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265B1 - 가로등 관제 시스템, 클러스터 트리 구조 및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 Google Patents

가로등 관제 시스템, 클러스터 트리 구조 및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265B1
KR101523265B1 KR1020130060376A KR20130060376A KR101523265B1 KR 101523265 B1 KR101523265 B1 KR 101523265B1 KR 1020130060376 A KR1020130060376 A KR 1020130060376A KR 20130060376 A KR20130060376 A KR 20130060376A KR 101523265 B1 KR101523265 B1 KR 101523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power
inpu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9811A (ko
Inventor
이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캐스트
Priority to KR1020130060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265B1/ko
Publication of KR20140139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가로등 관제 시스템, 클러스터 트리 구조,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로등 관제 시스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는 가로등 관제 시스템의 주 제어 유닛과 연결되는 제1 포트 및 복수의 제2 포트들을 구비한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 및 가로등 관제 시스템의 해당 로컬 제어 유닛과 연결되는 노드 연결용 포트, RF 신호 입력 포트 및 RF 신호 출력 포트를 구비한 복수의 노드 테스트 픽스쳐들을 포함한다. 노드 테스트 픽스쳐들 각각의 RF 신호 입력 포트는 타 노드 테스트 픽스쳐의 RF 신호 출력 포트 또는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의 제2 포트와 RF 신호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로등 관제 시스템, 클러스터 트리 구조 및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test fixture for system managing and controlling streetlights, cluster tree structure and node in multi-hop network}
본 발명은 테스트 픽스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 관제 시스템, 클러스터 트리 구조 및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로등 관제 시스템과 같이, 멀티 홉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응용 시스템이 많아지고 있다.
멀티 홉 네트워크를 이루는 통신 방식 중 하나인 지그비 통신 방식은 타 경쟁 근거리 통신방식(예컨대,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에 비해 최대 장점 중 하나인 멀티 홉 기능을 지원하고, 높은 데이터 전송 성공률을 가지며 스타, 클러스터 트리,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그비 통신 방식은 지능형 홈네트워크, 빌딩 및 산업용 기기 자동화, 물류, 환경 모니터링, 휴먼 인터페이스, 텔레매틱스, 군사 등 다양한 유비쿼터스 환경에 다양하게 응용 및 검토가 되고 있다.
한편, 멀티 홉 네트워크의 응용 시스템(예컨대, 지그비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가로등 관제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실제 환경에 적용하여 시험하는 방법이 직접적일 수 있지만, i) 테스트 베드(Test-Bed)를 외부 환경에 설치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시간 및 비용상으로 부담스러우며, ii) 계속되는 트러블 슈팅(Trouble-shooting)을 해야 하기 때문에, 설계되고 구현된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외부 환경을 근사가 가능한 시나리오를 적용할 수 있는 옥내 시험 환경(가상환경)이 요구될 수 있다.
공개번호: 10-2009-0119038 (멀티 캐스트 및 방송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 공개번호: 10-2008-0054425 (협력 중계를 이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따라서, 멀티 홉 네트워크 및 그 응용 시스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와 관련된 기술이 필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와 연결되기 위한 입력 커넥터 및 복수의 출력 커넥터들을 구비한 제1 전력 분배기; 입력 커넥터 및 복수의 출력 커넥터들을 구비한 복수의 제2 전력 분배기들; 및 제2 전력 분배기들 중 해당 전력 분배기의 입력 커넥터와 제1 전력 분배기의 해당 출력 커넥터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복수의 제1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클러스터 트리 구조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를 제공한다. 제2 전력 분배기들의 출력 커넥터들은 네트워크 라우터 또는 네트위크 종단 기기와 연결 가능하다.
제1 및 제2 전력 분배기들은 윌킨슨 전력 분배기일 수 있다.
이 테스트 픽스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스위치들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수단은 제1 스위치들과 연결된 딥 스위치일 수 있다.
이 테스트 픽스쳐는 입력 커넥터 및 복수의 출력 커넥터들을 구비한 복수의 제3 전력 분배기들; 및 제3 전력 분배기들 중 해당 전력 분배기의 입력 커넥터와 제2 전력 분배기의 해당 출력 커넥터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복수의 제2 스위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력 분배기들 각각의 출력 커넥터들은 네트워크 라우터 또는 네트위크 종단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RF (Radio Frequency)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RF 신호 입력 포트; 네트워크 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입력 커넥터와 제1 및 제2 출력 커넥터를 구비한 전력 분배기; RF 신호 입력 포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RF 신호를 전력 분배기의 제1 출력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로 제공하는 입력 스위치; 제2 경로를 통하여 제공되는 신호 및 전력 분배기의 제2 출력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되는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출력 스위치; 및 출력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RF 신호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네트워크 라우터 또는 네트위크 종단 기기일 수 있다.
이 테스트 픽스쳐는 출력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경로 감쇄를 적용하는 경로 감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F 신호 출력 포트는 경로 감쇄가 적용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전력 분배기는 윌킨슨 전력 분배기일 수 있다.
이 테스트 픽스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 스위치 및 출력 스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테스트 픽스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경로 감쇄부의 경로 감쇄 값을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가로등 관제 시스템의 주 제어 유닛과 연결되는 제1 포트 및 복수의 제2 포트들을 구비한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 및 가로등 관제 시스템의 해당 로컬 제어 유닛과 연결되는 노드 연결용 포트, RF 신호 입력 포트 및 RF 신호 출력 포트를 구비한 복수의 노드 테스트 픽스쳐들을 포함하는 가로등 관제 시스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를 제공한다. 노드 테스트 픽스쳐들 각각의 RF 신호 입력 포트는 타 노드 테스트 픽스쳐의 RF 신호 출력 포트 또는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의 제2 포트와 RF 신호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는 제1 포트와 연결되는 입력 커넥터 및 복수의 출력 커넥터들을 구비한 제1 전력 분배기; 입력 커넥터 및 복수의 출력 커넥터들을 구비한 복수의 제2 전력 분배기들; 제2 전력 분배기들 중 해당 전력 분배기의 입력 커넥터와 제1 전력 분배기의 해당 출력 커넥터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복수의 제1 스위치들; 입력 커넥터 및 복수의 출력 커넥터들을 구비한 복수의 제3 전력 분배기들; 및 제3 전력 분배기들 중 해당 전력 분배기의 입력 커넥터와 제2 전력 분배기의 해당 출력 커넥터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복수의 제2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력 분배기들 각각의 출력 커넥터들은 제2 포트들 중 해당 제2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노드 테스트 픽스쳐들 각각은 노드 연결용 포트와 연결되는 입력 커넥터와 제1 및 제2 출력 커넥터를 구비한 전력 분배기; RF 신호 입력 포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RF 신호를 전력 분배기의 제1 출력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로 제공하는 입력 스위치; 제2 경로를 통하여 제공되는 신호 및 전력 분배기의 제2 출력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되는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출력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RF 신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본 개요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설명되는 개념들 중 선택된 것들을 단순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본 개요는 청구되는 발명의 주제의 핵심적인 특징 또는 본질적인 특징을 식별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청구되는 발명의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의도된 것도 아니다. 또한, 청구되는 발명의 주제는 본 명세서의 임의의 부분에서 언급된 문제점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는 구현들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예시적인 양태들, 실시예들 및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양태들, 실시예들, 및 특징들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로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모든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등 관제 시스템에 대한 효율적인 검증이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홉 네트워크의 다양한 응용 시스템에 대한 검증이 가능하다.
도 1은 몇몇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가로등 관제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클러스터 트리 구조의 멀티 홉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를 예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의 외부 형상도와 내부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테스트 픽스쳐의 외부 형상도와 내부 블록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개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유사한 기호는, 문맥 상 다른 의미를 갖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예시적 실시예는 제한적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 제시된 대상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변경들이 가해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일반적으로 기재되고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개시의 양상들은, 매우 다양한 서로 다른 구성에서 배열, 대체, 조합, 분리 및 설계될 수 있으며, 이 모두가 본 개시에서 명시적으로 고려되었음이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몇몇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가로등 관제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로등 관제 시스템(100)은 가로등 관제 서버(130), 주 제어 유닛(Main Control Unit, 이하 MCU)(120) 및 가로등에 장착되는 로컬 제어 유닛(Local Control Unit, 이하 LCU)(110_1, 110_2, ..., 110_6)을 포함할 수 있다.
MCU(120)와 LCU(110_1, 110_2, ..., 110_6)는 제1 타입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가로등 관제 서버(130)와 MCU(120)는 제2 타입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MCU(120)는 제1 타입 네트워크와 제2 타입 네트워크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게이트웨이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타입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이고, 제2 타입 네트워크는 지그비(Zigbee) 네트워크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로등 관제 서버(130)는 가로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예컨대, 가로등을 점등 또는 소등하기 위한 신호)를 제1 타입 네트워크를 통하여 MCU(120)에 송신하고, MCU(120)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기초로, 개별 가로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또는 가로등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2 타입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 LCU(110_1, 110_2, ..., 및/또는 110_6)에게 송신한다. 일례로, 제2 타입 네트워크가 지그비 네트워크이고, MCU(120)가 제1 LCU(110_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그 경로 사이에 있는 LCU(예컨대, 110_3, 110_2)의 멀티 홉 중계를 통하여, 해당 제어 신호는 제1 LCU(110_1)에 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개시된 기술의 응용 예로서, 가로등 관제 시스템을 전제로 몇몇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개시된 기술은 이러한 응용 예에 국한되지 않음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로등 관제를 위해서는, 일정 지역 (예컨대, Personal Area Network) 내의 가로등을 관리하고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MCU 및 각 가로등에 장착되어 해당 가로등을 관리하고 MCU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LCU가 필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MCU와 LCU간의 정보 교환을 위해서 무선 릴레이가 가능한 지그비(Zigbee) 통신 방법이 적용된다.
한편, 가로등 관제 시스템을 이루는 MCU와 LCU는 일반적으로 도 2와 같이 예시되는 클러스터 트리 구조의 멀티 홉 네트워크를 이룬다. LCU간의 간격 또는 MCU와 LCU 간의 간격은 수 내지 수십 미터에 이르기 때문에, 가로등 관제 시스템을 이루는 네트워크에 대한 검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에 적합한 테스트 픽스쳐가 필요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를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픽스쳐(300)는,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310) 및 복수의 노드 테스트 픽스쳐들(321_1, 321_2, ..., 321_L, 322_1, 322_2, ..., 322_M, ..., 328_N)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와 멀티 홉 네트워크 노드 테스트 픽스쳐를 별도로 설계 및 구현함으로서 각각의 기능 검증이 가능하고, 클러스터 트리 구조와 멀티 홉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전체 시스템에 대한 검증도 가능하다.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310)은 RF 신호 케이블을 통하여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와 연결되는 제1 포트 및 복수의 제2 포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의 예로는, 가로등 관제 시스템의 MCU를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노드 테스트 픽스쳐들(321_1, 321_2, ..., 321_L, 322_1, 322_2, ..., 322_M, ..., 328_N) 중에서 일부(321_1, 321_2, ..., 321_L)가 제1 트리 경로를 형성하고, 다른 일부(322_1, 322_2, ..., 322_M)가 제2 트리 경로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총 8개의 트리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노드 테스트 픽스쳐들(321_1, 321_2, ..., 321_L, 322_1, 322_2, ..., 322_M, ..., 328_N) 각각은 해당 네트워크 노드와 연결되는 노드 연결용 포트, RF 신호 입력 포트, RF 신호 출력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노드 테스트 픽스쳐들(321_1, 321_2, ..., 321_L, 322_1, 322_2, ..., 322_M, ..., 328_N) 중 일부(예컨대, 321_1, 322_1, ..., 328_1)의 RF 신호 입력 포트는 RF 신호 케이블을 통하여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310)의 제2 포트와 연결될 수 있으며, 나머지(예컨대, 321_3)의 RF 신호 입력 포트는 RF 신호 케이블을 통하여 다른 노드 테스트 픽스쳐(예컨대, 321_2)의 RF 신호 출력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310) 및 복수의 노드 테스트 픽스쳐들(321_1, 321_2, ..., 321_L, 322_1, 322_2, ..., 322_M, ..., 328_N)은 각각 외부 전파에 대한 높은 차단(high isolation)을 가지도록, 서로 간의 간섭이 없도록, 설계 및 구현된다.
도 4a 및 도 4b는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의 외부 형상도와 내부 블록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310)는 제1 전력 분배기(411), 제2 전력 분배기들(412_1, 412_2), 제3 전력 분배기들(413_1, 413_2, 413_3, 413_4), 제1 스위치들(421_1, 421_2), 제2 스위치들(422_1, 422_2, 422_3, 422_4)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전력 분배기(411), 제2 전력 분배기들(412_1, 412_2) 및 제3 전력 분배기들(413_1, 413_2, 413_3, 413_4)은 윌킨슨 전력 분배기(Wilkinson Power Divider)이다.
제1 전력 분배기(411)의 입력 커넥터는 RF 신호 케이블을 통하여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예컨대, 가로등 관제 시스템의 MCU)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치들(421_1, 421_2)은 제2 전력 분배기들(412_1, 412_2) 중 해당 제2 전력 분배기의 입력 커넥터와 제1 전력 분배기(411)의 해당 출력 커넥터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들(422_1, 422_2, 422_3, 422_4)은 제3 전력 분배기들(413_1, 413_2, 413_3, 413_4) 중 해당 제3 전력 분배기의 입력 커넥터와 제2 전력 분배기들(412_1, 412_2) 중 해당 제2 전력 분배기의 해당 출력 커넥터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3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스위치들(421_1, 421_2) 및 제2 스위치들(422_1, 422_2, 422_3, 422_4)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이러한 수단은 제1 스위치들(421_1, 421_2) 및 제2 스위치들(422_1, 422_2, 422_3, 422_4)과 연결된 딥(Dip)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b의 경로 선택 스위치는 이러한 수단을 예시한다. 이러한 경로 선택 스위치를 통하여, 트리 경로의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테스트 픽스쳐의 외부 형상도와 내부 블록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노드 테스트 픽스쳐는 RF 신호 입력 포트, 입력 스위치(510), 전력 분배기(520), 출력 스위치(530), 경로 감쇄부(540) 및 RF 신호 출력 포트를 포함한다.
RF 신호 입력 포트는 RF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 스위치(510)에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스위치(320)는 입력되는 RF 신호를 전력 분배기(520)의 제1 출력 커넥터(지그비 모듈의 수신단과 연결됨)와 연결되는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바이패스 경로)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경로는 해당 네트워크 노드(예컨대, 지그비 모듈)을 테스트하는 모드에서 선택 및 설정된다.
전력 분배기(520)는 지그비 모듈(590)과 같은 네트워크 기기(예컨대, 네트워크 라우터 또는 네트위크 종단 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입력 커넥터와 제1 및 제2 출력 커넥터를 구비한다. 제2 출력 커넥터는 지그비 모듈의 송신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력 분배기(520)는 윌킨슨 전력 분배기이다.
출력 스위치(530)는 제2 경로를 통하여 제공되는 신호 및 전력 분배기(520)의 제2 출력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되는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경로 감쇄부(540)는 출력 스위치(5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경로 감쇄를 적용할 수 있다.
RF 신호 출력 포트는 경로 감쇄가 적용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노드 테스트 픽스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 스위치(510) 및 출력 스위치(530)에 따른 제1 및 제2 경로의 선택을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노드 테스트 픽스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경로 감쇄부(540)의 경로 감쇄 값을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입력 스위치(510) 및 출력 스위치(530)를 제어하는 수단 및/또는 경로 감쇄 값을 제어하는 수단은 도 5a에 도시된 딥 스위치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여기서 개시된 본 프로세스 및 방법 및 다른 프로세스 및 방법에 있어서, 그 프로세스 및 방법에서 실행되는 기능이 다른 순서에 따라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개략 설명된 단계 및 동작은 예로서만 제공된 것이며,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의 본질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부 단계 및 동작은 선택적이며, 더 적은 수의 단계 및 동작으로 조합될 수 있거나 추가적인 단계 및 동작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기재된 동작, 프로세스 등의 어떤 것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모바일 장치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구성요소 및/또는 다른 어떤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와 연결되기 위한 입력 커넥터 및 복수의 출력 커넥터들을 구비한 제1 전력 분배기;
    입력 커넥터 및 복수의 출력 커넥터들을 구비한 복수의 제2 전력 분배기들; 및
    상기 제2 전력 분배기들 중 해당 전력 분배기의 입력 커넥터와 상기 제1 전력 분배기의 해당 출력 커넥터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복수의 제1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력 분배기들의 출력 커넥터들은 네트워크 라우터 또는 네트위크 종단 기기와 연결 가능한 클러스터 트리 구조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력 분배기들은 윌킨슨 전력 분배기인 클러스터 트리 구조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들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클러스터 트리 구조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제1 스위치들과 연결된 딥 스위치인 클러스터 트리 구조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5. 제1항에 있어서,
    입력 커넥터 및 복수의 출력 커넥터들을 구비한 복수의 제3 전력 분배기들; 및
    상기 제3 전력 분배기들 중 해당 전력 분배기의 입력 커넥터와 상기 제2 전력 분배기의 해당 출력 커넥터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복수의 제2 스위치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전력 분배기들 각각의 출력 커넥터들은 네트워크 라우터 또는 네트위크 종단 기기와 연결되는 클러스터 트리 구조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6. RF (Radio Frequency)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RF 신호 입력 포트;
    네트워크 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입력 커넥터와 제1 및 제2 출력 커넥터를 구비한 전력 분배기;
    상기 RF 신호 입력 포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RF 신호를 상기 전력 분배기의 제1 출력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로 제공하는 입력 스위치;
    상기 제2 경로를 통하여 제공되는 신호 및 상기 전력 분배기의 제2 출력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되는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출력 스위치; 및
    상기 출력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RF 신호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네트워크 라우터 또는 네트위크 종단 기기인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경로 감쇄를 적용하는 경로 감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RF 신호 출력 포트는 상기 경로 감쇄가 적용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분배기는 윌킨슨 전력 분배기인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10.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 스위치 및 상기 출력 스위치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11.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경로 감쇄부의 경로 감쇄 값을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12. 가로등 관제 시스템의 주 제어 유닛과 연결되는 제1 포트 및 복수의 제2 포트들을 구비한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 및
    상기 가로등 관제 시스템의 해당 로컬 제어 유닛과 연결되는 노드 연결용 포트, RF 신호 입력 포트 및 RF 신호 출력 포트를 구비한 복수의 노드 테스트 픽스쳐들을 포함하고,
    상기 노드 테스트 픽스쳐들 각각의 RF 신호 입력 포트는 타 노드 테스트 픽스쳐의 RF 신호 출력 포트 또는 상기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의 제2 포트와 RF 신호 케이블로 연결되는 가로등 관제 시스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트리 구조 테스트 픽스쳐는
    상기 제1 포트와 연결되는 입력 커넥터 및 복수의 출력 커넥터들을 구비한 제1 전력 분배기; 입력 커넥터 및 복수의 출력 커넥터들을 구비한 복수의 제2 전력 분배기들; 상기 제2 전력 분배기들 중 해당 전력 분배기의 입력 커넥터와 상기 제1 전력 분배기의 해당 출력 커넥터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복수의 제1 스위치들; 입력 커넥터 및 복수의 출력 커넥터들을 구비한 복수의 제3 전력 분배기들; 및 상기 제3 전력 분배기들 중 해당 전력 분배기의 입력 커넥터와 상기 제2 전력 분배기의 해당 출력 커넥터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복수의 제2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력 분배기들 각각의 출력 커넥터들은 상기 제2 포트들 중 해당 제2 포트와 연결되는 가로등 관제 시스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테스트 픽스쳐들 각각은 상기 노드 연결용 포트와 연결되는 입력 커넥터와 제1 및 제2 출력 커넥터를 구비한 전력 분배기; 상기 RF 신호 입력 포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RF 신호를 상기 전력 분배기의 제1 출력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로 제공하는 입력 스위치; 상기 제2 경로를 통하여 제공되는 신호 및 상기 전력 분배기의 제2 출력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되는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출력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RF 신호 출력 포트를 통하여 출력되는 가로등 관제 시스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KR1020130060376A 2013-05-28 2013-05-28 가로등 관제 시스템, 클러스터 트리 구조 및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KR101523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376A KR101523265B1 (ko) 2013-05-28 2013-05-28 가로등 관제 시스템, 클러스터 트리 구조 및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376A KR101523265B1 (ko) 2013-05-28 2013-05-28 가로등 관제 시스템, 클러스터 트리 구조 및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811A KR20140139811A (ko) 2014-12-08
KR101523265B1 true KR101523265B1 (ko) 2015-05-27

Family

ID=52457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376A KR101523265B1 (ko) 2013-05-28 2013-05-28 가로등 관제 시스템, 클러스터 트리 구조 및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1490A (zh) * 2020-06-11 2020-10-02 上海磐启微电子有限公司 一种多跳服务网络的性能测试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2317A (ja) * 1995-07-18 1997-06-30 Lucent Technol Inc 多層統合電力分配装置
KR20100016197A (ko) * 2007-05-10 2010-02-12 다비드 루오 전력을 분배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파라미터화가능한 디바이스
KR20110060580A (ko) * 2009-11-30 2011-06-08 (주)지모드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발광장치 구동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10100745A (ko) * 2010-03-05 2011-09-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로등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2317A (ja) * 1995-07-18 1997-06-30 Lucent Technol Inc 多層統合電力分配装置
KR20100016197A (ko) * 2007-05-10 2010-02-12 다비드 루오 전력을 분배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파라미터화가능한 디바이스
KR20110060580A (ko) * 2009-11-30 2011-06-08 (주)지모드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발광장치 구동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10100745A (ko) * 2010-03-05 2011-09-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로등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811A (ko) 201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01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xed-mesh wireless networking
US104043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ropagation delay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6209199A (zh) 用于增加无线通信范围的方法、设备以及系统
CN105530654B (zh) 一种自组网通信设备测试方法及系统
RU2016116861A (ru) Гибкая детерминированная сеть связи
CN103888970A (zh) 一种测试设备
CN102983870A (zh) 滤除相邻频段干扰的方法及系统
NO20120090A1 (no) Kommunikasjonssystem, - apparater og -metode
CN105210409A (zh) 用于控制无线电通信的信号通路的方法和设备
KR101523265B1 (ko) 가로등 관제 시스템, 클러스터 트리 구조 및 멀티 홉 네트워크의 노드에 대한 테스트 픽스쳐
CN103167509B (zh) 无线局域网信号延伸设备及方法
CN103338469A (zh) 天馈系统的监控方法、设备及系统
EP2966785B1 (en) Antenna sharing device for wireless access node system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697749B1 (ko) 분리형 기지국
US20170126489A1 (en) Auto-Commissioning of Lighting Resources
WO20141306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g.hn nodes to support 1905.1 relaying (mac relaying) while supporting legacy g.hn relaying according to the g.hn standards
US9209853B1 (en) Radio port switch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radio port switching device
CN103139790A (zh) 应用于室分无线局域网的智分无线接入装置、网络设备
US20180131401A1 (en) Wireless sfp module
JP2017505568A (ja) バックホールデバイスおよびバックホールデバイス制御方法
US10887746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configuring wireless network node
CN104579967A (zh) 传输路径控制设备
US10880179B2 (en) Method for topology determin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ite, a computer program, a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s site
CN102904782A (zh) 一种个人网组网方法及内部网关
Ding et al. High fidelity wireless network evaluation for heterogeneous cognitive radio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