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099A - 점착시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착시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099A
KR20100020099A KR1020080078750A KR20080078750A KR20100020099A KR 20100020099 A KR20100020099 A KR 20100020099A KR 1020080078750 A KR1020080078750 A KR 1020080078750A KR 20080078750 A KR20080078750 A KR 20080078750A KR 20100020099 A KR20100020099 A KR 20100020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film
adhesive sheet
manufacturing
pearl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수
Original Assignee
(주) 엘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림 filed Critical (주) 엘림
Priority to KR1020080078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0099A/ko
Publication of KR20100020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시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하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표면특성을 변화시키는 단계와;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면에 스크래치 방지코팅을 행하는 단계와; 폴리에틸렌 필름의 하면에 펄 인쇄를 행하는 단계와; 펄 인쇄된 폴리에틸렌 필름의 하면에 접착제를 통해 이형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코로나 처리와 스크래치 방지코팅을 통해 긁힘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이형지에 실리콘 처리를 행하지 않고 무용제 접착제를 통해 필름과 접착됨으로써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뛰어난 투명성을 지닌 고급화한 제품으로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점착시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점착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뛰어난 투명성을 지니는 것은 물론이고, 친환경적인 요소로써 제조되는 점착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착시트는 광고, 인테리어용, 사무용 등의 유리 또는 책상 등의 피접착물 일면에 부착되어 피접착물을 보호 및 장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점착시트의 일반적인 형태를 보면, 원단 시트층을 중심으로 일측에 인쇄층을 형성하고, 이에 접착제를 통해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는 타입이다.
한편, 원단 시트층의 경우 기존에는 PV필름을 주로 사용하였지만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근래에는 폴리에틸렌 필름(이하 PET로 약칭함)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점착시트의 경우에는 다음에 열거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첫째, 점착시트를 피접착물등에 접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외부에서 손이나 기타 이물질로 표면을 긁을 경우 손쉽게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둘째, 투명도가 떨어져 고급화를 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셋째, 이형지를 실리콘 처리한 상태에서 필름 표면에 부착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실리콘에 의한 환경 오염의 문제점과 접착제에 의한 환경 오염의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적으로 제조되는 것은 물론이고, 긁힘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뛰어난 투명도를 유지함으로써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점착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시트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하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표면특성을 변화시키는 단계와;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면에 스크래치 방지코팅을 행하는 단계와; 폴리에틸렌 필름의 하면에 펄 인쇄를 행하는 단계와; 펄 인쇄된 폴리에틸렌 필름의 하면에 접착제를 통해 이형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이형지와 폴리에틸렌 필름의 하면을 상호 접착시키는 접착제는 무용제 접착제인 것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코로나 처리와 스크래치 방지코팅을 통해 긁힘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이형지에 실리콘 처리를 행하지 않고 무용제 접착제를 통해 필름과 접착됨으로써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뛰어난 투명성을 지닌 고급화한 제품으로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시트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시트 제조방법은, 먼저 폴리에틸렌 필름(100)의 상,하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표면 특성을 변화시키는 단계(200)를 수행한다.
이러한 코로나 처리는 통상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전기적인 충격을 주어 표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방식으로써 이를 통해서는 친수성의 향상 및 접착성의 향상 인쇄성의 향상 코팅특성의 표면의 조도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러한 코로나 처리를 통해 상술한 효과에 더하여 조도 향상을 통한 투명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와같이 코로나 처리를 행한 폴리에틸렌 필름(100)의 상면에 스크래치 방지코팅(SR코팅)(300)을 행한다.
즉, 통상의 UV코팅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스크래치 방지코팅을 행함으로써 외부로 부터의 긁힘에 의한 스크래치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코로나 처리를 행한 폴리에틸렌 필름(100)의 하면에는 소정의 인쇄패턴을 위한 것으로서 펄 인쇄(400)를 행한다.
이러한 펄 인쇄(400)는 금분이나 은분 등 다양한 펄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문자 또는 그림등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펄 인쇄(400)를 통해 인쇄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접착제(500)를 통해 이형지(600)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이형지(600)를 접착제(500)를 통해 폴리에틸렌 필름(100)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이형지(600)상에는 종래와 같이 실리콘이 형성되지 않으며, 무용제 접착제(500)를 통해 이형지(600)와 폴리에틸렌 필름(100)이 상호 결합된다.
즉, 이형지(600)를 무용제 접착제(500)를 통해 폴리에틸렌 필름(100)과 결합시킴에 의해서는 친환경적인 점착시트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착시트는, SR코팅(300)에 의해 표면이 강화됨으로써 긁힘 발생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무용제 접착제(500)에 의해 친환경적인 점착시트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선명도가 뛰어나고 펄을 통해 인쇄층을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고급화를 꾀한 효과를 얻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시트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폴리에틸렌 필름
200 : 코로나 처리층
300 : SR코팅층
400 : 인쇄층
500 : 무용제 접착제
600 : 이형지

Claims (2)

  1.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하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표면특성을 변화시키는 단계와;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면에 스크래치 방지코팅을 행하는 단계와;
    폴리에틸렌 필름의 하면에 펄 인쇄를 행하는 단계와;
    펄 인쇄된 폴리에틸렌 필름의 하면에 접착제를 통해 이형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와 폴리에틸렌 필름의 하면을 상호 접착시키는 접착제는 무용제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제조방법.
KR1020080078750A 2008-08-12 2008-08-12 점착시트 제조방법 KR20100020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750A KR20100020099A (ko) 2008-08-12 2008-08-12 점착시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750A KR20100020099A (ko) 2008-08-12 2008-08-12 점착시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099A true KR20100020099A (ko) 2010-02-22

Family

ID=42090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750A KR20100020099A (ko) 2008-08-12 2008-08-12 점착시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00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051B1 (ko) * 2019-08-06 2020-10-12 문성훈 조류 충돌방지용 필름 제조방법
KR20210018169A (ko) * 2019-08-06 2021-02-17 문성훈 패턴을 갖는 조류 충돌방지용 필름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051B1 (ko) * 2019-08-06 2020-10-12 문성훈 조류 충돌방지용 필름 제조방법
KR20210018169A (ko) * 2019-08-06 2021-02-17 문성훈 패턴을 갖는 조류 충돌방지용 필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770B1 (ko)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101175721B1 (ko) 장식용 경면 입체 성형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179955B1 (ko) 플로킹 네일 스티커와 그 제조방법
KR101279793B1 (ko) 액정 글래스 보호기구
TW200736353A (en) Antistatic coating composition for polarizer film and antistatic polarizer film using the same
CN110437752A (zh) 光学胶、显示面板及光学胶的制作方法
WO2004011278B1 (en) Dry erase surface
KR101383959B1 (ko)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KR100728167B1 (ko) 유리 표면에 펄 혼합 인쇄를 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인쇄물
KR20100020099A (ko) 점착시트 제조방법
KR20120131848A (ko) 모바일기기용 커버 액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CN212610400U (zh) 一种用于曲面手机且具有防窥效果的3d保护膜
KR101469082B1 (ko) 자기복구 기능을 갖는 곡면 디스플레이 사출 전사용 필름
JP2008006801A (ja) 銀ナノコーティング表面材の製造方法
KR101236646B1 (ko) 액정 글래스 보호기구
JP4139662B2 (ja) 光透過性電磁波遮蔽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80188A (ko) 실제 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9255492A (ja) 防眩性と自己修復性とを備えた表面基材
KR100976881B1 (ko) 장식용 시트지 제조방법
CN207291194U (zh) 一种聚氨酯保护膜
KR101734924B1 (ko) 고경도 코팅층을 겸비하는 잉크젯 출력용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출력용 필름
CN105882172A (zh) 一种新型柔版印刷方法
TWI435805B (zh) Method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film
JP2008119998A (ja) 表示パネル及びこの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KR102571733B1 (ko) 전자기기용 액정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