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5017A -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의 제조 - Google Patents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의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5017A
KR20100015017A KR1020080075897A KR20080075897A KR20100015017A KR 20100015017 A KR20100015017 A KR 20100015017A KR 1020080075897 A KR1020080075897 A KR 1020080075897A KR 20080075897 A KR20080075897 A KR 20080075897A KR 20100015017 A KR20100015017 A KR 20100015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structures
substrate
mask layer
patterning
ad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5128B1 (ko
Inventor
승훈 홍
성영 박
선 남궁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5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128B1/ko
Priority to US12/238,306 priority patent/US8227179B2/en
Priority to JP2008257967A priority patent/JP5336140B2/ja
Priority to DE102008051159A priority patent/DE102008051159B4/de
Priority to CN2008101726123A priority patent/CN101645391B/zh
Publication of KR20100015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1/00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one 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quantum wire F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34Fullerenes, i.e. graphene-based structures, such as nanohorns, nanococoons, nanoscrolls or fullerene-like structures, e.g. WS2 or MoS2 chalcogenide nanotubes, planar C3N4, etc.
    • Y10S977/742Carbon nanotubes, C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62Nanowire or quantum wire, i.e. axially elongated structure having two dimensions of 100 nm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73Nanoparticle, i.e. structure having three dimensions of 100 nm or 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나노와이어 및 탄소 나노튜브와 같은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을 제조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을 제조하는 방법은,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기판에 제1 마스크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제1 마스크 층이 존재하지 않는 기판의 표면 영역들에 제1 나노구조물들을 흡착하는 단계, 제1 마스크 층을 기판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제1 나노구조물들이 흡착된 기판에 제2 마스크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및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을 제조하는데 효과적인 조건들 하에서, 제2 마스크 층이 존재하지 않는 기판의 표면 영역들에 제2 나노구조물들을 흡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노 기술, 나노구조물, 탄소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Description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의 제조{MANUFACTURING CROSS-STRUCTURES OF NANOSTRUCTURES}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은 나노 기술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 기반의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microelectronics)의 성능은 과거 수십년 동안 거의 지속적으로 급격하게 성장하였다. 컴퓨터 칩에 집적될 수 있는 트랜지스터의 수가 매 18개월마다 두 배가 될 것이라는 인텔사의 공동 설립자 고든 무어에 의한 예측은 사실로 증명되었으며, 전자 소자들의 크기는 극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높은 제조 단가와 같은 경제적인 한계뿐만 아니라, 현재의 설계가 나노미터 스케일에서 신뢰성 있게 기능하는 것을 막는 물리적인 한계 때문에, 이러한 진행이 앞으로도 계속되지는 않을 것 같다.
최근, 실리콘 기반 기술의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한 잠재성 때문에 나노 기술이 큰 주목을 얻고 있다. 예를 들어, 흥미로운 전기적 및/또는 광학적 특성들을 가지는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및/또는 나노와이어(nanowire) 기반의 다양한 나노스케일 디바이스들이 개발되었다. 또한, 탄소 나노튜브와 나노와이어와 같은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cross-structure)에 기초하는 PN 다이오드 및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나노일렉트로닉 디바이스들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를 대량생산 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은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을 가지는 장치를 제공한다.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제1 마스크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스크 층이 존재하지 않는 상기 기판의 표면 영역들에 제1 나노구조물들을 흡착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스크 층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나노구조물들이 조립된 상기 기판에 제2 마스크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및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을 제조하는데 효과적인 조건들 하에서, 상기 제2 마스크 층이 존재하지 않는 상기 기판의 표면 영역들에 제2 나노구조물들을 흡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을 갖는 장치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위와 같은 실시예의 요약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재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단순화된 형태의 개념 중 일부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요약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 위한 것도 아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같은 본 명세서의 컴포넌트들은, 매우 다양한 구성들로 배치되고 설계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장치 및 방법들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의 소정의 예들을 단순히 대표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잘 이해될 것이며, 도면들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명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1(F)를 참조하면,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 교차 구조들이 조립될 기판(110)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기판(110)은 금, 이산화규소, 유리, 수정, 실리콘 및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0)의 표면에 제1 마스크 층(120)이 패터닝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마스크 층(120)은 포토레지스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마스크 층(120)은, 포토레지스트 스핀 코팅 단계, 소프트/하드 베이킹 단계, 포토 마스크를 사용하는 자외선 노출 단계 및 마스킹되지 않은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현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통상적인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에 의해 기판(110)의 표면에 패터닝될 수 있다. 포토리소그래피 방법 외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0)에 제1 마스크 층(120)이 남게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는 기타 방법들도 사용될 수 있다. 포토레 지스트 물질의 적절한 예에는 AZ5214E, PMMA(polymethyl-methacryla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0)의 표면에 제1 나노구조물들(130)이 흡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나노구조물들(130)은 탄소 나노튜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나노구조물들(130)은 나노와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와이어들은 나노미터 단위의 지름을 가지는 임의의 도전성 또는 반도전성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마스크 층(120)이 패터닝된 기판(110)은 제1 나노구조물들(130)을 포함하는 용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용액의 제1 나노구조물들(130)은 제1 마스크 층(120)이 존재하지 않는 기판(110)의 표면 영역들에 선택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나노구조물들(130)을 포함하는 용액은 소정의 나노구조물들을 쉽게 분산시킬 수 있는 용매에 담긴 소정의 나노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구조물들의 용액을 사용하여 제1 나노구조물들(130)을 흡착하는 과정은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스크 층(120)이 기판(110)으로부터 제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마스크 층(120)은 아세톤 또는 에천트(etchant)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용매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제1 마스크 층(120)을 제거하면, 기판(110)에 제1 나노구조물들(130)의 조립체가 얻어진다.
이후,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 제1 나노구조물들(130)이 조립된 기판(110)의 표면에 제2 마스크 층(140)이 패터닝된다. 제2 마스크 층(140)은 제2 나노구조물들(150)이 흡착될 공간을 남기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마스크 층(140)은 포토레지스트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마스크 층(140)은 소수성 분자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소수성 분자 층은 제2 나노구조물들(150)의 정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마스크 층은 분자 패터닝 방법에 의해 패터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자 패터닝 방법은, 예컨대 딥펜 나노리소그래피(dip-pen nanolithography) 및 마이크로컨택트 프린팅(microcontact printing) 방법들과 같은 직접 분자 패터닝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분자 패터닝 방법은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토리소그래피를 통한 분자 패터닝은 통상적인 마이크로 제조 설비를 사용할 수 있다. 포토리소그래피를 통한 분자 패터닝 공정의 일 실시예가 이하에서 도 2(A) 내지 2(E)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층(220)이 기판(210)의 표면에 패터닝된다. 일 실시예에서, 포토레지스트 패터닝은 95℃의 온도에서 짧은 베이킹 시간, 예컨대 10분 미만으로 수행될 수 있다. 짧은 베이킹 시간은 포토레지스트 층(220)이 분자 퇴적(deposition) 이후 기판의 표면에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완전히 제거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터닝된 기판은 무수 물질(anhydrous material)(230)로 헹구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수 물질(230) 은 무수 헥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헹굼은 기판에 잔여 표면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헹구어진 기판은 자기조립 단분자막(SAM; Self-Assembled Monolayer)과 같은 제2 마스크 층을 위한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240)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SAM용 물질에는 1-옥타데칸티올(1-ODT; 1-octadecanethiol) 또는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OTS; octadecyltrichlorosilane)가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기판(210)에 SAM 패턴(250)을 형성하도록, 포토레지스트 층(220)이 존재하지 않는 기판의 표면 영역들에 SAM용 물질이 선택적으로 퇴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층(220)이 제거되어 SAM으로 패터닝된 기판(210)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포토레지스트 층(220)은 아세톤과 같은 용매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AM 패턴(250)은 포토레지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는 반면에,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되기 전에 존재하던 영역은 분자 패터닝 전의 기판(210)의 표면과 동일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AM 패턴(250)은 도 1(E) 및 1(F)에 도시된 제2 마스크(140)로서 작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마스크(140)로 패터닝된 기판의 표면에 제2 나노구조물들(150)이 흡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나노구조물들(150)은 탄소 나노튜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나노구조물들(150)은 나노와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마스크 층(140)이 패터닝된 기판(110)은 제2 나노구조물들(150)을 포함하는 용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용액의 제2 나노구조물들(150)은 제2 마스크 층(140)이 존재하지 않는 패터닝된 기판의 표면 영역들에 선택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나노구조물들(150)은 제2 마스크 층이 존재하지 않는 패터닝된 기판의 표면 영역들에, 표면 영역의 극성으로 인하여 자발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제2 나노구조물들(150)의 흡착으로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나노구조물(130, 150)들의 교차 구조들이 얻어질 수 있다. 전술한 분자 링커 프리 조립(molecular linker-free assembly) 방법은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나노구조물들의 용액을 사용하여 제2 나노구조물들을 흡착하는 과정은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기판에 나노구조물들을 흡착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예를 들어, 나노구조물들은 나노와이어들 및 탄소 나노튜브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층(320)을 갖는 기판(310)은 나노구조물들(330)을 포함하는 용액(340)에 위치될 수 있으며, 용액(340)의 나노구조물들(330)은 마스크 층(320)이 존재하지 않는 기판(310)의 표면 영역들에 선택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나노구조물들(330)을 포함하는 용액의 용매는 마스크 층(320)을 용해시키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나노구조물들(330)은 나노구조물들(330)을 쉽게 분산시킬 수 있는 용매에 담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구조물들(330)이 산화바나듐(V2O5) 나 노와이어들인 경우 탈이온수(deionized water)가 용매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나노구조물들이 산화아연(ZnO) 나노와이어들인 경우 에탄올 또는 탈이온수가 용매로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나노구조물들(330)이 탄소 나노튜브들인 경우, 1,2-디클로로벤젠(1,2-dichlorobenzene), 1,3,4-트리클로로벤젠(1,3,4-trichlorobenzene), 1,3- 디클로로벤젠(1,3-dichlorobenzene), 디클로로에탄(dichloroethane), 클로로벤젠 (chlorobenzene) 등이 용매로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패터닝된 기판에 나노구조물들(330)을 흡착하는 것은 나노구조물들의 전하와 반데르발스 상호작용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나노구조물들(330)은 표면 영역의 극성 때문에 기판(310)의 표면에 자발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나노구조물들(330)은 나노구조물 흡착을 더 증진시키기 위해 전위(electric potential)를 사용하여 기판(310)의 표면에 흡착될 수 있다. 전위는 나노구조물들(330)의 흡착의 정도 및/또는 양을 제어하도록 기판(310)에 인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그 기본적인 특징 또는 특성들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및 의미 내의 모든 변경이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명세서에 따른 몇몇 실시예들만을 도시한 것이며, 따라서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 개시 내용은 첨부 도면들의 사용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A) 내지 1(F)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A) 내지 2(E)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리소그래피를 통한 분자 패터닝의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에 나노구조물들을 흡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도.

Claims (20)

  1.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제1 마스크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스크 층이 존재하지 않는 상기 기판의 표면 영역들에 제1 나노구조물들을 흡착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스크 층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나노구조물들이 조립된 상기 기판에 제2 마스크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및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을 제조하는데 효과적인 조건들 하에서, 상기 제2 마스크 층이 존재하지 않는 상기 기판의 표면 영역들에 제2 나노구조물들을 흡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구조물들은 나노와이어들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구조물들은 탄소 나노튜브들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노구조물들은 나노와이어들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노구조물들은 탄소 나노튜브들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크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크 층은 포토레지스트 물질을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구조물들을 흡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나노구조물들을 포함하는 용액에 상기 패터닝된 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구조물들을 흡착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에 전위(electric potential)를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스크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포토리소그래피, 딥펜 나노리소그래피(dip-pen nanolithography) 및 마이크로컨택트 프린팅(microcontact printing)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자 패터닝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스크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소수성 분자 층(hydrophobic molecular layer)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스크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자기조립 단분자막(self-assembled monolayer)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스크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스크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나노구조물들이 조립된 기판에 포토레지스트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이 존재하지 않는 상기 기판의 표면 영역들에 상기 제2 마스크 층을 퇴적시키는데 효과적인 조건들 하에서, 제2 마스크 층용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에 상기 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스크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제2 마스크 층용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용액에 상기 기판을 위치시키기 전에, 상기 기판을 무수 물질(anhydrous material)로 헹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10분 미만의 베이킹 시간으로 수행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제2 마스크 층용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에 상기 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1- 옥타데칸티올(1-ODT; 1-octadecanethiol) 및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OTS; octadecyltrichlorosilane)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에 상기 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노구조물들을 흡착하는 단계는 제2 나노구조물들을 포함하는 용액에 상기 패터닝된 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노구조물들을 흡착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에 전위를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제1 마스크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스크 층이 존재하지 않는 상기 기판의 표면 영역들에 제1 나노구조물들을 흡착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스크 층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나노구조물들이 조립된 상기 기판에 제2 마스크 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및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을 제조하는데 효과적인 조건들 하에서, 상기 제 2 마스크 층이 존재하지 않는 상기 기판의 표면 영역들에 제2 나노구조물들을 흡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을 갖는 장치.
KR1020080075897A 2008-08-04 2008-08-04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의 제조 KR101045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897A KR101045128B1 (ko) 2008-08-04 2008-08-04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의 제조
US12/238,306 US8227179B2 (en) 2008-08-04 2008-09-25 Manufacturing cross-structures of nanostructures
JP2008257967A JP5336140B2 (ja) 2008-08-04 2008-10-03 ナノ構造のクロス構造の製造
DE102008051159A DE102008051159B4 (de) 2008-08-04 2008-10-10 Herstellung von Kreuzstrukturen von Nanostrukturen
CN2008101726123A CN101645391B (zh) 2008-08-04 2008-11-04 制造纳米结构的交叉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897A KR101045128B1 (ko) 2008-08-04 2008-08-04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의 제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017A true KR20100015017A (ko) 2010-02-12
KR101045128B1 KR101045128B1 (ko) 2011-06-30

Family

ID=4150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897A KR101045128B1 (ko) 2008-08-04 2008-08-04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의 제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27179B2 (ko)
JP (1) JP5336140B2 (ko)
KR (1) KR101045128B1 (ko)
CN (1) CN101645391B (ko)
DE (1) DE102008051159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224B1 (ko) * 2010-04-14 2012-03-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막대를 이용한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1252B (zh) * 2011-11-22 2014-12-17 南京大学 离散纳米材料的选择性排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72707C (en) 1999-07-02 2014-12-09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Nanoscopic wire-based devices, arrays, and method of their manufacture
US6515339B2 (en) 2000-07-18 2003-0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horizontally growing carbon nanotubes and field effect transistor using the carbon nanotubes grown by the method
US6872645B2 (en) 2002-04-02 2005-03-29 Nanosys, Inc. Methods of positioning and/or orienting nanostructures
US7385295B2 (en) 2004-06-24 2008-06-10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Fabrication of nano-gap electrode arrays by the construction and selective chemical etching of nano-crosswire stacks
JP2008519700A (ja) * 2004-11-12 2008-06-12 ソウル ナショナル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インダストリー ファンデーション 滑りやすい分子膜を利用して固体表面にナノ構造を選択的に位置又は整列させる方法
US20060281306A1 (en) 2005-06-08 2006-12-14 Florian Gstrein Carbon nanotube interconnect contacts
KR100790863B1 (ko) * 2005-12-28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 와이어 제조 방법
KR20070112733A (ko) * 2006-05-22 2007-11-2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자기조립법을 이용한 나노구조의 정렬방법 및 그 응용방법
CN100470872C (zh) * 2006-05-31 2009-03-18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一种纳米级交叉线阵列结构有机分子器件的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224B1 (ko) * 2010-04-14 2012-03-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막대를 이용한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27179B2 (en) 2012-07-24
KR101045128B1 (ko) 2011-06-30
DE102008051159A1 (de) 2010-02-11
CN101645391B (zh) 2011-04-06
DE102008051159B4 (de) 2013-04-11
JP2010041019A (ja) 2010-02-18
US20100028814A1 (en) 2010-02-04
JP5336140B2 (ja) 2013-11-06
CN101645391A (zh)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7009B2 (en) Fabrication of nanometer size gaps on an electrode
JP5231105B2 (ja) 偏長ナノ構造を成長させるための触媒ナノ粒子の形成方法
US20100035186A1 (en) Manufacturing a graphene device and a graphene nanostructure solution
JP2005271198A (ja) ナノスケールフィーチャを備えたテンプレートが形成されている構造体
JP2005045188A (ja) 電子素子、集積回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92834B1 (ko) 나노선 다중채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소자의 제조방법
US8741745B2 (en) Method of controlling amount of adsorbed carbon nanotubes and method of fabricating carbon nanotube device
CN104465400A (zh) 无残留光学光刻胶石墨烯fet的制备及原位表征方法
KR101045128B1 (ko) 나노구조물들의 교차 구조들의 제조
JP4964406B2 (ja) 自己組織化単分子膜の縁部を用いた狭小形状の形成
KR20110032466A (ko) 포토리소그래피 공정만을 이용한 나노 물질의 선택적 조립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나노구조 다중채널 fet 소자 제조 방법
KR100813113B1 (ko) 금 나노 선 제조방법
CN108987576B (zh) 碳纳米管复合薄膜的制备方法、碳纳米管tft及其制备方法
KR101189056B1 (ko) 마스크 없이 반응성 이온 식각만으로 쉽게 나노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KR100820182B1 (ko) 나노임프린팅 리소그래피를 이용한 나노와이어 소자제조방법
KR101171952B1 (ko) 나노선의 패턴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소자
Oh et al. Silicon nanowire bridge arrays with dramatically improved yields enabled by gold colloids functionalized with HF acid and poly-L-Lysine
KR20110069486A (ko) 금속 전극 제조 방법
KR101094738B1 (ko) 나노 소자의 형성방법
JP2010087519A (ja) 半導体素子とその製造及び動作方法
CN109075189B (zh) 用于制造半导体纳米结构的平坦的自由接触面的方法
TWI353073B (en) Pattern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rg
James et al. Molecular electronics: Logic and memory
Yu Assembly and integration of semiconductor nanowires for functional nanosystems: From nanoelectronics to nanobiotechnology
KR101623580B1 (ko) 그래핀 나노메쉬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