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899A - 마이크로파 수술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파 수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899A
KR20100014899A KR1020097018420A KR20097018420A KR20100014899A KR 20100014899 A KR20100014899 A KR 20100014899A KR 1020097018420 A KR1020097018420 A KR 1020097018420A KR 20097018420 A KR20097018420 A KR 20097018420A KR 20100014899 A KR20100014899 A KR 20100014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tissue
coagulation
output
microw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931B1 (ko
Inventor
토오루 타니
시게유키 나카
Original Assignee
내셔널 유니버시티 코포레이션 쉬가 유니버시티 어브 메디칼 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셔널 유니버시티 코포레이션 쉬가 유니버시티 어브 메디칼 사이언스 filed Critical 내셔널 유니버시티 코포레이션 쉬가 유니버시티 어브 메디칼 사이언스
Publication of KR2010001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18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02Power o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75Resistance or imped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쌍극식(雙極式) 마이크로파 처치구에 있어서 처치부의 박리(剝離), 파지(把持), 응고(지혈) 및 절리(切離)가 가능한 다기능 처치구를 사용하여 처치부를 파지, 응고(지혈)로부터 절리로 이행하는 경우의 타이밍을 정확, 확실하게 판정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처치 부위의 조직을 마이크로파로 가열응고할 때에 조직의 온도 상승과 함께 수분이 감소하고 직류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조직의 응고(지혈) 종료를 검지(檢知)하여 마이크로파의 발진(發振)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파 수술장치의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파, 수술장치, 응고, 제어

Description

마이크로파 수술 장치{MICROWAVE SURGICAL DEVICE}
본 발명은 처치 부위의 조직을 마이크로파로 가열응고할 때에, 응고(지혈)의 종료를 검지하고 마이크로파(고주파; 高周波)의 발진(發振)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파 수술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응고(지혈)의 종료를 검지하는 기능 및 마이크로파의 발진 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는, 수술 전극의 마이크로파 조사(照射)에 의해 전극 근방의 생체 조직을 응고하여 지혈, 응고, 절개 등을 행하는 마이크로파 수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참조에 의하여 여기에 원용되는 일본출원 특원2007-083136호의 우선권을 청구한다.
종래, 이 종류의 마이크로파 수술장치는 특공평1-20619호 공보(A61B 17/39), 특공평1-20617호 공보(A61B 17/36)등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체 장치에 동축(同軸) 케이블을 통해 니들(needle) 모양의 모노폴라(monopolar)형 수술 전극을 자유자재로 교환하도록 접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술전극을 생체 조직에 찔러넣고 본체 장치의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작동하여 이 발생기의 마이크로파(2450MHz)를 수술전극에 공급하고, 이 전극으로부터 생체 조직 내로 마이크로파를 집속 조사(集束照射)하면 생체 내에 발생한 유전 열(誘電熱)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극 근방의 조직이 응고된다.
이것의 반복에 의하여 생체의 조직 지혈, 응고, 절개, 절리(切離), 절제(切除) 등의 수술을 실시할 수 있고, 특히 지혈·실링(sealing) 효과가 높아 물러서 혈액 함유 혈액이 많은 간장(肝臟) 등의 실질 장기의 수술에는 이 종류의 마이크로파 수술 장치가 매우 유용하다.
또한, 각 1회의 마이크로파 조사(照射)에 의한 응고가 종료되면, 통상 본체 장치로부터 수술 전극으로 그 중심 도체를 음극(anode), 외부 도체를 양극(cathode)으로 하는 직류의 조직해리 전류가 공급되고, 이 전류에 기초하여 생체의 전기 침투 작용에 의해 수술 전극에 부착된 조직이 연화되어 수술 전극이 용이하게 생체 조직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이 종류의 마이크로파 수술 장치의 처치구의 표면에는 테프론(등록상표), 세라믹 등을 코팅한 것이 있으나, 절리(切離) 등에서 코팅재가 파단(破斷)되어 탈락하는 등의 위험성이 있다.
특허문헌 1 : 특공평1-20619호 공보
특허문헌 2 : 특공평1-20617호 공보
쌍극식(雙極式) 마이크로파 처치구에 있어서, 단일의 처치구로 처치부의 박리(剝離), 파지(把持), 응고(지혈) 및 절리(切離)가 가능한 다기능 처치구를 사용하여 처치부를 파지, 응고(지혈)하는 것으로부터 절리로 이행하는 경우에 타이밍이 잘못되면 지혈 미완료로 출혈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쌍극식 처치구는 절리할 때, 양극이 접촉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단락(短絡) 상태가 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여 쌍극식(雙極式) 마이크로파(고주파; 高周波) 다기능 처치구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마이크로파 수술장치의 경우, 마이크로파 조사(照射)에 의한 응고층의 성장을 검지할 수 없으므로, 의사 등이 경험이나 감에 기초하여 마이크로파의 출력 시간을 타이머로 설정하고, 설정한 시간(수십 초 정도) 만큼 생체조직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각 1회의 응고를 종료하고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한 응고층의 성장은 수술 전극의 모양이나 생체조직의 조건 등에 의하여 달라지므로 종래 장치에서는 적정한 타이밍으로 응고를 종료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과응고가 원인으로 수술 전극이 미소(微少)한 스파크 방전을 일으켜 생체조직이 탄화되거나 전극에 조직이 부착하는 일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마이크로파 조사(照射)에 의한 생체 조직의 응고를 적정한 타이밍으로 자동적으로 종료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로 이루어진다;
1. 처치 부위의 조직을 마이크로파로 가열응고할 때에 조직의 온도 상승과 함께 수분이 감소하고, 직류 전기 저항치가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조직의 응고(지혈) 종료를 검지하여 마이크로파(고주파; 高周波)의 발진(發振)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파 수술 장치의 제어 방법.
2. 마이크로파의 출력 시간을 설정하는 출력 시간 설정부, 마이크로파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마이크로파가 공급되는 동축(同軸) 케이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접속되고 생체조직에 도입되어 응고 대상 조직을 파지(把持) 할 수 있는 수술전극, 전지 또는 정전압 전원, 직류전압 미터 릴레이(meter relay)가 조합된 가변 저항기, 직류 마이크로파 혼합기, 직류전압 미터 릴레이와 마이크로파 발진기를 연결하는 발진기 제어용 회로 및 가변 저항기와 직류 마이크로파 혼합기를 연결하는 회로를 포함하며, 직류 전기 저항값의 변화에 의하여 상기 응고의 종료 타이밍을 판별하고 상기 발진기 제어용 회로 및 출력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에 마이크로파 출력의 정지를 통지하는 판별 처리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수술장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의 조사(照射)에 의한 생체 조직 응고의 진행에 따라 조직의 수분이 감소하고 직류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조직의 응고(지혈) 종료를 검지하고, 생체 조직의 조건 등에 따른 적정한 타이밍으로 응고의 종료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판별에 기초하여 마이크로파 출력을 정지하기 때문에 마이크로파 조사(照射)에 의한 생체 조직의 응고를 적정한 타이밍으로 자동적으로 종료할 수 있고, 소위 과응고의 발생, 응고 불완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조작성, 기능성의 현저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른 마이크로파의 온, 오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 수술 장치에 있어서는 마이크로파의 출력 시간을 설정하는 출력 시간 설정부, 마이크로파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마이크로파가 공급되는 동축(同軸) 케이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접속되고 생체 조직에 도입되어 응고 대상 조직을 파지(把持)할 수 있는 수술 전극, 전지 또는 정전압 전원, 직류 전압 미터 릴레이(meter relay)가 조합된 가변 저항기, 직류 마이크로파 혼합기, 직류 전압 미터 릴레이와 마이크로파 발진기를 연결하는 발진기 제어용 회로 및 가변 저항기와 직류 마이크로파 혼합기를 연결하는 회로를 포함하고, 직류 전기 저항값의 변화에 의하여 상기 응고의 종료 타이밍을 판별하며, 상기 발진기 제어용 회로 및 출력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에 마이크로파 출력의 정지를 통지하는 판별 처리부를 갖춘다.
그리고, 처치 부위의 조직을 마이크로파로 가열응고할 때 조직의 온도 상승과 함께 수분이 감소하고 직류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조직의 응고(지혈) 종료를 검지하여 마이크로파 수술 장치의 마이크로파 발진(發振) 출력을 제어한다.
즉, 직류 전기 저항값의 감시에 의한 판별 처리부는 생체 조직의 조건 등에 따른 적정한 타이밍으로 응고의 종료를 판별한다.
그리고, 이 판별에 기초하여 마이크로파 출력을 정지하기 때문에 마이크로파 조사(照射)에 의한 생체 조직의 응고가 적정한 타이밍에서 자동적으로 종료된다.
본 방식은 사용하는 전극의 형상, 사이즈의 차이에 의해, 처리 부위의 조직과 접촉하는 전극의 표면 면적의 차이에 의해, 미터 릴레이(meter relay)의 작동점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대응책으로서 각 전극마다 전극 부속의 플러그를 꽂았을 때 자동적으로 전극 마다 작동점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처치 대상 조직의 절리(切離) 타이밍의 검지는 도 1과 같이 행해진다. 마이크로파 출력 회로에 삽입된 직류 혼합기를 통하여, 쌍극식(雙極式) 처치구의 선단에서 유지(파지; 把持)된 처치 부위의 조직을 흐르는 직류 전류양이 중첩하여 출력되고 있는 마이크로파의 통전에 의해 처치 부위의 조직이 가열되어서 수분이 증발 감소하여 해당 조직의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고 감소하므로, 전지 또는 정전압 전원으로부터 직류 전압 미터 릴레이(meter realy)가 조합된 가변 저항기(VR)의 ※기호 점의 전압이 변한다. 이 변화에 따라서 직류 전압 미터 릴레이가 작동하여 응고 종료의 신호를 내보냄과 동시에, 마이크로파 발진기 제어용 회로를 지나 마이크로파 발진기의 출력을 제어한다. 더욱이, 미터 릴레이 작동값은 (VR)의 ※기호를 조절하여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쌍극식 처치구로 처치 부위의 조직을 절리할 때 양극이 접촉(단락; 短絡)하면 도면의 R부의 전기 저항 가치가 0이 된다. 그 때문에 (VR)※기호의 전압이 변하여 순간적으로 마이크로파의 발진(發振)을 정지할 수 있으므로, 처치 대상 조직의 절리를 연행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직시하(直視下), 경시하(鏡視下), 내시경하(內視鏡下), 카르테(karte)하 중 어느 하나의 용도에도 대응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의 1형태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마이크로파 발진기에 동축(同軸) 케이블이 접속 분리가 자유롭게 커넥터 접속되어,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쌍극형(雙極型) 수술 전극이 교환이 자유롭도록 커넥터 접속된다. 그리고, 수술 전극은 그 선단에서 생체 조직을 파지(把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축 케이블에는 마이크로파·직류 혼합기를 지나 전지 또는 정전압 전원으로부터 직류 전류가 접속되고 있고, 미터 릴레이(meter relay) 동작 조절용의 가변 저항기, 직류 전압 미터 릴레이, 마이크로파 발진기 제어용 회로와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른 마이크로파의 온(on), 오프(off)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은 식용 돼지의 다리살(두께 6mm)을 사용하여 2450MHz의 마이크로파(60W)로 실온에서 다리살을 수술 전극의 선단으로 파지(把持)해 나갔다. 마이크로파가 부하(負荷)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시료의 저항값은 6 내지 8KΩ이다. 직류 전압을 키고(최초 0.1V), 약 0.6V로 마이크로파를 키고, 약 20초간 마이크로파를 시료에 부하하고, 그리고 표시 전압이 약 0.7V가 되었을 때 조직 응고의 종료로서 마이크로파를 오프시켰다. 그리고, 전압이 약 0.08V 즈음에서 직류 전압도 오프시켰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파는 900 내지 6000MHz인 것이 동등하게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처치구는 마이크로파 조사(照射)에 의한 응고가 적정한 종료 타이밍에서 종료하고, 과응고, 불완전 응고 등의 발생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시술자의 경험에 영향을 받지 않는 균일한 처리가 가능해지며, 조작성, 기능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것으로 의료 분야에 있어서 큰 유용성이 기대된다.

Claims (2)

  1. 처치 부위의 조직을 마이크로파로 가열응고할 때 조직의 온도 상승과 함께 수분이 감소하고 직류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조직의 응고(지혈) 종료를 검지(檢知)하여 마이크로파(고주파; 高周波)의 발진(發振) 출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파 수술 장치의 제어방법.
  2. 마이크로파의 출력 시간을 설정하는 출력 시간 설정부, 마이크로파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파 생성기,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마이크로파가 공급되는 동축(同軸) 케이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접속되고 생체 조직에 도입되어 응고 대상 조직을 파지(把持) 할 수 있는 수술 전극, 전지 또는 정전압 전원, 직류 전압 미터 릴레이(meter relay)가 조합된 가변 저항기, 직류 마이크로파 혼합기, 직류 전압 미터 릴레이와 마이크로파 발진기를 연결하는 발진기 제어용 회로 및 가변 저항기와 직류 마이크로파 혼합기를 연결하는 회로를 포함하고, 직류 전기 저항값의 변화에 의해 상기 응고의 종료 타이밍을 판별하고, 상기 발진기 제어용 회로 및 출력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로 마이크로파 출력의 정지를 통지하는 판별 처리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수술 장치.
KR1020097018420A 2007-03-27 2008-03-25 마이크로파 수술 장치 KR101495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83136 2007-03-27
JP2007083136A JP5216994B2 (ja) 2007-03-27 2007-03-27 マイクロ波手術装置
PCT/JP2008/055515 WO2008117789A1 (ja) 2007-03-27 2008-03-25 マイクロ波手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899A true KR20100014899A (ko) 2010-02-11
KR101495931B1 KR101495931B1 (ko) 2015-02-25

Family

ID=3978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420A KR101495931B1 (ko) 2007-03-27 2008-03-25 마이크로파 수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89260B2 (ko)
EP (1) EP2130509B1 (ko)
JP (1) JP5216994B2 (ko)
KR (1) KR101495931B1 (ko)
CN (1) CN101636121B (ko)
CA (1) CA2679568C (ko)
WO (1) WO20081177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6994B2 (ja) 2007-03-27 2013-06-19 国立大学法人滋賀医科大学 マイクロ波手術装置
JP5629434B2 (ja) * 2009-05-01 2014-11-19 国立大学法人滋賀医科大学 マイクロ波手術器
JP5514089B2 (ja) 2010-11-30 2014-06-04 株式会社 オリエントマイクロウェーブ マイクロ波手術器
EP2716251A4 (en) * 2011-07-07 2015-03-18 Yamashina Seiki Co Ltd MICROWAVE SURGICAL INSTRUMENT IN BIPOLAR NEEDLE SHAPE
JP6177576B2 (ja) * 2013-04-26 2017-08-09 アルフレッサファーマ株式会社 マイクロ波供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マイクロ波手術装置
DE102017109638A1 (de) * 2017-05-04 2018-11-08 Olympus Winter & Ibe Gmbh Generator für die Abgabe hochfrequenten Wechselstroms an ein Medizin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5510A (en) * 1979-05-16 1982-02-16 Cooper Medical Devices Corporation Method of performing male sterilization
JPS5784046A (en) * 1980-11-14 1982-05-26 Katsuatsu Tabuse Operation method
DE3120102A1 (de) * 1981-05-20 1982-12-09 F.L. Fischer GmbH & Co, 7800 Freiburg Anordnung zur hochfrequenzkoagulation von eiweiss fuer chirurgische zwecke
JPS58173541A (ja) * 1982-04-03 1983-10-12 銭谷 利男 マイクロ波手術装置
JPS58224599A (ja) * 1982-06-23 1983-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発電機自動電圧制御装置
JP2732675B2 (ja) * 1989-07-11 1998-03-3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温熱治療用プローブ
JP2683427B2 (ja) * 1989-09-05 1997-11-26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マイクロ波治療装置
JP3041035B2 (ja) 1990-10-24 2000-05-15 アロカ株式会社 電気手術器
US5352868A (en) * 1992-05-01 1994-10-04 Hemostatic Surgery Corporation Resistance feedback controlled power supply
US5558671A (en) * 1993-07-22 1996-09-24 Yates; David C. Impedance feedback monitor for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6002968A (en) * 1994-06-24 1999-12-14 Vidacare, Inc. Uterine treatment apparatus
US5707369A (en) * 1995-04-24 1998-01-13 Ethicon Endo-Surgery, Inc. Temperature feedback monitor for hemostatic surgical instrument
US5810804A (en) 1995-08-15 1998-09-22 Rita Medical Systems Multiple antenna abla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cooling element
US6235023B1 (en) * 1995-08-15 2001-05-22 Rita Medical Systems, Inc. Cell necrosis apparatus
JP3782495B2 (ja) * 1995-10-27 2006-06-07 アルフレッサファーマ株式会社 マイクロ波手術装置
US5836943A (en) * 1996-08-23 1998-11-17 Team Medical, L.L.C. Electrosurgical generator
AU1934699A (en) * 1998-01-07 1999-07-26 Kim Robin Segal Diode laser irradiation and electrotherapy system for biological tissue stimulation
US6383183B1 (en) * 1998-04-09 2002-05-07 Olympus Optical Co., Ltd. High frequency treatment apparatus
US6123702A (en) * 1998-09-10 2000-09-26 Scimed Lif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in an electrosurgical probe
JP2001037775A (ja) * 1999-07-26 2001-02-13 Olympus Optical Co Ltd 治療装置
US6652514B2 (en) * 2001-09-13 2003-11-25 Alan G. Ellman Intelligent selection system for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6733498B2 (en) * 2002-02-19 2004-05-11 Live Tissue Connec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tissue welding
US7115127B2 (en) * 2003-02-04 2006-10-03 Cardiodex,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hemostasis following arterial catheterization
US6939348B2 (en) 2003-03-27 2005-09-06 Cierra, Inc. Energy based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patent foramen ovale
JP4035100B2 (ja) * 2003-06-09 2008-01-16 徹 谷 医療用処置具及びこれを備えた医療用処置装置
JP2007083136A (ja) 2005-09-21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ごみ乾燥処理機
US8882766B2 (en) * 2006-01-24 2014-11-11 Covidien Ag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livery of energy to divide tissue
JP5216994B2 (ja) 2007-03-27 2013-06-19 国立大学法人滋賀医科大学 マイクロ波手術装置
CN101686834A (zh) * 2007-07-13 2010-03-31 波士顿科学医学有限公司 用于电解脱离可植入医疗装置的混合式轻便电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79568A1 (en) 2008-10-02
WO2008117789A1 (ja) 2008-10-02
EP2130509A4 (en) 2011-10-05
CN101636121B (zh) 2012-05-09
JP5216994B2 (ja) 2013-06-19
EP2130509B1 (en) 2014-07-09
JP2008237627A (ja) 2008-10-09
US20100042090A1 (en) 2010-02-18
KR101495931B1 (ko) 2015-02-25
CA2679568C (en) 2018-06-26
CN101636121A (zh) 2010-01-27
US9289260B2 (en) 2016-03-22
EP2130509A1 (en)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3533B1 (en) Square wave for vessel sealing
EP2649956B1 (en) Electrosurgical monopolar apparatus with arc energy vascular coagulation control
US105124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opening of the jaws of a vessel sealer mid-seal
EP1862137B1 (en) System for controlling tissue heating rate prior to cellular vaporization
US100395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issue sealing
EP2105102B1 (en) Electrosurgical apparatus with predictive RF source control
JP2020182871A (ja) 電気外科的密封・切開システム
EP2750618B1 (en) System for dc tissue impedance sensing
EP22837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impedance sensing
JP4656755B2 (ja) 電気手術装置
EP2301462B1 (en) Electrosurgical generator for controlling output in response to voltage and current phases and for sustaining microbubble formation
JP2007195973A (ja) インピーダンスフィードバックアルゴリズムにおける処理を終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A2661797A1 (en) Arc generation in a fluid medium
CA2743989A1 (en) Current-fed push-pull converter with passive voltage clamp
EP2531132B1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and system
KR101495931B1 (ko) 마이크로파 수술 장치
JPH0663056A (ja) 医療用高周波焼灼装置
JP2004008581A (ja) 電気手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