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361A - 루프재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루프재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361A
KR20100019361A KR1020090072264A KR20090072264A KR20100019361A KR 20100019361 A KR20100019361 A KR 20100019361A KR 1020090072264 A KR1020090072264 A KR 1020090072264A KR 20090072264 A KR20090072264 A KR 20090072264A KR 20100019361 A KR20100019361 A KR 20100019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loop
pressure
clamping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3263B1 (ko
Inventor
모토히코 이노우에
마사히코 사토우
준야 미조부치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9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22Article-, e.g. button-, feed mechanism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Abstract

루프재를 재봉부착하는 봉제물 본체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의도한 위치에 루프재를 확실하게 공급함으로써, 루프재를 봉제물 본체에 재봉부착하였을 경우의 봉제불량의 발생을 방지한다.
루프재 공급장치(1)는, 끼움지지수단(3)과, 끼움지지수단(3)이 루프재(20)를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압력을 변경시키는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12)과, 제어수단(17)을 구비한다.  제어수단(17)은, 루프재(20)를 벨트 루프를 재봉부착하는 재봉기(2)에 공급하는 각 공급공정에 따라서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12)에 끼움지지압력을 설정하는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루프재(20)가 이동, 봉제될 때,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적어도 이동이 가능한 상태와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제어수단(17)에 의한 끼움지지압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루프재 공급장치{LOOP MATERIAL FEED APPARATUS}
본 발명은 벨트루프를 구성하는 루프재를 봉제물 본체에 재봉부착하는 재봉기의 봉제위치에, 루프재를 공급하는 루프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컨대, 바지나 스커트의 허리부분, 나아가 코트의 허리부분이나 소매부분 등 각종 봉제물 본체에 벨트를 관통삽입시키기 위한 벨트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길이가 긴 테이프재를 재봉기의 봉제위치에 공급하는 루프재 공급장치가 상기 재봉기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루프재 공급장치는, 루프재를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수단을 가지며, 끼움지지수단에 의해 루프재의 소정의 부분을 일정한 끼움지지압력으로 끼움지지하면서 끼움지지수단을 이동시킴으로써, 루프재의 봉제부위를 재봉기의 봉제위치에 배치시키거나 절곡(折曲)시키거나 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요즘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20a)가 Z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타단부(20b)가 U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도 12(a)~(h)에 나타낸 바와 같은 봉제공정에 의해 루프재(20)가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된다.
먼저, 루프재(2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20a) 근방을 끼움지지한 끼움지지수단(3)이, 상기 일단부(20a)가 재봉기의 봉제위치에 위치하도록 이동한다(도 12(a)).
그리고,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의 누르개(23)가 하강하여 일단부(20a)가 눌리며, 끼움지지수단(3)은 일단부(20a)의 좌측 상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시에 있어서는, 일단부(20a)가 누르개(23)에 의해 눌려져 있기 때문에, 끼움지지수단(3)은 루프재(20)를 미끄러지게 하면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루프재(20)에서의 끼움지지수단(3)의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일단부(20a)로부터 타단부(20b)쪽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재봉기는 루프재(20)의 일단부(20a)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한다(제 1 봉제).
제 1 봉제후,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르개(23)가 상승하고, 타단부(20b)를 끼움지지한 끼움지지수단(3)이 우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제 1 봉제에 의한 바늘땀(제 1 바늘땀)을 넘어 이동한다. 이로써, 루프재(20)는 제 1 바늘땀을 덮도록 접어 젖혀진다.
다음으로, 끼움지지수단(3)이 하강하여,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포갠 상태로 하며, 그 후에 상기 제 1 바늘땀을 넘은 일단부(20a)의 근방으로 누르개(23)가 하강하여, 상기 근방위치에 제 2 바늘땀을 형성한다(도 12(d)). 그리고, 다시 누르개(23)를 상승시킨 후, 끼움지지수단(3)은 다시 일단부(20a)의 좌측 상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한다(도 12(e)). 이로써, 루프재(20)는 제 2 바늘땀을 덮도록 접어 젖혀지며, 일단부(20a)는 Z자 형상으로 절곡된다.
그 후, 포크부재(25)가 그 포크형상의 지지부(25a) 사이에,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끼움지지되는 타단부(20b)의 근방을 끼우도록 이동하고(도 12(f)), 상기 타단부(20b)가 U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포크부재(25)를 회전시킨다(도 12(g)). 포크부재(25)의 회전이 종료되기 직전에는, 상기 타단부(20b)가 끼움지지수단(3)으로부터 뽑혀 해방된다(도 12(g)).
그리고, 포크부재(25)가 타단부(20b)로부터 빼내어지고, 도 12(h)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르개(23)가 타단부(20b)의 근방을 눌러 재봉부착한다(제 3 봉제).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117770호
루프재(20)를 재봉기에 공급하는 상술한 각 공급공정에 있어서, 도 12(a)의 이동시 및 도 12(g)의 포크부 회전시의 공정에서, 루프재(20)가 움직이지 않도록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루프재(20)를 확실하게 끼움지지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12(b), (c), (e)에서의 끼움지지수단(3)의 이동시에는, 루프재를 미끄러지게 하면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루프재 공급장치에서는, 끼움지지수단(3)의 끼움지지압력이 일정하기 때문에, 상술한 각 공급공정에서의 최적의 끼움지지압력을 얻을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루프재가 미끄러지기 쉬워지도록 끼움지지압력을 약하게 설정하였을 경우에는,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하기 위한 재봉기의 봉제 동작 등에 있어서 끼움지지수단(3)으로부터 루프재(20)가 벗어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재(20)에 대한 끼움지지압력이 강하면,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루프재(20)를 끼움지지한 상태에서 그 루프 끼움지지 위치를 이동할 때, 루프재(20)를 재봉부착하는 봉제물 본체(21)를 잡아당겨 주름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루프재(20)의 두께나 재료의 탄성 등이 다르면 최적의 끼움지지압력도 달라져, 설정되어 있던 끼움지지압력으로는 루프재(20)를 확실하게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루프재(20)를 재봉부착하는 봉제물 본체(21)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의도한 위치에 루프재(20)를 재봉부착할 수 없어 봉제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루프재를 봉제물 본체에 재봉부착하는 공정에 적합한 최적의 끼움지지력에 의해 루프재를 끼움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봉제를 확실히 수행하는 동시에 봉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의 특징은, 벨트 루프를 구성하는 루프재를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수단과, 상기 루프재의 각 봉제부위를 봉제물 본체에 대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끼움지지 수단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적어도 상기 끼움지지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벨트 루프를 재봉부착하는 재봉기의 루프재 공급장치로서, 상기 끼움지지수단이 루프재를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압력을 변경시키는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벨트 루프를 재봉부착하는 재봉기에 루프재를 공급하는 각 공급공정에 따라서 상기 끼움지지압력을 변경시키도록 상기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을 제어한다는 점에 있다.
각 공급공정에 따라서 끼움지지압력을 변경시키도록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이 제어되므로, 상기 각 공급공정에서 최적의 끼움지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루프재 공급장치는, 재봉기의 봉제동작중에,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루프재의 끼움지지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탄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된 루프재를 이용할 경우, 루프재가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끼움지지로부터 벗어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와 함께, 끼움지지수단에 의해 루프재를 끼움지지하면서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루프재 끼움지지 위치를 이동할 때, 루프재가 끼움지지수단에 대하여 원활히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에, 루프재가 봉제물 본체를 잡아당겨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의 특징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은, 상기 끼움지지압력을, 상기 끼움지지수단이 상기 루프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압력과, 상기 끼움지지수단이 상기 루프재를 슬라이딩 불가능하게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루프재 공급장치는, 재봉기의 봉제동작중에,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루프재의 끼움지지가 해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탄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된 루프재를 이용할 경우에, 루프재가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끼움지지로부터 벗어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와 함께, 끼움지지수단에 의해 루프재를 끼움지지하면서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를 이동할 때, 루프재가 끼움지지수단에 대하여 원활히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에, 루프재를 재봉부착하는 봉제물 본체를 잡아당겨 주름이 생기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은, 상기 끼움지지압력의 압력값을, 상기 끼움지지수단이 상기 루프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지지하는 약(弱) 압력값과, 상기 끼움지지수단이 상기 루프재를 슬라이딩 불가능하게 끼움지지하는 기준 압력값과, 약 압력값과 기준 압력값 사이의 중간 압력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루프재의 재봉부착공정에 따라서 루프재의 끼움지지압력을 자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루프재의 절곡 등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어 봉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의 특징은, 청구항 1 또는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더욱이, 상기 끼움지지수단에 대한 상기 루프재의 슬라이딩 속도 및 슬라이딩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끼움지지압력을 설정할 수 있게 한 점에 있다.
상기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루프재 공급장치는, 재봉기의 봉제동작중에,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루프재의 끼움지지가 해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으며, 특히 탄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된 루프재를 이용할 경우에, 루프재가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끼움지지로부터 벗어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와 함께, 끼움지지수단에 의해 루프재를 끼움지지하면서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를 이동할 때, 루프재가 끼움지지수단에 대하여 원활히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에, 루프재를 재봉부착하는 봉제물 본체를 잡아당겨 주름이 생기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의 특징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지지부를 갖는 포크부재를 구비하며, 한 쌍의 지지부에 의해 상기 루프재의 단부를 끼움지지하고, 상기 포크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루프재의 단부를 절곡하는 동시에 상기 단부를 상기 끼움지지수단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포크부재의 회전이 종료되기 직전에 있어서의 상기 끼움지지수단의 상기 끼움지지압력이, 상기 양 지지부가 상기 루프재를 끼울 때의 상기 끼움지지수단의 상기 끼움지지압력에 비해 약해지도록 상기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을 제어한다는 점에 있다.
상기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포크부재의 회전이 종료되기 직전에 있어서의 끼움지지압력을, 양 지지부가 루프재를 끼울 때의 상기 끼움지지수단의 끼움지지압력에 비해 약하게 함으로써, 루프재를 끼움지지수단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가 있다. 또, 양 지지부가 루프재를 끼울 때의 끼움지지압력을, 포크부재의 회전이 종료되기 직전의 끼움지지압력보다 강하게 함으로써, 루프재가 느슨해지거나 끼움지지수단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루프재 공급장치는, 의도한 위치에 루프재를 확실히 공급할 수 있으므로, 재봉기는 루프재를 봉제물 본체에 재봉부착하였을 경우의 봉제불량의 발생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루프재를 봉제물 본체에 재봉부착할 수가 있다.
더욱이,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의 특징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각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공급공정에 따라 설정된 상기 끼움지지압력의 값이 기억된 기억수단을 구비한다는 점에 있다.
상기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각 공급공정에 따라서, 기억수단에 기억된 끼움지지압력에 따라 끼움지지수단에 의해 루프재를 끼움지지함으로써, 각 공급공정에 최적인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루프재의 끼움지지조건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의 특징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끼움지지압력의 값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수단을 구비한다는 점에 있다.
상기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조작수단을 조작함으로써, 기억수단에 기억된 끼움지지압력을 임의의 압력값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로써, 조작자는 예컨대, 루프재의 재질 등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끼움지지압력값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루프재에 있어서의 루프 끼움지지 위치를 보다 원활히 이동하여 봉제물 본체가 딸려오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루프재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루프재를 의도한 위치에 보다 확실하게 공급할 수가 있다.
더욱이,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의 특징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끼움지지수단에 의해 끼움지지되는 상기 루프재의 두께치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끼움지지압력의 값을,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루프재의 두께치수를 고려하여 보정한다는 점에 있다.
상기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검출수단에 의해, 끼움지지수단에 의해 끼움지지되는 루프재의 두께치수를 검출하고, 기억수단에 기억된 끼움지지압력을 검출된 두께치수를 고려하여 산출한 최적의 끼움지지압력으로 보정할 수가 있다. 이로써, 끼움지지수단에 의해 루프재를 끼움지지하면서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를 이동할 때, 루프재가 끼움지지수단에 대하여 원활히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루프재를 재봉부착하는 봉제물 본체를 잡아당기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루프재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루프재를 의도한 위치에 보다 확실하게 공급할 수가 있다.
더욱이,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의 특징은, 청구항 1 내지 8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이 전공 레귤레이터라는 점에 있다.
상기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으로서 전공 레큘레이터를 이용함으로써,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루프재에 대한 끼움지지압력을 각 공급공정에 따라서 확실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의 특징은, 청구항 1 내지 8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은, 설정압력이 고정된 복수의 감압밸브가 조립되어 있는 공압(空壓)회로라는 점에 있다.
상기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으로서 공압회로를 이용함으로써,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루프재에 대한 끼움지지압력을 각 공급공정에 따라서 확실하게 변경시킬 수가 있다.
이상으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에 따르면, 끼움지지수단에 의해 루프재를 끼움지지하면서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를 이동할 때, 루프재가 끼움지지수단에 대하여 원활히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루프재가 봉제물 본체를 잡아당겨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루프재 공급장치는 루프재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의도한 위치에 루프재를 확실하게 공급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상기 루프재 공급장치에 의해 루프재를 공급받는 재봉기에서는, 루프재를 봉제물 본체에 재봉부착하였을 경우의 봉제불량의 발생이 방지되어, 고품질의 루프재를 봉제물 본체에 재봉부착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종래의 루프재 공급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 및 상기 루프재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루프재를 봉제물 본체에 재봉부착하는 재봉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루프재 공급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1)는, 재봉기(2)에 벨트 루프를 구성하는 루프재(20)를 공급하기 위하여 루프재(20)를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수단(3)을 갖는다.
끼움지지수단(3)은 루프재(20)의 상면에 맞닿는 제 1 끼움지지부재(5)와, 루프재(20)의 하면에 맞닿는 제 2 끼움지지부재(6)를 구비하며, 제 1 끼움지지부재(5) 및 제 2 끼움지지부재(6)에 의해 루프재(20)를 끼움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 1 끼움지지부재(5)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5a)와, 지지부(5a)의 선단부에서 제 2 끼움지지부재(6)의 방향인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가압부(5b)와, 지지부(5a)의 타단부에 세워져 설치되는 부착부(5c)를 구비하여, 측면형상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5a)의 상면에는, 보조부재(5d)가 고정나사(5e)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보조부재(5d)의 선단부는, 가압부(5b)의 선단측에 위치하며, 제 2 끼움지지부재(6)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가압부(5b)와 함께 루프재(20)를 누르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보조부재(5d)는, 선단부가 가압부(5b)의 선단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뻗어 나올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제 2 끼움지지부재(6)는, 평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제 1 끼움지지부재(5)에서의 가압부(5b) 및 보조부재(5d)의 선단부의 하면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끼움지지부재(6)의 일단부(6a)는, 제 1 끼움지지부재(5)의 하방에 배치된 평판형상의 프레임 부재(7)에 고정되어 있다.
끼움지지수단(3)에는, 제 1 끼움지지부재(5)와 제 2 끼움지지부재(6)를 서로 접촉 및 분리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서 에어실린더(9)가 부착되어 있으며, 에어실린더(9)의 실린더 본체(9a)는 제 1 끼움지지부재(5)에서의 부착부(5c)에 부착되어 있고, 에어실린더(9)의 실린더 로드(9b)의 선단부는 프레임 부재(7)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실린더(9)는 에어실린더(9)에 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회로(1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압회로(11)는, 전기신호에 의해 에어실린더(9)에 공급되는 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전공(電空) 레귤레이터(12)와, 실린더 로드(9b)의 이동방향을 선택하는 3방향 밸브(13)와, 에어 공급원으로부터의 원압(元壓)을 적절한 압력으로 변환하여 3방향 밸브(13) 및 전공 레귤레이터(12)에 공급하기 위한 감압밸브(15)를 갖는다.
에어실린더(9)는, 실린더 로드(9b)를 실린더 본체(9a) 내부로 인입(引入)시킨 상태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끼움지지부재(5)가 제 2 끼움지지부재(6)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루프재(20)를 끼움지지하게 되어 있다. 이 때, 감압밸브(15), 전공 레귤레이터(12), 3방향 밸브(13) 및 각 이동기구 등 루프재 공급장치(1)의 각 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7)이 전공 레귤레이터(12)를 제어함으 로써, 에어실린더(9)에 대한 에어공급압력을 조정하여, 끼움지지수단(3)의 루프재(20)에 대한 끼움지지압력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더욱이, 제어수단(17)은, 루프재(20)가 이동하여 봉제될 때에는,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이동가능한 상태이며, 더욱이 끼움지지수단(3)에 대한 루프재(20)의 슬라이딩속도 및 슬라이딩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끼움지지압력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어수단(17)이 전공 레귤레이터(12)를 제어하는 타이밍은, 누르개(23)의 상승, 하강이동이나 바늘의 구동(봉제동작) 등 재봉기 각 부의 동작에 관련한 신호의 입력을 트리거로 하여 실행하는 경우와, 내부 카운터를 이용한 타이머에 의해 시간을 제어하여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재봉기의 누르개(23)의 상승, 하강이나 바늘의 구동(봉제동작)은, 제어수단(17)으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재봉기 제어수단(19)이 제어한다. 또한, 재봉기 제어수단(19)의 제어에 의해, 누르개(23)의 상승, 하강동작이나 봉제동작의 종료가 재봉기 제어수단(19)으로부터 제어수단(17)에 통지된다.
또, 루프재 공급장치(1)는, 루프재(20)의 봉제부위를 재봉기(2)의 봉제위치에 공급하거나, 루프재(20)의 비(非) 봉제부위를 상기 봉제위치로부터 퇴피시키도록 끼움지지수단(3)을 이동시키는 이동기구(16)를 갖는다. 루프재 공급장치(1)는 상기 이동기구(16)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움지지수단(3)을,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할 때 형성되는 바늘땀을 따른 방향(도 6의 D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방향 이동기구(16b(16))와, 끼움지지수단(3)을 바늘땀과 직교하 는 방향(도 6의 E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방향 이동기구(16a(16))와, 끼움지지수단(3)을 봉제물 본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방향 이동기구(16c(16))를 구비한다.
더욱이, 루프재 공급장치(1)의 제어수단(17)은, 루프재 공급장치(1)의 각 동작의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기억수단(18)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수단(17)은 기억수단(18)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루프재(20)에서의 봉제부위를 재봉기(2)의 봉제위치에 공급하도록 각 이동기구(16)를 구동하여 끼움지지수단(3)을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제어수단(17)은, 재봉기(2)에 의한 봉제동작이 개시되면,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루프재(20)를 끼움지지하면서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루프재(20)의 양단부(20a,20b)가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루프재(20)의 각 봉제부위를 공급하기 위하여 이동기구(16)를 구동하여 끼움지지수단(3)을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17)은, 루프재(20)가 소정의 형상에 따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되도록,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끼움지지된 루프재(20)의 각 봉제부위를 재봉기(2)에서의 봉제위치에 공급하는 공정에 있어서, 끼움지지수단(3)의 끼움지지압력을 변경시키는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으로서의 전공 레귤레이터(12)를 제어함으로써, 에어실린더(9)에 대한 에어공급압력을 조정하여, 양 끼움지지부재(5,6)에 의한 끼움지지압력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루프재(20)가 이동, 봉제될 때, 루프재(20)에서의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적어도 이동가능한 상태와 이동불가능한 상태로, 제어수단(17)에 의한 끼움지지압력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제어수단(17)은,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재(20)에 대한 끼움지지압력을,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이동하도록 끼움지지수단(3)을 이동시킬 때의 끼움지지수단(3)의 이동개시부터 이동정지 직전까지의 끼움지지압력이, 끼움지지수단(3)의 이동정지직전부터 끼움지지수단(3)의 이동정지중일 때의 끼움지지압력에 비해 약해지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루프재 공급장치(1)에 의해 배경기술에서 기재한 바와 같은 일단부(20a)가 Z자형으로 절곡되고 타단부(20b)가 U자형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루프재(20)를 재봉기(2)의 봉제위치에 공급하여, 재봉기(2)에 의해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하는 경우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도 7, 도 11, 도 12(a)~(h) 참조).
먼저, 루프재 공급장치(1)는 제어수단(17)에 있어서 각 이동기구(16)를 구동함으로써, 루프재(20)에서의 길이방향의 일단부(20a) 근방을 끼움지지한 상태의 끼움지지수단(3)을, 루프재(20)의 일단부(20a)가 재봉기의 봉제위치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이 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수단(17)은, 전공 레귤레이터(12)를 제어함으로써 에어실린더(9)에 대한 에어공급압력을 조정하여,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재(20)에 대한 끼움지지압력이, 루프재(20)를 슬라이딩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 다시말해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이동 불가능한 상태로 하는 소정의 압력값(기준압력값)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재봉기의 누르개(23)가 하강하여 루프재(20)의 일단부(20a)가 눌리면, 누르개의 하강동작이 종료되었음이 재봉기 제어수단(19)으로부터 제어수단(17) 에 전해지며, 제어수단(17)은 전공 레귤레이터(12)를 제어함으로써 에어실린더(9)에 대한 에어공급압력을 조정하여,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재(20)의 끼움지지압력이 기준 압력값보다 약하여 루프 부재(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 다시 말해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이동가능한 압력값(약 압력값)이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끼움지지압력이 약 압력값인 상태에서, 제어수단(17)은 끼움지지수단(3)을 일단부(20a)의 좌측 상방향(도 12(b)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에 맞추어, 루프재(20)를 끼움지지수단(3)에 대하여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루프재(20)에서의 끼움지지수단(3)의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루프재(20)의 일단부(20a) 근방에서 타단부(20b) 근방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제어수단(17)은, 끼움지지수단(3)의 이동이 정지하기 직전에, 끼움지지압력이 약 압력값보다 강하며 기준 압력값보다 약한 압력값(중간 압력값)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재봉기(2)는, 루프재(20)의 일단부(20a)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한다(제 1 봉제). 제어수단(17)은, 상기 제 1 봉제중에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끼움지지압력을 중간 압력값인 상태로 유지한다. 제 1 봉제중에 봉제물 본체(21) 및 누르개(23)는 바늘땀의 형성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한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끼움지지되어 있는 루프재(20)는, 중간 압력값인 상태에서는 끼움지지수단(3)에 대하여 약간의 저항을 부여하면서 적절히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변화된다.
제 1 봉제후, 누르개(23)가 상승하고, 루프재 공급장치(1)는 루프재(20)의 일단부(20a)보다 약간 루프재(20)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쪽인 일단부(20a) 근방이 재봉기(2)의 봉제위치에 위치하도록, 루프재(20)가 재봉부착된 봉제물 본체(21)를 반송한다. 이 때, 루프재 공급장치(1)의 제어수단(17)은, 끼움지지압력을 약 압력값이 되도록 제어하여, 타단부(20b)를 끼움지지한 끼움지지수단(3)을, 제 1 봉제에 의한 바늘땀(제 1 바늘땀)을 넘어 이동시킨다. 이로써, 루프재(20)는 제 1 바늘땀을 덮도록 접어 젖혀진다. 이와 같이 끼움지지수단(3)이 이동하는 동안, 루프재(20)는 끼움지지수단(3)에 대하여 약간 미끄러짐으로써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타단부(20b)의 최단부(最端部)로 이동한다.
더욱이, 제어수단(17)은 끼움지지수단(3)의 이동이 정지하기 직전에, 끼움지지수단(3)의 끼움지지압력을 중간 압력값이 되도록 제어한 후, 끼움지지수단(3)을 하강시켜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포갠다. 또한, 루프재(20)의 일단부(20a) 근방 상면에 누르개(23)를 하강시켜 루프재(20)를 눌러붙여 제 2 봉제를 수행함으로써 제 1 바늘땀의 근방에 제 2 바늘땀을 형성한다. 제어수단(17)은 재봉기(2)가 루프재(20)의 일단부(20a) 근방을 누르개(23)에 의해 눌러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하는 봉제동작중에, 상기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끼움지지압력을 중간 압력값의 상태로 유지한다. 제 2 봉제중에도 제 1 봉제중일 때와 마찬가지로, 끼움지지수단(3)이 루프재(20)를 끼움지지하는 루프 끼움지지 위치는 변화한다.
계속해서, 제 2 봉제후 재봉기(2)는 다시 누르개(23)를 상승시킨 뒤에 루프재(20)의 타단부(20b)의 근방이 봉제위치에 위치하도록 루프재(20)가 재봉부착된 봉제물 본체(21)를 반송한다. 또한, 루프재 공급장치(1)의 제어수단(17)은, 끼움지지압력을 약 압력값이 되도록 제어한 후, 끼움지지수단(3)을 이동시켜 제 2 바늘땀을 덮도록 루프재(20)를 접어 젖혀 일단부(20a)를 Z자형으로 절곡한다. 이러한 이동중에도, 루프재(20)가 끼움지지수단(3)에 대하여 약간 미끄러짐에 따라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이동한다.
그리고, 제어수단(17)은 끼움지지수단(3)의 이동이 정지하기 직전에, 끼움지지수단(3)을 이동시키는 지령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끼움지지수단(3)의 끼움지지압력을 중간 압력값이 되도록 제어한 후, 끼움지지수단(3)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더욱이, 제어수단(17)은, 축방향으로 병렬배치된 한 쌍의 지지부(25a)를 구비한 포크부재(25)를 루프재(2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양 지지부(25a)가 루프재(20)의 양 평면에 위치하도록 루프재(20)를 끼우기 직전에 끼움지지압력이 기준 압력값이 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제어수단(17)은 끼움지지수단(3)의 끼움지지압력이 기준 압력값인 상태에서, 루프재(20)의 타단부가 U자형으로 절곡되도록 포크부재(25)를 회전시키며, 포크부재(25)의 회전이 종료되기 직전에 끼움지지수단(3)의 끼움지지압력을 약 압력값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루프재(20)는 끼움지지수단(3)에 대하여 미끄러져 끼움지지수단(3)으로부터 해방된다.
그리고, 재봉기(2)는 포크부재(25)를 루프재(20)의 타단부(20b)로부터 뽑아내고, 루프재(20)의 타단부(20b)를 누르개(23)에 의해 눌러 재봉부착함으로써,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하도록 되어 있다(제 3 봉제).
제 3 봉제동작중에 제어수단(17)은, 다음의 루프재(20)의 공급동작을 준비하기 위하여, 각 이동기구(16)의 구동에 따라 루프재(20)를 끼움지지하는 위치로 끼움지지수단(3)을 이동시킨다.
상기 기준 압력값, 약 압력값 및 중간 압력값은,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구해진 루프재(20)의 각 공급공정에 따른 최적의 압력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기억수단(18)에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17)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공급공정에 따라 기억수단(18)에 기억된 끼움지지압력에 의해 전공 레귤레이터(12)를 제어함으로써 에어실린더(9)에 대한 에어공급압력을 조정하여,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루프재(20)를 끼움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루프재 공급장치(1)는 제어수단(17)에 루프재 공급장치(1)의 각 부의 조작에 대한 지시를 입력하는 조작수단(27)을 가지며, 상기 조작수단(27)은, 조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28)과, 입력수단(29)을 구비한다. 그리고, 조작수단(27)은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기억수단(18)에 기억된 끼움지지압력을 변경하는 지시를 제어수단(17)에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더욱이, 루프재 공급장치(1)에는,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끼움지지되어 있는 루프재(20)의 두께치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30)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수단(17)은 검출수단(30)으로부터 입력된 루프재(20)의 두께치수를 고려하여, 기억수단(18)에 기억되어 있는 끼움지지압력을 보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끼움지지된 루프재(20)의 각 봉제부위를 재봉기(2)에서의 봉제위치로 공급하는 각 공급공정에 따라서, 제어수단(17)으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전공 레귤레이터(12 ;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에 끼움지지압력을 설정함으로써, 양 끼움지지부재(5,6)에 의한 끼움지지압력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각 공급공정에 있어서 최적의 끼움지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루프재 공급장치(1)는 재봉기(2)의 봉제동작중에,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재(20)의 끼움지지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탄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된 루프재(20)를 이용할 경우에, 루프재(20)가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끼움지지로부터 벗어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와 동시에,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루프재(20)를 끼움지지하면서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를 이동할 때, 루프재(20)가 끼움지지수단(3)에 대하여 미끄러지기 때문에, 루프재(20)가 봉제물 본체(21)를 잡아당겨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루프재(20)의 재봉부착중에 루프재(20)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의도한 위치에 루프재(20)를 확실하게 공급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상기 루프재 공급장치(1)에 의해 루프재(20)를 공급받는 재봉기(2)에 있어서는,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하였을 경우에 봉제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할 수가 있다.
또한, 루프재 공급장치(1)에서는,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적어도 이동이 가능한 상태와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제어수단(17)에 의한 끼움지지압력을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를 보다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루프재(20)의 재봉부착중에는 루프재(20)가 느슨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루프재 공급장치(1)는 제어수단(17)에 의해, 루프재(20)가 이동, 봉제될 때에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이동가능한 상태이며, 또한 끼움지지수단(3)에 대한 루프재(20)의 슬라이딩 속도 및 슬라이딩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끼움지지압력을 설정함으로써, 루프재(20)를 공급하는 각 공급공정에서 최적의 끼움지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를 보다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루프재(20)의 재봉부착중에는 루프재(20)를 확실히 끼움지지하여 루프재(20)가 느슨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포크부재(25)의 회전이 종료되기 직전의 끼움지지압력을, 양 지지부(25a)가 루프재(20)를 끼울 때의 끼움지지압력에 비해 약하게 함으로써, 루프재(20)를 끼움지지수단(3)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가 있다. 또, 양 지지부(25a)가 루프재(20)를 끼울 때의 끼움지지압력을, 포크부재(25)의 회전이 종료되기 직전의 끼움지지압력보다 강하게 함으로써, 루프재(20)의 재봉부착중에 루프재가 느슨해지거나 끼움지지수단(3)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로써, 루프재 공급장치(1)는 의도한 위치에 루프재(20)를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재봉기(2)는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한 경우에 봉제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할 수가 있다.
또한, 기억수단(18)에는, 루프재 공급장치(1)에 의한 루프재(20)의 각 공급공정에 따른 최적의 끼움지지압력이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루프재 공급장치(1)는 각 공급공정에 따라서, 기억수단(18)에 기억된 끼움지지압력에 따라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루프재(20)를 끼움지지함으로써, 각 공정에 최적인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루프재의 끼움지지조건을 제공할 수가 있다.
더욱이, 루프재 공급장치(1)에서는 조작수단(27)을 조작함으로써, 기억수단(18)에 기억된 끼움지지압력을 임의의 압력값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로써, 조작자는 예컨대 루프재(20)의 재질 등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끼움지지압력을 변경할 수가 있으므로,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를 보다 원활히 이동시켜 봉제물 본체(2)가 주름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루프재(20)의 재봉부착중에 루프재(20)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의도한 위치에 루프재(20)를 보다 확실하게 공급할 수가 있다.
또한, 루프재 공급장치(1)는,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끼움지지되는 루프재(20)의 두께치수를 검출수단(30)을 통해 검출하여, 기억수단(18)에 기억된 끼움지지압력을 검출된 두께치수를 고려하여 산출된 최적의 끼움지지압력으로 보정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루프재 공급장치(1)는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를 보다 원활히 이동시켜 봉제물 본체(21)가 딸려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루프재(20)의 재봉부착중에 루프재(20)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의도한 위치에 루프재(20)를 보다 확실하게 공급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루프재 공급장치(1)에서의 끼움지지수단(3)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움지지수단(3)은, 루프재(20)의 상면에 맞닿는 제 1 끼움지지부재(31)와, 루프재(20)의 하면에 맞닿는 제 2 끼움지지부재(32)에 의해 루프재(20)를 끼움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끼움지지부재(31)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31a)와, 지지부(31a)의 선단부에서 제 2 끼움지지부재(32)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가압부(31b)를 갖는다. 제 2 끼움지지부재(32)는, 제 1 가압부(31b)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가압부(32a)와, 제 2 가압부(32a)의 일단부로부터 지지부(31a)에 대향되어 뻗어 나오도록 형성된 프레임부(32b)와, 프레임부(32b)에 세워져 설치된 부착부(32c)를 구비한 측면형상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끼움지지부재(32)의 프레임부(32b)에서 제 1 끼움지지부재(31)의 지지부(31a)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2개의 지지축(33)이 지지부(31a)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제 1 끼움지지부재(31)의 지지부(31a)에서의 양 지지축(33)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양 지지축(33)이 관통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끼움지지부재(31)는 양 지지축(33)을 따라 제 2 끼움지지부재(3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끼움지지부재(31)에서의 지지부(31a)와 제 2 끼움지지부재(32)에 서의 프레임부(32b)의 사이에는 제 1 스프링(36)이 개재(介在)되어 있으며, 제 1 스프링(36)은, 제 1 끼움지지부재(31)의 제 1 가압부(31b)가 제 2 끼움지지부재(32)의 제 2 가압부(32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 1 끼움지지부재(31)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부착부(32c)에는, 제 1 끼움지지부재(31)를 제 2 끼움지지부재(3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스테핑모터(37)가 부착되어 있다. 스테핑모터(37)의 모터축(37a)에는, 제 1 끼움지지부재(31)의 상방에 제 2 스프링(38)을 통해 배치된 캠(39)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끼움지지수단(3)은, 제 2 스프링(38)이 캠(39)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자유길이상태일 때에는, 제 1 스프링(36)의 가압에 의해 제 1 가압부(31b)를 제 2 가압부(32a)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끼움지지수단(3)은, 스테핑모터(37)의 회전구동에 따라 캠(39)이 회전하며, 캠(39)에 의해 압축된 제 2 스프링(38)에 의해 가압되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끼움지지부재(31)는 제 1 스프링(36)의 가압에 대항하여 양 지지축(33)을 따라 제 2 끼움지지부재(32)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가압부(31b)가 제 2 가압부(32a)에 맞닿은 상태에서도, 스테핑모터(37)의 회전위상에 따라, 캠(39)이 제 2 스프링(38)을 압축하는 양이 변화하여, 제 1 가압부(31b)가 제 2 가압부(32a)를 가압하는 힘이 변화하기 때문에, 스테핑모터(37)의 회전위상을 제어함으로써,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재(20)에 대한 끼움지지압력을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제어수단(17)은 각 공급공정에 있어서, 끼움지지수단(3)의 끼움지지압력 을 변경하기 위해 스테핑모터(37)를 제어함으로써, 제 2 스프링(38)의 압축량을 조정하여 양 끼움지지부재(31,32)에 의한 끼움지지압력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어수단(17)은,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재(20)에 대한 끼움지지압력을,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이동하도록 끼움지지수단(3)을 이동시킬 때의 끼움지지수단(3)의 이동개시부터 이동정지 직전까지의 끼움지지압력이, 끼움지지수단(3)의 이동정지 직전부터 끼움지지수단(3)의 이동정지중일 때의 끼움지지압력에 비해 약해지도록 제어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끼움지지된 루프재(20)의 각 봉제부위를 재봉기(2)에서의 봉제위치로 공급하는 각 공급공정에 따라서, 제어수단(17)으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스테핑 모터(37)를 회전구동하고, 제 2 스프링(38)에 끼움지지압력을 설정함으로써, 양 끼움지지부재(31,32)에 의한 끼움지지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각 공급공정에 있어서 최적의 끼움지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루프재 공급장치(1)는 재봉기(2)의 봉제동작 중에,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재(20)의 끼움지지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탄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된 루프재(20)를 사용할 경우, 루프재(20)의 재봉부착중에 루프재(20)가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끼움지지를 벗어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루프재(20)를 끼움지지하면서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를 이동할 때, 루프재(20)가 끼움지지수단(3)에 대하여 미끄러지므로, 루프재(20)가 봉제물 본체(21)를 잡아당겨 주름 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루프재(20)의 재봉부착중에 루프재(20)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의도한 위치에 루프재(20)를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루프재 공급장치(1)에 의해 루프재(20)를 공급받는 재봉기(2)에서는,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하였을 경우에 봉제불량의 발생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 1 및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루프재 공급장치(1)는 에어 실린더(9)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압회로(1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압회로(11)는 전기신호에 따라 에어 실린더(9)에 공급되는 에어공급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복수의 감압밸브(41)를 갖는다. 각 감압밸브(41)는 필요한 에어공급압력의 설정 수와 동일한 수만큼 필요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준 압력값, 중간 압력값, 약 압력값이라는 3개의 에어공급압력의 설정 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3개의 감압밸브(41)를 구비하여, 제 1 감압밸브(41a(41))의 설정 압력값은 기준 압력값으로, 제 2 감압밸브(41b(41))의 설정 압력값은 중간 압력값으로, 제 3 감압밸브(41c(41))의 설정 압력값은 약 압력값으로 각각 고정하여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공압회로(11)는 실린더 로드(9b)의 이동방향을 선택하는 제 1 전자밸브(42a(42))를 가지며, 더욱이 제 1 감압밸브(41a)에 의해 기준 압력값의 에어를 제 1 전자밸브(42a)를 통해 에어 실린더(9)에 공급하는 제 2 전자밸브(42b)를 가지고, 제 2 감압밸브(41b) 또는 제 3 감압밸브(41c)에 의해 중간 압력값 또는 약 압력값의 에어를 제 1 전자밸브(42a)를 통해 에어 실린더(9)에 공급하는 제 3 전자밸브(42c)를 갖는다.
제어수단(17)은 제 2 전자밸브(42b) 또는 제 3 전자밸브(42c)에 대한 각 감압밸브(41)의 전환을 제어함으로써, 에어 실린더(9)에 대한 에어공급압력을 조정하여,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재(20)에 대한 끼움지지압력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어수단(17)은 제 2 전자밸브(42b)를 고압력의 제 1 감압밸브(41a)로 전환하여 제 1 전자밸브(42a)를 제어함으로써 실린더 로드(9b)를 실린더 본체(9a) 내부로 인입시키고,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기준 압력값에 따라 루프재(20)를 끼움지지한다. 또한, 제어수단(17)은 루프재(20)의 끼움지지 후에는, 더욱이 제 2 전자밸브(42b) 또는 제 3 전자밸브(42c)를 중간압력의 제 2 감압밸브(41b) 또는 저압력의 제 3 감압밸브(41c)로 전환하여 제 1 전자밸브(42a)를 제어함으로써, 끼움지지수단(3)의 끼움지지압력을 중간 압력값 또는 약 압력값으로 조정한다.
제 3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끼움지지된 루프재(20)의 각 봉제부위를 재봉기(2)에서의 봉제위치로 공급하는 각 공급공정에 따라서, 제어수단(17)으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각 감압밸브(41)에 의한 끼움지지압력을 전환함으로써, 양 끼움지지부재(5,6)에 의한 끼움지지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각 공급공정에서 최적의 끼움지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루프재 공급장치(1)는 재봉기(2)의 봉제동작 중에,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재(20)의 끼움지지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탄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된 루프재(20)를 사용할 경우, 루프재(20)의 재봉부착 중에 루프재(20)가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끼움지지를 벗어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루프재(20)를 끼움지지하면서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 끼움지지 위치를 이동할 때, 루프재(20)가 끼움지지수단(3)에 대하여 미끄러지므로, 루프재(20)가 봉제물 본체(21)를 잡아당겨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루프재(20)의 재봉부착 중에 있어서, 루프재(20)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의도한 위치에 루프재(20)를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루프재 공급장치(1)에 의해 루프재(20)를 공급받는 재봉기(2)에 있어서는,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하였을 경우의 봉제불량의 발생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공급공정에 따른 끼움지지압력으로서 기준 압력값, 약 압력값, 중간 압력값라는 3단계의 값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봉제물과 끼움지지부재의 미끄러짐 조건에 따라서는 끼움지지압력은 2단계로 설정하여도 무방한 경우가 있다.
이하에서는 끼움지지압력을 기준 압력값과 약 압력값의 2단계로 설정한 제 4 실시예를 나타낸다.
공압회로로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3 실시예의 공압회로 (11, 도 10)에서 감압밸브(41)와 전자밸브(42)를 각 1개씩 제거한 것을 이용한다. 제 1 감 압밸브(41a(41))의 설정 압력값은 기준 압력값으로, 제 2 감압밸브(41b(41))의 설정 압력값은 약 압력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제어수단(17)은 제 2 전자밸브(42b)의 전환을 제어함으로써, 에어 실린더(9)에 대한 에어공급압력을 조정하여,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재(20)에 대한 끼움지지압력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루프재 공급장치(1)에 의해 배경기술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일단부(20a)가 Z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타단부(20b)가 U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루프재(20)를 재봉기(2)의 봉제위치에 공급하여, 재봉기(2)에 의해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하는 경우를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도 11, 도 12(a)~(h), 도 14 참조).
우선, 루프재 공급장치(1)는 제어수단(17)에 있어서 각 이동기구(16)를 구동함으로써, 루프재(20)에서의 길이방향 일단부(20a)의 근방을 끼움지지한 상태의 끼움지지수단(3)을, 루프재(20)의 일단부(20a)가 재봉기의 봉제위치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이 때,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수단(17)은 제 2 전자밸브(42b)를 제어함으로써 에어 실린더(9)에 대한 에어공급압력을 조정하여,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루프재(20)에 대한 끼움지지압력을 기준 압력값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재봉기의 누르개(23)가 하강하여 루프재(20)의 일단부(20a)가 눌리면, 제어수단(17)은, 제 2 전자밸브(42b)를 제어함으로써 에어 실린더(9)에 대한 에어공급압력을 조정하여 끼움지지압력이 약 압력값이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끼움지지수단(3)에 의한 끼움지지압력이 약 압력값인 상태에서, 제어수단(17)은 끼움지지수단(3)을 일단부(20a)의 좌측 상방향(도 12(b)의 화살표 A방향) 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에 맞추어, 루프재(20)를 끼움지지수단(3)에 대하여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루프재(20)에서의 끼움지지수단(3)의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루프재(20)의 일단부(20a) 근방에서 타단부(20b) 근방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제어수단(17)의 지령에 기초한 재봉기 제어수단(19)의 제어에 따라, 재봉기(2)는 루프재(20)의 일단부(20a)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한다(제 1 봉제). 제 1 봉제중에 봉제물 본체(21) 및 누르개(23)는 바늘땀의 형성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끼움지지수단(3)에 의해 끼움지지되어 있는 루프재(20)는, 끼움지지압력이 약 압력값인 상태에서는 끼움지지수단(3)에 대하여 적당히 미끄러져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변화된다.
제 1 봉제 후, 누르개(23)가 상승하고, 루프재 공급장치(1)는 루프재(20)의 일단부(20a)보다 약간 루프재(20)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쪽인 일단부(20a)의 근방이 재봉기(2)의 봉제위치에 위치하도록, 루프재(20)가 재봉부착된 봉제물 본체(21)를 반송한다. 이어서, 루프재 공급장치(1)의 제어수단(17)은, 타단부(20b)를 끼움지지한 끼움지지수단(3)을, 제 1 봉제에 따른 바늘땀(제 1 바늘땀)을 넘어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루프재(20)는 제 1 바늘땀을 덮도록 접어 젖혀진다. 이와 같이 끼움지지수단(3)이 이동하는 동안, 루프재(20)는 끼움지지수단(3)에 대하여 약간 미끄러짐에 따라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타단부(20b)의 최단부로 이동한다.
또한, 제어수단(17)은, 끼움지지수단(3)을 하강시켜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포갠다. 더욱이, 루프재(20)의 일단부(20a) 근방의 상면에 누르개(23)를 하강시켜 루프재(20)를 가압하여 제 2 봉제를 수행함으로써, 제 1 바늘땀의 근방에 제 2 바늘땀을 형성한다. 제 2 봉제중에도 제 1 봉제중일 때와 마찬가지로 끼움지지수단(3)이 루프재(20)를 끼움지지하는 루프 끼움지지 위치는 변화된다.
이어서, 제 2 봉제 후, 재봉기(2)는 다시 누르개(23)를 상승시킨 후, 루프재(20)의 타단부(20b)의 근방이 봉제위치에 위치하도록 루프재(20)가 재봉부착된 봉제물 본체(21)를 반송한다. 제어수단(17)은, 끼움지지수단(3)을 이동시켜 제 2 바늘땀을 덮도록 루프재(20)를 접어 젖혀 일단부(20a)를 Z자 형상으로 절곡시킨다. 이와 같이 이동하는 동안에도, 루프재(20)가 끼움지지수단(3)에 대하여 약간 미끄러짐에 따라 루프 끼움지지 위치가 이동한다.
그리고, 제어수단(17)은, 끼움지지수단(3)의 이동이 정지하기 직전에, (끼움지지수단(3)을 이동시키는 지령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끼움지지수단(3)을 이동시키기 위한 지령(펄스)이 소정량 발생된 타이밍에서) 끼움지지수단(3)의 끼움지지압력을 기준 압력값이 되도록 제어한 후, 끼움지지수단(3)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더욱이, 제어수단(17)은, 축방향으로 병렬배치된 한 쌍의 지지부(25a)를 갖는 포크부재(25)를 루프재(2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양 지지부(25a)가 루프재(20)의 양 평면에 위치하도록 루프재(20)를 끼우기 직전에, 끼움지지압력이 기준 압력값이 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제어수단(17)은, 루프재(20)의 타단부(20b)가 U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포크부재(25)를 회전시킨다. 회전종료 직전에 약 압력값으로 함으로써, 루프재(20)는 끼움지지수단(3)에 대하여 미끄러져 끼움지지수단(3)으로부터 해방된다.
그리고, 재봉기(2)는, 포크부재(25)를 루프재(20)의 타단부(20b)로부터 빼내 고, 루프재(20)의 타단부(20b)를 누르개(23)에 의해 눌러 재봉부착함으로써, 루프재(20)를 봉제물 본체(21)에 재봉부착하도록 되어 있다(제 3 봉제).
더욱이, 본 실시양태에 따른 끼움지지압력의 제어 타이밍을, 타이머 대신에, 끼움지지수단(3)을 이동시키기 위한 펄스수를 카운트하여 그 수치에 따른 타이밍으로 제어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재 공급장치 및 상기 루프재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루프재를 봉제물 본체에 재봉부착하는 재봉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루프재 공급장치에서의 끼움지지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끼움지지수단의 양 끼움지지부재를 구동하는 공압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끼움지지수단에서의 양 끼움지지부재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루프재 공급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루프재 공급장치 및 재봉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루프재 공급장치의 각 공급공정에 있어서의 끼움지지압력을 나타낸 타임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재 공급장치에서의 끼움지지수단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끼움지지수단에서의 양 끼움지지부재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재 공급장치에서의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공압회로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공압회로도이다.
도 11은 루프재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루프재의 재봉부착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의 (a)∼(h)는 종래의 루프재 공급장치에서의 루프재의 각 공급공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양태에서의 끼움지지수단의 양 끼움지지부재를 구동하는 공압회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실시양태에서의 각 공급공정에 있어서의 끼움지지압력을 나타낸 타임 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루프재 공급장치 2 : 재봉기
3 : 끼움지지수단 5 : 제 1 끼움지지부재
5a : 지지부 5b : 가압부
5c : 부착부 5d : 보조부재
5e : 고정 나사 6 : 제 2 끼움지지부재
7 : 프레임 부재 9 : 에어 실린더
9a : 실린더 본체 9b : 실린더 로드
12 : 전공 레귤레이터(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 17 : 제어수단
18 : 기억수단 20 : 루프재
21 : 봉제물 본체 25 : 포크부재
27 : 조작수단 28 : 표시수단
29 : 입력수단 30 : 검출수단

Claims (10)

  1. 벨트 루프를 구성하는 루프재를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수단과,
    상기 루프재의 각 봉제부위를 봉제물 본체에 대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끼움지지수단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적어도 상기 끼움지지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구비한 벨트 루프를 재봉부착하는 재봉기의 루프재 공급장치로서,
    상기 끼움지지수단이 루프재를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압력을 변경시키는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벨트 루프를 재봉부착하는 재봉기에 루프재를 공급하는 각 공급공정에 따라서 상기 끼움지지압력을 변경시키도록 상기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재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은, 상기 끼움지지압력을, 상기 끼움지지수단이 상기 루프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압력과, 상기 끼움지지수단이 상기 루프재를 슬라이딩 불가능하게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재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은, 상기 끼움지지압력의 압력값을, 상기 끼움지지수단이 상기 루프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지지하는 약(弱)압력값과, 상기 끼움지지수단이 상기 루프재를 슬라이딩 불가능하게 끼움지지하는 기준 압력값과, 약 압력값과 기준 압력값 사이의 중간 압력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재 공급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더욱이, 상기 끼움지지수단에 대한 상기 루프재의 슬라이딩 속도 및 슬라이딩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끼움지지압력을 설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재 공급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지지부를 갖는 포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의해 상기 루프재의 단부를 끼움지지하고, 상기 포크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루프재의 단부를 절곡(折曲)하는 동시에 상기 단부를 상기 끼움지지수단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포크부재의 회전이 종료되기 직전에 있어서의 상기 끼움지지수단의 상기 끼움지지압력이, 상기 양 지지부가 상기 루프재를 끼울 때의 상기 끼움지지수단의 상기 끼움지지압력에 비해 약해지도록 상기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재 공급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공급공정에 따라 설정된 상기 끼움지지압력의 값이 기억된 기억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재 공급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끼움지지압력의 값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재 공급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지지수단에 의해 끼움지지되는 상기 루프재의 두께 치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끼움지지압력의 값을,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루프재의 두께 치수를 고려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재 공급장치.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은 전공(電空) 레귤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재 공급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지지압력 변경수단은, 설정압력이 고정된 복수의 감압밸브가 조립되어 있는 공압(空壓)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재 공급장치.
KR1020090072264A 2008-08-08 2009-08-06 루프재 공급장치 KR101553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05653 2008-08-08
JP2008205653A JP5410707B2 (ja) 2008-08-08 2008-08-08 ループ材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361A true KR20100019361A (ko) 2010-02-18
KR101553263B1 KR101553263B1 (ko) 2015-09-15

Family

ID=41656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264A KR101553263B1 (ko) 2008-08-08 2009-08-06 루프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10707B2 (ko)
KR (1) KR101553263B1 (ko)
CN (1) CN101643977B (ko)
IT (1) IT13952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1453B2 (ja) * 2008-12-01 2013-07-17 Juki株式会社 ループ材供給装置およびループ材供給装置の制御方法
JP5965645B2 (ja) * 2012-01-10 2016-08-10 Juki株式会社 ベルトループ縫い付け方法及びベルトループ付けミシン
CN106894172B (zh) * 2016-10-31 2021-01-12 张克强 一种缝纫机面料夹持装置
CN110042576B (zh) * 2019-05-19 2021-02-12 绵阳逢研科技有限公司 一种卷筒缝制设备及其控制方法
CN113279160B (zh) * 2021-05-29 2023-06-09 深圳市星火数控技术有限公司 一种多轴联动缝制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1247A (en) * 1973-09-07 1974-10-15 Haggar Co Semiautomatic belt loop sewing system
US4114544A (en) * 1976-04-20 1978-09-19 Miyachi Sewing Machine Co., Ltd. Apparatus for forming loops on a garment
JPS5444964A (en) * 1977-09-13 1979-04-09 Miyaji Mishin Kk Belt rung sewing machine
US4561366A (en) * 1984-03-13 1985-12-31 Volker Schmidt Apparatus for holding a cut segment of a selected length
JPH0642621Y2 (ja) * 1987-05-09 1994-1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バンドル−プ弛め装置
JP2684521B2 (ja) * 1994-08-19 1997-12-03 ハムス株式会社 ベルトループ縫付けミシンにおけるテープ折り曲げ端の形成維持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43977B (zh) 2013-03-06
KR101553263B1 (ko) 2015-09-15
IT1395270B1 (it) 2012-09-05
JP2010035982A (ja) 2010-02-18
JP5410707B2 (ja) 2014-02-05
CN101643977A (zh) 2010-02-10
ITTO20090621A1 (it) 2010-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9361A (ko) 루프재 공급장치
TW210365B (ko)
CN101187114B (zh) 曲线边缘缝制系统
EP2405046A2 (en) Embroidery fabric clamping unit for use with embroidery machine and embroidery machine comprising same
JP5885018B2 (ja) 二重環縫いの縫目のほつれ止め方法及び二重環縫いミシンの縫目のほつれ止め装置
CN111188131A (zh) 用于以经规划、测定和控制的方式形成接缝的缝纫机
JP5410719B2 (ja) ベルトループ縫いミシンの制御方法およびベルトループ縫いミシン
JP2007195806A (ja) 自動玉縁縫いミシン
JP4235435B2 (ja)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CN105986369B (zh) 带环材料的缝合方法以及带环缝制缝纫机
CN101525815B (zh) 纽扣孔锁边缝纫机
JP2009285266A (ja) ミシン
CN105714481A (zh) 卷边缝纫机
JP2000342873A (ja) ベルトループ縫付けミシン
JP5519137B2 (ja) ベルトループ縫いミシンの制御装置およびベルトループ縫いミシンの制御方法
JP5468234B2 (ja) ループ材供給装置
KR100496465B1 (ko) 벨트루프공급장치
JP5253948B2 (ja) ベルトループ縫いミシンの制御方法およびベルトループ縫いミシン
JP2013141481A (ja) ベルトループ縫い付け方法及びベルトループ付けミシン
JP2000262787A (ja) ベルトループ供給装置
JP5410890B2 (ja) テープ材の繰り出し長さの補正方法
JP6242246B2 (ja) ループ片供給装置
JP2005288169A (ja) 目穴型ボタン穴ミシン
JP2008029591A (ja) ミシン
CN110714280A (zh) 缝纫机的面料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