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728A - 다방향 턴버클 - Google Patents

다방향 턴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728A
KR20100013728A KR1020080075376A KR20080075376A KR20100013728A KR 20100013728 A KR20100013728 A KR 20100013728A KR 1020080075376 A KR1020080075376 A KR 1020080075376A KR 20080075376 A KR20080075376 A KR 20080075376A KR 20100013728 A KR20100013728 A KR 20100013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screw
male
fastened
turn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080075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3728A/ko
Publication of KR20100013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6Turnbuckles

Abstract

본 발명은 턴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3개 이상의 와이어를 긴장하거나 또는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 다방향 턴버클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방향 턴버클은 2개의 왼나사와 2개의 오른나사가 직각방향으로 위치한 플러스 모양의 수나사부와, 상기 2개의 왼나사에 각각 일단이 나사체결된 2개의 제1 너트와, 상기 2개의 오른나사에 각각 일단이 나사체결된 2개의 제2 너트와, 상기 제1 너트의 타단에 각각 나사체결된 2개의 오른나사고리와, 상기 제2 너트의 타단에 각각 나사체결된 2개의 왼나사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다방향 턴버클, 수나사부, 오른나사, 왼나사, 너트

Description

다방향 턴버클{Several Direction Turn Buckle}
본 발명은 턴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3개 이상의 와이어를 긴장하거나 또는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종래의 턴버클은 수나사가 형성된 2개의 고리와, 고리의 수나사가 양단에 각각 체결되도록 양단에 암나사가 형성된 너트를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수나사는 왼나사이고 다른 하나의 수나사는 오른나사이다. 따라서 턴버클은 너트를 회전시키면 2개의 고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죔기구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턴버클은 2개의 고리에 연결된 2개의 와이어만을 긴장시키거나 또는 구조물을 상호 근접하지 못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4개 이상의 와이어를 긴장시키기 위해서는 2개의 턴버클을 구비하여야 하며, 와이어의 레벨이 동일할 경우에 2개의 턴버클이 간섭되어 설치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설치하더라도 긴장시키기 위해 너트를 회전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턴버클을 설치할 수 있는 높이가 동일한 구조물의 경우에, 2개의 턴버클이 간섭에 의해 설치 자체가 어렵게 된다. 또한 홀수 개의 와이어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하지 못하는 와이어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3개 이상의 와이어를 연결하여 긴장시키거나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 다방향 턴버클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방향 턴버클은 복수 개의 수나사가 복수의 방향을 향해 형성된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에 일단이 나사체결된 복수 개의 너트와, 상기 수나사와 반대방향의 수나사가 형성된 복수 개의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의 수나사가 상기 너트의 타단에 나사체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수나사는 2개 이상의 왼나사와 2개 이상의 오른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너트는 일단이 상기 왼나사에 체결되는 제1 너트와 일단이 상기 오른나사에 체결되는 제2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너트의 타단에는 오른나사가 형성된 상기 고리가 체결되고, 상기 제2 너트의 타단에는 왼나사가 형성된 상기 고리가 체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방향 턴버클은 한 개의 턴버클로 다수 개의 와이어를 긴장시키거나 또는 구조물을 지지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다수 개의 턴버클이 필요로 하지 않아 깔끔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턴버클은 고리를 연결하는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위치하더라도 한 개의 턴버클로 4개의 와이어를 연결하여 긴장 또는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턴버클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턴버클을 나타낸 분해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턴버클을 이용하여 4개의 와이어를 긴장시키는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다방향 턴버클의 수나사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버클(100)은 4개의 와이어(1)를 연결할 수 있게 4개의 고리(131, 132)와 4개의 너트(121, 122) 그리고 상기 4개의 너트(121, 122)가 체결되도록 '+'플러스 모양의 수나사부(11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러스 모양의 수나사부(110)는 단부에 각각 수나사가 형성되는데, 직각으로 위치한 2개의 수나사는 오른나사(112)이고, 나머지 2개의 수나사는 왼나사(111)이다. 그리고 상기 수나사부(110)의 왼나사(111)에 제1 너트(121)가 나사 체결되고, 오른나사(112)에 제2 너트(122)가 체결된다.
여기에서 제1 너트(121) 및 제2 너트(12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턴버클의 너트와 동일하다. 즉 왼나사(111)에 제1 너트(121)의 일단이 나사체결되고 체결된 제 1 너트(121)의 타단에는 오른나사고리(131)가 나사체결된다. 그리고 오른나사(112)에 제2 너트(122)의 일단이 나사체결되고 체결된 제2 너트(122)의 타단에는 왼나사고리(132)가 나사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턴버클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긴장 또는 지지하는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상호 마주하여 위치하는 와이어(1)의 후크에 일직선 상에 위치한 오른나사고리(131)와 왼나사고리(132)를 각각 건다. 그리고 오른나사고리(131)에 제1 너트(121)의 타단을 체결하고, 왼나사고리(132)에 제2 너트(122)의 타단을 체결한다. 그리고 수나사부(110)의 왼나사(111)에 제1 너트(121)의 일단을 나사체결하고 수나사부(110)의 오른나사(112)에 제2 너트(122)의 일단에 나사체결한다.
제1 너트(121)와 제2 너트(122)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수나사부(110)를 회전하면 수나사부(110)의 왼나사(111)와 오른나사(112)에 나사체결된 제1 너트(121)와 제2 너트(122)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오른나사고리(131)와 왼나사고리(132)가 상호 마주하는 와이어를 긴장시키거나 긴장을 해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종래의 턴버클에서는 너트를 회전시킴에 있어 너트의 중공에 막대를 끼우고 막대를 이용하여 너트를 회전시켰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나사부(110)가 플러스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제2 너트(121, 122)가 체결되지 않은 왼나사(111) 및 오른나사(112)를 이용해 수나사부(110)를 바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수나사부(110)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제1 너트(121)와 제2 너트(122)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와이어(1)를 긴장시킨 상태로 수나사부(110)의 위치가 이동한다.
이와 같이 수나사부(110)의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 긴장된 2개의 와이어(1)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한 다른 2개의 와이어(1')를 연결하기에 편리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와이어(1)를 긴장시킨 상태에서 수나사부(110)를 이동하여 상기 2개의 와이어(1)와 수직으로 위치한 다른 2개의 와이어(1')를 긴장시키는 과정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수나사부(11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긴장되지 않은 와이어(1')에 각각 왼나사고리(132)와 오른나사고리(131)를 걸고, 수나사부(110)의 너트 체결되지 않은 왼나사(111)와 오른나사(112)에 각각 제1 너트(121)와 제2 너트(122)를 체결한다. 그리고 제1 너트(121)에 오른나사고리(131)를 체결하고 제2 너트(122)에 왼나사고리(132)를 체결한 후 제1 너트(121)와 제2 너트(122)를 회전하여 다른 2개의 와이어(1')를 긴장시킨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수나사부가 왼나사 또는 오른나사 중 어떤 형태의 나사 3개로 이루어지고, 수나사부의 왼나사 또는 오른나사에는 제1, 제2 너트 중 대응하는 너트의 일단이 체결되며, 상기 너트의 타단에는 왼나사고리 또는 오른나사고리 중 대응하는 나사고리가 체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턴버클은 3방향의 와이어를 긴장시키거나 또는 구조물을 지지한다.
앞에서 설명한 턴버클의 작동범위는 평면적인 구조였으나, 아래에서는 입체구조의 작동범위를 갖는 턴버클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구조 즉 2개의 왼나사와 2개의 오른나사가 평면적으로 위치한 플러스 모양의 수나사부의 중심에 상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각각 왼나사(111')와 오른나사(112')를 형성하고, 왼나사와 오른나사에 대응하여 제1, 제2 너트, 그리고 왼나사고리와 오른나사고리를 장착함으로써, 평면의 4방향과 상하 2방향에 위치한 와이어를 긴장시키거나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턴버클을 나타낸 분해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턴버클을 이용하여 4개의 와이어를 긴장시키는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다방향 턴버클의 수나사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턴버클 110 : 수나사부
111, 111' : 왼나사 112, 112' : 오른나사
121 : 제1 너트 122 : 제2 너트
131 : 오른나사고리 132 : 왼나사고리

Claims (2)

  1. 3 이상의 수나사가 3 이상의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에 일단이 나사체결된 복수 개의 너트와,
    상기 수나사와 반대방향의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너트의 타단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턴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나사는 2개 이상의 왼나사와 2개 이상의 오른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너트는 일단이 상기 왼나사에 체결되는 제1 너트와 일단이 상기 오른나사에 체결되는 제2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너트의 타단에는 오른나사가 형성된 상기 고리가 체결되고,
    상기 제2 너트의 타단에는 왼나사가 형성된 상기 고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턴버클.
KR1020080075376A 2008-08-01 2008-08-01 다방향 턴버클 KR201000137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376A KR20100013728A (ko) 2008-08-01 2008-08-01 다방향 턴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376A KR20100013728A (ko) 2008-08-01 2008-08-01 다방향 턴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728A true KR20100013728A (ko) 2010-02-10

Family

ID=42087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376A KR20100013728A (ko) 2008-08-01 2008-08-01 다방향 턴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37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2850B2 (en) 2011-01-18 2018-05-29 Lumileds Llc Illumin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2850B2 (en) 2011-01-18 2018-05-29 Lumileds Llc Illumin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201387A (ja) Led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
US20170356594A1 (en) Wall Mount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US9411185B2 (en) Splicing backplane for backlight module and backlight module employing same
KR20100013728A (ko) 다방향 턴버클
KR200441501Y1 (ko) 전산볼트 직선삽입식 측면 행거
JP2016211252A (ja) ネット張設具
JP2011083534A (ja) 脚柱の上下調節装置
KR101170065B1 (ko) 막 구조물의 막 견인 장치
JP6159115B2 (ja) 配管固定具
KR20150002134U (ko) 선박용 등 고정용 원통형 고정클램프
JP2015005414A (ja) 照明器具
JP2009046874A (ja) フェンスの連結構造及びフェンス
KR101220838B1 (ko) 음향기기 지그 어셈블리
US10697597B2 (en) Housing, connector and system
KR20140058264A (ko) 선박용 전로 유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6692470B2 (ja) 照明器具
JP5807141B1 (ja) 支持装置
JP6355045B2 (ja) 落下防止装置、及び照明器具
KR20130009900A (ko) 선박의 조명장치
JP7304687B2 (ja) ガード
CN203168641U (zh) 展示装置骨架
US20140345901A1 (en) Wiring support structure
KR101082263B1 (ko) 링 단자 연결용 커넥터
JP2009511768A (ja) 繊維機械におけるドラフト機構の配置構造
KR101678046B1 (ko) 의료용 led 조명등 모듈의 지지 프레임 및 이를 사용하는 led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