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3367A - 부가기능을 갖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부가기능을 갖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3367A
KR20100023367A KR1020080082086A KR20080082086A KR20100023367A KR 20100023367 A KR20100023367 A KR 20100023367A KR 1020080082086 A KR1020080082086 A KR 1020080082086A KR 20080082086 A KR20080082086 A KR 20080082086A KR 20100023367 A KR20100023367 A KR 20100023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crane
power
bucket
hydraulic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교
Original Assignee
김봉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교 filed Critical 김봉교
Priority to KR1020080082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3367A/ko
Publication of KR20100023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3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4Tine gr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2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mounted on, or guided by, j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원은 추가기능을 갖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종 건설현장이나 작업장에 설치되는 타워크레인의 이동 후크에 버켓을 연결,설치하여 타워크레인의 케빈에서 버켓을 임의대로 작동,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예를 들면 작업대상물로 폐기물이나 골재나 토사석 등을 별도의 상,하차 공정이 없이도 손쉽게 근거리 가공처리 장소로 이송하거나 차량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건설장비 및 운반기계 사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해결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한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작업물량 운반 및 이동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T)에 추가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타워크레인(T)의 메인지브를 따라 전, 후진하는 트롤리에 와이어로 연결되어 승,하강하는 이동후크에 유압장치를 구비시켜 케빈에서 송,수신에 의한 운전조작에 의해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작동되도록 하는 버켓(90)을 구비하여 타워크레인의 이송 편리성을 활용하여 폐기물이나 토사석 등의 작업물량을 간편히 근거리의 가공처리 장소로 이송 또는 상차 시키는 이동수단으로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토사석 등을 이송하는데 따르는 인건비, 운반차량의 유가비용 등의 제반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Figure P1020080082086
타워크레인, 버켓, 유압장치

Description

부가기능을 갖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방법 및 그 장치{moving method and the apparatus using tower crane having additional function}
타워크레인(tower crane)은 항만 하역용이나 고층 건축용으로 발달하여 조선소의 선대와 안벽 등에 설치하고, 초고층 빌딩이나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장비로서 꼭대기 부분의 모양에 따라 지브 형과 해머 헤드형으로 나누며, 지브(팔 모양으로 돌출된 것)형은 탑 꼭대기에 회전 프레임을 설치하고 지브를 붙여 회전운동이나 트롤리(trolley)의 직선운동으로써 화물을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하고 해머 헤드형은 탑 꼭대기에 선회 프레임을 설치하고 여기에 좌우 평형하도록 붐(boom)을 장치한 것으로서 하중의 이동이 수평으로 이루어지도록 사용된다.
본원은 기존의 타워크레인 구조에 추가기능을 부여하여 산업현장에 유용하게 활용하고자 하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각종 건설현장이나 작업장에 설치되는 타워크레인의 이동후크에 버켓을 연결,설치하고 타워크레인의 케빈에서 버켓을 임의대로 작동,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예를 들면 작업대상물로 폐기물이나 골재나 토사석 등을 별도의 상,하차 공정이 없이도 손쉽게 근거리 가공처리 장소로 이동시키거나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건설장비 및 운반기계 사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해결하고 작업의 효율성 을 높일 수 있게 한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작업물량 운반 및 이동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개선구조의 추가기능을 갖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하는 경우, 언덕바지 등의 좁은 공간에서 폐기물이나 골재 등의 작업대상물을 운반 및 이송하기 위하여 좁은 공간에서 운반차량이 서로 피해가며 왔다 갔다 하면서 먼지를 일으키며 번거롭게 운반이나 이동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본원의 개선구조를 갖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편하고 쉽게 상,하차시키거나 또는 근거리의 가공처리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건설기계나 차량의 운반, 이동, 이들 기계를 움직이기 위한 인건비, 유류 등의 사용에 따른 작업의 비효율성 문제점을 해결하고 작업의 안전성을 높이면서 고유가 시대에 유류 및 인건비의 절약으로 경제적 실익도 얻고 생산성 증가도 가져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시작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 처리장이나 석산 개발현장에서 폐기물이나 토사석을 가공 처리하는 장소에 운반하기 위해서는 상차를 할 수 있는 포크레인과 이를 운반할 수 있는 운반차량, 페이로다 등 다수의 건설기계에 의존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바, 다수의 건설기계를 사용함에 따른 인건비를 포함하여 유류 등의 운행비용이 상당히 부담이 되었고 더욱이 상기한 건설기계는 경유를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어 고유가로 인한 운행비용이 더욱 가중되어 막대한 비용의 지출로 경제성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다수의 별개의 건설기계에 의존함에 따라 작업이 번거롭고 그에 따른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 다른 종래방법으로 포크레인에 케이블을 통해 전기를 공급하여 작동되도록 하여 높은 유가에 대응하려고 하였지만 이는 작업반경의 협소함과 경유로 운행되는 포크레인을 전기로 운행되도록 개조하는 데는 많은 비용부담을 필요로하게 됨으로 인하여 현재의 높은 고유가 시대에 대책이 될 수 없는 한계점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장에 설치되는 타워크레인의 이동 후크에 유압장치와 버켓을 연결하여 타워크레인의 케빈에서 버켓을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폐기물이나 토사석을 간편히 상차 또는 근거리의 가공처리 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건설기계 사용에 따른 부담을 해소하고 작업의 효율성, 생산성 증가 및 경제적 이익을 가져올 수 있게 한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작업대상물 이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수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원은 타워크레인에 추가기능을 마련하여 작업대상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수단은,
타워크레인의 메인지브를 따라 전,후진하는 트롤리에 와이어로 연결되어 승,하강하는 이동후크에 구비되어 전원공급수단에 의해 전원이 제공되는 유압장치;
상기 이동후크에 걸어져 유압장치에 의하여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어 작동되 도록 하는 버켓을 구비하여 타워크레인의 케빈에서 운전조작을 송,수신에 의한 신호에 의하여 유압장치를 작동시키어 버켓의 동작으로 작업대상물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작업대상물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실시형태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 기재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한다.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의 이동 후크에 버켓을 연결하여 타워크레인의 케빈에서 버켓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타워크레인의 이송 편리성을 도모하고 폐기물이나 토사석을 간편히 근거리의 가공처리 장소로 이송 또는 상차 할 수 있도록 제공됨으로 종래의 토사석 등을 이송하는데 따르는 인건비, 운반차량의 관리 및 유가비용 등의 제반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설기계의 운행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대기환경의 개선 및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실시양태를 기재하기에 앞서,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를 기재한 것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타워크레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전원연결수단을 보인 일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트롤리에 이동후크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
본원의 기술사상에 적용된 타워크레인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타워크레인(T)에서 메인지브(10)를 따라 전,후진하는 트롤리(20)에 와이어(22)로 연결되어 승,하강하는 이동후크(60)에 구비되어 전원공급수단(30)에 의하여 전원이 제공되면서 케빈(80)에서 운전조작에 의해 송,수신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압공급수단(70)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후크(60)에 걸어져 유압장치(70)에 의하여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어 작동되도록 하는 버켓(90)을 구비하여 타워크레인(T)에 의하여 작업대상물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구성을 갖는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타워크레인(T)의 메인지브(10)를 따라 전,후진하는 트롤리(20)의 한 측으로 케이블 릴(30)을 구비하여 케이블 릴(30)에 감긴 전원케이블(31)에 메인분전함(34)의 전원을 제공하도록 하는 전원연결수단(32)을 구성하며, 상기 메인분전함(34)은 카운트지브(10')의 후방에 구비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전원연결수단(32)은 메인지브(10)의 어느 한 측에 길이방향으로 메인분전함(34)으로부터 전원이 연결되는 접속전선(32a)을 구비하고 이 접속전선(32a)에 접속되는 전원 접속편(33)을 트롤리(20)에 연결하여 전원 접속편(33)을 통해 케이블 릴(30)에 감긴 전원케이블(31)에 접속되도록 연결된다.
상기에서 각 전원연결수단(32)을 구성함에 있어 타워크레인의 본체에 전원의 누전을 차단하도록 절연처리되며 이러한 절연처리는 통상의 기술이어서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는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트롤리(20)에 와이어(22)로 연결되어 승,하강하는 이동후크(60)의 지지프레임(61)상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 릴(30)에 감긴 전원케이블(31)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도록 한 유압장치(70)를 구비한다.
상기 유압장치는(70)는 외부를 커버하는 함체(72)의 내부에 유압모터(71)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유압모터(71)에 상기 케이블 릴(30)에 권취된 전원케이블(31a)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는 이동후크(60)가 하강하면 당기는 힘에 의하여 케이블 릴(30)에 권취된 전선케이블(31a)이 풀리어 함께 내려가고 이동후크(60)가 상승하면 케이블 릴(30)에 구비하고 있는 모터에 의하여 권취되어 전선케이블(31a)이 감기게 되므로 이동후크(60)에 구비된 유압장치(70)의 유압모터(7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유압장치(70)가 내입되는 함체(72)의 상부에 타워크레인(T)의 케 빈(80)에서 운전조작의 신호를 무선으로 신호를 보내어 유압장치(70)를 작동할 수 있도록 무선수신기(73)가 부착된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이는 케빈(80)에 구비되는 송신부와 무선수신기에 포함하는 수신부에 대하여는 관용기술 수단에 의한 것이어서 이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는다.
도 4는 버켓이 이동후크에 걸어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로서,
상기 이동후크(60)에 걸어지도록 상단에 걸이공을 형성하면서 유압장치(70)로부터 유압라인의 연결로 유압실린더(91)에 의해 버켓지지축(92)을 벌리거나 오무려서 내용물을 잡고 이송하거나 투하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는 버켓(90)을 구비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버켓(90)은 이송되는 처리물의 내용과 크기에 따라 적합한 용도의 것으로 교환되거나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예를들면 세골재나 토사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버켓지지축(92)에 고무판 등의 지지판을 가로나 세로로 맞대어 세골재나 토사를 감싸도록 유압실린더(91)를 팽창시켜 내용물을 수용하고 효율적으로 이동지점까지 이동시킨 후 유압실린더(91)를 수축시켜 버켓지지축(92)을 벌어지게 하여 내용물을 이동을 원하는 지점에 투하시킬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그 작동상태를 설명하여 보면,
타워크레인(T)의 통상 작동방법에 따라 캐빈(80)에서 운전자가 조정에 의하여 이동후크(60)가 와이어(22)로 연결된 트롤리(20)가 메인지브(10)를 따라 전,후진할 때 메인지브(10)의 한 측에 구비된 전원 접속편(33)이 메인지브(10)의 한 측 에 위치하여 카운트지브(10')에 구비하는 메인분전함(34)으로부터 전원이 연결되는 접속전선(32a)에 항시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접속전선(32a)에 접촉되는 전원 접속편(33)은 케이블 릴(30)에 감긴 전원케이블(31a)에 연결되어 메인분전함(34)의 전원이 전원케이블(31a)에 연결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전원케이블(31a)은 이동후크(60)에 구비된 유압장치(70)에 연결되어 유압장치(70)의 유압모터(70a)에 전원을 제공하게 되고, 이동후크(60)를 하강시키게 되면 이동후크(60)의 당기는 힘에 의하여 케이블 릴(30)에 권취된 전선케이블(31a)이 풀리어 함께 내려가고, 이동후크(60)가 상승하면 케이블 릴(30)에 구비하고 있는 모터에 의하여 권취되어 전선케이블(31a)이 이동후크(60)의 승,하강에 따라 풀리거나 감기게 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캐빈(80)에서 운전자가 운전 조작신호를 송신부에 의하여 발신하게 되면 유압장치(70)에 구비된 수신부인 무선수신기(73)가 발신내용을 수신하여 유압장치(70)를 작동시키면 유압장치(70)에 갖는 콘트롤러에 의하여 유압장치(70)의 동작으로 버켓(90)의 버켓지지축(92)을 팽창시키거나 수축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유압실린더(91)를 작동시킴으로 버켓(90)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골재 등의 작업대상물을 집거나 놓게 되는 조작을 육안으로 보면서 골재 등을 집어 메인지브(10)의 회전에 의하여 근거리의 가공 처리장소로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좁은 공간이나 언덕바지에서 많은 운반차량이 복잡하게 오고 갈 것 없이 메인지브(10)의 회전거리 범위에서 방향을 자유롭게 움직이며 골재나 토사의 운반이나 상,하차 등의 이동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유압장치(70)의 한 측에 유압모터(71)를 구동시키는 전원공급수단(30)으로 발전기(74)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유압장치(70)는 발전기(7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유압모터(70a)의 작동에 의하여 이동후크(60)에 걸어지는 버켓(90)의 유입실린더(9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유압장치(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원연결수단(50)이나 케이블릴(30)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이 간편 구성에 의하여 버켓(9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타워크레인(T)에서 와이어(22)로 연결되어 승,하강하는 이동후크(60)에 구비하는 함체(72)의 내부에 오일탱크(70a)를 포함하는 유압장치(70)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엔진(75) 및 펌프(76)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엔진(75)의 동력으로 펌프(76)를 작동시키어 오일탱크(70a)의 오일순환과정에 의하여 버켓(90)의 유입실린더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이다.
상기 엔진(75)은 엔진을 시동할 수 있는 축전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운전자의 조작신호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77은 오일순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휀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타워크레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전원연결수단을 보인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트롤리에 이동후크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동후크에 버켓을 연결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의 계통도
도 6,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타워크레인
10 : 메인지브 20 : 트롤리
21 : 접속편 22 : 와이어
30 : 케이블 릴 31 : 전원케이블
40 : 메인분전함 50 : 전원연결수단
60 : 이동후크 61 : 지지프레임
70 : 유압장치 71 : 유압모터
72 : 함체 73 : 무선수신기
74 : 발전기 75 : 엔진
76: 펌프 77 : 냉각 휀
80 : 캐빈 90 : 버켓
91 : 유압실린더 92 : 버켓지지축

Claims (7)

  1. 타워크레인(T)에 추가기능을 마련하여 작업대상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방법에 있어서,
    타워크레인(T) 구성에서 와이어(22)로 연결되어 승,하강하는 이동후크(60)를 갖는 종래의 구성에 이동후크(60) 상부로는 전원공급수단에 의하여 전원이 제공되는 유압장치(70)을 갖고, 이동후크(60) 하부로는 유압장치(70)에 의하여 작동되는 버켓(90)을 추가로 포함시키는 구성으로 제공되어,
    타워크레인(T)의 케빈(80)에서 운전조작에 의해 유압장치(70)를 작동시켜 버켓(90)을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방법.
  2. 타워크레인(T)에 추가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워크레인(T)의 메인지브(10)를 따라 전, 후진하는 트롤리(20)에 와이어(22)로 연결되어 승,하강하는 이동후크(60)에 구비되어 전원공급수단에 의하여 작동되면서 케빈(80)에서 송,수신에 의해 운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압장치 (70);
    상기 이동후크(60)에 걸어져 유압장치(70)에 의하여 작동되는 버켓(90)을 구비하여 타워크레인(T)에 의하여 작업대상물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트롤리(20)의 한 측으로 케이블 릴(30)을 구비하고, 이 케이블 릴(30)에 감긴 전원케이블(31a)에 메인분전함(40)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연결수단(50)을 구비하여 이동후크(60)에 구비되는 유압장치(70)에 전원을 제공하도록 구성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수단(32)은 메인지브(10)의 어느 한 측에 길이방향으로 메인분전함(34)으로부터 전원이 연결되는 접속전선(32a)을 구비하고, 트롤리(20)에 연결한 전원접속편(33)을 접속전선(32a)에 접속되도록 하여 전원접속편(33)을 통해 케이블 릴(30)에 감긴 전원케이블(31a)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치(70)에는 타워크레인(T)의 케빈(80)에서 송신부로부터 보내는 무선신호에 의해 유압장치(70)를 작동할 수 있도록 무선수신기(7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 유압장치(70)의 일측에 발전기(7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치(70)에 펌프(76) 및 이를 구동시키는 엔진(75)을 구비하여 엔진(75)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펌프(76)에 의한 유압장치(70)의 작동으로 버켓(9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장치.
KR1020080082086A 2008-08-21 2008-08-21 부가기능을 갖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23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086A KR20100023367A (ko) 2008-08-21 2008-08-21 부가기능을 갖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086A KR20100023367A (ko) 2008-08-21 2008-08-21 부가기능을 갖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367A true KR20100023367A (ko) 2010-03-04

Family

ID=4217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086A KR20100023367A (ko) 2008-08-21 2008-08-21 부가기능을 갖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33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0138A (zh) * 2015-09-07 2015-11-18 鞍钢房产建设有限公司 一种塔式起重机附着的拆卸及安装方法
CN105174085A (zh) * 2015-09-01 2015-12-23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塔机垂直度校准与纠偏装置及其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4085A (zh) * 2015-09-01 2015-12-23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塔机垂直度校准与纠偏装置及其施工方法
CN105060138A (zh) * 2015-09-07 2015-11-18 鞍钢房产建设有限公司 一种塔式起重机附着的拆卸及安装方法
CN105060138B (zh) * 2015-09-07 2017-04-19 鞍钢房产建设有限公司 一种塔式起重机附着的拆卸及安装方法及其使用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63073A1 (en) Energy storage robot
CN205312915U (zh) 一种双梁门式起重机
CN105270781A (zh) 机械式集装箱装卸转运工具及机械式集装箱装卸转运系统
KR20100023367A (ko) 부가기능을 갖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방법 및 그 장치
CN205151658U (zh) 一种节约空间型起重设备
CN104512817A (zh) 车载起重装置
CN204454333U (zh) 风电塔筒制造专用履带吊运机
RU2730711C1 (ru) Мобильная шахтная лебедка
CN202575752U (zh) 臂架翻转机
CN205076302U (zh) 机械式集装箱装卸转运工具中的固定式连接机构
CN203754298U (zh) 车载起重装置
CN207747906U (zh) 一种小型预制盖板安装小车
CN204172741U (zh) 一种车载油机装卸机构及使用该机构的车辆
CN209492624U (zh) 重型设备搬运装置
CN203402859U (zh) 塔机标准节电动引进装置
CN202628171U (zh) 井工开采多功能车
CN218931492U (zh) 一种辅助电缆快速更换港口起重机插井的作业工具小车
CN102777207A (zh) 井工开采多功能车
CN212532184U (zh) 一种可吊取的物流叉车
CN202272655U (zh) 车载式吊装装置
CN214141305U (zh) 一种集装箱转运装置
CN109664956A (zh) 重型设备搬运装置
CN204917257U (zh) 一种水泥砌块全自动码垛搬运装载机
JP2019170076A (ja) 無人搬送車の非接触式充電システムおよび無人搬送車
CN213392171U (zh) 巷道修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