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136A - 천막 조립체. - Google Patents

천막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136A
KR20100020136A KR1020080078796A KR20080078796A KR20100020136A KR 20100020136 A KR20100020136 A KR 20100020136A KR 1020080078796 A KR1020080078796 A KR 1020080078796A KR 20080078796 A KR20080078796 A KR 20080078796A KR 20100020136 A KR20100020136 A KR 20100020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ent
coupled
coupling por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1348B1 (ko
Inventor
김명덕
Original Assignee
김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덕 filed Critical 김명덕
Priority to KR102008007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34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2Supporting means, e.g. frames external type, e.g. frame outside c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04H15/642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막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관의 형태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획일적으로 이루어졌던 천막의 심미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가림막의 설치가 개별적으로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천막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기둥골조;상기 기둥골조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연결골조;상기 기둥골조와 연결골조 사이에 배치되어 기둥골조와 연결골조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연결구;상기 각각의 연결구 상단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지붕의 틀을 구성하는 복수의 지붕골조;상기 지붕골조 사이 및 기둥골조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내,외부를 구획하며 개별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가림막:을 포함하되,상기 연결구는,몸체;이 몸체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연결골조에 결합된 수평결합부;상기 몸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기둥골조에 결합된 수직결합부;상기 몸체로부터 수직결합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천막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내향결합부;상기 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지붕골조에 결합된 상향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를 제공한다.
천막,조립체,연결구,골조,각도조절구,가림막,개별체,가림막 수용홈

Description

천막 조립체.{tent assembly}
본 발명은 천막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층 및 복수의 공간을 제공하고 다각 형태의 외관을 제공함과 더불어, 복수의 가림막이 개별체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 천막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막은 야외에서 햇빛의 차단이나 급작스러운 날씨변화에 따른 비나 눈 등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종 행사에 많이 사용되는 구조물이다.
상기 천막은 복수의 부품이 결합된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천막 조립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천막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의 네 지점에 각각 상방으로 지지된 수직지지바(10)와, 상기 수직지지바(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천막의 지붕구조를 구성하는 수평지지바(20)와, 상기 수직지지바(10)와 수평지지바(20)를 연결하는 연결구(30)와, 상기 수평지지바(20)를 덮어씌운 가림막(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수직지지바(10)는 금속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연결구(30)의 하방에 삽입되어 지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수평지지바(20)는 연결구(30)의 양측에 각각 삽입된다.
이때, 연결구(30)의 일측에는 수평지지바(20)의 일단부가 삽입되고, 수평지지바(20)의 타단부는 이웃하는 연결구(30)의 일측에 삽입된다.
이때, 수평지지바(20)가 삽입된 연결구(30)의 양측이 이루는 각은, 평면에서 봤을 때, 서로 직각인 상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지면의 네 지점에는 각각 연결구(30)에 결합된 네 개의 수직지지바(10)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구(30)의 양측에 수평지지바(20)가 삽입됨으로써, 천막을 구성하는 틀의 형태는 사각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림막(40)은 천막의 지붕을 구성하며, 일체로 형성된 천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림막(40)은 수평지지바(20)를 덮어씌운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수평지지바(20)의 중앙과 가림막(40)의 저면 중앙 사이에는 보강바(5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보강바(50)는 천막의 외형을 유지시켜주며, 가림막(40)의 무게에 대한 수평지지바(20) 및 수직지지바(1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천막이 완료되며, 필요한 장소에 선택적으로 필요한 개수만큼 설치된다.
한편, 상기한 천막은 상부만 가림막(40)에 의해 차폐되고, 측면은 모두 개방된 상태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천막의 내부 전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천막의 측면에도 가림막(4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림막(40)은 수직지지바(10) 사이에 설치되며, 끈이나 와이어에 의해 고정되거나, 천막 내부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커튼 식으로 설치되기도 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천막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연결구(30)의 양측이 상호 간에 직각인 상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천막을 구성하는 틀의 형태는 획일적인 사각형태로만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행사장에서는 거의 유사한 형태의 사각 천막들만 배치됨으로써, 천막의 심미감을 고려할 때, 종래의 천막 조립체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가림막(40)의 형태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천막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그의 무게 및 부피로 인해 설치 및 해체, 보관 등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리하는데 있어서도 번거로움 및 수리비용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즉, 가림막(40)이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해, 부분 교체가 효율적이지 못하여 지붕에 대한 가림막(40)을 전체적으로 교체할 경우 비용이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가림막(40)의 일부만 수리하더라도 가림막(40) 전체를 해체한 후, 수리해야하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셋째, 천막의 측면을 차폐하는 가림막(40)의 경우, 끈이나 와이어 등에 의해 설치됨으로써, 설치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설치의 견고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시간이 지나면, 끈이나 와이어가 느슨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가림막(40)의 설치가 쉽게 해체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게다가, 커튼식의 경우, 가림막(40)의 사용에 대한 편의성이 향상될 수는 있지만, 부품이 수가 증가하여 설치비용이 늘어나고, 공수가 많아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커튼 고리와 가림막 사이에 발생한 간격을 통해 외기가 쉽게 침투되므로, 악천후일 경우에는 천막의 설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의 형태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획일적으로 이루어졌던 천막의 심미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가림막의 설치가 개별적으로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천막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기둥골조;상기 기둥골조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연결골조;상기 기둥골조와 연결골조 사이에 배치되어 기둥골조와 연결골조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연결구;상기 각각의 연결구 상단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지붕의 틀을 구성하는 복수의 지붕골조;상기 지붕골조 사이 및 기둥골조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내,외부를 구획하며 개별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가림막:을 포함하되,상기 연결구는,
몸체;이 몸체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연결골조에 결합된 수평결합부;상기 몸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기둥골조에 결합된 수직결합부;상기 몸체로부터 수직결합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천막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내향결합부;상기 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지붕골조에 결합된 상향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결구 중, 몸체를 중심으로 내향결합부의 반대편에는 몸체로부터 수직결합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외향결합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붕골조와 상향결합부 사이에는 각도조절구가 더 설치되며, 상기 각도조절구는,상기 상향결합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제1축공이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제1축공에 대응되는 제2축공이 형성되며 지붕골조에 결합된 회동부와, 상기 제1축공 및 제2축공에 힌지 결합된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붕골조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지붕골조의 일부를 구성하며, 내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제1골조부재와,지붕골조의 나머지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림막 수용홈이 형성된 제2골조부재를 포함하되,상기 삽입돌기의 길이는, 삽입홈에 삽입돌기가 삽입되었을 때, 제1골조부와 제2골조부재 사이에 가림막이 끼워지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골조부재와 제2골조부재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유동방지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붕골조는 단면의 형상이 일체형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며,내부에는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가림막 수용홈이 형성되며,외주면에 는 상기 가림막 수용홈이 외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둥골조는 단면의 형상이 중공의 다각 형태로 이루어지며,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내부를 향해 연장된 가림막 수용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가림막 수용홈이 외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둥골조는 단면의 형상이 중공의 팔각형태로 이루어지며,상기 가림막 수용홈은 팔각면 중 대향되는 네면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가림막 수용홈이 형성되지 않은 네면에는 각각 요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림막은 천 소재일 수도 있고, 폴리카보네이트 시트(polycarbonate sheet)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둥골조의 하단에 결합된 복수의 연결구 중, 서로 마주하는 내향 결합부에는 서로를 연결하는 연결골조가 더 결합되며, 연결골조 사이에는 바닥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둥골조의 상단에 결합된 연결구 중, 상향 결합부에는 기둥골조가 더 결합되어 복층의 구조를 이루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향 결합부에는 연결골조가 결합되고, 그 연결골조에는 연결구가 결합되어 복수의 내부 공간이 구성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결합부에 결합되어 복수의 연결골조가 이루는 각은 팔각(八角)일 수도 있고, 십이각(十二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막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연결구에 수평결합부가 좌,우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천막의 형태가 사각 이상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천막의 형태가 팔각, 십이각, 그리고 원형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으로써, 천막의 외관이 다양해지고 화려해짐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구의 상방에 상향 결합부가 형성되고, 연결구의 전,후방에 각각 내향결합부 및 외향결합부가 더 형성됨으로써, 천막의 복층 구조 및 바닥재의 설치가 가능해지며, 공간에 대한 복수 설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행사용으로서의 천막뿐만 아니라, 휴양시설에 설치되는 펜션 등의 숙박용으로서의 천막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업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천막의 틀을 구성하는 골조에는 가림막의 탈착이 용이한 가림막 수용홈 및 개구부가 형성됨으로써, 가림막 설치에 대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림막은 일체형이 아닌 개별체로 제공됨으로써, 부분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해짐에 따라 수선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막 조립체(이하 '천막'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천막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00)와, 골조(200)와, 각도조절 구(300)와, 가림막(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구(100)는 골조(200)를 연결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후술하는 기둥골조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연결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와, 수평결합부(120)와, 수직결합부(130)와, 내향결합부(140)와, 상향결합부(150)와, 외향결합부(16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연결구(100)의 중심에 해당하는 부위이며, 이 몸체(110)로부터 각 결합부(120,130,140,150,160)가 분기되어 형성된다.
수평결합부(120)는 몸체(110)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상태로 형성된다.
이때, 수평결합부(120)는 몸체(110)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양측의 수평결합부(120)가 이루는 각은 둔각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평결합부(120)가 이루는 각은 천막의 형태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천막의 형태가 팔각(八角)인 것을 그 예로 한다.
이에 따라, 양측의 수평결합부(120)가 이루는 각은 135°가 된다.
그리고, 수직결합부(130)는 후술하는 기둥골조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곳이며, 몸체(11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내향결합부(140)는 천막의 내부에 바닥이나 천정이 구성될 때, 바닥재 또는 천정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연결골조가 설치되는 곳이며, 몸체(110)로부터 천막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후술하는 기둥골조의 하단부에 설치된 연결구(100)의 내향결합부(140)는 천막의 바닥을 구성하기 위한 연결골조가 설치되는 곳이며, 기둥골조의 상단부에 설치된 연결구(100)의 내향결합부(140)는 천막의 천정 또는 복층구조의 천막일 경우 상층의 바닥을 구성하는 연결골조가 설치되는 곳이다.
이때, 내향결합부(140)는 수직결합부(12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향결합부(150)는 후술하는 지붕골조가 설치되기 위한 곳이며, 몸체(1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향결합부(150)는, 천막의 구조가 단층으로 이루어질 경우 지붕골조와 결합되지만, 천막의 구조가 복층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기둥골조와 결합되어 상층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외향결합부(160)는 천막이 복수로 제공될 경우, 복수의 천막들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며, 몸체(110)로부터 천막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외향결합부(160)는 몸체(110)를 중심으로 내향결합부(140)의 반대편에 형성된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연결구(100)의 각 결합부(120,130,140,150,160)에는 골조(200)의 결합을 위한 나사공(NH)이 각각 형성된다.
다음으로, 골조(200)는 천막의 틀을 구성하며, 기둥골조(210)와, 연결골조(220)와, 지붕골조(230)를 포함한다.
기둥골조(210)는 천막의 지주(支柱) 역할을 하며,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상 태로 배치된다.
상기 기둥골조(210)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며, 천막의 형태가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그의 개수는 차별될 수 있으며, 기둥골조(210)의 형태 역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팔각(八角)형태의 천막을 그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 만큼, 기둥골조(210)는 8개가 제공된다.
상기 기둥골조(210)는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단면의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기둥골조(21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각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천막의 형태가 팔각임을 고려하여 기둥골조(210)와의 미적 외관을 통일시키기 위함과 더불어, 골조의 지지구조를 안정감 있게 나타내기 위함이다.
이때, 기둥골조(210)의 여덟 개면 중, 마주하는 네 개의 면에는 각각 가림막 수용홈(240)이 형성된다.
상기 가림막 수용홈(240)은 가림막(400)이 삽입되어 기둥골조(21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림막(400)의 단부가 가림막 수용홈(240)에 원활하게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가림막 수용홈(240)과 기둥골조(210)의 외주면 사이에는 개구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11)는 가림막(400)의 단부가 가림막 수용홈(240)에 슬라이딩 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211)의 간격은 후술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시트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웃하는 개구부(211) 간에 이루는 각은 둔각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천막의 형태가 다양한 각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는 천막의 형태가 팔각으로 이루어진 만큼, 상기 개구부(211) 간에 형성된 각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35°이며, 상기 각은 천막의 형태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때, 가림막 수용홈(240)이 형성되지 않은 기둥골조(210)의 나머지 네 면에는 요홈(21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둥골조(210)의 강성을 보강함과 더불어 심미감을 높이기 위함이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212)은 복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둥골조(210)는 연결구(100)의 수직결합부(130) 및 상향결합부(15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기둥골조(210) 외경은 상기 수직결합부(130) 및 상향결합부(150)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또한, 기둥골조(210)의 양단부에는 각각 결합공(213)이 형성되며, 이 결합공(213)은 결합부(120,130,140,150,160)에 형성된 나사공(NH)에 대응된다.
한편, 기둥골조(210)는 천막의 형태가 팔각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한 구성을 갖지만, 천막의 형태가 사각일 경우에 기둥골조는 도 4b에 도시된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기둥골조(210)의 외관이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고 가림막 수용홈(240)은 각 네 면에 각각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기둥골조(210)의 구성에 의해 천막의 형태가 사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그리고, 연결골조(220)는 연결구(100)의 수평결합부(120)에 결합되어 기둥골조(210)를 지지하거나, 천막의 형태에 따라, 연결구(100)의 내향결합부(140) 및 외향결합부(160)에 결합된다.
즉, 천막의 형태가 팔각인 경우, 연결구(100)의 수평결합부(120)에 결합된 연결골조(220)가 이루는 평면의 형태가 팔각이 되는 것이다.
또한, 천막의 내부에 바닥재가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골조(220)는 기둥골조(210)의 하단부에 결합된 연결구(100)의 내향결합부(140)에 결합되어 바닥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천막의 내부에 천정재가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골조(220)는 기둥골조(210)의 상단부에 결합된 연결구(100)의 내향결합부(140)에 결합되어 천정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골조(220)의 형태는 기둥골조(210)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붕골조(230)는 천막의 지붕을 구성하기 위한 틀 역할을 하며, 연결구(100)의 상향결합부(150)에 결합되는 각도조절구(300)에 결합된다.
이때, 지붕골조(230)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붕골조(230)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제1골조부재(231)와 제2골조부재(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골조부재(231)는 지붕골조(230)의 일측을 구성하며, 내부에는 제2골조부재(232)와의 결합을 위한 삽입홈(231a)이 형성된다.
이때, 제1골조부재(231)는 지붕골조(230)의 대략 1/3정도에 해당하는 구성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골조부재(231)의 외주면에는 유동방지부(231b)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방지부(231b)는 지붕골조(230)가 각도조절구(300)에 삽입되었을 때, 지붕골조(230)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유동방지부(231b)는 제1골조부재(231)의 외주면으로부터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며, 지붕골조(230)가 후술하는 각도조절구(300)의 회동부(320)에 끼워졌을 때, 회동부(320)에 형성된 유동방지홈(320a)에 대응되어 지붕골조(230)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골조부재(232)는 지붕골조(230)의 타측을 구성하며, 지붕골조(230)의 대략 2/3정도에 해당하는 구성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골조부재(232) 중, 제1골조부재(231)의 삽입홈(231a)에 대향되는 면에는 상기 삽입홈(231a)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32a)가 형성된다.
즉, 제1골조부재(231)와 제2골조부재(232)는 서로 삽입돌기(232a)와 삽입홈(231a)의 결합으로 인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삽입돌기(232a)의 길이는 삽입홈(231a)에 삽입돌기(232a)가 삽입되었을 때, 제1골조부(231)와 제2골조부재(232) 사이에 가림막(400)이 끼워지기 위한 개구부(211)가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232a)를 중심으로 제2골조부재(232)의 양측에는 각각 가림막 수용홈(240)이 형성된다.
상기 가림막 수용홈(240) 기둥골조(210)를 설명할 때, 설명한 바와 같이, 가림막(400)의 단부가 수용되는 곳이다.
또한, 지붕골조(230)의 양단부에도 각각 결합공(213)이 형성된다.
한편, 지붕골조(2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골조부재(231,232))가 서로 결합되는 구성일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일 수도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지붕골조(230)는 단면의 형상이 일체형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중앙을 중심으로 가림막 수용홈(240)이 복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림막 수용홈(240)이 복수로 형성된 이유는 가림막(400)의 끼워지는 방향을 다양화하기 위함이다.
이때, 지붕골조(23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림막 수용홈(240)과 연통되는 개구부(211)가 형성되며, 지붕골조(230)의 양단부에도 각각 결합공(21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기둥골조(210), 연결골조(220), 지붕골조(230)는 연결구(100) 및 각도조절구(300)에 결합된 후, 별도로 마련된 나사에 의해 고정이 된다.
이때, 나사(250)는 골조의 결합공(213)과 결합부의 나사공(NH)에 체결되며, 그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나사(2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 등의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부위인 헤드부(251)와, 이 헤드부(251)로부터 연장되어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252)와, 상기 나사부(252)로부터 연장되어 결합공에 가이드되는 가이드부(2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부(253)는 나사부(25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봉 형태로서, 결합공(213)에 나사(250)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나사(250)는 가이드부(253)가 결합공(213)에 쉽게 삽입됨으로써, 나사(250)의 가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만약, 가이드부(253)가 없는 형태의 나사라면, 나사부(252)가 결합공(213) 및 나사공(NH)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호 비슷한 외경으로 인해 간섭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나사 체결에 대한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
특히, 기후 또는 안전을 위해 작업자가 장갑을 끼고 작업을 하는 경우, 손동작의 민첩성이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한 나사(250)의 경우 가조립이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나사체결에 대한 작업이 간편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각도조절구(300)는 지붕골조(230)의 각도를 조절하여 천막의 지붕형태를 다양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연결구(100)와 지붕골조(230)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각도조절구(300)의 하단부는 연결구(100)의 상향결합부(150)에 결합되며, 각도조절구(300)의 상단부에는 지붕골조(230)의 일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각도조절구(30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310)와, 회동부(320)와, 힌지축(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착부(310)는 각도조절구(300)의 하부로서, 연결구(100)의 상향결합부(150)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며, 장착부(310)의 상부에는 제1축공(311)이 형성된다.
이때, 장착부(310)의 상부는 상기 회동부(3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310)의 외경 반(半)에 해당하는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동부(320)는 장착부(310)의 상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지붕골조(230)의 설치각을 조절한다.
이때, 회동부(320)의 하부는 장착부(3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때, 회동부(320)의 하부 형태는 장착부(3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장착부(310)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태인 회동부(320)의 외경 반(半)에 해당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동부(320)의 하부에는 제2축공(321)이 형성되며, 제2축공(321)과 제1축공(311)은 서로 연통된다.
그리고, 힌지축(330)은 회동부(320)가 장착부(31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축 역할을 하며, 제1축공(311)과 제2축공(321)을 통과하여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지붕골조(230)의 설치각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가림막(400)은 천막의 내,외부를 구획하며, 각 골조(20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가림막(400)은 골조(200) 사이가 복수로 구획되어 있는 만큼, 복수로 제공되며, 각각 개별체로 제공된 가림막(400)은 골조(200) 사이에 하나씩 설치된다.
이때, 가림막(400)의 재질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이거나 천 소재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투명하고 뛰어난 기계적 성질(특히 내충격성)·내열성·내한성·전기적 성질을 균형 있게 갖춘 재질로서, 천막의 지붕이나 창문의 용도로서 적합하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는 독성이 없으며, 자기소화성(自己消火性)도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골조(200) 사이에 설치될 때에는 골조(200)의 가림막 수용홈(240)에 결합된다.
이때, 폴리카보네이트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 고무부재(410)가 설치된다.
이는, 폴리카보네이트가 골조(200)의 가림막 수용홈(240)에 삽입될 경우, 그 결합력을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고무부재(410)는 가림막 수용홈(240)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폴리카보네이트의 양단부에 고정된다.
이때, 고무부재(410)는 폴리카보네이트에 직접 고정되기보다는 유연한 재질의 고정수단(411)에 의해 둘러싸인 후, 그 고정수단(411)이 폴리카보네이트에 직접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천 소재의 경우에는 천막의 측면 가림막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며,기둥골조(210) 사이에 설치될 때에는 기둥골조(210)의 가림막 수용홈(240)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된다.
이때, 천 소재 역시, 양단부에는 가림막 수용홈(240)에 대응되는 형태의 고무부재(410)가 더 설치된다.
이때, 고무부재(410)는 천 소재의 특성상, 천 소재에 의해 감사진 후, 재봉질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천막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천막의 형태는 단층 또는 복층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단층 구조인 것을 그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기둥골조(210)를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시킨다.
이때, 천막의 형태가 팔각인 만큼, 상기 기둥골조(210)의 개수는 8개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기둥골조(210) 사이에 가림막(400)을 설치하여, 천막의 내,외부를 구획시킨다.
이때, 기둥골조(210) 사이에 설치되는 가림막(400)의 소재는 여러 소재가 있을 수 있지만, 외부로부터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천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막(400)의 양단부를 기둥골조(210)의 가림막 수용홈(240)에 슬라이딩시켜 삽입한다.
이때, 고무부재(410)는 가림막 수용홈(240)에 탄력을 가진 채로 삽입되고, 작업자는 가림막(400)이 팽팽해지도록 기둥골조를 배치시킨다.
다음으로, 기둥골조(2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연결구(100)를 결합시킨다.
이때, 기둥골조(210)의 상단부는 상방에 배치된 연결구(100)의 수직결합부(130)에 삽입되고, 기둥골조(210)의 하단부는 하방에 배치된 연결구(100)의 상향결합부(150)에 삽입된다.
이때, 기둥골조(210)의 양단부에 형성된 나사공(NH)은 수직결합부(130) 및 상향결합부(150)에 형성된 결합공(213)에 대응된다.
이후, 나사(250)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공(213) 및 나사공(NH)을 통과시켜 체결하여, 연결구(100)에 기둥골조(210)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방 및 하방에 배치된 연결구(100)의 수평결합부(120)에 연결골조(220)를 결합하여 지면에 세워진 기둥골조(210)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연결골조(220)가 결합됨에 따라, 천막의 일부, 즉 벽체를 이루는 틀이 구성되며, 평면에서 봤을 때, 팔각형태를 갖추게 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연결구(100) 내향결합부(140)에 연결골조(220)를 더 결합하여, 천정 및 바닥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방 및 하방에 배치된 연결구(100)의 내향결합부(140)에 연결골조(220)를 설치한 후, 그 연결골조(220) 사이에 바닥재 및 천정재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각도조절구(300)를 상방에 배치된 연결구(100)의 상향결합부(150)에 결합시킨다.
이때, 각도조절구(300)의 장착부(310)는 상향결합부(15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각각의 회동부(320)는 힌지축(33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동일한 각을 유지한다.
다음으로, 지붕골조(230) 및 가림막(400)을 이용하여, 천막의 지붕을 결합시킨다.
이때, 8개의 지붕골조(230)가 제공되며, 8개의 가림막(400)이 제공된다.
이때, 가림막(400)은 기둥골조(210) 사이에 설치된 가림막(400)과 동일한 천 소재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채광이 가능하고 심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림막(400)을 지붕골조(230) 사이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제1골조부재(231)와 제2골조부재(232)를 분리한 후, 가림막 수용홈(240)에 폴리카보네이트의 양단부에 설치된 고무부재(410)를 삽입시킨다.
이후, 제1골조부재(231)의 삽입홈(231a)에 제2골조부재(232)의 삽입돌기(231b)를 삽입하여 제1골조부재(231)와 제2골조부재(232)를 결합시킨다.
이후, 상기와 같이 결합된 지붕골조(230)의 일단부를 각도조절구(300)의 회동부(320)에 삽입시킨 후, 나사(250)를 나사공(NH)과 결합공(213)을 통해 체결시키고, 지붕골조(230)의 타단부는 별도의 연결부재(F)를 이용해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8개의 지붕골조(230)는 천막의 둘레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일정한 각을 유지하면서 지붕을 구성하게 된다.
이로써, 천막의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전술한 천막의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형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막의 기둥골조(210) 사이에 도어(D)를 설치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즉, 기둥골조(210)와 도어(D) 사이에 경첩을 설치하고, 그 경첩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도록 설치하여 사용자의 출입을 편리하게 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00)의 수평결합부(120) 사이의 각을 더 크게 하여 12각의 천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수평결합부(120) 사이의 각이 150°로 이루어져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물론, 기둥골조(210)의 개수도 늘어나게 될 것이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막의 형태를 원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연결골조(220)를 호(arc)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시킨다.
즉, 기둥골조(210)를 원주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직선의 형태가 아닌 호 형태의 연결골조(220)를 기둥골조(210) 사이에 배치시킴으로써, 평면에서 봤을 때, 천막의 형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구(100)의 수평결합부(120)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획일적인 사각형태의 천막이 아닌, 팔각형태 및, 원형의 다양한 형태로 천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림막(400)이 복수로 제공되어 종래의 천막과는 차별화를 갖 게 된다.
더불어, 가림막(400)의 부분교체 및 수리가 가능해져 유지비용이 적게 들며, 작업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천막 조립체는 유원지 등에 펜션 형태로도 설치되어 자연 경관과 조화됨으로써, 이용자들로 하여금 색다른 느낌을 갖게 할 수도 있으며, 가림막의 재질을 모두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로 하여 주거 형태의 천막이 아닌 온실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천막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막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막 조립체의 기둥골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막 조립체의 지붕골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막 조립체 지붕골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막 조립체의 골조와 연결구를경합하기 위한 나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a 도 8b는 도 2의 각도조절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결합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막 조립체 중, 기둥골조와 가림막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막 조립체 중, 지붕골조와 가림막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막 조립체에 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막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막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연결구 110 : 몸체 120 : 수평결합부
130 : 수직결합부 140 : 내향결합부 150 : 상향결합부
160 : 외향결합부 200 : 골조 210 : 기둥골조
220 : 연결골조 230 : 지붕골조 231 : 제1골조부재
231a : 삽입홈 231b : 삽입돌기 232 : 제2골조부재
240 : 가림막 수용홈 250 : 나사 251 : 헤드부
252 : 나사부 253 : 가이드부 300 : 각도조절구
310 : 장착부 311 : 제1축공 320 : 회동부
321 : 제2축공 330 : 힌지축 400 : 가림막
410 : 고정부재 411 : 고정수단

Claims (15)

  1.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기둥골조;상기 기둥골조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연결골조;상기 기둥골조와 연결골조 사이에 배치되어 기둥골조와 연결골조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연결구;상기 각각의 연결구 상단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지붕의 틀을 구성하는 복수의 지붕골조;상기 지붕골조 사이 및 기둥골조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내,외부를 구획하며 개별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가림막: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구는,
    몸체;이 몸체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연결골조에 결합된 수평결합부;
    상기 몸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기둥골조에 결합된 수직결합부;
    상기 몸체로부터 수직결합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천막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내향결합부;
    상기 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지붕골조에 결합된 상향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중, 몸체를 중심으로 내향결합부의 반대편에는 몸체로부터 수직결합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외향결합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골조와 상향결합부 사이에는 각도조절구가 더 설치되며, 상기 각도조절구는,
    상기 상향결합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제1축공이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제1축공에 대응되는 제2축공이 형성되며 지붕골조에 결합된 회동부와, 상기 제1축공 및 제2축공에 힌지 결합된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골조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지붕골조의 일부를 구성하며, 내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제1골조부재와,
    지붕골조의 나머지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림막 수용홈이 형성된 제2골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돌기의 길이는, 삽입홈에 삽입돌기가 삽입되었을 때, 제1골조부와 제2골조부재 사이에 가림막이 끼워지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제1골조부재와 제2골조부재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유동방지부가 더 형성되며, 이 유동방지부에 대응되는 회동부의 내주면에는 유동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이루어지며, 가림막의 양단부에는 가림막 수용홈에 대응되는 고무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골조는 단면의 형상이 일체형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가림막 수용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가림막 수용홈이 외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골조는 단면의 형상이 중공의 다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기둥골조의 내부에는 복수의 가림막 수용홈이 형성되고, 기둥골조의 외주면 에는 상기 가림막 수용홈에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되,
    이웃하는 개구부가 이루는 상호 각은 경사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골조는 단면의 형상이 중공의 팔각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림막 수용홈은 팔각면 중 대향되는 네면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가림막 수용홈이 형성되지 않은 네면에는 각각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각은 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천 소재이며, 가림막의 양단부에는 가림막 수용홈에 대응되는 고무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골조의 하단에 결합된 복수의 연결구 중, 서로 마주하는 내향 결합부에는 서로를 연결하는 연결골조가 더 결합되며, 연결골조 사이에는 바닥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골조의 상단에 결합된 연결구 중, 상향 결합부에는 기둥골조가 더 결합되어 복층의 구조를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결합부에 결합되어 복수의 연결골조가 이루는 각은 팔각(八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결합부에 결합되어 복수의 연결골조가 이루는 각은 십이각(十二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각 결합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에 결합된 골조에는 상기 나사공에 대응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과 결합공을 통과하여 연결구와 결합부를 체결시키는 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나사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로부터 연장되어 결합공에 가이드 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조립체.
KR1020080078796A 2008-08-12 2008-08-12 천막 조립체. KR101101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796A KR101101348B1 (ko) 2008-08-12 2008-08-12 천막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796A KR101101348B1 (ko) 2008-08-12 2008-08-12 천막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136A true KR20100020136A (ko) 2010-02-22
KR101101348B1 KR101101348B1 (ko) 2012-01-02

Family

ID=4209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796A KR101101348B1 (ko) 2008-08-12 2008-08-12 천막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3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385B1 (ko) * 2011-03-14 2011-09-1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천막의 설치가 용이한 천막 구조물
KR20190001136U (ko) * 2019-04-18 2019-05-10 제진수 재난 구조용 돔하우스
KR102603933B1 (ko) * 2023-02-24 2023-11-21 주식회사 에이스돔 방수 구조를 가지는 막구조용 시스템 패스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743B1 (ko) * 2012-03-23 2012-08-09 금강조경개발 주식회사 가로화단 보호용 펜스
KR101425756B1 (ko) 2013-07-24 2014-08-05 송요한 높이 조정이 용이한 접이식 텐트
KR102360467B1 (ko) 2019-07-09 2022-02-09 여상호 가림막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8674A (ja) * 2000-11-01 2002-05-17 Marufuji Sheet Piling Co Ltd 建造物、文化財等の解体、保存修理、復元または築造工事用素屋根並びにそのフレーム
KR20020050686A (ko) * 2000-12-21 2002-06-27 김기종 화상 국소 치료제
KR200250686Y1 (ko) * 2001-07-20 2001-11-17 충 현 이 천막
KR20030046890A (ko) * 2001-12-07 2003-06-18 충 현 이 천막
KR20060023404A (ko) * 2004-09-09 2006-03-14 김정숙 지붕 연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385B1 (ko) * 2011-03-14 2011-09-1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천막의 설치가 용이한 천막 구조물
KR20190001136U (ko) * 2019-04-18 2019-05-10 제진수 재난 구조용 돔하우스
KR102603933B1 (ko) * 2023-02-24 2023-11-21 주식회사 에이스돔 방수 구조를 가지는 막구조용 시스템 패스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348B1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348B1 (ko) 천막 조립체.
KR100814449B1 (ko) 창호용 자연 환기장치
JP4767881B2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KR100868918B1 (ko) 장력의 분산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천막조형물의 차양막고정설치구
JP3664416B2 (ja) 建物の柵構造
CN203514588U (zh) 一种建筑用幕墙
CN105649256A (zh) 吊顶竖立装饰板的安装结构及转角吊顶层
US20230151614A1 (en) Terrace canopy
JP4332521B2 (ja) 建築用外装ルーバー
JP6758106B2 (ja) 骨格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屋
WO2005093180A2 (en) Building structure and building fixture arrangement
CA3175587A1 (en) Terrace canopy
JP3121560B2 (ja) 外壁の化粧構造
KR20230039160A (ko)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
JP4473757B2 (ja) ベランダ用目隠し装置
JP4005862B2 (ja) 玄関構造
WO2021214677A1 (en) Terrace canopy
US20240141670A1 (en) Terrace canopy
KR100674128B1 (ko) 조립식 텐트
KR20200001943U (ko)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KR200451110Y1 (ko) 차양 장치의 커버
KR102447222B1 (ko) 지주 프레임에 형성된 조립구를 가리는 커버를 갖는 파고라
JP6573752B2 (ja) 建物
JP2003343013A (ja) 屋外構造物
KR20240042318A (ko) 파고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