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7705A - 침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침 - Google Patents

침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7705A
KR20100017705A KR1020097025582A KR20097025582A KR20100017705A KR 20100017705 A KR20100017705 A KR 20100017705A KR 1020097025582 A KR1020097025582 A KR 1020097025582A KR 20097025582 A KR20097025582 A KR 20097025582A KR 20100017705 A KR20100017705 A KR 20100017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acupuncture
layer
patient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5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아트 무라달리에브나 무키나
니콜라이 베니아미노비치 차다에브.
Original Assignee
프레이 메디컬 테크놀로지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이 메디컬 테크놀로지즈 아게 filed Critical 프레이 메디컬 테크놀로지즈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017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의학 분야, 및 구체적으로는 반사요법(reflexotherapy) 에 관한 것이며, 환자의 유기체에 대해 연장된 침술 작용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경혈(acupuncture point)이 결정되는 연장된 작용을 지니는 침술 방법에서는, 침 도입 및 배출 위치가 선택되고, 침을 선택된 도입 및 배출 위치로 통과시키고, 침의 양 말단을 환자 피부 밖으로 남기고, 침의 양 말단에 설치된 록킹 부재(locking members)에 의해 이 위치에 침을 고정시키고, 침술 세션(acupucture session)이 완료된 후에도 침이 지정된 시간 동안 환자의 체내에 남겨지며, 침 도입에 의해 침관(acusal tract)이 환자 조직의 상이한 조직발생학적 층 내에서 형성되고, 각각의 침에 대한 도입 및 배출 위치가 경혈 구역, 및/또는 반사 구역 및/또는 무관한 구역(indifferent zone)에 위치한 지점에서 선택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연장된 작용을 갖는 제안된 침술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광범위한 질환을 비-의학적인 방법에 의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게 되고, 연장된 작용을 갖는 침술의 효율성이 증가한다. 상기 방법의 실시에서는,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저가의 장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부작용없이 치료 효율성이 제공되는데, 이 점에 의해 의학적 실시에서 제안된 방법의 광범위한 적용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침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침 {METHOD OF ACUPUCTURE AND A NEEDLE FOR CARRING OUT SAID METHOD}
본 발명은 의학 분야, 및 구체적으로는 반사요법(reflexotherapy)에 관한 것이며, 환자의 유기체에 대해 연장된 침술 작용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의료용 제조물, 화학 물질의 침입을 배제하는 그러한 치료 방법을 개발하고 최적화하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의 주제별 배열(topicality)는, 알레르기 반응의 증가, 면역 메커니즘의 고갈, 약리학적 제제의 정당하지 못한 빈번한 사용에 대한 사람 유기체에서의 과세균증 및 약물로 인한 질환의 발전, 및 집중적인 산업 개발의 결과인 인간활동으로 인한 불순물의 증가 때문에 야기된 악화되는 생태학적 상황과 관련되어 있다.
과학적 사고는 고대 중국 의학 기술을 개발시켰는데, 이것은 벌써 5000년 전에 알려졌다. 현재, 침술학에 기초한 치료 방법의 개발은, 침술 작용 동안에 사용된 새로운 생물학적 활성 지점 및 구역을 발견해내고 개별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침술 작용을 위한 가장 최적의 모드 및 방법을 선택하는 방향과, 반사요법실시자가 적용하는 바늘에 의해 사용된 기술적인 토대를 개선시키는 방향 둘 모두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한 방향 중 하나는, 환자 유기체에 대해 연장된 침술 작용을 나타내 는 치료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그와 관련하여, 반사요법 세션(session)이 종료된 후에 특정 기간 동안 환자 조직에 남아있는 침에 의해 나타나는 작용이 연장된 침술 작용으로 이해된다.
연장된 침술 작용이 천공된 카링(pierced carring)에 의해 경혈(acpuncture point)에서 환자 귀를 천공시킴으로써 수행되는 연장된 침술 작용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특허 US 5465593, A 44C7/00, 1995년 11월 14일 공개됨). 상기 방법에서, 침에 의한 작용은 단지 하나의 경혈에서만 나타나며, 이것은 충분히 강력한 연장된 작용을 제공할 수 없으며, 적응 효과(adaptation effect) 때문에 상기 작용의 세기가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안된 방법은 제한된 적용 범위를 갖는다.
표준으로서 선택된 적용된 방법에 가장 유사한 것은, 경혈의 결정에서 경혈에 대해 연장된 작용을 나타내는 방법인데, 상기 경혈 중 하나는 침의 도입 지점으로 선택되고 나머지는 침의 배출 지점으로 선택되며, 이후 이들 지점은 하나의 침에 의해 이들을 쓰레딩(threading)함으로써 천공되고, 피부 표면 상의 침 배출 지점의 끝에 설치된 록킹 부재(locking member) 에 의해 고정된다(특허 RU 2289391, A61H 39/00, 2006년 12월 20일 공개됨). 따라서, 2개의 경혈 사이에서 치료 채널을 형성하는 것이, 오랜 시간 (1년 및 그 초과) 동안 머무르는 채널 내의 침에 의해 제공된다.
연장된 작용의 세기를 증가시키고 적응 효과를 부분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상기 방법은, 안티로비움(antilobium) 구역 내의 외이 상에 하나의 바늘에 의해 2 개의 지점 AT17 및 AT18을 천공시키고, 이 위치에 침을 고정시키고, 이 침을 여러 달 및 그 초과 기간 동안 외이 내에 남겨둠으로써 형성되는 치료 채널을 사용하여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의학적 실시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됨이 확인되었다. 약 12000명의 환자들이 3년 동안 이 기술에 따라 치료되어, 환자의 80% 초과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얻어졌다. 동시에, 치료 결과는, 확인된 침의 거부 반응으로 인해 환자의 약 15 내지 20% 정도에서는 예상보다 낮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침술작용력의 최적 투입(dosing)을 확보하고, 연장된 침술 작용을 사용한 치료의 효율성에 대한 이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한 적응 효과를 해소하기 위해 추가 조치를 취할 필요가 또한 남아있었다. 또한, 몇몇의 질병분류학적 실재(nosological entities)를 치료함에 있어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적합한 포뮬레이션 선택의 측면에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이는 권장된 경혈이 서로로부터 오히려 더 멀어질 수 있고, 이로써 "하나의 침에 의한 쓰레딩"에 의한 작용에 대한 장애물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지점의 선택에서 가변성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발명의 핵심
제안된 발명에 의해 해소된 기술적 과제는, 적응 효과를 해소하고 반사성 작용의 세기를 변경시키고 합병증을 예방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분류학적 실재를 치료하는데 사용된 포뮬레이션의 선택을 확장시킬 수 있는, 연장된 작용을 갖는 침술 방법을 획득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경혈을 결정하고, 도입 및 배출 지점을 선택하고, 침을 선택된 도입 및 배출 지점으로 통과시키고, 침의 양 말단을 환자 피부 밖으로 남기고, 침의 말단에 설치된 록킹 부재에 의해 이 위치에 침을 고정시키고, 침술 세션이 완료된 후에도 침을 지정된 시간 동안 환자의 체내에 남겨두는 연장된 작용을 갖는 공지된 침술 방법에서, 침 도입에 의해 침관(acusal tract)이 환자 조직의 상이한 조직발생학적 층 내에 형성되고, 경혈 구역 및/또는 반사 구역 및/또는 무관한 구역에 위치한 지점들이 각 침에 대한 도입 및/또는 배출 지점으로서 선택되는데 특징이 있다는 사실에 의해 보장된다.
더욱이, 상기 조직발생학적 층은 표피 층, 표피 막, 유두 층, 망상 층, 에피콘드랄(epichodral) 층, 연골 층, 피하 지방 층, 근육 층, 인대, 근막 또는 힘줄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침술 세션을 수행함에 있어서, 침관을 형성시키기 위해 침을 단지 환자 조직의 조직발생학적 층 중 하나에만 설치하고, 다른 조직에서의 침관 형성은 후속하는 침술 세션에서 침을 도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침술 세션을 수행함에 있어서, 침관을 형성시키기 위해 침을 환자 조직의 상이한 조직발생학적 층에 설치한다.
또한, 침술 세션을 수행함에 있어서, 조직의 하나의 또는 다수의 조직발생학적 층에서 침관을 형성시키기 위한 침의 설치는, 이전 세션 동안 설치된 침을 제거한 후에 실시된다.
또한, 침술 세션을 수행함에 있어서, 조직의 하나의 또는 다수의 조직발생학적 층에서 침관을 형성시키기 위한 침의 설치는, 이전 기간 동안에 설치된 침을 제거하지 않고서도 실시된다.
또한, 침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미끄러질 수 있는 침의 몸체 상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움직이는 록킹 부재가 사용되며, 지정된 위치에 이것을 고정시키는 것은 침 몸체의 소성 변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침에, 침의 말단에 설치되고 침 몸체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게 설치된 록킹 부재가 구비되며, 이 록킹 부재 중 하나 이상은 이동가능하게 제작된다.
또한, 침 몸체는 로드 형태로 강성있게 제작되거나 실로서 가요성있게 제작된다.
또한, 침 몸체는 플라스틱 금속 합금으로 제작된다.
침 설치에 의해 환자 조직의 상이한 조직발생학적 위치에서 침관을 형성하면, 침관의 조직발생학적 환경에서 일어나는 생리학적인 과정들과 상관되는 반사 작용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것은 한편으로는 적응 효과를 해소시키며 다른 한편으로는 가능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경혈 구역 및/또는 반사 구역, 및/또는 무관한 구역에 위치한 각각의 침 지점을 도입 및/또는 배출 지점으로 선택하면, 반사 작용의 세기를 변화시키고 포뮬레이션의 선택을 확장시킬 수 있다.
표피 층, 표피 막, 유두 층, 망상 층, 에피콘드랄 층, 연골 층, 피하 지방 층, 근육 층, 인대, 근막 또는 힘줄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조직발생학적 층을 선택하면, 반사 작용의 세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적응 효과를 해소하게 되고, 가능한 합병증의 예방에 기여한다.
환자 조직의 단 하나의 조직발생학적 층에서만 침관을 형성시키기 위해 침을 설치하고, 후속적인 침술 세션 동안 침을 도입시킴으로써 다른 조직 층 내에 침관을 형성시키면, 반사성 작용의 세기가 더욱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고 가능한 합병증이 예방될 수 있다.
환자 조직의 상이한 조직발생학적 층에서 침관을 형성하기 위해 침을 설치하면 반사 작용의 세기를 증가시키고 포뮬레이션의 선택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전의 침술 세션 동안에 설치된 침을 제거하지 않고 실시된, 조직의 하나 또는 다수개의 조직발생학적 층에서 침관을 형성시키기 위해 침을 설치하면 반사 작용의 세기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한다.
미끄러질 수 있는 침의 고정을 위해 침 몸체 상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록킹 부재를 사용하고, 이것을 침 몸체의 소성 변형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치료 동안 환자의 체내에 안전한 침 고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치료의 효율성을 제공하고 가능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필수요건 중 하나이다.
침 몸체를 로드 형태로 강성있게 형성시키거나 실 형태로 가요성있게 형성시키면 이 방법에 대한 포뮬레이션의 선택을 확장시킬 수 있다.
플라스틱 금속 합금 재질로 침 몸체를 형성시키면, 침의 소성 변형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 록킹 부재를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침에 대한 일반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섹션 I의 확대도이다.
제안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침(1)을 사용할 수 있는데, 도 1에서의 침 몸체는 로드 형태로 강성있게 제작되거나 실 형태로 가요성있게 제작된다. 침(1)의 상기 로드 또는 실 상에, 2개의 록킹 부재(2, 3)가 침의 양 말단에 설치되며, 록킹 부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록킹 부재는 이동가능하게 제작되고 침 몸체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게 설치된다. 지정된 위치에 이동가능한 록킹 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은, 피부 외부에 남아있는 침의 말단 부분의 소성 변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록킹 부재의 안전한 고정을 위해, 침 몸체를 예를 들어 겸자(forcep)의 도움으로 변형된 위치 (평탄화)까지 압축시킴으로써 침 몸체의 소성 변형을 실시하는 것이 충분한데, 이것은 록킹 부재의 외측으로부터(즉, 환자 몸을 향하지 않고) 실시된다. 그후, 압축 위치에 있는 침의 폭은 이동가능한 록킹 부재의 리치-쓰루(reach-through) 홀의 직경을 초과할 수 있는데, 이 점은 안전하게 정지될 수 있게 한다. 필요한 경우, 록킹 부재의 내측으로부터(즉, 환자 몸에 접촉하여) 이것을 평탄화시킴으로써 침 몸체 상에 록킹 부재를 추가로 고정시킬 수 있다(도 2). 침은 금속에 대한 알레르기를 형성시키지 않는, 공지된 다양한 침 반사요법용 플라스틱 금속 및 합금, 예를 들어 75%의 금, 13%의 은 및 12%의 구리로 구성되는 합금(이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특허 RU 26402, A361B 17/06, 2002년 12월 10일에 공개됨)으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침의 치수는 상이한 값을 지닐 수 있는데, 이 값은 침 설치 위치 및 작용 파라미터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
침술을 실시하는 경우, 경혈은 환자가 갖고 있는 유효한 질병 치료에 대해 권장된 포뮬레이션에 따라 결정되며, 각 침에 대한 도입 및 배출 지점은 경혈 구역, 및/또는 반사 구역 및/또는 무관한 구역에 위치한 지점들로부터 선택된다. 이후, 침(1)은 선택된 도입 및 배출 지점을 통과하여 환자 조직의 상응하는 조직발생학적 층 내에 침관을 형성하고 침의 양 말단은 환자 피부의 외부에 남아있다. 침(1)이 침 말단 상에 설치된 록킹 부재(2, 3)에 의해 이 위치에 고정된 후에, 이 중 하나 이상의 록킹 부재는 이동될 수 있다. 이동가능한 록킹 부재들은 침 몸체의 상응하는 외측 부분(록킹 부재의 외측)을 소성된 상태(평탄화)까지 압축시킴으로써 정지한다. 록킹 부재 한계 밖을 향하는 침의 고정되지 않은(loose) 말단은 겸자의 도움으로 절단된다. 침술 세션의 종료 후에, 침은 1년 및 이를 초과할 수 있는 지정된 시간 동안 환자의 체내에 남아있다. 선택된 치료 방법에 따라 다르나, 다양한 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의 각각은 상이한 조직발생학적 층 내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의 침이 여러 개의 조직발생학적 층 내에 즉각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변형된 경우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대체로, 침술 세션을 수행하는 동안에, 환자 조직의 조직발생학적 층 중 하나에서 침관을 형성하기 위해 침이 설치되고, 다른 조직 층 내에 침관을 형성하는 것은, 후속적인 침술 세션에서 침을 도입함으로써 실시된다. 그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치료의 동력(dynamic)에 따라 다르나, 후속하는 침술 세션 동안의 침의 설치는 이전 세션 동안 설치된 침을 제거하면서 그리고 이전에 설치한 침을 남겨두는 둘 모두의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고, 이는 일반적으로 반사작용을 강화시키는데 기여한다.
경혈 구역 및/또는 반사 구역 및/또는 무관한 구역에 위치한 각각의 침 지점을 도입 및/또는 배출 지점으로 선택하는 중에, 하기와 같은 다양한 변형된 경우가 이용될 수 있다:
- 지점에서 지점으로;
- 지점에서 반사 구역으로;
- 지점에서 무관한 구역(반사 구역 외부의)으로;
- 반사 구역에서 한 지점으로;
- 반사 구역에서 반사 구역으로;
- 반사 구역에서 무관한 구역으로;
- 무관한 구역에서 한 지점으로;
- 무관한 구역에서 반사 구역으로.
그와 관련하여, "지점에서 지점으로" 및 "반사 구역에서 반사 구역"으로와 같은 변형된 경우는 특히 침 도입 및 배출 지점이, 상응하게는 하나의 지점 또는 하나의 구역의 한계치 내에 위치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도입 및 배출 지점의 선택에서 가변성을 증가시키면 침관 형성 범위가 확장되고 이에 상응하여 상이한 질병발생학적 실재를 치료하기 위한 포뮬레이션의 선택 부분에서 상기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선택적인 작용이 제공될 수 있고 연장된 작용의 과정에서 적응 효과도 해소될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적용된 방법의 설명에서, 예를 들어 문헌(monograph "Central Mechanisms of Acupuncture Therapy", N.A. Nikolaev, Riga, 1998)으로부 터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반사 구역"의 개념이 사용되며, 이에 따르면
- 용어 반사(reflex)는, 사람의 의지 제어(제 9면 내지 제 10면 참조)에 대항하여 일어나고 주요 원인이 임의 반사의 말초적인 기원으로부터 일어나는, 특정의 특이적이고 정확히 편재화된 자극에 대한 상이한 생물학적 구조의 신속한 반응으로 이해되고;
- 용어 반사 구역은, 상응하는 반사 아치(arch)의 시작 또는 마지막을 형성하는 말초적인 작용 구역으로서, 이것은 진단 구역 또는 치료 작용의 적용 위치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의사들은 증상에 따라 특정 질환에 대해 특징적인 지점들을 알고 있고, 이들은 또한 HEAD A 구역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도 알고 있다(제 15면 참조).
그와 관련하여, 경혈은 반사 구역의 특정한 케이스로 간주될 수 있다. 반사 말초 구역은 신체 침술 및 이개치료(auriculotherapy) 지점과 유사한 지점이다. 따라서, 동종요법에 사용된 지점 바이헤(Weihe)는 이미 알려진 경혈(핑거-쿠션의 한계치 내에서)의 대부분보다 직경이 더 크다. 한네만나(Hannemanna) 지점(이것 또한 동종요법에서 사용됨)은 유사한 크기를 갖는다. 헤드 구역은 상당히 더 연장된다 - 이들의 치수는 수 센티미터까지 이를 수 있다. 모든 둘레를 따라 대략 둥글거나 계란형인 피부에 관한(dermalgic) 구역인 자리코트(Jarricot)에도 마찬가지사항이 적용된다[참조: Jarricot H., 1932 - Sur certains etats douloureux : visceralgies, dermalgies reflexes, cellules et quelques phenomenes reflexes d origine theraputique Essai clinique et therautique. These de medicine, Lyon].
적용된 방법을 사용하여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서, 작업은 기초적으로 피부에 관한 구역(내부 기관 및 시스템과 관련성을 갖는 피부 상의 통증 구역)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표피 층, 표피 막, 유두 층, 망상 층, 에피콘드랄 층, 연골 층, 피하 지방 층, 근육 층, 인대, 근막 또는 힘줄을 포함하는 층이 조직발생학적 층으로서 선택된다.
그와 관련하여, 청구된 방법에 따라 형성된 "채널"은 반사요법에 사용된 전통적인 자오선(meridian)의 이해에서의 자오선 또는 침술 채널과는 관련되어 있지 않다. 개념적인 비물질 라인에 의해 엄격하게 한정된 지점 사이에서 에너지 흐름을 연결하는 일반적인 침술 채널과는 다르게, 이것은 의사에 의해 준비된 포뮬레이션에 따라 임의의 개별적으로 취해진 경혈을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며, 상피화 과정의 결과로 침 위치에서 물질 채널이 실제적으로 형성된다. 그러한 맥락에서 "침술 채널"의 전통적인 개념과 상기 채널의 차이점을 강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침관"(라틴어로 "아쿠스(acus)"-침)이 본 설명에 사용된다.
"침관"으로서 상기한 치료 채널의 연장된 작용의 메커니즘은 하기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오랜 시간(연장된 작용) 동안 침을 설치함에 있어서 알려져 있듯이, 반사 작용으로의 적응이 나타나며, 이것은 치료의 효율을 감소시키고 회복 시간을 증가시킨다. 청구된 방법에 의한 "침관"의 형성은 오히려 긴 시간 동안에 침관에서 반사 작용의 요구된 세기를 유지할 수 있고, 이것은 이에 의한 염증 합병증 을 방지할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침관에서의 반사 작용의 세기는 캐스캐이드(cascade) 쪽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지니며, 이것은 침 위치 대신에 조직발생적인 매체 내에서 일어나는 생리학적인 과정과 전-경사적으로(progradiently) 상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직접적으로, 침 도입 자체의 순간에, 알려진 대로 1차 맥박 흐름이 형성된다. 이후, 침이 선택된 지점(쓰레딩 지점)을 통과한 후에, 2차 맥박 흐름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더 강력하고 영구적이며 지속적이다. 반사 구역으로부터의 이러한 2차 맥박 흐름은, 조직에서 일어나는 생리학적 과정에 의해 규정된다. 그와 관련하여, 조직에서 일어나는 3단계 과정과 구별할 수 있고, 따라서 각 단계에서 발생되는 맥박은 하기한 3가지 유형으로 세분된다:
1 단계 - 침관의 상피화. 30일까지.
침관 형성의 결과로, 침에 의해 형성된 2개 구멍을 지닌 침관 공간이 형성된다. 재생 법칙에 따라, 침 주위의 조직이 상피화되기 시작하여 상피화된 채널이 형성된다. 상피 성장 과정에서, 점진적이고 장기간의 상피화 동안에 세포 수용체가 반사 구역으로부터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하부 중심으로 제 1 유형의 2차 미세맥박의 강력한 흐름을 생성시키는데, 이것이 이 작용의 효과를 증강시킨다. 특히, 비만의 치료에 있어서, 억제 포커스가 시상하부의 배고픔 중추에서 더욱 신속하게 형성되며, 지방분해 메커니즘이 활성화되고, 결과적으로 체중이 감소하게 된다. 동맥 고혈압의 치료에서, 구심성 맥박이 시상하부의 혈관 이동 중추에서 혈관-억제 효과를 강화시켜, 동맥압이 더욱 신속하게 정상화된다. 알레르기 치료에 있어서도, 항-히스타민 메커니즘의 활성이 증가하는데, 이것은 알레르기 반응을 더욱 신속하게 진정시킨다(jigulate). 더욱 긴 아넴니시스(anemnisis) 및 발현된 정도의 질환을 지님으로써 1개월에서 수개월까지의 더욱 연장된 작용이 요구되는 환자에 있어서, 중요한 치료적인 순간은, 2 단계에서 생성되는 제 2 유형의 2차 맥박에 의한 작용이다.
2 단계 - 침술 채널 재생
침관의 상피화가 완료되면, 형성된 채널의 표면은 다층의 평탄한 각화된 상피; 표피- 점진적으로 박리되는 세포의 외부층에 의해 덮여질 것이다. 표피의 재생은 말피기층의 희생으로 일어난다[참조: "Anatomy of a Man", Borzyak E.I. et al., volume 2, Moscow, Medicine, 1987, page 469]. 이러한 표피 세포 재생 과정은 외부형수용체(exteroreceptor)의 강력한 자극제이며, 이것은 자극 에너지를 신경 맥박로 변형시키고, 뇌 골수 핵으로의 신경성 구심성 맥박의 강력한 흐름을 결정한다[참조: "Anatomy of a Man", Borzyak E.I. et al., volume 2, Moscow, Medicine, 1987, page 290]. 의학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반사 이론에 따르면, 말초로부터 더욱 많은 맥박이 비롯될수록, 중추 구조물, 즉 신경절, 뇌 골수의 하부 중심에서의 과정이 더욱 잘 발현된다. 따라서, 제 2 유형의 2차 맥박은 치료 효과의 강화에 기여한다.
3 단계 - 채널내 엑스투메오에이션(extumeoation)(엑스-투메오-벌지(ex-tumeo-bulge)-라틴어)
4개월 및 그 초과 동안에 침관 중에 침을 남겨두는 경우, 상기 채널 내에는 박리된 표피 세포, 호중구 및 대식 세포, 사멸된 박테리아의 축적물이 형성된다. 실제로 이 단계에서 침을 제거하면, 이 침 위에 백색 침전물이 생성되며, 때때로 로드 형태의 이 침전물은 탐폰(tampon)을 침관 외부 벽으로 누름으로써 자체적으로 배출된다. 시간이 갈수록 미생물 생존 활동의 상기 생성물의 점진적인 축적물이 생성될 것이고, 조직 구조물의 생존 활동의 생성물에 의해 침관을 채우는 범위에서 스프레딩 효과로 인해 이의 내부 벽 상의 압력이 형성되어, 침이 채널 내에 오래 머무를수록 더 많은 축적된 채널 내용물이 이의 벽을 누를 것이며, 결과적으로 능동적인 프레싱 맥박이 더욱 많이 발현될 것이다. 이러한 임맥박은 3 유형의 2차 임맥박로 분류된다. 이들은 선행하는 단계에서 형성된 우세한 것들을 유지하는데 기여할 뿐 아니라 치료 효과를 강화시킨다. 그와 관련하여, 침관은 쓰로우-트랙(through-track)이고 삼출물의 유출물, 및 사용된 소기관, 세포 및 피부 표면 상의 미생물의 생명 활동의 다른 생성물이 제공되기 때문에, 채널 내에서 과량의 정체 현상은 없을 것이고, 이에 따라 염증성 합병증의 발전을 위한 조건은 형성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침의 도입 및 피부 층 중 하나에서 침관을 형성하는 동안, 각각의 특정 환자에 대해 개별적인 특정 시간 후에, 다시 침관 수용자의 습관화, 즉 맥박 수 및 힘에 대한 적응이 일어난다. 이러한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서, 결과적으로 또는 동시에 맥박 흐름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결과적으로 피부의 표피 층, 유두 층, 망상 층, 피하 지방 층을 통과하는 환자 조직의 상이한 조직발생학적 층에서 침관을 형성시키는 것이 제안된다. 침관 형성을 위해 환자 조직의 조직발생학적 층을 선택하는 것은 환자 유기체의 특수성 및 이의 질병 특징을 토대로 결정되며, 연장되는 침 반사요법의 목적으로의 이의 적용가능성의 측면에서 각각의 조직발생적인 층의 특이성을 고려한다. 한편, 각각의 조직발생학적 층은 이의 고유한, 구조, 신경분포 및 혈액 순환 뿐만 아니라 이의 세포 조성에서 특수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수성을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피부의 표피 층으로부터 침의 설치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 그런 다음, 경혈 구역 및/또는 반사 구역 및/또는 무관한 구역에 위치한, 침 도입 및 배출 지점을 결정한 후에, 침을 표피 피부 층 내로 도입시키고, 표면으로 유도하고 고정한 후에, 이것을 질병분류학에 따라 다르나 특정 기간 동안 이 위치에 남겨둔다. 이후, 다음 세션에서, 침을 제거하거나, 작용을 강화시켜야 한다면 그 위치에 남겨둔다. 이러한 피부 층에서 침 위치에 대한 기준은 표피 세포 아래로부터 침 로드를 볼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층으로 침을 도입시킴으로써, 지나치게 강력한 맥박로 인한 질환의 악화 또는 침술로부터의 임의의 다른 합병증을 자극하지 않도록 주의깊은 치료를 시작하고 시험 치료를 실시하기 위해, 즉 침술에 대한 유기체의 반응을 체크하기 위해, 더욱 부드럽고 미세한 맥박이 생성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몇몇 환자들에서 침술에 대한 개별적인 비허용성 문제 때문에 필요하며, 상기 환자들에 대해서는 침술에서의 모든 매뉴얼이 무효하다. 그러한 반응에서, 침이 도입된 후에 환자는 식은 땀으로 덮여지고, 창백해지고, 의식이 혼미해진다. 이러한 병리학적인 반응의 병인학적 메커니즘의 기저에는 구심성 맥박의 강력한 흐름이 형성된다는 것이 있고, 상기한 맥박은 침의 영향 하에 있는 침술 구역에서 발 생한다. 구심성 흐름에 의해 맥박은 뇌하수체-시상하부 축 내에 위치한 자율신경 중심으로 진행되며, 이것은 이러한 정보에 대처하지 못하고 실수를 발생시키며, 이 점은 상기 증상에서 드러난다. 그와 관련하여, 침을 제거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권장되는데, 그 이유는 이 경우에 이러한 증상을 나타내는 침술은 반대측성(contraindicative)이고 환자는 침과 같은 그러한 효과적인 방식에 의해 의사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는 것으로 일방적으로 고려되기 때문이다. 표피 층에 대한 작용은 유기체의 준비 및 구심성 맥박 흐름에 대한 자율신경 중심의 문제를 해결하며, 침술에 대한 가능한 병리학적인 반응들을 방지한다. 이러한 피부 층 내로 침을 도입시키는 동안 맥박이 최소화된 후에 그 동안의 불쾌한 감각들이 실제적으로 없어질 것이기 때문에, 이것은 심지어 그가 지각할 수 없었던 일상의 삶에서 개인에 의해 수용된 "스플린터(splinter)"에 비교될 수 있다. 따라서, 표피 층에 대한 초기 작용을 유지하는 것은 허용된 치료 개시를 제공하며, 침술에 대한 유기체의 병리학적인 반응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책이 되며, 이것에 의해 침술 작용에 대한 환자의 개별적인 비허용성을 극복할 수 있다. 이어서, 침은 그 말단이 피부의 표면으로 배출되고 록킹 부재에 의해서 고정되면서 상피 막내로 도입된다. 그 후에, 연장된 작용 동안에 60일 및 그 초과에 이르기까지 구성될 수 있는 노출 시간이 또한 있다. 실시상, 적응의 발전은 60일 후에 통지된다.
적응을 방지하고, 효과를 증가시키며 후속된 세션에서의 맥박의 재생을 위해서, 환자에게 침이 피부의 유두 층을 통해서 동일한 방법으로 도입된다. 유두 층은 해면질에 특징이 있는데, 이러한 특징은 층 내로의 도입 동안에 침이 다소 비치 고 의사의 머리가 느슨한 연결 조직내로 마치 떨어지는 듯한 이유이다. 이러한 층에서의 침관 형성의 결과는 새로운 수용체 활성화로 인해서 그리고, 피부의 이러한 층의 특성인, 침을 작은 직경의 혈관내로 도입하는 동안의 외상에 의해서 형성된, 혈액 누출 출혈의 분산 동안에 발생하는 생화학적 과정으로 인해서 맥박이 활성화되는 것일 것이다. 침은 이전의 침을 제거하고, 이를 활성 구역에 남김으로써 환자에게 설치된다. 다음 도입은 동일한 지시에 따라서 처방된다.
다음 세션에, 천공의 과정이 동일한 방법에 따라서 반복되지만, 실시는 피부의 망상 층 내로 수행된다. 침은 노출에 요구된 시간 동안 유지된다. 표면 유두 층과는 상이하며 상피 바로 아래에 위치한 망상 층은 다량의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 및 소량의 망상 층을 포함하는 단단하고 느슨한 연결 조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모든 층 중 가장 단단하다. 피부의 이러한 층의 구조에 대한 데이터는 공지된 문헌에 주어져 있다[문헌: Anatomy of a Man, Borzyak E.J. et al., volume 2, Moscow, Medicine 1987, page 470]. 이러한 층 내로의 침 피팅을 위한 기준은 단단한 조직 매체의 느낌 및 특정의 추진력과 압력으로 침을 미는 수반된 필요성일 수 있다. 이러한 층에서의 침 작용의 결과는 활성화된 새로운 수용체에 기인한 맥박의 재생 및 그 결과로 인한 적응의 방지일 것이다.
일부의 경우, 침 고정의 신뢰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서브-망상 층 내로 침을 설치할 것이 권장되는데, 그 이유는 엘라스틴 및 콜라겐 섬유가 특유한 코르셋 형성에 기여하고, 그러한 형성이 피부를 통한 침의 방출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층 내로의 침 피팅의 기준은 보다 작은 저항으로 매체내로 손의 일탈 느 낌(feeling of lapse)일 것이다. 망상 층 하의 침의 양호한 허용은 또한, 그러한 층 아래에 위치한 침이 실질적으로 지방의 축적을 포함한 피하 페이스팔로우어(pacefollower)에 놓일 것이라는 사실에 의해서 요구된다. 깊은 진피 동맥 네트워크가 통과되며, 즉, 양호한 혈액 공급이 수행된다. 이는 모든 회복 과정뿐만 아니라, 상기 관(채널)의 형성을 위한 양호한 굴성의 최적의 통로를 의미한다. 깊은 림프 네트워크가 또한 피하 지방 세포 조직의 경계에서 형성되며, 깊은 네트워크의 림프 혈관은 혈관 근막에 연결되어 지역 림프절에 유도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역내에서의 양호한 림프 유출 및 정체 현상의 부재가 또한 치유를 위한 세포 재생 및 침관의 외피 형성에 기여할 것이다. 해부학적 특징은 지점상의 연장된 작용을 위해 형성된 관의 벽의 신뢰성 및 세기뿐만 아니라, 그 내부의 침의 존재에 대한 신뢰성을 규정한다. 서브-망상 층의 해부학적 특성은 체강, 감각(두개골-뇌척수)의 신경 섬유의 보다 발현된 신경망 및 서브 망상 층 및 피하 지방 세포 조직의 상부층 내의 베지테이티브 시스템(vegetative system)의 신경에 존재함이 지적되어야 한다. 양호한 신경 감응의 경우에, 보다 발현된 신경망은 구심성 섬유를 따라서 뇌 골수의 하부 중심 내로 들어올 것임이 공지되어 있다. 맥박의 흐름이 더 많으면, 이러한 작용으로부터의 치료 효과가 더 발현됨이 공지되어 있다.
다음 조직발생학적 층은 피하 지방 세포 조직의 층이다. 이는 특히 해부학적 지점 포뮬레이션에서의 적용의 경우에 급성이다. 이러한 경우에 동일한 결과가 구조의 특이성 및 지방세포의 혈액 공급으로 인해서 강화될 것이며, 이의 외상은 생물학적 활성 물질(히스타민, 프로스타글란딘)의 배출을 증가시킬 것이고, 그러한 결과로, 자극이 강해지고, 외상 효과가 더욱 강력해질 것이다. 침관내에 형성되며 피하 지방 세포 조직내에 위치하는 맥박의 흐름은 세션 전체의 치료 효과를 강화시킨다.
특정 임상의 경우에, 연골막 층에서 상기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외이의 귓바퀴상의 연골의 레피딕 조직(lepidic tissue)이다. 이러한 층의 특징은 평행한 빔 형태의 한 면에 위치한 콜라겐 섬유의 이용성이다. 침관은 또한 그 내부에 1년 및 그 초과 동안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는 새로운 수용체의 활성화일 것이며, 그로 인한-침술 작용에 대한 적응 방지 및 맥박의 재생일 것이다. 외이상에 위치한 지점상에 작용하는 일부 질병분류의 경우의 필요를 고려하여, 이러한 방법은 레피딕 조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조직발생학적 매체의 기본은 프로테인글리칸(proteinglycan)으로 이루어진 세포내 균일 물질에 의해서 둘러싸인 연골세포의 동종 세포 그룹에 의해서 형성된다.
포뮬레이션 어스펙트에서의 중요한 사항은 근육 층에서의 침관의 생성이다. 근육 층의 특성은 강력한 혈액 공급 및 신경 감응이다. 근육 조직은 근육 섬유의 무작위 수축에 특징이 있으며, 이는, 전개된 근육 네트워크가 발생하는 조건으로, 그들 사이의 브랜칭 융합(branching merging)을 지닌다. 상응하게, 맥박의 분배가 새로운 수용체를 포함한 근육의 모든 수용체 구역을 따라서 전개되어 맥박을 강화시키고, 적응의 발달을 방지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서, 맥박의 재생이 새로운 수용체를 스위칭(switching)하고, 그 결과, 침술 시술에 대한 적응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법의 다음 구체예는 인대의 수용체 장치의 연결이다. 인대, 근막 및 건의 단단한 섬유 비성형 조직은 섬유아세포, 탄성 및 망상 조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든 층에 작용을 생성시킨 후에, 새로운 수용체를 포함한, 맥박을 추가적으로 증가시키고 맥박 특성을 재생시키는 것이 필요한 경우의 실시의 경우가 존재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벤트 관의 생성이 이용되며, 이의 한 가지는 모든 조직발생학적 층을 통해서 인대까지 통과되고, 다른 브랜치는, 인대내에 벤트를 형성시키는 것과 같이, 동일한 층을 통해서 배출된다. 이러한 기술은 과정의 효과를 강화시키며, 그 결과, 신속한 치료 효과가 달성되게 한다.
침관 형성을 위한 층의 상기 과정은 권장 특성이며, 청구된 방법의 이용의 가능한 변화의 선택을 제한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상기 지적된 바와 같이 실시상 상기 선택은 확실한 상황 및 각각의 조직발생학적 층의 특이성을 기초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제안된 방법은 또한 소정의 조직발생학적 층 내에 한 세션중에 몇 개의 침을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안된 방법의 적용 결과가 실시에 따른 하기 실시예에 의해서 예시될 수 있다.
실시예 A. 환자는 최근 작은 골반의 필드에서 불규칙적인 통증 사이클을 호소하였다. 그녀는 3년 동안 난소 기능이상을 앓고 있다. 약물 치료는 약물 제제에 대한 알레르기로 인해서 처방 거부되고 있다. 전통적인 침술은 불안정한 결과를 나타냈다.
상이한 조직발생학적 층 내의 침관 형성에 의한 연장된 침술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결정을 하였다. 전침술(electropuncture) 진단에 의한 침술 세션 전에, 외이상의 가장 대표적인 지점이 선택되었다: AT 55(셍-멩(seng-meng)), AT 58(자궁), AT 82(격막), AT 83(중이). 지점들의 형상을 측정한 후에, 침을 표면 표피 층 내의 지점 AT 55내로 도입하고, 지점 AT 58로부터 배출시키고, 그 후에, 침을 록킹 부재로 그 위치에 고정하였다. 동일한 과정을 또 다른 쌍의 시침 지점에서 수행하였다. AT 82를 통해서, 침을 표피 층 내로 도입하고, 그러한 층을 통과시켜 AT 83으로부터 배출시켰다. 이러한 시술은 더 낮은 수준의 시상하부 구조상의 도입 작용에 대한 미세한 맥박 흐름을 생성시킨다. 침을 1.5개월 동안 유지시켰다. 다음 세션에서, 침을 제거하고, 동일한 지점을 통해서 그러나, 피부의 유두 층 내에서, 시술(action)을 수행하고, 침을 2개월 동안 유지시켰다. 유두 층 내에 많은 작은 직경의 혈관, 모세혈관 루프가 존재한다. 침 시술이 누출 출혈을 발생시키는 중에, 이러한 출혈의 분산 동안 그러한 인자에 기인한 맥박의 과생성이 발생한다. 이러한 층 내로의 침 피팅의 기준은 연질 물질로의 침을 댐핑(damping)하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환자는 사이클 날짜 동안 일반적인 상태의 개선, 즉, 통증의 감소를 지적했다. 유두 층으로부터 침을 제거한 후에, 피부의 더욱 단단한 층인 진피의 모세혈관 층 내로 침을 상기 연장된 시술 방법에 의해서 도입하였으며, 여기에, 다량의 수용체인 탄성 및 콜라겐 섬유가 위치한다. 새로운 조직 층으로의 작용의 회복은 맥박을 증가시키고, 적응의 발달을 방해한다. 침 고정을 개선시키는 것이 필요한 경우, 이러한 층 아래를 천공하는 것이 더 좋은데, 그 이유는 이러한 콜라겐 코르셋 및 엘라스틴 섬유가 침을 고정하고 이의 거부를 방해할 것이기 때문 이다. 침은 3개월 동안 유지되었다. 이러한 세션에서, 환자는 상태의 안정한 개선을 알려왔지만, 기간을 30일 정도 더 증가시켰다. 그런 후에, 모든 층을 통해서 지나가는 침 벤트(bent) 관을 생성시켰다. 침을 3개월 이상 동안 동일한 포뮬레이션 지점에 유지시켰다. 새로운 연장된 시술 방법에 의한 이러한 치료 기간 동안에, 환자는 일반적인 상태의 개선뿐만 아니라, 모든 병리학적 증상의 제거를 나타냈고-그러한 기간은 통증이 없고 정상이 되었다. 그 후에, 추가의 시술에 대한 처방이 없었고, 침이 외이에서 제거되었다.
실시예 1. 한 지점에서 반사 구역까지
58세의 노인 환자가 트레지메날(tregimenal) 신경의 신경통 악화를 호소하였다. 요통 유형의 급성 통증을 외이 및 내이의 구역에 비추는 병. 포함된 병력은 10년 동안 트레지메날 신경의 신경통을 앓고 있다는 것이다. 발병(attack)은 신경 스트레스를 과진정(over-cooling)시킴으로써 유발된다. 악화는 통상적으로 1 내지 2 개월마다 유발되었다. 그 전에, 그녀는 쿨한 전제(cool premises)에 머무름을 지적하였다. 통증의 발병은 낮 시간 동안에 나타나지만, 그러한 통증은 특히 밤에 발현되고, 그러한 통증은 통증 완화제에 의해서 중단되지 않으며; 그녀는 잠을 이룰 수 없고 아침에 일을 할 수 없다. 객관적으로: 외이 구역을 손으로 만지는 동안, 급성 통증은 내이에 대한 자극으로 지점 IG 19(틴-곤(tin-goon))에서 뿐만 아니라 안와 부위내의 혈골궁(zygomatic arch)을 따라서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을 멈추게 하기 위해서, 연장된 시술 방법에 의한 그 지점의 장시간 진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그 지점의 천공을 수행하였으며, 후속하여 침 말단을 침시술 지점으로부터 피부의 외부로 빼내었지만, 턱 신경(트레지멘탈(tregimental) 신경의 두 번째 가지(branch))의 근처에 위치된 신경 감응 구역으로 배출시켰다. 침은 진피의 유두 층으로 도입되고 침의 양 말단에 설치된 제거 가능한 록킹 부재에 의해서 피부의 외부에 고정된다. 다음 세션은 3주 후에 예약된다. 접수시에, 환자는 통증에 대한 호소를 하지 않았다. 그녀의 말에 따르면, 밤에 통증의 발병이 없었으며, 잠을 잘 잤고, 발병의 세기 및 빈도가 세션 다음날 즉각적으로 감소되었으며, 3일 동안 발병이 완전히 중단되었다. 결과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만성 특성 및 신경통의 악화 기간을 고려하여, 침을 1.5 개월 이상동안 유지시켰다. 1.5개월 동안에, 통증은 재발하지 않았고, 침 정위 계속 동안, 처방이 없었다. 침을 침관으로부터 제거하였다.
실시예 2. 한 지점으로부터 무관한 구역까지
침을 한 지점으로 도입하고 피부의 어떠한 편리한 부위로 배출시켰다. 7살의 환자. 그는 밤에 불규칙적인 소변에 대한 불편으로 그의 아버지에 의해서 세션에 참가하게 되었다. 그는 이러한 질병을 출생시부터 겪고 있다. 그는 신경 병리학자에 의해서 약제로 처방되었지만 결과를 얻지 못했다. 통상의 침술이 긍정적인 역학 없는 과정으로 수회 수행되었다. 야간뇨의 빈도는 매일밤 2 내지 3회였다. 객관적으로 - 배뇨 시스템의 병리학적 결함 소견은 없었으며, 분석에 의하면 정상이다. 조임근-배뇨근 협동장애의 진단이 내려졌다.
단기 야뇨증을 근절시키기 위해서, 소년에게 하부 다리의 하부 1/3 지점의 내부 표면에서 양측으로부터 지점 RP 6(새닌-드시아오(sanin-dsiao))에 선택적으로 연장된 시술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침을 지점 RP 6내로 도입하고, 침의 하단을 적당한 위치에 2cm 위에 도입하고, 록킹 부재를 두 측에 두었다. 붕대를 1주일 후에 제거하였다. 침관이 피하 지방세포 조직에 형성되었고, 상피가 형성되었으며, 피부 외피가 순수하였고, 침이 채널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며, 록킹 부재가 침이 두 부위에서 채널을 벗어나는 것을 억제한다. 연장된 치료 10일 후에 무작위 뇨가 매일 발생되지 않았으며, 3주 후에는 3 내지 4일의 클린 갭(clean gap)이 관찰되었다. 후속된 2개월 동안 야간뇨의 빈도는 1주일에 한번 관찰되었으며, 발병은 후속 3 개월 동안 0(제로)로 완만하게 가라앉았으며, 재발하지 않았다. 6개월 후에, 침을 침관으로부터 제거하였다.
실시예 3. 무관한 구역으로부터 한 지점까지
18살의 환자가 손발바닥의 발한에 대해서 호소하였다. 이러한 증상은 14세의 사춘기에 발생되었으며,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증상은 불안한 경우에 증가되며, 이는 정신-정서의 긴장 상태의 악화를 유발시키고, 환자는 그러한 경우에 심한 불편을 격게 된다. 게다가, 환자는 운전을 배우고 있으며, 습한 손바닥에서 운전대가 미끌어지면 도로 상에서의 그와 승객의 생명에 위험을 가할 것이다. 이용된 치료로는 신경학자에 의한 6개월간의 의약 치료 및 통상적인 방법에 의한 1 년간의 주기적인 침술 반사요법이었다. 현저한 치료학적 결과를 달성하지 못했다. 객관적으로: 상태는 만족스럽다. 피부 색은 정상이다. 시험 동안 손발 및 겨드랑이 부분의 다한증이 있다. 시험 동안 내부 기관의 병리는 밝혀지지 않았다.
특히, 혈관의 활동력 파괴(vegetative vascular dystonia) 동안 시술에 권장되는 가장 잘 알려진 일반적인 시술 지점-he gu(Gl 4)가 선택되었다. 최대의 강력한 맥박 흐름을 생성시키기 위해서, 침을 이러한 시침 지점에 인접한 구역으로부터 도입하고, 상이한 조직발생학적 층-표피, 유두, 망상, 피하 지방세포에 그리고 근육 층에 통과시키고, 이어서 그 지점 자체내에서 피부의 표면으로 배출시키고 록킹 부재에 의해서 고정시켰다. 따라서, 5 개의 침관이 동시에 형성되었으며, 그로부터, 구심성 신경을 따른 강력한 맥박 흐름이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에 유도되었다. 구심성 합성이 수행되며, 원심성 신경을 따른 맥박이 손의 손바닥 표면과 겨드랑이 부위의 피부의 망상 층에 위치한 땀샘으로 회귀되었다. 이러한 신호는 땀샘의 기능이상, 즉, 땀샘의 샘 세포에 의한 분비물 과생산을 조절하였다. 그 결과, 통상의 침술의 경우에 비해서 치료 효과가 더욱 신속하게 달성되었다. 즉, 2 개월 이내에 환자에게 막대한 정신적 불편을 주는 땀이 감소되었다. 환자의 말에 따르면, 무관한 구역으로부터 한 지점으로 연장된 시술 방법에 의한 침의 시술 후 이미 1 주일 이내에 땀샘 분비의 정상화가 발생했다.
실시예 4. 반사구역으로부터 반사구역까지
35살의 환자가 길고 강한 두통에 대한 고통을 호소했다. 그녀는 20년 전부터 편두통을 앓고 있다. 발병은 자발적이며, 외부 자극과 관련되지 않았다. 최근, 그녀는 강한 비-마취성 진통제에 의한 단기 통증이 있었으며, 이는 치료적 투약에 효과가 없었다. 객관적으로: 상태는 만족스러우며; 머리의 위치가 강제된다. 머리 회전시의 활동적 움직임은 통증을 악화시켰으며, 환자는 자신의 머리를 약간 앞으로 기울인 상태의 위치에 고정하였는데, 그러한 위치에서 통증이 적어도 안정되기 때문이다. 척주(vertebral column)의 목 부위를 시험하는 경우-운동은 전체에서 통증이 없었다. 안면의 일부 해면질이 주지된다. 외이 뒤의 2 구역의 시험 및 손으로 만지는 동안, 서로 1 cm의 거리의 새끼 손가락의 쿠션의 직경의 둘 모두가 예리한 통증을 느꼈다. 이러한 부위내의 통증 구역의 형상적 측정 동안, 단일의 침술 지점은 없다. 근처에 VB 20 및 VB 12가 있지만, 2 구역의 형태 내의 통증 진원지는 이들 지점 사이에 위치한다. 통증 구역을 길게 손으로 만지는 동안, 약간의 진정이 이루어짐을 나타냈다.
접수시에, 연장된 방법에 의한 침술이 침을 한 구역내로 도입하는 방법에 의해서 통증 구역내로 수행되고, 그 말단을 다른 구역으로부터 배출시키고, 후속하여 록킹 부재로 근육 층에 침을 고정시켰다. 침을 1 개월 동안 유지시켰다. 접수 1개월 후에 환자는 통증이 세션후 2 시간 동안 통증이 감소하기 시작함을 알려왔다. 침이 유지된 전체 기간 동안 통증이 재발하지 않았다. 침은 1 개월 동안 유지되었다. 반복된 접수에서 통증 발병이 없었다. 상태는 만족스러웠으며, 느낌이 좋았다. 침을 채널로부터 제거하였다.
실시예 5. 반사 구역으로부터 일정 지점까지
65세 환자가 우측 견갑골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이는 어깨 관절의 운동 동안 및 신체를 한 자세로 장시간 동안 고정하는 동안에 악화되었다. 통증은 견갑골 아래의 특정 부위에 대한 비춤(irradiation)으로 일정하다. 시험 동안 신체의 강제된 위치가 주목되었으며-우측 어깨가 약간 이동했다. 영향을 받은 측의 동계(palpitatorily)-연조직이 통증이 심해졌다. 깊게 손으로 만지는 동안, 콩알(bean seed) 크기의 밀도 증가 부분이 예리한 통증을 나타냈다. 그 때, 통증은 환자가 울음을 터트릴 정도로 어깨, 목에 비춰졌다. 이러한 증상은 목과 가슴 부분 - 촉발 구역 - 의 골연골증을 바탕으로 한 근육 섬유의 긴 경련의 경우에 촉발 구역의 발생에 의해서 규정된다[Shealy, C. Mortimer, J. Et Hagfor, N., 1970 - Dorsal column electroanalgesia. J. Neurosurg., 32, 560-564]. 이러한 경우에 권장된 통상의 레시피에 따른 촉발 구역에 수행된 통상의 침술은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수 치료(manual therapy)는 연령 한계로 인해서 환자에게 처방되지 않았다.
세션에서, 촉발 구역으로 연장된 시술 방법에 의해서 천공되고 3cm의 거리를 두고 국소 시술 지점 V45에서 침을 배출시켜서 돌출시킨다. 침은 록킹 부재에 의해서 고정되고, 표피 층, 표피 막, 유두, 망상, 에피콘드랄 층, 피하 지방 및 근육 층을 통해서 벤트 침관이 형성되며, 2 주 동안 유지된다. 2주 후에, 접수시, 환자는 그의 상태가 3일 이내에 개선되었음을 알려왔다. 그의 말에 따르면: "통증 없이 일어났다". 시험 동안 환자의 강제된 자세는 없었다. 촉발 구역에서의 잔류 통증이 손으로 만지는 동안 있었다. 침을 2 주 이상 동안 유지시켰다. 다음 접수시에, 통증은 완전히 사라졌지만, 침을 효과적인 완치를 위해서 10주 이상 동안 유지시켰다. 2.5 개월 후에, 접수시에, 침술 부위의 조직이 부드러웠으며 통증이 없었다. 환자는 기분이 좋았다. 통증은 재발되지 않았다.
실시예 6. 반사 구역으로부터 무관한 구역까지
23세의 환자가 좌측에서의 일정한 통증에 대한 고통을 호소했다. 통증은 무지근하게 느껴지는 특성을 지니며, 점진적으로 성가셨는데, 그러한 통증이 1 개월 동안 사라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부 기관의 시험에서, 병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객관적으로: 상태는 만족스러웠다. 위(stomach)는 부드럽고 통증이 없었다. 생리학적 기능은 정상범위에 있었다. 6 번째 갈비뼈 부분과 늑간공간을 손으로 만지는 동안, 중간 겨드랑이 선을 따라서 통증 부위가 밝혀졌다. 이 부분 위를 덮고 있는 피부는 변화가 없었다. 티크닝(thickening)도 없었다.
이러한 선택적 통증의 중심은 뭉툭한 프로브에 의해서 발견되었으며, 침은 연장된 시술 방법에 의해서 도입되었으며, 통증 부위 한계의 외부에서 다른 말단을 배출시켰다. 말단은 제거 가능한 록킹 부재에 의해서 고정되었다. 침을 피하 지방 층 내에 3일 동안 유지시켰다. 시험 동안에, 환자는 통증의 완화를 알려왔다. 침을 3 일 더 유지시켰다. 접수시에, 환자는 상태의 실질적인 개선을 알려왔다: 통증은 주기적으로 나타났지만, 전체 경미한 기간이 상당히 길어졌다. 환자는 1 개월 이내에 접수 예약되었다. 접수시에 환자는 고통이 없었다. 통증은 완전히 사라졌다. 침을 채널로부터 제거하였다.
실시예 7. 지점 한계내의 지점 그 자체
56세의 환자가 20년 동안 기관지 천식을 앓고 있다. 그녀는 악화 기간:봄-가을중에 규칙적인 약물 치료를 받는다. 악화 기간 사이에, 그녀는 기관지 진경 제제를 복용한다. 지난 2년 동안, 발병이 실제로 매일, 기본적으로는 그 해 전체에 걸쳐서 저녁 시간에 있었다. 요양 리조트 치료, 약물 치료, 통상의 침술은 발 현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기관지 경련의 발병의 단지 일시적인 완화를 나타낸다. 객관적으로: 환자는 규정식을 섭취하고 있으며, 정상 체격이다. 피부색은 정상이고, 깨끗하다. 폐 청진기에서, 숨이 거칠었고, 날숨이 길었다. 호흡 운동의 횟수는 분당 26회였으며, 호기 장해가 있었다. 호르몬 치료의 의문이 있었다.
호르몬 치료가 "복구(despair)" 치료임이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질병 분류의 치료를 위해서 처방된 저체 지점 복합에 대한 연장된 침술의 방법에 의한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외이 AT 13(부신), AT 15(목 및 후두), AT 28(뇌하수체), AT 51(심패틱(sympatic)), AT 31(천식), AT 55(셍-멩)상의 지점들이 선택되었다. 등의 후면 상에 다음 해부학적 지점을 선택한다: V 11, V41, V42, V13, V43, V15, V 17. 이러한 지점의 형태학적 구역이 각각의 지점에 대해서 결정되었다. 지점의 윤곽 에지 내에, 침을 도입하고, 지점의 전체를 통해서 통과시키고, 이어서, 침을 지점의 다른 에지로부터 배출시키고, 말단을 제거 가능한 록킹 부재로 고정하였다. 외이 지점을 위해서, 길이 205mm의 얇은 침이 선택되고, 이는 연골 층 내로 도입되고, 신체 지점의 경우 길이 1cm 내지 1.5cm의 더 긴 침이 도입된다. 상기 침은 벤트 침관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며, 표피 층, 표피 막, 유두 층, 망상 층, 에피콘드랄 층, 피하 지방 층 및 근육 층을 통해서 통과한다. 침은 28일 동안 환자내에 유지되었다. 다음 접수시에, 환자는 그녀의 상태에 대한 상당한 개선을 알려왔으며; 기관지 경련의 발병 횟수가 주 2 내지 3회로 감소하였다. 침은 2개월 이상 동안 유지되었다. 환자는 다음 접수에 오지 않았지만, 전화상으로 그녀의 상태가 점진적으로 호전되고 질식 곤란의 발병이 이미 1 내지 2회로 호전됨을 알려왔다. 그녀는 그녀가 질환으로 인해서 이전에는 할 수 없었던 사할린으로의 3개월 간의 딸 집에 체류하는 여행중임을 알려왔다. 10 개월 후의 접수시에, 환자는 3 내지 4주에 한 번의 드문 악화를 알려 왔으며, 이는 기관지 확장제에 의해서 용이하게 멈췄음을 알려왔다. 상태가 안정화되었고 우리가 진정 효과를 얻었음을 고려하여, 침을 외이 및 신체 지점로부터 제거하였다.
실시예 8. 반사 구역 경계내의 반사 구역
24세 환자가 과체중에 대한 고통을 호소했다. 시험 동안, 글루테오-페모랄 유형(glut대-femoral type)에 따른 지방 축적을 나타냈다. 객관적으로 -키 1.56, 체중 90. AT 17-19상의 연장된 작용의 세션이 수행되었고; 저-칼로리 식사가 처방되었다. 다음 접수를 1 개월 이내에 예약하였다. 다음 접수시에-체중은 3kg 빠졌다. 조미료가 없는 맛 없는 무염식을 섭취하는 경우에도 풍부한 맛 지각에 대한 불평. 그러한 지각은 아주 장시간 동안의 미각의 형태로 유지된다. 미각 기억 및 일시적 미각적 환각이 괴롭힌다.
실시에서 AT 17-18(갈증, 공복)시의 작용하에, 식욕 및 갈증이 차단되지만, 환자는 실질적으로 빈번하게 풍부하고, 산뜻한 미각 지각 및 미각 기억을 불평함이 주지되었다.
타액 샘 구역내에 위치한 설인신경의 구역상에 연장된 작용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구역에는 시술 지점이 존재하지 않지만, 이러한 구역에 작용을 브레이킹(braking)하는 동안, 미각 지각 및 타액 분비가 감소되며, 그 이유는 이러 한 신경의 감각 섬유가 미각 자극을 인식하고 베지테이티브(vegetative) 섬유가 타액 분비를 조절하기 때문임이 주지되었다. 연골 층 내에 침관 형성을 형성시키는 연장된 방법에 의한 안티로비움의 기초의 천공 구역으로서의 그러한 작용의 변화는 통상의 AT 17-18 천공에 비한 환자의 일부 명확한 치료 결과를 부여한다. 환자는 뇌신경-설인 신경 쌍의 수용체 9상의 작용에 대한 이러한 구역상의 천공을 지녔다. 다음 접수는 1개월 후에 예약되었다. 세 번째 접수시에-상태는 만족스러웠다. 이전의 증상에 대한 불평이 없었다. 체중은 7kg이 감소하였다. 추가로 환자에게서 안정적으로 좋은 느낌으로 체중이 감소했으며, 6개월 후에는 표준 체중(63kg)으로 체중이 감소되었다.
연장된 작용에 의한 제안된 침술 방법의 적용은 광범위한 범위의 질환의 비-약물 방법에 의한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적응의 효과를 극복함으로 인해서 연장된 작용에 의한 침술의 효용성을 유도하여, 반사작용의 세기를 변화시키고, 복합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이한 질병학적 형태를 지료하는데 이용되는 레시피의 선택을 확장시킨다. 방법 실시 동안 단순하고 저렴한 장치의 사용 가능성 및 최소의 부작용은 의학적 실시에서의 제안된 방법의 광범위한 적용을 제공하게 한다.

Claims (10)

  1. 연장된 작용을 지니는 침술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동안 경혈(acupuncture point)을 결정하며,
    침 도입 및 배출 지점을 선택하고, 침을 선택된 도입 및 배출 지점으로 통과시키고, 침의 양 말단을 환자 피부 밖으로 남기고, 침의 양 말단에 설치된 록킹 부재(locking member)에 의해 이 위치에 침을 고정시키고, 침술 세션(acupucture session)이 완료된 후에도 침을 지정된 시간 동안 환자의 체내에 남겨두는 단계를 포함하며,
    침 도입에 의해 침관(acusal tract)이 환자 조직의 상이한 조직발생학적 층 내에 형성되고, 각각의 침에 대한 도입 및 배출 지점이 경혈 구역, 및/또는 반사 구역 및/또는 무관한 구역(indifferent zone)에 위치한 지점에서 선택되는 침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조직발생학적 층이 표피 층, 표피 막, 유두 층, 망상 층, 에피콘드랄(epichodral) 층, 연골 층, 피하 지방 층, 근육 층, 인대, 근막 또는 힘줄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침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침술 세션을 수행하는 동안에 침이 단지 환자 조직의 조직발생학적 층 중 하나에서의 침관 형성을 위해 설치되며, 다른 조직 층에서의 침관 형성은 후속하는 침술 세션 동안의 침의 도입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침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침술 세션을 수행하는 동안에 침이 환자 조직의 상이한 조직발생학적 층에서의 침관 형성을 위해 설치되는 침술 방법.
  5.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침술 세션을 수행하는 동안에 침이, 이전 세션 동안에 설치된 침을 제거한 후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조직발생학적 층에서의 침관 형성을 위해 설치되는 침술 방법.
  6.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침술 세션을 수행하는 동안에, 침이 이전 세션 동안에 설치된 침을 제거하지 않고 하나 또는 다수개의 조직발생학적 층에서의 침관 형성을 위해 설치되는 침술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침을 고정시키기 위해 미끄러질 가능성이 있는 침의 몸체 상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록킹 부재가 사용되며, 지정된 위치 내의 침의 고정은 침 몸체의 소성 변형(plastic deformation)에 의해 이루어지는 침술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침에, 침의 말단에 설치되고 침의 몸체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게 설치된 록킹 부재가 구비되며, 이 록킹 부재 중 하나 이상은 이동가능하게 제작되는 침술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침의 몸체가 로드(rod) 형태로 강성있게 제작되거나 실(string) 형태로 가요성있게 제작되는 침술 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침의 몸체가 연성의 금속성 합금으로 제작되는 침술 방법.
KR1020097025582A 2007-05-07 2008-05-07 침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침 KR201000177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07117021/14A RU2365368C2 (ru) 2007-05-07 2007-05-07 Способ иглоукалывания с пролонгированным воздействием
RU2007117021 2007-05-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705A true KR20100017705A (ko) 2010-02-16

Family

ID=39944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582A KR20100017705A (ko) 2007-05-07 2008-05-07 침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침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8721673B2 (ko)
EP (1) EP2156816B1 (ko)
KR (1) KR20100017705A (ko)
AU (1) AU2008246378A1 (ko)
BR (1) BRPI0811266A2 (ko)
CA (1) CA2686797C (ko)
DK (1) DK2156816T3 (ko)
EA (1) EA014078B1 (ko)
ES (1) ES2439495T3 (ko)
GE (1) GEP20125685B (ko)
HK (1) HK1141434A1 (ko)
IL (1) IL201990A0 (ko)
MX (1) MX2009012060A (ko)
NZ (1) NZ581574A (ko)
RU (1) RU2365368C2 (ko)
UA (1) UA98489C2 (ko)
WO (1) WO200813670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10055A1 (de) 2010-03-03 2011-09-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duzierung der Herzrate eines Patienten sowie Einrichtung, aufweisend die Vorrichtung
CN103654882A (zh) * 2013-11-06 2014-03-26 刘春山 一种圆鍉针
RU2626249C2 (ru) * 2014-08-06 2017-07-2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ИКОТЕРА" Способ рефлексотерапии
US10596065B2 (en) 2014-12-09 2020-03-24 Nader Soliman Treatment of allergies and autoimmune diseases
RU2615866C1 (ru) * 2016-03-16 2017-04-11 Федеральнон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рвый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И.М. Сечен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ГБОУ ВО Первый МГМУ им. И.М. Сеченова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ой мигрени
RU2734051C1 (ru) * 2019-09-02 2020-10-1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страх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ГБОУ ВО Астраханский ГМУ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го лечения проявлений метаболического синдром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395324A1 (ru) * 1984-07-23 1988-05-15 Ангар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Гигиены Труда И Профзаболеваний Способ лечени вибрационной болезни
SU1505548A1 (ru) * 1987-12-17 1989-09-07 Центральный институт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врачей Способ лечени нейродистрофических синдромов шейного остеохондроза
SU1657185A1 (ru) * 1988-05-11 1991-06-23 Украинский Институт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Врачей Способ лечени заболеваний гастродуоденальной зоны у детей
EP0441070B1 (fr) * 1990-02-05 1995-02-15 André Dr. Cohen Dispositif comportant une aiguille percée et un réservoir
JPH03244405A (ja) 1990-02-21 1991-10-31 Yunibaasu Yamaki:Kk ピアス再使用方法
JPH07477A (ja) 1993-06-11 1995-01-06 Katsuya Takasu 耳ツボ突刺針およびピアス
JPH0898708A (ja) * 1994-09-30 1996-04-16 Sannatsutsu:Kk ピアスなどの耳飾り
WO1998035646A1 (fr) * 1997-02-14 1998-08-20 Sergey Dmitrievich Borodulin Aiguille pour therapie par acupuncture
RU26402U1 (ru) * 2002-08-22 2002-12-10 Покатилов Игорь Олегович Золотая игла для введения в ушную раковину с зажим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фиксации
RU2289391C2 (ru) * 2003-03-24 2006-12-20 Марият Мурадалиевна Мухина Способ пролонгирован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акупунктурные точки
RU52330U1 (ru) 2005-07-20 2006-03-27 Марият Мурадалиевна Мухина Игла для иглорефлексотерапии
NZ566066A (en) * 2005-07-20 2012-03-30 Frey Medical Technologies Ag Acupuncture device including a needle rod having a detachable retainer mounted to its end
RU2286133C1 (ru) * 2005-07-20 2006-10-27 Марият Мурадалиевна Мухина Игла для иглорефлексотерапии
RU66955U1 (ru) 2007-05-07 2007-10-10 Марият Мурадалиевна Мухина Укалыва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пролонгированного акупунктур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36709A2 (ru) 2008-11-13
ES2439495T3 (es) 2014-01-23
RU2365368C2 (ru) 2009-08-27
MX2009012060A (es) 2010-02-12
EA014078B1 (ru) 2010-08-30
EP2156816A2 (en) 2010-02-24
EP2156816A4 (en) 2012-05-09
AU2008246378A1 (en) 2008-11-13
IL201990A0 (en) 2010-06-16
EA200901493A1 (ru) 2010-04-30
GEP20125685B (en) 2012-11-12
RU2007117021A (ru) 2008-11-20
US20130144319A1 (en) 2013-06-06
BRPI0811266A2 (pt) 2014-12-23
CA2686797C (en) 2013-10-01
HK1141434A1 (en) 2010-11-12
CA2686797A1 (en) 2008-11-13
US8721673B2 (en) 2014-05-13
US20100137896A1 (en) 2010-06-03
NZ581574A (en) 2012-06-29
UA98489C2 (ru) 2012-05-25
WO2008136709A3 (ru) 2008-12-31
EP2156816B1 (en) 2013-09-18
DK2156816T3 (da) 201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7705A (ko) 침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침
AU2006270526B2 (en) Method for stimulating the organism biochemical reactions for treating organs and tissues, a board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and a board emitter
WO2011146526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therapy of migraine and related headaches
RU2385169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детей с посттравматическими повреждениями конечностей в послеоперационном периоде
RU2576084C1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 устранения изменений кожи лица, вызванных старением
Yosepha et al. The Effect of Effleurage Massage on the Intensity of Primigravida Stage I Labor Pain Latent Phase
AU2013200144A1 (en) Method of Acupuncture with Prolonged Action
Schmidt Nociception and pain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et al. Chronic pain: Hope through research
US10765598B2 (en) Negative pressure device and methods thereof
RU2290971C1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организма человека
RU2763476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мигрени
Yang et al. Research on the Different Frequencie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Acupoint Stimulation for Postpartum Pelvic Girdle Pain
RU2289391C2 (ru) Способ пролонгирован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акупунктурные точки
Pawluk Pain management with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treatment
Subbiah An Impact of Myofascial Release Technique on Management of Planter Fasciities
EA010861B1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функциональных расстройств организма человека
RU2233149C1 (ru)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избыточной массы тела и коррекции фигуры
RU2637416C2 (ru) Способ пролонгированной рефлексотерапии нитями для коррекции постурального дисбаланса
RU2233677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сосудистых головных болей
RU2320311C1 (ru) Способ пролонгирован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акупунктурные точки и игла (варианты) для него
SU1526692A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 генитального эндометриоза
RU2290916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поясничного остеохондроза
BOSHOFF Mesotherapy Eporex Treatments on Post-operative Mammary Reduction Scarring
RU2425660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первичной открытоугольной глауком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