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371A - 콘크리트 블록체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블록체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371A
KR20100013371A KR1020080074865A KR20080074865A KR20100013371A KR 20100013371 A KR20100013371 A KR 20100013371A KR 1020080074865 A KR1020080074865 A KR 1020080074865A KR 20080074865 A KR20080074865 A KR 20080074865A KR 20100013371 A KR20100013371 A KR 20100013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block body
contact
connecting bar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안상구
이용준
이정학
Original Assignee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4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3371A/ko
Publication of KR20100013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형 콘크리트 블록체 다수를 연결하여 시공하는데 있어서 단순한 시공 공정과 콘크리트 블록체들의 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체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체의 시공방법은 a) 기초 지반대를 지표면에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기초 지반대에 각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각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를 서로 밀착시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크리트 블록체, 접합부재, 견인 조작구, 턴버클, 연결체인

Description

콘크리트 블록체 및 이의 시공방법{concrete block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형 콘크리트 블록체 다수를 연결하여 시공하는데 있어서 단순한 시공 공정과 콘크리트 블록체들의 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체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지하 공간에는 배출되는 하수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도하거나 가정으로 전력 및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하수구, 전력구, 통신구 등이 설치되는데, 도로 등을 파서 매설로를 형성하고, 일정한 장소에서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인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체를 서로 연결하여 하수구, 전력구, 통신구 등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수구, 전력구, 통신구 등의 설치에 사용되는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는 통상 사각형으로 형성되는데, 내측에 형성된 공간은 케이블 부설이나 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수로로 사용된다.
한편,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들은 서로 연결되는 형식으로 배열되어야 하는 데, 이는 콘크리트 블록체들을 각각 부설될 위치에 배열한 후, 밀착시켜 연결하게 된다.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체 구조물의 경우, 블록체가 놓여질 위치에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지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으로 기초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여기에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를 올려서 시공하게 된다.
그리고, 기초 콘크리트층이 형성된 부분에 암거 지지부재인 H형 빔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블록체 상호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콘크리트 블록체를 기초 콘크리트층과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그라우트 주입구를 형성한 콘크리트 블록체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암거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과정이 번거로우며, 시공 방법의 단계가 복잡하여 실제 시공 현장에서는 이러한 설치 방법을 제대로 사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체의 시공방법에서 있어서, 인접한 콘크리트 볼록체 상호 간을 밀착시키기 위해 작은 콘크리트 블록체의 경우에는 견인 조작구를 이용하여 밀착시키거나, 근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를 턴버클을 임시 설치하여 밀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를 상호 밀착시킴에 있어서, 콘크리트 블록체의 규모 및 크기가 클 경우에는 견인 조작구를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턴버클을 이용할 경우에도 턴버클이 작동될 수 있는 거리로 먼저 콘크리트 블 록체를 밀착시키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별도의 방법이나 수단이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체에 의한 구조물을 단순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체 및 이의 시공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의 콘크리트 블록체가 배열된 상태에서 상호 간 위치조절을 위해 콘크리트 블록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콘크리트 블록체 및 이의 시공방법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체의 시공방법은 a) 기초 지반대를 지표면에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기초 지반대에 각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각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를 서로 밀착시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초 지반대는 상기 지표면을 평탄하게 다지는 공정, 상기 지표면 상에 잡석 또는 모래를 투입하여 다지는 공정, 또는 상기 지표면의 하부로 일정 깊이 토굴한 후 기초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각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의 하부면에 제1 연결바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인서트홀을 형성하고,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들의 제1 연결바에 상호 연결체인을 연결하여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를 1차 밀 착시키는 단계; 및 b2) 상기 콘크리트 블록체의 내부 또는 외부면에 제2 연결바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인서트홀을 형성하고,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들의 제2 연결바에 턴버클을 연결하여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를 2차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접합할 일 측 콘크리트 블록체에 탈착을 할 수 있도록 제1 연결바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인서트홀을 형성하고, 타측 콘크리트 블록체에 탈착을 할 수 있도록 베이스판의 하부측에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와 상기 제1 연결바를 견인줄을 통해 연결하며, 상기 레버를 회전 조작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체를 상호 근접시켜 1차 밀착시키는 단계; 및 b2) 상기 콘크리트 블록체의 내부 또는 외부면에 제2 연결바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인서트홀을 형성하고,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들의 제2 연결바에 턴버클을 연결하여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를 2차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체는 접합면에 내측 방향으로 단면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취부공, 하부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인서트홀, 내부 또는 외부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인서트홀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 및 본체, 상기 취부공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 및 상기 본체의 축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후방면과 서로 면접촉을 이루는 개열용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접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접촉부위를 밀폐하는 접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제1 인서트홀에는 제1 연결바가 삽입되고,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1 연결바에 상호 연결체인을 연결하여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을 1차 밀착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제1 인서트홀에 제1 연결바가 삽입되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결합부에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와 제1 연결바를 견인줄을 통해 연결하며, 상기 레버를 회전 조작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상호 근접시켜 1차 밀착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제2 인서트홀에는 제2 연결바가 삽입되고,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들의 제2 연결바에 상호 턴버클을 연결하여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을 2차 밀착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열용 공간부는 본체에 형성되는 V자형 홈; 접합부를 통해 상기 V자형 홈의 일측변에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폐쇄단부; 및 상기 폐쇄단부의 내측 부분에 설치된 넓은 폭의 내역 공간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합부재는 고중합 폴리염화비닐수지 %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로 혼합되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합부재는 상기 돌출부 후방에 돌출부의 삽입방향을 향해 상기 개구부에 접촉 가능하게 비스듬히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보다 바깥쪽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립(lip) 형상을 이루어 상기 취부공 안을 수밀 상태로 유 지하도록 하는 폐쇄압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블록체를 단순하고 용이하게 시공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들을 더욱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통수로와 같은 매설용 또는 복개 설치하는 박스형 콘크리트 블록체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시공하는 방법과 이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체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를 참고하여 콘크리트 블록체의 설치상태를 살펴본다.
콘크리트 블록체(10)는 통상 박스형의 형상을 갖게 되며, 내부로 수로 등이 구성되고, 외벽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콘크리트 블록체(10)는 그 부피 및 중량이 크기 때문에 각각의 단위 규격으로 형성되며, 각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별로 이동 및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각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10)들은 기초 지반대(20) 상에 배열되며, 이 기초 지반대(20)는 지표면 상에 잡석 또는 모래를 투입한 후 다지거나, 지표면의 하부로 일정 깊이 토굴한 후 콘크리트로 다져 기초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형성한다.
첨부 도면 중,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체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고하면, 콘크리트 블록체의 수평 유지를 위한 기초 지반대(20)를 형성하게 되고, 이 기초 지반대(20) 위에 각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10)를 설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초 지반대(20)는 지표면 상에 잡석 또는 모래를 투입한 후 다져서 형성하거나, 또는 지표면을 일정 깊이로 토굴한 후 여기에 콘크리트를 넣어 양생하여 기초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게 된다.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10)는 크레인 장치(C, 도 1 참조)에 의해 들어 올려져서 기초 지반대(20) 위에 올려지며, 이후 다른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10')가 인접하여 올려진다.
크레인과 같은 장비에 의해 올려진 콘크리트 블록체들은 처음부터 서로 밀착되어 배열되기 어렵다. 장비의 정확도 및 콘크리트 블록체들 사이의 충돌에 의한 파손 등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결국 콘크리트 블록체들의 초기위치는 서로 어느 정도 이격 되어 있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 블록체(10)에는 개구부(11)와 취부공(12)과, 제1 인서트홀(13) 및 제2 인서트홀(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블록체(10)는 접합 시에 충합이 가능한 접합면(S)을 마주보고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 블록체들 사이의 접합면을 통해 콘크리트 블록체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흘러나오지 않고 또한 외부로부터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접합부재(30)를 사용하게 된다.
개구부(11)는 안쪽으로 설치된 비교적 큰 지름의 취부공(12) 방향으로 좁게 테이퍼 형성되며, 취부공(12)과 개구부(11)의 경계 부분에 잘록한 돌출부분(11a)이 형성되어 있다.
취부공(12)은 단면이 원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며, 접합해야 할 양쪽 콘크리트 블록체(10, 10')의 접합면(S) 중 적어도 일 측의 콘크리트 블록체의 접합면(S)은 접합부재(30)의 한쪽 끝에 형성한 돌출부(31)가 삽입될 수 있는 지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3a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콘크리트 블록체(10)의 제1 인서트홀(13)은 원통형의 제1 연결바(13a)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이며, 이 제1 인서트홀(13)은 콘크리트 블록체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1 인서트홀(13)이 형성된 상호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들은 제1 연결바(13a)에 연결되는 연결체인(40)에 의해 1차 밀착된다.
연결체인(40)은 양측에 후크(41a, 41b)가 구비되고, 이 후크들이 체인줄(42)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양 후크(41a, 41b)를 각각 콘크리트 블록체(10, 10')의 제1 연결바(13a)에 체결한 후, 체인줄(42)의 일단(42a)을 잡아당기면 이격되어 있던 콘크리트 블록들이 상호 당겨지게 된다.
그리고, 도 5를 참고하면, 제2 인서트홀(14)은 비교적 작은 지름을 가진 원통형의 제2 연결바(14a)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이며, 제2 인서트홀(14)은 콘크리트 블록체의 내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외부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인서트홀(14)은 콘크리트 블록체의 양측면 및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이들 중 양측면 또는 상부면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서로 인접하는 콘크리트 블록체의 제2 인서트홀(14)에 삽입되는 제2 연결바(14a)들은 턴버클(50)에 의해 연결되어 밀착된다. 연결체인(40)에 의해 상호 떨어진 콘크리트 블록체들을 1차로 근접시킨 다음에 턴버클(50)을 통해 2차 밀착시키게 된다.
턴버클(50)은 측은 오른나사, 타 측은 왼나사 형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 몸체 또는 후크의 회전으로 인해 양측이 조여지도록 구성된 조임기구이다. 이러한 턴버클을 통해 콘크리트 블록체를 서로 밀착시키게 된다.
한편, 기초 지반대(20)에 각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10)를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상술한 연결체인(40)을 통해 1차 밀착되는 콘크리트 블록체는 대형 크기의 블록체에 해당한다.
콘크리트 블록체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연결체인(40)을 통해서도 1차 밀착이 가능하지만, 레버(60)를 통해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를 밀착시킬 수도 있다. 즉, 접합할 일 측 콘크리트 블록체(10)의 제1 인서트홀(13)에 제1 연결바(13a)를 삽입하고, 타측 콘크리트 블록체(10')에 탈착을 할 수 있도록 베이스판(61)의 하부측에 결합부를 형성하여 결합부에 레버(60)를 설치한 후, 레버(60)와 제1 연결바(13a)를 견인줄(63)을 통해 연결하고, 레버(60)를 회전 조작하여 콘크리트 블록체를 상호 근접시켜 1차 밀착시키게 된다.
레버(60)의 구조를 살펴보면, 일측 콘크리트 블록체(10)의 제1 결합부(62a)에 견인줄(63)의 일 측 끝단이 연결된다. 다른 블록 본체(10')의 접합단(S) 부근의 저부에는 제2 결합부(62b)가 베이스판(61) 하방으로 형성되고, 회전 지축(A)이 제2 결합부(62b)의 베이스판(61) 위에 배치하여 설치된다. 레버(60)가 회전 지축(A)과 결합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판(61) 위에 설치되고, 레버(60)의 일측 끝 윗면에는 견인줄(63)을 견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 두 갈래 또는 훅(hook) 모양의 걸림부재(64)가 형성된다.
상기 견인줄(63)에 의해 레버(60)가 회전하면 회전 지축(A)을 중심으로 걸림부재(64)가 회전 지축(A)의 축 주변으로 회전하여 작용점이 되고, 지레 작용이 발생하게 되어 상호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10, 10')들은 밀착하게 된다.
한편, 도 6은 접합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접합부재(30)는 본체(32)와, 콘크리트 블록체의 취부공(12)의 내측에 위치하여 본체(32)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31), 및 본체(32)의 축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돌출부 후방면과 서로 면접촉을 이루는 개열용 공간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접합부재(30)는 고중합 폴리염화비닐수지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가 혼합되어 형성된 것으로, 고탄성, 내유성, 내수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재질을 갖고 있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CH2=CH-CN)과 부타디엔(CH2=CH-CH=CH2)을 공중합시킨 합성고무이다. 바람직하게는, 고중합 폴리염화비닐수지 75 ~ 90%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10 ~ 25%로 혼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개열용 공간부(33)는 본체에 형성되는 V자형 홈(33a)과, 접합부를 통해 V자형 홈(33a)의 일 측변에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폐쇄단부(33b), 및 폐쇄단부(33b)의 내측 부분에 설치된 넓은 폭의 내역 공간부(33c)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인접한 개열용 공간부(33)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축 길이방향(I)으로 형성된다.
한편, 폐쇄압접부(34)는 돌출부(31)의 후방에 형성되며, 취부공(12)에 대한 돌출부(31)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설치각도로 비스듬히 설치된다. 폐쇄압접부(34)는 돌출부(31)보다 외측으로 긴 길이를 갖는 립(lib) 형상을 이루게 된다. 폐쇄압접부(34)는 원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돌출부(31)의 후방에 상하 두 개씩 형성된다.
상기 립(lip) 형상의 폐쇄압접부(34)의 설치각도는 45°~60°범위가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는 돌출부(31)를 개구부(11) 안에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 에 개구부(11)에서 폐쇄압접부(3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적합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폐쇄압접부(34)가 개구부(11)의 내면에 압접되면 취부공(12) 및 개구부(11) 안을 수밀상태로 지속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체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체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도 6은 접합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콘크리트 블록체 11: 개구부
12: 취부공 13: 제1 인서트홀
13a: 제1 연결바 14: 제2 인서트홀
14a: 제2 연결바 20: 기초 지반대
30: 접합부재 31: 돌출부
32: 본체 33: 개열용 공간부
34: 폐쇄압접부 40: 연결체인
42: 체인줄 50: 턴버클
60: 레버 61: 베이스판
63: 견인줄

Claims (11)

  1. a) 기초 지반대를 지표면에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기초 지반대에 각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각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를 서로 밀착시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체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지반대는
    상기 지표면을 평탄하게 다지는 공정, 상기 지표면 상에 잡석 또는 모래를 투입하여 다지는 공정, 또는 상기 지표면의 하부로 일정 깊이 토굴한 후 기초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체의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각 단위 콘크리트 블록체의 하부면에 제1 연결바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인서트홀을 형성하고,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들의 제1 연결바에 상호 연결체인을 연결하여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를 1차 밀착시키는 단계; 및
    b2) 상기 콘크리트 블록체의 내부 또는 외부면에 제2 연결바가 삽입될 수 있 는 제2 인서트홀을 형성하고,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들의 제2 연결바에 턴버클을 연결하여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를 2차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체의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접합할 일 측 콘크리트 블록체에 탈착을 할 수 있도록 제1 연결바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인서트홀을 형성하고, 타측 콘크리트 블록체에 탈착을 할 수 있도록 베이스판의 하부측에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와 상기 제1 연결바를 견인줄을 통해 연결하며, 상기 레버를 회전 조작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체를 상호 근접시켜 1차 밀착시키는 단계; 및
    b2) 상기 콘크리트 블록체의 내부 또는 외부면에 제2 연결바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인서트홀을 형성하고,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들의 제2 연결바에 턴버클을 연결하여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체를 2차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체의 시공방법.
  5. 접합면에 내측 방향으로 단면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취부공, 하부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인서트홀, 내부 또는 외부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인서트홀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 및
    본체, 상기 취부공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 및 상기 본체의 축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후방면과 서로 면접촉을 이루는 개열용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접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접촉부위를 밀폐하는 접합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제1 인서트홀에는 제1 연결바가 삽입되고,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1 연결바에 상호 연결체인을 연결하여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을 1차 밀착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제1 인서트홀에 제1 연결바가 삽입되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결합부에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와 제1 연결바를 견인줄을 통해 연결하며, 상기 레버를 회전 조작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상호 근접시켜 1차 밀착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체.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제2 인서트홀에는 제2 연결바가 삽입되고,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들의 제2 연결바에 상호 턴버클을 연결하여 인접한 콘크리트 블록을 2차 밀착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체.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열용 공간부는 본체에 형성되는 V자형 홈;
    접합부를 통해 상기 V자형 홈의 일측변에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폐쇄단부; 및
    상기 폐쇄단부의 내측 부분에 설치된 넓은 폭의 내역 공간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체.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는 고중합 폴리염화비닐수지 75 ~ 90%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10 ~ 25%로 혼합되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체.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는 상기 돌출부 후방에 돌출부의 삽입방향을 향해 상기 개구부에 접촉 가능하게 비스듬히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보다 바깥쪽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립(lip) 형상을 이루어 상기 취부공 안을 수밀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폐쇄압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체.
KR1020080074865A 2008-07-31 2008-07-31 콘크리트 블록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013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865A KR20100013371A (ko) 2008-07-31 2008-07-31 콘크리트 블록체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865A KR20100013371A (ko) 2008-07-31 2008-07-31 콘크리트 블록체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371A true KR20100013371A (ko) 2010-02-10

Family

ID=4208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865A KR20100013371A (ko) 2008-07-31 2008-07-31 콘크리트 블록체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337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233A3 (ko) * 2014-08-27 2016-04-14 주식회사 파수닷컴 데이터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데이터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보안 정책 서버
KR20200144191A (ko) 2019-06-17 2020-12-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검정색 기능성 천연색소가 코팅된 검정 소금 또는 검정 설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럽 조성물
KR20200144190A (ko) 2019-06-17 2020-12-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크럽제용 유색 소금 또는 유색 설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3548A (ko) 2019-06-17 2021-04-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검정색 기능성 천연색소가 코팅된 검정 소금 또는 검정 설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럽 조성물
CN113266559A (zh) * 2021-05-21 2021-08-17 华能秦煤瑞金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神经网络的混凝土输送泵堵塞的无线检测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233A3 (ko) * 2014-08-27 2016-04-14 주식회사 파수닷컴 데이터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데이터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보안 정책 서버
KR20200144191A (ko) 2019-06-17 2020-12-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검정색 기능성 천연색소가 코팅된 검정 소금 또는 검정 설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럽 조성물
KR20200144190A (ko) 2019-06-17 2020-12-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크럽제용 유색 소금 또는 유색 설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3548A (ko) 2019-06-17 2021-04-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검정색 기능성 천연색소가 코팅된 검정 소금 또는 검정 설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럽 조성물
KR20210068382A (ko) 2019-06-17 2021-06-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크럽제용 유색 소금 또는 유색 설탕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266559A (zh) * 2021-05-21 2021-08-17 华能秦煤瑞金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神经网络的混凝土输送泵堵塞的无线检测方法
CN113266559B (zh) * 2021-05-21 2022-10-28 华能秦煤瑞金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神经网络的混凝土输送泵堵塞的无线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3888B2 (en) Polymer bag grouting method for repairing settlement of underground pipelines
KR20100013371A (ko) 콘크리트 블록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86151B1 (ko) 보강토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27186B1 (ko) 흙막이 및 차수용 연속 벽체 시공방법
JP2013159998A (ja) 簡易覆工板
KR101043666B1 (ko) 노화된 하수관로의 내면 보수공법
KR100722825B1 (ko) 굴삭기 부착형 다각도천공기 및 이의 지중 천공방법
JP2012036720A (ja) 覆工パネルを用いる開削式掘削構造及び開削式掘削施工方法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20060069419A (ko) 수밀성 및 가요성을 갖는 철근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박스암거와 이 암거의 시공 구조 및 방법
WO2009005244A2 (en) Method for burying hume pipes and support block used in the method
KR200391463Y1 (ko) 조립식 맨홀
KR101817712B1 (ko) 암거 및 암거 시공방법
KR101068616B1 (ko) 유도 배수형 분할 요철판을 이용한 비개착 터널 및 관로와 이를 이용한 터널 및 관로 부설공법
JP2019529758A (ja) 盲暗渠を備える下水設備用の装置
KR101165347B1 (ko) 연결부위에 턱이 없는 개거수로관과 개거수로관 시공방법
KR200255650Y1 (ko)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시일링장치
KR20210051130A (ko) 지하수 관정의 상부보호공
KR101748776B1 (ko)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KR200275363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조립식 원형 도로 배수관
KR200413250Y1 (ko)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의 이탈 방지 앵커 설치 구조
KR200214402Y1 (ko) 엘형 측구용 원형관
JP2985063B2 (ja) ケーソンプレハブ人孔およびその施工法
KR102097939B1 (ko) 수밀성이 강화된 토목 구조용 전력구
CN113833524B (zh) 一种处理岩溶区隧道涌水的双孔箱涵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