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057U - 식품분쇄기 - Google Patents

식품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057U
KR20100013057U KR2020090008164U KR20090008164U KR20100013057U KR 20100013057 U KR20100013057 U KR 20100013057U KR 2020090008164 U KR2020090008164 U KR 2020090008164U KR 20090008164 U KR20090008164 U KR 20090008164U KR 20100013057 U KR20100013057 U KR 201000130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grinder
grinding
compression
food gr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원동
Original Assignee
양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동 filed Critical 양원동
Priority to KR2020090008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3057U/ko
Publication of KR201000130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05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2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 A47J42/34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hand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채나 채소를 포함한 농축산 식품의 즙을 내거나 분쇄하는 식품용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본원의 식품분쇄기는 동력을 전기나 배터리를 사용하지않고 나사산을 이용한 수동으로 작동하여 마늘이나 물고추, 양파, 생강, 과일 등과 같은 등 식품을 입 도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지는 기능을 하는 식품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분쇄, 야채, 즙, 과일, 회전,구동,나사산

Description

식품분쇄기{food grinding system}
본 고안은 상기하였듯이 수동으로 간편하게 작동되는 식품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식품 분쇄기는 고대로부터 사용하는 원형용기에 넣고 방망이로 찧는 재래식 절구통 분쇄기와 펀치 식으로 소량의 식품을 넣고 손잡이를 누르면 손의 약력으로 식품을 분쇄하는 펀치식 분쇄기와 수동으로 식품을 넣고 스크류식날을 회전하여 식품을 분쇄하는 수동용 분쇄기와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회전시키어 비교적 많은 양을 분쇄하는 핸드 블랜너나 믹서기 등이 있다.
먼저, 상기의 재래식 절구통 분쇄기는 사용시 소음이 발생하고 분쇄되는 식품이 절구통의 벽면에 달라붙어 이를 세척하기가 힘이 들고 보관시 부피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펀치식 분쇄기는 손의 약력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당사자인 여성이 사용하기에는 손의 완력이 약하여 무리가 따르었고 수동으로 식품을 넣고 스크류식날을 회전하여 식품을 분쇄하는 수동용 분쇄기는 분쇄물이 일정하게 갈리지않는 문제점이 도출하였다.
또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핸드 블랜너나 믹서기는 마늘이나 생강 야채 등을 다지기를 하면 칼날의 고속회전으로 인하여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식품을 다 지다 는 것보다는 입도가 죽처럼 갈리게 되어 식품의 세포막의 파괴로 영양이나 향기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다용도 식품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가정 내에서 주부들의 음식조리에 따른 가사노동을 감소시켜 개선된 주방환경을 제공하도록 함에 있으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이 간편하고 식품의 분쇄시에 힘을 들이지않고 사용 후 세척이 편리하고 간편하게 공급되도록 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투명 또는 불투명의 용기 내부에 설치된 탈부착하는 분쇄 헤드부의 나사산의 회전장력으로 상기 식품의 압축 분쇄 후 입도 조절부를 거쳐 식품의 입도를 조절하게 되고 이를 배출하는 분쇄구를 통하여 식품이 배출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원 고안은 다용도 식품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의 조리시에 첨가하는 마늘, 생강, 풋고추 등의 식품을 분쇄 헤드부에 의해 나사식으로 회전되는 분쇄 헤드부와 사용용도에 따라 식품의 입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입도 조절부가 인설되어 식품의 분쇄의 크기를 손으로 조절되도록 하며 분쇄구을 통하여 상기 분쇄된 식품이 배출되게 하는 다용도 식품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식품인 마늘이나 생강, 고추 등을 음식물의 맛을 내는 식품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조미식품 등은 음식물에 적합한 형태로 첨가되기 위해 껍질 제거와 분쇄 등 여러 과정의 가공작업을 거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여러 형태의 마늘 분쇄작업은 칼등으로 분쇄하거나 상 기한 수동용 압착기에 의하여 실시된바 이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조미식품의 자극적인 물질특성상 작업자의 피부 또는 눈 등의 신체에 상당한 부담감을 주게 되어 분쇄작업을 지속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모터의 동력을 이용한 믹서 등은 사용시 위험이 따르고 특히 상기 조미식품을 너무 잘게 부수어 죽이 되어 음식의 맛을 내는 입도가 적당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여러 식품의 분쇄방법은 단순히 기구를 이용할 뿐 사용자에 의해 악력을 작용시켜야 하므로, 장시간 작업시 신체에 상당한 피로감을 느끼게 하여 작업이 효율적이지 못하였으며 특히 한국인이 즐겨 찾는 마늘의 예를 들어보면 펀치
헤드부에 단일 개씩 공급함으로써 작업이 신속하지 못하여, 매우 번거로우며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 또한 상존시킨 것이며 특히 전동용 식품 분쇄기는 식품의 입도의 크기를 너무 잘게 분쇄하여 식품용으로 사용하는데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시 위험을 인지하지 못하는 영유아의 손이 들어가 다치는 위험요소와 모터를 고속
회전시키는데 들어가는 전기료를 비롯한 불필요한 비용지출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식품 가공방법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의 조리등에 식품으로 첨가되는 마늘이나 생강, 사용함에 있어, 주부들의 일손과 가사노동을 감소시켜 개선된 주방환경을 제공하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마늘이나 생강, 고추 등의 식품을 쉽고 편하게
분쇄하여 용도에 맞는 적합한 식품의 입도를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간편하게 공급되도록 한 다용도 식품분쇄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식품분쇄기는
피 분쇄물을 과일 등을 분쇄나 압출하여 즙을 만들거나 곡류 및 육류를 넣어 분쇄하여 압출할 수 있는 착즙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재료에 따라 더 세분화된 압출력을 설정하여 착즙 효율을 향상시키고, 분쇄 압출 시에는 분쇄입자를 미세하게 하면서도 압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기의 마찰 소음이 없고, 내구성도 대폭적으로 향상된 기존의 여러 방식이나 형태의 식품분쇄기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고안되었으며 다량의 마늘이나 생강, 고추 등의 식품을 사용자가 원하는 입도의 크기로 분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자유롭게 탈, 부착 교환되는 분쇄 헤드부와 분쇄 구와 입도 조절부를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식품의 입도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요식업소 및 가정 내에서 음식조리에 따른 분쇄된 식품을 준비함에 있어 주부들의 번거로운 식품 손실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하여 가사노동을 대폭 감소하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한 착즙 분쇄기를 제공코자 한다.
본원 고안은 상기하였듯이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 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압축용기(80)일 측에 탈착 가능한 분쇄구 결합 나사 산(240)과 투명 또는 불투명의 압축용기(80)내측면에 여러 형태의 분쇄 헤드부(160)의 회전 압력으로 상기 식품이 입도 조절부는 끼움 식으로 수동적인 조절에 의한 압력으로 일정 입도 나 즙으로 다져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압축용기(80)는 금속, 합성수지, 세라믹, 유리재등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 하부면이 관통된 구성을 갖되, 압축용기(80)의 외측면 둘레 일측부에는 전술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지지손잡이(60)가 구성되고 상기 분쇄구(220)와
맞닿는 헤드부가 밋밋하거나 볼형태, 요철형태 빗살무늬 형태 등의 여러 형태의 분쇄 헤드부(160)가 분쇄 헤드 결합부(180)에 의하여 착탈식으로 압축용기(80)의 내측면 인입되어 투입된 식품을 분쇄하거나 식품의 즙을 추출하게 된다.
본원의 식품 분쇄기는 식품을 분쇄하기 위하여 투입하는 압축용기(80)는 투명 또는 불투명의 금속, 합성수지, 세라믹, 유리재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 하부면이 관통된 구성을 갖되, 상기 압축용기(80)의 외측면 둘레 일측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지지손잡이(60)가 구성되고 나사산을 회전시켜 분쇄헤드부(160)를 전후진 시키는 회전손잡이(20)와 손잡이 접힘부(40)와 상기 압축용기(80)의 내측면 인입된 분쇄 헤드부(160)가 분쇄구(220)가 나사산에 의하여 강하게 밀착되어 상기 압축용기(80)내에 투입된 식품을 분쇄 또는 즙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쇄구(220)와 맞닿는 분쇄 헤드부(160)는 밋밋하거나 볼형태, 요철형태 빗살무늬 형태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쇄 헤드부(160)는 분쇄 헤드 결합부(180)에 의하여 착탈 되고 상기 식품분쇄기는 압축 나사산(140)의 일측단부 손잡이 캡 결합 나사산(120)을 관통시켜 나사산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하여 회전 손잡이(20)를 손으로 돌리면 상기의 분쇄 헤드부(160)가 압축 용기(80) 내부에서 전진하며 상기 압축용기(80)내에 인입된 식품이 분쇄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쇄 헤드부(160)가 분쇄구(220)를 통하여 압축하고 입도 조절부(200)를 조절하여 분쇄된 식품의 입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분쇄구 결합 나사산(240)을 통하여 다져진 식품이 외부로 분쇄구(220)일측에 부착된 입도 조절부(200)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는데 압축 나사 산(140)을 따라서 전진 및 후진하는 회전 손잡이(20) 또는 구동모터(300)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분쇄기는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또는 가정용 전원(320)을 사용하는 구동모터(300)와 이와 연통된 연결축(340)과 상기 구동모터(3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회전력을 상승시키는 기어장치가 부착된 회전 기어부(360) 와 이를 조작하는 조작부(38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분쇄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아래에서는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복잡하게 하거나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간략하게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당업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원의
분쇄기의 제조방식은 통상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에 있어 종래의 절구통용 마늘 분쇄기의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고대부터 내려오는 일반적인 재래식 절구통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절구통은 부피가 크고 식품의 분쇄시에 큰 소음이 발생하며 분쇄시 식품의 분산물이 외부로 튈 수 있으며 분쇄 후 이를 세척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에 있어 종래의 펀치식 플라스틱 분쇄기의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손의 장력을 이용하여 주로 마늘이나 생강 등의 조미용 식품을 1개씩 넣고 분쇄하는 펀치식 분쇄기를 나타낸 것으로 여성이 사용하기는 무척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도 3은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에 있어 종래의 펀치식 금속 분쇄기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에 있어 종래의 회전식 플라스틱 분쇄기의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회전기어에 의하여 식품을 분쇄하는 수동식 분쇄기를 나타낸 것으로 제대로 분쇄하기도 힘이 들고 분쇄 후 기어 사이에 다량의 식품이 끼어있어 식품의 청소나 낭비가 많은 단점이 있었다.
도 5는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에 있어 종래의 펀치식 분쇄기의 사시도.
도 6은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에 있어 종래의 회전식 분쇄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에 있어 종래의 회전식 분쇄기의 또 다른 사시도.
도 8은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에 있어 종래의 타격식 분쇄기의 사시 도를 나타낸 것으로 일정용기에 식품을 넣고 엇갈리게 구성된 칼날을 부착한 후 손으로 타격하여 식품을 부수는 장치로서 소음이 심하고 장기 사용시에 칼날이 도마에 부딪혀
상하므로 오래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9는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원의 식품분쇄기는 압축 나사산(140)의 일측단부 손잡이 캡 결합 나사산(120)을 관통시켜 나사산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하여 오른쪽으로 회전 손잡이(20)를 손으로 돌리면 상기의 분쇄 헤드부(160)가 압축 용기(80) 내부에서 앞으로 전진하며 상기 압축용기(80)내에 인입된 식품을 상기 분쇄 헤드부(160)가 압축하고 이때 상기 입도 조절부(200)를 조절하여 분쇄된 식품의 입도의 크기를 조절하게 되며 분쇄구 결합 나사산(240)을 통하여 상기 다져진 식품이 외부로 분쇄구(220)와 입도 조절부(200)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를 왼쪽으로 돌리면 분쇄 헤드부(160)가 반대로 후진하여 식품과는 멀어지게 되는 원리인 것이다.
또한, 상기한 압축용기(80)는 투명 또는 불투명의 재료로서 중앙이 수직으로 관통되며 식품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 나사산(140)이 인입되어 투입된 식품을 분쇄하게 된다.
전술한 회전 손잡이(20)에는 이와 연통 되어 펴거나 접혀지는 통상의 손잡이 접힘부(40)와 일체화되거나 취합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회전 손잡이(20)부에는 다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되며 규칙적인 치형 이나 배열형태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지만, 이와 같은 마늘이나 생강, 고추 등과 같은 식품의 손질방법은 단순히 기구를 이용할 뿐 사용자에 의해 악력을 작용시켜야 하므로, 장시간 작업시 신체에 상당한 피로감을 느끼게 하여 작업이 효율적이지 못하였으며,
특히 각 개별용도로 제품화된 식품 손질용 기구를 다량 구비하여 작업용도에 따라 선택 사용해야 하므로 식품 가공 작업이 능률적이지 못하고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비용지출의 문제점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가공하고자 하는 마늘이나 생강 등을
단일개씩 공급함으로써 작업이 신속하지 못하여, 매우 번거로우며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본원은 압축용기를 결합한 후, 압축 나사산(140)으로 회전 손잡이(20)를 부착하여 압축 나사산(140)이 상부로 일정량 돌출된 형태로 고정하고, 분쇄 헤드부(160)는 돌기나 요철, 밋밋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나사산에 의해 압축 나사산(140)에 연통된 회전 손잡이(20)에는 손잡이 접힘부(40)에 의하여 접혀지거나 펴지게 된다.
이때, 분쇄 헤드부(160)는 사람이 손이나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회전하게 되면서 압축 나사산(140)에 의해 상기 압축용기(80)내에 투입된 식품이 밀착되어 분쇄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각 구성이 결합된 상태에서 압축용기(80)는 손잡이에 탈부착 되는 손잡이 캡(100)과 분쇄구 결합 나사산(120)이 조립, 부착되어 간편하게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식품분쇄기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분쇄 헤드부(160)는 분쇄 헤드 결합부(180)에 의하여 탈부착 되고 밋밋한 헤드부, 날카로운 헤드부, 원형의 헤드 부를 식품의 용도에 따라서 자유롭게 탈부착하고 압축 나사산(140)에 수동 또는 전동회전에 의하여 분쇄된 식품이 분쇄구(220)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게 되며 상기 분쇄 헤드 결합부(180) 말단에 부착된 입도 조절부(200)를 통하여 상기 식품의 크기가 자유롭게 조절되며 바람직하게는 즙 형태로 배출될 수도 있다.
입도 조절부(200)는 각 별도로 개별 구성됨으로써 사용용도에 따라 분쇄 헤드부(160)와 분쇄구(220)는 일정길이 돌출된 압축 나사산(140)의 상단부에 결합공인 나사산을 을 이용하여 탈착되며, 입도 조절부(200)를 통과한 분쇄된 식품은
분쇄구(220)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를 갖는 다용도 식품분쇄기의 사용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모터(300)에 배터리나 가정용 전원(320)을 공급하게 되면, 압축 나사산(140)에 의해 회전 손잡이(20)에는 와 분쇄 헤드부(160)가 회전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분쇄 헤드부(160)의 회전작동중 손잡이 캡 결합 나사산(120)을 열고 압축용기(80)내에 마늘이나 생강, 고추 등의 다지고자하는 식품 등을 공급하게 되면 분쇄 헤드부(160)회전 압력에 의해 상기 식품이 분쇄되어 분쇄구(220)를 따라서 외부로 배출, 공급되는 것이며 특히 분쇄 헤드부(160)와 압축용기(80)의 조립구성에 의해 형성된 나사산의 유동공간은 공급되는 식품의 크기와 양에 따라 회 전 손잡이(20)를 회전하여 상기 식품을 투입하여 압착하게 된다.
한편, 마늘이나 생강, 고추 등의 식품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분쇄 헤드부(160)를 압축 나사산(140) 상단에 결합시키고, 분쇄구(220)는 압축 나사산(140)으로 설치하여, 손잡이 캡 결합 나사산(120)을 열고 압축용기(80)내에 마늘이나 생강, 고추 등의 식품을 공급하게 되면, 식품 분쇄 헤드부(160)에 의해 이동되며, 분쇄 헤드부(160의 분쇄구(220)로 안내되어 분쇄 헤드 결합부(180)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상기 식품이 분쇄되고 입도 조절부(200)을 통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하는 회전 손잡이(20)와 손잡이가 접혀지게 되어 부피를 줄이고 수납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 접힘부(40)와 사용시 손으로 파지하여 안정된 압력을 가할수있는 지지 손잡이(60)와 식품을 투입하여 압력을 가하는 압축 용기(80)와
손잡이 부에 탈착되는 손잡이 캡(100)과 상기 압축 용기(80)와 탈착되는 손잡이 캡 결합 나사산(120)과 상기 식품을 넣고 회전하여 분쇄 헤드부(160)를 통하여 이를 분쇄하는 기능을 하는 압축 나사산(140)과 밋밋하거나 원형, 뾰쪽형, 요철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분쇄 헤드부(160)를 결합할 수 있는 분쇄 헤드 결합부(180)와 상기 식품의 분쇄크기를 조절하는 입도 조절부(200)와 식품이 배출되는 분쇄구(220)와 이를 결합하는 분쇄구 결합 나사산(240)과 분쇄물 받침용기 결합부(260)와 상기 분쇄된 식품을 수용하는 분쇄물 받침용기(280)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의 일실시 예에 있어 분쇄구 헤드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의 일실시 예에 있어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식품 분쇄기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원의 일실시예로 사용되는 전동장치가 부착된 자동식 분쇄기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배터리나 가정용 전원(320)을 사용하는 구동모터(300)와 이와 연통된 연결축(340)과 상기 구동모터(3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회전력을 상승시키는 통상의 기어장치가 부착된 회전기어부(360) 와 이를 조작하는 조작부(380)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회전 기어부(360)에는 기어 등을 사용하여 구동모터(300)를 회전시킬 수 있는데 바람직한 기어의 형태로는 헬리컬 기어 및 스어퍼 기어, 톱니기어 등이
구동모터(300)에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대한 다른 변형 및 변경은 특히 청구의 범위에 설명된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예의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실시 예의 측면들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하며 당업자는 상기 설명이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원 고안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원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에 있어 종래의 절구통용 마늘 분쇄기의 사진.
도 2는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에 있어 종래의 펀치식 플라스틱 분쇄기의 사진.
도 3은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에 있어 종래의 펀치식 금속 분쇄기의 사진.
도 4는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에 있어 종래의 회전식 플라스틱 분쇄기의 사진.
도 5는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에 있어 종래의 펀치식 분쇄기의 사시도.
도 6은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에 있어 종래의 회전식 분쇄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에 있어 종래의 회전식 분쇄기의 또 다른 사시도.
도 8은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에 있어 종래의 타격식 분쇄기의 사시도.
도 9는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10은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의 일실시 예에 있어 분쇄구 헤드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원고안의 식품분쇄기의 일실시 예에 있어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식품 분쇄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회전 손잡이 40: 손잡이 접힘부
60: 지지 손잡이 80: 압축 용기
100: 손잡이 캡 120: 손잡이 캡 결합 나사산
140: 압축 나사산 160: 분쇄 헤드부
180: 분쇄 헤드 결합부 200: 입도 조절부
220: 분쇄구 240: 분쇄구 결합 나사산
260: 분쇄물 받침용기 결합부 280: 분쇄물 받침용기
300: 구동모터 320: 전원
340: 연결축 360: 회전 기어부
380: 조작부

Claims (7)

  1. 식품 분쇄기에 있어서 식품을 분쇄하기 위하여 투입하는 압축용기(80)는 투명 또는 불투명의 금속, 합성수지, 세라믹, 유리재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 하부면이 관통된 구성을 갖되, 상기 압축용기(80)의 외측면 둘레 일측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지지손잡이(60)가 구성되고 나사산을 회전시켜 분쇄헤드부(160)를 전후진 시키는 회전손잡이(20)와 손잡이 접힘부(40)와 상기 압축용기(80)의 내측면 인입된 분쇄 헤드부(160)가 분쇄구(220)가 나사산에 의하여 강하게 밀착되어 상기 압축용기(80)내에 투입된 식품을 분쇄 또는 즙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쇄기.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구(220)와 맞닿는 분쇄 헤드부(160)는 밋밋하거나 볼형태, 요철형태 빗살무늬 형태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쇄 헤드부(160)는 분쇄 헤드 결합부(180)에 의하여 착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쇄기.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분쇄기는 압축 나사산(140)의 일측단부 손잡이 캡 결합 나사산(120)을
    관통시켜 나사산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하여 회전 손잡이(20)를 손으로 돌리면 상기의 분쇄 헤드부(160)가 압축 용기(80) 내부에서 전진하며 상기 압축용기(80)내에 인입된 식품이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쇄기.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헤드부(160)가 분쇄구(220)를 통하여 압축하고 입도 조절부(200)를 조절하여 분쇄된 식품의 입도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쇄기.
  5. 청구항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쇄구 결합 나사산(240)을 통하여 다져진 식품이 외부로 분쇄구(220)일 측에 부착된 입도 조절부(200)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쇄기.
  6. 청구항 제1항 또는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 나사 산(140)을 따라서 전진 및 후진하는 회전 손잡이(20) 또는 구동모터(300) 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쇄기.
  7. 배터리 또는 가정용 전원(320)을 사용하는 구동모터(300)와 이와 연통된 연결축(340)과 상기 구동모터(3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회전력을 상승시키는
    기어장치가 부착된 회전 기어부(360) 와 이를 조작하는 조작부(38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쇄기.
KR2020090008164U 2009-06-24 2009-06-24 식품분쇄기 KR201000130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64U KR20100013057U (ko) 2009-06-24 2009-06-24 식품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64U KR20100013057U (ko) 2009-06-24 2009-06-24 식품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057U true KR20100013057U (ko) 2010-12-31

Family

ID=4448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164U KR20100013057U (ko) 2009-06-24 2009-06-24 식품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305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65Y1 (ko) * 2011-02-11 2011-06-15 조시형 분쇄와 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분쇄기
KR101283283B1 (ko) * 2011-09-01 2013-07-11 양원동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파쇄 장치
KR101408832B1 (ko) * 2013-04-05 2014-06-19 박재식 마늘 다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65Y1 (ko) * 2011-02-11 2011-06-15 조시형 분쇄와 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분쇄기
KR101283283B1 (ko) * 2011-09-01 2013-07-11 양원동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파쇄 장치
KR101408832B1 (ko) * 2013-04-05 2014-06-19 박재식 마늘 다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64268B (en) Working unit
EP3005911A1 (en) Juicer provided with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remnants
CN201578105U (zh) 一种手持式食品料理手
US20150201810A1 (en) Food Mixer
WO2012013150A1 (zh) 一种具有碾磨功能的豆浆/榨汁机
CN208339416U (zh) 正反转式食物切碎机
KR20100013057U (ko) 식품분쇄기
CN108135403A (zh) 用于制备食物配料的装置
CN204683397U (zh) 料理机
WO2018171505A1 (zh) 一种多功能的食品加工机
KR102216074B1 (ko) 다기능 주서기
CN205493639U (zh) 一种多功能厨师机
CN112294076A (zh) 一种榨汁机
KR20110002123U (ko) 복합 이유식 조리기
CN205548385U (zh) 一种食品搅拌料理榨汁机
CN202436926U (zh) 一种食物粉碎研磨机
CN205889342U (zh) 一种食品加工专用的切菜清洗一体机
CN205514252U (zh) 一种多功能磨浆料理机
US20110180644A1 (en) Food mincer
KR200346869Y1 (ko)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CN215914282U (zh) 料理刀具组件及料理机
CN206663350U (zh) 蔬菜压碎器
CN208339347U (zh) 一种榨汁转动杆及新型榨汁机
TWM322223U (en) Multi-function fit-keeping cooking machine
KR20210060149A (ko) 착즙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