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142A -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142A
KR20100019142A KR1020080078028A KR20080078028A KR20100019142A KR 20100019142 A KR20100019142 A KR 20100019142A KR 1020080078028 A KR1020080078028 A KR 1020080078028A KR 20080078028 A KR20080078028 A KR 20080078028A KR 20100019142 A KR20100019142 A KR 20100019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re
clamping lever
pai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8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9142A/ko
Publication of KR2010001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캐비넷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12)의 내부에는 설치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2)의 설치공간(12')에는 한 쌍의 터미널(30)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30)에는 탄성편(32)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클램핑레버(50)는 상기 하우징(12)과의 사이에 탄성부재(s)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2)에 일단이 힌지결합된다. 상기 클램핑레버(50)에는 회전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탄성편(32)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누름돌기(5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클램핑레버(50)에 형성되는 누름돌기(56)가 한 쌍의 터미널(30)에 동시에 밀착되므로 클램핑레버(50) 한 번의 동작으로 와이어(w)의 (+)전극과 (-)전극을 한 쌍의 터미널(30)에 동시에 연결시킬 수 있어 와이어(w)의 연결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스피커, 연결잭, 클램핑레버, 터미널, 와이어

Description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Wire connecting device for speakers}
본 발명은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에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서도 영화관에서의 영화와 같은 박력이나 현장감을 체감할 수 있는 이른바 홈시어터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홈시어터 시스템은 대형 스크린에 비춰지는 영상과,그 영상에 대응한 멀티채널의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섬세하고 리얼리티가 높은 음향효과를 즐길 수 있다.
홈시어터 시스템 등의 음향장치는 멀티채널용의 스피커 단자에 각 채널의 스피커용 케이블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접속할 수 있게 하는 스피커 케이블용의 플러그와 스피커 단자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멀티채널의 음향장치는 일반적으로 5.1 채널로 구성되어 6개의 스피커가 설치되는데, 하나의 스피커가 동작되기 위해서 '+'단자와 '-'단자가 연결되 어야하므로 총 12개의 접속을 위한 구성이 필요하였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음향기기에 6개의 스피커를 설치하기 위하여 (+)(-)극성을 가지는 한 쌍의 와이어가 각각 상기 스피커가 연결되는 캐비넷에 연결되는데, 이와 같이 하나의 스피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극성과 (-)극성을 개별적으로 연결시켜야 하므로 12번의 설치작업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커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한 쌍의 극성을 한 번의 작업으로 캐비넷에 연결할 수 있는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캐비넷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서로 다른 극성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터미널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누름돌기가 구비되는 클렘핑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한 쌍의 인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인입공의 주변에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터미널의 극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클램핑레버의 선단양측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터미널의 극성이 구분된다.
상기 터미널에는 탄성편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누름돌기는 상기 클램핑 레버에서 상기 탄성편을 마주보는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클램핑레버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스토퍼가 상기 누름돌기의 형성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단면은 일측이 개구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레버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클램핑레버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이 지지되는 돌기가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돌기는 상기 한 쌍의 터미널 중 어느 하나의 터미널에서 다른 하나의 터미널까지 길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돌기는 두 개가 상기 한 쌍의 터미널에 각각 대응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램핑레버에 형성되는 누름돌기가 한 쌍의 터미널에 동시에 밀착되므로 클램핑레버 한 번의 동작으로 와이어의 (+)전극과 (-)전극을 한 쌍의 터미널에 동시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음향기기(도시되지 않음)의 캐비넷(도시되지 않음)에는 연결잭(10)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잭(10)은 볼트 등에 의하여 상기 캐비넷의 일면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잭(10)은 상기 음향기기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 등에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결잭(10)의 골격 및 외관은 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절연성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2)은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2)의 단면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설치공간(12')이 형성된다.(도 2 참조) 상기 설치공간(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 및 클램핑레버(50) 등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2)의 전방에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삽입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삽입부(14)는 상기 하우징(12)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삽입부(14)에는 한 쌍의 인입공(14')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공(14')은 상기 와이어삽입부(14)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인입공(14')에는 와이어(w)가 삽입된다. 상기 와이어(w)는 도전성 재질의 전선(e)을 절연성 재질의 피복(c)이 감싸서 형성된다. 상기 전선(e)은 (+)극과 (-)극을 가지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터미널(30)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에는 표시부(15,15')가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15,15')는 와이어(w)가 연결되는 터미널(30)의 극성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와 '-'표시가 상기 한 쌍의 인입공(14')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15,15')는 상기 하우징(12)에서 상기 인입공(14')의 주변에 돌출되게 또는 오목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5,15')는 설계조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클램핑레버(50)의 선단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클램핑레버(50) 양측의 형상을 다르게 형성하여 상기 연결잭(10)의 극성을 구분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면에는 지지돌기(16)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돌기(16)는 상기 하우징(12)의 내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2)의 지지돌기(16)는 클램핑레버(50)의 지지돌기(62)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16)에는 탄성부재(s)의 일단이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s)는 클램핑레버(50)의 누름돌기(56)가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편(32)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s)는 코일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의 상부에는 차폐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차폐부(18)는 상기 설치공간(12')의 경계를 형성하는 동시에 클램핑레버(50)의 회전이 가능한 영역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폐부(18)는 클램핑레버(50)가 회전됨에 의하여 그 선단이 상기 클램핑레버(50)에 닿게 된다.
상기 하우징(12)에는 설치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20)는 클램핑레버(50)의 힌지부(54)가 지지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설치부(20)는 힌지부(54)의 양측을 지지하여 클램핑레버(5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2)의 후방에는 커버(22)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22)는 터미널(30) 및 클램핑레버(50) 등의 설치가 완료된 후 상기 하우징(12)의 일측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22)는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하우징(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는 상기 하우징(12)의 일부구성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설치공간(12')에는 한 쌍의 터미널(30)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3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30)은 상기 연결잭(10)에 삽입되는 와이어(w)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한 쌍의 터미널(30)은 각각 상기 와이어(w)의 삽입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한게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30)에는 탄성편(32)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편(32)은 상기 터미널(30)에서 절단된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편(32)은 상기 하우징(12)의 와이어삽입부(14)에 인접한 상기 터미널(30)의 선단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32)은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편(32)에는 클램핑레버(50)의 누름돌기(56)가 선택적으로 밀착된다. 상기 탄성편(32)에는 상기 와이어(w)의 전선(e)이 접촉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터미널(30)의 후단에는 연결공(34)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공(34)이 형성되는 상기 터미널(30)의 후단은 상기 커버(22)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2)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연결공(34)에는 상기 캐비넷 등의 내부구성에 전기적으로 연 결된다. 상기 연결공(34)은 상기 터미널(30)과 상기 캐비넷의 연결방식에 의하여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설치공간(12')에는 클램핑레버(50)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레버(50)는 상기 설치공간(12') 내부에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클램핑레버(50)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12)의 개구된 일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레버(50)는 사용자가 상기 연결잭(10)에 와이어(w)를 결합시키기 위해 조작하는 부분이다. 상기 클램핑레버(50)는 절연성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클램핑레버(50)의 골격은 몸체부(52)에 의해 형성된다. 몸체부(52)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12)에 힌지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52)의 일단에는 힌지부(54)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54)의 양측은 상기 하우징(12)의 설치부(20)에 지지된다.
상기 몸체부(52)에는 누름돌기(56)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돌기(56)는 상기 탄성편(32)을 마주보는 상기 몸체부(52)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돌기(56)는 상기 탄성편(32)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돌기(56)는 상기 클램핑레버(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편(32)에 선택적으로 밀착된다. 상기 누름돌기(56)는 상기 한 쌍의 탄성편(32) 중 어느 하나의 탄성편(32)에서 다른 하나의 탄성편(32)까지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누름돌기(56)는 상기 하우징(12)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와이어(w)의 삽입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다만, 상기 누름돌기(56)는 반드시 길게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설계조건에 따 라 상기 한 쌍의 탄성편(32)에 대응되게 두 개가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누름돌기(56)는 상기 클램핑레버(50)가 회전할 때 상기 한 쌍의 탄성편(32)에서 거의 동시에 밀착되거나 동시에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52)에는 스토퍼(58)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58)는 상기 몸체부(52)의 일면에서 상기 누름돌기(56)의 형성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58)는 상기 클램핑레버(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12)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58)는 상기 와이어삽입부(14)의 선단에 선택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클램핑레버(50)의 회전범위를 규제하게 된다.
상기 몸체부(52)의 타단에는 조작부(60)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60)는 상기 하우징(12)의 개구된 일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부(52)에는 지지돌기(6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돌기(62)는 상기 하우징(12)의 지지돌기(62)를 마주보는 상기 몸체부(52)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62)에는 상기 탄성부재(s)의 타단이 지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와이어가 클램핑레버에 의해 터미널에 밀착되는 과정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결잭(10)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2)의 설치공간(12')에는 상기 터미널(30)이 상기 하우징(12)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30)의 후단은 상기 하우징(12)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 이다.
상기 클램핑레버(50)는 상기 하우징(12)의 개구된 부분으로 삽입된다. 상기 클램핑레버(50)의 힌지부(54)는 상기 설치부(20)에 그 양측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레버(50)는 상기 힌지부(54)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누름돌기(56)가 상기 터미널(30)의 탄성편(32)을 향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기 클램핑레버(50)의 조작부(60)는 상기 하우징(12)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s)는 상기 하우징(12)의 지지돌기(16)와 상기 클램핑레버(50)의 지지돌기(62)에 그 양단이 각각 지지되어 상기 누름돌기(56)가 상기 탄성편(32)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클램핑레버(50)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2)에 상기 커버(22)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잭(10)에 와이어(w)를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와이어(w)를 상기 연결잭(10)에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누름돌기(56)가 상기 터미널(30)의 탄성편(32)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클램핑레버(50)를 회전시킨다. 참고로, 상기 클램핑레버(50)는 하나의 몸체부(52)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터미널(30)에 대해 멀어지도록 회전되는 것이다. (도 3 참조)
상기 클램핑레버(50)가 상기 탄성부재(s)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회전되면 상기 탄성편(32)과 상기 누름돌기(56)가 이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w)를 상기 와이어삽입부(14)의 인입공(14')에 삽입시키면, 상기 와이어(w)의 전선(e)이 상기 탄성편(32)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전선(e)의 (+)극과 (-)극은 각각 서로 다른 상기 터미널(3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w)의 전선(e)이 상기 한 쌍의 탄성편(32) 선단에 각각 위치되면 상기 클램핑레버(50)에 가하는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상기 클램핑레버(50)가 상기 탄성부재(s)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누름돌기(56)는 상기 와이어(w)의 전선(e)을 각각 상기 한 쌍의 탄성편(32)에 밀착시켜 상기 전선(w)과 상기 탄성편(32)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도 4 참조)
이와 같이 상기 클램핑레버(50)는 한 번의 동작으로 상기 한 쌍의 터미널(30)에 상기 와이어(w)의 (+)전극과 (-)전극을 동시에 연결시키므로 상기 와이어(w)와 터미널(30)의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5.1 채널 스피커의 경우 6개의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해서 각각의 스피커마다 (+)전극과 (-)전극을 개별적으로 연결하여 12번의 작업을 수행할 필요 없이 (+)전극과 (-)전극을 한번에 연결하여 6번의 작업으로 와이어(w)의 연결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와이어가 클램핑레버에 의해 터미널에 밀착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연결잭 12: 하우징
12': 설치공간 14: 와이어삽입부
14': 인입공 15,15': 표시부
16: 지지돌기 18: 차폐부
20: 설치부 22: 커버
30: 터미널 32: 탄성편
34: 연결공 50: 클램핑레버
52: 몸체부 54: 힌지부
56: 누름돌기 58: 스토퍼
60: 조작부 62: 지지돌기
s: 탄성부재 w: 와이어
e: 전선 c: 피복

Claims (8)

  1. 캐비넷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서로 다른 극성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터미널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누름돌기가 구비되는 클렘핑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한 쌍의 인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인입공의 주변에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터미널의 극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각각 형성되는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클램핑레버의 선단양측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터미널의 극성이 구분되는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에는 탄성편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누름돌기는 상기 클램핑레버에서 상기 탄성편을 마주보는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레버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스토퍼가 상기 누름돌기의 형성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면은 일측이 개구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레버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클램핑레버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이 지지되는 돌기가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는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돌기는 상기 한 쌍의 터미널 중 어느 하나의 터미널에서 다른 하나의 터미널까지 길게 형성되는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돌기는 두 개가 상기 한 쌍의 터미널에 각각 대응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
KR1020080078028A 2008-08-08 2008-08-08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 KR20100019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028A KR20100019142A (ko) 2008-08-08 2008-08-08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028A KR20100019142A (ko) 2008-08-08 2008-08-08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142A true KR20100019142A (ko) 2010-02-18

Family

ID=4208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028A KR20100019142A (ko) 2008-08-08 2008-08-08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91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47905B (zh) 骨传导扬声装置
KR101113592B1 (ko) 이어폰 잭
CN117528315A (zh) 骨传导扬声装置
JP4098725B2 (ja) 改善された接地を備えた高速ケーブルコネクタ
JP5014930B2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CN117241182A (zh) 骨传导扬声装置
JP2015527279A (ja) 電気的フィードスルースペーサおよび接続性
JP2010250321A (ja) 光コネクタ組立体
TW201011994A (en) Connector device
KR101759529B1 (ko) 고접압 커넥터
JPWO2005011067A1 (ja) スピーカケーブル用プラグと該プラグを受入れるスピーカ端子、並びに、前記プラグと端子によるスピーカターミナルシステム
CN117202044A (zh) 骨传导扬声装置
JPH10334998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4812136A (en)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or
CN109547888B (zh) 骨传导扬声装置
KR20140126603A (ko) 이어폰용 방수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CN105048203A (zh) 连接器
JP2011014325A (ja) コネクタ、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及び半導体試験装置
JP2016054131A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KR20150107748A (ko) 다극잭 및 그 제조방법과 전자기기
KR20100019142A (ko) 스피커의 와이어 연결장치
JP6241597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H07263082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WO2017199756A1 (ja) 信号端子とグランド端子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装置
DE502006000343D1 (de) Steckbuchse für Telekommunikations- und Datenübertragungssyste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