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600A -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600A
KR20100019600A KR1020080078251A KR20080078251A KR20100019600A KR 20100019600 A KR20100019600 A KR 20100019600A KR 1020080078251 A KR1020080078251 A KR 1020080078251A KR 20080078251 A KR20080078251 A KR 20080078251A KR 20100019600 A KR20100019600 A KR 20100019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terogeneous material
beverage container
cap
edge
cylindrica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창 영 이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창 영 이
이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 영 이, 이준영 filed Critical 창 영 이
Priority to KR102008007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9600A/ko
Publication of KR20100019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 B65D2217/04Whereby the separation between the different product compartments can be restored, e.g. for re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의 입구부에 결합되고 차단판에 형성된 수용구멍을 구비하는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에 결합되는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과 상부캡 사이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수납부로 이루어진 음료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110a)의 중심에 형성된 수용구멍(110b)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이종물질 배출공(111a)이 천공된 외측 원통결합부(111)와, 상기 외측 원통결합부(111)의 끝단에서 안쪽으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밀봉부(111b)와, 상기 밀봉부(111b)의 끝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된 내측 원통결합부(112)와, 상기 내측 원통결합부(112)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을 향해 원뿔형상으로 상향 돌출된 이종물질흐름 유도부(113)로 이루어진 하부캡(110)과; 상기 하부캡(110)의 외측 원통결합부(111)와 내측 원통결합부(112) 사이에 나사결합되는 나선부(121)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이종물질수납공간(120a)을 구비하는 이종물질 수납부(120)로 구성되는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처럼 본 발명은 하부캡의 수용구멍에 상부로 돌출된 이종물질흐름 유도부를 형성함으로써 이종물질 수납부에 수납된 이종물질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이종물질의 용해를 위해 음료용기를 흔들 시에 이종물질 배출공을 통해 물의 유입이 자유로이 이루어져 이종물질의 잔량까지 용해되므로 위생 및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으며, 또한 이종물질이 수납된 이종물질 수납부를 상부캡으로 여닫는 이중구조로 인해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 함과 동시에 상기 이종물질 수납부의 상부를 개폐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음료를 다 마신 후에도 상기 이종물질 수납부에 새로운 이종물질의 수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음료용기, 이종물질, 첨가제, 뚜껑

Description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A cap of drinking tool for easily keeping and pushing powder}
본 발명은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종물질(異種物質)의 배출 및 용해가 손쉽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차후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말이나 입상(粒狀)의 고형물질, 액상(液狀)의 액기스 등과 같은 용기에 담겨있는 액상과는 다른 물질(이를 통칭하여 이종물질이라 한다) 등을 음료용기의 뚜껑 내에 수용하고 있다가 사용시 뚜껑의 상부를 누르거나 돌려서 음료용기 안으로 이종물질을 첨가한 후 이를 용해하여 마시도록 하고 있다.
그 일례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의 입구부를 막도록 결합하고 중앙에 첨가제 첨가내용물 수용구멍이 있는 캡에 있어서, 용기(12)의 입구부를 결합시키고 내용물 수용구멍(21)을 이루며 하단이 개방된 삽입관(22)을 상부로 연장하여 상부캡(30)을 나사 결합시키는 결합댐(25)을 가지는 하캡(20); 하캡(20)과 나사 결합하며 구멍(21)의 축 방향으로 하향 연장하는 돌출부(31)를 가지는 상캡(30); 및 상기 돌출부(31)와 구멍(21) 사이의 공간에 첨가한 첨가제의 이탈을 방지하고 삽입관(22)의 하단 개방부 테두리(22-1)와 돌출부(31)의 하단을 초음파 실링하며, 상캡 분리시 절단되어 첨가제가 용기로 첨가되도록 하는 실링막(4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테두리(22-1)와 실링막(40)의 접촉 면적이 돌출부(31) 선단에서의 실링막(40)과의 접촉 면적보다 작도록 하여 상캡(30)의 이탈시 테두리(22-1) 부분의 실링막(40)이 먼저 분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 캡."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111931호에 공개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한 종래의 이중 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캡(30)의 이탈시 테두리(22-1) 부분의 실링막(40)이 분리되어 이종물질이 음료용기 안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이종물질은 초경량의 소재로 전량이 음료용기 안으로 배출되지 못한 상태로 이종물질의 잔량이 남아있게 되고, 상기 이종물질을 용해하기 위해서는 음료용기를 흔들어야 하나 상기 실링막(40)이 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여전히 이종물질의 잔량이 남아있는 상태로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실링막(40)은 인체에 무해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삽입관(22)의 하단 개방부 테두리(22-1)와 돌출부(31)의 하단에 초음파 실링하여 접착해야 하는 작 업의 번거로움과 경제적 부담감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실링막(40)은 상캡(30)의 이탈시 이종물질의 무게에 쉽게 분리되도록 얇은 막의 형태로 구성되므로 이를 재차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시 초음파 실링을 해야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소비자가 음료용기를 재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음료용기의 입구부에 결합되고 차단판에 형성된 수용구멍을 구비하는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에 결합되는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과 상부캡 사이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수납부로 이루어진 음료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의 중심에 형성된 수용구멍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이종물질 배출공이 천공된 외측 원통결합부와, 상기 외측 원통결합부의 끝단에서 안쪽으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밀봉부와, 상기 밀봉부의 끝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된 내측 원통결합부와, 상기 내측 원통결합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을 향해 원뿔형상으로 상향 돌출된 이종물질흐름 유도부로 이루어진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110)의 외측 원통결합부와 내측 원통결합부 사이에 나사결합되는 나선부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이종물질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이종물질 수납부로 구성되는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종물질 수납부의 상부에 개폐가능한 뚜껑을 형성하도록 구성되 는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부캡의 수용구멍에 상부로 돌출된 이종물질흐름 유도부를 형성함으로써 이종물질 수납부에 수납된 이종물질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이종물질의 용해를 위해 음료용기를 흔들 시에 이종물질 배출공을 통해 물의 유입이 자유로이 이루어져 이종물질의 잔량까지 용해되므로 위생 및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종물질이 수납된 이종물질 수납부를 상부캡으로 여닫는 이중구조로 인해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이종물질 수납부의 상부를 개폐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음료를 다 마신 후에도 상기 이종물질 수납부에 새로운 이종물질의 수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100)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크게 음료용기(10)의 입구부에 결합되고 차단판(110a)에 형성된 수용구멍(110b)을 구비하는 하부캡(110)과, 상기 하부캡(110)에 결합되는 상부캡(130)과, 상기 하부캡(110)과 상부캡(130) 사이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수납부(120)로 구성된다.
이때 하부캡(110)은 차단판(110a)의 중심에 형성된 수용구멍(110b)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이종물질 배출공(111a)이 천공된 외측 원통결합부(111)와, 상기 외측 원통결합부(111)의 끝단에서 안쪽으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밀봉부(111b)와, 상기 밀봉부(111b)의 끝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된 내측 원통결합부(112)와, 상기 내측 원통결합부(112)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을 향해 원뿔형상으로 상향 돌출된 이종물질흐름 유도부(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 원통결합부(111)는 차단판(110a)의 중심, 즉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측 원통결합부(111)의 하부에 연장되어 이종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이종물질 배출공(111a)이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부에 형성된 이종물질수납공간(120a)에 이종물질을 수납하고 있는 이종물질 수납부(120)는 상기 하부캡(110)의 외측 원통결합부(111)와 내측 원통결합부(112) 사이에 나선부(121)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이종물질수납공간(120a)의 이종물질이 하부로 쉬 흘러내릴 수 있도록 이종물질 수납부(120)의 하부는 상광하협의 깔때기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종물질 수납부(120)와 하부캡(110)과의 결합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종물질 수납부(120)의 나선부(121)는 안쪽과 바깥쪽 모두에 형 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부(111b)는 이종물질 수납부(120)의 끝단을 밀봉하여 이종물질 수납부(120)와 하부캡(110)의 나사결합된 틈 사이로 새어나오는 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차단판(110a)은 음료용기(10)에 담겨있는 물의 유입을 차단하고, 수용구멍(110b)에 형성된 이종물질 배출공(111a)과 내벽의 사이에 간격을 두어 이종물질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이종물질 배출공(111a)에 대향지도록 내측 원통결합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원통결합부(112)의 상부에 연장되어 수용구멍(110b)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도록 이종물질흐름 유도부(113)가 형성되는데, 상기 이종물질흐름 유도부(113)는 평평한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원뿔(∧)형상을 갖도록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종물질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이종물질 수납부(120)의 구조는 상부는 밀폐된 상태이고, 하부는 개방된 상태로 이종물질이 배출되는 입구에 안쪽과 바깥쪽에 모두 나선부(121)가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이종물질 수납부(120)의 안쪽과 바깥쪽에 모두 나선부(121)를 형성하는 이유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 나선부(121)는 이종물질(A)을 배출시키고자 할 때 이종물질(A)이 이종물질 배출공(111a)을 통해 배출되는 동안 이종물질 수납부(120)가 외측 원통결합부(111)의 상부 일단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고, 안쪽 나선부(121)는 이종물질 수납부(120)를 수용구멍(110b) 끝까 지 잠글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물론 안쪽 나선부(121)를 형성하지 않고 이종물질 배출공(111a)이 형성된 부분까지 나선부를 형성하여 이종물질 수납부(120)의 바깥쪽 나선부(121)에 의해서만 이종물질 수납부(120)를 수용구멍(110b) 끝까지 잠글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이종물질 수납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개폐가능한 뚜껑(122)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뚜껑(122)을 통해 새로운 이종물질, 즉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이종물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으므로 차후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캡(130)은 하부캡(110)의 상부 테두리 일단에 힌지(131) 결합되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캡(130)은 내부에 충분한 공간을 갖도록 호형의 형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캡(130)이 하부캡(110)에 닫혀진 상태일 때, 상기 하부캡(110)의 수용구멍(110b)에 체결된 이종물질 수납부(120)가 상기 상부캡(13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음료용기 뚜껑(100)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캡(130)을 열고 이종물질 수납부(120)에 수납된 이종물질(A)이 배출되도록 상기 이종물질 수납부(120)를 돌려서 올린 후, 상기 배출된 이종물질(A)이 물에 잘 용해되도록 음료용기(10)를 잡고서 흔들도록 한다. 이때 이종물질(A)이 배출되는 이종물질 배출공(111a)을 통해서 물이 유입되어 상기 이종물질 수납 부(120)에 남아있는 이종물질(A)의 잔량까지 용해하여 음료용기(10) 안으로 떨어지게 된다. 다음 상기 이종물질 수납부(120)를 체결하고 상부캡(130)을 닫은 후, 본 발명 음료용기 뚜껑(100)을 음료용기(10)로부터 분리시켜 이종물질이 용해된 물, 즉 음료를 마시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 - 종래 이중 캡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 종래 이중 캡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3 - 본 발명 음료용기 뚜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 도 3의 결합 사시도.
도 5 - 도 4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 본 발명 음료용기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 - 도 6의 결합된 상태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 본 발명 음료용기 뚜껑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음료용기 100: 본 발명 음료용기 뚜껑
110: 하부캡 110a: 차단판
110b: 수용구멍 111: 외측 원통결합부
111a: 이종물질 배출공 111b: 밀봉부
112: 내측 원통결합부 113: 이종물질흐름 유도부
120: 이종물질 수납부 120a: 이종물질수납공간
121: 나선부 122: 뚜껑
130: 상부캡 131: 힌지
A: 이종물질

Claims (2)

  1. 음료용기의 입구부에 결합되고 차단판에 형성된 수용구멍을 구비하는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에 결합되는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과 상부캡 사이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수납부로 이루어진 음료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110a)의 중심에 형성된 수용구멍(110b)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이종물질 배출공(111a)이 천공된 외측 원통결합부(111)와, 상기 외측 원통결합부(111)의 끝단에서 안쪽으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밀봉부(111b)와, 상기 밀봉부(111b)의 끝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된 내측 원통결합부(112)와, 상기 내측 원통결합부(112)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을 향해 원뿔형상으로 상향 돌출된 이종물질흐름 유도부(113)로 이루어진 하부캡(110)과; 상기 하부캡(110)의 외측 원통결합부(111)와 내측 원통결합부(112) 사이에 나사결합되는 나선부(121)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이종물질수납공간(120a)을 구비하는 이종물질 수납부(12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물질 수납부(120)의 상부에 개폐가능한 뚜껑(122)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
KR1020080078251A 2008-08-11 2008-08-11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 KR20100019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251A KR20100019600A (ko) 2008-08-11 2008-08-11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251A KR20100019600A (ko) 2008-08-11 2008-08-11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600A true KR20100019600A (ko) 2010-02-19

Family

ID=4208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251A KR20100019600A (ko) 2008-08-11 2008-08-11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96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3650A1 (en) 2011-12-19 2013-06-27 Isoline Eu, S.R.O. Dispensing closure
KR101444020B1 (ko) * 2013-04-23 2014-09-23 성구환 버튼식 용기마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3650A1 (en) 2011-12-19 2013-06-27 Isoline Eu, S.R.O. Dispensing closure
US9522770B2 (en) 2011-12-19 2016-12-20 Isoline Eu, S.R.O. Dispensing closure
KR101444020B1 (ko) * 2013-04-23 2014-09-23 성구환 버튼식 용기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618647A2 (pt) fecho de recipiente para o despejamento simultáneo de dois lìquidos separados em uma razão quantitativa especificada
US20090184042A1 (en) Filter device
KR20030093938A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JP2009056069A (ja) 飲料用容器及び飲料用容器の使用方法
KR101141669B1 (ko) 분리용기
JP2010527313A (ja) 液体保存容器
KR20100019600A (ko) 이종물질의 수납 및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뚜껑
JP3565452B2 (ja) 液体注出キャップ
KR101029915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CN213058271U (zh) 内容物容器
KR200360760Y1 (ko) 휴대용 정수기
JP4419171B2 (ja) 注出キャップ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KR200412108Y1 (ko) 포장튜브의 캡 구조
JPH04104881A (ja) 飲料水の浄化容器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JP3153867U (ja) ピッチャー型浄水器
KR20110006896U (ko) 찌꺼기가 분리되는 음용용기
KR102668797B1 (ko) 이종내용물 혼합형 화장품용기 및 그 사용방법
JP2004129712A (ja) 携帯型液状化粧品容器
KR200271449Y1 (ko) 위생 물통
JP2010173730A (ja) 注出栓
KR102012345B1 (ko) 제습 용기
KR200356848Y1 (ko) 액상 내용물 정량 토출 화장품용기
JP3117756U (ja) 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