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3784A - 탈착가능한 hdmi 입력들을 가지는 dtv - Google Patents

탈착가능한 hdmi 입력들을 가지는 dtv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3784A
KR20100023784A KR1020090077845A KR20090077845A KR20100023784A KR 20100023784 A KR20100023784 A KR 20100023784A KR 1020090077845 A KR1020090077845 A KR 1020090077845A KR 20090077845 A KR20090077845 A KR 20090077845A KR 20100023784 A KR20100023784 A KR 2010002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dmi
television receiver
switch
enclosure
re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3247B1 (ko
Inventor
고지 가와시마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2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2Circuits therefor, e.g. noise reducers, equalisers, amplifiers
    • H04N7/104Switchers or split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5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 G09G2370/047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using display data channel standard [DDC]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6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for domestic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텔레비젼 장치는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텔레비젼 수신기를 가진다.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는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된다.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는 동작적으로 HDMI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며,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에는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측 HDMI 버스가 접속되어 있다.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는 적어도 두개의 사용자-측 HDMI 커넥터 포트가 노출되어 있는 HDMI 스위치 하우징에 위치된다. 상기 HDMI 스위치 하우징이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부착시키거나, 상기 HDMI 스위치 하우징을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HDMI 스위치 하우징을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로부터 원격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HDMI 커넥터 포트들은 상기 텔레비젼 장치에 의해 선택가능하면서도 원격으로 액세스가능하게 끔,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 하우징은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탈착가능하게 접속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이러한 요약에 설명된 특징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요약은 한정의 의미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Figure P1020090077845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HDMI 스위치,

Description

탈착가능한 HDMI 입력들을 가지는 DTV{DTV WITH DETACHABLE HDMI INPUTS}
본 발명은 탈착가능한 HDMI입력들을 가지는 텔레비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는 최근의 오디오/비디오(A/V) 엔터테인먼트 제품들에 대한 접속 인터페이스로서 선택되고 있다. 특히, 고선명 텔레비젼(HDTV) 세트의 경우, 다수의 비디오 소스들로부터의 입력들을 수신하여 제어할 목적으로 많은 HDMI 입력들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관련 텔레비젼 셋탑 박스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들(DVR - 또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 - PVR), 게임 콘솔들 등을 홈 엔터테인먼트 장식장에 수납하면서, 벽 평면 패널 HDTV 세트들을 벽에 장착하는 것이 보다 일반화되고 있다.
본 특허 문헌에 개시된 일부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본 저작권자는 특허 및 상표청에 제출된 특허 파일 또는 기록과 동일한 형태의 특 허 문서 또는 개시물에 대한 팩스 복제에 대해서는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나, 그 이외의 경우에는 모든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다.
목적들 및 이점들과 함께 동작 구성 및 방법을 도시하는 특정 도시적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계된 상세한 설명을 참조로 할 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유형의 실시예가 가능하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특정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지만, 이러한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한 예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도시되고 개시되는 특정 실시예들로 본 발명이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들 중 일부 도면에서 동일, 유사 또는 대응하는 부분들을 설명하는데 동일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단수 표현은 하나 이상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복수의"라는 용어는 두개 이상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다른"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두번째 이상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포함하는" 및/또는 "가지는"이라는 용어는 포함하는(즉, 개방어)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연결된(coupled)"이라는 용어는 접속의 의미로 정의되며 반드시 직접 그리고 기계적일 필요는 없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도록 설계된 명령어들의 시퀀스로서 정의된다.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가능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서브루틴, 프로시져, 객체 메쏘드, 객체 구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애플렛(applet), 서블릿(servlet), 소스 코드, 객체 코드, 공유 라이브러리/동적 로드 라이브러리 및/또는 컴퓨터 시스템상에서의 실행을 위해 설계된 명령어들의 다른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 "특정 실시예들", "일 실시예"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들에 대하여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살펴볼 때, 실시예와 연계되어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그래서, 본 명세서 전반의 여러 곳에서 이러한 구절의 표현 모두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가르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제한 없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적절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또는" 이라는 용어는 어느 하나 또는 어떠한 조합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A, B 또는 C"는 A; B; C; A 와 B; A 와 C; B 와 C; A, B 및 C 중의 하나를 의미한다. 이러한 정의는 몇몇 방식으로 요소들, 기능들,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조합이 본질적으로 상호 배타적일 때에만 예외일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HDMI는 최근의 A/V 엔터테인먼트 제품들에 대하여 연결 인터페이스로서 선택되고 있다. 특히, HDMI는 다수의 비디오 소스들로부터의 입력들의 수신 및 제어 용도로 많은 HDMI 입력들을 이용해야 하는 HDTV 세트에 일반적이다. 관련 텔레비젼 셋탑 박스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들(DVR - 또는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 - PVR), 게임 콘솔들 등을 홈 엔터테인먼트 장식장에 수납하면서 평면 패널 HDTV 세트들을 벽에 장착하는 것이 보다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텔레비젼 세트(또는 디스플레이; 10)는 가정의 벽에 걸어질 수 있다. 예컨대 A/V 장식장(36)과 같은 또 다른 장소에 위치된 STB(24), DVD 또는 다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28) 및 게임 콘솔(32)로부터의 텔레비젼(10)으로 다수의 내부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전원 접속과 함께 참조부호 40, 44 및 48과 같은 다수의 보기 흉한 선들이 텔레비젼(10)으로의 다른 접속들로서 필요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선을 벽 내부로 내장시키는 것은 선택 방안일 수 있지만, 이러한 방식은 구조(configuration)가 보다 복잡하게 될 수 있으며, 가정 또는 아파트 벽의 구조 변경이 요구된다.
부품 시장의 외부 HDMI 스위치가 이러한 문제에 대한 도움이 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하나의 HDMI 접속은 스위치의 다중 접속으로 분할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소비자에게 추가 비용을 부담시키고, 입력들간 선택을 보다 복잡하게 한다. 많은 텔레비젼 세트에서, 사용자는 텔레비젼 원격 제어를 사용하여 텔레비젼에서 이용가능한 다양한 HDMI 접속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속들(예컨대, 게임, PVR 등)에 대하여 의미를 지닌 이름을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텔레비젼은 일반적으로 공장에 설치된 HDMI 접속들 간의 차이만을 분간할 수 있으며, TV의 외부에서 단일 HDMI 입력으로 전환되는 두 개의 HDMI 커넥터들 간의 차이를 분간할 수는 없다. 일단, 외부 HDMI 스위치가 텔레비젼 HDMI 포트에 접속된다면, 스위치에 의해 제공된 각각의 포트는 텔레비젼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보인다. 따라서, 외부 스위치에 접속된 장치들 간의 전환은 개별 제어(예컨대, 수동으로)를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부합하는 특정 구현 예에 따르면, 텔레비젼의 일부로 설계된 두 개 이상의 HDMI 포트는 TV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탈착되어 쉽게 원격 위치될 수 있어 요구되는 추가 배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어느 한 경우의 TV 메뉴 시스템은 전체 HDMI 입력들 간의 접속 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수의 장치를 TV에 접속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는 HDMI 입력부 자신의 하우징에 위치된 HDMI 입력부를 탈착하여 다른 기기로의 많은 접속을 편리하게 숨길 수 있다. 따라서, HDMI 포트들을 포함하는 하우징은 탈착가능하며, HDMI 포트들에 접속되는 다수의 장치들 근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TV 세트로의 선의 얽힘을 감소시켜, 단일 케이블로 다중 접속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TV 제어를 통하여 HDMI 포트들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의도(ability)가 어떠한 방식으로든 방해받지 않는다.
이는 도 2에 나타나 있으며, 자신의 하우징 내의 탈착가능한 HDMI 블럭(50)은 텔레비젼(20)으로부터 제거되어 있어 단일 접속(54)에 의해 텔레비젼(20)을 STB(24),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28) 및 게임 콘솔(32)(이러한 예에서)로 상호접속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사용자가 쉽게 활용가능한 HDMI 입력들(및/또는 다른 입력 포트들)을 텔레비젼(20)에 제공함으로써, 게임 콘솔들 또는 비디오 카메라들과 같은 장치들의 임시 접속을 직접적으로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 또한 주목해야 한다.
도 3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탈착가능한 HDMI 블럭을 이용하는 텔레비젼(20)의 일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예에서, 텔레비젼(20)은 두 개의 고정 부착된 사용자-측 HDMI 포트 1 및 2(58, 62)를 가지며, 탈착가능한 HDMI 블럭(50)은 세 개의 사용자-측 HDMI 포트 3, 4 및 5(70, 74 및 78)를 가진다. 이러한 구현 예에서, 한 쌍의 3:1 HDMI 스위치 회로들(상용 집적 회로들; 78, 82)은 전체 다섯 개의 사용자 활용가능 포트를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HDMI 스위치 회로(78)에는 텔레비젼 세트에서 사용자에 의한 직접 액세스용 포트들(58 및 62)이 제공되며, 탈착가능한 HDMI 블럭(50)으로의 세번째 출력(66)이 제공된다. 참조부호 78, 82와 같은 HDMI 스위치 회로들에는 복수의 포트들(이러한 예에서는 하나의 텔레비젼 측 포트에 대한 세 개의 사용자-측 포트 중의 하나) 간의 HDP, TDMS 및 DDC 신호의 전환이 제공된다.
탈착가능한 HDMI 블럭(50)에는, 출력(66)이 제2 3:1 HDMI 스위치 회로(82)에 제공된다. 스위치 회로(82)는, 탈착가능한 HDMI 블럭의 프로세서(88)의 제어하에, 텔레비젼(20)에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동안, 탈착가능한 HDMI 블럭(50)에서 활용가능한 세 개의 HDMI 포트(70, 74 및 78)로의 HDMI 출력(66)을 차단시킨다. 분리될 때, AC 또는 DC 개별 전원이 사용되어 전압 조정기(86)에 제공되므로, 개별 "전원 블럭"은 HDMI 출력부의 분리시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안으로서, AC 또는 DC 전원은 제한 없이 텔레비젼으로부터 특정 케이블 시스템을 통하여 공급될 수 있다. 스위치 회로(78) (및 특정 실시예들에서는 스위치 회로(82))는 텔레비젼 세트의 외장부 내에 위치된 전압 조정기(9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전압 조정기(86)는, 탈착가능한 HDMI 블럭 내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텔레비젼 세트의 전원 공급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된다면 불필요할 수 있거나, 탈착가능한 HDMI 블 럭(50)이 텔레비젼 세트(20)로부터 분리될 때에 외부에서 접속될 수 있다.
HDMI 포트(58, 62)에 대한 버스(104, 108)와 같은, 다소의 표준 DHMI 버스는 하기에 상세히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HDMI 커넥터에 신호들을 제공한다. 여기서,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3:1 스위치들을 사용하지만, 임의의 다른 적절한 스위치 구성 또한 사용될 수 있는 것이기에, 이는 제한의 의미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세 개의 탈착가능한 접속 및 두 개의 고정 접속을 갖는 단일의 5:1 스위치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에서는, 전체 HDMI 입력 포트가 탈착가능할 수 있거나 다른 조합(예컨대, 적어도 두 개의 탈착가능한 HDMI 입력 포트 및 탈착 불가능한 텔레비젼 세트의 임의의 수의 HDMI 입력 포트)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 예에서는 마이크로컨트롤러와 같은 프로그램된 프로세서(100)는 주로 I2C(I2C) 버스를 통한 통신을 통하여 HDMI 스위치(78, 82)의 동작을 감독한다. 다른 구현 예들 또한 가능하다. 특정 구현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00)는 스위치 회로를 부팅(boot up)시켜, 포트를 설정하고 EDID를 처리하여 IC2 제어 기능들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제어 또는 HDMI 스위치들에 요구되는 감독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텔레비젼은 CEC 옵션을 포함하는 HDMI 사양에서 규정된 메커니즘에 의해 세개의 탈착된 HDMI 포트 중 어떤 것이 임의의 주어진 시각에 사용되고 있는지를 알고 있다.
임의의 수의 기계적 및 전기적 방안이 HDMI 블럭(50)을 텔레비젼(20)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탈착가능한 HDMI 블럭(50)이 텔레비젼(20)에 접속될 때, 탈착가능한 HDMI 블럭(50)을 텔레비젼(20)에 연결(mate)시키는데 한 세트의 커넥터(92, 94 및 96)가 사용된다. 탈착가능한 HDMI 블럭(50)이 텔레비젼으로부터 분리될 때, 이러한 커넥터 시스템은 커넥터 R(94) 대신에 적절한 케이블에 의해 일부가 대체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인입식 또는 영구식 또는 탈착식 케이블이 텔레비젼(20)과 탈착가능한 HDMI 블럭(50) 간의 모든 접속들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들로부터 벗어남 없이 많은 변형이 가능하며, 본 교시(teaching)를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들에서, 문자 "P"는 "플러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문자 "R"은 "콘센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나, 이와 유사한 목적들을 수행하는 임의의 다른 커넥터 배열도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들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용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로 하여, 탈착가능한 HDMI 블럭을 갖는 텔레비젼 수신 장치의 구현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다. 이러한 예를 보다 분명히 나타내기 위해서는 상용 회로들이 도시되었고, 그들의 상호접속을 보다 상세히 도시하였다. 이러한 도시는 간략화된 도시를 위한 도 3의 도시와 비교할 때, 반전될 수 있어, HDMI 버스들은 이전 도시의 위에서 아래의 넘버링이 반대로 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HDMI 버스를 통과하는 다양한 특정 HDMI 신호들은 HDMI 사양에 기재되어 있어 본 명세서에서는 반복하지 않으나, 논의된 이러한 신호들을 명시하기 위해서 신호들에 대한 표준 생략형을 사용할 것이다.
이러한 구현 예에서는, 상용 SiL9185(캘리포니아주 써니베일의 Silicon Image)와 같은 3:1 HDMI 스위치 장치들이 스위치들(78, 82)에 사용된다. 대략 통상의 방법으로 텔레비젼 수신기와 인터페이스(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참조부호 (112)에서 나타나 있으며 HDMI 커넥터 등이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되는, 도면에 나타낸 HDMI 회로를 사용한다. HDMI 버스(116)는 버스가 캘리포니아주 밀피타스(Milpitas)의 California Micro Devices제 상용 CM 2030 회로와 같은 HDMI 송신기 포트 보호겸 인터페이스 장치(120)를 통과하는 것으로 도시된 회로로 입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장치들은 HDMI 인터페이스들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레벨 시프팅, 절연, 과전류 출력 보호 및 백드라이브(backdrive) 보호와 같은 기능들을 제공한다. HDMI CEC 신호는 이러한 회로에서 인터페이스 장치(120)를 바이패스하도록 점프되어, EEPROM으로의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들은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HDMI 버스(116)는 인터페이스 장치(120)와 HDMI 스위치 회로(78) 사이에서 접속된다. HDMI DDC 신호(124)는 인터럽트되어 도면에서 HDMI 버스(116)의 "X" 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128)를 통하여 통과된다. 스위치(128)는 정상 상태에서는 열려져 있으며 제어 라인(132)을 사용하는 프로세서(100)의 제어 하에서는 닫힌다. 이러한 스위치(128)의 동작은 텔레비젼의 HDMI 인터페이스 하드웨어에서의 하드웨어 DCC 신호(136)를 제어하며, 프로세서(100)으로부터의 대체 신호는 참조부호 (140)로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I2C 버스의 DDC 신호들로부터 EDID 정보를 캡쳐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DDC(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 신호는 프로세서(100)에 의해 수신되며, 여기서 옵션의 고속 동작들 및 향상된 디지털 데이터 채널 데이터가 지 원되도록 처리된다.
나타낸 구현 예에서, 프로세서(100)는 HDMI 스위치 회로(78)의 I2C 버스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I2C 버스(144)를 사용하여 HDMI 스위치 회로(78)의 동작을 관리하도록 동작한다. 본 구현 예에서는, 버스들이 포트 보호겸 인터페이스 회로들(144, 148)(예컨대, 캘리포니아주 밀피타스의 California Micro Devices제 상용 CM2021 장치들을 이용하여)에 각각 전달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HDMI 버스(104, 108)가 사용자-측 포트들(58, 62)에 직접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경우에, CEC 라인들은 앞서 설명된 동일한 이유로 이들 장치들(144, 148)을 우회하여 점프된다.
스위치(78)로부터의 세번째 HDMI 버스는 케이블 또는 커넥터들을 통하여 탈착가능한 HDMI 블럭을 구동시킨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도면에서의 명확성을 위해, 탈착가능한 HDMI 블럭의 커넥터들(92, 96)의 한 측 또는 양측에 필요하다면, 포트 보호겸 인터페이스 회로들이 커넥터와 HDMI 스위치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탈착가능한 HDMI 블럭(50) 내에는, 스위치(82)가 HDMI 버스(66)를 수신하여 이러한 버스를 세개의 HDMI 버스 출력 버스들(154, 158 및 162) 중의 하나로 절환하여, 궁극적으로는 사용자-측 포트들(70, 74 및 78)에 접속시킨다. 각각의 버스(154, 158 및 162)는 본 구현 예에서의 앞서의 포트 보호겸 인터페이스 회로들에서와 같이 포트 보호겸 인터페이스 회로(166, 170 및 174)에 전달되고 CEC 라인은 점프된다. HDMI 스위치 회로(82)는 프로세서(100)가 HDMI 스위치(78)를 제어하는 방식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I2C 버스(110)를 통하여 프로세서(88)에 의해 제어된다. 탈착가능한 HDMI 블럭 외측으로부터의 CEC 라인은 커넥터(92, 94 및 96)를 통해 스위치(82)에 이르게 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회로들(166, 170 및 174)을 바이패스함으로써 전체 출력 버스들에 이른다.
다른 구현 예에서는, 제거가능한 블럭이 도 4의 일부로서 참조부호 112와 96 상이에 형성되어, 세개의 탈착가능한 HDMI 포트 연결(세번째 포트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적절한 회로 변경부들을 가짐)을 제공할 수 있다. 적절한 수의 HDMI 포트들을 지닌 다른 배열들은, 예컨대 4:1 스위치 배열 또는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들을 벗어나지 않는 다른 조합들을 사용하여 쉽게 생각해낼 수 있다. 도 5는 CEC(180) 상호접속, 및 명확성을 위해 부분만을 나타낸 프로세서 서포트 회로를 도시하는 현재 구현 예의 보다 완전한 묘사를 제공한다. 이러한 도면에서, CEC 라인은 연속적으로 인터페이스(112)와 보호 회로(120)로부터 HDMI 스위치(78)의 CEC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다음, 커넥터(96, 94, 92)를 통하여 통과됨으로서,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82)(HDMI 스위치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세개의 HDMI 버스(154, 158 및 162)와 각각의 사용자-측 포트들에 이르도록 CEC 라인이 통과됨)에 이르게된다. 프로세서(100)로부터의 I2C 버스는 또한 스위치(78)의 I2C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하나, 본 구현 예에서는 IC 78에 대한 I2C 제어가 모니터 제어를 위한 밴더 유니크 코드들(vendor unique codes)로 실행되기 때문에, I2C 버스를 커넥터들(96, 94 및 92)을 통하여 스위치(78)에 접속시킬 필요가 없다. 그러나, SiL9185는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들을 실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상용의 하나 의 스위치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의미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프로세서(88, 100)는, 예컨대 캘리포니아주의 산호세의 Atmel 사의 AT89C51ID2 마이크로컨트롤러와 같은 상용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이와 유사한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또한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 저장 능력이 제공되도록 EEPROM(186)(또한 EE PROM 또는 E2PROM 이라고도 함)과 같은 외부 메모리에 더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128)를 제어하는 제어 라인(132)은 앞서 언급된 Atmel 마이크로컨트롤러로부터의 GPIO 신호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 생성 DDC 신호(140)는 캘리포니아주 산타 클라라(Santa Clara)의 Catalyst Semiconductor 사로부터의 상용 CAT 24C28 EEPROM과 같은 EEPROM 회로(190)에 전달될 수 있다.
탈착가능한 HDMI 블럭(50) 내에서는, 스위치(82)가 EEPROM(186)에 쉽게 접근할 수 없다. 일 구현 예에서, 이러한 문제점은 탈착가능한 HDMI 블럭(50)의 프로세서(88) (관련된 EEPROM(148)을 가짐)를 사용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 예에서, 프로세서(88)는 스위치(78)의 DDC 신호(146)에 연결된 I2C 버스를 통해 EEPROM(148)에 연결되어 시뮬레이트된 EDID를 생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프로세서(88)는, GPIO 신호들 및 EDID 데이터 전송을 통하여 스위치(82)의 제어를 관리하므로, 프로세서(100)가 착탈가능한 HDMI 블럭(50)의 스위치(82)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 도 6을 참조하면, 세개의 HDMI 스위치 입력 포트(70, 74 및 78) 간의 전환을 제어하는 이전 예들에서와 같이, 착탈가능한 HDMI 블럭(50)이 3:1 HDMI 스위치(82)를 포함하는 단순화된 구현 예가 제시된다(CEC 제어 및 입력 보호 회로들의 전체 상세는 도시의 편이를 위해 생략함). 이러한 예에서, 디스플레이 수신기는 I2C 버스 및 GPIO 신호를 통하여 프로세서(200)(관련된 지원 회로를 지님)의 제어 하에서 동작되며, 프로세서(200)는 착탈가능한 HDMI 블럭의 외부에 위치된다. 프로세서(250)는 HDMI 블럭 내에 위치되며, EEPROM(254)과 협동하여 레지스터 설정, EDID 데이터 전송 및 이러한 기능들을 처리한다. 프로세서(200)는 I2C 버스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의 수신기(204)와 인터페이스하며, 신호 TMDS, HDP, DDC, CEC 및 5 볼트 전압은 커넥터 장치(92, 94 및 96)를 통해 수신기(204)와 착탈가능한 HDMI 블럭(50) 사이에서 수수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착탈가능한 HDMI 블럭(50)이 텔레비젼 수신 장치로부터 분리될 때에도, 텔레비젼 수신 장치는 여전히 다양한(이러한 예에서는 세개) HDMI 입력들을 구별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중단 없이 텔레비젼 수신기에 대한 원격 명령을 통하여 입력 소스의 선택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전압 조정기(86)가 제공되며, 전압 조정기는 앞서 설명된 바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CEC 신호는, 커넥터(92, 94 및 96)를 통해 스위치(82)의 CEC 인터페이스에 전달되며, CEC 인터페이스를 따라 HDMI 입력 포트들(70, 74 및 78)에 전달된다. 프로세서(250)는 I2C 버스와 GPIO 신호 모두를 통하여 스위치(82)의 CEC:GPIO 인터페이스에서 인터페이스된다. 탈착가능한 HDMI 블럭이 분리되면, 프로세서(200)는, 커넥터를 통하여 스위치 회로(82)의 제어를 위해 프로세서(250)에 전달되는 CEC 신호를 통해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 블럭(50)을 제어한다.
스위치(82)와 프로세서(250) 간의 GPIO 상호접속은 CEC 제어 명령 송신 및 수신에 사용된다. 앞서 설명된 기능은 본래 텔레비젼 세트에 사용될 목적이었지만, 텔레비젼 수신기를 가지는 임의의 장치, 또는 STB 또는 A/V 스위치와 같은 다수의 HDMI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장치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HDMI 신호의 관점에서 언급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것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착탈가능한 HDMI 스위치 장치는, 포트들 이외에, HDMI, S-video, 아날로그 포맷, 광학(optical) 또는 다른 비-HDMI 포맷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특수 케이블과 홈 엔터테인먼트 환경의 통신에 유용한 커넥터들을 이용하는 텔레비젼 수신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포맷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이 HDMI 접속들의 사용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다른 접속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특정 구현 예에 따르면, 텔레비젼 장치는 실질적으로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 내에 위치하는 텔레비젼 수신기를 갖는다.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가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된다. 착탈가능한 HDMI 스위치가 HDMI 인터페이스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며, HDMI 스위치에는 적어도 두개의 사용자-측 HDMI 버스가 연결되어 있다.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는, 적어도 두개의 사용자-측 HDMI 커넥터 포트가 노출되는 HDMI 스위치 하우징에 위치한다. HDMI 스위치 하우징이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부착시키거나, HDMI 스위치 하우징을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로부터 분리시켜 HDMI 스위치 하우징을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로부터 원격 위치시킴으로써 HDMI 커넥터 포트들이 텔레비젼 장치에 의해 선택가능하면서도 원격으로 액세스 가능하게 끔, 착탈가능한 HDMI 스위치 하우징은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탈착가능하게 접속된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케이블은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를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연결시킨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케이블은 HDMI 케이블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HDMI 스위치는, 텔레비젼 수신기 하우징에 위치하고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 외부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측 HDMI 커넥터 포트를 가지는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된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HDMI 스위치는 제2 HDMI 포트를 가지며, 이러한 제2 HDMI 포트는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에 연결되어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가 제2 HDMI 포트를 통하여 텔레비젼 수신기의 HDMI 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텔레비젼 장치 외장부 내에 위치하며, 그 프로세서가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HDMI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I2C 버스의 DDC 신호들로부터 EDID 정보를 캡쳐하여 전송한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된 HDMI 인터페이스와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HDMI 스위치 사이에서 DDC 신호들을 직접 전달하거나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HDMI 스위치와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HDMI 스위치 사이에서 처리된 HDMI DDC 신호들을 전달하는 스위치의 상태를 제어한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비-HDMI 커넥터가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 하우징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하도록 노출되어 있으며, 비-HDMI 커넥터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텔레비젼 수신기에 동작적으로 연결된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텔레비젼 장치는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 내에 실질적 으로 위치하는 텔레비젼 수신기를 갖는다.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가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된다. 착탈가능한 HDMI 스위치는 HDMI 인터페이스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며, HDMI 스위치에는 HDMI 스위치에 연결된 적어도 두개의 사용자-측 HDMI 버스가 연결되어 있다. 착탈가능한 HDMI 스위치는 HDMI 스위치 하우징에 위치하며, 이 HDMI 스위치 하우징에는 적어도 두개의 사용자-측 HDMI 커넥터 포트가 노출되어 있다. HDMI 스위치 하우징이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부착시키거나, HDMI 스위치 하우징을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로부터 분리시켜 HDMI 스위치 하우징을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 원격 위치시킴으로써 HDMI 커넥터 포트들이 텔레비젼 장치에 의해 선택가능하면서도 원격으로 액세스 가능하게 끔,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 하우징은 탈착가능하게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접속된다. HDMI 스위치 하우징이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로부터 분리되면, 케이블은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를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연결시킨다. HDMI 스위치는 텔레비젼 하우징에 위치하는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되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의 외부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측 HDMI 커넥터 포트를 가진다. 프로세서는 텔레비젼 장치 외장부 내에 위치하며, 그 프로세서가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HDMI 스위치의 프로세서 제어 동작을 제어한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케이블은 HDMI 케이블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HDMI 스위치는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는, 착탈가능한 HDMI 스위치에 연결됨으로서 제2 HDMI 포트를 통하여 착탈가능한 HDMI 스위치를 텔레비젼 수신기의 HDMI 인터페이스에 연결시키는 제2 HDMI 포트를 가진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I2C 버스의 DDC 신호들로부터 EDID 정보를 캡쳐하여 전송한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된 HDMI 인터페이스와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HDMI 스위치 사이에서 DDC 신호를 직접 전달하거나,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HDMI 스위치와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HDMI 스위치 사이에서 처리된 HDMI DDC 신호들을 전달하는 스위치의 상태를 제어한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비-HDMI 커넥터는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어 사용자 액세스용으로 노출되어 있고, 비-HDMI 커넥터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텔레비젼 수신기에 동작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구현 예들에서, 텔레비젼 장치는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텔레비젼 수신기를 가진다. 인터페이스는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되어 복수의 입력 포트로부터의 입력들을 수신한다. 탈착가능한 포트 스위치는 인터페이스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며, 포트 스위치에는 적어도 두개의 사용자-측 포트가 연결된다. 포트 스위치 하우징이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서 사용되도록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부착시키거나, 포트 스위치 하우징을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로부터 분리시켜 포트 스위치 하우징을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로부터 원격 위치시킴으로써 커넥터 포트들이 텔레비젼 장치에 의해 선택가능하면서도 원격으로 액세스가능하게 끔, 착탈가능한 포트 스위치 하우징은 텔레비젼 수신기 하우징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케이블은 탈착가능한 포트 스위치를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로 연결시킨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의 포트 스위치는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되며, 텔레비젼 수신기는 텔레비젼 수신기 하우징에 위치하며, 또한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의 외측으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측 커넥터 포트를 가진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포트 스위치는 제2 포트를 가지며, 이러한 제2 포트는 탈착가능한 포트 스위치에 연결되어 탈착가능한 포트 스위치를 제2 포트를 통하여 텔레비젼 수신기의 포트 인터페이스에 연결시킨다. 특정 구현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텔레비젼 장치 외장부 내에 위치하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포트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당업자라면, 상기 교시를 고려할 때, 특정의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들이 프로그램된 프로세서의 사용을 기초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이 특정 목적의 하드웨어 및/또는 전용 프로세서들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등가물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들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범용 컴퓨터들,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컴퓨터, 마이크로컨트롤러들, 광학 컴퓨터들, 아날로그 컴퓨터들, 전용 프로세서들, 애플리케이션 특정 회로 및/또는 전용 배선 논리 회로(dedicated hard wired logic)가 대체의 등가 실시예들을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들은 임의의 적절한 전자적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앞서 순서도 형태로 대략적으로 설명된 프로그래밍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그램된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교시를 고려하여 앞서 설명된 프로세서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벗어남 없이 임의의 수의 변형들 및 많은 적절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벗어남 없이, 실행되는 특정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며, 추가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거나 동작들이 삭제될 수 있다. 에러 트래핑(error trapping)을 추가 및/또는 향상시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로부터 벗어남 없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정보 프레젠테이션에 변형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들은 계획된 것이며 등가의 것으로 고려된다.
특정 도시적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많은 대체들, 변경들, 치환들 및 변형들은 이러한 상세한 설명의 견지로 볼 때,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부합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부합하는 탈착가능한 HDMI 블럭을 가지는 텔레비젼을 포함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부합하는 탈착가능한 HDMI 블럭을 가지는 텔레비젼 수신기의 예 구현의 관련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부합하는 탈착가능한 HDMI 블럭을 가지는 텔레비젼 수신기의 예 구현을 나타내는 보다 상세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부합하는 탈착가능한 HDMI 블럭 회로 예의 다른 부분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부합하는 탈착가능한 HDMI 블럭의 다른 구현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텔레비젼
28: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32: 게임 콘솔
50: HDMI 블럭
58, 62: HDMI 포트
70, 74 및 78: HDMI 포트
86: 전압 조정기
120: 인터페이스 장치
128: 스위치

Claims (20)

  1. 텔레비젼 장치로서,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되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및
    상기 HDMI 인터페이스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두개의 사용자-측 HDMI 버스가 접속되어 있는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
    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는, 적어도 두개의 사용자-측 HDMI 커넥터 포트가 노출되어 있는 HDMI 스위치 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HDMI 스위치 하우징이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부착시키거나, 상기 HDMI 스위치 하우징을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HDMI 스위치 하우징을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로부터 원격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HDMI 커넥터 포트들이 상기 텔레비젼 장치에 의해 선택가능하면서도 원격으로 액세스 가능하게 끔, 상기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 하우징은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탈착가능하게 접속되는 텔레비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를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연결시키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텔레비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HDMI 케이블을 포함하는 텔레비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의 외부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측 HDMI 커넥터 포트를 가지는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되는 HDMI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텔레비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HDMI 스위치는 상기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에 연결된 제2 HDMI 포트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2 HDMI 포트를 통하여 상기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를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의 상기 HDMI 인터페이스에 연결시키는 텔레비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 내에 위치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HDMI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텔레비젼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I2C 버스의 DDC 신호들로부터 EDID 정보를 캡쳐하여 전송하는 텔레비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되는 상기 HDMI 인터페이스와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HDMI 스위치 사이에서 상기 DDC 신호들을 직접 통과시키거나,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HDMI 스위치와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HDMI 스위치 사이에서 처리된 HDMI DDC 신호들을 전달하는 스위치의 상태를 제어하는 텔레비젼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 하우징에 부착되며 사용자 액세스용으로 노출되어 있는 비-HDMI 커넥터(non-HDMI connector)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HDMI 커넥터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텔레비젼 장치.
  10. 텔레비젼 장치로서,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되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및
    상기 HDMI 인터페이스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두개의 사용자-측 HDMI 버스가 접속되어 있는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
    HDMI 스위치 하우징이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를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연결시키는 케이블;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의 외부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측 HDMI 커넥터 포트를 가지는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되는 HDMI 스위치; 및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 내에 위치하며,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HDMI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는 적어도 두개의 사용자-측 HDMI 커넥터 포트가 노출되어 있는 HDMI 스위치 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HDMI 스위치 하우징이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부착시키거나, 상기 HDMI 스위치 하우징을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HDMI 스위치 하우징을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로부터 원격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HDMI 커넥터 포트들이 상기 텔레비젼 장치에 의해 선택가능하면서도 원격으로 액세스 가능하게 끔, 상기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 하우징은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탈착가능하게 접속되는 텔레비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HDMI 케이블을 포함하는 텔레비젼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HDMI 스위치는 상기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에 연결된 제2 HDMI 포트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2 HDMI 포트를 통하여 상기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를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의 상기 HDMI 인터페이스에 연결시키는 텔레비젼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I2C 버스의 DDC 신호들로부터 EDID 정보를 캡쳐하여 전송하는 텔레비젼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되는 상기 HDMI 인터페이스와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HDMI 스위치 사이에서 상기 DDC 신호들을 직접 통과시키거나,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HDMI 스위치와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HDMI 스위치 사이에서 처리된 HDMI DDC 신호들을 전달하는 스위치의 상태를 제어하는 텔레비젼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가능한 HDMI 스위치 하우징에 부착되며 사용자 액세스용으로 노출되어 있는 비-HDMI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HDMI 커넥터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텔레비젼 장치.
  16. 텔레비젼 장치로서,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되어 복수의 입력 포트로부터의 입력들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두개의 사용자-측 포트가 접속되어 있는 탈착가능한 포트 스위치
    를 포함하며,
    상기 포트 스위치 하우징이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부착시키거나, 상기 포트 스위치 하우징을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포트 스위치 하우징을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로부터 원격 위치시킴으로써 커넥터 포트들이 상기 텔레비젼 장치에 의해 선택가능하면서도 원격으로 액세스 가능하게 끔, 상기 탈착가능한 포트 스위치 하우징은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탈착가능하게 접속되는 텔레비젼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가능한 포트 스위치를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연결시키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텔레비젼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의 외부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측 커넥터 포트를 가지는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에 연결되는 포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텔레비젼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포트 스위치는 상기 탈착가능한 포트 스위치에 연결된 제2 포트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2 포트를 통하여 상기 착탈가능한 포트 스위치를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의 상기 포트 인터페이스에 연결시키는 텔레비젼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장치 외장부 내에 위치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 외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포트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텔레비젼 장치.
KR1020090077845A 2008-08-22 2009-08-21 탈착가능한 hdmi 입력들을 가지는 dtv KR101343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29,375 2008-08-22
US12/229,375 US8860893B2 (en) 2008-08-22 2008-08-22 DTV with detachable HDMI inpu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784A true KR20100023784A (ko) 2010-03-04
KR101343247B1 KR101343247B1 (ko) 2013-12-18

Family

ID=4169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845A KR101343247B1 (ko) 2008-08-22 2009-08-21 탈착가능한 hdmi 입력들을 가지는 dtv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60893B2 (ko)
JP (1) JP5445927B2 (ko)
KR (1) KR101343247B1 (ko)
CN (1) CN20150925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9400B2 (en) * 2006-09-05 2014-02-2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of a portable device
US8201210B2 (en) 2008-09-04 2012-06-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a media processor
US8321906B2 (en) * 2008-09-11 2012-11-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a transcoder
US8286210B2 (en) * 2008-11-13 2012-10-09 Sony Corporation HDMI switching technology for the coupling of consumer electronic control and/or non-consumer electronic control devices in an audio/visual environment
US20110013772A1 (en) * 2009-07-20 2011-01-20 Transwit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Switching Between Source Multimedia Devices
US20110273632A1 (en) * 2010-05-04 2011-11-10 Casey Michael B Video display with detachable input/output console
JP4897073B2 (ja) * 2010-06-30 2012-03-14 株式会社東芝 電源供給回路
US9086995B2 (en) * 2012-10-04 2015-07-2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decreasing presentation latency
CN103024506B (zh) * 2012-12-19 2016-09-28 北京赛科世纪数码科技有限公司 电路板、组合式一体机
US10194071B2 (en) 2015-04-03 2019-01-29 Red.Com, Llc Modular motion camera
KR20190026972A (ko) 2015-04-03 2019-03-13 레드.컴, 엘엘씨 모듈식 모션 카메라
US9483982B1 (en) * 2015-05-05 2016-11-01 Dreamscreen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television backlignting
US20180308416A1 (en) * 2017-04-24 2018-10-25 HKC Corporation Limite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68884A (ko) 2018-12-06 2020-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30225B2 (en) * 2021-06-28 2024-03-12 Lenbrook Industries Limited Audio video receiver with simultaneous multizone 8K video routi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0399A (ja) * 1992-03-12 1993-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セレクタ外付け拡張装置
US7200683B1 (en) 1999-08-17 2007-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communication and control in a home network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JP2001186423A (ja) * 1999-12-27 2001-07-06 Toshiba Corp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を用いたtv視聴、録画、再生装置及びpcカード電源供給方法並びにpcカード
CN100521748C (zh) * 2001-04-12 2009-07-29 索尼公司 信号处理设备、收纳架和连接设备
JP2007110388A (ja) 2005-10-13 2007-04-26 Funai Electric Co Ltd 連係動作プログラム及び接続機器
JP2007256541A (ja) 2006-03-22 2007-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US20070298656A1 (en) 2006-06-22 2007-12-27 Good Mind Industries Co., Ltd. Switch apparatus for multiple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ources
JP4762075B2 (ja) * 2006-07-26 2011-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2008067267A (ja) 2006-09-11 2008-03-21 Sharp Corp 表示装置
JP4171927B2 (ja) * 2006-09-19 2008-10-29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パネル、プラズマ表示パネルおよびワイド型液晶テレビジョン
US20080084834A1 (en) 2006-10-09 2008-04-10 Zbigniew Stanek Multiplexed connection interface for multimedia serial data transmission
KR20080058740A (ko) * 2006-12-22 200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시간 동기화 방법
KR20080064222A (ko) 2007-01-04 200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출력 시스템
JP4289397B2 (ja) * 2007-01-04 2009-07-01 船井電機株式会社 受信装置
WO2008086057A1 (en) * 2007-01-05 2008-07-17 Radiospire Network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multiple audio/video sources to an audio/video sink
JP2008301232A (ja) * 2007-05-31 2008-12-11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および機器制御方法
US20090015723A1 (en) * 2007-06-18 2009-01-15 Sony Corporation Of Japan Media switching device
US20100026912A1 (en) * 2008-07-31 2010-02-04 Solomon Ho Multifunction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509256U (zh) 2010-06-16
US8860893B2 (en) 2014-10-14
JP5445927B2 (ja) 2014-03-19
KR101343247B1 (ko) 2013-12-18
US20100050228A1 (en) 2010-02-25
JP2010050983A (ja)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247B1 (ko) 탈착가능한 hdmi 입력들을 가지는 dtv
RU2483461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рограммируемым мультимедийным контроллером
EP2291998B1 (en) Touch sensitive video signal display for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RU2427096C1 (ru) Система отображ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US20070220150A1 (en) Source Switching Method for Multimedia Interface
US9357257B2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dia data replay system
JP2008054300A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US8793415B2 (en) Device control apparatus,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initiating control of an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JP2009060204A (ja) ソース/シンク兼用機器
JP4799337B2 (ja) 表示装置、av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た表示システム
JP4917452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US20110242415A1 (en) Video-audio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audio processing method
US9508311B2 (en) Display apparatus, connectable external peripheral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US20130169653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0698275B1 (ko) 영상 시스템
US11930225B2 (en) Audio video receiver with simultaneous multizone 8K video routing
KR20180077212A (ko) 텔레비전 메인 보드 장치, 텔레비전 및 텔레비전 시스템
WO2010109598A1 (ja) 映像表示装置
JP2009302893A (ja) 信号入出力装置及び信号伝送システム
JP2005017817A (ja) 映像信号供給装置と映像表示端末装置及び当該装置における信号入力端子選択方法
KR10128832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osd 제공 방법
KR20080064222A (ko) 영상출력 시스템
KR20080008131A (ko) 네트워크 기반 에이브이 시스템
KR20080024308A (ko) 모듈 장착이 가능한 티브이 시스템
KR20060008773A (ko) 홈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한 셋톱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