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3277A -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 - Google Patents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3277A
KR20100023277A KR1020080081957A KR20080081957A KR20100023277A KR 20100023277 A KR20100023277 A KR 20100023277A KR 1020080081957 A KR1020080081957 A KR 1020080081957A KR 20080081957 A KR20080081957 A KR 20080081957A KR 20100023277 A KR20100023277 A KR 20100023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all
terminal
cnir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4067B1 (ko
Inventor
곽민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81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0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06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신자의 CNIR 단말기에서 착신자의 CNIRD 단말기로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통화 요청에 포함된 CNIR 단말기와 CNIRD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가 CNIR 서비스 가입자이고 착신자가 CNIRD 가입자임을 확인하고 통화 연결 불가를 판단한 후, CNIR 단말기가 착신을 시도하였음을 알리는 정보인 착신 이력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하여 CNIRD 단말기로 전송하며, 동시에 CNIR 단말기의 통화 요청을 해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CNIR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자가 CNIRD서비스에 가입한 착신자간에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Figure P1020080081957
CNIR, CNIRD, 통화 연결, 단문 메시지, 통화 불능

Description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Call connecting service method between communicators who is not connected by arrival service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support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착신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발신번호 표시 제한 서비스(CNIR: Calling Number Identification Restriction)에 가입한 가입자와 익명호 수신 거부 서비스(CNIRD: Calling Number Identification Restriction Dined)에 가입한 가입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시스템은 발신자의 정보 보호를 위해 발신번호 표시 제한 서비스(이하 "CNIR 서비스"라 한다)를 제공하고 있으며, 착신자의 통화 편의를 위해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악의호 추적 서비스와 익명호 수신 거부 서비스(이하 "CNIRD 서비스"라 한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CNIR 서비스, CNIRD 서비스, 악의호 추적 서비스,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와 익명호 수신 거부 서비스 등을 착신 서비스라 명명한다.
CNIR 서비스는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통화 연결시 착신자의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지 않게 하는 서비스이고, 이와 반대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는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통화 연결시 착신자의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게 하는 서비스이다.
악의호 추적 서비스는 악의호가 걸려올 때 특번으로 운용자에게 알리는 서비스이고, CNIRD 서비스는 발신번호가 표시되지 않는 익명호에 대하여 수신(착신)을 거부하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CNIRE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자가 CNIRD 서비스에 가입한 착신자에게 통화를 시도하면 다음의 도 1과 같이 발신호가 익명호로 하여 처리된다. 도 1은 일반적인 CNIR 가입자가 CNIRD 가입자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2G(2세대)의 이동통신망에서의 익명호 처리 과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CNIR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이동 단말기를 CNIR 단말기라 하고, CNIRD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이동 단말기를 CNIRD 단말기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NIR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가 CNIR 단말기(10)를 통해 CNIRD 단말기(20)을 호출하면(S101), 발신호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을 통해 발신 교환기(O_MSC)에 수신된다.
그러면 O_MSC(발신 교환기)(41)는 발신호에 포함된 CNIR 단말의 전화번호와 CNIRD 단말의 전화번호를 HLR(42)에 제공하여 CNIRD 단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S102).
HLR(42)은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기 저장된 서비스 프로파 일(profile)에 CNIR 단말의 전화번호를 적용하여 발신자가 등록한 착신 서비스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이 조사를 통해 발신자가 CNIR 서비스에 가입되었음을 확인한다(S103).
그리고, HLR(42)은 기 저장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CNIRD 단말의 전화번호를 적용하여 착신자가 등록한 착신 서비스가 있는 지를 조사하고, 이 조사을 통해 착신자가 CNIRD 서비스에 가입되었음을 확인한다(S104).
HLR(42)은 이렇게 발신자가 CNIR 서비스에 가입되어 발신자의 발신호가 익명호라고 판단하고, 착신자가 CNIRD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파악하면, 발신호를 CNIRD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즉,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그에 따라 HLR(42)은 O_MSC(41)로 호출 거부를 알리고(S106), O_MSC(41)은 CNIR 단말기(10)의 호출 즉, 발신호를 해지한다(S106).
이상과 같이 종래에는 CNIR 단말에서 CNIRD 단말로 통화를 시도하면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종래의 경우에, 발신자는 착신자가 CNIRD 서비스를 등록하고 있음을 모르는 경우에 몇번 의 통화 시도를 하게 되며, 번번히 통화 연결이 되지 않으면 통화 품질에 불만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착신자의 경우에도 CNIR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로부터 호 착신이 오더라도, 이를 전혀 알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착신자로 호가 착신되지 않은 발신 단말의 착신 이력을 알려 착신자가 유연하게 착신 거부된 발신자에 대한 처리를 할 수 있게 하는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일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발신자와 착신자에 대한 CNIR 서비스와 CNIRD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에서의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은 발신자의 CNIR(Calling Number Identification Restriction) 단말기에서 착신자의 CNIRD(CNIR Dined) 단말기로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통화 요청에 포함된 상기 CNIR 단말기와 상기 CNIRD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가 CNIR 서비스 가입자이고, 상기 착신자가 CNIRD 가입자임을 확인하고 통화 연결 불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CNIR 단말기가 착신을 시도하였음을 알리는 정보인 착신 이력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하여 상기 CNIRD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 단계, 그리고 상기 CNIR 단말기의 통화 요청을 해지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상기 착신 이력 정보를 상기 통화 연결 불가에 대응하여 상기 CNIRD 단말기로 전송하였음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CNIR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발신자와 착신자에 대한 CNIR 서비스와 CNIRD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에서의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은 상기 발신자의 제1 특번을 이용한 통화 연결 시도에 따라 발신자의 CNIR(Calling Number Identification Restriction) 단말기에서 착신자의 CNIRD(CNIR Dined) 단말기로의 통화 요청-상기 제1 특번 포함-을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특번을 해석하고 해석 결과로 상기 발신자가 등록한 CNIR 서비스를 해지하는 제2 단계, 상기 착신자가 CNIRD 가입자임을 확인하고 통화 연결 가능이라고 판단하는 제3 단계, 그리고 상기 CNIRD 단말기로 호를 착신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CNIR 서비스와 CNIRD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의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를 제공한다. 이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는, 수신되는 위치 요구 신호를 분석하여 발신자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와 착신자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수신정보 분석부,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착신자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와 착신자의 착신 서비스를 파악하는 착신서비스 파악부, 상기 착신서비스 파악부에서 제공한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착신자 단말기 간의 통화 가능 여부를 파악하며, 상기 발신자가 CNIR 서비스 가입자이고 상기 착신자가 CNIRD 가입자인 경우에 통화 불능이라고 판단하여 착신이력 제공을 지시하는 통화 여부 파악부, 그리고 상기 통화여부 파악부의 착신이력 제공 지시에 따라 상기 발신자 단말기가 착신을 시도하였음을 알리는 정보인 착신 이력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하여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지시하는 착신이력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CNIR 서비스와 CNIRD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의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를 제공한다. 이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는, 수신되는 위치 요구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위치 요구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추출하는 수신정보 분석부, 상기 수신정보 분석부에서 추출한 제1 특번을 해석하여 상기 특번에 대응된 명령을 제공하는 특번 해석부, 상기 수신정보 분석부에서 추출한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착신자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와 착신자의 착신 서비스를 파악하고, 상기 특번 해석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특번에 대응된 명령에 따라 상기 발신자의 CNIR 서비스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는 착신서비스 관리부, 상기 착신서비스 관리부에서 파악한 발신자와 착신자의 착신 서비스에 따라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착신자 단말기 간의 통화 가능 여부를 파악하며, 통화 가능이면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통화 불능이면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제어하는 통화여부 파악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CNIR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자가 CNIRD서비스에 가입한 착신자간에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보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는 통신망(40)에 연결된 CNIR 단말기(10), CMIRD 단말기(20)와, SMSC(30)를 포함한다.
CNIR 단말기(10)와 CNIRD 단말기(20)는 통신망(40)에 접속 가능하여 통신망(40)을 통해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로서, CNIR 단 말기(10)는 CNIR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고, CNIRD 단말기(20)는 CNIRD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통신망(40)은 음성 데이터 또는 패킷 데이터를 통해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네트워크이며, 특히, 발신자 표시 서비스(CNIP: Calling Number Identification Presentation), CNIR 서비스, CNIRD 서비스 등의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다.
예컨대, 통신망(40)은 음성 데이터 또는 패킷 데이터를 통해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지원하는 CDMA망, WCDMA망, GSM망이거나, 패킷 데이터를 통해 음성 통신이나 화상 통신을 지원하는 VoIP(Voice Over IP)(인터넷 전화) 기반의 인터넷망(예; 와이브로 등)일 수 있다.
따라서, 통신망(40)이 이동통신망인 경우에 CNIR 단말기(10)와 CNIRD 단말기(20)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모듈 등을 탑재한 노트북 등이다. 그리고 통신망(40)이 인터넷망인 경우에 CNIR 단말기(10)와 CNIRD 단말기(20)는 VoIP 통신을 지원하는 인터넷폰, 컴퓨터, 노트북 등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CNIR 단말기(10)는 발신 단말로 이용되고, CNIRD 단말기(20)은 착신 단말로 이용된다.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30)는 단문 메시지의 발송, 보관 및 관리를 담당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시스템 중 HLR(홈위치등록기: Home Location Register)은 이동통신 이용자별로 이용자가 등록한 각종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프로파일(profile)에 저장 및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지원하는 VoIP 기반의 인터넷 망의 경우에는 고정으로 부여된 IP를 기반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관리하거나, 또는 단말기에 부여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관리하는데, 프록시 서버(Proxy server) 또는 리다이렉트 서버(Redirect server)에서 가일자별 서비스 등록 정보를 저장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하며, 위치 서버(Location server)에서 단말의 위치 정보(예; IP 어드레스 또는, 전화번호 등)를 관리하고 제공한다. 물론, 인터넷 망의 경우에 위치 서버에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네트워크 환경이 이동통신망인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3과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42)는 수신정보 분석부(1), 착신서비스 파악부(2), 서비스등록정보 저장부(3), 통화여부 파악부(4), 위치 파악부(5)와, 착신이력 제공부(6)를 포함한다.
수신정보 분석부(1)는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발신자 식별정보와 착신자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정보를 착신서비스 관리부(2)에 제공한다. 여기서 발신자 식별정보와 착신자 식별정보는 이동전화번호 또는 IP 주소이다.
착신서비스 파악부(2)는 발신자 식별정보와 착신자 식별정보를 서비스등록정보 저장부(3)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적용하여 발신자와 착신자가 가입(즉, 등록)한 서비스 특히 착신 서비스를 파악하며, 등록 추가 또는 삭제 등을 담당한다.
통화여부 파악부(4)는 착신서비스 파악부(3)에서 파악한 발신자와 착신자 각각의 착신 서비스에 따라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통화가 가능한 상태인지 또는 통화가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지를 파악한다. 그리고 통화여부 파악부(4)는 통화 불능 상태인 경우에 착신이력 제공을 지시한다. 즉, 통화여부 파악부(4)는 발신자가 CNIR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착신자가 CNIRD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 통화 불능 상태라고 판단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통화 가능 상태라고 판단한다.
통화여부 파악부(4)는 통화 불능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 착신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요청한 통신 장치(예; 교환기 또는 SIP 프록시 서버 등)에 통화 불능을 알리는 S1 신호를 출력한다. S1 신호는 발신자 단말기의 호출을 해지되게 한다. 이에 추가로, 통화여부 파악부(4)는 통화 불능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 착신자 단말기로의 통화 불능에 따라 착신 이력을 전송하였음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가 발신자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서비스등록정보 저장부(3)는 가입자별로 가입자가 등록한 서비스(착신 서비스 포함)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위치 파악부(5)는 통화여부 파악부(4)의 지시에 따라서, 착신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위치 파악부(5)는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통화 가능 상태인 경우에 착신자 단말기의 위치를 요청한 통신 장치(예; 교환기 또는 SIP 프록시 서버 등)에 착신자의 현재 위치를 알리는 S2 신호를 제공하고,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통화 불능 상태인 경우에 착신자의 현재 위치를 착신이력 제공부(6)에 제공한다.
착신이력 제공부(6)는 착신서비스 관리부(2)에서 착신이력 제공을 지시한 경우에 동작하며, 발신자 단말기가 착신자 단말기로 콜을 전송한 시간과 발신자 단말의 고유식별정보(예;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이력을 생성하고, 위치 파악부(5)에서 제공한 착신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이력이 단문 메시지로 하여 착신자 단말기에 전송되게 하는 S3 신호를 전송한다. 즉, 착신이력 제공부(6)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다.
전술한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42)는 위치 파악부(5)를 제외한 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착신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위치 파악부(5)의 기능을 가지는 별도의 장치(예; HLR, SIP 위치 서버 등)를 이용하여 파악한다.
따라서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42)는 위치 파악부(5)가 제외되는 경우에,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SCP(Service Control Point) 서버에 구현되거나, 이에 상응하는 통신 장치로 구현된다. 그리고 위치 파악부(5)를 포함하는 경우에 통화 연결 서비스 장치(42)는 HLR로 구현되거나 VoIP 통화를 지원하는 위치 서버(Location server)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장치로 구현된다.
이하,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 4에서는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가 HLR(홈위치등록기)인 것을 예로 하였다. 물론 당업자라면 이하의 도 4를 참조로 한 설명을 통해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것이 용이할 것이므로, 네트워크 환경이 인터넷망인 경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3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NIR 서비스에 가입한 발신자가 CNIR 단말기(10)를 통해 CNIRD 단말기(20)를 호출하면(S401), 발신호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을 통해 발신 교환기(O_MSC)에 수신된다.
O_MSC(발신 교환기)(41)는 발신호를 수신하면 착신지의 위치 및 착신 서비스가입 여부와 종류를 파악하기 위하여 발신호에 포함된 CNIR 단말의 전화번호와 CNIRD 단말의 전화번호를 HLR(42)에 제공한다(S402).
HLR(42)은 O_MSC(41)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기 저장된 서비스 프로파일(profile)에 CNIR 단말기(10)의 전화번호를 적용하여 발신자가 가입한 착신 서비스를 조사하고, 이 조사를 통해 발신자가 CNIR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음을 확인한다(S403).
다음으로, HLR(42))는 기 저장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CNIRD 단말기(20)의 전화번호를 적용하여 착신자가 가입한 착신 서비스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이 조사를 통해 착신자가 CNIRD 서비스에 가입되었음을 확인한다(S404).
HLR(42)은 이렇게 발신자가 CNIR 서비스에 가입되어 발신자의 발신호가 익명호이고 착신자가 CNIRD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파악하면, 발신호를 CNIRD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발신호 전송 불가에 대응하여, HLR(42)은 CNIRD 단말기(20)에 CNIR 단말기(10)가 착신을 시도하였음을 알리는 착신 이력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한 이력 정보를 SMSC(30)에 제공하여 단문 메시지로 하여 CNIRD 단말기(20)로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S405).
이때 HLR(42)는 CNIRD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정보 즉, 교환기 및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파악한 후, SMSC(30)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다.
여기서 착신 이력 정보에는 CNIR 단말기(10)가 통화 시도한 시간, CNIRD 단말기(10)의 전화번호 등이 포함되며, 추가로 CNIRD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착신시 표시되도록 등록한 가명이 포함될 수 있다.
SMSC(30)는 HLR(42)로부터 착신 이력 정보에 대한 단문 메시지 전송의 요구를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착신 교환기(T_MSC)(43)을 거쳐 CNIRD 단말기(20)로 착신 이력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406).
이렇게 착신 이력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가 CNIRD 단말기(20)에 수신되면, 착신자는 자신의 CNIRD 단말기(20)를 통해 단문 메시지를 확인하여 CNIR 단말기(10)에서 통화 시도를 하였음을 알게 된다(S407). 경우에 따라 착신자는 S307 과정을 통해 착신 이력을 확인하면, 발신자에게 전화를 하게 되어 발신자와의 통화 를 하게 된다.
한편, 단문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 HLR(42)은 O_MSC(41)의 위치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O_MSC(41)로 호출 거부를 알린다(S408).
그러면 O_MSC(41)은 CNIR 단말기(10)에게 호출을 해지 즉, 발신호를 해지하여 통화를 끊는다(S409).
한편, 본 발명은 HLR(42)이 발신자가 CNIR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고 착신자가 CNIRD 서비스에 가입되어 CNIR 단말기(10)에서 CNIRD 단말기(20)로 호를 착신하지 못함을 파악하면, S305 과정과 같이 착신 이력을 단문 메시지로 하여 CNIRD 단말기(20)에 알림과 동시에 CNIR 단말기(10)로 호 착신 불가 이유 또는/및 착신 이력 전송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SMSC(30)에게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SMSC(30)는 HLR(42)의 요청에 따라 호 착신 불가 이유 또는/및 착신 이력 전송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CNIR 단말기(10)로 전송한다(S410).
이에 발신자는 CNIR 단말기(10)에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통해 CNIRD 단말기(20)로의 착신 불가와 그에 따른 착신 이력을 CNIRD 단말기(20)에 전송을 알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와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42a)는 수신정보 분석부(1a), 특번 해석부(2a), 특번정보 저장부(3a), 착신서비스 관리부(4a), 서비스등록정보 저장부(5a), 통화여부 파악부(6a)와, 위치 파악부(7a)를 포함한다.
수신정보 분석부(1a)는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발신자 식별정보와 착신자 식별정보 및 특번(feature code)를 추출하고, 추출한 특번을 특번 해석부(2a)에 제공하며, 추출한 발신자 및 착신자 식별정보를 착신서비스 관리부(4a)에 제공한다. 여기서 발신자 식별정보와 착신자 식별정보는 이동전화번호 또는 IP 주소이다.
특번 해석부(2a)는 특번정보 저장부(3a)에 저장된 특번에 대한 해석 정보를 이용하여 특번을 해석하며, 해석한 결과를 착신서비스 관리부(4a)에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련된 특번은 발신자의 CNIR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특번과, 발신자의 CNIR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는 특번이 있다.
착신서비스 관리부(4a)는 특번 해석부(2a)에 연동하여 발신자의 CNIR 서비스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설정하고, 서비스정보 저장부(5a)에 연동하여 발신자와 착신자가 가입(즉, 등록)한 서비스 특히 착신 서비스를 파악하며, 등록 추가 또는 삭제 등을 담당한다.
통화여부 파악부(6a)는 착신서비스 파악부(3)에서 파악한 발신자와 착신자 각각의 착신 서비스에 따라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통화가 가능한 상태인지 또는 통화가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지를 파악한다. 즉, 통화여부 파악부(6a)는 발신자가 CNIR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착신자가 CNIRD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 통 화 불능 상태라고 판단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통화 가능 상태라고 판단한다.
통화여부 파악부(6a)는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통화 불능인 경우에 착신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요청한 통신 장치(예; 교환기 또는 SIP 프록시 서버 등)에 통화 불능을 알리는 S1 신호를 출력한다. S1 신호는 발신자 단말기의 호출을 해지되게 한다.
서비스등록정보 저장부(5a)는 가입자별로 가입자가 등록한 서비스(착신 서비스 포함)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위치 파악부(7a)는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통화 가능 상태라고 판단한 통화여부 파악부(6a)의 지시에 따라서, 착신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위치 파악부(5)는 착신자 단말기의 위치를 요청한 통신 장치(예; 교환기 또는 SIP 프록시 서버 등)에 착신자의 현재 위치를 알리는 S2 신호를 제공한다.
전술한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42)는 위치 파악부(5)를 제외한 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착신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위치 파악부(5)의 기능을 가지는 별도의 장치(예; HLR, SIP 위치 서버 등)를 이용하여 파악한다.
따라서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42)는 위치 파악부(5)가 제외되는 경우에,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SCP(Service Control Point) 서버에 구현되거나, 이에 상응하는 통신 장치로 구현된다. 그리고 위치 파악부(5)를 포함하는 경우에 통화 연결 서비스 장치(42)는 HLR로 구현되거나 VoIP 통화를 지원하는 위치 서버(Location server)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장치로 구현된다.
이하,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에서는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가 HLR(홈위치등록기)인 것을 예로 하였다. 물론 당업자라면 이하의 도 6을 참조로 한 설명을 통해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것이 용이할 것이므로, 네트워크 환경이 인터넷망인 경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도 4를 기반으로 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발신자가 CNIRD 단말기(20)로의 통화 요청시 CNIR 서비스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특번(feature code)을 입력하여 CNIRD 단말기(20)로의 통화 요청을 하면, 발신호는 O_MSC(41)에 전송된다(S601).
O_MSC(발신 교환기)(41)는 발신호를 수신하면 발신호에 포함된 특번을 확인하게 되고, 그에 따라 HLR(42a)로 특번 해석 및 CNIRD 단말기(20)의 위치를 요청한다(S602).
HLR(42a)은 O_MSC(41)로부터 위치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한 위치 요청에 포함된 특번을 해석하며(S603), 이 특번 해석을 통해 발신자의 CNIR 서비스 비활성화 요청을 알게 되고 그에 따라 기 저장된 서비스 프로파일(profile)에서 발신자의 CNIR 서비스를 비활성화시킨다(S604).
그리고 HLR(41)은 기 저장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CNIRD 단말기(20)의 전화번호를 적용하여 착신자가 가입한 착신 서비스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이 조사를 통해 착신자가 CNIRD 서비스에 가입되었음을 확인한다(S605).
HLR(42)은 이렇게 발신자의 CNIR 서비스를 비활성화하고 착신자가 CNIRD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파악하면, 통화 연결이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하고, CNIRD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O_MSC(41)에 제공한다(S606, S607).
O_MSC(41)는 CNIRD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즉, 교환기 및 기지국의 식별 정보)에 따라 T_MSC(착신 교환기)(43)로 발신자와의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608),
이에 T_MSC(43)는 통화 요청에 따라 CNIRD 단말기(20)가 위치한 기지국을 통해 CNIRD 단말기(20)로 호를 착신시켜 CNIRD 단말기(20)에 발신자 단말기(즉, CNIR 단말기)(10)의 전화번호가 표시되게 한다(S609).
그러면 착신자가 CNIRD 단말기(20)를 통화 호 착신에 응답하면, 착신자와 발신자간에 통화가 연결된다(S610).
상기에서, 특번에 의한 CNIR 서비스의 비활성화는 상기 특번에 의한 호출에 대해서만 일시 해지인 것이 양호하나, CNIR 서비스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제2 특번이 수신되기 전까지 계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CNIR 가입자가 CNIRD 가입자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익명호 처리 과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보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를 기반으로 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을 보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Claims (15)

  1. CNIR 서비스와 CNIRD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에서의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의 CNIR(Calling Number Identification Restriction) 단말기에서 착신자의 CNIRD(CNIR Dined) 단말기로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통화 요청에 포함된 상기 CNIR 단말기와 상기 CNIRD 단말기 각각의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가 CNIR 서비스 가입자이고, 상기 착신자가 CNIRD 가입자임을 확인하고 통화 연결 불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CNIR 단말기가 착신을 시도하였음을 알리는 정보인 착신 이력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하여 상기 CNIRD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 단계, 그리고
    상기 CNIR 단말기의 통화 요청을 해지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상기 착신 이력 정보를 상기 통화 연결 불가에 대응하여 상기 CNIRD 단말기로 전송하였음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CNIR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음성 데이터, 패킷 데이터 중 하나를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인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VoIP를 기반으로 패킷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망을 더 포함하는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NIR 단말기가 통화 시도한 시간, 상기 CNIRD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6. CNIR 서비스와 CNIRD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에서의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의 제1 특번을 이용한 통화 연결 시도에 따라 발신자의 CNIR(Calling Number Identification Restriction) 단말기에서 착신자의 CNIRD(CNIR Dined) 단말기로의 통화 요청-상기 제1 특번 포함-을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특번을 해석하고 해석 결과로 상기 발신자가 등록한 CNIR 서비스를 해지하는 제2 단계,
    상기 착신자가 CNIRD 가입자임을 확인하고 통화 연결 가능이라고 판단하는 제3 단계, 그리고
    상기 CNIRD 단말기로 호를 착신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음성 데이터, 패킷 데이터 중 하나를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인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VoIP를 기반으로 패킷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망을 더 포함하는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번에 의한 상기 발신자의 CNIR 서비스 해지는 상기 제1 특번에 의한 호출에 대해서만 일시 해지인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10. CNIR 서비스와 CNIRD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의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위치 요구 신호를 분석하여 발신자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와 착신자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수신정보 분석부,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착신자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와 착신자의 착신 서비스를 파악하는 착신서비스 파악부,
    상기 착신서비스 파악부에서 제공한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착신자 단말기 간의 통화 가능 여부를 파악하며, 상기 발신자가 CNIR 서비스 가입자이고 상기 착신자가 CNIRD 가입자인 경우에 통화 불능이라고 판단하여 착신이력 제공을 지시하는 통화여부 파악부, 그리고
    상기 통화여부 파악부의 착신이력 제공 지시에 따라 상기 발신자 단말기가 착신을 시도하였음을 알리는 정보인 착신 이력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하여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지시하는 착신이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를 더 포함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여부 파악부는 상기 통화 불능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통화 불능에따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상기 착신 이력 정보를 전송하였음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지시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
  13. CNIR 서비스와 CNIRD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의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위치 요구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위치 요구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추출하는 수신정보 분석부,
    상기 수신정보 분석부에서 추출한 제1 특번을 해석하여 상기 제1 특번에 대응된 명령을 제공하는 특번 해석부,
    상기 수신정보 분석부에서 추출한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착신자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와 착신자의 착신 서비스를 파악하고, 상기 특번 해석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특번에 대응된 명령에 따라 상기 발신자의 CNIR 서비스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는 착신서비스 관리부,
    상기 착신서비스 관리부에서 파악한 발신자와 착신자의 착신 서비스에 따라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착신자 단말기 간의 통화 가능 여부를 파악하며, 통화 가능이면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통화 불능이면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제어하는 통화여부 파악부 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를 더 포함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번은 상기 발신자의 CNIR 서비스에 대한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비활성화 특번과 상기 발신자의 CNIR 서비스에 대한 활성화를 지시하는 활성화 특번 중 하나인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
KR1020080081957A 2008-08-21 2008-08-21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 KR101074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957A KR101074067B1 (ko) 2008-08-21 2008-08-21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957A KR101074067B1 (ko) 2008-08-21 2008-08-21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277A true KR20100023277A (ko) 2010-03-04
KR101074067B1 KR101074067B1 (ko) 2011-10-17

Family

ID=4217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957A KR101074067B1 (ko) 2008-08-21 2008-08-21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0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067B1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2173B2 (ja) サーバ装置、及び、メッセージ送信方法
US86939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rminating telephony communications to mobile telephony devices
JP2007520152A (ja) プレゼンス基盤の電話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における呼ルーティング方法
KR20070047340A (ko) 모바일 음성 메일 스크리닝 방법
US20090097629A1 (en) Identification of Original Destination of Forwarded Communications
US6813347B2 (en) Selective call waiting
WO2006072939A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s while using a single telephone device
EP2151982B1 (en) Telephony services
CN101548557A (zh) 有条件路由对固定电话号码进行的呼叫的方法
EP2443850B1 (en) Methods and apparatu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050170811A1 (en) Protected mode for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s
KR101100622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익명 호출 재지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147694B1 (ko) 발신자에 따른 전화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74067B1 (ko) 착신 서비스에 따른 통화 불능 통화자간의 통화 연결 서비스 방법 및 통화 연결 서비스 지원 장치
CN104754573A (zh) 一种呼叫处理方法和装置
JP4718279B2 (ja) Ip電話サービスセンタ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1421491B1 (ko) 해외로밍콜 발신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EP4231617A1 (en) Method for managing and/or signaling at least one voip call and a communication system
KR20120117153A (ko) 번호 이동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EP1524831B1 (en) Subscriber communication capability
KR100831032B1 (ko) 착신 호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30820B1 (ko) 지능망 시스템을 이용한 내선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02431A (ko) 메신저/웹(/왑)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977707B1 (ko) 모바일 대표번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362568B1 (ko) 사설이동교환 시스템에서 내부 사설망 착신호 거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