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734A -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734A
KR20100026734A KR1020080085855A KR20080085855A KR20100026734A KR 20100026734 A KR20100026734 A KR 20100026734A KR 1020080085855 A KR1020080085855 A KR 1020080085855A KR 20080085855 A KR20080085855 A KR 20080085855A KR 20100026734 A KR20100026734 A KR 20100026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economic
vehicle
region
atmospher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7102B1 (ko
Inventor
송경근
신동진
김규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5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102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은 차량주행정보 및 변속 패턴 데이터를 수집하는 차량정보 수집부와, 상기 차량주행정보 및 변속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운전상태 및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고, 차량이 주행하는 지역의 고도에 따라 상기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하는 주행상태 산출부와, 상기 경제운전영역 상에 상기 현재 운전상태를 적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변속기의 동력 전달 효율이 우수한 영역 즉, 경제적인 영역 내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되, 고도에 따라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함으로써, 경제운전 안내장치의 품질 및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경제 운전, 연비 감소, 최대 경제운전영역존, 옐로우존, 레드존, 고도

Description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guiding fuel economic driving by height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비 경제적인 영역내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되, 고도에 따라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함으로써 운전자가 느끼는 차량의 동력 성능을 향상시키는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일 가격의 상승이나 오일 고갈에 대한 우려 및 환경 문제 등으로 인해 차량의 연비 향상 요구 및 관심이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연비는 급감속 및 급제동 등 실제 주행에 있어서의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많은 영향을 받는데, 종래에는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2000-25188호, 제2003-8383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엔진의 특성만을 고려하여 차량의 현재 순간 연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 변속기의 동력 전달 효율에 대하여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았다.
즉, 종래에는 운전자에게 차량의 순간 연비를 수치 또는 그래프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경제적인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등의 차량의 엔진 및 변속기를 튜닝하는 기술에만 집중된 경향이 있었다.
최근 판매되는 차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경우, 쓰로틀 개도가 높아져 다운 시프트가 일어나거나(RPM이 높아짐) 댐퍼 클러치가 직결 상태가 아닌(Off) 경우에 연비가 악화되나, 종래에는 이러한 점들이 전혀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덴버와 같은 고지대의 도시에서는 기압이 낮아 공기 흡입량이 적어져 운전자가 같은 수준으로 액셀개도를 조작하더라도 다른 지역에 비해 출력이 저하되어 고지대에서의 연비 악화가 더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여 최대 경제운전영역(그린영역) 내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되, 고도에 따라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하여 운전자가 느끼는 엔진구동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은 차량주행정보 및 변속 패턴 데이터를 수집하는 차량정보 수집부와, 상기 차량주행정보 및 변속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운전상태 및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고, 차량이 주행하는 지역의 고도에 따라 상기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하는 주행상태 산출부와, 상기 경제운전영역 상에 상기 현재 운전상태를 적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행상태 산출부는 상기 변속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고, 상기 차량주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운전상태를 산출하는 경제운전영역 산출부와, 대기압값별 보정값을 매핑한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대기압값별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하는 경제운전영역 보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제운전영역 보정부는 상기 대기압값이 일정기압 이하이면 상기 경제운전영역 중 최대 경제운전영역을 확대시킨다.
또한, 차량의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량을 측정하는 흡입공기량 센서와, 상기 흡입공기량센서로부터 측정된 공기량을 이용하여 대기압값을 산출하는 엔진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차량이 주행되는 지역의 대기압값을 측정하는 대기압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온되고 차속이 일정 차속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차속 이상인 경우 변속 패턴맵에 따라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지역의 대기압값이 일정값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압값이 일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대기압값이 일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경제운전영역의 최대 경제운전영역을 확대시킨다.
또한, 차량주행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주행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보정된 경제운전영역내에 상기 현재 주행상태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기압값이 일정값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전에 차량의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량을 이용하여 대기압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속이 일정 차속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전에, 엔진제어기 및 변속제어기로부터 상기 차량 주행 정보 및 상기 변속 패턴 맵을 형성하는 변속 패턴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경제운전영역 내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되 고도에 따라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함으로써,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의 품질 및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은 엔진제어기(110), 변속기 제어기(120) 및 흡입공기량센서(130)등의 차량 제어기(100)와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200) 및 디스플레이부(300)를 구비한다.
엔진제어기(Engine control unit;ECU;110)는 TPS(throtle position senser)값, 연료분사여부를 나타내는 연료컷(Fuel cut) 여부정보, 고도에 따른 대기압 값 등을 경제운전 안내시스템(200)으로 출력한다. 이때, 엔진제어기(110)는 흡입공기량센서(130)로부터 흡입공기량 정보를 수집하여 흡입공기량별 대기압값을 산출한다. 즉, 엔진제어기(110)는 미리 정의된 매핑 테이블(미도시)을 이용하여 흡입공기량을 대기압값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흡입공기량이 10인 경우 대기압값이 1일 때, 고고도 지역에서 흡입공기량이 5로 적어지면 대기압값은 0.8로 산출한다.
변속제어기(transmission control unit;TCU;120)는 차속정보, 변속패턴 데이터, 현재 변속단 및 댐퍼클러치 온/오프 여부 및 토크 컨버터 회전수 등의 차량 주 행 정보를 경제운전 안내시스템(200)으로 출력한다.
흡입공기량센서(130)는 차량의 엔진 흡입 공기량을 측정하여 엔진제어기(110)로 전달한다.
경제운전 안내시스템(200)은 차량정보 수집부(210), 주행상태 산출부(220), 변속패턴맵 저장부(230)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차량정보 수집부(210)는 엔진제어기(110) 및 변속기 제어기(120)로부터 차량 주행 정보를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한다. 이때, 이러한 차량 주행 정보는 엔진 제어기(110)와 변속기 제어기(120)가 아닌, 차속센서(미도시), 쓰로틀 개도 센서(TPS;미도시) 등으로부터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네트워크는 캔(controller area network)통신 등으로 구현되며 엔진(미도시)과 변속기(미도시)는 고속 캔통신으로 연결된다.
도 1에서는 흡입공기량센서(130)를 이용하여 대기압 값을 산출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흡입공기량 센서(130) 대신에 대기압센서(미도시)를 별도로 장착하여 대기압값을 직접 측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주행상태 산출부(220)는 고도에 따라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하여 산출한다. 이때, 경제운전영역 연비가 우수한 최대 경제운전영역(그린영역), 연비가 다소 불리한 보통 경제운전영역(옐로우영역), 연비가 가장 불리한 최저 경제운전영역(레드영역)을 포함하며, 특히 그린영역은 현재의 주행상태에서 최대한 빠른 고단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영역 즉, 쓰로틀 개도(TPS) 최소화하면서 고단 변속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연비 효율이 효과적인 영역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주행상태 산출부(220)는 경제운전영역 산출부(221), 경제운전영역 보정부(222) 및 저장부(223)를 구비한다.
경제운전영역 산출부(221)는 변속패턴 맵 저장부(230)의 변속패턴 맵과 차량정보 수집부(210)에서 수집한 차량 주행 정보(차속, TPS값, Fuel Cut여부, 변속단, 댐퍼클러치 작동여부 등)를 이용하여 경제운전영역 및 현재 운전상태를 산출한다. 이때, 현재의 주행상태는 경제운전영역상의 일지점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현재의 주행상태로부터 신속하게 고단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경제운전영역은 도 4와 같이 현재 차속을 기준으로 최대 경제운전영역(그린영역;A), 보통 경제운전영역(옐로우영역;B) 및 최저 경제운전영역(레드영역;C)을 포함한다. 이때, 그린영역은 패스트 업시프트 영역, 업시프트영역, 댐퍼클러치 온(ON)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이 포함되고 이들 영역에 대해서는 추후,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경제운전영역 보정부(222)는 차량정보 수집부(210)를 통해 수집한 대기압값에 따라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상태 산출부(220)는 저고도 지역에서는 보정없이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고 중고도 지역에서는 산출된 경제운전영역의 현재 기준 TPS에 일정값(α)을 합산하여 그린영역을 α만큼 확대시켜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하고, 고고도 지역에서는 산출된 경제운전영역의 현재 기준 TPS에 일정값(β)을 합산하여 그린영역을 β만큼 확대시켜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한다.
저장부(223)는 아래 표 1과 같이 대기압별 경제운전영역 보정값을 대응한 보 정값 테이블을 저장한다.
대기압 1.0 0.95 0.9 0.85 ‥‥
경제운전영역 보정값 +0 ‥‥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압이 1.0일때는 보정값이 0이고, 고도가 높아져 대기압이 0.95로 낮아지면 경제운전영역 보정값은 α이며, 대기압이 0.9이면 경제운전영역 보정값은 β이고, 대기압이 0.85이면 경제운전영역 보정값은 γ로 설정해둔다. 표 1과 같은 대기압별 경제운전영역 보정값은 미리 시험을 통해 산출되어 저장된다.
변속패턴맵 저장부(230)는 변속기 제어기(120)로부터 추출한 변속 패턴 데이터를 이용한 변속 패턴 맵을 저장한다. 통상적으로 도 3과 같이, 변속 패턴 맵은 차속을 가로축으로 TPS값을 세로축으로 하여 표시될 수 있는 변속 패턴 데이터들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제어부(260)는 산출 또는 보정된 경제운전영역에 현재 주행상태를 적용시켜 현재 그린영역, 옐로우영역 및 레드영역 중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30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300)는 현재의 주행상태가 경제운전영역의 그린영역내에 있는지 급감속 또는 급가속이 심한 옐로우 영역내에 있는지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자신의 주행상태를 파악하고 차량의 액셀 패달과 브레이크의 깊이를 조절하여 차량이 그린영역내에서 운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차량의 고도에 따른 대기압값 변화를 이용하여 저고도 지역에서는 변속패턴맵에 의한 경제운전영역을 안내하고 고도가 높아 대기압값이 낮아진 중고도 지역 및 고고도 지역에서는 그린영역을 일정값만큼 확대시켜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한다. 따라서, 중고도 지역 또는 고고도 지역에서의 엔진출력저하가 발생하더라도 그린영역을 확대함으로써 엔진 구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도를 고려한 경제운전영역 산출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경제운전영역 산출부(221)는 시동이 온되고 차속이 일정차속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01). 여기서, 일정차속은 0km/h를 의미한다.
그 후, 경제운전영역 산출부(221)는 변속 패턴맵을 이용하여 경제운전 영역을 산출한다(S102). 변속 패턴맵을 이용한 경제운전영역 산출 방법을 도 3의 변속패턴 맵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에서 보듯이, 차량의 주행 데이터에 따른 변속 시점 및 댐퍼클러치 온/오프 시점 데이터들은 변속 패턴 맵에서 다수의 변속곡선과 댐퍼클러치 온/오프 곡선들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도 3에는 4단 변속기의 변속 패턴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 이상 변속단의 변속기의 변속 패턴 맵도 도 3과 유사하게 표현될 수 있다.
도 3에서, 1→2 변속 곡선, 2→3 변속곡선, 3→4 변속곡선은 고단 변속이 일어나는 업시프트(up shift) 곡선이며, 2→1 변속 곡선, 3→2 변속곡선, 4→3 변속곡선은 저단 변속이 일어나는 다운시프트(down shift) 곡선이다.
도 3에서,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차속 1에 있다고 가정할 때, ①로 표시된 영역은 가속 시 최대한 빠르게 고단 변속이 이루어지는 패스트 업시프트 영역이다. 즉, 차속 1에서 ①로 표시된 패스트 업 시프트 영역(현재 3단임)은, 3→4 업시프트 곡선 1차 변곡점 이하의 TPS값 및 차속을 가져, 가속시 차량의 주행상태는 3→4 변속곡선을 지나 4단으로의 고단 변속이 신속히 이루어진다. 그리고, 차속 1의 상태에서, ④로 표시된 영역은 고단 변속은 지연되며 댐퍼클러치는 오프되나 저단 변속은 일어나지 않는 클러치 영역이고, ⑤로 표시된 영역은 TPS값이 현재의 차속 보다 현저히 높아 저단 변속이 발생되는 레드 영역이다.
따라서, 경제운전영역 산출부(221)는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차속 1에서 ④로 표시된 영역(도 3에서 예 1로 표시됨)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①로 표시된 패스트 업 시프트 영역을 그린영역으로 선정하며, 운전자가 일단 TPS값을 낮춘 후 차량을 가속시켜 고단 변속을 이룰 수 있도록 유도한다. 차량의 주행상태가 ⑤로 표시된 영역은, 연비가 최악인 급가속 또는 레드 영역으로서 이 경우 TPS값을 낮추도록 유도해야 한다.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차속 2에 있다고 가정할 때, ②로 표시된 3→4 업시프트 곡선 이하의 영역은, 현재의 차속 2에서 TPS값의 감소에 의해 고단 변속을 달성할 수 있는 패스트 시프트(fast shift) 영역이다.
경제운전영역 산출부(221)는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차속 2에서 ④로 표시된 영역이나 ⑤로 표시된 영역된 영역(도 2에서 예 2로 표시됨)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②로 표시된 3→4 업시프트 곡선 이하의 영역을 목표 경제주행 영역으로 선택하고, 운전자가 TPS값을 낮춰 고단 변속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차속 3에 있다고 가정할 때, ③으로 표시된 영역은 차속 증가 또는 TPS값 감소시 댐퍼클러치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는 영역이다.
경제운전영역 산출부(221)는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차속 3에서 ④로 표시된 영역(도 2에서 예 3으로 표시됨)이나 ⑤로 표시된 영역된 영역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③으로 표시된 댐퍼클러치 온 곡선 이하의 영역을 그린영역으로 결정하고, 운전자가 TPS값을 낮춰 댐퍼클러치가 온으로 전환되도록 유도한다.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차속 4에 있다고 가정할 때, ③으로 표시된 영역은 차속 증가시 댐퍼클러치 온 상태가 유지되는 영역이다.
경제운전영역 산출부(221)는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가 차속 4에서 ④로 표시된 영역(도 2에서 예 3으로 표시됨)이나 ⑤로 표시된 영역된 영역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며 연비 경제적인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차속 4의 상태에서, 댐퍼클러치 오프 곡선과 온 곡선 사이의 구간은 실제 차량의 댐퍼클러치가 온 상태라면 그 상태가 유지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변속 패턴 맵상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가 이 영역 내에 있을 경우, 경제운전영역 산출부(221)에서는 차량 정보 수집부(210)에서 수집된 실제 차량의 댐퍼클러치 온/오프 여부를 확인하여, 댐퍼클러치가 직결된 온(On) 상태이면 그 주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고, 댐퍼클러치 오프이면 운전자가 TPS값을 낮춰 댐퍼클러치가 직결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상기된 ①, ②, ③, ④ 및 ⑤로 표시된 영역들 중, ①, ②, ③으로 표시된 영역은 그린영역으로 포함되고, ⑤로 표시된 영역은 연비가 최악인 급가속 구간인 레드 영역, ④로 표시된 영역 클러치 영역은 그린영역과 레드 영역 사이의 경계구간 옐로우 영역이 된다. 한편, 급감속 구간은 속도에 따라 미리 지정된 적정 감속도값을 기준으로 차량의 주행상태가 어느 정도의 급감속 상태인지 표시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제운전영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린영역과 옐로우영역의 경계점이 되는 TPS 기준값1 및 옐로우영역과 레드영역의 경계점이 되는 TPS 기준값2가 정해지게 된다.
그 후, 경제운전영역 보정부(222)는 대기압값이 1기압 이하인지를 판단하여(S103), 대기압값이 1기압 이하인 경우 기압에 따라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하여 운전자에게 보정된 경제운전영역을 제공하고, 대기압값이 1기압과 같거나 크면 상기 과정 S102에서 산출한 경제운전영역을 운전자에게 제공한다(S104).
이하, 본 발명의 대기압값에 따라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하는 예를 표 1, 도 5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표 1을 참조하여, 엔진제어기(110)로부터 수집한 대기압 값이 1인 경우 상기 과정 102에서 산출한 경제운전영역의 TPS 기준값을 그대로 이용하여 도 5의 그린영역이 도 3과 동일하다(D).
그런데, 고도가 높은 지역에 진입하여 대기압이 0.95가 된 경우 상기 과정 102에서 산출한 경제운전영역의 기준 TPS값을 +α만큼 증가시켜 그린영역이 도 5와 같이 α만큼 증가된다(E).
또한, 고도가 더 높아져 대기압이 0.9가 된 경우 상기 과정 102에서 산출한 경제운전영역의 TPS 기준값을 β만큼 증가시켜 그린영역이 도 5와 같이 β만큼 증가된다(F).
이에, 도 6과 같이, 저고도 지역에 비해 중고도 지역의 그린영역이 α만큼 확대되고 중고도 지역에 비해 고고도 지역의 그린영역이 β만큼 확대됨을 알 수 있다. 다만, 그린영역이 확대되면서 옐로우영역 및 레드영역이 감소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대기압값을 측정하여 대기압 값에 따라 고도가 높아지면 TPS 기준값을 상기 표 1과 같은 테이블에 따라 일정 값만큼 증가시켜 그린영역을 확대함으로써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도 경제운전영역이 적절하게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가 희박한 고지대를 운전하는 경우 엔진흡입 공기량이 적으므로 그린영역을 확대시켜 엔진 구동 성능을 높여줌으로써 적절한 경제운전 안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안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도 2의 경제운전 영역 판단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변속 패턴 맵.
도 4는 도 3의 변속 패턴맵에 따른 경제운전영역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도 2의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영역을 보정을 위해 쓰로틀 개도 기준값을 보정한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도 2의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영역을 확대보정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엔진제어기 120 : 변속기 제어기
200 :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300 : 디스플레이부
210 : 차량정보 수집부 220 : 주행상태 산출부
230 : 변속 패턴 맵 저장부 240 : 디스플레이 제어부
221 : 경제운전영역 산출부 222 : 경제운전영역 보정부
223 : 저장부 130 : 흡입 공기량 센서
100 : 차량제어기

Claims (10)

  1. 차량주행정보 및 변속 패턴 데이터를 수집하는 차량정보 수집부;
    상기 차량주행정보 및 변속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운전상태 및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고, 차량이 주행하는 지역의 고도에 따라 상기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하는 주행상태 산출부; 및
    상기 경제운전영역 상에 상기 현재 운전상태를 적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상태 산출부는
    상기 변속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고, 상기 차량주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운전상태를 산출하는 경제운전영역 산출부;
    대기압값별 보정값을 매핑한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대기압값별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하는 경제운전영역 보정부
    를 포함하는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제운전영역 보정부는 상기 대기압값이 일정기압 이하이면 상기 경제운전영역 중 최대 경제운전영역을 확대시키는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량을 측정하는 흡입공기량 센서; 및
    상기 흡입공기량센서로부터 측정된 공기량을 이용하여 대기압값을 산출하는 엔진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이 주행되는 지역의 대기압값을 측정하는 대기압센서를 더 포함하는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6. 차량의 시동이 온되고 차속이 일정 차속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일정차속 이상인 경우 변속 패턴맵에 따라 경제운전영역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지역의 대기압값이 일정값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대기압값이 일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제운전영역을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대기압값이 일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경제운전영역 중 최대 경제운전영역을 확대시키는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차량주행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주행상태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보정된 경제운전영역내에 상기 현재 주행상태를 표시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대기압값이 일정값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전에
    차량의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량을 이용하여 대기압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속이 일정 차속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전에,
    엔진제어기 및 변속제어기로부터 상기 차량 주행 정보 및 상기 변속 패턴 맵을 형성하는 변속 패턴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방법.
KR1020080085855A 2008-09-01 2008-09-01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17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855A KR101417102B1 (ko) 2008-09-01 2008-09-01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855A KR101417102B1 (ko) 2008-09-01 2008-09-01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734A true KR20100026734A (ko) 2010-03-10
KR101417102B1 KR101417102B1 (ko) 2014-07-09

Family

ID=4217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855A KR101417102B1 (ko) 2008-09-01 2008-09-01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1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092A (ko) 2018-12-19 2020-06-29 유카시스템 주식회사 영업용 차량의 연비향상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952B1 (ko) 2017-06-30 2021-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 및 그를 위한 주행 부하 대응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8479B2 (ja) * 1996-11-25 2004-05-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駆動力制御装置
KR100580501B1 (ko) * 2004-05-31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린번 조건의 개선을 통한 차량의 연비 및 주행성능 향상방법
JP4253013B2 (ja) * 2006-10-16 2009-04-0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搭載車両の運転状態表示装置
JP2008115754A (ja) * 2006-11-02 2008-05-2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092A (ko) 2018-12-19 2020-06-29 유카시스템 주식회사 영업용 차량의 연비향상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102B1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197B1 (ko)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JP5688883B2 (ja) 累積経済運転領域の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10302190B2 (en) Method for evaluating the shifting behavior of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US9494091B2 (en) Driving force control system for vehicle
US8892316B2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US20120029776A1 (en) Gearbox control device
CN104386058A (zh) 一种基于amt变速箱提高起步平顺性的控制方法
US7917267B2 (en) Method to determine an optimized shift point, in particular upshift point, for a manual transmission
CN113565954B (zh) 一种基于工况的换挡优化方法和系统
WO2018207870A1 (ja) 車両制御装置
US2013028224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CN110667588A (zh) 一种电动汽车基于驾驶员意图的加速踏板开度修正控制方法
KR101315726B1 (ko) 경제 운전을 위한 자동차의 차간거리 제어 장치 및 이에적합한 제어 방법
KR20100026734A (ko) 고도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651141B (zh) 车辆控制装置
KR20090063016A (ko) 능동형 엑셀 페달 시스템
JP6303338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内燃機関、及び内燃機関の制御方法
WO2018207834A1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方法
KR101772652B1 (ko) 수동 변속 차량에서의 변속 지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18207877A1 (ja) 車両制御装置
KR101793966B1 (ko) 수동 변속 차량에서의 변속 지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034118B1 (ko) 차량의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79046A (ja) 過給圧表示装置
JP2015048740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内燃機関、及び内燃機関の制御方法
KR100931807B1 (ko) 차량 부하에 따른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