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450A - 당화 생성물이 결여된 식품 및 음료 - Google Patents

당화 생성물이 결여된 식품 및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450A
KR20100024450A KR1020097027372A KR20097027372A KR20100024450A KR 20100024450 A KR20100024450 A KR 20100024450A KR 1020097027372 A KR1020097027372 A KR 1020097027372A KR 20097027372 A KR20097027372 A KR 20097027372A KR 20100024450 A KR20100024450 A KR 20100024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betes
milk
food product
food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7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바틀렛 엘리엇
Original Assignee
아마도리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마도리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마도리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24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20Dietetic milk products not covered by groups A23C9/12 - A23C9/18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00Concentration, evaporation or drying
    • A23C1/06Concentration by freezing out the water
    • A23C1/08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3/00Preservation of milk or milk preparations
    • A23C3/07Preservation of milk or milk preparations by irradiation, e.g. by microwaves ; by sonic or ultrasonic waves
    • A23C3/076Preservation of milk or milk preparations by irradiation, e.g. by microwaves ; by sonic or ultrasonic waves by ultraviolet or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7/00Other dairy technology
    • A23C7/04Removing unwanted substances other than lactose or milk proteins from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Dairy Produc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최근의 당뇨병의 증가는 환경적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현대의 식품 가공은 당뇨병을 일으킬 수 있는 산화된 아스코르브산 및 리포산 등의 최종 당화 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영아용 조제식은 높은 수준의 최종 당화 생성물을 포함한다. 추가로, 우유에서 A1 베타가제인으로부터 유리되는 카소몰핀은 당화될 수 있고 해로운 당뇨병 원인성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냉장 멸균 및 아스코르브산 등의 보존제의 회피를 수반하여, 가능한 한 낮은 함량의 최종 당화 생성물을 포함하는 영아용 조제식 및 다른 식품 및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최종 당화 생성물, 당화, 당뇨병, 영아용 조제식, 냉장 멸균, 아스코르브산, 리포산, 카소몰핀.

Description

당화 생성물이 결여된 식품 및 음료 {FOODS AND BEVERAGES LACKING GLYCATION PRODUCTS}
본 발명은 사람이 소비하기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의 식이용 물질, 특히 당화 생성물의 함량이 낮은 식이용 물질에 관한 것이고, 이러한 식품 및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의
당화(glycation)는 효소의 조절작용 없이 단백질 또는 지질 분자에 글루코스 또는 프럭토스 등의 당 분자가 결합되는 결과로서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는 체외에서 일어나는 외래성 당화를 지칭한다. 단백질의 당화는 단백질의 효소에 의한 소화에 저항성을 가지게 만들고 체내에서 반감기를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초기 당화 생성물"로 알려진 일군의 화합물이 있다.
"AGE"는 최종 당화 생성물(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의 약자이고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당화 생성물로 지칭한다.
예를 들어, 펩티드나 단백질의 당화의 제1단계는 글루코스(등) 분자의 알데히드기가 펩티드 쇄의 리신 분자의 아미노기와 결합하여 글루코스의 탄소원자와 리신의 질소원자 간에 이중 결합을 가진 이민 또는 시프(Schiff) 염기를 형성할 때의 시프 염기의 생성이다. "아마도리 생성물"은 탄소-질소 이중결합에 인접한 수산기로부터 수소원자가 질소에 결합하기 위해 이동하여 케톤을 형성하는 재배열에 의해 만들어진 이러한 AGE 생성의 제2단계이다. 최종단계(비가역 단계)는 아마도리 생성물의 산화이다. 잘 연구된 이러한 타입의 화합물은 Nε카르복시메틸-리신 및 메틸글리옥살, 또한 아마도리-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을 들 수 있다.
"메일라드 반응(Maillard reaction)" 또는 시퀀스는 일반적으로 열이 수반되는 아미노산과 환원당 간의 화학반응을 의미하는데, 어느 정도의 비효소적인 갈변 및 향미의 생성이 유도되고 몇몇 범위의 메일라드 생성물은 AGE의 일종이다.
"UHT"는 초고온 멸균처리(Ultra-High Temperature sterilisation treatment)-전형적으로 약 140℃에서 몇초간만 처리시키는 파스테르화의 일종-의 약어이다.
배경기술
본 명세서는 뉴질랜드에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유아용 및 소아용 밀크-대체품과 관련하여 현 실정을 기술한 후 영아 조제식의 대체적인 제조방법을 개설한다.
본 발명자는 현대 식이중 AGE가 사람 당뇨병, 특히 어린이에서 타입 I 당뇨병의 발병을 가져오거나 촉진시킨다는 가설을 제공한다. 이러한 가정의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증거가 요구되지만, 그러한 증거를 얻는 것은 물론 꽤 힘들고 비윤리적이다. 영아용 식이로서 우유를 사용하는 것이 참된 원인일 수 있지만, 잘못된 특이적 기전이 다른 연구자에 의해 발견되어졌다. 특이적 기전을 아는 것이 그 영 향을 피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모든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이 신중하다. 본 명세서는 하나의 일어날 수 있는 기전-우유를 기반으로 한 영아용 조제식에서 현저한 농도로 자주 발견되는 AGE-타입 성분을 포함하는 영아용 식이-를 고려할 것이다. 시험 결과는 이하 기재된다. 당뇨병의 발병 증가는 사람이 힘들어함을 의미하고 국가 건강 계획상 부담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 해답을 조속히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뇨병의 발명을 감소시킴에 따른 사회에 대한 재정적인 장점은 이하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타입 I 당뇨병의 가진 어린이를 일생동안 치료하는 비용은 약 NZD 700,000이다. 관련 질환을 비롯하여 진행성 타입 II 당뇨병을 가진 성인의 치료 비용은 바로 약 NZD 300,000이다. 연간 뉴질랜드에서 타입 I 당뇨병의 새로운 발병은 0세 내지 15세의 인구 백만 당 89 내지 240명(연구의 장소 차이와 일시를 반영함)이다. 타입 II 당뇨병의 새로운 발병은 연간 뉴질랜드 성인 백만명당 약 2,000이다. 더우기, 서구사회 인구중 연소자형 (타입 I) 당뇨병 및 임신 당뇨(타입 II)의 발병 증가는 현재 가장 심각한 경제적으로 타격인 건강문제를 나타낸다.
본 섹션은 수많은 상호 지지되는 관찰결과를 기재한다:
그럴듯한 병리생리학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최종 당화 생성물(AGEs)는 신경독성이고 알츠하이머병의 병인에 관여되어 왔다(21,22). 랑게르한스섬은 풍부한 신경 성분을 갖는다. 또한, 당화는 장의 단백질 소화로부터 유도되는 펩티드의 반응성을 바꾼다. 식이 유래의 짧은 펩티드쇄는 디펩티딜 펩티다제 IV에 의해 장간 벽 또는 혈류에서 신속하게 파괴된다. 우유 베타-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몰피셉 틴(morphiceptin)은 비당화 펩티드와 비교하여 당화(23)될 때 상이한 생리학적 및 면역학적 성질을 가진다. 디펩티딜 펩티다제 IV (DPPIV)는 면역반응에 중요한, T 림프구 활성화 마커의 일종인 CD26이다(24). 이 면역 마커(펩티다제)와 반응하는 펩티드의 당화는 신속히 파괴되지 않아 당뇨병관련 자가면역의 진전에 영향이 있다. 몰피셉틴과 같이 베타 카세인의 분자와 동일한 분야의 펩티드의 일종인 베타-카소몰핀-7은 젖소 가제인의 A1 변종으로부터 유리되나 A2 변종으로부터 유리되지 않고, A1 변종의 소비는 타입 I 당뇨병 발병과 크게 관련되어 왔으나 A2 변종은 그러하지 않다(11). 당화 생성물을 생성하는 현대의 가공공정의 추가는 이 매력적인 가설에서 자칫 빠질 수 있는 세속적인 경향적 연관을 제공한다. 당화가 펩티드에 혈청 및 조직 펩티다제를 포함하는 펩티다제 내성을 부여하는 증거는 참고문헌 31에서 또한 찾을 수 있다.
최종 당화 생성물(AGEs)는 신경독성이고 알츠하이머병의 병인에 관여되어 왔다(18,19). 랑게르한스섬은 풍부한 신경 성분을 갖는다. 또한, 당화는 장의 단백질 소화로부터 유도되는 펩티드의 반응성을 바꾼다. 식이 유래의 짧은 펩티드쇄는 디펩티딜 펩티다제 IV에 의해 장간 벽 또는 혈류에서 신속하게 파괴된다. 우유 베타-카제인으로부터 유도된 몰피셉틴은 비당화 펩티드와 비교하여 당화(20)될 때 서로 다른 생리학적 및 면역학적 성질을 가진다. 디펩티딜 펩티다제 IV (DPPIV)는 면역반응에 중요한, T 림프구 활성화 마커의 일종인 CD26이다(21). 이 면역 마커(펩티다제)와 반응하는 펩티드의 당화는 신속히 파괴되지 않아 당뇨병관련 자가면역의 진전에 영향이 있다. 몰피셉틴과 같이 베타 카세인의 분자와 동일한 분야의 펩티드의 일종인 베타-카소몰핀-7은 젖소 가제인의 A1 변종으로부터 유리되나 A2 변종으로부터 유리되지 않고, A1 변종의 소비는 타입 I 당뇨병 발병과 크게 관련되어 왔으나 A2 변종은 그러하지 않다(8).
AGE(f) 이외에, 현재 몇몇 식품 첨가제가 당뇨병의 발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C/아스코르브산. 본 발명자는 아스코르브산을 식품에 항산화제로서 첨가하는 것이 점점 만연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표 2). 비타민 C는 식품 가공에 의해 그 자체가 산화되며, 아스코르산염의 산화생성물은 당뇨병을 일으킬 수 있다(26). 이러한 베타세포 독성에 원인인자가 데히드로 아스코르브산 그 자체인지 더 나아가 분해 생성물인지는 명확하지 않다(27).
리포산. 이 산은 식품에 널리 존재하고 강력한 지질 항산화제이다. 비타민 C와 같이, 리포산의 산화된 형태가 산화 촉진작용을 가지거나 조직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28). 산소 존재하에서 장시간 in vitro 가열 및 이후의 보존은 이 산화촉진제의 비율을 증가시킨다.
많은 환경 작용제가 당뇨병의 발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어왔으나, 단지 이들의 일부가 지난 30년간의 환경에서의 증가, 동물모델에서 당뇨병을 일으키는 것, 및 그럴듯한 작용기전을 가지는 것의 세가지 기준을 만족시킨다. 당화와 산화를 통한 현대의 식품 가공 및 보존은 몇몇 식품 성분에 위해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당뇨병이 인간이 만든 질병이라는 견해를 유도할 수 있다. 해로운 당화 생성물의 생성시 명백한 당뇨병에서 발견되는 혈액 및 조직 글루코스의 상승의 촉진 효과는 수많은 현대의 식품 보존 공정으로부터의 해로운 식품 오염물의 생성과 그 괘를 같이 한다.
적어도 뉴질랜드에 있어서 특히 우려되는 것은 우유를 기반으로 하는 영아용 조제식의 세트이다. 수반되는 가공이 높은 수준의 아마도리 생성물(17), 하기 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결과적으로 타입 I 당뇨병의 병인에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베타-카소몰핀-7 등의 당화 펩티드를 생성한다. 또한 아스코르브산은 자주 제조시 조제식에 첨가되고 이는 아마도리 생성물(AGF(f))의 생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또한 당뇨병 원인성의 산화된 아스코르브산 생성물을 형성한다. 영아기에 식이성 당뇨병 원인물질을 섭취하는 것은 특히 위험할 수 있다(29). 밀 글루텐으로부터 유래한 글리아도몰핀은 또한 식이성 당뇨병 원인 물질로서 또한 제안되어 왔으나 인구 1인당 경질 소맥 소비는 지난 몇십년간 증가되지 않았다. 세계적으로 밀 소비와 타입 I 당뇨병은 생태적인 관련성도 없다. 그러나, 당화를 가져오는 현대 식품가공은 세속적인 경향을 설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종 당화 생성물의 수용체를 차단하면 마우스에서 자가면역 당뇨병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5). 참고문헌 1은 이하에서처럼 추가의 지지증거를 제시한다.
사람의 조직에서 최종 당화 지수(AGE(t), Advanced Glycation Index)가 높을수록 다양한 타입의 질병에 관련된다는 것이 수많은 논문에서 제안되어졌다. 사람에서 AGE(t)와 당뇨병의 발명의 관계는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참고문헌 1은 AGE의 내재성 생성 비율이 당뇨병에서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언급하고 비-비만 당뇨(non-obese diabetic, NOD) 마우스에서 타입 I 당뇨병의 유도와 AGE(f)가 관련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당뇨병 환자의 그룹의 식이적 섭취에서 AGE(f)를 제한하 였을 때 두가지 염증 마커, 혈장 C-반응성 단백질(CRP; C-reactive protein) 및 말초 단핵세포 TNF- 및 내피세포 부전의 마커인 VCAM-1의 현저한 저하가 일어났다. 또한, 참고문헌 1은 당뇨병 환자의 그룹에 대해 혈류 의존 혈관확장(FMD, flow-mediated vasodilation)을 시험하고 무당의 AGE가 풍부한 음료로 1회 급식되었을 때, 90분에 FMD는 크게 손상되었으나 혈청 AGE는 증가되었음을 개시한다. 상기 문헌은 AGE(f)의 식이성 섭취가 건강을 해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널리 지지되던 이전의 의견과 반대로, AGE(f)의 장내 흡수가 일어나고, 충분한 농도에서는 문제를 일으킨다. AGE(f)는 AGE(t)의 효과와 마찬가지로, 단백질 가교결합과 조직배양모델에서 세포내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한다.
AGEs는 사람의 당뇨병의 조성 중에 발견된다. 라반디(Ravandi) 등(30)은 온-라인 전자분사 질량 분석법과 함께 정상 HPLC를 사용하여 당화 에탄올아민 인지질이 정상인의 적혈구의 총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 중 단지 1 내지 2%를 구성하나 당뇨병 환자의 적혈구의 PE 중의 10-16%를 구성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당화 생성물은 타입 I 의 당뇨병의 마우스 모델(16)에서, 또한, 타입 2 당뇨병 설치류 모델(17)에서 당뇨병을 일으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타입 I 당뇨병의 가능한 원인과 관련하여 다양한 가설이 고려되어 왔다. 예를 들어, 몇몇 본 발명자들의 이전의 연구는 우유로부터 타입 A1 소유래 베타-카제인 분해 생성물, 즉 베타-카소몰핀 7에 관해 집중되어왔다. 이들 카소몰핀은 타입 A2 우유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시험군으로서 NOD 마우스를 사용한 동물 모델은 본 발명자들의 가설을 지지하나, 실험은 미완성이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이 소정 기 간동안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면 영아 조제식에서 AGE가 사람 모델에서 당뇨병의 개시 및 발병에 공헌한다는 주장을 증명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 한편, 그는 AGE(f)가 AGE(t) 및 당뇨병의 개시에 관련있다는 용량/반응 곡선을 확인하기 위해 NOD 마우스 그룹에 AGE의 일정량을 포함하는 영아용 조제식이나 다른 유제품을 섭취시킴으로서 가정되는 실험을 의도한다.
식이 유래의 AGE가 몸의 AGE 풀에 공헌하여 건강한 개체에서 염증을 유도할 수있다는 언급은 참고되어졌다(참고문헌 1 등,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삽입된다). 본 발명자는 타입 I 및 타입 II 당뇨병과 당뇨병의 가능한 원인을 찾아 당뇨병의 발병을 감소시키는 것에 일생을 통해 흥미를 가져왔다.
증상적인 당뇨병은 천년간 인식되어 왔으나, 타입 I 및 타입 II 당뇨병의 문헌상 발병증가는 매우 최근의 현상이다. 입수가능한 신뢰가능한 기록에 의하면, 타입 I 당뇨병의 발병은 타입 II 당뇨병의 발병 증가와 유사하게 지난 이삼십년간 두배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참고문헌 1, 2). 이는 유전적 변화에 의한 원인이기에는 너무 급속한 것이기 때문에 환경적 원인이 조사될 필요가 있다. 랑게르한스섬의 베타세포 손상의 면에서, 이러한 환경적 원인이 미생물학적인 또는 섭취된 작용제의 성질상 가능할 수 있다.
표 1에 요약된 바와 같이 주요한 환경적 후보물질의 하나 이상은 이들이 지난 몇십년간 보다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면 더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후보 가능성은 또한 그 작용제가 정상 동물이나 당뇨병이 발병하기 쉬운 종에서 당뇨병 원인성이거나, 이 당뇨병 원인성에 가능한 기전이 존재한다면 증가된다.
이전에 제안된 환경적 당뇨병 원인물질
미생물 작용제
"과도한" 위생(참고문헌 3)
랑게르한스 섬의 손상을 가져오는 특정 바이러스(4)
일반적인 백신(5,6)
"섭취된" 작용제
과도한 식품/부적절한 운동과 관련된 과다체중/비만(7)
우유를 포함하는 A1 베타-카제인(8)
글루텐을 포함하는 곡류(9)
커피(10)
바필로마이신(11)
비소(12)
아질산염 및 질산염(13)
본 발명자는 당뇨병의 최근의 유행의 미생물학적인 원인의 증거는 본 명세서에서 다루지 않을 것이다. 과도한 위생 가설이 세속적 경향의 일치점, 동물 모델, 및 가능한 당뇨병 발병원인 기전의 모든 세가지 기준을 일치시키지만, 표 1에 열거된 다른 것은 이들 기준의 하나 이상이 결여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불인정된 적이 있다.
섭취된 작용제 중, 비만과 관련하여 너무 많은 음식이 촉진제 가설(7)과 함께 타입 I 및 타입 II 당뇨병 둘 다의 매력적인 가설을 제공하지만, 열거된 다른 특이적 작용제는 세속적인 경향에 맞지 않는다-즉, 작용제의 소비가 지난 삼십년간 2-3배 증가되지 않았다. 몇몇 예를 들어, 비소관련은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전체적인 병인을 제공하기에 맞지 않는다.
현대의 음식 가공 및 보존 기술의 변화가 잠정적인 당뇨병 발병 원인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증거는 제시될 수 있다. 이는, '촉진제' 가설과 관련하여 당뇨병의 최근 유행의 가능한 하나의 설명을 제공한다. 아스코르브산(CAS 번호 50-81-7)은 시간 경과의 논쟁을 예시한다. 이는 항산화제로서 식품에 점차 첨가되어왔다. 이 보존제의 세계적인 생산은 표 5에서 보여진다. 대부분은 현대의 식품 보존 가공 중, 때때로 염 또는 에스테르로서 사용된다. 물론, 아스코르브산의 L-거울상 이성질체인 비타민 C는 한동안 그 자체로 건강 증진제로서 인식되어져 왔다.
아스코르브산의 세계생산량(톤)
연도 노트
1933 0 최초 화학 합성 1934
<1992 <20,000 이하의 양 및 아스코르브산 및 이소아스코르브산의 세계 시장 가치로부터 추정(Business Communications Company, Inc www.Bccresearch.com)
1997 97,000 레오 헤프너(lhepner@probio.com)
2002 110,000 비올라 알(Viola R)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의 효모를 기반으로 한 단일 단계 제조방법의 개발. Scottish Enterprise Proof of Concept Fund, 2002
2004 130,000 레오 헤프너(lhepner@probio.com)
세계적인 생산량의 72%가 식품산업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 아스코르브산의 인구 1인당 연간 추정 소비량은 100g (2005)이다.
식품 가공의 결과로서 항산화제의 산화
아스코르브산. 상기로부터 아스코르브산을 항산화제로서 식품에 첨가하는 것이 점차 널리 만연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표2). 아스코르브산은 식품가공에 의해 그 자체가 산화되어 아스코르브산염의 산화 생성물은 당뇨병을 일으킬 수 있다(23). 이러한 베타세포 독성에 원인인자가 데히드로 아스코르브산 그 자체인지 더 나아가 분해 생성물인지는 명확하지 않다(24).
리포산. 이 산은 식품에 널리 사용되고 강력한 지질 항산화제이다. 아스코르브산과 같이, 리포산의 산화형태는 산화 촉진작용을 가지나 조직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25). 산소의 존재하에서 장기간의 in vitro 가열 및 이후의 보존은 이 산화촉진제의 비율을 증가시킨다.
시간 경과 증거의 논의
많은 환경 작용제가 당뇨병의 발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어왔으나, 단지 이들의 일부가 지난 30년간의 환경에서의 증가, 동물모델에서 당뇨병을 일으키는 것, 및 그럴듯한 작용기전을 가지는 것의 세가지 기준을 만족시킨다. 당화와 산화를 통한 현대의 식품 가공 및 보존은 몇몇 식품 성분에 위해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당뇨병이 인간이 만든 질병이라는 견해를 유도할 수 있다. 명백한 당뇨병에서 발견되는 혈액 및 조직 글루코스의 상승의 해로운 당화 생성물의 생성에 대한 촉진 효과는 수많은 현대의 식품 보존 공정으로부터의 해로운 식품 오염물의 생성과 그 괘를 같이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특히 우려되는 것은 우유를 기반으로 하는 영아용 조제식의 세트이다. 수반되는 가공이 높은 수준의 아마도리 생성물(14) 및 결과적으로 타입 I 당뇨병의 병인에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베타-카소몰핀-7 등의 당화 펩티드를 생성한다. 아스코르브산은 자주 조제식에 첨가되고 이는 아마도리 생성물의 생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또한 당뇨병을 일으킬 수 있는 산화된 아스코르브산 생성물의 생성을 가져온다. 영아기에 식이성 당뇨병 원인물질을 섭취하는 것은 특히 해로울 수 있다(26).
아스코르브산은 증진제로서 빵 반죽에, 보존 및 공기중 노출에 의해 나쁜 인상을 주는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고기에, 지방 항산화제로서 포테이토칩에, 산화를 방지하게 위해 과실 드링크의 병 윗부분 공간에, 영아용 조제식 및 많은 다른 식품에 첨가된다. 이런 식으로 아스코르브산의 사용에 있어서 잠재하는 자주 장기간의 반응 시간은 단백질 및 지질과의 반응을 보증할 것이다. 당화 생성물이 자주 대량으로 생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당화는 당뇨병의 두 타입의 세속적인 경향에 일치한다. 그러한 당화 생성물은 타입 I 당뇨병 (1 및 19)의 마우스 모델에서 당뇨병의 발병원인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타입 II 당뇨병 설취류 모델(20)에서도 그러한다. 따라서 두번째 기준도 충족되어졌다.
다른 연구자들도 유사한 결론에 도달하려고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과 사람의 연구의 세베코바 케이(Sebekova K) 등의 리뷰(27)를 참조하라: 그 요약서는 다음과 같이 결론된다: "가열 가공된 식품의 과량 섭취는 체내에서 당뇨병 원인, 신장독성 효과로 작용할 수 있고, 낮은 정도의 염증을 유도하고 산화스트레스를 증진시키거나 동맥경화를 촉진시킨다고 결론한다". 상기 리뷰는 영아용 식품 등은 고려하지 않았다.
또한 "가열가공된 식품: 건강 관련 가능성(Thermally processed foods: possible health implications)"으로 명칭된 COST-927로서 참고하는 현재의 유럽 과학 발안(European Science Initiative)를 또한 참조하라. 웹사이트(2007년 5월부터 접속가능)은 http://www.if.csic.es/proyectos/cost927/wg5.htm이다.
영아용 식이가 타입 I 당뇨병의 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가능하다. 버터넌(Virtanen) 등(28)은 기재된 식이 패턴을 가진 725명의 어린이를 조사하고 당뇨병으로 진전된 33 형제 자매 어린이의 추적연구를 행하였다. 비록 이들의 연구 디자인이 유전적인 관련성을 강조할 수 있는 것이지만 이들은 우유 가설이 적용될 수 있음으로 결론짓는다. 에이커블롬(Akerblom) 등(29)는 242명의 영아를 사용한 시도로부터 영아용 식이가 영아에서 자발성 베타세포 자가면역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이는 영아에서 식이를 조정함으로써 자발성 베타세포 자가면역을 조절할 수 있음을 제안하는 증거를 제시한다.
현저한 양의 AGE는 가공으로 유도된 변화와 일치하는 형태로 몇몇 영아용 식품에서 발견된다. 본 발명자들이 고려하는 것은 몇몇 향상되지 않은 버전의 식품에서 현저히 높은 당화 생성물 수준임의 예시로서 하기 표 3 내지 9를 참조하라. ("슬립 밀크"는 UHT 가공에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고 보존 기간을 연장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AGE 물질을 갖도록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생성물이다).
당 (예를 들어, 글루코스, 프럭토스, 락토오스 등), 지질 또는 단백질의 존재하에서 많은 식품의 공기 중 가열은 소정 범위의 당화 생성물을 생성할 것이다. 아스코르브산은 이 점에서는 당으로서 거동한다.
문헌으로부터 하나의 예는 표 3에 나타낸다. 가열이 보다 광범위일수록, 시간이 더 길수록, 반응물의 농도가 더 높을수록, 더 많은 더 진행한 이들 비효소적인 생성물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UHT 밀크는 병 내에서 살균된 밀크(14)에 비해 천배나 높은 양의 당화 생성물을 함유한다. 현대의 식품 가공은 자주 가열에 의해 생성물의 보존을 수반하고 소비 전에 장기간 보존되도록 하고 자주 식사 전에 즉시 재가열되도록 한다. 항산화제가 자주 첨가된다.
밀크제품의 아마도리-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PE) 결과
글루코스-PE nmol/g 락토오스-PE nmol/g
사람 밀크 ND ND
우유 ND 78
영아용 조제식 A B C 35 112 124 78 88 49
대두유 268 128
참고문헌 (15)로부터 발췌 (ND= 검출되지 않음)
본 발명자들에 의해 본 발명자들을 위한 측정이 표 4 내지 9에 이어진다.
뉴질랜드에서 아기나 어린이가 식이성 AGE에 실제 노출되어 있는가? 영아 조제식로 먹이는 관행이 널리 퍼져있다. 이들은 모유수유를 대체하는 최선의 선택이고 영아용 섭취의 1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 3 및 표 4는 서로 다른 두 날짜에 뉴질랜드에서 수집된 다양한 샘플에 대한 패스트(FAST) 시험을 사용한 결과를 보고한다. 이하의 다수의 기재는 이들 공급자 또는 제조자의 상표임의 유의하라.
Figure 112009081286211-PCT00001
패스트 지수/시험: (진행된 메일라드 생성물 및 가용성 트립토판의 형광측정(Fluorescence of Advanced Maillard products and Soluble Tryptophan): (문헌[Birlouez - Aragon et al , Int . Dairy J 12, (1), 2002, 59-67)을 참고하라)
Figure 112009081286211-PCT00002
논의: 이 최종 당화 생성물(AGE)의 존재의 표준시험은 예상되는 바와 같이 UHT(초고온) 밀크균 가공이 일반 밀크균된 밀크에서 전형적인 약 10 단위이상 패스트지수의 상승을 가져온다. UHT 가공은 억측이지만 다른 생성물을 제조동안 사용될 수도 있었다. UHT 가공은 유럽에서처럼 현재 점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AGE가 예를 들면 메일라드 반응에 따라서 열처리로부터 기인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건조 밀크 파우더는 표준 조건에서 저장중 점차 갈변(AGE 함량과 관련하여)되는 것도 또한 잘 알려져있다.
Figure 112009081286211-PCT00003
이 분석은 Nε-(카르복시메일) 리신량이 저장중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81286211-PCT00004
푸로신(furosine)은 초기 당화 생성물의 더 나은 시험일 수 있다. 표 7은 동결 건조후 재구축(LCD WDM 샘플)이 현저하게 높은 푸로신 함량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 샘플 영아 조제식의 푸로신 함량은 원료 밀크에서의 함량보다 훨씬 더 높았다는 점을 주의하라. ('보정된'은 소비 준비된 것으로 조제됨을 의미한다).
Figure 112009081286211-PCT00005
표 8은 산모 중 일반적인 관행의 영향을 예시한다: 영아용 조제식의 배치를 제조하고 최장 1주일간 냉장고에 보존하는 것. 아마도 아스코르브산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원인으로 놀라운 정도로 높은 수준의 AGE가 발견된다. 본 명세서에서 시험된 특정 영아용 조제식은 뉴질랜드에서 널리 사용된다. 몇몇 영아용 조제식은 첨가된 아스코르브산를 포함한다. 이 화합물은 냉소에서도 AGE를 생성하는 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기의 표 9은 차가운 샘플과 혼합된 아스코르브산이 열처리된 것과 대등한 AGE(f)를 유도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아스코르브산(비타인 C)가 영아에 급식되기 전에 영아용 조제식에 혼합되지 않을 것을 충고한다.
Figure 112009081286211-PCT00006
표준 밀크균 밀크("앵커 블루(Anchor™ Blue")는 표 9에서 이 시험에 사용되었다; 4x20 ml 분취량. 100 ml 아스코르브산 당 100 mg이 두개에 첨가되었다. 가열 그룹은 60℃에서 한시간동안 유지된 후 모두 4℃에서 24시간동안 유지되었다. 이는 가열 및/또는 아스코르브산을 냉장 샘플에 첨가한 것이 패스트 지수를 증가시킴을 나타낸다.
밀 글루텐으로부터 유래한 글리아도몰핀은 또한 식이성 당뇨병 원인 물질로서 또한 제안되어 왔으나 인구 1인당 경질 소맥 소비는 지난 몇십년간 증가되지 않았다. 세계적으로 밀 소비와 타입 I 당뇨병이 생태적인 관련성도 없다. 그러나, 당화를 가져오는 현대의 식품가공은 세속적인 경향을 설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종 당화 생성물의 수용체를 차단하면 마우스에서 자가면역 당뇨병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따라서 가능한 작용기전의 세번째 기준이 충족되었다.
참고문헌
Figure 112009081286211-PCT00007
Figure 112009081286211-PCT00008
Figure 112009081286211-PCT00009
해결하기 위한 과제
해결하기 위한 과제는 (a) 현대사회에서 당뇨병의 발병 증가의 적어도 가능성 있는 원인을 발견하는 것과 (b) 당뇨병의 위험을 최소한으로 하거나 당뇨병 위험의 가능성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그 원인을 회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고안하는 것으로 두 개로 나누어진다.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AGE가 감소되거나 존재하기 않는 식품류를 제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식품류의 섭취는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적어도 공중에게 유용한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개시
제1의 광범위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AGE를 낮은 비율로 가지는 식품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1) 차갑게 보존되고 채집후 가열처리되지 않은 신선한 밀크를 얻는 단계, (2) 적절한 품질시험을 실시하는 단계, (3) 보존 중 AGE를 생성하는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임의의 원하는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 (4) 냉장 상태에서 초여과법으로 식품류를 멸균하는 단계, (5) 식품류를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6) 건조된 식품류를 냉장 건조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그 결과의 식품류는 10 미만의 AGE(f)의 패스트 지수를 가진다.
선택적으로 건조된 식품류는 별도로 포장된 첨가제와 함께 팩(pack)으로 판매된다.
선택적으로 팩은 혼합물을 구성하는 편리한 출발점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냉장 상태에서의 자외선 살균이 사용될 수 있다.
관련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당뇨병의 발병을 실질적으로 촉진시키지 않는 식품류를 제공한다.
제2의 광범위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밀크를 기반으로 한 제조된 식품류를 제공하는데, 상기 식품류는 가열없이 밀크를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냉장 가공에 의해 제조되어서 당화 생성물의 농도가 낮으며, 식품류의 푸로신 함량이 약 10 mg/l (즉시 사용가능한 형태일 때) 미만이고 보존 중 당화 생성물을 생성하지 않을 조건에서 판매의 목적으로 공급된다.
바람직하게, 식품류는 약 12 미만의 식품류의 패스트 지수를 갖는다(두가지 시험 패스트와 푸로신의 대응은 당화의 진행도의 함수이다).
바람직하게 식품류는 실질적으로 밀크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 식품류는 실질적으로 우유로 만들어진다.
관련 실시양태에서, 가열없는 멸균 단계는 살아있는 유기체나 이들의 재생가능한 부분이 크기에 의해 제거되는 초여과 단계이다.
선택적으로 가열없는 멸균 단계는 살아있는 유기체의 DNA가 파괴되도록 자외선 을 이용한 멸균법을 사용한다.
주요한 관련 실시양태에서, 식품류는 제조 또는 보존 중 당화 생성물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화학물질을 제외하거나 제거하도록 제조되는데, 상기 화학물질은 아스코르브산, 리포산, 글루코스 및 프럭토스, 및 식품류를 수용하는 팩내의 산소의 범위로부터 선택된다.
선택적으로 제조된 음료는 소비 직전에 공지된 잠재적인 AGE 촉진 물질(예를 들어, 비타민 C)과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식품류는 소비 직전에 즉석에서 음료로 구성되도록 하는 밀봉 멸균 용기에 건조형태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또한 식품류는 산소가 실질적으로 없는 상태에서 5 내지 -190℃의 범위의 저온에서 보존되거나 되어진다.
하나의 선택으로, 식품류는 영아용 식품용이나 소아용 식품용으로 사용되도록 조제된다.
또 다른 선택으로, 식품류는 소아용이나 성인용 식품으로 사용되도록, 특히 당뇨병으로 진전될 위험이 있는 사람들만이 사용하도록 한정하지 않게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
본 명세서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재는 단순히 예시의 수단으로 주어지고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나 한도를 제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가공의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원리 및 이론적 근거는 기술의 배경 부분에 기재되어 있다. 밀크 또는 음료 또는 밀크를 기반으로 한 다른 식품 제품의 이러한 제조방법은, 종래의 가열 밀크균나 UHT 밀크균 후 식품을 액상의 형태로 보존하는 데서 일어날 수 있는 본래의 당화를 회피한다. 이 가공법은 다양한 제품의 제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당화 생성물을 최소한으로 가지는 음식 및 음료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음식 및 음료를 포함한다.
방법: 비제한적인 예시의 수단으로, 이하의 가능한 한 당화 생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식품류 또는 영아용 조제식의 간략화된 제조방법을 기재한다. 도 1의 번호를 참조하라. 상기 방법은 포유동물의 밀크 제품(또는 대두 또는 인공 밀크 등의 대등물)을 멸균시키기 위해 밀크균나 다른 열처리(예를 들어, UHT)를 사용하지 않고 권장되는 감마선 조사도 사용하지 않으며 아스코르브산, 리포산, 또는 글루코스 등의 환원당을 첨가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포유동물의 밀크는 사람, 소, 양, 염소의 것이다. 염소의 밀크는 현재 이해되는 알레르기원이 AGE가 또한 고려된다면 바뀔 수도 있지만 몇몇 알레르기하에서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최종 식품류는 소비 직전에 음료로 구성될 수 있는 건조형태로 공급된다. 건조시키는 것-단백질 구조를 나쁘게 변화시키지 않는다면 무수물의 경우도-은 저산소 조건이 도움이 되는 임의의 화학반응의 속도를 늦춘다. 추가로, 건조 식품류는 바람직하게. 편리하다면 몇달에 걸친 보존을 위해 5 내지 -190℃의 저온에서 저장된다. 재구성 음료는 환원당 또는 다른 잠재적 AGE 촉진 물질 없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항산화 성질을 가지는 물질은 루테올린(luteolin) 등의 식물 플라보노이드 물질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AGE 반응은 상대적으로 천천히 일어나기 때문에 이들을 소비 전에 즉시(길어도 1시간 이내로) 조제식에 혼합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당화 생성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최종 식품류"의 이하의 제조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1. 적합한 건강문제(종간전염병(zoonoses), 위생, 오염물, 백혈구수 등)의 시험 (102)와 또한 선택적으로 모든 우유가 A2 표현형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시험 (103)로 확인된 낙농 농장의 바람직한 공급체인을 확립하는 단계(101).
2. 신선한 밀크균되지 않은 밀크를 채집하여 채집 후 차가운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104)(밀크균되지 않아, 종간전염병의 위험이나 변질될 위험성이 있어 그러한 필요성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시험 또는 동물의 면역학적 시험이나 밀크 샘플의 배양시험을 통해 입증되는 감염성 작용제를 갖지 않는 공급원을 선택한다).
3. 투입 물질이 안전하고 적어도 기준선으로 제공되는 낮은 당화 함량을 갖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밀크에 적절한 품질시험(낙농업계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을 사용하여 재시험하는 단계(105). 시험은 샘플의 배양, 감도가 있는 면역학 관련 시험 또는 특정 생물의 DNA/RNA 타입 시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4. 전형적으로 원심분리에 의해 크림을 분리하여 버리는 단계(106). 가공이나 보존 중 AGE 생성 반응을 일으킬만한 물질(아스코르브산 등)이 아닌 몇몇 첨가제가 멸균 전에 포함될 수 있다.
5. 무지방 밀크를 멸균하는 단계(이하 참조). 냉장살균 선택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5A: 107은 모든 공지된 감염성 작용제를 제거하기에 충분히 작은 공극 크기를 사용하여 냉장 중 수행되는 초여과 공정(상업적 가공이 입수가능하다).
5B: 108은 예를 들어, 특히 DNA에 작용하는, 저압 수은증기 램프 공급원을 사용하는 "냉장중" 자외선 멸균공정. 상업적인 장치 및 공정이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자외선 조사는 저온 여과 이상의 AGE(f) 수준을 올릴 수 있다.
6. 적합하다면(즉, 저온제조, 멸균, 당화 지수가 낮음) 이 단계(109)에서 몇몇 첨가제, 향료 등이 멸균밀크와 혼합될 수 있다. 아스코르브산 또는 리포산, 또한 글루코스 및 다른 6-탄소(환원) 당은 적합하지 않은 첨가제의 예이다.
7. AGE를 일으키는 가열을 사용하지 않고 식품류(110에서)를 동결-건조하는 단계. 상업적 공정이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초여과 공정을 확인하기 위한 추가의 품질 시험을 수행한다. 배치는 당화 지수 관련 물질을 위해 적절한 샘 플링 속도로 시험될 수 있다(111). 예를 들어, 제조자는 재구성 후 제품이 바람직하게 10 mg/l 미만의 푸로신 양을 가지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푸로신을 시험하거나 패스트 지수를 사용할 수 있다.
8. 질소하에 재료를 포장하고 짧은 소비기한으로 표시하는 단계(112).
9. 냉장상태(영하 이하 등)로 유지하면서 재료를 보존하고 짧은 소비기한내에 질소하에서 냉장 건조 상태로 소매업자를 통해 공급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단계(113). 모든 다른 성분은 유사하게 냉장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공급된 식품류의 보존조건을 주기적으로 모니터(114)한다.
10. 사용 직전에, 다른 음식 재료가 첨가될 수 있는 시점에서 동결 건조 성분의 팩을 재구성하는 사용자 지침을 포함하는 단계(115). 이는 물과 가능한 선택된 첨가물을 첨가함으로써 다양한 첨가제, 향료 등을 사용하여 적절한 영아용 조제식을 구성하기 위한 출발점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원료이다. 재밀봉가능한 다량의 팩이 제공될 수 있지만 각 팩은 단일 공급으로 충분하다. 냉동 건조 식품류는 별도의 첨가제와 함께 팩으로 판매될 수 있다. 본래 낮은 당화 지수를 갖고 밀크를 기반으로 한 성분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재료의 리스트가 입수가능할 수 있다.
상기 가공은 가열 멸균, 특히 UHT (초고온) 밀크균을 회피하고 현재 자주 이용되는 아스코르브산 등의 항산화제의 첨가를 회피한다는 점에 주의하라. 다른 방법으로, 루테올린 등의 식물 플라보노이드 물질이 대체적인 "항산화제"일 주 잇다.
품질관리의 방법으로, 당화 생성물의 함량은 예를 들어 푸로신의 시험, 및/ 또는 아마도리-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PE)의 시험, 패스트 지수의 측정 또는 CML/Nε-(카르복시메틸)리신 분석을 사용하여 대표적인 AGE 또는 다른 당화 표식물을 측정하는 등으로 반복적으로 평가되어야한다. 상기 시험은 시험 물질이 축척되는 것으로 가정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부분적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푸로신은 초기 당화 생성물의 표식물이고, 진행된 당화 생성물의 표식물은 패스트 시험이다. 냉장 가공된 밀크는 낮은 수준으로 가진다. 새로이 채집된 원료 밀크가 대조군으로 사용될 수 있고, 높은 AGE 함량을 갖는 배치는 소거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영아용 조제식은 바람직하게 10 미만의 패스트 지수를 가지고, 10 mg/l 미만의 푸로신 함량을 가져야 한다. 정확한 이러한 제한은 시험 실시예를 참고로 하는 외에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유사한 공정이 유명한 탄소화 콜라 등의 AGE를 포함하는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음료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변경
현재 당뇨병과 당화 생성물의 관련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거의 없음으로 동일한 원리가 다양한 식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이 관련성이 지지된다면, 본 발명의 원리는 낙용 제품을 기반으로 하는 식품 이외에 보다 널리 적용될 것이다.
당뇨병 소아나 성인, 특히 신장기능 장애로 투석 중인 환자(투석액은 높은 AGE 함량을가질 수 있다)에 의해 소비되도록 의도된 광범위한 범위의 음식 또는 음료가 AGE 함량이 가능한 한 낮고(보존 중 가능한 한 낮게 유지됨), 식품(또는 음료) 중 AGE가 높다면 악화될 수 있는(참고문헌 1 참조) 그러한 사람들의 증상이 악 화되지 않도록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인슐린 필요량을 감소시키거나 타입 II 환자에게 부과된 식이제한을 보조할 수 있을 것이다. AGE(f)의 함량은 포장 상에 포함되어야한다.
식품류에서 낮은 AGE는 소위 10 단위(푸로신 시험에서는 mg/l) 이상의 높은 AGE 보다 더 건강에 좋다는 가정은 성인용 식품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참고문헌 (I)은 0.1 KU/g의 바나나에서 22 내지 80 kU/g 범위의 널리 사용되는 식품의 범위에 이르는 선택된 식품류의 AGE 함량의 흥미있는 리스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당화 (최종) 생성물을 낮은 양으로 포함하는 식품류는 당화 (최종) 생성물이 높은 식품류보다 당뇨병을 현저하게 덜 유도하거나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성인 소비용, 특히 당뇨병이나 심장질환, 발작, 몇몇 자가면역 질환 등의 혈관계를 수반하는 질환을 이미 가진 환자의 소비용으로서 저농도의 AGE 식품 및 음료의 제조 및 공급으로 넓힌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및 장점
간단하게 말하면, 본 발명은 특히 당화 생성물이 당뇨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낮은 또는 전혀 당화 생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식품 및 음료를 제조하여 소비자가 수많은 방법으로 건강에 해롭다고 여겨지는 물질에 노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자는 당뇨병 발병에 있어서 실질적인 감소가 따를 것이라고 믿는다.
본 발명자는 영아용 조제식 내의 당뇨병 발병 물질이 당뇨병의 유행적인 발병증가에 부분적으로 책임이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영아가 특히 이들 물질에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고 믿는다.
참고문헌 (1)에 언급된 NOD 마우스 등의 동물실험은 사람에서 식이 AGE가 당뇨병을 일으키는 지를 직접 "증명"하기 다소 어려울 수 있지만 당뇨의 개시를 증가시킴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들처럼 높은 위험성에 있는 것을 보인다. 많은 경우에, 조건이 악화되는 경우, 또한 이러한 질병이 개시될 수 있다. 식이에 AGE(f)가 존재한다면, 영아의 장이 성인에서보다 더 잘 AGE(f)를 흡수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참고문헌 (1)에서, 성인에서만 시도되어졌다. 정상 래트를 사용한 시도에서 혈청 AGE는 섭취 후 2시간 내에 상승했다.
마지막으로, 실시예에 의해 기재되거나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양태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앞서의 기재에서, 본 발명의 특정 성분 또는 정수들은 공지된 균등물을 갖는 것으로 참고로 만들어졌고, 이러한 균등물은 개개로 열거된 것처럼 포함된다. 당업자는 다양한 변경, 추가, 공지된 균등물 및 치환이 이하의 청구항으로 열거된 본 발명의 범위내 가능한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Claims (11)

  1. 가열없이 밀크를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 가공에 의해 제조되어 저농도의 당화 생성물을 포함하며, 패스트 지수가 10 미만(즉시 이용가능한 형태에서)이고, 보존 중 당화 생성물이 생성되지 않을 조건에서 판매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크를 기반으로 한 제조된 식품류.
  2. 제 1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유사물, 리포산 및 이의 유사물, 글루코스 및 프럭토스, 및 식품류를 수용하는 팩 내의 산소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선택되는, 제조 및 보존 중 당화 생성물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화학물질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식품류.
  3. 제2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밀크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식품류.
  4. 제3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우유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식품류.
  5. 제3항에 있어서, 가열없이 멸균하는 단계가 살아있는 유기체나 이들의 재생가능한 부분을 제거하도록 초여과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식품 류.
  6. 제3항에 있어서, 가열없이 멸균하는 단계가 살아있는 유기체의 DNA가 파괴되도록 자외선을 이용한 멸균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식품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식품류가 소비 직전에 음료로 구성될 수 있는 밀봉된 멸균 용기에 건조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식품류.
  8. 제7항에 있어서, 식품류가 산소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5 내지 -190℃의 범위의 온도에서 건조후 보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식품류.
  9. 제2항에 있어서, 식품류가 영아용 식품 또는 소아용 식품으로 사용되도록 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식품류.
  10. 제2항에 있어서, 식품류가 소아용 또는 성인용의 식품으로 사용되도록 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식품류.
  11. 제9항에 있어서, 적은 량의 당화 생성물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식품류가 당뇨의 발병을 실질적으로 증진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식품류.
KR1020097027372A 2007-05-30 2008-05-29 당화 생성물이 결여된 식품 및 음료 KR201000244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Z555511 2007-05-30
NZ55551107 2007-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450A true KR20100024450A (ko) 2010-03-05

Family

ID=4007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372A KR20100024450A (ko) 2007-05-30 2008-05-29 당화 생성물이 결여된 식품 및 음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527631A (ko)
KR (1) KR20100024450A (ko)
AU (1) AU2008257720A1 (ko)
WO (1) WO20081472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0353B2 (en) 2011-12-06 2015-01-27 Whitewave Services, Inc. Non-dairy beverage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4956B2 (ja) * 1993-06-17 2001-03-12 オーム乳業株式会社 加工食品
DE29623125U1 (de) * 1996-05-17 1997-11-06 Adler Charlotte Kolostralmilchprodukte
JP3290145B2 (ja) * 1998-09-30 2002-06-10 雪印乳業株式会社 乳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541694B2 (ja) * 1998-11-04 2004-07-14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加工用濃縮乳
WO2000072703A1 (en) * 1999-05-28 2000-12-07 UNIVERSITé LAVAL Inactivation of food spoilage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by dynamic high pressure
ES2537281T3 (es) * 2004-09-09 2015-06-05 Nestec S.A. Productos nutricionales de calidad mejorada y métodos y sistemas relacionados con los mismos
JP4512520B2 (ja) * 2005-05-20 2010-07-28 財団法人蔵王酪農センター 乳清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57720A1 (en) 2008-12-04
JP2010527631A (ja) 2010-08-19
WO2008147226A1 (en)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1008C2 (ru) Композиции питательного порошка и детской питательной смеси (варианты)
Friedman Food browning and its prevention: an overview
Jansson et al. Green tea polyphenols decrease strecker aldehydes and bind to proteins in lactose-hydrolyzed UHT milk
CN101678061A (zh) 朝鲜紫菀提取物,以及含有该提取物的药物组合物和功能食品
Šebeková et al. Glycated proteins in nutrition: friend or foe?
JP4901950B2 (ja) 2,5−ピペラジンジオン,3,6−ビス(フェニルメチル)−,(3s,6s)−を含有する酸性飲食品
WO2017010133A1 (ja) 動植物由来ペプチド含有血清カルノシン分解酵素阻害用組成物
US20070092632A1 (en) Ultra high pressure modified proteins and uses thereof
Polidori et al. Differences of protein fractions among fresh, frozen and powdered donkey milk
TWI380821B (zh) 轉移因子製備物及相關的方法
Erbersdobler et al. Absorption and Metabolism of Heated Proteincarbohydrate Mixtures in Humans
Feng et al. Inhibition of advance glycation end products formation, gastrointestinal digestion, absorption and toxicity: A comprehensive review
ZA200308672B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ophylaxis of diabetes.
CA2444719C (en) Method of production of an isomaltulose-containing enteral nutrient
Mejrhit et al. Determination of histamine levels in commonly consumed fish in the region of Fez: the effect of heating and enzymatic treatments
US20140010764A1 (en) Glycated milk and uses thereof
KR20100024450A (ko) 당화 생성물이 결여된 식품 및 음료
JP4673071B2 (ja) 鉄吸着性高分子物質及び鉄含有高分子物質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2009298729A (ja) 新規ペプチド分解物
Akıllıoğlu et al.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Takeda et al. Effects of sterilization process on the physicochem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liquid enteral formula
Šebeková et al. 26.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in infant formulas
RU2274003C2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переработки кров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для получ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го вещества с противоанемиче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на основе гемоглобина,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е вещество с противоанемиче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варианты) и продукт, его содержащий (варианты).
JP2013035803A (ja) 血糖値低下効果を有する柿果実粉末組成物
JP7340560B2 (ja) 抗酸化作用を有する乳酸菌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