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943A -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문제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문제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2943A KR20100012943A KR1020080074391A KR20080074391A KR20100012943A KR 20100012943 A KR20100012943 A KR 20100012943A KR 1020080074391 A KR1020080074391 A KR 1020080074391A KR 20080074391 A KR20080074391 A KR 20080074391A KR 20100012943 A KR20100012943 A KR 201000129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rning
- learner
- clinic
- level
- ques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8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9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4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3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3515 scrip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3523 data management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4435 Li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문제(SP: Studying Problem)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본격적인 SP 출제 이전에,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사전 파악하기 위한 학습수준확인용 SP를 출제하고, 그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토대로 하여, 해당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선별 파악할 수 있는 전산모듈>, <학습수준확인용 SP의 답안결과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수준, 학습자의 오답내역 등을 정교하게 측정/판별한 후, 하위 학습수준에 있는 학습자에게는 오답 처리된 SP와 동일 또는 유사한 문항속성을 가지는 별도의 클리닉 SP를 해당 학습자가 일정 수준에 이를 때까지 반복 출제하여, 해당 학습자 측에서,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파악·보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상위 학습수준에 있는 학습자에게는 정답 처리된 SP와 다른 문항속성을 가지는 별도의 클리닉 SP를 반복 출제하여, 해당 학습자 측에서, 자가 경험 학습영역(문항속성 영역)을 자신이 아직 접해보지 못한 새로운 분야로 융통성 있게 응용 확대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토대로, 첨삭 관리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첨삭 관리용 데이터를 SP 첨삭 관리자 단말 측으로 전송하고, 이에 상응하는 첨삭시행 데이터를 학습자 측에 제공하여, 해당 학습자 측에서 자신의 답안결과에 대한 SP 첨삭 관리자 측의 첨삭시행내역(예컨대, 새로운 시각의 클리닉 SP 풀이방법, SP와 관련된 추가 학습정보 등)을 적정 시점마다(예컨대, 클리닉 SP에 대한 답안을 입력/제출하는 시점마다)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학습수준확인용 SP, 클리닉 SP 등과 같은 시스템 측 제공 컨텐츠 내에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를 탑재시킴과 아울러, 이 학습태도 모티터링 스크립터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의 학습태도와 관련된 학습태도 평가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학습태도 평가정보를 학습태도 관리자 단말 측으로 전송하고, 이에 상응하는 학습태도 관리정보를 학부모를 위시한 학습자 주변의 관계자 측에 통지/제공하여, 해당 관계자 측에서, 학습자를 좀더 원활하게 지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계 배치하고, 이를 통해, 각 학습자 측에서, 오프라인 교습과정에서 얻을 수 있었던 각종 이점(새로운 시각의 SP 풀이방법을 별도로 익힐 수 있었던 이점, SP와 관련된 추가 학습정보를 별도로 취득할 수 있었던 이점, 자신의 학습태도가 관리/감독되는 이점 등)이 융통성 있게 제공되는 상황 하에서, 자신의 학습수준에 최적으로 매칭된 SP를 반복적으로 학습·수련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해당 학습자의 전체적인 학습효과가 자연스럽게 극대화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여, 학습문제(SP: Studying Problem; 이하, "SP"라 함)를 운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각 학습자 측에서, 오프라인 교습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각종 이점(새로운 시각의 SP 풀이방법을 별도로 익힐 수 있는 이점, SP와 관련된 추가 학습정보를 별도로 취득할 수 있는 이점, 자신의 학습태도가 관리/감독되는 이점 등)을 융통성 있게 향유하면서, 자신의 학습수준에 최적으로 매칭된 SP를 반복적으로 학습·수련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해당 학습자의 전체적인 학습효과가 자연스럽게 극대화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SP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예컨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등과 같은 온라인망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SP 출제 시스템들이 폭 넓게 개설·운영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SP 출제 시스템(1)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가 학습자 클라이언트(7:예컨대,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 탑 컴퓨터, 이동통신단말기, PDA, 게임기 등) 및 온라인망(3:예컨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등)을 매개로 SP 출제 시스템(1)에 접속하여, SP의 출제를 요청하게 되는 경우, SP 출제 서버(2)는 각 학습영역 별 SP 데이터 D/B(4,5,6) 내에 저장되어 있던 SP 데이터를 학습자가 선택한 학습영역(학년, 진도 등)에 따라, 무작위 추출/조합한 후, 추출/조합 완료된 SP 데이터를 학습자 클라이언트(7) 측으로 전송/출제하는 절차를 선택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SP 출제 시스템(1) 측에서는 <학습자의 학습수준>, <학습자의 오답내역> 등을 정교하게 측정/판별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학습자 측 학습취향>, <학습자 측 선택 학습영역> 등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SP 데이터들을 무작위로 조합 출제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각 학습자 측에서는 자신의 실제 학습수준(각 학습자가 처한 초급/중급 또는 고급의 학습수준)과 동떨어진 SP를 별 의미 없이, 반복적으로 접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다수의 SP를 힘들게 풀었음에도 불구하고, 소기의 학습효과를 전혀 획득할 수 없게 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 일부 초/중급 학습자 측에서는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전혀 파악·보강하지 못한 체, 다수의 SP를 무의미하게 반복적으로 접하고, 그에 상응하는 기계적인 문제풀이만을 되풀이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SP 자체를 단순 암기하게 된 사실>, <운 좋게 쉬운 SP를 접하고, 이를 풀게된 사실> 등을 전혀 인지하지 못한 체, 마치 각 SP를 모두 이해한 듯한 심각한 착각에 빠질 수도 있게 된다.
당연히, 이 상황에서, 일부 고급 학습자 측에서도 자가 학습영역을 <자신이 아직 접해보지 못한 새로운 분야>로 응용 확대하지 못한 체, 이미 다 알고 있는 SP를 대상으로 하여, 무의미한 문제풀이만을 지속적으로 되풀이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학습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나아가, 종래의 SP 출제 시스템(1) 측에서는 학습자 측 답안결과(즉,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에 대한 적정시점에서의 전문가 분석 없이, 단순히, 학습자가 자의적으로 선택한 진도에 맞추어 SP를 반복 출제하는 수준의 불합리한 운영 패턴을 무모하게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각 학습자 측에서는 오프라인 교습과정에서 얻을 수 있었던 각종 이점, 예컨대, <새로운 시각의 SP 풀이방법을 별도로 익힐 수 있었던 이점>, <SP와 관련된 추가 학습정보를 별도로 취득할 수 있었던 이점> 등을 전혀 향유할 수 없게 되며, 결국, 그에 따른 학습저하 문제점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체제 하에서, SP 출제 시스템(1) 측에서는 오프라인 교습과정과 달리(즉, 온라인 시스템이라고 하는 기본적인 한계 상), SP의 반복적인 출제/제공절차만 제한적으로 단순 수행할 수 있을 뿐, 학습자의 학습태도 관리/관찰과 관련해서는 아무런 추가절차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학부모를 위시한 학습자 주변의 관계자 측에서는 온라인 학습에 임하는 학습자의 세세한 학습 행태를 전혀 파악할 수 없게 되며, 결국, 학습자를 적극적으로 지도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러한 여러 문제점들이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각 학습자 및 학습자 주변의 관계자 측에서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SP 출제 체제에 대하여, 큰 만족을 얻을 없게 되며, 결국, SP 출제 시스템(1)을 운영하는 업체 측에서는 각 학습자가 급속하게 이탈하는 피해, 전체적인 온라인 학습시장이 크게 축소되는 피해 등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격적인 SP 출제 이전에,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사전 파악하기 위한 학습수준확인용 SP를 출제하고, 그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토대로 하여, 해당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선별 파악할 수 있는 전산모듈>, <학습수준확인용 SP의 답안결과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수준, 학습자의 오답내역 등을 정교하게 측정/판별한 후, 하위 학습수준에 있는 학습자에게는 오답 처리된 SP와 동일 또는 유사한 문항속성을 가지는 별도의 클리닉 SP를 해당 학습자가 일정 수준에 이를 때까지 반복 출제하여, 해당 학습자 측에서,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파악·보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상위 학습수준에 있는 학습자에게는 정답 처리된 SP와 다른 문항속성을 가지는 별도의 클리닉 SP를 반복 출제하여, 해당 학습자 측에서, 자가 경험 학습영역(문항속성 영역)을 자신이 아직 접해보지 못한 새로운 분야로 융통성 있게 응용 확대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토대로, 첨삭 관리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첨삭 관리용 데이터를 SP 첨삭 관리자 단말 측으로 전송하고, 이에 상응하는 첨삭시행 데이터를 학습자 측에 제공하여, 해당 학습자 측에서 자신의 답안결과에 대한 SP 첨삭 관리자 측의 첨삭시행내역(예컨대, 새로운 시각의 클리닉 SP 풀이방법, SP와 관련된 추가 학습정보 등)을 적정 시점마다(예컨대, 클리닉 SP에 대한 답안을 입력/제출하는 시점마다)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학습수준확인용 SP, 클리닉 SP 등과 같은 시스템 측 제공 컨텐츠 내에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를 탑재시킴과 아울러, 이 학습태도 모티터링 스크립터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의 학습태도와 관련된 학습태도 평가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학습태도 평가정보를 학습태도 관리자 단말 측으로 전송하고, 이에 상응하는 학습태도 관리정보를 학부모를 위시한 학습자 주변의 관계자 측에 통지/제공하여, 해당 관계자 측에서, 학습자를 좀더 원활하게 지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계 배치하고, 이를 통해, 각 학습자 측에서, 오프라인 교습과정에서 얻을 수 있었던 각종 이점(새로운 시각의 SP 풀이방법을 별도로 익힐 수 있었던 이점, SP와 관련된 추가 학습정보를 별도로 취득할 수 있었던 이점, 자신의 학습태도가 관리/감독되는 이점 등)이 융통성 있게 제공되는 상황 하에서, 자신의 학습수준에 최적으로 매칭된 SP를 반복적으로 학습·수련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해당 학습자의 전체적인 학습효과가 자연스럽게 극대화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저장블록 내에 난이도조절용 학습문제(SP: Studying Problem), 학습수준확인용 SP, 클리닉 SP를 저장 관리하며, 온라인망을 매개로 학습자 클라이언트와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난이도조절용 SP, 학습수준확인용 SP, 클리닉 SP의 출제 및 관리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SP 운영 서버와, 상기 SP 운영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데이터 저장블록과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난이도조절용 SP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출제하여 추후 출제될 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의 난이도 수준을 결정한 후, 결정된 난이도 수준에 상응하는 학습수준확인용 SP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출제하여, 해당 학습자의 기본적인 학습수준 파악을 유도하는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과, 상기 SP 운영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데이터 저장블록과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토대로 하여, 해당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선별 파악한 후, 파악된 학습자의 학습수준에 따라, <오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동일 또는 유사 문항속성을 가지는 클리닉 SP> 또는 <정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다른 문항속성을 가지는 클리닉 SP>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출제하여, 해당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수준에 따라 취약한 학습영역(문항속성 영역) 또는 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다른 학습영역(문항속성 영역)을 학습·보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클리닉 SP 출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SP 운영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본격적인 SP 출제 이전에,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사전 파악하기 위한 학습수준확인용 SP를 출제하고, 그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토대로 하여, 해당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선별 파악할 수 있는 전산모듈>, <학습수준확인용 SP의 답안결과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수준, 학습자의 오답내역 등을 정교하게 측정/판별한 후, 하위 학습수준에 있는 학습자에게는 오답 처리된 SP와 동일 또는 유사한 문항속성을 가지는 별도의 클리닉 SP를 해당 학습자가 일정 수준에 이를 때까지 반복 출제하여, 해당 학습자 측에서,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파악·보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상위 학습수준에 있는 학습자에게는 정답 처리된 SP와 다른 문항속성을 가지는 별도의 클리닉 SP를 반복 출제하여, 해당 학습자 측에서, 자가 경험 학습영역(문항속성 영역)을 자신이 아직 접해보지 못한 새로운 분야로 융통성 있게 응용 확대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토대로, 첨삭 관리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첨삭 관리용 데이터를 SP 첨삭 관리자 단말 측으로 전송하고, 이에 상응하는 첨삭시행 데이터를 학습자 측에 제공하여, 해당 학습자 측에서 자신의 답안결과에 대한 SP 첨삭 관리자 측의 첨삭시행내역(예컨대, 새로운 시각의 클리닉 SP 풀이방법, SP와 관련된 추가 학습정보 등)을 적정 시점마다(예컨대, 클리닉 SP에 대한 답안을 입력/제출하는 시점마다)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학습수준확인용 SP, 클리닉 SP 등과 같은 시스템 측 제공 컨텐츠 내에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를 탑재시킴과 아울러, 이 학습태도 모티터링 스크립터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의 학습태도와 관련된 학습태도 평가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학습태도 평가정보를 학습태도 관리자 단말 측으로 전송하고, 이에 상응하는 학습태도 관리정보를 학부모를 위시한 학습자 주변의 관계자 측에 통지/제공하여, 해당 관계자 측에서, 학습자를 좀더 원활하게 지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각 학습자 측에서는 오프라인 교습과정에서 얻을 수 있었던 각종 이점(새로운 시각의 SP 풀이방법을 별도로 익힐 수 있었던 이점, SP와 관련된 추가 학습정보를 별도로 취득할 수 있었던 이점, 자신의 학습태도가 관리/감독되는 이점 등)을 융통성 있게 제공받으면서, 자가 학습수준에 최적으로 매칭된 SP를 반복적으로 학습·수련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자신의 전체적인 학습효과를 자연스럽게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SP 운영 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SP 운영 시스템(100)은 온라인망(12), 예를 들어, 유/무선 인터넷망, 유/무선 인트라넷망 등에 접속 중인 학습자 클라이언트(11)와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는 SP 운영 서버(101)와, 이 SP 운영 서버(101)의 제어 하에 놓인 가이드 윈도우 운영모듈(103), 운영 보조모듈(104),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120), 클리닉 SP 출제모듈(130),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 SP 첨삭관리자 인터페이스 모듈(106), 학습태도 관리자 인터페이스 모듈(105)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학습자는 학원, 학교 등의 교습소(W) 내에 설치된 학습자 클라이언트(11)를 통해 시스템(100) 측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SP 출제/운영 서비스를 향유할 수도 있으며, 상황에 따라, 가정(H) 내에 설치된 학습자 클라이언트(11)를 통해 시스템(100) 측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SP 출제/운영 서비스를 향유할 수도 있다(물론, 이러한 학습자 측의 시스템(100) 접속 경로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앞의 학습자 클라이언트(11)로는 예컨대,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정보처리장치,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게임기(Play-station)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등이 학습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SP 운영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D/B 관리모듈(107)은 시스템(100) 내에 배치된 각 전산모듈들의 전산 이벤트에 따라, SP 출제/운영 서비스의 시행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을 데이터 저장블록(108) 내에 배치된 각 D/B(109~112)의 필요 영역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역으로 로딩(Loading)·출력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D/B 관리모듈(107)은 단순히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 데이터들을 중복됨 없이 가장 신속한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지능적인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때, 데이터 저장블록(108) 내에 배치된 운영 보조정보 저장 D/B(109)는 SP 출제/운영 서비스의 시행에 필요한 각종 운영 보조정보, 예컨대, 유/무선 웹 페이지의 생성을 위한 각종 소스정보(그래픽 정보, 폰트정보, 설정정보, 컴포넌트 정보, 링크정보 등), 학습자의 등록정보, SP 첨삭 관리자(예, SP 첨삭 지도교사)의 등록정보, 학습태도 관리자(예, 학습태도 지도교사)의 등록정보, 관계자(예, 학부 모 등)의 등록정보, SP 첨삭 관리자 단말(113)의 등록정보, 학습태도 관리자 단말(114)의 등록정보, 시스템(100)의 자원현황 정보, 시스템(100) 내 각 전산모듈들의 전산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컴포넌트 정보 등을 자신의 정보저장 영역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물론 위에 열거된 각 운영정보들은 시스템(100) 측 상황에 따라, 그 종목 또는 범위가 탄력적으로 추가/삭제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블록(108) 내에 배치된 SP 데이터 저장 D/B(10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사전 파악하기 위한 학습수준확인용 SP, 학습수준확인용 SP의 난이도를 사전 조절하기 위한 난이도조절용 SP, 학습자의 학습상태를 실질적으로 클리닉하기 위한 클리닉 SP 등을 자신의 정보저장 영역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각 난이도조절용 SP 데이터, 학습수준확인용 SP 데이터, 클리닉 SP 데이터 등은 과목-학년-진도 등의 체계에 맞춘 일련의 문항군(예컨대, 수학-중1-함수 문항군, 수학-중2-기하 문항군, 수학-중3-확률 문항군 등)을 이루게 되며, 이 상황에서, 각 난이도조절용 SP 데이터, 학습수준확인용 SP 데이터, 클리닉 SP 데이터 등에는 출제빈도, 함정지수 등과 같은 본 발명 고유의 문항속성이 체계적으로 부여되게 된다. 특히, 각 SP 데이터 중, 클리닉 SP에는 문제의 고저수준을 의미하는 초급-중급-고급 등의 추가 문항속성이 더 부여되게 된다.
이때, 각 난이도조절용 SP 데이터, 학습수준확인용 SP 데이터, 클리닉 SP 데이터 등에 부여된 <출제빈도>라는 문항속성은 <특정 SP가 각 학교/국가에서 치르는 시험에 얼마나 빈번하게 출제되었는가>하는 것을 정량화 된 값으로 나타낸 것으로써, 만약, 특정 SP가 높은 출제빈도 값을 가진다는 것은 <해당 SP는 각 학교/국가에서 치르는 대부분의 시험에서 공히 출제된 SP임>을 의미하게 된다.
또한, 각 난이도조절용 SP 데이터, 학습수준확인용 SP 데이터, 클리닉 SP 데이터 등에 부여된 <함정지수>라는 문항속성은 <특정 SP가 어느 정도의 학습자실수 유발요소 및 의도적 출제함정 요소를 보유하고 있는가>하는 것을 정량화 된 값으로 나타낸 것으로써, 만약, 특정 SP가 높은 함정지수를 가진다는 것은 <해당 SP는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실수로(또는, 출제자의 의도적 출제함정에 빠져) 오답을 제출한 SP임>을 의미하게 된다.
한편, 앞의 각 D/B들과 함께, 데이터 저장블록(108) 내에 배치된 학습기반 데이터 저장 D/B(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SP 데이터 저장 D/B(109)에 저장된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각종 학습기반 데이터, 예컨대,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동영상 정보>,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문서정보>,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음원정보>,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이미지 정보> 등을 자신의 정보저장 영역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추후, 학습기반 데이터 저장 D/B(110) 내에 저장되어 있던 이러한 각 학습기반 데이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SP 데이터 저장 D/B(109)에 저장된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되는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가, SP-학습기반 매칭 테이블(클리닉 SP와 학습기반 데이터 사이의 매칭관계를 나타낸 인덱스 테이블)을 활용한 클리닉 SP 출제 모듈(130)의 기능 수행에 의해, 신속하게 추출되어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 제공되는 절차를 융통성 있게 겪게 된다.
다른 한편, 앞의 학습기반 데이터 저장 D/B(110)와 더불어, 데이터 저장블록(108) 내에 배치된 SP 운영상황 데이터 저장 D/B(111)는 시스템(100) 내에 배치된 각 전산모듈들의 기능 수행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SP 운영상황 데이터, 예컨대, 각 학습자들의 SP 학습이력 정보, 각 학습자 관련 첨삭 데이터 정보, 각 학습자 관련 학습태도 관리정보 등을 자신의 정보 저장영역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각 D/B들의 배치 상황에서, SP 운영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운영 보조모듈(104)은 SP 출제/운영 서비스의 시행에 필요한 각종 운영 보조절차, 예컨대, 각 학습자 측의 시스템 로그인 과정을 관리하는 절차, 각 SP 첨삭 관리자 측의 시스템 로그인 과정을 관리하는 절차, 각 학습태도 관리자 측의 시스템 로그인 과정을 관리하는 절차, 외부 시스템들과의 통신환경을 구성/유지하는 절차, 데이터 저장블록 내의 누적정보를 갱신/관리하는 절차 등을 다채롭게 수행하게 된다.
이때, SP 운영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가이드 윈도우 운영모듈(103)은 학습자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를 통해, 시스템(100) 측에 접속하게 되는 경우, D/B 관리모듈(107)을 매개로, 운영 보조정보 저장 D/B(112)에 접근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각종 운영 보조정보, 예컨대,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각종 텍스트/이미지/영상/링크/프로그램 정보, 각종 웹 페이지 설정정보 등을 융통성 있게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각 운영정보를 토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윈도 우(201)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가이드 윈도우(201)를 학습자 클라이언트(1) 측으로 선택 전송·게시하는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SP 운영 서버(101)에 의한 각종 서비스 절차의 기초환경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순조롭게 조성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가이드 윈도우(201)에는 SP 출제/운영과 관련된 각종 메뉴항목들이 두루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학습자 측에서는 가이드 윈도우(201)에 게시된 메뉴항목들을 선택적으로 조작(입력)/확인하는 극히 간단한 전산작업만으로도, 자신에게 필요한 SP 출제/운영 서비스 절차를 융통성 있게 소비/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황에서, SP 운영 서버(1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학습자 클라이언트(11)와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후술하는 각 전산모듈들을 체계적으로 컨트롤하여, SP 출제/운영과 관련된 각종 절차, 예를 들어, <본격적인 SP 출제 이전에,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사전 파악하기 위한 난이도조절용 SP, 학습수준확인용 SP 등을 출제하고, 그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토대로 하여, 해당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선별 파악하는 절차(도 6 참조)>, <학습수준확인용 SP의 답안결과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수준, 학습자의 오답내역 등을 정교하게 측정/판별한 후, 하위 학습수준에 있는 학습자에게는 오답 처리된 SP와 동일 혹은 유사한 문항속성을 가지는 별도의 클리닉 SP를 해당 학습자가 일정 수준에 이를 때까지 반복 출제하여, 해당 학습자 측에서,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파악·보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도 10 및 도 11 참 조), 상위 학습수준에 있는 학습자에게는 정답 처리된 SP와 다른 문항속성을 가지는 별도의 클리닉 SP를 반복 출제하여, 해당 학습자 측에서, 자가 경험 학습영역(문항속성 영역)을 자신이 아직 접해보지 못한 새로운 분야로 융통성 있게 응용 확대할 수 있도록 가이드(도 12 참조) 하는 절차>,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토대로, 첨삭 관리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첨삭 관리용 데이터를 SP 첨삭 관리자 단말(113) 측으로 전송하고, 이에 상응하는 첨삭시행 데이터를 학습자 측에 제공하여, 해당 학습자 측에서 자신의 답안결과에 대한 SP 첨삭 관리자 측의 첨삭시행내역(예컨대, 새로운 시각의 클리닉 SP 풀이방법, SP와 관련된 추가 학습정보 등)을 적정 시점마다(예컨대, 클리닉 SP에 대한 답안을 입력/제출하는 시점마다)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절차(도 15 및 도 16 참조)>, <학습수준확인용 SP, 클리닉 SP 등과 같은 시스템(100) 측 제공 컨텐츠 내에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a,170b)를 탑재시킴과 아울러, 이 학습태도 모티터링 스크립터(170a,170b)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의 학습태도와 관련된 학습태도 평가정보를 획득/생성한 후, 생성된 학습태도 평가정보를 학습태도 관리자 단말(114) 측으로 전송하고, 이에 상응하는 학습태도 관리정보를 학부모를 위시한 학습자 주변의 관계자 측에 통지/제공하여, 해당 관계자 측에서, 학습자를 좀더 원활하게 지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절차(도 17 및 도 18 참조)> 등을 총괄적으로 제어/관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SP 운영 서버(101)의 기능 수행 하에서, 각 학습자 측에서는 오프라인 교습과정에서 얻을 수 있었던 각종 이점(새로운 시각의 SP 풀이방법을 별 도로 익힐 수 있었던 이점, SP와 관련된 추가 학습정보를 별도로 취득할 수 있었던 이점, 자신의 학습태도가 관리/감독되는 이점 등)을 융통성 있게 제공받으면서, 자가 학습수준에 최적으로 매칭된 SP를 반복적으로 학습·수련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자신의 전체적인 학습효과를 자연스럽게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SP 운영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D/B 관리모듈(107)을 매개로, 데이터 저장블록(108) 내의 SP 저장 데이터 저장 D/B(109)와 교신을 취하면서, 이에 저장되어 있던 난이도조절용 SP를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 전송/출제하여 추후 출제될 학습수준확인용 SP의 난이도 수준을 결정한 후, 결정된 난이도 수준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학습수준확인용 SP를 추출하고, 추출 완료된 학습수준확인용 SP를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 전송/출제하여, 해당 학습자의 기본적인 학습수준 파악을 유도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120)은 전체적인 학습수준확인용 SP의 출제/운영 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제어부(121)와, 이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제어부(1210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준비부(123), 난이도조절용 SP 출제부(124),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부(127),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결과 출력부(128)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제어부(12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준비부(123)는 학습자의 전산작업에 의해, 학습자 클라이언트(110) 측에 가이드 윈도우(201)가 게시/운영되는 상황에서, 정보교환부(122), 인터페이스 모듈(102) 등을 매개로,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과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학습자가 가이드 윈도우(201)에 게시된 메뉴항목을 조작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부터 일련의 학습영역 선택사항(예컨대, 과목 선택사항, 학년 선택사항, 진도 선택사항 등)이 전송되는 경우, 이를 접수한 후, 접수 완료된 학습영역 선택사항을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를 난이도조절용 SP 출제부(124) 측으로 통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와 아울러,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준비부(123)는 정보교환부(122)를 매개로, 운영 보조모듈(104), SP 운영상황 데이터 저장 D/B(111), 운영 보조정보 저장 D/B(112) 등과 교신을 취하여, 해당 학습자와 관련된 기초정보(예컨대, 학습자 등록정보, 학습자 SP 학습이력 정보 등)을 추출/취득한 후, 난이도조절용 SP 출제부(124)와 교신을 취하여, 추출/취득 완료된 학습자 기초정보를 난이도조절용 SP 출제부 측으로 통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학습자 측의 학습영역 선택사항 및 학습자 기초정보가 체크/확보 완료되면,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제어부(121)에 의해 제어되는 난이도조절용 SP 출제부(124) 측에서는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준비부(123)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 측 학습영역 선택사항 및 학습자 기초정보를 확보한 다음, 정보교환부(122), D/B 관리모듈(107) 등을 매개로, SP 데이터 저장 D/B(109)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난이도조절용 SP 중, 학습자 측 학습영역 선택사항(예컨대, 과목 선택사항, 학년 선택사항, 진도 선택사항 등)에 상응하는 난이도조절용 SP를 선택/추출하고, 추출 완료된 난이도조절용 SP를 가이드 윈도우 운영모듈(103)과의 교신 하에,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 전송/출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11)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측 학습영역 선택사항에 상응하는 난이도조절용 SP가 신속하게 게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학습자 측에서는 해당 난이도조절용 SP에 대한 자신의 답안결과에 따라, 추후 출제될 학습수준확인용 SP의 난이도 수준이 적절하게 조절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물론, 상황에 따라, 이러한 난이도조절용 SP의 전송/출제 절차는 학습자가 정답을 제출할 때까지 여러 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술한 난이도조절용 SP 출제부(124)의 기능수행에 의해, 난이도조절용 SP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전송/출제되는 국면에서, SP 운영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 도 2 참조) 측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난이도조절용 SP 내에,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a), 예컨대, SP 풀이시간 측정 스크립터를 탑재시키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추후, 난이도조절용 SP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게시되고, 해당 난이도조절용 SP에 대한 학습자 측 풀이과정이 진행되는 국면에서, 이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a)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 측 학습태도 상황정보, 예컨대, 학습자 측 SP 제출 시간정보를 수취/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이러한 학습자 측 SP 풀이 시간정보의 구체적인 활용절차 및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의 구체적인 동 작수행 절차는 뒤에 상세히 언급하기로 한다. 이하 같음).
한편, 상술한 절차의 진행 하에서, 학습자 측에서, 난이도조절용 SP의 풀이절차를 완료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부터 난이도조절용 SP에 상응하는 학습자 측 답안결과가 전송되면,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제어부(12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자 액션 접수부(126) 측에서는 정보교환부(122)를 매개로, 이를 수취한 후, 수취 완료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부(127) 측에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부(127) 측에서는 학습자 액션 접수부(126) 측과 교신을 취하여, 해당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수취하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프로세싱 정보 저장부(125)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난이도조절용 SP에 대한 표준 답안정보>를 추출/확보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물론, 앞서 언급한 <난이도조절용 SP에 대한 표준 답안정보>의 저장장소는 앞의 프로세싱 정보 저장부(125) 이외에도,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난이도조절용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 및 <난이도조절용 SP에 대한 표준 답안정보>가 확보 완료되면,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부(127) 측에서는 이들을 비교하여, <난이도조절용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에 대한 정/오답 여부 또는 몇 회만에 정답을 제출하였는가의 여부 등을 체크하고, 이를 통해, 해당 학습자의 기초 학습수준을 결정한 후, 프로세싱 정보 저장부(125)에 저장되어 있던 SP 매칭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학습자에 적합한 난이도 수준을 가지는 학습수준확인용 SP를 결정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6 참조).
이 경우, SP 매칭 테이블에는 <난이도조절용 SP의 정/오답 결과에 상응하는 학습수준확인용 SP는 어떠한 것이다>라는 정보, <난이도조절용 SP의 정답을 몇 회만에 제출하였을 경우, 그에 상응하는 학습수준확인용 SP는 어떠한 것이다>라는 정보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게 된다.
결국, 이러한 절차 하에서, 예컨대, 오답을 제출한 학습자, 또는, 여러 횟수의 시행착오만에 정답을 제출한 학습자 등에게는 낮은 난이도의 학습수준확인용 SP가 매칭·배당되며, 정답을 제출한 학습자, 또는, 적은 횟수의 시행착오만으로 정답을 제출한 학습자 등에게는 높은 난이도의 학습수준확인용 SP가 매칭·배당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해당 학습자에 적합한 난이도 수준을 가지는 학습수준확인용 SP가 결정되면,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부(127) 측에서는 정보교환부(122), D/B 관리모듈(107) 등을 매개로, SP 데이터 저장 D/B(109)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학습수준확인용 SP 중, 해당 학습자에 적합한 난이도 수준을 가지는 학습수준확인용 SP를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학습수준확인용 SP를 가이드 윈도우(103) 운영모듈과의 교신 하에,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 전송/출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11)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학습자에 적합한 난이도 수준을 가지는 학습수준확인용 SP가 신속하게 게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학습자 측에서는 해당 학습수준확인용 SP에 대한 자신의 답안결과에 따라, 자가 학습수준을 적절히 파악 받고, 그에 상응하는 클리닉 절차(즉, 클리닉 SP 출제/운영 및 이를 토대로 하는 학습관리절차)를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물론, 상황에 따라, 이러한 학습수준확인용 SP의 전송/출제 절차 역시 학습자가 정답을 제출할 때까지 여러 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술한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부(127)의 기능수행에 의해, 학습수준확인용 SP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전송/출제되는 국면에서도, SP 운영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 도 2 참조) 측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학습수준확인용 SP 내에,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a), 예컨대, SP 풀이시간 측정 스크립터를 탑재시키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추후, 학습수준확인용 SP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게시되고, 해당 학습수준확인용 SP에 대한 학습자 측 풀이과정이 진행되는 국면에서, 이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a)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 측 학습태도 상황정보, 예컨대, 학습자 측 SP 제출 시간정보를 수취/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절차의 진행 하에서, 학습자 측에서, 학습수준확인용 SP의 풀이절차를 완료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부터 학습수준확인용 SP에 상응하는 학습자 측 답안결과가 전송되면,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제어부(12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자 액션 접수부(126) 측에서는 정보교환부를 매개로, 이를 수취한 후, 수취 완료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결과 출력부(128) 측에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이 상황에서,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제어부(12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결과 출력부(128) 측에서는 학습자 액션 접수부(126)와 교신을 취하여, 이를 수취한 후, 정보교환부(122)를 매개로, 클리닉 SP 출제모듈(130), SP 운영상황 데이터 저장 D/B(111) 등과 교신을 취 하여 수취 완료된 <학습수준확인용 SP에 상응하는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클리닉 SP 출제모듈(130), SP 운영상황 데이터 저장 D/B(111) 등에 전달/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120)과 함께, SP 운영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클리닉 SP 출제모듈(130)은 데이터 저장블록(107) 내의 SP 데이터 저장 D/B(109),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120) 등과 교신을 취하면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수준확인용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즉, 학습수준확인용 SP의 출제결과)를 토대로 하여, 해당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선별 파악한 후, 파악된 학습자의 학습수준에 따라, <오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동일 문항속성을 가지는 클리닉 SP> 또는 <정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다른 문항속성을 가지는 클리닉 SP> 등을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 전송/출제하고, 각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에 따라, 클리닉 SP의 전송/출제 절차를 반복 진행하여, 해당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수준에 따라, <취약한 학습영역> 또는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다른 학습영역>을 반복적으로 학습·보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닉 SP 출제모듈(130)은 전체적인 클리닉 SP 출제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131)와, 이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되는 클리닉 SP 출제 준비부(133), 초급 클리닉 처리부(134), 중급 클리닉 처리부(135), 고급 클리닉 처리부(136), 학습자 액션 접수부(138), 학습 기반데이터 처리부(139), 관리자 정보 접수부(140), 클 리닉 SP 출제결과 출력부(141)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여기서,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되는 클리닉 SP 출제 준비부(133) 측에서는 정보교환부(132)를 매개로,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120)과 교신을 취하여, 학습수준확인용 SP에 대한 학습자 답안결과를 접수한 후, 접수 완료된 <학습수준확인용 SP에 대한 학습자 답안결과>를 판독하여,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선별 파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10 참조).
이 상황에서, 예를 들어, 학습수준확인용 SP에 대하여, 65점 미만의 답안결과를 보인 학습자는 초급수준의 학습자로 선별·파악되는 절차를 겪게 되며, 학습수준확인용 SP에 대하여, 65점 이상~100점 미만의 답안결과를 보인 학습자는 중급수준의 학습자로 선별·파악되는 절차를 겪게 되고, 학습수준확인용 SP에 대하여, 만점의 답안결과를 보인 학습자는 고급수준의 학습자로 선별·파악되는 절차를 겪게 된다(물론, 이러한 초/중/고급의 선별 판단기준(판단점수)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렇게, 클리닉 SP 출제 준비부(133)에 의해, <학습수준확인용 SP>를 접한 학습자의 학습수준이 선별 파악 완료되는 국면에서, 만약, 특정 학습자가 초급수준의 학습자로 선별·파악되면,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되는 초급 클리닉 처리부(134)는 그 즉시, 정보교환부(132), D/B 관리모듈(107) 등을 매개로, SP 데이터 저장 D/B(109)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클리닉 SP 중,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120)에 의해 출제되어 오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동일 또는 유사 문항속성을 가지면서, 초급 수준의 학습내용을 담은 초급 클리 닉 SP를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10 참조).
이 상황에서, 예컨대, 초급수준으로 선별·파악된 학습자가 출제빈도6/함정지수2의 문항속성을 가지는 확인학습용 SP를 오답으로 제출하였을 경우, 초급 클리닉 처리부(134)는 SP 데이터 저장 D/B(109)에 저장되어 있던 클리닉 SP 중, 이와 동일/유사한 <출제빈도6/함정지수2의 문항속성>, <출제빈도6/함정지수3의 문항속성>을 가지면서, 초급수준의 학습내용으로 상정되어 있는 클리닉 SP를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물론, 이 상황 하에서도, 학습자가 최초 선택한 과목-학년-진도 등의 기본적인 사항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하 같음).
이렇게 하여, SP 데이터 저장 D/B(109)에 저장되어 있던 클리닉 SP 중,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120)에 의해 출제되어 오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동일 또는 유사 문항속성을 가지면서, 초급 수준의 학습내용을 담은 초급 클리닉 SP가 추출 완료되면, 초급 클리닉 처리부(134)는 그 즉시, 단원별 안배, 주/객관식 안배, 문항 수 등을 두루 고려하여, 추출 완료되어 있던 초급 클리닉 SP 중, <출제대상 초급 클리닉 SP>를 선별하는 절차를 진행한 다음, 일련의 정렬루틴을 가동시켜, 선별 완료된 초급 클리닉 SP를 예컨대, 단원순서, 주/객관식 배열순서, 무작위 순서 등의 기본 출제형식에 따라, 정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10 참조)(물론, 상술한 선별기준, 정렬기준 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싱 데이터 저장부(137)는 <출제대상 초급 클리닉 SP를 선별하기 위한 기준정보>, <출제대상 초급 클리닉 SP를 정렬하기 위한 기준정보> 등을 자신의 정보 저장영역 내에 저장하고 있다가, 초급 클리닉 처리부(134)의 요청 시, 이를 선택적으로 로딩/제공함으로써, 초급 클리닉 처리부(134)에 의한 초급 클리닉 SP 처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출제대상 초급 클리닉 SP가 선별/정렬 완료되면, 초급 클리닉 처리부(1340는 그 즉시, 선별/정렬 완료된 초급 클리닉 SP를 가이드 윈도우 운영모듈(103)과의 교신 하에,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 전송/출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11)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동일 또는 유사 문항속성을 가지면서, 초급 수준의 학습내용을 담은 초급 클리닉 SP가 신속하게 게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초급의 학습수준을 가지는 학습자 측에서는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파악·보강하면서, 자가 학습수준에 최적으로 매칭된 SP를 학습·수련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자신의 전체적인 학습효과를 자연스럽게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 초급의 학습수준을 가지는 학습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실제 학습수준과 동떨어진 SP를 별 의미 없이, 반복적으로 접하게 되는 문제점>,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전혀 파악·보강하지 못한 체, 다수의 SP를 무의미하게 반복적으로 접하고, 그에 상응하는 기계적인 문제풀이만을 되풀이하게 되는 문제점>, <SP 자체를 단순 암기하게 된 사실, 또는, 운 좋게 쉬운 SP를 접하고, 이를 풀게된 사실 등을 전혀 인지하지 못한 체, 마치 각 SP를 모두 이해한 듯한 심각한 착각에 빠지는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술한 초급 클리닉 처리부(134)의 기능수행에 의해, 초급 클리닉 SP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전송/출제되는 국면에서도, SP 운영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 도 2 참조) 측에서는 앞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초급 클리닉 SP 내에,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a), 예컨대, SP 풀이시간 측정 스크립터를 탑재시키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추후, 초급 클리닉 SP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게시되고, 해당 초급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풀이과정이 진행되는 국면에서, 이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a)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 측 학습태도 상황정보, 예컨대, 학습자 측 SP 제출 시간정보를 수취/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절차의 진행 하에서, 학습자 측에서, 초급 클리닉 SP의 풀이절차를 완료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부터 초급 클리닉 SP에 상응하는 학습자 측 답안결과가 전송되면,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자 액션 접수부(138) 측에서는 정보교환부(132)를 매개로, 이를 수취한 후, 수취 완료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클리닉 SP 출제결과 출력부(141) 측에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이 상황에서,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되는 클리닉 SP 출제결과 출력부(141) 측에서는 학습자 액션 접수부(138)와 교신을 취하여, 이를 수취한 후, 정보교환부(132)를 매개로,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 SP 운영상황 데이터 저장 D/B(111) 등과 교신을 재차 취하여 수취 완료된 <초급 클리닉 SP에 상응하는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후술하는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 SP 운영상황 데이터 저장 D/B(111) 등에 전달/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의 구체적인 기능수행 절차는 뒤에 상세히 언급하기로 한다).
이때,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 측으로부터 앞의 <초급 클리닉 SP에 상응하는 학습자 측 답안결과>에 대응하여, <첨삭시행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초급 클리닉 처리부(134) 측에서는 이를 수신/체크한 후, 그 체크결과(즉, 학습자 측 답안결과)에 따라, 상술한 초급 클리닉 SP 출제절차를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초급의 학습수준을 가지는 학습자 측에서 자가 학습수준에 최적으로 매칭된 SP를 안정적으로 또 다시 보강/학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게 된다(물론, 상황에 따라, 초급 클리닉 처리부(134)는 자체적인 정/오답 판단루틴에 의하여,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에 따라, 상술한 초급 클리닉 SP 출제절차를 반복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되는 관리자 정보 접수부(140)는 정보교환부(132)를 매개로,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과 교신을 취하면서, 이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첨삭시행 데이터>를 접수한 후, 접수 완료된 <첨삭시행 데이터>를 초급 클리닉 처리부(134)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초급 클리닉 처리부(134)의 기능수행 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초급 클리닉 처리부(134)의 기능수행 국면에서,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 기반데이터 처리부(139) 측에서는 학습자 액션 접수부(138), 관리자 정보 접수부(140) 등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이 들에 의해 접수된 데이터들, 예컨대, 첨삭시행 데이터, 학습자 측 요청 데이터 등을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 <초급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가 좋지 않다(즉, 일정 수준 이하의 점수가 나왔다)>는 결론이 나거나, <기본 원리에 대한 학습을 하고 싶다는 취지의 학습자 측 요청이 접수되었다>는 결론이 나는 경우, 그 즉시, 정보교환부(132)를 매개로, 학습 기반데이터 저장 D/B(110)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초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각종 학습기반 데이터>, 예컨대, <초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동영상 정보>, <초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문서정보>, <초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음원정보>, <초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이미지 정보> 등을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학습기반 데이터를 가이드 윈도우 운영모듈(103)과의 교신 하에,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 전송/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프로세싱 정보 저장부(137)는 SP-학습기반 매칭 테이블(클리닉 SP와 학습기반 데이터 사이의 매칭관계를 나타낸 인덱스 테이블)을 자신의 정보 저장영역 내에 저장하고 있다가, 학습 기반데이터 처리부(139)의 요청 시, 이를 선택적으로 로딩/제공함으로써, 학습기반 데이터 처리부(139)에 의한 학습기반 데이터 제공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11)에는 <초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동영상 정보>, <초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문서정보>, <초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음원정보>, <초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이미지 정보> 등이 신속하게 게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초급의 학습수준을 가지는 학습자 측에서는 자신이 푼 상기 초급 클리닉 SP에 대한 기반지식을 융통성 있게 확인 학습 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술한 학습기반 데이터 처리부(139)의 기능수행에 의해, 학습기반 데이터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전송/제공되는 국면에서도, SP 운영 서버(100)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 도 2 참조) 측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학습기반 데이터 내에,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b), 예컨대, 학습태도 중간체크 스크립터(이러한 학습태도 중간체크 스크립터는 학습자가 학습기반 데이터를 학습하는 중간 중간에 일련의 학습태도 중간체크 메시지를 수시로 노출시키고, 이에 상응하는 응답정보를 접수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를 탑재시키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추후, 학습기반 데이터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게시되고, 해당 학습기반 데이터에 대한 학습자 측 소비과정이 진행되는 국면에서, 이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b)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 측 학습태도 상황정보, 예컨대, 학습태도 중간체크 응답정보를 수취/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이러한 학습태도 중간체크 응답정보의 구체적인 활용절차 및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의 구체적인 동작수행 절차 역시 뒤에 상세히 언급하기로 한다. 이하 같음).
한편, 앞서 언급한 클리닉 SP 출제 준비부(133))에 의해, <학습수준확인용 SP>를 접한 학습자의 학습수준이 선별 파악 완료되는 국면에서, 만약, 특정 학습자 가 중급수준의 학습자로 선별·파악되면,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되는 중급 클리닉 처리부(135)는 그 즉시, 정보교환부(132), D/B 관리모듈(107) 등을 매개로, SP 데이터 저장 D/B(109)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클리닉 SP 중,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120)에 의해 출제되어 오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동일 또는 유사 문항속성을 가지면서, 중급 수준의 학습내용을 담은 중급 클리닉 SP를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11 참조).
이 상황에서, 예컨대, 중급수준으로 선별·파악된 학습자가 출제빈도4/함정지수3의 문항속성을 가지는 확인학습용 SP를 오답으로 제출하였을 경우, 중급 클리닉 처리부는 SP 데이터 저장 D/B(109)에 저장되어 있던 클리닉 SP 중, 이와 동일/유사한 <출제빈도4/함정지수2의 문항속성>, <출제빈도5/함정지수3의 문항속성>을 가지면서, 중급수준의 학습내용으로 상정되어 있는 클리닉 SP를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물론, 이 상황 하에서도, 학습자가 최초 선택한 과목-학년-진도 등의 기본적인 사항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SP 데이터 저장 D/B(109)에 저장되어 있던 클리닉 SP 중,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120)에 의해 출제되어 오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동일 또는 유사 문항속성을 가지면서, 중급수준의 학습내용을 담은 중급 클리닉 SP가 추출 완료되면, 중급 클리닉 처리부(135)는 그 즉시, 단원별 안배, 주/객관식 안배, 문항 수 등을 두루 고려하여, 추출 완료되어 있던 중급 클리닉 SP 중, <출제대상 중급 클리닉 SP>를 선별하는 절차를 진행한 다음, 일련의 정렬루틴을 가동시켜, 선별 완료된 중급 클리닉 SP를 예컨대, 단원순서, 주/객관식 배열순서, 무작위 순서 등의 기본 출제형식에 따라, 정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11 참조)(물론, 상술한 선별기준, 정렬기준 등도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싱 데이터 저장부(137)는 <출제대상 중급 클리닉 SP를 선별하기 위한 기준정보>, <출제대상 중급 클리닉 SP를 정렬하기 위한 기준정보> 등을 자신의 정보 저장영역 내에 저장하고 있다가, 중급 클리닉 처리부(135)의 요청 시, 이를 선택적으로 로딩/제공함으로써, 중급 클리닉 처리부(135)에 의한 중급 클리닉 SP 처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출제대상 중급 클리닉 SP가 선별/정렬 완료되면, 중급 클리닉 처리부(135)는 그 즉시, 선별/정렬 완료된 중급 클리닉 SP를 가이드 윈도우 운영모듈(103)과의 교신 하에,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 전송/출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11)에는 오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동일 또는 유사 문항속성을 가지면서, 중급수준의 학습내용을 담은 중급 클리닉 SP가 신속하게 게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중급의 학습수준을 가지는 학습자 측에서는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파악·보강하면서, 자가 학습수준에 최적으로 매칭된 SP를 학습·수련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자신의 전체적인 학습효과를 자연스럽게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도 14 참조).
물론, 이 상황에서, 중급의 학습수준을 가지는 학습자 측에서는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실제 학습수준과 동떨어진 SP를 별 의미 없이, 반복적으로 접 하게 되는 문제점>,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전혀 파악·보강하지 못한 체, 다수의 SP를 무의미하게 반복적으로 접하고, 그에 상응하는 기계적인 문제풀이만을 되풀이하게 되는 문제점>, <SP 자체를 단순 암기하게 된 사실, 또는, 운 좋게 쉬운 SP를 접하고, 이를 풀게된 사실 등을 전혀 인지하지 못한 체, 마치 각 SP를 모두 이해한 듯한 심각한 착각에 빠지는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술한 중급 클리닉 처리부(135)의 기능수행에 의해, 중급 클리닉 SP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전송/출제되는 국면에서도, SP 운영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 도 2 참조) 측에서는 앞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중급 클리닉 SP 내에,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a), 예컨대, SP 풀이시간 측정 스크립터를 탑재시키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추후, 중급 클리닉 SP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게시되고, 해당 중급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풀이과정이 진행되는 국면에서, 이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a)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 측 학습태도 상황정보, 예컨대, 학습자 측 SP 제출 시간정보를 수취/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절차의 진행 하에서, 학습자 측에서, 중급 클리닉 SP의 풀이절차를 완료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부터 중급 클리닉 SP에 상응하는 학습자 측 답안결과가 전송되면,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자 액션 접수부(138) 측에서는 정보교환부(1320를 매개로, 이를 수취한 후, 수취 완료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클리닉 SP 출제결과 출력부(141) 측에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이 상황에서, 클리닉 SP 출제결과 출력부(141) 측에서는 학습자 액션 접수부(138)와 교신을 취하여, 이를 수취한 후, 정보교환부(132)를 매개로,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 SP 운영상황 데이터 저장 D/B(111) 등과 교신을 재차 취하여 수취 완료된 <중급 클리닉 SP에 상응하는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후술하는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 SP 운영상황 데이터 저장 D/B(111) 등에 전달/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이와 관련된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의 구체적인 기능수행 절차 역시 뒤에 상세히 언급하기로 한다).
이때, 앞의 <중급 클리닉 SP에 상응하는 학습자 측 답안결과>에 대응하여,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 측으로부터 <첨삭시행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중급 클리닉 처리부(135) 측에서는 이를 수신/체크한 후, 그 체크결과(즉, 학습자 측 답안결과)에 따라, 상술한 중급 클리닉 SP 출제절차를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중급의 학습수준을 가지는 학습자 측에서 자가 학습수준에 최적으로 매칭된 SP를 안정적으로 또 다시 보강/학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게 된다(물론, 상황에 따라, 중급 클리닉 처리부(135)는 자체적인 정/오답 판단루틴에 의하여,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에 따라, 상술한 중급 클리닉 SP 출제절차를 반복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되는 관리자 정보 접수부(140)는 정보교환부를 매개로,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과 교신을 취하면서, 이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첨삭시행 데이터>를 접수한 후, 접수 완료된 <첨삭시행 데이터>를 중급 클리닉 처리부(135)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중급 클리닉 처리부(135)의 기능수행 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 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중급 클리닉 처리부(135)의 기능수행 국면에서도,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 기반데이터 처리부(139) 측에서는 학습자 액션 접수부(138), 관리자 정보 접수부(140) 등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이들에 의해 접수된 데이터들, 예컨대, 첨삭시행 데이터, 학습자 측 요청 데이터 등을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 <초급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가 좋지 않다(즉, 일정 수준 이하의 점수가 나왔다)>는 결론이 나거나, <기본 원리에 대한 학습을 하고 싶다는 취지의 학습자 측 요청이 접수되었다>는 결론이 나는 경우, 그 즉시, 정보교환부(132)를 매개로, 학습 기반데이터 저장 D/B(110)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중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각종 학습기반 데이터>, 예컨대, <중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동영상 정보>, <중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문서정보>, <중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음원정보>, <중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이미지 정보> 등을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학습기반 데이터를 가이드 윈도우 운영모듈(103)과의 교신 하에,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 전송/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프로세싱 정보 저장부(137)는 SP-학습기반 매칭 테이블(클리닉 SP와 학습기반 데이터 사이의 매칭관계를 나타낸 인덱스 테이블)을 자신의 정보 저장영역 내에 저장하고 있다가, 학습 기반데이터 처리부(139)의 요청 시, 이를 선택적으로 로딩/제공함으로써, 학습기반 데이터 처리부(139)에 의한 학습기반 데이터 제공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11)에는 <중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동영상 정보>, <중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문서정보>, <중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음원정보>, <중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이미지 정보> 등이 신속하게 게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중급의 학습수준을 가지는 학습자 측에서는 자신이 푼 중급 클리닉 SP에 대한 기반지식을 융통성 있게 확인 학습 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술한 상황에서도, SP 운영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 도 2 참조) 측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학습기반 데이터 내에,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a), 예컨대, 학습태도 중간체크 스크립터를 탑재시키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추후, 학습기반 데이터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게시되고, 해당 학습기반 데이터에 대한 학습자 측 소비과정이 진행되는 국면에서, 이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a)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 측 학습태도 상황정보, 예컨대, 학습태도 중간체크 응답정보를 수취/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클리닉 SP 출제 준비부(133)에 의해, <학습수준확인용 SP>를 접한 학습자의 학습수준이 선별 파악 완료되는 국면에서, 만약, 특정 학습자가 고급수준의 학습자로 선별·파악되면,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되는 고급 클리닉 처리부(136)는 그 즉시, 정보교환부(132), D/B 관리모듈(107) 등 을 매개로, SP 데이터 저장 D/B(109)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클리닉 SP 중,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120)에 의해 출제되어 정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다른 문항속성(즉, 다른 출제빈도, 다른 함정지수 등)을 가지면서, 고급 수준의 학습내용을 담은 고급 클리닉 SP를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12 참조)(물론, 이 상황 하에서도, 학습자가 최초 선택한 과목-학년-진도 등의 기본적인 사항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SP 데이터 저장 D/B(109)에 저장되어 있던 클리닉 SP 중,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120)에 의해 출제되어 정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다른 문항속성을 가지면서, 고급수준의 학습내용을 담은 중급 클리닉 SP가 추출 완료되면, 고급 클리닉 처리부(136)는 그 즉시, 단원별 안배, 주/객관식 안배, 문항 수 등을 두루 고려하여, 추출 완료되어 있던 고급 클리닉 SP 중, <출제대상 고급 클리닉 SP>를 선별하는 절차를 진행한 다음, 일련의 정렬루틴을 가동시켜, 선별 완료된 고급 클리닉 SP를 예컨대, 단원순서, 주/객관식 배열순서, 무작위 순서 등의 기본 출제형식에 따라, 정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12 참조)(물론, 상술한 선별기준, 정렬기준 등도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프로세싱 데이터 저장부(137)는 <출제대상 고급 클리닉 SP를 선별하기 위한 기준정보>, <출제대상 고급 클리닉 SP를 정렬하기 위한 기준정보> 등을 자신의 정보 저장영역 내에 저장하고 있다가, 고급 클리닉 처리부(136)의 요청 시, 이를 선택적으로 로딩/제공함으로써, 고급 클리닉 처리부(136)에 의한 고급 클리닉 SP 처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출제대상 고급 클리닉 SP가 선별/정렬 완료되면, 고급 클리닉 처리부(136)는 그 즉시, 선별/정렬 완료된 고급 클리닉 SP를 가이드 윈도우 운영모듈(103)과의 교신 하에,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 전송/출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11)에는 정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다른 문항속성을 가지면서, 고급수준의 학습내용을 담은 고급 클리닉 SP가 신속하게 게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고급의 학습수준을 가지는 학습자 측에서는 자가 경험 학습영역(문항속성 영역)을 자신이 아직 접해보지 못한 새로운 분야로 융통성 있게 응용 확대하면서, 자가 학습수준에 최적으로 매칭된 SP를 학습·수련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결국, 자신의 전체적인 학습효과를 자연스럽게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도 14 참조).
물론, 이 상황에서, 고급의 학습수준을 가지는 학습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이 이미 다 알고 있는 SP를 대상으로 하여, 무의미한 문제풀이만을 지속적으로 되풀이하게 되는 문제점>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술한 고급 클리닉 처리부(136)의 기능수행에 의해, 고급 클리닉 SP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전송/출제되는 국면에서도, SP 운영 서버(13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 도 2 참조) 측에서는 앞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고급 클리닉 SP 내에,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a), 예컨대, SP 풀이시간 측정 스크립터를 탑재시키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추후, 고급 클리닉 SP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게시되고, 해당 고급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풀이과정이 진행되는 국면에서, 이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a)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 측 학습태도 상황정보, 예컨대, 학습자 측 SP 제출 시간정보를 수취/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절차의 진행 하에서, 학습자 측에서, 고급 클리닉 SP의 풀이절차를 완료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부터 고급 클리닉 SP에 상응하는 학습자 측 답안결과가 전송되면,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자 액션 접수부(138) 측에서는 정보교환부(132)를 매개로, 이를 수취한 후, 수취 완료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클리닉 SP 출제결과 출력부(141) 측에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이 상황에서, 클리닉 SP 출제결과 출력부(141) 측에서는 학습자 액션 접수부(140)와 교신을 취하여, 이를 수취한 후, 정보교환부(132)를 매개로,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 SP 운영상황 데이터 저장 D/B(111) 등과 교신을 재차 취하여 수취 완료된 <고급 클리닉 SP에 상응하는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후술하는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 SP 운영상황 데이터 저장 D/B(111) 등에 전달/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이와 관련된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의 구체적인 기능수행 절차 역시 뒤에 상세히 언급하기로 한다).
이때,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 측으로부터 앞의 <고급 클리닉 SP에 상응하는 학습자 측 답안결과>에 대응하여, <첨삭시행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고급 클리닉 처리부 측에서는 이를 수신/체크한 후, 그 체크결과(즉, 학습자 측 답안결과)에 따라, 상술한 고급 클리닉 SP 출제절차를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써, 고급 의 학습수준을 가지는 학습자 측에서 자가 경험 학습영역(문항속성 영역)을 자신이 아직 접해보지 못한 새로운 분야로 융통성 있게 응용 확대하면서, 자가 학습수준에 최적으로 매칭된 SP를 안정적으로 또 다시 보강/학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게 된다(물론, 상황에 따라, 고급 클리닉 처리부(136)는 자체적인 정/오답 판단루틴에 의하여,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에 따라, 상술한 고급 클리닉 SP 출제절차를 반복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되는 관리자 정보 접수부(140)는 정보교환부(132)를 매개로,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과 교신을 취하면서, 이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첨삭시행 데이터>를 접수한 후, 접수 완료된 <첨삭시행 데이터>를 고급 클리닉 처리부(136)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고급 클리닉 처리부(136)의 기능수행 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고급 클리닉 처리부(136)의 기능수행 국면에서도,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 기반데이터 처리부(139) 측에서는 학습자 액션 접수부(138), 관리자 정보 접수부(140) 등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이들에 의해 접수된 데이터들, 예컨대, 첨삭시행 데이터, 학습자 측 요청 데이터 등을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 <고급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가 좋지 않다(즉, 일정 수준 이하의 점수가 나왔다)>는 결론이 나거나, <기본 원리에 대한 학습을 하고 싶다는 취지의 학습자 측 요청이 접수되었다>는 결론이 나는 경우, 그 즉시, 정보교환부(132)를 매개로, 학습 기반데이터 저장 D/B(110)와 교신을 취하 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고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각종 학습기반 데이터>, 예컨대, <고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동영상 정보>, <고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문서정보>, <고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음원정보>, <고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이미지 정보> 등을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학습기반 데이터를 가이드 윈도우 운영모듈(103)과의 교신 하에,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 전송/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프로세싱 정보 저장부(137)는 SP-학습기반 매칭 테이블(클리닉 SP와 학습기반 데이터 사이의 매칭관계를 나타낸 인덱스 테이블)을 자신의 정보 저장영역 내에 저장하고 있다가, 학습 기반데이터 처리부(139)의 요청 시, 이를 선택적으로 로딩/제공함으로써, 학습기반 데이터 처리부(139)에 의한 학습기반 데이터 제공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11)에는 <고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동영상 정보>, <고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문서정보>, <고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음원정보>, <고급 클리닉 SP와 연계·매칭된 원리/이론 등을 담은 이미지 정보> 등이 신속하게 게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고급의 학습수준을 가지는 학습자 측에서도 자신이 푼 고급 클리닉 SP에 대한 기반지식을 융통성 있게 확인 학습 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술한 국면에서도, SP 운영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 도 2 참조) 측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학습기반 데이터 내에,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b), 예컨대, 학습태도 중간체크 스크립터를 탑재시키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추후, 학습기반 데이터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게시되고, 해당 학습기반 데이터에 대한 학습자 측 소비과정이 진행되는 국면에서, 이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b)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 측 학습태도 상황정보, 예컨대, 학습태도 중간체크 응답정보를 수취/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체제 하에서, SP 출제 시스템 측에서는 학습자 측 답안결과(즉,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에 대한 적정시점에서의 전문가 분석 없이, 단순히, 학습자가 자의적으로 선택한 진도에 맞추어 SP를 반복 출제하는 수준의 불합리한 운영 패턴을 무모하게 고수하고 있었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각 학습자 측에서는 오프라인 교습과정에서 얻을 수 있었던 각종 이점, 예컨대, <새로운 시각의 SP 풀이방법을 별도로 익힐 수 있었던 이점>, <SP와 관련된 추가 학습정보를 별도로 취득할 수 있었던 이점> 등을 전혀 향유할 수 없었으며, 결국, 그에 따른 학습저하 문제점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앞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SP 운영 서버(101)의 제어 체제 하에,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을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P 운영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은 SP 첨삭관리자 인터페이스 모듈(106)을 매개로 하여, SP의 첨삭 관리를 담당하는 SP 첨삭 관리자(예, SP 첨삭관리 지도교사)에 의해 운영되는 SP 첨삭 관리자 단말(113)과 교신을 취하면서, 상술한 클리닉 SP 출제모듈(130)의 기능 수행에 의해 <초/중/고급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가 접수 완료되면, 클리닉 SP 출제모듈(130)과 교신을 취하여, <초/중/고급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수취한 다음, 수취 완료된 <초/중/고급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토대로,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첨삭관리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첨삭관리용 데이터에는 예컨대, 초/중/고급 클리닉 SP의 문제 데이터, 초/중/고급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 데이터, 학습자 등록정보, 학습자 SP 학습이력 정보 등이 담겨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 첨삭관리용 데이터가 생성되면,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 측에서는 SP 첨삭관리자 인터페이스 모듈(106)을 매개로 SP 첨삭관리자 단말과 교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첨삭관리용 데이터를 SP 첨삭관리자 단말(113)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SP 첨삭 관리자(예, SP 첨삭관리 지도교사) 측에서는 SP 첨삭관리자 단말(113)을 통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첨삭관리용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고, 결국, 이 상황에서, SP를 채점하거나, 새로운 시각의 SP 풀이방법을 별도로 제공하거나, 나아가, SP와 관련된 추가 학습정보를 별도로 제공하거나 하는 등의 첨삭시행 절차를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SP 첨삭관리자 단말(113)에는 첨삭관리용 데이터의 전산편집을 가이드 하기 위한 문서 편집기(301)가 추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절차 하에서, SP 첨삭 관리자(예, SP 첨삭관리 지도교사)에 의한 첨삭시행절차가 모두 마무리되어, SP 첨삭 관리자 단말(113) 측으로부터 첨삭 관리용 데이터에 상응하는 첨삭시행 데이터가 전송되면,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150) 측에서는 SP 첨삭관리자 인터페이스 모듈(106)을 매개로 이를 수취한 다음,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과 교신을 취하여, 수취 완료된 첨삭시행 데이터를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학습자 측에서는 자신의 답안결과에 대한 SP 첨삭 관리자 측의 첨삭시행내역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도 16 참조)(물론, 상술한 첨삭시행 데이터는 상황에 따라, 클리닉 SP 출제모듈(130) 측에도 전달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 학습자 측에서는 오프라인 교습과정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답안결과에 대한 SP 첨삭 관리자 측의 첨삭시행내역(예컨대, 새로운 시각의 클리닉 SP 풀이방법, SP와 관련된 추가 학습정보 등)을 적정 시점마다(예컨대, 클리닉 SP에 대한 답안을 입력/제출하는 시점마다)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오프라인 교습과정에서 얻을 수 있었던 각종 이점(새로운 시각의 SP 풀이방법을 별도로 익힐 수 있었던 이점, SP와 관련된 추가 학습정보를 별도로 취득할 수 있었던 이점 등)을 융통성 있게 향유하면서, 자신의 학습수준에 최적으로 매칭된 SP를 반복적으로 학습·수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체제 하에서, SP 출제 시스템 측에서는 오프라인 교습과정과 달리(즉, 온라인 시스템이라고 하는 기본적인 한계 상), SP의 반복적인 출제/제공절차만 제한적으로 단순 수행할 수 있었을 뿐, 학습자의 학습태 도 관리/관찰과 관련해서는 아무런 추가절차도 수행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학부모를 위시한 학습자 주변의 관계자 측에서는 온라인 학습에 임하는 학습자의 세세한 학습 행태를 전혀 파악할 수 없었으며, 결국, 학습자를 적극적으로 지도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앞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SP 운영 서버(101)의 제어 체제 하에,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을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 SP 운영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태도 관리자 인터페이스 모듈(105)을 매개로 하여, 학습태도 관리자 단말(114)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인프라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 측에서는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120)에 소속된 난이도조절용 SP 출제부(124),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부(127) 등의 기능수행에 의해, 난이도조절용 SP, 학습수준확인용 SP 등이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전송/출제되는 국면이 조성되거나, 나아가, 클리닉 SP 출제모듈(130)에 소속된 초/중/고급 클리닉 처리부(135,136,137)의 기능수행에 의해, 초/중/고급 클리닉 SP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전송/출제되는 국면이 조성되면, 해당 난이도조절용 SP, 학습수준확인용 SP, 초/중/고급 클리닉 SP 내에,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a), 예컨대, SP 풀이시간 측정 스크립터를 탑재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6, 도 10 내지 도 12 참조).
또한,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 측에서는 클리닉 SP 출제모듈(130)에 소속된 학습기반 데이터 처리부(139)의 기능수행에 의해, 학습기반 데이터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전송/제공되는 국면에서도, 해당 학습기반 데이터 내에,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b), 예컨대, 학습태도 중간체크 스크립터(이러한 학습태도 중간체크 스크립터는 학습자가 학습기반 데이터를 학습하는 중간 중간에 일련의 학습태도 중간체크 메시지를 수시로 노출시키고, 이에 상응하는 응답정보를 접수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를 탑재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10 내지 도 12 참조).
이러한 절차 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 측에서는 난이도조절용 SP, 학습수준확인용 SP, 초/중/고급 클리닉 SP 등이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게시되고, 해당 SP에 대한 학습자 측 풀이과정이 진행되는 국면이 조성되면,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a)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 측 학습태도 상황정보, 예컨대, 학습자 측 SP 제출 시간정보를 수취/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6, 도 10 내지 도 12 참조).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 측에서는 추후, 학습기반 데이터가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 게시되고, 해당 학습기반 데이터에 대한 학습자 측 소비과정이 진행되는 국면이 조성되면,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170b)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 측 학습태도 상황정보, 예컨대, 학습태도 중간체크 응답정보를 수취/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10 내지 도 12 참조).
이렇게 하여, 학습자 측 학습태도 상황정보, 예컨대, 학습자 측 SP 제출 시간정보, 학습태도 중간체크 응답정보 등이 수취 완료되면,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 측에서는 자신의 정보 저장영역에 저장되어 있던 학습태도평가 기준정보를 토대로, 학습자 측 SP 제출 시간정보, 학습태도 중간체크 응답정보 등을 비교 분석한 후, 해당 분석결과를 참고로,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가동시켜, 학습자 측 학습태도 상황정보에 상응하는 학습태도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17 참조). 이 경우, 상술한 학습태도평가 기준정보 내에는, 예컨대, <각 SP에 대한 각 학습자들의 평균 답안 제출시간 정보>, <학습태도 중간체크 메시지에 응답한 횟수에 매칭 되는 학습태도 포인트 정보> 등이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된다.
이러한 절차 내에서, 예컨대, <특정 학습자의 SP 제출시간이 각 SP에 대한 학습자들의 평균 답안 제출시간 정보에 비하여 너무 느린 경우>, 나아가, <특정 학습자의 학습태도 중간체크 메시지에 응답한 횟수가 너무 적어 학습태도 포인트가 낮은 경우> 등이 확인되면,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 측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부정적인 성격의 학습태도 평가정보를 생성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평가기준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학습태도 평가정보가 생성 완료되면,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 측에서는 학습태도 관리자 인터페이스 모듈(105)을 매개로 학습태도 관리자 단말(114)과 교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학습태도 평가정보를 학습태도 관리자 단말(114)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학습태도 관리자 (예, 학습태도 지도교사) 측에서는 학습태도 관리자 단말(114)을 통하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학습태도 평가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고, 결국, 이 상황에서, 자신의 지도의견을 기록하거나 하는 등의 학습태도 관리절차를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학습태도 관리자 단말(114)에는 학습태도 평가정보의 전산편집을 가이드 하기 위한 문서 편집기(302)가 추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절차 하에서, 학습태도 관리자(예, 학습태도 지도교사)에 의한 학습태도 관리절차가 모두 마무리되어, 학습태도 관리자 단말(114) 측으로부터 학습태도 평가정보에 상응하는 학습태도 관리정보가 전송되면,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170) 측에서는 학습태도 관리자 인터페이스 모듈(105)을 매개로 이를 수취한 다음,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학부모 통신단말(401: 도 17에 도시됨, 예컨대, 모바일 기기, 전자메일계정, SMS 계정 등)과 교신을 취하여, 수취 완료된 학습태도 관리정보를 학부모 통신단말(401)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학부모를 위시한 학습자 주변의 관계자 측에서는 학습태도 관리자 측의 학습태도 관리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도 18 참조)(물론, 상술한 학습태도 관리정보는 상황에 따라, 학습자 클라이언트(11) 측에도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이 상황에서, 학부모를 위시한 학습자 주변의 관계자 측에서는 온라인 학습에 임하는 학습자의 세세한 학습 행태를 좀더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며, 결국, 학습자를 적극적으로 지도하는데 있어,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학습자의 학습관리, 태도관리 등이 필요한 다양한 유형의 학습문제 운영 시스템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SP 출제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P 운영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P 데이터 저장 D/B의 데이터 저장상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기반 데이터의 활용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윈도우의 게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의 기능수행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난이도조절용 SP 및 학습수준확인용 SP의 출제/게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닉 SP 출제모듈의 기능수행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닉 SP 출제모듈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닉 SP의 출제/게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의 기능수행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첨삭시행 데이터의 게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의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태도 관리정보의 게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Claims (6)
- 데이터 저장블록 내에 난이도조절용 학습문제(SP: Studying Problem), 학습수준확인용 SP, 클리닉 SP 및 학습기반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며, 온라인망을 매개로 학습자 클라이언트와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난이도조절용 SP, 학습수준확인용 SP, 클리닉 SP의 출제 및 관리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SP 운영 서버와;상기 SP 운영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데이터 저장블록과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난이도조절용 SP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출제하여 추후 출제될 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의 난이도 수준을 결정한 후, 결정된 난이도 수준에 상응하는 학습수준확인용 SP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출제하여, 해당 학습자의 기본적인 학습수준 파악을 유도하는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과;상기 SP 운영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데이터 저장블록과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토대로 하여, 해당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선별 파악한 후, 파악된 학습자의 학습수준에 따라, <오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동일 또는 유사 문항속성을 가지는 클리닉 SP> 또는 <정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다른 문항속성을 가지는 클리닉 SP>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출제하여, 해당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수준에 따라, <취약한 문항속성 영역> 또는 <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다른 문항속성 영역>을 학습·보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클리닉 SP 출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SP 운영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은 전체적인 학습수준확인용 SP의 출제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제어부와;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 측 학습영역 선택사항을 접수·체크하는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준비부와;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준비부에 의해 학습자 측 학습영역 선택사항이 체크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블록에 저장되어 있던 난이도조절용 SP 중, 상기 학습자 측 학습영역 선택사항에 상응하는 난이도조절용 SP를 추출하고, 추출된 난이도조절용 SP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출제하는 난이도조절용 SP 출제부와;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난이도조절용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체크하여, 학습수준확인용 SP의 난이도 수준을 결정한 후, 상기 데이터 저장블록에 저장되어 있던 학습수준확인용 SP 중, 결정된 난이도 수준에 상응하는 학습수준확인용 SP를 추출하고, 추출된 학습수준확인용 SP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출제하여, 해당 학습자의 기본적인 학습수준 파악을 유도하는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SP 운영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닉 SP 출제모듈은 전체적인 클리닉 SP의 출제절 차를 총괄 제어하는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와;상기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과 교신을 취하여, 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에 대한 학습자 답안결과를 체크한 후, 해당 체크결과를 토대로 하여,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선별 파악하는 클리닉 SP 출제 준비부와;상기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클리닉 SP 출제 준비부에 의해 해당 학습자의 학습수준이 초급수준인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블록에 저장되어 있던 클리닉 SP 중, 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에 의해 출제되어 오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동일 또는 유사 문항속성을 가지면서, 초급 수준의 학습내용을 담은 초급 클리닉 SP를 추출한 후, 추출된 초급 클리닉 SP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출제하여, 초급수준의 학습자가 자신의 취약한 학습영역을 학습·보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초급 클리닉 처리부와;상기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클리닉 SP 출제 준비부에 의해 해당 학습자의 학습수준이 중급수준인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블록에 저장되어 있던 클리닉 SP 중, 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에 의해 출제되어 오답 처리된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동일 또는 유사 문항속성을 가지면서, 중급수준의 학습내용을 담은 중급 클리닉 SP를 추출한 후, 추출된 중급 클리닉 SP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출제하여, 중급수준의 학습자가 자신의 취약한 학습영역을 학습·보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중급 클리닉 처리부와;상기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클리닉 SP 출제 준비부 에 의해 해당 학습자의 학습수준이 고급수준이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블록에 저장되어 있던 클리닉 SP 중, 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 출제모듈에 의해 출제된 전체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다른 문항속성을 가지면서, 고급수준의 학습내용을 담은 고급 클리닉 SP를 추출한 후, 추출된 고급 클리닉 SP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출제하여, 고급수준의 학습자가 상기 학습수준확인용 SP와 다른 문항속성 영역을 학습·보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고급 클리닉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SP 운영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닉 SP 출제모듈은 상기 클리닉 SP 출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초급/중급/고급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 또는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학습자 측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블록에 저장되어 있던 학습기반 데이터 중, 해당 초급/중급/고급 클리닉 SP에 상응하는 학습기반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된 학습기반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하여, 학습자가 자신이 푼 상기 초급/중급/고급 클리닉 SP에 대한 기반지식을 확인학습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학습기반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SP 운영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P 운영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SP의 첨삭 관리를 담당하는 SP 첨삭 관리자에 의해 운영되는 SP 첨삭 관리자 단말과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클리닉 SP에 대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수취한 후, 수취된 학습자 측 답안결과를 토대로, 첨삭 관리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첨삭 관리용 데이터를 상기 SP 첨삭 관리자 단말 측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SP 첨삭 관리자 단말 측으로부터 상기 첨삭 관리용 데이터에 상응하는 첨삭시행 데이터가 전송되면, 해당 첨삭시행 데이터를 수취한 후, 수취된 첨삭시행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하여, 학습자 측에서 자신의 답안결과에 대한 SP 첨삭 관리자 측의 첨삭시행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SP 첨삭관리 가이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SP 운영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P 운영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학습자의 학습태도 관리를 담당하는 학습태도 관리자에 의해 운영되는 학습태도 관리자 단말과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난이도조절용 SP, 학습수준확인용 SP, 클리닉 SP, 학습기반 데이터내에 학습태도 모니터링 스크립터를 탑재시킴과 아울러, 상기 난이도조절용 SP, 학습수준확인용 SP, 클리닉 SP, 학습기반 데이터가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에 게시되는 국면에서, 상기 학습태도 모티터링 스크립터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태도 상황정보를 수취한 후, 기 설정되어 있던 학습태도 평가 기준정보를 토대로 상기 학습태도 상황정보에 상응하는 학습태도 평가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태도 평가정보를 학습태도 관리자 단말 측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관리자 단말 측으로부터 상기 학습태도 평가정보에 상응하는 학습태도 관리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학습태도 관리정보를 학부모를 위시한 상기 학습자 주변의 관계자 측에 통지하는 학습태도 관리 가이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 는 SP 운영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4391A KR20100012943A (ko) | 2008-07-30 | 2008-07-30 |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문제 운영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4391A KR20100012943A (ko) | 2008-07-30 | 2008-07-30 |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문제 운영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2943A true KR20100012943A (ko) | 2010-02-09 |
Family
ID=4208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4391A KR20100012943A (ko) | 2008-07-30 | 2008-07-30 |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문제 운영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12943A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1432B1 (ko) * | 2011-08-11 | 2012-05-03 | 주식회사 매쓰홀릭 | 온라인 학습 시스템 |
WO2012057588A2 (ko) * | 2010-10-29 | 2012-05-03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학습능력 진단 장치 및 방법 |
KR101338213B1 (ko) * | 2011-08-23 | 2013-12-06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소셜 러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KR20140046427A (ko) * | 2012-02-20 | 2014-04-18 | 주식회사 노리코리아 |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KR101476226B1 (ko) * | 2010-11-16 | 2014-12-26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학습능력 진단 장치 및 방법 |
KR20150063782A (ko) * | 2013-12-02 | 2015-06-10 | (주)오투라인 | 문제의 결과값에 기초한 완전 학습 방법 및 그 시스템 |
KR20170031110A (ko) * | 2017-02-24 | 2017-03-20 | 비트루브 주식회사 |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보완 문제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
KR20200132080A (ko) | 2019-05-15 | 2020-11-25 | 신종우 | 문제생성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KR20240007404A (ko) * | 2022-07-08 | 2024-01-16 |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교육원 |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 |
-
2008
- 2008-07-30 KR KR1020080074391A patent/KR2010001294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57588A2 (ko) * | 2010-10-29 | 2012-05-03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학습능력 진단 장치 및 방법 |
WO2012057588A3 (ko) * | 2010-10-29 | 2012-07-26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학습능력 진단 장치 및 방법 |
CN103210415A (zh) * | 2010-10-29 | 2013-07-17 | Sk电信有限公司 | 用于诊断学习能力的设备和方法 |
KR101476226B1 (ko) * | 2010-11-16 | 2014-12-26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학습능력 진단 장치 및 방법 |
KR101141432B1 (ko) * | 2011-08-11 | 2012-05-03 | 주식회사 매쓰홀릭 | 온라인 학습 시스템 |
KR101338213B1 (ko) * | 2011-08-23 | 2013-12-06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소셜 러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KR20140046427A (ko) * | 2012-02-20 | 2014-04-18 | 주식회사 노리코리아 |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KR101515894B1 (ko) * | 2012-02-20 | 2015-05-19 | 주식회사 노리코리아 |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KR20150063782A (ko) * | 2013-12-02 | 2015-06-10 | (주)오투라인 | 문제의 결과값에 기초한 완전 학습 방법 및 그 시스템 |
KR20170031110A (ko) * | 2017-02-24 | 2017-03-20 | 비트루브 주식회사 |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보완 문제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
KR20200132080A (ko) | 2019-05-15 | 2020-11-25 | 신종우 | 문제생성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KR20240007404A (ko) * | 2022-07-08 | 2024-01-16 |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교육원 | 자격취득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격취득 인증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12943A (ko) |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문제 운영 시스템 | |
US20220318941A1 (en) | Apparatus,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or evaluating skill of user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through transferrable feature applied to plural test domains | |
US20120164619A1 (en) | Educ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 |
Song et al. | Developing and assessing MATLAB exercises for active concept learning | |
WO2014127131A1 (en) | Knowledge evaluation system | |
Long et al. | Effectiveness of a technology‐based intervention to teach evidence‐based practice: The EBR Tool | |
KR101576727B1 (ko) | Qr코드 및 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 학습 시스템 | |
US10410534B2 (en) | Modular system for the real time assess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s | |
CN111192171A (zh) | 辅助教学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 |
Praetorius et al. | Methodological challenges in conducting international research on teaching quality using standardized observations | |
Bassoppo-Moyo | Evaluating eLearning: A front-end, process and post hoc approach | |
Lowe et al. | Reframing teacher in-service training in Kenya: Recommendations from the literature | |
Shute et al. | Educational measurement and intelligent systems | |
KR101887409B1 (ko) | 미세 oid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 및 그에 대응되는 전자문서 파일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축한 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콘텐츠 마켓 서비스 시스템 | |
Hussain et al. | Challenges Faced by PH. D. Scholars and Supervisors During COVID-19 in Turkey and Pakistan | |
Thalheimer | The learning-transfer evaluation model | |
Acuna et al. | Developing threshold learning outcomes for agricultural science | |
US20100151433A1 (en) | Test and answer key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 |
KR102412381B1 (ko) | 풀이 경험이 없는 추가된 문제 컨텐츠에 대한 예측된 정답 확률을 기초로, 문제를 평가하는 학습 컨텐츠 평가 장치,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
Possaghi et al. | Challenges in digital STEM education delivery: A case study from the teachers' perspective | |
Hijazi et al. | Modelling and implementation of proactive risk management in e-learning projects: a step towards enhancing quality of e-learning | |
JP2006201336A (ja) | 学習支援サーバ、学習支援方法ならびに学生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 | |
Peat et al. | Learning human biology: Student views on the usefulness of IT materials in an integrated curriculum | |
Sittakul et al. | Smart Quiz System for Classroom via LINEBot | |
Seya et al. | Identifying Issues for Learners in Completing Online Courses on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Five Issues Found in a Fully Automated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Purpose of Scalable AI Educ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