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861A - 전자기기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861A
KR20100026861A KR1020080086027A KR20080086027A KR20100026861A KR 20100026861 A KR20100026861 A KR 20100026861A KR 1020080086027 A KR1020080086027 A KR 1020080086027A KR 20080086027 A KR20080086027 A KR 20080086027A KR 20100026861 A KR20100026861 A KR 20100026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nd
output
product information
sou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1686B1 (ko
Inventor
이팔진
정회진
한종희
김영수
조인행
전시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6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68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시스템은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소리음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가전기기와, 상기 가전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소리음을근거로 상기 제품정보를 확인하는 이동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소리음을 전송받아 상기 제품정보롤 변환하여 외부의 사용자 및 수리자에게 상기 제품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시스템{Home appliance system}
본 발명은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출력부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고,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순서를 제어하는 가전기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전기기를 사용자가 이용하는 경우 고장정보를 수리자에게 직접 연결하여 문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상기 고장정보를 수리자에게 연결함에 있어서, 신호음을 이용하여 관리장치에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가전기기시스템은 사용자가 출력부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선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신호음의 전송을 선택하지 못함으로써 상기 신호음의 전송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제거하지 못한 상태에서 전송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시스템은 상기 신호음가 효율적으로 전송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전기기는 상기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시작과 종료를 인식하지 못하여 상기 제품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조작부를 통하여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음을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음향신호가 출력되는 순서를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정보가 정확하게 출력되는 가전기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온/오프의 외부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제품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대응되는 신호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가전기기; 및 상기 신호음을 전송받아 상기 신호음을 근거로 상기 신호음을 상기 제품정보로 역변환하여 외부의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출력하는 이동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시스템은 조작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외부로 출력되는 신호음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전기기는 사용자가 상기 신호음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제거한 후에 상기 신호음을 정확하게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시스템은 이동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가전기기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시스템의 일 실시예인 세탁물 처리시스템(W1)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시스템(W1)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시스템(100)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가전기기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세탁물 처리시스템(W1)을 일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시스템(W1)은, 외부로부터 온/오프의 외부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제품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대응되는 신호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 상기 신호음을 전송받아 상기 신호음을 근거로 상기 신호음을 상기 제품정보로 역변환하여 외부의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출력하는 이동단말기(190)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캐비닛(111)과, 캐비닛(111)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물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터브(122)와, 터브(122)를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와, 터브(122)의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공급장치(미도시)와, 세정이 끝난 후에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캐비닛(111)은, 캐비닛 본체(112)와, 캐비닛 본체(112)의 상측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캐비닛 커버(113)와, 캐비닛 커버(114) 상측에 배치되며 세탁물 처리기기(110)의 운전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116)과, 컨트롤패널(116)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2)와 결합하는 탑 플레이트(115)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3)는 세탁물이 출입하는 홀(미도시)과, 상기 홀을 개폐 가능하도록 회동하는 도어(114)를 포함한다.
이동단말기(190)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출력부(181)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상기 신호음을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91)와, 송수신부(191)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신호음을 근거로 상기 제품정보로 역변환하는 신호변환부(192)와,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를 판독하는 이동단말기제어부(193)와, 이동단말기제어부(193)에서 판 독한 상기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이동단말기저장부(194)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외부로부터 온(ON) 또는 오프(OFF)의 외부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150)와, 제품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부(180)와, 조작부(150)로부터 온(ON) 또는 오프(OFF)의 외부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온(ON) 또는 오프(OFF)의 외부명령신호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가 되며, 변환부(180)로부터 출려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에 대응하는 신호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181)와, 외부로부터 작동외부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60)와, 사용자가 상기 신호음의 출력을 인지하도록 상기 변환부에서 변화되어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작동하게 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품정보들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품정보들은 제어부(170)에 전송되게 된다. 상기 제품정보들은 단위신호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품정보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정보 또는 고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운전정보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세탁행정에 관한 정보, 탈수행정에 관한 정보, 행굼행정에 관한 정보 등과 같이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장정보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이 수행될 때, 각 운전 중에 발생하는 고장정보,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기기상의 고장정보 등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제품정보를 변환부(180)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된 제품정보는 변환부(180)에서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부(180)는 상기 제품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부(181)로 출력한다. 조작부(150)에서 온(ON)의 외부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출력부(18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신호음으로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는 조작부(150)를 통하여 출력부(181)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150)에 온(ON)의 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하면, 출력부(181)는 작동한다. 반면, 사용자가 조작부(150)에 오프(OFF)의 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하면, 출력부(181)는 작동을 중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환경에 따라 조작부(150)를 통하여 출력부(181)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음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영상기기나 아니면 다른 가전기기로부터 외부적인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150)에 오프(OFF)의 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신호음의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는 외부 노이즈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면, 조작부(150)를 통하여 출력부(181)로부터 상기 신호음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81)는 스피커, 부저출력부 등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외부로 상기 신호음을 출력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81)로부터 출력된 신호음은 이동단말기(190)에 전송된다. 상기 신호음이 이동단말기(190)로 전송되면, 이동단말기(190)는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품정보로 역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인식할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한다.
이동단말기(190)의 제어흐름을 살펴보면,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변환부(180)에서 상기 음향신호들이 출력되면, 출력부(181)는 상기 음향신호들에 대응 되는 신호음을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신호음은 이동단말기(190)로 전송된다. 상기 전송된 신호음은 송수신부(191)로 수신된다. 한편, 송수신부(191)는 상기 신호음을 수신할 뿐만 아니라 이동단말기(190)로부터 생성되는 신호음을 외부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수신된 신호음은 신호변환부(192)로 전송된다. 상기 전송과정에서 상기 신호음은 음향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상기 전송된 음향신호는 신호변환부(192)에서 상기 제품정보로 변환된다. 상기 전송된 음향신호가 상기 제품정보로 변환되는 과정은 상기의 설명과 반대과정을 거쳐서 변환된다.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는 이동단말기제어부(193)로 전송된다. 이동단말기제어부(193)에는 기 설정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제어부(193)는 기 설정된 데이터와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를 비교하여 판단한다.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가 기 설정된 데이터와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단말기제어부(193)는 출력부(181)를 통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인식하도록 출력한다. 또한, 이동단말기제어부(193)는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를 이동단말기저장부(194)에 저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고장이력이나 운전정보 등을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이동단말기제어부(193)는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가 정확하게 전송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가 이동단말기제어부(193)에 전송되면서 외부의 방해 요인들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제어부(193)가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가 손상된 것으로 판단하면, 이동단말기제어부(193)는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가 손상되었다는 외부명령신호를 신호변환부(192)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된 외부명령신호는 신호변 환부(192)에서 상기 외부명령신호에 대응되는 음향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변환된 음향신호는 송수신부(191)로 전송된다. 상기 전송된 음향신호는 송수신부(191)에서 상기 음향신호에 대응하는 신호음으로 외부로 출력하여 세탁물 처리기기(100)로 전송된다. 상기 전송된 소리음은 음향입력부(152)로 전송되고, 역변환부(151)를 통하여 상기 외부명령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명령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품정보를 다시 변환부(180)로 재전송한다. 상기 재전송된 제품정보는 상기에서 설명한 봐와 반대 과정을 거쳐 다시 출력부(181)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따라서 세탁물 처리기기시스템(W1)은 이동단말기(190)에 손상된 제품정보를 전송한 경우에도 상기 외부명령신호를 받아 정확한 제품정보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시스템(W1)은 상기 제품정보를 정확하게 보냄으로써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정확한 수리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조작부(160)를 통하여 작동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작동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상기 신호음의 출력을 인지하도록 변환부(180)에서 변화되어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를 제어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의 구성은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복수개의 음향신호들(S1,S2,S3)을 구분하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부호는 동일한 내용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는 복수개의 음향신호 들(S1,S2,S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음향신호들(S1,S2,S3)은, 변환부(180)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제품정보가 외부로 출력됨을 인지하도록 출력되는 제 1 음향신호(S1)와, 제 1 음향신호(S1)가 종료되면, 상기 제품정보를 변환하여 출력되는 제 2 음향신호(S2)와, 제 2 음향신호(S2)가 변환되어 출력이 종료되면, 사용자에게 상기 제품정보가 출력부(S3)로 출력되었음을 인지하도록 변환부(180)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제 3 음향신호를 포함한다.
즉,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작동하고, 사용자가 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제품정보를 변환부(180)로 전송한다. 상기 제품정보가 변환부(180)로 전송되면, 변환부(180)는 상기 제품정보를 제 2 음향신호(S2)로 변환한다. 한편, 변환부(180)는 상기 제품정보를 제 2 음향신호(S2)로 변환이 완료되면, 출력부(181)로 사용자에게 제 1 음향신호(S1)를 전송한다. 전송된 제 1 음향신호(S1)는 출력부(181)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한편, 제 1 음향신호(S1)에 대응되는 신호음은 사용자가 제 2 음향신호(S2)가 앞으로 출력될 것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킨다. 제 1 음향신호(S1)에 대응되는 신호음의 출력이 완료되면, 변환부(180)는 출력부(181)로 제 2 음향신호(S2)를 전송한다. 제어부(170)는 제 2 음향신호(S2)가 전송되면, 출력부(181)에서 제 2 음향신호(S2)에 대응되는 신호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 2 음향신호(S2)에 대응되는 신호음의 출력이 완료되면, 제어부(170)는 제 3 음향신호(S3)를 변환부(180)에서 출력부(181)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 3 음향신호(S3)에 대응되는 신호음은 제 2 음향신호(S2)의 출력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킨다.
한편, 제 1 음향신호(S1)에 대응되는 신호음과 상기 제 3 음향신호(S3)에 대응되는 신호음은 사용자가 인식가능한 음성, 멜로디, 부저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 1 음향신호(S1)에 대응하는 신호음이 출력부(181)로부터 출력되면, 상기 제품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음향신호(S2)의 전송에 필요한 준비를 할 수 있다. 또한, 제 3 음향신호(S3)에 대응되는 신호음이 출력부(181)로부터 출력되면, 상기 제품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음향신호(S2)의 전송이 종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품정보의 전송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제 2 음향신호(S2)의 출력시, 제 2 음향신호(S2)에 대응하는 신호음을 방해하는 요인 등을 제거하고, 제 2 음향신호(S2)의 출력을 대비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상기 제품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 1 음향신호(S1), 제 2 음향신호(S2) 및 제 3 음향신호(S3)의 각 사이에는 복수개의 음향신호들(S1,S2,S3)을 각각 구분하도록 변환부(180)에서 구분신호(S4)를 더미시간(T1)동안 출력할 수 있다. 즉, 제 1 음향신호(S1)가 변환부(180)에서 출력이 종료되면, 구분신호(S4)를 더미시간(T1)동안 출력한다. 또한, 구분신호(S4)의 출력이 종료되면, 제 2 음향신호(S2)를 변환부(180)에서 출력한다. 제 2 음향신호(S2)의 출력이 종료되면, 다시 구분신호(S4)를 더미시간(T1)동안 변환부(180)에서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구분신호(S4)의 출력이 종료되면, 제 3 음향신호(S3)가 변환부(180)에서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미시간(T1)동안 상기 제품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음향신호(S2)를 정확하게 출력하도록 준비할 수 있다. 제 2 음향신호(S2)를 정확하게 출력하므로 상기 제품정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다.
한편, 제어부(170)는 구분신호(S4)가 출력부(181)에 입력되면, 구분신호(S4)에 대응되는 신호음을 무음으로 출력부(181)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단말기제어부(190)는 제 1 음향신호(S1), 제 2 음향신호(S2), 제 3 음향신호(S3)의 순서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제어부()는 상기 제 2 음향신호(S2)가 손상되었는지 판단한다. 이동단말기제어부()는 제 1 음향신호(S1), 제 2 음향신호(S2), 제 3 음향신호(S3)의 순서가 기 입력된 순서와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면, 송수신부(191)를 통하여 외부로 외부명령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외부명령신호가 출력되면, 음향입력부(152)로 통하여 역변환부(151)로 전송된다. 역변환부(151)로 전송된 상기 외부명령신호는 외부정보로 변환되어 제어부(170)로 전송된다. 상기 외부정보가 제어부(170)로 전송되면, 상기 외부정보를 근거로 제어부(170)는 복수개의 음향신호들(S1,S2,S3)을 재출력하도록 변환부(180)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에서 발생되는 복수개의 음향신호들(S1,S2,S3)이 손상되어 이동단말기(190)에 전송되더라도 상기 외부명령신호에 의하여 재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명령신호에 의하여 재전송 받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상기 제품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동단말기제어부(193)는 제 2 음향신호(S2)가 손상되었는지 판단한다. 이동단말기제어부(193)는 제 2 음향신호(S2)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상기 외부명령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외부명령신호는 음향입력부(152)를 통하여 입력되고, 제어부(170)로 전송된다. 제 어부(170)는 상기 외부명령신호에 따라 제 2 음향신호(S2)를 재출력하도록 변환부(180)를 제어한다. 이동단말기(190)는 제 2 음향신호(S2)가 손상되어 전송되더라도 재출력을 통하여 제 2 음향신호(S2)를 전송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품정보가 정확하게 이동단말기(190)로 전송되어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사용자가 제 2 음향신호(S2)가 손상되어 있는지 판단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외부명령신호를 통하여 제 2 음향신호(S2)를 재전송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복수개의 음향신호들(S1,S2,S3)을 구분하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내용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입력부(160)로부터 상기 외부명령신호가 입력되면, 변환부(180)에서 제 1 음향신호(S1)를 출력한다. 제 1 음향신호(S1)의 출력이 종료되면, 변환부(180)는 상기 제품정보를 제 2 음향신호(S2)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 2 음향신호(S2)는 반복하여 출력된다. 즉, 변환부(180)는 제 1 음향신호(S1)의 출력이 종료되면, 제 2 음향신호(S2)를 출력한다. 또한, 변환부(180)는 제 2 음향신호(S2)의 출력이 종료되면, 제 2 음향신호(S2)를 재출력한다. 따라서 외부로 출력되는 제 2 음향신호(S2)가 외부의 방해요인들에 의하여 파손되는 경우, 재전송되는 제 2 음향신호(S2)에 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반복해서 출력되는 제 2 음향신호(S2) 사이에는 제 2 음향신호들(S2)을 구분하기 위하여 데이터더미시간(T2)동안 데이터구분신호(S5)를 변환부(180)에 서 출력한다. 즉, 변환부(180)에서 제 2 음향신호(S2)를 출력하고, 제 2 음향신호(S2)의 출력이 종료되면, 데이터더미시간(T2)동안 데이터구분신호(S5)를 출력한다. 데이터구분신호(S5)의 출력이 종료되면, 변환부(180)는 다시 제 2 음향신호(S2)를 출력한다. 따라서 데이터구분신호(S5)를 데이터더미시간(T2)동안 출력함으로써 제 2 음향신호들(S2)이 출력될 때, 제 2 음향신호들(S2)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데이터구분신호(S5)가 출력부(181)에 입력되면, 데이터구분신호(S5)에 대응되는 신호음을 무음으로 출력부(181)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시스템의 일 실시예인 세탁물처리기기시스템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복수개의 음향신호들을 구분하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복수개의 음향신호들(S1,S2,S3)을 구분하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0 : 세탁물 처리기기 160 : 입력부
111 : 캐비닛 170 : 제어부
112 : 캐비닛 본체 180 : 변환부
113 : 캐비닛 커버 181 : 출력부
114 : 도어 190 : 이동단말기
115 : 컨트롤패널 191 : 송수신부

Claims (17)

  1. 외부로부터 온/오프의 외부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제품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대응되는 신호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가전기기; 및
    상기 신호음을 전송받아 상기 신호음을 근거로 상기 신호음을 상기 제품정보로 역변환하여 외부의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출력하는 이동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외부로부터 온/오프의 외부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
    상기 가전기기의 제품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부;
    상기 조작부로부터 온/오프의 외부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온/오프의 외부명령신호에 따라 온/오프가 되며,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신호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사용자가 상기 신호음의 출력을 인지하도록 상기 변환부에서 변화되어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는 복수개의 음향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음향신호들은,
    상기 변환부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제품정보가 외부로 출력됨을 인지하도록 출력되는 제 1 음향신호와,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종료되면, 상기 제품정보를 변환하여 출력되는 제 2 음향신호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변환되어 출력이 종료되면, 사용자에게 상기 제품정보가 상기 출력부로 출력되었음을 인지하도록 상기 변환부에서 제 3 음향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가전기기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신호음과 상기 제 3 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신호음은 사용자가 인식가능한 음성, 멜로디, 부저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음향신호, 상기 제 2 음향신호 및 상기 제 3 음향 신호의 각 사이에는 상기 음향신호들을 구분하도록 상기 변환부에서 구분신호를 더미시간동안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가전기기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분신호가 상기 출력부에 입력되면,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구분신호에 대응되는 신호음을 무음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가전기기시스템.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부에서 상기 제 1 음향신호의 출력이 종료되면, 상기 제 2 음향신호를 반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가전기기. 가전기기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음향신호의 사이에 데이터더미시간동안 데이터구분신호를 상기 변환부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가전기기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구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출력부로부터 상기 구분신호에 대응되는 신호음을 무음으로 하는 제어하는 가전기기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품정보는,
    상기 가전기기의 운전정보 또는 고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작동외부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작동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신호가 출력되는 순서를 제어하는 가전기기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입력받은 상기 신호음과 기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품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품정보를 기초로 판단하여, 상기 제품정보를 수리자에게 출력하는 가전기기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외부로 출력되는 상기 신호음에 대응하는 음향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음향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품정보로 역변환하는 신호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제품정보를 판독하는 이동단말기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이동단말기는,
    상기 판독한 제품정보를 외부의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출력하는 이동단말기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판독된 제품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가기기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판독된 제품정보를 인식하도록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시스템.
KR1020080086027A 2008-09-01 2008-09-01 전자기기시스템 KR101421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27A KR101421686B1 (ko) 2008-09-01 2008-09-01 전자기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27A KR101421686B1 (ko) 2008-09-01 2008-09-01 전자기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861A true KR20100026861A (ko) 2010-03-10
KR101421686B1 KR101421686B1 (ko) 2014-07-22

Family

ID=4217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027A KR101421686B1 (ko) 2008-09-01 2008-09-01 전자기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68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250A (ko) * 2004-03-22 2005-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 출력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686B1 (ko) 201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136B1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시스템
US8325054B2 (en) Home appliance and signal output method thereof
US8983798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KR101464295B1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시스템
KR101404104B1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86153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home appliance
KR101627219B1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KR101708686B1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U20102353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home appliance
US8854204B2 (en) Home appliance
KR101629643B1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US8532273B2 (en)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KR20100026861A (ko) 전자기기시스템
US20100066554A1 (en) Home appliance system
KR20110010373A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6211B1 (ko) 펄스신호를 이용한 도어 개폐 시스템
KR20060008762A (ko) 리모콘과 티브이간의 상호 식별 구조
KR20090050512A (ko) 통화단말을 통한 원격제어 방법 및 통화단말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110013067A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JPH07183959A (ja) 携帯電話装置
KR20000017568U (ko) 다기능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한 가전제품 통합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