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6197A - 전력을 분배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파라미터화가능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력을 분배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파라미터화가능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6197A
KR20100016197A KR1020097023014A KR20097023014A KR20100016197A KR 20100016197 A KR20100016197 A KR 20100016197A KR 1020097023014 A KR1020097023014 A KR 1020097023014A KR 20097023014 A KR20097023014 A KR 20097023014A KR 20100016197 A KR20100016197 A KR 20100016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point
distribution point
mod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비드 루오
Original Assignee
다비드 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비드 루오 filed Critical 다비드 루오
Publication of KR2010001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4/00Circuit arrangements for mains or distribution networks not specified as ac or d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101); 상기 전원의 적어도 하나의 전원 분배점(1081); 적어도 두개의 서로다른 분배 모드들로부터 선택된 전원 분배 모드를 적어도 하나의 전원 분배 소스와 관련시킬 수 있는 선택수단(1061); 및 상기 분배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전원 분배 모드와 관련된 각 전원 분배점에 의해 분배된 전원의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특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수단(104)을 포함하는 전원 분배 및 관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을 분배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파라미터화가능한 디바이스{METHOD AND PARAMETERISABLE DEVICE FOR DISTRIBUTING AND MANAGING POWER}
본 발명은 파라미터화가능하고 제어가능한 전기 분배 및 관리를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가정용 또는 산업용 전기네트워크와 이들 네트워크의 확장에 적용된다.
전력공급을 필요로 하는 모든 기구는, 예를 들어 단상 네트워크의 두개의 급전선 및/또는 광중성선에 연결함으로써 직접 전기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또는 전기 소켓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기네트워크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기는 원점(예를 들면, 파워 그리드)에서 연결 기구들로 분배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네트워크는 모든 분배점들에 이원화된 방식 및 동일한 방식으로 전기를 공급한다. 그것은 모든 연결 기구들로의 전기를 네트워크가 동시에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기구들이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일부 기구들(예를 들면, 팩스기 또는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은 이용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또는 프로그램된 레코딩을 위해 종종 대기상태로 놓일 필요가 있는 반면에, 기구들(예를 들면, 텔레비젼 또는 스캐너)은 사용되지 않을 때 전원공급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이들 기구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유일한 방식은 매번 이들을 수동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가정용 네트워크에 대하여, 이들 기구들은 하루에 서너번 물리적으로 차단되어야 한다. 이러한 복잡성 때문에, 이들 기구들은 일반적으로 전원공급이 완전히 차단되지 않아 대기 모드로 전기를 지속적으로 소모하여 다수의 기구들이 있는 경우에 보다 불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 분배 및 관리 디바이스는, 전원과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수단;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분배점; 적어도 두개의 서로다른 분배 모드로부터 선택된 전기 분배 모드를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분배점과 관련시키는 선택수단; 및 상기 분배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전기 분배모드와 관련된 각 전기 분배점에 의해 분배된 상기 전원의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연결된 기구의 특성에 따라 전기 분배점이 구성된다. 예를 들면, 분배 모드들은 "비 대기" 모드, 즉 분배점에 대한 완전한 전기공급 차단 가능성을 포함한다. 기구가 분배점에 연결될 때마다, 당신은 대기 상태가 필요한지 여부를 동시에 정의한다. 따라서, 단일 네트워크에 대한 중앙 명령에 의해, 대기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기구들을 제외한 모든 기구들에 대한 완전한 전기공급 차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전기 분배 네트워크는 연결된 기구의 특성에 근거하여 각 분배점의 특성을 파라미터화함으로써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산업용 네트워크 또는 가정용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재의 네트워크로 연장가능한 소켓 베이스, 예를 들어 멀티 소켓에 집적될 수 있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분배모드들 중 하나가 상기 전원 영구 통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분배모드들 중 하나가 각 관련 분배점에 대한 전원공급의 즉시 또는 지연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전기 분배 네트워크는 각 분배점에서 상당한 개수의 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완전히 파라미터화가능해진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선택수단 및 상기 조정수단은 독립적인 전원에 의해 전원공급된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선택수단 및/또는 상기 조정수단은 사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기는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대표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며, 다른 부분들과 다른 지리적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정수단은 상호작용들 또는 인간들의 존재를 수신 및 해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 또는 무선 접촉기를 포함한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정수단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독립적인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명령을 대표하는 신호를 수신 및 해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시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가까운 인근에 있는 접촉기 또는 검출기에 의한 상호작용에 의해, 가까이에 있는 리모콘에 의한 상호작용에 의해, 또한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 직접적으로 없는 경우라도 사용자는 전체 네트워크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그녀가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갈 때 난방시 사용자는 그/그녀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신호를 스위치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은 이 신호를 해석하여 난방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는 분배점에 전원을 공급한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배모드의 선택수단은 분배점에 있치하는, 사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기는 상기 분배점에 있는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상기 분배 모드를 파라미터화한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정수단은: 인터페이스 모듈로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과의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대표하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및 각 파리미터화가능한 분배점에 대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 분배점에 의해 분배된 전원의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전환모듈을 포함한다.
유선 또는 무선 송신에 의해 인터페이스 모듈과 전환 모듈들 간에 신호들이 전달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분배 네트워크는 독립적인 베이스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베이스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위한 것이고, 전환 모듈들의 베이스들 각각은 분배될 전원에 연결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분배점을 포함한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각 전환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 또는 또 하나의 전환모듈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재방출하기 위한 이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신호는 특히 베이스가 제한된 범위의 무선 베이스, 예를 들어 적외선인 경우에 모든 분배점들로 릴레이될 수 있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각 전환모듈은 해당 분배점에 위치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분배점으로의 전기 통과를 차단 또는 인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전기 또는 전기 기계 스위치를 포함한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정수단은 각 분배점에 유일한 식별자를 할당하고 단일 분배 모드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와 관련된 전환 명령을 모든 전환모듈들에 전달하기 위한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환모듈은 분배점들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상기 명령과 관련된 수취자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식별자를 위한 각 명령을 인식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바이스는 상당한 개수의 모드들로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간단한 해결책을 제공하며, 또한 케이블링을 단순화한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선택수단은 기구가 분배점에 연결될 때 또는 상기 선택수단으로부터의 요구시 상기 기구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기구가 연결된 분배점의 식별자와 분배모드를 관련시킨다.
상기 신호는 기구의 특성들 또는 미리정해진 분배모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기구가 분배점에 연결되어 의미있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에 분배점은 분배될 전기 모드를 자동적으로 선택한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환모듈은 관련 분배점에 연결된 기구의 존재를 검출하고 이를 상기 선택모듈에 알린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선택 모듈은 기구가 분리되면 상기 분배점을 디폴트 모드로 리셋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이 디바이스는 다음의 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동적 모드에서 분배점이 비활성화되면, 두번째 기구를 연결하기 위해 분리되는 경우에, 기구에 전원공급이 안되기 때문에 기구는 파라미터화를 수행하기 위한 선택수단에 정보를 전달할 수 없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선택수단 및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디바이스의 관리 권한을 체킹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이 디바이스는 전체 네트워크 및 그 설치에 보안성을 제공하여 산업 네트워크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
특정 특징에 따르면, 각 분배점은 분배 모드들과 같은 연결부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각 연결부는 분배모드를 나타내며, 중성선을 제외한 상기 전원의 능동선에 연결된다.
분배모드 선택에 따르면, 분배점은 단 하나의 대응 연결부에 연결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이 디바이스는 제한된 개수의 분배모드들을 위해 크게 간소화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기 분배 및 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분배점에 전원공급하는 단계; 적어도 두개의 서로다른 분배 모드들로부터 선택된 전기 분배 모드를 각 전기 분배점과 관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점을 파라미터화하는 단계; 및 상기 분배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상기 전기 분배모드와 관련된 각 전기 분배점에 의해 분배된 전원의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멀티 소켓은 상술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 및 상기 멀티소켓의 장점들, 목적들 및 특성들은 상술한 분배 및 관리 디바이스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 목적들 및 특성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1b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배점들이 벽 소켓들인 가정용 디바이스를 부분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4는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5는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7은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a에 예시된 제1 실시예에서, 전기 분배 디바이스는 두가지 분배 모드, 즉 "영구" 모드와 "동적" 모드를 이용한다. 영구 모드는 분배점들에 대한 영구 전원공급에 해당한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동적 모드는 분배점들로의 임시 전원공급에 해당하며, 여기서 후자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전원공급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도 1a는 전기 에너지원(예를 들면, 파워 그리드)과의 연결수단(101), 및 각각 선택될 두 분배모드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키는 두개의 선택수단(두개의 전환기)(1061 및 1062)에 각각 연결된 두개의 분배점(1081 및 1082)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00)를 나타낸다. 선택수단(1061 및 1062)은 경로(1021)에 의해 직접 또는 조정수단(전기 전환기)(104)을 통해 전원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선택수단은 어느 경로를 통해 분배점들을 전원에 연결할 지를 결정한다.
대기 기능을 이용하는 첫번째 기구를 사용자가 분배점(1081)에 연결하면, 사용자는 영구 분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전환기를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이 기구는 경로(1021)를 통해 전원에 직접 연결된다.
사용자가 두번째 기구를 분배점(1082)에 연결하고 대기 기능을 원치 않으면, 사용자는 동적 분배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전환기를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이 기구는 조정수단(104)을 통해 전원에 연결된다.
이 방법으로, 사용자가 모든 불필요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를 원하면, 예를 들어 그/그녀가 자리를 떠나면, 그/그녀는 전환기(104)를 첫번째 기구에는 전원공급을 유지하면서 두번째 기구의 전원공급은 차단하는 개방 위치로 놓기만 하면 된다. 그/그녀가 다시 전원공급을 원하면, 그/그녀는 전환기(104)를 폐쇄 위치로 놓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용에 의해, 전원의 특성을 조정함으로써, 경로를 인가 또는 차단하는 경우에, 동적 모드에서는 분배점들 뿐만 아니라 이들 분배점들에 연결된 기구들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면서, 네트워크내의 다른 분배점들로의 영구 전원공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디바이스(110)는, 각각 분배 모드에 해당하는 두개의 연결부(11811 및 11812)를 구비하며 분배모드 선택수단이 있는 파라미터화가능한 분배점(1181), 및 선택수단이 없는 또 하나의 비파라미터화가능한 분배점(1182)을 포함한다. 연결부(11811)는 조정수단(전기 전환기)(114)를 통해 전원에 연결되고, 연결부(11812 및 11821)는 경로(1121)를 통해 전원에 직접 연결된다. 이 변형예에서, 전원은 각각 분배점(1181 및 1182)의 연결부(11813 및 11822)에 직접 연결된 중성상 또는 접지상을 포함한다. 이렇게 하여 디바이스의 선 개수가 줄어든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용에 의해, 사용자는 하나의 분배점에서 서너개의 연결 부를 갖는다. 사용자는 선택된 분배모드에 해당하는 연결부에 기구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분배모드를 선택한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영구" 및 "동적" 분배모드를 갖는, 벽 소켓들을 포함하는 가정용 전기 분배 디바이스를 부분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전기 에너지원과의 연결수단, 벽 플립-플롭 스위치(124), 및 각각 벽 소켓(1281 및 1282)와 각각 슬라이딩 전환기(1261 및 1262)를 갖는 두개의 벽 블록(1201 및 1202)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20)를 나타낸다. 전환기(1261 및 1262)는 각각 벽 소켓(1281 및 1282)에 대하여 선택될 두개의 분배모드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킨다. 스위치(124)는 차단(OFF 위치) 및 설정(ON 위치)될 "동적" 분배 모드로 에너지원과 벽 소켓들 간의 연결을 인에이블시킨다.
사용자가 "대기" 기능을 이용하는 첫번째 기구를 벽 소켓(1281)에 연결한 경우에, 사용자는 슬라이딩 스위치(1261)를 위치 "P"에 놓는다.
사용자가 두번째 기구를 벽 소켓(1282)에 연결하고 대기 기능을 원치 않는 경우에, 사용자는 슬라이딩 스위치(1262)를 위치 "D"에 놓는다.
이 방법으로, 사용자가 모든 불필요한 전원공급을 차단하기를 원하면, 예를 들어 그/그녀가 자리를 떠나면, 그/그녀는 예를 들어 출구 근처에 위치하는 스위치(124)를, 첫번째 기구로의 전원공급은 유지하면서 두번째 기구의 전원공급은 차단시키는 OFF 위치로 놓기만 하면 된다. 그/그녀가 다시 전원공급을 원하면, 그/그녀는 전환기(124)를 ON 위치에 놓기만 하면 된다.
도 3에 예시된 제2 실시예에서, 전기 분배 디바이스(200)는 두 분배 모드인 영구 모드와 동적 모드를 이용한다. 각 조정수단은 적어도 두개의 모듈인 인터페이스 모듈과 전환 모듈을 포함한다.
도 3은 전원과의 연결수단(201), 및 경로(2021)에 의해 직접 또는 각각 전환모듈(전기 전환기)(2042 및 2043)을 통해 전원에 각각 연결된, 두개의 분배모드를 이용하는 두개의 선택수단(두개의 전환기)(2061 및 2062)에 각각 연결된 두개의 분배점(2081 및 2082)을 포함하는 디바이스(200)를 나타낸다.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전환기)(2041)는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대표하는 신호가 모든 전환모듈(2042 및 2043)로 전달되도록 한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 제2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연결된 각 기구에 대하여 분배모드를 선택한다. 그/그녀가 모든 불필요한 전원공급을 차단하기를 원하면, 예를 들어 그/그녀가 자리를 떠나면, 전원공급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요구를 수신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은, 동적 모드에서 모든 분배점들에 대한 전원공급 차단을 담당할 모든 전환모듈(2042 및 2043)에 대표 신호를 전달한다. 다양한 수단 및/또는 모듈 간의 통신수단이 하기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예로서 상세히 기개되어 있다. 그/그녀가 다시 전원공급을 원하면, 그/그녀는 전원공급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을 발행하기만 하면 된다.
도 4에 예시된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디바이스(210)는 전원과의 연결수단(211) 및 두개의 분배점(2181 및 2182)을 포함한다. 이들 점들은 각각 전환모듈(전환기)(2142 및 2143)을 통해 전원에 연결된다. 디폴트로서 이들 모듈은 통과 모듈이며, 따라서 전기가 분배점들로 통과할 수 있다.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전환 기)(2041)은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대표하는 신호가 두개의 선택 모듈(전환기)(2061 및 2062)로 전달되도록 한다. 분배 모드에 따라, 이들 두개의 선택 모듈(2061 및 2062)은 분배점들의 전환모듈들로 신호를 라우팅하거나 또는 라우팅하지 않는다.
디폴트로서, 디바이스는 영구 모드에 있다. 따라서, 분배점들은 전원에 연결된다. 선택수단은 인터페이스 모듈의 신호를 전환모듈로 라우팅하지 않는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동적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수단은 인터페이스 모듈의 신호를 해당 전환모듈로 전달한다. 따라서, 분배점은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해 제어된다.
도 3 및 4에 예시된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인터페이스 모듈은 전원에 의해 직접 전원공급된다. 다른 변형예로, 인터페이스 모듈은 다른 소스, 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전원공급된다.
도 3 및 4에 예시된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해 전달된 신호는 예를 들어 진폭변조를 통해 전력선 반송 기술에 근거하여 전기신호로 직접 반송되며, 전환모듈은 변조된 신호를 해석할 수 있는 변조 검출기를 포함한다. 선택수단은 변조 검출기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로 구성된다.
도 5에 예시된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신호는 라디오 이미터(2252)에 의해 무선 매체, 예를 들어 적외선 또는 라디오파를 통해 인터페이스 모듈(2241)에 의해 전달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각 전환모듈(2242,2243)은 전달된 신호를 수신 및 해석할 수 있는 동일 타입의 리시버(2254,2256)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예시된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각 전환모듈(전환기)(2242,2243)은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2241)에 의해 처음에 전달된 라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라디오 리시버(2254,2256)와, 다른 인접 전환모듈들로 동일한 라디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라디오 이미터(2255,2257)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모듈은 분배 디바이스와 독립적인 모듈, 예를 들어 리모콘이다. 이는 특히 이러한 디바이스의 설치를 단순화한다. 예를 들면, 현재의 가정용 네트워크에 이러한 디바이스를 설치하기 위해, 전체 네트워크를 재배선할 필요없이 월 소켓 형태인 이러한 디바이스의 파라미터화가능한 분배점들로 표준 벽 소켓들을 대체하기만 하면 된다. 이 디바이스는 전용 리모콘 또는 이 기능으로 전용된 리모콘에 의해 제어된다.
도 5에 예시된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인터페이스 모듈(2241)은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독립적인 디바이스, 예를 들어 휴대폰 또는 컴퓨터 단말기에 의해 전달된 명령을 대표하는 신호를 수신 및 해석하기 위한 리시버(2251)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특정 장소에 도착하기 전에 난방 시스템의 활성화를 원격으로 명령하기 위해, 사용자는 난방 활성화 요구를 대표하는 신호 또는 메시지를 해당 인터페이스 모듈로 전달하기 위해 그/그녀의 휴대폰을 이용한다. 이 신호를 수신, 체킹, 및 해석한 후, 이 인터페이스 모듈은 난방 관리 시스템들이 연결어 있고 이 분배 모드와 관련된 모든 분배점들로 활성화 명령을 전달한다. 관리 시스템은 난방을 활성화시킨다.
도 6에 예시된 제3 실시예에서, 각 분배점은 유일한 식별자를 갖는다. 조정수단은 적어도 두 부분, 즉 관리모듈과 전환모듈을 포함한다.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시, 관리모듈은 중앙집중화된 방식으로 분배점들의 분배모드들을 선택하고 수취자의 식별자들과 관련된 명령을 모든 전환모듈들로 전달한다. 식별자들에 대응하는 모듈들만 명령을 처리한다.
도 6은 전원과의 연결수단(301) 및 두개의 분배점(3081 및 3082)을 포함하는 디바이스(300)를 나타낸다. 이들 점들은 두 전환모듈(전환기)(3042 및 3043)을 통해 상기 전원에 연결된다. 관리모듈(3041)은 분배모드를 식별자들과 관련짓기 위해 각 분배점에 유일한 식별자를 할당하고 인간의 상호작용을 대표하는 명령 신호를 해석한다. 또한, 관리모듈(3041)은 식별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와 관련된 전환 요구를 대표하는 신호를 이미터(3052)를 통해 전환모듈(3042 및 3043)로 전달한다. 전환모듈(3042 및 3043)은 식별자들을 저장하며 또한 명령이 식별자들을 위한 것인지를 인식하고 만약 그렇다면 그것을 처리하기 위한 리시버(3054 및 3056)를 각각 포함한다.
따라서, 디바이스에 전원이 공급되면, 관리모듈은 식별자를 각 전환모듈에 할당하고, 각 전환모듈은 그것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분배점에 연결된 각 기구에 대하여, 사용자는 관리모듈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기구의 특성에 따라, 분배점 식별자로 분배모드를 기구와 관련시킨다. 관리모듈은 동일한 분배모드, 예를 들어 동적모드와 관련된 식별자들을 자동적으로 그룹화한다. 자리를 떠나기 전에, 사용자는 모든 관련 수취자 식별자들로 이 명령을 대표하는 신호를 모든 전환모듈로 전달 하는 관리모듈 인터페이스를 통해 명령을 초기화한다. 수취자는 그들 자신을 인식하고 해당 명령을 실행한다.
이렇게 하여 분배점들의 파라미터화는 관리모듈로 집중된다.
도 6에 예시된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이미터(2252)와 리시버들(3054 및 3056) 간의 통신은 무선 통신이다.
도 6에 예시된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관리모듈은 분배점들의 파라미터화 및 조정을 전적으로 이들 권한들을 갖는 관리자로 제한한다.
이렇게 하여, 디바이스는 전체 네트워크와 설치에 보안성을 제공하여 산업 네트워크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기구들의 특성들은 분배점에 연결될 때 관리모듈로 전달된다.
도 7은 전원과의 연결수단(311), 두개의 분배점(3181 및 3182), 및 두개의 정보점(3191 및 3292)을 포함하는 디바이스(310)를 나타낸다. 관리모듈(3141)은 각 분배점에 유일한 식별자를 할당한다. 분배점들은 두개의 전환모듈(전환기)(3142 및 3143)을 통해 상기 전원에 연결된다. 이들 모듈은 정보점들(3155 및 3157)을 통해 각각 기구들(3101 및 3102)에 의해 전달된 정보 신호들을 수신하고, 이 정보의 모두 또는 일부를 분배점들의 식별자를 갖는 관리모듈의 리시버(3151)로 전달하기 위한 릴레이 모듈(3155 및 3157)을 포함한다. 관리모듈(3141)은 이 정보를 수신 및 처리하고 분배모드를 이 식별자, 즉 분배점과 관련짓는다. 또한, 관리모듈(3141)은 인터페이스에서 인간의 상호작용을 대표하며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와 관련된 신호 를 이미터(3152)를 통해 전환모듈(3142 및 3143)로 전달한다. 모듈(3142 및 3143) 은 각각 리시버(3154 및 3156)를 포함하며, 식별자들을 저장하고 명령이 식별자들을 위한 것인지를 인식하고 그렇다면 그것을 처리한다.
이렇게 하여, 분배모드들의 파라미터화는 완전히 자동적이다. 사실상, 기구가 분배점에 연결되면, 관리모듈은 이 기구의 특성들과 분배점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이 식별자와 분배모드를 자동적으로 관련짓는다. 또한, 관리모듈은 그것을 동일한 분배모드와 관련된 분배점들의 다른 식별자들과 그룹화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전환모듈은 관련 분배점에 연결된 기구의 존재를 검출하고 이를 관리모듈에 알린다. 관리모듈은 기구가 분리되면 분배점을 디폴트 모드로 리셋한다.
상기 설명의 전체에 걸쳐, 전원은 전기 에너지의 흐름을 모든 형태로 전달할 수 있는 소스로서 정의되어 있다. 전원은 직류 또는 교류의 단상 또는 3상일 수 있으며, 중성선을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설명의 전체에 걸쳐, 두가지 분배모드(영구 모드 및 동적 모드)가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두가지 분배모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일정한 시간후에 명령이 실행되는 지연 모드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의 전체에 걸쳐, 소스에서 분배점들로의 전원 흐름을 통과 또는 차단시키는 조정수단이 예로서 설명되었다. 하지만, 조정수단은 이들 기능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원의 모든 특성들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너지 흐름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의 전체에 걸쳐,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대표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로 제공하기 위한 전기 전환기를 포함하는 조정수단 또는 인터페이스 모듈이 예로서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서로다른 지리적 영역에 퍼져 각각이 대표 신호를 제공하는 서너개의 전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의 전체에 걸쳐, 사용자가 상기 전환기와 상호작용할 때 전기 전환을 수행하는 전기 전환기가 예로서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모든 타입의 정전환기, 예를 들어 기계적인 또는 전기적인 전환기들, 원격제어 스위치들, 촉감 또는 비촉감 멤브레인 전환기들, 광 전환을 이용한 전환기들, 임피던스 및 캐패시턴스 변형물 예를 들어 리드, 푸시게이트, 압전 및 홀 효과 접촉기들, 라디오파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비접촉 검출 전환기들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의 전체에 걸쳐, 스위치는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와 상호작용할 때 전기 공급정지를 수행하는 특수한 전환기로서 정의된다.
상기 설명의 전체에 걸쳐, 예로서 일부 링크는 유선으로 설명되고 일부 링크는 무선으로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유선 및/또는 무선의 모든 링크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기를 분배 및 관리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전원과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수단(101);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분배점(1081);
    적어도 두개의 서로다른 분배 모드로부터 선택된 전기 분배 모드를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분배점과 관련시키는 선택수단(1061); 및
    상기 분배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전기 분배모드와 관련된 각 전기 분배점에 의해 분배된 상기 전원의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수단(1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분배모드들 중 하나가 상기 전원 영구 통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분배모드들 중 하나가 각 관련 분배점에 대한 전원공급의 즉시 또는 지연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 및 상기 조정수단은 독립적인 전원에 의해 전원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1061) 및 상기 조정수단(104)은 사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기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접촉기는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대표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104)은 상호작용들 또는 인간들의 존재를 수신 및 해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 또는 무선 접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104)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독립적인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명령을 대표하는 신호를 수신 및 해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시버(22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모드의 선택수단은 분배점에 있치하는, 사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기는 상기 분배점에 있는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상기 분배 모드를 파라미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인터페이스 모듈(2041)로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과의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대표하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2041); 및
    각 파리미터화가능한 분배점에 대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 분배점에 의해 분배된 전원의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전환모듈(2042 또는 20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각 전환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 또는 또 하나의 전환모듈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재방출하기 위한 이미터(2255 또는 22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각 전환모듈은 해당 분배점에 위치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분배점으로의 전기 통과를 차단 또는 인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전기 또는 전기 기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각 분배점에 유일한 식별자를 할당하고 단일 분배 모드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와 관련된 전환 명령을 모든 전환모듈들에 전달하기 위한 관리 모듈(304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모듈(3142)은 분배점들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상기 명령과 관련된 수취자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식별자를 위한 각 명령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기구가 분배점에 연결될 때 또는 상기 선택수단으로부터의 요구시 상기 기구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기구가 연결된 분배점의 식별자와 분배모드를 관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모듈은 관련 분배점에 연결된 기구의 존재를 검출하고 이를 상기 선택모듈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6. 상기 선택 모듈은 기구가 분리되면 상기 분배점을 디폴트 모드로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 및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디바이스의 관리 권한을 체킹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분배점은 분배 모드들과 같은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9. 전기를 분배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분배점에 전원공급하는 단계;
    적어도 두개의 서로다른 분배 모드들로부터 선택된 전기 분배 모드를 각 전기 분배점과 관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점을 파라미터화하는 단 계; 및
    상기 분배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상기 전기 분배모드와 관련된 각 전기 분배점에 의해 분배된 전원의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소켓.
KR1020097023014A 2007-05-10 2008-05-13 전력을 분배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파라미터화가능한 디바이스 KR201000161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3355A FR2916094B3 (fr) 2007-05-10 2007-05-10 Procede et dispositif de distribution et gestion d'electricite parametrable.
FR0703355 2007-05-10
FR0703584A FR2916095A1 (fr) 2007-05-10 2007-05-21 Procede et dispositif de distribution et gestion d'electricite parametrable
FR0703584 2007-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197A true KR20100016197A (ko) 2010-02-12

Family

ID=3927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014A KR20100016197A (ko) 2007-05-10 2008-05-13 전력을 분배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파라미터화가능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56833A1 (ko)
EP (1) EP2171826A2 (ko)
JP (1) JP2010535009A (ko)
KR (1) KR20100016197A (ko)
CN (1) CN101682189A (ko)
FR (2) FR2916094B3 (ko)
WO (1) WO200813931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737B1 (ko) * 2010-07-19 2013-03-13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의 급전라인 전력공급 시스템
KR101523265B1 (ko) * 2013-05-28 2015-05-27 주식회사 유캐스트 가로등 관제 시스템, 클러스터 트리 구조 및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9238328A1 (en) * 2008-11-21 2010-06-10 Richard Bisinella A power saving general purpose outlet
JP6715464B2 (ja) 2015-11-06 2020-07-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力送信装置及び電力受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1597A (en) * 1995-03-29 1999-10-26 Hubbell Corporation Multifunction sensor and network sensor system
US5565714A (en) * 1995-06-06 1996-10-15 Cunningham; John C. Power conservation circuit
DE29810561U1 (de) * 1998-06-16 1999-01-28 Endert Marc Van Stromversorgung
DE19960491C5 (de) * 1999-12-15 2010-06-10 Otis Elevator Co., Farmingto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gelung des Antriebs einer Fördereinrichtung
WO2002013218A1 (en) * 2000-08-04 2002-02-14 Energy Technologies Group, L.L.C. Security and energy control system
US20020185916A1 (en) * 2000-12-15 2002-12-12 Bruce Barto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distribution to devices
US20030042796A1 (en) * 2001-08-16 2003-03-06 Donald Siu Automatic power outlets
DE10160266A1 (de) * 2001-12-07 2003-06-18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Ruhestromversorgung eines Fahrzeugs mit einem Mehrspannungsbordnetz
TW587361B (en) * 2002-06-07 2004-05-11 Frontend Analog And Digital Te Dual power source voltage converter and the converting method
US6748299B1 (en) * 2002-09-17 2004-06-08 Ricoh Company, Ltd. Approach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buildings
US7064458B2 (en) * 2003-03-18 2006-06-20 Target Hi-Tech Electronics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 load between AC voltage sources
DE102004035445A1 (de) * 2004-07-22 2006-02-16 Volkswagen Ag Elektrisches Energiesystem in einem Kraftfahrzeug
US7257466B2 (en) * 2004-12-02 2007-08-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nc. Intelligent control devices
DE102005013440A1 (de) * 2005-03-21 2006-10-05 Daimlerchrysler Ag Stromversorgungsschal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hochsicherheitsrelevanten elektrischen Verbrauchern
US20090146494A1 (en) * 2007-10-03 2009-06-11 Belkin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ical Power To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Of U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737B1 (ko) * 2010-07-19 2013-03-13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의 급전라인 전력공급 시스템
KR101523265B1 (ko) * 2013-05-28 2015-05-27 주식회사 유캐스트 가로등 관제 시스템, 클러스터 트리 구조 및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39311A2 (fr) 2008-11-20
WO2008139311A3 (fr) 2009-02-19
EP2171826A2 (fr) 2010-04-07
JP2010535009A (ja) 2010-11-11
CN101682189A (zh) 2010-03-24
FR2916094B3 (fr) 2009-07-03
FR2916094A3 (fr) 2008-11-14
US20100256833A1 (en) 2010-10-07
FR2916095A1 (fr) 200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0435A (en) Utility distribution system for modular furniture and the like
CA2924498C (en) Easy-install home automation light switch
AU2011300575B2 (en) A modular combined optical data network and independent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CN105580313A (zh) 用于控制用于智能家居服务的装置的方法和设备
US20190208266A1 (en) Controlling the Provision of Power to One or More Devices
KR20100016197A (ko) 전력을 분배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파라미터화가능한 디바이스
WO2010144465A1 (en) Wireless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device
KR100789487B1 (ko) 직류 전원 버스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과 자동 전원제어방법
KR20090132856A (ko)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KR20090071456A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KR101691197B1 (ko) 배전선로 지능화 단말시스템
JP2004056218A (ja) 電力線搬送通信システム及び電力線搬送通信装置
KR102239636B1 (ko) 마스터-슬레이브 관계 기반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장치
EP1967921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nking building control devices
WO2013184601A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KR20160036056A (ko) 역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송신 디바이스
KR101764672B1 (ko) 키맵테이블 방식에 의해 제어되는 맞춤형 전력피크 제어장치
US6636101B2 (en)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US11615625B2 (en) User-upgradeable load control network
KR102374594B1 (ko) 전자식 스위치 및 그 동작 방법
CN209962956U (zh) 一种智能开关装置
EP3996471A1 (en) Controllable switch, dual-control switch and control system
GB23652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lighting circuits
KR100817571B1 (ko) 보안 시스템의 중계기 운용 방법 및 그 장치
WO2019169411A1 (en) Faceplate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