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726A -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726A
KR20100019726A KR1020080078420A KR20080078420A KR20100019726A KR 20100019726 A KR20100019726 A KR 20100019726A KR 1020080078420 A KR1020080078420 A KR 1020080078420A KR 20080078420 A KR20080078420 A KR 20080078420A KR 20100019726 A KR20100019726 A KR 20100019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verage
display panel
mode
neg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829B1 (ko
Inventor
변승찬
김종무
김인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78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829B1/ko
Publication of KR2010001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10B41/41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of a memory region comprising a cell select transistor, e.g. NA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8Charge coupled imagers
    • H01L27/14831Area CCD imagers
    • H01L27/14856Time-delay and integ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118Masterslice integrated circuits
    • H01L27/11803Masterslice integrated circuits using field effect technology
    • H01L27/11807CMOS gate arrays
    • H01L2027/11868Macro-architecture
    • H01L2027/11874Layout specification, i.e. inner core region
    • H01L2027/11879Data lines (buses)

Abstract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표시모드 동안에 입력된 화소전압으로 인해 시프트 된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Vth)을 표시 오프 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브 모드 동안에 표시모드 동안 입력된 데이터의 평균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평균 데이터를 반전시킨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를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Vth)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Vth)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각 화소의 휘도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모드 동안에 공급된 화소전압에 의한 열화로 시프트 된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Vth)을 원래 상태로 복원할 수 있어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모드, 표시 오프 모드, 휘도 불균일, 문턱전압,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의 발달로 인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와 달리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두께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다수의 화소가 매트릭스로 배열되어 있다. 각 화소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캐패시터, 구동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의해 데이터 전압이 구동 트랜지스터로 공급 되고, 이러한 데이터 전압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에 구동 전류가 생성되고, 구동 전류에 의해 유기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한다. 스토리지 캐패시터는 데이터 전압은 한 프레임 동안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구동 트랜지스터는 문턱전압을 가진다. 구동 트랜지스터에 구동 전류가 생성되기 위해서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와 소오스 단자 사이의 전압이 문턱전압 보다 커야 한다.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는 동일한 극성을 갖는 데이터 전압이 매 프레임 단위로 공급된다. 이러한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 전압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는 열화되게 되어, 문턱전압이 시프트되게 된다.
이와 같이 시프트된 문턱전압은 매 프레임 단위로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 전압이 공급됨에 따라 원래의 문턱전압으로 복원될 수가 없기 때문에,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전류가 상이한 문턱전압에 의해 달라지게 되어, 결국 각 화소가 휘도 불균일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매트릭스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각 화소는 게이트라인, 데이터라인 및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노드, 전압공급라인 및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및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스토리지 캐패시터와,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될 화상에 대응되는 데이터와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각각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지속적으로 프레임 단위로 입력된 데이터의 평균을 산출하는 데이터 평균 산출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평균 산출부로부터의 평균 데이터를 반전시킨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를 산출하는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산출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산출부로부터의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선택부 및 상기 데이터 선택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화소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매트릭스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 고, 상기 각 화소는 게이트라인, 데이터라인 및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노드, 전압공급라인 및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및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스토리지 캐패시터와,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표시패널을 포함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표시패널에 표시될 화상에 대응되는 데이터와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지속적으로 프레임 단위로 입력된 상기 데이터의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제어신호 중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산출된 평균 데이터를 감마전압을 이용해 반전시킨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데이터를 화소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화상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표시모드 동안에 입력된 화소전압으로 인한 열화로 시프트 된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Vth)을 표시 오프 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브 모드시에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래의 문턱전압(Vth)으로 복원할 수 있어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 및 다수의 데이터라인(DL1 ~ DLm)이 구비된 표시패널(102)과, 상기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104)와, 상기 다수의 데이터라인(DL1 ~ DLm)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106)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04) 및 데이터 드라이버(106)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08)와, 상기 표시패널(102) 상의 화소의 구동에 필요한 공급전압을 발생하는 전압 발생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02)은 매트릭스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02)은 다수의 게이트라인(GL1 ~ GLn)과 다수의 데이터라인(DL1 ~ DLm)이 교차하여 배열된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102)은 다수의 공급전압라인(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될 수 있다.
각 화소(P)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게이트라인(GL), 하나의 데이터라인(DL), 제1 및 제2 공급전압라인(VDD, VSS)이 배치될 수 있다. 각 화소(P)에는 게이트라인(GL), 데이터라인(DL) 및 제1 노드(nd1)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T1)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소(P)에는 상기 제1 노드(nd1), 제1 공급전압라인(VDD) 및 제2 노드(nd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T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노드(nd1, nd2) 사이에는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화소(P)에는 상기 제2 노드(nd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는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의 동기신호들(V, H)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04)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신호(GCS)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생성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는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프레임 단위의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프레임 단위의 영상 데이터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에서 상기 표시패널(102)의 모드에 맞도록 재정렬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에서 재정렬된 데이터는 각각 데이터 평균 산출부(112) 및 데이터 선택부(120)로 공급된다.
상기 전압 발생부(110)는 상기 표시패널(102) 상의 화소들의 구동에 필요한 고전위의 제1 공급전압(VDD) 및 저전위의 제2 공급전압(VSS)을 발생한다. 상기 제1 공급전압(VDD)은 상기 표시패널(102) 상의 제1 공급전압라인(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상기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2 공급전압(VSS)은 상기 표시패널(102)상의 제2 공급전압라인(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상기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지속적으로 재정렬된 데이터의 평균을 산출하는 데이터 평균 산출부(112)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입력된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평균 산출부(112)로부터의 평균 데이터를 네가티브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반전시킨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를 산출하는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산출부(118)와, 상기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재정렬된 데이터와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산출부(118)로부터의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로 출력하는 데이터 선택부(12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평균 산출부(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입력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114)와, 상기 프레임 메모리(114)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일정구간동안 가산하여 평균값을 산출하는 데이터 연산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연산부(116)는 이미 연산을 통해 산출된 평균 데이터를 피드백하여 상기 피드백된 평균 데이터와 지속적으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114)로부터의 데이터를 가산하여 평균값을 산출한다. 상기 데이터 연산부(116)에서 산출된 평균 데이터는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산출부(118)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연산부(116)는 다음의 수식 1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프레임 단위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평균을 산출한다.
Figure 112008057319018-PAT00001
여기서 n은 프레임 수를 의미하고, μ는 평균 데이터를 의미하고, α는 가중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α는 수개 ~ 수십개의 프레임에 대한 평균값 인가에 대한 가중치를 의미한다. 수개 프레임의 데이터 평균과 수십개 프레임의 데이터 평균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평균값 인가 가중치인 α는 영상 조건에 따라 적합한 값으로 설정된다. α는 상이한 영상이 많은 경우에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것이고, 고정된 영상이 많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으로 설정될 것이다. 다시말해, α의 값이 클수록 현재 영상 변화에 따른 데이터 평균값에 대한 영향이 커지며, α의 값이 작을 수록 현재 영상 변화에 따른 데이터 평균값에 대한 영향이 크지 않다.
이러한 수학식1을 이용해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116)는 실시간으로 입력된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의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연산부(116)는 해상도가 높은 경우에 시스템 리소스 사용을 줄이고자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상기 샘플링된 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출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데이터 평균 산출부에서 일정기간 동안 입력된 프레임 단위의영상 데이터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데이터 평균 산출부(112)는 타이밍 컨트롤러(도 1의 108)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지속적으로 입력된 수개 ~ 수십개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의 평균을 산출한다. 수개 ~ 수십개의 프레임 동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글자 데이터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평균값을 산출하여도 글자 데이터에는 변함이 없다.
반면에, 글자가 표시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상이하게 표시되는 수개 ~ 수십개의 프레임 동안의 평균을 산출하게 되면 수개 ~ 수십개의 프레임 동안에 입력된 영상 데이터와는 상이한 평균 데이터가 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 평균 산출부(112)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지속적으로 입력된 수개 ~ 수십개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산출부(118)로 공급한다.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산출부(118)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제1 논리값을 갖는 모드선택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데이터 평균 산출부(112)로부터 공급된 평균 데이터를 네가티브 감마전압을 이용해서 반전시킨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를 산출한다. 상기 제1 논리값을 갖는 모드선택신호는 현재 표시패널(102)이 표시 오프 모드 이거나 또는 스크린 세이브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상기 모드선택신호는 극성신호(POL)일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는 현재 표시패널(102)이 표시 오프 모드 이거나 또는 스크린 세이브 모드일 경우에 제1 논리값에 해당되는 하이(High) 논리의 모드선택신호를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산출부(118)로 공급한다. 상기 네가티브 데이터 산출부(118)는 상기 하이(High) 논리의 모드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데이터 평균 산출부(112)로부터 출력된 평균 데이터를 네가티브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평균 데이터를 반전시킨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를 산출하여 데이터 선택부(120)로 공급한다.
한편,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는 현재 표시패널(102)이 표시모드일 경우에 제2 논리값에 해당되는 로우(Low) 논리의 모드선택신호를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산출부(118)로 공급한다. 상기 네가티브 데이터 산출부(118)는 로우(Low) 논리의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어떠한 연산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데이터 선택부(120)에는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산출부(118)로부터의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의 데이터가 공급된다. 상기 데이터 선택부(120)에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의 모드선택신호가 공급되어 상기 모드선택신호의 논리값에 따라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선택부(120)는 하이(High) 논리의 제1 논리값을 갖는 제1 논리의 모드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 이버(106)로 출력한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02)이 표시 오프 모드 이거나 스크린 세이브 모드일 경우에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는 하이(High) 논리의 제1 논리값의 모드선택신호를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출력부(118) 및 상기 데이터 선택부(120)로 각각 공급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로 공급된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는 상기 표시패널(102) 상에 구비된 다수의 화소(P)로 공급된다. 상기 화소(P)의 제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노드(nd1)로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패널(102)이 표시 모드 시에 한쪽 극성(예를 들어, 포지티브)을 갖는 화소전압에 의해 시프트된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의 문턱전압을 원래상태의 문턱전압(Vth)으로 복원할 수 있다. 즉, 표시 모드시에 한쪽 극성을 갖는 화소전압에 의해 시프트 된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의 문턱전압은 표시 오프 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브 모드시에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모드시의 화소전압에 의해 시프트 된 제2 트랜지스터(T2)의 문턱전압(Vth)은 표시 오프 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브 모드시에서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래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표시모드시에 시프트 된 구동 트랜지스터인 제2 트랜지스터(T2)의 문턱전압(Vth)이 표시 오프 모드 또는 스크린 세이브 모드시에 원래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시프트 된 문턱전압(Vth)으로 인해 발생한 휘도 불균일을 방지하여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표시패널 상의 화소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도 1의 데이터 평균 산출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데이터 평균 산출부에서 일정기간 동안 입력된 프레임 단위의영상 데이터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표시패널 104:게이트 드라이버
106:데이터 드라이버 108:타이밍 컨트롤러
110:전압 발생부 112:데이터 평균 산출부
114:프레임 메모리 116:데이터 연산부
118: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산출부 120:데이터 선택부

Claims (11)

  1. 매트릭스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각 화소는 게이트라인, 데이터라인 및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노드, 전압공급라인 및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및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스토리지 캐패시터와,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될 화상에 대응되는 데이터와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각각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지속적으로 프레임 단위로 입력된 데이터의 평균을 산출하는 데이터 평균 산출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평균 산출부로부터의 평균 데이터를 반전시킨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를 산출하는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산출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산출부로부터의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선택부; 및
    상기 데이터 선택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화소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산출부는 상기 표시패널이 표시오프 모드이거나 또는 스크린 세이브 모드가 시작되기 전까지 상기 데이터 평균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데이터 평균값을 반전시킨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표시패널이 표시오프 모드이거나 또는 스크린 세이브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제1 논리값의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선택부가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다수의 화소를 구비한 표시패널 상에 공급하게 되면 상기 화소의 제2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표시패널이 표시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제2 논리값의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신호는 극성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평균 산출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일시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및
    일정 구간동안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저장된 데이터를 가산하는 데이터 가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8. 매트릭스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각 화소는 게이트라인, 데이터라인 및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노드, 전압공급라인 및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및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스토리지 캐패시터와,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패널에 표시될 화상에 대응되는 데이터와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지속적으로 프레임 단위로 입력된 상기 데이터의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제어신호 중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산출된 평균 데이터를 감마전압을 이용해 반전시킨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데이터를 화소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화상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이 표시오프 모드이거나 또는 스크린 세이브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제1 논리값의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가 선택되어 상기 선택된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가 상기 표시패널 상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네가티브 평균 데이터가 다수의 화소를 구비한 상기 표시패널 상에 공급되는 동안 상기 화소의 제2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신호는 극성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080078420A 2008-08-11 2008-08-11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481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8420A KR101481829B1 (ko) 2008-08-11 2008-08-11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8420A KR101481829B1 (ko) 2008-08-11 2008-08-11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726A true KR20100019726A (ko) 2010-02-19
KR101481829B1 KR101481829B1 (ko) 2015-01-12

Family

ID=4208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8420A KR101481829B1 (ko) 2008-08-11 2008-08-11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433A (ko) * 2014-09-23 2016-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318A (ko) * 2004-02-09 2005-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랜지스터의 구동 방법과, 이를 이용한 구동소자,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JP4850422B2 (ja) * 2005-01-31 2012-01-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8158378A (ja) * 2006-12-26 2008-07-10 Sony Corp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350973B1 (ko) * 2006-12-27 2014-0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능동형 유기전계 발광소자 디스플레이의 구동방법 및 이의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433A (ko) * 2014-09-23 2016-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829B1 (ko) 201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6468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5240534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
JP5110341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駆動方法
KR101167861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 장치
JP2006330138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駆動方法
KR1025361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캔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6197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9308865B (zh) 显示面板、控制装置、显示装置以及显示面板的驱动方法
JP4743485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駆動方法
JP2005031643A (ja) 発光装置及び表示装置
KR100931468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80033001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데이터 드라이버 및 저전력 구동 방법
KR20190048735A (ko) 표시패널
CN112242117A (zh) 显示设备和使用该显示设备驱动显示面板的方法
KR101350622B1 (ko) 전계 발광 화소, 그를 포함한 전계 발광 패널, 그 전계발광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 및 방법
US20080252567A1 (e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JP2017167425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877347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5182382B2 (ja) 表示装置
JP2008242358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KR101481829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00073440A (ko) 제어 드라이버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070042636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JP2002287682A (ja) 表示パネルとその駆動方法
JP2012063733A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