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660A -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 - Google Patents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660A
KR20100020660A KR1020080079345A KR20080079345A KR20100020660A KR 20100020660 A KR20100020660 A KR 20100020660A KR 1020080079345 A KR1020080079345 A KR 1020080079345A KR 20080079345 A KR20080079345 A KR 20080079345A KR 20100020660 A KR20100020660 A KR 20100020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lock
groove
film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에스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에스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에스인텍
Priority to KR1020080079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0660A/ko
Publication of KR20100020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26F2001/4481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having special lateral or edge outlines or special surface shapes, e.g. aper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두리에 체결구가 관통된 체결편이 일체로 형성된 필름, 가스켓등을 제조하기 위한 목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홈통이 형성된 목판; 상기 목판에 결합되고 제1,2 성형날이 형성된 블록; 상기 목판에 결합되고 제2 성형날과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형성된 칼날; 및 상기 패널 상부 면의 빈 공간에 부착되어 상기 칼날을 엄폐시키도록 형성된 고무판;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목금형의 제조가 간편하고 필름의 절단이 더욱 정밀하며 잘린 필름 조각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필름 제조용 목금형을 제공하게 된다.
Figure P1020080079345
목금형, 홈통, 칼날

Description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Dieboard structure of ombining cutting-edge one body type block}
본 발명은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구조필름을 절단하기 위한 목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필름의 테두리에 체결구가 관통된 체결편을 형성할 수 있도록 칼날과 연결되는 절단용 블록을 구비한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목금형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필름이나 전자제품의 가스켓으로 사용되는 필름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매우 정밀한 절단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정 넓이의 목판; 상기 목판의 일면에 필름의 형태를 따라 돌출되는 칼날; 및 상기 칼날이 엄폐되도록 패널 일면의 빈 공간에 부착되는 고무판;으로 구성된 목금형이 제공되고 있다.
한편, 상기 필름의 테두리에는 볼트나 스크루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가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구는 필름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체결편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편을 돌출되도록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칼날을 일정구간 절곡하거나 연결하여야 하고, 그 칼날의 중앙에 체결구를 관통하기 위한 칼날을 더 형성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필름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체결구와 체결편이 매우 작은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형성하기 위해 칼날을 절곡하거나 연결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밀도가 떨어지면서 절단되는 필름이 칼날에 끼이거나 자투리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금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체결구를 관통한 후 잘라진 필름 조각이 매우 작고 가볍기 때문에 칼날 내부에 끼여 배출되지 못하고 쌓이면서 이후에 체결구를 관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금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칼날과 칼날 사이의 폭이 협소하여 스크랩이 적층시에 칼날이 벌어지는 경우가 발생되어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목금형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테두리에 체결구가 관통된 체결편이 일체로 형성된 목금형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칼날을 결합하기 위한 칼날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에 대응하는 칼날홈의 선상에는 블록홈이 형성되며, 상기 칼날홈의 내측에는 블록홈을 연통하여 필름 조각을 회수하기 위한 홈통이 형성된 목판; 상기 블록홈에 결합되고, 상단 중심에는 상기 체결구에 대응하여 폐쇄 형태의 제1 성형 날이 일체로 형성되며, 그 외측에는 상기 체결편에 대응하여 상기 칼날홈과 연결된 상태로 절곡되는 개방 형태의 제2 성형날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성형날의 중심으로부터 홈통 방향의 측면으로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블록; 상기 칼날홈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블록의 제2 성형날과 긴밀하게 밀착하여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칼날; 및 상기 목판 상부 면의 빈 공간에 부착되어 상기 칼날을 엄폐시킨 상태에서 압착시 칼날이 노출되면서 상기 필름을 절단하도록 형성된 고무판;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블록의 양측 단부에는 제2 성형날과 밀착되는 칼날의 단부를 끼워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성형날의 단부가 칼날의 단부와 서로 밀착되도록 형성되거나, 제2 성형날의 측면에 칼날의 단부가 직각으로 밀착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블록의 양측 단부에는 고정 날개가 일체로 돌출되고, 상기 목판의 칼날홈 내측에는 상기 고정 날개가 끼워지도록 고정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목판의 블록홈에 결합된 블록의 정위치를 조절하도록 블록홈과 블록 사이에 끼워지는 각각 다른 두께의 박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필름 제조용 목금형에 의하면 체결구와 체결편을 형성하기 위한 제1,2 성형날이 일체로 형성된 블록을 통해 목금형의 제조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필름의 절단이 더욱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필름 제조용 목금형에 의하면 상기 목판의 중앙에 형성된 홈통과 상기 블록의 제1 성형날의 중심으로부터 홈통으로 연결되는 배출구를 통해 잘린 필름 조각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필름 제조용 목금형에 의하면 박판을 통해 블록의 결합 위치를 더욱 정교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필름 제조용 목금형을 도시한 일부 절결 및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필름 제조용 목금형을 도시한 요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필름 제조용 목금형을 도시한 사용상태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필름 제조용 목금형의 블록을 도시한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필름 제조용 목금형의 블록을 도시한 다른 실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필름 제조용 목금형의 블록을 도시한 또 다른 실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필름 제조용 목금형의 블록을 도시한 또 다른 실시 예시도, 도 8은 도 7이 적용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필름 제조용 목금형의 박판을 이용한 블록의 위치조절 상태를 도시한 작용도이다.
본 발명의 필름 제조용 목금형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홈통이 형성된 목판(100), 상기 목판에 결합되고 제1,2 성형날이 형성된 블 록(200), 상기 목판에 결합되고 제2 성형날과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형성된 칼날(300) 및 상기 패널 상부 면의 빈 공간에 부착되어 상기 칼날을 엄폐시키도록 형성된 고무판(400)으로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테두리에 볼트나 스크루. 결합돌기 등을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구가 관통된 체결편이 일체로 형성된 필름을 제조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목판(100)은 일정한 두께와 넓이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필름(10)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칼날(300)을 결합하기 위한 칼날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12)에 대응하는 칼날홈(120)의 선상에는 블록홈(140)이 형성되며, 상기 칼날홈(120)의 내측에는 블록홈(140)을 연통하여 필름 조각을 회수하기 위한 홈통(16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칼날홈(120)은 필름(10)의 형태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할 수 있으며, 블록홈(140)과 홈통(160) 역시 필름(10)에 형성된 체결편(12)의 개수와 크기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통(1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300)이 하부로 향하게 사용할 경우 그 내부에 모인 필름(10) 조각들이 쏟아지지 않도록 마감하는데, 이와 같은 마감은 고무판(400)의 접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록(200)은 체결편을 형성하기 위해 칼날(300)로 절곡하기 힘든 부분을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블록홈(140)에 결합된 상태로 그 상단 중심에는 상기 체결구(14)에 대응하여 폐쇄 형태의 제1 성형날(220a)이 일체로 형성되며, 그 외측에는 상기 체결편(12)에 대응하여 상기 칼날홈(120)과 연결된 상태로 절곡되는 개방 형태의 제2 성형날(220b)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성형날(220a)의 중심으로부터 홈통(160) 방향의 측면으로 연통되는 배출구(14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블록(200)의 제1 성형날(220a)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 형태로 형성하거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200)의 제2 성형날(220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200)의 양측 단부까지 연장되어 칼날(300)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하거나,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200)의 양측 단부에 칼날(300)의 단부를 끼워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260)을 형성하여 제2 성형날(220b)과 밀착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아울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성형날(220b)의 단부가 칼날(300)의 단부와 서로 일치하여 밀착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300)의 단부가 제2 성형날(220b)의 측면에 직각으로 밀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출구(240)가 형성된 블록(200)의 양측 단부에는 고정 날개(280)가 일체로 돌출되도록 블록(200)의 움직임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200)의 양측 단부에 고정 날개(280)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판(100)의 칼날홈(120) 내측에는 상기 블록홈(140)으로부터 고정 날개(280)가 끼워지도록 고정 홈(142)이 형성된다.
상기 칼날(300)은 상기 칼날홈(120)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블록(200)의 제2 성형날(220b)과 긴밀하게 밀착하여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칼날(300)의 양측 단부는 수직으로 절단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칼날(300)의 단부 상측이 다른 칼날(300)과 직각으로 교차하면서 다른 칼날(300)의 뾰족한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벌어진 립(Lip)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과 같이 제2 성형날(220b)의 단부에 밀착되는 칼날(300)의 단부는 수직으로 절단된 것을 사용하고,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2 성형날(220b)의 측면에 밀착되는 칼날(300)의 단부에는 상측에 벌어진 립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게 된다. 이는 다른 칼날(300)과 교차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고무판(400)은 상기 목판(100) 상부 면의 빈 공간에 부착되어 상기 칼날(300)을 엄폐시킨 상태에서 압착시 칼날(300)이 노출되면서 상기 필름(10)을 절단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판(100)의 상부에 부착 고정하여 칼날(300)을 보호하고 필름(10)이 칼날의 이빨에 끼여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내지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판(100)의 블록홈(140)에 결합된 블록(200)의 정위치를 조절하도록 블록홈(140)과 블록(200) 사이에 끼워지는 각각 다른 두께의 박판(50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목판(100)에 블록(200)을 끼워 결합하기 위한 블록홈(140)을 형성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칼날(300)과 제2 성형날(220b)이 일치되지 못하여 필름(10)의 정확한 절단이 어렵게 되는데, 이와 같은 오차를 보완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박판(500)이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두꺼운 것(D)과 얇은 것(d)을 교체하면서 정확한 위치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구(14)와 체결편(12)을 형성하기 위한 제1,2 성형날(220a ,220b)이 일체로 형성된 블록(200)을 통해 목금형의 제조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필름(10)의 절단이 더욱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목판(100)의 내부에 형성된 홈통(160)과 상기 블록(200)의 제1 성형날(220a)의 중심으로부터 홈통(160)으로 연결되는 배출구(260)를 통해 잘린 필름(10) 조각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박판(500)을 통해 블록(200)의 결합 위치를 더욱 정교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를 도시한 사용상태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를 도시한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의 블록을 도시한 다른 실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를 도시한 또 다른 실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를 도시한 또 다른 실시 예시도.
도 8은 도 7이 적용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의 박판을 이용한 블록의 위치조절 상태를 도시한 작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필름 12: 체결편
14: 체결구
100: 목판 120: 칼날홈
140: 블록홈 142: 고정 홈
160: 홈통
200: 블록 220a, 220b: 제1,2 성형날
240: 배출구 260: 결합홈
280: 고정 날개
300: 칼날
400: 고무판
500: 박판

Claims (5)

  1. 테두리에 체결구가 관통된 체결편이 일체로 형성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필름 제조용 목금형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칼날을 결합하기 위한 칼날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에 대응하는 칼날홈의 선상에는 블록홈이 형성되며, 상기 칼날홈의 내측에는 블록홈을 연통하여 필름 조각을 회수하기 위한 홈통이 형성된 목판;
    상기 블록홈에 결합되고, 상단 중심에는 상기 체결구에 대응하여 폐쇄 형태의 제1 성형날이 일체로 형성되며, 그 외측에는 상기 체결편에 대응하여 상기 칼날홈과 연결된 상태로 절곡되는 개방 형태의 제2 성형날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성형날의 중심으로부터 홈통 방향의 측면으로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블록;
    상기 칼날홈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블록의 제2 성형날과 긴밀하게 밀착하여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칼날; 및
    상기 목판 상부 면의 빈 공간에 부착되어 상기 칼날을 엄폐시킨 상태에서 압착시 칼날이 노출되면서 상기 필름을 절단하도록 형성된 고무판;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양측 단부에는 제2 성형날과 밀착되는 칼날의 단부를 끼워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 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성형날의 단부가 칼날의 단부와 서로 밀착되도록 형성되거나, 제2 성형날의 측면에 칼날의 단부가 직각으로 밀착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블록의 양측 단부에는 고정 날개가 일체로 돌출되고, 상기 목판의 칼날홈 내측에는 상기 고정 날개가 끼워지도록 고정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판의 블록홈에 결합된 블록의 정위치를 조절하도록 블록홈과 블록 사이에 끼워지는 각각 다른 두께의 박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
KR1020080079345A 2008-08-13 2008-08-13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 KR20100020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345A KR20100020660A (ko) 2008-08-13 2008-08-13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345A KR20100020660A (ko) 2008-08-13 2008-08-13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660A true KR20100020660A (ko) 2010-02-23

Family

ID=4209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345A KR20100020660A (ko) 2008-08-13 2008-08-13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06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595B1 (ko) * 2010-10-01 2011-03-09 (주)케이에스티 전자광학 필름의 절단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 절단용 목금형
CN104816344A (zh) * 2015-05-08 2015-08-05 东莞市颖锋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光学膜冲孔装置
CN105058499A (zh) * 2015-08-28 2015-11-18 北京华懋伟业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模切材料有缝拼接加工工艺及其模切产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595B1 (ko) * 2010-10-01 2011-03-09 (주)케이에스티 전자광학 필름의 절단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 절단용 목금형
CN104816344A (zh) * 2015-05-08 2015-08-05 东莞市颖锋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光学膜冲孔装置
CN105058499A (zh) * 2015-08-28 2015-11-18 北京华懋伟业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模切材料有缝拼接加工工艺及其模切产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1418B1 (en) Scissors
KR20100020660A (ko) 일체형 칼날이 형성된 블록을 결합한 목금형구조
TWI776140B (zh) 附有飾邊的板材、家具、餐桌及書桌
US11621453B2 (en) Foldable gasket with continuous sealing contour
WO2017000455A1 (zh) 背光源背板及背光源胶铁一体结构、背光源、显示面板
WO2018045890A1 (zh) 安装板及开关插座
JP5877340B2 (ja) 見切具
JP3089399U (ja) 合成樹脂ケース及び合成樹脂ケースの製造装置
US20150060505A1 (en) Case
JP3468692B2 (ja) 位置合わせ機能付き抜型ブロック
JP4021357B2 (ja) 扉の板押え構造
JP5630693B2 (ja) 抜き型
JP5911710B2 (ja) 壁パネル組立用部材、コーナー部の壁パネル組立構造、及び横並び部の壁パネル組立構造
JP3087072U (ja) 合成樹脂ケース及び合成樹脂ケースの製造装置
JPH0427542Y2 (ko)
CN214323580U (zh) 膜片打孔装置
CN211195152U (zh) 复合板以及具有该复合板的壳体
CN217389094U (zh) 柔性线路板不同形状补强的贴合治具
JPH064624Y2 (ja) キヤビネツトの小窓構造
JP2016017395A (ja) シンクの取付構造及び流し台
JP2009203645A (ja) 幅木または廻り縁のコーナーキャップ
JP3177664U (ja) 切断具
JP3949250B2 (ja) 造作材セットおよび造作材の施工方法
KR200344577Y1 (ko) 전단용 커터판
JPH01438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