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769A - 동축접촉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축접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769A
KR20100021769A KR1020080080374A KR20080080374A KR20100021769A KR 20100021769 A KR20100021769 A KR 20100021769A KR 1020080080374 A KR1020080080374 A KR 1020080080374A KR 20080080374 A KR20080080374 A KR 20080080374A KR 20100021769 A KR20100021769 A KR 20100021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upper frame
signal
contact
interpo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8562B1 (ko
Inventor
이맹열
이용구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주)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080080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5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01R24/7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동축접촉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시스템은 외부의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에 동축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커넥터와 상기 동축커넥터를 복수개 장착시키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동축커넥터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신호도전체와 상기 신호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핀,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신호핀과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신호핀을 둘러싸는 원통형상의 바디로서, 상기 바디의 외측에는 상기 바디의 직경보다 작지 않은 길이의 변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의 외측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 내측에 내측돌출부가 형성되는 상기 바디 및 상기 신호핀의 외면을 둘러쌓아 상기 신호핀을 상기 바디로부터 절연시키며, 상기 내측돌출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유전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동축접촉시스템{Coaxial contact system}
본 발명은 동축접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축케이블과 검사대상장치의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를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할 수 있는 동축접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동축케이블은 케이블 중심에 놓인 신호 도전체, 이를 둘러싸는 절연물질, 접지 그리고 최 외각의 외부실드(shield)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심의 신호 도전체를 동심원의 축으로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동심원구조에 의해서 일반적인 전선에 비하여 전기적인 간섭을 적게 받으면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동축케이블은 테스트장치나 분석기, 정밀한 전기, 전자장치의 검사를 하는 경우, 전기적인 신호를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전달할 수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동축케이블을 검사대상이 되는 장치의 패드들에 안정하게 접속시키면서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동축케이블로부터 검사대상 장치의 패드들로의 신호전송이 최단 경로가 되어 가능한 한 신호 왜곡이 없도록 하는 커넥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축 케이블이 연결되는 동축커넥터가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파인피치(fine-pitch)로 고정되고, 탄성이 있는 인터포저에 의해 동축케이블의 신호도전체 및 접지가 외부 패드에 접촉되는 동축접촉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시스템은 외부의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에 동축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커넥터와 상기 동축커넥터를 복수개 장착시키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동축커넥터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신호도전체와 상기 신호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핀,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신호핀과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신호핀을 둘러싸는 원통형상의 바디로서,
상기 바디의 외측에는 상기 바디의 직경보다 작지 않은 길이의 변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의 외측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 내측에 내측돌출부가 형성되는 상기 바디 및 상기 신호핀의 외면을 둘러쌓아 상기 신호핀을 상기 바디로부터 절연시키며, 상기 내측돌출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유전체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핀은 끝단이 납작한 단추형상이어서 상기 유전체의 상부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인터포저와 접촉시 동축케이블 방향으로 밀리지 않는 구조이며, 상기 신호핀의 끝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동축커넥터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원통형 홀들을 구비하며, 상기 외측돌출부 하부의 바디 부분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홀로 삽입되어 상기 외측돌출부 하면 부분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면에 접촉고정 되고,
상기 외측돌출부 상부의 바디 부분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홀로 삽입되어 상기 외측돌출부 상면 부분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 접촉고정 되며,상기 상부프레임은 삽입된 바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터포저를 통해 상기 접지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금속 재질이다.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외측돌출부의 상면 사이에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동축커넥터의 전기적 연결 경로를 짧게 형성하기 위한 탄성접지연결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탄성접지연결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홀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인터포저홀들을 구비하는 얇은 판형상이며, 상기 인터포저홀들 4개로 둘러 쌓인 공간에는 각각 4개의 상기 인터포저홀들 방향으로 돌출되어있는 탄성 접촉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탄성 접촉부는 위, 아래로 교대로 휘어져 있어 상부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외측돌출부의 상면에 접촉된다.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 사이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신호핀의 끝단이 각각 상기 접지패드 및 상기 신호패드에 전기적으로 탄성 접촉하게 하는 인터포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인터포저는 상기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와 상기 신호핀의 끝단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면이 각각 접촉하게 하는 탄성을 가지는 접촉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관통홀들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핀이 상기 관통홀들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시스템은 사각 형상의 외측 돌출부가 상부 및 하부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지지되어 고정됨으써 동축커넥터들 사이의 파인피치(Fine-pitch) 배열이 가능하고, 탄성접지연결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동축커넥터의 접지가 상부 프레임에 짧은 패스로 연결되어 신호의 손실 및 왜곡을 최소화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신호핀은 인터포져와 접촉시 뒤로 밀리지 않고, 접지와 연결된 상부 프레임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신호핀들 사이의 평탄도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시스템(100)은 외부의 신호패드(미도시) 및 접지패드(미도시)에 동축케이블(21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커넥터와 동축커넥터를 복수개 장착시키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110, 120)을 구비한다. 도 1에는 후술되는 탄성접지연결부(140)가 함께 개시된다.
본 발명은 외측에 사각형상의 외측돌출부(223)를 가지는 동축커넥터를 하부프레임(120)과 상부프레임(110)에 형성된 홀들(HU, HD)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형태로 구현된 동축접촉시스템을 탄성을 가지는 인터포저(미도시)를 이용하여 외부의 신호패드와 접지패드에 연결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동축접촉시스템의 구조와 동작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동축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동축커넥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및 도 3을 참조하면, 동축커넥터는 동축케이블(210)의 신호도전체(215)와 신호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핀(230)과 바디(220) 및 유전체(250)를 구비한다. 바디(220)는 동축케이블(210)의 접지(213)와 직접 연결되며, 신호핀(230)과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신호핀(230)을 둘러싸는 원통형상이다.
바디(220)의 외측에는 바디(220)의 직경보다 작지않은, 즉 동일하거나 큰 길이의 변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의 외측돌출부(223)가 형성되고, 바디(220) 내측에 내측돌출부(225)가 형성된다. 외측돌출부(2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20)의 상단부 일부를 둘러싸는 육면체 형상이다. 도 2에는 외측돌출부(223)의 한변의 길이가 바디(220)의 직경보다 조금 긴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외측돌출 부(223)의 한변의 길이는 바디(220)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유전체(250)는 바디(220) 및 신호핀(230)의 외면을 둘러쌓아 신호핀(230)을 바디(220)로부터 절연시키며, 내측돌출부(225)에 의하여 고정된다. 도 2와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동축커넥터는 동축케이블(210)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는 바디(220)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돌출부(223)가 형성되며 사각형상을 가진다.
동축커넥터의 바디(220)는 원통형상이지만 외측돌출부(223)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바디(220)를 둘러싸는 사각형 형상이다. 외측돌출부(223)의 사각형의 변의 길이가 바디(220)의 직경과 작지 않으므로 외측돌출부(223)의 네 귀퉁이 부분(모서리 부분)은 도 2와 같이 일정한 면적의 상면과 하면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사각형 구조의 외측돌출부(223)의 모서리 부분의 상면과 하면이 상부프레임(110)의 하면과 하부프레임(120)의 상면에 걸려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의 홀(HU, HD)의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된다. 이러한 외측돌출부(223)에 의해서 동축커넥터의 위치가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다.
바디(220)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돌출부(225)를 구비한다. 또한, 내측돌출부(225)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외측돌출부(223)의 대응되는 내측에 위치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측돌출부(225)는 외측돌출부(223)의 아래쪽 또는 위쪽에 대응되는 바디(220) 내측으로 위치할 수 있다.
내측돌출부(225)의 상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250)와 맞닿아 유전체(25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신호핀(230)은 동축케이블(210)의 신호도전체(215)와 연결핀(235)에 의해서 결합된다. 연결핀은 양측단에 홈이 형성되고, 그 홈으로 신호도전체(215)와 신호핀(230)이 삽입되어 연결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신호핀(230) 자체가 일측단에 홈을 구비하여 그 홈으로 신호도전체(215)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신호핀(230)은 끝단(233)이 납작한 단추형상이어서 도 3에서처럼 유전체(25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유전체(250)가 내측돌출부(225)에 의해서 고정되므로, 따라서 신호핀(230)과 신호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인터포저(미도시)와 신호핀(230)이 접촉하는 경우에도 신호핀(230)이 뒤로 밀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인터포저(미도시)의 접촉힘(contact force)에 의해서 신호핀(230)이 뒤로 밀리면 신호핀(230)과 인터포저의 접촉이 불안해지고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신호핀(230)은 인터포저와 접촉하는 경우에도 뒤로(동축케이블 방향) 밀리지 않기 때문에 인터포저와의 확실한 접촉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신호핀(230)의 끝단(233)이 상부프레임(11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그러므로, 신호핀(230)과 상부프레임(110) 사이의 평단도가 매우 우수하며, 인터포져의 탄성접촉길이가 짧더라도 신호핀(230) 및 상부프레임(110)과 인터포저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은 동축커넥터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 의 원통형 홀들(HU, HD)을 구비한다. 동축커넥터의 외측돌출부(223) 하부의 바디(220) 부분이 하부프레임(120)의 홀(HD)로 삽입되어 외측돌출부(223)의 사각형상의 모서리의 하면(육면체 형상의 네 귀퉁이 부분의 하면) 부분이 하부프레임(120)의 상면, 정확히는 하부프레임(120)의 상면에 형성된 홀(HD) 가장자리에 접촉 고정된다.
동축커넥터의 외측돌출부(223) 상부의 바디(220) 부분이 상부프레임(110)의 홀(HU)로 삽입되어 외측돌출부(223)의 사각형상의 모서리의 상면(육면체 형상의 네 귀퉁이 부분의 상면) 부분이 상부프레임(110)의 하면, 정확히는 상부프레임(110)의 하면에 형성된 홀(HU) 가장자리에 접촉 고정된다.
이렇게 외측돌출부(223)를 이용하여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에 동축커넥터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이용하면 동축커넥터의 신호핀(230)과 이웃한 신호핀(230) 사이의 거리(피치)를 줄일 수 있어서 협피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즉, 사각 형상의 외측 돌출부(223)가 상,하부 프레임(110, 120)의 홀(HU)들 사이의 남는 공간에 지지되어 고정됨으써 동축커넥터의 파인피치(Fine-pitch) 배열이 가능하다.
상부프레임(110)은 삽입된 바디(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포저(미도시)를 통해 접지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금속 재질을 가진다. 그러나, 하부프레임은 금속재질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1의 탄성접지연결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탄성접지연결부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접촉시스템(100)은 상부프레임(110)의 하면과 외측돌출부(223)의 상면 사이에 상부프레임(110)과 바디(220) 사이의 전기적 연결 경로를 짧게 하기 위한 탄성접지연결부(140)를 더 구비한다.
탄성접지연결부(140)는 상부프레임(110)의 홀들(HU)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인터포저홀들(IH)을 구비하는 얇은 판형상이다.
동축커넥터의 외측돌출부(223)의 상부 바디(220)가 상부프레임(110)의 홀(HU)에 삽입되는 데, 이때, 외측돌출부(223)의 상면과 상부프레임(110) 사이에 탄성접지연결부(140)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외측돌출부(223)의 상부 바디(220)가 탄성접지연결부(140)의 인터포저홀(IH)에 삽입되면서 외측돌출부(223)의 모서리 상면이 탄성접지연결부(140)의 인터포저홀(IH)의 가장자리 공간과 접촉된다. 그리고, 그 위로 상부프레임(110)의 하면이 다시 접촉된다.
이때, 전기적인 접촉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탄성접지연결부(140)의 인터포저홀들(IH) 4개로 둘러 쌓인 공간에는 각각 4개의 인터포저홀들(IH) 방향으로 돌출되어있는 탄성접촉부(ECT)가 형성된다.
각각의 탄성접촉부(ECT)는 위, 아래로 교대로 휘어져 있어(도 5참조) 상부프레임(110)의 하면과 외측돌출부(223)의 상면에 의해 눌리면서 상부프레임(110)과 바디(220)의 전기적 접촉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그라운드 연결패스가 짧아진다.
인터포져는 상부프레임(110)에 연결되어 각각의 동축커넥터의 접지와 전기적 인 연결이 되므로 상부프레임(110)과 동축커넥터의 바디는 반드시 접촉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신호의 손실 및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신호핀(230)및 접지와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가 최대한 짧게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부프레임(120)과 동축커넥터 사이의 접촉에 의해서가 아닌 상부프렘임(110)과 동축커넥터간의 접촉 길이가 중요하다. 따라서 탄성접촉부(ECT)를 이용하여 상부프레임(110)과 동축커넥터의 바디(220) 사이를 확실하게 연결한다.
만일 탄성접지연결부(140)가 없이 상부프레임(110)을 동축커넥터와 체결하기 전에 모든 동축커넥터의 바디를 상부프레임(110)에 납땜 등의 방법으로 연결하면 향후 동축커넥터 각각의 교체나 수리가 불가능하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접지연결부(140)를 이용하여 탄성 접촉 방식으로 상부프레임(110)과 동축커넥터의 바디(220)를 연결시킨다.
도 6은 인터포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인터포저의 측면도이다.
동축접촉시스템(100)은 상부프레임(110)과 신호패드(미도시) 및 접지패드(미도시) 사이에 상부프레임(110)의 상면과 신호핀(230)의 끝단(233)이 각각 접지패드 및 신호패드에 전기적으로 탄성 접촉하게 하는 인터포저(300)를 더 구비한다.
인터포저(300)는 신호패드와 신호핀(230)의 끝단(233)이 접촉하게 하고 또한 접지패드와 상부프레임(110)의 상면이 접촉하게 하는 탄성을 가지는 접촉핀(PIN)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관통홀들(미도시)을 구비하며, 접촉핀(PIN)이 관통홀들의 상부 와 하부로 돌출된다.
그러나, 도 6 및 도 7에 개시된 인터포저(300)의 구조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개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인터포저(300)는 탄성을 가지면서 신호핀(230)과 상부프레임(110)을 각각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에 연결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의 동축접촉시스템에서, 동축커넥터의 신호핀(230)이나 상부프레임(110)은 탄성을 가지지 아니하는 구조이다. 이 경우 신호핀(230)이나 상부프레임(110)이 신호패드나 접지패드에 직접 접촉되면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가 손상될 수 있고 또한 신호핀(230)이나 상부프레임(110)도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방지하기 위해서 탄성을 가지는 인터포저(300)가 상부프레임(110)과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 사이에 배치된다. 인터포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접촉핀(PIN)이 외부로 돌출된 채로 삽입되어 있다.
하나의 접촉핀(PIN)이 신호핀(230)의 끝단(233)에 접촉되면 이웃한 접촉핀(PIN)은 상부프레임(110)에 접촉하고 다시 이웃한 접촉핀(PIN)은 이웃한 신호핀(230)의 끝단(233)에 접촉된다.
신호핀(230)과 상부프레임(110)이 접촉하는 접촉핀(PIN)이 반대측은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에 접촉한다. 접촉핀(PIN)이 탄성을 가지므로 신호패드 및 접촉패드 또는 신호핀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전기적인 접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시스템(100)은 텐션을 가지지 아니하는 동축커넥터와 텐션을 가지는 인터포저(300)를 이용하는 구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동축접촉시스템과 인터포저가 연결된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축커넥터가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에 장착되고, 신호핀(230)의 끝단(233) 및 상부프레임(110)과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 사이에 접촉핀(PIN)을 포함하는 인터포저(3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10)의 하면과 외측돌출부(223)의 상면 사이에 탄성접지연결부(140)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와의 접촉시, 패드들과 동축커넥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은 인터포저(300)에 의해서 발생시키고, 동축커넥터는 외측돌출부(223)를 이용하여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에 고정되기 때문에 동축커넥터의 위치을 정확히 고정시킴과 아울러 동축커넥터들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접지패스가 접촉핀(PIN) 및 상부프레임(110)을 통하여 탄성접지연결부(140)에 의하여 외측돌출부(223)로 바로 연결되므로 접지패스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동축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동축커넥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탄성접지연결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탄성접지연결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인터포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인터포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동축접촉시스템과 인터포저가 연결된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Claims (7)

  1. 외부의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에 동축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커넥터와 상기 동축커넥터를 복수개 장착시키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동축접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동축커넥터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신호도전체와 상기 신호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핀 ;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신호핀과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신호핀을 둘러싸는 원통형상의 바디로서, 상기 바디의 외측에는 상기 바디의 외측 직경보다 작지 않은 길이의 변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의 외측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 내측에 내측돌출부가 형성되는 상기 바디 ; 및
    상기 신호핀의 외면을 둘러쌓아 상기 신호핀을 상기 바디로부터 절연시키며, 상기 내측돌출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유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핀은,
    끝단이 납작한 단추형상이어서 상기 유전체의 상부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인터포저와 접촉시 동축케이블 방향으로 밀리지 않는 구조이며,
    상기 신호핀의 끝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동축커넥터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원통형 홀들을 구비하며,
    상기 외측돌출부 하부의 바디 부분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홀로 삽입되어 상기 외측돌출부 하면 부분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면에 접촉고정 되고, 상기 외측돌출부 상부의 바디 부분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홀로 삽입되어 상기 외측돌출부 상면 부분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 접촉고정 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은 삽입된 바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터포저를 통해 상기 접지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외측돌출부의 상면 사이에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동축커넥터의 전기적 연결 경로를 짧게 형성하기 위한 탄성접지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지연결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홀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인터포저홀들을 구비하는 얇은 판형상이며,
    상기 인터포저홀들 4개로 둘러 쌓인 공간에는 각각 4개의 상기 인터포저홀들 방향으로 돌출되어있는 탄성 접촉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탄성 접촉부는 위, 아래로 교대로 휘어져 있어 상부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외측돌출부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 사이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신호핀의 끝단이 각각 상기 접지패드 및 상기 신호패드에 전기적으로 탄성 접촉하게 하는 인터포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포저는,
    상기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와 상기 신호핀의 끝단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면이 각각 접촉하게 하는 탄성을 가지는 접촉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관통홀들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핀이 상기 관통홀들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시스템.
KR1020080080374A 2008-08-18 2008-08-18 동축접촉시스템 KR101008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374A KR101008562B1 (ko) 2008-08-18 2008-08-18 동축접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374A KR101008562B1 (ko) 2008-08-18 2008-08-18 동축접촉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769A true KR20100021769A (ko) 2010-02-26
KR101008562B1 KR101008562B1 (ko) 2011-01-14

Family

ID=4209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374A KR101008562B1 (ko) 2008-08-18 2008-08-18 동축접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56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8881U (ko) * 1989-09-19 1991-05-10
US7253262B2 (en) * 1995-01-19 2007-08-07 Quandrant Drug Delivery Limited Dried blood factor composition comprising trehalose
JP3074450B2 (ja) * 1995-05-01 2000-08-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2000156267A (ja) * 1998-11-18 2000-06-06 Hitachi Video & Inf Syst Inc 同軸コネクタ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562B1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7474B1 (en) Electrical grounding schemes for socketed processor and heatsink assembly
KR102006134B1 (ko) 기판 연결용 커넥터
US20070007984A1 (en) Socket for inspection apparatus
US11336045B2 (en) LGA socket
JP7097452B2 (ja) 検査装置
US7503769B2 (en) Connector and pushing jig
KR20110076855A (ko) 반도체 검사용 소켓
KR20190027137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20170002895A (ko) 프로브 카드와 테스터를 연결하기 위한 접속 장치
KR102482249B1 (ko) 동축단자, 동축커넥터, 배선판 및 전자부품시험장치
KR100353788B1 (ko) 프로브 카드
JP2003043065A (ja) プローブピン及び電気的特性試験部材
KR20100098584A (ko) 반도체 칩 검사용 소켓
JP2012181218A (ja) 半導体チップ検査用ソケット
KR101008562B1 (ko) 동축접촉시스템
KR20100095142A (ko) 검사용 소켓
TWI837548B (zh) 元件檢測治具
KR102483145B1 (ko) 검사 소켓
WO2021060189A1 (ja) コネクタ測定用プローブ及びコネクタの測定方法
KR200316878Y1 (ko) 볼 그리드 어레이(bga) 패키지용 테스트 소켓
KR101973392B1 (ko) 테스트 소켓의 l-타입 pion 핀
KR101981522B1 (ko) S-타입 pion 핀,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KR101026992B1 (ko) 메모리 모듈용 테스트 소켓
KR102531965B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US20240364050A1 (en) Test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