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455A - 상이한 결정질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염, 및 이의 제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이한 결정질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염, 및 이의 제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455A
KR20100020455A KR1020097025052A KR20097025052A KR20100020455A KR 20100020455 A KR20100020455 A KR 20100020455A KR 1020097025052 A KR1020097025052 A KR 1020097025052A KR 20097025052 A KR20097025052 A KR 20097025052A KR 20100020455 A KR20100020455 A KR 20100020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chloro
fluoro
dioxo
methyl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엠마 샤프
루이자 제인 퀘간
앤젤리 판데이
주안 왕
매튜 니더
월린 후앙
Original Assignee
포톨라 파마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톨라 파마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포톨라 파마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20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7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quinazoline, perim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신규한 술포닐우레아 염 및 그의 다형체를 제공한다. 다양한 형태의 상기 화합물은 효과적인 혈소판 ADP 수용체 억제제이고, 다양한 제약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심혈관 질환, 특히 혈전증과 관련이 있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특히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화합물 및 형태의 제조 방법, 및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형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혈전증 및 혈전증-관련 상태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술포닐우레아 염, 혈소판 ADP 수용체 억제제, 다형체, 심혈관 질환, 혈전증

Description

상이한 결정질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염, 및 이의 제약 조성물 {[4-(6-FLUORO-7-METHYLAMINO-2,4-DIOXO-1,4-DIHYDRO-2H-QUINAZOLIN-3-YL)-PHENYL]-5-CHLORO-THIOPHEN-2-YL-SULFONYLUREA SALTS, IN DIFFERENT CRYSTALLINE FORM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7년 5월 2일자로 출원한 미국 가출원 제60/927,328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상기 문헌은 어떠한 목적으로도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혈전성 합병증은 산업화된 세계에서 주요 사망 원인이다. 이러한 합병증의 예는 급성 심근 경색, 불안정형 협심증, 만성 안정형 협심증, 일과성 허혈 발작, 졸중, 말초 혈관 질환, 자간전증/자간증, 심부 정맥 혈전증, 색전증, 파종성 혈관내 응고 및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간병을 포함한다. 혈전성 및 재협착성 합병증은 또한 침습적 절차, 예를 들어 혈관성형술, 경동맥 내막절제술, CABG (관상 동맥 우회 이식(Coronary Artery Bypass Graft)) 후 수술, 혈관 이식술, 스텐트 설치, 혈관내 장치 및 인공삽입물의 삽입, 및 유전적 소인 또는 암과 관련이 있는 응고항진 상태 후에도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혈소판 응집체는 이러한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 파열된 동맥경화 병변 또는 침습적 처치, 예컨대 혈관성형술에 의해 유발되는 혈류 교란으로 인해, 통상적으로는 혈관계에서 자유롭게 순환하는 혈액 혈소판이 활성화 및 응집되어 혈전을 형성하고 혈관 폐색을 야기한다. 혈소판 활성화는 다양한 인자, 예를 들어 콜라겐과 같이 노출된 내피하 기질 분자 또는 응고 캐스케이드에서 형성된 트롬빈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혈소판 활성화 및 응집의 중요한 매개자는 혈관계에서 콜라겐 및 트롬빈과 같은 다양한 인자에 의한 활성화시에 혈액 혈소판으로부터 방출되고 손상을 받은 혈액 세포, 내피 또는 조직으로부터 방출되는 ADP (아데노신 5'-디포스페이트)이다. ADP에 의한 활성화는 더 많은 혈소판의 동원 및 기존의 혈소판 응집체의 안정화를 야기한다. 응집을 매개하는 혈소판 ADP 수용체가 ADP 및 그의 일부 유도체에 의해 활성화되고 ATP (아데노신 5'-트리포스페이트) 및 그의 일부 유도체에 의해 길항된다 [Mills, D. C. B. (1996) Thromb. Hemost. 76:835-856]. 따라서, 혈소판 ADP 수용체는 퓨린 및/또는 피리미딘 뉴클레오티드에 의해 활성화되는 P2 수용체 부류의 구성원이다 [King, B. F., Townsend-Nicholson, A. & Burnstock, G. (1998) Trends Pharmacol. Sci. 19:506-514].
선택적인 길항제를 사용한 최근의 약리 데이타는 ADP-의존적 혈소판 응집에 적어도 2종의 ADP 수용체의 활성화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Kunapuli, S. P. (1998), Trends Pharmacol Sci. 19:391-394], [Kunapuli, S. P. & Daniel, J. L. (1998) Biochem. J. 336:513-523], [Jantzen, H. M. et al. (1999) Thromb. Hemost. 81:111-117]). 이들 수용체 중 하나는 클로닝된 P2Y1 수용체와 동일하다고 여겨지며, 이것은 포스포리파제 C 활성화 및 세포내 칼슘 동원을 매개하고 혈소판 형태 변화에 필요하다. 응집에 중요한 두번째의 혈소판 ADP 수용체는 아데닐릴 사이클라제의 억제를 매개한다. 상기 수용체는 이것의 약리 및 신호전달 성질을 기초로 하여 잠정적으로 P2YADP [Fredholm, B. B. et al. (1997) TIPS 18:79-82], P2TAC [Kunapuli, S. P. (1998), Trends Pharmacol. Sci. 19:391-394] 또는 P2Ycyc [Hechier, B. et al. (1998) Blood 92, 152-159]라고 명명되었던 바 있다. 보다 최근에는, 상기 수용체의 분자 클로닝 [Hollopeter, G. et al. (2001) Nature 409:202-207]에 의해, 이것이 G-단백질 커플링 부류의 새로운 구성원이며 티에노피리딘 약물인 티클로피딘 및 클로피도그렐의 표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수용체에 부여된 명칭은 P2Y12이다.
항-혈전 활성을 가지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ADP-의존적 혈소판 응집의 다양한 합성 억제제가 보고된 바 있다. 경구 활성의 항-혈전성 티에노피리딘인 티클로피딘 및 클로피도그렐은 ADP-유도된 혈소판 응집, 혈소판에 대한 방사성표시된 ADP 수용체 효능제인 2-메틸티오아데노신 5'-디포스페이트의 결합, 및 기타 ADP-의존적 사건을 간접적으로 억제하는데, 이는 불안정하고 비가역적으로 작용하는 대사물질의 형성에 의한 것이라 여겨진다 [Quinn, M. J. & Fitzgerald, D. J. (1999) Circulation 100:1667-1667]. 내인성 길항제 ATP의 몇가지 퓨린 유도체, 예를 들어 AR-C (이전에는, FPL 또는 ARL) 67085MX 및 AR-C69931Mx는 ADP-의존 적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 선택적인 혈소판 ADP 수용체 길항제이고, 동물 혈전증 모델에서 효과적이다 ([Humphries et al. (1995), Trends Pharmacol. Sci. 16, 179], [Ingall, A. H. et al. (1999) J. Med. Chem. 42, 213-230]). 신규한 트리아졸로[4,5-d]피리미딘 화합물이 P2T -길항제로 개시된 바 있다 (WO 99/05144). 또한, 혈소판 ADP 수용체 억제제로서의 트리시클릭 화합물이 WO 99/36425에서 개시된 바 있다. 이들 항-혈전 화합물의 표적은, 아데닐릴 사이클라제의 억제를 매개하는 혈소판 ADP 수용체인 P2Y12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화합물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보다 효과적인 혈소판 ADP 수용체 억제제가 요구된다. 특히, 심혈관 질환, 특히 혈전증과 관련이 있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한 항-혈전 활성을 갖는 혈소판 ADP 수용체 억제제가 요구된다.
추가로, 생물학적 활성이 효과적인 약물로서의 필수 조건이긴 하지만, 화합물은 대규모 제조가 가능해야 하며, 화합물의 물성은 제제화된 활성 성분의 효과 및 비용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산성 및 염기성 화합물의 염은 모 화합물의 물성을 변경시키거나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염 종이 투여 형태에서 모 화합물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신뢰할 만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염 형성 작용제는 제약 분야 화학자가 실험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선별 공정을 잠재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스크리닝 기술은 불행히도 존재하지 않는다 ([G. W. Radebaugh and L. J. Ravin Preformulation. In,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A. R. Gennaro Ed.;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1995; pp 1456-1457]).
제약상 유용한 화합물에는 염의 무정형 및 상이한 결정질 형태 (다형체 또는 용매화된 형태)가 흔하다. 다형성은 임의의 원소 또는 화합물이 1종 초과의 격자 배열로 결정화되는 능력이다. 용해도, 융점 (DSC 분석에서의 흡열 개시점), 밀도, 경도, 결정 형태 및 안정성을 비롯한 물성은 동일한 화학적 화합물의 여러가지 고체 형태마다 상이할 수 있다.
결정질 및 무정형 형태는 산란 기술, 예를 들어, X선 분말 회절, 분광학적 방법, 예를 들어 적외선, 고체 상태 13C 및 19F 핵 자기 공명 분광법 및 열 기술, 예를 들어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 또는 열중량 분석법 (TGA)에 의해 특징규명될 수 있다. 상이한 배치의 다형체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에서 피크의 강도는 약간 다를 수 있지만, 피크 위치는 특정 결정질 고체 형태에 특징적이다. 추가로, 결정질 형태들 사이의 차이를 해석하는데 적외선, 라만(Raman) 및 열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결정질 및 무정형 형태는 당업계 공지의 절차에 따라 결정된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데이타로 특징규명될 수 있다 (문헌 [J. Haleblian, J. Pharm. Sci. 1975 64:1269-1288] 및 [J. Haleblain and W. McCrone, J. Pharm. Sci. 1969 58:911-929] 참조).
미국 특허 출원 제11/556,490호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화학식 I (화학식 II)의 염의 유리 산 화합물은 강력한 혈소판 ADP 수용체 억제제이다. 놀랍고도 예 기치 못하게, 본 발명의 특정 염 및 결정질 형태는 결정성, 열, 가수분해 및 흡습성에 대한 안정성 및 순도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성질이 개선된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염은 포유동물에서 원치않는 혈전증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발명의 요약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칼슘, L-리신, 암모늄, 마그네슘, L-아르기닌, 트로메타민, N-에틸글루카민 및 N-메틸글루카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이온을 포함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74069425-PCT00001
.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의 나트륨, 칼륨, 칼슘, L-리신, 암모늄, 트로메타민 염의 결정질 고체 형태를 제공한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서 혈전증 및 혈전증-관련 상태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치료 유효량의 1종 이상의 화학식 I의 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및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함유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염을 투여하여 포유동물에서 혈전증 및 혈전증-관련 상태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염, 그의 결정질 고체 및 무정형 형태 및 포유동물에서 혈전증 및 혈전증-관련 상태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염 또는 나트륨 및 칼륨 염을 포함하고 결정질 다형체 형태를 갖는 화학식 I의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원치않는 혈전증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상태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심근 경색, 불안정형 협심증, 난치성 협심증, 혈전용해 요법후 또는 관상 혈관성형술후 발생하는 폐색성 관상 혈전, 혈전성 매개된 뇌혈관 증후군, 색전성 졸중, 혈전성 졸중, 일과성 허혈 발작, 정맥 혈전증, 심부 정맥 혈전증, 폐 색전증, 응고장애, 파종성 혈관내 응고,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병, 폐색성 혈전혈관염, 헤파린-유도된 혈소판감소증과 관련이 있는 혈전성 질환, 체외 순환과 관련이 있는 혈전성 합병증, 기구사용과 관련이 있는 혈전성 합병증, 및 보철 장치의 삽입과 관련이 있는 혈전성 합병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혈액 샘플을 결정질 고체 형태의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I의 염을 포함하는 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 샘플의 응고를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염기를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과 화학식 I의 염을 형성하는 조건하에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I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74069425-PCT00002
.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건은 친핵성 첨가 조건이고, 비-극성의 비양성자성 용매의 사용을 포함한다. 일부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용매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 에테르, 디메톡시메탄, 디옥산, 헥산, 메틸 tert-부틸 에테르, 헵탄 및 시클로헥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구성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염은 산 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1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화학식 I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이 50% 이상의 수율로 수득되는, 화학식 I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65% 이상의 수율로 수득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75% 이상의 수율로 수득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염을 그램 규모 또는 킬로그램 규모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 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및/또는 나트륨 염의 구조를 제공한다.
도 2a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2.5 수화물의 결정질 고체 형태 A에 대한 X선 분말 회절 (XRPD)을 보여준다. 도 2b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2.5 수화물의 결정질 고체 형태 A에 대한 XRPD를 보여주며 피크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도 3a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반수화물(hemi hydrate)의 결정질 고체 형태 B에 대한 XRPD를 보여준다. 도 3b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반수화물의 결정질 고체 형태 B에 대한 XRPD를 보여주며 피크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도 4는 무정형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의 XRPD를 보여준다.
도 5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2.5 수화물의 결정질 고체 형태 A에 대한 푸리에-변환 적외선 스펙트럼 (FT-IR, Fourier-transformed infrared spectra)을 보여준다.
도 6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반수화물의 결정질 고체 형태 B에 대한 푸리에-변환 적외선 스펙트럼 (FT-IR)을 보여준다.
도 7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의 무정형 형태에 대한 FT-IR을 보여준다.
도 8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2.5 수화물의 1H-NMR을 보여준다.
도 9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반수화물의 1H-NMR을 보여준다.
도 10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의 1H-NMR을 보여준다.
도 11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2.5 수화물의 결정질 고체 형태 A (형태 A)에 대한 중량 증기 흡착(Gravimetric Vapour Sorption, GVS) 데이타를 제공한다.
도 12a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반수화물의 결정질 고체 형태 B에 대한 중량 증기 흡착 (GVS) 데이타를 제공한다. 샘플은 GVS 실험의 완료 후에 회수하여 XRPD로 재시험하였다 (형태 B). 결과 (도 12b)는 GVS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에 상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약 5.4° 2θ에서의 피크 강도 변화는 선호되는 배향 효과이다.
도 13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의 무정형 형태에 대한 중량 증기 흡착 (GVS) 데이타를 제공한다.
도 14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2.5 수화물의 결정질 고체 형태 A에 대한 시차 주사 열량측정 (DSC) 데이타를 제공한다.
도 15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2.5 수화물의 결정질 고체 형태 A에 대한 TGA 데이타를 제공한다.
도 16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반수화물의 결정질 고체 형태 B에 대한 DSC 데이타를 제공한다.
도 17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의 결정질 고체 형태 B에 대한 TGA 데이타를 제공한다.
도 18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의 무정형 형태에 대한 DSC 데이타를 제공한다.
도 19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의 무정형 형태에 대한 TGA 데이타를 제공한다.
도 20a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 (형태 C)의 XRPD를 보여준다. 도 20b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형태 C)의 XRPD를 보여준다.
도 21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형태 C)의 VT-XRPD 실험을 제공한다. 형태 C는 무정형 상으로 탈용매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22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형태 C)의 1H NMR을 제공한다. 상기 NMR은 샘플 중에 존재하는 유일한 용매가 물이라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고, 따라서 TGA 중량 손실로부터 3.66 몰의 물을 갖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NMR 은 DMSO 중에서 수행되었기 때문에 신호를 용매 함량 정량화에 이용할 수 없음). 또한, 무수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삼수화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관찰하기 위한 VT-XRPD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21).
도 23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삼수화물 (형태 C)의 중량 증기 흡착 (GVS)을 제공한다. 형태 C는 40% RH 내지 90% RH에서 낮은 흡수를 보여주었다 (약 1 중량%). 그러나, 탈착 사이클은 0% RH로 건조되면 샘플이 그의 질량의 약 8 중량%를 손실하고, 이후에 습도가 40% RH로 증가하여도 샘플이 주입 물질과 동일한 수준으로 수화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도 24는 GVS 후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삼수화물 (형태 C) 재분석의 XRPD를 제공한다. 상기 분석은 샘플의 결정성이 GVS 실험 후에 감소하면서 형태에 약간의 미묘한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도 25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삼수화물 형태 C의 DSC 및 TGA 데이타를 보여준다. 상기 DSC 실험은 10.5 중량%의 TGA 중량 손실과 관련이 있는, 흡열 개시점 56℃에서의 267 Jg-1의 흡열을 보여준다.
도 26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 -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형태 D)의 XRPD를 제공한다.
도 27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형태 D)의 40℃/75% RH와 관련된 안정성을 XRPD를 통해 보여준다. 상기 고체는 저장시에 무정형 상으로 전환된다.
도 28은 상기 칼륨 염의 1H NMR 스펙트럼을 제공한다.
도 29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형태 D)의 DSC 및 TGA 데이타를 제공한다. 처음 2번의 중량 손실은 용매 (THF, IPA 및 물)의 손실로 인한 것이라 여겨진다.
도 30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 (형태 A)의 XRPD를 보여준다.
도 31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 (형태 A)의 40℃/75% RH와 관련된 안정성을 XRPD를 통해 보여준다. 상기 샘플은 본 연구의 처음 3일 후에 무정형이 되었고, 본 연구의 그 다음 4일 동안 무정형로 유지되었다.
도 32는 상기 나트륨 염의 1H NMR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도 33은 상기 나트륨 염의 형태 A에 대한 TGA (녹색 트레이스) 및 DSC (청색 트레이스)를 보여준다.
도 34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 (형태 B)의 XRPD를 보여준다.
도 35는 Na 염 형태 B의 XRPD를 보여준다.
도 36은 상기 나트륨 염의 형태 B에 대한 TGA 트레이스를 보여준다.
도 37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 (형태 C)의 GVS를 보여준다.
도 38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슘 염 (형태 A)의 XRPD를 보여준다.
도 39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슘 염 (형태 A)의 안정성을 XRPD를 통해 보여준다. 상기 샘플은 40℃/75% RH에서 3일이 지난 후 및 60℃/75% RH에서 추가로 4일이 지난 후에 안정한 상태로 유지되었다.
도 40은 상기 칼슘 염의 형태 A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도 41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 -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슘 염 (형태 A)의 GVS를 보여준다.
도 42는 상기 칼슘 염의 형태 A에 대한 TGA (녹색 트레이스) 및 DSC (청색 트레이스)를 보여준다.
도 43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트로메타민 염 (형태 A)의 XRPD를 보여준다.
도 44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트로메타민 염 (형태 A)의 안정성을 XRPD를 통해 보여준다. 상기 샘플은 40℃/75% RH에서 3일이 지난 후에 약간의 변화를 보였으나 60℃/75% RH에서 4일이 지난 후에 더 이상의 변화는 없었다.
도 45는 상기 트로메타민 염의 형태 A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도 46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트로메타민 염 (형태 A)의 GVS를 보여준다.
도 47은 상기 트로메타민 염 형태 A에 대한 TGA (녹색 트레이스) 및 DSC (청색 트레이스)를 보여준다.
도 48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암모늄 염 (형태 A)의 XRPD를 보 여준다.
도 49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헤미-암모늄 염 (형태 A)의 안정성을 XRPD를 통해 보여준다. 흑색 회절도는 건조 암모늄 염 형태 A이고, 적색 트레이스는 40℃/75% RH에서 3일이 지난 후의 샘플이며, 청색 트레이스는 60℃/75% RH에서 추가로 10일이 지난 후이다.
도 50은 상기 헤미-암모늄 염의 형태 A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도 51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헤미-암모늄 염 (형태 A)의 GVS를 보여준다.
도 52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헤미-암모늄 염 (형태 A)의 안정성을 XRPD를 통해 보여준다. 흑색 회절도는 건조 헤미-암모늄 염 형태 A이고, 적색 트레이스는 GVS 실험 후의 샘플이다.
도 53은 상기 헤미-암모늄 염 형태 A에 대한 TGA (녹색 트레이스) 및 DSC (청색 트레이스)를 보여준다.
도 54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헤미-암모늄 염 (형태 B)의 XRPD를 보여준다.
도 55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암모늄 염 (형태 B)의 안정성을 XRPD를 통해 보여준다. 흑색 트레이스는 건조 샘플이고, 적색 트레이스는 60℃/75% RH에서 10일이 지난 후의 샘플이다.
도 56은 상기 헤미-암모늄 염의 형태 B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도 57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헤미-암모늄 염 (형태 B)의 GVS를 보여준다.
도 58은 상기 헤미-암모늄 염의 형태 B에 대한 TGA (녹색 트레이스) 및 DSC (청색 트레이스)를 보여준다.
도 59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L-리신 염 일수화물 (형태 A)의 XRPD를 보여준다.
도 60은 상기 무정형 L-리신 염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도 61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마그네슘 염 (형태 A)의 XRPD를 보여준다.
도 62는 상기 마그네슘 염의 형태 A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도 63은 상기 마그네슘 염의 형태 A에 대한 TGA 트레이스를 보여준다.
도 64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L-아르기닌 염 (무정형 형태)의 3가지 XRPD를 보여준다: 흑색 회절도는 아세토니트릴/물 중의 L-아르기닌에 대한 것이고, 적색 트레이스는 이소프로필 알콜 중의 L-아르기닌에 대한 것이며, 청색 회절도는 물 중의 L-아르기닌에 대한 것이다.
도 65는 아세토니트릴/물로부터의 상기 L-아르기닌 염의 무정형 형태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도 66은 아세토니트릴/물로부터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N-에틸글루카민 염 (무정형 형태)의 XRPD를 보여준다.
도 67은 THF로부터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N-메틸글루카민 염 (무정형 형태)의 XRPD를 보여준다.
도 68은 THF로부터의 상기 N-메틸글루카민 염의 무정형 형태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술포닐우레아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 및 그의 결정질 고체 및 무정형 형태, 및 이들의 제조를 포함한다.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의 선택된 염은 고순도의 결정질 고체로서 단리되었다. 본 발명의 염은 포유동물에서 원치않는 혈전증 및 혈전증-관련 상태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I. 정의
본 발명에 따르고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하기하는 용어는 명백하게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은 다음과 같은 의미로 정의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표현의 어구 ("a" 또는 "an")는 해당 대상체가 하나 또는 하나 초과임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화합물'은 하나 또는 하나 초과의 화합물 또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단수 표현의 용어 ("a" 또는 "an"), "하나 또는 하나 초과" 및 "하나 이상"은 본원에서 구별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어구 "약"은 여러 장비, 샘플, 및 샘플 제제 마다의 측정치에서 편차가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편차는 예를 들어 열 측정치에 대한 총괄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러 X선 회절분석기 및 결정질 고체 형태에 대한 샘플 제제에서 전형적인 편차는 0.2°2θ의 크기이다. 라만 및 IR 분광기에 전형적인 편차는 상기 분광기의 해상도 2배 크기이다. 사용된 분광기의 해상도는 약 2 cm-1이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용매화물"은 비-공유 결합에 의하거나 결정 격자 내의 홀(hole)을 점유하여 결정 격자의 일부를 형성하는 화학양론적 또는 비-화학양론적 양의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수화물"은 비-공유 결합에 의하거나 결정 격자 내의 홀을 점유하여 결정 격자의 일부를 형성하는 화학양론적 또는 비-화학양론적 양의 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의미한다. 수화물은 해당 물질 1개와 물 분자 1개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며, 여기서의 물은 그의 분자 상태를 H2O로 유지하며, 이러한 조합은 1종 이상의 수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무수"는 결정 격자 내에 용매를 함유하지 않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건조"는 본 발명의 화합물로부터 용매 및/또는 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의미하고, 달리 명시하지 않는다면 이것은 함유된 용매 및/또는 물의 수준이 허용가능한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압에서 또는 감압하에서 가열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은 채로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다형체"는 화합물이 상이한 결정 패킹 배열로 결정화될 수 있고 이것들 모두가 동일한 원소 조성을 갖는 결정 구조를 의미한다. 상이한 결정 형태는 상이한 X선 회절 패턴, 적외선 스펙트럼, 융점/흡열 개시점 및 최고점, 밀도, 경도, 결정 형태, 광학 및 전기적 성질, 안정성 및 용해도를 가질 수 있다. 재결정화 용매, 결정화 속도, 저장 온도 및 기타 인자는 어떠한 결정 형태가 생성될 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고체 형태"는 화합물이 상이한 패킹 배열로 결정화될 수 있는 결정 구조를 의미한다. 고체 형태는 다형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하고, 이들 용어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다. 동일 화합물의 상이한 다형체를 포함하는 상이한 고체 형태는 상이한 X선 분말 회절 패턴, 및 적외선, 라만, DSC 및 고체-상태 NMR을 비롯한 상이한 스펙트럼을 나타낼 수 있다. 이것들은 광학적 성질, 전기적 성질, 안정성 및 용해도 성질도 상이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특징으로 하다"는 분석 측정치, 예컨대 X선 분말 회절, DSC, 적외선 분광법, 라만 분광법, 및/또는 고체-상태 NMR로부터 화합물의 한 고체 형태를 화합물의 다른 고체 형태와 구별하는 데이타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포유동물"은 인간, 가축 (예를 들어, 개 또는 고양이), 축산 동물 (소, 말 또는 돼지), 원숭이, 토끼, 마우스 및 실험용 동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알킬"은 명시된 수의 탄소 원자를 갖거나 탄소 원자 수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최대 약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분지쇄 및 시클릭 기를 포함하는 포화 지방족 기를 지칭한다. 알킬기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등을 포함한다.
용어 "알콕시", "알킬아미노" 및 "알킬티오" (또는 티오알콕시)는 이들의 통상의 의미로 사용되고, 각각 산소 원자, 아미노기 또는 황 원자를 통해 알킬기가 해당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된 것을 지칭한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용어 C1 - 6 알킬아미노는 직쇄, 분지쇄 또는 시클릭 알킬기 또는 이들의 조합, 예를 들어 메틸, 에틸, 2-메틸프로필, 시클로부틸 및 시클로프로필메틸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C1-C6 알킬아미노" 또는 "C1 -6 알킬아미노"는 아미노 부분이 해당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질소가 1개 또는 2개의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C1 -6 알킬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지칭한다.
용어 "할로" 또는 "할로겐"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은 그 자체로 또는 또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의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원자를 의미한다. 추가로, "할로알킬"과 같은 용어는 모노할로알킬 및 폴리할로알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용어 "C1 -4 할로알킬"은 트리플루오로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4-클로로부틸, 3-브로모프로필 등을 포함한다.
용어 "제약상 허용가능한 유도체"는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에 존재하는 특정 치환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비-독성인 산 또는 염기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활성 화합물의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산성인 관능기를 함유하는 경우, 염기 부가 염은 그 화합물의 중성 형태를 충분량의 원하는 염기와 단독으로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 중에서 접촉시켜 수득할 수 있다.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기 부가 염의 예는 나트륨, 칼륨, 리튬,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철, 아연, 구리, 망간, 알루미늄 염 등과 같은 무기 염기로부터 유래된 것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칼륨, 나트륨, 칼슘, 암모늄 및 마그네슘 염이다. 제약상 허용가능한 유기 비-독성 염기로부터 유래된 염은 1차, 2차 및 3차 아민, 치환된 아민, 예컨대 천연의 치환된 아민, 시클릭 아민 및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예컨대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트로메타민, 트리메타민, 디시클로헥실아민, 카페인, 프로카인, 히드라바민, 콜린, 베타인, 에틸렌디아민, 글루코사민, N-에틸글루카민, N-메틸글루카민, 테오브로민, 퓨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N-에틸피페리딘, 폴리아민 수지, 아미노산, 예컨대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등의 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유기 비-독성 염기는 L-아미노산, 예컨대 L-리신 및 L-아르기닌, 트로메타민, N-에틸글루카민 및 N-메틸글루카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염기성인 관능기를 함유하는 경우, 산 부가 염은 그 화합물의 중성 형태를 충분량의 원하는 산과 단독으로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 중에서 접촉시켜 수득할 수 있다. 제약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 염의 예는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탄산, 모노히드로겐탄산, 인산, 모노히드로겐인산, 디히드로겐인산, 황산, 모노히드로겐황산, 요오드화수소산 또는 아인산 등으로부터 유래된 것들 및 또한 상대적으로 비-독성인 유기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이소부티르산, 말론산, 벤조산, 숙신산, 수베르산, 푸마르산, 만델산, 프탈산, 벤젠술폰산, p-톨릴술폰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메탄술폰산 등으로부터 유래된 염을 포함한다. 또한, 아르기네이트 등과 같은 아미노산의 염, 및 글루쿠론산 또는 갈락투론산 등과 같은 유기산의 염 (예를 들어, 문헌 [Berge, S.M., et al, "Pharmaceutical salts",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 1977, 66, 1-19], [Bundgaard, H., ed., Design of Prodrug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Amsterdam 1985] 참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특정 화합물은 화합물이 염기 또는 산 부가 염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염기성 및 산성 관능기를 둘다 함유한다.
화합물의 중성 형태는 상기 염을 염기 또는 산과 접촉시키고, 모 화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단리하여 재생할 수 있다. 화합물의 모 형태는 특정 물성, 예를 들어 극성 용매 중의 용해도에 있어서 다양한 염 형태마다 차이가 있지만, 그 외에는 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화합물의 모 형태와 동등하다.
용어 "제약상 허용가능한 유도체"는 염 형태 뿐만이 아니라 전구약물 형태의 화합물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전구약물"은 생리적 조건하에서 쉽게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화합물이다. 추가로, 전구약물은 생체외 환경에서 화학적 또는 생화학적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구약물은 경피 패치 저장소 내에 적합한 효소 또는 화학 시약과 함께 배치된 경우에 본 발명의 화합물로 서서히 전환될 수 있다 (문헌 [Bundgaard, H., ed., Design of Prodrug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Amsterdam 1985)] 참조).
"제약상 허용가능한 에스테르"는 에스테르 결합의 가수분해시에 생물학적 효과 및 카르복실산 또는 알콜의 성질을 보유하며 생물학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도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아닌 에스테르를 지칭한다. 전구약물로서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에스테르에 관한 설명에 대하여는 문헌 [Bundgaard, H., 상기 문헌]을 참조한다. 이러한 에스테르는 전형적으로 상응하는 카르복실산 및 알콜로부터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에스테르 형성은 통상의 합성 기술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March et al., Advanced Organic Chemistry, 3rd Ed., p. 1157 (John Wiley & Sons, New York 1985)] 및 상기 문헌에서 언급된 참고문헌, 및 문헌 [Mark et al.,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1980) John Wiley & Sons, New York] 참조). 에스테르의 알콜 성분은 일반적으로 (i) 1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함유할 수도 있고 함유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분지형 탄소를 함유할 수도 있고 함유하지 않을 수도 있는 C2-C12 지방족 알콜, 또는 (ii) C7-C12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알콜을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기재한 바와 같은 에스테르인 동시에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 염인 조성물의 용도 역시 고려한다.
"제약상 허용가능한 아미드"는 아미드 결합의 가수분해시에 생물학적 효과 및 카르복실산 또는 아민의 성질을 보유하며 생물학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도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아닌 아미드를 지칭한다. 전구약물로서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아미드에 관한 설명에 대하여는 문헌 [Bundgaard, H., ed., 상기 문헌]을 참조한다. 이러한 아미드는 전형적으로 상응하는 카르복실산 및 아민으로부터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아미드 형성은 통상의 합성 기술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March et al., Advanced Organic Chemistry, 3rd Ed., p. 1152 (John Wiley & Sons, New York 1985)] 및 문헌 [Mark et al.,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1980)]을 참조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기재한 바와 같은 아미드인 동시에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 염인 조성물의 용도 역시 고려한다.
용어 "제약상 허용가능한 유도체"는 또한 용매화되지 않은 형태 뿐만이 아니라 용매화된 형태, 예컨대 수화된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용매화된 형태는 용매화되지 않은 형태와 동등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다양한 결정질 또는 무정형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물리적 형태는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용도에서 동등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비대칭 탄소 원자 (광학 중심) 또는 이중 결합을 보유하며,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및 개개의 이성질체 (예를 들어, 별개의 거울상이성질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이러한 화합물을 구성하는 1개 이상의 원자에서 비-천연 비율의 원자 동위원소를 함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은 방사성 동위원소, 예를 들어 3중수소 (3H), 요오드-125 (125I) 또는 탄소-14 (14C)로 방사성표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동위원소 변형물은 그것이 방사성이든지 아니든지 간에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원에서의 목적상, "생물학적 성질"은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수행되는 생체내 효과기(effector) 또는 항원성 기능 또는 활성을 의미하며, 종종 시험관내 검정으로 나타난다. 효과기 기능은 수용체 또는 리간드 결합, 임의의 효소 활성 또는 효소 조정 활성, 임의의 수송자 결합 활성, 임의의 호르몬 활성, 세포외 기질 또는 세포 표면 분자에 대한 세포의 부착을 촉진시키거나 억제하는데 있어서의 임의의 활성, 또는 임의의 구조적 역할을 포함한다. 항원성 기능은, 그에 대해 생성된 항체와 반응할 수 있는 에피토프 또는 항원성 부위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치료" 또는 "치료하는"은 대상체, 예컨대 포유동물에서 질환 또는 장애의 임의의 치료를 의미하며,
질환 또는 장애의 예방 또는 그로부터의 보호, 즉 임상적 증상이 발병하지 않도록 하는 것,
질환 또는 장애의 억제, 즉 임상적 증상의 발병을 정지시키거나 저해하는 것, 및/또는
질환 또는 장애의 경감, 즉 임상적 증상이 퇴행하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예방하는"은 예방이 필요한 환자의 예방적 치료를 지칭한다. 예방적 치료는 적절한 투여량의 치료제를 질병을 앓을 위험이 있는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그 질병의 발병을 실질적으로 피하게 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는 인간 의학에 있어서 궁극적인 질병유발 사건(들)이 공지되지 않은 채로 잠재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해당 환자가 그 사건(들)의 발병 이후 한참이 지날 때까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예방"과 "저해"를 구별하는 것이 언제나 가능한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예방"은 "치료"의 일부로 의도되어 본원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예방" 및 "저해" 둘다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보호"는 "예방"을 포함한다.
용어 "치료 유효량"은 전형적으로는 제약 조성물로서 전달되는 본 발명의 염이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된 경우에 본원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치료가 일어나게 하는데 충분한 상기 염의 양을 지칭한다. 치료 유효량은 치료할 대상체 및 질환 상태, 대상체의 체중 및 연령, 질환 상태의 중증도, 선택된 특정 화합물, 수행될 투약법, 투여 시기, 투여 방식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이것들 모두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상태"는 본 발명의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이 사용되는 질환 상태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ADP-매개 질환 또는 상태" 등은 정상치보다 낮거나 높은 ADP 활성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또는 상태를 지칭한다. ADP-매개 질환 또는 상태는, ADP의 조정이 잠재적인 상태 또는 질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DP 억제제 또는 길항제는 적어도 일부 환자에서는 그 환자의 복지를 개선시킴).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혈액 샘플"은 대상체로부터 채취한 전혈, 또는 혈장 또는 혈청을 포함하는 혈액의 임의의 분획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4개의 동일하지 않은 치환기에 결합된 탄소 원자는 비대칭이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부분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한 합성법은 라세미체,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출발 물질 또는 중간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법으로 생성된 부분입체이성질체 생성물은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결정화 방법, 또는 당업계 공지의 다른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거울상이성질체 생성물들의 혼합물은 동일 기술 또는 당업계 공지의 다른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비대칭 탄소 원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이들 비대칭 탄소 원자 각각은 2가지 배위 (R 또는 S) 중 하나일 수 있고, 이러한 2가지 경우 모두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II . 유리 산 화합물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화학식
Figure 112009074069425-PCT00003
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III . 유리 산 화합물의 제조
하기 반응식 1은 Ar이 페닐렌인 화학식 I 및 II의 특정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Figure 112009074069425-PCT00004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2-니트로-벤조산 메틸 에스테르 화합물 1을 당업자에게 공지된 절차로 환원시켜서 아닐린 2을 수득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특허 출원 공개 US 2002/077486 참조). 예를 들어, 니트로기의 환원 방법은 수소화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수소화는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10% Pd/C 또는 Pt(s)/C)를 사용하여 수소하에 적절한 용매, 전형적으로는 알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중에서 실온에서 수행된다. 화합물 2를 적절하게 치환된 아릴 이소시아네이트로 처리 (방법 A)하면 중간체 우레아 3a가 수득된다. 별법으로, 우레아 3a는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또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THF, 디클로로메탄 및 MeCN 중에서 적절한 온도, 바람직하게는 20℃에서 화합물 2를 트리포스겐으로 처리한 후에 치환된 아닐린으로 처리 (방법 B)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는 추가의 정제 없이 방법 A 또는 방법 B를 통해 제조된 우레아 3a로 열 처리 또는 염기 (예컨대 N-메틸 모르폴린 (NMM) 또는 폴리스티렌-NMM (PS-NMM)) 처리를 실시하여 폐환을 유도하면 퀴나졸린디온 4a를 생성할 수 있다. 화합물 4a의 니트로기를 당업자에게 공지된 절차로 환원시켜 유리 아미노기를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원 방법은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10% 탄소상 팔라듐)를 사용하고 적절한 용매, 전형적으로는 알콜 중에서 수소화를 실시하여 수행될 수 있다. 술포닐우레아 연결부의 형성은 상기 환원된 생성물 아닐린 5a를 디클로로메탄 중 치환된 티오펜-2-술폰아미드, N,N'-디숙신이미딜 카르보네이트 및 테트라메틸구아니딘의 사전 혼합된 용액으로 처리한 후에 디클로로메탄 중 TFA로 실온에서 처리하여 화학식 II의 술포닐우레아를 수득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별법으로, 술포닐우레아 연결부는 아닐린 5a 및 5-클로로-티오펜-2-술포닐 에틸카르바메이트를 톨루엔, 아세토니트릴, 1,4-디옥산 및 DMSO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적합한 용매 중에서 반응시켜 형성될 수도 있다.
하기 반응식 2는 예를 들어 L1이 할로겐, 알킬술포네이트, 할로알킬술포네이트 및 아릴술포네이트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별법의 방법을 예시한다:
Figure 112009074069425-PCT00005
우레아 3b는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및/또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THF, 디클로로메탄 및/또는 MeCN 중에서 적절한 온도, 전형적으로는 약 20℃에서 화합물 2를 트리포스겐 또는 p-니트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로 처리한 후에 적절하게 보호된 아닐린으로 처리 (방법 B)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추가의 정제 없이 우레아 3b로 염기 유도된 폐환을 실시하여 중간체 퀴나졸린디온 4b를 생성할 수 있다. 화합물 4b의 보호기는 사용된 보호기에 적절한 표준 기술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OC 보호기는 화합물 4b를 디옥산 중 4 N HCl로 처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5b의 C-7 플 루오로를 약 120℃에서 DMSO 중의 메틸아민 처리로 치환하여 아닐린 5c를 수득한다. 표적 술포닐우레아 II의 제조는 아닐린 5c를 가열하면서 적절한 용매, 예컨대 디메틸 술폭시드, 디옥산 및/또는 아세토니트릴 중 5-클로로-티오펜-2-술포닐 에틸카르바메이트로 처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산 또는 염기로 처리하면, 각각 제약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 염 및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기 부가 염 (각각은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을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된 것을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무기 및 유기의 산 및 염기가 염으로의 전환 달성에 사용될 수 있다.
하기 반응식 3은 예를 들어 L1이 할로겐, 알킬술포네이트, 할로알킬술포네이트 및 아릴술포네이트이고, M이 K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별법의 방법을 예시한다:
Figure 112009074069425-PCT00006
퀴나졸린디온 5b는 불활성 용매, 예컨대 THF, 디클로로메탄 및/또는 MeCN 중에서 적절한 온도, 전형적으로는 약 20℃에서 화합물 2를 p-니트로페닐클로로포르메이트로 처리한 후에 적절하게 보호된 아닐린으로 처리 (방법 B)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5b의 C-7 플루오로를 약 120℃에서 DMSO 중의 메틸아민 처리로 치환하여 아닐린 5c를 수득한다. 표적 술포닐우레아 II의 제조는 아닐린 5c를 가열하면서 적절한 용매, 예컨대 디메틸 술폭시드, 디옥산 및/또는 아세토니트 릴 중 5-클로로-티오펜-2-술포닐 에틸카르바메이트로 처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추가 처리하여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예를 들어 I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산 또는 염기로 처리하면, 각각 제약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 염 및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기 부가 염 (각각은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을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된 것을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무기 및 유기의 산 및 염기가 염으로의 전환 달성에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당업계 공지의 전형적인 단리 및 정제 기술, 예를 들어 크로마토그래피 및 재결정화 방법을 이용하여 단리할 수 있다.
IV . 화학식 I의 염의 제조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라,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추가 처리하여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산 또는 염기로 처리하면, 각각 제약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 염 및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기 부가 염 (각각은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염은 바람직하게는 필요한 결정성, 열, 가수분해 및 흡습성에 대한 안정성 및 순도를 제공할 것이다. 본원에서 정의된 것을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무기 및 유기의 산 및 염기가 염으로의 전환 달성에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염은 나트륨 및 칼륨 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염은 칼슘, L-리신, 암모늄, 마그네슘, L-아르기닌, 트로메타민, N-에틸글루카민 및 N-메틸글루카민 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유용한 화학식 I의 화합물 을 포함하는 염을 제조하는데 다른 염기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염이 본 발명의 다른 염으로 쉽게 전환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염의 열 및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시험법을 수행한다. 이러한 시험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한다.
많은 방법들이 상기한 염의 제조에 유용하며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염이 불용성인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또는 물과 같은 용매 중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1 이상의 몰 당량의 원하는 염기와 반응시킨 후에 상기 용매는 증발, 증류 또는 냉동 건조를 통해 제거한다. 별법으로,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이온 교환 수지에 통과시켜 원하는 염을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동일한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물의 1종의 염 형태를 또다른 염 형태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화학식 I의 염은 임의의 여러가지 상이한 방법에 따라 그램 규모 (< 1 kg) 또는 킬로그램 규모 (> 1 kg)로 제조될 수 있다.
비-극성의 비양성자성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디에틸 에테르, 디메톡시메탄, 디옥산, 헥산, 메틸 tert-부틸 에테르, 헵탄 및 시클로헥산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용매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우레아의 형성은 1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방법이 다양한 다른 용매, 시약 및 반응 온도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화학식 I의 염은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50% 초과의 수율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65% 초과의 수율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75% 초과의 수율로 제조될 수 있다. 당업자는 화학식 I의 염이 다른 화학적 방법을 통해 그램 및 킬로그램 규모로 제조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이성질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다양한 이성질체 및 호변이성질체 형태, 예컨대 이러한 이성질체 및 호변이성질체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화합물은 본원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 1개 분자 당 물 분자 2개를 갖는 이수화물로서 제공되지만, 본 발명은 또한 무수물, 반수화물, 일수화물, 삼수화물, 세스퀴수화물 등인 화합물도 제공한다.
V. 본 발명의 결정질 고체 및 무정형 실시양태 및 그의 제조
본 발명은 또한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의 결정질 고체 및/또는 무정형 염,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형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염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9074069425-PCT00007
(여기서, M은 칼슘, L-리신, 암모늄, 마그네슘, L-아르기닌, 트로메타민, N-에틸글루카민 및 N-메틸글루카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이온임). 다른 실시양태에서, M은 나트륨 또는 칼륨으로부터 선택된다. 동일 화합물의 상이한 결정질 형태는 1 종 이상의 물성, 예컨대 안정성, 용해도, 융점, 벌크(bulk) 밀도, 유동성, 생체이용률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활성 제약 성분 (API)의 제조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어서는 하기하는 2가지 인자가 매우 중요하다: 화합물의 불순도 프로파일 및 결정 형태. 초기 단리 및 결정화 작업으로부터의 결과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의 99.6% 프로파일을 보여주었다. 바람직하게는, API는 불순도 수준이 0.2% 미만이고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결정질 고체 형태로 존재한다. 단리 및 결정화 작업에서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의 칼륨 염에는 무정형 상 및 최소 4종의 결정질 고체 형태 (형태 A, B, C 및 D라 칭함)가 존재하고,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의 나트륨 염에는 무정형 상 및 최소 3종의 결정질 고체 형태 (형태 A, B 및 C라 칭함)가 존재하고,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의 칼슘 염에는 최소 2종의 결정질 고체 형태 (형태 A 및 B라 칭함)가 존재하고,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의 암모늄 염에는 최소 2종의 결정질 고체 형태 (형태 A 및 B라 칭함)가 존재하고,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의 L-리신 염에는 최소 1종의 고체 형태 (형태 A라 칭함)가 존재하고,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의 마그네슘 염에는 최소 1종의 결정질 고체 형태 (형태 A라 칭함)가 존재하고,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의 트로메타민 염에는 최소 1종의 결정질 고체 형태 (형태 A라 칭함)가 존재하며,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의 L-아르기닌 염, N-에틸글루카민 염 및 N-메틸글루카민 염에는 최소 1종의 무정형 형태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고체 형태는 X선 분말 회절, 라만 분광법, IR 분광법 및 열 방법을 비롯한 여러가지 기술 중 하나 이상으로 기재될 수 있다. 추가로, 이러한 기술들을 조합 사용하여 본 발명을 기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1개 이상의 라만 스펙트럼과 조합 사용하여 본 발명의 1종 이상의 고체 형태를 다른 고체 형태와 차별화하는 방식으로 기재할 수 있다.
전체 회절 패턴 또는 스펙트럼이 형태를 특징규명하긴 하지만, 고체 형태를 특징규명하기 위해서 이것에만 의존할 필요는 없다. 제약 분야의 당업자는 회절 패턴 또는 스펙트럼의 서브세트가 해당 고체 형태를 특징규명할 다른 형태와 구별한다면 상기 서브세트를 사용하여 고체 형태를 특징규명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따라서, 1개 이상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고체 형태를 특징규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1개 이상의 IR 스펙트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1개 이상의 라만 스펙트럼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고체 형태를 특징규명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규명은 형태들 사이의 X선, 라만 및 IR 데이타를 비교하여 특징적인 피크를 결정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이러한 특징규명시에 다른 기술로부터의 데이타를 조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1개 이상의 X선 분말 회절 패턴 및 예를 들어 라만 또는 IR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형태를 특징규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X선 회절 피크가 형태를 특징규명하는 경우, 상기 형태를 특징규명하기 위해서 라만 또는 IR 데이타를 고려할 수도 있다. 때로는, 예를 들어 제약 제제화시에는 라만 데이타를 고려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다형체는 상이한 결정화 조건을 이용하여 단리하였다. 칼륨 염의 경우, (1) 결정질 형태 A는 조 습윤-케이크를 메탄올로부터 결정화한 후에 상기 조 습윤-케이크를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단리하였고, (2) 결정질 고체 형태 B는 EtOH/H2O로부터의 결정화 또는 메탄올을 사용한 연화처리(trituration)에 의해 형성되었고, (3) 결정질 고체 형태 C는 형태 B를 물 중에 분쇄하거나 현탁시키거나 무정형 칼륨 염을 물 중에서 주위 조건하에 현탁하여 이것이 16시간 이내에 형태 C로 전환되도록 하여 형성되었다. 형태 D는 또한 THF 중 KOH로부터의 결정화를 통해 형성될 수 있었다.
칼륨 염을 메탄올 중에 현탁한 후에 투명한 용액이 관찰될 때까지 가열하였다. 이후에 냉각시키고, 생성된 결정질 고체를 단리하여 실온에서 감압하에 건조 시켜서 결정질 고체 칼륨 염 형태 A를 수득하였다. 형태 A는 모노 칼륨 염 2.5 수화물이다. 형태 B는 모노 칼륨 염 반수화물이다. 도 14 및 도 2 각각은 결정질 고체 형태 A에 대한 DSC 트레이스 및 X선 분말 패턴을 보여준다.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의 형태 A의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은 탈수된 염이 238℃에서 용융됨을 규정하였다. 커다란 분해 피크는 대략 300℃에서의 개시 온도로 기록되었다.
X선 분말 회절 패턴에서, 약 9.5 및 25.5에서의 피크는 상기 패턴의 주요 특징이다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이론에 관한 논의는, 문헌 ["X-ray diffraction procedures" by H. P. Klug and L. E. Alexander, J. Wiley, New York (1974)] 참조). 약 9.5° 2θ 및 25.5° 2θ에서의 피크는 형태 A를 형태 B에 대해 특징규명하는데, 이는 형태 B가 상기 2개의 형태 A 피크의 0.2° 2θ 이내 (X선 분말 회절 피크의 대략적인 정확도의 2배)에는 피크를 갖지 않기 때문이다. 임의의 주어진 X선 분말 회절 피크에서의 전형적인 편차는 0.2° 2θ의 크기이기 때문에, 다형체를 특징규명할 피크를 선택할 경우에는 또다른 다형체의 피크로부터 상기 값의 적어도 2배 값 (즉, 0.4°θ)인 피크를 선택한다. 따라서, 특정 다형체 X선 패턴에서는, 또다른 다형체의 피크로부터 적어도 0.4°θ인 피크를 해당 다형체를 특징규명하는데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다른 피크와 함께 사용될 피크로서 고려하는 것이 적합하다. 하기 표 1 및 표 2는 형태 A 및 형태 B의 주요 피크를 나타낸다. 이러한 목록에서,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로 반올림하여 약 25.5° 2θ (표에서는 25.478°2 θ로 표기됨)의 피크가 형태 B의 임의의 피크로부터 0.2° 2θ 넘게 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약 25.5° 2θ의 피크는 형태 A를 형태 B로부터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약 9.5° 2θ (표 1에서는 9.522°2θ)의 피크는 도 2의 형태 A X선 분말 회절 패턴에서 가장 높은 강도의 피크이고, 형태 B의 임의의 피크로부터 0.2° 2θ 넘게 떨어져 있다. 따라서, 약 9.5°2θ 및 25.5°2θ에서의 형태 A 피크는 형태 A를 형태 B에 대하여 특징규명한다. 상기 방법 중 이러한 단계에서 단리된 고체 형태는 염 1개 분자 당 약 2.5개 분자의 물을 함유하였다.
[표 1]
Figure 112009074069425-PCT00008
[표 2]
Figure 112009074069425-PCT00009
선호되는 배향은 XRPD 패턴에서 피크 강도, 및 일부의 경우에서는 피크 위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칼륨 염의 경우에, 선호되는 배향은 더 낮은 각도에서 가장 두드러진 효과를 갖는다. 선호되는 배향은 이 영역 내의 일부 피크를 감소 (또는 증가)시킨다. 결정 습성체는 고체 형태들마다 명백하게 차별화되지 않는다. 침상형, 블레이드형, 플레이트형 및 불규칙 형태의 입자를 비롯하여 각 형태마다 다양한 습성체가 관찰되었다.
도 16 및 도 3 각각은 또다른 결정질 고체에 대한 DSC 트레이스 및 X선 분말 패턴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남아있는 물이 제거되었을 때 관찰되었다. DSC 트레이스에서 약 286℃에서의 흡열 개시점이 주목할 만한데, 이는 탈수된 형태 A가 246℃에서 용융되기 때문이다. X선 분말 회절 패턴에서 약 20.3°2θ 및 25.1°2θ에서의 피크가 또한 형태 B를 형태 A에 대해 특징규명하는데, 이는 형태 A가 상기 2개의 특징적인 형태 B 피크의 0.2° 2θ (X선 분말 회절 피크의 대략적인 정확 도) 이내에는 피크를 갖지 않기 때문이다 (표 1 및 표 2 참조). 이러한 목록에서,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로 반올림하여 약 20.3°2θ 및 25.1° 2θ (표 2에서는 각각 20.328°2θ 및 25.087°2θ로 표기됨)의 피크가 형태 A의 임의의 피크로부터 0.2° 2θ 넘게 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약 20.3°2θ 및 25.1°2θ에서의 피크는 형태 B를 형태 A로부터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칼륨 염 형태 C 및 D
도 25 및 도 20 각각은 또다른 결정질 고체 형태 C에 대한 DSC 트레이스 및 X선 분말 패턴을 보여준다. DSC 트레이스에서, 약 56℃에서의 흡열 개시점이 주목할 만하다.
도 29 및 도 26 및 도 27 각각은 또다른 결정질 고체 형태 D에 대한 DSC 트레이스 및 X선 분말 패턴을 보여준다. DSC 트레이스에서, 약 132℃에서의 흡열 개시점이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형태 C 및 형태 D라 칭한 신규 결정질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i) 실질적으로 도 26 또는 도 27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 및
(ii) 실질적으로 도 29에 따른 DSC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본원에서 형태 D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 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을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 56℃에서의 DSC 흡열 개시점을 제공하고 본원에서 형태 C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i) 실질적으로 도 20b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 및
(ii) 실질적으로 도 25에 따른 DSC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본원에서 형태 C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을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 132℃에서의 DSC 흡열 개시점을 제공하고 본원에서 형태 D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을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무정형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을 제공한다.
나트륨 염 형태 A, B 및 C
도 33 및 도 30 각각은 또다른 결정질 고체 형태 A에 대한 DSC 트레이스 및 X선 분말 패턴을 보여준다. DSC 트레이스에서, 약 162℃에서의 흡열 개시점이 주목할 만하다.
도 36은 또다른 결정질 고체 형태 B에 대한 X선 분말 패턴을 보여준다.
도 20a는 또다른 결정질 고체 형태 C에 대한 X선 분말 패턴을 보여준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형태 A, 형태 B 및 형태 C라 칭한 신규 결정질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i) 실질적으로 도 30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 및
(ii) 실질적으로 도 33에 따른 DSC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본원에서 형태 A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을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 162℃에서의 DSC 흡열 개시점을 제공하고 본원에서 형태 A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i) 실질적으로 도 36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
을 제공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i) 실질적으로 도 20a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본원에서 형태 C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을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 80℃에서의 DSC 흡열 개시점을 제공하고 본원에서 형태 C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을 제공한다.
칼슘 염 형태 A
도 42 및 도 38 각각은 또다른 결정질 고체 형태 A에 대한 DSC 트레이스 및 X선 분말 패턴을 보여준다. DSC 트레이스에서, 약 125℃에서의 흡열 개시점이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형태 A라 칭한 신규 결정질 형태의 [4- (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슘 염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i) 실질적으로 도 38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 및
(ii) 실질적으로 도 42에 따른 DSC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본원에서 형태 A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슘 염을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 125℃에서의 DSC 흡열 개시점을 제공하고 본원에서 형태 A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슘 염을 제공한다.
트로메타민 염 형태 A
도 47 및 도 43 각각은 또다른 결정질 고체 형태 A에 대한 DSC 트레이스 및 X선 분말 패턴을 보여준다. DSC 트레이스에서, 약 165℃에서의 흡열 개시점이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형태 A라 칭한 신규 결정질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트로메타민 염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i) 실질적으로 도 43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 및
(ii) 실질적으로 도 47에 따른 DSC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본원에서 형태 A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트로메타민 염을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 165℃에서의 DSC 흡열 개시점을 제공하고 본원에서 형태 A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트로메타민 염을 제공한다.
헤미 - 암모늄 염 형태 A 및 B
도 53 및 도 48 각각은 또다른 결정질 고체 형태 A에 대한 DSC 트레이스 및 X선 분말 패턴을 보여준다. DSC 트레이스에서, 약 146℃에서의 흡열 개시점이 주목할 만하다.
도 58 및 도 54 각각은 또다른 결정질 고체 형태 B에 대한 DSC 트레이스 및 X선 분말 패턴을 보여준다. DSC 트레이스에서, 약 183℃에서의 발열 개시점이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형태 A 및 형태 B라 칭한 신규 결정질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 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헤미-암모늄 염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i) 실질적으로 도 48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 및
(ii) 실질적으로 도 53에 따른 DSC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본원에서 형태 A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헤미-암모늄 염을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 146℃에서의 DSC 최대 흡열점을 제공하고 본원에서 형태 A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헤미-암모늄 염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i) 실질적으로 도 54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 및
(ii) 실질적으로 도 58에 따른 DSC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본원에서 형태 B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헤미-암모늄 염을 제공한다.
L-리신 염 형태 A
도 59는 무정형 형태에 대한 X선 분말 패턴을 보여준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무정형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L-리신 염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도 59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제공하고 본원에서 무정형이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무정형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L-리신 염을 제공한다.
마그네슘 염 형태 A
도 61은 무정형 형태에 대한 X선 분말 패턴을 보여준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형태 A라 칭한 신규 결정질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마그네슘 염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도 61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제공하고 본원에서 형태 A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마그네슘 염을 제공한다.
L-아르기닌 염 무정형 형태
도 64는 무정형 형태에 대한 X선 분말 패턴을 보여준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무정형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L-아르기닌 염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도 64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제공하고 본원에서 무정형이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무정형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L-아르기닌을 제공한다.
N- 에틸글루카민 염 무정형 형태
도 66은 무정형 형태에 대한 X선 분말 패턴을 보여준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무정형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N-에틸글루카민 염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도 66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제공하고 본원에서 무정형이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무정형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N-에틸글루카민을 제공한다.
N- 메틸글루카민 염 무정형 형태
도 67은 무정형 형태에 대한 X선 분말 패턴을 보여준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무정형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 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N-메틸글루카민 염을 제공한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도 67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제공하고 본원에서 무정형이라 칭하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하는 무정형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N-메틸글루카민을 제공한다.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의 결정질 형태 A는 20% 내지 90% RH, 25℃에서 안정적이지만 20% 내지 0% RH, 25℃에서는 탈수되는 2.5 수화물이다. 상기 칼륨 염의 형태 A는 나트륨 염의 무정형 형태와 동일하게 안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높은 온도 (40℃) 및 높은 상대 습도 (75% RH)에서의 가속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여 1주일이 지난 후, 어떠한 염 형태에서도 화학적 순도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칼륨 결정질 형태 A의 이점은 이것이 40% RH에서 > 15% w/w 물을 흡수하는 나트륨 염의 무정형 형태보다 덜 흡습성이라는 점이다. K 염은 형태 A와 형태 B 둘다 안정하다. 칼륨 염의 형태 B는 반수화물이고 비-흡습성이다. 칼륨 염의 형태 B는 물리적 외관 및 취급성이 더 오랜 기간에 걸쳐 더 양호하다. 약물 투여 형태의 물리적 외관에 있어서의 개선은 의사 및 환자 둘다의 허용성을 증진시키고, 치료의 성공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 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및 그의 염의 상이한 결정질 고체 형태 및 무정형 형태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혼합물은 형태 A, 형태 B, 형태 C, 형태 D 및 무정형 형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고체 형태 또는 2종 이상의 고체 형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한 임의의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이러한 조성물 중 고체 형태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은 정성적, 정량적 또는 반-정량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들 용어는 고체-상태 분석 분야의 당업자가 사용하고 이해하는 바와 같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서, 참조 표준물을 수반하는 표준 분석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이러한 방법은 최소 자승법과 분광학적 분석 기술의 조합과 같은 기술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도 사용될 수 있다.
V. 본 발명의 결정질 고체 및 무정형 형태의 제조
추가로, 본 발명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및 나트륨 염의 결정질 고체 및 무정형 형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결정질 고체 및 무정형 형태는 하기 요약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공지의 결정화 절차 뿐만이 아니라 상기 요약한 절차의 변형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결정질 고체 형태 A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 -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이 제공되며, 이것은
(i)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을 에탄올, 메탄올 및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부터 결정화하고 건조시켜서 상기 결정이 약간의 용매를 함유하도록 하는 방법,
(ii)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을 에탄올, 메탄올 및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 중에서 가열하여 재결정화하고, 약 50℃ 내지 -10℃의 온도에서 결정화하며, 상기 결정이 적어도 약 0.05% 용매를 함유할 때까지 건조시키는 방법,
(iii)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를 수산화나트륨 또는 에톡시화나트륨과 함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가열하고, 약 50℃ 내지 25℃의 온도에서 결정화하며, 상기 결정이 적어도 약 0.05% 용매를 함유할 때까지 건조시키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로 수득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결정질 고체 형태 B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이 제공되며, 이것은
(i)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을 에탄올 및 물의 용매 조 합물 중에서 가열하고, 약 50℃ 내지 -10℃의 온도에서 결정화하며, 상기 결정이 0.05% 미만의 용매를 함유할 때까지 건조시키는 방법,
(ii)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을 에탄올 및 물의 용매 조합물로부터 결정화하고 건조시켜서 상기 결정이 0.05% 미만의 유기 용매를 함유하도록 하는 방법,
(iii)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를 수산화칼륨 또는 에톡시화칼륨과 함께 이소프로판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및 물의 용매 조합물 중에서 가열하고, 약 50℃ 내지 4℃의 온도에서 결정화하며, 상기 결정이 0.05% 미만의 유기 용매를 함유할 때까지 건조시키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로 수득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결정질 고체 형태 C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이 제공되며, 이것은
(i)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를 물 중 1.15 당량의 에톡시화칼륨으로 처리하고, 5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4℃로 냉각시켜 건조시키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로 수득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 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의 무정형 형태가 이소프로판올 중에서의 연화처리 및 건조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의 무정형 형태가 제공되며, 이것은
(i)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을 이소프로판올, 아세토니트릴, 에탄올 및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 중에서 가열하고, 약 50℃ 내지 -10℃의 온도에서 결정화하는 방법,
(ii)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나트륨 염을 이소프로판올, 아세토니트릴, 에탄올 및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부터 결정화하는 방법, 및
(iii)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를 수산화나트륨과 함께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이소프로판올 중에서 50℃에서 가열한 후에 25℃로 냉각시켜 여과하고 건조시켜 나트륨 염 형태 A를 수득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로 수득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및 나트륨 염의 결정질 고체 및 무정형 형태를 제조하는 상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결정질 고체 또는 무정형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는 실시예에서 추가로 하기하는 바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결정질 고체 또는 무정형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는 예를 들어 크로마토그래피 및 기타 절차를 비롯한 당업계 공지의 전형적인 단리 및 정제 기술 뿐만이 아니라 상기 요약한 절차의 변형법을 이용하여 단리될 수 있다.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을 제제화하여 급속 방출 비드를 제조할 경우, 즉 습윤 과립화 후에 압출, 구형화 및 건조를 이용할 경우, 비드 용해는 느리고 불완전하였다. 백그라운드 신호에 대한 보상 후에 비드의 XRPD 패턴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의 형태 B, 출발 API 형태 또는 유리 산의 공지된 형태와 일치하지 않았다.
습윤 과립화 조건을 모방하기 위해서 막자사발 및 막자를 사용한 분쇄 실험을 실시하였다.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의 형태 B를 35% 또는 90%의 물과 함께 대략 10분 동안 분쇄한 후에 40℃의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90%의 물과 함께 분쇄한 샘플의 XRPD 결과는 비드 중의 API 형태와 일치하는 완전히 상이한 XRPD 패턴을 제공하였다. 35%의 물과 함께 분쇄한 샘플은 형태 B와 유사한 XRPD 패턴을 제공하였다. 상기 샘플로 TGA 및 DSC도 실시하였다. 형태 B를 75%의 물과 함께 10분 내지 20분 동안 분쇄하여 분석한 XRPD 데이타는, 상기 API가 무정형 형태로 전환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동일 샘플을 1개월 동안 주위 실온에서 저장한 후에 다시 XRPD로 분석하였다. XRPD 결과를 기초로 할 때, 상기 물질은 형태 C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형태 B의 형태 C로의 전환이 아마도 무정형 상을 경유하여 진행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API를 Tox 제제의 희석제, 즉, 0.5% 메틸셀룰로스 및 0.1 M 인산나트륨 완충제 (pH 7.4)와 함께 분쇄한 후에는 약물 입자가 매우 치밀해지고 수송 및 투여 동안에 신속하게 침전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상기 절차를 반복하였고, 또한 현탁된 입자가 신속하게 유착되어 응집물을 형성하는 것을 알아냈고, 이것은 재분산시키기 어려워졌다. 유착 및 고체 상태 전환을 야기하지 않는 비히클 및 제조 절차를 알아내기 위한 작업이 수행되었다. 상기 제제로부터 0.5% 메틸셀룰로스를 제거하면 비가역적인 유착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추가로, API의 입도 감소를 위해서 우선 오직 건식 분쇄만을 사용한 후에 상기 API를 유의한 기계적 스트레스 없이 수성 0.1 M 인산염 완충제 중에 신속하게 분산시키는 경우에는 API의 고체 형태가 6시간 이상 동안 형태 B로 유지될 수 있다.
형태 C의 제2 로트(lot)는 90% w/w 초과의 물을 사용하여 반복적인 분쇄를 실시한 후에 40℃ 오븐에서 2시간 이상 동안 건조시켜 제조하였다. 여러 제조 단 계 동안에, API의 고체 상태를 DSC 및 TGA로 조사하였다.
본 발명의 염의 무정형 및 결정질 형태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은 하기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VI . 제약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염은 제약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각각 상기한 바와 같음), 및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작용제를 함유하는, 포유동물에서 혈전증, 특히 혈소판 응집을 수반하는 그러한 병리 상태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화학식 I의 염 또는 그의 형태를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혈소판 응집, 더욱 바람직하게는 ADP-의존적 응집을 억제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함유한다.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작용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포함하며, 하기 기재한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화학식 I의 염을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작용제와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부형제, 안정화제, 희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서방성 또는 지효성 제제로 제공될 수 있다. 치료 용도를 위한 허용가능한 담체, 작용제, 부형제, 안정화제, 희석제 등은 제약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d. A. R. Gennaro (1985)]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사용되는 투여량 및 농도에서 수용자에게 비-독성이고, 완충제, 예컨대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아세테이트 및 다른 유기 산 염,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 브산, 저분자량 (약 10개 미만의 잔기) 펩티드, 예컨대 폴리아르기닌, 단백질, 예컨대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이뮤노글로불린, 친수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디논, 아미노산, 예컨대 글리신,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또는 아르기닌, 단당류, 이당류 및 다른 탄수화물, 예컨대 셀룰로스 또는 그의 유도체, 글루코스, 만노스 또는 덱스트린, 킬레이팅제, 예컨대 EDTA, 당 알콜, 예컨대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 반대이온, 예컨대 나트륨,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트윈(TWEEN)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는, 치료 유효량의 본원에 개시한 염의 결정질 및 무정형 형태를 포함하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그의 염 및 형태의 제약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형태 중 1종 이상의 상기 양은 치료 유효량일 수도 있고 치료 유효량이 아닐 수도 있다. 이러한 제약 조성물은 고체 경구 조성물 형태, 예컨대 정제 또는 캡슐제 또는 흡입용 건조 산제일 수 있다.
습윤 과립화는 고체 경구 제약 투여 형태를 제조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칼륨 염의 형태 C는 습윤 과립화 과정 동안에 생성되는 독특한 형태이다. 형태 C의 존재는 구형화된 비드의 용해를 저해하여, 비드가 물리적으로 파쇄될 때까지 이것을 함유한다. 이와 같은 용해의 저해는 형태 C 및 상기 특정 제제 중의 부형제 사이의 특별한 상호작용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상이한 부형제 조성물을 사용하면, 개선된 또는 적어도 동등한 용해 거동을 달성할 수 있다.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본 발명의 염의 진단 적용은 전형적으로 제제, 예컨대 용액제 또는 현탁액제를 이용한다.
혈전 장애의 관리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염은 경구 투여를 위한 정제, 캡슐제, 로젠지제 또는 엘릭시르제, 좌제, 멸균 용액제 또는 현탁액제 또는 주사가능한 투여 형태 등과 같은 조성물 중에 사용되거나 성형품에 혼입될 수 있다.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 (전형적으로는 포유동물 대상체)에게 최적의 효능을 제공하는 적절한 투여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할 수 있다. 투여량 및 투여 방법은 대상체마다 다를 것이고, 치료할 포유동물의 유형, 그의 성별, 체중, 식단, 병행되는 투약 현황, 전반적인 임상적 상태, 사용되는 특정 염, 이들 염이 사용되는 특정 용도, 및 의료계 당업자가 인지할 다른 인자와 같은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캡슐제는 통상적이고 공지된 캡슐화 기술, 예컨대 스트라우드(Stroud) 등의 미국 특허 제5,735,105호에 기재된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캡슐은 일반적으로 원통 형태의 중공 쉘(shell)이며, 적절한 용량의 활성제를 함유하는 제약 용액 조성물이 해당 캡슐에 적합하게 들어가기에 충분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다. 캡슐의 외부는 가소제, 물, 젤라틴, 개질된 전분, 고무, 카라게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어떤 조성물이 적합한지를 알 것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정제는 활성제에 추가하여 충전제, 결합제, 압착제, 윤활제, 붕해제, 착색제, 물, 활석 및 당업자가 인지하는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제는 코어에서 단일 층으로 균질할 수도 있고, 또는 바람직한 방출 프로파일 실 현을 위해서 다중 층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예에서, 본 발명의 정제는 예를 들어 장용 코팅제로 코팅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정제에 유용한 다른 부형제를 알 것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로젠지제는 적절량의 활성제 및 또한 임의의 충전제, 결합제, 붕해제, 용매, 가용화제, 감미제, 착색제, 및 당업자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임의의 다른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로젠지제는 환자의 구강과 접촉시에 활성제를 용해하고 방출하도록 디자인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유용한 다른 전달 방법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의 염의 제제는 원하는 정도의 순도를 갖는 염을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안정화제 등과 혼합하여 저장 또는 투여용으로 제조되며, 서방성 또는 지효성 제제로 제공될 수 있다. 치료 용도를 위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는 제약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A.R. Gennaro Ed. 1985)]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물질은 사용되는 투여량 및 농도에서 수용자에게 비-독성이며, 완충제, 예컨대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아세테이트 및 다른 유기 산 염,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저분자량 (약 10개 미만의 잔기) 펩티드, 예컨대 폴리아르기닌, 단백질, 예컨대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이뮤노글로불린, 친수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디논, 아미노산, 예컨대 글리신,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또는 아르기닌, 단당류, 이당류 및 다른 탄수화물, 예컨대 셀룰로스 또는 그의 유도체, 글루코스, 만노스 또는 덱스트린, 킬레이팅제, 예컨대 EDTA, 당 알콜, 예 컨대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 반대이온, 예컨대 나트륨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트윈, 플루로닉(Pluronic)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한다.
치료적 투여에 사용할 본 발명의 염의 투여 제제는 멸균되어야 한다. 멸균은 멸균 막, 예컨대 0.2 마이크로미터 막을 통한 여과, 또는 다른 통상의 방법으로 쉽게 달성된다. 제제는 전형적으로 동결건조된 형태 또는 수용액으로서 저장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제의 pH는 전형적으로 3 내지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 가장 바람직하게는 7 내지 8일 것이다. 전술한 특정 부형제, 담체 또는 안정화제의 사용으로 인해서 시클릭 폴리펩티드 염이 형성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주사에 의한 것이지만, 다양한 투여 형태, 예컨대 좌제, 이식용 펠렛 또는 소형 실린더, 에어로졸, 경구 투여 제제 (예컨대 정제, 캡슐제 및 로젠지제) 및 국소 제제, 예컨대 연고제, 점적제(點滴劑) 및 피부 패치제를 이용한 다른 투여 방법, 예컨대 정맥내 (볼루스(bolus) 및/또는 주입), 피하, 근육내, 결장, 직장, 비측(鼻側) 또는 복강내 투여도 예상된다. 본 발명의 멸균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물질, 예컨대 생분해성 중합체 또는 합성 실리콘, 예를 들어 실라스틱(Silastic), 실리콘 고무 또는 기타 시판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는 성형품, 예컨대 이식물로 혼입된다.
본 발명의 염은 또한 리포좀 전달 시스템, 예를 들어 소형 단층 소포, 대형 단층 소포 및 다층 소포의 형태로 투여될 수도 있다. 리포좀은 다양한 지질,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 스테아릴아민 또는 포스파티딜콜린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은 또한 염 분자가 커플링되는 항체, 항체 단편, 성장 인자, 호 르몬 또는 다른 표적 부분을 사용하여 전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염은 또한 표적화가능한 약물 수송자로서의 적합한 중합체와 커플링될 수도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폴리비닐피롤리디논, 피란 공중합체, 폴리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페놀, 폴리히드록시에틸-아스파르트아미드-페놀, 또는 팔미토일 잔기로 치환된 폴리에틸렌옥시드-폴리리신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염은 약물의 제어 방출 달성에 유용한 생분해성 중합체 부류,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 폴리엡실론 카프롤락톤, 폴리히드록시 부티르산,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디히드로피란,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로겔의 가교된 또는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에 커플링될 수 있다. 중합체 및 반-투과가능한 중합체 매트릭스는 성형품, 예컨대 밸브, 스텐트, 튜브, 인공삽입물 등을 형성할 수 있다.
투여량
전형적으로, 약 0.5 내지 500 mg의 본 발명의 염 또는 본 발명의 염의 혼합물을 허용되는 제약 관행에 따라 요구되는 바와 같이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비히클, 담체, 부형제, 결합제, 보존제, 안정화제, 염료, 향미제 등과 배합한다. 이러한 조성물 중 활성 성분의 양은 상기한 범위 내의 적합한 투여량이 달성되는 정도이다.
전형적인 투여량은 약 0.001 mg/kg 내지 약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약 0.01 mg/kg 내지 약 10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0 mg/kg 내지 약 20 mg/kg의 범위일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1회 또는 여러회 투여 될 수 있고, 다른 투여 용량이 유용할 수도 있다.
VII . 치료/투여 방법
A. 원치않는 혈전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상태의 예방 및 치료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염을 단독으로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의 일부로서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게 투여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포유동물에서 혈전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심혈관 질환, 특히 혈전증과 관련이 있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서 단독 사용되기에도 적합하고, 다성분 치료법의 일부로서 사용되기에도 적합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제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급성 심근 경색, 불안정형 협심증, 만성 안정형 협심증, 일과성 허혈 발작, 졸중, 말초 혈관 질환, 자간전증/자간증, 심부 정맥 혈전증, 색전증, 파종성 혈관내 응고 및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간병, 및 침습적 절차, 예를 들어 혈관성형술, 경동맥 내막절제술, CABG (관상 동맥 우회 이식) 후 수술, 혈관 이식술, 스텐트 설치, 혈관내 장치 및 인공삽입물의 삽입, 및 유전적 소인 또는 암과 관련이 있는 응고항진 상태 후의 혈전성 및 재협착성 합병증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혈전증, 특히 혈소판-의존적 혈전성 적응증을 위한 약물 또는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군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적응증은 혈관성형술 및/또는 스텐트 설치를 포함하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PCI), 급성 심근 경색 (AMI), 불안정형 협심증 (USA), 관상 동맥 질환 (CAD), 일과성 허혈 발작 (TIA), 졸중, 말초 혈관 질환 (PVD), 관상동맥 우회술, 경동맥 내막절제술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제약 조성물은 또한 포유동물에서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다성분 치료법의 일부로서 다른 치료제 또는 진단제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제약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의료 관행에 따라 이러한 상태에 대해서 전형적으로 처방되는 다른 화합물, 예를 들어 항-응고 제제, 혈전용해제, 또는 다른 항-혈전제, 예컨대 혈소판 응집 억제제,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자, 유로키나제, 프로유로키나제, 스트렙토키나제, 헤파린, 아스피린, 또는 와파린 또는 소염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시클로옥시게나제 II 억제제)와 공동 투여될 수 있다. 공동 투여는 또한 항-혈소판제 및 혈전용해제 둘다의 투여량이 감소되게 하여 잠재적인 출혈 부작용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제약 조성물은 성공적인 혈전용해 요법 후의 재폐색을 예방하고/하거나 재관류 시간을 감소시키는 상승작용적 방식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제약 조성물은 생체내, 통상적으로는 포유동물, 예를 들어 영장류 (예를 들어, 인간), 양, 말, 소, 돼지, 개, 고양이, 래트 및 마우스에서, 또는 시험관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제약 조성물의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생물학적 성질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항-혈전성 효능 및 지혈 및 혈액학적 파라미터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생체내 연구를 통해 쉽게 특징규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제약 조성물은 용액제 또는 현탁액제의 형태일 수 있 다. 혈전 장애의 관리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제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경구 투여를 위한 정제, 캡슐제 또는 엘릭시르제, 좌제, 멸균 용액제 또는 현탁액제의 형태 또는 주사가능한 투여 형태 등일 수도 있고 성형품에 혼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제약 조성물을 사용한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 (전형적으로는 포유동물)에게 최적의 효능을 제공하는 투여량을 투여할 수 있다. 투여량 및 투여 방법은 대상체마다 다를 것이고, 치료할 포유동물의 유형, 그의 성별, 체중, 식단, 병행되는 투약 현황, 전반적인 임상적 상태, 사용되는 화학식 I의 특정 염, 상기 화합물 또는 제약 조성물이 사용되는 특정 용도, 및 의료계 당업자가 인지할 다른 인자와 같은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B. 치료 유효량
치료적 투여를 위해 사용될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투여 제제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은 멸균되어야 한다. 멸균은 멸균 막, 예컨대 0.2 마이크로미터 막을 통한 여과, 또는 다른 통상의 방법으로 쉽게 달성된다. 제제는 전형적으로 고체 형태,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된 형태로 저장될 것이다.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경구 투여이지만,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투여 제제 또는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주사, 정맥내 (볼루스 및/또는 주입), 피하, 근육내, 결장, 직장, 비측, 경피 또는 복강내 투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좌제, 이식용 펠렛 또는 소형 실린더, 에어로졸, 경구 투여 제제 및 국소 제제, 예컨대 연고제, 점적제 및 피부 패치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투여 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또한 불활성 물질, 예컨대 생분해 성 중합체 또는 합성 실리콘, 예를 들어 실라스틱, 실리콘 고무 또는 기타 시판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는 성형품 및 용품, 예컨대 이식물로 혼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제약 조성물은 또한 리포좀 전달 시스템, 예를 들어 소형 단층 소포, 대형 단층 소포 및 다층 소포의 형태로 투여될 수도 있다. 리포좀은 다양한 지질,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 스테아릴아민 또는 포스파티딜콜린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치료 유효 투여량은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특정 화합물 또는 제약 조성물에 대해서, 필요한 최적의 투여량을 결정하기 위해서 개별적인 결정이 행해질 수 있다. 치료 유효 투여량의 범위는 투여 경로, 치료 대상 및 환자의 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다. 피하 바늘로 주사하는 경우, 투여량은 체액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다른 투여 경로에 대해서는, 약리학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각 화합물에 대한 흡수 효율을 개별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치료자는 최적의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 요구되는 바에 따라 투여량을 조절하고 투여 경로를 변경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유효 투여량 수준, 즉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투여량 수준의 결정은 당업자가 쉽게 결정할 것이다. 전형적으로, 화합물의 적용은 보다 낮은 투여량 수준에서 시작하여 원하는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투여량 수준을 증가시킨다.
유효 투여량 수준, 즉 원하는 결과, 즉 혈소판 ADP 수용체 억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투여량 수준의 결정은 당업자가 쉽게 결정할 것이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제약 조성물의 적용은 보다 낮은 투여량 수준에서 시작하여 원 하는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투여량 수준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은 단일 또는 다수의 분할된 1일 투여량의 투약법에 따라 약 0.01 내지 1000 mg/kg의 투여량 범위 내의 유효량으로 경구 투여될 수 있다.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를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 사용하는 경우, 전형적으로 약 5 내지 500 mg의 화학식 I의 염을 허용되는 제약 관행에 따라 요구되는 바와 같이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비히클, 담체, 부형제, 결합제, 보존제, 안정화제, 염료, 향미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와 배합한다. 이러한 조성물 중 활성 성분의 양은 상기한 범위 내의 적합한 투여량이 달성되는 정도이다.
C. 투여
치료 화합물의 액체 제제는 일반적으로 멸균 입구를 갖는 용기, 예를 들어 정맥내 용액 백 또는 피하 주사 바늘로 뚫을 수 있는 마개를 갖는 바이알에 담긴다.
정제, 캡슐제, 로젠지제 등에 혼입될 수 있는 전형적인 보조제는 아카시아, 옥수수 전분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미세결정질 셀룰로스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알긴산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과 같은 윤활제, 수크로스 또는 락토스와 같은 감미제, 또는 향미제이다. 투여 형태가 캡슐제인 경우에는 상기 물질 이외에도 물, 염수 또는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도 함유할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다른 물질들은 코팅제, 또는 투여량 단위의 물리적 형태의 개질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주사용 멸균 조성물은 통상의 제약 관행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일과 같은 비히클 또는 에틸 올레에이트와 같은 합성 지방 비 히클 또는 리포좀으로 활성 화합물을 용해하거나 현탁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허용되는 제약 관행에 따라 완충제, 보존제, 항산화제 등이 혼입될 수 있다.
D. 조합 요법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른 치료제 또는 진단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의료 관행에 따라 이러한 상태에 대해서 전형적으로 처방되는 다른 화합물, 예를 들어 항-응고 제제, 혈전용해제, 또는 다른 항-혈전제, 예컨대 혈소판 응집 억제제,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자, 유로키나제, 프로유로키나제, 스트렙토키나제, 헤파린, 아스피린, 또는 와파린과 공동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성공적인 혈전용해 요법 후의 재폐색을 예방하고/하거나 재관류 시간을 감소시키는 상승작용적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또한 사용되는 혈전용해제의 투여량이 감소되게 하여 잠재적인 출혈 부작용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생체내, 통상적으로는 포유동물, 예를 들어 영장류 (예를 들어, 인간), 양, 말, 소, 돼지, 개, 고양이, 래트 및 마우스에서, 또는 시험관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논의, 실시양태 및 예는 단지 특정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에 불과함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 및 균등물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앞서 논의되거나 언급된 모든 특허문헌, 간행물 및 기타 문서들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하기하는 제조예 및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더욱 확실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이다. 이러한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하고 대표하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VIII . 실시예
달리 언급하지 않는다면, 본 명세서 전반에서 사용된 약어는 하기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Å 옹스트롬
A% 총 면적%
aq. 수성
AcN, ACN 아세토니트릴, 메틸 시아나이드
n-BuOAc n-부틸 아세테이트
s-BuOAc s-부틸 아세테이트
ca. 대략
cm 센티미터
ClPh 클로로페놀
d 이중선
DCE 디클로로에탄
DCM 디클로로메탄, 메틸렌 클로라이드
DIPE 디-이소프로필에테르
DMA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DMF 디메틸 포름아미드
DS 약물 물질
DSC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EDTA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t2O 디-에틸 에테르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EtOH 에탄올, 에틸 알콜
eq. 당량
f.a. 유리 산
f.b. 유리 염기
g 그램
H2O 증류수 또는 HPLC 등급의 물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r 시간
Hz 헤르츠
IR 적외선
IPA 이소-프로필 알콜, 프로판-2-올
iPrOAc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iPrOH 이소-프로필 알콜, 프로판-2-올
J 커플링 상수
kg 킬로그램
kV 킬로볼트
L 리터
LOD 검출 한계
LNB 실험 노트
MeCN 메틸 시아나이드, 아세토니트릴
MEK 메틸 에틸 케톤, 부타논
M 몰
m 다중선
mA 밀리암페어
Me 메틸
MeOH 메탄올, 메틸 알콜
MIBK 메틸 이소부틸 케톤, 2,2-디메틸 부탄-3-온
mg 밀리그램
min. 분
mL 밀리리터
mm 밀리미터
MTBE 3차 부틸 메틸 에테르
nBuOH n-부탄올, 부탄-1-올
N 노르말
nM 나노몰
NMP n-메틸 피롤리돈
NMR 핵 자기 공명
nPrOH n-프로판올, 프로판-1-올
PF 프로젝트 폴더
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RM 반응 혼합물
RT 실온
s 단일선
SM 출발 물질
tBME/TBME t-부틸 메틸 에테르
tBuOH t-부탄올 (2-메틸-프로판-2-올)
TDS 전체 용해된 고체
TGA 열 중량 분석
THF 테트라히드로푸란
TMP 2,2,4-트리메틸펜탄, 이소-옥탄
μΜ 마이크로몰
일반적인 방법
이들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출발 물질 및 시약은 일반적으로 상업적인 공급업체, 예를 들어 알드리치 케미칼 컴퍼니(Aldrich Chemical Co.)로부터 구하거나, 또는 문헌 [Fieser and Fieser's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Wiley & Sons: New York, 1967-2004, Volumes 1-22], [Rodd's Chemistry of Carbon Compound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1989, Volumes 1-5 and Supplementals] 및 [Organic Reactions, Wiley & Sons: New York, 2005, Volumes 1-65]과 같은 참고 문헌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한다. 하기 합성 반응식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는 몇가지 방법을 예시하는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합성 반응식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고, 본 출원서의 개시내용을 참조한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합성 반응식의 출발 물질 및 중간체는 여과, 증류, 결정화,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통상의 기술을 이용하여 단리하고 원한다면 정제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물리적 상수 및 스펙트럼 데이타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수단을 통해 특징규명될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본원에 기재된 반응들은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대기하에 대기압에서 약 -78℃ 내지 약 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약 125℃, 가장 바람직하고 편리하게는 약 실온 (또는 주위 온도),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75℃의 반응 온도 범위에서 수행된다.
하기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본원에 기재된 방법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되었다.
화합물 및/또는 중간체는 2695 분리 모듈을 갖춘 워터스 얼라이언스(Waters Alliance)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미국 매사추세츠주 밀포드 소재)을 사용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로 특징규명하였다. 분석 컬럼은 머크(Merck) KGaA (독일 다름스타트 소재)의 C-18 스피드로드(SpeedROD) RP-18E 컬럼이었다. 별법으로, 워터스 애쿼티(Waters Acquity) UPLC BEH C-18 2.1 mm×15 mm 컬럼을 갖춘 워터스 유니티(Waters Unity) (UPLC) 시스템을 사용하여 특징규명을 실시하였다. 전형적으로 5% 아세토니트릴/95% 물로 출발하여 얼라이언스 시스템의 경우에는 5분의 기간에 걸쳐, 애쿼티 시스템의 경우에는 1분에 걸쳐 95%의 아세토니트릴로 진행하는 구배 용출을 이용하였다. 모든 용매는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을 함유하였다. 화합물을 220 또는 254 nm에서의 자외선 광 (UV)의 흡광도로 검출하였다. HPLC 용매는 이엠디 케미칼스, 인크.(EMD Chemicals, Inc.) (미국 뉴저지주 깁스타운 소재)로부터 구입하였다. 일부 경우에, 순도는 유리 배킹 실리카 겔 플레이트, 예를 들어 이엠디 실리카겔 60 2.5 cm×7.5 cm 플레이트를 사용한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TLC)로 평가하였다. TLC 결과는 자외선 광하에 또는 공지된 요오드 증기 및 기타 다양한 염색 기술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쉽게 검출하였다.
질량 분광 분석은 이동상으로서 아세토니트릴/물을 사용한 2종의 아질런트(Agilent) 1100 시리즈 LCMS 기기 중 하나에서 실시하였다. 한 시스템은 TFA를 변형제로 이용하여 양이온 방식으로 측정하고 [MH+, (M+1) 또는 (M+H)+로 보고함], 다른 한 시스템은 포름산 또는 아세트산암모늄을 이용하여 양이온 [MH+, (M+1) 또는 (M+H)+로 보고함] 및 음이온 [M-, (M-1) 또는 (M-H)-로 보고함] 방식 둘다로 측정하였다.
핵 자기 공명 (NMR) 분석은 배리안(Varian) 400 MHz NMR (미국 캘리포니아주 팔로 알토 소재)을 사용하여 일부 화합물에 대해서 실시하였다. 스펙트럼 표준물은 TMS이거나, 또는 화학적 쉬프트(chemical shift)가 공지된 용매였다.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의 순도는 원소 분석 (미국 뉴저지주 매디슨 소재의 로버트슨 마이크로리트(Robertson Microlit))으로 평가하였다.
융점은 래버러토리 디바이시스 융점 측정기(Laboratory Devices Mel-Temp apparatus) (미국 매사추세츠주 홀리스톤 소재)로 측정하였다.
정제용 단리는 Sq16x 또는 Sg100c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및 사전 충전된 실리카겔 컬럼 (모두 텔레다인 이스코(Teledyne Isco) (미국 네브라스카주 링컨 소재)로부터 구입함)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별법으로, 화합물 및 중간체는 실리카겔 (230 내지 400 메쉬) 패킹 물질을 사용한 플래시(flash)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C-18 역상 컬럼을 사용한 HPLC로 정제하였다. 이스코 시스템 및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한 전형적인 용매는 디클로로메탄, 메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아세톤, 수성 히드록시아민 및 트리에틸 아민이었다. 역상 HPLC에 사용한 전형적인 용매는 0.1%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함유하는 다양한 농도의 아세토니트릴 및 물이었다.
고체 형태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1. FT 적외선 분광법 ( FTIR )
샘플을 유니버설 ATR(Universal ATR) 샘플링 부속품이 장착되고 스펙트럼 V5.0.1 소프트웨어를 작동시킨 퍼킨-엘머 스펙트럼 원(Perkin-Elmer Spectrum One)으로 연구하였다. 해상도는 4 cm-1로 설정하였고, 16개 스캔을 4000 cm-1 내지 400 cm-1의 범위에서 수집하였다. 제어 및 분석 소프트웨어: 스펙트럼 v5.0.1.
2.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 DSC )
DSC 데이타 (열분석도)는 50 위치 자동 샘플채취기가 장착된 TA 장치 Q1000 또는 34 위치 자동 샘플채취기가 장착된 메틀러(Mettler) 기기 모델 DSC 823e에서 수집하였다. 상기 2개 기기 모두에서 에너지 및 온도 보정 표준물은 인증된 인듐이었다. 상기 2개 기기에서 사용된 방법은 샘플을 10℃/분의 속도로 10℃에서 250℃로 가열하는 것이었다. 질소 퍼징(purging)을 TA 기기의 경우에는 약 30 내지 50 mL/분, 메틀러 기기의 경우에는 50 mL/분으로 하여 샘플에 유지시켰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다면 샘플은 0.5 내지 3 mg을 사용하였고, 모든 샘플은 뚜껑에 작은 구멍이 있는 알루미늄 팬에서 밀폐시켰다. TA 기기를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는 Q 시리즈 v2.2.0.248을 위한 어드밴티지(Advantage for Q series v2.2.0.248), 써멀 어드밴티지 릴리즈(Thermal Advantage Releas) 4.2.1.이었고, TA 기기를 위한 분석 소프트웨어는 유니버설 어낼러시스 2000 v4.1D 빌드(Universal Analysis 2000 v4.1D Build) 4.1.0.16.이었다. 메틀러 DSC를 위한 제어 및 분석 소프트웨어는 STARE v. 9.01이었다.
3. 열중량 분석 ( TGA )
TGA 데이타 (열분석도)는 16 위치 자동 샘플채취기가 장착된 TA 기기 Q500 TGA 또는 34 위치 자동 샘플채취기가 장착된 메틀러 기기 모델 TGA/SDTA 851e에서 수집하였다. 상기 TA 기기는 인증된 알루멜(Alumel)을 사용하여 온도를 보정하였고, 메틀러 기기는 인증된 인듐을 사용하였다. 2개의 기기 둘다에 사용된 방법은 샘플을 10℃/분의 속도로 주위 온도에서 350℃로 가열하는 것이었다. 약 60 내지 100 mL/분의 질소 퍼징을 샘플에 유지시켰다.
TA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샘플을 전형적으로 5 내지 30 mg으로 하여 미리 용기 중량을 측정해 둔 백금 도가니 및 개방된 알루미늄 DSC 팬에 넣었다. 제어 소프트웨어는 Q 시리즈 v2.2.0.248을 위한 어드밴티지, 써멀 어드밴티지 릴리즈 4.2.1.이었고, 분석 소프트웨어는 유니버설 어낼러시스 2000 v4.1D 빌드 4.1.0.16.이었다. 메틀러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샘플을 전형적으로 5 내지 10 mg으로 하여 개방된 알루미늄 팬에 두었다. 상기 기기를 위한 소프트웨어 (기기 제어 및 데이타 분석)는 STARE v. 9.01이었다.
4. XRPD (X선 분말 회절 )
브루커 ( Bruker ) AXS C2 GADDS 회절분석기
X선 분말 회절 패턴은 Cu Kα 방사선조사 (40 kV, 40 mA), 자동화 XYZ 스테이지, 자동 샘플 위치설정을 위한 레이저 비디오 현미경 및 HiStar 2-차원 영역 검출기를 사용한 브루커 AXS C2 GADDS 회절분석기에서 수집하였다. X선 렌즈는 0.3 mm의 작은 구멍 분광기와 커플링된 단일 괴벨(Goebel) 다층 거울로 구성되었다.
빔 발산, 즉 샘플에 대한 X선 빔의 유효 크기는 대략 4 mm였다. 샘플 - 검출기 거리를 3.2°내지 29.7°의 유효 2θ 범위를 제공하는 20 cm로 하여 θ-θ 연속 스캔 방식을 이용하였다. 전형적으로, 샘플을 120초 동안 X선 빔에 노출시켰다.
주위 조건
주위 조건하에서 작동시킨 샘플은 분말을 분쇄 없이 입수한 대로 사용하여 편평한 플레이트 표본으로 제조하였다. 대략 1 내지 2 mg의 샘플을 유리 슬라이드 또는 규소 웨이퍼에 가볍게 눌러서 편평한 표면이 되게 하였다.
단일 결정 XRD ( SCXRD )
데이타는 옥스포드 크리오시스템즈 크리오스트림(Oxford Cryosystems Cryostream) 냉각 장치가 장착된 브루커 AXS 1K SMART CCD 회절분석기 또는 브루커-노니우스 카파(Bruker-Nonius Kappa) CCD에서 수집하였다. 구조를 SHELXS 또는 SHELXD 프로그램으로 규명하였고, 브루커 AXS SHELXTL 수트의 일부로서의 SHELX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리하였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다면, 탄소에 부착된 수소 원자를 기하학적으로 배치하고 라이딩(riding) 등방성 치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정리되도록 하였다. 헤테로원자에 부착된 수소 원자는 차등 푸리에 합성(difference Fourier synthesis)에 위치시키고, 등방성 치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자유롭게 정리되도록 하였다.
5. 중량 증기 흡착 ( GVS ) 연구
CFRSorp 소프트웨어로 제어되는 하이든(Hiden) IGASorp 수분 흡착 분석기를 사용하여 흡착 등온선을 생성하였다. 샘플 온도는 후버(Huber) 재순환 수조를 사용하여 25℃로 유지시켰다. 습도는 건조 및 습윤 질소의 스트림을 전체 유속 250 mL/분으로 혼합하여 제어하였다. 상대 습도는 샘플 가까이에 위치시킨 보정된 바이살라(Vaisala) RH 프로브 (작동 범위: 0 내지 95% RH)로 측정하였다. % RH의 함수로서의 샘플 중량 변화 (질량 완화(mass relaxation))를 미량저울 (정확도: ±0.001 mg)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였다.
전형적으로 10 내지 20 mg의 샘플을 주위 조건하에서 용기 중량을 측정해 둔 메쉬 스테인레스 강 바스켓에 넣었다. 샘플을 40% RH 및 25℃ (전형적인 실내 조건)에서 넣고 꺼내었다.
수분 흡착 등온선의 작성은 하기 요약한 바와 같이 하여 수행하였다 (1개의 완전 주기를 제공하는 2개 스캔). 표준 등온선의 작성은 25℃에서 10% RH의 간격으로 0 내지 90% RH 범위에 걸쳐 수행하였다.
파라미터
흡착 - 스캔 1 40 - 90
탈착/흡착 - 스캔 2 85 - 건조, 건조 - 40
간격 (% RH) 10
스캔 수 2
유속 (mL/분) 250
온도 (℃) 25
안정성 (℃/분) 0.05
최소 흡착 시간 (시) 1
최대 흡착 시간 (시) 4
방식 AF2
정확성 (%) 98
상기 소프트웨어는 질량 완화 모델과 함께 최소 자승 최소화 절차를 사용하여 점근값을 예측한다. 결정된 질량 완화 값은 다음번 % RH 값이 선택되기 전에 소프트웨어 예측치의 5% 이내여야 한다. 최소 평형화 시간은 1시간으로 설정하였고 최대 값은 4시간으로 설정하였다.
등온선 작성의 완료 후에 샘플을 회수하여 XRPD로 재분석하였다.
6. 1 H NMR
스펙트럼을 자동 샘플채취기가 장착된 브루커 400 MHz에서 수집하였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다면, 샘플은 d6-DMSO 중에 제조하였다.
7. 순도 분석
순도 분석은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가 장착되고 켐스테이션(ChemStation) 소프트웨어 v9를 사용하는 아질런트 HP1100 시스템에서 수행하였다.
Figure 112009074069425-PCT00010
Figure 112009074069425-PCT00011
Figure 112009074069425-PCT00012
8. 편광 현미경 ( PLM )
샘플을 화상 캡쳐를 위한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가 장착된 레이카(Leica) LM/DM 편광 현미경에서 연구하였다. 각 샘플 소량씩을 유침 오일을 떨어뜨린 유리 슬라이드에 놓고 유리 슬립을 덮어, 개개의 입자들이 가능한 한 분리되도록 하였다. 상기 샘플을 적절한 배율 및 λ 위색(false-colour) 필터와 커플링된 부분 편광으로 관측하였다.
9. 고온 현미경( Hot Stage Microscopy , HSM )
고온 현미경 관측은 메틀러-톨레도(Mettler-Toledo) MTFP82HT 핫-스테이지 및 화상 캡쳐를 위한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와 조합된 레이카 LM/DM 편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각 샘플 소량씩을 유리 슬라이드에 놓고 개개의 입자들이 가능한 한 분리되도록 하였다. 상기 샘플을 주위 온도로부터 전형적으로 10 내지 20℃/분으로 가열하면서 적절한 배율 및 λ 위색 필터와 커플링된 부분 편광으로 관측하였다.
10. 칼 피셔(Karl Fischer)에 의한 물 측정
각 샘플의 물 함량을 히드라날 코울로마트(Hydranal Coulomat) AG 시약 및 아르곤 퍼징을 이용하여 메틀러-톨레도 DL39 전량계에서 측정하였다. 칭량한 고체 샘플을 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한 수바실(subaseal)에 연결된 백금 TGA 팬위의 용기에 도입하였다. 적정시에는 대략 10 mg씩의 샘플을 사용하고, 2벌 측정을 수행하였다.
11. 수용해도
충분량의 화합물을 물 0.25 mL 중에 현탁하여 유리 형태의 모 화합물의 최대 최종 농도가 ≥ 10 mg/mL이 되도록 하여 수용해도를 결정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25℃에서 24시간 동안 평형화시킨 후에 pH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상기 현탁액을 유리 섬유 C 필터를 통해 96웰 플레이트로 여과하였다. 이어서, 여액을 101배 희석하였다. DMSO 중 대략 0.1 mg/mL의 표준 용액을 참조하여 HPLC로 정량하였다. 여러가지 부피의 표준물, 희석한 샘플 용액 및 희석하지 않은 샘플 용액을 주입하였다. 표준 주입물의 주요 피크와 동일한 체류 시간에서 발견되는 피크를 통합하여 결정된 피크 면적을 사용하여 용해도를 계산하였다.
필터 플레이트에 충분한 고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XRPD 패턴을 수집하였다.
Figure 112009074069425-PCT00013
12.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타는 아이씨 네트(IC Net) 소프트웨어 v2.3을 사용하는 메트롬 861 어드밴스드 콤팩트 아이씨(Metrohm 861 Advanced Compact IC)에서 수집하였다. 샘플은 물 중에 1000 ppm 원액으로서 제조하였다. 샘플 용해도가 낮은 경우에는 DMSO와 같은 적합한 용매를 사용하였다. 적절한 용매를 사용하여 샘플을 50 ppm 또는 100 ppm으로 희석한 후에 시험하였다. 분석할 이온의 농도를 알고 있는 표준 용액과 비교하여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Figure 112009074069425-PCT00014
실시예 1: 중간체 술포닐우레아 카르바메이트 (8)의 합성
Figure 112009074069425-PCT00015
단계 1: 5-클로로티오펜-2-술포닐 클로라이드의 제조
Figure 112009074069425-PCT00016
문헌 [C. A. Hunt, et al. J. Med. Chem. 1994, 37, 240-247]으로부터 하기 절차를 채택하였다. 기계적 교반기, 공기 응축기, 적하 깔때기 및 수분-가드 튜브가 장착된 3구 R.B. 플라스크에 클로로술폰산 (240 mL, 3.594 mol)을 넣었다. 교반하에 PCl5 (300 g, 1.44 mol, 0.40 당량)를 약 45분에 걸쳐서 조금씩 첨가하였다. 첨가하는 동안, 많은 부피의 HCl 기체가 격렬하게 방출되었지만, 혼합물의 온도는 유의하게 상승하지 않았다 (< 40℃). PCl5가 모두 첨가되었을 때에는 거의 투명한 옅은 황색 용액이 생성되었고, 상기 현탁액에는 단지 몇개의 PCl5 고체 조각들이 떠 있었다. 이것을 기체 방출이 멈출 때까지 (0.5시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 용기를 얼음 중에서 냉각시키고, 2-클로로-티오펜 (66.0 mL, 0.715 mol)을 적하 깔때기를 통해 1.0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처음 몇 방울의 2-Cl-티오펜을 첨가하였을 때 상기 혼합물이 짙은 자주색으로 변하였고, 모든 티오펜이 첨가되었을 때에는 짙은 자주색의 용액이 수득되었다. 첨가하는 동안에 HCl 기체는 연속해서 저속으로 방출되었다. 이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짙은 자주색의 투명한 용액인 상기 혼합물을 0.5시간에 걸쳐 파쇄된 얼음 (3 L)에 적가하였다. 얼음에 적가할 때, 자주색 색상은 즉시 사라졌다. 무색의 묽은 유화액을 실온에서 약 15시간 동안 기계적으로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CH2Cl2 (3×3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CH2Cl2 추출물을 물 (1×200 mL), 포화 NaHCO3 (1×250 mL), 염수 (1×100 mL)로 세척하여 건조 (Na2SO4)시키고 회전 증발기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옅은 황색 글루(glue)로서 수득하였고, 이것은 고화되어 반-고체 덩어리를 생성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어서, 이것을 고진공 증류 (bp 110℃ 내지 112℃/12 m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35.20 g (88%)을 무색/옅은-황색 반-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2: 5-클로로티오펜-2-술폰아미드
Figure 112009074069425-PCT00017
문헌 [C. A. Hunt, et al. J. Med. Chem. 1994, 37, 240-247]으로부터 하기 절차를 채택하였다. 기계적 교반기가 장착된 3구 R.B. 플라스크에 진한 NH4OH (500 mL, 148.50 g NH3, 8.735 mol NH3, 13.07 당량의 NH3)을 넣었다. 상기 플라스크를 얼음 중에서 냉각시키고, 5-클로로티오펜-2-술포닐 클로라이드 (145.0 g, 0.668 mol)를 0.5시간에 걸쳐 조금씩 첨가하였다 (이것은 저융점의 고체이고, 가온으로 용융시킨 후에 구멍이 넓은(wide-bored) 폴리에틸렌 피펫으로 편리하게 첨가하였음). 술포닐 클로라이드는 상기 반응 플라스크에서 즉시 고화되었다. 모든 술포닐 클로라이드가 첨가된 후, 이것을 함유하는 플라스크를 THF (25 mL)로 세정하고, 이것을 또한 상기 반응 용기에 넣었다. 이어서, 농후한 현탁액을 실온에서 약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시간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반응 혼합물은 여전히 현탁액이었으나 질감은 상이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얼음 중에서 냉각시켜 H2O (1.5 L)로 희석하고, 진한 HCl을 사용하여 pH 약 3으로 산성화하였다. 고체 생성물을 부흐너(Buchner) 깔때기로 여과하여 수집하고, 빙수로 세정하고 공기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103.0 g (78%) 수득하였다. MS (M-H): 196.0; 198.0
단계 3: 에틸 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카르바메이트
Figure 112009074069425-PCT00018
기계적 교반기 및 적하 깔때기가 장착된 2-L 3구 R.B. 플라스크에 술폰아미드 (60.0 g, 303.79 mmol), 및 THF (900 mL) 중 Cs2CO3 (200 g, 613.83 mmol, 2.02 당량)을 충전하였다. 상기 투명한 용액을 얼음 중에서 냉각시키고,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70.0 mL, 734.70 mmol, 2.418 당량)를 약 3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이어서, 농후한 현탁액을 실온에서 약 3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물 (200 mL)로 희석하여 투명한 무색의 용액을 수득하였고, 이것을 회전 증발기에서 그의 부피의 1/3로 농축시켰다. 이어서, 이것을 EtOAc (250 mL)로 희석하여 얼음에서 냉각시키고, 6 N HCl을 사용하여 pH 약 1이 될 때까지 산성화하였다. 상기 2상 혼합물을 분별 깔때기로 옮겨 층들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2×75 mL EtOAc로 다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염수 (2×50 mL) 및 염수 (1×50 mL)로 세척하여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밝은 색상의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이것을 실리카 겔 플러그로 여과하여 정제하였다. 상기 조 생성물을 EtOAc 중에 소결 깔때기에서의 실리카 겔 플러그에 적용한 후에 EtOAc (1 리터)로 용출시켰다. EtOAc 여액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8을 백색 고체로서 71.28 g (87%) 수득하였다. MS (M-H): 268.0; 270.0.
Figure 112009074069425-PCT00019
실시예 2: [4-(6- 플루오로 -7- 메틸아미노 -2,4- 디옥소 -1,4- 디히드로 -2H- 퀴나졸린 -3-일)- 페닐 ]-5- 클로로 -티오펜-2-일- 술포닐우레아 (7a)의 합성
단계 1:
Figure 112009074069425-PCT00020
아닐린 1 (1H NMR (DMSO)): δ 7.58 (dd, 1H), 6.72 (dd, 1H), 3.77 (s, 3H); 6.0 g, 32.085 mmol)을 5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톨루엔 중 20% 포스겐 (175 mL, 332.50 mmol, 10.36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로써 생성된 약간 점성의 현탁액을 밤새 실온에서 자성 교반하여 투명한 무색의 용액을 수득하였다. 분취액을 취하여 아르곤으로 취입 건조시켜 MeOH로 켄칭(quenching)하고 RP-HPLC/MS로 분석하여 미반응 아닐린 1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소시아네이트 2a 및/또는 카르바모일 클로라이드 2b (그의 메틸-카르바메이트로서 분석됨)가 순수하게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혼합물을 우선 회전 증발로 농축시킨 후에 고진공하에 농축시켜 이소시아네이트 2a 및/또는 카르바모일 클로라이드 2b 6.76 g (99% 수율)을 자유 유동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2:
Figure 112009074069425-PCT00021
500 mL R.B. 플라스크에 DMF (100 mL) 중 N-Boc-1,4-페닐렌디아민 (6.22 g, 29.866 mmol, 1.20 당량)을 넣었다. 트리에틸아민 (5.30 mL, 38.025 mmol, 1.52 당량)을 시린지로 넣었다. 이어서, 투명한 짙은 갈색 용액을 DMF (50 mL) 중 이소시아네이트 2a (5.30 g, 24.88 mmol) 및/또는 카르바모일 클로라이드 2b의 용액으로 15분에 걸쳐 적가 처리하였다. 첨가 완료 후에 약간 혼탁한 혼합물이 수득되었고, 이것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분취액을 분석하여 MeOH로 켄칭시킨 후에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가 존재하지 않으며 우레아 3a 및 퀴나졸린-1,3-디온 4a가 약 2.5:1의 비율로 순수하게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MS (M-H): 388.0.
이어서, DBU (3.75 mL, 25.07 mmol, 약 1.0 당량)를 시린지로 5분에 걸쳐 적가하여, 투명한 짙은 갈색 용액이 수득되었다. 이것을 실온에서 3.0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탁한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HPLC 분석은 우레아 3a가 존재하지 않으며 퀴나졸린-1,3-디온 4a가 순수하게 형성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회전 증발기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이것을 고진공하에 건조시킨 후에 CH2Cl2/H2O (5:1)로 연화처리하여 4a를 거의 백색의 고체로서 8.40 g 수득하였다 (87% 수율).
Figure 112009074069425-PCT00022
단계 3:
Figure 112009074069425-PCT00023
N-Boc-아닐린 4a (4.0 g, 10.28 mmol)를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디옥산 중 4 N HCl (50.0 mL, 200 mmol, 19.40 당량)을 첨가하였다. 무시할만큼 용매화된 농후한 현탁액을 실온에서 5.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PLC는 출발 물질이 존재하지 않으며 아닐린 5a가 순수하게 형성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회전 증발기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로써 수득된 고체를 CH2Cl2로 연화처리하여 순수한 5a 3.22 g을 거의 백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96% 수율). MS (M-H): 290.3.
Figure 112009074069425-PCT00024
단계 4:
Figure 112009074069425-PCT00025
디플루오로-화합물 5a (1.0 g, 3.072 mmol)를 나사형 뚜껑(screw-cap)으로 밀폐된 튜브에 넣었다. DMSO (20 mL)를 첨가한 후에 메틸아민 (THF 중 2.0 M) (15.0 mL, 30 mmol, 9.76 당량)을 첨가하여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오일조에서 110℃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HPLC는 미반응 5a가 존재하지 않으며 5b가 순수하게 형성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켜 모든 MeNH2 및 THF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 100 mL로 희석하여 5b를 침전시켰다. 약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백색 고체를 부흐너 깔때기를 통한 여과로 수집하여 H2O (100 mL)로 세정하고 공기 건조시켰다. 상기 고체의 HPLC 분석은 이것이 순수하고 DBU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상기 고체를 상기 아닐린에 대한 이전 경로에서와 같이 Et2O 및 이후 CH2Cl2를 사용한 연화처리로 추가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875 mg을 수득하였다 (95% 수율). MS (M+1) 301.2.
Figure 112009074069425-PCT00026
단계 5: 1-(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3-(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페닐)우레아 (6a)의 합성
Figure 112009074069425-PCT00027
CH3CN (1300 mL) 중 아닐린 (5a, 16.0 g, 53.33 mmol) 및 에틸-술포닐-카르바메이트 (8, 28.77 g, 106.66 mmol, 2.0 당량)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36시간 동안 환류시까지 가열하였다. 이 시간 동안에, 상기 반응 혼합물은 농후한 현탁액으로 유지되었다. HPLC 분석은 순수한 반응 및 1% 미만의 미반응 아닐린을 보여주었다. 상기 농후한 현탁액을 실온으로 냉각시켜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하였다. 백색 고체 생성물을 CH3CN (3×40 mL)으로 추가로 세정하였다. 여액의 HPLC는 원하는 생성물이 단지 미량으로만 존재하며 이것들 대부분은 잉여 카르바메이트임을 보여주었다. 이어서, 상기 조 생성물을 CH2Cl2 (400 mL)로 연화처리하고, 거의 백색의 고체 생성물 (6a)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한 여과로 수집하였다. 수득량: 25.69 g (92%). MS (M+1): 524.0; 526.0.
Figure 112009074069425-PCT00028
실시예 3: [4-(6- 클로로 -7- 메틸아미노 -2,4- 디옥소 -1,4- 디히드로 -2H- 퀴나졸린 -3-일)- 페닐 ]-5- 클로로 -티오펜-2-일- 술포닐우레아 (6b)
실시예 3의 화합물은, 메틸-2-니트로-5-클로로-4-플루오로벤조에이트를 Pt(S)C로 환원시켜 합성한 메틸-2-아미노-5-클로로-4-플루오로벤조에이트로 출발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 (단계 1 내지 5)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하여 합성하였다.
실시예 4: [4-(6- 플루오로 -7- 메틸아미노 -2,4- 디옥소 -1,4- 디히드로 -2H- 퀴나졸 린-3-일)- 페닐 ]-5- 클로로 -티오펜-2-일- 술포닐우레아 (6a) 및 칼륨 염 (7a)의 합성
Figure 112009074069425-PCT00029
단계 1:
Figure 112009074069425-PCT00030
메틸 2-아미노-4,5-디플루오로벤조에이트 (2) (38 kg, 1.0 당량) 및 디클로로메탄 (560 kg, 8×, ACS > 99.5%)을 PP1-R1000 반응기 (2000 L GL 반응기)에 충전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하였다. 4-니트로페닐클로로포르메이트 (49.1 kg, 1.2 당량)를 PP1-R2000 반응기 (200 L)에 충전한 후에 디클로로메탄 (185 kg)을 충전하고, 상기 내용물을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200 L 반응기를 가압한 후에 4-니트로페닐클로로포르메이트 용액을 (2)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함유하는 2000 L 반응기로 옮겼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40±5℃ (환류)로 질소 기체 퍼징하에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대표적인 TLC 분석은 반응 완료 (공정중(in-process) TLC, 화합물 (2)가 남아있지 않음; 99:1 CHCl3-MeOH)를 확인시켜 주었다. 상기 용액을 30℃로 냉각시켜 디클로로메탄 460 kg을 진공하에 증류시켰다. 상기 2000 L 반응기에 헥산 520 kg을 충전하고, 상기 반응기의 내용물을 0±5℃로 냉각시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T-515 LF 타이파르(Typar) 필터 시트 및 Mel-Tuf 1149-12 필터지 시트와 연결된 GF 누체(Nutsche) 필터로 여과하였다. 상기 필터 케이크를 헥산 20 kg으로 세척하고 일정한 중량이 달성될 때까지 35℃에서 진공 건조시켰다. 건조 생성물은 98% 수율로 수득되었다 (70.15 kg). 상기 생성물을 1H NMR 및 TLC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단계 2: 3-(4-아미노페닐)-6,7-디플루오로퀴나졸린-2,4(1H,3H)-디온 히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5b의 합성
Figure 112009074069425-PCT00031
PP1-R1000 (2000 L GL 반응기) 반응기에 3a (64.4 kg, 1.0 당량),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557 kg) 및 트리에틸아민 (2.2 kg, 0.1 당량)을 충전하였다. 2000 L GL 반응기의 충전관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 kg)으로 세정하였다. 상기 반응기의 내용물을 25분 동안 교반하였고, 이 기간 동안에 완전한 용해가 달성되었다. PP1-R2000 (200 L HP 반응기) 반응기에 N-Boc-p-페닐렌디아민 (38 kg, 1.0 당량)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89 kg)을 충전하고, 완전한 용해가 달성될 때까지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200 L HP 반응기의 내용물을 화합물 3a를 함유하는 2000 L GL 반응기로 옮긴 후에 65±5℃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HPLC를 통해 모니터링하여 출발 물질 3a가 사라졌음을 확인한 후에 (공정중 명세 < 1%) 반응이 완결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상기 2000 L GL 반응기의 내용물을 20±5℃로 냉각시킨 후에 메톡시화나트륨 (메탄올 중 25% 용액, 41.5 kg, 1.05 당량)을 20분에 걸쳐 충전하면 서 온도는 30℃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충전관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 kg)으로 세정하였다. 내용물을 25±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공정중 HPLC 분석은 반응 완료를 확인시켜 주었고, 이때 반응 혼합물 중에 남아있는 화합물 3b의 양은 < 1%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에 공정 여과수 (500 kg)를 첨가하고, 진공하에 2000 L GL 반응기 내용물을 용매 300 kg이 증류될 때까지 깨끗한 200 L GL 수용기로 증류시켰다. 수득된 고체를 GL 누체 필터로 여과하고, 고체 화합물 4b의 색상이 백색 내지 회색빛이 될 때까지 공정 여과수로 세척하였다. 2000 L GL 반응기에 습윤 화합물 4b 필터 케이크 및 디옥산 (340 kg)을 충전하고, 상기 내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득된 여과가능한 고체를 T-515 LF 타이파르 필터지 시트를 사용한 GL 누체 필터로 여과하였다. 고체 케이크를 2시간 동안 취입 건조시킨 후에 디옥산 (200 kg)으로 2000 L GL 반응기에 충전하였다. 내용물을 10분 동안 교반한 후에 디옥산 중 4 N HCl (914 kg)을 3시간에 걸쳐 충전하면서, 내부 온도는 30℃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충전관을 추가의 디옥산 (10 kg)으로 세정하고, 상기 반응기의 내용물을 6시간 동안 25±5℃에서 교반하였다. 화합물 4b가 화합물 5b로 전환되는 것에 대하여 HPLC로 반응 완결을 모니터링하였다 (공정중 대조군 화합물 4b는 반응 혼합물 중에 < 1%이었음). 상기 반응기의 내용물을 2시간 동안 5±5℃로 냉각시키고, 수득된 고체를 GL 누체 필터로 여과한 후에 디옥산 (50 kg)으로 세척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8±7 psi의 질소로 30분 동안 취입 건조시키고, HPLC로 순도를 분석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45℃의 진공 오븐에서 48시간 동안 일정한 중량으 로 건조시켰다. 화합물 5b (65.8 kg, 실제 수율: 110.6%)를 수득하여 1H NMR 및 HPLC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Figure 112009074069425-PCT00032
단계 3: 3-(4-아미노페닐)-6-플루오로-7-(메틸아미노)퀴나졸린-2,4(1H,3H)-디온, 화합물 5c의 합성
Figure 112009074069425-PCT00033
PP1-R2000 (200 L HP 반응기)에 화합물 5b (18 kg, 1.0 당량)를 충전하고, 100±5 psi의 질소로 가압하였다. 상기 반응기로부터 질소를 대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킨 후에 응축기 밸브를 연 후, 상기 반응기에 디메틸 술폭시드 (> 99.7%, 105 kg)를 아르곤 블랭킷하에 충전하였다. 상기 반응기 내용물을 22℃ (19℃ 내지 25℃)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후, 나머지 밸브 모두를 잠근 후에 200 L HP 반응기에 최대 달성가능한 진공을 인가하였다. 수립된 진공을 이용하여, 메틸아민 (무수 에탄올 중 33 중량%, 37.2 kg)을 내부 온도가 25±5℃로 유지되는 속도로 상기 200 L HP 반응기에 충전하면서 이러한 충전 동안에 시약 용액에 대한 질소 블랭킷을 유지하였다. 충전관을 디메틸 술폭시드 (5 kg)로 세정한 후에 200 L HP 반응기 응축기 밸브를 잠그고, 반응기 내용물을 110±5℃로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기의 내용물을 5시간 이상 동안 110±5℃에서 교반하였다. 5시간 40분 후에 수행한 공정중 HPLC는 화합물 5b의 함량이 0.09%임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반응 완료 (공정중 명세 ≤ 1%)를 나타낸다. 200 L HP 반응기의 내용물을 25±5℃로 냉각시켰다. 200 L 반응기를 냉각시키면서, PP1-R1000 반응기 (2000 L GL 반응기)의 모든 밸브를 잠그고, 상기 반응기에 공정 여과수 (550 kg)를 충전하였다. 200 L HP 반응기의 내용물을 2000 L GL 반응기에 15분에 걸쳐 옮긴 후에 충전관을 공정 여과수 (50 kg)로 세정하였다. 2000 L GL 반응기의 내용물을 2시간 동안 5±5℃에서 교반하였다. 수득된 여과가능한 고체를 Mel-Tuf 1149-12 필터지가 장착된 PPF200 (GL 누체 필터)에서 진공하에 여과하였다. 상기 습윤 필터 케이크를 꺼내어 듀폰(Dupont)의 불화탄소 필름 (킨드(Kind) 100A)이 있는 미리 연결된 진공 트레이로 옮겼다. 특별한 오븐 페이퍼 (카본(KAVON) 992)를 습윤 화합물 5c를 함유하는 진공 트레이에 깔고, 이것을 진공 오븐 트레이 건조기로 옮겼다. 오븐 온도를 55℃로 설정하고, 화합물 5c를 12시간 동안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생성물 5c를 76.5% 수율 (예상치: 85% 내지 95%)로 수득하였다 (12.70 kg). HPLC는 98.96% 순도를 보여주었고, 1H NMR은 화합물 5c의 구조를 확인시켜 주었다.
Figure 112009074069425-PCT00034
단계 4: 5-클로로-N-(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페닐카르바모일)티오펜-2-술폰아미드
Figure 112009074069425-PCT00035
PP1-R2000 (200 L HP 반응기) 반응기에 6 (20.7 kg, 1.0 당량), 에틸 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카르바메이트 (37.5 kg, 2.0 당량, > 95%) 및 디메틸 술폭시드 (> 99%, 75 kg)를 충전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최대 달성가능한 진공을 인가하면서 200 L HP 반응기 번호 PP1-R2000을 15시간 동안 65±5℃로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기로부터 대표적인 샘플을 취하여 HPLC 분석에 사용하였고, 공정중 HPLC는 반응 혼합물 중에 < 0.9% 화합물 5c가 남아있음을 나타냈다 (반응 완료를 위한 공정중 기준은 화합물 6a < 1%임). 800 L 반응기 번호 PP5-R1000에 공정 여과수 (650 kg)를 충전한 후에 200 L HP 내용물을 800 L로 옮기면서 내부 온도는 25℃ 미만으로 유지시켰다. 상기 200 L HP 반응기를 디메틸 술폭시드 (15 kg)로 세정하여 800 L 반응기로 옮긴 후에 2시간 동안 5±5℃에서 교반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필터 PP-F2000를 통해 200 L GL 수용기로 진공하에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공정 여과수 (60 kg)로 세정하였다. 화합물 6a의 순도가 < 95%인 경우에는 습윤 케이크의 대표적인 샘플을 취하여 HPLC 분석에 사용하였다 (공정중 대조군 < 95%인 경우에는 디클로로메탄 연화처리가 필요함). 800 L GL 반응기에 모든 습윤 화합물 6a 및 디클로로메탄 (315 kg)을 충전하고, 상기 내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고체를 T515 LF 타이파르 필터의 1개 시트가 연결된 GL 누체 필터를 통해 진공 하에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디클로로메탄 (50 kg)으로 세척하고, 상기 케이크를 8±7 psi의 질소로 15분 동안 취입 건조시켰다. 필터 케이크를 듀폰의 불화탄소 필름 (킨드 100A)이 있는 미리 연결된 진공 트레이로 옮긴 후에 60℃로 설정된 진공 오븐 트레이 건조기에 12시간 동안 넣어 두었다. 건조된 화합물 6a를 단리 (33.6 kg, 93% 수율)하였고, 이것의 HPLC 순도는 93.5% 및 술폰아미드 4.3%였다. 1H NMR은 화합물 6a의 구조를 확인시켜 주었다.
Figure 112009074069425-PCT00036
단계 5: 칼륨 (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페닐카르바모일)아미드, 7a
Figure 112009074069425-PCT00037
800 L GL 반응기 번호 PP5-R1000에 아세토니트릴 (134 kg) 및 WFI 품질의 물 (156 kg)을 충전하고, 상기 내용물을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화합물 6a (33.6 kg, 1.0 당량)를 첨가하였고, 상기 반응 혼합물은 이 시점에 현탁액이었다. 상기 현탁액에 수산화칼륨 (4.14 kg, 1.15 당량, > 85%)의 수용액 (WFI 물, 35 kg)을 내부 온도가 30℃ 미만으로 유지되는 속도로 충전하였다. 충전관을 WFI 품질의 물 (2 kg)로 세정한 후에 상기 800 L GL 반응기 내용물을 1시간 동안 50±5℃ 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상기 내용물을 백 필터를 통해 고온 여과한 후에 세븐 카트리지(seven cartridge) 0.2 ㎛ 연마 필터로 여과하여 HDPE 드럼을 세정하였다. 상기 고온 여과 시스템을 여과 공정 전체에 걸쳐 유지하여, 용액의 물질이 분쇄되지 않도록 하였다. 800 L GL 반응기 자켓을 25±5℃로 냉각시킨 후에 반응기 세정을 수행하였다. 800 L GL 반응기를 필터 시스템을 통해 아세토니트릴 (8.5 kg) 및 WFI 품질의 물 (10 kg)의 사전 혼합된 용액으로 세정하여 7a 고온 여과로 표시된 드럼에 넣었다. 압력 용기를 이용하여 상기 800 L GL 반응기를 WFI 품질의 물 (20 kg)로 세정한 후에 아세톤 (20 kg)으로 세정하고, 이후 질소 (3±2 psi)로 취입 건조시켰다. 상기 800GL 반응기의 바닥 밸브를 잠그고, 20±10 인치의 Hg 진공을 인가하였다. 진공을 제거하고, 상기 반응기에 7a 고온 여과로 표시된 드럼의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800 L GL 반응기 번호 PP5-R1000의 내용물을 20±5℃로 냉각시킨 후에 연마 필터 (PP-PF09)를 사용하여 상기 반응기에 메탄올 (373 kg, > 99%)을 충전하면서, 내부 온도는 30℃ 미만으로 유지시켰다. 800GL 반응기 번호 PP5-R1000의 내용물을 15±5℃로 냉각시킨 후에 이 온도에서 상기 내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시간 동안에 상기 여과가능한 고체를 깨끗한 필터 장치 (PP-F1000)를 통해 깨끗한 200 L GL 수용기 (PPR-04)로 여과한 후에 상기 반응기를 가압하였다. 20±10 인치의 Hg 진공을 상기 필터/수용기에 인가하고, 상기 내용물을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메탄올 (30 kg)로 세척하여 8±7 psi의 질소로 10분 동안 취입 건조시켰다. 진공 오븐 트레이 건조기 온도를 80℃로 설정한 후에 7a의 습윤 케이크를 넣었다. 상기 습윤 필터 케이크를 듀폰의 불화탄소 필름 (킨드 100A)이 있는 미리 연결된 진공 트레이로 옮기고, 특별한 오븐 페이퍼 (카본 Mel-Tuf 페이퍼)를 습윤 생성물 7a를 함유하는 진공 트레이에 깔았다. 상기 트레이를 진공 오븐 트레이 건조기로 옮겼다. 습윤 생성물 7a를 일정한 중량 (일정한 중량은 최소 1시간 동안 ±50 g 내의 동일 중량을 갖는 것으로 판독되는 트레이로 정의됨)으로 건조시켰다. 대표적인 샘플을 잔류 용매 (API를 위한 잔류 용매 명세)에 대해 분석하고, 이것은 상기 명세를 충족시켰다. 최종 API를 WFI 품질의 물이 존재하는 트레이를 사용하여 물 (5% 내지 6%)로 12시간 동안 평형화시킨 후에 완전하게 뒤집어서 12시간 더 방치하고, 최종적으로 KF 분석을 실시하였다 (5.5% 물 함량). 화합물 7 칼륨 염 (21.80 kg, 60.6% 수율)을 내구성이 강한 이중 폴리 백으로 옮기고, 2차 격리고에 저장하였다. HPLC는 7a에 대해 99.7% 순도를 보여주었고, 1H NMR은 7a의 구조를 확인시켜 주었다.
Figure 112009074069425-PCT00038
실시예 5: 약리 검정
본 발명에 따른 각 화합물의 약리 활성을 하기하는 시험관내 검정으로 결정하였다:
I. ADP -매개 혈소판 응집의 시험관내 억제
1.
본 발명에 따른 시험 화합물이 ADP-유도된 인간 혈소판 응집에 미치는 효과 를 96웰 미량역가 검정 (일반적으로, 문헌 [Jantzen, H. M. et al. (1999) Thromb. Hemost. 81:111-117]의 절차 참조) 또는 인간 혈소판-풍부 혈장 (PRP, Platelet-Rich Plasma) 또는 인간의 세척된 혈소판을 사용하는 표준 큐벳 광 투과 응집측정으로 평가하였다.
응집 검정을 위한 인간 혈소판-풍부 혈장을 제조하기 위해서 건강하고 약물 투여를 받지 않는 지원자로부터의 인간 정맥혈을 0.38% 시트르산나트륨 (0.013 M, 최종 pH 7.0)으로 수집하였다. 혈소판-풍부 혈장 (PRP)은 전혈을 20분 동안 160×g로 실온에서 원심분리하여 제조되었다. PRP 층을 취하여 새로운 튜브로 옮기고, 필요에 따라서는 혈소판 수를 혈소판이 적은 혈장 (PPP, Platelet-Poor Plasma)을 사용하여 약 3×108개 혈소판/mL의 혈소판 농도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PPP는 나머지 혈액 샘플 (PRP 제거 후)을 20분 동안 800×g로 원심분리하여 제조되었다. 이후, 이러한 PRP 제제를 96웰 플레이트 또는 표준 큐벳 응집측정에서의 응집 검정에 사용할 수 있었다.
세척된 혈소판을 제조하기 위해서 건강하고 약물 투여를 받지 않는 지원자로부터의 인간 정맥혈을 PGI2를 함유하는 ACD (85 mM 시트르산나트륨, 111 mM 글루코스, 71.4 mM 시트르산) (최종 0.2 μM PGI2를 함유하는 ACD 1.25 mL. PGI2는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시그마(Sigma)에서 구입하였음)로 수집하였다. 혈소판-풍부 혈장 (PRP)은 20분 동안 160×g로 실온에서 원심분리하여 제조되었다. 세척된 혈소판은 PRP를 10분 동안 730×g로 원심분리하고 혈소판 펠렛을 1 U/mL 아 피라제 (등급 V.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시그마)를 함유하는 CGS (13 mM 시트르산나트륨, 30 mM 글루코스, 120 mM NaCl. 원래 혈액 부피 10 mL 당 CGS 2 mL) 중에 재현탁하여 제조되었다. 37℃에서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에 혈소판을 730×g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집하고, 0.1% 소 혈청 알부민, 1 mM CaCl2 및 1 mM MgCl2를 함유하는 헤페스-타이로드(Hepes-Tyrode's) 완충제 (10 mM 헤페스, 138 mM NaCl, 5.5 mM 글루코스, 2.9 mM KCl, 12 mM NaHCO3, pH 7.4) 중에 3×108개 혈소판/mL의 농도로 재현탁하였다. 상기 혈소판 현탁액을 37℃에서 45분 넘게 보관하였다가 응집 검정에 사용하였다.
2.
큐벳 광 투과 응집 검정을 위해서 시험 화합물의 계열 희석물 (1:3)을 100% DMSO 중에 96웰 V-바닥 플레이트에서 제조하였다 (큐벳 중 최종 DMSO 농도는 0.6%였음). 시험 화합물 (DMSO 중 계열 희석물 3 ㎕)을 응집 반응 개시 전에 PRP와 함께 30초 내지 45초 동안 사전 인큐베이션시켰고, 응집 반응은 크로노로그(ChronoLog) 응집측정기에서 37℃에서 효능제 (5 또는 10 μM ADP)를 PRP 490 ㎕에 첨가하여 수행하였다. 일부 경우에서는, 세척된 혈소판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함) 490 ㎕를 37℃에서 사용하여 광 투과 응집측정을 수행하였고, 응집은 5 μM ADP 및 0.5 mg/mL 인간 피브리노겐 (미국 코넥티커트주 그린위치 소재의 아메리칸 다이아그노스틱스, 인크.(American Diagnostics, Inc.)) 첨가로 개시하였다. 응집 반응을 약 5분 동안 기록하고, 최대 응집 정도를 검정의 5분 기간 동안 일어 난 최대 응집과 비교하여 기준선의 응집 정도에서의 차이로 결정하였다. 응집 억제는 억제제 존재하에 관찰된 최대 응집으로서 억제제 없이 관찰된 값과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IC50 값은 프리즘(Prism) 소프트웨어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 디에고 소재의 그래프피드(GraphPad))를 사용한 비-선형 회귀 분석으로 유도하였다.
3.
또한, ADP-의존적 응집의 억제를 문헌 [Frantantoni et al., Am. J. Clin. Pathol. 94, 613 (1990)]에 기재된 절차와 유사하게 하여 96웰 편평 바닥 미량역가 플레이트에서 미량역가 플레이트 진탕기 및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모든 단계는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혈소판-풍부 혈장 (PRP)을 사용한 96웰 플레이트 응집의 경우에는 0.2 mL/웰의 총 반응 부피가 PRP 180 ㎕ (약 3×108개 혈소판/mL, 상기 참조), 20% DMSO 중 시험 화합물의 계열 희석물 또는 완충제 (대조군 웰을 위한 것) 6 ㎕, 및 20× ADP 효능제 용액 (100 μM) 10 ㎕를 포함하였다. 이어서, 샘플의 OD를 미량역가 플레이트 판독기 (소프트맥스(Softmax). 미국 캘리포니아주 멘로 파크 소재의 몰레큘라 디바이시스(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여, 제0분 판독치를 생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미량역가 플레이트 진탕기에서 5분 동안 교반하고, 상기 플레이트 판독기에서 제5분 판독치를 수득하였다. 응집을 t = 0분과 비교한 t = 5분의 450 nm에서의 OD 감소치로부터 계산하고, 응집되지 않은 대조군 샘플에서의 변화에 대해 보정한 후에 ADP 대조군 샘플에서의 감소율(%)로서 표현하였다. IC50 값은 비-선형 회귀 분석으로 유도하였다.
세척된 혈소판을 사용한 96웰 플레이트 응집의 경우에는 0.2 mL/웰의 총 반응 부피가 헤페스-타이로드 완충제/0.1% BSA 중에 4.5×107개의 아피라제-세척된 혈소판, 0.5 mg/mL 인간 피브리노겐 (미국 코넥티커트주 그린위치 소재의 아메리칸 다이아그노스티카, 인크.(American Diagnostica, Inc.)) 및 0.6% DMSO 중 시험 화합물의 계열 희석물 (대조군 웰의 경우에는 완충제)을 포함하였다. 약 5분 동안 실온에서 사전 인큐베이션한 후에 ADP를 최종 농도 2 μM로 첨가하여 최대하 응집을 유도하였다. 1개 세트의 대조군 웰 (ADP-대조군)에는 ADP 대신에 완충제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샘플의 OD를 미량역가 플레이트 판독기 (소프트맥스. 미국 캘리포니아주 멘로 파크 소재의 몰레큘라 디바이시스)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여, 제0분 판독치를 생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미량역가 플레이트 진탕기에서 5분 동안 교반하고, 상기 플레이트 판독기에서 제5분 판독치를 수득하였다. 응집을 t = 0분과 비교한 t = 5분의 450 nm에서의 OD 감소치로부터 계산하고, 응집되지 않은 대조군 샘플에서의 변화에 대해 보정한 후에 ADP 대조군 샘플에서의 감소율(%)로서 표현하였다. IC50 값은 비-선형 회귀 분석으로 유도하였다.
II . 혈소판에 대한 [ 3 H]2- MeS - ADP 결합의 억제
1. 후보 분자가 혈소판상의 P2Y 12 수용체에 대한 [ 3 H]2- MeS - ADP 의 결합을 억제하는 능력을 방사성리간드 결합 검정을 이용하여 결정함
본 검정을 이용하여, 온전한 혈소판에 대한 [3H]2-MeS-ADP의 결합과 관련하여 이들 화합물의 억제 역가를 결정하였다. 하기 II(3)에서 기재한 조건하에서, [3H]2-MeS-ADP의 결합은 본 검정에서 측정된 모든 특이적 결합이 P2Y12 길항제와 경쟁적일 수 있다 (즉, 특이적 결합은 과량의 P2Y12 길항제와의 결합에 의해 백그라운드 수준으로 감소되며, P2Y12 길항제를 상기 혈소판 제제와 함께 사전 인큐베이션한 경우에는 결합 경쟁이 없음)는 점에서 오직 이 리간드와 P2Y12 수용체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이다. [3H]2-MeS-ADP 결합 실험을 병원의 혈액 은행에서 표준 절차로 수집한 오래된 인간 혈소판을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수행하였다. 아피라제-세척된 오래된 혈소판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다면, 모든 단계는 실온에서 수행하였음):
오래된 혈소판 현탁액을 1 배 부피의 CGS로 희석하고, 1900×g에서 4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소판을 펠렛화하였다. 혈소판 펠렛을 1 U/mL 아피라제 (등급 V.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시그마)를 함유하는 CGS 중에 3×109 내지 6×109개 혈소판/mL로 재현탁하고, 15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730×g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에 펠렛을 0.1% BSA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시그마)를 함유하는 헤페스-타이로드 완충제 중에 6.66×108개 혈소판/mL의 농도로 재현탁하였다. 혈소판을 45분 넘게 두었다가 결합 실험을 수행하였다.
2.
별법으로, 혈소판을 0.1% BSA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시그마)를 함유하는 헤페스-타이로드 완충제 중에 6.66×108개 혈소판/mL의 농도로 재현탁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섹션 I (ADP-매개 혈소판 응집의 시험관내 억제)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한 신선한 인간 혈소판을 사용하여 결합 실험을 수행하였다. 신선한 혈소판과 오래된 혈소판에서는 매우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3.
삼중수소화된 강력한 효능제 리간드 [3H]2-MeS-ADP를 사용한 혈소판 ADP 수용체 결합 검정 (ARB) [Jantzen, H. M. et al. (1999) Thromb. Hemost. 81:111-117]을 96웰 미량역가 포맷에 맞추었다. 0.1% BSA 및 0.6% DMSO를 함유하는 헤페스-타이로드 완충제 0.2 mL의 검정 부피 중에서 1×108개의 아피라제-세척된 혈소판을 96웰 편평 바닥 미량역가 플레이트에서 5분 동안 시험 화합물의 계열 희석물과 함께 사전 인큐베이션한 후에 1 nM [3H]2-MeS-ADP ([3H]2-메틸티오아데노신-5'-디포스페이트, 암모늄 염. 비활성: 20 내지 50 Ci/mmol. 미국 일리노이주 아링톤 헤이츠 소재의 아머샴 라이프 사이언스, 인크.(Amersham Life Science, Inc.) 또는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톤 소재의 엔이엔 라이프 사이언스 프로덕츠(NEN Life Science Products)로부터 외주 합성함)를 첨가하였다. 시험 화합물 없이 전체 결 합을 측정하였다. 비-특이적 결합을 위한 샘플은 10 μM 미표지 2-MeS-ADP (미국 매사추세츠주 나틱 소재의 알비아이(RBI))를 함유할 수 있다. 15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한 후에 미결합 방사성리간드를 신속한 여과로 분리하고, 96웰 세포 수거기 (미니디스크 96(Minidisc 96). 미국 버지니아주 스터링 소재의 스카트론 인스트루먼츠(Skatron Instruments)) 및 8×12 GF/C 유리섬유 필터매트 (1450 마이크로베타(Microbeta)용 프린티드 필터매트 A(Printed Filtermat A). 미국 메릴랜드주 가이터스버그 소재의 월락 인크.(Wallac Inc.))를 사용하여 차가운 (4℃ 내지 8℃) 결합 세척 완충제 (10 mM 헤페스 (pH 7.4), 138 mM NaCl)로 2회 세척하였다. 상기 필터매트상의 혈소판-결합된 방사능을 섬광 계수기 (마이크로베타 1450. 미국 메릴랜드주 가이터스버그 소재의 월락 인크.)에서 측정하였다. 특이적 결합은 전체 결합에서 비-특이적 결합을 감하여 결정하였고, 시험 화합물 존재하의 특이적 결합을 시험 화합물 희석물의 부재하의 특이적 결합에 대한 백분율(%)로서 표현하였다. IC50 값은 비-선형 회귀 분석으로 유도하였다.
하기 표에서, PRP 검정에서의 활성은 다음과 같다: +++, IC50 < 10 μM; ++, 10 μM < IC50 < 30 μM. ARB 검정에서의 활성은 다음과 같다: +++, IC50 < 0.05 μM; ++, 0.05 μM < IC50 < 0.5 μM.
[표 3]
실시예 번호 ARB 결합 PRP 활성
실시예 2 +++ +++
실시예 3 ++ ++
실시예 6: [4-(6- 플루오로 -7- 메틸아미노 -2,4- 디옥소 -1,4- 디히드로 -2H- 퀴나졸린 -3-일)- 페닐 ]-5- 클로로 -티오펜-2-일- 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9a) (무정형 형태)의 합성
Figure 112009074069425-PCT00039
유리 산, 술포닐우레아 (7.0 g, 13.365 mmol)를 THF/H2O (55:22 mL, 약 2.5:1) 중에 현탁하고, 2 M KOH (7.70 mL, 15.40 mmol, 1.15 당량)를 약 5분에 걸쳐 적가 처리하였다. 첨가가 완료되었을 때 투명한 용액이 생성되었다. 그러나, 5분이 지나기 전에 고체가 침전되었고, 상기 반응 혼합물은 농후한 현탁액이 되었다. 이것을 오일조에서 50℃로 가열하고, 생성된 투명한 점성의 밝은 갈색 용액을 이 온도에서 0.5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켰을 때 표제 화합물 (9a)이 침전되었다. 상기 혼합물을 i-PrOH (250 mL, 원래 반응 부피의 3배)로 희석하여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부흐너 깔때기로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 (9a)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이것을 80℃의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서 무정형 고체 7.20 g (96%)을 수득하였다. MS (음성 스캔): 521.7; 523.7.
실시예 7: 술포닐우레아 (7a)의 그의 무정형 나트륨 염 (10a)으로의 전환
Figure 112009074069425-PCT00040
1-(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3-(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2-디히드로퀴나졸린-3(4H)-일)페닐)우레아 (3.0 g, 5.728 mmol) 7a를 CH3CN/H2O (1:1, 70 mL) 중에 현탁하고, 2 N NaOH (2.90 mL, 5.80 mmol)로 적가 처리하였다. 약 15분 이내에 투명한 용액이 생성되었다. 1.0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밝은 갈색이 된 용액을 동결건조시켜서 조 생성물을 무정형 고체 10a로서 수득하였다. MS (음성 스캔): 522.0; 524.0.
실시예 8: 나트륨 염의 무정형 형태에 대한 별법의 제조법
나트륨 염 10a를 이소프로판올 (100 mL) 중에 현탁하고 약 45분 동안 환류시킨 후에 고온 여과하여 황갈색의 고체를 수득하였고, 이것은 대개가 표제 화합물임을 HPLC로 확인하였다. 상기 고체를 CH3CN:EtOH (1:2) (100 mL) 중에 현탁하고 45분 동안 환류시킨 후에 고온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 10a를 황갈색의 고체로서 2.54 g 수득하였다 (순도: 99.7% (분석용 HPLC, 긴 컬럼)). 상기 여액을 ACN:EtOH의 비율이 1:3이 될 때까지 EtOH로 희석하고, 이것을 실온에서 밤새 방치하였다. 표제 화합물의 추가 수확물이 침전되어 고체 10a를 210 mg 수득하였다 (순도: 99.7% (분석용 HPLC, 긴 컬럼)).
실시예 9: [4-(6- 플루오로 -7- 메틸아미노 -2,4- 디옥소 -1,4- 디히드로 -2H- 퀴나졸린 -3-일)- 페닐 ]-5- 클로로 -티오펜-2-일- 술포닐우레아의 염 스크리닝
1차 스크리닝
다양한 용매 3 mL 중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20 mg에 용매 1 mL 중 1.1 당량의 염기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진탕시키고, 상기 용액이 그 부피의 절반으로 증발되도록 하여 염을 침전시키고자 하였다. 이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고, 이 표는 본 스크리닝에 사용된 염기를 보여준다. THF 중의 용액을 매우 신속하게 고체로 증발시키고, 이것을 XRPD로 분석하였다. THF로부터의 대부분의 샘플은 무정형의 오일성 고체였고, 이것이 50℃/주위 온도에서 성숙되도록 하였다. 증발에 의해 고체를 형성하지 않은 임의의 용액에는 역용매로서 IPA를 첨가하여 고체가 침전되도록 유도하였다. IPA를 함유하는 침전되지 않은 샘플이 증발되도록 하였다.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액은 약간의 고체 및 약간의 오일을 생성하였다. 오일/유화액 및 불투명한 액체를 50℃/주위에서 8시간 주기로 수주 동안 성숙되도록 하였다. 현미경 및 XRPD 결과는 일부 샘플이 결정질임을 보여주었지만 고체가 없어서 깨끗한 회절도를 수득할 수는 없었다. 이어서, 고체 샘플 (결정질 및 무정형)을 여과하여 건조시킨 후에 분석하여 순도, 결정성 및 안정성을 판단하였다. 고체를 1H NMR로 분석하여 염 형성을 확인하고, 이 온 크로마토그래피 및 TGA로 분석하여 상기 염의 화학양론을 수득하였다.
[표 4]
1차 염 스크리닝
[표 5a 및 5b]
특징규명 결과
[표 5a]
Figure 112009074069425-PCT00042
Figure 112009074069425-PCT00043
[표 5b]
Figure 112009074069425-PCT00044
Figure 112009074069425-PCT00045
염 형태의 규모 증가
여러 염 형태의 2차 평가를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100 mg 규모로 수행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6 및 도면에 정리하였다:
[표 6]
규모 증가 특징규명
Figure 112009074069425-PCT00046
수율은 무수 모노 염을 기초로 하여 계산하였다. 용해도는 수성 열역학 용해도이며, 유리 염기 균등물로 표현하였다.
나트륨 염
모든 샘플의 규모 확대가 양호하여 수율이 좋고 (그러나, 일부는 그와 회합된 잔류 용매를 가짐) 화학적 순도도 좋았다. 모든 샘플은 1H NMR에 의해 염인 것 으로 확인되었다. 2종의 나트륨 염 모두가 형태 A와 일치하였고, 이것은 THF 용매 시스템으로부터 형태 A의 재현성을 확인시켜준다. IPA/에톡시화나트륨 방법은 때때로 형태 B를 제공하지만, 규모 확장시에는 분말 패턴이 형태 A와 형태 B 둘다와 상이하였다. 나트륨 염은 양호한 용해도를 나타냈으나 3일 동안의 40℃/75% RH에는 안정하지 않았다.
THF 로부터의 나트륨의 특징규명
1H NMR: 화학적 쉬프트가 나타나서 염 형성이 확인되었음. 잔류 용매: 물, IPA, THF.
HPLC에 의한 순도: 99.6A%.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 산:염기의 비율은 1:0.92였음. 용매 함량에 대해 조정하면, 산:염기는 1:1.02임 - 즉, 모노 염.
용해도 - 용해도 ≥ 10 mg/mL 유리 염기 균등물. 투명한 용액의 pH (25℃에서 24시간 동안 진탕시킨 후) = 8.76. 샘플이 투명한 용액이어서 XRPD로 분석할 잔류물이 없었음.
IPA 로부터의 나트륨의 특징규명
1H NMR: 화학적 쉬프트가 나타나서 염 형성이 확인되었음. 잔류 용매: 물, IPA, THF
HPLC에 의한 순도: 99.0A%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 산:염기의 비율은 1:0.92였음. 용매 함량에 대해 조 정하면, 산:염기는 1:1.11임 - 즉, 모노 염.
용해도 - 용해도 ≥ 10 mg/mL 유리 염기 균등물. 투명한 용액의 pH (25℃에서 24시간 동안 진탕시킨 후) = 9.06. 샘플이 투명한 용액이어서 XRPD로 분석할 잔류물이 없었음.
칼슘 염의 특징규명
1H NMR: 화학적 쉬프트가 나타나서 염 형성이 확인되었음. 잔류 용매: 물, IPA.
HPLC에 의한 순도: 98.8A%.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 산:염기의 비율은 1:0.76이었음. 용매 함량에 대해 조정하면, 산:염기 1:0.84임.
용해도 - 용해도 = 0.04 mg/mL 유리 염기 균등물. 포화 용액의 pH (25℃에서 24시간 동안 진탕시킨 후) = 7.36.
잔류물의 XRPD는 신규한 XRPD 패턴을 나타냈다.
트로메타민 염의 특징규명
1H NMR: 화학적 쉬프트가 나타나서 염 형성이 확인되었음. 트로메타민:유리 산의 비율은 1.07:1임 - 즉, 약간 과량의 트로메타민을 함유하는 모노 염. 잔류 용매: 물, IPA.
HPLC에 의한 순도: 98.7A%.
용해도 - 용해도 = 2.4 mg/mL 유리 염기 균등물. 포화 용액의 pH (25℃에서 24시간 동안 진탕시킨 후) = 8.90.
잔류물의 XRPD는 신규한 XRPD 패턴을 나타냈다 (샘플은 거의 무정형이 되었음)
IPA 로부터의 암모늄 염의 특징규명
1H NMR: 화학적 쉬프트가 나타나서 염 형성이 확인되었음. 잔류 용매: 물, IPA.
HPLC에 의한 순도: 98.1A%.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 산:염기의 비율은 1:0.52이었음. 용매 함량에 대해 조정하면, 산:염기는 1:0.56임 - 즉, 헤미-염.
용해도 - 용해도 = 2.3 mg/mL 유리 염기 균등물. 포화 용액의 pH (25℃에서 24시간 동안 진탕시킨 후) = 8.80. 잔류물의 XRPD는 신규한 XRPD 패턴을 나타냈고, 이것은 상기 암모늄 염의 형태 B와 유사하였음.
물로부터의 암모늄 염의 특징규명
1H NMR: 화학적 쉬프트가 나타나서 염 형성이 확인되었음. 잔류 용매: 물
HPLC에 의한 순도: 98.1A%.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 산:염기의 비율은 1:0.50이었음. 용매 함량에 대해 조정하면, 산:염기는 1:0.56임 - 즉, 헤미-염.
용해도 - 용해도 = 1.9 mg/mL 유리 염기 균등물. 포화 용액의 pH (25℃에서 24시간 동안 진탕시킨 후) = 8.08.
잔류물의 XRPD는 XRPD 패턴에 변화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9: 재결정화에 의한, 칼륨 염의 다형체 형태 A의 제조
재결정화: 조 생성물은, 우선 환류시까지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켜 침전시켜서 MeOH 또는 MeOH/EtOH (3:1)로부터 재결정화시킬 수 있다.
MeOH 로부터의 재결정화: 칼륨 염 1.0 g을 MeOH (150 mL) 중에 현탁시키고, 환류시까지 0.5시간 동안 가열하여 거의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고온 여과하였다. 투명한 여액은 실온에 방치시에 백색 고체를 침착시켰다. 이것을 밤새 교반한 후에 부흐너 깔때기를 통한 여과로 수집하였다. 상기 고체 생성물을 EtOH (2×4.0 mL)로 세정하고 80℃의 진공 오븐에서 20시간 동안 건조시켜서 무색의 고체 740 mg을 수득하였다. 상기 모액은 원래 부피의 약 1/3로 농축시켰을 때 더 많은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EtOH / MeOH 로부터의 재결정화: 칼륨 염 1.0 g을 용매 혼합물 EtOH/MeOH (1:3) (200 mL) 중에 현탁시키고, 환류시까지 0.5시간 동안 가열하여 거의 투명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고온 여과하였다. 투명한 여액은 실온에 방치시에 무색의 고체를 침착시켰다. 이것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한 여과로 수집하였다. 상기 고체 생성물을 EtOH로 세정하고 80℃의 진공 오븐에서 20시간 동안 건조시켜서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모액은 원래 부피의 약 1/3로 농축시켰을 때 더 많은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MeOH 로부터의 형태 B의 재결정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C5 009, 500 mg)을 1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충전하고 메탄올 (67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자성 교반하에 가열하여 30분 동안 환류시까지 가열하였다. 용해는 일어나지 않았고, 따라서 메탄올 (20 mL)을 2번 더 1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용해는 아직 일어나지 않았고, 용기의 한계에 이르렀다. 상기 현탁액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후에 진공하에 여과하고, 고체 (수확물 1)를 45℃에서 진공하에 오븐 건조시켰다. 모액의 일부 (약 20 mL)를 건조시까지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수확물 2), 나머지 모액을 약 30 mL로 농축시켰다. 수분 이내에 상기 플라스크가 매우 차가워졌고, 많은 고체가 침전 (수확물 3)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상기 용액이 농축 전에 포화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상기 3개의 수확물 모두의 XRPD 분석은 오직 수확물 3만이 형태 A 분말 패턴과 정확하게 닮았음을 보여주었다. 수확물 1은 형태 B에 독특한 5.2 2θ 피크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확물 2는 형태 B 피크를 갖지는 않지만 4.8 2θ 형태 A 피크도 갖지 않았기 때문에, 수확물 1 및 2는 형태 B와 형태 C 사이의 전이 상태에 있는 고체라는 가설이 세워졌다. 수확물 3의 액체로부터의 단일 결정은 형태 A가 물 1개 분자가 칼륨에 배위되어 있고, 각각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부분마다 물 1.5개 분자가 수소 결합되어 있는 2.5 수화물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수소 결합된 물의 이동 용이성이 4.8 2θ에서의 피크가 관찰될지 아닐지를 결정한다고 여겨진다. 구조에 관한 세부사항은 하기 섹션 10에서 찾을 수 있다.
실시예 10: 재결정화에 의한, 칼륨 염의 형태 B의 제조
재결정화: 조 생성물은, 우선 환류시까지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켜 침전시켜서 EtOH/H2O (91:9) 또는 적은 부피의 MeOH로부터 재결정화시킬 수 있다.
EtOH / H 2 O 로부터의 재결정화: 칼륨 염 1.0 g을 EtOH (190 mL) 중에 현탁시키고, 환류시까지 가열하였다. 상기 농후한 현탁액에 H2O (18.0 mL)를 적가하여 투명한 무색의 용액을 수득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켰을 때 표제 화합물이 백색 고체로서 침전되었다. 이것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한 여과로 수집하여 EtOH (2×4.0 mL)로 세정하였다. 이것을 80℃의 진공 오븐에서 20시간 동안 건조시켜서 무색의 고체 650 mg을 수득하였다. 상기 모액은 원래 부피의 약 1/3로 농축시켰을 때 더 많은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적은 부피의 MeOH 로부터의 대규모 재결정화: 칼륨 염 6.6 g을 MeOH (30 mL) 중에 현탁하여 환류시까지 5시간 동안 가열하였고, 상기 고체는 이 부피의 메탄올 중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았다. 냉각시킨 후에 상기 고체를 여과하여 iPrOH로 세정하였다. 상기 고체를 80℃의 진공 오븐에서 20시간 동안 건조시켜서 무색의 고체 6.2 g을 수득하였고, 이것은 특징규명 후에 형태 B인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 B는 수분 및 온도에 대해 매우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API를 75% RH/40℃에 최대 6개월 동안 노출시켰으나, 고체 상태에 변화는 없었다.
실시예 11: 칼륨 염의 형태 B에 대한 다형성 연구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형태 B가 다형체를 형성하는 경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형태 B (헤미-수화물)를 소정 범위의 용매 (단독 용매 및 용매 혼합물) 중에 슬러리화하였다. 알콜, 에테르 및 에스테르와 같은 용매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성 및 또한 관능기 및 극성의 범위를 기초로 하여 선택하였다. 수화물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수성 혼합물도 선택하였다. 사용된 용매는 하기 표 7에 상세하게 기재하였다:
[표 7]
주위 조건하의 다형성 실험
Figure 112009074069425-PCT00047
대략 50 mg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 형태 B를 표 7에 상세하게 기재한 용매 10배 부피 중에 현탁하고, 주위 조건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메톡시에탄올이 상기 칼륨 염을 용해시키는 유일한 용매로 관찰되었다. 상기 현탁액을 진공하에 여과하여 XRPD로 분석하였다. 고체 대부분이 형태 B로 유지되었고, 1:1 아세톤/물 혼합물 사용시에는 고체 형태에 미묘한 변화가 일어났다. 1:1 테트라히드로푸란/물 혼합물은 미묘하게 상이한 형태 및 형태 B의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모든 형태 B 샘플에 5배 부피의 적절한 용매의 추가 분취액을 첨가하고, 상기 현탁액을 50℃에서 4시간 동안 슬러리화한 후에 4시간 동안 주위 온도로 냉각시켰다. 상기 주기를 총 24시간 동안 반복한 후에, 상기 현탁액을 진공하에 여과하고 XRPD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하기 표 8에 상세하게 기재하였다:
[표 8]
가열 주기 다형성 실험
Figure 112009074069425-PCT00048
고체 형태에서 관찰된 변화는 형태 B와 단지 약간 상이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상이한 상들을 추가의 분석에 의해 이것들이 상이한 것으로 확인될 때까지는 주어진 최종 형태 명칭이 아니라 부류로 분류하였다.
상기 물질들을 특징규명하기 위해서 소정 범위의 기술 (DSC, VT-XRPD 및 1H NMR)을 이용하였다.
부류 1의 확인
부류 1의 분말 패턴은 단리된 모든 부류 중 형태 B에 최상으로 매치되었다. 유일한 차이점은 해상도 감소로 인한 것이라 여겨졌다 (아마도 사용된 기기 때문인 듯함). 이것이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DSC는 형태 B 출발 물질이 부류 1 샘플보다 약간 더 낮은 온도에서 용융됨을 보여주었다. 이것이 불순물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내기 위해서 2가지 샘플 모두에 순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순도 분석에서는 부류 1 샘플이 99.8 면적%이고, 형태 B 출발 물질이 99.9%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따라서, 순도는 상기한 차이에 대한 이유에서 배제되었다. VT-XRPD 실험을 수행하여 탈용매화된 상이 무엇인지를 알아내기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재분석시에는 상기 고체가 완전히 형태 B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부류 1을 재조사하지 못했다.
부류 2의 확인
사용한 많은 용매 시스템으로부터 부류 2로 표시한 상을 단리하였다. 상기 상이 수화물인지 여부를 알아내기 위해서 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DSC 실험은 탈용매화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주위 온도에서 약 102℃로의 흡열을 보여주었다. 이어서, 상기 탈용매화된 상은 281℃에서 용융되었다. 칼 피셔 분석은 1.1 몰과 동등한 3.4% 물 함량을 확인시켜 주었다. 안정성 연구를 위한 추가의 샘플을 얻기 위해서 원래 현탁액의 추가 분취액을 여과하였다. 그러나, XRPD는 독특한 5.2 2θ 피크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상기 샘플이 형태 B로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DSC 실험을 수행하여 융점을 확인하였는데, 융점이 281℃에서 형태 B의 융점 279℃로 거의 감소하였기 때문에 상기 샘플은 형태 B 및 일수화물의 혼합물이라 여겨졌다.
부류 3의 확인
이 고체 형태는 2-MeOEtOH/H2O (1:1)로부터 단리되었는데, 이것은 별도의 실험에서 생성된 단일 결정이었다. 상기 단일 결정 구조는 헤미-2-메톡시 에탄올 용매화물, 반수화물인 것으로 밝혀졌고, 상기 데이타로부터 계산된 분말 패턴은 형태 B의 실제 패턴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구조는 물 분자가 칼륨의 배위권 내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2-메톡시 에탄올은 수소 결합을 통해 상호작용하고 있었다. 2-메톡시 에탄올은 그에 어떠한 변화도 일으키지 않으면서 상기 구조의 안팎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탈용매화된 용매화물을 생성하여 유사한 분말 패턴을 갖는다고 여겨졌다.
부류 4의 확인
부류 4라고 표시된 고체는 이 형태로 단리된 유일한 고체였다. DSC 분석은 25℃ 내지 약 130℃에서의 개시점에서 일어난 폭넓은 흡열로부터의 탈용매화를 나타냈다. 이러한 전이 후, 상기 트레이스는 무정형 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형태 가 사실상 무정형 상으로 탈용매화된 용매화물일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VT-XRPD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형성 스크리닝에서는, 형태 B (반수화물)가 추가의 수화 또는 용매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론이 내려졌다. 또한, 2-메톡시 에탄올에 의해 추가로 용매화될 경우에는 상기 용매가 채널을 채운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재함).
2- 메톡시 에탄올/물 결정화
2-메톡시 에탄올이 디메틸술폭시드 이외에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을 용해하는 유일한 용매로 추정되었기 때문에, 2-메톡시 에탄올 및 물을 공-용매로서 사용하여 수많은 재결정화를 수행하였다. 하기 반응을 수행하였다:
[표 9]
Figure 112009074069425-PCT00049
2-메톡시 에탄올 용매화물의 반수화물 (지금까지 형태 B라 칭하였음)로의 탈용매화가 상기 구조 및 그로 인해 분말 패턴에 유의한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VT-XRPD를 수행하고, 상기 고체를 1H NMR로 재분석하였다. 2-메톡시 에탄올/물의 조합물은 반수화물 형태 B의 2-메톡시 에탄올 용매화물 이외에는 어떠한 형태도 생성할 수 없다고 추정되었다. 따라서, 이것은 클래스 II (ICH 가이드라인) 용매로 간주되어 잔류 수준 한계가 50 ppm이기 때문에 잠재적인 재결정화 용매로서 제외시켰다.
[4-(6- 플루오로 -7- 메틸아미노 -2,4- 디옥소 -1,4- 디히드로 -2H- 퀴나졸린 -3-일)-페닐]-5- 클로로 -티오펜-2-일- 술포닐우레아 유리 산으로부터의 칼륨 염 형성
다형성 스크리닝에서 형태 B로부터의 미묘한 차이를 생성하는 용매 및 수성 용매 조합물을 유리 산으로부터 칼륨 염을 생성하는 반응 용매로서 선택하였다. 하기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 10]
실험 관찰 및 결과
Figure 112009074069425-PCT00050
4개의 현탁액을 진공하에 여과하고 공기 건조시켰다. 이어서, XRPD 분석을 수행하였다. 디옥신/물로부터의 샘플은 1주일 후에 갈색 오일이 존재하여 폐기하 였다. 신규 분말 패턴을 제공한 디옥산으로부터의 고체를 완전히 특징규명하여,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에 2 당량의 용매를 갖는 1,4-디옥산 용매화물이라고 추정하였다.
수행한 실험은, 형태 B (반수화물에 약하게 결합된 용매를 건조시킴)로 출발하면 상기 고체가 추가로 수화되어 일수화물이 되거나 특정 용매로 용매화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용매가 채널을 채우기 때문에 용매 분자가 그 공간에서 떠날 때 구조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XRPD 단독 이외의 기술이 단리된 실제 형태를 추정하는데 필요하다. 형태 B를 추가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상기 물질이 반수화물로 충분히 건조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의 무수 형태는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12: 습윤 과립화에 의한, 칼륨 염의 형태 C의 제조
습윤 과립화를 수행했을 때, 형태 B로부터의 고체 상 변화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의 형태 B를 75% 및 90% w/w 물과 함께 막자사발 및 막자로 분쇄한 후에 40℃에서 밤새 가열하여, 무정형 형태 또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의 신규 형태인 형태 C로 전환되었다. 형태 C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 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의 형태 A 및 형태 B와는 상이한 XRPD 및 DSC 성질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신규 형태는, 상기 API를 저전단력의 제립기에서 아비셀(Avicel), 트리아실 시트레이트 및 물을 포함하는 부형제와 혼합한 후에 압출 및 구형화하는 습윤 과립화 공정으로 인한 것이었다. 추가로, 이러한 신규 형태는 주위 실온 또는 냉장고 (2℃ 내지 8℃)에서 연장된 기간, 즉 3일 동안 저장하였을 때 수성 슬러리 중에 제조될 수 있었다.
상기 샘플 (우선, 형태 C라고 지칭함)을 양이온 크로마토그래피로 특징규명하여 상기 칼륨 염이 손상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측정은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에 대한 0.92 당량의 칼륨을 확인하였다 (TGA에 의해 추정되는 용매 함량에 대해 보정함). 이후, 이러한 신규 형태 C는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의 헤미-칼륨 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11]
형태 C의 수용해도 측정치
물 중 열역학 용해도/mg.mL-1 pH
4.5 8.7
4.5 8.8
800 mg 규모 및 90 부피%의 물에서, 형태 B를 인산염 완충제 (H3PO4 및 KOH를 사용하여 pH 7.4로 만듦) 및 탈이온수를 둘다 이용하여 90 부피%의 물과 함께 5분 내지 10분 동안 유리 막자사발에서 분쇄하였다. 분쇄 후에 샘플을 XRPD로 재분석하였다.
[표 12]
수동 분쇄 실험
실험 XRPD 결과
형태 B를 커다란 유리 막자사발에서 90 부피%의 물과 함께 약 5분 동안 분쇄함. 분취액을 취하여 4℃에서 4일 동안 저장함. 형태 B
형태 B를 커다란 유리 막자사발에서 90 부피%의 물과 함께 약 5분 동안 분쇄함. 상기 페이스트를 유리 슬라이드에 도말하고 공기 건조시킴. 형태 B
추가의 90 부피%의 물을 벌크 샘플에 첨가하고 약 5분 동안 분쇄함. 상기 페이스트를 유리 슬라이드에 도말하고 45℃에서 건조시킴. 형태 B (결정성이 크게 감소함)
추가의 90 부피%의 물을 벌크 샘플에 첨가하고 약 5분 동안 분쇄함. 상기 샘플을 45℃에서 저장함. 형태 C의 패턴과 매우 유사함
형태 B가 격자를 파괴할 만큼 충분히 분쇄되고 물의 존재하에 무정형 상이 있다면, 이것은 형태 C로 수화될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형태 B 및 형태 C의 상대적인 안정성에 대한 추가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 상기 고체들의 1:1 혼합물을 수반하는 여러가지 실험을 셋업하였다.
정성적인 상대적 안정성 연구
형태 B 및 형태 C에 대한 형태 A (이수화물)의 상대적 안정성을 연구하였다.
정성적인 상대적 안정성 연구를 형태 B 및 형태 C에 수행함
대략 1:1 비율의 형태 B 및 형태 C를 마노 막자사발에서 함께 살짝 분쇄하 고, 분말 패턴을 얻었다. 하기하는 실험을 상기 혼합물에 수행하였다:
[표 13]
상대적 안정성 실험
실험 1일 후의 XRPD 결과 4일 후의 XRPD 결과
혼합물을 물 (500 ㎕) 중에 현탁하고 자성 교반함. 상기 샘플은 유화액이었고, 따라서 유리 슬라이드에 피펫팅하여 건조시킴. 건조된 유화액으로부터 고체가 결정화되어 형태 C가 됨.
혼합물을 75% RH의 대기하에 25℃에서 방치함. 혼합물 혼합물
혼합물을 표준 실험실 조건하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채로 방치함. 혼합물 혼합물
이러한 결과는, 이것이 형태 C로 결정화된 무정형 칼륨 염이라는 것을 뒷받침하였다.
형태 B→형태 C
형태 B를 형태 C로 전환시키는 강력한 방법이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서 상이한 로트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 칼륨 염을 사용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로트 사이의 차이는 입도에 있었다. 실험을 셋업하고, 현탁액을 여과하여 물로 세척하였고, 결과를 하기 표 14에 상세히 기재하였다:
[표 14]
실험 절차 및 결과
Figure 112009074069425-PCT00051
수행한 9개의 시험 중 8개가 형태 B 또는 형태 B와 형태 C의 혼합물로 확인되었고, 1개는 충분한 품질의 회절도를 갖는 단일 결정이었다. 상기 결정 구조는 수화된 헤미-칼륨 염으로 밝혀졌다. 수화 수준은 채널 중에 보유된 물이 탈용매화를 용이하게 하여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현재, 완전 점유시에는 3 몰의 물이 존재한다고 여겨진다 (세부사항에 대하여는 하기 참조).
정성적인 상대적 안정성 연구를 형태 A 및 형태 C에 수행함
대략 1:1 비율의 형태 A 및 형태 C를 마노 막자사발에서 함께 살짝 분쇄하고, 분말 패턴을 얻었다.
[표 15]
상대적 안정성 실험
실험 4일 후의 XRPD 결과
형태 A/C 혼합물을 40℃/75% RH 대기에 노출시킴 혼합물로부터의 변화 없음
형태 A/C 혼합물을 60℃/75% RH 대기에서 5일 동안 저장함 혼합물로부터의 변화 없음
스트레스가 부여된 조건은 어떠한 형태로의 전환도 야기하지 않았다.
실시예 13: 단일 결정 X선 회절 연구
4개의 샘플을 단일 결정 X선 회절 연구에 사용하였다. 생성된 구조 분석 결과를 본 섹션의 아래 부분에 제공하였다:
[표 16]
Figure 112009074069425-PCT00052
상기 구조 분석은 직접적인 방법, F2에 대한 완전-행렬 최소 자승법(full-matrix least-square) (w-1 = σ2(Fo 2) + (0.0925P)2 + (20.0000P) (여기서, P = (Fo 2 + 2Fc 2)/3), 비-등방성 치환 파라미터, 흡착 보정 없음)의 가중치를 둠)으로 수행하였다. 모든 데이타에 대한 최종 wR2 = {∑[w(Fo 2-Fc 2)2]/∑[w(Fo 2)2]1/2} = 0.1621, Fo > 4σ(Fo)를 갖는 7471 반사의 F 값에 대한 통상의 R1 = 0.0514, 모든 데이타 및 708개 파라미터에 대한 S = 1.002. 최종 Δ/σ(최대) = 0.005, Δ/σ(평균) = 0.000.
[표 17]
Figure 112009074069425-PCT00053
상기 구조 분석은 직접적인 방법, F2에 대한 완전-행렬 최소 자승법 (w-1 = σ2(Fo 2) + (0.1000P)2 + (0.0000P) (여기서, P = (Fo 2 + 2Fc 2)/3), 비-등방성 치환 파라미터, 흡착 보정 없음)의 가중치를 둠)으로 수행하였다. 모든 데이타에 대한 최종 wR2 = {∑[w(Fo 2-Fc 2)2]/∑[w(Fo 2)2]1/2} = 0.1808, Fo > 4σ(Fo)를 갖는 7073 반사의 F 값에 대한 통상의 R1 = 0.0567, 모든 데이타 및 721개 파라미터에 대한 S = 1.154. 최종 Δ/σ(최대) = 0.003, Δ/σ(평균) = 0.000.
[표 18]
Figure 112009074069425-PCT00054
상기 구조 분석은 직접적인 방법, F2에 대한 완전-행렬 최소 자승법 (w-1 = σ2(Fo 2) + (0.1000P)2 + (0.0000P) (여기서, P = (Fo 2 + 2Fc 2)/3), 비-등방성 치환 파 라미터, 흡착 보정 없음)의 가중치를 둠)으로 수행하였다. 모든 데이타에 대한 최종 wR2 = {∑[w(Fo 2-Fc 2)2]/∑[w(Fo 2)2]1/2} = 0.2072, Fo > 4σ(Fo)를 갖는 4777 반사의 F 값에 대한 통상의 R1 = 0.0636, 모든 데이타 및 678개 파라미터에 대한 S = 1.493. 최종 Δ/σ(최대) = 0.01, Δ/σ(평균) = 0.001.
[표 19]
Figure 112009074069425-PCT00055
상기 구조 분석은 직접적인 방법, F2에 대한 완전-행렬 최소 자승법 (w-1 = σ2(Fo 2) + (0.1500P)2 + (3.5000P) (여기서, P = (Fo 2 + 2Fc 2)/3), 비-등방성 치환 파라미터, 흡착 보정 없음)의 가중치를 둠)으로 수행하였다. 모든 데이타에 대한 최 종 wR2 = {∑[w(Fo 2-Fc 2)2]/∑[w(Fo 2)2]1/2} = 0.2571, Fo > 4σ(Fo)를 갖는 2459 반사의 F 값에 대한 통상의 R1 = 0.0778, 모든 데이타 및 368개 파라미터에 대한 S = 1.069. 최종 Δ/σ(최대) = 0.004, Δ/σ(평균) = 0.000. +1.143 내지 -0.685e.Å-3 사이의 최종 차이 맵.
실시예 14: 재결정화에 의한, 칼륨 염의 다형체 형태 D의 제조
1H NMR: 화학적 쉬프트가 나타나서 염 형성이 확인되었음.
잔류 용매: 물, IPA, THF.
HPLC에 의한 순도: 98.8A%.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 산:염기의 비율은 1:0.89였음. 용매 함량에 대해 조정하면, 산:염기는 1:1.0임 - 즉, 모노 염.
수성 열역학 용해도 - 용해도 = 2.7 mg/mL 유리 염기 균등물. 포화 용액의 pH (25℃에서 24시간 동안 진탕시킨 후) = 9.36. 잔류물의 XRPD는 신규한 XRPD 패턴을 나타냈다.
방법: 40배 부피의 THF를 유리 산 100 mg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2시간 동안 50℃로 가열하고 4℃에서 서서히 냉각시켰다. 상기 고체를 여과하여 25℃의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고체는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모노 칼륨 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을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한 설명 및 예를 사용하여 약간 상세하게 기재하였으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특정 변화 및 변형이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추가로, 본원에서 제공된 각 참고문헌은 각 참고문헌이 개별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그 전문이 참고로 포함된다.

Claims (70)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나트륨, 칼륨, 칼슘, L-리신, 암모늄, 마그네슘, L-아르기닌, 트로메타민, N-에틸글루카민 및 N-메틸글루카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이온을 포함하는 염:
    <화학식 I>
    Figure 112009074069425-PCT00056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이 칼륨인 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이 나트륨인 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이 칼슘인 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이 L-리신인 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이 암모늄인 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이 마그네슘인 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이 L-아르기닌인 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이 트로메타민인 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이 N-에틸글루카민인 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이 N-메틸글루카민인 염.
  12. 화학식
    Figure 112009074069425-PCT00057
    을 가지며,
    (i) 실질적으로 도 20b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 및
    (ii) 실질적으로 도 25에 나타낸 DSC (시차 주사 열량측정) 패턴에 따른 DSC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C의 염.
  13. 제12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도 24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C의 염.
  14. 제12항에 있어서, 약 56℃에서의 DSC 흡열 개시점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C의 염. (흡열이 탈수를 나타내긴 하지만, 가열이 샘플을 변화시킴에 따라 나머지 생성물은 더이상 형태 C가 아님. 이는 본 특허 명세서에서 모든 수화된 종에 대하여 동일함)
  15. 화학식
    Figure 112009074069425-PCT00058
    을 가지며,
    (i) 실질적으로 도 26 또는 도 27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 및
    (ii) 실질적으로 도 29에 나타낸 DSC 패턴에 따른 DSC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D의 염.
  16. 제15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도 26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D의 염.
  17. 제15항에 있어서, 약 54℃ 및 약 132℃에서의 흡열 사건 개시점을 갖는 DSC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D의 염.
  18. 화학식
    Figure 112009074069425-PCT00059
    을 가지며,
    (i) 실질적으로 도 30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 및
    (ii) 실질적으로 도 33에 따른 DSC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A의 염.
  19. 제18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도 30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A의 염.
  20. 제18항에 있어서, 약 33℃, 97℃ 및 162℃에서의 흡열 사건을 갖는 DSC를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A의 염.
  21. 화학식
    Figure 112009074069425-PCT00060
    을 가지며,
    (i) 실질적으로 도 35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 및
    (ii) 실질적으로 도 36에 따른 TGA (열중량 분석)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B의 염.
  22. 제21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도 35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B의 염.
  23. 화학식
    Figure 112009074069425-PCT00061
    을 가지며,
    (i) 실질적으로 도 20a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C의 염.
  24. 제23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도 20a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제공하는 결정질 형태 A를 갖는 염.
  25. 제23항에 있어서, 약 80℃에서의 DSC 흡열 개시점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C의 염.
  26. 화학식
    Figure 112009074069425-PCT00062
    을 가지며,
    (i) 실질적으로 도 38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 및
    (ii) 실질적으로 도 42에 따른 DSC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A의 염.
  27. 제26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도 38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제공하는 결정질 형태를 갖는 염.
  28. 제26항에 있어서, 약 125℃에서의 DSC 흡열 개시점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A의 염.
  29. 화학식
    Figure 112009074069425-PCT00063
    을 가지며,
    (i) 실질적으로 도 43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 및
    (ii) 실질적으로 도 47에 따른 DSC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A의 염.
  30. 제29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도 43에 따른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제공하는 무정형 형태를 갖는 염.
  31. 제29항에 있어서, 약 166℃에서의 DSC 흡열 개시점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고체 형태 A의 염.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리되고 정제된 형태인 염.
  33. 치료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른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가능한 비히클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34. 제33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화합물이 1종 이상의 고체 형태로 존재하는 제약 조성물.
  35. 제34항에 있어서, 고체 경구 조성물, 정제, 캡슐제, 로젠지제 및 흡입용 건조 산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제약 조성물.
  36. 제35항에 있어서, 고체 경구 조성물이 정제, 캡슐제 또는 로젠지제인 제약 조성물.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유효량이 포유동물에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 유효량인 제약 조성물.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혈소판 응집이 ADP (아데노신 5'-디포스페이트)-의존적 혈소판 응집인 제약 조성물.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포유동물이 인간인 제약 조성물.
  40.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혈소판 ADP 수용체에 대한 [3H]2-MeS-ADP 결합의 효과적인 억제제인 제약 조성물.
  41. 제33항에 있어서, 고체 경구 조성물인 제약 조성물.
  42. 제33항에 있어서, 정제, 캡슐제 또는 로젠지제인 제약 조성물.
  43. 제33항에 있어서, 에어로졸제 또는 흡입용 건조 산제인 제약 조성물.
  44. 제33항에 있어서, 주입, 주사 또는 경피 전달에 적합한 형태인 제약 조성물.
  45. 치료 유효량의 제1항에 따른 화합물 및 추가의 치료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치료제가 혈전증, 급성 심근 경색, 불안정형 협심증, 만성 안정형 협심증, 일과성 허혈 발작, 졸중, 말초 혈관 질환, 자간전증/ 자간증, 심부 정맥 혈전증, 색전증, 파종성 혈관내 응고 및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간병, 및 혈관성형술, 경동맥 내막절제술, CABG (관상 동맥 우회 이식(Coronary Artery Bypass Graft)) 후 수술, 혈관 이식술, 스텐트 설치, 혈관내 장치 및 인공삽입물의 삽입, 및 유전적 소인 또는 암과 관련이 있는 응고항진 상태로 인한 침습적 절차 후의 혈전성 및 재협착성 합병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상태 또는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제약 조성물.
  47.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및 치료 유효량의 제1항의 염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원치않는 혈전증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48. 염기를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과 하기 화학식 I의 염을 형성하는 조건하에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I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09074069425-PCT00064
    <화학식 II>
    Figure 112009074069425-PCT00065
    .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10℃ 미만의 온도에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0. 제48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염이 50% 이상의 수율로 수득되는 것인 방법.
  51. 제48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염이 65% 이상의 수율로 수득되는 것인 방법.
  52. 제48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염이 75% 이상의 수율로 수득되는 것인 방법.
  53. 제48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염이 그램 규모 또는 킬로그램 규모로 제조되는 것인 방법.
  54. 포유동물에게 치료 유효량의 제1항의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혈전증 및 혈전증-관련 상태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55.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ADP-유도된 혈소판 응집에 의해 매개되는 상태 또는 장애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처치가 필요한 포유동물에게 치료 유효량의 제1항의 조성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포유동물에서 상기한 상태 또는 장애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56. 혈액 샘플을 제1항의 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 샘플의 응고를 억제하는 방법.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포유동물이 심혈관 질환을 앓을 경향이 있거나 심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것인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심혈관 질환이 급성 심근 경색, 불안정형 협심증, 만성 안정형 협심증, 일과성 허혈 발작, 졸중, 말초 혈관 질환, 자간전증/자간증, 심부 정맥 혈전증, 색전증, 파종성 혈관내 응고 및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간병, 및 혈관성형술, 경동맥 내막절제술, CABG (관상 동맥 우회 이식) 후 수술, 혈관 이식술, 스텐트 설치, 스텐트내(in-stent) 혈전증, 혈관내 장치 및 인공삽입물의 삽입, 및 유전적 소인 또는 암과 관련이 있는 응고항진 상태로 인한 침습적 절차 후의 혈전성 및 재협착성 합병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방법.
  59.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경구, 비경구 또는 국소 투여되는 것인 방법.
  60.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제2 치료제와 조합 투여되는 것인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가 인간인 방법.
  62.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치료제가 급성 심근 경색, 불안정형 협심증, 만성 안정형 협심증, 일과성 허혈 발작, 졸중, 말초 혈관 질환, 자간전증/자간증, 심부 정맥 혈전증, 색전증, 파종성 혈관내 응고 및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간병, 및 혈관성형술, 경동맥 내막절제술, CABG (관상 동맥 우회 이식) 후 수술, 혈관 이식술, 스텐트 설치, 혈관내 장치 및 인공삽입물의 삽입, 및 유전적 소인 및 암과 관련이 있는 응고항진 상태로 인한 침습적 절차 후의 혈전성 및 재협착성 합병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상태 또는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것인 방법.
  63.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항-혈소판 화합물, 항-응고제, 섬유소용해제, 소염 화합물, 콜레스테롤-저하제, 양성자 펌프 억제제, 혈압-저하제, 세로토닌 차단제 및 니트레이트 (즉, 니트로글리세린)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제2 치료제와 조합 투여되는 것인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치료제가 GPIIB-IIIa 길항제, 아스피린, 포스포디에스테라제 III 억제제 및 트롬복산 A2 수용체 길항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항-혈소판 화합물인 방법.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치료제가 트롬빈 억제제, 코우마딘, 헤파린 및 로베녹스(Lovenox)® 및 fXa 억제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항-응고제인 방법.
  66.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치료제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시클로옥시게나제-2 억제제 및 류마티스성 관절염 제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소염 화합물인 방법.
  67. 1차 허혈성 사건을 앓은 적이 있는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제1항의 염을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2차 허혈성 사건의 발생을 예방하는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또는 2차 허혈성 사건이 심근 경색, 안정형 또는 불안정형 협심증,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후의 급성 재폐색, 및/또는 스텐트 설치, 재협착증, 말초 혈관 벌룬(ballon) 혈관성형술 및/또는 스텐트 설치, 혈전성 졸중, 일과성 허혈 발작, 가역적 허혈성 신경학적 결손 및 간헐성 파행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또는 2차 허혈성 사건이 혈관성형술 및/또는 스텐트 설치를 포함하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PCI), 급성 심근 경색 (AMI), 불안정형 협심증 (USA), 관상 동맥 질환 (CAD), 일과성 허혈 발작 (TIA), 졸중, 말초 혈관 질환 (PVD), 관상동맥 우회술, 경동맥 내막절제술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70. 치료 유효량의 제1항의 염을 제약상 허용가능한 비히클 또는 담체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097025052A 2007-05-02 2008-05-02 상이한 결정질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염, 및 이의 제약 조성물 KR201000204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2732807P 2007-05-02 2007-05-02
US60/927,328 2007-05-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455A true KR20100020455A (ko) 2010-02-22

Family

ID=3965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052A KR20100020455A (ko) 2007-05-02 2008-05-02 상이한 결정질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염, 및 이의 제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090042916A1 (ko)
EP (1) EP2076510A2 (ko)
JP (1) JP2010526105A (ko)
KR (1) KR20100020455A (ko)
CN (1) CN101720324A (ko)
AU (1) AU2008247457A1 (ko)
BR (1) BRPI0810800A2 (ko)
CA (1) CA2686221A1 (ko)
CO (1) CO6241155A2 (ko)
EA (1) EA200901474A1 (ko)
EC (1) ECSP099779A (ko)
GT (1) GT200900282A (ko)
IL (1) IL201829A0 (ko)
MA (1) MA31397B1 (ko)
MX (1) MX2009011836A (ko)
TN (1) TN2009000452A1 (ko)
WO (1) WO2008137809A2 (ko)
ZA (1) ZA2009074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40034T1 (de) * 2005-11-03 2012-01-15 Portola Pharm Inc Ä4-(6-halo-7-substituierte-2,4-dioxo-1,4-dihydr - 2h-chinazolin-3-yl)-phenylü-5-chloro-thiophen-2 yl-sulfonylharnstoffe und relevante formen und verfahren
US20090156620A1 (en) * 2007-05-02 2009-06-18 Portola Pharmaceuticals, Inc. [4-(6-fluoro-7-methylamino-2,4-dioxo-1,4-dihydro-2h-quinazolin-3-yl)-phenyl]-5-chloro-thiophen-2-yl-sulfonylurea salts, form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WO2011006169A1 (en) 2009-07-10 2011-01-13 Portola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rombotic disorders mediated by cyp2c19*2
WO2011088152A1 (en) 2010-01-12 2011-07-21 Portola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dosage forms of elinogrel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1137459A1 (en) 2010-04-30 2011-11-03 Portola Pharmaceuticals, Inc. Dosage forms of elinogrel and methods of injectable administration thereof
US8987285B2 (en) * 2010-12-03 2015-03-24 Portola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dosage forms and new forms of the compound of formula (I),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6777526B (zh) * 2016-11-25 2020-05-01 江苏大学 基于遗传算法的高温高压离心式叶轮多学科优化方法
WO2019126557A1 (en) * 2017-12-22 2019-06-27 Aesthetics Biomedical, Inc. Biologic preserving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US10933096B2 (en) 2017-12-22 2021-03-02 Aesthetics Biomedical, Inc. Biologic preserving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7925A (en) * 1971-07-15 1974-11-12 En Nom Collectif Science Et Ci Benzenesulfonyl semicarbazides
DE3134780A1 (de) * 1981-09-02 1983-03-10 Hoechst Ag, 6000 Frankfurt "sulfonylharnstoff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harmazeutische praeparate auf basis dieser verbindungen und ihre verwendung"
US4720450A (en) * 1985-06-03 1988-01-19 Polaroid Corporation Thermal imaging method
US5314902A (en) * 1993-01-27 1994-05-24 Monsanto Company Urea derivatives useful a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US6160000A (en) * 1996-12-23 2000-12-12 Merck & Co., Inc. Antidiabetic agents based on aryl and heteroarylacetic acids
US6906063B2 (en) * 2000-02-04 2005-06-14 Portola Pharmaceuticals, Inc. Platelet ADP receptor inhibitors
WO2001057037A1 (en) * 2000-02-04 2001-08-09 Cor Therapeutics, Inc. Platelet adp receptor inhibitors
EP1330444B1 (en) * 2000-11-01 2011-03-23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Nitrogenous heterocyclic compounds and process for making them
US6824790B2 (en) * 2002-01-09 2004-11-30 Enzrel Inc. Liposome drug delivery of polycyclic, aromatic,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compounds
US20040242658A1 (en) * 2003-01-08 2004-12-02 Dr. Reddy's Laboratories Limited Amorphous form of rosiglitazone maleat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ES2334795T3 (es) * 2003-10-03 2010-03-16 Portola Pharmaceuticals, Inc. Sulfonilureas 2,4-dioxo-3-quinazolinilarilo.
ATE540034T1 (de) * 2005-11-03 2012-01-15 Portola Pharm Inc Ä4-(6-halo-7-substituierte-2,4-dioxo-1,4-dihydr - 2h-chinazolin-3-yl)-phenylü-5-chloro-thiophen-2 yl-sulfonylharnstoffe und relevante formen und verfahren
CN101795682A (zh) * 2007-05-02 2010-08-04 波托拉医药品公司 直接起效和可逆的p2y12抑制剂的静脉内和口服给药
US20090156620A1 (en) * 2007-05-02 2009-06-18 Portola Pharmaceuticals, Inc. [4-(6-fluoro-7-methylamino-2,4-dioxo-1,4-dihydro-2h-quinazolin-3-yl)-phenyl]-5-chloro-thiophen-2-yl-sulfonylurea salts, form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A31397B1 (fr) 2010-05-03
EA200901474A1 (ru) 2010-04-30
JP2010526105A (ja) 2010-07-29
CN101720324A (zh) 2010-06-02
US20090042916A1 (en) 2009-02-12
TN2009000452A1 (en) 2011-03-31
WO2008137809A2 (en) 2008-11-13
BRPI0810800A2 (pt) 2014-10-29
CO6241155A2 (es) 2011-01-20
ECSP099779A (es) 2010-01-29
MX2009011836A (es) 2010-05-20
IL201829A0 (en) 2010-06-16
AU2008247457A1 (en) 2008-11-13
WO2008137809A3 (en) 2009-01-22
CA2686221A1 (en) 2008-11-13
EP2076510A2 (en) 2009-07-08
ZA200907493B (en) 2010-07-28
GT200900282A (es) 201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9406B2 (ja) [4−(6−ハロ−7−置換−2,4−ジオキソ−1,4−ジヒドロ−2h−キナゾリン−3−イル)−フェニル]−5−クロロ−チオフェン−2−イル−スルホニル尿素、ならびにそれに関連する形態および方法
KR20100020455A (ko) 상이한 결정질 형태의 [4-(6-플루오로-7-메틸아미노-2,4-디옥소-1,4-디히드로-2h-퀴나졸린-3-일)-페닐]-5-클로로-티오펜-2-일-술포닐우레아염, 및 이의 제약 조성물
CN106103415B (zh) 吲唑和其用途
US20120129876A1 (en) [4-(6-fluoro-7-methylamino-2,4-dioxo-1,4-dihydro-2h-quinazolin-3-yl)-phenyl]-5-chloro-thiophen-2-yl-sulfonylurea salts, form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KR20100029746A (ko) 직접 작용하는 가역적인 p2y12 억제제의 정맥내 및 경구 투여
EP2094272B1 (en) Nitrogen containing substituted heterocycles as platelet adp receptor inhib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