느 하나의 영상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공통으로 취급할 수 있는 지시 플래그가, 관리 데이터를 통하여 장치에 제공되는 것이 포인트이며, 그 이외는 아니다.
또한,상기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방송이나 통신 등의 전송로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및 관리 데이터)가 영상 재생 장치를 통하여 직접 재생되는 상황을 상정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상황은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및 관리 데이터)가 미리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고, 기록 매체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및 관리 데이터)를 축차적으로 판독하여 재생한다고 하는 상황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도 19의 패키지 유통에서의 적용이 그것에 해당한다. 또한, 전송로를 경유하여 일단 기록 매체에 기록된 후, 기록된 영상 데이터(및 관리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하는 상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본 발명은, 각 실시 형태로 상세하게 설명한 지시 플래그를 포함한 영상 데이터, 혹은 관리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매체에 대해, 또한 그와 같은 기록 매체를 재생하는 영상 재생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영상 데이터(혹은 관리 데이터)에 저장되는 지시 플래그는, 픽쳐 인 픽쳐 영상의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에 대해, 영상 제공자의 의도를 반영시키기 위한 고정의 정보로서 기재하였다. 그러나, 이 영상 데이터(혹은 관리 데이터)에 저장되는 지시 플래그를, 재생측에서, 유저의 재생 시의 기호를 기록해 두기 위한 필드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영상 재생 장치의 재생 능력에 의해 제한되는 값으로, 상기 지시 플래그를 영상 재생 장치측에서 재기입한다고 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은 재기입은, 방송이나 통신 등의 전송로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 데이터(및 관리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나, 기록 매체로부터 영상 데이터(및 관리 데이터)를 축차적으로 판독하여 재생한다고 할 때에, 영상 재생 장치가 지시 플래그의 저장 필드의 값을 재기입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재기입 처리는, 유저가 직접 입력하여도, 혹은 Java(등록 상표) 등의 프로그램으로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즉, 본 발명은 지시 플래그의 값이 최종적으로 어디에서 설정되었는지에 관계없이, 각 실시 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지시 플래그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혹은 관리 데이터의 영상 재생 장치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16)

  1.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복호 영상을 픽쳐 인 픽쳐를 포함하는 멀티 화면 표시 형식으로 합성하여 재생 영상을 얻는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복호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관리 데이터를 기록 데이터로서 포함하고,
    상기 관리 데이터는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의 상기 복호 수단 또는 상기 합성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재생 영상의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2.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복호 영상을 픽쳐 인 픽쳐를 포함하는 멀티 화면 표시 형식으로 합성하여 재생 영상을 얻는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복호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관리 데이터를 기록 데이터로서 포함하고,
    상기 관리 데이터는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의 상기 복호 수단 또는 상기 합성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재생 영상의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가 지시된 상기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더 기록하고 있는 기록 매체.
  3.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복호 영상을 픽쳐 인 픽쳐를 포함하는 멀티 화면 표시 형식으로 합성하여 재생 영상을 얻는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복호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기록 데이터로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의 상기 복호 수단 또는 상기 합성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재생 영상의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4.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복호 영상을 픽쳐 인 픽쳐를 포함하는 멀티 화면 표시 형식으로 합성하여 재생 영상을 얻는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복호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기록 데이터로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의 상기 복호 수단 또는 상기 합성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재생 영상의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가 지시된 상기 특수 재생 시의 재생 형태를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더 기록하고 있는 기록 매체.
  5.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복호 영상을 픽쳐 인 픽쳐를 포함하는 멀티 화면 표시 형식으로 합성하여 재생 영상을 얻는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복호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관리 데이터를 기록 데이터로서 포함하고,
    상기 관리 데이터는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의 상기 복호 수단 또는 상기 합성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서, 멀티 화면 표시 시, 상기 재생 영상 내의 상기 복수의 복호 영상을, 동기 재생할지 비동기 재생할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6.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복호 영상을 픽쳐 인 픽쳐를 포함하는 멀티 화면 표시 형식으로 합성하여 재생 영상을 얻는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복호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관리 데이터를 기록 데이터로서 포함하고,
    상기 관리 데이터는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의 상기 복호 수단 또는 상기 합성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서, 멀티 화면 표시 시, 상기 재생 영상 내의 상기 복수의 복호 영상을, 동기 재생할지 비동기 재생할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가 지시된 재생 형태를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더 기록하고 있는 기록 매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동기의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복호 영상을 동일 시간 기준에 따라 재생할 것을 지시하고, 비동기의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복호 영상을 다른 시간 기준에 따라 재생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영상의 표시 형식은 픽쳐 인 픽쳐 형식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메인 화면 영상과 서브 화면 영상을 동기시킬지 비동기시킬지를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영상의 표시 형식은 픽쳐 인 픽쳐 형식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동기의 경우에는 메인 화면 영상과 서브 화면 영상을 동일 시간 기준에 따라 재생하는 것을 지시하고, 비동기의 경우에는 메인 화면 영상과 서브 화면 영상을 다른 시간 기준에 따라 재생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영상의 표시 형식은 픽쳐 인 픽쳐 형식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픽쳐 인 픽쳐 형식에서 메인 화면 영상의 특수 재생 동안, 서브 화면 영상이 표시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1.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복호 영상을 픽쳐 인 픽쳐를 포함하는 멀티 화면 표시 형식으로 합성하여 재생 영상을 얻는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복호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기록 데이터로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의 상기 복호 수단 또는 상기 합성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서, 멀티 화면 표시 시, 상기 재생 영상 내의 상기 복수의 복호 영상을, 동기 재생할지 비동기 재생할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12.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복호 영상을 픽쳐 인 픽쳐를 포함하는 멀티 화면 표시 형식으로 합성하여 재생 영상을 얻는 합성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복호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기록 데이터로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의 상기 복호 수단 또는 상기 합성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서, 멀티 화면 표시 시, 상기 재생 영상 내의 상기 복수의 복호 영상을, 동기 재생할지 비동기 재생할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가 지시된 재생 형태를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더 기록하고 있는 기록 매체.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동기의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복호 영상을 동일 시간 기준에 따라 재생할 것을 지시하고, 비동기의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복호 영상을 다른 시간 기준에 따라 재생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영상의 표시 형식은 픽쳐 인 픽쳐 형식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메인 화면 영상과 서브 화면 영상을 동기시킬지 비동기시킬지를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영상의 표시 형식은 픽쳐 인 픽쳐 형식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동기의 경우에는 메인 화면 영상과 서브 화면 영상을 동일 시간 기준에 따라 재생할 것을 지시하고, 비동기의 경우에는 메인 화면 영상과 서브 화면 영상을 다른 시간 기준에 따라 재생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영상의 표시 형식은 픽쳐 인 픽쳐 형식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픽쳐 인 픽쳐 형식에서 메인 화면 영상의 특수 재생 동안, 서브 화면 영상이 표시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107001633A 2005-06-20 2006-06-13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0992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179791 2005-06-20
JP2005179791 2005-06-20
JP2005227579A JP4364176B2 (ja) 2005-06-20 2005-08-05 映像データ再生装置及び映像データ生成装置
JPJP-P-2005-227579 2005-08-0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218A Division KR100967503B1 (ko) 2005-06-20 2006-06-13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234A true KR20100027234A (ko) 2010-03-10
KR100992767B1 KR100992767B1 (ko) 2010-11-05

Family

ID=3757032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01254A KR101027381B1 (ko) 2005-06-20 2006-06-13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20097005603A KR100947153B1 (ko) 2005-06-20 2006-06-13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20097020218A KR100967503B1 (ko) 2005-06-20 2006-06-13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20107001633A KR100992767B1 (ko) 2005-06-20 2006-06-13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 및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01254A KR101027381B1 (ko) 2005-06-20 2006-06-13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20097005603A KR100947153B1 (ko) 2005-06-20 2006-06-13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20097020218A KR100967503B1 (ko) 2005-06-20 2006-06-13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6) US8401368B2 (ko)
EP (6) EP2200300B1 (ko)
JP (1) JP4364176B2 (ko)
KR (4) KR101027381B1 (ko)
CN (5) CN101808215B (ko)
ES (3) ES2432020T3 (ko)
WO (1) WO2006137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04089B (zh) * 2005-06-20 2010-05-19 夏普株式会社 视频数据再生装置、视频数据生成装置
JP2007153738A (ja) 2005-11-30 2007-06-21 Kuraray Co Ltd 1,3−ブタジエンを含む混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08132774A1 (ja) 2007-04-13 2010-07-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動画像復号化方法、動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9027552A (ja) * 2007-07-20 2009-02-05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再生装置
WO2010001609A1 (ja) * 2008-07-04 2010-0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符号化ストリーム再生装置及び符号化ストリーム再生方法
EP2306729B1 (en) 2008-07-31 2013-08-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ideo encoding device, video encoding method, video reproduction device, video recording medium, and video data stream
US8321401B2 (en) 2008-10-17 2012-11-27 Echostar Advanced Technologies L.L.C. User interface with available multimedia content from multiple multimedia websites
US8537201B2 (en) * 2010-10-18 2013-09-17 Silicon Image, Inc. Combining video data streams of differing dimensionality for concurrent display
CN105635772A (zh) * 2015-12-30 2016-06-01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画中画视频播放方法和支持画中画视频播放的移动终端
CN109743635B (zh) * 2018-11-08 2020-05-22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评论回复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432260A (zh) * 2020-03-31 2020-07-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多路视频画面的同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3049915A1 (en) * 2021-09-27 2023-03-30 Bytedance Inc. Method, device, and medium for video processing
CN114745600B (zh) * 2022-06-10 2022-09-27 中国传媒大学 一种基于sei的视频标签标注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8444A (ja) * 1987-05-20 1988-11-25 Sanyo Electric Co Ltd ビデオテ−プレコ−ダ
DE69636819T2 (de) * 1995-08-21 2007-10-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Verfahren zur Wiedergabe einer optischen Multimedia-Platte die einem Titel-Entwickler das Koordinieren der Verwendung besonderer Wiedergabefunktionen erlaubt
JPH0965225A (ja) 1995-08-24 1997-03-07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EP0838948B1 (en) * 1996-05-09 2000-03-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media optical disk, reproducing device, and reproducing method capable of superposing sub-video upon main video in well-balanced state irrespective of position of main video on screen
JP3269000B2 (ja) * 1997-03-31 2002-03-25 三洋電機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回路
US6212680B1 (en) * 1998-03-04 2001-04-03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channel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and soft picture-in-picture acquisition for use with digital television
DK1050049T3 (da) * 1998-11-16 2014-08-18 Koninkl Philips Nv Fremgangsmåde og indretning til optagelse af realtidsinformation
US6317164B1 (en) * 1999-01-28 2001-1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creating multiple scaled videos from encoded video sources
US6223089B1 (en) * 1999-03-15 2001-04-24 Raylar Desig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uters remotely
JP2000358217A (ja) 1999-06-14 2000-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ビデオ記録再生装置
EP1343168A4 (en) * 2000-12-05 2006-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ORDING / PLAYBACK AND RECORDING MEDIUM
JP4086477B2 (ja) 2001-03-23 2008-05-14 三洋電機株式会社 コンテンツ符号化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受信端末装置
JP2002344893A (ja) 2001-05-14 2002-11-29 Hitachi Ltd ディジタル放送送信装置並びに受信装置
KR100752482B1 (ko) 2001-07-07 2007-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채널 스트림 기록 재생장치 및 방법
JP2003289509A (ja) 2002-01-22 2003-10-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蓄積コンテンツ再生装置、その再生方法、その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媒体、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特定フレーム情報ファイル
US20030184679A1 (en) * 2002-03-29 2003-10-02 Meehan Joseph Patrick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roviding slow motion advertisements in video information
US7849487B1 (en) 2002-05-31 2010-12-07 Microsoft Corporation Review speed adjustment marker
MXPA05003234A (es) * 2002-09-26 2005-07-0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parato para recibir una senal de informacion digital.
US20050185936A9 (en) * 2002-11-08 2005-08-25 Ich-Kien Lao Mobile and vehicle-based digital video system
US20040168185A1 (en) 2003-02-24 2004-08-26 Dawson Thomas Patrick Multimedia network picture-in-picture
JP4285099B2 (ja) * 2003-06-19 2009-06-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ータ再生方法及びデータ再生装置
AU2004305792B2 (en) * 2003-09-12 2007-10-04 Opentv,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recording and playback of interactive applications
JP2005123775A (ja) * 2003-10-15 2005-05-12 Sony Corp 再生装置、再生方法、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1758122B1 (en) * 2004-06-18 2010-09-08 Panasonic Corporation Reproduction device, program, and reprod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08212A (zh) 2010-08-18
EP2200300B1 (en) 2013-10-09
US8401368B2 (en) 2013-03-19
WO2006137292A1 (ja) 2006-12-28
CN101808215A (zh) 2010-08-18
EP2200299A3 (en) 2010-08-11
US9319654B2 (en) 2016-04-19
EP2200299A2 (en) 2010-06-23
EP2200298A3 (en) 2010-08-11
CN101808213B (zh) 2012-10-24
KR20090033499A (ko) 2009-04-03
JP2007037068A (ja) 2007-02-08
US20100195983A1 (en) 2010-08-05
EP2200297B1 (en) 2013-07-24
EP1906663A1 (en) 2008-04-02
CN101808215B (zh) 2012-11-28
US20100220973A1 (en) 2010-09-02
KR100967503B1 (ko) 2010-07-07
JP4364176B2 (ja) 2009-11-11
KR100947153B1 (ko) 2010-03-12
EP2200299B1 (en) 2013-07-24
EP2200300A2 (en) 2010-06-23
EP2200297A3 (en) 2010-08-11
US20090232479A1 (en) 2009-09-17
KR100992767B1 (ko) 2010-11-05
CN101808212B (zh) 2012-11-21
EP2200300A3 (en) 2010-08-11
EP1906663B1 (en) 2012-04-18
EP2200298B1 (en) 2013-10-02
US20100202760A1 (en) 2010-08-12
EP2200301B1 (en) 2013-10-02
EP2200297A2 (en) 2010-06-23
ES2384112T3 (es) 2012-06-29
EP1906663A4 (en) 2010-03-24
US20100195985A1 (en) 2010-08-05
ES2432020T3 (es) 2013-11-29
EP2200301A3 (en) 2010-08-11
EP2200301A2 (en) 2010-06-23
CN101808245B (zh) 2015-11-25
KR101027381B1 (ko) 2011-04-11
CN101808245A (zh) 2010-08-18
CN101808214A (zh) 2010-08-18
CN101808213A (zh) 2010-08-18
US20100195984A1 (en) 2010-08-05
KR20090107093A (ko) 2009-10-12
EP2200298A2 (en) 2010-06-23
ES2432021T3 (es) 2013-11-29
KR20080025152A (ko)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767B1 (ko) 영상 데이터 재생 장치,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 및 기록 매체
EP1912201B1 (en) Video synthesis device and program
CN103125123A (zh) 再现装置、再现方法、集成电路、广播系统及广播方法
KR20070089146A (ko) 주 비디오 신호 및 하나 이상의 보조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9296604A (ja) 映像データ再生装置、映像データ生成装置及び記録媒体
JPH0945007A (ja) 記録媒体、メニューストリーム作成装置及び記録媒体再生装置
JP2006180091A (ja) コンテンツ合成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