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305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305A
KR20100019305A KR1020090012668A KR20090012668A KR20100019305A KR 20100019305 A KR20100019305 A KR 20100019305A KR 1020090012668 A KR1020090012668 A KR 1020090012668A KR 20090012668 A KR20090012668 A KR 20090012668A KR 20100019305 A KR20100019305 A KR 20100019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frigerator
takeout
guide memb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435B1 (ko
Inventor
고오헤이 스스끼노
마사노부 이시즈까
아이지 이오까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인출 용기를 인출하여 하방으로 경사시킬 때에 급격하게 하강하지 않고, 또한 수납물의 취출이 용이한 인출 용기를 구비한 냉장고를 얻는 것이다.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저장실을 갖고, 이들 저장실의 최상부의 저장실 내의 상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인출 용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인출 용기를 전방으로의 인출에 따라서 당해 인출 용기의 전방측이 서서히 낮아지도록 지지하는 제1 인출 안내 부재와, 상기 제1 인출 안내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인출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인출 안내 부재는 고내의 상부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고, 상기 인출 용기는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장고, 인출 용기, 저장실, 인출 안내 부재, 결합부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냉장고의 높이를 가능한 한 높게 하는 동시에 냉장고의 깊이를 증대시켜, 냉장고 내의 수납 공간을 증대시킨 대형 냉장고를 구입하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형 냉장고는, 최상부의 저장실 내의 상부에 수납한 식품을 취출하는 작업이나 그 상부의 안쪽 부분의 청소를 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185420호 공보(특허 문헌 1)나 일본 등록 실용 제3012502호(특허 문헌 2)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인출 용기의 전방측 또는 서랍의 전방측이 하방으로 경사져, 저장실 내에 수납한 식품의 확인이나 취출 작업을 용이하게 한 냉장고 혹은 서랍 및 그것을 이용한 수납 가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에는, 냉장실의 수납 선반 상에 상기 인출 용기를 적재하고, 지지구의 롤러를 인출 용기의 측면 단부에 설치한 플랜지부의 삽입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롤러로 상기 플랜지부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상기 인출 용기를 상기 냉장실의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출납할 수 있는 동시에, 상 기 인출 용기를 상기 냉장실의 전방면으로 인출하였을 때, 상기 지지구가 회전하여 상기 인출 용기의 전방면측이 하방으로 경사져, 수납 식품의 출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에는, 가구 본체의 상부에 설치하는 서랍을, 그 측판에 설치한 슬라이드 레일부를 가구 본체 내면에 설치한 슬라이드 레일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여 가구 본체의 내부에 수평으로 수납하고, 가구 본체 내면의 전방부에 서랍측 슬라이드 레일부에 결합하는 롤러를 설치하고, 서랍을 가구 본체로부터 인출하면 서랍측 슬라이드 레일부가 가구 본체측 슬라이드 레일부로부터 빠져 서랍이 롤러를 지지점으로 하여 전방 하향으로 경동(傾動)하고, 서랍 후방부에 설치한 접촉 정지부(contact stopper)가 가구 본체의 적소에 걸려 서랍을 전방 하향으로 경동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서랍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볼 수 있는 가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18542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등록 실용 제3012502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 및 2는, 인출 용기를 인출하여 하방으로 경사시킬 때에 천천히 하강하도록 손으로 보조하지 않으면, 인출 용기가 급격하게 하강하여 충격에 의해 수납 식품의 비산이나 낙하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중량물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는, 급격한 하강의 충격에 의해 인출 용기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인출 용기를 편측에서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플라스틱 등의 가공이 용이하고 저렴한 재질로는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출 용기를 인출하여 하방으로 경사시킬 때에 급격하게 하강하지 않고, 또한 수납물의 취출이 용이한 인출 용기를 구비한 냉장고를 얻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 방향에 배치된 복수의 저장실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저장실의 최상부의 저장실 내의 상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인출 용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인출 용기를 전방으로의 인출에 따라서 당해 인출 용기의 전방측이 서서히 낮아지도록 지지하는 제1 인출 안내 부재와, 상기 제1 인출 안내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인출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 용기는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인출 안내 부재는 상기 최상부의 저장실 내의 상부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구획 겸용 안내 부재이며, 상기 구획 겸용 안내 부재의 전방측의 상부는 하부보다도 깊이 방향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출 용기의 상기 결합부는 측면에 설치된 레일부와 보스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를 연결하는 지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가 레일부와 보스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의 레일부는 상기 인출 용기의 보스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의 보스부는 상기 인출 용기의 레일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의 레일부는 후방을 향해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의 각각의 상기 보스부의 전방 및 후방을 덮도록 완충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에 미끄럼 이동성과 마찰성을 갖는 미끄럼 이동 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인출 용기와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출 용기가 앞쪽으로 인출되어 경사졌을 때, 상기 인출 용기의 취출부가 인접한 선반과 대략 수평인 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출 용기의 레일 전방부 하단부에, 상기 인출 용기와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의 상기 보스부 혹은 상기 완충 부재와의 결합을, 상기 인출 용기를 앞쪽으로 당긴 후 상방으로 올려 해제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의 상기 레일부 후단부에 형성된 레일 후단부 개구와, 상기 인출 용기의 후방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출 용기를 냉장실의 안쪽 방향으로 밀어 넣은 후 상기 인출 용기의 후단부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상기 레일 후단부 개구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보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출 용기의 전방측부에는 탄성체의 과대 부하 방지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출 용기를 인출하여 하방으로 경사시킬 때에 급격하게 하강하지 않고, 또한 수납물의 취출이 용이한 인출 용기를 구비한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냉장고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의 냉장고 전체에 관하여, 도 1, 도 2,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냉장실 최상부 공간에 인출 용기를 설치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냉장실 최상부 공간에 인출 용기를 설치한 정면도이다.
냉장고 본체(1)의 전방면에는 냉장실(2), 보습 냉동실(3), 냉동실(5), 야채실(6)의 전방면 개구부를 폐색하는 냉장실 도어(2a 내지 6a)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 도어(2a, 2b)는 냉장실(2)의 전방면 개구부를 폐쇄하는 도어, 보습 냉동실(3) 의 도어는 보습 냉동실(3)의 전방면 개구부를 폐쇄하는 도어, 냉동실 도어(5a)는 냉동실(5)의 전방면 개구부를 폐쇄하는 도어, 야채실 도어(6a)는 야채실(6)의 전방면 개구부를 폐쇄하는 도어이다. 냉장실 도어(2a, 2b)는, 좌우의 도어가 양단부의 힌지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개방되는 양문형 도어로 구성되어 있다. 보습 냉동실(3)의 도어, 냉동실 도어(5a), 야채실 도어(6a)는 인출식 도어에 의해 구성되고, 인출 도어와 함께 저장실 내의 인출 용기가 인출된다.
냉장실(2) 내부에는, 식품을 적재하기 위한 선반(11)과, 이 선반(11)의 지지용으로 냉장실(2) 내부의 측면의 벽에 지지부(12)를 갖고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a, 2b)에는 조미료나 음료수 등의 병을 수납하는 도어 포켓(14)이 도어 내판(2c)에 장착되어, 냉장실(2)의 내부 공간에 대향하는 위치에 크게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냉장실(2) 내부에 설치된 선반(11)을 제거하여 클리닝하는 경우는, 냉장실(2)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도어 포켓(14)에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냉장실 도어(2a, 2b)를 크게 개방하고, 예를 들어 개방 각도를 120도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냉장고 본체(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제의 외부 상자와 수지제의 내부 상자 사이에 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도시 생략)를 갖고 구성되고, 상부로부터 냉장실(2), 보습 냉동실(3), 제빙실(4), 냉동실(5), 야채실(6)의 순으로 복수의 저장실을 갖고 있다. 상기 냉장실(2) 내의 최상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인출 안내 부재[이하, 안내 부재(13)라 함]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이하, 구획 겸용 안내 부재(7)라 함]와 인출 용기(15)를 구비하고 있 다. 구획 겸용 안내 부재(7)는 고내의 최상부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여, 그 좌측에 인출 용기(15)를 인출 가능하게 안내 부재(13)와 함께 지지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 인출 용기(15)의 전방면측 상부에는, 탄성 변형하는 과대 부하 방지 부재(16)가 구비되어 있다. 이 과대 부하 방지 부재(16)는, 예를 들어 직경 3㎜의 스테인리스 선 등의 탄성 변형하는 부재로 만들어져 있다. 이것은, 이용자가 인출 용기(15)에 손을 건 상태에서 용기의 내부를 잘 보고자 하여 인출 용기(15)에 대해 하방으로 끌어내리는 힘을 가한 경우, 인출 용기(15)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즉, 인출 용기(15)를 인출한 상태에서 용기 내부를 볼 수 없는 신장의 이용자가, 큰 힘을 가하여 발돋움을 보조하는 행동을 하면, 용기가 파손 혹은 냉장고 본체의 장착부가 파손될 우려가 고려된다. 그래서,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 변형하는 과대 부하 방지 부재(16)를 설치하면, 예를 들어 직경 3㎜의 스테인리스 선이 약간의 힘으로 탄성 변형하므로, 그 이상 큰 힘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장고 본체(1)의 천장면에는 조명 수단(17)이 설치되어, 최상단의 공간의 식품을 보기 쉽게 하고 있다. 지지 부재(18)는 상기 인출 용기(15)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적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본체의 최상단의 선반, 특히 선반의 안쪽은 사용하기 어려운 데드 스페이스로 되어 있다. 상기 선반 중, 냉장실의 상부 공간에 구비된 선반은, 선반의 높이 위치가 높다. 즉, 최근의 주류의 냉장고는, 고내 용적이 400리터 이상이며, 냉장고 전체의 높이 치수는 약 180㎝, 냉장실의 고내 최상부의 높이 위치는 약 175㎝, 고내 최상부에 배치된 선반의 높이 위치는 155㎝ 전후이다. 이 높이 위치 155㎝ 전후의 선반의 상면에 적재된 식품, 예를 들어 높이 치수 10㎝ 내지 15㎝인 식품을 적재하면, 눈의 높이가 165㎝ 내지 170㎝, 즉 신장 180㎝ 정도인 사람이 아니면, 선반의 전방부에 적재된 식품이 전방면을 막아 버려, 안쪽에 수납된 식품이 보이지 않게 된다. 단, 발돋움을 하여 선반의 안쪽을 보면, 신장 170㎝ 정도인 사람이라도 선반의 안쪽에 수납된 식품을 간신히 볼 수 있다.
그러나 신장이 작은 사람의 눈의 높이(예를 들어, 신장 155㎝인 사람의 눈의 높이 위치는 145㎝ 정도)는, 고내 최상부에 배치된 선반의 높이 위치 155㎝ 전후보다도 낮아, 발돋움을 하여 시선 높이 위치가 동일 정도로 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선반의 상면에 높이 치수 10㎝ 내지 15㎝인 식품을 적재하면, 식품 상면의 높이 위치는 165㎝ 내지 170㎝가 되므로, 선반의 전방부에 적재된 식품이 안쪽에 수납한 식품을 가려 버려 발돋움을 해도 보이지 않는다.
게다가, 선반 위의 전방부에, 예를 들어 높이 치수가 17.5㎝인 500㏄ 캔 음료를 적재한 경우는, 냉장실의 고내 상면 벽과의 사이에 2.5㎝ 전후의 작은 공간밖에 남아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신장이 180㎝인 사람이라도, 안쪽부에 어떠한 식품이 수납되어 있는지는 실질적으로 거의 확인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선반의 안쪽에 수납된 식품을 보기 어려워, 유효 기한을 경과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것도 고려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의 상세를, 도 4 내지 도 13에 의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인출 용기(15)의 인출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인출 용기(15) 및 그 지지 안내 기구의 인출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인출 용기(15), 구획 겸용 안내 부재(7) 및 안내 부재(13)의 상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안내 부재(13)와 완충 부재(2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인출 용기(15)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인출 용기(15)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인출 용기(15)를 인출한 상태의 하단의 선반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인출 용기(15)의 높이 위치를 크게 상승시키지 않고 냉장고 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인출 용기(15)의 높이 위치를 크게 상승시켜 도어 포켓(14)을 피하도록 크게 경사시켜 냉장고 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어 포켓(14)을 피하도록 구획 겸용 안내 부재(7)의 오목부(7a)측으로 수평 회전시켜 냉장고 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도 5,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인출 용기(15)를 안쪽으로 인출함으로써, 인출에 따라서 인출 용기(15)의 전방면측이 서서히 비스듬히 하방으로 하강해 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냉장실 내의 안쪽에 수납된 식품을 앞쪽의 식품이 가리는 것을 억제하여 보기 쉬운 상태로 할 수 있는 동시에, 급격한 하강이 없으므로 수납 식품이 쓰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인출 용기의 전방면측이 서서히 비스듬히 하방으로 하강해 오도록 함으로써, 앞쪽의 식품을 취출하기 쉬워지는 것은 물론, 앞쪽의 식품이 안쪽 식품의 취출에 방해가 되기 어렵고, 혹은 안쪽의 식품이 냉장실의 전방면까지 인출되므로 인출 용기(15)의 측방 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상기 경사 각도는, 보기 쉽고, 취출하기 쉽고, 식품이 쓰러지기 어려운 것 등으로부터, 약 12도 전후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경사 각도는, 도시한 구획 부재(21)의 높이 치수 및 간격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15도 내지 20도로 하여 보다 보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인출 용기(15)의 안쪽의 부분이 구획 겸용 안내 부재(7)의 선단부 부근까지 인출되기 쉽게 하도록, 구획 겸용 안내 부재(7)의 레일부(7c) 전방측의 상방 부분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획 겸용 안내 부재(7)의 전방면 상부를 전방면 하부보다도 깊이 방향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7a)를 형성하였다. 이 오목부(7a)를 형성함으로써, 도 4의 (b),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 용기(15)의 후단부의 측면이 노출되어 보인다. 이에 의해, 오목부(7a) 전방의 공간으로부터 인출 용기(15) 후단부의 식품을 직접 보고, 인출 용기(15)의 측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출 용기(15)는 탄성 변형하는 과대 부하 방지 부재(16)를 설치하여, 약간의 힘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한 것으로, 그 이상 큰 힘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에 부가하여, 도 5, 도 6, 도 8, 도 10에 도시한 인출 용기(15)의 전방면 상단부는, 다른 부분의 두께 치수에 대해 두께를 얇게 한 전방면 상단부 박육부(15b)로 되어 있다. 이것은, 인출 용기(15)를 떼어내어 청소할 때에, 과대 부하 방지 부재(16)를 떼어내어 과대 부하 방지 부재(16)를 분실한 경우라도, 상기 전방면 상단부 박육부(15b)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과대 부하 방지 부 재(16)와 동일한 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 단, 지나치게 얇게 하면 통상 사용시에 파손되기 쉬우므로, 예를 들어 전방면 상단부 박육부(15b)를 20㎏ 정도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1.5㎜의 두께로 하였다. 이 경우의 인출 용기(15)는, 재질이 고강도의 폴리스티렌이며, 전방면 상단부 박육부(15b) 이외의 부분의 두께는 3㎜이고, 전방면 상단부 박육부(15b)의 높이 치수가 20㎜이다. 전방면 상단부 박육부(15b)의 두께, 높이 치수는, 재질이나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다.
인출 용기(15)는 냉장실(2)의 내부의 최상단의 지지 부재(18) 상에, 미끄럼 이동하여 인출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인출 용기(15)는 인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인출 용기(15)가 냉장실(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인출 용기(15) 아래에는 식품 등이 저장되어 있다. 이 인출 용기(15)는, 전방으로의 인출에 따라서 당해 인출 용기의 전방측이 서서히 낮아지도록 하방으로 경사진다.
이 전방으로의 인출에 따라서 인출 용기의 전방측이 서서히 낮아지는 것은, 상기와 같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인출 용기(15)와 인출 용기(15)를 지지 및 인출시에 안내하는 지지 안내 기구의 레일부(7c, 13a, 15a)와 보스부(7b, 13b, 15c)에서 행하고 있다. 즉, 냉장실 내의 좌측의 벽면에 장착하는 안내 부재(13)와, 고내의 최상부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구획 겸용 안내 부재(7), 그리고 인출 용기(15)의 각각에 레일부(7c, 13a, 15a)와 보스부(7b, 13b, 15c)를 설치하고, 이들을 설치하는 위치 관계 및 형상에 의해, 인출에 따라서 인출 용기의 전방측이 서서히 낮게 경사지도록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조합하였다.
즉, 레일부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부(7c, 13a)의 약 절반의 수평인 전방 부분으로부터 후방 부분이 하방으로 경사져 있고, 이 레일부(7c, 13a)에 인출 용기(15)의 보스부(15c)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인출 용기(15)가 인출되어 있지 않은 도 5의 (a)의 상태에서는, 레일부(7c, 13a)의 경사진 후단부의 가장 낮은 부분에 보스부(15c)가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서서히 인출 용기(15)를 인출해 가면, 레일부(7c, 13a)의 경사가 서서히 높은 위치로 보스부(15c)가 이동한다. 이 보스부(15c)의 이동과 함께, 인출 용기(15)의 전방 부분이 레일 전단부 개구(7d, 13c)의 레일부(7c, 13a) 하측의 곡면을 따라, 인출 용기(15)의 전방 부분이 하방으로 서서히 내려가 인출 용기(15)가 경사진다. 레일 후단부 개구(7e, 13e) 및 레일 전방부 하단부 개구(15e)는 인출 용기(15)의 여러 가지의 분리 방법의 하나로 필요해진다. 추후에,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완충 부재(20)는, 인출 용기(15)가 인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부(15a)의 전단부에 결합하여 그 이상 안쪽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a)의 상태에서는 점선으로 나타내는 레일부(13a)가 보스부(15c)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 레일 후단부 개구(13e)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인출한 상태에서는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부(15a)의 후단부에 결합하여 그 이상 인출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지지 부재(18)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지지 부재 장착부(7f, 13d)에 장착 되어 있고, 인출 용기(15)를 적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인출에 따라서 인출 용기(15)의 전방면측이 서서히 비스듬히 하방으로 하강해 가도록 함으로써, 하강시에 손으로 보조하지 않아도 인출 용기가 급격하게 하강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충격에 의해 수납 식품의 비산이나 낙하의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라도, 급격한 하강의 충격이 없으므로 인출 용기(1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급격한 하강의 충격에 대응한 강도로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고가의 재료 혹은 두께를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인출 용기(15)의 폭 치수를, 냉장실 도어(2a)의 폭 치수 이하로 하였다. 이에 의해, 인출하였을 때에, 인출 용기(15)의 안쪽에 수납된 식품이라도 인출 용기(15)의 측방으로부터 손을 넣어 취출할 수 있으므로, 식품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게다가 인출 용기(1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냉장실 도어(2b)를 폐쇄한 상태라도, 인출 용기(15)를 인출하여 식품을 취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기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어 전력 절약으로 이어진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 부재(13) 및 구획 겸용 안내 부재(7)의 각각의 보스부의 전방 및 후방을 덮도록 실리콘 고무제의 완충 부재를 장착하였다. 이와 같이 안내 부재(13)의 보스부(13b) 및 구획 겸용 안내 부재(7)의 보스부(7b)에 완충 부재(20)를 장착함으로써, 인출시 및 수납시 모두 충격과 충돌음의 완충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출 용기(15) 내에 제거 가능한 구획 부재(21)를 설치하였다. 구획 부재(21)의 장착 부위를 복수 부위 설치하여, 인출 조작시의 수납 식품의 쓰러짐 방지 및 정리성을 향상시켰다. 구획 부재(21)에 의해, 수납 식품에 따라서 인출 용기(15) 내를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다.
구획 부재(21)는 구획 부재 장착 리브(15d)에 구획 부재 삽입부(21a)를 슬라이드 삽입함으로써 장착하기 용이하게 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출 용기(15)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안내 부재(13)의 보스부(13b)와 구획 겸용 안내 부재(7)의 보스부(7b)를 연결 고정하는 지지 부재(18)를 설치하여, 레일부(15a)와 구획 겸용 안내 부재(7) 사이의 간격 치수를 고정하였다. 이에 의해, 인접한 공간에 선반이 없는 경우에, 인출 용기(15) 내에 수납 식품을 수납하여 부하가 커져 구획 겸용 안내 부재(7)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인출 용기(15)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인접한 선반의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인출 용기가 없는 경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부재(18)의 상면에 미끄럼 이동성과 마찰성을 갖는 미끄럼 이동 부재(19)를 설치하고, 인출 용기와 결합시킴으로써, 미끄럼 이동 부재(19)의 마찰성에 의해 미끄럼 이동 속도를 느리게 한다. 이에 부가하여, 개폐 단부에 있어서 완충 부재(20)의 완충 작용에 의해 충격을 완충시킨다. 상기 미끄럼 이동 부재(19)는 미끄럼 이동성과 마찰성 및 내마모성을 고려하여 우레탄 고무를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 미끄럼 이동 부재(19)의 미끄럼 이동성은, 수납 식품의 중량에 의한 인출 용기(15)의 휨량이 클수록 큰 힘으로 접하므로, 중량에 대응하여 미끄럼 이동성이 변한다. 이와 같이, 인출 용기에 수납하는 수납 식품의 중량에 의해 인 출 용기는 휘어져 버린다. 이것을 이용하여, 인출 용기에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은 상태 및 가벼운 것뿐인 경우, 인출 용기는 휘지 않으므로 미끄럼 이동 부재(19)와 그다지 간섭하지 않아 미끄럼 이동 부하가 가볍다. 그러나 무거운 것을 수납하면 인출 용기(15)가 휘므로, 미끄럼 이동 부재(19)와 간섭하여 미끄럼 이동이 무거워진다. 인출 용기(15)에 무거운 것이 수납될수록 인출 용기(15)가 휘고, 미끄럼 이동 부재(19)와의 간섭이 커지므로 미끄럼 이동 부하가 보다 커진다. 이에 의해, 미끄럼 이동 속도를 느리게 하여 충격을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이동 부재(19)에 적재되는 인출 용기(15)는 그 저면에 리브(23)를 복수개 갖는다. 이 리브(23)의 후단부에는, 도 9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출 용기(15)를 완전히 인출한 상태에서 접촉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돌출 접점부(23a)를 갖는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출 용기가 앞쪽으로 경사졌을 때, 인출 용기의 취출부가, 도 10의 (a)의 점선 L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한 선반과 거의 수평인 높이 위치가 되도록 경사(각도 12도)시킴으로써 취출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그와 동시에, 인출 용기(15)의 하방의 선반의 수납 영역(S)의 전단부 상부의 코너에 완충하지 않을 정도로 경사져 있어, 인출 용기(15)를 인출한 상태에서도 하방의 선반의 수납 식품의 취출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 중심이 하방의 선반의 수납 영역의 상방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출하였을 때에는 선반의 수납 영역에 간섭하지 않으므로 식품 등에 접촉하는 일도 없다. 상기 경사 각도를 12도로 설정한 것에서는, 도 10의 (b)에 도시하는 인출 용기(15)의 전단부 높이의 차 H는 약 50㎜이고, 후단부의 높이의 차는 약 30㎜이다. 따라서, 인출하였을 때에는, 높이 방향으로 약 80㎜의 차가 생기므로, 전단부의 식품으로부터 후단부의 식품까지 용이하게 볼 수 있다. 이때, 냉장고로부터 50㎝ 정도는 떨어져 서는 것이 보통이며, 이 경우는 눈의 높이가 인출 용기(15)의 전단부의 높이보다도 약간 낮은 사람이라도 식품을 볼 수 있다.
인출 용기(15)를 냉장고 본체(1)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을, 도 11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도어의 개방 각도가 충분하고(실시예에서는 120도 이상), 도어 포켓(14)이 인출 용기(15)의 인출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상태에서 취출하는 경우의 도면이다. 또한, 도 11의 (a)의 상태에서는, 도 5의 (a)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레일부(13a)가 위치하고 있어, 레일 후단부 개구(13e)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11은 도어 포켓(14)이 인출 용기(15)의 인출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상태에서 취출할 수 있으므로, 물건을 넣은 채로 인출 용기(15)를 취출하기 쉽도록 하고 있다. 즉, 도 11의 (a)의 상태의 인출 용기(15)를, 도 11의 (b)의 백색 화살표와 같이 앞쪽으로 약간 당긴 후 상방으로 약간 올려 레일 전방부 하단부 개구(15e)에 의해 완충 부재(20)를 레일부(15a)로부터 뺀다. 이 상태에서 도 11의 (c)의 백색 화살표와 같이 전방으로 당기면, 레일부(13a)의 레일 전단부 개구(13c)로부터 보스부(15c)가 빠져, 인출 용기(15)를 냉장고 본체(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출 용기(15)의 레일부(15a)의 전방부 하단부에, 이 인출 용기(15)와 안내 부재(13), 구획 겸용 안내 부재(7)(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의 보스부(13b, 7b) 혹은 완충 부재(20)와의 결합을, 인출 용기(15)를 앞쪽으로 당긴 후 상방으로 올려 해제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므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냉장실 도어(2a)의 개방 각도에 제한이 있어 개방 각도가 불충분한 경우라도 취출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도어 포켓(14)이 인출 용기(15)의 인출 방향으로 겹쳐 있어도 분리시킬 수 있는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11의 (b)의 상태로부터 도 12의 (a)의 백색 화살표와 같이 냉장실의 안쪽 방향으로 밀어 넣고, 이 밀어 넣은 상태로부터 도 12의 (b)의 인출 용기(15)의 후단부를 백색 화살표와 같이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이것으로, 인출 용기(15)는 다른 부재와 모두 결합하는 부분이 없어진다. 이 상태로부터 도 12의 (c)의 백색 화살표와 같이 인출 용기(15)를 앞쪽으로 당기면서 도어 포켓(14)에 접촉하지 않도록 전단부를 하방으로 내리는 것과 같이 당긴다. 이에 의해, 인출 용기(15)를 냉장고 본체(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도 12의 (b)의 인출 용기(15)의 후단부를 백색 화살표와 같이 상방으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보스부(15c)의 직경을 레일 후단부 개구(13e)의 개구 치수보다 작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안내 부재(13), 구획 겸용 안내 부재(7)(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의 레일부 후단부에 형성된 레일 후단부 개구(13e, 7e)와, 인출 용기(15)의 후방부에 형성되고, 인출 용기(15)를 냉장실의 안쪽 방향으로 밀어 넣고, 이 상태에서 인출 용기(15)의 후단부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상기 레일 후단부 개구(13e, 7e)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보스부(15c)를 가지므로, 부주의하게 레일 후단부 개구(13e, 7e)와 보스부(15c)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일은 없으며,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용이하게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3은 도어를 90도의 각도로 개방한 상태에서, 물건을 넣은 채로 인출 용기를 취출하기 위한 방법이며, 도 12의 (b)의 상태로부터 도 13의 (a)와 같이 구획 겸용 안내 부재(7)의 오목부(7a)의 공간으로 들어가도록 인출 용기(15)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도 13의 (b)의 평면도로 설명하면 백색 화살표와 같이 인출 용기(15)를 앞쪽으로 인출하면서 도어 포켓(14)에 접촉하지 않도록 전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인출 용기(15)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냉장고 본체(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출 용기(15)에 식품을 수납한 채로, 또한 식품을 쓰러뜨리지 않고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인출 용기(15)는 전방으로의 인출에 따라서 당해 인출 용기(15)의 전방측이 용기의 인출에 따라서 서서히 낮게 내려가도록 하였다. 앞쪽이 낮게 내려간 상태로 경사져 지지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수납 공간의 감소를 초래하지 않고, 안쪽에 수납된 식품을 볼 수 있다. 게다가, 식품을 취출하는 작업이나 인출 용기(15)의 안쪽 부분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인출 용기(15)의 안쪽 부분이 구획 겸용 안내 부재(7)의 선단부 부근까지 인출되기 쉽게 하도록, 구획 겸용 안내 부재(7)의 레일부(7c) 전방측의 상방 부분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공간은, 구획 겸용 안내 부재(7)의 전방면 상부가 전방면 하부보다도 깊이 방향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7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부(7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출 용기(15)의 안쪽 부분을 구획 겸용 안내 부재(7)의 선단부 부근까지 인출할 수 있어, 안쪽의 식 품을 인출 용기(15) 측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인출 용기(15)의 앞쪽이 낮게 내려간 상태로 경사져 지지되므로, 신장이 작은 사람이라도 사용하기 쉽다. 또한, 앞쪽의 식품을 일시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안쪽의 물건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오염되기 쉬운 저면이 보기 쉽고 또한 손이 닿기 쉬워지고 혹은 분리시키기 용이해진 것에 의해, 최상단의 수납 용기의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앞쪽으로 인출함으로써 비스듬히 하강해 오는 인출 용기로 하여, 안쪽의 식품을 앞쪽으로 인출함으로써 앞쪽의 식품은 물론, 안쪽의 식품도 경사진 상태로 앞쪽의 위치까지 나오므로 보기 쉽고 또한 취출하기 쉽다.
또한, 상기 레일부 및 구획 겸용 안내 부재(7)의 보스부의 전방 및 후방을 덮도록 실리콘 고무제의 완충 부재(20)를 장착한 것에 의해, 전후를 덮음으로써 인출시 및 수납시 모두 충격과 충돌음의 완충·완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인출 용기 내에 제거 가능한 구획판을 설치하고, 또한 설치 부위를 복수 부위 마련하여 정리하기 쉽게 하였다. 이에 의해, 수납 식품에 의해 인출 용기 내를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으므로, 식품 수납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출 용기(15)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안내 부재(13)와 구획 겸용 안내 부재(7)를 연결하는 지지 부재(18)를 설치하여, 레일부(15)와 구획 겸용 안내 부재(7) 사이의 치수를 고정하였다.
이에 의해, 인접한 선반이 없는 경우에, 인출 용기 내에 중량이 큰 식품을 수납함으로써 구획 겸용 안내 부재(7)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여, 인출 용기(15)의 낙하를 방지한다. 인접한 선반의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인출 용기(15)가 없는 경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18)에 내마모성이 높고, 적절한 미끄럼 이동성을 갖는 미끄럼 이동 부재(19)를 설치하여 인출 용기와 결합시킴으로써, 미끄럼 이동 부재(19)에 의한 적절한 미끄럼 이동성에 의해 느리게 미끄럼 이동하므로 충격을 완충시킨다.
또한, 상기 미끄럼 이동 부재(19)의 미끄럼 이동성은, 수납 식품의 중량에 의한 인출 용기(15)의 휨량이 클수록 큰 힘으로 접하므로, 중량에 대응하여 미끄럼 이동성이 변한다. 이와 같이, 인출 용기에 수납하는 수납 식품의 중량에 의해, 인출 용기는 휘어져 버린다. 이것을 이용하여, 인출 용기(15)에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은 상태 및 가벼운 것뿐인 경우, 인출 용기(15)는 휘지 않으므로 미끄럼 이동 부재(19)와 그다지 간섭하지 않아 미끄럼 이동 부하가 가볍다. 그러나 무거운 것을 수납하면 인출 용기(15)가 휘기 때문에, 미끄럼 이동 부재(19)와 간섭하므로 미끄럼 이동이 무거워진다. 인출 용기(15)에 무거운 것이 수납될수록 인출 용기(15)가 휘어, 미끄럼 이동 부재(19)와의 간섭이 커지므로 미끄럼 이동 부하가 보다 커진다. 이것이 미끄럼 이동 속도를 느리게 하여 충격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출 용기가 앞쪽으로 경사졌을 때, 인출 용기의 취출부가, 인접한 선반과 거의 수평인 높이 위치가 되도록 경사시킴으로써 취출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인출 용기(15)의 하방의 선반의 수납 영역의 전단부 상부의 코너에 완충하 지 않을 정도로 경사져 있어, 인출 용기(15)를 인출한 상태라도 하방의 선반의 수납 식품의 취출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 중심이 아래의 선반의 수납 영역의 상방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출하였을 때에는 선반의 수납 영역에 간섭하지 않으므로 식품 등에 접촉하는 일도 없다.
또한, 냉장실 도어(2a)의 개방 각도에 제한이 있어 개방 각도가 불충분한 경우, 즉 도어 포켓(14)이 인출 용기(15)의 인출 방향으로 겹쳐 있어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냉장고의 개략 정면도.
도 2는 냉장실 최상부 공간에 인출 용기를 설치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냉장실 최상부 공간에 인출 용기를 설치한 정면도.
도 4는 인출 용기를 인출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인출 용기의 인출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6은 인출 용기와 안내 부재와 구획 겸용 안내 부재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7은 안내 부재와 완충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인출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9는 인출 용기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인출 용기를 인출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은 인출 용기를 제거하는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인출 용기를 제거하는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인출 용기를 제거하는 제3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본체
2 : 냉장실
2a, 2b : 냉장실 도어
3 : 보습 냉동실
3a : 보습 냉동실 도어
4 : 제빙실
4a : 제빙실 도어
5 : 냉동실
5a : 냉동실 도어
6 : 야채실
6a : 야채실 도어
7 : 구획 겸용 안내 부재
7a : 오목부
7b, 13b, 15c : 보스부
7c, 13a, 15a : 레일부
7d, 13c : 레일 전단부 개구
7e, 13e : 레일 후단부 개구
7f, 13d : 지지 부재 장착부
13 : 안내 부재
14 : 도어 포켓
15 : 인출 용기
15b : 전방면 상단부 박육부
15d : 구획 부재 장착 리브
15e : 레일 전방부 하단부 개구
18 : 지지 부재
19 : 미끄럼 이동 부재
20 : 완충 부재
21 : 구획 부재
22 : 제어 장치

Claims (12)

  1.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저장실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저장실의 최상부의 저장실 내의 상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인출 용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인출 용기를 전방으로의 인출에 따라서 당해 인출 용기의 전방측이 서서히 낮아지도록 지지하는 제1 인출 안내 부재와, 상기 제1 인출 안내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인출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 용기는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출 안내 부재는, 상기 최상부의 저장실 내의 상부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구획 겸용 안내 부재이며, 상기 구획 겸용 안내 부재의 전방측의 상부는 하부보다도 깊이 방향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용기의 상기 결합부는 측면에 설치된 레일부와 보스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를 연결하는 지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가 레일부와 보스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의 레일부는 상기 인출 용기의 보스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의 보스부는 상기 인출 용기의 레일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의 레일부는 후방을 향해 점차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의 각각의 상기 보스부의 전방 및 후방을 덮도록 완충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에 미끄럼 이동성과 마찰성을 갖는 미끄럼 이동 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인출 용기와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용기가 앞쪽으로 인출되어 경사졌을 때, 상기 인출 용기의 취출부가 인접한 선반과 대략 수평인 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용기의 레일 전방부 하단부에, 상기 인출 용기와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의 상기 보스부 혹은 상기 완충 부재와의 결합을, 상기 인출 용기를 앞쪽으로 당긴 후 상방으로 올려 해제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출 안내 부재의 상기 레일부 후단부에 형성된 레일 후단부 개구와, 상기 인출 용기의 후방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출 용기를 냉장실의 안쪽 방향으로 밀어 넣은 후 상기 인출 용기의 후단부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상기 레일 후단부 개구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보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용기의 전방측부에는 탄성체의 과대 부하 방지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90012668A 2008-08-08 2009-02-17 냉장고 KR101042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04985 2008-08-08
JP2008204985A JP4778993B2 (ja) 2008-08-08 2008-08-08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305A true KR20100019305A (ko) 2010-02-18
KR101042435B1 KR101042435B1 (ko) 2011-06-16

Family

ID=4165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668A KR101042435B1 (ko) 2008-08-08 2009-02-17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778993B2 (ko)
KR (1) KR101042435B1 (ko)
CN (1) CN10164452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904B1 (ko) * 2011-07-18 2013-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밀폐룸
CN112197477A (zh) * 2019-07-08 2021-01-0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EP3845845A1 (en) * 2020-01-03 2021-07-07 BSH Hausgeräte GmbH Household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1750B (zh) * 2013-04-25 2016-08-24 海尔集团公司 制冷器具
EP3032201B1 (de) * 2014-12-09 2020-02-05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JP6864980B2 (ja) * 2015-07-21 2021-04-2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102373219B1 (ko) 2015-12-10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5737499A (zh) * 2016-02-26 2016-07-06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的抽屉组件及具有其的冰箱
CN107796163B (zh) * 2016-09-05 2020-11-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CN109900038B (zh) * 2017-12-07 2022-04-0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器具
JP7127816B2 (ja) * 2018-08-27 2022-08-30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CN113229626B (zh) * 2021-06-04 2022-08-19 山西大同大学 一种便捷式调节衣柜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393Y2 (ja) * 1978-10-11 1984-02-2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等の引出容器
JPS6234226Y2 (ko) * 1979-05-21 1987-09-01
JPH0743195B2 (ja) * 1990-05-30 1995-05-15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製氷装置付冷蔵庫
JPH04350482A (ja) * 1991-05-28 1992-12-04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製氷装置
CN2407305Y (zh) * 2000-02-01 2000-11-22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滚轮支撑的无晃动冰箱抽屉
CN2531336Y (zh) * 2002-03-16 2003-01-15 海尔集团公司 电冰箱及其搁物装置
JP4337321B2 (ja) * 2002-09-25 2009-09-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2004301356A (ja) * 2003-03-28 2004-10-28 Toshiba Corp 棚装置、および棚装置を備えた冷蔵庫
CN2843202Y (zh) * 2005-11-01 2006-12-06 海信集团有限公司 抽屉用导轨及应用此导轨的电冰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904B1 (ko) * 2011-07-18 2013-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밀폐룸
CN112197477A (zh) * 2019-07-08 2021-01-0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2197477B (zh) * 2019-07-08 2022-05-20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EP3845845A1 (en) * 2020-01-03 2021-07-07 BSH Hausgeräte GmbH Household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44520A (zh) 2010-02-10
KR101042435B1 (ko) 2011-06-16
JP4778993B2 (ja) 2011-09-21
CN101644520B (zh) 2011-10-12
JP2010038499A (ja)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435B1 (ko) 냉장고
JP3866678B2 (ja) 冷蔵庫の野菜室
KR102595327B1 (ko) 냉장고
EP2594875B1 (en) Refrigerator
KR102440262B1 (ko) 냉장고
EP2913609B1 (en) Refrigerator
KR102043198B1 (ko) 냉장고
KR102580773B1 (ko) 냉장고
EP2581694B1 (en) Refrigerator
KR20140057885A (ko) 냉장고
EP2594878B1 (en) Refrigerator
EP3152502B1 (en) Refrigerator
KR20110046237A (ko) 냉장고의 자동 도어 닫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472387B1 (ko) 냉장고
CN102124289A (zh) 冷藏库
EP2725314A2 (en) Refrigerator
EP3764038A1 (en) Refrigerator
EP3358284A1 (en) Refrigerator
KR100743752B1 (ko) 바스켓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냉장고의 바스켓 이탈 방지구
KR101055737B1 (ko) 김치냉장고
JP4406670B1 (ja) 冷蔵庫
JP5091586B2 (ja) 冷蔵庫
KR101654994B1 (ko)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90078390A (ko) 냉장고
KR101654933B1 (ko) 냉장고의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