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304A - 협업 포탈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포탈 시스템 - Google Patents

협업 포탈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포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304A
KR20100026304A KR1020080085266A KR20080085266A KR20100026304A KR 20100026304 A KR20100026304 A KR 20100026304A KR 1020080085266 A KR1020080085266 A KR 1020080085266A KR 20080085266 A KR20080085266 A KR 20080085266A KR 20100026304 A KR20100026304 A KR 20100026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boration
portal
collaboration portal
group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월
김휘강
김석복
이재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5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6304A/ko
Priority to PCT/KR2009/004705 priority patent/WO2010024565A2/ko
Publication of KR20100026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협업 포탈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포탈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협업 포탈 제공방법은, 협업을 위한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에 따라 각기 다르게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협업 포탈을 해당하는 그룹의 회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협업 포탈을 협업 그룹 마다 각기 다르게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되어, 협업 포탈을 협업/협업 그룹의 목적과 특성에 맞게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협업에 적합한 다양한 협업 포탈을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궁극적으로는 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협업 그룹, 협업 포탈, 포트릿, 서비스, 레이 아웃

Description

협업 포탈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포탈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cooperation portal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협업 포탈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업을 하고 있는 그룹이 이용하는 포탈인 협업 포탈을 제공하는 협업 포탈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협업(協業)이란, 여러 사람이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협동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근자에 이르러 두드러진 인터넷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은 온라인을 통해 협업자들 간의 협업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지원하기 위한 포탈을 등장시켰다.
이와 같이 등장하게 된 협업 포탈은 회사와 공공기관은 물론 학교와 연구단체에서도 없어서는 안 될 것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한편, 근자에 이르러 업무의 협업화는 보다 심화되어, 한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2가지 이상의 협업을 수행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2개의 협업 그룹에 소속되게 되는 것이 빈번해 졌다.
이와 동시에 업무의 다양화로 인하여, 협업은 많아지고 다양화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용되고 있는 협업 포탈은 천편 일률적인 면이 있다. 즉, 협업과 가장 밀접하게 맞물려 기능하는 협업 포탈에 협업의 특성은 반영되지 않고 있다. 즉, 협업들의 특성이나 목적과 무관하게, 모든 협업들에 대한 협업 포탈들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협업을 하고 있는 그룹이 협업에 이용하는 포탈인 협업 포탈을 그룹 마다 각기 다르게 생성하여 제공하는 협업 포탈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포탈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협업 포탈 제공방법은, 협업을 위한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에 따라 각기 다르게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협업 포탈을 해당하는 그룹의 회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협업 포탈에 포함되는 포트릿들은, 협업 포탈 마다 각기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협업 포탈에 포함되는 포트릿들은, 상기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의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것들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트릿들은, 메일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결재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스케쥴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업무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자료 게시 서비스에 이용되는 포트릿, 의견 수렴 서비스에 이용되는 포트릿 및 공지 서비스에 이용되는 포트릿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협업 포탈은, 상기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의 회원이 소속된 다른 그룹의 협업 포탈로 이동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뉴는, 상기 회원이 소속된 다른 그룹들의 협업 포탈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제공된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이 선택한 그룹의 협업 포탈로 이동하도록 하는 메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협업 포탈에 포함된 포트릿들이 배치되는 상기 협업 포탈의 레이 아웃은, 상기 협업 포탈 마다 각기 다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협업 포탈의 레이 아웃은, 상기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의 관리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협업 포탈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및 협업(協業)을 위한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에 따라 각기 다르게 생성하고, 생성된 협업 포탈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하는 그룹의 회원에게 제공하는 협업 포탈 서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협업 포탈에 포함되는 포트릿들은, 협업 포탈 마다 각기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협업 포탈에 포함되는 포트릿들은, 상기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의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것들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트릿들은, 메일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결재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스케쥴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업무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자료 게시 서비스에 이용되는 포트릿, 의견 수렴 서비스에 이용되는 포트릿 및 공지 서비스에 이용되는 포트릿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협업 포탈은, 상기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의 회원이 소속된 다른 그룹의 협업 포탈로 이동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뉴는, 상기 회원이 소속된 다른 그룹들의 협업 포탈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제공된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이 선택한 그룹의 협업 포탈로 이동하도록 하는 메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협업 포탈에 포함된 포트릿들이 배치되는 상기 협업 포탈의 레이 아웃은, 상기 협업 포탈 마다 각기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협업 포탈의 레이 아웃은, 상기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의 관리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협업을 하고 있는 그룹이 협업에 이용하는 포탈인 협업 포탈을 그룹 마다 각기 다르게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협업 포탈을 협업/협업 그룹의 목적과 특성에 맞게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협업에 적합한 다양한 협업 포탈을 이용할 수 있게 되 므로, 궁극적으로는 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협업 포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업 포탈 시스템은, 내부 네트워크(200)와 사용자 PC(100)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내부 네트워크(200)와 업무시스템 서버(330)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내부 네트워크(200)와 외부 컨텐츠 서버(320)가 인터넷(310)을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사용자 PC(100)는 사용자가 업무에 이용하는 단말장치의 일종이다. 도 1에 도시된 협업 포탈 시스템에는 사용자 PC(100)가 1개만이 나타나 있으나, 이는 도시와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다. 실제로, 내부 네트워크(200)에는 여러 대의 사용자 PC들이 연결되어, 다수의 사용자가 존재한다.
다수의 사용자는 공동의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공동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협업(協業)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협업 그룹은 다수 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한 명의 사용자가 여러 협업 그룹에 소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 사용자-2 및 사용자-3은 협업 그룹-A를 구성하고, 사용자-3, 사용자-4 및 사용자-5는 협업 그룹-B를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3은 협업 그룹-A와 협업 그룹-B에 소속되게 된다.
내부 네트워크(200)는 인증 서버(210), 협업 포탈 서버(220), 연계 I/F(230), 서비스 제공 서버(240)가 상호 연결되어 구축된다.
인증 서버(210)는 사용자 PC(100)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200)로 접근하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서버이다. 이를 위해, 인증 서버(210)에 구현된 인증 모듈(212)은 사용자 정보(214)를 이용하여, 사용자 PC(100)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200)로 접근하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된 경우에만 접근을 허용한다.
협업 포탈 서버(220)는 사용자 PC(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협업 포탈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구체적으로, 협업 포탈 서버(220)는 사용자 PC(100)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200)로 접속한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는 협업 그룹들에 대한 협업 포탈들을 생성하고, 생성한 협업 포탈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전술한 예에서, 사용자-3은 협업 그룹-A와 협업 그룹-B에 소속되어 있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이와 같은 사용자-3이 사용자 PC(100)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200)로 접속하면, 협업 포탈 서버(220)는 그룹-A에 대한 협업 포탈과 협업 그룹-B에 대한 협업 포탈을 제공하게 된다.
협업 포탈 서버(220)에 의해 제공되는 협업 포탈은 그룹마다 다를 수 있다. 즉, '협업 그룹-A에 대한 협업 포탈'(이하, '협업 포탈-A'로 표기)과 '협업 그룹-B에 대한 협업 포탈'(이하, '협업 포탈-B'로 표기)은 각기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협업 포탈-A에 포함되어 있는 포트릿들과 협업 포탈-B에 포함되어 있는 포트릿들이 다를 수 있다. 여기서, 포트릿(portlet)은 포탈에 나타나 포탈의 일부를 구성하는 콤포넌트로, 포탈은 포트릿들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협업 그룹-A를 "09년 경영계획 수립 그룹"으로 상정하고, 09년 경영계획 수 립 그룹에 대한 협업 포탈을 도 2에 도시하였다. 그리고, 협업 그룹-B를 "팀룸 프로젝트 구축 그룹"으로 상정하고, 팀룸 프로젝트 구축 그룹에 대한 협업 포탈을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포트릿", "결재-포트릿", "스케쥴-포트릿" 및 "메신저-포트릿"은 09년 경영계획 수립 그룹에 대한 협업 포탈과 팀룸 프로젝트 구축 그룹에 대한 협업 포탈에 공통된다. 하지만, "업무-포트릿", "게시물-포트릿" 및 "의견수렴-포트릿"은 09년 경영계획 수립 그룹에 대한 협업 포탈에만 포함되어 있으며, "공지사항-포트릿"은 팀룸 프로젝트 구축 그룹에 대한 협업 포탈에만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메일-포트릿은 사용자가 메일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이고, 결재-포트릿은 사용자가 결재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이며, 스케쥴-포트릿은 사용자가 스케쥴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이고, 메신저-포트릿은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이다. 그리고, 업무-포트릿은 사용자가 업무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이고, 게시물-포트릿은 협업 그룹의 자료 게시 서비스에 이용되는 포트릿이며, 의견수렴-포트릿은 협업 그룹의 의견 수렴 서비스에 이용되는 포트릿이고, 공지사항-포트릿은 협업 그룹의 공지 서비스에 이용되는 포트릿이다.
도 2와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협업 포탈 마다 구성된 포트릿들의 종류와 개수가 다르고, 포트릿들의 레이아웃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협업 그룹 마다 협업 포탈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데, 협업 포탈이 어떻게 구성되 는지는, 그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협업 그룹에 소속된 사용자들 중 협업 포탈 관리자로 지정된 자의 선택과 결정에 따르게 된다.
한편, 협업 포탈에 마련된 바로 가기 메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소속된 다른 협업 그룹의 협업 포탈을 바로 호출할 수 있다. 도 4에는 협업 포탈의 바로 가기 메뉴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로 가기 메뉴는, 사용자가 소속된 협업 그룹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며, 리스트에 나열된 협업 그룹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협업 그룹에 대한 협업 포탈을 호출하기는데 이용되는 메뉴이다. 만약,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속된 협업 그룹들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팀룸 프로젝트 구축 그룹"을 선택하게 되면, 현재 표시된 09년 경영계획 수립 그룹에 대한 협업 포탈은 팀룸 프로젝트 구축 그룹에 대한 협업 포탈로 바뀌게 된다.
이하에서는,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내부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연계 I/F(230)는 협업 포탈 서버(220)와 외부기기들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연계 I/F(230)는, 1) 협업 포탈 서버(220)가 인터넷(310)을 통해 외부 컨텐츠 서버(320)와 통신가능하고, 2) 협업 포탈 서버(220)가 업무시스템 서버(330)와 통신가능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외부 컨텐츠 서버(320)는 인터넷(310)을 통해 컨텐츠를 내부 네트워크(200)에 제공하는 서버이고, 업무시스템 서버(330)는 업무에 필요한 프로그램, 툴, D/B, 기타 자료나 정보 등을 내부 네트워크(200)에 제공하는 서버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240)는 협업 포탈의 포트릿들에 나타난 서비스들을 실제로 제공하거나,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240)에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모듈(242), 정보공유 모듈(244), 정보축적 모듈(246) 및 정보검색 모듈(248)이 구축되어 있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모듈(242)은 메일 서비스, 결재 서비스, 스케쥴 관리 서비스, 메신저 서비스, 업무 관련 서비스, 자료 게시 서비스, 의견수렴 서비스, 공지사항 게시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모듈이다.
정보공유 모듈(244)은 정보축적 모듈(246)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사용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며, 정보검색 모듈(248)은 사용자가 정보축적 모듈(246)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도 5는 전술한 협업 포탈 서버(220)를 기능적인 측면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업 포탈 서버(220)에는 권한관리 모듈(221), 회원관리 모듈(222), 협업 포탈 생성 모듈(223), 포트릿 관리 모듈(224), 연계 관리 모듈(225) 및 서비스 관리 모듈(226)이 구현되어 있다.
권한관리 모듈(221)은 협업 그룹에 소속된 회원들에게 부여되는 권한을 관리하는 모듈이다. 권한관리 모듈(221)에 의한 권한 관리는 협업 그룹 별로 이루어진다. 관리자 권한이 부여된 협업 그룹의 회원은 협업 포탈을 생성, 변경, 폐쇄할 수 있는 자이다. 여기서, 협업 포탈의 변경이란, 협업 포탈에 포함되어 있는 포트릿을 추가, 교체, 삭제하거나, 협업 포탈에 포함된 포트릿들의 레이 아웃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회원관리 모듈(222)은 협업 그룹에 소속된 회원들에 대한 정보를 협업 그룹 별로 관리하는 모듈이다.
협업 포탈 생성 모듈(223)은 협업 그룹 별로 협업 포탈을 생성하는 모듈이며, 포트릿 관리 모듈(224)은 협업 포탈에 대한 포트릿을 생성, 변경, 삭제하는 모듈이다.
연계 관리 모듈(225)은 협업 포탈 서버(220)가 서비스 제공 서버(240), 업무시스템 서버(330) 및 외부 컨텐츠 서버(320)와 연계되도록 관리하는 모듈이다.
서비스 관리 모듈(226)은 서비스 제공 서버(240)에서 제공가능한 서비스들 중 협업 포탈에 구현되어 있는 서비스들만이 구현되도록 협업 포탈 서버(220)를 통해 사용자 PC(100)로 제공되도록 하는 모듈이다.
이하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협업 포탈 서버(220)가 협업 포탈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업 포탈 서버(220)는 사용자 PC(100)에 협업 포탈 개설에 대한 안내를 전송한다(S610). 전송된 안내는 사용자 PC(100)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PC(100)를 통해 사용자가 협업 포탈 개설을 신청하고(S620-Y), 협업 포탈에 대한 기본 정보를 입력하면(S630), 협업 포탈 서버(220)는 협업 포탈 개설을 승인하거나 불허한다(S640).
S620단계에서 협업 포탈 개설을 신청한 사용자는 협업 포탈의 관리자가 되며, S630단계에서 입력하는 협업 포탈에 대한 기본 정보에는, 협업 포탈의 명칭, 회원 자격, 협업 포탈의 레이 아웃, 협업 포탈에 포함될 포트릿들이 포함된다.
S640단계에서 협업 포탈 개설이 승인되면(S640-Y), 협업 포탈 생성 모듈(223)은 새로운 협업 포탈을 생성한다(S650). S650단계에서 생성되는 협업 포탈의 명칭은 S630단계에서 입력된 협업 포탈의 명칭에 따른다.
이후, 회원관리 모듈(222)은 협업 포탈의 회원(즉, 협업 그룹의 구성원)을 등록시키고, 권한관리 모듈(221)은 등록된 회원들에 대해 권한을 부여한다(S660).
한편, 포트릿 관리 모듈(224)은 협업 포탈에 포트릿들을 구성한다(S670). S670단계에서의 포트릿 구성은 S630단계에서 입력된 포트릿들을 입력된 레이 아웃에 따라 배치하는 과정에 의한다.
협업 포탈 서버(220)는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생성된 협업 포탈을 협업 그룹의 회원들에게 제공하며, 협업 그룹의 회원들은 협업 포탈 서버(220)에 의해 제공되는 협업 포탈을 이용하여 협업을 수행한다(S680).
이후, 사용자 PC(100)를 통해 협업 그룹의 관리자가 협업 포탈 폐쇄를 신청하면(S690-Y), 협업 포탈 서버(220)는 신청된 협업 포탈을 폐쇄한다(S700).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협업 포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협업 포탈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협업 포탈의 바로 가기 메뉴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협업 포탈 서버를 기능적인 측면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업 포탈 서버에 의한 협업 포탈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용자 PC 200 : 내부 네트워크
210 : 인증 서버 212 : 인증 모듈
214 : 사용자 정보 220 : 협업 포탈 서버
221 : 권한관리 모듈 222 : 회원관리 모듈
223 : 협업 포탈 생성 모듈 224 : 포트릿 관리 모듈
225 : 연계 관리 모듈 226 : 서비스 관리 모듈
230 : 연계 I/F 240 : 서비스 제공 서버
242 :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모듈 244 : 정보공유 모듈
246 : 정보축적 모듈 248 : 정보검색 모듈
310 : 인터넷 320 : 외부 컨텐츠 서버
330 : 업무시스템 서버

Claims (16)

  1. 협업(協業)을 위한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에 따라 각기 다르게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협업 포탈을 해당하는 그룹의 회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포탈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협업 포탈에 포함되는 포트릿(portlet)들은, 협업 포탈 마다 각기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포탈 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포탈에 포함되는 포트릿들은, 상기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의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것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포탈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릿들은,
    메일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결재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스케쥴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업무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자 료 게시 서비스에 이용되는 포트릿, 의견 수렴 서비스에 이용되는 포트릿 및 공지 서비스에 이용되는 포트릿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포탈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포탈은,
    상기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의 회원이 소속된 다른 그룹의 협업 포탈로 이동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포탈 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상기 회원이 소속된 다른 그룹들의 협업 포탈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제공된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이 선택한 그룹의 협업 포탈로 이동하도록 하는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포탈 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포탈에 포함된 포트릿들이 배치되는 상기 협업 포탈의 레이 아웃은, 상기 협업 포탈 마다 각기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포탈 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포탈의 레이 아웃은, 상기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의 관리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포탈 제공방법.
  9. 사용자 단말; 및
    협업(協業)을 위한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에 따라 각기 다르게 생성하고, 생성된 협업 포탈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하는 그룹의 회원에게 제공하는 협업 포탈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포탈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협업 포탈에 포함되는 포트릿(portlet)들은, 협업 포탈 마다 각기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포탈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포탈에 포함되는 포트릿들은, 상기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의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것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포탈 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릿들은,
    메일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결재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스케쥴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업무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용하는 포트릿, 자료 게시 서비스에 이용되는 포트릿, 의견 수렴 서비스에 이용되는 포트릿 및 공지 서비스에 이용되는 포트릿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포탈 시스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포탈은,
    상기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의 회원이 소속된 다른 그룹의 협업 포탈로 이동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포탈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상기 회원이 소속된 다른 그룹들의 협업 포탈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제공된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이 선택한 그룹의 협업 포탈로 이동하도록 하는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포탈 시스템.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포탈에 포함된 포트릿들이 배치되는 상기 협업 포탈의 레이 아웃은, 상기 협업 포탈 마다 각기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포탈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포탈의 레이 아웃은, 상기 협업 포탈을 이용하는 그룹의 관리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포탈 시스템.
KR1020080085266A 2008-08-29 2008-08-29 협업 포탈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포탈 시스템 KR20100026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266A KR20100026304A (ko) 2008-08-29 2008-08-29 협업 포탈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포탈 시스템
PCT/KR2009/004705 WO2010024565A2 (ko) 2008-08-29 2009-08-24 협업 포탈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포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266A KR20100026304A (ko) 2008-08-29 2008-08-29 협업 포탈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포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304A true KR20100026304A (ko) 2010-03-10

Family

ID=4172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266A KR20100026304A (ko) 2008-08-29 2008-08-29 협업 포탈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포탈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26304A (ko)
WO (1) WO2010024565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6005A1 (ko) * 2017-06-07 2018-12-13 (주)오투팜 협업서비스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WO2018226030A1 (ko) * 2017-06-08 2018-12-13 (주)오투팜 그룹내부정보 공유방법 및 공유프로그램
KR20180133815A (ko) * 2018-09-21 2018-12-17 (주)오투팜 협업서비스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KR20180134319A (ko) * 2018-11-26 2018-12-18 (주)오투팜 그룹내부정보 공유방법 및 공유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031A (ko) * 2001-07-25 2003-02-05 아이콜스 주식회사 인터넷 기반의 통합업무시스템
US8001477B2 (en) * 2005-11-11 2011-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exchanging portlet configuration data
KR20080059355A (ko) * 2008-05-28 2008-06-27 최봉준 조합식 협업 상호보상 파트너쉽 기업 네트워크 구성 방법과 파트너쉽 가상 기업 관리 운영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6005A1 (ko) * 2017-06-07 2018-12-13 (주)오투팜 협업서비스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WO2018226030A1 (ko) * 2017-06-08 2018-12-13 (주)오투팜 그룹내부정보 공유방법 및 공유프로그램
KR20180133815A (ko) * 2018-09-21 2018-12-17 (주)오투팜 협업서비스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KR20180134319A (ko) * 2018-11-26 2018-12-18 (주)오투팜 그룹내부정보 공유방법 및 공유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4565A2 (ko) 2010-03-04
WO2010024565A3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4521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aging resources within a virtual room
CA2763148C (en) Secure workflow and data management facility
JP5671222B2 (ja) プロフェショナル・ソシアル・ネットワーク用の会社間の共同作業オーバレイ・ソルーション
US11336598B2 (en) Integration of chat messaging in email
US20130060592A1 (en) Meeting arrangement with key participants and with remote participation capability
US20130198290A1 (en) Real-tim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collaboration system
JP6437972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サービス方法およびスシステム
CN102333073B (zh) Ip多媒体子系统业务管理方法和系统
US11765112B2 (en) Context driven dynamic actions embedded in messages
KR20200020194A (ko) 대화방 기반의 업무관리 장치,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00026304A (ko) 협업 포탈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협업 포탈 시스템
WO2010131465A1 (ja) 業務支援システム及び業務支援方法
WO2006058503A1 (fr) Systeme d'assistance reseau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de ce systeme
CN114422182B (zh) 一种统一身份管理平台
KR20200020656A (ko) 대화방 기반의 업무관리 장치,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Hassler Online collaboration products
JP2007249423A (ja) 業務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処理画面切替方法、業務処理システム、そのサーバ、プログラム
Miranda et al. UbiSecE: UbiLab’s Secure Cloud Environment for Public Health Research in Microsoft Azure
KR20190005000A (ko) 회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1949675B2 (en) Direct access to embedded link via authenticated application
JP2006092039A (ja) サービス利用システム
Thomas Exam Ref MS-100 Microsoft 365 Identity and Services
Salomäki DesignIT User Access Management
KR20110065826A (ko) 고객 컴퓨터 원격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OLUMADE DEVELOPMENT OF AN IP-BASED CHAT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