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2976A - Membrane filter unit - Google Patents

Membrane filter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2976A
KR20100022976A KR20097025784A KR20097025784A KR20100022976A KR 20100022976 A KR20100022976 A KR 20100022976A KR 20097025784 A KR20097025784 A KR 20097025784A KR 20097025784 A KR20097025784 A KR 20097025784A KR 20100022976 A KR20100022976 A KR 20100022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membrane module
filtration uni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257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60105B1 (en
Inventor
요시히또 나까하라
데쯔야 도리찌가이
히로유끼 오까자끼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레이온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레이온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레이온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9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1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B01D63/043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with separate tub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6Wafer type modules or flat-surface typ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40Treatment of liquids or slur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50Treatments combining two or more different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s, e.g. anaerobic and aerobic treatment or vermicomposting and aerobic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6External membrane module supporting or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5Phosphorus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6Nitrogen compounds, e.g. ammon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6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tails of construction, e.g. specially adapted seals, module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0Prevention of biofou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5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materials of biologica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A membrane filter unit that ensures the durability of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rough prevention of, in activated sludge treatment, bundling of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by hair, fiber, paper piece, etc. contained in wastewater or entwining or getting stuck thereof between hollow fiber membranes and surrounding frame member, etc. The membrane filter unit (5) includes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9) composed of multiple sheetlik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10) arrayed in parallel at given intervals, each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10) obtained by parallel arrangement of a multiplicity of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10a). Further, the membrane filter unit (5) includes, disposed inferiorly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9), air diffuser (15) capable of emitting minute bubbles toward the low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generating a gas-liquid mixed current vertically swirling between the internal space and external sp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Still further, the membrane filter unit (5) includes residual foreign matter removing means capable of generating forced flow in part of the mixed current between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9) and between sheetlik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to thereby expel any residual foreign matter mingled in the gas-liquid mixed current to out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Description

막 여과 유닛{MEMBRANE FILTER UNIT}Membrane Filtration Unit {MEMBRANE FILTER UNIT}

본 발명은, 공업용 배수나 생활용 배수 중에 포함되는 유기물이나 그 잔해, 혹은 미생물이나 세균류를 포함하는 배수를 생물 화학적으로 처리하고, 분리막을 이용하여 고액(固液) 분리를 행하는 활성 오니 처리법에 적용되는 막 여과 유닛에 관한 것이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ctivated sludge treatment method in which organic matter and debris contained in industrial wastewater or domestic wastewater, or wastewater containing microorganisms and bacteria are biochemically treated and solid-liquid separation is performed using a separation membrane. Membrane filtration unit.

배수 처리 방법에 있어서의 탈질 방법으로서, 분자상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무산소조와 오니 중에 산기(散氣) 발생 장치(air diffuser)로부터 에어를 방출하는 폭기조(曝氣槽 ; aeration tank)의 사이에서 오니를 순환시키고, 폭기조에 있어서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로 산화하고, 무산소조에서 질산성 질소를 환원하여 질소 가스로서 계(系) 외로 배출하는 활성 오니 순환 변법이 종래부터 널리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따르면, 질소는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지만, 인의 제거는 충분하게는 행할 수 없었다. 이것은, 호기조로부터의 순환수에 포함되는 용존 산소, 질산성 질소 및 아질산성 질소에 의해 무산소조의 혐기도가 충분히 높아지지 않아, 인 축적 세균으로부터의 인 방출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A denitrification method in a wastewater treatment method, wherein the sludge is disposed between an aerobic tank in which molecular oxygen is not present and an aeration tank which releases air from an air diffuser in the sludge. The activated sludge circulating variation which circulates, oxidizes ammonia nitrogen to nitrate nitrogen in an aeration tank, reduces nitrate nitrogen in an oxygen-free tank, and discharges it out of the system as nitrogen gas is conventionally widely performed. However, according to this method, although nitrogen can be removed efficiently, phosphorus cannot be removed sufficiently. This is because the anaerobic anaerobic tank does not sufficiently increase due to dissolved oxygen, nitrate nitrogen, and nitrite nitrogen contained in the circulating water from the aerobic tank, and phosphorus release from phosphorus accumulating bacteria does not occur sufficiently.

이로 인해, 탈질과 인 제거를 동시에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활성 오니 순환 변법의 무산소조(탈질조)의 앞에, 분자상 산소도, 질산이나 아질산 등의 결합 산소도 포함하지 않는 절대 혐기조를 배치하여, 생물 화학적으로 탈질과 탈인을 행하는, 이른바 A2/O법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절대 혐기조에서는, 폴리인산 축적균에 의한 폴리인산이 가수 분해하여, 인을 용출시키고, 생물 화학적 산소 요구량(이하, BOD라 칭함) 성분을 균체 내에 취입한다. 절대 혐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BOD를 50㎎/L 이상으로 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한다.For this reason, when it is necessary to perform denitrification and phosphorus removal at the same time, an absolute anaerobic tank containing neither molecular oxygen nor bound oxygen such as nitric acid or nitrous aci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anoxic tank (denitrification tank) of the activated sludge circulation modification. The so-called A 2 / O method which denitrifies and dephosphorizes biochemically is used. In the above absolute anaerobic tank, polyphosphoric acid by polyphosphoric acid accumulating bacteria is hydrolyzed to elute phosphorus, and a biochemical oxygen dem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D) component is blown into the cells. In order to maintain the absolute anaerobic state, it is required to have a BOD of 50 mg / L or more.

그러나 이 A2/O법에 의한 배수 처리 방법은, 활성 오니 순환 변법과 비교하여, 완전 혐기조를 여분으로 설치해야만 하고, 게다가 넓은 장치 설치 면적도 필요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is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A 2 / O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a complete anaerobic tank must be provided in excess as compared to the activated sludge circulation variant, and a large device installation area is also required.

따라서, 예를 들어 WO 03/101896호 공보(특허 문헌 1)에서는, 무산소조와 폭기조의 2개의 처리조만으로, 응집제를 사용하지 않고 질소 및 인을 제거할 수 있는 배수 처리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 배수 처리 방법은, 무산소조와 폭기조의 사이에서 오니를 순환시켜 배수를 생물 화학적으로 처리하도록 구성한, 이른바 활성 오니 순환 변법을 실시하기 위한 활성 오니 처리 장치이며, 폭기조로부터 무산소조로 순환액인 오니를 송액함에 있어서, 폭기조 중에 배치된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산기 발생 장치의 하방으로부터 순환액인 오니를 취출하도록 구성하여, 오니를 취출하는 부위의 DOC(이하, DOC라 칭함)를 0.5㎎/L 이하로 하는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폭기조로부터 송액되는 오니가 무산소조로 들어오는 부위에서의 DOC를 0.2㎎/L 이하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무산소조와 폭기조의 2개의 처리조만을 사용하여, 응집제 등을 사용하는 일 없이 질소 및 인의 양쪽을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Therefore, for example, WO 03/101896 (Patent Document 1) proposes a wastewater treatment method capable of removing nitrogen and phosphorus without using a flocculant in only two treatment tanks, an oxygen-free tank and an aeration tank.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is an active sludge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so-called activated sludge circulation transformation, which is configured to circulate sludge between an anaerobic tank and an aeration tank and to treat the wastewater biochemically, and transmits sludge that is a circulating fluid from the aeration tank to an anaerobic tank. The sludge is configured to take out sludge which is a circulating fluid from below the acid generator generating device at the lowest position arranged in the aeration tank, so that DOC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 at the site where sludge is taken out is 0.5 mg / L or less. At the same time, DOC is preferably 0.2 mg / L or less at the site where the sludge fed from the aeration tank enters the anaerobic tank. By doing in this way, only two treatment tanks, an anoxic tank and an aeration tank, can be used to remove both nitrogen and phosphorus without using a flocculant or the like.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활성 오니 처리에 있어서의 상기 폭기조에는, 특허 문헌 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다공성 중공사를 병렬로 사용한 복수매의 시트 형상의 중공사막 엘리먼트를 평행하게 병렬하여 조립한 중공사막 모듈과,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사막 모듈을 향해 에어를 방출하는 미세 기포 발생부인 산기 발생 장치를 구비한 막 여과 유닛이, 활성 오니의 생물 화학적인 처리 능률과 여과 효율이 높다고 하는 이유로부터 많이 사용되고 있다.By the way, in the aeration tank in this kind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as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a plurality of sheet-shaped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using a plurality of porous hollow fibers in parallel are assembled in parallel and assembled. A membrane filtration unit having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an acid generator generator, which is disposed below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discharges air toward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as a biochemical treatment efficiency and filtration of activated sludge. It is used a lot for the reason that efficiency is high.

상기 산기 발생 장치로부터는 미리 정해진 양의 에어가 오니 중을 미세한 기포가 되어 방출되고, 오니 중을 상승하는 동안에 기액 혼합류가 되어 상승하고,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내부 공극을 상방으로 흐르는 동시에, 중공사막 모듈을 통과한 흐름은 막 여과 유닛의 외측을 따라 유하하여 기액 혼합 선회류를 형성한다. 이 기액 혼합 선회류가 상하를 선회하는 동안에, 상기 에어 중의 산소가 분자상 산소가 되어 오니 중에 용해되어, 유기물 등을 분해하거나, 혹은 질화하고 및/또는 폴리인산 축적균에 인을 취입하여 성장시켜 오니를 증식시키는 동시에,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51672호 공보(특허 문헌 2)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84553호 공보(특허 문헌 3)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액 혼합액을 중공사막 모듈의 구성 중공사막에 작용시켜 진동시키는, 이른바 에어 스크러빙에 의해 중공사막 엘리먼트에 부착되는 오탁(汚濁) 물질을 박리하여 세정한다. 이때 동시에, 오니는 흡인 펌프에 의해 흡인되어 다공성 중공사막을 통해 고액 분리 가 이루어져, 처리수는 상기 중공사막의 중공부를 통해 외부의 처리 수조로 송액된다.From the acid generator,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is discharged as fine bubbles in the sludge, rises as a gas-liquid mixed flow while raising the sludge, and flows upward through the internal void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Flow through the desert module flows down the outside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to form a gas-liquid mixed swirl flow. While the gas-liquid mixed swirl flows up and down, the oxygen in the air becomes molecular oxygen, dissolves in the sludge, decomposes organic matters, or nitrifies, and / or blows phosphorus into the polyphosphate accumulating bacteria and grows. The gas-liquid mixed liquid is grown as describ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51672 (Patent Document 2)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84553 (Patent Document 3). The contaminated substance adhering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is peeled off and cleaned by so-called air scrubbing which is applied to the structur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vibrated. At this time, the sludge is sucked by the suction pump and the solid-liquid separation is made through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the treated water is sent to the external treatment tank through the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특허 문헌 1 : WO 03/101896호 공보Patent Document 1: WO 03/101896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51672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51672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84553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84553

특허 문헌 1 내지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종류의 중공사막 모듈을 사용한 생물 화학적인 활성 오니 처리에는 폭기 공정이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다공성 중공사막을 소요의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병렬하고, 그 전체를 직사각형 프레임재에 고정용 수지를 통해 고정하여 시트 형상의 중공사막 엘리먼트를 형성한다. 이 중공사막 엘리먼트를 복수매 소요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하여 직사각 형상의 중공사막 모듈로 한다. 이 중공사막 모듈의 하방에 배치된 산기 발생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기포에 의해 발생되는 기액 혼합 선회류는, 다공성 중공사막에 대한 스크러빙에 의해 난류를 수반한다.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to 3, it is common that the biochemically activated sludge treatment using this kind of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es an aer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parallelly parallels a plurality of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with a necessary gap, and fixes the entir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through a fixing resin to a rectangular frame member to form a sheet-lik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are arranged in parallel at intervals of the required number of sheets to form a rectangular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e gas-liquid mixed swirl flow generated by the air bubbles emitted from the acid generator generating unit disposed below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accompanied by turbulent flow by scrubbing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한편, 처리 대상이 되는 오니에는 유기물을 비롯하여, 예를 들어 섬유나 실밥, 머리카락, 종이조각 등 다양한 고형물이 혼입되어 있다. 이들 혼입물은 중공사막 모듈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흐르는 기액 혼합 선회류에 의해 상방으로 운반되어, 중공사막 모듈의 구성 부재에 걸리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통상의 산기 발생 장치에 의한 중공사막 모듈을 통과하는 기액 혼합류에 의한 스크러빙 작용만으로는, 특히 섬유, 실밥, 머리카락 등은 중공사막 모듈의 프레임이나 다공성 중공사막 자체에 걸리거나, 혹은 인접하는 다공성 중공사막 사이나 처리수의 취출관과 다공성 중공사의 사이에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다. 이들 섬유, 실밥, 머리카락 등의 찌꺼기가 걸리거나 혹은 얽히면, 다수의 중공사막을 묶어 버려 여과 성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용존 산소가 중공사막 사이에 구석구석 미치지 않아, 오니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중공사막 모듈을 폭기조로부터 끌어올려 조 밖으로 반출하여, 부득이하게 새로운 중공사막 모듈로 교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ludge to be treated contains various organic matters, such as fibers, seams, hair, and pieces of paper, as well as organic matter. These mixtures are conveyed upward by the gas-liquid mixed swirl flow which flows from below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are often caught by the structural member of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 this case, only the scrubbing action by the gas-liquid mixture flowing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by the conventional acid generator generator, in particular, fibers, seams, hair, etc. are caught or adjacent to the fram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r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itself.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entanglement between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or between the extraction pipe of the treated water and the porous hollow yarns. When these fibers, seams, hairs, etc., are caught or entangled, not only the hollow fiber membranes are bundled, but also the filtration performance is reduced, and dissolved oxygen does not fall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s so that sludge treatment is not performed smoothly. do. In such a case,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pulled out of the aeration tank and taken out of the tank to be replaced by a new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활성 오니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배수에 포함되는 털이나 섬유, 종이조각 등이 중공사막 모듈의 다공성 중공사막을 묶어 버리거나, 혹은 중공사막과 주변의 프레임재 등의 사이에서 얽히거나, 혹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중공사막 모듈의 내구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the specific object of the active sludge treatment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hair, fibers, pieces of paper, etc. contained in the drainage bundles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 order to prevent entanglement or jamming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the surrounding frame member or the like, the durability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ensured.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인, 혐기조와 호기조를 구비하고, 상기 호기조에는 막 여과 유닛이 침지되고, 배수를 순차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활성 오니와 처리수로 분리하는 활성 오니 처리법에 적용되는 막 여과 유닛이며, 상기 막 여과 유닛은, 다수의 다공성 중공사를 미세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하여 얻어지는 시트 형상의 복수매의 중공사막 엘리먼트가, 그 다공성 중공사를 수직 방향을 향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중공사막 모듈과,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모듈의 하단부를 향해 미소한 기포를 방출하고,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선회하는 기액 혼합류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막 여과 유닛에 있어서의 중공사막 모듈의 각 중공사막 엘리먼트가, 상기 중공사막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다공성 중공사막 사이의 간극이 미소한 제1 영역과 그 미소 간극 영역의 사이에 넓은 간극을 형성한 제2 영역을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여과 유닛에 의해 효과적으로 달성된다.This object is provided with an anaerobic tank and an aerobic tank, which are the basic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mbrane filtration unit is immersed in the aerobic tank, and the membrane is applied to an activated sludge treatment method in which the wastewater is sequentially biologically separated into active sludge and treated water. A filtration unit, wherein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has a plurality of sheet-lik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obtain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orous hollow fibers in parallel with a fine ga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ward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rranged in parallel and below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discharges a small bubble toward the lower end of the modu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t comprises a fine bubble generating section for generating a gas-liquid mixed flow to turn, to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Each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as a first region having a small gap between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constitut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and a second region having a wide gap formed between the small gap region. It is effectively achieved by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병렬 방향에 인접하는 복수의 중공사막 엘리먼트 사이의 일부 간격이 넓게 형성되고, 그 일부 간격의 기액 혼합류의 하단부 도입구에 방해 부재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 여과 유닛은 상기 중공사막 모듈과 상기 미세 기포 발생부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하여 배치되어 상하를 개방시킨 벽재를 갖고, 상기 벽재의 하단부에는 아래쪽이 넓어져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스커트부의 수평 방향의 연장 길이는 1㎜ 이상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커트부의 상기 벽재의 하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직선에 대한 경사 각도를 10°이상 70°이하로 하면 좋다.Partial spacing between a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adjacent to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formed wid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bstruction member is disposed in the lower end inlet of the gas-liquid mixture flow of the partial gap. In addition,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the microbubble generating portion has a wall material opened up and dow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wall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kirt portion extending wider bottom There is a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length of the skirt 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1 mm or more and 1000 mm or less, and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perpendicular | vertical line extend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ower end part of the said wall material of the skirt part may be 10 degrees or more and 70 degrees or less.

또한, 상기 중공사막 엘리먼트 사이의 간격과 상기 중공사막 엘리먼트의 구성 사조(絲條)인 다공성 중공사막 사이의 간극의 양쪽을, 동시에 고르지 않게 할 수도 있다.Moreover, both th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said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and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which are the structural yarns of the said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may be made uneven simultaneously.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하배수나 산업 배수에는 섬유류, 다양한 재질의 사조, 종이조각(부직포) 등의 찌꺼기가 혼입되어 있고, 원수(原水)의 단계에서 스크린에 의해 큰 고형물은 제거되지만, 특히 가늘고 길며 유연하고 또한 가요성이 있는 섬유나 털 등과 같은 찌꺼기는 스크린을 빠져나가 배수에 섞여 처리조로 유입되어 버린다. 배수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특히 상기 폭기 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찌꺼기가 기액 혼합류를 타고 상승하면서 중공사막 모듈로 흐른다. 이 중공사막 모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다공성 중공사막과 이것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찌꺼기는 다공성 중공사막이나 프레임에 걸리거나, 혹은 서로 얽혀, 복수의 다공성 중공사막을 하나로 묶어 버리거나 한다. 또한, 찌꺼기끼리가 얽혀 경단 형상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찌꺼기에 의한 영향은 커, 예를 들어 중공사막 엘리먼트의 여과 성능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 찌꺼기를 조 중에서 제거하여 중공사막 엘리먼트의 성능 저하를 회복하는 것은 실질상 어렵고, 막 여과 유닛마다 조 밖으로 끌어올려 반출하여, 찌꺼기가 얽혀 붙은 중공사막 엘리먼트를 새로운 중공사막 엘리먼트로 교환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된다.As mentioned above, wastewater and industrial drainage contain fibers, yarns of various materials, paper scraps (non-woven fabrics), and large solids are removed by the screen at the raw water stage. Debris, such as long, flexible and flexible fibers or hair, leaves the screen and mixes with the drainage and enters the treatment tank. In the treatment of waste water, in particular, when the aeration treatment is performed, the residue flows through the gas-liquid mixed stream while flowing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Since this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onsists of many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and the frame which supports it as mentioned above, the said dregs are caught by a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or a frame, or they are entangled, and bundles a plurality of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together, do. In addition, residues may become entangled and become a dumpling shape. The effect of such debris is large, for examp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filtration performan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remove the debris from the tank to recover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and to lift out of the tank for each membrane filtration unit and take it out, so that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in which the debris is entangled must be replaced with a new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do.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기 복수매의 각 중공사막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다공성 중공사막 사이의 간극의 일부를 다른 간극보다도 넓게 된 제2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복수매의 상기 중공사막 엘리먼트의 사이의 공극을 하방으로부터 유입하여 상방으로 흐르는 기액 혼합류의 일부는, 상기 넓게 형성된 간극을 가로질러 중공사막 엘리먼트 사이를 이동하여, 중공사막 엘리먼트 사이를 상승하는 기액 혼합류에 난류를 발생시키고, 주변의 간극이 좁은 제1 영역에 걸리거나 얽히려고 하는 찌꺼기를 흐름에 태워 상방으로 이동시켜, 막 여과 유닛의 외부로 반출한다. 이로 인해 장기간의 처리에 의해서도, 각 중공사막 엘리먼트에 찌꺼기가 경단 형상으로 굳어지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찌꺼기의 덩어리가 중공사막 엘리먼트 등에 부착되는 일도 없어지고, 또한 찌꺼기에 의해 복수의 다공성 중공사막이 묶이는 일도 없어, 장기의 사용에 잘 견딜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is invention, in order to avoid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2nd area | region which made a part of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several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which comprise each said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wider than another clearance gap is formed. A part of the gas-liquid mixed flow which flow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from below and moves upwards moves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across the widely formed gap, and rises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The turbulence is generated in the stream, and the residue, which is caught or entangled in the first region having a narrow gap, is transported upward and taken out to the outside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As a result, even after long-term treatment, it is difficult for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to harden in a dumpling shape, and the lumps of waste are not attach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or the like, and the plurality of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are not bound by the residue. It can withstand the use of organs well.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 상기 찌꺼기 배제 기구가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의 배열 설치 방향에 인접하는 중공사막 엘리먼트 사이의 일부 간격을 다른 간격보다도 크게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공사막 모듈의 배열 설치 방향에 인접하는 중공사막 엘리먼트 사이의 일부 간격을 다른 간격보다도 단순히 크게 하는 것뿐이라면, 예를 들어 상기 특허 문헌 2에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 문헌 2의 기재에 따르면, 시트 형상의 중공사막 엘리먼트의 상호간에 적당한 간극을 마련함으로써, 산기 발생 장치로부터의 기포에 의해 발생되는 기액 혼합류는,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둔 중공사막 엘리먼트 사이의 큰 간극 부분을 빠르게 상승하게 된다. 그로 인해 중공사막 엘리먼트는 효율적으로 스크러빙되는 동시에, 막 면으로의 고체의 흡착이 억제되면서, 여과 운전이 진행된다고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a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debris removal mechanism forms a part of the interval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adjacent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respectiv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s larger than the other intervals. Thus, for example, it is disclosed also in the said patent document 2 as long as som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adjacent to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direction of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simply made larger than another space | interval. However,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is Patent Document 2, by providing a suitable gap between the sheet-shaped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the gas-liquid mixed flow generated by the bubbles from the acid generator is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sandwiching the gap. The large gap of the part will rise quickly. As a result,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is efficiently scrubbed, and the adsorption of solids onto the membrane surface is suppressed while the filtration operation proceeds.

그리고 상기 간극의 거리가 지나치게 작으면, 복수의 기액 혼합류가 서로 충돌하여 상방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져, 중공사막 엘리먼트의 스크러빙이 효율적으로 행해지지 않아 세정 효과가 저하되고, 간극의 거리가 지나치게 크면, 기액 혼합류는 저항 없이 빠르게 상승하지만, 중공사막 엘리먼트와 접촉하기 어려워지므로, 적당한 세정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고 설명되어 있다.If the distance between the gaps is too small, a plurality of gas-liquid mixed streams collide with each other and are difficult to move upwards, the scrubbing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is not performed efficiently, and the cleaning effect is lower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gaps is too large. It is described that the gas-liquid mixed stream rises quickly without resistance, but becomes difficult to contact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so that a proper cleaning effect is not obtained.

즉, 특허 문헌 2에 있어서의 큰 간격은, 기액 혼합류의 적당한 상승류를 얻어, 에어 스크러빙 효과를 발휘하면서, 동시에 막 면으로의 오탁 물질의 흡착을 억제하면서 여과 운전을 원활하게 행하려고 하는 것이다.That is, the large space | interval in patent document 2 is trying to perform filtration operation smoothly, obtaining the moderate upflow of gas-liquid mixture flow, exhibiting an air scrubbing effect, and simultaneously suppressing adsorption of the contaminated substance to a membrane surface. .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상기 형태에 있어서, 중공사막 엘리먼트 사이의 간격을 다른 간격보다도 크게 하는 점에서는 상기 특허 문헌 2와 일치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찌꺼기 배제 기구가 상기 시트 형상의 인접하는 중공사막 엘리먼트 사이에 형성된 일부의 상기 큰 간격의 하단부 개구에 배치된 방해 부재를 배치하여, 상기 방해 부재에 의해 상기 개구를 차폐하도록 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개구로의 기액 혼합류의 유입을 차단하고 있다. 이 방해 부재는 가늘고 긴 판재로 이루어지고, 개구와의 사이에 간극을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판재를 기액 혼합류가 상기 개구에 인접하는 복수매의 중공사막 엘리먼트에 흐르도록 경사시켜 배치해도 좋다.On the other hand, in the said aspect of this invention, although coinciding with the said patent document 2 in the point which makes the space | interval between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larger than another space | interval, in this invention, the waste removal mechanism is between the adjacent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of the said sheet form. An obstruction member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large gap lower end opening formed in the second interposition member is disposed to shield the opening by the interference member, thereby substantially blocking the inflow of gas-liquid mixed flow into the opening. The obstruction member may be made of an elongated plate, and a gap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penings. In this case, you may arrange | position the said board | plate material so that gas-liquid mixture flows through the several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adjacent to the said opening.

이러한 구성에 의해, 중공사막 모듈의 하방으로부터 상승해 온 기액 혼합류는 방해 부재에 의해 통상의 간격으로 배열된 중공사막 엘리먼트를 향해 모아지고, 그 중공사막 엘리먼트 사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중공사막 엘리먼트 사이에 유입된 기액 혼합류는, 방해 부재의 상방에 형성된 큰 간격 영역으로 확산되어 방향을 바꾸면서, 그 간격 영역의 상방으로 세차게 흐른다. 이때의 횡단류와 상승류에 의해, 다공성 중공사막이나 중공사막 엘리먼트에 걸리려고 하는 찌꺼기나 경단 형상으로 굳어지려고 하는 찌꺼기를 중공사막 모듈로부터 외부로 반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공사막 엘리먼트 사이에 유입되는 찌꺼기는 다공성 중공사막에 걸리려고 하지만, 상기 중공사막을 가로질러 흐르는 횡단류가, 상기 중공사막에 걸리려고 하는 찌꺼기를 동반하여 방해 부재의 상방에 형성된 큰 간격 영역으로 운반하고, 상기 간격 영역을 상방을 향해 급격하게 상승하는 흐름에 태워 빠르게 중공사막 모듈 밖으로 유출시킨다.By this structure, the gas-liquid mixed flow which has risen from below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collected toward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y the obstruction member, and flows in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Thus, the gas-liquid mixed flow which flowed in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flows into the large space | interval area formed above the interference | blocking member, changes direction, and flows finely above the space | interval area. By the cross flow and the upward flow at this time, the residue which is going to be stuck to a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or a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and the residue which is going to harden to a tip shape are carried out from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o the exterior. In this way, the debris flowing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is intended to be caught by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but a large gap formed above the interfering member accompanied by debris flowing across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intended to be caught by the hollow fiber membrane. It is conveyed to an area | region and burns the said gap area | region in the flow which rises rapidly upwards, and flows out of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rapidly.

통상의 막 여과 유닛은 중공사막 모듈과 그 하방에 배치된 산기 발생 장치의 측 주변은 상하를 개방시킨 벽재로 둘러싸여 있다. 산기 발생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기포가 상승하여 오니와의 혼합류를 형성한다. 이 혼합류는, 막 여과 유닛의 중공사막 모듈을 통해 상승하여 상기 유닛의 상면 개구로부터 유출하고, 상기 유닛의 외측을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하강한 후, 상기 유닛의 저면 개구로부터 산기 발생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기포에 의해 발생하는 상승류와 합류하여 막 여과 유닛의 내부를 상승하고, 이것을 반복하여 막 여과 유닛의 내외를 상하로 순환하는 선회류를 만들고 있다.A conventional membrane filtration unit is surrounded by a wall material whose upper and lower sides are surrounded by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the side periphery of the acid generator generator disposed below it. Bubbles generated from the acid generator are raised to form a mixed flow with sludge. This mixed flow rises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flows out of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unit, and is lower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unit, and then discharged from the diffuser generator from the bottom opening of the unit. It joins with the upward flow which arises by a bubble, raises the inside of a membrane filtration unit, and repeats this, and produces the swirl flow which circulates up and down inside and outside of a membrane filtration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대표적인 형태와 같이, 상기 벽재의 하단부에 아래쪽이 넓어져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기액 혼합 선회류에 있어서 막 여과 유닛의 벽재의 주변을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흐르는 하강류가, 일단부는 스커트부에 있어서 점차 끝이 퍼지는 형상으로 넓어지지만, 동시에 산기 발생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기포에 의해 발생하는 기액 혼합 상승류에 의해 막 여과 유닛의 저면 개구의 중심부로 끌어당겨져 상방으로의 흐름이 되어, 스커트부가 없을 때보다도 다량의 기액 혼합 유량이 막 여과 유닛의 중공사막 모듈로 집약하면서 유입되게 된다.As in still another represent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wall member is provided with a skirt portion extending downward, the periphery of the wall member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in the above-described gas-liquid mixed swirl flows downward from above. The downward flow flowing toward the surface widens in the shape of the end portion gradually spreading in the skirt portion, but at the same time, it is attra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opening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by the gas-liquid mixed upward flow generated by the bubbles discharged from the acid generator. It is pulled out and flows upward, and a lot of gas-liquid mixing flow volume flows in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a membrane filtration unit rather than when there is no skirt part, and it flows in.

그로 인해, 중공사막 모듈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속이 증가하고, 상기 모듈의 구성 부재에 걸리려고 하는 찌꺼기는 기액 혼합류의 유속에 의해 상기 혼합류와 함께 상방으로 흘러, 막 여과 유닛의 외부로 운반된다. 따라서, 막 여과 유닛의 구성 부재에 걸리거나 경단 형상으로 굳어지는 찌꺼기가, 다복수의 공성 중공사막을 묶거나, 중공사막 엘리먼트에 부착되는 일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막 여과 유닛의 장기의 사용이 보증된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의 연장 길이가 1㎜보다 짧으면 기액 혼합류의 집약량이 지나치게 적어져 버려, 찌꺼기를 배제할 정도의 유량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1000㎜를 넘으면 집약하려고 하는 주변의 기액 혼합류의 유량이 지나치게 많아, 산기 발생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기포의 상승에 의한 기액 혼합류의 상승류만으로는, 그들 주변의 유량을 완전히 집약할 수 없고, 오히려 중공사막 모듈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량이 찌꺼기를 운반해 갈 정도의 유량에 도달하지 않아, 찌꺼기에 의한 여과 불량이 발생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의 상기 벽재의 하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직선에 대한 경사 각도가 10°보다 작으면 기액 혼합류의 집약량이 적어, 종래와 거의 바뀌지 않는 결과로 되어 버린다. 또한, 70°를 넘으면, 상기 하강류가 사방으로 확산되어 버리므로, 이른바 선회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flow velocity which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reases, and the waste which tries to be caught by the component member of this module flows upwards with the said mixed flow by the flow rate of a gas-liquid mixed flow, and conveys it to the exterior of a membrane filtration unit. do. Therefore, it is hard to bind the plurality of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or attach them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so that the particles caught in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or hardened into a tip-like shape rarely occur. Guaranteed. Moreover, when the extension length of the said skirt part is shorter than 1 mm, the dense amount of gas-liquid mixture flow will become too small, and the flow volume of the grade which excludes waste is not obtained. Moreover, when it exceeds 1000 mm, the flow volume of the surrounding gas-liquid mixture flow which is going to aggregate is too large, and only the upstream of the gas-liquid mixture flow by the rise of the bubble which arises from an acid generator can not fully aggregate the flow volume around them, Rather, the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does not reach the flow rate enough to carry the residue, so that poor filtration due to the residue is likely to occur. Moreover, when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perpendicular | vertical line extend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ower end part of the said wall material of the said skirt part is less than 10 degrees, the density | concentration of gas-liquid mixture flow is small, and it becomes a result which hardly changes with the conventional. In addition, when it exceeds 70 degrees, since the said downflow will spread in all directions, what is called a turning flow will not arise.

도 1은 본 발명의 막 여과 유닛이 적용되는 막 분리 활성 오니 처리 장치의 다개략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ructure of a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treatment apparatus to which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통상의 막 여과 유닛의 전체 구성을 일부 파단하여 도시하는 입체도이다.2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entir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embrane filtration unit broken.

도 3은 중공사막 모듈의 구성 부재인 중공사막 엘리먼트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structural exampl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which is a structural member of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상기 막 여과 유닛의 구성 부재 중 하나인 중공사막 모듈의 일례를 도시하는 입체도이다.4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at is one of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막 여과 유닛의 구성 부재 중 하나인 산기 발생 장치의 입체도이다.5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an acid generator generator that is one of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입체도이다.Fig. 6 is a three-dimens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상기 막 여과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외관도이다.7 is an exter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 미세 눈 스크린1: fine eye screen

2 : 원수 조정조2: raw water adjustment tank

3 : 무산소조3: anoxic tank

4 : 폭기조4: aeration tank

5 : 막 여과 유닛5: membrane filtration unit

6 : 순환액의 취출 부위6: extraction site of circulating fluid

7 : 처리 수조7: treatment tank

8 : 오니 저장조8: sludge storage tank

9 : 중공사막 모듈9: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0 : 중공사막 엘리먼트10: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10a : 중공사막10a: hollow fiber membrane

10g : 중공사막 엘리먼트군10g: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group

11 : 막 시트11: membrane sheet

11a : 포팅재11a: potting material

12 : 여과수 취출관12: filtered water outlet tube

12a : 여과수 취출구12a: filtered water outlet

12b : L형 이음12b: L type joint

13 : 하부 프레임13: lower frame

14 : 세로 레버14: vertical lever

15 : 산기 발생 장치15: acid generator

16 : 에어 도입관(분기 관로)16: air inlet pipe (branch pipe)

17 : 산기관17: diffuser

18 : 에어 주관18: air supervision

19 : 개폐 밸브19: on-off valve

20 : 상부 벽재20: upper wall material

21 : 집수 헤더관21: catchment header tube

21a : 집수구21a: catchment

21b : L형 이음21b: L type joint

21c : 급수구21c: water inlet

22 : 흡인 관로22: suction pipe

22a : 분기 관로22a: branch line

23 : 개폐 밸브23: on-off valve

24 : 하부 벽재(스커트부)24: lower wall material (skirt portion)

24a : 지지 기둥24a: support column

28 : 판재(찌꺼기 배제 기구)28: plate (drag removal mechanism)

P1 : 제1 송액 펌프P1: first liquid pump

P2 : 제2 송액 펌프P2: second liquid pump

Pv : 흡인 펌프Pv: Suction Pump

A : 제1 영역(미세 간극 영역)A: 1st area | region (fine clearance area | region)

B : 제2 영역(큰 간극의 영역)B: second area (area of large gap)

C : 폭기 블로워C: aeration blower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대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concretely based on a representative Example, referr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막 여과 유닛이 적용되는 활성 오니 처리 장치의 개략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1 shows an example of a schematic structure of an activated sludge treatment apparatus to which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 활성 오니 처리 장치에 따르면, 미세 눈 스크린(1)에 의해 비교적 큰 고형분이 제거된 배수(원수)는, 원수 조정조(2)로 도입된다. 여기서는, 액면을 도시하지 않은 액면 계측기에 의해 측정하고, 제1 송액 펌프(P1)를 간헐 작동하여 조 내의 액면 높이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조정하고 있다. 제1 액송 펌프(P1)에 의해 보내지는 원수는 무산소조(3)로 도입된 후, 무산소조(3)로부터 넘쳐 흐르는 원수를 사용하여 인접하는 폭기조(4)로 유입시킨다. 이 폭기조(4)에는 다수 기(基)의 막 여과 유닛(5)을 침지하여 배치하고 있다. 이 막 여과 유닛(5)에 의해 활성 오니와 처리수로 막 분리된 처리수는 흡인 펌프(Pv)에 의해 처리 수조(7)로 송액된다. 한편, 폭기조(4)에 의해 폭기 처리되어 육성된 오니의 고형분(현탁 물질)은, 자중에 의해 조 저부로 침전하고, 그 잉여 오니는 오니 저장조(8)에 저장된다. 또한, 폭기조(4)의 내부의 오니의 일부는 제2 액송 펌프(P2)에 의해 상기 무산소조(3)로 반송되어 순환한다.According to this activated sludge processing apparatus, the waste water (raw water) from which the relatively large solid content was removed by the fine eye screen 1 is introduced into the raw water adjustment tank 2. In this case, the liquid level is measured by a liquid level meter (not shown), and the first liquid feeding pump P1 is intermittently operated to adjust the liquid level in the tank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raw water sent by the first liquid pump P1 is introduced into the oxygen-free tank 3 and then flows into the adjacent aeration tank 4 using the raw water flowing from the oxygen-free tank 3. In this aeration tank 4,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of many groups is immersed and arrange | positioned. The treated water which has just been separated into the activated sludge and the treated water by this membrane filtration unit 5 is fed to the treated water tank 7 by the suction pump Pv. On the other hand, solid content (suspension material) of the sludge aerated by the aeration tank 4 and grown is settled to the tank bottom by its own weight, and the surplus sludge is stored in the sludge storage tank 8. In addition, a part of sludge inside the aeration tank 4 is conveyed to the anoxic tank 3 by the 2nd liquid feed pump P2, and it circulates.

이 막 분리 활성 오니 처리 장치에 따르면, 원수는 무산소조(3) 및 폭기조(호기조)(4)에 있어서, 활성 오니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정화된다. 질소의 제거는, 무산소조(3)와 폭기조(4)의 사이에서 오니를 순환시킴으로써, 이른바 질화 탈질 반응에 의해 이루어진다. BOD(생물 화학적 산소 요구량)로 환산되는 유기물은, 주로 폭기조(4) 내에 배치된 폭기 장치인 막 여과 유닛(5)의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호기적으로 산화되어 분해된다. 또한 인의 제거는, 오니 중의 미생물(인 축적 세균)의 작용에 의해 폴리인산으로서 미생물의 체내에 취입됨으로써 행해진다. 이 미생물은 호기 상태에 있어서 인을 취입하고, 혐기 상태에 있어서 체내에 축적한 인을 방출한다. 인 축적 세균은, 혐기 상태, 호기 상태에 반복하여 노출되면, 혐기 상태에서 방출한 인의 양보다 많은 인을 호기 상태에서 흡수한다.According to this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treatment apparatus, raw water is biologically purified by activated sludge in the oxygen-free tank 3 and the aeration tank 4. The nitrogen is removed by a so-called nitriding denitrification reaction by circulating sludge between the anoxic tank 3 and the aeration tank 4. The organic substance converted into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is oxidatively decomposed and decomposed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ion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which is mainly an aeration apparatus disposed in the aeration tank 4. Phosphorus removal is carried out by blowing into the body of microorganisms as polyphosphoric acid by the action of microorganisms (phosphorus accumulation bacteria) in sludge. The microorganisms take in phosphorus in aerobic state and release phosphorus accumulated in the body in anaerobic state. Phosphorus accumulating bacteria absorb more phosphorus in an aerobic state than the amount of phosphorus released in the anaerobic state when repeatedly exposed to anaerobic and aerobic conditions.

생물 유래의 배설물이나 사체 등의 질소 화합물의 일부는, 비료로서 식물이 나 박테리아로 동화된다. 또한, 이러한 질소 화합물의 일부는, 산소가 많은 호기 조건하에서 독립 영양 암모니아 산화 세균이나 독립 아질산 산화 세균에 의해 아질산, 질산으로 산화된다. 한편, 산소가 없는 혐기 조건하에서는, 탈질균이라 불리는 미생물이 산소 대신에 질산으로부터 아질산을 생성하고, 나아가서는 일산화이질소, 질소 가스로 환원한다. 이 환원 반응이 상기 질화 탈질 반응이라 칭해진다.Some nitrogen compounds, such as feces and dead bodies derived from living organisms, are assimilated into plants and bacteria as fertilizers. In addition, some of these nitrogen compounds are oxidized to nitrous acid and nitric acid by independent nutrient ammonia oxidizing bacteria or independent nitrite oxidizing bacteria under oxygen-rich aerobic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under anaerobic conditions without oxygen, microorganisms called denitrification bacteria produce nitrous acid from nitric acid instead of oxygen, and further reduce to dinitrogen monoxide and nitrogen gas. This reduction reaction is called the said nitriding denitrification reaction.

무산소조(3) 및 폭기조(4)의 사이에서의 오니의 순환은, 어느 쪽의 조로부터 펌프를 이용하여 송액할지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은 제2 액송 펌프(P2)를 이용하여 폭기조로부터 무산소조(3)로 송액하고, 무산소조(3)로부터 넘치는 흐름에 의해 폭기조(4)로 유입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폭기조(4)로부터의 순환액이 무산소조(3)로 들어가는 부위에 있어서의 DOC를 0.2㎎/L 이하로 하거나, 및/또는 폭기조(4)로부터 순환액을 취출하는 부위의 DOC를 0.5㎎/L 이하로 함으로써, 무산소조(3)로의 용존 산소의 유입을 억제하여, 무산소조(3) 내의 혐기도를 충분히 유지하고, 이에 의해 인의 방출을 촉진시킨다.The circulation of the sludge between the anoxic tank 3 and the aeration tank 4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ich of the tanks are to be fed using the pump, but is usually anoxic tank from the aeration tank using the second liquid feed pump P2. The liquid is fed into (3), and flowed into the aeration tank 4 by the flow overflowing from the oxygen-free tank 3. In this embodiment, DOC in the site | part where the circulating fluid from the aeration tank 4 enters the anoxic tank 3 is 0.2 mg / L or less, and / or DOC of the site | part which takes out a circulating fluid from the aeration tank 4 By setting it to 0.5 mg / L or less, the inflow of dissolved oxygen into the oxygen-free tank 3 is suppressed and the anaerobic in the oxygen-free tank 3 is sufficiently maintained, thereby promoting the release of phosphorus.

무산소조(3) 내에 용존 산소, 질산 이온, 아질산 이온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면 유기물이 혐기적으로 분해되고, 이때 균에 축적된 폴리인산이 인산으로서 균체 밖으로 방출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순환 오니가 폭기조(4)로부터 무산소조(3)로 반송되는 부위에 있어서의 DOC는 0.2㎎/L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L 이하이면 인의 제거성이 보다 안정되고, 또한 0.05㎎/L 이하로 하면 보다 안정화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DOC의 측정은 격막 전극법에 의한 통상의 DO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If substantially no dissolved oxygen, nitrate ions, or nitrite ions are present in the oxygen-free tank 3, organic matter is anaerobicly decomposed, and polyphosphoric acid accumulated in the bacteria is released out of the cells as phosphoric acid.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DOC in the site | part returned from the aeration tank 4 to the oxygen-free tank 3 shall be 0.2 mg / L or less, and when it is 1 mg / L or less, phosphorus removal property is more stable, Moreover, when it is 0.05 mg / L or less, since it stabilizes more, it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measurement of DOC can be measured using the normal DO system by a diaphragm electrode method.

폭기조(4)로부터 순환액(오니)을 취출하는 부위(6)의 DOC를 0.5㎎/L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폭기조(4)로부터 무산소조(3)로 오니를 취출하는 부위를 오니의 체류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니의 체류부라 함은, 폭기에 의한 오니의 유동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부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막 여과 유닛(5)과 폭기조(4)의 저부의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면, 막 여과 유닛(5)의 하방의 부분에 존재하는 오니는 잘 교반되지 않으므로, 체류부가 된다.In order to make DOC of the site | part 6 which draws out a circulating fluid (sludge) from the aeration tank 4 to 0.5 mg / L or less, the site | part which takes out sludge from the aeration tank 4 into an anaerobic tank 3 is made into the retention part of sludge. It is preferable. Retention part of sludge means the site | part which is hard to be influenced by the flow of sludge by aeration. For example, when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and the bottom of the aeration tank 4, sludge presen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is not stirred well, and thus becomes a retention portion.

따라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막 여과 유닛(5)의 위치보다도 하부로부터 오니를 취출함으로써, 폭기조(4)로부터 순환액(오니)을 취출하는 부위(6)의 DOC를 0.5㎎/L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폭기조(4) 내에 복수 기의 막 여과 유닛(5)이 병렬되어 배치되는 경우는, 순환액(오니)을 취출하는 부위를 폭기 장치의 하방으로 한다. 또한, 막 여과 유닛(5)으로부터 오니를 취출하는 부위까지의 거리는 20㎝ 이상 하방으로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30cm 이상 이격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 the sludge is taken out from the lower part than the position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so that DOC of the site | part 6 which takes out the circulating fluid (slow) from the aeration tank 4 shall be 0.5 mg / L or less. can do. In addition, when the several membrane filtration unit 5 is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in the aeration tank 4, the site | part which takes out a circulating fluid (sludge) is made below the aeration apparatus. Further, the distance from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to the portion from which the sludge is taken out is preferably spaced 20 cm or more downward, more preferably 30 cm or more.

폭기조(4) 내에 있어서의 오니의 유동은, 주로 막 여과 유닛(5)에 의한 폭기 부분에 있어서 공기의 분출구로부터의 기포의 상승에 수반하여 오니도 상승하고, 폭기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 오니가 하강하고, 이에 의해 전체가 교반된다. 이때, 폭기조(4) 내의 오니의 산소 이용 속도(rr)를 높게 유지하면, 폭기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 산소가 급속하게 소비되므로, 폭기조(4) 중에서 용존 산소가 낮아지는 부위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여기서, 폭기조(4) 내의 오니의 산소 이용 속도(rr)라 함은, 폭기조(4)의 폭기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취한 오니의 산소 이용 속도를 말하고, 측정 방법은 하수도 시험 방법(1997년, 사단법인 일본 하수도 협회)에 따라서 구할 수 있다.The flow of sludge in the aeration tank 4 mainly rises with the rise of bubbles from the air outlet of the air in the aeration portion by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and the sludge in the portion that is not aerated. It descends and the whole is stirred by this. At this time, if the oxygen utilization rate rr of the sludge in the aeration tank 4 is kept high, oxygen is rapidly consumed in the portion that is not aerated, and thus it is easy to form a portion where the dissolved oxygen is lowered in the aeration tank 4. Here, the oxygen utilization rate (rr) of the sludge in the aeration tank 4 means the oxygen utilization rate of the sludge taken from the aerated part of the aeration tank 4, and the measuring method is a sewage test method (1997, a corporation) It is available according to the Japan Sewerage Association).

도 2는 통상의 막 여과 유닛(5)의 대표적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막 여과 유닛(5)은, 중공사막 길이 방향을 수직으로 배치한 복수매의 중공사막 엘리먼트(10)를 병렬시켜 지지 고정된 중공사막 모듈(9)과, 상기 중공사막 모듈(9)의 하방에 소요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산기 발생 장치(1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중공사막 엘리먼트(10)는, 다수개의 다공성 중공사막(10a)을 평행하게 병렬시킨 중공사막 시트(11)의 상단부 개구 단부를 포팅재(11a)를 통해 여과수 취출관(12)에 연통 지지시키는 동시에, 하단부를 폐색하여 상기 포팅재(11a)를 통해 하부 프레임(13)에 의해 고정 지지시키고, 상기 여과수 취출관(12) 및 하부 프레임(13)의 각 양단부를 한 쌍의 세로 레버(14)에 의해 지지하여 구성된다. 다수매의 중공사막 엘리먼트(10)가, 시트면을 연직으로 하여 상하 단부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통 형상의 상부 벽재(20)의 거의 전체 용적 내에 수용되어 병렬 지지된다.2 show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conventional membrane filtration unit 5. As shown in FIG. 2,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includes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9 fixed in parallel with a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10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a hollow fiber membran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A diffuser generator 15 is disposed below the module 9 at intervals of the required amount.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10 communicates and supports the open end of the upp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sheet 11 in which a plurality of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10a are parallel to the filtrate extraction pipe 12 through the potting material 11a. At the same time, the lower end is blocked and fixedly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13 through the potting material 11a, and a pair of longitudinal levers 14 at each end of each of the filtered water outlet pipe 12 and the lower frame 13 are provided. It is supported by the structure. A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10 are accommodated and supported in parallel in almost the entire volume of the rectangular tubular upper wall material 20 whose upper and lower end faces are open with the sheet surface vertical.

여기서, 상기 중공사막 엘리먼트(10)는, 일반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다공성 중공사막이 동일한 간극을 갖게 하여 동일 평면 상을 병렬하여 배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다공성 중공사막(10a)을, 미리 설정된 소정 개수가 미소 간극을 갖고 배열한 제1 영역을 형성한 후, 상기 간극보다도 큰 간극을 갖는 제2 영역을 사이에 두고 동일한 개수의 다공성 중공사막(10a)을 동일한 미소 간극을 갖고 배열한 제1 영역을 형성한 후, 큰 간극을 갖는 제2 영역을 형성하고, 이것을 반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큰 간극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나 섬유 사조, 종이조각 등의 찌꺼기를 배제하기 위한 찌꺼기 배제 기구를 구성한다.Here,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10 is generally arranged in parallel on the same plane with a plurality of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having the same gap as shown in Fig. 2, but in this embodiment, Figs. As shown in FIG. 4, after forming the 1st area | region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said predetermined | prescribed predetermined number with a microgap, the said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10a is the same across the 2nd area | region which has a larger gap than the said gap. After forming the 1st area | region which arranged the number of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10a with the same microgap, the 2nd area | region which has a big gap is formed, and this is characterized by repeating this. The large gap constitutes a debris removal mechanism for removing debris such as fibers, fiber yarns, and pieces of paper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10a)은 중심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중공으로 된 PVDF(폴리불화비니덴)의 다공질 중공사가 사용되고 있고, 그 여과 구멍의 구멍 직경은 0.4㎛이다. 또한, 1매당의 유효 막 면적은 25㎡이다. 상기 시트 형상의 중공사막 엘리먼트(10)는 1막 여과 유닛(5)당 20매가 사용되고, 그 크기는 깊이가 30㎜, 폭이 1250㎜, 여과수 취출관(12)의 상면으로부터 하부 프레임(13)의 하면까지의 길이가 2000㎜이다. 산기 발생 장치(15)도 포함한 1막 여과 유닛(5)의 크기는, 깊이가 1552.5㎜, 폭이 1447㎜, 높이가 3043.5㎜이다. 상기 여과수 취출관(12)의 길이가 1280㎜, 그 재질은 ABS 수지이며, 세로 레버(14)의 재질은 SUS304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시예에 있어서는, 여과수 취출관(12)과 하부 프레임(13)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공성 중공사막(10a)의 총 수는 1575개, 이것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등분하여 525개마다 2개의 큰 간극을 갖는 제2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이 큰 간극을 20㎜로 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ollow hollow fiber 10a is a hollow hollow fiber of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which is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central portion thereof, and the pore diameter of the filtration hole is 0.4 mu m. The effective film area per sheet is 25 m 2. The sheet-shaped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10 is 20 sheets per membrane filtration unit 5, the size of which is 30 mm in depth, 1250 mm in width, and the lower frame 13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ed water outlet tube 12. The length up to the bottom surface of is 2000 mm. The size of the one-membrane filtration unit 5 which also included the diffuser generator 15 is 1552.5 mm in depth, 1447 mm in width, and 3043.5 mm in height. The length of the said filtered water extraction pipe 12 is 1280 mm, the material is ABS resin, and the material of the vertical lever 14 is SUS304. In addition,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he total number of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10a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filtrate water extraction pipe 12 and the lower frame 13 is 1575 pieces, and these are divided into three, as shown in FIG. 3, and 525 pieces. Each second region having two large gaps is formed. This large gap is set to 20 mm.

단, 다공성 중공사막(10a), 여과수 취출관(12) 및 세로 레버(14) 등의 재질, 중공사막 엘리먼트(10)의 크기, 1막 여과 유닛(5)의 크기나 유닛 1기당의 중공사막 엘리먼트(10)의 매수 등은, 용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중공사막 엘리먼트(10)의 매수로 말하면, 처리량에 맞추어 20매, 40매, 60매, …로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혹은 다공 중공사막(10a)의 재질에는, 셀룰로오스계, 폴리 올레핀계, 폴리술폰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불화에틸렌 등, 종래 공지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However, materials such as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10a, the filtered water extraction pipe 12, and the longitudinal lever 14, the siz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10, the size of the single membrane filtration unit 5,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per unit The number of elements 10 and the like can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the use. For example, in terms of the number of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10, 20, 40, 60,... It is possible to set arbitrarily, or to the material of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10a, conventionally known ones such as cellulose, polyolefin, polysulfone, polyvinyl alcohol, polymethyl methacrylate, polyfluorinated ethylene can be applied. Can be.

각 중공사막 엘리먼트(10)의 상기 여과수 취출관(12)의 일단부에는 각 다공성 중공사막(10a)에 의해 여과된 높은 수질의 처리수의 취출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취출구(12a)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막 여과 유닛(5)과 마찬가지로, 각각 L형 이음(12b)이 밀봉재를 통해 액밀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상부 벽재(20)의 상단부의 상기 취출구(12a)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단부 모서리를 따라 집수 헤더관(21)이 가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집수 헤더관(21)은 복수의 상기 취출구(12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에 집수구(21a)가 형성되어 있고, 각 집수구(21a)에 상기 취출구(12a)와 동일한 L형 조인트(21b)가 밀봉재를 통해 액밀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여과수 취출관(12)의 처리수 취출구(12a)와 상기 집수 헤더관(21)의 집수구(21a)가, 각각에 장착된 L형 이음(12b, 21b)끼리를 접속함으로써 통수 가능하게 연결된다. 집수 헤더관(21)의 일단부에는 흡인 펌프(Pv)와 흡인 관로(22)를 통해 접속되는 급수구(21c)가 형성되어 있다. 각 집수 헤더관(21)마다 형성된 급수구(21c)와 상기 흡인 관로(2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흡인 관로(22)로부터 각각 분기한 분기 관로(22a) 내에 개재 장착된 개폐 밸브(23)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At one end of the filtered water outlet tube 12 of each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10, a outlet 12a of the high quality treated water filtered by each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10a is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L-shaped joints 12b are mounted in liquid-tight manner through the sealing member in the same manner as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shown in FIG. 2 in each outlet 12a. In addition, a collecting header tube 21 is provided horizontally along an end edge of the side where the outlet 12a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wall 20 is formed. In this water collecting header tube 21, water collecting holes 21a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ir outlets 12a, respectively, and L-shaped joints 21b which are the same as the air outlet 12a in each water collecting port 21a. Is mounted liquid tightly through the sealant. The treated water outlet 12a of the filtered water outlet pipe 12 and the catchment port 21a of the catchment header tube 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the L-shaped joints 12b and 21b mounted thereon. . One end of the collecting header tube 21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ort 21c connected to the suction pump Pv and the suction pipe line 22. As shown in FIG. 1, the water supply port 21c and the suction pipe line 22 formed for each collection header tube 21 are opened and closed interposed in the branch pipe line 22a branched from the suction pipe line 22, respectively. It is connected via a valve 23.

한편, 상기 산기 발생 장치(15)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벽재(20)의 하단부에 결합된 동일하게 상하가 개방되는 직사각형 통체로 이루어지고, 그 4구석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4개의 지지 기둥(24a)을 구비한 하부 벽재(24)의 저부에 수용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산기 발생 장치(15)는, 상기 하부 벽재(24)의 정면측 내벽면을 따라 폭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 설치되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에 배치된 블로워(B)와 배관을 통해 접속되는 에어 도입관(분기 관로)(16)과, 상기 에어 도입관(분기 관로)(16)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배면측의 내벽면을 따라 수평으로 고정 설치된 복수개의 산기관(17)을 갖고 있다. 산기관(17)의 상기 에어 도입관(분기 관로)(16)과의 접속측 단부는 상기 에어 도입관(분기 관로)(16)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고, 산기관(17)의 타단부는 폐색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diffuser generator 15 is formed of a rectangular cylinder having the same upper and lower opening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wall material 20, and i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our corners. It is accommodating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wall material 24 provided with four support pillars 24a which extend. The diffuser generator 15 is installed horizontally along the front side inner wall surface of the lower wall member 24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a blower B arranged outside, via a pipe. The air inlet pipe (branch line) 16 to be connected and the air inlet pipe (branch line) 16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is fixedly installed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on the rear side. It has a plurality of diffusers 17 fixed horizontally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An end portion of the diffuser 17 connected to the air inlet pipe (branch pipe) 16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air inlet pipe (branch pipe) 16, and the other end of the diffuser pipe 17 is Occluded

도시예에 따르면, 이 산기관(17)의 본체는 슬릿이 부여된 고무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평으로 배치된 하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외로 연통되는 도시하지 않은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산기 발생 장치(15)는 상기 중공막 엘리먼트(10)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45㎝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 기둥(24a)을 하부 벽재(24)로부터 하방으로 돌출시켜, 외부에 노출시키는 것은 오니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이때, 폭기조(4)로부터 순환액(오니)을 취출하는 부위의 DOC를 0.5㎎/L 이하로 하기 위해, 막 여과 유닛(5)으로부터 오니를 취출하는 부위까지의 거리를,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20㎝ 이상 하방으로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30cm 이상 이격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산기 발생 장치(15)는 복수 기의 막 여과 유닛(5)마다 대응하여 배치되고, 동일한 폭기 블로워(C)로부터 보내지는 에어를, 각각의 산기 발생 장치(15)로 분류(分流)시키기 위해, 상기 폭기 블로워(C)에 직접 접속된 에어 주관(18)을 갖고, 상기 에어 주관(18)으로부터 각 산기 발생 장치(15)의 에어 도입관(분기 관로)(16)을 통해 접속된다.According to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he main body of this diffuser 17 is comprised from the rubber tube to which the slit was provided, The slit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which communicates in and o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arrange | positioned horizontally. The diffuser generator 15 is preferably disposed at intervals of 45 cm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hollow membrane element 10, and protrudes the support pillar 24a downward from the lower wall material 24, Exposure to the outside is desirable to facilitate the flow of sludge. At this time, in order to make DOC of the site | part which removes a circulating fluid (sludge) from the aeration tank 4 into 0.5 mg / L or less, the distance from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to the site | part which removes sludge as mentioned above was mentioned above. It is preferable to space apart 20 cm or more downward,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pace 30 cm or more. In addition, the diffuser generator 15 which concerns on a present Example is arrange | positioned correspondingly for every several membrane filtration unit 5, and the air sent from the same aeration blower C to each diffuser generator 15 is carried out. An air inlet pipe (branch pipe) 16 having an air main pipe 18 directly connected to the aeration blower C, for separating, from the air main pipe 18 to each of the acid generator generators 15. Connected via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도시예의 막 여과 유닛과 같이, 중공사막 엘리먼트(10)에 있어서 소정 개수의 다공성 중공사막(10a)을 미세한 간극을 갖고 병렬되어 있는 상기 미세 간극의 제1 영역(A)의 사이에 큰 간극(S)을 갖는 제2 영역(B)을 복수 설치하는 경우에도, 산기 발생 장치(15)로부터 방출된 미세 기포가 포함되어 상승하는 오니와의 기액 혼합류가, 막 여과 유닛(5)의 중공사막 모듈(9)의 내부 공간에 침입하면, 상기 기액 혼합류에 혼입되어 있는 섬유나 털, 혹은 섬유 사조나 종이조각 등의 찌꺼기도 상기 중공사막 모듈(9)의 내부 공간에 침입한다.Like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of the illustrated exampl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10, a predetermined number of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10a have a small gap between the first regions A of the fine gaps in parallel. Even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second regions B having a large gap S are provided in the air, the gas-liquid mixed flow with sludge that rises with the fine bubbles discharged from the acid generator generator 15 is contained in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Infiltrat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9, the fibers and hairs mixed in the gas-liquid mixture flow, or debris such as fiber thread or pieces of paper also invade the inner sp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9 .

이때의 중공사막 엘리먼트가, 다공성 중공사막을 종래와 같이 모두 동일한 미소 간극을 갖고 병렬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 중공사막 모듈(9) 내에 침입한 찌꺼기는 다공성 중공사막이나 하부 프레임, 여과수 취출관(12) 등에 걸려, 주변의 복수개의 다공성 중공사막을 꽉 묶어버리거나, 혹은 찌꺼기가 모여 서로 얽혀 경단 형상으로 굳어진 상태에서 중공사막 엘리먼트(10)의 막 면에 부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중공사막 모듈(9) 내의 각 막 엘리먼트 사이에 유입되는 기액 혼합류는 비교적 공간이 크기 때문에 유량이 많고, 그 대부분이 상승류로서, 중공사막 모듈(9)의 상부로 직접 향해 흘러, 상기 기액 혼합액에 혼입되어 있는 찌꺼기는 상단부의 여과수 취출관(12) 등에 걸리는 경우가 많다. 한편, 인접하는 다공성 중공사막 사이의 근소한 공간을 흐르는 기액 혼합류도 또한, 미세한 간극을 갖는 상기 제1 영역(A)에서는 횡단 방향으로의 흐름은 적은 데 더하여, 인접하는 다공성 중공사막 사이의 스크러빙에 의한 진동으로 인해 난류가 되고, 기액 혼합액에 혼입되어 있는 찌꺼기는, 방향성이 없는 흐름 중을 이동하여 주변의 다공성 중공사막 중 어느 하나에 걸려 버린다. 이것이 겹치는 중에, 주변의 다공성 중공사막과 얽혀, 복수개의 다공성 중공사막을 꽉 묶어 버린다.In this case, when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are configured in parallel with all the hollow hollow fiber membranes having the same minute gap as in the prior art, the residues infiltrated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9 ar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lower frames, and filtered water outlet tubes 12 Or the like, and a plurality of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are tightly bound together, or they are often attached to the membran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10 in a state where the debris gathers and is entangled with each other and hardened into a tip shape. This is because the gas-liquid mixed flows introduced between the membrane elements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9 have a relatively large space, so that the flow rate is large, and most of them flow upwar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9 as the upward flow. Debris mixed into the gas-liquid mixed solution is often caught in the filtered water outlet tube 12 or the like at the upper end. On the other hand, the gas-liquid mixed stream flowing in a small space between adjacent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also has a small flow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first region A having a minute gap, and furthermore, scrubbing between adjacent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is performed. Due to the vibration caused by the turbulence, the debris mixed into the gas-liquid mixed liquid moves in an undirected flow and is caught by any one of the surrounding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While this overlaps, it entangles with the surrounding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and bundles a som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tightly.

이와 같이 찌꺼기가 걸려 복수개의 다공성 중공사막(10a)을 묶어 버리면, 각 중공사막(10a)이 강하게 밀착되어, 중공사막의 여과 구멍을 서로 폐색해 버리므로 여과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잉여 오니가 조 밖으로 유출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찌꺼기의 덩어리가 생겨 막 면에 부착되면, 마찬가지로 중공사막의 여과 구멍의 눈을 막아 버려 여과 성능을 현저하게 저하시켜 버린다.In this way, when a plurality of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10a) are caught by the wastes, the respective hollow fiber membranes (10a) are strongly adhered to each other, and the filtration hole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s are blocked. It will leak out.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when a lump of waste arises and adheres to a membrane surface, the eye of the filtration hole of a hollow fiber membrane is similarly blocked, and the filtration performance will fall remarkably.

이에 대해, 도시예에 따르면, 인접하는 중공사막 엘리먼트(10)의 사이의 간격이 큰 제2 영역(B)의 공간을, 종래와 마찬가지로 큰 흐름을 만들어 상승하려고 하지만, 각 중공사막 엘리먼트(10)마다의, 소정 개수의 다공성 중공사막(10a)이 미소한 간극을 두고 병렬하는 상기 제1 영역(A)의 사이에 상기 큰 간극의 제2 영역(B)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중공사막 엘리먼트(10)의 사이의, 큰 공간을 상방으로 흐르려고 하는 다량의 흐름을, 상기 제1 영역(A)의 사이에 형성된 큰 간극의 제2 영역(B)을 경사 상방으로 횡단하도록 흐름을 변경시킨다. 그 결과, 상기 제1 영역(A)에서 발생하고 있는 난류가 상기 경사 상방으로 횡단하는 흐름을 향해 끌어당겨져, 각 다공성 중공사막(10a)을 가로지르는 흐름을 만든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다공성 중공사막(10a)에 걸리려고 하는 찌꺼기는, 상기 다공성 중공사막(10a)을 가로지르는 흐름을 타고 동일 방향으로 흘러, 다공성 중공사막(10a)에 걸리는 일이 없어진다. 그로 인해, 찌꺼기의 영향에 의해 다공성 중공사막(10a)의 여과 구멍을 막는 일이 없어져, 막 여과 유닛(5)의 장기간에 걸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xample of illustration, although the space of the 2nd area | region B with a large space | interval between adjacent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10 tries to raise | generate a large flow like a conventional thing, each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10 Since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10a form the second region B of the large gap between the first regions A in parallel with a small gap,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 The flow is changed so as to traverse a large amount of streams trying to flow a large space upward between 10) in a diagonally upward direction across the second region B of the large gap formed between the first regions A. As a result, the turbulence generated in the first region A is attracted toward the flow transversely above the inclination, thereby creating a flow across each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10a. As a result, for example, the debris which is going to be caught by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10a flows in the same direction through the flow which crosses the said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10a, and it does not get caught by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10a. Therefore, the filter hole of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10a is not blocked by the influence of the debris, thereby enabling the long-term use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도 6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따르면, 중공사막 모듈(9)의 중공사막 엘리먼트 간격을 등간격이 아닌, 예를 들어 상기 특허 문헌 2와 마찬가지로 일부의 간격을 넓게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일부의 중공사막 엘리먼트 사이의 간격을 다른 간격보다도 넓게 하고 있는데 더하여, 또한 그 넓은 간격에 의해 만들어지는 큰 구간의 하단부 개구에 하방으로부터 상승해 오는 기액 혼합류를 차단하도록 하여 방해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6 illustrates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6, the space | interval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9 is not equally spaced, but the some space | interval is enlarged similarly to patent document 2,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ing between som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is made wider than the other spacing, and further, the gas-liquid mixed flow which rises from below is blocked at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large section made by the wide spacing. The member is arrange | positioned,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도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해 부재로서 가늘고 긴 2매 1세트로 하는 판재(28)를 채용하고 있다.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판재(28)를 넓은 간격을 형성하는 동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중공사막 엘리먼트(10)의 각 하부 프레임(13)의 대향 단부 모서리를 따라 고정 설치하고 있다. 이때, 각 판재(28)의 대향 단부 모서리를 고정 설치 단부 모서리로부터 하방을 향해 약간 하방으로 경사시키고 있고, 그 선단부 대향 모서리 사이에 근소한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he board | plate material 28 used as one set of two elongate sheets is employ | adopted as the said obstacle memb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air of plate members 28 is fixedly installed along the opposite end edges of the lower frames 13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10 arranged at equal intervals to form a wide gap. . At this time, the opposite end edge of each board | plate material 28 is inclined slightly downward from the fixed installation end edge, and the slight gap is formed between the front-end | tip facing edges.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제2 실시예의 막 여과 유닛(5)에 있어서는, 중공사막 모듈(9)의 하방으로부터 중공사막 모듈(9)의 하면을 향해 상승하는 기액 혼합류는, 상기 한 쌍의 판재(28)에 의해 인접하는 중공사막 엘리먼트군(10g)을 향하도록 배분되어, 중공사막 엘리먼트(10) 사이에 형성된 넓은 간격의 공간에는 직접 침입하 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넓은 간격 공간에 인접하는 중공사막 엘리먼트군(10g)에 침입하는 기액 혼합류는, 상기 중공사막 엘리먼트군(10g)의 하방을 상승해 오는 기액 혼합류에 부가하여, 상기 판재(28)에 의해 배분된 기액 혼합류가 합류하게 된다.In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of the second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gas-liquid mixed streams ris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9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9 are formed by the pair of plate materials ( 28 is distributed so as to face the adjacent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group 10g, and does not directly invade the space of the wide space formed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10. FIG. Therefore, the gas-liquid mixed flow which penetrates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group 10g adjacent to the said large space | interval space is added to the gas-liquid mixed flow which rises below the said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group 10g, and the said board | plate material 28 The gas-liquid mixed streams distributed by the above are joined.

이와 같이 각 중공사막 엘리먼트군(10g)에 침입하는 기액 혼합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찌꺼기가 혼입되어 있다. 이 찌꺼기를 포함하는 기액 혼합류가 각 중공사막 엘리먼트군(10g)에 침입하면, 상기 판재(28)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는 넓은 간격 공간을 향해 강하게 흐르는 경사 상방으로의 흐름이 생긴다. 그로 인해,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액 혼합류에 혼입된 찌꺼기가 통과 도중의 다공 중공사막(10a)이나 막 면에 걸리려고 하지만, 그 흐름이 강하기 때문에, 걸리는 일 없이 상기 넓은 간극 공간으로 유도되고, 마지막에 상방으로 흐름을 타고 운반되어, 중공사막 모듈(9)의 상방으로부터 막 여과 유닛(5)의 벽재의 밖으로 배제된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찌꺼기의 영향에 의해 다공성 중공사막(10a)의 여과 구멍이 폐색되는 일이 없어져, 막 여과 유닛(5)의 장기간에 걸친 사용이 가능해진다.Thus, the above-mentioned wastes are mixed in the gas-liquid mixed stream which invades each 10 g of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groups. When the gas-liquid mixed stream containing this waste enters each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groups 10g, a flow upwardly inclines toward the wide spaced space formed above the plate 28. Therefore,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debris mixed into the gas-liquid mixture flows to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10a and the membrane surface during the passage, but because the flow is strong, it does not catch the large gap space. It is guided and finally flows upwards and is taken out of the wall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from above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9. As a result, similarly to the above embodiment, the filtration hole of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10a is not blocked by the influence of the residue, and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can be used for a long time.

도 7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3 실시예인 막 여과 유닛(5)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막 여과 유닛(5)의 산기 발생 장치(15)의 주변에 배치되는 상기 하부 벽재(24)가 하방으로 넓어지는 스커트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스커트부가, 본 발명의 찌꺼기 배제 기구를 구성한다. 그 밖의 구성은, 종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바뀌는 부분이 없 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의 구성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동시에 채용할 수도 있다.Fig. 7 shows the appearance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which is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s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FIG. 7, the lower wall material 24 arranged around the diffuser generator 15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forms a skirt portion which is widened downward. . This skirt part constitutes the waste removal mechanism of this invention.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not substantially changed from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Of course, either or both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may be employed simultaneously.

이와 같이, 막 여과 유닛(5)의 하단부를 스커트부로 하면, 상부 벽재(20)의 외측을 하방으로 흐르는 기포가 혼재하는 기액 혼합류는 스커트부를 따라, 일단은 확산 방향으로 흐르지만, 상기 스커트부를 넘은 흐름은, 막 여과 유닛(5)의 하단부에 설치된 산기 발생 장치(15)로부터 방출되는 기포의 상승에 의해 생성되는 기액 혼합류의 상승류로 유인되어 확대된 스커트 하단부 모서리로부터 내측으로 집약되어, 다량의 기액 혼합류를 발생시킨다. 이 모아진 상승류가 하단부의 개구 면적이 스커트부의 그것보다 작은 중공사막 모듈(9)의 하단부로 유입된다. 그 결과, 스커트부가 없을 때의 막 여과 유닛과 비교하면, 중공사막 모듈 내를 상방으로 흐르는 유량이 증가하여, 중공사막 엘리먼트(10)의 스크러빙 효과도 향상되는 것에 부가하여, 기액 혼합류에 혼입되어 있는 찌꺼기도 확실하게 이동시키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막 여과 유닛(5)의 수명 장기화를 달성할 수 있다.In this manner, when the lower end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is a skirt portion, the gas-liquid mixed flow in which bubbles flowing downward outside the upper wall material 20 flows along the skirt portion and one end flows in the diffusion direction, but the skirt portion is The excess flow is concentrated inwardly from the edge of the skirt lower end portion which is attracted to the upward flow of the gas-liquid mixture flow generated by the rise of the bubbles discharged from the air diffuser 15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Generates a large amount of gas-liquid mixture. This collected upward flow flows into the low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9 whose opening area at the lower end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kirt. As a result, compared with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when there is no skirt part, the flow volume which flows upwards inside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reases, and also the scrubbing effec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10 improves, and it mixes in gas-liquid mixture stream,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any debris is moved. As a result, similar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life of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5 can be extended.

또한 상기 스커트부는, 그 수평 방향의 연장 길이를 1㎜보다 짧게 하면, 기액 혼합류의 집약량이 거의 없는 것과 동등해져, 찌꺼기를 배제할 정도의 큰 유량의 증가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1000㎜를 넘으면 집약하려고 하는 주변의 기액 혼합류의 유량이 지나치게 많아, 산기 발생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기포의 상승에 의한 기액 혼합류의 상승류만으로는, 그들 주변의 유량을 완전히 집약할 수 없게 되고, 오히려 중공사막 모듈(9)의 내부를 통과하는 기액 혼합류가 찌꺼기를 확실하게 모듈 밖으로 운반해 가는 유량에 도달하지 않아, 찌꺼기에 의한 여과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의 상기 벽재의 하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직선에 대한 경사 각도(α)를 10°보다 작게 하면 기액 혼합류의 증가량이 적어, 종래와 거의 바뀌지 않는 결과가 되어 버린다. 또한, 70°를 넘으면, 상기 하강류가 사방으로 확산되어 버리므로, 이른바 선회류의 발생 자체를 소멸시켜 버려, 오니의 혼합 작용이 저하된다.When the length of the skirt is shorter than 1 m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kirt portion becomes equivalent to that in which the amount of gas-liquid mixed flow is little, and an increase in flow rate that is large enough to exclude debris cannot be expected. Moreover, when it exceeds 1000 mm, the flow volume of the gas-liquid mixture flow around which it is going to aggregate will be too much, and only the upflow of the gas-liquid mixture flow by the rise of the bubble which arises from an acid generator will not be able to fully aggregate the flow volume around them. On the contrary, the gas-liquid mixed stream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9 does not reach the flow rate for reliably transporting the debris out of the module, so that poor filtration due to the debris easily occurs. Moreover, when the inclination angle (alpha) with respect to the perpendicular | vertical line extend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ower end part of the said wall material of the said skirt part is less than 10 degrees, the amount of increase of gas-liquid mixture flow will be small, and will become the result which hardly changes with the conventional. Moreover, if it exceeds 70 degrees, since the said downflow will spread | diffused in all directions,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what is called a swirl flow will extinguish itself, and the mixing action of sludge will fal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서술한 것이지만,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지만,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균등 영역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해진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described typic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ny of the above-described first to third examples may be employed, but the first to third examples may be appropriately combined.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qual range of a claim.

Claims (4)

혐기조와 호기조를 구비하고, 상기 호기조에는 막 여과 유닛이 침지되고, 배수를 순차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활성 오니와 처리수로 분리하는 활성 오니 처리법에 적용되는 막 여과 유닛이며, 상기 막 여과 유닛은,A membrane filtration unit having an anaerobic tank and an aerobic tank, wherein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is immersed in the aerobic tank, and applied to an activated sludge treatment method for biologically treating wastewater and separating the activated sludge and the treated water. 다수의 다공성 중공사를 미세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하여 얻어지는 시트 형상의 복수매의 중공사막 엘리먼트가, 그 다공성 중공사를 수직 방향을 향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중공사막 모듈과,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모듈의 하단부를 향해 미소한 기포를 방출하고,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선회하는 기액 혼합류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sheet-lik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obtain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orous hollow fibers in parallel with a fine gap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porous hollow fiber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ward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microbubble disposed under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emitting microbubbles toward the lower end of the module, and generating a gas-liquid mixture flowing vertically between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t is provided with a generation unit, 상기 막 여과 유닛에 있어서의 중공사막 모듈의 각 중공사막 엘리먼트가, 상기 중공사막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다공성 중공사막 사이의 간극이 미소한 제1 영역과 그 미소 간극 영역의 사이에 넓은 간극을 형성한 제2 영역을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여과 유닛.Each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 the membrane filtration unit has a wide gap between the first region where the gap between th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s form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 is minute and the minute gap region. A membrane filtration unit, comprising two reg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병렬 방향에 인접하는 복수의 중공사막 엘리먼트 사이의 일부 간격이 넓게 형성되고, 그 일부 간격의 기액 혼합류의 하단부 도입구에 방해 부재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여과 유닛.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rt of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 elements adjacent to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formed wide, and an obstruction member is arranged at the lower end inlet of the gas-liquid mixture flow at a part of the spacing. Membrane filtration uni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막 여과 유닛은, 상기 중공사막 모듈과 상기 미세 기포 발생부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하여 배치되고 상하를 개방시킨 벽재를 갖고, 상기 벽재의 하단부에는 아래쪽이 넓어져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여과 유닛.The said membrane filtration unit is a wall material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periphery of the sai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the said microbubble generation part may be open | released,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were opened, and the lower end part of the said wall material widens, A membrane filtr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extended skirt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의 수평 방향의 연장 길이는 1㎜ 이상 1000㎜ 이하이고, 상기 스커트부의 상기 벽재의 하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직선에 대한 경사 각도는 10°이상 70°이하인, 막 여과 유닛.The film | membrane of Claim 3 whose extension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aid skirt part is 1 mm or more and 1000 mm or less, and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perpendicular | vertical line extend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ower end part of the said wall material of the said skirt part is 10 degrees or more and 70 degrees or less. Filtration unit.
KR1020097025784A 2007-05-14 2007-05-14 Membrane filter unit KR10126010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9899 WO2008139617A1 (en) 2007-05-14 2007-05-14 Membrane filter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976A true KR20100022976A (en) 2010-03-03
KR101260105B1 KR101260105B1 (en) 2013-05-02

Family

ID=4000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784A KR101260105B1 (en) 2007-05-14 2007-05-14 Membrane filter unit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28316B2 (en)
EP (1) EP2147714A4 (en)
JP (1) JP5456253B2 (en)
KR (1) KR101260105B1 (en)
CN (1) CN101820980B (en)
AU (1) AU2007353014B2 (en)
WO (1) WO2008139617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937B1 (en) * 2011-05-27 2013-06-11 디에이치엠(주) Concentration apparatus for methane fermentation
WO2015046980A1 (en) * 2013-09-30 2015-04-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Hollow fibre membrane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header apparatus for hollow fibre membrane module and hollow fibre membrane restraining apparatus
KR101960727B1 (en) * 2018-11-08 2019-07-31 주식회사 디어포스멤브레인스 Membrane module with air duffser and water treatment system use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00747T3 (en) * 2008-10-03 2013-04-12 Vlaamse Instelling Voor Technologisch Onderzoek (Vito) Filtration module of capillary membranes
US8241495B2 (en) * 2009-08-28 2012-08-1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iltration module including membrane sheet with capillary channels
DE202010002566U1 (en) * 2010-02-19 2011-10-05 Enveko Gmbh Apparatus for cleaning sewage containing impurities
JP5770990B2 (en) * 2010-09-22 2015-08-26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Air diffuser, diffuser unit and submerged membrane unit
US9541302B2 (en) * 2011-06-03 2017-01-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at panel contactors and methods
CN102276079A (en) * 2011-07-29 2011-12-14 郑州银科尔科技有限公司 Membrane air floatation separation method and matched device thereof
KR20130035415A (en) * 2011-09-30 2013-04-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Aeration unit and filte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9278317B2 (en) * 2011-12-09 2016-03-08 Lotte Chemical Corporatio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with miniskeins in miniheaders having a zig-zag configuration
JP2015157231A (en) * 2012-06-15 2015-09-03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Cassette type membrane unit
KR101364344B1 (en) * 2012-12-14 2014-02-1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tering apparatus
WO2014098874A1 (en) * 2012-12-20 2014-06-26 General Electric Company Vinasse treatment for water reuse, fertilizer and biogas production
KR101364362B1 (en) * 2012-12-28 2014-02-1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tering apparatus
WO2016181803A1 (en) * 2015-05-11 2016-11-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Filtration device
KR101902638B1 (en) * 2016-11-30 2018-09-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Membrane filtration system
KR101902640B1 (en) * 2016-11-30 2018-09-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Membrane filtration system
JP6819878B2 (en) * 2017-06-22 2021-01-27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Treatment methods and equipment for organic sewage containing fibrous substances
CN109574228B (en) * 2019-01-08 2021-11-19 深圳市兴派建筑工程有限公司 Contact oxidation pond and district sewage treatment system
EP3771486A1 (en) * 2019-07-31 2021-02-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mbrane module for gas humidification
EP4168161A4 (en) * 2020-06-19 2024-05-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tactor module and contactor panel including contactor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8424A (en) * 1990-08-17 1993-09-28 Zenon Environmental Inc. Frameless array of hollow fiber membranes and method of maintaining clean fiber surfaces while filtering a substrate to withdraw a permeate
EP0510328B1 (en) * 1991-03-07 1995-10-04 Kubota Corporation Apparatus for treating activated sludge
WO1993015827A1 (en) * 1992-02-12 1993-08-19 Mitsubishi Rayon Co., Ltd. Hollow yarn membrane module
JPH07299337A (en) * 1994-05-10 1995-11-14 Mitsubishi Rayon Co Ltd Membrane module
JPH08257372A (en) 1995-03-22 1996-10-08 Mitsubishi Rayon Eng Co Ltd Hollow yarn membrane module assembly
JPH0947762A (en) 1995-05-29 1997-02-18 Toto Ltd Membrane module for waste water treatment and waste water treatment device and waste 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EP0846023B1 (en) * 1995-08-11 2002-10-23 Zenon Environmental Inc. Vertical skein of hollow fiber membranes and method of maintaining clean fiber surfaces
US6656356B2 (en) * 1998-10-09 2003-12-02 Zenon Environmental Inc. Aerated immersed membrane system
JP3633704B2 (en) * 1996-02-13 2005-03-30 三菱レイヨ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Membrane separation biological treatment method of wastewater
JP3322206B2 (en) * 1998-03-06 2002-09-09 栗田工業株式会社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device
JP4285805B2 (en) 1998-09-10 2009-06-24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Membrane separation device and membrane separation method
EP1911510B1 (en) * 1998-08-12 2010-10-06 Mitsubishi Rayon Co. Ltd. A membrane separator assembly
JP2000051672A (en) * 1998-08-12 2000-02-22 Mitsubishi Rayon Co Ltd Membrane separator
US6280626B1 (en) * 1998-08-12 2001-08-28 Mitsubishi Rayon Co., Ltd. Membrane separator assembly and method of cleaning the assembly utilizing gas diffuser underneath the assembly
TWI222895B (en) * 1998-09-25 2004-11-01 Usf Filtration & Separations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membrane filtration modules
JP3962284B2 (en) * 2002-05-31 2007-08-22 日本下水道事業団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JP4666902B2 (en) 2003-11-13 2011-04-06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MLSS control method
TWI277440B (en) * 2004-12-14 2007-04-01 Asahi Kasei Chemicals Corp Hollow fiber membrane cartridge
JP5438879B2 (en) * 2005-12-01 2014-03-1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Membrane filtration uni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937B1 (en) * 2011-05-27 2013-06-11 디에이치엠(주) Concentration apparatus for methane fermentation
WO2015046980A1 (en) * 2013-09-30 2015-04-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Hollow fibre membrane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header apparatus for hollow fibre membrane module and hollow fibre membrane restraining apparatus
US10155202B2 (en) 2013-09-30 2018-12-18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Hollow fibre membrane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header apparatus for hollow fibre membrane module and hollow fibre membrane restraining apparatus
KR101960727B1 (en) * 2018-11-08 2019-07-31 주식회사 디어포스멤브레인스 Membrane module with air duffser and water treatment system use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8139617A1 (en) 2010-07-29
KR101260105B1 (en) 2013-05-02
WO2008139617A1 (en) 2008-11-20
CN101820980A (en) 2010-09-01
CN101820980B (en) 2013-08-28
EP2147714A1 (en) 2010-01-27
US20100200481A1 (en) 2010-08-12
AU2007353014B2 (en) 2011-06-23
US8728316B2 (en) 2014-05-20
EP2147714A4 (en) 2012-05-30
JP5456253B2 (en) 2014-03-26
AU2007353014A1 (en) 200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105B1 (en) Membrane filter unit
JP5438879B2 (en) Membrane filtration unit
JP5366402B2 (en) Water treatment method
JP5751294B2 (en) Membrane filtration unit
US65116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water
JP5308028B2 (en) Cleaning method for air diffuser
WO2004050221A1 (en) Mixing chamber
JP5448287B2 (en)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treatment equipment
JP5094022B2 (en) Aeration device and membrane filtration unit applied when collecting filtrate of solid-liquid mixed processing liquid
JP5636862B2 (en)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JP5448285B2 (en)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treatment method
JP5059438B2 (en) Membrane separator
US20100089828A1 (en) Membrane bioreactor for phosphorus removal
JP2004276011A (en) Floating island type water cleaning apparatus
JP2006289152A (en) Method of treating organic waste water and apparatus thereof
JP5016827B2 (en)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treatment method
CN211664791U (en) Multistage AO + MBR is from reflux reactor
KR101860635B1 (en) Membrane module for membrane bioreactor
KR20080104899A (en)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fluidized bed media
JP2007167774A (en) Apparatus for treating activated sludge
CN204588815U (en) A kind of waste disposal plant
KR20040015538A (en) Equipment and method of river water treatment using carrier-less continue purification process
JP2007029865A (en) Biological treatment apparatus for waste liquid
JP2000024679A (en) Treating device of high concentration sew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